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42B1 -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42B1
KR102388442B1 KR1020210149570A KR20210149570A KR102388442B1 KR 102388442 B1 KR102388442 B1 KR 102388442B1 KR 1020210149570 A KR1020210149570 A KR 1020210149570A KR 20210149570 A KR20210149570 A KR 20210149570A KR 102388442 B1 KR102388442 B1 KR 10238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metaverse
screen
terminal device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걸
Original Assignee
김병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걸 filed Critical 김병걸
Priority to KR102021014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42B1/en
Priority to PCT/KR2022/016140 priority patent/WO20230805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metabus servic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The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when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in an arbitrary place requests a service, and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a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R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registering address information and publicity information for entry into the metaverse space by giving a buyer of a purchaser terminal device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and making a guidance to the metaverse space linked to (pre-)selected publicity information on the basis of (pre-)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when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증강현실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아이콘으로 사용되는 증강현실 콘텐츠(예: ARshow)를 볼 수 있으며, 증강현실 콘텐츠를 배경으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entry into the metaverse space through an icon displayed on an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to be used as an icon. It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capable of view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eg, ARshow), and to shoot and share augmented reality content with friends in the background,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that users see with their eyes. It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re combin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as a single image. Augmented reality,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real world with a virtual world, uses a virtual environment created with computer graphics, but the main character is the real environment. Computer graphics serv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l environment. This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creen is blurred by overlapping the 3D virtual image on the actual image the user is viewing.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Virtual reality technology immerses the user in the virtual environment, making it impossible to see the real environment. Howeve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which the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objects are mixed, allows the user to see the real environment, providing better realism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you illuminate the surroundings with a smartphone camera,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phone number of a nearby store is displayed in a stereoscopic image.

