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235A - Glasses - Google Patents

Glas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235A
KR20200117235A KR1020190039066A KR20190039066A KR20200117235A KR 20200117235 A KR20200117235 A KR 20200117235A KR 1020190039066 A KR1020190039066 A KR 1020190039066A KR 20190039066 A KR20190039066 A KR 20190039066A KR 20200117235 A KR20200117235 A KR 20200117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disposed
electrodes
conductiv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준필
엄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235A/en
Publication of KR2020011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5Fluid-filled lenses, e.g. electro-wett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rovided are glasses in which a focus of lenses can be adjusted. The glass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n electrode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liquid layer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liquid and a non-conductive liquid; a sensor layer disposed on the liquid lay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voltage to be or not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layer.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s a contact electrode making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iquid.

Description

안경{Glasses}Glasses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인간의 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근시, 원시 또는 노안 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근육의 노화가 진행되거나, 시력의 사용이 누적됨에 따라 시력이 저하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저하되는 시력을 보조하기 위해 안경이 사용되고 있다.The human eye has myopia, farsightedness, or presbyopia due to various factors. For example, as muscle aging progresses or as the use of vision is accumulated, vision is deteriorating. To this end, glasses are used to assist with decreased vision.

일반적으로 먼 곳에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 오목 렌즈를 구비한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고,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 볼록 렌즈를 구비한 원시용 안경이 사용된다.In general, when an object in a distant place is difficult to see, glasses for nearsightedness with a concave lens are used, and when an object in a distance is difficult to see, glasses for farsightedness with a convex lens are used.

근시용 안경 또는 원시용 안경은 단 초점 렌즈로서, 멀거나 가까운 거리를 보기 위해 도수를 넣은 단초점 오목 렌즈 또는 단초점 볼록 렌즈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초점 렌즈는 렌즈의 초점이 하나로 고정되어 있어 먼 거리 또는 가까운 거리의 사물을 보거나 작업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다.Glasses for nearsightedness or glasses for farsightedness are short focal lenses, and a short focal concave lens or a short focal convex lens is used to see a far or close distance. Such a single focal lens can be used only when viewing or working with objects at a distance or near because the lens has a fixed focus.

한편, 근시용 안경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시력의 사용이 누적되어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곳을 보기 위해 별도로 원시용 안경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근시용 안경과 원시용 안경을 사용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user who uses glasses for nearsightedness has presbyopia due to accumulated use of eyesigh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use glasses for farsightedness to see nearby place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bear the inconvenience of using glasses for nearsightedness and glasses for farsightednes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초점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glasses with multifocal lens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glasses capable of adjusting the focus of a len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안경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복수의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층; 상기 액체층 상에 배치되는 센서층; 및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은 상기 전도성 액체와 접촉하는 접촉 전극을 포함한다.Glass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lectrode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liquid layer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liquid and a non-conductive liquid; A sensor layer disposed on the liquid lay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apply a voltage or not to apply a volta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layer,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s a contact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iquid. Include.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도성 액체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비전도성 액체는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conductive liquid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the non-conductive liquid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전극들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온(ON) 시키고, 상기 비전도성 액체는 상기 전도성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turns on voltag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regions other than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is a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by the pressure of the conductive liquid. You can move to.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전극들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온 시키고,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된 비전도성 액체는 디옵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sequentially turn on the electrodes of a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from inside to outside,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moved to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may form diopters.

또한, 상기 센서층은 상기 복수의 전극과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each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또한, 상기 센서층 상에 배치되는 코팅층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sensor layer.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비전도성 액체보다 상기 전도성 액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may have a stronger pulling force of the conductive liquid than the non-conductive liquid.

또한, 상기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이고, 상기 절연층은 투명 절연층이고, 상기 액체층은 투명 액체층이고, 상기 센서층은 투명 센서층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ayer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he insulating layer may be a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the liquid layer may be a transparent liquid layer, and the sensor layer may be a transparent sensor layer.

또한, 상기 전극층과, 상기 절연층과, 상기 액체층과, 상기 센서층을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를 둘러싸는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ens unit including the electrode layer, the insulating layer, the liquid layer, and the sensor layer may be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a support unit surrounding the lens unit.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glasses capable of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층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층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부의 동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qui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operation diagrams of a lens unit of glass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or substituted wi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directly'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case,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omponent is'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under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top)” or “bottom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The'optical axis direction' used below is defined as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coupled to the lens driving device. Meanwhile, the'optical axis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up-down direction', a'z-axis direction',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층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층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부의 동작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qui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operation diagrams of a lens unit of glass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렌즈부(10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1 to 8, th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ens unit 10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bu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 configurations. It may be, and it does not exclude additional configurations.

