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796A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796A
KR20220006796A KR1020200084635A KR20200084635A KR20220006796A KR 20220006796 A KR20220006796 A KR 20220006796A KR 1020200084635 A KR1020200084635 A KR 1020200084635A KR 20200084635 A KR20200084635 A KR 20200084635A KR 20220006796 A KR20220006796 A KR 2022000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levator
destination
ca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경옥
Original Assignee
양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옥 filed Critical 양경옥
Priority to KR102020008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796A/en
Publication of KR2022000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virus prevention and quick and simple elevator passenger transportation, and relates to a method, wherein after a passenger displays a destination floor number on a smartphone and presents it to the camera of an elevator button panel in a non-contact manner, a control unit reads the destination floor and allocates and operates a car,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presses the floor button and comprehensively determines a waiting floor of the entire building, the expected number of passengers, and the destination floor to establish an efficient operation plan.

Description

스마트폰의 목적층 숫자로 부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객의 제시하는 스마트폰 상의 목적층숫자를 엘리베이터의 카메라가 판독한 후 목적층을 자동으로 입력하고 운송부하를 계산하는 근거리 비접촉식 호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distance contactless ca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putting the destination floor after the camera of the elevator reads the destination floor number on the smartphone presented by the passenger when using the elevator and calculating the transport load.

엘리베이터 이용시, 승객은 가고자 하는 목적층의 숫자 버튼을 누른다. 이때 버튼의 바이러스, 세균 등 위생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비접촉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2020년초의 코로나 19(바이러스)로 인하여 승객들은 종래에 비해 엘리베이터 버튼 및 손잡이 등 대중 시설물의 손 접촉을 더욱 꺼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접촉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When using the elevator, the passenger presses the number button for the destination floor to which he or she wants to go. At this time, a non-contact method is being developed to prevent hygiene proble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on the button. Due to the Corona 19 (virus) in early 2020, passengers are more reluctant to touch public facilities such as elevator buttons and knobs compared to conventional ones, and thus, a non-contact method is preferred.

이와 함께, 가급적 승객간의 접촉을 줄이면서, 신속하게 운송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peedy transportation while reducing contact between passengers as much as possible.

도 1 내지 도 2는 비접촉 방식, 운송부하 파악 및 분석과 관련한 선행기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1 to 2 ar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non-contact method,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transport load.

도 1에 있어서, 제1번은 일반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호출에 관한 것이다. 상가, 병원, 오피스, 오피스텔, 교통시설(철도역, 공항, 지하철)과 같은 일반 대중이 이용하는 일반건물에는 일반적으로 출입구층(로비)과 각층에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은 상하버튼 2개만 있고 가고자 하는 층을 입력하는 버튼은 없다. 다수개의 각 층 버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홀의 벽면에 설치 공간이 부족하고 비용이 증가하고 미관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홀 벽면에 목적층수(이하 층수)을 입력할 수 있는 간단한 기능이 필요하다.In Fig. 1, No. 1 relates to an elevator call in a general building. In general buildings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shopping malls, hospitals, offices, officetel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railroad stations, airports, subways), there is generally an elevator call button on the entrance floor (lobby) and on each floor. There are only two up and down buttons on this button and there is no button to enter the floor you want to go to. In order to install a plurality of buttons on each floor,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wall of the elevator hall is insufficient, the cost increases, and the aesthetics is not good. Therefore, a simple function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floors) on the wall of the hall is required.

도 1의 2번은 고급 오피스의 층수 입력패널에 관한 것이다. 초고층과 같은 고급 오피스 빌딩에는 층수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숫자 패널이 벽면에 있다. 상기 패널은 터치를 해야 하고, 10층 이상인 경우, 2회 이상의 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터치하지 않고 간단 신속하게 층수를 입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No. 2 in FIG. 1 relates to a floor number input panel of a high-end office. In high-end office buildings, such as skyscrapers, there is a touch numeric panel on the wall for entering the number of floors. The panel needs to be touched, and in the case of more than 10 layers, two or more touches are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simply and quickly input the number of floors without touching.

도 1의 3번은 홀의 터치 숫자 패널에 관한 것이며, 패널의 가격이 고가이며 유지보수가 어렵다. 따라서 패널 대신 층수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입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No. 3 of FIG. 1 relates to a touch numeric panel in a hall, and the price of the panel is high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imple and quick way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instead of a panel.

도 1의 4번은 홀의 터치 숫자 패널을 이용에 관한 것이며, 층수를 입력할 때, 탑승인원을 입력할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인 승객 운송부하 산출과 대책을 위한 인원수 파악 방법이 필요하다.No. 4 in FIG. 1 relates to the use of the touch numeric panel in the hall, and when entering the number of floors, the number of passengers cannot be inpu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actual passenger transport load and figure out the number of people for countermeasures.

도 1의 5번은 홀의 터치 숫자 패널을 이용에 관한 것이며, 층수 입력시 숫자판을 접촉해야 한다. 따라서 바이러스 예방을 위하여 접촉하지 않고 층수, 탑승인원을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No. 5 of FIG. 1 relates to the use of the touch number panel in the hall, and when entering the number of floors, the number panel must be touc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number of floors and number of passengers without contact to prevent viruses.

도 2의 6번은 탑승 인원수에 관한 것이며, 탑승 인원수를 입력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층수 입력과 함께 인원수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하다.No. 6 of FIG. 2 relates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it is not possible to input the number of passeng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number of people together with entering the number of floors.

도 2의 7번은 기존의 비접촉 층수 입력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광학센서, 손가락 습도를 통해 층수 버튼을 입력하는 방법은 손가락을 버튼으로부터 1~2cm 정도거리에 갖다 대어야 한다. 또한 다수의 층 버튼에 손가락을 인식하는 기능을 설치함에 따른 비용증가, 유지보수 어려움 등이 있다. 따라서 손가락 대신 층수를 입력하는 방법과 함께 10~30cm 정도의 근거리에서 입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No. 7 of FIG. 2 relates to the conventional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button through ultrasonic wave, optical sensor, or finger humidity, place your finger at a distance of 1~2cm from the button.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e in cost and difficulty in maintenance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finger recognition function on a plurality of floor butt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from a short distance of about 10 to 30 cm along with a method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instead of a finger.

도 3은 종래(기존)기술에 따른 기능분석표이다. 3 is a functional analysis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ventional).

도 3의 1번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층수 입력 (LED)패널에 관한 것이며, 손가락 접촉 방식이고, 층수 입력이 가능하지만 인원수 입력이 어렵고 고가이고, 유지비가 높고, 제품 크기가 크고 미관이 좋지 않다.No. 1 of FIG. 3 relates to a floor number input (LED) panel installed in an elevator hall, and is a finger contact method, and although floor number input is possible, input of the number of people is difficult and expensive,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product size is large, and aesthetics is not good.

도 3의 2번은 홀에 설치되는 상하버튼에 관한 것이며, 접촉방식이고, 층수와 인원수 입력이 안된다.No. 2 of FIG. 3 relates to the up and down buttons installed in the hall, it is a contact method, and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people cannot be input.

도 3의 3번은 항균 필름 부착에 관한 것이며, 접촉방식이고, 층수와 인원수 입력이 안되고 교체를 해야 하며, 미관이 좋지 않다.No. 3 of FIG. 3 relates to the attachment of the antibacterial film, it is a contact method,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people cannot be input, must be replaced, and the aesthetics is not good.

도 3의 4번은 기존의 비접촉 방식에 관한 것이며, 비접촉이지만 1~2cm 근접거리 방식이고, 층수와 인원수 입력이 안되고, 각 버튼에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높고 유지비가 높고, 제품크기와 미관이 좋지 않다. No. 4 of FIG. 3 relates to the existing non-contact method, and although it is non-contact, it is a 1-2 cm proximity method,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people cannot be input, and the cost is high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because each button must be installed, and the product size and aesthetics are not good .

도 3의 5번은 공동주택의 거주자용 앱 방식에 관한 것이며, 비접촉이며 층수 입력은 가능하지만, 일반건물(병원, 상가)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회원가입을 해야 하고 이동통신을 이용해야 한다.No. 5 of FIG. 3 relates to an application method for residents of an apartment house, and it is contactless and floor number input is possible, but it cannot be used in general buildings (hospitals, shopping malls), and you must sign up for a membership and use mobile communication.

도 4 내지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과 요구성능 및 해결가능한 기술(실시 예)이다.4 to 5 are problems, required performance, and solvable technologie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의 1번은 세균 및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비접촉 기능을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기존의 방식인 1cm~2cm 거리에서 손가락으로 비접촉 입력하는 근접 거리 보다는 10cm~30cm 거리에서도 입력이 가능한 성능이 필요하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웹 입력, 음성 입력, RFID태그,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인식방법이 있다.No. 1 of FIG. 4 relates to satisfying the non-contact function for preventing bacteria and viruses,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input at a distance of 10 cm to 30 cm rather than the proximity distance of non-contact input with a finger at a distance of 1 cm to 2 cm, which is the conventional method. Possible methods include web input, voice input, RFID tag, and optical recognition method using a camera.

도 4의 2번은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수를 출입구층(로비), 각 층 엘리베이터 홀에서 입력하는 기능을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승객이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지를 알아야 실질적인 운송부하 산출과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각 층 홀에서 비접촉으로 층수를 입력하는 것이며, 웹 입력, 음성입력, 광학장치(카메라)가 있다. RFID는 칩내에 목적층이 고정되어 입력되어 있고 회원가입을 해야하므로 제외된다.No. 2 in FIG. 4 relates to satisfying the function of inputting the number of floors a passenger wants to go to at the entrance floor (lobby) and the elevator hall of each floor. do. Possible methods include non-contact input of the number of floors in the hall of each floor, and there are web input, voice input, and optical device (camera). RFID is excluded because the target layer is fixed and input in the chip, and membership registration is required.