표기된다.marked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비대면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using su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as non-face-to-face services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various businesses using it are urgently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2292호(2013.06.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82292 (2013.06.2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3064호(2020.03.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3064 (2020.03.2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446호(2020.06.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6446 (2020.06.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증강현실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아이콘으로 사용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볼 수 있으며, 증강현실 콘텐츠를 배경으로 친구들과 함께 촬영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xample, to enter the metaverse space through an icon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o view augmented reality content used as an icon, and to shoot with friends in the background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for sharing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는,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and a metaverse space at a specifi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publicity information for admission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purchaser of the terminal device grants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to the purchaser to register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device is sele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등록 요청이 있을 때 등록 가능한 지정 위치와 기등록된 지정 위치의 색깔을 구분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gistration to be given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from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control to display on the screen by distinguishing the color of the designated location that can be registered and the pre-registered designated location can do.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주소 정보에 대하여 기간별 결제 여부를 확인하여 유효기간 내에 있을 때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에 상기 메타버스 화면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payment is made for each period with respect to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and expose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cree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when it is within an effective perio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한 주소 정보에 대한 결제 기간의 종료가 임박하면, 기등록한 구매자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연장 등록을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payment period for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is imminent, the control unit may give priority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purchaser and notify the extension regist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사용권한을 부여받은 구매자가 상기 지정 위치를 타 구매자에게 양도할 때, 상기 양도받은 타 구매자의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하기 위한 홍보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n the purchaser who has been given the right to use the specifi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ransfers the specified position to another purchaser,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of the other purchaser to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can be exposed on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보정보로서 상기 구매자가 등록하는 아이콘 또는 동영상 형태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쇼(show)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xpose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a video registered by the purchaser as the promotional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쇼 콘텐츠가 노출될 때 상기 증강현실 쇼 콘텐츠를 배경으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버튼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a camera button on the screen so that when the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is exposed, a photo can be taken with the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as a backgrou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driving the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when a service is request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place, and the augmented reality (AR) screen is provided. providing public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a real screen; and registering the promotional information, and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은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링크되어 있는 링크 정보(혹은 홍보 정보), 가령 AR 광고 정보 등을 통해 비대면으로 다양한 콘텐츠 경험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who consume content may experience various content non-face-to-face through link information (or publicity information) linked to a specific region or place, for example, AR advertisem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운용하는 운용사의 입장에서는 비대면 상황에서도 수익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operator who operates a ser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generate profits even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셜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소유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rvice of a new concept by using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social platform as a concept of ownership and allowing it to be transa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기반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증강현실 콘텐츠(ARshow)를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촬영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의 임의 위치를 할당받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증강현실 화면상에 고유식별자(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9는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버스 공간 템플릿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based metaver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hooting operation made in the background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Rshow);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of FIG. 1 to be assigned an arbitrary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iving a unique identifier (address)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 1;
9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 1;
10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averse space template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of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기반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촬영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의 임의 위치를 할당받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증강현실 화면상에 고유식별자(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based metaver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made in the background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FIGS. 4 to 6 are FIG. 1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a purchaser of a terminal device to be assigned an arbitrary location on an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iving a unique identifier (address)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기반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구매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100 , a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 a communication network 120 , and an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nd some or all of the third-party device 140 .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AR기반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party device 14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system 90 or configur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 It means that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includes all of them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Explain.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AR 서비스 및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주변 지역에 비추어 증강현실(AR) 형태로 해당 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가령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하고, 물론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는 카메라를 비추는 지역과 관련될 수 있지만, 무관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 또는 링크 정보를 선택할 때, 해당 광고 정보나 링크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공간은 메타버스 공간이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uses the AR service and the metaverse service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of FIG. 1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for us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smartphone, and then projects the camera to the surrounding area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AR). Link information for promoting one's own virtual space, for example, advertisement information, etc. is displayed on When selec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link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ove to a virtual space linked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link information. Here, the virtual space may be a metaverse space.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장소에서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는 이러한 형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는 경우에도 위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가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예: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곳에서 반경 200m 이내)에 포함되는 업체의 광고와 해당 반경(R)을 벗어나는 지역의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를 분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홍보 정보나 아이콘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t in this form of illuminating the surroundings with a camera at a specific place, even when entering a search keyword for a specific area into the search box on a smartphone,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tablet PC, smartphone, etc. Company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can be search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above.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of a company included in a specific area (e.g., within a 200m radius from where the user terminal device is located) and company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an area outside the radius (R) can be sepa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will be. Here, company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publicity information or an ic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특정 지역(예: 강남역 1번 출구)에서 앱을 실행한 후 주변 지역을 카메라로 비춘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200m 반경 내에 있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가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여기서, 증강현실로 표시되는 홍보 정보는 사용권한이 부여된 기등록된 정보의 경우 20m 간격마다 화면에 보여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간격은 스마트폰 등의 화면 크기(예: 7인치, 10인치 등)에 따라 가시성이 좋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 조절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상의 증강현실은 이 단계에서 해당 지역에 관계되는 맛집 정보 등을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대면 방식으로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 또는 링크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된다.It is assumed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 app in a specific area (eg, Gangnam Station Exit 1) and then illuminates the surrounding area with a camera. In this case, promotional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within a radius of 200 m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Here, the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may be shown on the screen at intervals of 20m in the case of pre-registered information to which the right to use is granted. Of course, since this interval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for good visibility depending on the screen size (eg, 7 inches, 10 inches, etc.) of a smartphone, etc.,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f the normal augmented reality is to display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on in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in this ste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ional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guiding to a virtual space in a non-face-to-face manner; Alternatively, link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 등은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지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증강현실 콘텐츠들(200)이 동영상의 형태로 구현되어 AR쇼(ARshow)를 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AR쇼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친구를 위치시켜 해당 증강현실 화면을 배경으로 하여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또 촬영된 사진을 SNS 공유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증강현실 동작을 수행할 때 화면상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카메라 촬영을 위한 카메라 버튼(혹은 촬영버튼)(210)이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사진을 SNS 공유하기 위한 공유버튼(310) 등의 표시될 수 있다. SNS 공유는 사진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별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bu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200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ving picture, so that the AR show ( ARshow). In this way,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R show, as shown in FIG. 3, the user places a friend in a specific area, takes a picture with the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screen as the background, and shares the photographed picture on SNS. action can be performed. Of cours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n augmented reality operation, a camera button (or a photographing button) 210 for camera photographing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as shown in FIG. 2 on the screen, and also the photographed picture A share button 310 for sharing via SNS may be displayed. Since the SNS sharing may be made through a separate process after storing the photo in the memor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도 2의 (a) 내지 (c)는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을 시작하여 더보기 버튼을 눌러 카메라 버튼(210)으로 자동 전환한 후 다시 이전버튼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a)에서와 같이 증강현실 화면상에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을 시작할 때, 증강현실 콘텐츠(200)를 등록한 위치에는 증강현실 콘텐츠(200)가 재생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친구를 해당 위치에 서게 한 후 증강현실 화면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사진 촬영을 통해 친구의 인증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후에는 화면의 하단에 배치되는 앨범에 저장하기(300), 공유하기(310), 삭제하기(320)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 (a) to (c) shows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starts, the more button is pressed to automatically switch to the camera button 210, and then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previous button again. A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s in (a) of FIG. 2 , and whe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production start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may be reproduced and appear at the location wher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200 is registered. . Accordingly, for example, after having a friend stan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s shown in (a) of FIG. 3 , an authentication shot of a friend may be created by taking a photo. In addition, after shoot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saving ( 300 ), sharing ( 310 ), and deleting ( 320 ) may be performed in an album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PC 기반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모바일 기반의 태블릿PC, 스마트폰,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특정 지역, 가령 중심되는 상업존, 또는 역세권에 자신의 가상공간, 가령 메타버스 공간을 AR 또는 키워드 기반으로 광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기제작되어 있는 자신의 메타버스 공간을 도메인 주소 형태로 등록할 수 있지만,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제작한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의 요청에 따라 메타버스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템플릿은 개인이나 기업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이 대표적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품 전시회 등의 갤러리를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includes various devices such as a PC-based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mobile-based tablet PC, a smart phone, and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connects to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nd advertises its virtual space, for example, the metaverse space,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a central commercial zone, or a station area based on AR or keywords. carry out Of course,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can register its own metaverse space, which has been made in advance, in the form of a domain address. can provide For example, by selecting one of various types of templates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 metaverse content may be created and edited according to its request. For the template, an operation for creating a homepage of an individual or a company may be representative, and in addition, an operation for creating and editing a gallery such as an exhibition of works may be performed.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물론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가상공간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추가정보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가상공간(예: 서비스 서버의 주소지)은 지방에 있지만 서울의 강남역을 선택하여 AR 기반으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할 때, 강남역을 선택하여 자신의 가상공간을 등록하게 된다. 즉 해당 위치의 사용권한을 부여받는 것이다.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의 가상공간에 대한 홍보가 강남역과 같이 지정된 곳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셋(pincette) 홍보방식과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고정되지 않는 플로팅(floating) 홍보방식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로팅 홍보방식은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특정 장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기설정된 규칙 또는 서비스 정책에 따라 랜덤하게 특정 위치에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자동 설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구매자들은 시장 원리에 따라 오프라인상에서 상권이 좋다고 판단되는 위치를 인식하여 온라인상에서 해당 위치를 선택해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uses the template itself, of course, although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reto, it can further set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promote its virtual space in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or example, although the actual virtual space (eg, the address of the service server) is located in the province, when AR-based publicity is selected by selecting Gangnam Station in Seoul, the user selects Gangnam Station and registers his/her virtual space. In other words, it is given permission to use the location.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may set up a pincette publicity method that allows promotion of its own virtual space to be performed only in a designated place such as Gangnam Station, and a floating publicity method that is not fixed to a specific area or place. there is. The floating publicity method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place and automatically sets the promotion to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randomly according to a preset rule or servic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re is. According to the market principle, buyers recognize a location that is judged to be a good commercial area offline, and select the location online to promote it.

