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64A -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 Google Patents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64A
KR20210074664A KR1020190165617A KR20190165617A KR20210074664A KR 20210074664 A KR20210074664 A KR 20210074664A KR 1020190165617 A KR1020190165617 A KR 1020190165617A KR 20190165617 A KR20190165617 A KR 20190165617A KR 20210074664 A KR20210074664 A KR 2021007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linkage
information
transmission
renewabl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운
곽은섭
김윤범
민재현
주경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6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664A/en
Publication of KR2021007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from information on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ing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preparing a list includ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s a list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which can be linked to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and providing the prepared list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or the local system manager.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및 서버{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계통연계 최적화 검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and renewable energy grid linkage review method and server, and in particular, to present a renewable energy grid linkage optimization review method and system using location-based big data.

일반적으로 전력시장은 크게 전력시장을 통해 전력을 판매하는 발전사업자, 전력을 구매하는 판매회사, 소비자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의 경우엔 발전 및 판매 회사들은 전력시장을 통해서만 전력거래가 가능하고 최종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송배전 및 판매는 한국전력공사가 담당하고 있다. 즉, 현재의 전력거래 방법은 여러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한국전력거래소에서 도매로 구입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 일반 수용가에 매매하는 방식이다.In general, the electricity market is largely composed of a power generation company that sells electricity through the electricity market, a sales company that purchases electricity, and consumers. In Korea, power generation and sales companies can trade electricity only through the electricity market, and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is in charge of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that supply electricity to end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current electricity trading method is to purchase electricity produced by several power plants at a wholesale price at the Korea Power Exchange, and then sell it to the general consumer at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에 의한 발전이 가능해지고 소규모 발전사업자가 등장하며, 전력거래 시스템에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그리드 형태의 마이크로그리드가 도입되면서 소비자는 복수의 전력 판매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소비자가 직접 전력 판매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Power generation by various new and renewable energies is possible, small-scale power generation companies appear, and smart grid-type microgrids that conver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o the electricity trading system are introduced, making it possible for consumers to purchase electricity from multiple electricity sellers. It has become possible for consumers to choose their own electricity seller.

특히, 정부정책과 지자체 등의 사업추진 등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의 전력계통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9년 현재 국내에는 약 12GW 규모의 재생에너지가 상업운전중이며, 2028년까지 약 70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전소의 건수는 대략 8만 건에 해당되었다.In particular, the inflow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to the power system is rapidly increasing thanks to government policies and business promotion by local governments. As of 2019, about 12 GW of renewable energy is in commercial operation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reach about 70 GW by 2028. The number of power plants was approximately 80,000.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발전된 신재생에너지를 소비처로 운송하기 위한 전력인프라인 변전소, 송배전선로의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양에 대한 문제점도 있으나 발전력의 기복이 심한 재생에너지의 특징으로 안정적 공급이 최우선시되는 전력망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여러 가지 변수가 많이 있다. However, problems with such a rapid increase are emerging. The lack of power infrastructure, substations,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for transporting the developed renewable energy to consumers is becoming a problem. There is simply a problem with the quantity, but there are many vari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wer grid operator, who prioritizes stable supp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with severe fluctuations in power generation.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는 빠르면 2~3년 정도이면 준공이 된다. 그에 반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변전소와 송전선로 등은 건설에 빠른면 5~10년,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고려한다면 이보다 더 걸릴 수 있다.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will be completed in 2-3 years at the earliest. On the other hand, substations and transmission lines for accommodating them may take 5 to 10 years to construct at the earliest, and may take longer if social consensus and acceptance are considered.

시간의 문제 뿐만 아니라 비용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전력공급약관에 따라 한국전력은 일정한 요건이 되면 신재생 발전소가가 계통에 접속되도록 송배전 설비를 건설해야 한다. 특히, 『1MW 이하 무제한 접속제도』가 시행된 뒤에는 이러한 문제가 가중되고 있다.Not only the time issue but also the cost issue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greement, when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KEPCO must construc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so that the cost of new and renewable power plants is connected to the grid. In particular, after the 『Unlimited access system under 1MW』 was implemented, this problem is aggravating.

다시말해, 신규 송배전 설비가 신재생 발전소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반면, 변전소와 송배전설비는 대표적 님비(NIMBY) 현상의 인프라이다. 민원 등의 사회적 비용은 차치하더라고 대규모의 토목공사와 전기공사 자체에도 많은 시간과 예산이 수반된다. 따라서, 계획단계에서 부터 합리적이면서 최적의 입지 선정 논리와 원칙이 필요하다. In other words, while new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re needed to accommodate renewable power plants, substations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re typical infrastructure of the NIMBY phenomenon. A lot of time and budget are involved in large-scale civil works and electrical work itself, aside from social costs such as civil complaints. Therefore, rational and optimal site selection logic and principles are needed from the planning stage.

현재에는 신재생 발전사업을 희망하는 자가 아래의 절차로 발전사업을 신청하면, 검토를 거쳐서 발전사업 허가증을 취득하게 되며, 취득한 발전사업허가증과 개발행위허가서를 토대로 한전에 송배전전기설비 이용신청을 하는 구조이다. 이용신청된 신청건은 또다시 아래의 절차대로 처리되며, 최종 계약을 체결후 상업운전에 돌입하게 된다.Currently, when a person who wants a new and renewable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es for a power generation project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they obtain a power generation business license after reviewing it. Based on the acquired power generation business license and development activity permit, KEPCO is required to apply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lectric facilities. is the structure Applications for use are processed again according to the procedure below, and commercial operation begins after the final contract is signed.

즉, 발전사업허가 단계에서 검토를 진행한 이후 이용신청 단계에서 접속방안은 검토하는 단계에서 한번 더 연계방안이 검토가 된다. 문제는 이러한 검토가 각 발전사업 한건에 대해서 별도로 수립이 되어, 상기 검토서에는 인근의 전력설비 현황, 인근에 접속한 신재생에너지 현황들이 일부 함께 검토는 되지만, 지금과 같이 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가 대기중에 있으며, 전국적으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현재의 검토 방법은 전체적인 시각에서 장기적 안목의 최적의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In other words, after reviewing in the power generation business license stage, the connection plan is reviewed once more in the reviewing stage of the access method in the use application stage. The problem is that these reviews are established separately for each power generation project, and in the above review, the status of nearby power facilities and the statu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onnected to the neighborhood are reviewed together, but large-scale new and renewable energy is waiting as it is now. The current review method has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n optimal long-term view from an overall perspective as it is a common occurrence nationwide.

다른 관점에서, 신재생발전소는 기존의 기간 발전소에 비하여 출력의 변동폭이 상당히 심하여 계통 신뢰도에도 상당한 부담이 된다. 따라서, 지역적으로만 검토를 하여서는 최적의 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의 위치를 확정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renewable power plants have a considerably greater range of output fluctuations compared to existing key power plants, which puts a significant burden on system reliability.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optimal renewable energy linkage new substation by reviewing only regionally.

대한민국 등록공보 10-1569144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10-1569144

본 발명은 최적의 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의 위치를 확정하는 등의 최적 계통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server that can suggest an optimal system plan, such a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ew substation for optimal renewable energy link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은,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계통 연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계통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평가가 포함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리스트를 발전 사업 신청자 또는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obtaining latitude / longitud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plant from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ing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preparing a list includ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s a list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that can be linked to a power plant according to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created list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or the local system manager.

