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01B1 -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01B1
KR101923401B1 KR1020170148390A KR20170148390A KR101923401B1 KR 101923401 B1 KR101923401 B1 KR 101923401B1 KR 1020170148390 A KR1020170148390 A KR 1020170148390A KR 20170148390 A KR20170148390 A KR 20170148390A KR 101923401 B1 KR101923401 B1 KR 10192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ser
call
user termina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경주
Original Assignee
전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주 filed Critical 전경주
Priority to KR102017014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omprises: an NFC tag provided in a wall of an elevator boarding gate of each floor; a user terminal used by a user, and receiving user request information having an ascending call, a descending call, and the arrival number of floors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an elevator along with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elevator performing the elevator control in accordance with a user request message having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0001]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system, in which a user controls an elevator.

최근, 사회가 발전해감에 따라 고층건물에서 엘리베이터는 필수적인 이동수단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이제 엘리베이터는 단순한 승객 운송수단에서 탑승객에게 편리하고도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고층 아파트와 같은 주거밀집 환경에서는 엘리베이터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할 운송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s society has developed, elevators have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transportation in high-rise buildings. Now, elevators have evolved into a means of providing convenient and safe services for passengers on simple passenger transportation. Especially, in a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an elevator is used as a transportation means to be installed.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도어 측면에 있는 엘리베이터 호출 스위치를 눌러 엘리베이터를 사용자가 위치한 현 층수로 이동시켜 탑승한 후 카 내실에 있는 조작 장치의 층별 선택 버튼을 입력하여 원하는 층까지 승강 사용한다.Generally, a user pushes an elevator call switch on a side of a door of an elevator and moves the elevator to the current floor number where the user is located. After the elevator is mounted, the floor selection button of the operation device in the car room is inputted.

엘리베이터의 내부 층수버튼의 경우에는,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누름버튼(기계식호출형 - 푸쉬버튼)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inner layer number button of the elevator, a push button (mechanical pager-push button)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is provided in the elevator.

엘리베이터 외부에 마련된 외부 호출 버튼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계식 푸쉬버튼 타입의 호출 수단의 경우, 건물 내부의 어느 층에 정지한 승강기를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의 호출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다. In the case of a mechanical push button type calling means which is mainly used in an external call button provided outside the elevator, a call button of an up button or a down button is pressed on an elevator stopped at a certain floor inside the building.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호출 형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elevator call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호출버튼을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탑승 후에는 원하는 층수를 내부 층수버튼을 눌러서 선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외부 또는 내부 층수버튼을 사용자가 일일이 눌러야 하는데, 이는, 전염병 위험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감환자나 메르스 환자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고자 외부 또는 내부 층수버튼을 터치하거나 기침 등을 하여 호출버튼에 전염균이 달라붙은 경우, 추후 다른 정상인이 해당 외부 또는 내부 층수버튼을 터치할 경우 전염균이 정상인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다.First, in order to use the elevator, the elevator is called by pressing the external call button, or after the elevator is loaded, the desired number of floors must be selected by pressing the number of floors button. In this way, the user has to press the external or internal number of buttons one by one, which can spread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For example, when a flu patient or a mars patient touches an external or internal number of layers button to carry an elevator, or coughs, etc., and the infecting bacteria attaches to the calling button, another normal person touches the corresponding external or internal number of layers button There is a risk that the infecting microorganism will spread to the normal person.

둘째, 외부 호출버튼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호출된 층에 멈출 때,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용자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여 당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층에서 1층으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용자가 화장을 고치거나 등의 개인적인 용무를 처리할 때, 외부 10층에서의 호출로 인해 10층에 멈추는 것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Second, when the elevator is stopped on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is called by the external call button, the user aboard the elevator may not be aware of it at all and may be upset. For example, when a user on an elevator descending from the 20th floor to the 1st floor handles personal work such as repairing makeup or the like, it does not know at all that it stops at the 10th floor due to a call from the outside 10th floor.

