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322A -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322A
KR20220028322A KR1020200109163A KR20200109163A KR20220028322A KR 20220028322 A KR20220028322 A KR 20220028322A KR 1020200109163 A KR1020200109163 A KR 1020200109163A KR 20200109163 A KR20200109163 A KR 20200109163A KR 20220028322 A KR20220028322 A KR 2022002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link information
user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3515B1 (en
Inventor
김병걸
Original Assignee
아맥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맥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맥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515B1/en
Priority to PCT/KR2021/011528 priority patent/WO2022045832A1/en
Publication of KR2022002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reality (MR)-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to enable users to experience various content in a non-face-to-face manner,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R-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comprises: a storage unit matching and storing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various content of first users in virtual space and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on the basis of augmented reality (AR) in an arbitrary area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the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area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device in AR when the arbitrary area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s of second users, and guiding the second users to a virtual space (VR)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 is selected.

Description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임의 지역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증강 현실 기반으로 광고 등의 링크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상공간(cyberspace)의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이나 기업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 method of driving the apparatu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 an arbitrary area freely setting link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through this To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apparatu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for individuals or companies by enabling a visit to a virtual space (cyberspace).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that users see with their eyes. It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re combin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as a single image. Augmented reality,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real world with the virtual world, uses a virtual environment created with computer graphics, but the main character is the real environment. Computer graphics serv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l environment. This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creen is blurred by overlapping the 3D virtual image on the actual image the user is viewing.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Virtual reality technology immerses the user in the virtual environment, making it impossible to see the real environment. Howeve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which the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objects are mixed, allows users to see the real environment, providing better realism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you illuminate the surroundings with a smartphone camera,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phone number of a nearby store is displayed as a stereoscopic image.

표기된다.marked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비대면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using su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as non-face-to-face service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various businesses using it are urgently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2292호(2013.06.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82292 (2013.06.2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3064호(2020.03.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3064 (2020.03.2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446호(2020.06.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6446 (2020.06.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 지역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증강 현실 기반으로 광고 등의 링크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상공간의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이나 기업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individual or corporate content services by enabling users to freely set link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an arbitrary area, and to visit a virtual space through thi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는,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AR)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the first users in an arbitrary area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A storage unit that matches and stores link information set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and when the arbitrary area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f second users,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area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in augmented reality and guiding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sele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a content template for production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first us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lassify a general zone and a prime zone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bitrary region, and limit the amount of link information that can be set in the prime z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llow the transaction of the virtual spac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fer and transfer between users for the virtual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virtual space connection state on different graphic screens when the second user is within a designated radius R and when it is outside the designat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할 수 있다.When entering the virtual space by selecting the link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assistant for guiding the entered virtual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create a messenger convers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having an address outside the arbitrary area as the link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accessing the address information. Matching and storing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in an area based on augmented reality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arbitrary area in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the link set in the arbitrary area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guiding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selected.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ing may include providing a content template for production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s of the first users.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uiding may include classifying a general zone and a prime zone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bitrary region, and limiting the amount of the link information that can be set in the prime zone.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uiding,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fer and transfer between users for the virtual space, the transaction of the virtual space may be permitted.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uiding may include displaying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virtual space on different graphic screens when it is within a designated radius (R) and when it is outside the designat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 may include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ing may include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helper that guides the entered virtual space when the user enters the virtual space by selecting the link information.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uiding may include automatically generating a messenger convers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area.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uiding may include set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having an address outside the arbitrary area as the link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nd the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includes: ,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an arbitrary area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by matching each other and storing and when the arbitrary area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the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area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mong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When at least one is selected, the step of guiding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is execu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은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링크되어 있는 링크 정보, 가령 AR 광고 정보 등을 통해 비대면으로 다양한 컨텐츠 경험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who consume content will be able to experience various content non-face-to-face through link information linked to a specific region or place, for example, AR advertisem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운용하는 운용사의 입장에서는 비대면 상황에서도 수익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nager who operates the service,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generate profits even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셜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소유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provide a service of a new concept by using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social platform as a concept of ownership and allowing it to be transa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도 7의 콘텐츠 엔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services of the system of FIG. 1;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of FIG. 1;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engine of FIG. 7;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tructure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of FIG. 1, an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of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services of the system of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혼합현실(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f a user terminal device 100 , a communication network 110 , and a mixed reality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 or all inclusiv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re omitted so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perform direct (eg, P2P) communication or , which means that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can be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like,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everything.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주변 지역에 비추어 증강현실 형태로 해당 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가령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하고, 물론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는 카메라를 비추는 지역과 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 또는 링크 정보를 선택할 때, 해당 광고 정보나 링크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access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to us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smartphone, and then illuminates the camera to the surrounding area to promote its virtual space in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Link information for, for exa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of course,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independent of the area where the camera is lit, and when the user selects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link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You can move to the virtual space linked to the link information.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는 경우에도 위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가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예: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곳에서 반경 200m 이내)에 포함되는 업체의 광고와 해당 반경(R)을 벗어나는 지역의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를 분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t in this form, company information or Advertising information may be retrieved.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of a company included in a specific area (e.g., within a 200m radius from where the user terminal device is located) and company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an area outside the radius (R) can be sepa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특정 지역, 가령 중심되는 상업존, 또는 역세권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AR 또는 키워드 기반으로 광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와 이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를 설정하는 콘텐츠 생산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는 다른 측면에서 서비스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물론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별도로 구분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생산자(혹은 판매자) 사용자 단말장치(이하, 제1 사용자 단말장치)나 소비자(혹은 구매자) 사용자 단말장치(이하, 제2 사용자 단말장치)와 같이 용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device for advertising their virtual space based on AR or keywords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a central commercial zone, or a station area, and a user for using the service. It can be classified as a terminal device. Of course,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content producer who sets the service may be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consumer who consumes the service in another aspect, and vice versa.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of the content will not be separately distinguished. However, if there is a need to make a special distinction, the terms are divided into terms such as producer (or seller) user terminal device (hereinafter, first user terminal device) or consumer (or purchaser) user terminal device (hereinafter, second user terminal device). can be explained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템플릿은 개인이나 기업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이 대표적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품 전시회 등의 갤러리를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may access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and perform a setting operation for promoting the virtual space. For example, by selecting one of various types of templates provided by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 content may be created and edited according to its request. Typically, an operation for creating a homepage of an individual or a company may be representative of the template, and an operation for creating and editing a gallery such as an exhibition of works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물론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가상공간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추가정보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가상공간은 지방에 있지만 서울의 강남역을 선택하여 AR 기반으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할 때, 강남역을 선택하여 자신의 가상공간을 등록하게 된다. 또한, 무료의 일반존과 유료의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의 가상공간에 대한 홍보가 강남역과 같이 지정된 곳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셋(pincette) 홍보방식과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고정되지 않는 플로팅(floating) 홍보방식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may further set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promote its own virtual space in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reto by using the template. there is. For example, although the actual virtual space is located in a rural area, when you select Gangnam Station in Seoul to promote AR based, you select Gangnam Station and register your virtual space. In addition, the setting can be made by dividing it into a free general zone and a paid prime zone. In addition, in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the setting of a pincette publicity method in which publicity for its own virtual space is performed only in a designated place such as Gangnam Station and a floating publicity method that is not fixed to a specific area or place are to be set. may be

