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612A -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612A
KR20210014612A KR1020200095556A KR20200095556A KR20210014612A KR 20210014612 A KR20210014612 A KR 20210014612A KR 1020200095556 A KR1020200095556 A KR 1020200095556A KR 20200095556 A KR20200095556 A KR 20200095556A KR 20210014612 A KR20210014612 A KR 2021001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user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1759B1 (en
Inventor
한현정
Original Assignee
(주)빅토리아프로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토리아프로덕션 filed Critical (주)빅토리아프로덕션
Publication of KR2021001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rovided ar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capable of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for a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sion system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determining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an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R-based image data and voice data; and receiving first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number of playbacks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layback loc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명세서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증강현실 교육 컨텐츠를 활용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ss-platform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content and a method therefo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은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 CG) 영상으로만 제공한다. 또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실제 사물 영상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CG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provides objects or backgrounds in the real world only as computer graphic (CG) images. 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can provide a virtually created CG image on top of a real object image.

한편,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기술은 현실 세계에 가상 객체들을 섞고 결합시켜서 제공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다. 전술한 VR, AR, MR 등을 모두 포괄하기 위한 개념으로 확장(eXtended reality; XR) 기술이 언급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mixed reality (MR) technology is a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that mixes and combines virtual objects in the real world and provides them. Expanded to a concept to encompass all of the aforementioned VR, AR, MR, etc. (eXtended reality; XR) ) Technology is sometimes mentioned.

AR 기술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를 입히는 방식으로, 눈으로 실제 세계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눈을 가린 채 그래픽 영상만 보여주는 가상현실(VR)과 차이가 있다. 또한, 실내에서 착용 가능한 VR 기기와 달리 AR 글래스(glass)는 안경처럼 걸어 다니면서 착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R technology is a method of applying a virtual digital image to the real world, which differs from virtual reality (VR), which shows only graphic images while covering the eyes in that you can see the real world with your eyes. In addition, unlike VR devices that can be worn indoors, AR glasse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worn while walking like glasses.

본 명세서와 관련한 선행문헌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9814호를 참조할 수 있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fer to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814.

본 명세서의 목적은 증강현실 교육 컨텐츠를 활용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a cross-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content and a method therefor.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위한 방법은,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리스트 정보와 연관된 선택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선택 정보가 수신될 때,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되, 증강현실 컨텐츠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list information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a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Determining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R-based image data and audio data ; And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reproduced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편,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AR 타겟 스캔의 결과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an AR target scan by the user terminal device.

한편,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위한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추천 목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for a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have.

한편,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와 연관된 제3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위한 크레딧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ceiving thir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generating credit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third user information.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And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it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list information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한편, 리스트 정보와 연관된 선택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선택 정보가 수신될 때,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t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related to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R-based image data and audio data, and to receive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ying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be implemented.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강현실 교육 컨텐츠를 활용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ustomized service for a user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cross-platform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education content.

도 1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PC 화면에 대한 AR 타켓 스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도서의 일부 페이지를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 출력물에 대한 AR 타겟 스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기능 관점에서 구체화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 target scan on a PC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 target scan for a printout of some pages of an augmented reality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erms of a function.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명세서를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명세서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명세서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All of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descriptions below are exemplary for aiding in the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is,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completely disclos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re descriptions for convey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tains. Accordingly, when there are multiple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by any of a specific one of these methods or any ones identical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특정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는, 그 외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명세서의 개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아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re is a mention that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specific elements, or when there is a mention that a certain process includes specific steps,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or other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concep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urthermore, examples describ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inventio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Terms commonly used should be interpreted in a consistent sens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excessively ideal or formal meanings unless the meaning is clear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라 함은, 음성 언어(화술, 성대모사)와 신체언어(동작, 표현)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이하 'AR')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눈과 귀를 통해 인식 가능한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ugmented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AR') technology applied to voice language (speech, vocal cords) and body language (motion, expression) to protect the eyes and ears of users. It can be understood as including AR-based image data and voice data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 user terminal device 2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0.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도서 목록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예를 들어,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도서 목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ugmented reality book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layed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또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률 정보 및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learning rate information and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또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에 상응하는 제3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thir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include a user's personal computer 201 and a user's portable terminal 202. The user may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to pla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구체적으로, 퍼스널 컴퓨터(201)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증강현실 증강현실 도서 목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ersonal computer 201 may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o receive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book lis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201)는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하여 증강현실 도서 선택 신호와 음성 녹음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01)는 증강현실 도서 선택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sonal computer 201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nd transmit an augmented reality book selection signal and a voice recording signal. In addition, the personal computer 201 may receive page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2D images included in a corresponding augmented reality book in response to the augmented reality book selection signal.

