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264A - cremation material - Google Patents

cremation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264A
KR20210124264A KR1020217025688A KR20217025688A KR20210124264A KR 20210124264 A KR20210124264 A KR 20210124264A KR 1020217025688 A KR1020217025688 A KR 1020217025688A KR 20217025688 A KR20217025688 A KR 20217025688A KR 20210124264 A KR20210124264 A KR 2021012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smetic material
layer
shap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츠 오가와
고지 도이
히로키 가와니시
게이스케 츠루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2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한다.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Provided is a cosme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slip properties and excellent designability not only when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A cosmetic material having a design layer, which has an irregular concavo-convex shape on one side of the decorative material, wherein the concavo-convex shape is the sum of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measured by a 3D shape measuring device A cosmetic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ed volume (Vvv+Vvc) is 15 mL/m 2 or more.

Description

화장재cremation material

본 발명은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material.

건축재, 가구, 가전제품 등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를 가식(加飾)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장재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In building materials, furniture, home appliances, etc., when a member to be used is to be decorated (加飾), a cosmetic material is generally used.

특히 화장재를 바닥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미끄럼 방지성이 요구된다. In particular, when a cosmetic material is used as a flooring material, slip resistance is required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보호층이 2층 이상의 복수층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고, 그 최표층에만 수지계 비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마찰을 저감하여, 미끄럼 방지성을 부여한 바닥재 표면용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laminate for the surface of a flooring material in which a surface protective layer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a resin-based bead is added only to the outermost layer to reduce friction and impart anti-slip properties. has been

한편, 일상생활에서는, 키친이나 탈의실 등을 대표로 하는 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환경, 즉 물 주변의 환경에서, 바닥이 물에 젖는 것에 의해 사람이 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everyday life, in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typified by a kitchen, a changing room, etc. may be used, ie, in an environment around water, a person may fall down when a floor gets wet with water.

그런데, 전술한 바닥재 표면용 적층체에서는, 건조시의 미끄럼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고려되었지만,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에 관해서는 고려되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By the way, in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surfaces mentioned above, although it was considered to improve the slip resistance at the time of drying, it did not consider about the slip resistance at the time of getting wet with water, and there existed room for improvement.

종래부터, 항상 물로 젖어 있는 경우가 많은 욕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닥재로서는, 오목부가 깊고 오목부의 폭이 넓은 표면 형상을 부여하여,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을 향상시킨 것이 판매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s a flooring material used in bathrooms, etc., which is always wet with water,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deep recessed portion and a wide recessed portion provided with a surface shape to improve anti-slip properties when wet with water is sold.

그러나, 그 표면 형상은 규칙성이 있는 바둑판 모양 등의 기하학적인 것으로, 하지의 의장이 한정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어, 나무결 모양이나 돌결 모양 등과 같은 높은 의장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수요가 적었다. However, the surface shape is a geometric thing such as a checkerboard shape with regular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of the underlying material is limited, and there is little demand for applications requiring high designability such as a wood grain pattern or a protrusion pattern.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3-16708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167089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slip properties and excellent designability not only at the time of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화장재의 표면 형상에 주목했다. 그 결과, 한쪽 면에, 불규칙하고 특정한 용적을 갖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 subject mentioned above, and paid attention to the surface shape of a cosmetic material.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by forming an irregular and uneven shape having a specific volume on one surface, a cosme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slip properties and excellent designability can be obtained not only when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즉, 본 발명은,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material having a design layer, and has an irregular concavo-convex shape on one side of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concavo-convex shape is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of the core part measured by a 3D shape measuring device. It is a cosmetic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Vvv+Vvc) expressed by the sum of (Vvc) is 15 mL/m 2 or more.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is a continuous shape.

또한,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olume (Vvv+Vvc) is preferably 55 mL/m 2 or less.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as for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it is preferable that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defined by JIS B0601 (2001) is 70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as for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it is preferable that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fined by JIS B 0601 (2001) is 13 micrometers or more and 30 micrometers or less.

또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concave-convex shape,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roughness motif defined by CNOMO is preferably 1.00 mm or more.

또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urface protective layer on the side which has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of the said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은,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This invention can provide the cosmetic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anti-slip property and also excellent in designability not only at the time of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도 1의 (a) 및 (b)는, 화장재를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부하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표면 형상(불규칙한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재가 피착재에 적층된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load curve obtained by measuring a cosmetic material with a 3D shape measuring device.
Fig. 2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urface shape (irregular shape) of a preferable example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 is another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one aspect.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on an adherend.

우선은, 본 발명의 화장재에 관해 설명한다. First,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또,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로 표시되는 수치 범위의 하한 상한은 「이상 이하」를 의미한다(예컨대, α∼β이면 α 이상 β 이하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pper limit of the lower limit of the numerical range represented by "-" means "more than or less than" (for example, if it is α to β, it is α or more and β or less).

본 발명은,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밀리리터/평방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material having a design layer, which has an irregular concavo-convex shape on one side of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concavo-convex shape is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measured by a 3D shape measuring device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Vvv + Vvc) expressed as the sum of the values is 15 mL/m 2 (milliliter/square meter) or more.

<화장재가 갖는 요철 형상> <Concave-convex shape of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이다. In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convex shape has a volume (Vvv+Vvc) expressed as the sum of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measured by a 3D shape measuring device (Vvv+Vvc) is 15 mL/ more than m2.

본 발명의 화장재는, 이러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건조시의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다 하더라도 발바닥 등과 물이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할 수 있어,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다. Since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 concave-convex shape, it is not only excellent in anti-slip properties when dried, but also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feet and the like can be reduced even when wet, so that the anti-slip property even when wet with water this is excellent

상기 용적(Vvv+Vvc)은,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20 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mL/㎡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L/㎡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volume (Vvv+Vvc) is preferably 20 mL/m 2 or more, more preferably 25 mL/m 2 or more, and 30 mL/m 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more suitably imparting anti-slip properties when wet with water. More preferably.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m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적(Vvv+Vvc)이 55 mL/㎡을 넘으면, 오목부에 들어간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어, 청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volume (Vvv+Vvc) is 55 mL/m<2>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mL/m<2> or less. When the said volume (Vvv+Vvc) exceeds 55 mL/m<2>, it may become difficult to remove the dirt which entered a recessed part, and cleaning property may fall.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 해석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were measured using a 3D shape measuring machine (product name: One-shot 3D shape measuring head "VR-3100", controller "VR-3000", manufactured by KEYENCE) ,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측정 모드 : 슈퍼파인Measurement mode: Superfine

측정 방향 : 양측Measurement direction: both sides

밝기 조정 : 오토(80)Brightness Adjustment: Auto (80)

측정 배율 : 12×Measurement magnification: 12×

측정 스케일 : 18 mm×24 mm Measuring scale: 18 mm×24 mm

측정마다 포커스 가이드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한다. Adjust the focus from the focus guide for each measurement.

해석 애플리케이션(「VR-H2A」,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측정 데이터의 전처리를 행한다. Measurement data is preprocessed by an analysis application ("VR-H2A",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1 기준면 설정(기준면 지정 방법 : 영역 지정(화상 전체))1 Set the reference plane (reference plane designation method: area designation (all images))

2 면 형상 보정(보정 방법 : 굴곡 제거, 지정 방법 : 보정의 강도(5))2-face shape correction (correction method: deflection removal, designation method: correction strength (5))

그 후, 기능(체적) 파라미터로부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산출한다. Then,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are calculated from the functional (volume) parameter.

도 1은, 화장재를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지는 부하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load curve obtained by measuring a cosmetic material with a 3D shape measuring device.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체적) 파라미터는, 부하 곡선(부하 면적률이 0%로부터 100%가 되는 높이를 나타낸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며, 어떤 높이(c)에서의 부하 면적률은, 도 1의 (a)에서의 Smr(c)에 상당한다.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은, 부하 면적률이 80% 이상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며, 상기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부하 면적률이 10% 이상 80% 미만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a) and (b), the function (volume) parameter is calculated using a load curve (a curve showing the height at which the load area ratio is from 0% to 100%), The load area ratio at a certain height c corresponds to Smr(c) in Fig. 1A.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void volume in the range where the load area ratio is 80% or more,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is the void volume in the range where the load area ratio is 10% or more and less than 80%. has been calculated.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불규칙한 형상이다. In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shape is an irregular shape.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바람직한 일례의 표면 형상(불규칙한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Fig.2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which show the surface shape (irregular shape) of a preferable example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의 화장재(10)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등의 여러가지 의장을 도안층으로서 적용했다 하더라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Since the cosmetic materi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rregular concavo-convex shape as shown in Figs. Even if applied, there is no discomfort.