나아가,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이 제작한 가상공간, 또는 자신이 할당받은 프라임존이나 그의 일부의 경우에는 양도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서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할당받은 특정 지역의 프라임존에 대한 양도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거래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였을 때 메인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Furthermore,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may be freely transferable in the case of a virtual space produc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a prime zone alloca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or a part thereof.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transfer of a prime zone of a specific region allocated for promoting its virtual space in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it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when accessing the ser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trade a virtual space, but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콘텐츠 소비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실행하여 도 1의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신의 반경지역을 표시해 준다. 반경은 서비스 관리자나 프로그램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00m가 기설정될 수 있다.The content consumer's second user terminal device may use the service in the form shown in FIGS. 2 to 6 . For example, when accessing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of FIG. 1 by executing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as shown in FIG. 2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Shows your radius area based on your location. The radius may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ervice manager or program designer, but 200 m may be prese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사용자들이 즉 제2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앱을 실행하여 방문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예: Arena)을 보여준다. 서비스 화면의 제일 상측에는 별표(30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별표(300)는 선호하는 아레나(Arena)인지를 보여준다. 또한, 그 하단에는 특정 지역에 설정되어 있는 링크 정보(310), 가령 광고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좌우측 화살표의 스와이핑 버튼(330)를 선택하는 경우 스와이핑(swiping)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3 shows a service screen (eg, Arena) for describing an interface that users visit by executing an app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An asterisk 300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ervice screen. An asterisk 300 indicates whether it is a preferred arena. In addition, link information 310 set in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thereof. Furtherm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swiping button 330 of the left and right arrows, a swiping operation may be possible.

