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749A -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749A
KR20200093749A KR1020190010845A KR20190010845A KR20200093749A KR 20200093749 A KR20200093749 A KR 20200093749A KR 1020190010845 A KR1020190010845 A KR 1020190010845A KR 20190010845 A KR20190010845 A KR 20190010845A KR 20200093749 A KR20200093749 A KR 2020009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service
purchase
product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1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749A/en
Publication of KR2020009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7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ler entry system for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on SN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er entry system comprises: a seller management unit which manages a seller image from content pos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and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an order processing unit which provides a payment service to a user when an order is placed for a sale product sold by the seller located on an open market platform, and processes purchase of the ordered sale product; and a reward payment unit which pays a preset reward for the sale product to the seller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whether to purchase or not, and a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Description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using an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본 발명은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NS 상에 영향력 있는 복수의 셀러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관련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ler entr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open market plat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ellers are located, and more specifically, a system for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on the SNS. And the method.

오픈 마켓 플랫폼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자들이 판매하는 상품을 게시하여 생성된 온라인 마켓시장이다. 인터넷 쇼핑몰 창업자의 대부분은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판매 활동을 시작으로 독립적인 인터넷 쇼핑몰 또는 소셜커머스 등의 온라인 마켓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보편화된 사실이다.The open market platform is an online market market created by posting products sold by sellers online. It is a fact that most of the founders of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entered into online market markets such as independent internet shopping malls or social commerce, starting with sales activities using open market platforms.

다만, 기존의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는 구매자가 쇼핑몰을 검색하고, 검색한 쇼핑몰에서 원하는 상품을 검색 및 구매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찾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open market service provided by the existing open market platform is based on the process of a buyer searching for a shopping mall and perform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nd purchasing a desired product in the searched shopping mall.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repeating it until it was found.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플루언서(Influencer)를 통한 오픈 마켓 플랫폼이 활발히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 open market platform through an influencer has been actively provided.

인플루언서는 영향력 있는 개인으로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는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꾸밈없는 그대로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서 인플루언서는 팔로워(follower)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이 있으며, 판매자 측면에서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influencer is an influential individual, and the influencer's conten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consumer, reliable, and unaffected content. Influencers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ve a strong influence on followers and hav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sellers.

다만, 인플루언서는 1인 마켓의 형태이므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는 주문 상품건 사입에 관한 번거로움과, 새로운 고객 유치 및 과도한 시간 투자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인플루언서를 통한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판매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는 한정적인 상품 라인업에서 선호하는 상품을 선택해야 하고, 결제방식에 선택권이 없으며, 한정 기간에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However, since the influencer is in the form of a single-person market, the influencer operating an open market platform has problems such as the trouble of purchasing orders and attracting new customers and investing excessive time. In addition, users who purchase products on the open market platform through the influencer must select a preferred product from a limited product lineup, have no option in the payment method, and have the inconvenience of purchasing the product only for a limited period. Did.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0607호(2017.05.11 공개), “SNS를 통한 상품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고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0607 (published on May 11, 2017), “Advertising method using an algorithm to select the product experience target through SNS”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플루언서(이하에서는 ‘셀러(seller)’라 칭함)의 영역과 상품 결제, 배송 및 관리의 영역을 분리시켜 보다 향상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open market service by separating the area of the influenc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ler”) from the area of product payment, delivery and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향력 있는 복수의 셀러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하나의 공간인 오픈 마켓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결제 수단 및 상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shopping environment to the user, and to provide various payment methods and regular sales services, as the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are provided through one open market platform. do.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 및 스타일과 유사한 셀러들을 찾아 상품을 구매하는 셀러 위주의 쇼핑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ler-oriented shopping for purchasing products by finding sellers similar to the user's body shape and sty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러(sellers)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하여 판매 상품에 관련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하는 셀러 관리부,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상기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주문 처리부 및 상기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상기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상기 셀러에게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를 포함한다.In a system for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a product for sale using an open market plat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ellers en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cial network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Service), the seller information managing the seller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posted on the seller and the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the sales products sold by the seller on the open market platform When an order occurs, based on the order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and processes the purchase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the seller information, the purchase status, and the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the sales product And a reward payment unit that pays a predetermined reward for the seller.

상기 셀러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셀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seller management unit exposes the number of contents exposed, the number of updates, the number of followers, the number of empathy, the number of scraps, the comments and the cancellation tag (hash-) poste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tag) may manag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ller information.

상기 셀러 관리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와 구매 후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에 기반하여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상기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The seller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and manage the seller image from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based on a delivery service for the sale product and an answer service for a user's review after purchase.

상기 주문 처리부는 결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 및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절차의 상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하고, 배송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processes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payment service of a payment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 purchase procedure and a payment method for the sales product through the payment server, and processes the sales produc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a delivery server can do.

상기 주문 처리부는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에 따른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판매 상품의 잔여 개수에 따라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may count the number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size and color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process purchases for the sales product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ales products.

