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98A - Cooling device - Google Patents

Coo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498A
KR20210000498A KR1020190075709A KR20190075709A KR20210000498A KR 20210000498 A KR20210000498 A KR 20210000498A KR 1020190075709 A KR1020190075709 A KR 1020190075709A KR 20190075709 A KR20190075709 A KR 20190075709A KR 20210000498 A KR20210000498 A KR 2021000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moving space
moving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3209B1 (en
Inventor
여지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09B1/en
Publication of KR202100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33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ing device, which includes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ation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The evaporation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moving space and a second moving space through a partition wall, a first moving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moving space and the second moving space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working fluid moving in the condensation un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oving space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inlets, so that the heat is exchanged by moving to the second moving space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Description

냉각 장치{Cooling device}Cooling device {Cooling device}

실시예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 장치에 사용되는 센서, 제어기 등의 국부적인 발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cool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local heat generation such as sensors and controllers used in mechanical devices.

최근 환경 문제 대책의 일환으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전지 차량, 전기 차량 등의 발전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part of countermeasures against environmental problems, the development of hybrid vehicles, fuel cell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using the driving power of a motor is receiving more and more att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은 일반적으로, HSG 제어를 위한 전자소자와, 모터 제어를 위한 전자소자가 필수로 구비되며, 이러한 전자소자들은 구동을 위하여 전력(electricity) 공급 시 가열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냉각수단이 필요하다.Vehicles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lly equipped with electronic devices for HS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s for motor control. Since these electronic devices are heated when power is supplied for driving, they must be separately cooled. I need a means.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인버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에는 반도체 소자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히트싱크가 개시된 바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45478 (published on September 7, 2001, name: inverter cooling device) discloses an inverter in which a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semiconductor elements such as IGBT and a diode is used. Publication No. 2008-294283 (published on December 4, 2008, name: semiconductor device) discloses a heat sink that is installed to contact the lower side of a semiconductor element and formed to heat exchange while a fluid flows therein.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차량의 엔진 룸에 구비된 각각의 전자소자(e)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배관 라인(l)을 통하여 냉매를 이송 후 냉매와 전자소자(e)를 열교환 시켰던 것이다.Referring to FIG. 1, in order to cool each electronic device (e) provid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 refrigerant is transferred through a pipe line (l), and then the refrigerant and the electronic device (e) are heat-exchang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소자 냉각 방식은 냉매를 각각의 전자소자(e)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 라인(l)과, 냉매가 배관 라인(l)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생산하는 펌프(p)가 필요하므로, 엔진 룸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추가 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cooling method includes a pipe line (l) for transferring the refrigerant to each electronic device (e), and a pump (p) that generates power for the refrigerant to move along the pipe line (l). Since it is necessary, not only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engine room, but also requires additional power to drive the pump.

또한, 최근 자율주행이 각광을 받으면서 그에 필요한 센서, 영상처리 장치 측 전자소자의 열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었다. 이 열에 대한 냉각방식으로 기존의 위와 같은 방식을 채택할 경우, 배관 라인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적 상황은 더 열악해 질 수 있으며, PC의 전자소자 냉각 방식으로 양산되고 있는 히트 파이프(Heat pipe)를 적용할 경우, 소재의 부식 문제가 제기 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을 가져야 하는 차량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autonomous driving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dditional heat from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o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has been generated. In the case of adopting the above method as a cooling method for this heat, not only the piping line will be longer, but the internal spatial situation may be worse, and the heat pipe that is mass-produced as a coo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in PCs In the case of applying,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a vehicle that must have durability, because the corrosion problem of the material may be raised.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냉각 장치가 가지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냉각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cooling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such a conventional cooling device.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국내공개 특허공보 제2017-0079177호(명칭: 전자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공개일: 2017.07.10)(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79177 (Name: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 Date: July 10, 2017)

실시예는 열을 발생시키는 부재에 직접 부착되어 펌프 없이 순환하는 냉매 냉각 방식을 이용하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oling device using a refrigerant cooling method that is directly attached to a member generating heat and circulates without a pump.