좀더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앱을 실행한 후 주변 지역을 카메라로 비춘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200m 반경 내에 있는 제1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가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통상의 증강현실은 이 단계에서 해당 지역에 관계되는 맛집 정보 등을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대면 방식으로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 또는 링크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executes the app in a specific area as shown in FIG. 4 and then illuminates the surrounding area with the camera. In this case, promotional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within a 200 m radius of the user's location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If the normal augmented reality is to display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on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in this ste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ional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guiding to a virtual space in a non-face-to-face manner; Alternatively, link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4의 (a) 및 (b)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장치상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방식의 홍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200m 이내의 가상공간에 진입할 때와 200m를 벗어나는 지역의 가상공간으로 진입할 때 서로 다른 형태의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여기서의 가상공간의 주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주소를 의미할 수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나 업체의 회사 주소가 될 수도 있다.In (a) and (b) of FIG. 4, when the user selects the augmented reality typ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when entering the virtual space within 200 m an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area outside 200 m It shows that different types of graphic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entering. Of course, the address of the virtual space here may mean the address of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but may also be the address of a manager or a company that provides a service.

도 5는 도 4의 (a) 및 (b)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가령,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에서 갤러리를 방문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해당 갤러리를 운영하는 운영사가 지정 반경을 벗어나지 않을 때와 지정 반경을 벗어날 경우를 가정해 보자. 지정 반경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가상공간의 메인화면으로 바로 안내하게 되며, 메인화면에 접속한 경우 인공지능(AI)이 탑재된 캐릭터 도우미(예: Toka)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갤러리에 입장하기 위하여 '입장(Entrance)'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갤러리에 구축되어 있는 콘텐츠의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가상공간의 방문은 리얼맵이든 공간이동(예: 점프방식)이든 사용자가 가상공간으로 직접 진입하는 형식으로 구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FIG. 5 shows the operations of FIGS. 4 (a) and (b) in more detail.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selects an icon for visiting the gallery from th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uppose that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gallery does not deviate from the designated radius and the case that it deviates from the designated radius. If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designated radius, the user is guided directly to the main screen of the virtual space as shown in FIG. 5 (a)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eg Toka)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if 'Entrance' is selected to enter the gallery, content built in the gallery can be viewed. The virtual space visit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user directly enters the virtual space whether it is a real map or a space movement (eg, a jump method).

또한, 도 5의 (b)에서와 같이, 갤러리를 제공하는 업체나 서비스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홍보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마치 점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그래픽과 함께 다양한 알림(혹은 팝업) 화면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이후에 갤러리의 메인화면이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점프는 공간이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가상공간으로 순간이동을 하는 것으로 거리에 상관없이 온라인 공간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의 과정은 도 5의 (a)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5, when a company or service server providing a gallery is out of a designat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the user responds to th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n icon is selected, various notification (or pop-up) screens may be provided along with graphics of a jumping operation, and after this process, the main screen of the gallery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Jump means space movement, and it shows that online space movement is possible regardless of distance by teleporting to a virtual space located at a distance. Since 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in FIG. 5A ,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이와 같이, 콘텐츠를 비대면 방식으로 소비하는 소비자의 소유 단말, 즉 제2 사용자 단말장치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전국, 또는 전 세계의 가상공간에 접속하기 위한 홍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가상공간에 시공을 초월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는 해당 가상공간을 운영하는 생산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특정 지역을 홍보 존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업체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통해 강남역을 지정하여 홍보함으로써 수익창출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한국 업체들의 경우에도 미국의 뉴욕, 그 중에서도 맨해튼을 지정하여 자신들의 가상공간을 가상현실 기반으로 홍보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초월하여 업체의 홍보 등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시공을 초월하여 가상공간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위치를 기준으로 서비스 언어나 가상공간의 콘텐츠를 번역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언어를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sumer's own terminal, that is,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who consumes the content in a non-face-to-face manner, may display promotional information for accessing virtual spaces nationwide or around the world based o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Through this, it becomes possible to access various types of virtual space beyond time and space. Of course, this is because a specific area is set as the promotion zone in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of the producer who operates the virtual space. Accordingly, American companies can also generate revenue by designating and promoting Gangnam Station through th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in the case of Korean companies, they designate New York, especially Manhattan, to create their own virtual space. By promoting the company based on virtual reality, it becomes possible to promote the company beyond time and space. Of course, when visiting a virtual space beyond time and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be provided in the language of the country.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based on the selected language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language in the process.