본 일 실시 예에서 퍼스널 컴퓨터(201)는 본 명세서에서 퍼스널 컴퓨터(201)로 언급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TV 모니터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rsonal computer 201 is referred to as the personal computer 201 in this specif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by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V monitor.

한편, 휴대용 단말기(202)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2)는 증강현실 도서의 각 페이지에 상응하는 2차원 이미지에 대하여 AR 타겟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be understood as a terminal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for 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installed.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perform an AR target scan on a 2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page of an augmented reality book.

다시 말해, 휴대용 단말기(202)에 의해 AR 타겟 스캔이 수행될 때, 휴대용 단말기(202)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해당 페이지의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3차원 AR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n AR target scan is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2,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3D A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of the corresponding page is 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2 Can be.

한편, 휴대용 단말기(202)는 AR 타겟 스캔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페이지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202 provi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with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layed on the page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yback loc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each time an AR target scan is perform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본 일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202)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be implemented by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play a role of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200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so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fter access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즉,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for example, a wired network such as LANs (Local Area Networks), WANs (Wide Area Networks), M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satellite communication A wireless network such as, etc. may be cover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통신망(30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Further,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other network devices.

도 1에 따르면,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 즉,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one user terminal device 200, b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PC 화면에 대한 AR 타켓 스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 target scan of a PC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퍼스널 컴퓨터(201)에는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의 각 페이지에 상응하는 2차원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2)에 의해 AR 타켓 스캔이 수행될 때, 휴대용 단말기(202)에는 해당 페이지의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3차원 AR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1 and 2, a 2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page of a selected augmented reality book may be implemented in the personal computer 201. In this case, when the AR target scan is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2,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pla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3D A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of the corresponding page. .

도 3은 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도서의 일부 페이지를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 출력물에 대한 AR 타겟 스캔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 target scan for a printout of some pages of an augmented reality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회원 등급(membership grade)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201)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을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된 출력물의 특정 페이지(page)에 대한 AR 타겟 스캔이 수행될 수도 있다. 1 and 3, a screen provided through a personal computer 201 according to a user's membership grade may be output through a printer. In this case, an AR target scan may be performed on a specific page of the printout output through the personal printer.

마찬가지로, 휴대용 단말기(202)에 의해 AR 타켓 스캔이 수행될 때, 휴대용 단말기(202)에는 해당 페이지의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3차원 AR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Likewise, when the AR target scan is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202,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pla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3D A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of the corresponding page.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통신유닛(110), 저장매체(120), 프로그램 저장 유닛(130), 제어유닛(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of FIG. 4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medium 120, a program storage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d a database 150.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60.

통신유닛(110)은 도 1의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terwork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of FIG. 1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providing packet data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예를 들어, 통신유닛(11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도서 목록 요청 신호, 페이지 선택 신호 및 선택된 페이지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재생하라는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request signal, a page selection signal, and a reproduc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to play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ag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Can receive.

한편, 통신유닛(11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AR 타겟 스캔이 수행될 때마다 해당 페이지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에 상응하는 제3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each time an AR target scan is perform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vides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layed, and a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User information and thir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received.

저장매체(120)는 제어 유닛(14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medium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40. Here, the storage medium 12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는 인터넷 상에서 저장매체(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operate a web storage or a cloud serv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the storage medium 120 on the Internet.

프로그램 저장 유닛(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상에서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제공 서비스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증강현실 도서 목록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증강현실 도서의 페이지의 2차원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그리고 AR 타겟 스캔이 수행된 페이지의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3차원 AR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130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o that a user who has accessed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can grasp the service provided, and augmented reality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Displaying a book list 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displaying a two-dimensional image of a page of an augmented reality book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nd a two-dimensional page on which an AR target scan has been performed A control software for performing a task of sequentially displaying a plurality of 3D A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images o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be installed.

