KR20220055959A -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59A
KR20220055959A KR1020200140580A KR20200140580A KR20220055959A KR 20220055959 A KR20220055959 A KR 20220055959A KR 1020200140580 A KR1020200140580 A KR 1020200140580A KR 20200140580 A KR20200140580 A KR 20200140580A KR 20220055959 A KR20220055959 A KR 2022005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abnormal
smart contract
abnormal transaction
online c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287B1 (ko
Inventor
유서희
박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14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2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가 개시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는, 상기 노드 및 상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ABNORMAL TRANSACTION DETECTING METHOD IN THE CIRCULATION OF ONLINE CASH ASSETS}
본 발명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탐지 및 제어할 수 있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기록을 저장하는 수평적인 분산 원장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지역 화폐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지역 화폐 서비스의 자산은 일반적으로 은행 시스템의 법정 화폐와 1:1 가치를 갖고, 은행 계좌에 법정 화폐가 입금되면 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상 화폐인 지역 화폐가 발행된다.
한편 지역 화폐와 같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은 일명 “깡”이라고 불리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고하면, 악의적 사용자와 가맹점 간에 협의 하에 지역 화폐를 법정 화폐로 변환하여 전용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지역화폐 깡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다.
먼저 지역화폐를 구매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하에 구매 금액의 10%를 추가적으로 적립 가능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1) 먼저 가맹점은 “깡”을 목적으로 지역화폐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다. (2) 사용자는 110만원의 지역 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지출 금액은 법정 화폐 100만원이고,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은 법정 화폐 10만원일 수 있다. (3) 사용자는 가맹점에서 물건을 구매하지 않고 지역 화폐 110만원을 결제할 수 있다. (4) 가맹점은 협의된 금액(예를 들어 105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법정 화폐 100만원을 지출하여 105만원을 획득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5만원의 이득이 발생하였다. (5) 가맹점은 결제받은 금액(110만원)에 대한 환전을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맹점은 105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대신 지방자치단체로부터 110만원을 획득하였기 때문에, 가맹점에게는 5만원의 이득이 발생하였다.
다른 사례를 설명하면, (1) 가맹점 주인의 지인이나 가족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복지수당의 형태로 지역화폐 100만원을 지급 받는다. (2) 가맹점 주인의 지인이나 가족은 가맹점에서 물건을 구매하지 않고 지역화폐 100만원을 결제한다. (3) 가맹점은 결제받은 금액(100만원)에 대한 환전을 지방 자치단체에 신청함으로써 지역 화폐를 현금으로 변환하여 전용할 수 있다.
위의 두가지 사례가 유효한 것은 지역 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정상 거래인지 깡인지 구별하기가 어렵다는 것에 있다.
한편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상 거래의 탐지를 위한 FDS 시스템을 블록체인과 별도로 운영하게 되면, 이상 거래에 대한 데이터와 금융 거래 데이터가 분리되게 되고 FDS 시스템 내부에 축적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 거래 여부를 판별하게 되므로,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가 조작되거나 유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부인 방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유로 이상거래가 있었다는 사후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에 신뢰가 결여 되기 때문에, 이상 거래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 거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탐지 및 제어할 수 있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node)는, 상기 노드 및 상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거래 규칙을 관리하고, 상기 이상거래 규칙 및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유통의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상기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이상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1차 승인하고,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이상거래의 탐지 결과,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및 상기 권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node)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거래 규칙과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의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상기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이상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1차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거래의 탐지 결과,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및 상기 권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 거래 규칙 및 이상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배포하는 운용 시스템, 및, 복수의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일 노드는,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감시 패턴을 관리하는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이고, 상기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특정 노드에서 발생한 거래 이벤트가 전파되면 상기 특정 노드에서의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 및 상기 감시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감시 패턴에 대응하는 유통 내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유통 내역을 상기 감시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주체인 감시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감시 패턴을 생성하여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감시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이상거래 규칙과 블랙리스트를 등록하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의 발생 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이상거래의 탐지 및 권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깡” 등의 이상 거래를 예방하거나 신속한 사후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를 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시켜 운용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분리된 별도의 시스템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경우와는 달리 이상 거래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 규칙, 사용자의 유통 내역, 이상거래 횟수, 이상거래 레벨 등이 블록체인으로 저장됨으로써, 부정 거래자의 부인 