도 6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갤러리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애드키트 아이콘이나 광고를 노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애드키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광고를 노출하고, 광고의 시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금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들은 증강현실 기반으로 다양한 업체에서 생성한 가상공간을 방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FIG. 6 , instead of guiding the gallery as in FIG. 5 , an ad kit icon or advertisement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service may be provided by exposing an advertisement when the ad kit icon is selected, and accumulating cash points when the advertisement is viewed. As described above, users of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can visit virtual spaces created by various companies based on augmented reality.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r may be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bro networks. meaning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or by connecting to various repeaters such as Base Station Transmission (BTS), NodeB, and e-NodeB to process data.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Here, the femto or pico base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user terminal devices 100 and the lik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like.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deliver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의 각종 콘텐츠를 혼합현실 기술로 다른 사용자에게 가령 앱을 통해 공유하는 소셜 플랫폼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1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여 혼합현실 기술 기반으로 가상공간 어디든지 원하는 수만큼 배포하고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다른 사용자들은 근거리의 경우 리얼맵을 통하여 탭핑(tapping)만으로 바로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원거리의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공간이동 즉 점프로 방문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상공간을 소유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온라인상에서 특정 지역에, 또는 그 지역의 특정 존(zone)에 자신이 구축한 가상공간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corresponds to a social platform that shares a user's various contents with other users through an app, for example, using mixed reality technology. For example,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produces and edits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using the content template, distributes the desired number of content anywhere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mixed reality technology, and distributes the desired content to the second user. In the case of short distance, other users of the terminal device can visit directly by tapping through the real map through the real map, and in the case of a long distance, they can move through space, that is, visit by jumping, and share content, regardless of dist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n individual or company that owns a virtual space performs a process for registering the virtual space they have built in a specific area or in a specific zone of the area online.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가령 무료의 일반존과 유료의 프라임존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상업지역의 경우에는 프라임존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해당 상업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AR 기반으로 홍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 물론, 일반존뿐 아니라 프라임존은 설정가능한 가상공간의 수량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화면을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제한되는 수량은 달라질 수 있지만, 화면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되는 홍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예: 7인치 화면의 단말과 10인 화면의 단말 등)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수량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가령, 스마트폰에서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해상도 변환이 이루어지지만, 수량을 줄이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위치에서 태블릿PC 등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종을 근거로 더 많은 수의 홍보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may provide a service by dividing, for example, a free general zone and a paid prime zo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ajor commercial area, it can be operated as a prime zone, and if you want to promote your virtual space in the commercial area based on AR, you can add a fee. Of course, the prime zone as well as the general zone can limit the number of virtual spaces that can be set. Of course, the limited quantity of this ope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creen, but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quantity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example, the quantity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essing the service (eg, a terminal with a 7-inch screen and a terminal with a screen of 10 people, etc.). For example, when accessing a service from a smartphone, resolution conversion is performed, bu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in a form that reduces the quantity. Of course, when access is made through a tablet PC at the same location, a larger number of promotiona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model.

또한,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AR 기반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에 관계되는 사용자, 즉 가상공간을 홍보하는 개인이나 업체들과 대화채널 즉 메신저를 통해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가상공간에 대한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과 자동으로 생성되는 메신저 생성 기능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기존 메신저들은 다른 사용자들과 연결을 하기 위해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여 연결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 내에 있다는 것 자체로 사용가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 접근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적한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enables a conversation with a user related to th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AR, that is, an individual or a company promoting a virtual space, through a conversation channel, that is, a messenger. In other words, when a user creates and edits a desired content using a content template, he or she can set the desired virtual space region and use the messaging service through the messenger creation function that is automatically created with other users in the reg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ontent sharing. Whereas existing messengers can connect by inputting a phone number to connect with other use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ine access can be made to users with different users just by being in a virtual space, and through this, that you can do activities.

나아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지역의 존, 가령 프라임존에 핀셋 방식으로 홍보 정보가 노출되도록 한 경우, 해당 가상공간의 운영자는 해당 위치에 대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라임존의 수량을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해당 존을 분양받는 방식으로 하여 가상공간을 노출한 경우에는 해당 존에 대한 양도, 양수가 이루어지도록 허용하여 가령 해당 존에 핀셋 방식으로 가상공간과 관련한 홍보 정보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해당 존의 양도를 요청하는 경우,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 즉, 해당 존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시킬 수 있고,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DB(120a)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도, 양수의 거래는 가상공간, 가상공간의 홍보가 이루어지는 존, 그리고 프라임존의 일부 등이 거래대상이 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exposes promotional information to a zone of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a prime zone using tweezers, the operator of the corresponding virtual space may perform a transaction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up to trade the virtual space, but the quantity of the prime zone may be sold. That is, in the case of exposing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method of receiving the zone for sale, the transfer of the zone is allow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exposing promo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space in the corresponding zone using tweezers. When a zone transfer is requested,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may close the transaction. That is, the ownership of the corresponding zone can be transferred, and when the ownership is transferred, the data of the DB 120a can be updated. For such transfer and acquisition transactions, the virtual space, the zone where the promotion of the virtual space is made, and a part of the prime zone may be the target of the transaction.