도 4의 3번은 승객수 즉 탑승인원수를 입력하는 기능을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승객이 어디에서 어디로 몇 명이 가는지를 알아야 실질적인 운송부하 산출과 효율적 운용이 가능하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각 층 홀에서 비접촉으로 인원수를 입력하는 것이며, 웹 입력, 음성입력, 광학장치(카메라)가 있다. RFID는 1명만 입력되어 있고 복수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제외된다.No. 3 of FIG. 4 relates to satisfying the function of inputting the number of passengers, that is,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ctual transportation load and efficiently operate it only by knowing where and how many passengers are going. Possible methods include non-contact input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all on each floor, web input, voice input, and optical device (camera). RFID is excluded because only one person is input and multiple entries are not allowed.

도 4의 4번은 엘리베이터 호출 앱을 설치하지 않고 호출하는 기능을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상가, 병원, 호텔, 오피스텔 등 다수 대중이 이용하는 건물 이용시, 앱을 설치하게 되면 현실적으로 다수의 앱을 설치하고 입력해야 하므로 효용성이 낮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이 주거주민, 오피스와 같은 사무직원 경우를 제외한 일반 대중이용시설에서는 앱을 이용한 방법은 제외된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음성입력,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4 of FIG. 4 relates to satisfying the function of calling without installing an elevator calling app, and when using a building used by a large number of public such as shopping malls, hospitals, hotels, officetels, etc., when installing the app, realistically install and input multiple apps It has to be done, so its effectiveness is low. Therefore, the method of using the app is excluded in general public facilities except for residential resident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 workers such as offices. Possible methods include voice input, optical device (camera), and RFID.

도 4의 5번은 세균,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기능을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접촉식, 준접촉식, 음성입력과 함께 근접거리 비접촉식(1~2cm) 접근방식은 제외되어야 한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No. 5 of FIG. 4 relates to satisfy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teria and viruses, and contact, semi-contact, and proximity non-contact (1 to 2 cm) approaches with voice input should be excluded. Possible methods include optical devices (cameras) and RFID.

도 5의 6번은 비접촉식이면서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되 설치비가 저렴한 것에 관한 것이며,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No. 6 of FIG. 5 relates to a non-contact type hav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target layer but having a low installation cost, and there are optical devices (cameras) and RFID.

도 5의 7번은 비접촉식이면서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되 유지비가 저렴한 것에 관한 것이며, 시설이 간단하고 고정이 적어야 하며,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No. 7 of FIG. 5 relates to a non-contact type hav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target layer, but having a low maintenance cost, a simple facility and less fixing, and an optical device (camera) and RFID.

도 5의 8번은 비접촉식이면서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되 제품의 크기가 작아야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각 층 버튼을 구비하는 제품은 부피가 크므로 제외하고, 터치 판넬 방식도 크기가 크므로 제외한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음성입력,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No. 8 of FIG. 5 relates to a non-contact type hav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target layer, but the size of the product must be small. Exclude. Possible methods include voice input, optical device (camera), and RFID.

도 5의 9번은 비접촉식이면서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되 미관이 나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각 층 버튼을 구비하는 미관이 좋지 않으므로 제외된다.No. 9 of FIG. 5 is a non-contact type and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 target floor, but the aesthetics should not be bad, and the aesthetics having the buttons on each floor is not good, so it is excluded.

도 5의 10번은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와 신규로 제작하는 엘리베이터에 비접촉이면서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며, 음성입력, 광학장치(카메라), RFID가 있다.No. 10 of FIG. 5 relates to a simple and easy installation of a function for inputting a destination floor without contact in an existing elevator and a newly manufactured elevator, and there are voice input, optical device (camera), and RFID. .

도 6은 비접촉 방식의 특징과 성능을 분석한 것이다.6 i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non-contact method.

도 6의 1번은 앱(어플)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이용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과 같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웹은 중거리 비접촉이며, 목적층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병원, 상가 등 일반건물에는 각각 건물별로 설치해야 하거나 설치하고자 하여도 웹이 없으며,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유지비가 높고,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웹을 이용한 방법은 공동주택 등 회원제에 국한된다.No. 1 in Figure 6 relates to the use of the elevator using the app (application). The web for residents, such as apartment hous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medium-distance non-contact and allowing you to input the number of floors, but in general buildings such as hospitals and shopping malls, there is no web or wireless communication Maintenance cost is high, and membership registration is required. Therefore, the method using the web is limited to membership systems such as apartment houses.

도 6의 2번은 승객이 자신의 음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중거리 비접촉이며, 목적층수와 승객수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음성 발성시 침, 비말, 타액이 비산되어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문제가 있다. 단, 승객이 없이 혼자 사용중일 때는 신속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No. 2 in FIG. 6 is a method in which passengers input using their own voice, which is medium-distance non-contac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put the number of destination floors and number of passengers by voice. There is a problem of propagation. However, it can be used quickly and simply when using it alone without passengers.

도 6의 3번은 RFID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회원가입을 통해 카드를 배포하고 등록 수정하며, 주택이나 사무실과 같이 정기적으로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지만, 병원, 상가 등 일반건물에는 사용할 수 없고 설치비 및 유지비가 높고 기존 시설에 적용하기도 힘들다.No. 3 in FIG. 6 is an input method using RFID, which distributes and registers cards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and is suitable for people who live regularly such as houses or offices, but cannot be used in general buildings such as hospitals and shopping malls and cannot be used for installation costs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existing facilities.

도 6의 4번은 근접거리 비접촉 방식으로서 초음파, 광학, 항균필름, 손가락 습도 감지 등이 있으며, 각 층 버튼에 근접하여 손가락을 갖다 대어야 한다. 그러나 홀에 각 층버튼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목적층, 인원수를 입력할 수 없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높고 제품크기도 크고 미관도 좋지 않고 기존의 제품에 수정하여 사용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근접거리 비접촉 방식은 가장 세균 바이러스 예방에는 효과가 있으나 복잡한 시설과 비용,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용을 위한 운송부하를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No. 4 of FIG. 6 is a close-distance non-contact method, and there are ultrasonic waves, optical, antibacterial film, finger humidity detection, etc., and you have to put your finger in close proximity to the button on each floor. However, since each floor button cannot be installed in the hall, the target floor and number of people cannot be entere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the product size is large, the aesthetics is not good, and it is difficult to modify and use the existing product. Therefore, the close-distance non-contact method i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bacteria and viruses, but it has limitations in not knowing complex facilities, cost, and transportation load for efficient elevator operation.

도 6의 5번은 카메라를 이용한 것이며, 카메라 즉 소형렌즈는 각 층 홀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나 카 내부의 각 층 버튼 판넬의 어느 부분에 설치된다. 카메라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층수, 인원수를 읽고 목적층을 자동으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각 층에 몇 명이 어느 층으로 가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송부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No. 5 of FIG. 6 uses a camera, and the camera, that is, a small lens, is installed in any part of the elevator call button of each floor hall or the button panel of each floor inside the car. The camera reads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peopl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automatically enters the destination flo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early know how many people are going to which floor on each floor, and accordingly, the transport load is calculated in real time to enable efficient operation.

스마트폰에 숫자를 표시하여 카메라로부터 10cm~30cm 거리에 제시하면 카메라가 읽는 중거리 비접촉방식이므로 바이러스 세균으로부터 예방된다. 목적층수와 인원수를 읽을 수 있고,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면 사용하 수 있고 새로운 제품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설치비가 높지 않고 유지도 간단하며 제품 크기도 크지 않고 미관도 나쁘지 않다.If you display a number on your smartphone and present it at a distance of 10~30cm from the camera, it is a medium-distance non-contact method that the camera reads, so it is prevented from viruses and bacteria. It can read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it can be used if a camera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existing elevator,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ew product. The installation cost is not high, maintenance is simple, the product size is not large, and the aesthetics is not bad.

카메라는 목적층을 입력하기 위한 현재위치, 목적층수 버튼 입력, 인원수 입력의 복잡한 과정을 각 층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나 카 내부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스마트폰에서 상기과정을 거쳐 나타난 결과값만을 인식하면 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장치는 대부분은 승객의 스마트폰에 있으며 그 과정도 스마트폰에서 사전에 시행되며, 각 홀의 호출버튼은 그 결과값을 읽는 간단하고 신속한 과정만 남게 되고 카메라가 그 결과값을 읽는다.The camera does not perform the complicated process of entering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floor button input, and number of people to input the destination floor, but does not perform the elevator call button on each floor or inside the car. way to be Therefore, most of the input devices are on the passenger's smartphone, and the process is also performed on the smartphone in advance, and the call button in each hall leaves only a simple and quick process of reading the result, and the camera reads the result.

스마트폰은 각 층의 홀 또는 카 내부에 설치되는 숫자 입력 패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승객 개개인이 이동식 숫자 입력 패드를 가지고 다니면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것에 해당한다. 부가적으로 인원수를 입력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각 층의 승객 수요를 알 수 있고 효율적인 운송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The smartphone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a number input pad installed inside the hall or car on each floor, and each passenger carries a mobile number input pad and calls an elevator. By additionally entering the number of people, the elevator control unit can know the passenger demand for each floor and can establish an efficient transportation plan.