방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이상 거래 규칙, 이상 거래 레벨 별 정책,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 등을 배포 및 관리하기 때문에,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관리 및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뿐만 아니라, 사용자-사용자 간, 사용자-가맹점 간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상 거래를 탐지하기 때문에, 이상 거래를 더욱 정확하게 탐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동기화를 통하여 과거의 정보부터 현재의 정보까지 동기화가 되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노드들이 이상 거래 규칙, 블랙리스트,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 등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기관에서 별도의 이상거래 감시, 혹은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감시 시스템(130)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운용함으로써, 여러 지방자치 단체들이 감시 패턴을 공유하여 자신이 운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의 탐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되며, 이상 거래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가 실 시간으로 전파되고 이상 거래와 관련된 정보가 손쉽게 공유 및 동기화 되기 때문에, 감시 시스템은 이상 거래 발생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빠른 사후 대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시 시스템은 감시 패턴을 생성하여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이 찾기를 원하는 이상 거래 내역을 선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지역 화폐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각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각 노드들이 실행시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및 이상 거래 탐지를 수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C)(5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스마트 컨트랙트(SC)(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거래 레벨, 이상거래 규칙 및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의 배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은 운용 시스템(110),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및 감시 시스템(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암호화 화폐(crypto currency)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은 특정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지역 화폐로써,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화폐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은 지역화폐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품권, 포인트, 쿠폰, 공공기관 바우처, 정책수당, 북지수당, 법적화폐 가치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 Central Bank-Issued Digital Currencies,) 등의 현금성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운용 시스템(110)을 운용하는 주체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발행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상기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운용을 위탁받은 업체일 수 있다.
그리고 운용 시스템(110)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수행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이상 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 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상 거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이상 거래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지방 자치 단체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이상 거래 규칙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 거래 규칙을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상 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시스템(1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 및 블랙리스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감시 시스템(1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일 노드인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시스템(130)의 주체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발행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상기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감시 업무를 위탁받은 업체일 수 있다.
감시 시스템(130)은 단일의 이상 거래 또는 복수의 이상 거래의 조합을 유형화한 감시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시 패턴을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과 수신된 감시 패턴을 비교하고, 수신된 감시 패턴에 대응하는 유통 내역을 감시 시스템(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시스템(130)은 감시 패턴에 대응하는 유통 내역을 저장하고, 외부(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주체인 지방 자치 단체 또는 타 지방 자치 단체, 기업, 단체 등)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유통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30)은 발행 주체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감시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시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주체인 경우, 감시 시스템(130)은 A시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 운용 정책에 상응하는 감시 패턴을 생성하여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30)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감시 패턴을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시스템(130)이 A시의 감시 시스템인 경우, 감시 시스템(130)은 A시에서 발행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감시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시 패턴을 C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30)은 외부의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감시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시스템(130)이 A시의 감시 시스템인 경우, 감시 시스템(130)은 B시에서 발행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감시 패턴을 B시의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130)은 외부의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감시 패턴을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150)은, 예를 들어, 이더넷, 802.11,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3G, 4G, 5G, CDMA, DSL(digital subscriber line)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포함한다. 