나아가,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이 제작한 가상공간, 또는 자신이 할당받은 위치나 그의 일부의 경우에는 양도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해 할당받은 즉 사용권한을 부여받은 특정 지역의 지점(예: 20m 지점)에 대한 양도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거래정보는 구매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였을 때 메인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Furthermore, the purchaser's terminal device 110 may be freely transferable in the case of a virtual space produced by the purchaser, or a location allocated to it or a part thereof. For example,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transfers to a point (eg, a 20m point) in a specific area that is assigned to promote its own virtual space i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 that is, given the right to use it. In the case of request, the transac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when the service is accessed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trade a virtual space, but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특정 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이를 보여준다. 구매자 단말장치(110)에서 등록을 요청할 때, 화면상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20m마다 홍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이 표시된다. 화면상에서 파란색 점은 해당 위치에 홍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빨간색 점은 해당 위치에 홍보가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타 구매자가 이미 해당 위치에 홍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accesses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nd performs a registration procedure to promote its virtual space in a specific area. 4 to 6 show this. When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requests registration, as shown in FIG. 4 , on the screen, a mark is displayed so that publicity can be performed every 20 m in a specific area. On the screen, a blue dot indicates that promotion is possible at the location, and a red dot indicates that promotion is not available at that location.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other buyers are already promoting the location.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구매자는 가령 도 4에서 000aa008의 위치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결제를 진행한다. 결제는 연 단위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년, 2년, 3년, 그리고 5년 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장치(110)는 구매자가 선택한 위치를 등록할 때 등록기간별 1년, 2년, 3년, 5년 단위 중에 선택하여 해당 결제금액을 지불하고 유효기간 내에서 원하는 메타버스 공간을 만들고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 편집, 업로드, 삭제할 수 있는 온라인 웹클라이언트(Web client) 접근권한을 부여받는다. 경우에 따라서 운영자가 운영정책상 사용자가 무료로 위치를 등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proceeds with payment to promote his/her virtual space, for example, at the location 000aa008 in FIG. 4 . Payment can be made on an annual basis. For example, select one of 1 year, 2 year, 3 year, and 5 year and request registration. In addition,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selects among 1 year, 2 years, 3 years, and 5 year units for each registration period when registering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purchaser, pays the corresponding payment amount, and creates a desired metaverse space within the validity period You are given access to an online web client that can create, edit, upload, and delete various contents. In some cases, the operator may set the operation policy so that the user can register the location for free.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Wibro network, etc.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Data can be processed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a BTS (Base Transsive Stat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구매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구매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etc.,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a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extracts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s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s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re is.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들이 현실세계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앱 화면의 특정 지점에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을 만들기 위해 위경도 기반의 지정된 위치에 부여된 고유식별자(주소)를 선택하여 온라인에서 등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강남역 1번 출구에서 남쪽 방향으로 1m 거리의 경우 증강현실 화면상에서도 해당 지점에 아이콘을 생성해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에서는 위경도 기반의 위치에 상호간의 거리가 20m를 유지하여 고유식별자(주소)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가령 도 1의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구매자는 온라인상에서 특정 지역에, 또는 그 지역의 특정 존(zone) 혹은 지점에 자신이 구축한 가상공간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방문하여 앱을 실행하는 경우 증강현실 화면상에는 구매자가 등록한 가상공간 즉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아이콘은 동영상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가 될 수도 있다.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llows users to create a 3D virtual metaverse space at a specific point on an app screen that implements the real world in augmented reality. Choose to register onli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stance of 1m in the south direction from Exit 1 of Gangnam Station, an icon is cre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o promote publicity. 7 shows that a unique identifier (address) can be assigned to a location based on latitude and longitude by maintaining a distance of 20 m between each other. Accordingly, for example,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performs a process for registering the virtual space built by him/herself in a specific area or in a specific zone or branch of the area online. 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visits a specific area and executes the app, an icon for entering the virtual space registered by the purchaser, that is, the metaverse space, is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Of course, such an icon can also b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orm of a video.

예를 들어,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강남역과 같은 지역의 맵데이터를 격자 형태로 구획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은 삼각 형태로 구획한 후 각 꼭지점마다 개인이나 기업의 구매자가 자신의 메타버스 공간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위치는 위경도 정보나 GPS 정보의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남역 1번 출구에 도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실행하는 경우,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를 근거로 반경 200m의 범위에 있는 증강현실 화면을 표시하면서 20m마다 구매자들이 등록한 아이콘을 표시한다. 하나의 화면에 홍보문구 형태의 아이콘과 동영상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가 함께 보여질 수도 있다. 이는 구매자의 편집에 따라 결정된다.For exampl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divides map data of a region such as Gangnam Station in a grid form or in a triangular form as in FIG. Allows the bus space to be registered. The location can be managed in the form of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r GPS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arrives at Exit 1 of Gangnam Station and executes the ap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While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n a radius of 200 m, an icon registered by buyers is displayed every 20 m. An icon in the form of a promotional tex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orm of a video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This is at the discretion of the Buyer.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구매자가 등록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으로 입장시키기 위하여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도메인 주소 등의 고유식별자를 해당 위치에 등록시킨다. 즉 링크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도메인 주소를 통해 구매자의 웹서버로 연결되어 메타버스 화면이 구현되거나, 또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이용해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한 경우에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구매자가 구축한 메타버스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공간은 개인이나 기업의 홈페이지가 될 수 있으며, 유명가수의 팬클럽이 구축한 블로그 등이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elects a specific ic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n order to enter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registered by the purchaser,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provides a unique domain address, etc. Register the identifier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at is, it can be viewed as a link. Accordingly, when a metaverse screen is real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uyer's web server through the corresponding domain address, or a metaverse space is created using a template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By accessing the device 130, a metaverse screen built by the purchaser may be implemented. This metaverse space can be the homepage of an individual or company, or it can be a blog built by a fan club of a famous singer.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구매자가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자신의 메타버스 공간을 등록함으로써 유효기간이 종료되기 전에는 기존에 등록한 사용자가 언제든지 우선적으로 연장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종료되기 전에 연장등록에 대한 알람을 제공한다. 또한, 유효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연장등록이 안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다른 사용자도 해당 위치를 등록할 수 있게 전환함과 아울러 앞서 언급한대로 빨강색에서 등록이 가능한 색으로 변환하고 등록이 가능한 위치라는 것을 안내해 준다. 물론 컬러 변환을 예시하였지만, 문구로 안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등록 가능함을 구매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I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selects a specific point and registers his/her metaverse space so that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can preferentially extend registration at any time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validity period. and provides an alarm about the extension registration before it ends. In addition, if extension registration is not completed by the end of the validity period, the loca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so that other users can register the location. guide you Of course, the color conversion has been exemplified, but it is possible to inform buyers that registration is possible in various forms, such as guiding through text.

또한,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유효기간 내에 구매자가 원하는 가격에 다른 구매자와 합의가 이루어지면 언제든지 양도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증강현실 화면상에서 좋은 위치를 선점한 후 다른 구매자에게 양도함으로써 그에 따른 수익을 창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양도가 있는 경우 관리자의 관리하에 기제공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can be transferred at any time if an agreement is reached with another purchaser at a price desired by the purchaser within the validity perio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generate profits by taking a good posi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transferring it to another buyer.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may change previously provided information under the management of an administrator when there is a transfer.