또한, 증발부의 구성을 다층구조로 분리하여 열흡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heat absorption effect by sepa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vaporation unit into a multilayer structure.

또한, 응축기 배관의 방향성을 없앰으로써, 기울어짐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condenser piping, it is an object to secure robustness against inclin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는 응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구획벽을 통해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나눠지며, 상기 구획벽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을 연결하는 제1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부에서 이동하는 작동유체는 적어도 2이상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이동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ing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wherein the evaporation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moving space and a second moving space through a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moving space and the first moving space are in one area of the partition wall. 2 A first moving passage connecting the moving space is formed, and the working fluid moving in the condens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oving space through at least two inlets, and the second moving space is passed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It provides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exchange by moving to.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동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함입공간이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pair of first recessed spaces to which the inlet is connecte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함입공간의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recessed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에서 제1 이동통로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first moving passage from the top.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부는 한 쌍의 배플을 통해 내부가 구획되며, 제1 영역으로 상기 제2 이동공간을 이동하는 작동유체가 이동하며, 상부에서 양측으로 이동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여 증발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densing part is partitioned inside through a pair of baffles, the working fluid moving the second moving space moves to the first area, and the working fluid moved from the top to both sides is the first area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to the second area on both sides of and flows into the evapora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동공간에는 복수의 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rojections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moving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동공간의 상측에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3 이동공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third moving space connected to the outlet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moving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이동공간은 상기 제1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제2 이동통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moving space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moving space is formed, and the third moving space and the second moving space are connected through a second moving passage. I ca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동통로의 상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vement passag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이동공간은 상기 제1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moving space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은 상기 작동유체가 제3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second movement space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orking fluid moves to the third movement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은 수직방향의 배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condensing part and the evaporating part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고, 상기 증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응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상기 응축부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를 2개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받고, 상기 연결관 사이에 배치된 다른 연결관을 통해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응축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ing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and disposed above the evaporation unit, wherein the evaporation unit receives the working fluid from the condensation unit through two connection pipe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he working fluid to the condensing unit through another connecting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입받는 2개의 연결관은 상기 증발부 및 상기 응축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연결관은 상기 증발부 및 상기 응축부의 수평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based on the evaporation unit, two connecting pipes for receiving the working flui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connection pipe is the center of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in.

또한,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고, 상기 증발부에 수직방향에 배치되는 응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와 상기 응축부를 순환하는 상기 작동유체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2개의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유로는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ing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evaporation unit, wherein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ation unit is two flow paths for flowing the working flui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but the two flow paths may be implemented as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different dir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유로 중 제1 유로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고, 제2 유로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first passage of the two passages may flow the working flui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second passage may flow the working flui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소자의 일측에 부착되어 전자소자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작동 유체의 부족으로 인한 dry-out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ry-out due to insufficient working fluid.

또한, 전열면의 비등 효과로 냉각되지 못하고 초과되는 열량을 전도를 통해 다른 층에 전달하여 냉각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oling efficiency by transferring excess heat to other layers through conduction without being cooled due to the boiling effect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또한, 전열면(후면)으로 유입되기 전에 전면을 거쳐가기 때문에, 작동유체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를 통한 열전달로 작동유체의 과냉도를 줄일 수 있어 냉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before flowing into the heat transfer surface (rear surface), not only can the working fluid flow uniformly, but also the degree of subcooling of the working fluid can be reduced by heat transfer through conduc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또한,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전열면적에 기포 누적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pace through which gas can escap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accumulation of air bubbles in the heat transfer area.

또한, 유동가이드를 이용하여 작동 유체의 균등 분배로 열교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ect through equal distribution of the working fluid by using the flow guide.