한편, 표면에 규칙적인 요철 형상(예컨대 기하학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등의 여러가지 의장을 도안층으로서 적용하면 위화감이 생겨 버린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regular uneven shapes (eg, geometric patterns) are formed on the surface, a sense of incongruity arises when various designs such as wood grain, protrusion, and texture are applied as a design layer.

여기서 「불규칙한 요철 형상」이란, 주기적인 요철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화장재의 표면을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을 때에,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Here, "irregular concavo-convex shape" means that it does not have periodic irregularities.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cosmetic material is measured with a 3D shape measuring machine (product name: One-shot 3D shape measuring head "VR-3100", controller "VR-3000", KEYENCE America (manufactured by the Company), the area ratio of the convex part (island part) and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or the number of convex parts (island part) is not constant when observing 5 arbitrary places (18 mm x 24 mm) by it means.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부(섬부)란, 상기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전술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과 동일한 측정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62.5% 이상, 100% 이하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오목부(골짜기부)란,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0% 이상, 62.5% 미만에 포함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convex part (island part) is the highest point of the surface height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3D shape measuring device under the same measurement conditions as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It means an area in which the ratio of the surface is 62.5% or more and 100% or less, and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means an area in which the ratio of the surface height to the highest point is 0% or more and less than 62.5%. .

또, 상기 「면적 비율」이란, 측정한 개소(18 mm×24 mm)의 요철 형상에 관해,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로 구분하고, 각각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area ratio" refers to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measured location (18 mm x 24 mm), divided into a convex part (island part) and a concave part (valley part), and the area occupied by each is measured and compared. can be obtained by

의장성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임의의 5개소(18 mm×24 mm)의 각각에 있어서, 볼록부(섬부)의 수가 5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개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suitably imparting designability, in each of the above five arbitrary locations (18 mm x 24 mm),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sland portions)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100 or more, and 15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re are more than one.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is a continuous shape.

상기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인 것에 의해, 화장재가 물에 젖은 경우나, 오물이 부착된 경우에, 물이나 오물의 도피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Because the concave-convex shape is a continuous shape, an escape route for water or dirt is secured when the cosmetic material gets wet with water or when dirt adheres. can be appropriately given.

여기서 「연속된 형상」이란, 끊김 없이 이어져 있는 오목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화장재의 표면을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을 때에,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해 있는(이어져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Here, "continuous shape" means that there are concave portions that are continuously connected.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cosmetic material is measured with a 3D shape measuring device (product name: One-shot 3D shape measuring head “VR-3100”, controller “VR-3000”). , KEYENCE, Inc.) when observing any 5 places (18 mm x 24 mm), it is continuous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100%) of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in the observed position. ) means that the area of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is 90% or more.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WHEREIN: It is preferable that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defined by JIS B 0601 (2001) is 70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When said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is the said range, the slip resistance when wet with water and cleanability can be provided more suitably.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는, 90 μm 이상 180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μm 이상 160 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for the said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90 micrometers or more and 180 micrometers or les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10 micrometers or more and 160 micrometers or less.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WHEREIN: It is preferable that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fined by JIS B0601 (2001) is 13 micrometers or more and 30 micrometers or less.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When the sai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is the said range, the slip resistance when wet with water and cleanability can be provided more suitably.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16 μm 이상 27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 μm 이상 24 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for the sai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6 micrometers or more and 27 micrometers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9 micrometers or more and 24 micrometers or less.

또,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id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an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are obtained by measuring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FCOM-FLEX-50A", manufactured by Tokyo Precision Industry Co., Ltd.) have.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산출 규격 : JIS' 01Output standard: JIS' 01

측정 종류 : 거칠기 측정Measurement Type: Roughness Measurement

평가 길이 : 40.00 mm Evaluation length: 40.00 mm

컷오프값 : 8.00 mm Cutoff value: 8.00 mm

측정 속도 : 1.50 mm/s Measuring speed: 1.50 mm/s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한다. When the concave-convex shape has directionality, it i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even shape preferably has an average length (AR) of a roughness motif defined by CNOMO of 1.00 mm or more.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물에 젖었을 때의 미끄럼 방지성이나 청소성을 보다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When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roughness motif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ore suitably provide anti-slip properties and cleanability when wet with water.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1.5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roughness motif is more preferably 1.50 mm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 mm or more.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발바닥과 물이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하여,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5.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roughness motif is preferably 5.0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5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area in which the sole and water contact and appropriately imparting anti-slip properties even when wet with water. desirable.

또, 상기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는,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said roughness motif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the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FCOM-FLEX-50A", Tokyo Precision Co., Ltd. make).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산출 규격 : CNOMO Output standard: CNOMO

측정 종류 : 단면 측정Measurement type: section measurement

평가 길이 : 16.00 mm Evaluation length: 16.00 mm

측정 속도 : 0.60 mm/sMeasuring speed: 0.60 mm/s

λs 필터 : 8.00 μm λs filter: 8.00 μm

모티브 계산 : LIMIT A 0.5 mm, LIMIT B 2.5 mm Motif calculation: LIMIT A 0.5 mm, LIMIT B 2.5 mm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한다. If the concave-convex shape has directionality, it i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본 발명의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열에 의한 엠보스 가공, 부형 시트에 의해 요철 형상을 전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forming the said uneven|corrugated shape, For example, embossing by heat, the method of transferring an uneven|corrugated shape with a shaping sheet, etc. are mentioned.

상기 엠보스 가공으로서는, 예컨대, 주지의 매엽, 또는, 윤전식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said embossing process, the method of performing embossing by a well-known sheet-fed or a rotary embossing machine is mentioned, for example.

(도안층)(Design layer)

본 발명의 화장재는 도안층을 갖는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has a design layer.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재의 다른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 is another aspect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one aspect.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층(20)은, 화장재(10)의 요철 형상(11)을 갖는 면과 반대측에 갖고 있어도 좋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안층(20)은, 화장재(20)의 요철 형상(11)을 갖는 측에 갖고 있어도 좋고,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재(10)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층의 사이(내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으며, 특별히 형성되는 곳은 한정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3(a), the design layer 20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material 10 having the concave-convex shape 11, and as shown in Fig. 3(b) . Similarly, the design layer 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having the uneven shape 11 of the decorative material 20, and as shown in Fig. 3(c), the decorative material 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When comprised,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ayers (inside), and the place in particular formed is not limited.

도안층은, 화장재에 원하는 도안(의장)을 부여하는 층이며, 도안의 종류 등은 한정적이지 않다. 예컨대, 나무결 모양, 레이저 모양, 돌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을 붙인 모양, 벽돌을 쌓은 모양, 옷감결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The design layer is a layer that provides a desired design (design) to the cosmetic material, and the type of the design is not limited. For example, a wood grain pattern, a laser pattern, a stone grain pattern, a sand grain pattern, a tiled pattern, a brick stacked pattern, a cloth grain pattern, a geometric figure, a character, a symbol, an abstract shape, etc. are mentioned.

상기 도안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공지의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하여 얻어지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법에 의해, 후술하는 기재 시트의 위 등, 화장재의 임의의 장소에 형성하면 된다. 또한, 화장재의 일부나 전체를 착색하거나, 복수종의 수지를 혼합해도 좋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desig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printing method using an ink obtain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known colorant (dye or pigment) together with a binder resin in a solvent (or dispersion medium) will be described lat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in arbitrary places of a cosmetic material, such as the top of the base material sheet to make. Moreover, a part or the whole of a cosmetic material may be colored, or you may mix multiple types of resin.

잉크로서는, 화장 시트의 VOC를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수성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As ink, an aqueous composition can also be used from a viewpoint of reducing VOC of a decorative sheet.

상기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카본블랙, 티탄백, 아연화, 벵가라, 감청, 카드뮴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클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분, 브론즈분 등의 금속분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트 등의 펄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실리카 등의 필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활성제 등과 함께 이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colorant inclu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rbon black, titanium white, zinc oxide, bengara, royal blue, and cadmium red; organic pigments such as azo pigments, lake pigments, anthraquinone pigments, quinaclidone pigments, phthalocyanine pigments, isoindolinone pigments, and dioxazine pigments; metal powder pigments, such as aluminum powder and bronze powder; pearlescent pigments such as titanium oxide-coated mica and bismuth oxide; fluorescent pigments; A luminescent pigment etc. are mentioned. These coloring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These colorants may be used together with fillers such as silica, extenders such as organic beads, neutralizers, surfactants, and the like.