한국등록특허 제101196291호(2012.10.25. 등록),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3D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6291 (registered on October 25, 2012),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nterface by recognizing finger movement" 한국등록특허 제101194883호(2012.10.19. 등록), "비접촉식 스크린 제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비접촉식 스크린 제어 방법"Korean Patent No. 101194883 (registered on October 19, 2012), "Non-contact screen control system and non-contact screen control method in the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2011565(2019.08.09. 등록), "비접촉식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Patent No. 102011565 (registered on Aug. 9, 2019), "Non-contact gestur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한국등록특허 제101668360호(2016.10.17. 등록), "IC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8360 (registered on October 17, 2016),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levator Target Floor Identification Using IC Card" 한국등록특허 제101265447호(2013.05.10. 등록),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Korea Patent No. 101265447 (registration on May 10, 2013), "Security system of elevator using multiple authentication means and smart phone" 한국등록특허 제101226808호(2013.01.21. 등록),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6808 (Registered on Jan. 21, 2013),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목적층 입력시 비접촉 방식이면서, 각 층의 실질적인 승객 운송 수요을 파악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dentify the actual passenger transport demand of each floor while being non-contact when entering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비접촉 방식에서는 병원, 상가, 판매시설 등 대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회원가입없이, 각 건물별 앱(어플)을 설치하지 않으며, 각각의 버튼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으며, 버튼으로 부터 10~30cm의 거리에서도 목적층수 입력이 가능하며,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버튼 입력을 2회에서 1회로 단축하며, 입력장치의 크기가 크지 않는 방법과 장치를 고안하고자 한다.In the non-contact method, in facilities used by the public, such as hospitals, shopping malls, and sales facilities, without membership registration, no apps (applications) are installed for each building, no sensors are installed on each button, and even at a distance of 10 to 30 cm from the button. We intend to devise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input the number of floors, has low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reduces button input from 2 times to 1 time,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input device.

실질적인 승객 운송 수요에서는 각 층에서 몇 층으로 몇 명이 이동하는지를 파악 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actual passenger transport dem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or input how many people move from each floor to which fl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각각의 버튼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는 종래 방법 대신 엘리베이터 홀이나 카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목적층의 숫자를 인식하도록 한다.Instead of a conventional method of placing a finger close to each button, a camera is installed in an elevator hall or inside a car and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is recognized.

각 층 홀에 있는 종래의 상하 버튼 대신 몇 층으로 몇 명이 이동하는지를 입력하도록 목적층의 숫자와 탑승인원 숫자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설치한다.Instead of the conventional up and down buttons in the hall of each floor, a camera that recognizes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is installed to input how many people move to which floor.

상하버튼에 따른 내림 오름에 관한 종래의 개략적인 운송계획 대신 파악된 목적층과 인원을 바탕으로 총 탑승인원의 변화를 분석하여 통과층, 저층부, 고층부의 그룹핑, 호기 배정을 하도록 한다.Instead of the conventional rough transportation plan for descending and ascending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buttons, the change of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is analyzed based on the identified destination floor and number of people, and grouping of passing floors, lower floors, and upper floors, and assignment of units are performed.

카 내부에 설치되는 각 층 버튼 대신 스마트폰의 숫자판을 이용하여 목적층수를 입력한 후 그 결과값을 카메라에 제시하여 입력이 되도록 한다.Instead of using the button on each floor installed inside the car, input the number of floors using the numeric keypad of the smartphone, and then present the result to the camera for input.

10~30cm 거리에서 목적층 입력, 설치 및 유지관련 낮은 비용, 작은 크기의 입력장치, 기존 및 신규 엘리베이터에의 이용가능성, 각 건물별 앱(어플)을 설치하지 않는 것은 스마트폰의 화면의 숫자를 이용하도록 한다.Low cost related to inpu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target floor at a distance of 10 to 30 cm, small size input device, availability in existing and new elevators, and not installing apps (applications) for each building reduce the number of screens on the smartphone let it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법은, The method of calling the elevator by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근거리 비접촉 입력 : 각 층 엘리베이터 홀과 카 내부에 설치되고 목적층을 입력받는 카메라로부터 10~30cm의 거리에서 스마트폰의 숫자를 제시하면 되며, 이는 종래의 1~2cm의 근접거리 비접촉 입력방식에 비해, 충분히 안전한 거리(세균, 바이러스)를 확보한다.(1) Short-distance non-contact input: Just present the number of the smartphone at a distance of 10 to 30 cm from the camera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hall and car on each floor and receiving input of the target floor Compared to the method, secure a sufficiently safe distance (bacteria, virus).

(2) 실질적 운송부하 파악 및 분석 : 각 층 홀(승강장)에서 어느 층으로 갈 것인지를 알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상하 버튼에 따른 상승 하강만 알수 있고 몇 층으로 가는 지를 알 수 없는 방식에 비해, 통과층, 정차층, 여러대의 카 운송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2)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ctual transport load: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floor to go to in the hall (platform) of each floor, which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only the up and down buttons can be known and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ich floor to go to. , transit floor, stop floor, and multiple car transportation plans can be established efficiently.

(3) 경제성 : 각 층 홀(승강장)이나 카 내부에 카메라를 추가 설치하면 비접촉으로 목적층을 어디 에서든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카 내부의 수십개의 비접촉 버튼을 설치할 필요 없이, 또한 각 층 홀에 수십개의 비접촉 버튼을 설치하는 효과를 가지며, 카메라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낮고, 부피가 적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고장이 적다.(3) Economical: If a camera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hall (platform) of each floor or inside the car, the destination floor can be inputted from anywhere without contact, which eliminates the need to install dozens of non-contact buttons inside the conventional car, and also It has the effect of installing dozens of non-contact buttons in the hall,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because the camera is simple, the volume is small, the aesthetics is not impaired, and there are few malfunctions.

(4) (버튼) 1회 입력 : 각 층 홀에서 스마트폰의 목적층(예 13층) 숫자를 제시하면 탑승시 카 내부에 목적층(13층) 버튼에 자동으로 불(입력)이 들어오므로 1회 숫자 제시만으로 목적층에 도달 할 수 있다.(4) (button) input once: When you present the destination floor (eg 13th floor) number on your smartphone in the hall on each floor, the light (input) comes on automatically on the destination floor (13th floor) button inside the car when boarding. You can reach the target audience only by presenting a number once.

(5) 회원가입, 앱 설치 불필요 : 대중이용 건물 방문시, 회원가입이나 앱을각 건물별로 설치할 필요 없으며, 무선 통신을 사용하지 않은 오프라인 방식으로서 누구나 스마트폰의 숫자를 활용할 수 있다.(5) No need to sign up for membership or install apps: When visiting public buildings, there is no need to sign up for membership or install apps for each building.

(6) 신속성, 편리성 : 스마트폰상의 숫자외에 종이에 쓰여진 숫자를 읽을 수 있어 그 건물에 거주하는 직원 및 사용자는 숫자 카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숫자 카드는 스마트폰, 지갑, 목에거는 사원증 등에 부착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목적층을 설정할 수 있다.(6) Quickness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o the numbers on the smartphone, numbers written on paper can be read, so employees and users living in the building can use the number cards, and the number cards are attached to smartphones, wallets, and employee IDs worn around the neck. Thus, the target layer can be set easily and quickly.

도 1 내지 도 2는 비접촉 방식, 운송부하 파악 및 분석과 관련한 선행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도 3은 종래(기존)기술에 따른 기능분석표
도 4 내지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과 요구성능 및 해결가능한 기술(실시 예)
도 6은 비접촉 방식의 특징과 성능 분석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승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목적층을 입력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예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9 내지 도 10의 엘리베이터 호출방법을 로직 다이어그램으로 표시.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예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7 내지 도 18의 엘리베이터 층수 입력 방법을 로직 다이어그램으로 표시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엘리베이터 목적층 설정 앱이 바탕화면에 설치된 예시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버튼 앱을 실행하면 나타나는 초기화면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 8을 입력한 경우의 숫자 표시
도 28 내지 도 31은 또 다른 형태의 목적층 숫자 입력의 예시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층 숫자 아래에 탑승인원수가 표시되 예시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1층 또는 각층 엘리베이터 문 앞에 설치된 호출 판넬에 카메라가 부착된 예시
도 34는 도 33의 버튼 판넬의 카메라에 승객이 스마트폰의 목적층 숫자를 갖다 대는 것을 나타낸 예시
도 35는 도 34의 과정을 단면도로 표시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버튼 판넬이 있고 상단에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는 예시
도 37은 도 36의 예시를 단면도로 표시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된 숫자를 이용한 입력의 예시
도 39는 사원증 뒷면에 13층을 인쇄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카메라에 제시하는 경우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의 버튼 판넬의 카메라 또는 카 내부의 카메라에 스마트폰을 수평 또는 사각으로 제시하는 예시
1 to 2 are non-contact method, analysis of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ransport load identification and analysis
3 is a functional analysis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ventional)
4 to 5 are problems, required performance and solvabl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ior art (embodiment)
6 is a characteristic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non-contact method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for calling an elevator with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of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for inputting a destination floor with the number of destination floors displayed on a passenger's smartphone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calling an elevator with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of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6 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ll method of Figures 9 to 10 displayed in a logic diagram.
17 to 18 are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inputting an elevator with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side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4 are logic diagrams showing the elevator floor number input method of FIGS. 17 to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ample in which an elevator destination floor setting app is installed on a desktop screen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 initial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elevator button app of FIG. 25 is executed
27 is a number display when the user inputs the number 8 in the state of FIG. 26
28 to 31 are examples of another type of destination number input
32 i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of passengers is displayed under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attached to a call panel installed in front of an elevator door on the first floor or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n example showing that the passenger touches the target floor number of the smartphone to the camera of the button panel of FIG. 33
3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cess of FIG. 34
36 is an example in which there is a button panel installed inside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mera is disposed at the top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ample of FIG. 36
38 is an example of input using printed nu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case in which the 13th floor is printed on the back of the employee ID and presented to the camera while carrying it.
40 is an example of presenting the smartphone horizontally or squarely to the camera of the button panel of the elevator hall of each floor or the camera inside th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출입구 층 또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 화면의 목적층 숫자(층수)를 엘리베이터 호출 판넬의 카메라에 제시한 승객에게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카를 배정하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of the entrance floor or each floor,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number of floors) on the smartphone screen should be responded to the passenger who presented the camera of the elevator call panel. An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obtain a device for allocating an assigned elevator car.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for calling an elevator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of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홀(Elevator Hall, 승강장)에서, 승객의 스마트 폰(10)은 화면(11)에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의 숫자(층수)(12)를 표시하고 있다.In FIG. 7 ,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the passenger's smart phone 10 displays the number (number of floors) 12 of the destination floor to which the passenger wants to go on the screen 11 .