또한, 별도의 기체통로를 위한 배관을 생략할 수 있어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iping for a separate gas passage can be omitte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배관에서 증발부와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구간을 생략하여 기울어짐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against inclination by omitting a section parallel to the evaporation part in the pi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에 차량의 엔진 룸에 구비된 각각의 전자소자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인 본체부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요소인 본체부의 전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에서 작동유체의 냉각흐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에서 자동유체의 냉각흐름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oling each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engine room of a conventional vehicl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evapo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FIG. 4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part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evapo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6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ich is a component of FIG. 5,
7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ooling flow of the working fluid in the evapo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8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cooling flow of the automatic fluid in the evapo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with and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and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one as well as when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above other component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8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1 to 8,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ly, only the main characteristic parts are clearly shown, and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 shown in the drawings. It doesn't have to b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인 본체부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요소인 본체부의 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viewed from the rear,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ion unit as a component of FIG. 2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6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as a component of FIG. 5.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100)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이동하여 응축되는 응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6,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ion unit 100 in which a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ation unit 200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moves and condenses. I can.

증발부(100)는 응축부(200)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으며, 작동유체는 증발부(1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증발부(100)는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저항 및 콘덴서 등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소자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소자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높아질 경우, 성능이 저하되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 evaporation unit 100 receives a working fluid from the condensation unit 200, and the working fluid may circulate inside the evaporation unit 100. The evaporation unit 100 may contact electronic devices that generate heat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diodes, transistors, resistors, and capacitors used in electric devices. In general, when the temperature of such an electronic devic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or not operated.

본 발명의 증발부(100)는 전자소자와 연결되어 열교환을 하여 전자소자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며, 전자소자의 발열로 인해 작동유체는 비등하여 기체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증발부(100)는 전자소자와 면첩촉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 evaporat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heat exchange to prevent degrad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orking fluid is boiled and converted into a gaseous state due to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evaporation unit 10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증발부(100)는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증발부(100)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전도도가 높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The evaporation unit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facilitate heat exchange. In one embodiment, the evaporation unit 10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may be used.

응축부(200)는 증발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를 냉각하여 증발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응축부(200)는 증발부(100)에서 열교환이 되어 기화된 작동유체를 냉각하여 증발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응축부(200)의 냉각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자연냉각 또는 강제냉각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densing unit 200 is disposed above the evaporation unit 100 and may cool the working fluid and supply it to the evaporation unit 100. The condensing unit 200 may heat exchange in the evaporation unit 100 to cool the vaporized working fluid and supply it to the evaporation unit 100. The method of cooling the condensing part 20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ethods such as natural cooling or forced cooling may be used.

증발부(100)는 응축부(200)로부터 응축된 작동유체를 2개의 연결관(300)을 통해 유입받고, 연결관(300)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연결관(300)을 통해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부(200)로 이동하게 된다.The evaporation unit 100 receives the condensed working fluid from the condensation unit 200 through two connecting pipes 300, and the working fluid vaporized through another connecting pipe 30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s 300 Is moved to the condensing unit 200.

일실시예로, 증발부(100)를 기준으로 작동유체를 유입받는 2개의 연결관(300)은 증발부(100) 및 응축부(200)의 수평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작동유체를 응축부(200)로 전달하는 다른 연결관(300)은 증발부(100) 및 응축부(200)의 수평방향의 중앙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wo connecting pipes 300 receiving the working fluid based on the evaporation unit 1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vaporation unit 100 and the condensation unit 200, and condense the working fluid. Another connection pipe 300 delivered to the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center region of the evaporation unit 100 and the condensation unit 200.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증발부(100)와 응축부(200)를 순환하는 작동유체는 수평방향으로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2개의 유로(L1,L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the evaporation unit 100 and the condensing unit 200 may include two flow paths L1 and L2 for flowing the working fluid in a horizontal direction.

중앙의 연결관을 통해 상승되는 작동유체는 응축부(200)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어 순환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raised through the central connection pipe may be branch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top of the condensing part 200 to circulate.