이외에도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일반 사용자들이 모바일 앱을 통하여 구매자가 온라인에서 등록한 메타버스 고유식별자 위치에 업로드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하단에 카메라 기능 버튼이 일시적으로 자동 생성되어 증강현실 콘텐츠를 즉석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기능 버튼이 자동 생성되어 촬영할 때는 사진이나 비디오 촬영을 선택할 수 있고 증강현실 콘텐츠를 배경으로 친구와 함께 인증샷 등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버튼을 화면상에 형성해 준다. 나아가 촬영한 썸네일을 앨범에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도록 하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등과 같은 SNS를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일반 사용자가 재생하기 버튼을 눌러 증강현실 콘텐츠를 다시 재생시킬 수도 있으며, 나가기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하단에서 카메라 기능 버튼이 사라지며 앱 본연의 버튼으로 전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llows general users to view augmented reality content uploaded to the metaverse unique identifier location registered by the purchaser online through a mobile app, and A camera function button at the bottom is temporarily automatically created, allowing you to shoot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the fly. A camera function button is automatically created so that you can choose to take a photo or video when shooting, and a button is formed on the screen so that you can take an authentication shot with a friend against the background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save or delete the captured thumbnail in the album, and to share it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Facebook, and TikTok. Whe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layback is finished, the general user may press the play button to pla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gain, and when the exit button is pressed, the camera function button disappears from the bottom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is converted to the original button of the app make it possible

서드파티장치(140)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컴퓨터, 서버 등의 관리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서드파티장치(140)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개발업체의 컴퓨터나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장치는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에 관리자메뉴 주소정보로 접속하여 사용자나 구매자들에게 공지하기 위한 공지 사항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party device 140 includes a manager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 server that manages the service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 In addition, the third-party device 140 may include a computer or server of a developer that develops and provides a service program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 For example, the manager device can access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with the manager menu address information to register announcements to notify users or buyers, and perform various operations to provide services smoothly. can do.

다시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현실세계를 증강현실(AR)로 구현하는 앱스크린 즉 앱 화면에 위치를 지정하여 3D 가상(VR)의 메타버스 세상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다. 종류는 일상생활과 비즈니스에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가 가능하며 다양한 보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플랫폼에서 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이 되며 사용자들이 방문도 하게 되는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더 많은 사용자들이 활동하는 위치에 오픈하면 더욱 훌륭한 홍보효과를 가지게 된다. 지구상의 위도 및 경도 위치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고유식별자 주소 형식으로 구별되어 표시된다. 주소를 기반하여 3D 가상의 메타버스로 만들어져 전세계 어디에 있던지 상관없이 사용자가 방문할 수 있고 위치한 곳으로부터 가까이에 있는 사용자는 AR쇼의 증강현실쇼 콘텐츠와 함께 인증샷을 하고 공유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게 된다.In summar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where users can create a 3D virtual (VR) metaverse world by designating a location on an app screen that implements the real world in augmented reality (AR). The type can be used in almost all fields related to daily life and business, and users who are active on the platform to acquire various treasures are naturally exposed and users can enjoy the publicity effect that they visit. Therefore, if it is opened in a location where as many users as possible, it will have a better publicity effect. It is fixed as a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 on the earth, and it is distinguish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 unique identifier address. Created as a 3D virtual metaverse based on addresses, users can visit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in the world, and users who are close to where they are located have the privilege to take and share authentication shots with AR show's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do.

사용자들의 활동 여부에 따라서 특정 위치의 가치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뉴욕 맨해튼의 타임스퀘어 런던 웨스트엔드의 레스터스퀘어 같은 곳은 매일 수많은 유동인구가 방문을 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광고주들의 선호도가 높고 이로 말미암아 생성되는 풍부한 보물들로 인해 사용자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노출 빈도수 역시 높아져 저절로 이 지역 주소들은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홈페이지는 별도의 홍보 및 광고의 수단이 없으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연동할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자연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으로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을 경험하고 공유하며 메신저 소통을 하는 것은 물론 크리에이터가 되어 사용되는 아이템을 제작 판매하여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 또한 딥러닝 인공지능(AI)이 탑재된 캐릭터 가이드 큐레이터, 버틀러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activity of users, the value of a specific location may appear differently. For example, places like Times Square in Manhattan, New York, and Leicester Square in London's West End are popular with advertisers because they are an area visited by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s every day, and the frequency of exposure is because users are active due to the rich treasures it creates. It will also increase, and automatically these local addresses will have a high valu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xisting homepage to be exposed to users without a separate means of publicity and advertisement, but when linked to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publicity effects exposed to users can be expected as well as 3D virtual meta Easy to upgrade to bus space. Users can experience and share various functions, communicate with messengers, as well as become a creator and earn money by making and selling used items. In addition, you can receive various services from character guide curators and Butlers equipped with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메타버스 공간의 종류로는 앞서 언급한 대로 아트웍, 음원, NFT 콘텐츠 등을전시하기 위한 갤러리나 뮤지엄 등으로 꾸미고, 국내외에 비즈니스를 진행하는 회사나 사업자들을 위한 쇼룸, 홍보관, 교육기관, 선교센터 등으로 꾸밀 수 있다. 특히 NFT 디지털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NFT갤러리를 돔에 오픈하면 안전하게 디지털 파일을 보관하면서 전세계의 많은 사용자들에게 NFT 콘텐츠를 전시 홍보하여 보유하고 있는 NFT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는 쇼케이스(Showcase)로서의 커다란 의미가 있을 것이다. NFT 갤러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홍보된다면 향후에 보유하고 있는 NFT 콘텐츠의 가치상승에 대한 기대효과가 상당히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상품 론칭 이벤트 선거 캠페인 설문조사 등과 같은 각종 홍보 마케팅 캠페인 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유튜버 인플루언서, MCN 방송인, 블로거 등의 개인 방송국 혹은 커뮤니티홀로 사용하면 좋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위한 스트리밍 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비대면 시대에 최적화된 아레나 공연장 팬클럽 1인 방송국 라이브 커머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초대된 사용자에게만 방문을 허락하는 프라이버시 설정기능을 통하여 프라이빗 갤러리 기념관 연구소 추모관 등으로 만들 수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metaverse space is decorated with galleries or museums to display artwork, sound sources, NFT contents, etc., and showrooms, public relations centers, educational institutions, mission centers, etc. can be decorated with In particular, for users who own NFT digital contents, when the NFT gallery is opened in the dome, digital files are safely stored and NFT contents are displayed and promoted to many users around the world as a showcase to increase the value of NFT contents.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This is because, if continuously exposed and promoted to many users through the NFT gallery, the expected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value of NFT contents possessed in the futur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It can also be used as a space for various promotional marketing campaigns such as new product launch events, election campaigns, and surveys. In addition, it is good to use it as a personal broadcasting station or community hall for YouTuber influencers, MCN broadcasters, bloggers, etc.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streaming service function for the entertainment busin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arena, concert halls, fan clubs, and live commerce, which are optimized for the non-face-to-face era. Through the privacy setting function that allows only invited users to visit, it can be made into a private gallery, memorial, research center, etc.