상기 결착재 수지로서는, 친수성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로진 유도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의 알콜 부가물,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도 병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수지, 폴리 N-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수용성 아미노계 수지, 수용성 페놀계 수지, 그 밖의 수용성 합성 수지; 폴리뉴클레오티드, 폴리펩티드, 다당류 등의 수용성 천연 고분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이 변성한 것 내지 상기 천연 고무 등의 혼합물, 그 밖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착재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binder resin include polyester, polyacrylate, polyvinyl acetate, polybutadiene, polyvinyl chloride, chlorinated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styrene-acrylate copolymer, and rosin, in addition to the hydrophilic treated polyester-based urethane resin. A derivative, an alcohol adduct of a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a cellulose resin, etc. can also be used together.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polyacrylamide-based resin, poly(meth)acrylic acid-based resin, polyethylene oxide-based resin, polyN-vinylpyrrolidone-based resin, water-soluble polyester-based resin, water-soluble polyamide-based resin, water-soluble amino-based resin resins, water-soluble phenolic resins, and other water-soluble synthetic resins;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such as polynucleotides, polypeptides, and polysaccharides; etc. can also be used. Further, for example,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polyurethane-polyacrylic resin, etc. are modified, or mixtures of the above natural rubber, etc., and other resins can also be used. The said binder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상기 용제(또는 분산매)로서는, 예컨대,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석유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메틸알콜, 에틸알콜, 노르말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콜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 물 등의 무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또는 분산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solvent (or dispersion medium) include petroleum organic solvents such as hexane, heptane, octane, toluene, xylene, ethylbenzene, cyclohexane, and methylcyclohexane; ester-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2-methoxyethyl acetate, and 2-ethoxyethyl acetate; alcohol-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yl alcohol, ethyl alcohol, normal 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ketone-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ether-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diethyl ether, dioxane, and tetrahydrofuran; chlorine-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dichloromethane, carbon tetrachloride,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Inorganic solvents, such as water, etc. are mentioned. These solvents (or dispersion medium)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상기 도안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면 솔리드형의 도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롤코트법, 나이프코트법, 에어나이프코트법, 다이코트법, 립코트법, 콤마코트법, 키스코트법, 플로우코트법, 딥코트법 등의 각종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기타, 손으로 그리는 방법, 먹물 흘리기 방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빔 묘화법, 전자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하거나 해도 좋다. As a printing method used for formation of the said design layer, the gravure printing method, the offset printing method, the screen printing method, the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the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the inkjet printing metho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Further, in the case of forming a solid overall design layer, for example, a roll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lip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 kiss coating method, a flow coating method, a dip coating method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a coating method,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hand-drawing method, the ink-bleeding method, the photographic method, the transfer method, the laser beam drawing method, the electron beam drawing method, the partial vapor deposition method of metal, etc., the etching method, etc. may be used, or you may use it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ation methods.

상기 도안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층 두께는 0.1∼15 μm 정도이다. The thickness of the desig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product characteristics, but the layer thickness is about 0.1 to 15 µm.

(표면 보호층)(surface protective layer)

본 발명의 화장재는,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 내후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urface protective layer on the side having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cosmetic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stain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상기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높은 표면 경도, 생산성, 내후성 등을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전자선 경화형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The resin for forming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type of curable resin such as a thermosetting resin or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nd among these,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more preferred. And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still higher surface hardness, productivity, weather resistance, etc., electron beam curable resin is the most preferable.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중합 반응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 구조로 변화하는 수지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The said ionizing-radiation-curable resin will not be limited if it raises a crosslinking polymerization reaction by irradiation of an ionizing radiation, and is a resin which changes into a three-dimensional polymeric structure.

예컨대,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분자 중에 갖는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예컨대, 2작용의 에테르계 우레탄 올리고머, 다작용의 우레탄 올리고머 등),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록산 등의 규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prepolymer, an oligomer, and a monomer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or an epoxy group crosslinkable by irradi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in the molecule can be used. For example, acrylate resins, such as a urethane acrylate (For example, a bifunctional ether-type urethane oligomer, polyfunctional urethane oligomer, etc.), polyester acrylate, and an epoxy acrylate; silicon resins such as siloxane; polyester resin; An epoxy resin etc. are mentioned.

상기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가시광선, 자외선(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include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near ultraviolet rays, vacuum ultraviolet rays, etc.), X-rays, electron beams, ion rays, and the like, and among them,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beams are preferable.

상기 자외선원으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예컨대, 190∼380 nm 정도이다. As the ultraviolet source, a light source such as a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carbon arc lamp, a black light fluorescent lamp, or a metal halide lamp can be used. As a wavelength of an ultraviolet-ray, it is about 190-380 nm, for example.

상기 전자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ㆍ윌턴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electron beam source, for example,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a Cockcroft/Wilton type, a Van der Graf type, a resonance transformer type, an insulating core transformer type, a linear type, a dynamtron type, and a high frequency type can be used.

상기 전자선의 에너지로서는, 100∼1000 keV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300 keV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2∼15 M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As energy of the said electron beam, about 100-1000 keV is preferable, and about 100-300 keV is more preferable.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electron beam is preferably about 2 to 15 Mrad.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증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said ionizing-radiation-hardening-type resin fully hardens|cures when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when irradiating an ultraviolet-ray and hardening, it is preferable to add a photoinitiator (sensitizer).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힐러 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힐러 케톤, 디페닐술파이드, 디벤질디술파이드, 디에틸옥사이트,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ase of a resin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for example, acetophenones, benzophenones, thioxanthones,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Michler benzoyl benzoate, Michler ketone, diphenyl alcohol At least 1 sort(s), such as phide, dibenzyl disulfide, diethyl oxide, triphenylbiimidazole, and isopropyl-N,N- dimethylamino benzoate, can be used.

또한,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푸릴옥시술폭소늄디알릴요오도실염 등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sin system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romatic diazonium salts, aromatic sulfonium salts, metallocene compounds, benzoinsulfonic acid esters, furyloxysulfoxonium diallyliodosyl salts, etc. can be used. have.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10 질량부 정도이다. Although the addition amount of the said photoinitiato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about 0.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ionizing-radiation-curable resins.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그라비아코트법, 롤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protective layer with the said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a solution of an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by a coating method such as a gravure coating method or a roll coating method is mentioned.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 resins (including two-component curable polyurethanes), epoxy resins, aminoalkyd resins, phenol resins, urea resins, diallyl phthalate resins, melamine resins, and guanamine resins. , melamine-urea cocondensation resin, silicon resin, polysiloxane resin, and the like.

상기 열경화형 수지에는,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술폰산염 등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 첨가할 수 있고, 유기 아민 등을 에폭시 수지에 첨가할 수 있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아조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라디칼 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A curing agent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olymerization accelerator can be added to the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as a curing agent, an isocyanate, an organic sulfonate, etc. can be added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and an organic amine can be added to an epoxy resin, a peroxide such as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azoisobutylnitrile, etc. A radical initiator such as these can be added to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컨대, 열경화형 수지의 용액을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등의 도포법으로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 method of forming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a solution of the thermosetting resin by an application method such as a roll coating method or a gravure coating method, followed by drying and curing.

상기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0.1∼5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1-50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said surface protective lay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20 micrometers.

상기 표면 보호층에, 내찰상성, 내마모성을 더 부여하는 경우에는, 무기 충전재를 배합하면 된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컨대, 분말형의 산화알루미늄, 탄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피로붕산염,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탈크,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ix|blend an inorganic filler when providing abra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to the said surface protective layer further.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powdered aluminum oxide, silicon carbide, silicon dioxide, calcium titanate, barium titanate, magnesium pyroborate, zinc oxide, silicon nitride, zirconium oxide, chromium oxide, iron oxide, boron nitride, diamond, gold steel, talc, Glass fiber etc. are mentioned.

상기 무기 충전재의 첨가량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80 질량부 정도이다. As an addition amount of the said inorganic filler, it is about 1-8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ionizing-radiation-curable resins.

본 발명의 화장재는 화장 시트여도 좋다. A cosmetic sheet may be sufficient as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상기 화장 시트로서는, 예컨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적어도, 기재 시트, 도안층,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 도안층은 기재 시트 상에 형성된다. As said decorative sheet, the structure etc. which laminated|stacked at least a base material sheet, a design layer, a transparency resin layer, and a surface protective layer are mentioned in ord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 example. In that case, the design layer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sheet.

이하, 화장 시트에 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corative sheet will be described.

(기재 시트) (Reference sheet)

상기 기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base material shee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halogen-free thermoplastic resin.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alogen-fre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low-density polyethylene (includ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edium-density polyethylene, high-density polyethylene, ethylene-α olefin copolymer, homo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but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Buten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aponified product, or olefinic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mixtures there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Isophthalate copolymer, polycarbonate, thermoplastic ester resin such as polyarylate, acrylic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yl methacrylate, polyethyl acrylate, butyl polyacrylate, nylon-6, nylon-66, etc. of polyamide-based thermoplastic resin, or polyimide, polyurethane, polystyren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nd the like.