이때, 제1 유로(L1)는 시계방향으로 작동유체를 유동시키고, 제2 유로(L2)는 반시계방향으로 작동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flow path L1 may flow the working flui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L2 may flow the working flui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2에서 증발부(100)에 표시된 유로는 전체적인 작동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며, 세부 흐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In FIG. 2, the flow path indicated on the evaporation unit 100 represents the overall flow of the working fluid, and detailed flow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증발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evapora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증발부(100)는 제1 외벽(110), 제2 외벽(150) 및 제1 외벽(110)과 제2 외벽(150)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상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층상구조는 제작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층의 수나 연결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evaporation unit 100 has a plurality of layered structures including a first outer wall 110, a second outer wall 150, and a body portion 130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wall 110 and the second outer wall 150. It can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layered structures is for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and the number of layers or the connection structure is not limited.

본체부(130)는 구획벽(131)을 통해 작동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이동공간(136)과 제2 이동공간(132)을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벽(131)의 하부에는 제1 이동공간(136)과 제2 이동공간(132)을 연결하는 제1 이동통로(1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30 may divide a first moving space 136 and a second moving space 132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can move through the partition wall 131, and a first moving space 132 under the partition wall 131 A first moving passage 133 connecting the moving space 136 and the second moving space 132 may be formed.

제1 이동공간(136)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하강된 작동유체는 제1 이동통로(133)를 통해 제2 이동공간(13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공간(132)으로 이동한 작동유체는 제2 외벽(150)과 연결되는 전자소자와 열교환을 하여 기화되어 응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descends down by gravity, and the lowered working fluid can move to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The working fluid moved to the second moving space 132 may be vaporized by heat exchange with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wall 150 to move to the condenser.

세장형으로 마련되는 제1 이동통로(133)는 유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제2 이동공간(132) 전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이동통로(133)는 제2 이동공간(132)에서 작동유체가 가열되는 경우 일측으로 치우치는 공급이 아닌 전체적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냉각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passage 133 provided in an elongated shape allows the working fluid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1 to be supplied to the entire second moving space 132. When the working fluid is heated in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may increase cooling efficiency by supplying the working fluid as a whole instead of a biased supply.

응축부(200)에서 이동하는 작동유체는 적어도 2이상의 유입구(111)를 통해 제1 이동공간(136)으로 유입되어, 제1 이동통로(133)를 통해 제2 이동공간(132)으로 이동하여 열교환을 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moving in the condensing part 200 flows in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through at least two inlets 111, and moves to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Heat exchange is possible.

일실시예로, 제1 외벽(110)에는 2개의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111)의 하부는 제1 이동공간(136)과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wo inlets 1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outer wall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1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제1 이동공간(136)의 상부에는 유입구(111)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합입공간이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1 합입공간(138)은 제1 이동공간(136)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벽이 합입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mixing spaces to which the inlet 111 is connecte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first moving space 136. The first consolidation space 138 is disposed above the first moving space 136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sidewalls are incorporated.

또한, 제1 합입공간(138)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부(137)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137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consolidation space 138.

가이드부(137)는 복수의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체가 제1 이동공간(136)에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The guide part 137 enables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from the plurality of inlets 111 to b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first moving space 136.

복수의 가이드부(137)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작동유체가 이동시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이동공간(132)에서 일어나는 발명을 제1 이동공간(13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uide units 137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when moving, and serve to transfer the invention occurring in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can do.

또한, 복수로 배치되는 가이드부(137)는 냉각장치의 부착상태 또는 자세가 기울어지는 상황이 되더라도 해당공간의 일정량의 작동유체를 유지시켜 제2 이동공간(132)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이동공간(132)의 돌기(134)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제1 이동공간(136)으로 전달하여 열전달면적을 증대하여 냉각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137 disposed in plural may supply the working fluid to the second moving space 132 by maintaining a certain amount of working fluid in the corresponding space even when the cooling device is attached or the posture is inclined, The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protrusion 134 of the second moving space 132 is transferred 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to increase a heat transfer area, thereby increasing cooling efficiency.