제어 유닛(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증강현실 컨텐츠 관련 서비스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저장 유닛(130)과 연계하여 증강현실 컨텐츠 관련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증강현실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an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or receives a service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lated to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program storage unit 130 In connection with, a process of proces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related service information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related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제어 회로(14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The control circuit 140 may mean,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circuit physically structured to perform a function represented by a code or command included in a program. As an example of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the hardware as described abov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d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the like, b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베이스(150)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제공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150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증강현실 컨텐츠와 연관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회원별 증강현실 컨텐츠 사용량에 따른 학습 향상도 분석을 위한 학습률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유저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150 is user data for stor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learning rate information for analyzing learning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ach member, and a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It may include a base.

한편, 유저 데이터 베이스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연락처, 이메일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database may store user information on a user who wants to us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Here,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such as the user's name, affiliation, personal information, gender, age, contact information, email, and authentication (login) such as ID (or email) and password. , Connection country,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n a device used for connection, connection-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connected network environment, and the like.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160)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증을 완료한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16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되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fter completing authentication by access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A detailed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o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유닛(160)은 저장모듈(161), 제공 모듈(162), 송신 모듈(163), 회원관리 모듈(164), 수신모듈(165), 사용자 분석모듈(166) 및 사용자 컨텐츠 모듈(167)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unit 160 of FIG. 5 includes a storage module 161, a providing module 162, a transmission module 163, a member management module 164, and a receiving module 165. ), a user analysis module 166 and a user content module 167.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증강현실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 모듈(161)에 로딩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and completes user authentication, the controller 14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150 by referring to the user information. It can be loaded into the module 161.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후술되는 인증/결재 정보와 사용자 분석 모듈(166)에 의해 생성되는 학습률 정보, 체류시간 및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uthentication/payment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learning r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analysis module 166, residence time, and preference information.

제공모듈(162)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이후,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증강현실 도서 목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After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and completes user authentication, the providing module 162 transmits augmented reality book lis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200) can be provided.

여기서, 증강현실 도서라 함은 e-북으로 언급되며,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도서는 하나 이상의 2차원 이미지 및/또는 2차원 이미지에 대응하는 지문 및/또는 이미지와 상관없는 지문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ugmented reality book is referred to as an e-book, and the contents of a work that has been published or can be published as a book are recorded in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storage device using digital data, and then transferred to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mean a digital book that allows you to read, see, and hear content.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book may include one or more two-dimensional images and/or fingerprints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images and/or fingerprints independent of the image.

송신 모듈(163)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제공된 증강현실 도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페이지 정보 및 2D/3D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odule 163 transmits the media including page information and 2D/3D content rel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book selected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by the user from th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 200).

또한, 송신모듈(163)은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에 상응하는 각 페이지에 포함되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odule 163 may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AR-based image data and audio data included in each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ugmented reality book.

예를 들어, 페이지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퍼스널 컴퓨터(201)를 통해 복수의 2차원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특정한 2차원 이미지에 대한 AR 타켓 스캔이 수행되면, 휴대용 단말기(202)는 해당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g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201 of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If an AR target scan is performed on a specific 2D image, the portable terminal 202 may play back augmented realit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on the display screen.

회원관리 모듈(164)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담당할 수 있다. The member management module 164 may be responsible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who accesse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한편, 회원관리 모듈(164)은 사용자의 멤버십 등급에 따른 차등화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도록 인증/결재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mber management module 164 may generate and manage authentication/payment information so that a differentia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membership level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년 멤버십을 가입한 경우, 사용자는 학습 진행 상황 및 선호도 분석 서비스뿐만 아니라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이트를 컨텐츠 수에 제한 없이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ubscribes for a one-year membership, the user can us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as well as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ervice site without limit on the number of contents.

예를 들어, 1년 멤버십 중 제1 등급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한 고객에게는 해당 페이지의 출력 서비스와 매월 정기회원을 위한 증강현실 도서나 제품이 증정될 수 있다. 1년 멤버십 중 제2 등급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한 고객에게는 해당 페이지의 출력 서비스까지만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 customer who pays a fe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vel of a one-year membership may receive a print service for the page and an augmented reality book or product for regular members every month. Customers who paid a fe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vel of the 1-year membership can only be provided with the print service of the page.