뿐만 아니라,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지역의 프라임존에 대하여 유료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는 회원수 즉 친구를 많이 만든 사용자들에게 해당 프라임존에 자신의 가상공간의 홍보 문구를 노출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할당받은 프라임존을 양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100명을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경우, 특정 프라임존에 홍보할 수 있는 하나의 수량을 할당받는 것이다. 다양한 형태로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does not allocate to the prime zone in a specific region for a fee, but provides the number of members who subscribe to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users who make many friends, in the prime zone. You can also grant permission to expose the promotional text of your own virtual space.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transfer the prime zone allocated in this way. For example, when 100 friends sign up for a service, one quantity that can be promoted in a specific prime zone is allocated. Since it can be allocated in various form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령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즉석에서 콘텐츠 생산, 편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가상의 세계에 즉각적으로 실행하여 노출할 수 있는 초단기 실행 플랫폼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마케팅, 홍보, 광고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존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매체들과도 매체 집행 방법에 있어서, 매우 우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가령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콘텐츠 제작을 위한 디자인, 기능옵션, 링크, 공유 등의 기본 기능들은 물론 마케팅, 홍보, 광고 등을 전개할 수 있는 다양한 제작 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roduce and edit content on the fly in producing and editing desired content using a content template, as well as immediately executing and exposing the content to the virtual world. Sinc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ultra-short-term execution platform that can be implemented, it can be very excellent in the media execution method with existing offline as well as online media in terms of functional aspects such as marketing, publicity, and advertising through it.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roduces and edits desired content using a content template, basic functions such as design, function options, link, and sharing for content production, as well as marketing, publicity, advertisement, etc.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variety of production tools that can be deployed.

도 7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도 7의 콘텐츠 엔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of FIG. 1 , and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engine of FIG. 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콘텐츠 엔진(700) 및 그래픽처리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engine 700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710 .

다시 말해, 콘텐츠 엔진(700)은 도 1의 DB(120a)와 같은 백엔드를 담당한다면, 그래픽처리부(71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같은 프론트엔드를 담당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content engine 700 is in charge of a backend such as the DB 120a of FIG. 1 , the graphic processing unit 710 may be in charge of a front end such a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FIG. 1 .

콘텐츠 엔진(700)은 CPU, MPU, GPU와 같은 제어부에 포함되거나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콘텐츠 엔진(700)은 도 8에서 볼 때, 사용자들의 가상공간에 대한 AR 기반의 홍보를 위한 복수의 존(800)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도 1의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각각의 존(800)에 대한 반경은 200m로 기설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8은 뉴욕에 설정 가능한 12개의 존을 보여주고 있다. 12개의 존 중에는 뉴욕의 중심 상업 지역인 맨해튼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engine 700 may be included in or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control unit such as a CPU, MPU, or GPU. As shown in FIG. 8, the content engine 700 sets a plurality of zones 800 for AR-based publicity for users' virtual space, sets information on this,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B 120a of FIG. can Of course, here, the radius for each zone 800 may be preset to 200 m,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specifically limit this. 8 shows 12 configurable zones in New York. One of the 12 zones could include Manhattan, New York's central commercial district.

앞서 기술한 대로, 가령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반으로 홍보 정보를 요청한 경우, 지정된 반경을 벗어나는 홍보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령 점프 동작을 통해 공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user visits a specific area and requests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hen promotional information out of a specified radius is selected, for example, space movement through a jump operation Graphics can be implemented to make it happen.

도 9에서는 뉴욕 맨해튼에서 복수의 상업지역을 지정하고, 해당 상업지역에서 설정되어 있는 홍보 정보의 아이콘(900)들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엔진(700)은 이러한 홍보 정보를 상업지역의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요청시 해당 프라임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반경 200m 이내를 홍보 정보를 화면상에 AR 기반으로 표시해 주게 된다.In FIG. 9 , a plurality of commercial areas are designated in Manhattan, New York, and icons 900 of promotional information set in the corresponding commercial areas are shown. In other words, after the content engine 700 matches and stores the promotional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commercial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prime zone when requesting a service, within a radius of 200 m will display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based on AR.

