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33A -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33A
KR20200131633A KR1020190056473A KR20190056473A KR20200131633A KR 20200131633 A KR20200131633 A KR 20200131633A KR 1020190056473 A KR1020190056473 A KR 1020190056473A KR 20190056473 A KR20190056473 A KR 20190056473A KR 20200131633 A KR20200131633 A KR 2020013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ariable
plate
liqui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성수
김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633A/en
Publication of KR2020013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5Fluid-filled lenses, e.g. electro-wett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lens, a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adjust the focus of a l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lens comprises: a first plate; a core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first plate and includes a cavity; a second plate arranged on the core member; a first liquid and a second liquid arranged in the cavity;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qui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rang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liquid; and an insulation layer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the second liquid. The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has a positive diopter, and the first plate has a negative diopter.

Description

가변 렌즈,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 렌즈,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lens, a lens module, and spectacles including the same.

인간의 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근시, 원시 또는 노안 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근육의 노화가 진행되거나, 시력의 사용이 누적됨에 따라 시력이 저하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저하되는 시력을 보조하기 위해 안경이 사용되고 있다.The human eye has myopia, farsightedness, or presbyopia due to various factors. For example, as muscle aging progresses or as the use of vision is accumulated, vision is deteriorating. To this end, glasses are used to assist with decreased vision.

일반적으로 먼 곳에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 오목 렌즈를 구비한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고,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 볼록 렌즈를 구비한 원시용 안경이 사용된다.In general, when an object in a distant place is difficult to see, glasses for nearsightedness with a concave lens are used, and when an object in a distance is difficult to see, glasses for farsightedness with a convex lens are used.

근시용 안경 또는 원시용 안경은 단 초점 렌즈로서, 멀거나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해 도수를 넣은 단초점 오목 렌즈 또는 단초점 볼록 렌즈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초점 렌즈는 렌즈의 초점이 하나로 고정되어 있어 먼 거리 또는 가까운 거리의 사물을 보거나 작업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Glasses for nearsightedness or glasses for farsightedness are short focal lenses, and a short focal concave lens or a short focal convex lens is used to see a far or close distance. Such a single focal lens can be used only when viewing or working with objects at a distance or near because the lens has a fixed focus.

한편,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시력의 사용이 누적되어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곳을 보기 위해 별도로 원시용 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근시용 안경과 원시용 안경을 사용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user who uses glasses for nearsightedness has presbyopia due to accumulated use of eyesigh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use glasses for farsightedness to see nearby place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bear the inconvenience of using glasses for myopia and glasses for farsightednes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초점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glasses with multifocal lens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가변 렌즈,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lens capable of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a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가변 렌즈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1 액체와 제2 액체; 상기 제1 액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은 양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음의 디옵터를 가진다.A variable l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plate; A core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 cavity;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core member; A first liquid and a second liquid disposed in the cavity;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qui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liquid;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the second liquid, the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has a positive diopter, and the first plate is negative Have a diopter.

또한, 초점이 맺히는 안구가 배치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계면은 물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late on which the eyeball to be focused is disposed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interface has a shape that is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 can.

또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계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plate may be the same as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terface.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물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0 또는 양의 디옵터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second plate may have 0 or positive diopters.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은 원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동심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have concentricity.

또한,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상 4 이하가 되도록 상기 계면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is 0 or more and 4 or less.

또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고,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is 0,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Can be greater than zero.

또한, 상기 가변 렌즈는,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 렌즈이고,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노안용 렌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lens may be a lens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a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may be a lens for presbyopi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또한, 상기 제1 액체는 전도성 액체이고, 상기 제2 액체는 비전도성 액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quid may be a conductive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may be a non-conductive liquid.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 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and the cor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렌즈 모듈은 초점이 가변되는 가변 렌즈; 및 상기 가변 렌즈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으로 사용되고 구동 전압 인가 시에는 노안용으로 사용된다.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variable lens having a variable focus; And a drive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variable lens is used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when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is used for presbyopi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또한, 상기 가변 렌즈는 제1 렌즈 파트, 제2 렌즈 파트, 및 제1 렌즈 파트와 제2 렌즈 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제3 렌즈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lens may include a first lens part, a second lens part, and a third lens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and having a variable focu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가변 렌즈는 제1 렌즈 파트; 제2 렌즈 파트; 상기 제1 렌즈 파트와 상기 제2 렌즈 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제3 렌즈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음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3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양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2 렌즈 파트와 상기 제3 렌즈 파트의 디옵터 합을 이용하여 노안 렌즈의 기능을 수행한다.A variable l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lens part; A second lens part; And a third lens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and having a variable focus, the diopter of the second lens part has a negative diopter, and the diopter of the third lens part is positive It has a diopter of and performs a function of a presbyopia lens by using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second lens part and the third lens part.

