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241A -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241A
KR20210059241A KR1020190146442A KR20190146442A KR20210059241A KR 20210059241 A KR20210059241 A KR 20210059241A KR 1020190146442 A KR1020190146442 A KR 1020190146442A KR 20190146442 A KR20190146442 A KR 20190146442A KR 20210059241 A KR20210059241 A KR 2021005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list
electronic device
user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나민욱
최윤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241A/ko
Priority to PCT/KR2020/015448 priority patent/WO2021096164A1/ko
Publication of KR2021005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ST IN ELECTRONIC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운영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메시지, 통화, 리마인더, 갤러리, 및/또는 메모장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를 제공할 수 있다. 리스트는, 동일한(또는 같은) 속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의 그룹 또는 순서가 매겨진 아이템의 그룹을 지정된 방식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를 예로 하면, 리스트는 외부와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으로 이루이질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아이템(예: 읽은 아이템)과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아이템(예: 읽지 않은 아이템)이 혼재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의 아이템은 추가적으로 송수신되는 다수의 아이템이 리스트의 상단 위치에서부터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미확인 아이템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계속적인 스크롤링 동작을 반복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확인 아이템과 확인 아이템이 혼재하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미확인 아이템을 탐색하기 위한 시간 소요와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조건의 아이템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필터링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간단한(또는 손쉬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사용자 지정 조건의 아이템을 빠르게 필터링 하고, 리스트를 필터링된 아이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지정 조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손쉽고 빠르게 필터링 할 수 있고, 필터링된 아이템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전자 장치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리스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embedded)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132)에 로드(load)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센서 허브 프로세서(sensor hub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inactive)(예: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active)(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142), 미들웨어(middleware)(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speaker) 또는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biometric sensor),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protocol)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motor),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전기 자극 장치(electrical stimulation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fuel cell)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가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 display driver IC)(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또는 후처리(post-processing)(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235)을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pixel)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DDI(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 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pixel layer)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 유닛(uni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compiler)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 프로세서(예: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 지정의 필터링(filtering)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전환 효과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의 아이템을 화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표시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필터링 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제외된 리스트를 별도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리스트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리턴(return)에 관련된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2 상태로 리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상태로 리턴 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제외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상태로 리턴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제외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없이,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면, 도 1의 프로세서서(120))(이하, ‘프로세서(120)’라 한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이하, ‘메모리(130)’라 한다)에 저장되고, 실행 시에, 프로세서(120)가 동작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카테고리(category)(예: 메시지, 전화, 리마인더(reminder), 어플리케이션(또는 앱(app)), 메모, 및/또는 갤러리)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예: 작성, 촬영)되는 아이템(예: 메시지, 사진, 메모), 외부(예: 다른 전자 장치)와 송수신 또는 공유되는 아이템(예: 메시지, 통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아이템(예: 푸시(push) 알림), 및/또는 외부(예: 스토어,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설치되는 아이템(예: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동일한(또는 같은) 속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의 그룹 또는 순서가 매겨진 아이템의 그룹을 지정된 방식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제스처(gesture),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지정된 정보(예: 사용자 지정의 필터링(filtering)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또는 정렬(sorting))하기 위한 지정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면,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필터링 조건(또는 옵션(option))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링 조건은, 새롭게 업데이트되거나, 지정된 기간 내에 푸시 되거나, 또는 생성(또는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또는 