예를 들어 13층의 안과병원으로 가려고 하는 한 승객이 출입구 층(로비)에 도착하여 자신의 스마트 폰에 “13”이라는 숫자를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a passenger who wants to go to the eye hospital on the 13th floor arrives at the entrance floor (lobby) and displays the number “13” on the screen on his/her smartphone.

엘리베이터 홀의 카 호출 판넬(20)은 엘리베이터 카(car)(40)의 각 서비스 플로어의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고, 상하(위 아래) 콜 버튼(22)과, 스마트 폰(10) 화면(11)의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 숫자(12)를 입력받는 카메라(21)를 구비하고 있다.The car call panel 20 of the elevator hall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hall of each service floor of the elevator car 40, and the up and down (up and down) call buttons 22 and the smart phone 10 screen 11 of A camera 21 is provided that receives the number 12 of the destination the passenger wants to go to.

예를 들면, 15층 상가건물에 있어서 출입구층(1층 로비, 엘리베이터 홀)에는 엘리베이터 2대가 운행중이며, 엘리베이터 호출 판넬에는 버튼(상하)과 함께 목적층의 숫자를 제시하면 이 숫자를 읽는 카메라가 있다.For example, in a 15-story commercial building, two elevators are in operation on the entrance floor (the lobby on the first floor, the elevator hall). have.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30)는 The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승객 스마트 폰(10) 화면(11)상의 목적층 숫자(12)의 제시에 따라 카메라(21)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12)를 판별하는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와, A destination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for determining the number 12 input through the camera 21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12 on the screen 11 of the passenger smart phone 10;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의 판단에 따라 판별된 목적층 호출을 등록하는 목적층 등록부(32)와,The destination registration unit 32 for registering the destination cal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and;

등록된 엘리베이터 홀의 목적층 호출에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와, An elevator car assignment unit 33 that determines an assigned elevator car to respond to a call to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registered elevator hall;

엘리베이터 카(40)를 제어하고, 결정된 할당 엘리베이터 카(40)를, 등록된 엘리베이터 홀 목적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 및an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that controls the elevator car 40, and responds to the determined assigned elevator car 40 to a registered elevator hall purpose call; and

목적층 숫자 판단부(31),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목적층 등록부(32), destination register 32,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Elevator car allocation unit (33),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의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To store the processing program of the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메모리(35)를 구비하고 있다.A memory 35 is provided.

도 7에 있어서,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는 승객이 대기하는 장소에서 자신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층 숫자(번호)를 카메라에 제시하면, 목적층이 몇 층 인지를 판단하고, 원하는 목적층을 등록하고, 승강장 목적 호출에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엘리베이터 홀에 안내한다.In FIG. 7 , when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presents the number (number) of the desired destination to the camera using its own smart phone at the place where the passenger is waiting, it determines which floor is the destination and determines the desired destination. It registers the floor, determines the assigned elevator car that should answer the platform purpose call, and guides the result to the elevator hall.

즉, 카메라 숫자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That i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is

승객의 스마트 폰(10)의 목적층 숫자(12)의 제시에 응답하고, responsive to present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12 on the passenger's smart phone 10;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에 의해, 카메라(21)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 숫자(12)를 판별하고, 운행 가능범위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By the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the target floor number 12 input by the camera 21 is determined, and the validity of the operable range is verified,

목적층 등록부(32)에 의해, 목적층에 대응한 승강장 목적 호출을 등록하고,By the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unit 32, the platform destination call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is registered,

할당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에 의해, 승강장의 목적 호출에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카(40)를 결정하고, determine, by the assigned elevator car allocating unit 33, the assigned elevator car 40 that should answer the destination call of the platform;

할당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에 의해, 할당 엘리베이터 카(40)의 운행을 제어한다.The assigned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ssigned elevator car 40 .

예를 들면, 한 승객이 15층 상가건물의 13층에 있는 안과병원에 가려고 건물앞에 도착하고, 이후 1층 출입구 로비에서 자신의 스마트 폰에 13이라는 숫자를 나타낸 후, 엘리베이터 호출 판넬 상부에 있는 카메라에 10~30cm 거리에 내밀면 카메라가 이 숫자를 읽고,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가 무슨 숫자인지를 판독하고, 운행 가능한 충수 인지를 판단한 후,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며 운행 계획을 수립한다. For example, a passenger arrives in front of the building to go to an ophthalmology hospital on the 13th floor of a 15-story commercial building, then displays the number 13 on his smartphone in the entrance lobby on the first floor, and then the camera on the elevator call panel When it is held out at a distance of 10 to 30cm, the camera reads this number, the elevator control device reads what number it is,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n operable add-on, then allocates the elevator and establishes an operation plan.

그리고 승객에게 “13층이 콜 되었습니다. 2호기를 탑승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LED 패널)를 통해 한다. 이후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고 승객이 탑승하면, 제어장치는 카 내부에 13층 버튼이 눌려져(불이 들어와)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승객은 13층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이 13층에서 하차한다. 따라서 승객은 스마트폰의 13이라는 숫자를 카메라에 내미는 것만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접촉(언택트)으로 13층에 도달할 수 있다.And to the passenger, “The 13th floor has been called. Please board Unit 2” through the speaker or display device (LED panel). After that, when the elevator arrives and a passenger boards, the control device keeps the 13th floor button pressed (lighted) inside the car, so that the passenger gets off the 13th floor without having to press the 13th floor button. Therefore, passengers can reach the 13th floor quickly and safely without contact (untact) just by showing the number 13 on their smartphone to the camera.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승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목적층을 입력하는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putting a destination floor with the number of destination floors displayed on a passenger's smartphone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 칸) 내부에서, 승객의 스마트 폰(10)은 화면(11)에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의 숫자(층수)(12)를 표시하고 있다.In FIG. 8 , in the elevator car (car), the passenger's smart phone 10 displays the number (number of floors) 12 of the destination floor to which the passenger wants to go on the screen 11 .

예를 들어 13층의 안과병원으로 가려고 하는 한 승객이 출입구 층(로비)에 도착하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다른 승객들이 탑승하자 자신도 급히 탑승한 후, 안과병원이 있는 13층으로 가기 위하여 자신의 스마트 폰에 “13”이라는 숫자를 화면에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a passenger who is about to go to the eye hospital on the 13th floor arrives at the entrance floor (lobby), an elevator arrives and other passengers get on. The number “13”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smartphone.

이 때 엘리베이터 카(40) 내부에는 카 내부 판넬(50)이 설치되고, 각 층 버튼(52)과, 열림 닫힘 버튼과, 스마트 폰(10) 화면(11)의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층 숫자(12)를 입력받는 카 내부 카메라(51)를 구비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car inner panel 50 is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40, each floor button 52, the open/close button, and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that the passenger of the smart phone 10 screen 11 wants to go to ( 12) is provided with a car internal camera 51 that receives the input.

예를 들면, 15층 상가건물에 있어서 2대의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이며, 각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운행을 입력받는 카 내부 판넬이 있다. 이 판넬에는 목적층을 입력하는 버튼으로서 지하 3층, 지하 15층 건물이므로 18개의 층 선택 버튼이 있고, 문 닫힘, 열림 버튼이 있고, 스마트 폰 화면의 숫자를 읽는 카메라가 있다.For example, in a 15-story commercial building, two elevators are in operation, and inside each elevator, there is a car inner panel that receives the elevator operation input. This panel is a button to input the destination floor. Since it is a building with 3 basement floors and 15 basement floors, there are 18 floor selection buttons, there are buttons for closing and opening the door, and there is a camera that reads numbers on the smartphone screen.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30)는 The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승객 스마트 폰(10) 화면(11)상의 목적층 숫자(12)의 제시에 따라 카 내부 카메라(51)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12)를 판별하고, 운행가능 범위(층수)인지를 판단하는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와,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number 12 input through the car interior camera 51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target floor number 12 on the screen 11 of the passenger smart phone 10,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operable range (number of floors) a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의 판단에 따라 판별된 목적층을 운행을 등록하는 목적층 등록부(32)와,The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unit 32 for registering the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엘리베이터 카(40) 내부 판넬(50)의 목적층 버튼(52)에 불이 들어오도록 제어하며, 목적층 콜 음성(문자) 안내를 하며, 엘리베이터 카(40)를 목적층까지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 및 Elevator that controls to light on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52 of the elevator car 40 inner panel 50, provides a destination floor call voice (text) guidance, and controls the elevator car 40 to operate to the destination floor car control unit 34 and

목적층 숫자 판단부(31),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목적층 등록부(32), destination register 32,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의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To store the processing program of the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메모리(35)를 구비하고 있다.A memory 35 is provided.

도 8에 있어서,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승객이 자신의 스마트 폰의 화면에 가고자 하는 목적층의 숫자(번호, 층수)를 카 내부 판넬의 카메라에 제시하면, 목적층이 몇 층 인지를 판단하고, 운행가능 층수인지를 판단하고, 목적층을 등록하고, 그 결과를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안내한다.In FIG. 8,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presents the number (number, number of floors) of the target floor that the passenger wants to go to on the screen of his/her smart phone inside the elevator car to the camera of the car inner panel, It determines whether a floor is available,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floors is operable, registers the destination floor, and guides the result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즉, 카메라 숫자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That i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is

승객의 스마트 폰(10)의 목적층 숫자(12)의 제시에 응답하고, responsive to present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12 on the passenger's smart phone 10;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에 의해, 카 내부 카메라(51)에 의해 입력된 목적층 숫자(12)를 판별하고, 운행 가능범위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By the destination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the destination floor number 12 input by the camera inside the car 51 is determined, and the validity of the operable range is verified,

목적층 등록부(32)에 의해, 목적층에 대응한 승강장 목적층을 등록하고,Register the platform destination floo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floor by the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unit 32,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40)의 운행을 제어한다.The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40 .