예를 들어, 1년 멤버십 중 제3 등급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한 고객에게는 학습 진행 상황 및 선호도 분석 서비스와 증강현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출력기능 없이 웹사이트만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customer who has paid a fee corresponding to the third grade of a one-year membership can use the learning progress and preference analysis service,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lication,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sion service without any limitation on the website without any output function. .

수신 모듈(165)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콘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콘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는 후술되는 사용자 분석 모듈(166)로 전달될 수 있다.The receiving module 165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played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playback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example,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analysis module 166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수신모듈(165)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에 상응하는 제3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정보는 후술되는 사용자 컨텐츠 모듈(167)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module 165 may receive thir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0. For example, the third user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content module 167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사용자 분석 모듈(166)은 제1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 정보는 특정 페이지 혹은 특정 위치에 대한 AR 타겟 스캔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도 정보는 제어 유닛(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 모듈(161)에 저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analysis module 166 may generate and manage preference information for a user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AR target scans for a specific page or a specific locati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한편, 사용자 분석 모듈(166)은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학습률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률 정보는 회원 별 학습 진행에 관한 정보 및 회원별 학습 향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analysis module 166 may generate and manage learning rate information for a user based on the seco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learning r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learning progress for each member and information on learning improvement for each member.

이 경우, 학습률 정보는 제어 유닛(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 모듈(161)에 저장될 증강현실 컨텐츠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arning rate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사용자 컨텐츠 모듈(167)은 제3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유저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user content module 167 may store and manage user content for a user based on third user information.

사용자 컨텐츠 모듈(167)은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를 자체 저장공간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기 전까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ontent module 167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the selected augmented reality book in its own storage space or until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150.

한편, 사용자 컨텐츠 모듈(167)은 선택된 증강현실 도서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에 대한 크레딧(Credit)을 생성하고, 해당 크레딧을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ontent module 167 may generate a credit for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or the selected augmented reality book, and may give the credit to the corresponding user.

이러한 크레딧은 사용자가 별도의 증강현실 도서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음성 녹음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시에 추가적인 비용 없이 차감될 수 있다. These credits can be deducted at no additional cost when a user uses a separate augmented reality book or downloads another user's voice recording file.

도 6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0)는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1 to 6,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0 of FIG. 6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2000 based on a network including a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or an intranet. Can be connected.

만일 한 명의 사용자가 특정 개수(예로, 2개)의 디바이스를 초과하여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0)에 로그인이 된 것으로 판단될 때, 초과 분에 상응하는 디바이스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0)로의 로그인이 불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one user has logged in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0 by exceeding a specific number (eg, 2),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cess i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0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log in to is not allowed.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계정에 QR 코드 방식의 스캔을 통해 시리얼 넘버가 등록된 특정 개수(예로, 2개)의 디바이스만이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000)로 동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only a specific number (eg, two) of devices in which a serial number is registered through a QR code scan in a user's account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simultaneous access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0.

도 7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S710 단계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1 to 7, in step S71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receive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S720 단계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72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transmit list information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S730 단계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리스트 정보와 연관된 선택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73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determine whether the selec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만일 선택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순은 종료될 수 있다. 만일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수순은 S740 단계로 진행된다. If selec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he procedure can be terminated.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740.

S740 단계에서, 선택 정보가 수신될 때,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740,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transmi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증강현실 컨텐츠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include AR-based image data and voice data.

S750 단계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750,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receive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producing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AR 타겟 스캔의 결과로 생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s a result of an AR target scan by the user terminal device.

도 7에 도시되진 않으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위한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추천 목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generat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transmit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와 연관된 제3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위한 크레딧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receive thir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In this case, credit information for the user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hird user information.

도 8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도 8의 홈페이지(800)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등적으로 홈페이지(800) 상에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8,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ased on the homepage 800 of FIG. 8. In this case, the user may differentially access the homepage 800.