일실시예로, 가이드부(137)는 상부에서 제1 이동통로(133)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portion 137 may be disposed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top toward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가이드부(137)의 폭이 넓어질수록 복수로 배치되는 가이드부(137)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간격 조절은 작동유체가 선순환하게 할뿐만 아니라, 작동유체가 온도가 낮거나 발열량이 적을때에는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제2 이동공간(132)에서 작동유체의 흐름이 느려지게 되어 제2 이동공간(132)에서 열교환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The wider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137 is, the narrower the gap between the guide portions 137 arranged in plurality. This interval adjustment not only allows the working fluid to circulate virtuously, but also has a large surface tension when the working fluid has a low temperature or a low calorific value, so that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n the second moving space 132 is slowed down and the second moving space ( In 132),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반대로, 작동유체가 온도가 높거나 발열량이 큰 경우 표면장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흐름이 빨라지게 되며 제2 이동공간(132)에서 필요한 작동유체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working fluid has a high temperature or a large calorific value, the surface tension decreases, so that the flow increases and the required working fluid can be quickly supplied from the second moving space 132.

제2 이동공간(132)은 제1 이동공간(136)을 거친 작동유체가 제1 이통통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간이다. The second moving space 132 is a space into which the working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moving space 136 passes through the first transfer passage.

제2 이동공간(132)을 형성하는 구획벽(131) 또는 제2 외벽(15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이동공간(132)을 향하도록 복수의 돌기(134)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may be disposed on either the partition wall 131 or the second outer wall 150 forming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o face the second moving space 132.

돌기(134)는 구획벽(131)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제2 외벽(150)과 면접촉을 할 수 있다. 이는 제2 외벽(150)과 접촉하는 전자소자의 열을 작동유체로 전달하여 열전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34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partition wall 131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wall 150. This may increase heat transfer efficiency by transferring heat from the electronic devi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wall 150 to the working fluid.

일실시예로, 돌기(134)는 사각기동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각기둥 형상의 돌기(134)는 상면이 제2 외벽(150)과 접촉하여 전자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돌기(134)로 전달하며, 사각기둥의 측벽은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134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maneuver. The square pillar-shaped protrusion 134 has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wall 150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protrusion 134, and the side wall of the square pillar may transfer heat to the working fluid.

구획벽(131)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돌기(134)로 인해 그 부분에서 작동유체의 표면장력이 생기게 되며, 용이하게 머무를 수 있게 된다.Due to the protrusion 134 having a structure that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partition wall 131, a surface tension of the working fluid is generated at that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stay.

또한,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벽은 구획벽(131)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비등을 통해 기포가 발생되며, 수직으로 연결되는 측벽에 발생된 기포는 측벽으로부터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ly formed sidewalls generate bubbles through boiling in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131, and bubbles generated in the vertically connected sidewall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sidewalls.

또한, 복수의 돌기(134)는 기포의 자유도를 증대시켜 기체 유동에 따른 dry-out을 늦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may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bubbles to slow dry-out according to gas flow.

또한, 복수의 돌기(134)는 서로 다른 높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복수의 돌기(134)는 제1 이동통로(133)에서 제2 이동통로(135)의 방향으로 비율적으로 돌기(134)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는 작동유체의 액막에 의한 냉각 혹은 커진 기포들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may have different heights.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may have a proportionally lowered height of the protrusions 134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oving passage 135 from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which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by facilitating the cooling or the flow of larger air bubbles.

복수로 마련되는 돌기(134)는 일정간격을 배열되어 작동기체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소자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부등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134 provided in plurality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evenly heat the working gas as a who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equal heating due to heat transferr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제2 이동공간(132)의 상측에는 유출구(113)와 연결되는 제3 이동공간(139)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동공간(139)은 제2 이동공간(132)을 거지치면서 기화된 작동유체가 모이는 공간을 제공한다.A third moving space 139 connected to the outlet 113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moving space 132. The third moving space 139 provides a space where the vaporized working fluid gathers while walking through the second moving space 132.

일실시예로, 제3 이동공간(139)은 본체부(130)에서 제1 이동공간(136)이 형성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이동공간(139)과 제2 이동공간(132)은 제2 이동통로(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moving space 139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moving space 136 is formed in the main body 130, and the third moving space 139 and the second moving The space 132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moving passage 135.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전자소자와 면접촉을 통해 작동유체가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면접촉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바, 기타 작동유체를 순환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면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In the coo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fluid absorbs heat through surface contact with the electronic device. To this end, a space for contact with the surface must be secured, and other components for circulating the working fluid must b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tact with the surface.