예를 들면, 한 승객이 15층 상가건물의 13층에 있는 안과병원에 가려고 건물앞에 도착하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다른 승객들이 탑승하자 자신도 급히 탑승한 후, 안과병원이 있는 13층으로 가기 위하여 자신의 스마트 폰에 “13”이라는 숫자를 화면에 표시한 후, 엘리베이터 카 내부 판넬 상부에 있는 카 내부 카메라 앞에 10~30cm 거리에서 내밀면 카 내부 카메라가 이 숫자를 읽고,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가 무슨 숫자인지를 판독하고, 운행 가능한 충수 인지를 판단한 후, 운행 계획을 수립한다. For example, when a passenger arrives in front of the building to go to the eye hospital on the 13th floor of a 15-story commercial building, an elevator arrives and other passengers board. After displaying the number “13” on the screen on your smartphone, if you hold it out from a distance of 10 to 30cm in front of the camera inside the car located on the top of the inside panel of the elevator car, the camera inside the car reads this number, and the elevator's control unit determines what number After reading the cognition, determining whether it is an operable appendix, a driving plan is established.

13층 버튼에 불이 들어오도록(입력, 선택)하고, “13층”이라는 안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LED 패널)를 통해 한다. 이에 따라 승객은 13층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이 13층에서 하차한다. 따라서 승객은 스마트폰의 13이라는 숫자를 카 내부의 카메라에 제시하는 것만으로 신속 안전하게 비접촉(언택트)으로 13층에 도달할 수 있다.Let the 13th floor button light up (input, select), and the message “13th floor” is given through a speaker or display device (LED panel). Accordingly, passengers get off the 13th floor without having to press the 13th floor button. Therefore, passengers can reach the 13th floor quickly and safely without contact (untact) just by presenting the number 13 on the smartphone to the camera inside the car.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예이다.9 to 10 are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calling an elevator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of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있어서, 흐름도는 공정표(schedule) 작성 프로그램인 MS-Project로 작성되었다.In Fig. 9, the flowchart was created with MS-Project, which is a schedule creation program.

각 칼럼 타이틀에 있어서, 첫 번째 칼럼의 ID는 작업(단계, activity, 행위) 번호이고, 작업이름 칼럼은 작업, 행위이고, 부호는 제어장치 도면상의 부호이혹, 선행 ID는 각 작업에 앞서 시행되는 작업번호이고,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새롭게 고안된 작업에 대해 별표로 나타낸 것이고, 막대(bar)표시 영역상단의 1,2,3의 숫자는 단계(step)을 나타낸다.In each column title, the ID of the first column is the operation (step, activity, activity) number, the operation name column is the operation, the activity, the symbol is the symbol on the control device drawing, and the preceding ID is the number that is executed before each operation It is a work number, and a characteristic is indicated by an asterisk for a work newly devi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s 1, 2, and 3 at the top of the bar display area indicate a step.

도 9에 있어서, 각 칼럼 타이틀에 있어서, 첫 번째 칼럼의 ID는 작업(단계, activity, 행위) 번호이고, 작업이름 칼럼은 작업, 행위이고, 부호는 제어장치 도면상의 부호 번호, 선행 ID는 각 작업에 앞서 시행되는 작업번호이고,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새롭게 고안된 작업에 대해 별표로 나타낸 것이다.In Fig. 9, in each column title, the ID of the first column is the operation (step, activity, activity) number, the operation name column is the operation and the activity, the symbol is a reference number on the drawing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preceding ID is each It is the operation number to be executed prior to the 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 is indicated by an asterisk for the operation newly devi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업(동작)의 주체는 승객 및 스마트폰(ID 1),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의 카 호출 판넬(ID 8), 엘리베이터 제어장치(ID 12), 엘리베이터 카(ID 21)로 구성된다.The subject of work (operation) consists of a passenger and a smartphone (ID 1), a car call panel (ID 8)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an elevator control device (ID 12), and an elevator car (ID 21).

이하 작동의 순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quence of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승객이 15층 상가건물의 13층에 있는 안과병원에 가기 위하여 건물입구로부터 1층 로비로 들어서고 엘리베이터 홀에 도착한다(ID 2).A passenger enters the lobby on the 1st floor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go to the eye hospital on the 13th floor of the 15th floor commercial building and arrives at the elevator hall (ID 2).

이후, 자신의 스마트 폰(10)에서 엘리베이터 층수를 표시하는 앱을 실행한다(ID 3).Thereafter, the app displaying the number of elevator floors is executed on the own smart phone 10 (ID 3).

스마트 폰에서 가고자 하는 안과병원이 있는 목적층(12)이 있는 13층인 “13”을 입력하여 화면(11)에 표시한다(ID 4).On the smart phone, input “13”, which is the 13th floor where the target floor 12 where the eye hospital you want to go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11 (ID 4).

이제, 승객이 스마트 폰의 숫자 “13”을 엘리베이터 카(40)를 호출하는 홀의 카 호출 판넬(20)의 카메라(21) 또는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에 제시한다(ID 5).Now, the passenger presents the number “13” of the smart phone to the camera 21 of the car call panel 20 of the hall calling the elevator car 40 or a camera installed separately (ID 5).

그러면 카 호출 판넬(20)의 카메라(21)는 스마트 폰(10), 숫자(12)가 제시되는 지를 판단하고, 작동한다(ID 9).Then, the camera 21 of the car call panel 2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phone 10, the number 12 is presented, and operates (ID 9).

그리고 스마트 폰의 숫자(12)를 읽는다(ID 10).And read the number 12 of the smart phone (ID 10).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30)의 목적층 숫자 판단부(31)는 카 호출 판넬(20)의 카메라(21)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폰의 숫자(12)를 읽고 몇 층인지를 판별한다(ID 13). The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of the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camera number reads the number 12 of the smart phone input from the camera 21 of the car call panel 20 and determines which floor it is (ID 13).

예를 들면, 13이면 13층이라고 판별하다. 130이면, 130층이라고 판단한다.For example, if it is 13,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13th floor. If it is 130,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130th floor.

숫자(12)가 판별되면, 운행가능 범위의 층수인지를 판단한다(ID 14). When the number 12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floors in the operable range is (ID 14).

현재 1층에서 13층으로 갈 수 있으므로 운행가능하다고 판단한다. 130이면, 건물이 15층이므로 운행할 수 없는 층이므로, 에러 메시지를 낸다.Currently, it is possible to go from the 1st floor to the 13th floor, so it is judged that the operation is possible. If it is 130, an error message is generated because the building is on the 15th floor and therefore cannot be operated.

다음으로 목적층 등록부(32)는 판별된 목적층(13층)을 운행층에 등록한다(ID 15).Next, the destination registration unit 32 registers the determined destination floor (13th floor) in the operating floor (ID 15).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는 카를 배정한다(ID 16).And the elevator car allocation unit 33 allocates a car (ID 16).

예를 들면, 2대의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이고, 1호기는 10층에서 올라가는 중이고, 2호기는 지하2층에서 올라오는 중이면, 시간과 거리우선 법칙에 따라 2호기를 배정하여 1층 로비 승강장에 정차시키고 13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수립한다.For example, if 2 elevators are in operation, Unit 1 is going up from the 10th floor, and Unit 2 is going up from the 2nd basement floor, Unit 2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time and distance priority rule and stops at the lobby platform on the 1st floor and set up moving to the 13th floor.

그리고 홀의 카 판넬(20)의 스피커 또는 표시장치를 통해 음성(“13층”) 또는 문자(13층)로 운행안내 메시지를 내보낸다(ID 11).Then, the operation guide message is sent by voice (“13th floor”) or text (13th floor) through the speaker or display device of the car panel 20 of the hall (ID 11).

이후, 제어부(34)는 배정된 카(40)를 탑승층인 1층으로 이동시킨다(ID 17).Thereafter, the control unit 34 moves the assigned car 40 to the first floor, which is the boarding floor (ID 17).

그러면, 엘리베이터 카(40)는 탑승층(1층)으로 이동한다(ID 22).Then, the elevator car 40 moves to the boarding floor (first floor) (ID 22).

제어부(34)는 카(40)가 탑승층(1층)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한다(ID 18).The control unit 34 determines whether the car 40 has arrived at the boarding floor (first floor) (ID 18).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카의 문을 연다(ID 23).The elevator car opens the door of the ca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4 (ID 23).

그러면 승객이 탑승한다(ID 6).The passenger then boards (ID 6).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제어(ID 19)에 따라 카 내부 판넬(20)의 목적층 버튼인 13층 버튼에 불이 들어도록 점등한다(ID 25).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control (ID 19) of the control unit 34, the 13th floor button, which is the target floor button of the car inner panel 20, is turned on to light (ID 25).

예를 들면, 승객은 ID 5에서 13층을 이미 제시하였으므로 카 내부에 탑승한 후 13층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13층 버튼이 점등된다(시간단축, 동작간소화, 비접촉).For example, since the passenger has already presented the 13th floor in ID 5, the 13th floor button is automatically turned on without having to press the 13th floor button after boarding the car (time reduction, operation simplification, non-contact).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카의 목적층 안내를 스피커나 표시장치에 문자로 표시한다(ID 24).The elevator car displays the destination floor guidance of the car in text on a speaker 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4 (ID 24).