상기 주문 처리부는 상기 셀러가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상기 셀러에게 상기 판매 상품의 사입을 요청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unit may request the seller to purchase the sale product when the seller ha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SNS 상에서 활동하는 상기 셀러 정보와 상기 셀러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게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셀러 등급과 상기 사입 여부를 기반으로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워드 비율을 상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셀러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The reward payment unit determines the seller rat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and the seller image active on the SNS, and determines a reward ratio based on the seller rating and whether or not the purchase is made, and the determined A reward rate may be paid to the seller by applying a reward rate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s product.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셀러 등급이 높고,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상기 셀러가 소유하며, 상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가 높은 경우에 상기 셀러에게 최대 60%까지의 높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The reward payment unit pays a high reward of up to 60% to the seller when the seller grade is high, the seller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and the sales result of the sale product is high. can do.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경우,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상기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다.When processing the purchase for the sales product, the reward payment unit may settle and pay the difference in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after prepayment for the purch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은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상기 셀러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및 접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ctivity and access of the seller and the user in the open market platfor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업데이트되는 신상품에 관련된 콘텐츠 및 할인 이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update content and discount events related to new products upda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검품, 포장, 배송의 배송 서비스, 교환/환불 처리의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셀러 관리부 및 상기 리워드 지급부를 통해 상기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erforms inspection, packaging, and delivery services for exchange, refund/refund processing,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management service, and performs the seller image and the seller image through the seller management unit and the reward payment unit. You can control to determine your seller ra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은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하는 셀러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ller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 new seller who wants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상기 셀러 등록부는 상기 새로운 셀러에 의해 운용되는 SNS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셀러 정보와 상기 새로운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ller registr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the number of updates, the number of followers, the number of sympathies, the number of scraps, comments, and hash-tags posted on the SNS operated by the new sell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based on seller information and sales information on sales products sold by the new se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러(sellers)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하는 단계,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상기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상기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상기 셀러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pos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and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rresponding seller , And managing the seller image from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when an order occurs for the selling product sold by the seller in the open market platform, providing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the ordered selling product And processing a purchase for the seller, and paying the seller with a predetermined reward for the product to be sold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whether to purchase, and a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gistering a new seller who wants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러의 영역과 상품 결제, 배송 및 관리의 영역을 분리시켜 보다 향상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open market service by separating a seller's area from a product payment, delivery and management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향력 있는 복수의 셀러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하나의 공간인 오픈 마켓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결제 수단 및 상시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are provided through an open market platform that is a single space, a more convenient shopping environment is provided to users, and various payment methods and regular sales services are provided.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배송 서비스 및 답변 서비스를 분리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문의에 빠르고 정확한 고객 응대가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yment service, a delivery service, and an answer service are provided separately, quick and accurate customer response to a user's inquiry may b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러는 1인 마켓을 운영하면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며, 상품을 사입하는 이동 경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본인 체형 및 스타일과 유사한 셀러들을 찾아 상품을 구매하는 셀러 위주의 쇼핑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er generates additional revenue while operating a single-person market, and can reduce travel expenses and costs for purchasing products. In addition, the user can search for sellers who purchase products by finding sellers similar to their body shape and sty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와 셀러 입점 시스템 간의 작용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 셀러 및 사용자 간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a seller and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flowcharts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between a seller entry system, a seller,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denote the same membe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inology)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viewers, operators' intentions,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SNS 상에 영향력 있는 복수의 셀러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관련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a sale product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on an S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복수의 셀러(sellers)들에 대한 SNS 정보를 기반으로, 셀러 각각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등록하며, 등록된 판매 상품의 구매에 따른 수수료를 셀러에게 지급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N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ellers (sellers) enter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registers the sales products sold by each seller, and commissions the seller for the purchase of the registered sales products Can be paid.

기존의 1인 마켓을 운영하는 셀러는 수많은 업무를 직접 담당해 처리해야 하며, 주문량이 늘어나기 전까지는 하루 2~3벌의 주문건을 위해 사입을 직접 해야하는 실정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다.Sellers operating an existing single-person market have to deal with numerous tasks themselves, and they are struggling with the fact that they need to purchase for 2~3 orders a day until the order volume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에 관련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셀러의 영역과 상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배송, 교환/환불 및 매출 정산/지급에 관련된 처리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1인 기업인 셀러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하며, 셀러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 the processing area related to payment, delivery, exchange/refund and sales settlement/payment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the product and the area of the seller that produces and uploads the content related to the product. In order to minimize the work load of sellers, which are single-person companies, we intend to provide more convenient open market services to users who purchase products sold by sellers.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1 is a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SNS 상에 영향력 있는 복수의 셀러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관련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며, 판매 상품에 대해 셀러에게 리워드를 지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influential sellers on an SNS, and rewards sellers for sales products giv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셀러 관리부(110), 주문 처리부(120) 및 리워드 지급부(1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ler management unit 110, an order processing unit 120, and a reward payment unit 130.

셀러 관리부(110)는 복수의 셀러(10)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 10)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한다.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includes content posted on a personal homepag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10,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seller 10), and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To manage the seller image.

셀러 관리부(110)는 복수의 셀러(10)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comment) 및 해시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셀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displays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updates, followers, sympathies, scraps, and comments pos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10 At least one or more seller information among a (comment) and a hash tag may be managed.

예를 들면, 셀러 관리부(110)는 셀러(10)가 업데이트하는 콘텐츠에 대한 코멘트(또는 댓글), 공감 수(또는 좋아요) 및 스크랩 수(또는 공유)를 관리하여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주기, 업데이트 수 및 팔로워 수를 관리하여 셀러(10)의 활동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can grasp the preferences for the content by managing the comments (or comments), the number of sympathies (or likes), and the number of scraps (or sharing) for the content updated by the seller 10, ,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eller 10 by managing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the update cycle, the number of update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또한, 셀러 관리부(110)는 판매 상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와 구매 후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에 기반하여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아주 나쁨’, ‘나쁨’, ‘보통’, ‘좋음’, ‘아주 좋음’의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is based on the delivery service for the sale product and the response service for the user's review after purchase from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very bad','bad','normal','good', You can decide and manage the “very good” seller image.