또한, 상기 제3 렌즈 파트와 상기 제2 렌즈 파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상 4 이하이고, 상기 제1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0 또는 양의 디옵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sum of diopters of the third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may be 0 or more and 4 or less, and a diopter of the first lens part may have 0 or positive diopter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안경은 안경테; 상기 안경테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안경테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가변 렌즈; 및 상기 안경테 또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 렌즈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으로 사용되고, 구동 전압 인가 시에는 노안용으로 사용된다.Glass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pectacle frame;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spectacle frame; A variable lens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having a variable focus; And a controller disposed on the eyeglass frame or the support and controlling a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lens, wherein the variable lens is used for astigmatism or myopia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a driving voltage When approved, it is used for presbyopi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렌즈를 일반 모드 또는 노안 모드로 제어 하고, 상기 노안 모드는 복수의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ariable lens in a normal mode or a presbyopia mode, and the presbyopia mode may be controlled at a plurality of levels.

또한, 상기 안경은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 횟수 또는 길이에 따라 상기 노안 모드의 상기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lasses include an input device, and the level of the presbyopic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length of signals input to the input device.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가변 렌즈,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a variable lens capable of adjusting the focus of a lens, a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렌즈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or substituted wi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case,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omponent is'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under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top)” or “bottom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렌즈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렌즈부(100)와, 가변 렌즈부(200)와, 안경테(300)와,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 때, 가변 렌즈부(200)는 '가변 렌즈', '액체 렌즈부' 또는 '액체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가변 렌즈'는 '가변 초점 렌즈'를 의미할 수 있다. 1 to 4, th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unit 100, a variable lens unit 200, a frame 300, and a support unit 400. However, i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 configurations, and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not excluded. In this case,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referred to as a “variable lens”, a “liquid lens unit”, or a “liquid lens”.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variable lens' may mean'variable focus len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렌즈부(200)는 제1 플레이트(220)와, 제2 플레이트(210)와, 코어 부재(230)와,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과, 절연층(260)과,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와, 연결부(29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1 to 4, the variable lens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220, a second plate 210, a core member 230, and a first electrode. 240,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sulating layer 260, the first liquid 270, the second liquid 280,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90, but some of these Excluding th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and does not exclude additional configuration.

렌즈부(100)는 안경(10)의 안경테(3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부(100)는 안경(10)의 안경테(300)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안경테(300) 없이 렌즈부(100)가 직접 지지부(40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렌즈부(100)는 투명한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00)의 하부 영역에는 가변 렌즈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영역이란 사용자가 서서 안경(10)을 착용 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아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렌즈부(100)는 가변 렌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00)의 전체 영역이 가변 렌즈부(200)일 수도 있다.The lens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300 of the spectacles 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 10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300 of the spectacles 10, but even if the lens unit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400 without the spectacle frame 300 It's okay. The lens unit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glass or plastic material.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ens unit 100. Here, the lower region may mean a lower region based on when the user stands and wears the glasses 10.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variable lens unit 200. For example, the entire area of the lens unit 100 may be the variable lens unit 200.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부(100)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가변 렌즈부(200)가 렌즈부(10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부(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부(1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부(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 렌즈부(200)와 가변 렌즈부(200) 이외의 렌즈부(100)의 굴절률 차이는 0.0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영역이란 사용자가 서서 안경(10)을 착용 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아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on the lens unit 100.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on the entire area of the lens unit 100, which means that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the lens unit 100.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partial area of the lens unit 100.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lens unit 100.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area of the lens unit 100.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variable lens unit 200 and the lens unit 100 other than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0.05 or less. Here, the lower region may mean a lower region based on when the user stands and wears the glasses 10.