여기서, 상기 연계 기준 정보는, 비교할 유사한 실제 공사 사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신규 변전소 설치가 더 경제적인 거리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로 획득될 수 있다.Here,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searching for a similar actual construction case to compare; And based on the searched construction case, the installation of a new substation may be obtained as a step of determining a more economical distance reference value.

여기서, 상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발전 사업 신청 온라인 신청서 접수시 화면에 해당 지역 지도상에 신청한 발전소 위치를 표시하고, 신청자로부터 표시된 위치를 확인받을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the loc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on a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online application for the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is received, and the displayed location can be confirmed from the applicant.

여기서, 상기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해당 지역의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는, 관련 기관의 서버로부터 획득한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위/경도 기준으로 통합되어 재작성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ed in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area obtained from the server of the relevant institution. It may have been rewritten and integrated based on latitude/longitu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은,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계통 연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 중 상기 계통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최적의 설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적의 설비와 상기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의 연계를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반영된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obtaining latitude / longitud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plant from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ing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determining an optimal facility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mong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that can link a power plant according to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reflecting the linkage between the determined optimal facility and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to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reflected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the system manager of the corresponding area.

여기서,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에서는, 발전원이 많이 모이고 그 합계용량이 큰 지점으로서 용량중심점을 반영하여,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제안 자료를 작성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he capacity center point is reflected as a point where many power generation sources gather and the total capacity is large, and proposals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area material can be written.

여기서, 상기 용량중심점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capacity center poi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경도,
Figure pat00003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위도,
Figure pat00004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발전력,
Figure pat00005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경도,
Figure pat00006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위도)(
Figure pat00002
: The hardness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Figure pat00003
: Latitude of the i-th renewable energy source,
Figure pat00004
: The power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ource,
Figure pat00005
: central longitude in one 『connection fit area』,
Figure pat00006
: The latitude of the center in one 『connection fit area』)

여기서,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는, 다수의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발전소들의 위치들을 반영한 용량 중심점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 계통에서의 신규 변전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서의 신규 변전소의 건설 비용 및 각 신청 발전소와의 연계 비용들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 비용 및 연계 비용들을 반영하여 경제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local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clude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ew substation in the local system using a capacity center point concept that reflects the locations of power plants for multipl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s; estim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substation at the location and the cost associated with each applied power plan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by reflect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associated cost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는, 신규 발전소 사업 신청자의 발전 사업 신청 정보 등 계통 연계 검토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접수부;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지오코딩 방식으로 가공하고, 신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고, 계통 연계 방안을 작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평가된 계통 연계 방안을 분석하여, 상기 사업 신청자 또는 신청 해당 지역의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ceiving unit for performing pre-processing by receiving system linkage review target data such as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information of a new power plant business applicant; a dat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pre-processed data in a geocoding method, determines a grid linkage standard for a new power plant, and creates a grid linkage plan; and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grid linkage method evaluated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and configures a screen necessary for the project applicant or a grid power manager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application.

여기서,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기존 공사 사례를 분석하여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는 연계 기준 결정부;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신청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방안들을 작성하는 연계 방안 작성부; 상기 데이터 접수부에서 접수된 정보의 주소 등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부; 및 상기 발전 사업 신청 지역의 용량 중심점을 산출하는 용량 중심점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linkage criterion determining unit that analyzes existing construction cases to determine a system linkage standard; a linkage plan creation unit that prepares grid linkage plans for the power plant applied for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a geocoding unit for converting addresses of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into latitude/longitude coordinates; and a capacity center poi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apacity center point of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area.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서버를 실시하면, 해당 지역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plan suitable for the region.

본 발명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서버는, 전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현황을 모두 포함하여, 최적의 신재생용 변전소와 송배전설비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으며, 전압별, 발전원별, 지역별, 사업소별, 년도별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 할 수 있어서, 계통계획, 전력수급 계획 등에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rive the optimal location of the subst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including all of the nation's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tatus, and by voltage, by power source, and by reg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status by , business office, and year at a gla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highly useful in system planning and power supply and demand plan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기존의 지오코딩 서비스를 적용하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가공된 정보를 통해서 현재의 변전소에 신재생에너지의 잔여용량 등을 출력하는 기능도 구현한 테이블.
도 4a는 자료의 취합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b는 결합된 자료를 표현한 QGIS의 화면.
도 5a는 기존 설비 이용과 송변전 설비 신설의 경우 공사비 비교를 위한 두가지 방식에 대한 리포팅 화면.
도 5b는 기존 설비 이용과 송변전 설비 신설의 경우 비용 효과 분석 및 경제성 역전 거리 산출을 보여주는 리포팅 화면.
도 6은 작성된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테이블.
도 7은 유망한 연계 방안을 삼각지점을 통해 안내하는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a는 신재생에너지 밀집 지역에 대한 소규모 변전소 연계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도 9b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계통으로의 접속설비나 공용송전망 등의 연결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사분면의 위치를 구획하는 방법과 소그룹 용량중심점의 계산과 이에 대한 표현을 QGIS로 정리한 화면.
도 11은 연계 적합지역 125개소 선정과 대표검토 사례를 도시한 화면.
도 12는 『연계 적합지역』중 연계용 신설 변전소 신설이 경제적 우위로 판단된 현황을 보여주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리포팅 화면.
도 13은 소그룹으로 분리하여 세부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화면.
도 14는 열지도를 이용하여 전국적인 변화추이와 지역별 현재와 미래를 시뮬레이션한 이미지.
도 15a와 15b는 Qgis 본래의 기능의 제한으로 인한 오류가 존재하는 열지도 영상과 데이터를 단위 규격화하여 개선한 열지도 영상.
도 16a와 16b는 QGIS, API 서비스에 디지털변환 및/또는 전력인프라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 활용하여 “TOMS(송전운영시스템)” 및 QGIS에 반영한 화면.
도 17a는 기존의 거점 단위 분석 화면, 도 17b는 실제 위치 기반 분석 화면.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도 18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를 수행가능한 서비스/업무를 연관시켜 표현한 블록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view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applying an existing geocoding service.
3 is a table that also implement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o the current substation through the processed information.
Figure 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ata collection and combination structure.
Figure 4b is a screen of QGIS representing the combined data.
Figure 5a is a reporting screen for two methods for comparison of construction costs in the case of the use of the existing facilities and the new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y.
Figure 5b is a reporting screen showing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economic reversal distance calculation in the case of the use of existing facilities and new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Fig. 6 is a tabl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reated system linkage plan list;
7 is a screen for guiding a promising linkage method through a triangl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view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connecting a small substation to a new and renewable energy dense area.
9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cept of a connection facility to a system of a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or a public transmission network.
10 is a screen in which a method for partitioning the position of a quadrant, calculation of a small group capacity center point, and an expression thereof are summarized in QGIS.
11 is a screen showing a case of selection of 125 suitable areas for connection and a representative review.
12 is a reporting screen including a table showing the status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a new substation for linkage is determined as an economic advantage among the 『connection suitable area』.
13 is a screen for reviewing in detail by dividing into small groups.
14 is an image simulating the national change trend and the present and future by region using a heat map.
15A and 15B are heat map images that have errors due to limitations in the original function of Qgis and improved heat map images by standardizing data.
16A and 16B are screens reflected in “TOMS (Transmission Operating System)” and QGIS by additionally utilizing data on digital conversion and/or power infrastructure to QGIS and API services.
Fig. 17a is an existing base unit analysis screen, and Fig. 17b is an actual location-based analysis screen.
1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capable of perform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lock diagram representing the service/task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of FIG. 18 in associa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한 시스템은 개별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1 shows a method for review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urpose of the illustrated system is to respond to individual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s an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도시한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은,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신청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2); 연계 기준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3);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평가가 포함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S4); 및 상기 작성된 리스트를 발전 사업 신청자 또는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requested from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S1); Read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S2); reading the association reference information (S3); Creating a list includ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s a list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that can be linked to a power plant according to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S4); And it includes a step (S5) of providing the created list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or the local system manager.