예를 들면, 스피커에서 “13층, 올라갑니다. 문이 닫힙니다”라는 메시지가 탑승 후 나온다. 또는 행선층 표시장치(LED 판넬)에 13층이 표시된다.For example, from the speaker, “The 13th floor, go up. The message “The door is closed” appears after boarding. Alternatively, the 13th floor is displayed on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 device (LED panel).

여러 승객이 1층에서 탑승한 경우, “7층, 9층, 13층, 15층, 문이 닫힙니다.”라는 안내 방송이 나온다.When multiple passengers board on the 1st floor, an announcement is displayed saying “The 7th, 9th, 13th, 15th floors, the door is closed.”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제어(ID 20)에 따라 카의 문을 닫는다(ID 26)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elevator car closes the car door under the control (ID 20) of the control unit 34 (ID 26).

엘리베이터 카(40)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목적층 13층으로 이동(ID 27)하고, 승객은 13층에서 하차한다(ID 7).The elevator car 40 moves to the 13th floor of the destination flo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 (ID 27), and the passenger gets off the 13th floor (ID 7).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9 내지 도 10의의 엘리베이터 호출방법을 로직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한 것이다.11 to 16 is a logic diagram showing the elevator calling method of FIGS. 9 to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11 shows the entire logic diagram.

도 12 내지 도 16에 있어서, 첫번째 줄(row)은 승객 및 스마트폰의 작동, 두번째 줄은 승강장의 카 호출 판넬의 작동, 세번째 줄은 제어장치의 작동, 네번째 줄은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을 나타낸다. 네모박스안의 위의 숫자는 ID번호이고, 아래는 작업이름을 나타낸다.12 to 16, the first row shows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and the smartphone, the second row shows the operation of the car call panel of the platform, the third row show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fourth row show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The upper number in the square box is the ID number, and the lower number is the job name.

도 12에 있어서, 첫번째로 ID 2에서 탑승객 1층 로비(홀, 승강장)에 도착한다. 다음으로 ID 3에서 스마트폰의 엘리베이터 층수 표시 앱을 실행한다. 이하는 도 9와 도 10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In Fig. 12, the passenger first arrives at the lobby (hall, platform) on the first floor from ID 2. Next, run the elevator floor display app on the smartphone in ID 3.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S. 9 and 10 ,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의 목적층을 입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17 to 18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inputting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elevator by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side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있어서, 작업의 주체는 승객 및 스마트폰(ID 10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ID 108), 엘리베이터 카 내부 버튼 판넬(ID 116), 엘리베이터 카(ID 120)로 구성된다.In Fig. 17, the subject of work is composed of a passenger and a smartphone (ID 101), an elevator control device (ID 108), an elevator car interior button panel (ID 116), and an elevator car (ID 120).

이하 작업(작동)의 순서를 설명한다.The sequence of operations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승객이 15층 상가건물의 13층에 있는 안과병원에 가기 위하여 건물입구로부터 1층 로비로 들어서고 엘리베이터 홀에 도착한다(ID 102).A passenger enters the lobby on the first floor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go to the eye hospital on the 13th floor of the 15th floor commercial building and arrives at the elevator hall (ID 102).

이때 엘리베이터 카(40)가 1층에 도착하고 상승 표시가 있다(ID 121).At this time, the elevator car 40 arrives on the first floor, and there is an ascending mark (ID 121).

엘리베이터 카의 문이 열린다(ID 122).The elevator car door opens (ID 122).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다(ID 103).A passenger boards the elevator car (ID 103).

승객이 자신의 스마트 폰(10)에서 엘리베이터 목적층수(12)를 표시하는 앱을 실행한다(ID 104).The passenger executes an app that displays the number of elevator floors 12 on their smart phone 10 (ID 104).

스마트 폰에서 가고자 하는 안과병원이 있는 13층인 “13”을 입력하여 화면에 표시한다(ID 105).Enter “13”, which is the 13th floor of the ophthalmic hospital you want to go to, on the smartphone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ID 105).

이제, 승객이 스마트 폰의 숫자 “13”을 엘리베이터 카(40) 내부의 버튼 판넬(50)의 카메라(51) 또는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에 제시한다(ID 106).Now, the passenger presents the number “13” of the smart phone to the camera 51 of the button panel 50 inside the elevator car 40 or a camera installed separately (ID 106).

그러면 카 내부 판넬(50)의 카메라(51)는 스마트 폰(10), 목적층 숫자(12)가 제시되는 지를 판단하고, 작동한다(ID 117).Then, the camera 51 of the car inner panel 5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phone 10 and the target floor number 12 are presented, and operates (ID 117).

그리고 스마트 폰의 숫자(12)를 읽는다(ID 118).Then, the number 12 of the smart phone is read (ID 118).

제어장치(30)의 목적층 숫자 판단부(31)는 카 내부 판넬(50)의 카메라(51)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폰의 숫자(12)를 읽고 몇 층인지를 판별한다(ID 109). The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of the control device 30 reads the number 12 of the smart phone input from the camera 51 of the car inner panel 50 and determines the floor number (ID 109).

예를 들면, 13이면 13층이라고 판별하다. 130이면, 130층이라고 판단한다.For example, if it is 13,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13th floor. If it is 130,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130th floor.

숫자가 판별되면, 운행가능 범위의 층수인지를 판단한다(ID 110). If the number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floors in the operable range is (ID 110).

현재 1층에서 13층으로 갈 수 있으므로 운행가능하다고 판단한다. 130이면, 건물이 15층이므로 운행할 수 없는 층이므로, 에러 메시지를 낸다.Currently, it is possible to go from the 1st floor to the 13th floor, so it is judged that the operation is possible. If it is 130, an error message is generated because the building is on the 15th floor and therefore cannot be operated.

다음으로 목적층 등록부(32)는 판별된 목적층(13층)을 운행층에 등록한다(ID 111).Next, the destination registration unit 32 registers the determined destination floor (13th floor) in the operating floor (ID 111).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목적층 버튼(52) 점등 제어(ID 112)에 따라 카 내부 판넬(50)의 목적층 버튼인 13층 버튼(52)에 불이 들어오도록 점등한다(ID 119). In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ID 112) of the target floor button 52 of the control unit 34, the 13th floor button 52, which is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of the car inner panel 50, lights up (ID 119) .

예를 들면, 승객은 ID 6에서 13층을 이미 제시하였으므로 13층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자동으로 13층 버튼이 점등된다(시간단축, 동작 간소화, 비접촉).For example, since the passenger has already presented the 13th floor in ID 6, the 13th floor button is automatically turned on without having to press the 13th floor button (time saving, operation simplification, non-contact).

카 내부 판넬(50)의 스피커 또는 표시장치를 통해 음성(“13층”) 또는 문자(13층)로 목적층 운행관련 안내 메시지를 내보낸다(ID 123).Through the speaker or the display device of the inner panel 50 of the car, a voice (“13th floor”) or text (13th floor) sends out a guide messag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ID 123).

예를 들면, 스피커에서 “13층 올라갑니다, 문이 닫힙니다”라는 메시지가 탑승 후 나온다. 또는 행선층 표시장치(LED 판넬)에 13층이 표시된다.For example, the message “We will go up to the 13th floor, the door is closed” is displayed after boarding from the speaker. Alternatively, the 13th floor is displayed on the destination floor display device (LED panel).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문닫힘 제어(ID 113)에 따라 카 문을 닫는다(ID 124). The elevator car closes the car door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control (ID 113) of the control unit 34 (ID 124).

이후, 제어부(34)는 카를 목적층으로 13층으로 이동시키고(ID 114), 엘리베이터 카는 목적층(13층)으로 이동한다(ID 125).Thereafter, the control unit 34 moves the car to the 13th floor to the destination floor (ID 114), and the elevator car moves to the destination floor (13th floor) (ID 125).

제어부(34)는 카가 목적층(13층)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한다(ID 115).The control unit 34 determines whether the car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floor (13th floor) (ID 115).

엘리베이터 카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카의 문을 연다(ID 126).The elevator car opens the door of the ca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 (ID 126).

그러면 승객이 하차한다(ID 107).The passenger then alights (ID 107).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7 내지 도 18의 카 내부에서의 엘리베이터 목적층 입력방법을 로직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한 것이다.19 to 24 are logic diagrams showing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input method in the car of FIGS. 17 to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19 shows the entire logic diagram.

도 20 내지 도 24에 있어서, 첫번째 줄(row)은 승객 및 스마트폰의 작동, 두번째 줄은 제어장치의 작동, 세번째 줄은 카 내부의 버튼/카메라 판넬의 작동, 네번째 줄은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을 나타낸다. 네모박스안의 위의 숫자는 ID번호이고, 아래는 작업이름을 나타낸다.20 to 24, the first row is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and the smartphone, the second row i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the third row is the operation of the button/camera panel inside the car, and the fourth row i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indicates. The upper number in the square box is the ID number, and the lower number is the job name.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와 엘리베이터 버튼 판넬의 카메라의 실시예이다. The following is an embodiment of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and the camera of the elevator butt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엘리베이터 목적층 설정 앱이 바탕화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승객의 앱을 구글 플레이에서 엘리베이터 목적층 숫자 앱을 다운로드 한다. 25 shows that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setting app is installed on the desktop screen i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wnload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number app from Google Play for the passenger's app.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 앱”을 설치하면 스마트폰 바탕화면에 목적층 숫자 앱이 설치된다. For example, if you install the “elevator button app”, the destination floor number app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desktop.

앱 이외에도 전화걸기 숫자 키보드를 이용한 숫자 표시, 카카오톡 메시지 보내기에서의 숫자, 카카오톡의 엘리베이터 목적층 숫자(신설), 문자 보내기에서의 숫자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pp, you can use the number display using the numeric keyboard to make a call, the number in KakaoTalk message sending, the number of the elevator destination floor of KakaoTalk (new), and the number in sending text messages.