일 예로, 사용자가 게스트 유저(guest user)인 경우 홈페이지(800) 상에 샘플 컨텐츠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부모 유저(parents user)인 경우 멤버쉽 유형(membership type)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 guest user, only sample content may be used on the home page 800. Alternatively, if the user is a parent user, a membership type can be selected.

예를 들어, 부모 유저는 홈페이지(8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즐기기 위해 1년 구독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기능은 증강현실 컨텐츠의 Q&A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AI 분석 기능, AI 기반 컨텐츠 추천 기능 및 유저 목소리 녹음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ent user may select a one-year subscription type in order to enjoy various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homepage 800. Here, various functions may include an AI analysis func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obtained from Q&A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n AI-based 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and a user voice recording function.

구체적으로, 부모 유저가 선택 가능한 1년 구동 유형은 기본 멤버쉽, 실버 멤버쉽 및 골드 멤버쉽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ne-year driving type selectable by the parent user may include basic membership, silver membership, and gold membership.

일 예로, 기본 멤버쉽은 매월 $29.99를 지불함으로써 증강현실 도서의 양에 구애를 받지 않고 홈페이지(8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다만, 기본 멤버쉽은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는 홈페이지 화면에 대한 AR 타겟 스캔만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by paying $29.99 per month for basic membership, you can enjoy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homepage 800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amount of augmented reality books. However, basic membership can only support AR target scanning of the homepag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다른 예로, 실버 멤버쉽은 매월 $39.99를 지불함으로써 증강현실 도서의 양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는 홈페이지 화면에 대한 AR 타겟 스캔뿐만 아니라 홈페이지 화면 자체를 직접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물에 대하여 AR 타겟 스캔이 가능함은 이해될 것이다.As another example, by paying $39.99 per month for a silver membership, the homepage screen itself can be directly output as well as the AR target scan of the homepag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amount of augmented reality books. In this ca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an AR target scan is possible for the output.

또 다른 예로, 골드 멤버쉽은 매월 $49.99를 지불함으로써 증강현실 도서의 양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는 홈페이지 화면에 대한 AR 타겟 스캔, 홈페이지 화면 자체의 직접 출력 및 매월 한 권의 선물 도서(gift book)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Gold Membership pays $49.99 per month to scan AR targets on the homepage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amount of augmented reality books, direct printing of the homepage screen itself, and a gift book per month. book) can be provided.

한편, 멤버쉽에 포함되거나 등록되지 않은 유저는 증강현실 도서 한권 당 $5를 지불함으로써 개별 콘텐츠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홈페이지(8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sers who are not included or registered in the membership may enjoy various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homepage 800 by paying an individual content fee by paying $5 per augmented reality book.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의 홈페이지(800) 상에는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도서, 3차원 이미지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도서, 영어 파닉스(phonics), AR 컬러링, 워크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may be included on the homepage 800 of FIG. 8.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book that scans a 2D image, an augmented reality book that scans a 3D image, English phonics, AR coloring, a workbook, and the like.

상기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PC)에 의한 AR 타켓 스캔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The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may be played through an AR target scan by a user's portable terminal (eg, smartphone, tablet PC).

다시 말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AR 타켓 스캔후에 2D/3D 애니메이션, AR 컬러링, 목소리 녹음, MR을 이용하여 스티커 사진찍기 기능등을 웹플랫폼(800)과 모바일앱을 통해서 파닉스 학습(phonics study)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use the user's portable terminal (e.g., smartphone, tablet PC) to scan the AR target and then perform 2D/3D animation, AR coloring, voice recording, and sticker photo taking functions using MR on the web platform (800 ) And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honics study through mobile apps.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 정보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User Database)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a user database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모 유저(parents user)인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관련된 플랫폼을 통해 보이스 마켓(voice market) 및/또는 사용자 사진(user picture)에 접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user is a parent user, a voice market and/or a user picture may be accessed through a platform related to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예를 들어, 특정한 사용자는 보이스 마켓을 통해 구매 포인트 획득을 위해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혹은 특정한 사용자는 기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면서 다른 유저로부터 녹음된 컨텐츠를 구매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specific user may upload content in which his or her voice is recorded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order to obtain purchase points through the voice market. Alternatively, a specific user may purchase the recorded content from another user while deducting the accumulated points.