또한, 이들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도안층의 인쇄 적성 및 엠보스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se non-halogen-type thermoplastic resins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2 or more types may be mixed and used for them. Among these,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the printability and embossing ability of the design layer and is inexpensive.

상기 기재 시트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와 같은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착색재로서는, 예컨대,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블루 등의 유기 안료 외에, 각종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공지의 것 또는 시판되는 것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재의 첨가량도, 원하는 색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The base sheet may be colored. In this case, a coloring material (pigment or dye) may be added to the non-halogen-based thermoplastic resin as described above to color. As the colorant, for example, inorganic pigments such as titanium dioxide, carbon black, and iron oxide, and organic pigments such as phthalocyanine blue, various dyes can also be used. These can select 1 type, or 2 or more types from a well-known thing or a commercially available thing. 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the addition amount of a coloring material suitably according to desired color tone etc.

상기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The base sheet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 filler, a matting agent, a foam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nd a light stabilizer, if necessary.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100 μm가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aid base material shee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40-100 micrometers is preferable.

상기 기재 시트는, 단층 또는 다층의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said base material sheet may be comprised from either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투명성 수지층) (Transparent resin layer)

상기 투명성 수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transparency resin layer, All colorless transparent, colored transparent, semitransparent, etc. are included.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said transparency resin layer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halogen-free thermoplastic resin.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alogen-fre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low-density polyethylene (includ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edium-density polyethylene, high-density polyethylene, ethylene-α olefin copolymer, homo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but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Buten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aponified product, or olefinic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mixtures there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Isophthalate copolymer, polycarbonate, thermoplastic ester resin such as polyarylate, acrylic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yl methacrylate, polyethyl acrylate, butyl polyacrylate, nylon-6, nylon-66, etc. of polyamide-based thermoplastic resin, or polyimide, polyurethane, polystyren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nd the like.

또한, 이들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도안층의 인쇄 적성 및 엠보스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se non-halogen-type thermoplastic resins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2 or more types may be mixed and used for them. Especially, it is excellent in the printability and embossing ability of a design layer, and an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being inexpensive.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에 착색제를 첨가하면 된다. 착색제로서는, 도안층에서 이용하는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The transparency resin layer may be colored.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d a coloring agent to a thermoplastic resin. As the colorant, a pigment or dye used in the design layer can be used.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는,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라디칼 포착제, 연질 성분(예컨대, 고무)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The transparent resin layer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 filler, a matting agent, a foam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radical scavenger, and a soft component (eg, rubber).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 μm 이상 300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μm 이상 300 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μm 이상 250 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aid transparency resin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90 micrometers or more and 300 micrometers or less, 150 micrometers or more and 300 micrometer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200 micrometers or more and 250 micrometers or less are still more preferable.

상기 화장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배커층 등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The said decorative sheet may further have a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a primer layer, a backer layer, etc. as needed.

(투명성 접착제층) (Transparent adhesive layer)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As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for example, polyurethane,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ionomer, etc., butadiene-acrylnitrile rubber, neoprene rubber, natural rubber, etc. can be heard These adhesives ar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은, 건조후의 두께가 0.1∼30 μm 정도가 바람직하고, 1∼5 μ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after drying is preferably about 0.1 to 30 µm, more preferably about 1 to 5 µm.

(프라이머층) (primer layer)

상기 프라이머층으로서는, 공지의 프라이머제를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컨대, 우레탄과 니트로셀룰로오스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As said primer layer, it can form by apply|coating a well-known primer agent to the surface of a transparency resin layer. As the primer agent, for example, a urethane resin primer agent made of an acrylic modified urethane resin (acrylic urethane resin), etc., a urethane-cellulose resin (for example, a resin made by adding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a mixture of urethane and nitrocellulose) A primer agent, the resin-type primer agent which consists of a block copolymer of acryl and urethane, etc. are mentioned. You may mix|blend an additive with a primer agent as needed.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fillers such as calcium carbonate and clay, flame retardant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antioxidants, lubricants, foaming agents, ultraviolet absorbers, and light stabilizers.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n additive can be set suitably according to product characteristics.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01∼10 μm가 바람직하고, 0.1∼1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aid primer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0.01-10 micrometers is preferable, and 0.1-1 micrometer is more preferable.

(배커층) (backer layer)

상기 배커층으로서는, 합성 수지 배커층 및 발포 수지 배커층을 들 수 있고, 상기 화장 시트의 최하층(요철 형상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aid backer layer, a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and a foamed resin backer layer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o have in the lowermost layer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ich has an uneven|corrugated shape) of the said decorative sheet.

상기 배커층을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재의 내찰상성, 내충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By having the said backer layer, the abrasion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can be improved further.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디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소위 상품명 PET-G(이스트만 케미컬 컴패니 제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에스테르(A-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AB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include polypropylen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polyethylene, polymethylpent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alkylene terephthalate with high heat resistance [for example,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ituted with 4-cyclohexanedimethanol or diethylene glycol, so-called brand name PET-G (manufactured by Eastman Chemical Co.)],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isophthalate air coal, amorphous polyester (A-PET), polycarbonate, polyarylate, polyimide, polystyrene, polyamide, ABS, and the like. These resin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2 or more types.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은, 중공 비드를 함유해도 좋다. The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may contain hollow beads.

상기 중공 비드의 종류, 입자 직경 및 함유량 등은, 일본특허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As for the kind, particle diameter, content, etc. of the hollow beads,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188941 can be applied.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600 μm가 바람직하고, 150∼450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aid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100-600 micrometers is preferable and 150-45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캘린더 성형, 용융 수지의 압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 수지의 압출 성형이 적합하며, 예컨대, T 다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이 보다 적합하다. As a method of forming the said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calender molding, extrusion molding of a molten resin,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extrusion molding of a molten resin is suitable, for example, extrusion molding using a T-die is more suitable.

상기 발포 수지 배커층은, 상기 합성 수지 배커층보다 더욱 하층(요철 형상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갖고 있어도 좋다. You may have the said foamed resin backer layer in the lower layer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ich has an uneven|corrugated shape) further than the said synthetic resin backer layer.

상기 발포 수지 배커층은, 일본특허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As the foamed resin backer layer, what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188941 can be applied.

상기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각 층을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이나 프라이머층 등을 통해 적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decorative sheet, The method of laminating|stacking each layer mentioned above via the said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a primer layer,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의 화장재는 화장판이어도 좋다. A decorative board may be sufficient as the cosmetic material of this invention.

상기 화장판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적어도, 지지체, 도안층 및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 도안층은 지지체 상에 형성된다. As said decorative plate, the structure etc. which laminated|stacked at least the support body, a design layer, and a surface protection layer are mentioned in ord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 example. In that case, the design layer is formed on the support body.

이하, 화장판에 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corative board is demonstrated.

(지지체) (support)

상기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종이류, 플라스틱 필름, 목재 등의 목질계의 판, 요업계 소재 등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종이끼리의 복합체나 종이와 플라스틱 필름의 복합체 등, 임의의 조합에 의한 적층체여도 좋다.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paper, plastic films, wood-based boards such as wood, ceramic material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Each of these materials may be used alone, but may be a laminate of any combination, such as a composite of paper or a composite of paper and a plastic film.

상기 종이류로서는, 박엽지, 크래프트지, 티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종이 기재는, 종이 기재의 섬유 사이 내지는 다른 층과 종이 기재의 층간 강도를 강화하거나, 보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종이 기재에, 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를 더 첨가(초조(抄造)후 수지 함침 또는 초조시에 내부 충전)시킨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지간 강화지, 수지 함침지 등이다. As said papers, thin leaf paper, kraft paper, titanium paper, etc. are mentioned. These paper substrates are made of acrylic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melamine resin, urethane resin, etc. in these paper substrat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rength between the fibers of the paper substrate or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paper substrate or to prevent fluffing. A resin may be further added (internally filled at the time of resin impregnation or sheeting) after forming. For example, interstitial reinforcement paper, resin impregnated paper, and the like.

이들 외에, 린터지, 판지, 석고보드용 원지, 또는 종이의 표면에 염화비닐 수지층을 형성한 비닐 벽지 원단 등, 건축재 분야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각종 종이를 들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types of paper often used in the field of building materials, such as linter paper, paperboard, base paper for gypsum board, or vinyl wallpaper fabric in which a vinyl chloride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 may be mentioned.