통신망(130)를 통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의 예시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및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복수의 참여 노드가 P2P(Peer to Peer)로 통신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의 참여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의 승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트랜잭션 내역 보관, 다른 노드들과의 주기적인 블록 분산 합의, 작업 증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참여 노드들은 서버나 PC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참여 노드들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유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란, 법정 화폐를 이용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거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이용한 결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정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를 구성하는 금융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금하거나 지방 자치 단체에 의해 지원되는 법정 화폐와 1:1의 가치를 갖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발행하여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를 구성하는 금융 시스템과 연동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정산을 수행하고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를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과 연동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거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이용한 결제 등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승인하고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노드(10) 및 클라이언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노드(10) 및 클라이언트(20)는 블록체인 시스템를 구성하는 단말로서 스마트단말, PC,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Blockchain system)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에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설치되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이상 거래의 탐지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권한 제어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설치된 복수의 노드의 참여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밍 코드이며, 코드는 블록체인에서 실행되고, 코드의 실행 결과는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코드 실행의 일련의 과정이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스마트 컨트랙트는 코드의 동작 과정과 동작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중개자 없이 P2P(Peer to Peer)로 쉽고 편리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이상 거래의 탐지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권한 제어를 공유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구체적으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0)는, 트랜잭션 전달에 따라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20)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거래 주체로서 금융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노드(1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참여하는 경우, 해당 노드(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과 관련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노드(10)는 클라이언트(20)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각 노드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 이상 거래의 탐지, 이상 거래 레벨 관리 및 이상 거래 레벨에 기반한 권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트랜잭션을 검증 및 합의함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설정한 유통 조건을 만족시키는 트랜잭션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과 관련된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각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포함되는 이상 거래 규칙에 기반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하고 이상 거래 탐지 내역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각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포함되는 블랙리스트에 기반하여,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 유통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공통의 동기화된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클라이언트(12)가 발생시킨 트랜잭션을 분산합의 과정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공유된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고 스마트 건트랙트의 실행에 따라 변화된 공통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는 공유된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 및 공통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는 블록체인 구조(Blockchain)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하나 이상의 노드는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감시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감시 패턴을 보유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특정 노드에서 이상 거래 이벤트 발생 시, 이상 거래 이벤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으로 전파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해당 노드에서 생성된 트랜잭션 또는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을 읽어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을 감시 패턴과 비교하여, 감시 패턴에 일치하는 유통 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추출된 유통 내역을 통신망(150)을 통하여 감시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각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노드(10)는 통신부(11), 제어부(13), 그리고 저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블록체인 시스템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1, 2, 3, 4, 5, 6) 및 클라이언트(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1)는 블록체인 시스템를 통해 전송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과 관련된 트랜잭션을 수신받아 제어부(13)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승인하는 P2P 시스템의 운영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에 따라 변화된 상태 정보를 저장부(15)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록체인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각 노드들이 실행시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및 이상 거래 탐지를 수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C)(5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스마트 컨트랙트(SC)(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마트 컨트랙트(SC)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금융 거래 SC)(510),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이상 거래 탐지 SC 또는 Fraud Detection System(FDS) SC)(520),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 및 상태 데이터베이스(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데이터베이스(540)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이상 거래 규칙,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 블랙리스트,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데이터베이스(540)는 블록체인 구조(Blockchain)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태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정보들은 블록에 기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상태 데이터베이스(540)는 용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내에 탑재된(Embedded) 데이터베이스의 일체를 말한다.