도 7의 그래픽처리부(7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AR 형태로 홍보 정보(혹은 링크 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하나의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선택된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각 가상공간의 화면에는 가상공간의 콘텐츠로 입장하기 위한 입장버튼(713), 현재 또는 전체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메뉴버튼(711), 가상공간의 안내를 담당하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캐릭터 도우미(예: 토카)(712), 스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는 스와이핑 버튼(714), 사용자가 가격을 보거나 코인을 사용해 티켓을 살 수 있는 티켓 박스(715) 등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710 of FIG. 7 displays promotional information (or link information) in AR form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is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when one piece of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A screen for guiding to a virtual space in which there is a lo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On the screen of each virtual space, an entry button 713 for entering the contents of the virtual space, a menu button 711 for viewing the current or all programs, and a character assistant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or guiding the virtual space (eg, : Toka) 712, a swiping button 714 for performing a swiping operation, a ticket box 715 in which a user can view a price or use a coin to buy a ticket, etc.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make it happen

도 10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tructure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of FIG. 1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제어부(1010),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 및 저장부(10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 a control unit 1010 , an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and Some or all of the storage unit 1030 is included.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10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0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103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1010,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의 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may perform scaling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encoding/decoding, muxing/demuxing, and resolution conversion,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콘텐츠 생산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기반으로 자신의 가상공간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또 생성된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of the content producer,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promoting its own virtual spa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this end, a template for generating content may be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10 and an operation for editing the generated content may be performed. Of cour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specifically limit the use of the template.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콘텐츠 소비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기구축된 AR 기반의 홍보 정보를 서비스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한 서비스 화면상에서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해당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해당 가상공간과 관련한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가상공간의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may display and provide the established AR-based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service screen when a servi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consumer's second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is selected on the provided service screen. When it becomes available, it can guide you to the virtual spac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romotional inform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 related to the virtual space and service the contents of the virtual spa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제어부(1010)는 도 10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 저장부(10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01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연계하여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존을 설정하고, 해당 존에 설정된 홍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AR 기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특정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0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00,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and the storage unit 1030 constituting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of FIG.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010 sets a zone in a specific area or place in connection with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and sets the promotional information set in the zone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AR, When specific promotional information is selected, an operation of guiding to a virtual space linked to the promotional information is performed.

이외에도 제어부(101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근거리의 경우 리얼맵을 통하여 탭핑만으로 가상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원거리의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공간이동으로 가상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가능한 존은 일반존과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가상공간이나 존의 경우에는 양도양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를 통해 계속해서 살펴본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10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representatively to visit the virtual space by tapping through the real map in the case of a short distance, and in the case of a distance Allows users to visit virtual space by moving regardless of space can do.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continue looking through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의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온라인상에서 전국 혹은 전세계의 특정 지역에 대하여 홍보 가능한 존(zone)을 설정하고, 여기서 존은 영역이나 구역이 될 수 있으며, 지역이나 장소보다 작은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뉴욕에는 총 12개의 설정가능한 존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설정가능한 존에 대하여만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설정가능한 존을 추가로 생성하거나, 기존의 존을 삭제하거나, 신규 존을 생성하는 등 관리자의 제어하에 다양한 추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performs various operations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sets a zone that can be promoted online for a specific region of the country or around the world, where the zone can be an area or a zone, which can be used as a concept smaller than the region or place. ca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a total of 12 configurable zones may exist in New York.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only for a corresponding settable zone. Of course,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may perform various additional opera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such as additionally creating a configurable zone, deleting an existing zone, or creating a new zone.

또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총 12개의 특정 존을 일반존과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존의 경우에는 무료로 제공하거나 할 수 있다. 반면, 주요 상업지역인 프라임존의 경우에는 유료로 제공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에 친구를 많이 가입시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유료나 친구수를 조합하여 서비스할 수도 있다. 따라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해당 프라임존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권한, 즉 자격을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권한은 마치 오프라인상에서 분양권을 부여받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매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매매와 관련해서는 1년동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경우, 허용 기간의 범위에서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홍보할 수 있는 프라임존에 대하여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도록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에서와 같이 존에 대하여도 거래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may divide a total of 12 specific zones into a general zone and a prime zone to provide different services. E.g. In the case of a general zone, it can be provided or provided free of ch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ime zone, which is a major commercial area, it can be provided for a fee or can be used by users who have signed up many friends for th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for a fee or by combining the number of friend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grants a right, that is, a qualification, to promote its own virtual space in the corresponding prime zone. This right can be made in the same form as if the sale right is granted offline. In other words, it makes trading possible. Of course, in relation to such a sale, if the service is available for one year, the service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allowing the sale to be made within the allowable period,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e that can promote a virtual space A transaction can be made against the zone.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ervice for trading in a virtual space, but as described above, a transaction may be possible with respect to a zone.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동일 존에서 홍보 가능한 가상공간의 수량을 제한한다. 사용자의 가시화를 고려해서다. 예를 들어, 작은 화면을 갖는 스마트폰에서 AR 기반으로 특정 존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홍보 정보를 보는 것은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시각화를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홍보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수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가령 홍보 정보에 등급이 설정된 경우라면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면을 어떠한 형태로 설계하느냐에 따라 그 제한되는 수량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limits the number of virtual spaces that can be promoted in the same zone. This is because the user's visualization is taken into account. For example, viewing a lot of promotional information set in a specific zone based on AR on a smartphone having a small screen may give fatigu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visualization, the quantity is limited so that only an appropriate level of promoti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if a rating is set i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it may be possible to use it. Of course, this can be done selectively any number of times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limited quant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creen design. I won't.