미확인)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제1 조건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제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조건은 부재중 통화, 미확인(또는 읽지 않은(unread)) 메시지, 미확인 리마인더,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추가된 사진, 또는 추가된 메모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조건은, 예를 들면, 아이템의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상태에서, 리스트의 특정 부분을 선택(또는 터치)한 상태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은, 스와이프(swipe) 입력,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입력, 또는 플릭(flick) 입력과 같이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방향은, 리스트가 제공되는 형식(또는 방향)(예: 상하로 스크롤되는 형식, 또는 좌우로 스크롤되는 형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방향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예: 위에서 아래 방향)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우 방향 또는 좌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예: 좌(또는 우)에서 우(또는 좌)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지정된 정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에 관련된 아이템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101)에 설정된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지정된 정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체 설정은, 리스트의 카테고리에 관계 없이 모든 리스트에 대해 필터링 조건(또는 지정된 정보)가 일괄적으로 및/또는 공통적으로 설정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개별 설정은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로 각각 설정되는 방식으로, 각 리스트의 특성(또는 속성)에 따라 필터링 조건(또는 지정된 정보)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리스트에서 개별 설정이 없는 경우, 전체 설정에 따른 필터링 조건에 기반하여 필터링을 처리할 수 있고, 리스트에서 개별 설정이 있는 경우, 전체 설정에 비해 개별 설정에 우선 순위를 두고, 개별 설정에 따른 필터링 조건에 기반하여 필터링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아이템 전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또는 이동하는 동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제2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식별된(또는 필터링된) 아이템(또는 해당 아이템을 포함하는 다른 리스트)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를 사용자 입력 방향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필터링된 아이템(또는 필터링된 아이템에 관련된 리스트)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필터링된 아이템(또는 필터링된 아이템에 관련된 리스트)을 사용자 입력의 방향(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dissolve)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fade-in/out) 효과)를 통해, 필터링된 아이템을 텐션(tension) 및/또는 액션(action)감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visual experience) 및/또는 심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또는 필터링된) 아이템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리스트에서 지정된 조건의 아이템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예시에서는,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예: 타이틀 - Messages)’인 것을 예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예시에서는, 메시지 리스트에,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또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제1 아이템(450)(또는 미확인 알림)(예: 언리드 메시지(unread message))과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또는 사용자가 읽은) 제2 아이템(460)(또는 확인 알림)(예: 리드 메시지(read message))이 혼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450)은 리스트의 아이템 정렬 방식(예: 아이템 획득(또는 수신, 저장, 업데이트) 시점)에 기반하여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의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또는 내비게이션) 동작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화면 예시 <401>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테고리(또는 타이틀(title))을 위한 제1 영역(410)(예: 카테고리 영역 또는 앱 바(app bar))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또는 컨텐츠)를 위한 제2 영역(420)(예: 컨텐츠 영역 또는 리스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 예시 <40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영역(420)의 리스트를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영역(410)의 표시를 제거하면서, 제2 영역(420)을 제1 영역(410)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410)은 생략하고, 제2 영역(420)만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410)은 확장 가능한 형태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예시 <40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영역(410)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영역(410)을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3 영역(430)(예: 메뉴 영역 또는 태스크 전환 영역)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430)은 리스트의 종류(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해당 리스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430)의 일부를 통해, 전자 장치(101)에 지정된 기능(예: 최근 목록 보기, 홈 화면 이동, 및/또는 뒤로 가기)과 관련된 소프트 버튼 또는 물리적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 버튼의 경우, 제3 영역(430) 상에 중첩(또는 오버레이(overlay))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화면 예시 <401>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1 영역(410)은 해당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아이템을 검색하기 위한 제1 객체(411)(예: 검색 객체) 및/또는 해당 리스트에 관련된 다양한 옵션(또는 기능)(예: 필터링 조건 설정, 정렬 방식 설정, 삭제 메뉴, 아이템 선택 메뉴)을 설정(또는 실행)하기 위한 제2 객체(413)(예: 메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4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된 리스트에서, 아이템의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40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아이템(450)(예: 제1 미확인 알림(451), 제2 미확인 알림(453), 제3 미확인 알림(455))과 제2 아이템(460)(예: 다수의 확인 알림)이 혼재된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450)을 필터링 하여 표시하기 위해, 지정된 사용자 입력(400)을 디스플레이 상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400)은 리스트의 일정 부분(예: 제1 영역(410)의 일부분 또는 제2 영역(420)의 일부분)을 터치한 상태에서, 리스트를 끌어내리는(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스처(예: swipe dow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400)은 제1 영역(410)의 앱 바 또는 핸들러(handler)(미도시)를 끌어내리는 제스처(예: swipe dow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450)과 제2 아이템(460)의 구분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1 아이템(450)의 