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금융 거래 SC)(5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발행, 거래, 결제 및 정산 중 적어도 하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SC)는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 요소인 Consensus, Membership, Ledger, P2P Network 등과 스마트 컨트랙트의 비즈니스 로직,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 정책, 이상거래 규칙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대로 이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금융 거래 SC)(51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설정한 유통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통 요청을 승인하고, 승인된 유통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분산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금융 거래 SC)(510)는 법정 화폐를 이용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예를 들어 법정 화폐 10만원이 금융 시스템에 입금되면 지역 화폐 10만원을 발행)을 수행하는 모바일 현금성 자산 발행부(511),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거래(예를 들어 지역화폐 10만원을 타인에게 이체)를 수행하는 모바일 현금성 자산 거래부(512), 온라인 현금성 자산을 이용한 결제(예를 들어 지역화폐 3만원으로 물건을 산 경우 3만원을 결제)를 수행하는 모바일 현금성 자산 결제부(513) 및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정산(예를 들어 지역 화폐의 결제 금액을 뺀 남은 금액을 정산, 또는 지역 화폐 10만원이 금융 시스템에 전송되면 지역 화폐를 법정 화폐 10만원으로 교환)을 수행하는 모바일 현금성 자산 정산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금융 거래 SC)(5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트랜잭션)을 금융 거래 로우 데이터 데이터베이스(541)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하고,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이상 거래 정책 등록부(521),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 이상 거래 레벨 관리부(523) 및 금융 거래 권한 제어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거래 정책 등록부(521)는 이상 거래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거래 정책 등록부(521)는 운용 시스템(110)에 의해 배포되는 이상 거래 규칙을 등록하여 정책 데이터베이스(54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거래 정책 등록부(521)는 정책 데이터베이스(542)에 저장된 이상 거래 규칙을 독출하여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거래 규칙은 이상 거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규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1)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선물 거래 5회 이상, (2) 특정 사용자가 하루에 선물 받은 금액이 100,000 이상, 혹은 특정 사용자가 하루에 여러 사람으로부터 선물 받은 횟수가 5회 이상 (3) 특정 사용자가 결제 이후, 결제를 취소한 경우가 주 3회 이상 (4) 가맹점의 수익이 전 주 대비 300% 증가한 경우, (5) 고액 결제 빈도수가 상위 10% 이내, (6) 소액 결제이지만, 동일한 사람에게 짧은 기간 동안 결제가 많은 경우, (7) 사용자가 보유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모두를 결제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한편 이상거래 규칙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주체의 정책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거래 규칙이 업데이트 됨에 따라, 새로운 이상 거래 규칙이 추가되거나, 기 등록된 이상거래 규칙이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새로운 이상 거래 규칙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노드들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새로운 이상 거래 규칙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등록된 이상거래 규칙 및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500)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의 내용 또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이 생성된 노드에서의 유통 내역을 등록된 이상거래 규칙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의 내용 또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이 생성된 노드에서의 유통 내역이 이상거래 규칙과 일치하면,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특정 가맹점에서 특정 물품을 의도적으로 대량 구매하는 경우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이와 같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는 사용자 A에 대한 등록 요청을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거래 레벨 관리부(523)는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거래 레벨 관리부(523)는 운용 시스템(110)에 의해 배포되는 레벨 별 이상거래 정책을 등록하여 레벨별 정책 데이터베이스(54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상거래 레벨 관리부(523)는 레벨 별 이상거래 정책을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와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 별 이상거래 정책은, 이상 거래 레벨을 산출하는 기준을 규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은, 이상거래 횟수가 월 5회에서 월 10회인 사람은 이상 거래 레벨 1로, 이상거래 횟수가 월 10회에서 월 30회인 사람은 이상 거래 레벨 2로, 이상거래 횟수가 월 30회 이상인 사람은 이상 거래 레벨 3으로 규정하는 것일 수 있다.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주체의 정책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이 업데이트 됨에 따라, 이상거래 횟수가 월 3회에서 월 6회인 사람이 이상 거래 레벨 1로, 이상거래 횟수가 월 6회에서 월 15회인 사람은 이상 거래 레벨 2로, 이상거래 횟수가 월 15회 이상인 사람은 이상 거래 레벨 3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새로운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노드들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새로운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금융거래 권한 제어부(524)는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제어 정보를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로부터 수신하고,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융거래 권한 제어부(524)는,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하거나 최종 미 승인할 수 있다.
한편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사용자의 이상 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이상 거래 레벨을 관리하고,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사용자 관리부(531) 및 레벨 별 권한 관리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벨 별 권한 관리부(532)는 이상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벨 별 권한 관리부(532)는 운용 시스템(110)에 의해 배포되는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등록하여 레벨별 권한 데이터베이스(545)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는, 이상 거래 레벨에 따라 사용자 권한의 제한을 규정한 것일 수 있다.