고유 식별자(주소)와 관련해 보면, 지구상에 있는 어느 위치도 주소로 등록 이 가능한데 기등록된 주소 위치는 중복등록이 불가하며 각각의 주소 간에는 최소 20m의 간격이 떨어져서 등록이 가능하다. 모든 주소는 위도, 경도 위치로 고정이 되어 있으며 고유의 주소 코드(e.g. 123XXXX123) 형식으로 주소 표시가 된다. 도메인 주소를 등록하는 것과 같이 1년, 2년, 3년, 5년 등의 단위로 주소도 등록이 되고 유효 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연장할 수 있으며 등록한 주소의 가격을 자유롭게 정하여 타인에게 양도할 수도 있다. 등록비용은 1년에 가령 USD 18.00이며 다년간의 등록인 경우 2년(5%), 3년(10%), 5년(15%) 할인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등록된 주소는 돔 주소 코드 대신에 비즈니스 명이나 브랜드 명과 같은 명칭으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한 네임(e.g. @brownburger)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Regarding the unique identifier (address), any location on the earth can be registered as an address, but duplicate registration of previously registered address locations is not possible, and each address can be registered with a distance of at least 20m apart. All addresses are fixed with latitude and longitude positions and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unique address code (e.g. 123XXXX123). Just like domain address registration, addresses are registered in units of 1 year, 2 years, 3 years, 5 years, etc. and can be extended before the expiration date. . The registration fee is eg USD 18.00 per year and discounts for 2 years (5%), 3 years (10%) and 5 years (15%) are available for multi-year registrations. The registered address can be used by changing it to a name that can be used as it is (e.g. @brownburger) as a name such as a business name or a brand name instead of the dome address code.

연동과 관련해 보면, 모든 IT 관련 콘텐츠와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엔진을 통하여 기존의 IT 인프라와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 연동이나 유튜브 MCN 링크 등 모든 관련 콘텐츠를 한 곳에서 접할 수 있어서 사용자 들에게는 편리성을, 돔 운영자에게는 효과적인 홍보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외부 앱의 경우 제공되는 SDK를 통하여 API를 연동하여 내부의 별도 앱인 것처럼 편리하게 연동하여 쓸 수 있으며 다이렉트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앱을 특화된 앱인 것처럼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을 제공한다.In terms of interworking, it is designed to create synergy with the existing IT infrastructure through an engine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all IT-related contents. For example, all related contents such as website linkage and YouTube MCN link can be accessed in one place,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and effective publicity effect for dome operators. In the case of an external app, it can be used conveniently as if it were a separate internal app by linking the API through the provided SDK.

또한 특징을 보면, 공간과 시간의 제약이 없이 모든 사용자가 현실세계와 연결되거나 구별되는 가상의 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여러가지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가 제공된다. 기존의 서비스와는 차별화하여 쉬운 UI/UX 뿐만이 아니라 1인칭 시점의 메타버스를 추구하며 앱을 이용하는 데 있어 불필요한 준비나 시간낭비가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앱을 지향하여 10대, 20대 위주의 MZ 세대뿐만이 아닌 모든 연령의 사용자가 쉽게 메타버스 세상에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보유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된다.Also,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various metaverse platform services are provided that allow all users to operate in a virtual space that is connected or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without space and time restrictions. Different from existing services, we pursue not only easy UI/UX, but also metaverse from a first-person view, aiming for an app that can be enjoyed easily without unnecessary preparation or wasting time in using the app, focusing on teens and 20s Users of all ages, not just generations, will be able to have and develop a platform where they can easily participate and work in the metaverse world.

도 8은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of FIG. 1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AR기반 메타버스부(820) 및 저장부(8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 a control unit 810 , an AR-based metaverse unit 820 , and storage. part or all of part 830 .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8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가 구성되거나, AR기반 메타버스부(8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8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83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 It means that the elemen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elem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810,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elements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 구매자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 and the third-party device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of FIG. 1 ,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and scaling for converting resolution,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no longer A description is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령 앱의 실행시 증강현실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근거로, 또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의 센싱신호로 감지해 방향을 인식하여 카메라가 비추는 방향의 증강현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카메라를 비출 때 카메라에 담기는 영상을 취득하고, 그에 부합하는 증강현실 화면이 구현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provides a service screen for realizing an augmented reality screen when an app is executed, for example,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sensing a signal such as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recognize a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in the direction the camera illuminates.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lluminates the camera, an image included in the camera is acquired, and an augmented reality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is implemented.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화면의 특정 지점에 구매자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홍보정보는 아이콘이 될 수 있지만, AR쇼라고 하는 동영상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아이콘이나 AR쇼의 콘텐츠는 구매자가 해당 지점을 구매를 통해 할당받을 때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와 메타버스 가상공간을 증강현실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performs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promotional information for promoting the virtual space of the purchaser at a specific point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ccording to the service request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 Here, the promotional information may be an icon, but may b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orm of a video called an AR show. Of course, these icons or the contents of the AR show can be registered when the buyer is assigned the point through purchase.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and the metaverse virtual space to be displayed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제어부(810)는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AR기반 메타버스부(820) 및 저장부(8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8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AR기반 메타버스부(820)를 제어하여 증강현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물론 증강현실 화면을 통해서는 구매자들이 특정 지점에 등록한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홍보정보(예: 아이콘, AR쇼 콘텐츠 등)도 함께 제공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8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and the storage unit 830 of FIG. 8 constituting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 do.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the controller 810 controls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creen. Of cours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publicity information (eg icons, AR show contents, etc.) of the metaverse virtual space registered by buyers at a specific point is also provided.