한국공개특허 10-2001-008532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8532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마련된 버튼을 터치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by which a user can operate an elevator without touching a button provided on the elevato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태그 식별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함께 엘리베이터로 무선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NFC tag provided in a wall of an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hav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therein; 1. A terminal used by a us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n ascending call, a descending call, and a number of arriving elevators requested by a us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elevator; And an elevator for performing elevator contro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엘리베이터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을 요청받는 외부 호출버튼;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도달 층수를 요청받는 내부 층수버튼;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와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요청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사용자 요청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or includes an external call button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being requested to make an ascending or descending call of the elevator; An internal number of storages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and requested by the passenger to reach the number of arriving arrivals; A bluetooth module provided in a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inside the elevator and receiving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when the validity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is verified.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 식별정보를 판독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 요청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블루투스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read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agging the NFC tag, receives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n ascending call, a descending call, and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of the elevator reques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And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cluded user request message to the Bluetooth modul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transmits the number of arrivals of the elevator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d 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the number of arriving arrivals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in real tim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이 있어 호출된 층수에 정지해야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호출된 층수인 타인 호출 층수를 제공해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타인 호출 층수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provides the number of the called party number, which is the number of the called number from the other user, to the user terminal in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call is stopped due to the elevator call from another user, The number of floors can be displayed.

사용자 단말기가,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타인 호출 증수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필드에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in real time or display the number of other calls in a superimposed manner on a field smaller than the content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층별로 탑승구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CCTV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system includes a CCTV camera that photographs the vicinity of an elevator gate of each floor in real time and generates a gate image for each floor and transmits the gate signal image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To the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who has boarded the elevator, and 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the number of the gate number image of the number of the floor to get off.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마련된 버튼을 터치하지 않고 자신의 스마트폰 등으로 조작할 수 있어, 전염병 등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operate a button provided on the elevator without touching the elevator with his own smartphone or the like, so that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탑승구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엘리베이터간의 블루투스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엘리베이터간의 블루투스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달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타인 호출 층수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CTV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예시 그림.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n elevator in an elevator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used by a user and an elevator in an elevator interi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number of arrivals of elevators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that displays the number of tine call layer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a CCTV image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탑승구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엘리베이터간의 블루투스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엘리베이터간의 블루투스 통신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n elevator in an elevator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n elevator used by a user in an elevator interi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 NFC 태그(300), 및 엘리베이터(100)를 포함한다.The elevato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an NFC tag 300, and an elevator 100, as shown in Fig.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and is exemplified by a smart phone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but may be a tablet PC, a slate PC,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Player), and the lik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but may include all portable mobile terminals. For reference, a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a mobile phone, and can install an application (APP) desired by the user.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100)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100)로 무선 송신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입구에서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하여 도달하려는 도달 층수를 입력받아, 태그 식별정보와 함께 엘리베이터(100)로 무선 송신한다.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scending call, the descending call, and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of the elevator 100 requested by th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elevator 1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ascending or descending call at the elevator entrance, or to receive the number of arriving seats to be reached on the inside of the elevator and wirelessly transmit the same to the elevator 100 together wit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NFC 태그(300)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태그 식별정보가 기록된 태그이다. NFC는,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다. 따라서 NFC 기능이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된 NFC 태그(300)에 접촉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이 된다.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쉽고 빠르게 사용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될 수 있다.The NFC tag 300 is a tag that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NFC i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that transmits various wireless data within a distance of 10cm or less. Therefore, when the user terminal 200 having the NFC func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FC tag 300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the Bluetooth pair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bluetooth with the user terminal 200 without complicated setting process.