렌즈부(100)는 안경(10)의 안경테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부(100)는 안경(10)의 안경테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안경테 없이 렌즈부(100)가 직접 안경 다리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렌즈부(100)는 글래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of the spectacles 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 10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spectacle frame of the spectacles 10, but the lens unit 1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ctacle leg without the spectacle frame. The lens unit 100 may be formed of glass or plastic.

렌즈부(100)는 전극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10)은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10)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플라즈마 마진공 증착 등의 방법으로 렌즈부(100)에 증착될 수 있다. 전극층(110)은 투명 재질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10)은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10)의 투과도는 0.97 이상일 수 있다. 전극층(11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펄스 폭 제어(PWM;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전극층(110)의 구동 전압은 70V 이하일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n electrode layer 110.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formed as a thin film.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deposited on the lens unit 100 by a method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plasma margin deposition.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0.97 or higher.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he driving voltage of the electrode layer 110 may be 70V or less.

전극층(110)은 복수의 개별 전극(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별 전극(111)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에서는 복수의 개별 전극(111)이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개별 전극(111)은 복수의 개별 전극(111) 각각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개별 전극(111)의 일부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별 전극(111)은 제어부의 ON 신호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개별 전극(111)은 제어부의 OFF 신호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의 제공이 차단될 수 있다. 복수의 개별 전극(11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개별 전극(111)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개별 전극(111) 각각은 제어부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를 제공 받는 개별 전극(1114)들과, 전류를 제공 받지 않는 개별 전극(1112)들로 구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laye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In the spectacl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are arranged in a grid shape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have the same size as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Unlike this, som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have the same size, and other parts may have different sizes. The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receive voltage or current according to the ON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be blocked from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according to the OFF signal of the controll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receive voltages or currents having the same magnitude as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receive different voltages or currents.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individual electrodes 1114 that receive current and individual electrodes 1112 that do not receive current.

복수의 개별 전극(111) 중 일부 전극은 전도성 액체인 제1 액체(132)와 접촉할 수 있다. 전도성 액체인 제1 액체(132)와 접촉하는 복수의 개별 전극(111) 중 일부 전극은 '접촉 전극'일 수 있고, 액체층(110)과 접촉하지 않는 복수의 개별 전극(111) 중 일부 전극은 '비접촉 전극'일 수 있다. 접촉 전극은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별 전극 영역(112)이 접촉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별 전극은 전극을 의미하고, 개별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may contact the first liquid 132 which is a conductive liquid. Som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in contact with the first liquid 132, which is a conductive liquid, may be a'contact electrode',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layer 110 May be a'non-contact electrode'. The contact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For example, the first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2 may be a contact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electrode may mean an electrode, and an individual touch sensor may mean a touch sensor.

렌즈부(100)는 절연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전극층(110)의 일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전극층(110)과 액체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얇은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전극층(110)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연층은 액체층(130)이 전극층(11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층(12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20)의 투과도는 0.97 이상일 수 있다. 절연층(120)은 산화 알류미늄(aluminium oxide) 또는 파릴렌(par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20)의 액체 파괴 전압은 100V 이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층(110)에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절연층(12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120.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outside the electrode layer 110.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iquid layer 130.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as a thin film.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by being stack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110. Through this, the insulating layer may serve to prevent the liquid layer 130 from being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transmittanc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0.97 or higher.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of aluminum oxide or parylene. The liquid breakdown voltag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100V or more. Through this, eve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destruc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20 can be prevented.

도 5와 도 8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와 달리, 전극층(110) 중 접촉 전극이 배치되는 영역과 제1 액체(132)가 배치되는 영역 사이에는 절연층(12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도성 액체인 제1 액체(132)가 직접 접촉 전극과 접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5 and 8 are exemplary, and unlike this,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not be disposed between the region of the electrode layer 110 where the contact electrode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first liquid 132 is disposed. Through this, the first liquid 132, which is a conductive liquid, may directly contact the contact electrode.

렌즈부(100)는 액체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층(130)는 절연층(120)의 일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층(130)은 절연층(120)과 센서층(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층(130)은 투명한 액체들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liquid layer 130. The liquid layer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120. The liquid lay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the sensor layer 140. The liquid layer 130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liquids.