또한, 제어부(810)는 AR기반 메타버스부(820)와 연계하여 도 1의 구매자 단말장치(110)에서 가령 강남역과 같은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증강현실의 화면상에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홍보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물론 특정 지역에 기반하지 않으며 지역을 초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매자는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고 싶은 지역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홍보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도 4를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10 guides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to a virtual space such as a metaverse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representing a specific area such as Gangnam Station in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 for example.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set promotional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of course, is not regionally based and can transcend regions. In other words, the buyer can freely select the area he wants to promote his virtual space in and promote it. In this regard, it has already bee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메타버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가령 앱의 실행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증강현실 화면상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는 홍보용 문구 등 다양한 형태의 홍보정보를 표시한다. 물론 그러한 홍보정보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구매자들이 비용을 지불하여 기등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구매자들은 증강현실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다양한 형태의 홍보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홍보문구(예: 상호명 등)가 표시되도록 하고, 또는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동영상 형태의 AR쇼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자유롭게 등록하고 변경할 수 있다.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provide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metaverse service.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provides various types of promotional information, such as a promotional text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when there i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reques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to display Of course, such promo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the purchasers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paying and registering in advance. Buyers can have various types of promotional information displayed on a specific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simply display promotional text (eg, business name, etc.) can be freely registered and changed to be displayed.

구매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의 특정 위치를 구매할 때 자신이 기제작한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도메인 주소 등의 주소정보를 등록하였으므로,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에서 특정 홍보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링크되어 있는 주소정보를 근거로 구매자의 메타버스 가상공간으로 입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메타버스 가상공간은 유명가수의 팬클럽에서 제작한 공간이 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우에는 홈페이지가 될 수도 있다.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에 관여할 수 있다.When the purchaser purchases a specific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since address information such as a domain address is registered so that he or she can enter the metaverse space he has made previously,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is the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he or she enters the metaverse virtual space of the buyer based on the linked address information. Of course, such a metaverse virtual space can be a space created by a famous singer's fan club, or in the case of a company, it can be a website.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may be involved in providing such a service.

이외에도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증강현실 화면을 제공할 때 AR쇼의 증강현실 콘텐츠 등을 재생할 수 있도록 화면의 하단에 카메라 버튼 자동 전환을 위한 버튼을 활성화하여 보여주며, 이를 통해 증강현실 화면을 이용해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AR쇼의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친구를 함께 촬영함으로써 증강현실 화면을 배경 영상으로 사진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외에도 사진을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하기 버튼 등도 함께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activates and shows a button for automatic switching of the camera butt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of the AR show can be played whe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is, the photo is taken using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of an AR sh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picture is taken wit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s a background image by photographing a friend together. In addition, a share button is also provided so that the photo can be shared through social media.

저장부(830)는 제어부(8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830)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에서 증강현실 화면상의 특정 지점을 구매하는 경우 구매 정보를 제어부(810)의 제어하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AR기반 메타버스부(820)로 제공한다. AR기반 메타버스부(820)는 해당 정보를 이용해 지정 포맷으로 생성한 후 도 1의 DB(130a)에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되도록 제어부(810)에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도 저장부(830)는 해당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830 temporarily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10 . For example, when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purchases a specific point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he storage unit 830 temporarily stores purchas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10 and then calls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 provided with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may request storage from the control unit 810 so that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a specified format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hen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managed in the DB 130a of FIG. 1 . Even in this process, the storage unit 830 may temporarily store data of a corresponding specified format.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AR기반 메타버스부(820) 및 저장부(8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the control unit 810,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and the storage unit 830 of FIG. 8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I would like to replace them with th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AR기반 메타버스부(820) 및 저장부(8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8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00, the control unit 810,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and the storage unit 830 of FIG. 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module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each module may store software fo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therein and execute it. However, since the software is a set of software modules, and each module can be formed of hardware,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830 may be hardware, storage (storage) or memory (memory).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in software (repository),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abov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8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AR기반 메타버스부(8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8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 command interpreter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converts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compiler.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a program stored in the AR-based metaverse unit 820 is copied, loaded into a memory, that is, a RAM, and then executed to obtain data. It is possible to quickly increase the operation processing speed.

도 9는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 1 .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한다(S900). 여기서, 홍보정보는 아이콘이나 AR쇼의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 together with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S900). Here, the promotional information includes icons or AR show contents.

또한,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하기 위한 주소정보 및 홍보정보(예: 아이콘, AR쇼의 콘텐츠 등)를 등록시키며,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기등록한 주소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선택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한다(S910).In addition,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grants the right to use a designated loc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to enter address information and promotional information (eg, icon, AR show)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contents, etc.) and, when promoti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selected, guided to the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promotiona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S9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ose contents will be replaced.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에서 제공하는 메타버스 공간 템플릿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averse space template provided by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of FIG. 1 .

설명의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도 1의 구매자 단말장치(110)의 구매자가 증강현실 화면상의 특정 지점의 사용권한을 부여받고자 할 때, 해당 지점의 구매시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함께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템플릿 기반의 서비스 제공은 무료로 제공될 수 있지만, 3년 이상의 장기고객에게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S. 10 to 13 together with FIG. 1 , 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allows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to use a specific point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It is possible to create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together with the purchase of the corresponding branch. For example, the template-based service may be provided free of charge, but the servic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providing a free service to long-term customers of three years or more.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들이 온라인에서 메타버스 공간 템플릿 종류를 선택하고 기능(functionality) 선택, 편집 등의 툴(tool)을 사용하여 플랫폼에서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provides a template for creating a metaverse space, so that buyers can select a metaverse space template type online and use tools such as functional selection and editing to easily implement a 3D virtual metaverse space on the platform.

구매자가 온라인에서 구매자의 용도에 맞는 메타버스 공간의 템플릿 종류를 선택한 후에 기능 리스트(list)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선택하고 이를 편집하여 플랫폼에서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After the purchaser selects the type of metaverse space template suitable for the purchaser's use online, the 3D virtual metaverse space can be easily implemented on the platform by selecting the necessary functions from the function list and editing them.