이를 위해 작동유체가 기화되어 응축부(200)로 이동하기 위한 제3 이동공간(139)은 제1 이동공간(136)이 형성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외벽(110)에는 제3 이동공간(139)과 연결되기 위한 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hird moving space 139 for moving the working fluid to the condensing unit 200 by vaporization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moving space 136, and the first outer wall 110 An outlet 113 for connecting to the third moving space 139 may be formed in the.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제3 이동공간(139)은 본체부(130)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응축부(200)와 직접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hird moving space 139 may have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30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ensing part 200.

제2 이동통로 상부(135a)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여, 제2 이동공간(132)에서 기화된 작동유체가 제3 이동공간(139)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e upper portion 135a of the second movement passage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to help the working fluid vaporized in the second movement space 132 move to the third movement space 139.

또한, 제2 이동공간(132)을 형성하는 상부면은 작동유체가 제3 이동공간(139)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second movement space 132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working fluid to the third movement space 139.

응축부(200)는 증발부(100)에서 기화된 작동유체가 이동하여 응축될 수 있다. 제2 이동공간(132)에서 기화된 작동유체는 응축부(200)로 이동하며, 응축부(200)에서 냉각된 후 다시 증발부(100)의 제1 이동공간(136)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ndensing unit 200 may be condensed by moving the working fluid vaporized in the evaporation unit 100. The working fluid vaporized in the second moving space 132 moves to the condensing unit 200, and after being cooled in the condensing unit 200, it may move back to the first moving space 136 of the evaporation unit 100.

응축부(200)는 베플(210)을 통해 내부가 구획될 수 있다. 응축부(200)는 한 쌍의 베플(210)을 통해 내부가 구획될 수 있으며, 중앙의 제1 영역(220)과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230)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condensing part 200 may be partitioned inside through the baffle 210. The condensing part 200 may be partitioned inside through a pair of baffles 210, an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220 in the center and second regions 230 disposed on both sides.

제1 영역(220)은 제2 이동공간(132)에서 기화된 작동유체가 상승하는 통로이며, 제2 영역(230)은 작동유체가 냉각되어 하강하는 통로이다. 제1 영역(220)과 제2 영역(230)의 상부는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영역(220)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가 상부공간을 통과하여 제2 영역(230)으로 이동한 후 증발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22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vaporized in the second moving space 132 rises, and the second region 23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is cooled and descends.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region 220 and the second region 230 are connected, and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220 passes through the upper space and moves to the second region 230 and then the evaporation unit ( 100).

일실시예로, 제1 영역(220)의 하부에는 제3 이동공간(139)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third moving space 139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region 220.

이는 제3 이동공간(139)에서 상승하는 작동유체의 상승을 도울 수 있으며, 기화된 작동유체의 이동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This can help the rise of the working fluid rising in the third moving space 139, and can minimiz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aporized working fluid.

응축부(200)와 증발부(100)는 복수의 연결관(300)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관(300)은 수직방향의 배치를 가질 수 있다.The condensing part 200 and the evaporation part 100 may be connected us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300, and the connection pipe 300 may have a vertical arrangement.

일실시예로, 제1 영역(220)은 제3 이동공간(139)과, 제2 영역(230)은 제1 이동공간(136)과 연결관(3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영역(220)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은 제1 외벽(110)에 형성되는 유출구(11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영역(230)을 연결하는 연결관(300)은 제1 외벽(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유입구(111)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rea 22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moving space 139 and the second area 230 through the first moving space 136 and the connection pipe 300. The connection pipe 300 connecting the first region 22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113 formed in the first outer wall 110, and the connection pipe 300 connecting the second region 230 is a first It may be connected to a pair of inlets 111 formed in the outer wall 110.