또한 종이에 숫자를 적을 수 있으며 핸드폰 뒷면에 숫자가 출력된 카드를 투명한 핸드폰 지갑사이에 넣는 방법, 사원증 뒷면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가 숫자를 읽을 수만 있으면 유효하다.You can also write numbers on paper, put a card with numbers printed on the back of the phone between the transparent phone wallets, and display the numbers on the back of the employee ID. It is valid as long as the camera can read the numbers.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목적층 앱을 실행하면 나타나는 초기화면이다. 상단에 “가시고자 하는 층수(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26 is an initial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elevator destination app of FIG. 25 is executed. At the top, the message “Enter the number of floors you want to go to” is displayed.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 13을 입력한 경우이다. 숫자와 함께 바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숫자 또는 바코드 중 어느것이 판독이 유리한지, 속도가 빠른지를 측정하여 바코드는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27 is a case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number 13 in the state of FIG. 26 .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barcodes with numbers, in which case the barcodes can be used further by measuring which of the numbers or barcodes is more advantageous and faster to read.

도 28은 또 다른 목적층 숫자를 입력한 예시이다. 전화걸기의 숫자판에 36층을 입력하였다. 이를 카메라에 제시한다.28 is an example of inputting another destination number. You entered the 36th floor on the dial of the dialer. Present it to the camera.

도 29는 숫자카운터 앱을 이용한 13층 입력의 예시이다.29 is an example of 13th floor input using a number counter app.

도 30은 New counter 앱을 이용한 8층 입력의 예시이다.30 is an example of 8th floor input using the New counter app.

도 31은 지하3층인 “-3”을 입력한 예시이다.31 is an example in which “-3”, which is the third basement floor, is input.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층 숫자 아래에 탑승인원수가 표시되 일예이다. 사용자는 목적층에 숫자를 입력한 후 아래 탑승인원수를 선택한 후 인원을 입력한다. 또는 목적층 입력 후 몇 초 경과 후 커서가 아래로 이동하면 인원을 입력할 수 있다. 32 is an example in which the number of passengers is displayed under the target floor nu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nters a number in the destination floor, selects the number of passengers below, and then enters the number of passengers. Alternatively, after a few seconds have elapsed after entering the destination, if the cursor moves down, the number of people can be entered.

또는 통상 인원이 2명 내지 5명 이내이므로 목적층 입력 후 인원수 아이콘을 선택하여 인원수를 지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since the normal number of people is within 2 to 5 people, the number of people can be designated by selecting the number of people icon after inputting the target floor.

인원수를 지정하지 않거나 그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 다시 한 번 더 제시하면 2명으로 카운트 된다. 예를 들어 현재 3명이 탑승을 하려고 하면, 스마트폰 숫자를 한 번 제시한 후 다시 제시 다시 제시하면 3명으로 카운트 한다. If the number of people is not specified or there is no such function, it will be counted as 2 people by presenting it again. For example, if there are currently 3 people trying to board, present the smartphone number once and then present it again, and it will count as 3 people.

다시 제시하는 시간은 통상 1초 내지 2초 범위이내이며 최초 제시 후 삐 소리 등 스캔이 되었다는 완료 소리가 나면 다시 대면된다.The re-presentation time is usually within the range of 1 to 2 seconds, and after the initial presentation, when there is a beep sound indicating that the scan has been completed, they will face each other again.

탑승인원수를 지정하면 제어장치가 건물전체의 승강부하를 판단하는데 유리하다. 현재 몇 층에 몇 명이 어디로 가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행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passengers is designated, it is advantageous for the control device to determine the lifting load of the entire building.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efficient operation plan because it is possible to grasp in real time how many people are going on which floor and where they are going.

예를 들어 고층 오피스 빌딩에는 수천 명이 근무하게 되는데 점심시간에 다수 직원이 함께 식사, 회의, 행사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인원수를 입력해주면 제어장치가 효율적으로 인원배정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 직원들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high-rise office building, thousands of people work, and if a large number of employees go to a meal, meeting, or event together during lunchtime, input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control device can efficiently allocate the number of employees. can also move quickly.

예를 들어 현재 23층에 6명이 18층으로 이동한다고 입력된 경우, 엘리베이터 1호기 내의 승객하중으로 부터 탑승가능 인원수를 산출할 수 있고 2명 정도만 추가로 탑승이 가능하다면 23층의 6명을 실을 수 없으므로 23층을 통과시키고 다른 엘리베이터를 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entered that 6 people on the 23rd floor will move to the 18th floor, the number of people that can board can be calculated from the passenger load in elevator No. You can't go through the 23rd floor and assign another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문이 열렸는데 탈 수 있는 인원이 2명 밖에 안될 경우, 타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가 몇 초 후 닫혀 그냥 내려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수 십초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In general,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there are only two people who can ride it, the elevator closes after a few seconds and goes down.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1층 또는 각 층 엘리베이터 문 앞(홀, 승강장)에 설치된 호출 판넬에 카메라가 부착된 일예이다. 상단에 “목적층 숫자를 카메라에 대십시요”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33 i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attached to a call panel installed in front of an elevator door (hall, platform) on the first floor or each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op, there is a notice saying “Put the target floor number to the camera”.

도 34는 도 33의 홀 버튼 판넬의 카메라에 승객이 스마트폰의 목적층 숫자를 갖다 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스마트폰상에 표시된 숫자는 현재 승객이 가고자 하는 층이 8층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FIG. 34 shows that the passenger puts the target floor number of the smartphone to the camera of the hall button panel of FIG. 33 . The numbe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dicates that the floor the passenger wants to go to is the 8th floor.

예를 들어 현재 승객이 있는 층이 15층이고 8층을 제시하면 제어장치는 15층에서 8층으로 가능 승객이 있다고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floor where the current passenger is located is the 15th floor and the 8th floor is presen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re are available passengers from the 15th floor to the 8th floor.

도 35는 도 34의 과정을 단면도로 표시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카메라로 부터 약 10cm 내지 30cm의 거리에 있고, 카메라는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된 목적층 숫자를 읽는다.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FIG. 34 . The smartphone is at a distance of about 10 cm to 30 cm from the camera, and the camera reads the target floor numbe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이와 같이 비접촉식으로 숫자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제어장치는 현재층에서 목적층으로 가는 승객을 파악할 수 있다.Just by presenting the number in a non-contact manner, the control device can identify the passenger going from the current floor to the destination floor.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버튼 판넬이 있고 상단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일예이다. Figure 36 is an example in whi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button panel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and the camera is installed at the top.

도 37는 도 36 예시를 단면도로 표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버튼 판넬 상부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승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의 숫자 “8”)을 카메라에 제시한다.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ample of FIG. 36 . A camera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tton panel inside the elevator car, and the passenger presents the number “8”) on their smartphone to the camera.

엘리베이터 1대가 운행중인 건물인 경우, 만약 1층이나 각 층 엘리베이터 홀에서 이미 카메라에 숫자를 제시하였다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다시 숫자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 In the case of a building with one elevator in operation, if the number has already been presented to the camera on the first floor or in the elevator hall on each floor, there is no need to present the number again inside the elevator car.

제어장치가 이미 대기중인 층에 도착시 목적층의 번호를 알고서 카 내부 판넬의 해당 버튼에 불이 들어오도록 제어하고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trol device arrives at the waiting floor, it knows the number of the destination floor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button on the inside panel of the car to light.

목적층의 취소는 종래의 방식으로 버튼을 눌러서 해제할 수 있다. 목적층의 변경은 다른 숫자를 제시하면 된다.Cancell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can be canceled by pressing a button in a conventional manner. To change the target layer, you just need to present a different number.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된 숫자를 이용한 입력의 일예이다. 사무실의 경우, 직장인이 다니는 층이 거의 고정되어 있다. 상가건물의 경우에도 그 상가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다니는 층이 고정되어 있다. 아파트의 경우에도 집의 층수가 동일하다. 38 is an example of input using printed nu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offices, the floor to which office workers go is almost fixed. Even in the case of a commercial building, the floor that the employees working in the mall go to is fixed. In the case of an apartment, the number of floors in the house is the same.

즉 직장이나 집의 경우 층수가 고정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number of floors is fixed in the case of a workplace or a house.

이때에도 스마트폰에 이전에 입력된 동일 숫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더욱 단순화하기 위한 방법은 자주 이용하는 층수 숫자를 명함크기로 인쇄하여 스마트폰 뒷면(투명한 커버)에 끼우거나 붙여서 사용하는 예시이다.At this time, the same number previously entered in the smartphone can be used. A method to further simplify this process is an example in which the frequently used number of floors is printed in the size of a business card and inserted or pasted on the back (transparent cover) of the smartphone.

도 38에서는 스마트폰 뒷면의 투명한 커버 사이에 9라는 숫자를 인쇄하여 끼워넣고 다니면서 로비의 카 호출 판넬의 카메라에 제시한다.In FIG. 38, the number 9 is printed and insert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s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presented to the camera of the car call panel in the lobby.

도 39는 사원증 뒷면에 13층을 인쇄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카메라에 제시하는 경우이다. 한편 숙박시설인 호텔이나 콘도 등에서는 호텔의 방번호가 적힌 룸 키(열쇠) 또는 방 번호가 적힌 카드를 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39 is a case in which the 13th layer is printed on the back of the employee ID and presented to the camera while carrying it. On the other hand, in hotels or condos that are accommodation facilities, you can use a room key (key) with the room number of the hotel on it or a card with the room number on it.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층 엘리베이터 홀의 버튼 판넬의 카메라 또는 카 내부의 카메라에 스마트폰을 수평 또는 사각으로 제시하는 일예이다. 카메라가 수직으로 되는 경우, 승객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 또는 45도 등 사각으로 스캔이 가능하도록 한 일예이다. 수직으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카메라의 위치가 허리 또는 배꼽 정도가 바람직하며 팔을 드는 동작이 편리하고 카메라가 얼굴을 스캔하지 않는 높이이므로 프라이버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40 is an example of presenting the smartphone horizontally or squarely to the camera of the button panel of the elevator hall of each floor or the camera inside th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is vertical, it is an example of enabling the scan from below or from a rectangular angle such as 45 degrees so that the privacy problem of passengers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vertically, it is desi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about the waist or navel, the movement of raising the arm is convenient, and there is no privacy problem because the camera is at a height at which the face is not scanned.