먼저, 신청 발전소의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이 과정은 일종의 지오코딩(Geocoding) 기술을 활용한 대량 주소 변환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First, let's look at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obtaining the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S1). This process can be seen as a mass address translation technology using a kind of geocoding technology.

상기 S1 단계에서 접수하는 발전소 신청에 대한 정보로서, 발전소 사업 신청자가 단말로 해당 지역(발전소 신청지를 관할하는 계통 관리 주체가 관리하는 지역을 의미함) 계통 관리 서버에 제출한 발전 사업 신청서의 기재 내용이 될 수 있다.A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plant application received in step S1, the power plant project application submitted by the power plant project applicant to the system management server in the relevant area (meaning the area managed by the grid management entity having jurisdiction over the power plant application site) this can be

전국적으로 분포된 재생에너지의 위치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수에 대한 위치정보가 필요하다. 범용성을 위해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하고 있는 위도와 경도를 활용하였다. In order to clearly check the loc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distributed nationwid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esources is required. For versatility, latitude and longitude, which are easily understood by ordinary people, were used.

지오코딩(Geocoding) 기술은 Geographic과 coding의 합성어로 지리적 요소를 담고 있거나 적어도 지리적요소와 관련성이 깊은 자료를 가공처리 하며 이를 프로그래밍화 하여 자동화 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적용한 부분은 한글로 작성된 주소인 도로명주소, 지번주소를 위경도좌표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지오코딩(Geocoding) 기술을 구현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들이 다수 실시되어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코딩)이 가능하다. Geocoding technology is a compound word of Geographic and Coding, and refers to a system that processes and automates data that contains geographic elements or is at least closely related to geographic elements. The par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converting the street name address and lot number address, which are addresses written in Korean, in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A number of algorithms and programs implementing geocoding technology have been implemented, so it can be applied (coding) in various ways.

도 1은 기존의 지오코딩 서비스를 적용하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기설구축된 ArcGis 기반의 자료를 가공한 대량 자료추출 작업과 Naver-API 서비스를 활용한 Geocoding작업을 병행하되, Naver-API의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파이썬(Python)으로 코딩한 것을 나타낸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applying an existing geocoding service. In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mass data extraction work that processed the established ArcGis-based data and the geocoding work using the Naver-API service were performed concurrently, but the code was coded with Python to utilize the service of the Naver-API. indicates.

참고로 Naver_API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주소를 프로그램을 통해서 Parsing(텍스트를 컴퓨터가 인지할 수 있는 문자의 패턴으로 변환)을 하고, Parsing된 문자패턴을 Web의 URL 서비스로 요청하면, 해당 주소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있어가, 요청양식이 적확한 경우에 서버가 사용자측에 회신을 보내게 된다. 회신하는 정보는 JSON이라는 방식의 독특하고 복잡한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변환된 자료를 파이썬프로그램을 통해 필요한 요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료를 엑셀파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최종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위경도 정보를 받아서 한글주소를 출력하는 역 지오코딩(Reverse Geocoding)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Naver_API service, the Korean address entered by the user is parsed through the program (text is converted into a pattern of character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mputer), and when the parsed character pattern is requested to the URL service of the web, the address is In the server's database, if the request form is correct, the server sends a reply to the user. The return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being converted into a unique and complex data structure called JSON. The final result can be derived by selecting the necessary elements through the Python program for the converted data and saving the selected data as an Excel file. Meanwhile, reverse geocoding, which receiv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and outputs a Korean address, may also be extracted in the same way.

구현에 따라, 추후 현장답사와 용지확보 등의 활동을 위해서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의 발급, 등기분등본의 대량 발급 등을 위한 데이터 처리시에 위경도에 대한 정확한 주소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신청 당시에는 다소 부정확하거나 특정지명을 지칭한 경우에도 Geocoding을 통해서 변환된 위경도를 Reverse Geocoding(위경도→지번주소)의 기능도 부과하여 바로 검색이 가능한 주소목록 생성기능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ccurate address information for latitude and longitude may be required when processing data for issuance of land use plan confirmation agencies and mass issuance of certified copies for later activities such as field visits and site security. At the time of application, even if it is somewhat inaccurate or refers to a specific place name, the function of Reverse Geocoding (latitude and longitude → lot number) is also impo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nverted through geocoding,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to generate an address list that can be searched immediately.

구현에 따라, 상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에서, 상기 발전 사업 신청 온라인 신청서 접수시 화면에 해당 지역 지도상에 신청한 발전소 위치를 표시하고, 신청자로부터 표시된 위치를 확인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1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가, 상기 신청자에게 상기 발전소 위치 표시 및 확인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in the step (S1) of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when the online application for the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is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rea map, and the location displayed from the applicant is confirmed can receive In this case, the device performing the step S1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ace means for displaying and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power plant to the applicant.

다음, 해당 지역 기설 송변전설비와 신재생발전소의 위치정보를 결합하는 상기 지역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 획득 단계(S2)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Next,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performing the local power generation/transmission and subst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2) of comb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existing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y and the renewable power plant will be described.

지오코딩(Geocoding) 기술로 확인된 전국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좌표정보와 기존 보유중인 송변전설비의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동시에 확인하여 최적의 신규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와 송배전설비의 위치를 확인한다. 지도정보에 표기하는 방법은 기존의 사내에서 운용중인 TOMS에도 반영이 가능하나 T/F의 짧은 기간과 아이디어 단계를 바로 적용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우선은 오픈소스로 공개된 QGIS를 활용할 수 있다. 위치 기반으로 자료의 가공과 처리 등을 기능을 고려시 현재의 자료의 읽기 기능에 국한된 TOMS 보다는 통계분석과 자료추출(엑셀버전)이 가능한 QGIS 기반이 향후 만들게 될 시스템에 적합할 수 있다. 송변전 설비의 경우 보안상 등의 위치로 위경도 좌표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백터 정보인 SHP 파일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과정의 자료의 취합 방법과 이를 표현한 QGIS의 장면이다.Coordinate inform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across the country confirmed by geocoding technolog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xisting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are combined and checked at the same time to confirm the optimal loc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linkage substations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do. The method of marking on the map information can be reflected in the existing TOMS operating in-house, but due to the short period of T/F and the problem of directly applying the idea stage, QGIS, which is open as an open source, can be used first. When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data processing and processing based on location, the QGIS base capable of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extraction (Excel version) rather than the TOMS limited to the current data reading function may be suitable for the system to be built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the SHP file, which is vector information, can be used instead of usin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as a location for security reasons. 2 is a scene of the data collec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QGIS expressing it.

상기 S2 단계에서 획득된 해당 지역의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는 다음 S3 단계에서 계통 연계 기준정보 산출에 사용되거나, 상기 연계 방안 리스트 제공 단계(S5)에서 리포팅 데이터나 리포팅 화면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ed in step S2 may be used for calculating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n step S3, or may be used for reporting data or configuration of a reporting screen in step S5 of providing the linkage plan list.

상기 S2 단계에서 획득되는 해당 지역의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는, 관련 기관의 서버로부터 획득한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위/경도 기준으로 통합되어 재작성된 것일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S2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가 상술한 재작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ed in step S2 may be rewritten by integrat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area obtained from a server of a 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latitude/longitude. According to implementation, the device performing the step S2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rewriting.