나아가, 사무분야나 통상의 인쇄, 포장 등에 이용되는 코트지, 아트지, 황산지, 글라신지, 파치먼트지, 파라핀지 또는 화지(和紙)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종이와는 구별되지만, 종이와 비슷한 외관과 성상을 갖는 각종 섬유의 직포나 부직포도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각종 섬유로서는 유리 섬유, 석면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혹은 탄소 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혹은 비닐론 섬유 등의 합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Furthermore, coated paper, art paper, sulfuric acid paper, glassine paper, parchment paper, paraffin paper, or washi paper used in the office field or normal printing and packaging may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distinguished from these papers, woven or nonwoven fabrics of various fibers having an appearance and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paper can also be used as the substrate. Examples of the various fibers include inorganic fibers such as glass fibers, asbestos fibers, potassium titanate fibers, alumina fibers, silica fibers, and carbon fibers, and synthetic resin fibers such as polyester fibers, acrylic fibers, and vinylon fibers.

또, 상기 종이류에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시키는 경우에는, 종래부터 공지된 열경화형 수지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로서,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Moreover, when impregnating the said paper with a thermosetting resin,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ermosetting resin can be used widely. As the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including two-component curing type polyurethane), epoxy resin, aminoalkyd resin, phenol resin, urea resin, diallyl phthalate resin, melamine resin, guanamine resin, A melamine-urea cocondensation resin, a silicon resin, polysiloxane resin, etc. are mentioned.

이와 같이, 상기 종이류에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하여 얻어진 층을 열경화형 수지층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그 열경화형 수지가 최종적으로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ayer obtained by impregnating the paper with a thermosetting resin is also called a thermosetting resin layer. And the thermosetting resin may eventually also play a role as a surface protective layer.

상기 열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지지체가 다공질 기재를 갖는 경우, 다공질 기재에 상기 열경화형 수지를 함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method of forming the said thermosetting resin layer, when the said support body has a porous base material, the method of impregnating the said thermosetting resin in a porous base material is mentioned, for example.

함침은, 상기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질 기재의 표면측, 이면측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경화형 수지를 넣은 욕조에 다공질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또는 그 반대의 면부터 침지시키는 방법; 키스코터, 콤마코터 등의 코터에 의해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성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그 반대의 면, 또는 이들 양면에 도포하는 방법; 스프레이 장치, 샤워 장치 등에 의해 열경화형 수지를 다공성 기재의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 그 반대의 면, 또는 이들 양면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impregnation can be performed by supplying the thermosetting resin from either or both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This metho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immersing the surface in which the mold release layer of a porous base material is formed in the bathtub which put the thermosetting resin, or the opposite surface; a method of applying the thermosetting resin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layer of the porous substrate is formed, the opposit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ubstrate by a coater such as a kiss coater or comma coater; A method of spraying the thermosetting resin on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layer of the porous substrate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r on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ubstrate by a spray apparatus, a shower apparatus, or the like is exemplified.

상기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에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각종 물성, 인쇄 적성, 성형 가공 적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혹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Specific 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plastic film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vinyl chloride resins, vinylidene chloride resins, phenol resins, polyvinyl alcohol, vinyl resins such as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s, polyethylene Polyester resins such as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 acrylate, and polyethyl methacrylate, polystyren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resin), Cellulose triacetate, polycarbonat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polyolefin resins, vinyl chloride resins, polyester resins, or acrylic resin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ather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printability, molding processing ability, and price.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지지체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20∼200 μm가 바람직하고, 40∼160 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100 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support is a plastic film, preferably 20 to 200 µm, more preferably 40 to 160 µm, still more preferably 40 to 100 µm.

상기 지지체가 종이류인 경우, 평량은 통상 20∼150 g/㎡이 바람직하고, 30∼100 g/㎡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the support is paper, the basis weight is usually preferably 20 to 150 g/m 2 and more preferably 30 to 100 g/m 2 .

상기 지지체의 형상은 평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형상 등의 특수 형상이어도 좋다. The shape of the support is not limited to a flat plate, and may be a special shape such as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지지체 상에는,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면 또는 양면에,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이접착 처리를 해도 좋다. On the said support body, in order to improve adhesiveness with the layer formed on the support body, you may carry out easy adhesion treatment, such as a physical treatment or chemical surface treatment, on one side or both surfaces.

(페놀 수지 함침지) (Phenolic resin impregnated paper)

상기 화장판은, 필요에 따라서, 페놀 수지 함침지가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The decorative plate may be laminated with phenol resin-impregnated paper as needed.

상기 페놀 수지 함침지는, 다공질 기재의, 내마모층 및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하는 것이 좋다. The phenolic resin-impregnated paper is preferably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brasion-resistant layer and the release layer are formed.

상기 페놀 수지 함침지란, 일반적으로, 코어지로서 평량 150∼250 g/㎡ 정도의 크래프트지에 페놀 수지를 함침률 45∼60% 정도가 되도록 함침하고, 100∼140℃ 정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 종이이다. 페놀 수지 함침지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 수지 함침지를 적층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공질 기재의 이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거나, 전술한 프라이머층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이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The phenol resin impregnated paper is, in general, as a core paper, impregnated with a phenol resin so as to have an impregnation rate of 45 to 60% on kraft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about 150 to 250 g / m 2 , and dried at about 100 to 140 ° C. it is paper A commercial item can be used for the phenol resin impregnated paper. When laminating the phenol resin-impregnated paper, if necessary, corona discharge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or the back surface primer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bove-mentioned primer layer.

(실러층) (Sealer layer)

상기 지지체로서, 종이류 등의 함침성이 있는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체와 도안층 사이, 또는, 도안층과 표면 보호층 사이에 실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When a substrate having impregnation properties such as paper is used as the support, a sealer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design layer or between the design layer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상기 실러층 중에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등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sealer layer preferably contains a cured product of a curable resin composition such as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or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more preferably contains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함유량은 실러층의 전체 고형분의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9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 mass % or more of the total solid of a sealer layer, and, as for content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the said curable resin compos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65-95 mass %.

상기 실러층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표면 보호층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2액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폴리올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액 경화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the sealer layer are the same as those exemplified for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Moreover, as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two-component curable resin of polyol and isocyanate is preferable, and two-component curable resin of acrylic polyol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 more preferable.

상기 실러층 중에는, 건조 적성 및 점도 조정의 관점에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함유량은 실러층의 전체 고형분의 5∼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3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said sealer laye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particle|grains from a viewpoint of drying aptitude and viscosity adjustm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50 mass % of the total solid of a sealer layer, and, as for content of particle|grain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35 mass %.

상기 실러층의 입자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particle|grains of the said sealer layer, silica is especially preferable.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2.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1.5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particle|grains is 0.1-2.0 micrometers, and, as for the said particle|grain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2-1.5 micrometers.

상기 실러층의 두께는, 함침 방지와 비용 대 효과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0.5∼5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sealer layer is preferably 0.5 to 5 µm, more preferably 1 to 3 µm,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impregnation and the balance of cost effectiveness.

상기 화장판은, 필요에 따라서,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등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투명성 접착제층,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전술한 화장판에서 예를 든 것과 동일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said decorative board may further have a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a primer layer, etc. as needed. As a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and a primer layer,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decorative board can be used suitably.

상기 화장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각 층을 상기 투명성 접착제층이나 프라이머층을 통해 적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decorative board, The method of laminating|stacking each said layer through the said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or a primer layer, etc. are mentioned.

<피착재> <Adhesive material>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재가 피착재에 적층된 일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on an adherend.