카메라의 위치를 카의 측면(카 내부에서 도어를 볼 때 왼쪽 또는 오른쪽 벽면)에 배치하는 경우, 승객들의 얼굴이 보이지 않아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If the camera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r (on the left or right wall when looking at the door from inside the car), the faces of the passengers are not visible, so privacy issues do not arise.

본 발명에서는 숫자로 목적층을 지정하였다. 이외에도 문자나 도형(문양, 동물, 식물)으로 층수를 지정할 수 있다. 7층인 경우, “칠”로 표시하며, 별(star)을 7개로 표시하며, 사과 7개를 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layer is designated by a number. In addition, the number of floors can be designated with text or figures (patterns, animals, plants). In the case of the 7th floor, “chill” is indicated, 7 stars are indicated, and 7 apples are indicated.

동식물은 청소년이나 어린이에게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3층인 경우 손가락 3개를 표시하며, 1층 로비의 경우, 손가락 1개를 표시한다.Plants and animals can be useful to adolescents and children. In addition, it can be used with a finger,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floor, three fingers are indicated, and in the case of the lobby on the first floor, one finger is indicated.

탑승 후 자주 사용하는 닫힘 버튼을 비접촉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상에서 “닫힘”이라는 표시하고 카메라에 제시하면, 닫힘이 입력되고 카 도어가 닫힌다.In order to use the frequently used close button non-contact after boarding, display “closed” on the smartphone and present it to the camera, then the closing is input and the car door is closed.

지하층인 경우 마이너스, 지하 탭을 이용하여 표기할 수 있으며 “-3”인 경우, “지하” 입력란에 3입력하면, 지하 3층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basement, it can be indicated by using the minus and underground tabs. In the case of “-3”, if you enter 3 in the “underground” input box, it is recognized as the 3rd basement floor.

숫자 키 패드를 이용하는 대신, 카지노와 같은 상하 회전식 숫자판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다. Instead of using the numeric keypad, you can specify using a numeric keypad that rotates like a casino.

제어부가 각 층 엘리베이터 대기 홀의 표시부(액정 표시장치)를 통해 현재 엘리베이터가 있는 층, 향후 정차할 층 및 인원수를 실시간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탑승객은 어떤 엘리베이터를 타야할지 계단으로 가야 할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display the current elevator floor, the floor to be stopped in the future, and the number of people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liquid crystal display) in the elevator waiting hall on each floor. be able to make rational decisions.

대부분의 승객들은 보다 신속하게 목적층으로 이동하길 원한다. 다수 인원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을 대는 것만으로 제어부가 가장 신속한 운행을 계산하여 자신이 신속하게 운송시켜 줄 것이라는 것이 인식이 되고 비접촉에 대한 욕구가 높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용성은 높아질 것이다. Most passengers want to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more quickly. In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trol unit will calculate the fastest operation by simply touching the smartphone, and it will be transported quickly by itself, and the desire for non-contact will be high, so the us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rease.

대중이 이용하는 상업시설, 병원, 사무실, 아파트 등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위생, 보건, 건강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버튼이 유용하다.A contactless button is useful to prevent sanitation, health, and health problems caused by viruses in commercial facilities, hospitals, offices, and apartments used by the public.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메라를 추가 설치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an elevator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camera and upgrading the control program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operating elevator.

신규 엘리베이터 제작시에는 종래의 버튼 판넬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When a new elevator is manufactured,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a conventional button panel, and a program can be upgraded and used.

카메라로 입력된 숫자를 버튼을 누른 효과로 대체하는 것 외에 각 층의 대기 인원과 목적층을 대부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승객 수송 방법의 제시된다. In addition to replacing the number entered by the camera with the effect of pressing a butt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most of the number of people waiting on each floor and the destination floor, so an efficient passenger transportation method is proposed.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은 현재 운행중인 엘리베이터 및 신규로 제작하는 엘리베이터 및 건물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applied to currently operating elevators and newly manufactured elevators and buildings.

10 : 승객의 스마트폰
11 : 스마트폰의 화면
12 : 스마트폰 화면상의 숫자(번호)
20 : 승강장의 카 호출 판넬
21 : 승강장의 카메라
22 : 승강장의 호출 버튼
30 : 카메라 숫자에 따른 제어장치
31 : 목적층 숫자 판단부
32 : 목적층 등록부
33 :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
34 :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
35 : 메모리
40 : 엘리베이터 카
50 :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버튼/카메라 판넬
51 : 카 내부 카메라
52 : 버튼
10: Passenger's smartphone
11: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2: Number (number) on the smartphone screen
20: car call panel of the platform
21 : Camera in the platform
22: call button of platform
30: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31: target layer number determination unit
32: destination register
33: elevator car allocation unit
34: elevator car control unit
35: memory
40 : elevator car
50: button / camera panel inside the elevator car
51: car inside camera
52: button

Claims (1)

엘리베이터 홀(승강장)에서 스마트폰 화면의 목적층 숫자(층수)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객 스마트 폰(10) 화면(11)상의 목적층 숫자(12)의 제시에 따라 카메라(21)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12)를 판별하는 목적층 숫자 판단부(31) ;
목적층 숫자 판단부(31)의 판단에 따라 판별된 목적층 호출을 등록하는 목적층 등록부(32) ;
등록된 엘리베이터 홀의 목적층 호출에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카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 ;
엘리베이터 카(40)를 제어하고, 결정된 할당 엘리베이터 카(40)를, 등록된 엘리베이터 홀 목적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 ; 및
목적층 숫자 판단부(31), 목적층 등록부(32), 엘리베이터 카 배정부(33), 엘리베이터 카 제어부(34)의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35)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의 목적층 숫자(층수)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장치.
In the device for calling the elevator with the target floor number (floor number) on the smartphone screen in the elevator hall (platform),
Destination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for determining the number 12 input through the camera 21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12 on the passenger smart phone 10 screen 11;
Destination registration unit 32 for registering the destination cal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stination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an elevator car assignment unit 33 that determines an assigned elevator car that should respond to a destination floor call of a registered elevator hall;
an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that controls the elevator car 40 and causes the determined assigned elevator car 40 to respond to a registered elevator hall purpose call; and
Memory 35 for storing the processing program of the target floor number determination unit 31, the target floor registration unit 32, the elevator car allocation unit 33, and the elevator car control unit 34
A device for calling an elevator with the target floor number (floor number) of the smartphon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200084635A 2020-07-09 2020-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KR202200067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35A KR20220006796A (en) 2020-07-09 2020-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35A KR20220006796A (en) 2020-07-09 2020-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96A true KR20220006796A (en) 2022-01-18

Family

ID=8005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635A KR20220006796A (en) 2020-07-09 2020-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79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455A1 (en) * 2021-11-10 2023-05-19 양경옥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including camera for calling elevator, through destination floor numeral of smartph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83B1 (en) 2010-03-19 2012-10-25 김은주 system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in the system
KR101196291B1 (en) 2010-07-26 2012-11-09 이종우 Terminal providing 3d interface by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method thereof
KR101226808B1 (en) 2008-07-07 2013-01-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1265447B1 (en) 2011-10-14 2013-05-20 박종헌 Elevator security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methods and Smartphone
KR101668360B1 (en) 2014-07-28 2016-10-21 이창재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elevator destination floor using integrated circuit
KR102011565B1 (en) 2017-08-04 2019-08-16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Contactless gesture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08B1 (en) 2008-07-07 2013-01-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1194883B1 (en) 2010-03-19 2012-10-25 김은주 system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ing non-contact screen in the system
KR101196291B1 (en) 2010-07-26 2012-11-09 이종우 Terminal providing 3d interface by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method thereof
KR101265447B1 (en) 2011-10-14 2013-05-20 박종헌 Elevator security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methods and Smartphone
KR101668360B1 (en) 2014-07-28 2016-10-21 이창재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elevator destination floor using integrated circuit
KR102011565B1 (en) 2017-08-04 2019-08-16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Contactless gesture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455A1 (en) * 2021-11-10 2023-05-19 양경옥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including camera for calling elevator, through destination floor numeral of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7771B2 (en) Elevator system
ES2966858T3 (en) Dispatch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CN106458505A (en) Touchless gesture recognition for elevator service
US20130277153A1 (en) Conveying system
JP6540503B2 (e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group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US201203053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service requests to a conveyance system
JP5996725B1 (en) Elevator control panel
EP2517996A1 (en) Elevator system
KR101633062B1 (en)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11608A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group control system of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JP2016069119A (en) Elevator destination control system
JP6687001B2 (en) Call information output device, elevator system
JP6642380B2 (en) Elevator system
JP2018199539A (en) Portable terminal, program, group control system of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US202202748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operating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screen system
KR101923401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KR20180087230A (en) Elevator system
KR202200067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of public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passenger's mibile phone
CN112839889B (en) Interface device,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estination call
CN112839890B (en) Interface device,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destination calls
JP2015182819A (en) Elevator equipped with landing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system
KR20220013803A (en) Apparatus and methods of elevators to calculate passenger transport loads by equipped with cameras that read the target number of floors on a passenger's mobile phone
JP2019116388A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group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system
KR202101384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the elevator and passenger transport load analysis of the building by the number of the target floo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CN115427335A (en) Scheme for generating non-contact elevator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