다음, 계통 연계 기준정보 획득 단계(S3)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계통 연계 기준정보 획득 단계(S3)는 하기 과정을 미리 수행한 최종 결과로서 기록된 계통 연계 기준정보를 독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계통 연계를 요청한 시점에서 다시 계통 연계 기준정보 정보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Next,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the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3) will be described. The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3) is performed by reading the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recorded as the final result of performing the following process in advance, or calculating the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nformation again at the time of requesting the system linkage can be performed with

상기 계통 연계 기준정보는 실제 공사사례를 비교한 경제성 분석과 『신재생에너지 연계적합 지역』개념을 도입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above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y introducing economic analysis comparing actual construction cases and the concept of 『Renewable Energy Linkage Appropriate Area』.

시간과 예산이 충분하게 되면 이러한 검토 방식이나 연계 기준은 불필요할 수 있으나, 현실에서는 시간/예산이 빠듯한 것이 일반적인 바, 제한된 시간과 자원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계통에 수용하기 위해 최적의 위치 선정 기준(즉, 연계 기준정보)이 필요하다. 공사비와 사회적 저항을 최소화 하는 방안은 기존의 전력설비에 바로 연계하거나, 기존의 전력설비에 연하여 신규 설비를 증설하는 방안이다. 가공된 정보를 통해서 현재의 변전소에 신재생에너지의 잔여용량 등을 출력하는 기능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예시하면 도 3과 같다.If time and budget are sufficient, such a review method or linkage criteria may be unnecessary, but in reality, time/budget is usually tight. In order to accommodate new and renewable energy into the system with limited time and resources, the optimal location selection criteria ( That is,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s required. The method to minimize the construction cost and social resistance is to directly link to the existing power facility or to expand the new facility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power facility.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o the current substation through the processed informa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n example of which is shown in FIG. 3 .

상기 연계 기준정보의 결정에 있어서, 기설 송변전설비 주변에 신설하는 경우와 비교가 필요하다.In determining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it with the case of new construction around the existing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송변전 설비 신설의 경우에 수백억에서 수천억원의 배전선로 증설비용이 산출되거나 집행된 사례처럼 극단적인 경우가 배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근 송전선로에서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를 인출하는 방안과 기존 변전소에서 배전선로로 인출하는 방안의 공사비 비교를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국지적인 배전선로의 세부비용까지는 다루지 않는다. 상기의 공사비 비교를 위한 두가지 방식에 대한 비교 도해는 도 4와 같다.In the case of a new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y, extreme cases such as the case in which tens of billions to hundreds of billions of won in distribution line expansion costs were calculated or executed should be excluded. To this end, we compar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method of withdrawing a new substation for linking new and renewable energy from a nearby transmission line and the method of withdrawing from an existing substation to a distribution line. Of course, the detailed cost of the local distribution line is not dealt wit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arison diagram for the two methods for the above construction cost comparison is shown in FIG. 4 .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완성 시점에서의 실제의 공사시공 사례를 분석해 보면, 도 5에 도시한결과와 같이 10km 초과시부터 경제성의 우위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가장 단순한 구현의 연계 기준정보 획득 단계(S3)는, 기존 송배전 경로와의 연계 기준을 10km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존 송배전 경로와 연결하는데 필요한 선로공사 구간 길이가 10km를 넘으면, 신규 변전소 신설을 검토하게 된다. Analyzing the actual construction construction case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periority of economic efficiency is changed from the time of exceeding 10 km as shown in FIG. 5 . That is,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link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implest implementation (S3), the link standard with the existing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ath is determined to be 10 km. In this case, if the length of the line construction section required to connect with the existing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route exceeds 10 km, the establishment of a new substation will be considered.

상기 선로공사 구간 길이 10km 라는 연계 기준정보는 지중 30%, 가공 70%의 보수적인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한 본 발명 제안 시점의 결과일 뿐이며, 공사기술발전, 자재비/인건비의 변동 때문에, 수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다시 유사한 실제 공사사례로 비교하여 다시 연계 기준정보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link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10km length of the track construction section is only the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al, which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conservative cost of 30% underground and 70% processing,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fluctuations in material/labor costs, several years have passed. At this point, it can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information again by comparing it with similar actual construction cases again.

실제의 배전선로가 도로 등의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건설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경우 선로거리 10km가 가장 우회를 하는 경우는 직선거리로 6.5km 초과에 해당한다. 즉,

Figure pat00007
km 초과 지점부터 기설변전소에서 공급하는 방안보다 기설 송전선로에서 분기하여 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 건설후 연계하는 것이 더 경제적으로 산출되었다. 이 경우, 상기 연계 기준정보를 직선 거리로 결정한다면, 6.5km가 될 것이다. Considering that the actual distribution line i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e conditions such as roads, the case where the 10km line distance is the most detour corresponds to a straight-line distance exceeding 6.5km. In other words,
Figure pat00007
It was more economically calculated to branch from the existing transmission line and connect after the construction of a new substation for linking renewable energy rather than supplying from an existing substation from a point exceeding km. In this case, if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a straight-line distance, it will be 6.5 km.

상술한 내용을 수행 단계로 정리하면,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연계 기준 정보는, 비교할 가장 유사한 실제 공사 사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신규 변전소 설치가 더 경제적인 거리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로 작성된다고 볼 수 있다.If the above-mentioned contents are summarized as performing steps,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n step S3 may include: searching for the most similar actual construction case to be compar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ew substation installation is created as a stage of determining a more economical distance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searched construction cases.

다음,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 작성 단계(S4)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Next,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creating a list of the system linkage plan (S4) will be described.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는 상기 S1 단계에서 접수한 특정 발전 사업 신청에서의 신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방안들을 나열한 것이다. 또한, 각 계통 연계 방안에 대한 평가(경제성, 계통 안정성)를 수행한 결과를 함께 나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 계통 연계 방안을 표시할 수 있다.The grid linkage plan list is a list of grid linkage plans for a new power plant in the specific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received in step S1.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economical, system stability) for each system linkage method can be listed together. In addition, the system linkage method determined to be optimal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may be displayed.

도 6은 작성된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리스트에서는, 신청 발전소 지역 최인근의 기존의 변전소 또는 송배전선로와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연계를 위해서 최인근 3개의 변전소를 확인하고 나열하였다. 예컨대, EXCEL의 매크로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이 작업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배제하고 편리한 관리를 위해 3개 변전소 이름을 가나다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6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pared system linkage plan list. In the illustrated list, the three nearest substations were identified and listed for the linkage between the existing substations 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nd the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in the vicinity of the requested power plant area. For example, this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macro programming of EXCEL, and the names of the three substations can be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to eliminate duplication and for convenient management.

다음,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 제공 단계(S5)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Next,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providing the system linkage method list providing step (S5) will be described.

상기 S5 단계에서는, 상기 S4 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를, 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리된 데이터 형태 및/또는 화면으로 발전 사업 신청자 또는 해당 지역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ep S5, the grid linkage plan list created in the step S4 may be provided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or the local grid power manager in the form of data and/or a screen organized in various ways as follows.