도 10은 온라인에서 메타버스 공간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메타버스 공간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템플릿은 구분될 수 있다. 구매자는 온라인에서 메타버스 공간의 템플릿 종류를 선택함에 있어서 디지털 아트웍, 음원, NFT 콘텐츠를 전시하기 위한 갤러리, 뮤지엄, 사업자를 위한 쇼룸, 홍보관, 교육기관, 선교센터 및 신상품 론칭 이벤트, 선거 캠페인, 설문조사를 위한 공간, 유튜버, 인플루언서, MCN 방송인, 블로거를 위한 개인 방송국 혹은 커뮤니티홀, 그리고 온라인 공연을 위한 아레나 공연장, 팬클럽, 1인 방송국, 라이브커머스 제공 공간, 프라이버시 설정기능이 제공되는 프라이빗 갤러리, 연구소, 추모관 등이 제공될 수 있다.10 shows a process of selecting a type of metaverse space online. Templat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rvice type of the metaverse space. In selecting the template type of the metaverse space online, the buyer selects a gallery, museum, showroom for business operators, publicity center, educational institution, mission center and new product launch event, election campaign, survey to display digital artwork, sound source, and NFT content. A space for research, a personal broadcasting station or community hall for YouTubers, influencers, MCN broadcasters, and bloggers, an arena performance hall for online performances, a fan club, a one-person broadcasting station, a space for live commerce, a private space with privacy setting function A gallery, a research institute, a memorial hall, etc. may be provided.

또한 도 11은 온라인에서 기능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매자는 온라인에서 구매자의 용도에 맞는 기능 리스트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나 전시를 위한 홀(Hall), 공연이나 스트리밍 비디오를 위한 아레나(Arena), 링크를 위한 이미지 + URL, 외부의 앱을 연결하기 API 연동 SDK, 알림, SNS 링크, 일정(Performance Schedule), 티겟판매를 위한 티켓박스(TicketBox), 이미지 업로드를 위한 이미지 등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메타버스 공간의 최종 생성시 기능이 자동 설정된다고 볼 수 있다.11 also shows a state of selecting a function online. When a buyer selects a list of functions suitable for the purchaser's use online, a hall for display or exhibition, an arena for a performance or streaming video, an image + URL for a link, and an API for connecting an external app You can select the necessary functions from the linked SDK, notifications, SNS links, Performance Schedule, TicketBox for ticket sales, and images for uploading images. If such a function is selected,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is automatically set when the metaverse space is finally created.

도 12는 온라인에서 디자인, 로고, 색상 등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매자는 온라인에서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을 꾸미는 데 있어서 구매자가 원하는 디자인, 로고, 색상 등을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는 편집툴이 제공된다.12 shows a state in which a design, a logo, a color, and the like are selected online. In decorating the 3D virtual metaverse space online, the buyer is provided with an editing tool that allows the buyer to select and edit the desired design, logo, color, etc.

도 13은 온라인에서 임포트 기능 선택 모습을 보여준다. 구매자는 온라인에서 3D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을 꾸미는 데 있어서 구매자가 기보유하고 있는 플랫폼내의 다른 위치에 있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동일한 기능이나 디자인을 불러와서 쉽게 또다른 메타버스 공간을 완성할 수 있는 임포트(Import) 기능을 갖는다.13 shows an online import function selection. When a buyer decorates a 3D virtual metaverse space online, the buyer can easily complete another metaverse space by calling the same function or design from a metaverse space in another location in the platform that the buyer has. Import)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130)는 개인이나 기업이 외부 개발업체에서 기제작한 메타버스 공간을 증강현실 화면상의 아이콘에 링크하여 업체 등을 홍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템플릿을 개인이나 기업에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메타버스 공간을 자동 생성하여 줌으로써 서비스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linking an individual or a company to an ic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by linking a metaverse space previously made by an external developer to an ic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o promote the company. However, as shown in FIGS. 10 to 13 , by providing a template to an individual or a company to automatically create a desired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ervic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구매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AR기반 메타버스서비스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210: 카메라 버튼
300: 앨범 저장버튼(혹은 저장하기) 310: 공유버튼(혹은 공유하기)
320: 삭제버튼(혹은 삭제하기) 800: 통신 인터페이스부
810: 제어부 820: AR기반 메타버스부
830: 저장부
100: user terminal device 110: buyer terminal device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AR-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140: third-party device 210: camera button
300: album save button (or save) 310: share button (or share)
320: delete button (or delete) 8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810: control unit 820: AR-based metaverse unit
830: storage

Claims (8)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등록 요청이 있을 때 등록 가능한 지정 위치와 기등록된 지정 위치의 색깔을 구분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and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By granting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address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are registered, and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A control unit for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s; including,
The control uni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gistration to be given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from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control to display on the screen by distinguishing the color of the designated location that can be registered and the pre-registered designated locatio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삭제delete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주소 정보에 대하여 기간별 결제 여부를 확인하여 유효기간 내에 있을 때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에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노출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and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By granting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address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are registered, and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A control unit for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s;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for exposing public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when it is within the validity period by checking whether payment is made by period for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한 주소 정보에 대한 결제 기간의 종료가 임박하면, 기등록한 구매자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연장 등록을 통지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for notifying the extension registrat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purchaser when the end of the payment period for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is immin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사용권한을 부여받은 구매자가 상기 지정 위치를 타 구매자에게 양도할 때, 상기 양도받은 타 구매자의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하기 위한 홍보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에 노출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purchaser who has been given the right to use the specifi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ransfers the specified position to another purchaser,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of the other purchaser to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that exposes images.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보정보로서 상기 구매자가 등록하는 아이콘 또는 동영상 형태로 구현되는 증강현실 쇼(show) 콘텐츠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쇼 콘텐츠가 노출될 때 상기 증강현실 쇼 콘텐츠를 배경으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버튼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and provides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By granting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address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are registered, and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A control unit for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s; including,
The control unit exposes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con or a video registered by the purchaser as the promotion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is exposed,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for displaying a camera button on the screen so that the photo can be taken with the augmented reality show content as a background.
삭제delete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시 증강현실(AR)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홍보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
제어부가, 구매자 단말장치의 구매자에게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메타버스 공간으로 입장시키는 주소정보 및 상기 홍보정보를 등록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상의 상기 홍보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등록한 주소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홍보정보에 링크되는 메타버스 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화면상의 지정 위치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등록 요청이 있을 때 등록 가능한 지정 위치와 기등록된 지정 위치의 색깔을 구분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
providing, by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 augmented reality (AR) screen upon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and providing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The control unit grants the purchaser of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the right to use the designated location to register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al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etaverse space, and when the promo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selected, the registered address information guiding to a metaverse space linked to the selected promotional information based on address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a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control unit to be granted the right to use the specified position on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from the purchaser terminal device, control to display the color of the registered specified position and the registered specified position separately on the screen step to;
A method of driv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device comprising:
KR1020210149570A 2021-11-03 2021-11-03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88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70A KR102388442B1 (en) 2021-11-03 2021-11-03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CT/KR2022/016140 WO2023080506A1 (en) 2021-11-03 2022-10-21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70A KR102388442B1 (en) 2021-11-03 2021-11-03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442B1 true KR102388442B1 (en) 2022-04-20