엘리베이터(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정보와 태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의 엘리베이터 입구에 있는 NFC 태그(300)를 태깅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을 무선 수신하는 경우, 엘리베이터(100)는 1층에 도달하도록 제어를 한다.The elevator 100 performs elevator contro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elevator 100 wirelessly receives an ascending or descending call from the user terminal 200 tagging the NFC tag 300 at the elevator entrance of the first floor,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10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10층이라는 도달 층수 정보를 엘리베이터(100)로 무선 전송하게 되고, 엘리베이터(100)는 10층에 도달하여 정지하게 된다.3, when the user who has boarded the elevator inputs ten floors to his / her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wirelessly transmits the arrival floor number information of the eleventh floor to the elevator 100 And the elevator 100 reaches the 10th floor and stops.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별도의 호출 버튼이나 층수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자신의 단말기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대중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100)의 사용으로 인한 전염병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operate the elevator 100 by operating his / her terminal without pressing a separate call button or the number of floors butt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the use of the elevator 100 used by a large number of the publi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달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타인 호출 층수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number of arrivals of an elevator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that displays the number of tall call layer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xample.

엘리베이터(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호출버튼(110), 내부 층수버튼(120), 블루투스 모듈(130), 사용자 요청 정보 저장부(140), 및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를 포함한다.4, the elevator 100 includes an external call button 110, an internal number button 120, a Bluetooth module 130, a user request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150 do.

외부 호출버튼(110)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100)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을 요청받는 버튼이다.The external call button 110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is a button requested to call up or down call of the elevator 100. [

내부 층수버튼(120)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도달 층수를 요청받는 버튼이다.The number buttons 120 are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to request the number of arriving passengers to reach.

블루투스 모듈(130)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와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요청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블루투스(bluetooth)란 근거리 스마트폰, 이어폰, 노트북 등의 휴대 기기간의 사진, 음성 등을 정보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100)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블루투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 Bluetooth module 130 is provided i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inside the elevator and receives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term "bluetooth" refers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and voice between portab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n earphone, and a notebook. Accordingly,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scending call, the descending call, and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of the elevator 100 requested by the user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via Bluetooth.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엘리베이터 탑승구 벽에 마련된 NFC 태그(300)를 태깅하여 태그 식별정보를 판독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100)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 요청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블루투스 모듈(130)로 블루투스 송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read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agging the NFC tag 300 provided on the elevator gate wall, and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vation call requested by the user, the descending call, Input information. Then, the Bluetooth module 130 can transmit the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Bluetooth module 130.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는,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사용자 요청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태그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검증이라 함은,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와 엘리베이터(100)에 할당된 태그 식별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When the validity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30 is verified, 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performs elevator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Here, validation of the validity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o verify whethe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30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elevator 100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는 여러대의 엘리베이터(100)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 요청 정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엘리베이터를 탑승하고자 하는 A 사용자가 상승 호출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블루투스 송신하였는데, 이러한 A 사용자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인접한 제1엘리베이터와 제2엘리베이터 모두 수신하는 경우, A 사용자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제1엘리베이터만 A 사용자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에, A 사용자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제2엘리베이터는 A 사용자의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고 폐기 처분한다.This is to prevent confusion of user request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vators 100. For example, when a user A who wants to board a first elevator sends a Bluetooth user request message of an ascending call and receives a user request message of the A user both in the adjacent first elevator and the second elevator, Only the first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quest message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message of the A use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evator that does not mat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of the A user ignores and discards the user request message of the A user.