경우, 미확인 상태임을 알리는 식별자(440)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식별자(440)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아이템의 확인 또는 미확인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에 기반하여, 리스트에 설정된 필터링 조건(예: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조건은 부재중 통화, 미확인(또는 읽지 않은(unread)) 메시지, 미확인 리마인더,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추가된 사진, 또는 추가된 메모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조건은, 예를 들면, 아이템의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필터링 조건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403> 및 화면 예시 <4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면서, 리스트가 존재 하던 기존 영역(또는 위치)에 필터링된 제1 아이템(450)(예: 제1 미확인 알림(451), 제2 미확인 알림(453), 제3 미확인 알림(453))을 서서히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에 응답하여, 제1 아이템(450)(예: 제1 미확인 알림(451), 제2 미확인 알림(453), 제3 미확인 알림(455))을 식별(또는 필터링, 정렬)할 수 있고, 식별된 제1 아이템(450)을 리스트에서 제외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로 이동되는 리스트는 제1 아이템(450)은 제외하고, 제2 아이템(46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450)은 리스트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될 수 있고, 제1 아이템(450)만을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450)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 표시가 요청되거나, 또는 리스트의 표시가 종료되는 경우,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또는 제자리)에 다시 배치(또는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403> 및 화면 예시 <405>에 도시한 예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이 이동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400)에 따라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400)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디졸브 효과(예: 페이드-인/아웃 효과)로 제1 아이템(45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450)을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의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지정된 정렬 방식의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예시 <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450)을 최근 수신된 순서(예: 제1 미확인 알림(451) -> 제2 미확인 알림(453) -> 제3 미확인 알림(455))에 기반하여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에 기반하여 아이템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링된 제1 아이템(450)을 나타내는 장면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가 사용자 입력(400)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리스트의 기존 영역에 제1 아이템(45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450)을 사용자 입력(400)의 방향(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를 통해, 제1 아이템(450)을 텐션(tension) 및/또는 액션(action)감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visual experience) 및/또는 심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필터링된 제1 아이템(4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기(또는 표시되기) 전까지는 화면 예시 <403>과 같이 제1 아이템(450)(예: 제1 미확인 알림(451), 제2 미확인 알림(453))을 딤(dim)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제1 아이템(4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시점(또는 사용자 입력(400)의 해제 시점)에서는 화면 예시 <405>와 같이 제1 아이템(450)(예: 제1 미확인 알림(451), 제2 미확인 알림(453), 제3 미확인 알림(455))을 온전히(예: 밝게) 처리(예: 브라이트(bright)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407>에 도시한 예시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400)을 해제(또는 완료)한 상태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400)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1 아이템(450)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450)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450)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제1 아이템(450)과 인접(예: 제1 아이템(450)의 최하단 영역에 이어서 인접)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리스트(예: 제2 아이템(46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간단한(또는 손쉬운) 사용자 입력(예: 리스트 상에서의 제스처(예: swipe down))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사용자 지정 조건의 아이템에 대한 빠른 검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지정 조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손쉽고 빠르게 필터링 할 수 있고, 필터링된 아이템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예: 도 4의 제1 영역(410))(예: 카테고리 영역 또는 앱 바)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또는 컨텐츠)를 위한 제2 영역(예: 도 4의 제2 영역(420))(예: 컨텐츠 영역 또는 리스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 필터링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또는 제스처)(예: swipe down)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지정된 필터링 조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필터링(또는 정렬)하기 위한 지정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 필터링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필터링 조건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조건은, 새롭게 업데이트되거나, 지정된 기간 내에 푸시 되거나, 또는 생성(또는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또는 미확인)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제1 조건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제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조건은 부재중 통화, 미확인(또는 읽지 않은) 메시지, 미확인 리마인더,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추가된 사진, 또는 추가된 메모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조건은, 예를 들면, 아이템의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101)에 설정된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필터링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120)는 필터링 조건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아이템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아이템(예: 필터링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과 제2 아이템(예: 제1 아이템 외의 나머지 아이템)이 혼재된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을 식별(또는 필터링,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제1 조건에 기반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되거나, 지정된 기간 내에 푸시 되거나, 또는 생성(또는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또는 미확인) 아이템을 제1 아이템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제2 조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제1 