가변 렌즈부(200)는 제2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코어 부재(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코어부재(230)를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2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20)의 위 또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코어 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코어 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와 코어 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코어 부재(230)는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가 배치되는 캐비티(cavity)의 측벽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액체(2780)와 제2 액체(280)의 아래에 배치되는 영역이 제1 플레이트(220)이고, 위에 배치되는 영역이 제2 플레이트(210)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의 일면에는 제1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의 하면 또는 후면에는 제1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plate 21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disposed on the core member 23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220 with respect to the core member 23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disposed above or in front of the first plate 22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core member 23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member 230. When the second plate 210 and the core member 230 are integrally formed, the core member 230 means a sidewall area of a cavity in which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re disposed. I can. In this case, a region disposed below the first liquid 278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the first plate 220, and the region disposed above may be the second plate 210. The second plate 210 may be formed of a glass 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transparent. A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이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전방을 의미하고, 도 3을 기준으로 타 방향 또는 상측 방향을 의미한다. 제2 플레이트(21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은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210)는 물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용자의 눈동자가 이동하는 경우의 곡률 반경을 반영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10 may be formed to be convex in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and refers to another direction or an upward direction based on FIG. 3. One surface and/or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may be formed to be convex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plate 210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Through this, the radius of curvature when the wearer's pupil moves may be reflected.

제2 플레이트(21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이 광축에 수직한 가상면과 이루는 제3 각도(θ3)는 8도에서 15도 사이일 수 있다. 제3 각도(θ3)를 8도보다 작게 만들기에는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제3 각도(θ3)를 15도보다 크게 만드는 경우 디옵터(diopter)가 높아져 두께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3 각도(θ3)는 8도에서 15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플레이트(210)는 0 또는 양의 디옵터(diopter)를 가질 수 있다. The third angle θ3 formed by one surface and/or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with the virtu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may be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Making the third angle θ3 smaller than 8 degrees has a disadvantage in that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when the third angle θ3 is made larger than 15 degre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iopter increases and the thickness incre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θ3 is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The second plate 210 may have a zero or positive diopter.

가변 렌즈부(200)는 제1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는 코어 부재(2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는 코어 부재(230)의 아래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는 코어 부재(230)와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는 코어 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는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plate 220. The first plate 2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re member 230. The first plate 220 may be disposed below or behind the core member 230. The first plate 220 may be connected or combined with the core member 230. The first plate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e member 230. 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of a glass 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transparent.

제1 플레이트(220)의 일면은 제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이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전방을 의미하고, 도 3을 기준으로 타 방향 또는 상측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초점이 맺치는 사용자의 안구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220)의 상 측면은 곡면일 수 있고,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계면은 물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220)의 곡면의 곡률 반경은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의 하면 또는 후면은 제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용자의 눈동자가 이동하는 경우의 곡률 반경을 반영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and refers to another direction or an upward direction based on FIG. 3. For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late 220 on which the user's eyeballs in focus are arranged may be curved, and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n, the interface may have a shape that is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In add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terface.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is, the radius of curvature when the wearer's pupil moves may be reflected.

제1 플레이트(220)의 일면과 제2 액체(280)의 일면과 평행한 가상면과 이루는 제2 각도(θ2)는, 제1 및 제2 전극(240, 250)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이 제2 액체(280)의 일면과 이루는 제1 각도(θ1)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0)의 일면과 제2 액체(280)의 일면과 평행한 가상면과 이루는 제2 각도(θ2)는 8도에서 15도 사이일 수 있다. 제2 각도(θ2)를 8도보다 작게 만들기에는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제2 각도(θ2)를 15도보다 크게 만드는 경우 디옵터(diopter)가 높아져 두께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2 각도(θ2)는 8도에서 15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angle θ2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and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280 is an initial period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40 and 250. In this state,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angle θ1 formed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280. The second angle θ2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and a virtual surfac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Making the second angle θ2 smaller than 8 degrees has a disadvantage in that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when the second angle θ2 is made larger than 15 degre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iopter increases and the thickness incre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θ2 is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가변 렌즈부(200)는 코어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재(230)는 제1 플레이트(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 부재(230)는 제2 플레이트(210)와 제1 플레이트(220)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부재(230)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고, 코어 부재(230)의 캐비티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부재(230)는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할 수 있다. 코어 부재(230)가 제2 플레이트(210)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코어 부재(230)가 제1 플레이트(220)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core member 230. The core member 2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te 220. The core membe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210 and the first plate 220. The core member 230 may include a cavity, and the cavity of the core member 2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ore member 230 may be formed of a glass 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transparent. An angle between the core member 230 and the second plate 210 may be a right angle. An angle between the core member 230 and the first plate 220 may be a right angle.