사용자 요청 정보 저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체이다. 이는 추후 사고 등의 문제 발생 시에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히스토리 관리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user request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is a storage body for storing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n ascending call, a descending call, and a number of arriving elevators requested by a user. This is to manage the history to inquire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the like in the futu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torage body may be a hard disk drive, an SSD drive (Solid State Drive), a flash memory, a CF card (Compact Flash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 memory card, a media card, an MMC card, a memory stick, or the like,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사용자 요청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이외에, 엘리베이터(100) 운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its own terminal.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는, 엘리베이터(100)의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블루투스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되는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00)를 탑승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 움직임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된 표시 패널을 쳐다봐야 하는 불편없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쳐다보는 것만으로도 엘리베이터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this purpose, 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number of arrivals of the elevator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via Bluetooth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number of arriving arrivals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in real time. Therefore, the user who boarded the elevator 100 can check his / her user terminal 200 and confirm the number of arriving elevators according to the elevator movement in real time.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the number of arriving elevators in real time simply by looking at the user terminal 200 without inconveniencing the user to look at the display panel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엘리베이터(100) 호출이 있어 호출된 층수에 정지해야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호출된 층수인 타인 호출 층수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인 호출 층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also provides the number of the other calling parties to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elevator, which is the number of the calling number from another user, when 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has to stop at the number of calls due to the call of the elevator 100 from another user .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user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number of other calling layers on the screen.

따라서 외부 호출버튼(110)에 의해 엘리베이터(100)가 호출된 층에 멈출 때, 엘리베이터(100)에 탑승한 사용자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여 당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타인 호출 층수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vator 100 stops at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100 is called by the external call button 110, the user aboard the elevator 100 can not be aware of the elevator 100 at all, By displaying the number of call layers, the user may not panic.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200)가,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타인 호출 증수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필드에 겹쳐서 표시하도록 한다.Further,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in real time, or displays the number of other calls in a superimposed manner on a field smaller than the content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예를 들어, '네이버'의 뉴스의 콘텐츠 화면의 구석 모서리게 작은 크기로서 도달 층수나 호출 층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00)를 탑승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표시된 '네이버'의 뉴스를 응시하더라도, '네이버'의 뉴스의 콘텐츠 화면의 구석 모서리게 작은 크기로서 표시되는 도달 층수나 호출 층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number of reachable layers or the number of layers to be called as a small size of the corner corner of the content screen of the news of "Naver". Even if the user strolls the elevator 100 and watches the news of 'Naver' displayed on his / her terminal, the number of reachable floors or the number of floors displayed as a small corner edge of the content screen of 'Naver' do.

참고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은, 사용자 조작을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될 수 있는데,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For referenc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receiving a user operation. The touch screen panel provides a touch screen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work screen,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is display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CTV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예시 그림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CCTV image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호출버튼(110)에 의해 엘리베이터(100)가 호출된 층에 멈출 때, 엘리베이터(100) 탑승한 사람은 외부인에 의해 호출되어 멈추는 층수의 바깥 상황을 전혀 알지 못한다. 만약, 강도 등의 불법적인 사람이 엘리베이터(100)를 호출하여 외부에서 기다리고 있다면 위험해질 수 있다.When the elevator 100 stops on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100 is called by the external call button 110, the person aboard the elevator 100 is never called by the outside person and knows nothing about the number of floors to be stopped. If an illegal person, such as a robber, calls the elevator 100 and is waiting outside, it can be dangerous.

이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층별로 탑승구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CCTV 카메라(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the elevato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CTV camera 400 that photographs the vicinity of an elevator gate of each floor in real time, generates a gate image for each floor, and transmits it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do.

엘리베이터 제어부(150)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블루투스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blueprint image of the number of departing gateways to be taken by the user who is inside the elevator to the user terminal 200 used by the user who rides in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of the gate of the vehicle.

따라서 엘리베이터(100) 탑승자는 다른 제3자의 호출에 의해 의도치 않게 멈추게 되는 층수의 탑승구 주변 상황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하여 대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assenger of the elevator 100 can check the situation around the boarding gate which is inadvertently stopped by a call of another third party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imag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assis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엘리베이터
200;사용자 단말기
300:NFC 태그
400:CCTV 카메라
100: Elevator
200; a user terminal
300: NFC tag
400: CCTV camera