권한 제어 정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등급 레벨 별 정책 레벨 별 권한 제어
Level 1 이상거래 횟수 월 5회 ~ 월 10회 - 1회 송금 및 결제 금액은 기준 금액의 80% 미만 사용 가능
- 1일 송금 횟수 최대 5회 제한
- 특정 사람과 관련된 경우, 해당 사람과의 선물 주고받기 및 결제 금지
Level 2 이상거래 횟수 월 10회 ~ 월 30회 - 1회 송금 및 결제 금액은 기준 금액의 50% 미만 사용 가능
- 1일 송금 횟수 최대 2회 제한
- 특정 사람과 관련된 경우, 해당 사람과의 선물 주고받기 및 결제 금지
- 특정 가맹점과 관련된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결제 금지
- 최근 1주일 사이의 결제 내역 환불 금지
Level 3 이상거래 횟수 월 30회 이상 - 1회 송금 및 결제 금액은 기준 금액의 30% 미만 사용 가능
- 1일 송금 횟수 최대 1회 제한
- 특정 사람과 관련된 경우, 해당 사람과의 선물 주고받기 및 결제 금지
- 특정 가맹점과 관련된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결제 금지
- 최근 한달 사이의 결제 내역 환불 금지
- 거래 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보 후 인증 필요
- 모든 사용자와 선물 주고받기 금지
한편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 주체의 정책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 시스템(110)은 새로운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노드들에 설치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새로운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관리부(531)는 블랙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리스트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44)에 저장될 수 있으며, 블랙리스트에는 블랙리스트에 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상 거래 레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531)는 사용자(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4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531)는 사용자(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이상 거래 정책 검증부(52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관리부(531)는 사용자(유통 주체)의 이상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이상거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531)는 산출된 이상거래 레벨을 사용자에 매칭하여 블랙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이상거래 레벨이 사용자에 매칭되어 기록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531)는 블랙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주체)의 이상거래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531)는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주체)의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관리부(531)는 사용자(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주체)의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이상 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거래 레벨, 이상거래 규칙 및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의 배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거래 레벨, 이상거래 규칙 및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의 배포라 함은, 최초 배포 또는 업데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운용 시스템(110)은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이상 거래 레벨(예를 들어 레벨의 개수), 이상 거래 규칙,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용 시스템(110)은 이상 거래 레벨을 스마트 컨트랙트(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 거래 레벨은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를 통하여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에 전달되고,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이상 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44))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거래 레벨이 기록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운용 시스템(110)은 이상 거래 규칙 및 레벨 별 이상 거래 정책을 스마트 컨트랙트(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이상 거래 규칙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정책 데이터베이스(542))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이상 거래 레벨 별 정책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레벨 별 정책 데이터베이스(543)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 거래 규칙이 기록된 블록 및 이상거래 레벨 별 정책이 기록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운용 시스템(110)은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레벨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545))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가 기록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일 노드인 클라이언트(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20)는 금융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가맹점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은 금융 시스템에 의해서 생성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발행/정산 요청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또는 가맹점 단말에서 생성되는 거래, 결제 및 정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내 복수의 노드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50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트랜잭션을 검증 및 합의함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설정한 유통 조건을 만족시키는 트랜잭션을 승인 또는 미 승인할 수 있다.
한편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에서의 승인은 1차 승인으로써,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에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을 승인했다고 하더라도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바로 이행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에 이상거래 탐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는 모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에 대하여 이상거래 탐지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미 승인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에 대해서만 이상거래 탐지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거래 탐지 요청이 수신되면,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사용자(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사용자(유통의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이상 거래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산출된 이상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블랙리스트 데이터베이스(544))에 등록하고,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등록 결과를 리턴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이상 거래 레벨이 사용자(유통의 주체)에 매칭되어 기록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레벨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545))에 요청하여 이상 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530)는 사용자 등록 결과(사용자의 이상거래 레벨) 및 권한 제어 정보를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에 의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1차 승인되었으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권한 제어 정보에 상응하는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미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루에 6번째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송금을 요청하였으며, 사용자의 이상거래 레벨은 1로써 1일 송금 횟수가 최대 5회까지 제한되는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미 승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은 