아이템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이 필터링 되는 경우,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을 제외하고,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제2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래로 이동되는 리스트는 제1 아이템은 제외하고, 제2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450)은 리스트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될 수 있고, 제1 아이템(450)만을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 511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방향으로 리스트 이동에 대응하여 리스트의 제2 아이템에 관련된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아이템에 관련된 전환 효과는, 예를 들면, 리스트의 제2 아이템을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2 아이템을 페이드-아웃과 같은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513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전환 효과는, 예를 들면, 제1 아이템을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화면 상(예: 리스트가 표시되던 이전 영역)에 서서히 표시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을 페이드-인과 같은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11과 동작 513은 도시된 순서에 한정하지 않으며, 동작 511과 동작 513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또는 역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아이템과 제2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전환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가 사용자 입력 방향에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리스트의 기존 영역에 제1 아이템 또는 제1 아이템에 관련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을 사용자 입력의 방향(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를 통해, 제1 아이템을 텐션 또는 액션감 있게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해제(예: 터치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해제는, 사용자 터치의 실질적 해제와 같이 사용자의 명시적 의도를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해제(또는 완료)는, 필터링 되는 제1 아이템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시점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동작 515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식별하면(예: 동작 515의 ‘아니오’), 동작 511로 진행하여, 동작 511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를 식별하면(예: 동작 515의 ‘예’), 동작 517에서,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거되고, 필터링된 제1 아이템(또는 제1 아이템 기반의 리스트)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아이템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예: 도 4의 제1 영역(410))(예: 카테고리 영역 또는 앱 바)의 정보(예: 카테고리 정보 또는 타이틀)가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예: 필터링된 아이템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되고, 제2 영역(예: 도 4의 제2 영역(42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아이템(또는 제1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또는 컨텐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리스트에서 지정된 조건의 아이템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예시는,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예: 타이틀 - Messages)’인 것을 예로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예시에서는, 메시지 리스트에,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또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제1 아이템(650)(예: 언리드 메시지)과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또는 사용자가 읽은) 제2 아이템(660)(예: 리드 메시지)이 혼재하는 리스트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서는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는 엘리먼트(또는 구성 요소 및/또는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650)은 리스트의 아이템 정렬 방식(예: 아이템 획득(또는 수신, 저장, 업데이트) 시점)에 기반하여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의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또는 내비게이션) 동작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601>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요청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610)(예: 카테고리 영역 또는 앱 바)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또는 컨텐츠)를 위한 제2 영역(620)(예: 컨텐츠 영역 또는 리스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601> 및 화면 예시 <6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된 리스트에서, 아이템의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또는 제스처)(예: swipe dow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603> 및 화면 예시 <6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면서, 리스트의 기존 영역(또는 위치)에 필터링된 제1 아이템(650)을 서서히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아이템(650)을 식별(또는 필터링, 정렬)할 수 있고, 식별된 제1 아이템(650)을 리스트에서 제외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로 이동되는 리스트는 제1 아이템(650)은 제외하고, 제2 아이템(66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650)은 리스트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될 수 있고, 제1 아이템(650)만을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아이템(650)은 사용자에 의한 리스트 표시가 요청되거나, 또는 리스트의 표시가 종료되는 경우,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또는 제자리)에 다시 배치(또는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603> 및 화면 예시 <605>에 도시한 예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이 이동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에 따라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디졸브 효과(예: 페이드-인/아웃 효과)로 제1 아이템(65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을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의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지정된 정렬 방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예: 전자 장치(101)의 정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의 상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링된 제1 아이템(650)을 나타내는 장면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가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리스트의 기존 영역에 제1 아이템(65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을 사용자 입력의 방향(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를 통해, 제1 아이템(650)을 텐션 또는 액션감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필터링된 제1 아이템(6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기(또는 표시되기) 전까지는 화면 예시 <603> 및 화면 예시 <605>와 같이 제1 아이템(650)을 