연계 방안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업 신청자에게는 가장 적합성이 높은 연계 방안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신규 변전소 설치의 경우, 사업 신청자의 예정 발전소 공사 완료일 보다 신규 변전소 설치로 인한 연계 완료일이 늦으면, 신규 변전소 설치에 따른 연계 방안과 함께, 기존 배전 경로로의 연계 방안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For project applicants who do not have a choice of linkage methods, only the most suitable linkage method can be provided. However, in the case of a new substation installation, if the completion date of the connec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ubstation is later than the project applicant's planned completion da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plant, th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ubstation and the connection method to the existing distribution route may be provided together.

한편, 상기 연계 방안 리스트에 포함된 연계 방안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지역 계통 관리자에게는 상기 연계 방안 리스트 전체 및/또는 유망한 연계 방안을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유망한 연계 방안을 삼각지점을 통해 안내하는 화면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cal system manager who can select one of the linkage plans included in the linkage plan list may organize and provide the entire linkage plan list and/or promising linkage plans. 7 is a screen for guiding a promising linkage method through a triangle.

삼각지점을 통한 특정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은 삼각점 측량법 등 정밀한 방식의 측량에서 사용이 되 듯이 기하학적으로 의미있는 접근 방식이다. 도시한 화면에서는 최인근 3개의 변전소를 꼭지점으로 지정되는 삼각영역을 사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삼각형 영역을 『신재생에너지 연계적합지역』으로 지칭하고 주요 목록을 목록화 하여 실무자들이 검토에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직선거리에 따른 연계 기준인 6.5km 이하의 삼각형 영역외의 기존변전소와 더 가까운 곳은 경제적으로 기존 변전소에서 배전선로의 인출을 통한 공사비가 더욱 저렴하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범위를 설정하였다. 3개의 변전소와 6.5km이상은 AND 조건으로 최인근 3개 변전소 모두로부터 6.5km를 초과하는 지역에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즉, 기설 변전소에서 배전선로로 인출하여 연계하는 것 보다 더욱 먼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의 신설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method of deriving specific results through triangulation is a geometrically meaningful approach as it is used in precise surveys such as triangulation. The illustrated screen shows an example of a triangular area in which the three nearest substations are designated as vertices. This triangular area was referred to as the 『Renewable and Renewable Energy Linkage Appropriate Area』 and the main list was listed so that practitioners could use it for review. The range was set in the sense that it is economically cheaper to take out the distribution line from the existing substation to places closer to the existing substation, except for the triangular area of 6.5km or less, which is the linkage standard according to the straight line distance. Three substations and more than 6.5km are AND conditions, meaning that they are located in an area exceeding 6.5km from all the three nearest substations. That is, it is located at a farther distance than the existing substation by drawing it out and connecting it to the distribution line, indicating that the new construction of a new substation for connection with renewable energy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와 같이 확보한 『신재생에너지 연계적합 지역』중에서 합계용량 20MW 이상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이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다양한 Type의 변전소의 예시를 기존의 다른 목적의 검토자료 등을 참고하여 나열하여, 지역별로 신재생에너지의 분포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차별화가 가능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implementation, a list with a total capacity of 20MW or more is extracted from the 『Renewable Energy Linkage Appropriate Area』 secured as above, and examples of various types of substation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linkage suitable for this are presented as review data for other purposes, etc.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ist that can be differentiated by listing with reference to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is different by reg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한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신청들에 대하여 정리/분석한 정보를 제공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8 shows a method for review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shown is the main purpose of providing organized/analyzed information on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s for a specific area.

도시한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은,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12); 연계 기준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S13);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 중 상기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최적의 설비를 결정하는 단계(S14); 상기 결정된 최적의 설비와 상기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의 연계를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S15); 및 상기 반영된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includes: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a power plant from information on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S11); Read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S12); reading link reference information (S13); Determining an optimal facility according to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mong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hat can link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S14); reflecting the linkage between the determined optimal facility and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or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to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S15); and providing (S16) the reflected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the system manager of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신청 발전소의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 상기 지역발전/송변전 설비 정보 획득 단계(S12), 상기 연계 기준정보 획득 단계(S13) 및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 작성 단계(S14)는 상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유사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다. 다만,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신규 발전소에 대한 단일 신청 건에 대한 연계 방안 리스트가 작성되는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해당 지역에 소정 기간 접수된 신규 발전소에 대한 다수의 신청건들에 대한 다수의 연계 방안 리스트가 작성되는 차이는 존재한다.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S11), the local power generation/transmission and substation information obtaining step (S12),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obtaining step (S13), and the grid linkage plan list creation step (S14) is similar to the case of Embodiment 1 described above,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Example 1, a list of linkage plans for a single application for a new power plant is prepared, whereas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linkage plans for a plurality of requests for a new power plant received in the reg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re is a difference in how the list is written.

상기 지역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S15)의 수행 원리 및 그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The principle of performing the step (S15) of reflecting the local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역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S15)에서는, 해당 지역의 송배전 전략 수립을 위해 용량중심점 및/또는 소그룹 용량중심점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step (S15) of reflecting in the regional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a capacity center point and/or a small group capacity center point may be used to establish a transmission/distribution strategy in the corresponding area.

이 경우,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에서, 발전원이 많이 모이고 그 합계용량이 큰 지점으로서 용량중심점을 반영하여,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제안 자료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안 자료는 해당 지역의 신규 변전소 건설 계획에 반영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he capacity center point is reflected as a point where many power sources are gathered and the total capacity is large, and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the area is reflected. You can write proposal materials. The above proposal data can be reflected in the new substation construction plan in the area.

신재생에너지는 특정지역에 분산하여 입지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된다면, 분산시에도 각각의 단위용량의 크기가 서로 달라 연계용 신설 변전소가 입지할 위치에 따라 각각의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하기 위해 필요한 공용배전설비의 비용이 달라지게 된다. 최하위 단위의 발전원에서는 기간 배전망의 접속점에서 연계점까지의 고객이 부담하게 되는 부분이 발생한다. 도 9는 계통으로의 접속설비나 공용송전망 등의 연결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If it is confirmed that new and renewable energy is to be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size of each unit capacity is different even when distributed, so the public distribution required to connect each new and renewable energy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new substation for connection will be located The cost of the equipment will vary. In the lowest unit of power generation, there is a part that the customer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main distribution network to the connection point bear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oncept such as a connection facility to a grid or a public transmission network.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의 수용점을 산출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비용효과적으로 발전원이 많이 모이고 그 합계용량이 큰 지점에 대한 선정 논리가 필요하다. 이에, 택지개발 등 전력수요증가 예상지역에 전력공급용 전력설비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부하중심점”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용량중심점을 제시한다.When calculating the acceptance point of such new and renewable energ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aspect and select a point where many power generation sources are gathered in a cost-effective manner and the total capacity is large. Therefore, as a concept similar to the “load center point” used when designing power facilities for power supply in areas where power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such as housing site development, the capacity center point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is presented.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여기서,

Figure pat00009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경도,
Figure pat00010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위도,
Figure pat00011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발전력,
Figure pat00012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경도,
Figure pat00013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위도이다.here,
Figure pat00009
: The hardness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Figure pat00010
: Latitude of the i-th renewable energy source,
Figure pat00011
: The power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ource,
Figure pat00012
: central longitude in one 『connection fit area』,
Figure pat00013
: It is the latitude of the center in one 『joint fit area』.

상기 수학식은 『연계적합 지역』내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개개의 발전용량과 위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용량중심점 위도와 경도를 산출한 것이다. The above equation calculates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apacity center point by using the individual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ource within the "connection suitable area".

즉,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용량중심점을 이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he capacity center point according to Equation 1 may be used.