코어 부재(230)는 캐비티(cavity)를 가질 수 있다. 캐비티는 제2 플레이트(210)와, 제1 플레이트(220)와, 코어 부재(230)의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캐비티에는 제2 전극(250)과, 절연층(280)과,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티의 타면은 위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캐비티의 상면 또는 전면은 위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도 3과 달리, 캐비티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The core member 230 may have a cavity. The cavity may mean a space between the second plate 210, the first plate 220, and the core member 230. A second electrode 250, an insulating layer 280, and a first liquid 270 and a second liquid 280 may be disposed in the cavity. The other surface of the cavity may be convex upward.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may be convex upward. Unlike FIG. 3, the cross section of the cavity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가변 렌즈부(200)는 제1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1 액체(27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1 액체(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플레이트(210) 또는 코어 부재(2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플레이트(210)와 제1 액체(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플레이트(210)의 하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플레이트(210)의 일면의 형상에 따라 굴곡지거나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제1 전극(240)은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캐비티의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에 제1 전극(240)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4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first liquid 27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quid 27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late 210 or the core member 23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210 and the first liquid 27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curved or formed flat according to the shape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to be convex in the first direction. Alternatively,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avity is a square,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flat.

제1 전극(24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40)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의 투과도는 0.97 이상일 수 있다.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펄스 폭 제어(PWM;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제1 전극(240)의 구동 전압은 70V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made of metal.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0.97 or higher.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electrode 240 may be 70V or less.

가변 렌즈부(200)는 제2 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플레이트(2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플레이트(22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플레이트(220)의 상면 또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플레이트(220)와 제1 액체(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플레이트(220)와 제2 액체(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250.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te 220.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on the top or front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220 and the first liquid 270.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220 and the second liquid 280.

제2 전극(25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50)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의 투과도는 0.97 이상일 수 있다.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펄스 폭 제어(PWM;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제2 전극(250)의 구동 전압은 70V 이하일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made of metal.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0.97 or higher.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70V or less.

제2 전극(250)은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은 동심원을 갖는 복수의 링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은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은 'o'자 형상 또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은 동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각각의 두께는 인접하는 제2 전극(252, 254, 256, 258)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의 각 전극들은 독립적으로 다른 전류 또는 전압이 공급되어 독립 구동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258 may have a plurality of ring shapes having a concentric circl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258 may have a circle or ellipse shape. hav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formed in an'o' shape or a donut shape.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have concentricity. A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A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adjacent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Each of th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may be independently driven by independently supplying different currents or volta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은 4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258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258 is not limited thereto.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은 링 형상 또는 도넛 형상 또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므로, 구동 전압을 낮추고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ring shape, a donut shape, or an'o' shape, so that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re formed. Since the moving distance of is shortened, the driving voltage can be lowered and the driving speed can be increased.

가변 렌즈부(200)는 절연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1 플레이트(22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플레이트(200)의 상면 또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50)을 감쌀 수 있다. 절연층(260)은 복수의 제2 전극(252, 254, 256, 25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플레이트(200)와 제2 액체(2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플레이트(200)와 제1 액체(2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50)과 제2 액체(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50)과 제2 액체(280)를 비접촉시킬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50)과 제1 액체(270)를 비접촉시킬 수 있다. 절연층(260)은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5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26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260)의 투과도는 0.97 이상일 수 있다. 절연층(260)은 소수성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도, 오일인 제2 액체(280)가 아래로 모이지 않고, 도 3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6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0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wrap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52, 254, 256, and 258.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200 and the second liquid 28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200 and the first liquid 27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second liquid 28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make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second liquid 280 non-contact.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make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liquid 270 non-contact.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formed as a thin film.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formed by being stack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transmittance of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0.97 or higher. The insulating layer 260 may be hydrophobic. Through this, eve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the second liquid 280, which is oil, does not collect downward, and may be disposed as shown in FIG. 3.