액체층(130)은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132)는 전도성 액체일 수 있고, 제2 액체(134)는 비전도성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체(132)는 물(water)일 수 있고, 제2 액체(134)는 오일(oil)일 수 있다. 전극층(11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일 때, 제1 액체(132)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액체(134)는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접촉 전극(112)은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제1 액체(132)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위 또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층(110)에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일 때, 제1 액체(132)는 제2 액체(134) 보다 위 또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부(100)의 테두리의 상부 영역은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거나, 안경테의 내측면의 상부 영역은 친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의 굴절률 차이는 0.1 이상일 수 있다.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는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액체일 수 있다.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는 투명한 액체일 수 있다. 제1 액체(132)와 제2 액체(134)의 투과율은 0.98 이상일 수 있다. The liquid layer 130 may include a first liquid 132 and a second liquid 134. The first liquid 132 may be a conductive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a non-conductive liquid. For example, the first liquid 132 may be water,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oil.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voltage or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the first liquid 13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In this case, the contact electrode 11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to contact the first liquid 132. The first region may be disposed above or above the second region.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voltage or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the first liquid 132 may be disposed above or above the second liquid 134. To this end, the upper region of the rim of the lens unit 100 may be coated with a hydrophilic material, or the upper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yeglass frame may be coated with a hydrophilic material.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liquid 132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0.1 or more. The first liquid 132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The first liquid 132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liquid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first liquid 132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transparent liquids.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liquid 132 and the second liquid 134 may be 0.98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 또는 상측이라 함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위 또는 상측 방향을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up” or “upward” refers to an upward or upward direction when the user wears glasses.

렌즈부(100)는 센서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층(140)은 액체층(130)의 일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층(140)은 액체층(130)과 코팅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층(140)와 액체층(130) 사이에는 별도의 절연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층(140)은 사용자의 터치(touch)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센서층(140)은 복수의 개별 전극(111) 각각과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개별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층(1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층(140)의 투과율은 0.97 이상일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sensor layer 140. The sensor layer 1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outside the liquid layer 130. The sensor layer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quid layer 130 and the coating layer 150. Alternatively, a separate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nsor layer 140 and the liquid layer 130. The sensor layer 140 may be a touch sensor that receives a user's touch input. The sensor lay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 touch sensors each match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The sensor layer 14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transmittance of the sensor layer 140 may be 0.97 or more.

렌즈부(100)는 코팅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50)은 센서층(140)의 일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팅층(150)은 사용자의 지문이 렌즈부(10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층(150)은 센서층(1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lens unit 100 may include a coating layer 150. The coating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outside the sensor layer 140. The coating layer 150 may prevent a user's fingerprint from being buried on the lens unit 100. The coating layer 150 may protect the sensor layer 140 from the outside.

안경(10)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안경 다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안경테에 배치되는 전원 또는 전류 전달 부재를 통해 렌즈부(100)의 전극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복수의 개별 전극(111) 각각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개별 전극(111)에 전압을 가해 온(ON) 시키거나, 가해지고 있던 전압을 제거하여 오프(OFF) 시킬 수 있다. The glasses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a support unit supporting the lens unit 110 or a portion of the spectacle leg.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110 of the lens unit 100 through a power supply or a current transmission member disposed on the eyeglass frame. The controller may turn on-off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111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voltage to the individual electrodes 111 to turn it on or remove the applied voltage to turn it off.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별 전극이 오프(OFF)된 초기 상태의 경우 제1 액체(132)는 제2 액체(134)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ctrodes are turned off, the first liquid 132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liquid 134.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의 렌즈부(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lens unit 100 of the spectacle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센서층(140)은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입력된 영역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개별 전극들(112, 113, 114, 115)을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온(ON)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별 전극 영역(112)을 먼저 온 시키고, 제2 개별 전극 영역(113)을 그 다음 온 시키고, 제3 개별 전극 영역(114)을 그 다음 온 시키고, 제4 개별 전극 영역(115)을 그 다음 온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액체(132)는 개별 전극(111)들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액체(132)의 아래 배치된 제2 액체(134)는 제1 액체(134)의 압력에 의해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 또는 감지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경우,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개별 전극들(112, 113, 114, 115)을 4단계에 걸쳐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온 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위에서부터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온 시키는 단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액체(134)가 제1 액체(132) 사이에 갇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제2 액체(134)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nsor layer 140 detects an area input by a user's hand, etc., and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moves the individual electrodes 112, 113, 114, 115 in the area excluding the area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from top to bottom. It can be turned ON. Specifically, the first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2 is turned on first, the second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3 is then turned on, the third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4 is then turned on, and the fourth individual electrode region ( 115) can then be turned on. In this case, the first liquid 132 is moved downward by the individual electrodes 111, and the second liquid 134 disposed under the first liquid 132 is subjected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liquid 134. Accordingly, the sensor layer 140 may move to an input or sensed are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urn on the individual electrodes 112, 113, 114, and 115 in the region excluding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from top to bottom over four steps. Although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eps of sequentially turning 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may be variously changed. Through th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econd liquid 134 is trapped between the first liquids 132 can be prevented, and the second liquid 134 can be moved to a region desired by the user.