셀러(10)가 게시한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20)가 판매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판매 상품을 사용자(20)에게 배송하고, 배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송 서비스 및 상품을 수령한 이후에 사용자(20)의 피드백 및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배송 서비스 및 답변 서비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로부터 셀러(10)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파악하여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셀러 이미지는 셀러(10)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user 20 purchases a sale product through the content posted by the seller 10, the seller ent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livers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20 and delivers the product After receiving the delivery service and goods generated from the user, we provide the response service for feedback and reviews of the user 20, and grasp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10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elivery service and the response service. Seller images can be determined and managed. The seller image may indicate a preference for the seller 10.

보다 구체적으로, 셀러 관리부(110)는 사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매겨지는 평점으로 인해 복수의 셀러(10)에 대한 셀러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상품 퀄리티, 친절도, 배송속도의 세가지 부분에서 셀러(10)를 평가하며, 다른 사용자들을 위해 짧은 평가 및 리뷰를 남길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들의 평가 및 평점에 기반하여 셀러 관리부(110)는 셀러에 대한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may determine a seller image for a plurality of sellers 10 due to ratings based on user experiences. For example, users rate seller 10 in three parts: product quality, friendliness, and delivery speed, and may leave short ratings and reviews for other users.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may determine and manage the seller image for the seller based on the user's evaluation and rating as described above.

주문 처리부(120)는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20)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문된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한다.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provides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20 when an order for a sale product sold by the seller 10 enter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is provided, and processes purchase of the ordered sale product.

보다 상세하게,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사용자(20)가 주문하는 경우, 주문 처리부(120)는 결제 서버(170)를 통해 사용자(20)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 서버(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자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제어부(140)를 통해 사용자(20)에게 외부에 위치하는 결제 서버(170)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170)는 사용자(20)가 선호하는 결제 수단 즉, 카드, 현금, 계좌이체, 카카오페이 및 페이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20 orders a sale product sold by the seller 10 entered into the open market platform,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provides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20 through the payment server 170. Can provide. The payment server 170 is included i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itself, but the payment server 170 located outside the user 20 through the control unit 140 You can also provide payment services through. The payment server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ayment service through any one of payment methods preferred by the user 20, that is, card, cash, bank transfer, Kakao Pay, and PayPal.

결제가 완료된 경우, 주문 처리부(120)는 배송 서버(180)를 통해 사용자(20)에게 판매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판매 상품의 배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에 포함된 배송 서버(180)를 통해 자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외부의 배송 서버(180)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When payment is completed,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may process the sale produc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20 through the delivery server 18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elivery of the merchandise may be self-implemented through the delivery server 180 included i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mplemented by an external delivery server 180 It may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의 주문 처리부(120)는 주문된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에 따른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잔여 개수에 따라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할 수 있다.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of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size and color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purchases the sales product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ales products. Can handle it.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이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주문 처리부(120)는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주문 처리부(120)는 결제 서버(170) 또는 판매 상품을 사입하는 구매처를 통해 판매 상품의 개수만큼 결제할 수 있으며,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10)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하거나, 매달 청구일에 맞춰 셀러(10)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ller ent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for each size and color of the sale product, and sells It is possible to handle the purchase of the sold product by grasping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 to the goods shipped. At this time,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may pay as many as the number of items sold through the payment server 170 or the place of purchase where the items are sold, and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the difference in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10 The amount may be settled and paid, or the seller 10 may be charged a fee according to the monthly billing date.

다른 예로, 셀러(10)가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주문 처리부(120)는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셀러(10)에게 판매 상품의 사입을 요청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ller 10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the order processing unit 120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for each size and color of the sale product, and to the delivery of the sale product By grasping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seller 10 to purchase a sale product.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복수의 셀러(10)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의 사입을 대신 처리함으로써, 판매 상품의 개수에 상관없이 사입이 가능하며, 셀러(10)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purchases of sales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sellers 10, thereby allowing purchas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sales products, and the seller 10 Can minimize the work load.

리워드 지급부(130)는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셀러에게 지급한다. The reward payment unit 130 pays a seller with a preset reward for the product to be sold based on seller information, purchase availability, and a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리워드 지급부(130)는 인스타그램, 블로그, 페이스북 및 트위터 중 어느 하나의 SNS 상에서 활동하는 셀러(10)의 셀러 정보와 셀러 이미지에 기반하여 복수의 셀러(10)들 각각에게 셀러 등급을 결정하며, 셀러 등급과 사입 여부를 기반으로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리워드 비율을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셀러(10)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이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 권한을 소유하여 사입을 처리하는 경우, 리워드 지급부(130)는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다.The reward payment unit 130 assigns a seller rat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10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and the seller image of the seller 10 operating on any one SNS of Instagram, blog, Facebook, and Twitter. Decide, determine the reward ratio based on the seller rating and whether to buy, and apply the determined reward ratio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s product can be paid to the seller (10). Here, whe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les the purchase by owning the purchase authority for the sale product, the reward payment unit 130 is in the reward paid to the seller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The difference can be settled and paid.