딤(dim)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제1 아이템(6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시점(또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 시점)에서는 화면 예시 <607>과 같이 제1 아이템(650)을 온전히(예: 밝게) 처리(예: 브라이트(bright)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에 관련된 전환 효과와 함께 제1 영역(610)에 기반하여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예시 <603>과 화면 예시 <605>에 도시한 예시와 같이,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610)(예: 카테고리 영역 또는 앱 바)의 정보(670)(예: 카테고리 정보 또는 타이틀)가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680)(예: 필터링된 아이템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기(또는 표시되기) 전까지는 화면 예시 <605>와 같이 제1 영역(610)의 변경된 정보(680)를 딤(dim)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제1 아이템(650)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시점(또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 시점)에서는 화면 예시 <607>과 같이 제1 영역(650)의 변경된 정보(680)를 온전히(예: 밝게) 처리(예: 브라이트(bright)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607>에 도시한 예시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해제(또는 완료)하는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1 아이템(650)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650)을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제1 아이템(650)과 인접(예: 제1 아이템(650)의 최하단 영역에 이어서 인접)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리스트(예: 제2 아이템(66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2 아이템(650)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거되고, 제1 아이템(650)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에,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610)의 제1 정보(670)(예: (예: 카테고리 정보 또는 타이틀 정보로, 예를 들어, “Messages”)를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제2 정보(680)(예: 필터링된 아이템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면, “2 unread messages”)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예시 <601>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예시 <607>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간단한(또는 손쉬운) 사용자 입력(예: 리스트 상에서의 제스처(예: swipe down))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사용자 지정 조건의 아이템에 대한 빠른 검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지정 조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손쉽고 빠르게 필터링 할 수 있고, 필터링된 아이템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리스트에서 지정된 필터링 조건(또는 지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링된 제1 아이템(예: 도 4 또는 도 6의 제1 아이템(450, 650))을 제공하는 동작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또는 제스처)(예: 앱 바 swipe down)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120)는 리스트 이동에 대응하여 제1 아이템과 제2 아이템을 페이드-인/아웃으로 장면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아이템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또는 숨김 처리하는) 페이드-아웃 방식으로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아이템을 서서히 나타내는 페이드-인 방식으로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가 사용자 입력 방향에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리스트의 제2 아이템은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고(또는 제거하고),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제1 아이템 또는 제1 아이템에 관련된 리스트를 서서히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을 사용자 입력의 방향(예: 제1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나타내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을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지정된 정렬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이동되는 동안,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필터링된 제1 아이템이 모두 표시되는 시점 및/또는 사용자 입력이 완료(예: 해제)되는 시점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1 아이템을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의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지정된 정렬 방식의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을 최근 수신된 순서, 최근 업데이트된 순서, 알파벳 순서, 사용자 지정 우선 순위 순서, 또는 최근 생성(예: 메모 작성, 사진 촬영)된 순서와 같이 지정된 정렬 순서에 기반하여 최상위 영역(예: 리스트가 있던 영역)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필터링된 아이템(예: 도 4 또는 도 6의 제1 아이템(450, 650))을 표시하기 위한 지정된 정렬 순서를 식별하는 동작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필터링 조건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의 식별에 기반하여, 식별된 아이템이 복수의 아이템들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필터링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아이템들이 필터링 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필터링 되는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아이템들이 필터링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아이템이 복수의 아이템들이 아닌 경우(예: 동작 803의 ‘아니오’), 예를 들면, 하나의 아이템인 경우, 식별된 아이템을 전술한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아이템이 복수의 아이템들인 경우(예: 동작 803의 ‘예’), 동작 805에서, 지정된 정렬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정렬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아이템의 정렬 순서와 관련하여 설정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최근 수신된 순서, 최근 업데이트된 순서, 알파벳 순서, 사용자 지정 우선 순위 순서, 또는 최근 생성(예: 메모 작성, 사진 촬영)된 순서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아이템을 전술한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또는 완료)에 기반하여, 카테고리 영역(또는 타이틀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과 리스트 영역(또는 컨텐츠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을 통해 필터링된 아이템(예: 도 6의 제1 아이템(650))과 그에 관련된 정보(예: 도 6의 제2 정보(680))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리스트 이동에 대응하여 카테고리 영역과 리스트 영역에 지정된 장면 전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리스트를 아래로 이동하여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필터링된 아이템이 서서히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로 제1 아이템을 리스트 영역의 최상위 영역에서부터 지정된 정렬 방식의 순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장면 전환 효과와 함께 카테고리 영역에 기반하여 장면 전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카테고리 영역(또는 앱 바)의 제1 정보(예: 카테고리 정보 또는 타이틀 정보)를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예: 필터링된 아이템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카테고리 