한편,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플랫폼(또는 시스템) 상에서 세일즈 계정 등을 통해 별도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upload sepa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rough a sales account or the like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platform (or system).

이를 통해 별도의 증강현실 컨텐츠의 업로드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플랫폼(또는 시스템) 상에 다양한 컨텐츠가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증강현실 제품의 판매루트가 없는 사업자에게는 세일즈 채널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유저 간 크레딧으로 신규 컨텐츠 구매 및 더욱 더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활동이 지원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Through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upload sepa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s, various contents can be secured on the contents providing platform (or system), and a sales channel platform service is provided to operators who do not have a sales route of existing augmented reality products.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users can purchase new contents and use more and more various contents with credits between users within the platform, so that continuous activities of users can be supported.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
200: 사용자 단말 장치 201: 퍼스널 컴퓨터
202: 휴대용 단말기 300: 통신망
10: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user terminal device 201: personal computer
202: portable terminal 3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8)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정보와 연관된 선택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되,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ing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Determining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an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R-based image data and voice data; And
And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reproduction number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AR 타겟 스캔의 결과로 생성되는 정보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are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an AR target scan by the user termin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위한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second user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와 연관된 제3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위한 크레딧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ird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nd generating credit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third user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제공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증강현실 도서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리스트 정보와 연관된 선택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선택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도서와 연관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AR 기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횟수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위치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er terminal device; And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It is implemented to receive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augmented reality book li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It is implemented to transmit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book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It is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selec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book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R-based image data and voice data, and
A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first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ying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AR 타겟 스캔의 결과로 생성되는 정보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are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an AR target scan by the user terminal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위한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추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더 구현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It is implemented to generat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user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mplemented to transmit the recommend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녹음 신호와 연관된 제3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제3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위한 크레딧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현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device,
Implemented to receive third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voice recording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mplemented to generate credit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third user information.
KR1020200095556A 2019-07-30 2020-07-30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617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348 2019-07-30
KR20190092348 2019-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612A true KR20210014612A (en) 2021-02-09
KR102361759B1 KR102361759B1 (en) 2022-02-11

Family

ID=7455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556A KR102361759B1 (en) 2019-07-30 2020-07-30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7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386A (en) * 1999-11-30 2001-09-07 Citi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while using commercial transaction substituting processing with electronic wallet
KR20140073155A (en)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System and method of learning language using augmented reality marker
JP2017003975A (en) * 2015-06-05 2017-01-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mart audio playback when connected to audio output system
KR20180042116A (en) * 2017-09-05 2018-04-25 박귀현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an orally narrated fairy ta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386A (en) * 1999-11-30 2001-09-07 Citi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while using commercial transaction substituting processing with electronic wallet
KR20140073155A (en)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System and method of learning language using augmented reality marker
JP2017003975A (en) * 2015-06-05 2017-01-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mart audio playback when connected to audio output system
KR20180042116A (en) * 2017-09-05 2018-04-25 박귀현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an orally narrated fairy t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759B1 (en)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7089B2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using identification tags
CN106233293B (en) For random character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2187053B1 (en)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book information
US20120284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ir stylist referrals
CN106971315A (en) Presents Gi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Quick Response Code
KR101725008B1 (en) Virtual reality advertising managing server and advertising system using it
CN106327300A (en) Commodity customizing method and commodity customizing device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23883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device independent re-grab
KR20140095890A (en) Method for inducing log into educational contents provide server
CN110889006A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KR102361759B1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23053992A (en) Computer system for personalized video ser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ed in the computer system, program execut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executed in user device included in the computer system
KR102034633B1 (en) System for sharing knowhow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the same
KR1016972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homepage using web browser
CN115271967A (en)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metauniverse and interaction method
JP6599214B2 (en) Photo sales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13614767A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027775A (en) Method for inducing log into educational contents provide server
Avi et al. The Diffusion of Technologies: Concept Analysis and Relevant Examples i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of Bangladesh
KR102309740B1 (en) Electronic document contents management method
CN111241442B (en) Propaganda system and propaganda method for electric products
KR20060015034A (en) Web-hard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image management and transaction are available
JP2007304677A (en) Printed matter addition service system,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40066377A (en) Image composition method in real time through internet web site
JP2024015737A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