Family

ID=8139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570A KR102388442B1 (en) 2021-11-03 2021-11-03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8442B1 (en)
WO (1) WO2023080506A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516B1 (en) 2022-07-12 2022-09-26 디노바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patial experience service combined with commerce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KR102481843B1 (en) * 2022-09-26 2022-12-26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 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ervice
KR102501965B1 (en) 2022-03-16 2023-02-21 이상민 Serv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taverse system for commercialization model implementation, method for operating the server and the diplay apparatus
WO2023080506A1 (en) * 2021-11-03 2023-05-11 김병걸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2597299B1 (en)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IT202200011462A1 (en) * 2022-05-31 2023-12-01 Alvearium Cryptoart S R L PROCEDURE AND SYSTEM FOR CONDENSING AN ITEM OF VIRTUAL GOODS INTO A 3D ENVIRONMENT WITH THE PHYSICAL WORLD
KR20230166379A (en) 2022-05-30 2023-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bility server and metaverse server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WO2024035202A1 (en) * 2022-08-11 2024-02-15 붐앤드림베케이션 주식회사 Meta-space-time product trad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meta-space-time product coordinate generator, and meta-space-time product search and access device
KR20240029897A (en) 2022-08-29 2024-03-07 기가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based metaverse showroom for optimizing e-commerce shopping experience
WO2024071941A1 (en) * 2022-09-26 2024-04-04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588A (en) *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ealth care system having funtion of interworking with metaverse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82292B1 (en) 2011-01-24 2013-07-10 주식회사 코세이프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00033064A (en)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20200076446A (en) 2018-12-19 2020-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loc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KR20210063284A (en) * 2021-05-12 2021-06-01 김권태 Blockchain-based exhibition experience solution on Metaverse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52B1 (en) * 2016-02-29 2019-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KR102192851B1 (en) * 2018-11-26 2020-12-18 마태 부오노코레 니콜라스 Server and terminal providing online shopping services
KR102102994B1 (en) * 2019-01-03 2020-05-29 고상혁 Augmented reality editing system to make and edit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system
KR102388442B1 (en)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588A (en) *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ealth care system having funtion of interworking with metaverse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82292B1 (en) 2011-01-24 2013-07-10 주식회사 코세이프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dvertis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00033064A (en)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20200076446A (en) 2018-12-19 2020-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loc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KR20210063284A (en) * 2021-05-12 2021-06-01 김권태 Blockchain-based exhibition experience solution on Metaverse platfor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06A1 (en) * 2021-11-03 2023-05-11 김병걸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2501965B1 (en) 2022-03-16 2023-02-21 이상민 Serv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taverse system for commercialization model implementation, method for operating the server and the diplay apparatus
KR20230166379A (en) 2022-05-30 2023-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bility server and metaverse server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IT202200011462A1 (en) * 2022-05-31 2023-12-01 Alvearium Cryptoart S R L PROCEDURE AND SYSTEM FOR CONDENSING AN ITEM OF VIRTUAL GOODS INTO A 3D ENVIRONMENT WITH THE PHYSICAL WORLD
KR102447516B1 (en) 2022-07-12 2022-09-26 디노바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patial experience service combined with commerce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WO2024035202A1 (en) * 2022-08-11 2024-02-15 붐앤드림베케이션 주식회사 Meta-space-time product trad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meta-space-time product coordinate generator, and meta-space-time product search and access device
KR20240029897A (en) 2022-08-29 2024-03-07 기가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based metaverse showroom for optimizing e-commerce shopping experience
KR102481843B1 (en) * 2022-09-26 2022-12-26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 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ervice
JP7272549B1 (en) 2022-09-26 2023-05-12 キム,テウォン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based metaverse ticket and its service provision method
WO2024071941A1 (en) * 2022-09-26 2024-04-04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JP2024047515A (en) * 2022-09-26 2024-04-05 キム,テウォン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2597299B1 (en)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leas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506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42B1 (en)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based Metavers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49499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of digital assistan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and local determination of virtual object placement and apparatuses of single or multi-directional lens as portals between a physical world and a digital world component of th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1074080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of seamless integration of augmented, alternate, virtual, and/or mixed realities with physical realities for enhancement of web, mobile and/or other digital experiences
CN105051662B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WO2016043663A1 (en) Geographical location based application
US10115149B1 (en) Virtual world electronic commerce platform
Balandina et al. Innovative e-tourism services on top of Geo2Tag LBS platform
KR2011008661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data representing feelings felt by persons in positionable locations and associated server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Mishra et al. A beginner's guide to mobile marketing
Batuwanthudawa et al. Real-time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advertising platform
KR102505849B1 (en) Photo sharing system using signage with reference region
US117982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Behúnová et al. Using Industry 4.0 Tools in the Implementation of Modern Event Marketing
KR20200068921A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virtual reality gallery management method
Pasichnyk et al. Mobile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omain
KR102349629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using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design
KR102107315B1 (en) Art work management system and art wor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44351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Reality-based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Bug et al. The future of fashion films i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oukopoulos et al. Intelligent management of outdoor cultural events promoting exploitation in smart city environments
JP2018163650A (en) Apparatus for using copyrighted work, method for using copyrighted work, and data structure therefor
Bug et al. Using social media for luxury fashion management
KR201800928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