가변 렌즈부(200)는 제1 및 제2 액체(270, 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270)는 전도 액체일 수 있고, 제2 액체(280)는 비전도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체(270)는 수용액 및/또는 물(water)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액체(280)는 오일(oi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는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액체일 수 있다.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는 투명한 액체일 수 있다.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iquids 270 and 280. The first liquid 270 may be a conductive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a non-conductive liquid. For example, the first liquid 270 may include an aqueous solution and/or water,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include oil.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liquid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transparent liquids.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은 굴절면일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가해지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이 광축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제1 각도(θ1)는, 제1 플레이트(220)의 일면과 제2 액체(280)의 일면과 광축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이 이루는 제2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의 디옵터와 제1 플레이트(220)의 합성 디옵터는 0 디옵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의 디옵터는 양의 디옵터를 갖고 제1 플레이트(220)의 디옵터는 음의 디옵터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져 합성 디옵터 값은 0 디옵터를 가질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제1 각도(θ1)는 8도에서 15도 사이일 수 있다. 제1 각도(θ1)를 8도보다 작게 만들기에는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제1 각도(θ1)를 15도보다 크게 만드는 경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 또는 전류를 가할 시 디옵터(diopter)가 높아져 두께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3 각도(θ3)는 8도에서 15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be a refractive surfac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is formed with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angle θ1 formed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angle θ2 formed by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0, on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280, and a virtu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is case, a diopter of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nd a combined diopter of the first plate 220 may be 0 diopters. For example, the diopter of the interface may have a positive diopter, and the diopter of the first plate 220 may have a negative diopter and have the same size, so that the composite diopter value may have 0 diopters. In the initial state, the first angle θ1 may be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nufacturing cost is high to make the first angle θ1 smaller than 8 degrees, and if the first angle θ1 is made larger than 15 degrees,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lternatively, when the current is applied, the diopter increases and the thickness increases. Therefore, the third angle θ3 is preferably between 8 degrees and 15 degrees.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가해지는 경우,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의 계면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류 또는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은 제1 방향으로 볼록해져 가변 렌즈부(200)의 디옵터(diopter)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이란 물측, 전방, 상측 또는 타측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류 또는 전압이 가해져 제1 각도(θ1)가 제2 각도(θ2)보다 커지면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 사이의 계면은 양의 디옵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변 렌즈의 합성 디옵터는 +10 디옵터 이하일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류 또는 전압이 가해져 제1 각도(θ1)가 제2 각도(θ2)보다 작아지면 가변 렌즈의 합성 디옵터는 음의 디옵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음의 디옵터는 -5 디옵터 이상일 수 있다. When a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may vary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a current or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is convex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variable. The diopter of the lens unit 200 may be varied. Here, the first direction may mean a water side, a front side, an upper side, or the other side. When a current or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angle θ1 is greater than the second angle θ2,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Can form positive diopters. In this case, the composite diopter of the variable lens may be +10 diopter or less. When a current or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angle θ1 is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θ2, the composite diopter of the variable lens may form a negative diopter. In this case, negative diopters may be -5 diopters or more.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의 계면의 디옵터와, 제1 플레이트(220)의 디옵터의 합은 0 이상 4 이하일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가해지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의 계면의 디옵터와 제1 플레이트(220)의 디옵터의 합은 0일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난시 또는 근시용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가해지는 경우 제1 액체(270)와 제2 액체(280)의 계면의 디옵터와 제1 플레이트(220)의 디옵터의 합은 0보다 크고 4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노안용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220 may be 0 or more and 4 or less.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diopter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nd the first plate 220 The sum of diopters may be zero. In this case,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mplement a lens for astigmatism or myopia. When a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270 and the second liquid 280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220 is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4. In this case,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implement a lens for presbyopi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변 렌즈부(200)는 '렌즈 모듈'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220)는 '제1 렌즈 파트', '제1 렌즈 영역' 또는 '제1 렌즈부'로 호칭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10)는 '제2 렌즈 파트', '제2 렌즈 영역' 또는 '제2 렌즈부'로 호칭될 수 있고, 코어 부재(230)는 '제3 렌즈 파트', '제3 렌즈 영역' 또는 '제3 렌즈부'로 호칭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referred to as a'lens module'. In addition, the first plate 220 may be referred to as a'first lens part', a'first lens area', or a'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plate 210 is a'second lens part', ' It may be referred to as a'second lens area' or a'second lens unit', and the core member 230 may be referred to as a'third lens part', a'third lens area', or a'third lens unit'.