일 예로, 리워드 지급부(130)는 셀러 등급이 높고,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셀러가 소유하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가 높은 경우에 셀러(10)에게 최대 60%까지의 높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러(10)에게 지급되는 리워드 비율은 2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SNS 상의 개인 홈페이지에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빈도 수가 높고, 팔로워 수가 많은 활발한 활동을 하는 셀러(10)의 경우에는 셀러 이미지가 ‘좋음’일 수 있으며, 리워드 지급부(130)는 셀러(10)에 대해 1 내지 5의 등급 중 2등급의 셀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리워드 지급부(130)는 2등급인 경우, 50%의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50%의 리워드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리워드를 셀러(10)에게 지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ward payment unit 130 has a high seller rating, the seller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of the sale product, and when the sales result of the sale product is high, up to 60% to the seller 10 High rewards can be paid. For example, the reward rate paid to the seller 10 i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20% to 60%, the frequency of updating content on the personal homepage on the SNS is high, and the number of followers 10 of the active seller 10 is active In this case, the seller image may be “good”, and the reward payment unit 130 may determine the seller grade of the second grade among the grades of 1 to 5 for the seller 10. Accordingly, the reward payment unit 130 determines the reward ratio of 50% in the case of the second grade, and the reward calculated by applying the 50% reward ratio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s product sold by the seller 10 ( 10).

다른 예로,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셀러(10)의 상위 노출 또는 노출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 리워드 지급부(130)는 셀러(10)의 리워드 비율을 미리 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셀러(10)의 개인 이미지, 개인 SNS 정보, 개인 홈페이지 링크 및 판매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상위에 노출시키거나, 노출 영역 또는 노출 비율을 확대하는 경우, 리워드 지급부(130)는 결정된 리워드 비율에서 2% 내지 10%의 비율만큼 감소시키며, 이를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산출되는 리워드를 셀러(10)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셀러에게 주어지는 특권인 상위 노출 또는 노출 영역 확대에 따른 수익비 조절에 해당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pper exposure or exposure area of the seller 10 is expand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the reward payment unit 130 may reduce the reward ratio of the seller 10 by a preset ratio. For example, if the personal image of the seller 10 provid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personal SNS information, personal homepage link, and content about the product for sale are exposed to the top, or the exposure area or exposure ratio is expanded, rewards are paid. The unit 130 may decrease the determined reward ratio by a ratio of 2% to 10%, and apply it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s product to pay the reward calculated to the seller 10. This may correspond to the adjustment of the profit ratio according to the upper exposure or expansion of the exposure area, which is a privilege given to a specific sell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셀러 및 사용자의 활동 및 접근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하는 셀러 등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activities and access of sellers and users in an open market platform and a new seller who wants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It may further include a seller registration unit 150 for registering.

제어부(140)는 복수의 셀러(10)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개인 홈페이지에 업데이트되는 신상품에 관련된 콘텐츠 및 할인 이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각 셀러(10)의 SNS 상에 개인 홈페이지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및 할인 이벤트를 오픈 마켓 플랫폼 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update content and discount events related to new products that are upda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update the content and discount event uploaded to the personal homepage on the SNS of each seller 10 on the open market platform.

제어부(140)는 결제 서버(170)를 통해 판매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배송 서버(180)를 통해 사용자(20)에게 판매 상품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o proceed with the purchase procedure for the sale product through the payment server 170, and may control the sale product to be provided to the user 20 through the delivery server 180.

제어부(140)는 판매 상품에 대한 검품, 포장, 배송의 배송 서비스, 교환/환불 처리의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여 셀러 관리부(110) 및 리워드 지급부(130)를 통해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배송 서비스,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여 셀러(1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산출하여 셀러 관리부(110) 및 리워드 지급부(130)를 통해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inspection, packaging, and delivery services for the products to be sold, response services for exchange/refund processing,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s, and management business services, thereby providing a seller management unit 110 and a reward payment unit 130 It can be controlled to determine the seller image and seller grade through.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seller 10 by performing a delivery service, an answering service, a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a management service service, an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 seller image and a seller The grade may be calculated and controlled to determine a seller image and a seller grade through the seller management unit 110 and the reward payment unit 130.

제어부(140)는 오픈 마켓 플랫폼의 메인 페이지에 게시되는 복수의 셀러(10)들 및 셀러(10) 각각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제공하며, 오픈 마켓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20)에게 셀러(10)의 개인 홈페이지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20)가 선호하는 셀러(10)와 유사한 스타일 및 체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셀러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20)는 자신의 체형 및 스타일과 유사한 셀러(10)들을 찾아 상품을 구매하는 셀러 위주의 쇼핑을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provides a plurality of sellers 10 and the sellers sold by each of the sellers 10 posted on the main page of the open market platform, and the seller 10 to the user 20 using the open market platform )'S personal homepage link.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other sellers who sell products of a style and body shape similar to the seller 10 preferred by the user 20, and the user 20 may include a seller similar to his body shape and style ( 10) You can shop for sellers who find and buy products.