신규 변전소 건설의 경제성 평가의 관점에서 구현하면,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는, 다수의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발전소들의 위치들을 반영한 용량 중심점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 계통에서의 신규 변전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서의 신규 변전소의 건설 비용 및 각 신청 발전소와의 연계 비용들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 비용 및 연계 비용들을 반영하여 경제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implemen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nomic evaluation of new substation constructio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is a regional system using a capacity center point concept that reflects the locations of power plants for multipl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s. determining a new substation location in estim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substation at the location and the cost associated with each applied power plan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by reflect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associated costs.

한편, 상기 용량중심점 뿐만 아니라 이보다 작은 규모의 소그룹 용량중심점을 이용하는 방안을 살펴본다.Meanwhile, a method of using not only the capacity center point but also a smaller group capacity center point will be described.

방사상으로 뻗어 나가는 전력계통의 특징을 반영하여 하나의 『연계 적합지역』내에서도 소그룹으로 4등분하여 하여 실제로 소요될 배전 간선 계통의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4등분의 중심은 앞서 구한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이다. 즉, 신재생에너지의 분포현특색에 따라 해당되는 사분면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된다. 실제적으로 하나의 『연계 적합지역』내에서도 특정 사분면에 많은 수와 큰 용량의 신재생이 집결된다면 『연계 적합지역』의 중심점 보다 소그룹 중심점에 연계용 신설 변전소를 건설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다.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ystem extending radially,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distribution trunk system that will actually be required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it into four small groups even within one 『Connecting Appropriate Area』. The center of the 4 equal parts is
Figure pat00014
Wow
Figure pat00015
to be. That is,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quadra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newable energy. In fact, the general idea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build a new substation for connection at the center of a small group than at the center of a suitable area for connection if a large number and large capacity of renewable energy are gathered in a specific quadrant even within one suitable area for connection. can produce the same result.

신규 변전소 건설의 경제성 평가의 관점에서 정리하면,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는, 다수의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발전소들의 위치들을 반영한 용량 중심점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 계통에서의 신규 단일 변전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서의 신규 단일 변전소의 건설 비용 및 각 신청 발전소와의 연계 비용들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용량 중심점을 중심으로 건설 가능 지역을 다수개 구분하고, 각 구분된 지역에 대한 소규모 용량 중심점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소규모 용량 중심점에서 소규모 변전소를 설치할 때의 건설 비용들 및 각 신청 발전소와의 연계 비용들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 비용 및 연계 비용들을 반영하여 경제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ummariz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nomic evaluation of new substation constructio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is a regional system using the capacity center point concept that reflects the locations of power plants for multipl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s. determining a new single substation location in estim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a new single substation at the location and the cost associated with each applied power plant; classifying a plurality of constructable areas based on the capacity center point, and calculating a small capacity center point for each divided area;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s when installing a small-scale substation at each of the small-scale capacity center points and costs associated with each applied power plan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by reflect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associated costs.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6)의 수행 원리 및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본 S16 단계에서는 관리자에게 각종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종류의 리포팅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inciple and process of performing the step (S16)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reg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step S16,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dministrator with various types of reporting screens meeting various purposes.

상술한 바와 같이 사분면의 위치를 구획하는 방법과 소그룹 용량중심점의 계산과 이에 대한 표현을 도 10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이 정리된 화면은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S15 단계에서 작성되지만, 이에 대한 출력 화면은 S16 단계를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artitioning the position of the quadrant and the calculation and expression of the small group capacity center point can be organized as shown in FIG. 10, and the organized screen can be provided to the system manager of the corresponding area. Although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10 is prepared in step S15, an output screen for this is for step S16.

도 11은 연계 적합지역 125개소 선정과 대표검토 사례를 도시한 화면이며, 본 화면 또한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11 is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on and representative review of 125 suitable areas for connection, and this screen may also be provided to a system manager in the corresponding area.

도시한 화면에서, 실제로 T/F 활동을 통해서 전국의 신재생에너지 신청분을 기준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도출한 결과 총 125개의 『연계 적합지역』이 도출되었으며, 이중 연계용 신서 변전소 신설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된 곳은 총 31개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31개소중에 7개소는 하나의 『연계 적합지역』내에서 특정지역에 집중분포되어 소그룹으로 나눠서 재검토를 한 결과 5개소에 대해서는 하나의 『연계 적합지역』내에서 2개로 분리하는 것이 경제성이 우위를 점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In the screen shown, a total of 125 『suitable areas for linkag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deriving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bove based on the amou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nationwide through T/F activities. It can be seen that a total of 31 places were judged to be advantageous. And 7 out of 31 sites we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within one 『Connected Appropriate Area』 and divided into small groups and reviewed. As a result, for 5 places, it is more economical to separate them into two within one 『Connected Appropriate Area』. It can be concluded that .

또한, 배전선로 건설기 지중비율에 따른 재생에너지 전용 변전소의 경제성 우위 개소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2는 『연계 적합지역』중 연계용 신설 변전소 신설이 경제적 우위로 판단된 현황을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시한 테이블은 본 발명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수행하는 도중에 적합성 판단시 이용될 수 있는 자료이나, 구현에 따라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상기 화면을 근거로 하여, 경제성 및 수용성을 고려하여 가공70% 기준 적합지역 31개소를 전용변전소 검토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conomical advantage of substations exclusively for renewable energy according to the underground ratio of the distribution line construction period. 12 is a table showing the status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a new substation for connection among “connected suitable areas” is judged to be economically superior. The illustrated table is data that can be used when determining suitability while performing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provided to the system manager in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implementation. For example, based on the above screen, the manager may select 31 sites suitable for 70% processing standards as the subject of review for the exclusive substation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도 13은 소그룹으로 분리하여 세부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시한 사례는 전용변전소의 모델이 표준형(E형 및 F형)으로 검토된 7개소에 포함된 것이다. 도시한 화면에서 신규 소규모 변전소를 위한 기존 계통 라인으로의 연결을 위한 신규 송전선로와, 소규모 변전소에서 소그룹 용량중심점까지의 신규 배전선로가 직선거리로 검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3 shows a screen for reviewing in detail by dividing into small groups. The example shown is that the model of the dedicated substation was included in the 7 sites reviewed as the standard type (type E and type F). In the screen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new transmission line for connection to the existing system line for the new small substation and the new distribution line from the small substation to the small group capacity center point are being reviewed in a straight line distance.

상술한 화면들에 따라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들은 일종의 정량적인 현황이다. 이에, 여전히 전체적인 추세 등에 대한 자료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고안하여 Qgis에서 있는 열지도 기능을 활용하여 전국 신재생에너지의 증가추이, 지역별 분포도 및 증가추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Qgis에서의 열지도는 상대적인 크기만을 보여주기에 축척에 따라 다소 왜곡된 듯한 이미지를 출력한 부분이 있어서 본 제안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절대치를 기준으로 지역별 표현방식을 아이디어로 제시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한 열지도를 이용하여 전국적인 변화추이와 지역별 현재와 미래를 시뮬레이션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creens,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ocal system manager is a kind of quantitative status. Accordingly, it may still be difficult to recognize data on the overall trend. By devising these shortcomings, it is possible to use the heat map function in Qgis to provide data that can confirm the increase trend of renewable energy nationwide, the distribution map of each region, and the increase trend. However, since the heat map in Qgis shows only the relative size, there is a part of the image that seems to be slightly distorted according to the scale, so this proposal improves this and suggests a regional expression method based on the absolute value as an idea. For example, using the heat map shown in FIG. 14 , it is possible to express an image that simulates a nationwide change trend and the present and future of each region.