수직방향의 배치를 가지는 연결관(300)은 수평되는 구간을 가지지 않도록 증발부(100)와 응축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응축기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방향성을 없애 기울어짐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한이다.The connection pipe 300 having a vertical arrangement may connect the evaporation unit 100 and the condensation unit 200 so as not to have a horizontal section. This is to ensure robustness against tilt by remov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condenser.

일실시예로, 전후 방향의 기울어 짐이 심한 차량에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증발부(100)의 전면이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어짐이 작동유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a vehicle with severe inclin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of the evaporator 100 is installed to face the front of the vehicl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on the working fluid. I can.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연결관(300)을 별도의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응축부(200)와 증발부(100)의 구조적인 결합이 있는 경우 연결관(30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ipe 300 is described as a separate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re is a structural combination of the condensing part 200 and the evaporation part 100, You can also omit the configuration.

도 7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100)에서 작동유체의 냉각흐름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구성요소인 증발부(100)에서 자동유체의 냉각흐름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ooling flow of the working fluid in the evaporation unit 100, which is a component of FIG. 2, and FIG. 8 is a view of the cooling flow of the automatic fluid in the evaporation unit 100, which is a component of FIG. This is the view you looked a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합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가이드부(137)를 통해 제1 이동공간(136)에서 고르게 분배되며, 제1 이동통로(133)를 통해 제2 이동공간(132)으로 이동하게 된다.7 and 8, the working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mixing space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first moving space 136 through the guide part 137, and the second moving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133 It moves to the space 132.

이후, 제2 외벽(150)과 연결되는 전자소자의 열을 전달받은 작동유체는 기화되어 상승하게 되며, 제3 이동공간(139)을 통해 응축부(200)로 이동하게 된다.Thereafter, the working fluid that has received heat from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wall 150 is vaporized and rises, and moves to the condensing unit 200 through the third moving space 139.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looked at in detai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증발부 110 : 제1 외벽
111 : 유입구 113 : 유출구
130 : 본체부 131 : 구획벽
132 : 제2 이동공간 133 : 제1 이동통로
134 : 돌기 135 : 제2 이동통로
135a : 제2 이동통로 상부 136 : 제1 이동공간
137 : 가이드부 138 : 제1 함입공간
139 : 제3 이동공간 150 : 제2 외벽
200 : 응축부 210 : 베플
220 : 제1 영역 230 : 제2 영역
300 : 연결관
100: evaporation unit 110: first outer wall
111: inlet 113: outlet
130: main body 131: partition wall
132: second moving space 133: first moving passage
134: protrusion 135: second moving passage
135a: upper part of the second moving passage 136: first moving space
137: guide part 138: first recessed space
139: third moving space 150: second outer wall
200: condensation unit 210: baffle
220: first area 230: second area
300: connector