셀러 등록부(150)는 새로운 셀러에 의해 운용되는 SNS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셀러 정보와 새로운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eller registration unit 150 i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impressions, updates, number of followers, number of sympathies, number of scraps, comments, and hash-tag pos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SNS operated by a new sell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based on one or more seller information and sales information on sales products sold by a new seller.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의 셀러 등록부(150)는 오픈 마켓 플랫폼에 초기 입점하는 셀러(10)로부터 이름, 이메일 및 SNS 아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SNS 상에서의 업로드(upload) 콘텐츠 수, 팔로우(follow) 수, 업로드 주기 및 공감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ller registration unit 150 of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t least one of a name, email, and SNS ID from the seller 10 initially entering the open market platform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at least one activity information among the number of uploaded content on the SNS, the number of follow, the number of upload cycles, and the number of sympathies may be received.

이후, 셀러 등록부(150)는 식별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오픈 마켓 플랫폼의 입점 여부를 판단한 후, 기 설정된 권한 기준을 통과하는 경우 셀러(10)에 대한 사용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권한 기준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의류, 가구, 가전, 액세서리 및 신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Subsequently, the seller registration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then register a usage right for the seller 10 when the predetermined authority criteria are passed. At this time, the authority standard is not limited, since it is variously set by at least one item among clothing, furniture, home appliances, accessories, and shoes to which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데이터베이스부(160)는 셀러(10)에 관련된 셀러 정보, 셀러 이미지, 사입 여부 및 셀러 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여 유지하고, 셀러(10)를 팔로워하는 유저(user)인 사용자(20)에 대한 정보, 사용자(20)가 선호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 및 SNS 상의 활동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The database unit 160 stores and maintains at least one or more of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10, a seller image, a purchase status, and a seller rating, and is a user 20 that is a user following the seller 10 A database according to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product preferred by the user 20 is built, and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updated in real time, sal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activity information on the SNS can be stored and maintain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90)을 매개로, 셀러(10) 및 사용자(20)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며 판매 상품에 관련된 정보 제공, 배송 서비스,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포함하는 오픈 마켓 서비스 및 이외의 여러 관련 정보들(예컨대, 오픈 마켓 플랫폼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관련 정보 등)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며, 수신 완료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부(160)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를 통해 오픈 마켓 플랫폼 내의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ries of signal connection relations with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via the interface module 190, and is applied to the selling product. Receive open market service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e.g.,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on the homepage of the open market platform) including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delivery service, answering service,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management business service. , It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ly, and the received data can be stably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unit 16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o provide an open market service in the open market platform.

도 1을 참조하면, 셀러(10) 및 사용자(20)는 단일의 단말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복수의 셀러(10)들 및 복수의 사용자(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러(10) 및 사용자(20)가 오픈 마켓 플랫폼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셀러(10) 및 사용자(20)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판매 상품에 관련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거나, 판매 상품을 업로드 및 입력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따른 판매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셀러(10) 및 사용자(20)의 선택 입력에 따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are illustrated as a single terminal, but since this is for more brie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plural. It may include the sellers 10 and a plurality of users (20). At this time, the mobile device used by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to access the open market platform may be at least one terminal among a smart phone, a desktop PC, a mobile terminal, a PDA, a laptop, and a tablet PC,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may update content related to a sale product through a mobile device, upload and input the sale product, and purchase a sale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mobile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through an application, and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set operation through a screen including a touch-sensing area. It may include a display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can be performed, and may be a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hysical buttons or virtual buttons, so the type and shape are not limited thereto.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 마켓 플랫폼은 인터넷 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20)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인터넷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오픈 마켓 플랫폼에 접근하여 오픈 마켓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open marke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Internet, and the user 20 can access the open market platform with an Internet page or applic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to use the open market ser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복수의 셀러(10)들이 운영하는 개인 홈페이지 상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예를 들어, 의류, 가구, 가전, 액세서리 및 신발에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여 사용자(20)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20)는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복수의 셀러(10)들이 업로드하는 콘텐츠 및 판매 상품을 비교, 검색 및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20) 본인의 체형 및 스타일과 유사한 셀러(10)를 찾아 상품을 구매하는 셀러 위주의 쇼핑을 즐길 수 있으며, 보다 빠르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의 고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셀러(10)는 상품 사입, 검품/포장/배송, 교환/환불처리, 매출정산/지급 등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인 홈페이지를 통한 1인 마켓을 운영하면서 오픈 마켓 플랫폼을 통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uploaded on a personal homepage operated by a plurality of sellers 10, for example, clothing, furniture, home appliances, accessories, and shoes. By entering a single open market platform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20, the user 20 can compare, search and purchase content and sales products uploaded by a plurality of sellers 10 in the open market platform, and the user 20 ) You can enjoy seller-focused shopping to find a seller 10 that is similar to your body type and style to purchase products, and receive customer service for faster and more accurate delivery service, answer service,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management service Can. Similarly, the seller 10 can minimize the business burden of product purchase, inspection/packaging/delivery, exchange/refund processing, sales settlement/payment, etc. It can generate additional revenu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사용자(20)의 니즈(needs)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니즈에 맞는 셀러(10) 및 해당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NS 형태의 오픈 마켓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에 셀러(10)의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해시 태그(hash-tag)를 통해 상품을 검색하기가 용이하고, 해시 태그를 다양한 언어로 번역하여 등록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글로벌화시킬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needs of the user 20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hen sells the seller 10 and the seller 10 corresponding to the needs It is also possible to recommend products for sal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provides an open market platform in the form of an SNS, it is easy to search for a product through a hash tag included in content information of the seller 10, and a hash tag is provided. By translating and registering in various languages, the product can be globaliz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와 셀러 입점 시스템 간의 작용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2 is a view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a seller and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품에 관련된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셀러의 영역과 상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배송, 교환/환불 및 매출 정산/지급에 관련된 처리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1인 기업인 셀러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하며, 셀러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A seller entry system and method using an open market plat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ellers are jo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payment, delivery, exchange/refun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eller who produces and upload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oduct and the purchase of the product And by separating the processing area related to sales settlement/payment, it aims to minimize the work load of a seller, a single company, and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open market service to users who purchase products sold by sellers.