영역에 식별된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리스트 영역에 식별된 아이템을 지정된 정렬 순서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903과 동작 905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하지 않으며, 동작 903과 동작 905는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또는 역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기(또는 표시되기) 전까지, 또는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리스트 영역의 제1 아이템과 카테고리 영역의 변경된 정보를 딤(dim)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제1 아이템이 화면 상에 모두 나타나는(또는 표시되는) 시점, 또는 사용자 입력이 해제되는 시점에서 카테고리 영역의 제1 아이템과 리스트 영역의 변경된 정보를 온전히 처리(예: 브라이트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1 아이템을 리스트가 존재하던 리스트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을 리스트가 존재하던 리스트 영역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인접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를 통해,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2 아이템(650)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거되고, 제1 아이템(650)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에, 카테고리(또는 타이틀)를 위한 제1 영역(610)의 제1 정보(예: “Messages”)를 제1 아이템에 관련된 제2 정보(예: “2 unread messages”)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예시 <601>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예시 <607>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0은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실행하고, 이후 이전 단계로 리턴(return)하는(또는 돌아가는(go back)) 동작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술한 도 4의 화면 예시 <407> 또는 도 6의 화면 예시 <607>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필터링 조건에 따라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 선택(예: 터치)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예: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특정 아이템을 선택(예: 터치)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현재 리스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또는 진입) 동작 없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예: 현재 해당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된 현재 리스트를 제공(또는 표시)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리스트의 카테고리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컨텐츠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없이, 현재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고 있는 제1 정보(예: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된 아이템에 관련된 제2 정보(예: 컨텐츠)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이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선택된 아이템이 ‘미확인된 메시지’인 것을 가정하면,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확인된 메시지의 컨텐츠(예: 문자 내용)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모’이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메모장 어플리케이션), 선택된 아이템이 ‘새롭게 생성된 메모’인 것을 가정하면,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롭게 생성된 메모의 컨텐츠(예: 메모 내용)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갤러리’이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선택된 아이템이 ‘새롭게 촬영된 사진’인 것을 가정하면,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롭게 촬영된 사진의 컨텐츠(예: 사진 전체 화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전화’이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전화 어플리케이션), 선택된 아이템이 ‘부재중 통화’인 것을 가정하면, 프로세서(120)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부재중 통화의 컨텐츠(예: 컨택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지정된 조건의 아이템을 필터링 하고, 필터링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프로세서(120)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리턴(return)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예: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입력은,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전 동작(또는 단계)(예: 리스트 표시 단계, 또는 필터링된 아이템 표시 단계)으로 리턴하기 위한 지정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면, 리턴을 위한 지정된 기능 버튼(예: 소프트 버튼 또는 물리적 버튼)에 의한 입력, 리턴을 위한 지정된 사용자 제스처(예: 전자 장치(101)를 이용한 지정된 모션 동작)에 의한 입력, 및/또는 리턴을 위한 지정된 음성 명령에 의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옵션(또는 정보)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리턴되는 타겟 단계(예: 이전 단계)에 관련된 옵션(또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옵션은, 아이템 필터링 이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예: 제1 상태)로 진입(또는 전환, 리턴)하기 위한 제1 방식과, 필터링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예: 제2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제2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옵션이 제1 방식인 것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1011에서, 제1 방식의 옵션에 기반하여 모든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또는 확인된) 아이템을 필터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에서 제외(예: 확인된 아이템으로 처리)하고 제2 아이템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리스트를 제공할 때, 이전 단계에서 필터링된 아이템(예: 제1 아이템)을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에 배치하여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정렬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옵션이 제2 방식인 것을 식별하는 경우, 동작 1013에서, 제2 방식의 옵션에 기반하여 이전 단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동작 100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또는 확인된) 아이템을 제외하고, 나머지 필터링된 아이템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을 제1 아이템에서 제외(예: 확인된 아이템으로 처리)하고 제2 아이템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에서 제외된 아이템에 대해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에 배치하여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실행하여 제공하고, 이후 이전 단계로 리턴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 예시 <1101>은 필터링된 아이템(예: 제1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도 4의 화면 예시 <407> 또는 도 6의 화면 예시 <607>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필터링 조건에 따라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예시 <110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필터링된 아이템들(1110, 1120)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화면 예시 <1103>은 