Claims (16)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는 응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구획벽을 통해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나눠지며, 상기 구획벽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을 연결하는 제1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부에서 이동하는 작동유체는 적어도 2이상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이동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Includes; a condensing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The evaporation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moving space and a second moving space through a partition wall, and a first moving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moving space and the second moving space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The working fluid moving from the condensing unit flows into the first moving space through at least two inlets, moves to the second moving space through the first moving passage, and performs heat exchan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함입공간이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first recessed spaces to which the inlets are connecte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spa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입공간의 하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recessed spa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에서 제1 이동통로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increases from the top toward the first movement pass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한 쌍의 배플을 통해 내부가 구획되며,
제1 영역으로 상기 제2 이동공간을 이동하는 작동유체가 이동하며, 상부에서 양측으로 이동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여 증발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ensing part is partitioned inside through a pair of baffles,
Coo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ing fluid moving the second moving space moves to the first area, and the working fluid moved from the top to both sides moves to the second area on both sides of the first area and flows into the evaporation uni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공간에는 복수의 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arranged in the second moving sp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공간의 상측에는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3 이동공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moving space connected to an outlet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mov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공간은 상기 제1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제2 이동통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rd moving space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moving space is formed, and the third moving space and the second moving space are connected through a second moving passag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통로의 상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vement passage has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공간은 상기 제1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moving space is disposed below the first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은 상기 작동유체가 제3 이동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second movement space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orking fluid moves to the third movement sp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은 수직방향의 배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condensing part and the evaporating part has a vertical arrangement.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고, 상기 증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응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상기 응축부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를 2개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받고, 상기 연결관 사이에 배치된 다른 연결관을 통해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응축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A condensing unit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and disposed above the evaporation unit;
Including,
The evaporating unit receives the working fluid from the condensing unit through two connecting pipes, and delivers the working fluid to the condensing unit through another connecting pip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입받는 2개의 연결관은 상기 증발부 및 상기 응축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른 연결관은 상기 증발부 및 상기 응축부의 수평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Based on the evaporation unit, the two connecting pipes receiving the working flui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connecting tub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ation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oling device characterized by.
열원에 의해 작동유체가 기화되는 증발부; 및
기화된 작동유체가 응축되고, 상기 증발부에 수직방향에 배치되는 응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와 상기 응축부를 순환하는 상기 작동유체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2개의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유로는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An evaporation unit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by a heat source; And
Containing; a condensing uni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vaporized working fluid is condensed and the evaporation unit,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the evaporating part and the condensing part includes two flow paths for flowing the working flui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two flow paths are in different direction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로 중 제1 유로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고, 제2 유로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cooling apparatus, wherein a first flow path of the two flow paths flows the working flui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second flow path flows the working flui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KR1020190075709A 2019-06-25 2019-06-25 Cooling device KR102623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09A KR102623209B1 (en) 2019-06-25 2019-06-25 Coo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09A KR102623209B1 (en) 2019-06-25 2019-06-25 Coo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98A true KR20210000498A (en) 2021-01-05
KR102623209B1 KR102623209B1 (en) 2024-01-11

Family

ID=7414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709A KR102623209B1 (en) 2019-06-25 2019-06-25 Coo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0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976A (en) * 2002-12-12 2004-07-08 Sony Corp Heat transpor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030956A1 (en) * 2005-07-30 2008-02-07 Articchoke Enterprises Phase-separated evaporator, blade-thru condenser and heat dissipation system thereof
JP2014116385A (en) * 2012-12-07 2014-06-26 Panasonic Corp Cooler and electric car and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the same
KR20170079177A (en) 2015-12-30 2017-07-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976A (en) * 2002-12-12 2004-07-08 Sony Corp Heat transpor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030956A1 (en) * 2005-07-30 2008-02-07 Articchoke Enterprises Phase-separated evaporator, blade-thru condenser and heat dissipation system thereof
JP2014116385A (en) * 2012-12-07 2014-06-26 Panasonic Corp Cooler and electric car and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the same
KR20170079177A (en) 2015-12-30 2017-07-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09B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7408B1 (en) Natural circulation type cooling apparatus
TW201641910A (en) Coolant type heat dissipation device
JP2016009828A (en) Ebullient cooling device for heating element
WO2015146110A1 (en) Phase-change cooler and phase-change cooling method
JP5786132B2 (en) Electric car
WO2016104729A1 (en) Cooler
WO2016104727A1 (en) Cooling device
KR20210000498A (en) Cooling device
US11792963B2 (en) Cooling apparatus
US10905036B2 (en) Display cooler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19054076A1 (en) Device temperature adjustment apparatus
KR102512814B1 (en) Cooling device
KR102587582B1 (en) Cooling device
CN111096095B (en) Cooling device
KR102574636B1 (en) Cooling device
JP2018105525A (en) Cool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ounted with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KR102552549B1 (en) Cooling device
KR20200124894A (en) Cooling device
JP2017112189A (en) Thermo-siphon cooling device
JP7299441B1 (en) boiling cooler
CN220307626U (en) Loop heat pipe radiating elemen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0206892A (en) Device for cooling inverter
US20220065547A1 (en) Evaporator and loop heat pipe
JP2017067355A (en) Coo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CN116507095A (en) Loop heat pipe radiating elemen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