도 2를 참조하면, 셀러(10)는 신상품을 사입하여 피팅 및 촬영하고, 신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개인 홈페이지에 업로드하여 SNS을 통한 홍보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ller 10 may purchase new products, fitting and photographing them, and upload content about the new products to a personal homepage to perform publicity through SNS.

이후에 셀러(10)의 개인 홈페이지에 업로드된 콘텐츠를 보고, 사용자(20)가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판매 상품을 주문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건 상품을 사입하고, 검품/포장/배송하며, 이후의 교환/환불 처리 및 매출 정산/지급의 관리 영역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seeing the content uploaded to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eller 10, and when the user 20 orders a sale product from the open market platform,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ordered product can be purchased, inspected/packed/delivered, and subsequent exchange/refund processing and sales settlement/paymen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발생한 주문건에 한해서만 상기와 같은 관리 영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하여 셀러(10)는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1인 마켓을 운영하면서 부가적인 수익창출을 할 수 있으며, 업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the management area as described above only for orders generat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whereby the seller 10 is one person through the personal homepage. While operating the market, you can create additional profits and minimize the work burde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3 and 4 are flowcharts of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The methods of FIGS. 3 and 4 are performed by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복수의 셀러(sellers)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한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310, content pos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and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To manage the seller image.

단계 310은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comment) 및 해시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셀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Step 310 is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updates, number of followers, number of sympathies, number of scraps, comments, and hash tags pos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At least one or more seller information among (hash-tag) may be managed.

예를 들면, 단계 310은 셀러가 업데이트하는 콘텐츠에 대한 코멘트(또는 댓글), 공감 수(또는 좋아요) 및 스크랩 수(또는 공유)를 관리하여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주기, 업데이트 수 및 팔로워 수를 관리하여 셀러의 활동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step 310 can manage the comments (or comments), the number of sympathies (or likes), and the number of scraps (or shares) for the content updated by the seller to determine the preference for the content,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ntent is published , You can grasp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eller by managing the update cycle, the number of update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또한, 단계 310은 판매 상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와 구매 후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에 기반하여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아주 나쁨’, ‘나쁨’, ‘보통’, ‘좋음’, ‘아주 좋음’의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step 310 is based on the delivery service for the sale product and the response service for the user's review after purchase, from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very bad','bad','normal','good','very good' 'You can determine and manage the seller image.

단계 320에서,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step 320, when an order for a selling product sold by a seller entering the open market platform occurs, a paym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사용자가 주문하는 경우, 단계 320은 결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에 포함되어 자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When a user orders a sale product sold by a seller who is entered into an open market platform, step 320 may provide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through a payment server. The payment server may be included in a seller ent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lemented on its own, but may be located outside to provide a payment service to a user.

결제가 완료된 경우, 단계 320은 배송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판매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320은 배송 서버를 통해 자체적으로 판매 상품을 배송할 수 있으며, 외부의 배송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When payment is completed, step 320 may process the product to be sold to the user through the delivery ser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ep 320 may deliver the product itself through the delivery server, or may use an external delivery server.

단계 330에서, 주문된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한다. In step 330, the purchase for the ordered sale product is processed.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단계 330은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330은 결제 서버 또는 판매 상품을 사입하는 구매처를 통해 판매 상품의 개수만큼 결제할 수 있으며,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하거나, 매달 청구일에 맞춰 셀러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seller entry system an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step 330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by size and color for the sale product, 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 to the goods issue and to process the purchase of the sold product. At this time, step 330 may be paid as many as the number of items sold through the payment server or the place of purchase to purchase the product, and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the difference is calculated from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or paid monthly You can also charge the seller in time.

다른 예로, 셀러가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단계 330은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셀러에게 판매 상품의 사입을 요청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seller owns a purchase right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step 330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by size and color for the sale product, and grasps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 to the shipment of the sale product You can ask the seller to buy a product for sale.

단계 340에서,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셀러에게 지급한다. In step 340,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the availability of the seller and the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a predetermined reward for the product to be sold is paid to the seller.

단계 340은 인스타그램, 블로그, 페이스북 및 트위터 중 어느 하나의 SNS 상에서 활동하는 셀러의 셀러 정보와 셀러 이미지에 기반하여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게 셀러 등급을 결정하며, 셀러 등급과 사입 여부를 기반으로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리워드 비율을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셀러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 권한을 소유하여 사입을 처리하는 경우, 단계 340은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다.Step 340 determines a seller rat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based on seller information and a seller image of a seller who operates on any one of SNS among Instagram, blog, Facebook, and Twitter, and based on seller rating and availability By determining the reward ratio, and applying the determined reward ratio to the sales result of the selling product, the reward can be paid to the seller. Here, when the seller entry system and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the purchase by owning the purchase authority for the sale product, step 340 is the difference in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It can be settled and paid.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a new seller who wants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can be registered.