이외에도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반경 200m 이내의 근거리에 해당하는 홍보 정보가 선택되느냐, 원거리의 홍보 정보가 선택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서비스 화면에 제공되도록 하며, 원거리의 경우에는 순간이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각 가상공간을 방문할 때 토카라는 캐릭터 도우미를 통해 가상공간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캐릭터 도우미는 인공지능이 탑재된다. 여기서, 인공지능을 탑재한다는 것은 캐릭터 도우미가 룰(rule) 기반으로 설정된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가령 딥러닝 기반으로 가상공간을 안내하므로, 학습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행동 등을 예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가상공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is provided on the service screen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ether promo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hort distance within a radius of 200 m is selected or promotional information from a distance is selected. The screen can be implemented to have the same feeling as it is being made. In addition,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may implement a service so that when visiting each virtual space, a guide of the virtual space can be received through a character assistant called Toka. The character assistant i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ere,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ans that the character assistant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t based on a rule, but guides the virtual space based on deep learning through learning, so if there is no learned information, the user's behavior The virtual space will be guid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such as predicting, etc.

뿐만 아니라,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가상공간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 언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해당 언어로 번역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에 접속된 위치의 국가를 기준으로 자동 번역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번역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visits a virtual space of a country using a different language, it may select a language and provide a service translated into the corresponding language. This may allow the automatic translation service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country of the location where the service is accessed, but may allow the translation service to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requests it. Since the transl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더 나아가,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원하는 가상공간에 대한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들과 자동으로 생성되는 메신저 즉 대화채널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설정 지역을 기반으로 메신저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may set an area for a desired virtual space to use a messaging service through a messenger, that is, a conversation channel automatically created with users within the area. Through this, the efficiency of content sharing can be maximized. In other words, the messenger service is made based on the set area.

저장부(1030)는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지정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는 실무적으로 혼용되므로 그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영상처리의 경우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화소데이터와 코딩시 이용하기 위한 코딩정보는 부가정보로서 구분될 수 있지만, 그러한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03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에서 생성하는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저장한 후, 도 1의 DB(120a)로 제공하여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30 may temporarily designate information or data to be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10 and then output it. Here, since information and data are used interchangeably in practice, the concept of the term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n the case of image processing, pixel data for realizing a screen and coding information for use in coding may be classified as additional information, but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030 stores data in a specified format generated by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10, and then provides it to the DB 120a of FIG. 1 to update the data. can make it go awa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0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0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er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converts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compiler.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program stored in the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20 is copied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of FIG. By executing it, it is possible to quickly increase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도 11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of FIG. 1 .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그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한다(S1100). 본 S1100 단계는 데이터 구축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11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In order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an arbitrary area is matched and stored (S1100). This step S1100 may correspond to a data building operation.

예를 들어, 가상공간을 특정 지역에 홍보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업체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홍보를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가령 이의 과정에서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 사용자들에게 가령 해당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형태의 앱의 실행을 통해 가상공간의 홍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노출되도록 한다.For example, an individual or company who wants to promote a virtual space in a specific area can access the service, select the area to promote, and apply for the service by dividing the general zone and the prime zone in the process of doing so. To users, for example, promotion information of a virtual space is expos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execution of an augmented reality type app to a user who has visited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증강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그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한다(S1110).In addition,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displays link information set in an arbitrary region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an arbitrary region is detec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and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When at least one piece of link information is selected, it guides to a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S1110).

상기한 내용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mbined hardware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700: 콘텐츠 엔진(부)
710: 그래픽처리부 10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010: 제어부 1020: MR기반 콘텐츠처리부
1030: 저장부
100: user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MR-based content service device 700: content engine (part)
710: graphic processing unit 10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010: control unit 1020: MR-based content processing unit
1030: storage