이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권한 제어 결과(예를 들어 “고객님의 1일 송금 횟수는 최대 5회까지만 가능합니다”)를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이상거래의 탐지 결과,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및 상기 권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에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 거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 거래이지만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이상거래 횟수가 월 5회 이상이어야 이상거래 레벨이 1이 되면서 블랙리스트에 등록되나, 사용자의 이상거래 횟수는 월 3회인 경우), 사용자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만 권한 제어의 대상은 아닌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상거래 레벨은 2로써 1일 송금 횟수가 최대 2회까지 제한되지만, 사용자가 첫번째 송금을 신청한 경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510)에서의 1차 승인에 이어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520)의 최종 승인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자동으로 이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은,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 및 블록체인 리스닝 모듈(9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은 감시 시스템(130)으로부터 감시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패턴은 감시 시스템(130)이 생성하거나 감시 시스템(130)과 연동된 다른 감시 시스템이 생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감시 패턴은, 단일의 이상 거래 또는 복수의 이상 거래의 조합을 유형화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은 수신된 감시 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모든 거래 이벤트에 대해서 거래 정보를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에 실시간으로 전파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이상 거래 이벤트가 발생한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900)에 함께 전파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리스닝 모듈(920)은 모든 블록체인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벤트의 예시는 트랜잭션 발생, 블록 생성, 스마트 컨트랙트에 코드로 작성된 커스텀 이벤트 등이 있다. 블록체인 리스닝 모듈(920)이 이러한 이벤트를 수신하면, 블록정보, 트랜잭션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내에 감시 패턴과 비교할 수 있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은 저장된 감시 패턴과 이상거래가 발생한 노드에서의 유통 내역을 비교하고, 감시 패턴에 일치하는 유통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 시스템(130)에 이상 거래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은 감시 패턴에 일치하는 유통 내역을 감시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 등록 및 감지 모듈(910)은 감시 시스템(130)에서 요청한 이상 거래 알림 방식에 기초하여, SMS 또는 모니터링 웹을 통하여 이상 거래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이상거래 규칙과 블랙리스트를 등록하고,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요청의 발생 시 이상거래의 탐지 및 권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깡” 등의 이상 거래를 예방하거나 신속한 사후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를 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시켜 운용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분리된 별도의 시스템에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경우와는 달리 이상 거래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 규칙, 사용자의 유통 내역, 이상거래 횟수, 이상거래 레벨 등이 블록체인으로 저장됨으로써, 부정 거래자의 부인 방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이상 거래 규칙, 이상 거래 레벨 별 정책, 이상 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 등을 배포 및 관리하기 때문에,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관리 및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뿐만 아니라, 사용자-사용자 간, 사용자-가맹점 간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상 거래를 탐지하기 때문에, 이상 거래를 더욱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동기화를 통하여 과거의 정보부터 현재의 정보까지가 동기화 되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노드들이 이상 거래 규칙, 블랙리스트,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 등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기관에서 별도의 이상거래 감시, 혹은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감시 시스템(130)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운용함으로써, 여러 지방자치 단체들이 감시 패턴을 공유하여 자신이 운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거래의 탐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되며, 이상 거래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가 실 시간으로 전파되고 이상 거래와 관련된 정보가 손쉽게 공유 및 동기화 되기 때문에, 감시 시스템은 이상 거래 발생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빠른 사후 대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시 시스템은 감시 패턴을 생성하여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이 찾기를 원하는 이상 거래 내역을 선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 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500: 스마트 컨트랙트
510: 금융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520: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530: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Claims (17)

  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node)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노드 및 상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거래 규칙을 관리하고,
    상기 이상거래 규칙 및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하는
    노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에 전송하는
    노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유통의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상기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이상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노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송하는
    노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하는
    노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1차 승인하고,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이상거래의 탐지 결과,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및 상기 권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하는
    노드.
  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node)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거래 규칙과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이 이상거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유통의 주체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기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의 주체의 이상 거래 횟수를 카운팅 하고, 상기 이상 거래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이상거래 레벨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거래 레벨에 대응하는 권한 제어 정보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1차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의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거래의 탐지 결과, 사용자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및 상기 권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최종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 탐지 방법.