단계 410은 새로운 셀러에 의해 운용되는 SNS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셀러 정보와 새로운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tep 410 is one or more sellers of at least one of content impressions, updates, followers, empathy, scraps, comments, and hash-tags pos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NS operated by the new sell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or not based on information and sales information on a sale product sold by a new seller.

예를 들면, 단계 410은 오픈 마켓 플랫폼에 초기 입점하는 셀러로부터 이름, 이메일 및 SNS 아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SNS 상에서의 업로드(upload) 콘텐츠 수, 팔로우(follow) 수, 업로드 주기 및 공감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step 41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ame, an email, and an SNS ID from a seller initially entering an open market platform, the number of uploaded content on the SN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 At least one activity information among upload cycle and number of sympathies may be received.

이후, 단계 410은 식별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오픈 마켓 플랫폼의 입점 여부를 판단한 후, 기 설정된 권한 기준을 통과하는 경우 셀러에 대한 사용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권한 기준은 적용되는 의류, 가구, 가전, 액세서리 및 신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템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Thereafter, in step 41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if it passes a predetermined permission criterion, a use permission for the seller may be registered. At this time, the authority standard is not limited, since it is variously set by at least one item among clothing, furniture, household appliances, accessories, and shoes to be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 셀러 및 사용자 간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between a seller entry system, a seller,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복수의 셀러(10)들 및 복수의 사용자(20)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기재하기 위해 단수의 셀러(10) 및 사용자(20)로 설명한다.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llers 10 and a plurality of users 20,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ingular seller 10 and It will be described as the user 2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 셀러(10) 및 사용자(20)가 오픈 마켓 플랫폼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셀러(10)는 SNS의 개인 홈페이지에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이미지, 코멘트 및 해시 태그(hash-tag)의 콘텐츠를 업로드한다(단계 501).Referring to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seller entry system 100, the seller 10, and the u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on an open market platform, the seller 10 is sold to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NS. The image, comments, and hash-tag content of the desired sale product are uploaded (step 501).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셀러(10)에 의해 운용되는 SNS의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셀러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셀러(10)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한다(단계 502). 도 5에서는 단계 501 및 단계 502의 순서를 동일하게 도시하였으나, 순서에 한정하지 않으며, 단계 501 및 단계 502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ler from a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and the information and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and the content posted on the personal homepage of the SNS operated by the seller 10 Manage the image (step 502). Although the order of steps 501 and 502 is identically illustrated in FIG. 5, the order is not limited to the order, and steps 501 and 502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예를 들어, 단계 502는 셀러(10)가 업데이트하는 콘텐츠에 대한 코멘트(또는 댓글), 공감 수(또는 좋아요) 및 스크랩 수(또는 공유)를 관리하여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주기, 업데이트 수 및 팔로워 수를 관리하여 셀러(10)의 활동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step 502 can manage the comments (or comments), the number of sympathies (or likes), and the number of scraps (or shares) for the content updated by the seller 10 to determine preferences for the content, and By managing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the update cycle, the number of update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eller 10 can be grasped.

또한, 셀러(10)가 게시한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20)가 판매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판매 상품을 사용자(20)에게 배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송 서비스 및 상품을 수령한 이후에 사용자(20)의 피드백 및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계 502는 배송 서비스 및 답변 서비스에서 수집되는 정보로부터 셀러(10)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파악하여 ‘아주 나쁨’, ‘나쁨’, ‘보통’, ‘좋음’, ‘아주 좋음’의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러 이미지는 셀러(10)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20 purchases a sale product through the content posted by the seller 10,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20 After receiving the generated delivery service and goods, a response service is provided for feedback and reviews of the user 20, and step 502 grasps a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10 from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elivery service and the response servic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manage seller images of'very bad','bad','normal','good', and'very good'. For example, the seller image may indicate a preference for the seller 10.

사용자(20)는 복수의 셀러(10)들이 판매하는 판매 상품 중에서, 팔로우하는 특정 셀러(10)가 판매하는 상품을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주문할 수 있다(단계 503 및 단계 504).The user 20 may order a product sold by a specific seller 10 to follow from among selling products sold by a plurality of sellers 10 in the open market platform (steps 503 and 504).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을 사용자(20)가 주문하는 경우, 단계 505 및 단계 50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주문을 수렴하고, 사용자(20)에게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When the user 20 orders a sale product sold by the seller 10 entered into the open market platform, in step 505 and step 506, the seller ent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ges the order, A payment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20 through a payment server.

결제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자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사용자(20)에게 외부에 위치하는 결제 서버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는 사용자(20)가 선호하는 결제 수단 즉, 카드, 현금, 계좌이체, 카카오페이 및 페이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ayment server may be included i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lemented on its own, but may also provide a payment service to the user 20 through a payment server located outside. The pay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ayment service through any one of payment methods preferred by the user 20, that is, card, cash, bank transfer, Kakao Pay, and PayPal.

결제가 완료된 경우, 단계 508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배송 서버를 통해 사용자(20)에게 판매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판매 상품의 배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에 포함된 배송 서버를 통해 자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외부의 배송 서버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in step 508, the seller ent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ss the sale produc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20 through the delivery ser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delivery of the merchandise sold may be performed by itself through a delivery server included i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performed by an external delivery server.