본 발명의 화장재(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11)을 갖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 접하도록, 피착재(30)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착재의 재질은, 예컨대, 목재 단판, 목재 합판, 파티클 보드, MDF(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판; 석고판, 석고 슬래그판 등의 석고계 판; 규산칼슘판, 석면 슬레이트판, 경량 발포 콘크리트판, 중공 압출 시멘트판 등의 시멘트판; 펄프 시멘트판, 석면 시멘트판, 목편 시멘트판 등의 섬유 시멘트판; 도기, 자기, 토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스판; 철판, 아연 도금 강판, 폴리염화비닐졸 도포 강판, 알루미늄판, 구리판 등의 금속판; 폴리올레핀 수지판, 폴리염화비닐 수지판, 아크릴 수지판, ABS판,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열가소성 수지판; 페놀 수지판, 요소 수지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판, 폴리우레탄 수지판, 에폭시 수지판, 멜라민 수지판 등의 열경화형 수지판;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를, 유리 섬유 부직포, 포백, 종이, 그 밖의 각종 섬유질 기재에 함침 경화하여 복합화한 소위 FRP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이들의 2종 이상을 적층한 복합 기판이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라면 발포하여 이용해도 좋다. As shown in FIG. 4 , the cosmetic materi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laminated on the adherend 30 so that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having the concave-convex shape 11 is in contact. The material of the adherend may include, for example, wood boards such as wood veneer, wood plywood, particle board, and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gypsum boards such as gypsum boards and gypsum slag boards; cement boards such as calcium silicate boards, asbestos slate boards, lightweight foam concrete boards, and hollow extruded cement boards; Fiber cement boards, such as a pulp cement board, an asbestos cement board, and a wood piece cement board; ceramic plates such as ceramics, porcelain, earthenware, glass, and enamel; Metal plates, such as an iron plate, a galvanized steel plate, a polyvinyl chloride-coated steel plate, an aluminum plate, and a copper plate; Thermoplastic resin boards, such as a polyolefin resin board, a polyvinyl chloride resin board, an acrylic resin board, an ABS board, a styrene resin, and a polycarbonate board; Thermosetting resin boards, such as a phenol resin board, a urea resin board,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board, a polyurethane resin board, an epoxy resin board, and a melamine resin board; A so-called composite obtained by impregnating and curing a resin such as a phenol resin, a urea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a melamine resin, and a diallyl phthalate resin into a glass fiber nonwoven fabric, fabric, paper, and other various fibrous substrates. FRP board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and the composite board|substrate which laminated|stacked 2 or more types of these may be sufficient, and if it is a thermoplastic resin, you may foam and use it.

또한, 열가소성 수지판이나 열경화형 수지판은 필요에 따라서,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 목분이나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실리카 등의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탈크 등의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plate or thermosetting resin plate, if necessary, a colorant (pigment or dye), a filler such as wood powder or calcium carbonate, a matting agent such as silica, a foam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such as talc, an antistatic agent, an oxidizing agent Various additives, such as an inhibitor, a ultraviolet absorber, and a light stabilizer, may be contained.

또, 상기 피착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aid to-be-adhered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상기 피착재에 대한 적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프라이머층을 통해 적층하거나, 접착제를 통해 적층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The lamination method for the above-mentioned adhere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ans for laminati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imer layer or laminating through an adhesive is exemplified.

상기 접착제로서는, 상기 피착재의 종류 등에 따라서 공지의 접착제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suitably as said adhesive agent from the well-known adhesive agent according to the kind etc. of the said to-be-adhered material. For example,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ionomer, etc., butadiene-acrylnitrile rubber, neoprene rubber, natural rubber,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의 화장재는,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 창틀, 도어, 난간 등의 창호; 가구; 가전제품, OA 기기 등의 케이스; 현관 도어 등의 외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재로서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물 주변인 키친이나 탈의실 등의 바닥재로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such as walls, ceilings, and floors; windows such as window frames, doors, and railings; furniture; Case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OA equipment; It can be used suitably as exterior materials, such as an entrance door. Among them, it can be more suitably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among them, it can be most suitably used as a flooring material for kitchens and changing rooms around water.

실시예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기재로서 두께 60 μm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의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기재의 표면(한쪽 면)에, 아크릴-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하여 도안층(돌결 모양)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이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A polypropylen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60 μm is prepared as a base material, corona discharge treatment is per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aterial, and gravur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using a printing ink made of acrylic-urethane resin to form a design layer (protrusion shape) was formed. Further, a primer layer wa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이어서, 도안층의 위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건조후의 두께가 3 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투명 접착제층을 형성했다. Next, on the design layer, a urethane resin adhesive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might be set to 3 mu m to form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이어서, 상기 투명 접착제층의 위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 μm가 되도록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했다. Next, on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a polypropylene-based resin was heat-melt-extruded by a T-die extruder to form a transparent resin layer made of polypropylene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80 µm.

그 후,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한 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량이 7 g/㎡이 되도록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상기 도포액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를 100:6의 질량비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도포액을 투명 수지층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약 2 μm였다. Then,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component made of a urethane acrylic copolymer is applied so that the application amount is 7 g/m 2 to form a primer layer did. The coating solution is a mixture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component made of a urethane acrylic copolymer and an isocyanate (curing agent) in a mass ratio of 100:6.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formed by applying the coating solution o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was about 2 μm.

그 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2작용의 에테르계 우레탄 올리고머, 다작용의 우레탄 올리고머의 혼합물 100 질량부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반응성 트리아진 화합물을 1 질량부 함유시키고, 그라비아코트법으로 도막을 형성했다. 그 후, 175 keV 및 5 Mrad(50 kGy)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도막을 가교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 보호층(15 g/㎡)을 형성했다. Thereafter, as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100 parts by mass of a mixture of a bifunctional ether-based urethane oligomer and a polyfunctional urethane oligomer contains 1 part by mass of a reactive triazine compound as a UV absorber,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formed Thereafter, the coating film was crosslinked and cured by irradiating electron beams under conditions of 175 keV and 5 Mrad (50 kGy)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15 g/m 2 ).

마지막으로, 표면 보호층에 윤전식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하여,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시트형의 화장재를 얻었다. Finally,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was embossed by a rotary embossing machine to obtain a sheet-like cosmetic material having an uneven shape on the surface.

그 후, 피착재(MDF, 두께 2.5 mm)를 준비하고, 피착재의 한쪽 면 위에 수계의 2액 경화형 접착제(BA-10)를 80 g/㎡을 도공하고, 피착재와 얻어진 화장 시트의 기재 시트를 갖는 면이 접하도록 접합하여, 25℃에서 3일간 양생(하중 : 100 kg/㎡)했다. Thereafter, an adherend (MDF, thickness 2.5 mm) is prepared, and 80 g/m 2 of a water-based two-component curing adhesive (BA-10) is applied on one side of the adherend, and the adherend and the base sheet of the obtained decorative sheet It was joined so that the side having a , and was cured at 25°C for 3 days (load: 100 kg/m 2 ).

(실시예 2∼6, 비교예 1∼2)(Examples 2-6, Comparative Examples 1-2)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이 되도록 엠보스판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했다. Except having changed the embossing board so that it might become the uneven|corrugated shape described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it.

(실시예 7∼8)(Examples 7 to 8)

백티탄지(「KW-1002P(상품명)」, KJ 특수지(주) 제조, 평량 : 100 g/㎡)를 원지로 하고, 그 원지의 표면에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인쇄하여, 도안층(돌결 모양)을 형성했다. 또한 그 도안층 위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60 질량부, 물 35 질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질량부로 이루어진 열경화성 수지의 액상 미경화 조성물을, 함침용의 함침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경화 조성물이 80 g/㎡(건조시)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원지에 함침하고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함침 화장 시트를 얻었다. White titanium paper (「KW-1002P (brand name)」, manufactured by KJ Special Paper Co., Ltd., basis weight: 100 g/m2) is used as the base paper, and the surface of the base paper is gravure using a printing ink composed of urethane-cellulose resin. It printed, and the design layer (protrusion pattern) was formed. Further, on the design layer, a liquid uncured composition of a thermosetting resin consisting of 60 parts by mass of melamine formaldehyde resin, 35 parts by mass of water and 5 parts by mass of isopropyl alcohol was applied using an impregnation device for impregnation, and the uncured composition was 80 g An impregnated decorative sheet was obtained by impregnating the base paper so as to have a ratio of /m 2 (drying time) and drying it.

얻어진 함침 화장 시트를, 크래프트지에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액을 함침한, 평량 245 g/㎡의 페놀 수지 함침 코어지(오오타 코어, 오오타 산업사 제조) 3장 위에 적층했다. The obtained impregnated decorative sheet was laminated on three sheets of phenolic resin-impregnated core paper (Ota Core, manufactured by Ota Industrial Co., Ltd.) having a basis weight of 245 g/m2 in which kraft paper was impregnated with a resin solution composed of a phenol resin.

형성된 적층체를 엠보스판과 경면판 사이에 끼우고, 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 kg/㎠, 성형 온도 150℃에서 10분간의 조건으로 가열 성형하고, 상기 미경화 조성물을 열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멜라민 수지를 함유하는 경화 수지를 형성했다. The formed lamin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embossed plate and the mirror plate, and heat-molded using a hot press machine at a pressure of 100 kg/cm 2 and a molding temperature of 150° C. for 10 minutes, and thermosetting the uncured composition to melamine resin. A cured resin containing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이 되도록 엠보스판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 화장재를 얻은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착재에 접합한 것을 실시예 7, 8로 한다. Except for changing the embossed plate so as to have the concave-convex shape described in Table 1, after forming the concave-convex shap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obtain a decorative material, it was joined to the adheren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 Example 7 , set to 8.