  15.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이상 거래 규칙 및 이상거래 레벨 별 권한 제어 정보를 배포하는 운용 시스템; 및
    복수의 노드에 설치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금융 거래 스마트 컨트랙트;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거래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 스마트 컨트랙트; 및
    상기 이상거래의 횟수에 기반하여 획득된 이상거래 레벨을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일 노드는,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감시 패턴을 관리하는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이고,
    상기 감시 패턴 등록 시스템은,
    특정 노드에서 발생한 거래 이벤트가 전파되면, 상기 특정 노드에서의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 내역 및 상기 감시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감시 패턴에 대응하는 유통 내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유통 내역을 상기 감시 시스템에 전송하는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주체인 감시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감시 패턴을 생성하여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운용 정책에 기반하여 생성된 감시 패턴을 수신하는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
KR1020200140580A 2020-10-27 2020-10-27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KR10245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80A KR102452287B1 (ko) 2020-10-27 2020-10-27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80A KR102452287B1 (ko) 2020-10-27 2020-10-27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59A true KR20220055959A (ko) 2022-05-04
KR102452287B1 KR102452287B1 (ko) 2022-10-07

Family

ID=8158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80A KR102452287B1 (ko) 2020-10-27 2020-10-27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4262A (zh) * 2023-10-08 2023-11-10 之江实验室 一种异常监管系统及异常监管方法
KR102610243B1 (ko) * 2022-07-21 2023-12-07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대체불가토큰을 이용하여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시스템
KR102610240B1 (ko) * 2022-07-21 2023-12-07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컨센서스 노드로 참여 가능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126A (ko) * 2013-07-04 2015-01-14 주식회사 케이티 이상거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814989B1 (ko) * 2017-07-06 2018-01-05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이상 금융 거래 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934326B1 (ko) * 2018-04-17 2019-01-02 (주)시큐레이어 다중 fds 시스템 기반 실시간 블랙리스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사용한 트래커 서버
KR20200094531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126A (ko) * 2013-07-04 2015-01-14 주식회사 케이티 이상거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814989B1 (ko) * 2017-07-06 2018-01-05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이상 금융 거래 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934326B1 (ko) * 2018-04-17 2019-01-02 (주)시큐레이어 다중 fds 시스템 기반 실시간 블랙리스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사용한 트래커 서버
KR20200094531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43B1 (ko) * 2022-07-21 2023-12-07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대체불가토큰을 이용하여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시스템
KR102610240B1 (ko) * 2022-07-21 2023-12-07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컨센서스 노드로 참여 가능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034262A (zh) * 2023-10-08 2023-11-10 之江实验室 一种异常监管系统及异常监管方法
CN117034262B (zh) * 2023-10-08 2024-02-20 之江实验室 一种异常监管系统及异常监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287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4396B2 (en) Crypto-machine learning enabled blockchain based profile pricer
US1172088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in exchange for fiat
CN109089428B (zh) 数字资产零保管转换
US20230267458A1 (en) Secure transaction controller for value token exchange systems
US20200211011A1 (en) Scalable Distributed Ledger System
US11562333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KR102656597B1 (ko) 디지털 자산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illey et al. Strong federations: An interoperable blockchain solution to centralized third-party risks
US20210201315A1 (en) Blockchain based account activation
KR102452287B1 (ko) 온라인 현금성 자산의 유통에 대한 이상 거래 탐지 방법
CN112534774A (zh) 分散的防止欺诈的安全措施
US5999919A (en) Efficient micropayment system
CN112740252A (zh) 使用智能合约的区块链交易安全性
CN110741599A (zh) 基于有序智能合约创建多个记录的系统和方法
US11803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payment transactions, alerts, and dispute settlement, using a blockchain interface server
Peters et al. Opening discussion on banking sector risk exposures and vulnerabilities from virtual currencies: An operational risk perspective
US20200320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transaction using private blockchain
US11637693B2 (en) Distributed blockchain-type implementations configured to execute know-your-customer (kyc) verification for MANAGING tokenized digital assets and improved electronic walle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2204696A1 (en) Scalable distributed ledger system, transaction privacy and combating fraud, theft and loss
US20210173674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KR102337444B1 (ko) 가상 자산 거래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287173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US20220057918A1 (en) Distributed Terminals Network Management, Systems, Interfaces and Workflows
KR20190044362A (ko) 통제 가능한 스마트 머니의 p2p 결제시스템 및 방법
US20190244292A1 (en) Exotic currency settlement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