안경(10)은 안경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테(300)는 렌즈부(100)를 수용할 수 있다. 안경테(300)에는 가변 렌즈부(200)에 전압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전극 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 연결부는 가변 렌즈부(200)의 연결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경테(200)는 사각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glasses 10 may include a frame 300. The spectacle frame 300 may accommodate the lens unit 100. The eyeglass frame 30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connector that transmits voltage or current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90 of the variable lens part 2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frame 2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formed into an oval shape or a circle shape.

안경(10)은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안경테(20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400)에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제공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00)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가변 렌즈부(20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00)에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glasses 10 may include a support part 400. The support par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eyeglass frame 200. A signal provid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user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400.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variable lens unit 200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a user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400. A driver (not shown) that provides voltage or curren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400.

안경(10)은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안경테(300) 또는 지지부(4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가변 렌즈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가변 렌즈부(20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가변 렌즈부(200)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가 가변 렌즈부(200)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안경(10)은 난시 또는 근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가 가변 렌즈부(200)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안경(10)은 노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안경(10)이 노안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복수의 레벨의 노안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제1 레벨의 노안 모드로 작동하고,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제2 레벨의 노안 모드로 작동하고, 제3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가변 렌즈부(200)는 제3 레벨의 노안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10)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 등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 횟수 또는 길이에 따라 노안 모드의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제어부와 별도의 구성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구동부가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The glasses 10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The driver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300 or the support 400. The driving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The driving unit may su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The driving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driver may supply a driving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does not a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the glasses 10 may be used for astigmatism or myopia. When the driving unit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variable lens unit 200, the glasses 10 may be used for presbyopia. When the glasses 10 are used for presbyopia,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levels of presbyopia mode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a first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variable lens unit 200 operates in a first level of presbyopia mode, and when a second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variable lens unit 200 is in a second level presbyopia mode. And the third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variable lens unit 200 may operate in a third level presbyopia mode. In this case, the level of the presbyopia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length of signals input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glasses 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s described as be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control unit, but the driving unit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하나의 가변 렌즈부(200)를 통해 난시 또는 근시용 렌즈인 제1 렌즈 모드나, 노안용 렌즈인 제2 렌즈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Th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first lens mode, which is a lens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or a second lens mode, which is a lens for presbyopia, through one variable lens unit 200. Is augmen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안경 100: 렌즈부
200: 가변 렌즈부 210: 제2 플레이트
220: 제1 플레이트 230: 코어 부재
240: 제1 전극 250: 제2 전극
260: 절연층 270: 제1 액체
280: 제2 액체 290: 연결부
300: 안경테 400: 지지부
10: glasses 100: lens unit
200: variable lens unit 210: second plate
220: first plate 230: core member
240: first electrode 250: second electrode
260: insulating layer 270: first liquid
280: second liquid 290: connection
300: glasses frame 400: support