이 후,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개별 전극들(116, 117, 118)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5 개별 전극 영역(116)을 먼저 온 시키고, 이 후 제6 개별 전극 영역(117)을 온 시키고, 이 후 제7 개별 전극 영역(118)을 온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된 제2 액체(134)는 디옵터(Diopter)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개별 전극들(116, 117, 118)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적어도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온 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개별 전극들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온 시키는 단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controller may sequentially turn on the individual electrodes 116, 117, and 118 of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first turn on the fifth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6, then turn on the sixth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7, and then turn on the seventh individual electrode region 118. In this case, the second liquid 134 moved from the sensor layer 140 to the input region may form a diop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scribes a case in which the individual electrodes 116, 117, 118 of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are sequentially turned on in at least three step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tep of turning on the individual electrodes of the region inputted from the sensor layer 14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와 달리, 제어부는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개별 전극들(116, 117, 118)에 전압을 공급하고, 이 후, 공급되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압의 증가로 인해 센서층(140)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된 제2 액체(134)는 디옵터(Diopter)를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supply a voltage to the individual electrodes 116, 117, and 118 of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140 and then increase the supplied voltage. In this case, the second liquid 134 moved from the sensor layer 140 to the input region due to an increase in voltage may form a diopt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만 굴절률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can be formed only in a region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안경 100: 렌즈부
110: 전극층 120: 절연층
130: 액체층 140: 센서층
150: 코팅층
10: glasses 100: lens unit
110: electrode layer 120: insulating layer
130: liquid layer 140: sensor layer
150: coating layer

Claims (9)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복수의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층;
상기 액체층 상에 배치되는 센서층; 및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은 상기 전도성 액체와 접촉하는 접촉 전극을 포함하는 안경.
An electrode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liquid layer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liquid and a non-conductive liquid;
A sensor layer disposed on the liquid laye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apply a voltage or not to apply a volta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layer,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comprises a contact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iqu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도성 액체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비전도성 액체는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conductive liquid is disposed in a first area and the non-conductive liquid is disposed in a second area,
The contact electrode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전극들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온(ON) 시키고,
상기 비전도성 액체는 상기 전도성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turns on voltag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The non-conductive liquid moves to an input area from the sensor layer by the pressure of the conductive liqui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의 전극들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온 시키고,
상기 센서층으로부터 입력된 영역으로 이동된 비전도성 액체는 디옵터를 형성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turns on the electrodes of the region input from the sensor layer from inside to outside,
The non-conductive liquid moved from the sensor layer to the input area forms diop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층은 상기 복수의 전극과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each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층 상에 배치되는 코팅층를 포함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Glasses including a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senso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비전도성 액체보다 상기 전도성 액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강한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layer has a stronger force to attract the conductive liquid than the non-conductive liqu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이고,
상기 절연층은 투명 절연층이고,
상기 액체층은 투명 액체층이고,
상기 센서층은 투명 센서층인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layer is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The insulating layer is a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The liquid layer is a transparent liquid layer,
The sensor layer is a transparent sensor layer gl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과, 상기 절연층과, 상기 액체층과, 상기 센서층을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부를 둘러싸는 지지부에 배치되는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And a lens portion including the electrode layer, the insulating layer, the liquid layer, and the sensor layer,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surrounding the lens unit.
KR1020190039066A 2019-04-03 2019-04-03 Glasses KR202001172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66A KR20200117235A (en) 2019-04-03 2019-04-03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66A KR20200117235A (en) 2019-04-03 2019-04-03 Glas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35A true KR20200117235A (en) 2020-10-14

Family

ID=7284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66A KR20200117235A (en) 2019-04-03 2019-04-03 Glas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2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7808B2 (en) Multi-state electroactive ophthalmic device
TWI494637B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US7604349B2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US20120300171A1 (en) Programmable Ophthalmic Lenses
EP2867723B1 (en) Variable focus electroactive ophthalmic device
US20160070117A1 (en) Electro-active ophthalmic lenses comprising low viscosity liquid crystalline mixtures
CN103365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power ophthalmic lens
JP2015524937A5 (en)
US8641191B2 (en) Static progressive surface region in optical communication with a dynamic optic
KR102074694B1 (en) Auto focusing device
WO2011149975A1 (en) Reduction of image jump
KR20200117235A (en) Glasses
KR20200131633A (en) Variable lens, lens module,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KR20200117456A (en) Glasses
KR20200117769A (en) Glasses
US11402664B2 (en) Glasses
KR20200117455A (en) Fresnel lens and glasses including the same
US11927837B2 (en) Actively adaptive optical elements and apparatuses
US11885972B1 (en) Optical element having peripheral foveating region
EP4345534A1 (en) Modulating impedance to segments of ground plane
WO2023029099A1 (en) Lens, glasses, and diopter adjustment method
CN115079484A (en) Lens module and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