(참고예 1)(Reference Example 1)

표 1에 기재한 요철 형상을 갖는 나무결 느낌의 플로어 시트를 이용했다. A wood-grained floor sheet having an uneven shape described in Table 1 was used.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 <Volume volume of the valley part (Vvv) and the void volume of the core part (Vvc)>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측정하여 용적(Vvv+Vvc)을 구했다. Regarding the cosmetic material and floor sheet according to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using a 3D shape measuring machine (product name: One-shot 3D shape measuring head "VR-3100", controller "VR-3000", manufactured by KEYENCE) ,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wer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and the volume (Vvv+Vvc) was calculated|require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측정 모드 : 수퍼파인Measuring Mode: Superfine

측정 방향 : 양측Measurement direction: both sides

밝기 조정 : 오토(80)Brightness Adjustment: Auto (80)

측정 배율 : 12×Measurement magnification: 12×

측정 스케일 : 18 mm×24 mm Measuring scale: 18 mm×24 mm

측정마다 포커스 가이드로부터 포커스를 조정했다. The focus was adjusted from the focus guide for each measurement.

해석 애플리케이션(「VR-H2A」, KEYENCE사 제조)에 의해, 기능(체적) 파라미터로부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을 산출했다.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were computed from the function (volume) parameter by the analysis application ("VR-H2A", KEYENCE company make).

또, 상기 기능(체적) 파라미터는, 부하 곡선(부하 면적률이 0%부터 100%가 되는 높이를 나타낸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며, 상기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은, 부하 면적률이 80% 이상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고, 상기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은, 부하 면적률이 10% 이상 80% 미만인 범위의 공극 용적을 산출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unction (volume) parameter is calculated using a load curve (a curve indicating the height at which the load area ratio becomes from 0% to 100%), and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ortion is the load area ratio The void volume in the range of 80% or more is calculated,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is calculated as the void volume in the range where the load area ratio is 10% or more and less than 80%.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an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10점 평균 거칠기(RzJ) 및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측정했다. Regarding the cosmetic material and the floor sheet according to the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FCOM-FLEX-50A", manufactured by Tokyo Precision Industry Co., Ltd.),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 RzJ) and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were measure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산출 규격 : JIS' 01Output standard: JIS' 01

측정 종류 : 거칠기 측정Measurement Type: Roughness Measurement

평가 길이 : 40.00 mm Evaluation length: 40.00 mm

컷오프값 : 8.00 mm Cutoff value: 8.00 mm

측정 속도 : 1.50 mm/s Measuring speed: 1.50 mm/s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했다. When the concavo-convex shape had directionality, it wa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 <Average length of roughness motif (AR)>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표면 거칠기 측정기(「SURFCOM-FLEX-50A」, 도쿄 정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를 측정했다. Regarding the decorative material and the floor sheet according to the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the average length of the roughness motif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URFCOM-FLEX-50A", manufactured by Tokyo Precision Industry Co., Ltd.) (AR) was measure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측정 횟수 : n=5(임의의 5점)Number of measurements: n=5 (5 random points)

산출 규격 : CNOMO Output standard: CNOMO

측정 종류 : 단면 측정Measurement type: section measurement

평가 길이 : 16.00 mm Evaluation length: 16.00 mm

측정 속도 : 0.60 mm/sMeasuring speed: 0.60 mm/s

λs 필터 : 8.00 μm λs filter: 8.00 μm

모티브 계산 : LIMIT A 0.5 mm, LIMIT B 2.5 mm Motif calculation: LIMIT A 0.5 mm, LIMIT B 2.5 mm

요철 형상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측정했다. When the concave-convex shape has directionality, it wa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 및 연속성> <Irregularity and continuity of concavo-convex shape>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3D 형상 측정기(제품명 : 원쇼트 3D 형상 측정기 헤드 「VR-3100」, 컨트롤러 「VR-3000」, KEYENCE사 제조)를 이용하여, 전술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 및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과 동일한 측정 조건에 의해, 임의의 5개소(18 mm×24 mm)를 관찰했다. Regarding the cosmetic material and floor sheet according to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using a 3D shape measuring machine (product name: One-shot 3D shape measuring head "VR-3100", controller "VR-3000", manufactured by KEYENCE) , 5 arbitrary locations (18 mm x 24 mm) were observed under the same measurement conditions as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section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section described above.

또,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62.5% 이상, 100% 이하에 포함되는 영역을 볼록부(섬부)로 하고, 표면 높이의 최고점에 대한 비율이 0% 이상, 62.5% 미만에 포함되는 영역을 오목부(골짜기부)로 하여, 볼록부(섬부)의 수와, 볼록부(섬부) 및 오목부(골짜기부)가 차지하는 면적을 구했다. 또한, 상기 임의의 5개소(18 mm×24 mm)에 있어서, 볼록부(섬부)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평균치를 구했다. In addition, a region in which the ratio to the highest point is 62.5% or more and 100% or less is defined as a convex part (island part), and an area in which the ratio of the surface height to the highest point is 0% or more and less than 62.5% is a concave part ( valley part), the number of convex parts (island parts)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convex parts (island part) and concave part (valley part) were calculated|required. In addition, the number of convex parts (island parts) was counted in the said arbitrary 5 places (18 mm x 24 mm), an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required.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과 연속성은,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했다. The irregularity and continuity of the concavo-convex shape were judg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eria.

(요철 형상의 불규칙성)(Irregularity of the uneven shape)

+ :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지 않다+: The area ratio of the convex part (island part) and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or the number of convex parts (island part) is not constant

- : 볼록부(섬부)와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 비율, 또는, 볼록부(섬부)의 수가 일정하다 -: The area ratio of the convex part (island part) and the concave part (valley part), or the number of convex parts (island part) is constant

(요철 형상의 연속성)(Continuity of concavo-convex shape)

+ :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하고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이상이다+: The area of the contiguous part (valley part) is 9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100%) of the recessed part (valley part) in the observed location

- : 관찰한 개소에서의 오목부(골짜기부)의 전체 면적(100%)에 대하여, 연속하고 있는 오목부(골짜기부)의 면적이 90% 미만이다.-: The area of the continuous recessed part (valley part) is less than 9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100%) of the recessed part (valley part) in the observed location.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미끄럼 방지성 평가> <Anti-slip property evaluation>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샘플(300 mm×300 mm)을 준비했다. Samples (300 mm x 300 mm) of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were prepared.

(건조 상태) (aridity)

상기 샘플의 위(요철 형상을 갖는 측)를 시험자가 맨발로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 정도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The following reference|standard evaluated the sliding degree when the tester walked barefoot on the top of the said sample (the side which has an uneven|corrugated shape).

(습윤 상태) (wet state)

상기 샘플 표면(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20 mL(밀리리터)의 물을 뿌리고, 그 부위를 시험자가 맨발로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 정도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20 mL (milliliter) of water was sprayed on the sample surface (the side having an uneven shape), and the degree of slippage when the tester walked barefoot on the si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또, 하기 표 2에 나타낸 시험자 10명의 평균점을 평가점으로 하고, 하기 평가 기준의 3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Moreover, the average score of 10 testers shown in following Table 2 was made into an evaluation point, and 3 or more of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were made into the pas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5 : 미끄러지지 않는다. 5: Does not slip.

4 : 거의 미끄러지지 않는다. 4: Almost non-slip.

3 : 약간 미끄러지지만 위험은 느끼지 않는다. 3: Slightly slippery, but no danger.

2 : 미끄러질 것 같아서 위험을 느낀다. 2: I feel dangerous because I think I will slip.

1 : 미끄러져서 위험. 1: Risk of slipping.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청소성 카본블랙 평가> <Evaluation of carbon black for cleaning>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샘플(100 mm×100 mm)을 준비했다. Samples (100 mm x 100 mm) of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were prepared.

상기 샘플의 요철 형상을 갖는 측의 표면에, 카본블랙 분말(JIS Z 8901 시험용 분체) 0.2 g을 빈틈없이 문질러 발랐다. 0.2 g of carbon black powder (JIS Z 8901 test powder) was thoroughly rubbed on the surface of the sample on the side having the uneven shape.

그 후, 수류(JIS 규격 수전 호칭 지름 13(1/2), 30 mL/초)로 씻어내면서 멜라민 스폰지(게키오치군, 레크사 제조)로 상기 샘플 표면을 15초간 문지르고, 상기 샘플 표면에 잔존하는 카본블랙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하기 평가 기준의 3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Thereafter, the sample surface was rubbed for 15 seconds with a melamine sponge (Gekiochi-gun, manufactured by Rek Corporation) while rinsing with a water current (JIS standard faucet nominal diameter 13 (1/2), 30 mL/sec), remaining on the sample surface The carbon black to be used was visually evaluated, and a score of 3 or more of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was regarded as a pas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4 : 카본블랙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4: Carbon black was completely removed.