사용자가 화면 예시 <1101>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필터링된 아이템들(1110, 1120) 중에서 특정 아이템(1110)(예: Alexa Green)을 선택(예: 터치)하여, 해당 아이템(1110)에 관련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화면 예시 <11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아이템(1110)에 관련된 컨텐츠(예: 문자 내용)를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예시 <11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1110)과 관련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템(1110)에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된 현재 리스트를 제공(또는 표시)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110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이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선택된 아이템(1110)이 ‘미확인된 메시지’인 것을 가정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예시 <1101>에서 아이템(11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화면 예시 <1103>과 같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확인된 메시지의 컨텐츠(예: 문자 내용)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예시 <1103>과 같이 선택된 아이템(1110)에 관련된 컨텐츠를 확인하고, 이후 이전 단계(예: 리스트 표시 단계, 또는 필터링된 아이템 표시 단계)로 리턴(또는 돌아가기)하기 위해 리턴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턴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리턴을 위한 지정된 기능 버튼(예: 소프트 버튼 또는 물리적 버튼)에 의한 입력, 리턴을 위한 지정된 사용자 제스처(예: 전자 장치(101)를 이용한 지정된 모션 동작)에 의한 입력, 또는 리턴을 위한 지정된 음성 명령에 의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예시 <1103>에서는 리턴을 위한 지정된 기능 버튼(1100)(예: 뒤로 가기 버튼)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리턴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정된 기능 버튼(11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리턴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리턴되는 타겟 단계(예: 이전 단계)에 관련된 옵션(또는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 예시 <1105> 또는 화면 예시 <1107>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옵션은, 아이템 필터링 이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로 진입(또는 전환, 리턴)하기 위한 제1 방식(또는 제1 설정, 제1 옵션)과, 필터링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제2 방식(또는 제2 설정, 제2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턴되는 타겟 단계에 관련된 옵션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101)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1105>는 리턴되는 타겟 단계가 제1 방식의 단계인 경우에 화면 전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모든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또는 확인된) 아이템(1110)을 필터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에서 제외(예: 확인된 아이템으로 처리)하고, 제2 아이템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아이템에서 제외된 해당 아이템(1110)(예: 확인된 아이템)에 대해,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예: 1130)(또는 제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예시 <1107>은 리턴되는 타겟 단계가 제2 방식의 단계인 경우에 화면 전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이전 단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화면 예시 <110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또는 확인된) 아이템(1110)을 제외하고, 나머지 필터링된 아이템(1120)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필터링된 아이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1110)을 제1 아이템에서 제외(예: 확인된 아이템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아이템(1120)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아이템에서 제외된 아이템(1110)에 대해 리스트에서 원래의 위치(예: 1130)(또는 제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리스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운영할 수 있는 리스트의 종류의 예시를 나타내며,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1)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리스트의 형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2는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전화’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1 조건의 아이템(예: 부재중 통화 내역)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2 조건의 아이템(예: 지정된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은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시지’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1 조건의 아이템(예: 읽지 않은 메시지)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2 조건의 아이템(예: 지정된 식별 정보(예: 사용자 이름(또는 닉네임), 전화 번호, 그룹 정보))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4는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리마인더’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1 조건의 아이템(예: 미완료 일정)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2 조건의 아이템(예: 지정된 식별 정보(예: 지정된 일정))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는 리스트의 카테고리가 ‘메모’인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1 조건의 아이템(예: 업데이트된 메모)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이템 필터링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제2 조건의 아이템(예: 지정된 식별 정보(예: 지정된 날짜의 메모,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메모))을 필터링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간단한(또는 손쉬운) 사용자 입력(예: 리스트 상에서의 제스처)에 기반하여, 리스트에서 사용자 지정 조건의 아이템에 대한 빠른 검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지정 조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손쉽고 빠르게 필터링 할 수 있고, 필터링된 아이템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필터링된 아이템(또는 필터링된 아이템에 관련된 리스트)을 사용자 입력의 방향과 대향하는(또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예: 디졸브 효과 및/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를에 기반하여, 필터링된 아이템을 텐션 및/또는 액션감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하는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 지정의 필터링(filtering)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화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효과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의 아이템을 화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표시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제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필터링 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제외된 리스트를 별도로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리스트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리턴(return)에 관련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2 상태로 리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상태로 리턴 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제외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배치하는 동작, 상기 제2 상태로 리턴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제외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없이,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60: 표시 장치