Claims (7)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태그 식별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엘리베이터 입구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태그 식별정보와 함께 엘리베이터로 무선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정보와 태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을 요청받는 외부 호출버튼;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도달 층수를 요청받는 내부 층수버튼;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체와 엘리베이터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요청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와 엘리베이터에 할당된 태그 식별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태그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사용자 요청 메시지내의 사용자 요청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체;
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이 있어 호출된 층수에 정지해야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호출된 층수인 타인 호출 층수를 제공해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타인 호출 층수를 표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각 층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층별로 탑승구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CCTV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블루투스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하차하려는 층수의 탑승구 영상을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n NFC tag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 terminal used by a user for inputting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n elevator call request, an elevator call request, and a reaching number of elevators requested by a user in an elevator entrance or an elevator, ; And
An elevator for performing elevator contro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Lt; / RTI >
The elevator includes:
An external call button provided on the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being requested to make an elevator call up or down call;
An internal number of storages provided inside the elevator and requested by the passenger to reach the number of arriving arrivals;
A bluetooth module provided in a wall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and inside the elevator and receiving a user request message including use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ler verifies whethe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elevator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when the validity of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request message is verifie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nd
A storage body for storing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n elevator call, a descent call, and a number of arriving elevators requested from a user;
/ RTI >
The elevator control unit includes:
Transmits the number of arrivals of the elevator to the user terminal in Bluetooth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of arriving arrivals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in real time,
When there is an elevator call from another user and the number of the called floor is to be stopped, the number of the other calling floor which is the number of the floor called from another user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elevator,
Where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of the other calling layers,
Wherei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comprises:
And a CCTV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gate of each floor in real time, generating a gate image for each floor, and transmitting the gate signal image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The elevator control unit transmits the gate number image of the number of the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to the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inside the elevator,
Where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gate number image of a number of floors to be lower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 식별정보를 판독하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엘리베이터의 상승 호출, 하강 호출, 도달 층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 요청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블루투스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The NFC tag is tagged to rea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rising call, the descending call, and the arrival floor number of the elevator requested by the user is input,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Bluetooth module;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도달 층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타인 호출 증수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필드에 겹쳐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of arriving layers in real time,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overlapping area on a field smaller than the content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KR1020170148390A 2017-11-08 2017-11-08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KR101923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90A KR101923401B1 (en) 2017-11-08 2017-11-08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90A KR101923401B1 (en) 2017-11-08 2017-11-08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01B1 true KR101923401B1 (en) 2018-11-29

Family

ID=6456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90A KR101923401B1 (en) 2017-11-08 2017-11-08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0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3814A1 (en) * 2020-07-15 2022-01-2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05964B2 (en) 2020-07-15 2022-04-19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19186B2 (en) 2020-07-15 2022-05-03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472662B2 (en) 2020-07-15 2022-10-18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3814A1 (en) * 2020-07-15 2022-01-2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05964B2 (en) 2020-07-15 2022-04-19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19186B2 (en) 2020-07-15 2022-05-03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472662B2 (en) 2020-07-15 2022-10-18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780703B2 (en) 2020-07-15 2023-10-1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401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CN107004312B (en) Method for providing visitor controlled access into a building
ES2965462T3 (en) User device including secondary touch elevator service request interface
US11926504B2 (en) Using and modifying preset elevator calls
JP5237832B2 (en) Communications system
CN110395634B (en) Elevator system
JP2009220924A (en) Security system of elevator
US20160090270A1 (en) Device triggered elevator car call
JP6211217B1 (en) Building beacon system
WO2015119620A1 (en) Smart watch for elevator use
JP7060898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JP4933384B2 (en) Elevator security system
CN112839889B (en) Interface device,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estination call
KR20150073440A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using by nfc mobile phon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0728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JP2015074938A (en) Collective housing intercom system, and wireless authentication device for auto lock door
JP6216233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US20230120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that control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that control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261763A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101257729B1 (en) Method for Tracking Elevator History Boarding User and Elevator
JP2013102335A (en) Entering/leaving management system
JP2001302117A (en) Elevator car call registering system
KR102380153B1 (e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102459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elevator by one or more computing device
JP2019186697A (en) Interco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