Claims (21)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1 액체와 제2 액체;
상기 제1 액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은 양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음의 디옵터를 갖는 가변 렌즈.
A first plate;
A core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 cavity;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core member;
A first liquid and a second liquid disposed in the cavity;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qui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liquid; And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the second liquid,
The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has a positive diopter,
The first plate is a variable lens having a negative diopter.
제 1 항에 있어서,
초점이 맺히는 안구가 배치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계면은 물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late on which the eyeball to be focused is disposed includes a curved surface,
A variable lens having a shape in which the interface is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계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plate is equal to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물측으로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을 갖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late is a variable lens having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water sid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0 또는 양의 디옵터를 가지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second plate is a variable lens having 0 or positive diop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은 원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has a circular shape,
The insulating layer is a variable len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동심을 갖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variable lenses having concentr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상 4 이하가 되도록 상기 계면이 조절되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 variable lens in which the interface is adjusted so that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is 0 or more and 4 or less.
제 8 항에 있어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고,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계면의 디옵터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디옵터의 합은 0 보다 큰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8,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is 0,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interface and the diopters of the first plate is greater than zer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렌즈는,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 렌즈이고,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노안용 렌즈인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lens,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driving voltage is applied, it is a lens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A variable lens that is a lens for presbyopi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서로 이격되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variable lens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variable lenses formed in an ov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는 전도성 액체이고, 상기 제2 액체는 비전도성 액체인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quid is a conductive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is a non-conductive liqu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코어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 variable lens in which the second plate and the core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초점이 가변되는 가변 렌즈; 및
상기 가변 렌즈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으로 사용되고 구동 전압 인가 시에는 노안용으로 사용되는 렌즈 모듈.
A variable lens whose focus is variable; And
And a driving unit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 is used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when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is used for presbyopi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렌즈는 제1 렌즈 파트, 제2 렌즈 파트, 및 제1 렌즈 파트와 제2 렌즈 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제3 렌즈 파트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15,
The variable lens includes a first lens part, a second lens part, and a third lens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and having a variable focus.
제1 렌즈 파트;
제2 렌즈 파트;
상기 제1 렌즈 파트와 상기 제2 렌즈 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제3 렌즈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음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3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양의 디옵터를 갖고,
상기 제2 렌즈 파트와 상기 제3 렌즈 파트의 디옵터 합을 이용하여 노안 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변 렌즈.
A first lens part;
A second lens part;
A third lens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and having a variable focus,
The diopter of the second lens part has a negative diopter,
The diopter of the third lens part has a positive diopter,
A variable lens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presbyopia lens by using a diopter sum of the second lens part and the third lens par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 파트와 상기 제2 렌즈 파트의 디옵터의 합은 0 이상 4 이하이고,
상기 제1 렌즈 파트의 디옵터는 0 또는 양의 디옵터를 갖는 가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7,
The sum of the diopters of the third lens part and the second lens part is 0 or more and 4 or less,
A variable lens having a diopter of 0 or a positive diopter of the first lens part.
안경테;
상기 안경테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안경테에 배치되고 초점이 가변되는 가변 렌즈; 및
상기 안경테 또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 렌즈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렌즈는,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난시 또는 근시용으로 사용되고, 구동 전압 인가 시에는 노안용으로 사용되는 안경.
Eyeglass frames;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spectacle frame;
A variable lens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having a variable focus; And
It is disposed on the eyeglass frame or the suppor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lens,
The variable lenses are used for astigmatism or nearsightedness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for presbyopia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렌즈를 일반 모드 또는 노안 모드로 제어 하고,
상기 노안 모드는 복수의 레벨로 제어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ariable lens in a normal mode or a presbyopia mode,
The presbyopia mode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level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 횟수 또는 길이에 따라 상기 노안 모드의 상기 레벨이 변경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20,
The glasses include an input device, and the level of the presbyopia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length of signals input to the input device.
KR1020190056473A 2019-05-14 2019-05-14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KR202001316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73A KR20200131633A (en) 2019-05-14 2019-05-14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473A KR20200131633A (en) 2019-05-14 2019-05-14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33A true KR20200131633A (en) 2020-11-24

Family

ID=7367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473A KR20200131633A (en) 2019-05-14 2019-05-14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63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420A1 (en) * 2022-02-11 2023-08-17 Pixieray Oy Actively adaptive optical apparatuses for reducing myopia develo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420A1 (en) * 2022-02-11 2023-08-17 Pixieray Oy Actively adaptive optical apparatuses for reducing myopia develo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2067B2 (en) Electronic transparency regulation element to enhance viewing through lens system
TWI494637B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US20160070117A1 (en) Electro-active ophthalmic lenses comprising low viscosity liquid crystalline mixtures
US20120300171A1 (en) Programmable Ophthalmic Lenses
WO2008078320A2 (en) Electronic transparency regulation element to enhance viewing through lens system
CN103472596B (en) Liquid crystal contact lens
US8641191B2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US20220236589A1 (en) Active lens adapted for correcting an abnormal refraction of an eye of a wearer
EP2577387A1 (en) Reduction of image jump
KR20200131633A (en)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7456A (en) Glasses
KR20210082671A (en) Eyeglasses for providing variable focus
KR20200117769A (en) Glasses
KR20200117234A (en) Glasses
CN115728965A (en) Lens, glasses and diopter adjusting method
US11885972B1 (en) Optical element having peripheral foveating region
KR20200117455A (en) Fresnel lens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7235A (en) Glasses
US11927837B2 (en) Actively adaptive optical elements and apparatuses
CN203444181U (en) Liquid crystal contact lens
TW201416757A (en) Optical system for rotating liquid crystal to adjust lens focal length
CN210323643U (en) Glasses for preventing myopia from deterioration and reducing myopia degree
CN115079484A (en) Lens module and glasses
CN113031278A (en) Intelligent display device
CN110262080A (en) Delay the glasses and application method of presbyopic process and anti-fatigue for person in middle and old 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