3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지만, 추가 세정 15초로 제거할 수 있었다. 3: Although carbon black remained in the recessed part, it was able to be removed by 15 second of additional washing|cleaning.

2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지만, 추가 세정 15초 이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2: Although carbon black remained in the recessed part, it was able to be removed by 15 second or more of additional washing|cleaning.

1 : 오목부에 카본블랙이 남아 있고, 제거할 수 없다. 1: Carbon black remains in the recess and cannot be removed.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 <JAS special plywood "Pollution A test">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관한 화장재 및 플로어 시트에 관해,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에 준거하여 내오염 시험을 행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여, 하기 평가 기준의 2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Regarding the decorative materials and floor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Reference Examples, a stain resistance test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JAS special plywood "Pollution A Test",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andards, and passed 2 or more of the following evaluation standards did it with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또, 오염물로서는, 일반사무용 청색 잉크(만년필용 잉크 블루, 파이로트 코포레이션사 제조), 및, 적색 크레용(크레파스 레드, 사쿠라 그레파스사 제조)을 이용했다. As the contaminants, blue ink for general office use (fountain pen ink blue, manufactured by Pilot Corporation) and red crayon (Craypas Red, manufactured by Sakura Grappas) were used.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3 : 오염 물질이 완전히 제거된다3: Contaminants are completely removed

2 : 오염 물질이 오목부에 약간 남는다2: Some contaminants remain in the recesses

1 : 오염 물질이 오목부에 남는다 1: Contaminants remain in the recesses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는,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Example was excellent in anti-slip properties not only during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특히,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을 하고 있고, 용적(Vvv+Vvc)이 55 mL/㎡ 이하,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실시예 1∼3에 관한 화장재는, 청소성에 있어서도 특히 우수했다. In particular, the concave-convex shape has a continuous shape, the volume (Vvv+Vvc) is 55 mL/m2 or less,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is 70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is 13 µm or more The cosmetic material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having an average length (AR) of 30 µm or less and a roughness motif of 1.00 mm or more were particularly excellent in cleanability.

또한,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는,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안층으로서 돌결 모양을 이용했다 하더라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 것이었다. Moreover, since the cosmetic material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has irregular uneven|corrugated shape, it was a thing which did not produce a sense of incongruity even if the protrusion pattern was used as a design layer.

한편, 비교예 및 참고예는, 습윤 상태에서 미끄럼 방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reference example, the slip resistance fell remarkably in a wet state.

또,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47.7 μm인 실시예 4는, JAS 특수 합판 「오염 A 시험」에 있어서, 오염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는 데 다른 실시예보다 장시간이 필요했다. Further, Example 4 having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47.7 µm required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other examples in order to completely remove contaminants in the JAS special plywood "Pollution A test".

또한, 참고예 1은, 요철 형상이 연속된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청소성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In addition, in the reference example 1, since the uneven|corrugated shape was not a continuous shape, it was inferior also in cleanability remarkably.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시뿐만 아니라 물에 젖었을 때에도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재는, 예컨대, 벽, 천장, 마루 등의 건축물의 내장재; 창틀, 도어, 난간 등의 창호; 가구; 가전제품, OA 기기 등의 케이스; 현관 도어 등의 외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재로서 더욱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물 주변인 키친이나 탈의실 등의 바닥재로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cosmetic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anti-slip property and also excellent in designability can be provided not only at the time of drying but also when wet with water. The cosm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such as walls, ceilings, and floors; windows such as window frames, doors, and railings; furniture; Case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OA equipment; It can be used suitably as exterior materials, such as an entrance door. Among them, it can be more suitably used as a flooring material, and among them, it can be most suitably used as a flooring material for kitchens and changing rooms around water.

10 : 화장재
11 : 요철 형상
20 : 도안층
30 : 피착재
10: cosmetic material
11: Concave-convex shape
20: design layer
30: adherend

Claims (7)

도안층을 갖는 화장재로서,
상기 화장재의 한쪽 면에 불규칙한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철 형상은, 3D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골짜기부의 공극 용적(Vvv)과 코어부의 공극 용적(Vvc)의 합계치로 표시되는 용적(Vvv+Vvc)이 15 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A cosmetic material having a design layer, comprising:
It has an irregular concave-convex shape on one side of the cosmetic material,
The concave-convex shape has a volume (Vvv+Vvc) expressed as the sum of the void volume (Vvv) of the valley part and the void volume (Vvc) of the core part measured by a 3D shape measuring device is 15 mL/m 2 or mo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연속된 형상인 화장재.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convex shape is a continuous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Vvv+Vvc)은 55 mL/㎡ 이하인 화장재.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olume (Vvv+Vvc) is 55 mL/m 2 or les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10점 평균 거칠기(RzJ)가 70 μm 이상 200 μm 이하인 화장재.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neven shape has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J) defined by JIS B 0601 (2001) of 70 µm or more and 200 µm or les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JIS B 0601(2001)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3 μm 이상 30 μm 이하인 화장재.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cave-convex shape has an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defined by JIS B 0601 (2001) of 13 µm or more and 30 µm or le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CNOMO로 정의되는 거칠기 모티브의 평균 길이(AR)가 1.00 mm 이상인 화장재.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in the concave-convex shape, the average length (AR) of the roughness motif defined by CNOMO is 1.00 mm or mor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의 상기 요철 형상을 갖는 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화장재.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surface protective layer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cosmetic material having the concave-convex shape.
KR1020217025688A 2019-02-01 2020-01-31 cremation material KR202101242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7225 2019-02-01
JPJP-P-2019-017225 2019-02-01
PCT/JP2020/003654 WO2020158921A1 (en) 2019-02-01 2020-01-31 Decorativ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264A true KR20210124264A (en) 2021-10-14

Family

ID=7184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688A KR20210124264A (en) 2019-02-01 2020-01-31 cremation materi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0158921A1 (en)
KR (1) KR20210124264A (en)
CN (1) CN113382854A (en)
WO (1) WO202015892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081A1 (en) * 2022-06-24 2023-12-28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7089A (en) 2012-02-15 2013-08-29 Toppan Cosmo Inc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560B2 (en) * 1989-10-14 1998-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Anti-skid floor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621947Y (en) * 2003-06-27 2004-06-30 上海金禧木业有限公司 Combined wood decorative veneer member with raised grain
CN1715593A (en) * 2004-06-29 2006-01-04 可丽娜株式会社 Bathroom floor
CN102926520B (en) * 2011-08-12 2016-04-20 株式会社好适特 Bathroom floor panel component parts
CN102920370B (en) * 2011-08-12 2016-09-14 株式会社好适特 Bathtub
JP2014529021A (en) * 2011-09-21 2014-10-30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Vinyl flooring for non-slip floo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336253B2 (en) * 2013-07-31 2018-06-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Non-slip sheet for water
JP2016089472A (en) * 2014-11-05 2016-05-23 住江織物株式会社 Floor material for use in wet area excellent in skid-proof capacity, readily drying property and pollution resistance
JP7017847B2 (en) * 2016-07-06 2022-02-09 東リ株式会社 Flooring material
JP6889832B2 (en) * 2017-01-23 2021-06-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Charging roll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8345195B (en) * 2017-01-23 2021-11-26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Charging rol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7089A (en) 2012-02-15 2013-08-29 Toppan Cosmo Inc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82854A (en) 2021-09-10
WO2020158921A1 (en) 2020-08-06
JPWO2020158921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87B1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KR101282553B1 (en) Decorating material
JP6791232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using it
WO2016151899A1 (en) Sheet
JP7180743B2 (en) Decorative sheets, decorative boards and decorative resin moldings
JP7480542B2 (en) Decorative sheets and decorative materials
JP6507473B2 (en) Cosmetic sheet
JP6753409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JP6307792B2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7159507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late
KR100881006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Sheets for Decorating Floor
JP2015187378A (en) Sheet and decorative laminated sheet
KR20210124264A (en) cremation material
JP6679834B2 (en) Decorative sheet and veneer
JP2020163830A (en)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material
JP6171459B2 (en) Decorative sheet
JP6582497B2 (en) Decorative sheet
JP2016203432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laminate
JP6617424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KR20210069697A (en) Transparency resin film, decorativ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JP6331568B2 (en) Decorative sheet
KR20220005486A (en) Transparency resin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cy resin film, and cosmetic material
KR20230160325A (en) makeup sheets and makeup boards
JP6451181B2 (en) Decorative sheet,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sheet
JP202214824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