QGIS는 강력한 지형정보 기반 응용프로그램이다. 그러나 특정요소에 비중을 둔 분포밀도 현황을 보여주는 『열지도』 기능에는 어느정도의 제한이 있다. 좁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요소들을 표시하기에는 다소간의 오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축척에 따른 상대적 값의 표현으로 조작방법에 따라 상대밀도가 낮은 곳이 높게 표시되거나, 위경도가 모두 일치하는 항목의 경우 한 점으로 보인다는 점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적인 데이터 분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QGIS is a powerful geospatial information-based applicatio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Heat Map” function, which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density that is focused on specific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some errors occurred in displaying elements that are widely spread in a narrow area. As an expression of a relative value according to the scale, a representative case is that a place with a low relative density is displayed as high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or a single point is displayed for items with the same latitude and longitude. Such a case may cause errors in the overall data analysis.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kW 단위로 발전력을 분할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령 충청북도 음성군에 100MW 규모의 연료전지를 1개의 100MW 한 포인트로 표현되던 것을 10,000 개의 10kW 규모의 발전원으로 분할하여 표현할 수 있다. 표현은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구현 가능하다. 대략 8만건의 자료가 67만건으로 늘어났지만 시군구별 현황 등을 엑셀데이터와 함께 분석한 결과 Qgis 본래의 기능의 제한으로 인한 오류가 상당부분 해소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15는 이에 따라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advantageous to use a method of dividing and expressing the power generation in units of 10 kW. For example, a 100MW fuel cell in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can be expressed by dividing it into 10,000 10kW power sources. Expressions can be implemented through programming. Although approximately 80,000 data were increased to 670,000,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city, county, etc. together with the Excel data confirm that the erro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original function of Qgis is largely resolved. indicates.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한 QGIS, API 서비스는 디지털변환 및/또는 전력인프라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 활용하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TOMS(송전운영시스템)”에 반영하여, 위치기반 신재생 연계업무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QGIS and API service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tilize data on digital conversion and/or power infrastructure, and reflect it in “TOMS (transmission oper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6, and link location-based renewable energy applicable to work.

또한, 늘어나는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신설 변전소의 수요를 분석할 때에서 보다 실제적인 분석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과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위치기반 분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new and renewable energy-linked substations, more practical analysis is possible, thereby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 actual location-based analysis data may be provided.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를 도시한다.18 shows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capable of performing the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도 18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를 수행가능한 서비스/업무를 연관시켜 표현한 블록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expressing the service/task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of FIG. 18 in association.

구현에 따라, 상기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는 해당 지역의 계통 전력 관리를 함께 수행할 수도 있지만, 현재 지역의 계통 전력 관리 서버들이 별도로 구축된 것을 감안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통 전력 관리 서버와 구분되어 이와 협조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renewable energy grid linkage review server may also perform grid power management in the corresponding area, but considering that the grid power management servers in the current area are separately constructed, grid power as shown in FIG. 18 . It is easy to implement the system in a way that is separ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ooperates with it.

도시한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는, 신규 발전소 사업 신청자의 발전 사업 신청 정보 등 계통 연계 검토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접수부(110);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지오코딩 방식으로 가공하고, 신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고, 계통 연계 방안을 작성하는 데이터 가공부(120); 및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평가된 계통 연계 방안을 분석하여, 상기 사업 신청자 또는 신청 해당 지역의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는 분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system linkage review target data, such as power generation business application information of a new power plant business applicant, and performing pre-processing; a data processing unit 120 for processing the preprocessed data in a geocoding method, determining a grid linkage standard for a new power plant, and creating a grid linkage plan; and an analysis unit 140 that analyzes the grid linkage method evaluated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and configures a screen necessary for the project applicant or a grid power manager in the application area.

상기 데이터 가공부(12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기존 공사 사례를 분석하여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는 연계 기준 결정부(124); 및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신청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방안들을 작성하는 연계 방안 작성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접수부(110)에서 접수된 정보의 주소 등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부(122); 및 상술한 지역의 용량 중심점을 산출하는 용량 중심점 산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linkage criterion determining unit 124 for determining a system linkage standard by analyzing existing construction case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nkage plan creation unit 126 for creating grid linkage plans for an applied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In addition, a geocoding unit 122 for converting the address of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nto latitude / longitude coordinates; and a capacity center point calculation unit 128 for calculating the capacity center point of the above-described region.

상기 데이터 접수부(11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신청자의 단말(300) 또는 지역 계통 관리 서버(200)로부터 신재생 발전 사업 신청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역 계통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역 계통 관리 서버(200)는 상술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들(220 ~ 260)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에 따라, 상기 저장 장치들(220 ~ 26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외부 기관의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data recep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300 or the local system management server 200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region from the regional system management server 200 . To this end, the local system management server 200 is illustrated as having the storage devices 220 to 260 for stor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bu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ll or part of the storage devices 220 to 260 . may be located on a server of another external organization.

상기 데이터 접수부(110)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전처리로는, 신청서 상 주소나 설비 정보의 오기 보정, 신청서 상 주소나 설비 기재의 규격화, 신청서에 따른 발전소나 발전사업의 분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As data pre-processing perform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10 , correction of erroneous address or facility information on an application form, standardization of address or equipment description on an application form, classification of a power plant or power generation project according to an application form, etc. may be performed.

상기 데이터 접수부(110)는 상술한 S1 단계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perform a part of step S1 described above.

상기 데이터 가공부(12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오코딩, QGIS 코딩, 역지오코딩, 용량 중심점 산출 등의 데이터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상술한 S1 단계의 일부 및 S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such as geocoding, QGIS coding, reverse geocoding, and capacity center point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 part of step S1 and step S2 described above.

상기 연계 기준 결정부(124)는, 상술한 S3 단계를 수행하여,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한다.The association criterion determining unit 124 determines the system association criterion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 S3.

상기 연계 방안 작성부(126)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를 작성하고, 리스트 상 각 연계 방안에 대하여 평가하고, 발전소 신청에 대한 최적의 연계 방안을 결정한다. The linkage plan creation unit 126 creates a list of grid linkage plan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each linkage plan on the list, and determines an optimal linkage plan for power plant application.

상기 분석부(140)는 일종의 리포팅부로서, 상기 계통 연계 방안 리스트, 발전소 신청에 대한 최적의 계통 연계 방안, 최적의 계통 연계 방안이 적용된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대한 리포팅 화면 및/또는 자료를 생성하여, 발전소 사업 신청자나 해당 지역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포팅 화면 및/또는 자료는 해당 지역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40 is a kind of reporting unit, and the list of grid linkage plans, the optimal grid linkage plan for power plant application, and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o which the optimal grid linkage plan is applied. A screen and/or data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a power plant project applicant or a local grid power manager. The reporting screen and/or data may be provided to the local grid power manager through the manager interface unit 180 .