21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 지정의 필터링(filtering)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조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환 효과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의 아이템을 화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표시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필터링 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제외된 리스트를 별도로 구성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리스트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리턴(return)에 관련된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2 상태로 리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상태로 리턴 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제외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상태로 리턴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제외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없이,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리스트에서 지정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나타내는 전환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 지정의 필터링(filtering) 조건에 관련된 아이템을 필터링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은 모든 리스트에 일괄 설정되는 전체 설정 및/또는 리스트의 카테고리 별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설정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조건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효과를 표시할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나타나는 장면 전환 효과에 기반하여, 시각적 경험 및/또는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의 아이템을 화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가 존재하던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표시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제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필터링 되는 경우,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리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제외된 리스트를 별도로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를 위한 제1 영역과 상기 리스트를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리턴(return)에 관련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2 상태로 리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상태로 리턴 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지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제외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배치하는 동작;
    상기 제2 상태로 리턴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제외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없이,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46442A 2019-11-15 2019-11-15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59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42A KR20210059241A (ko) 2019-11-15 2019-11-15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0/015448 WO2021096164A1 (ko) 2019-11-15 2020-11-06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42A KR20210059241A (ko) 2019-11-15 2019-11-15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41A true KR20210059241A (ko) 2021-05-25

Family

ID=7591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42A KR20210059241A (ko) 2019-11-15 2019-11-15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9241A (ko)
WO (1) WO20210961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5967B (zh) * 2011-11-25 2017-07-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未读消息的方法和系统
KR102008916B1 (ko) * 2012-09-07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04433B1 (ko) * 2013-10-08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153646B1 (ko) * 2013-12-24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0356029B2 (en) * 2016-09-21 2019-07-16 Faceboo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modules in an inbox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164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8370B (zh) 用于控制显示器、存储介质、和电子设备的方法
US20240103699A1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733959B2 (en) Method for configuring input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934949B2 (en) Mobile terminal
KR102599383B1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295019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display
KR20160011915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40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KR102652984B1 (ko) 전자 장치 및 그 폴더 구성 방법
KR2021006087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566608B (zh) 用于提供与键盘布局相关联的功能的设备和方法
EP4177832A1 (en) Method for providing capture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601245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800025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a displayed object
CN112347048A (zh) 电子装置及其共享数据的方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710147B (zh) 能够控制其亮度的便携式终端及其亮度控制方法
US103033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content change
KR102266191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26686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59241A (ko) 전자 장치에서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8058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US1090161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of
EP34867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s indicating time inter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