Claims (17)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AR)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in an arbitrary area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When the arbitrary area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area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displayed. a control unit that guides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selected;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a content template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first us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divides a general zone and a prime zone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bitrary region, and limits the amount of the link information settable in the prime zone,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that allows the transaction of the virtual spac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fer and transfer between users for the virtu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 is a mixed reality-based mixed reality that displays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virtual space with different graphic screens when it is within a specified radius (R) and when it is outside the specified radius content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entering the virtual space by selecting the link information,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assistant to guide the entered virtu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reate a messenger convers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s the link information,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for sett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having an address outside the arbitrary area.
저장부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The storage unit matches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in an arbitrary area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order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saving; and
When the arbitrary region is sens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the control unit displays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region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mong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guiding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is selected;
A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nd providing a content template for production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s of the first us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nd classifying a general zone and a prime zone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bitrary region, and limiting the amount of link information that can be set in the prime z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that allows a transaction in the virtual spac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fer and transfer between users for the virtual sp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s user terminal device, when it is within a specified radius (R) and when it is outside the specified radius, the mixed reality-base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virtual space on different graphic screens A method of driving a content servic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nd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assistant to guide the entered virtual space when entering the virtual space by selecting the link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messenger convers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reg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ing step is
and set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having an address outside the arbitrary area as the link information.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driving a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device is,
Matching and storing address information for visiting and viewing content generated by first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link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users in an arbitrary area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access the address information ; and
When the arbitrary area is det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second users, link information set in the arbitrary area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t least one of the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displayed. guiding to the virtual space matching the selected link information when select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executes.
KR1020200109163A 2020-08-28 2020-08-28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443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en) 2020-08-28 2020-08-28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CT/KR2021/011528 WO2022045832A1 (en) 2020-08-28 2021-08-27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same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en) 2020-08-28 2020-08-28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322A true KR20220028322A (en) 2022-03-08
KR102443515B1 KR102443515B1 (en) 2022-09-15

Family

ID=8035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en) 2020-08-28 2020-08-28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3515B1 (en)
WO (1) WO202204583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95A1 (en) * 2022-11-17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object in virtual reality spa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960A (en) * 2005-04-28 2006-11-02 유선기 A touring system by cyber and method of the same
KR101282292B1 (en) 2011-01-24 2013-07-10 주식회사 코세이프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30137968A (en)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System,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event on the augmented reality using a user terminal
KR20160000873A (en) * 2014-06-25 2016-01-05 한국과학기술원 Hand localiz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head worn RGB-D camera, user interaction system
KR101930316B1 (en) * 2017-12-27 2019-03-11 주식회사 에이치오아이씨티 Advertising Event and Company Promo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game and method
KR101985703B1 (en) * 2018-08-24 2019-06-04 주식회사 버넥트 Augmented reality service Software as a Service based Augmented Reality Operating System
KR20200033064A (en)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20200076446A (en) 2018-12-19 2020-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loc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KR20200081634A (en) * 2018-12-27 2020-07-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Geofencing based tourism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6287A (en) * 2017-05-29 2017-06-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960A (en) * 2005-04-28 2006-11-02 유선기 A touring system by cyber and method of the same
KR101282292B1 (en) 2011-01-24 2013-07-10 주식회사 코세이프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30137968A (en)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System,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event on the augmented reality using a user terminal
KR20160000873A (en) * 2014-06-25 2016-01-05 한국과학기술원 Hand localiz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head worn RGB-D camera, user interaction system
KR101930316B1 (en) * 2017-12-27 2019-03-11 주식회사 에이치오아이씨티 Advertising Event and Company Promo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game and method
KR101985703B1 (en) * 2018-08-24 2019-06-04 주식회사 버넥트 Augmented reality service Software as a Service based Augmented Reality Operating System
KR20200033064A (en)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20200076446A (en) 2018-12-19 2020-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loc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KR20200081634A (en) * 2018-12-27 2020-07-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Geofencing based tourism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95A1 (en) * 2022-11-17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object in virtual reality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515B1 (en) 2022-09-15
WO2022045832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42B1 (en)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adwal et al. The augmented reality marketing: A merger of marketing and technology in tourism
Buhalis et al. eTourism: cri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estinations
US20050086612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7500883A (en) Information display
CN107066426A (en) Modification is created when transforming the data into and can consume content
JP2012120098A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N106407163A (en) Transforming data into consumable content
KR20140122310A (en) Mobile advertis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 device
García-Crespo et al. CESARSC: Framework for creating cultural entertainment systems with augmented reality in smart cities
US10996914B2 (en) Persistent geo-located augmented reality social network system and method
US202300924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255910A (e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client, server-side and equipment
KR102149035B1 (en) Advertising page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ance marketing
KR10244351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Garcia-Lopez et al. An experiment to discover usability guidelines for designing mobile tourist apps
AU2010292908B2 (en)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ed-based information objects
US20190189158A1 (en) Video processing architectures which provide looping video
KR1018519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emplate creation and promotional contents using the object
JP7402558B2 (en) Devices and programs that support advertising
KR102505849B1 (en) Photo sharing system using signage with reference region
Uğurlu Technology in tourism marketing
US202003203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KR20230029161A (en) System for printing promotional banner
KR20230029156A (en) Device of product detail image automatic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