상기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100)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신청자의 단말(300)로 직접 검토 정보를 제공하는 구현의 경우, 상기 신청자의 단말에 검토 정보를 제공하는 신청자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mplementation in which the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100 provides review information directly to the terminal 300 of the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the applicant interface unit 170 for providing review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applicant may further include.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100)는, 외부의 해당 지역 계통 관리 서버(200) 및 이에 접속되는 발전 사업 신청자 단말(300)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100 can configure a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system together with the external local system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terminal 300 connected thereto. hav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s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only d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계통 연계 검토 서버
110 : 데이터 접수부
120 : 데이터 가공부
122 : 지오코딩부
124 : 연계 기준 결정부
126 : 연계 방안 작성부
128 : 용량 중심점 산출부
140 : 분석부
200 : 지역 계통 관리 서버
100: lineage review server
110: data receiving unit
120: data processing unit
122: geocoding unit
124: linkage standard determining unit
126: Linkage plan preparation department
128: capacity center point calculation unit
140: analysis unit
200: local system management server

Claims (10)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계통 연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계통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평가가 포함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리스트를 발전 사업 신청자 또는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from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ing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preparing a list includ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s a list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that can be linked to a power plant according to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and
Providing the above prepared list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nt or the local system manager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기준 정보는,
비교할 유사한 실제 공사 사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공사 사례를 기반으로 신규 변전소 설치가 더 경제적인 거리 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is
retrieving similar real-world construction cases to compare; and
Based on the searched construction cases, the stage of determining the distance reference value for which the installation of a new substation is more economical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btained 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발전 사업 신청 온라인 신청서 접수시 화면에 해당 지역 지도상에 신청한 발전소 위치를 표시하고, 신청자로부터 표시된 위치를 확인받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When receiving the online application for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the loc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is displayed on the map of the area on the screen, and the location of the applied power plant is confirmed by the applic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해당 지역의 발전/송변전 설비 정보는,
관련 기관의 서버로부터 획득한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위/경도 기준으로 통합되어 재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on/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y information of the region obtained in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transmission facilities is,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area acquired from the server of the relevant institution is integrated and rewritten based on latitude/longitude.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정보로부터 발전소에 대한 위/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계통 연계 기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를 연계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송변전 설비들 중 상기 계통 연계 기준 정보에 따른 최적의 설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적의 설비와 상기 발전 사업 신청에 따른 발전소의 연계를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반영된 상기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의 계통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obtaining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for the power plant from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obtaining system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determining an optimal facility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reference information among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that can link a power plant according to a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reflecting the linkage between the determined optimal facility and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to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Providing the reflected information on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the system manager of the corresponding are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에서는,
발전원이 많이 모이고 그 합계용량이 큰 지점으로서 용량중심점을 반영하여, 해당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제안 자료를 작성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that reflects the capacity center point as a point where many power generation sources gather and the total capacity is large, and prepares proposal data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facilities in the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중심점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결정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경도,
Figure pat00018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위도,
Figure pat00019
: i번째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발전력,
Figure pat00020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경도,
Figure pat00021
: 하나의 『연계적합 지역』에서의 중심 위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apacity center point is 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metho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The hardness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Figure pat00018
: Latitude of the i-th renewable energy source,
Figure pat00019
: The power of the i-th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ource,
Figure pat00020
: central longitude in one 『connection fit area』,
Figure pat00021
: The latitude of the center in one 『connection fit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의 분산 발전 및 송변전 설비에 대한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는,
다수의 발전 사업 신청에 대한 발전소들의 위치들을 반영한 용량 중심점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 계통에서의 신규 변전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서의 신규 변전소의 건설 비용 및 각 신청 발전소와의 연계 비용들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 비용 및 연계 비용들을 반영하여 경제성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is,
determining a new substation location in the local grid using the capacity center point concept reflecting the locations of power plants for multipl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s;
estimat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substation at the location and the cost associated with each applied power plant; and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by reflect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related costs
How to review the linkag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s, including
신규 발전소 사업 신청자의 발전 사업 신청 정보 등 계통 연계 검토 대상 데이터를 접수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접수부;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지오코딩 방식으로 가공하고, 신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고, 계통 연계 방안을 작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평가된 계통 연계 방안을 분석하여, 상기 사업 신청자 또는 신청 해당 지역의 계통 전력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ata subject to grid-connected review, such as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information of a new power plant project applicant, and performs pre-processing;
a dat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pre-processed data in a geocoding method, determines a grid linkage standard for a new power plant, and creates a grid linkage plan; and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grid linkage method evaluated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and configures a screen necessary for the project applicant or a grid power manager in the applied are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that inclu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기존 공사 사례를 분석하여 계통 연계 기준을 결정하는 연계 기준 결정부;
상기 계통 연계 기준에 따라 신청된 발전소에 대한 계통 연계 방안들을 작성하는 연계 방안 작성부;
상기 데이터 접수부에서 접수된 정보의 주소 등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부; 및
상기 발전 사업 신청 지역의 용량 중심점을 산출하는 용량 중심점 산출부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검토 서버.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a linkage standard determining unit that analyzes existing construction cases to determine a grid linkage standard;
a linkage plan creation unit that prepares grid linkage plans for the power plant applied for according to the grid linkage standard;
a geocoding unit for converting addresses of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into latitude/longitude coordinates; and
Capacity center poi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apacity center point of the power generation project application area
Renewable energy system linkage review server that includes.





KR1020190165617A 2019-12-12 2019-12-12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KR202100746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7A KR20210074664A (en) 2019-12-12 2019-12-12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7A KR20210074664A (en) 2019-12-12 2019-12-12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64A true KR20210074664A (en) 2021-06-22

Family

ID=7660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17A KR20210074664A (en) 2019-12-12 2019-12-12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6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59A (en) 2021-09-17 2023-03-24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available capacity for renewable energy by substation using weighted short circuit rati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144B1 (en) 2013-10-30 2015-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gene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144B1 (en) 2013-10-30 2015-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gener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59A (en) 2021-09-17 2023-03-24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available capacity for renewable energy by substation using weighted short circuit rati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hkezari et al. Development of an enterpris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tegrated with smart grid
Scheller et al. Energy system optimization at the municipal level: An analysis of modeling approaches and challenges
Efroymson et al. A branch-bound algorithm for plant location
Lopes et al. Electricity markets with increasing levels of renewable generation: Structure, operation, agent-based simulation, and emerging designs
CN111524027B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statistica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orkovelos et al. The role of open access data in geospatial electrification planning and the achievement of SDG7. An OnSSET-based case study for Malawi
Cader et al. Overcoming data scarcity for energy access planning with open data–the example of Tanzania
Isihak et al. Evolution of GIS-based rural electrification planning models and an application of OnSSET in Nigeria
Belda et al. Reviewing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energy modelling software in the assessment of PEDs using case studies
Dueker et al. GIS in the land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balancing the needs of land use planners and real estate developers
KR20210074664A (en)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CN111708827A (en) Real estate unit coding system
Valdes et al. A framework for regional smart energy planning using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Oseni et al. Application of GIS in electricity distribution: A case study of part of Ashamu Layout Kosobo, Oyo east local government area, Oyo state Nigeria
Merz et al. Hybrid poplar based biorefinery siting web application (HP-BiSWA): an online decision support application for siting hybrid poplar based biorefineries
Zaidi et al. Information management of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in real time through GIS mapping
Shabbiruddin et al. Analysis of Challenges for One Point Solution Study of Electric Vehicle Service Centre (EVSC) using Fuzzy–Methodology
Adinarayana et al. Village Level Information System- A Tool for Decentralized Planning at District Level in India
Cico et al.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GIS in power distribution utilities
Munywoki Integrating a web-based GIS in the optimization of the customer connection process for utility company: A case of Kenya Power; Lighting Company, Ltd.
KR100603556B1 (en) System for managing gas supply business based on ge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of the same
Banze et al. Open data for energy networks: introducing DAVE—a data fusion tool for automated network generation
Patel GeoUrja—An Innovative GIS Solutions for an Electrical Network
Singh Rol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In Power Distribution In India
Kratsch et al. Deliverable: D8. 2 German Demonstrator―Demonstration of congestion management using market-based flexibility in the LV g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