이에 앞서, 단계 507은 주문된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에 따른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잔여 개수에 따라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한다. 도 5에서 단계 507은 배송 서비스 전으로 도시하였으나, 단계 508 및 단계 509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일 수도 있다.Prior to this, step 507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size and color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processes the purchase for the sales product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ales products. In FIG. 5, step 507 is illustrated before the delivery service, but may be a step performed after steps 508 and 509.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이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단계 507은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507은 결제 서버 또는 판매 상품을 사입하는 구매처를 통해 판매 상품의 개수만큼 결제할 수 있으며,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10)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하거나, 매달 청구일에 맞춰 셀러(10)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ller ent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step 507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by size and color for the sale product, and issues the sale produc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 to and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At this time, in step 507, the number of sales items can be paid through a payment server or a purchaser who purchases sales items, and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the difference is settled and paid from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10, or , You can also charge the seller 10 according to the monthly billing date.

다른 예로, 셀러(10)가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단계 507은 해당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별로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판매 상품의 출고에 따른 잔여 개수를 파악하여 셀러(10)에게 판매 상품의 사입을 요청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seller 10 owns a purchase right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step 507 counts the number of products by size and color for the sale product, and the remaining number according to the shipment of the sale product By grasping, it may request the seller 10 to purchase a sale product.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배송된 판매 상품에 대한 교환/환불 처리의 답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여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단계 509 및 단계 510).Subsequently,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nswer/exchange processing answer service for the delivered sales product, and perform a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management business service to perform a seller image. And a seller rating (step 509 and step 510).

단계 511 및 단계 51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여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고, 셀러(10)에게 리워드를 지급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은 인스타그램, 블로그, 페이스북 및 트위터 중 어느 하나의 SNS 상에서 활동하는 셀러(10)의 셀러 정보와 셀러 이미지에 기반하여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게 셀러 등급을 결정하며, 셀러 등급과 사입 여부를 기반으로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리워드 비율을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셀러(10)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입점 시스템(100)이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 권한을 소유하여 사입을 처리하는 경우, 리워드 지급부(130)는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다.In steps 511 and 512,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eward ratio and applies it to the sales result of the selling product, and pays the reward to the seller 10. For example,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and the seller image of the seller 10 operating on any one SNS of Instagram, blog, Facebook, and Twitter. A seller rating may be determined for each of the sellers of, and a reward ratio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eller rating and purchase availability, and a reward ratio may be paid to the seller 10 by applying the determined reward ratio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 product. Here, when the seller ent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les the purchase by owning the purchase authority for the sale product, the reward payment unit 130 is in the reward paid to the seller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The difference can be settled and paid.

일 예로, 단계 511 및 단계 512는 셀러 등급이 높고,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셀러가 소유하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가 높은 경우에 셀러(10)에게 최대 60%까지의 높은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러(10)에게 지급되는 리워드 비율은 2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SNS 상의 개인 홈페이지에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빈도 수가 높고, 팔로워 수가 많은 활발한 활동을 하는 셀러(10)의 경우에는 셀러 이미지가 ‘좋음’일 수 있으며, 단계 511은 셀러(10)에 대해 1 내지 5의 등급 중 2등급의 셀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단계 511은 2등급인 경우, 50%의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단계 512는 셀러(10)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50%의 리워드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리워드를 셀러(10)에게 지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s 511 and 512, the seller has a high seller rating, and the seller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and when the sales result of the sale product is high, up to 60% for the seller 10 Rewards can be paid. For example, the reward rate paid to the seller 10 i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20% to 60%, the frequency of updating content on the personal homepage on the SNS is high, and the number of followers 10 of the active seller 10 is active In this case, the seller image may be “good”, and step 511 may determine a seller grade of 2 from among 1 to 5 grades for the seller 10.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second grade, in step 511, the reward ratio of 50% is determined, and in step 512, the reward calculated by applying the 50% reward ratio to the sales result of the sales product sold by the seller 10 is the seller 10 ).

다른 예로,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셀러(10)의 상위 노출 또는 노출 영역을 확대하는 경우, 단계 511은 셀러(10)의 리워드 비율을 미리 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셀러(10)의 개인 이미지, 개인 SNS 정보, 개인 홈페이지 링크 및 판매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상위에 노출시키거나, 노출 영역 또는 노출 비율을 확대하는 경우, 단계 511은 결정된 리워드 비율에서 2% 내지 10%의 비율만큼 감소시키며, 단계 512는 감소된 비율이 적용된 리워드 비율을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셀러(10)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셀러에게 주어지는 특권인 상위 노출 또는 노출 영역 확대에 따른 수익비 조절에 해당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pper exposure or the exposure area of the seller 10 is enlarg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step 511 may reduce the reward ratio of the seller 10 by a preset ratio.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posing the personal image of the seller 10 provided in the open market platform, personal SNS information, personal homepage link, and content about the sale product to the top, or expanding the exposure area or exposure ratio, step 511 Decreases by a ratio of 2% to 10% in the determined reward ratio, and in step 512, a reward ratio to which the reduced ratio is applied is applied to the sales result of the selling product, and a reward can be paid to the seller 10. This may correspond to the adjustment of the profit ratio according to the upper exposure or expansion of the exposure area, which is a privilege given to a specific seller.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combinations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arrays (FP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one being used,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the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7)

복수의 셀러(sellers)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하여 판매 상품에 관련된 오픈 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하는 셀러 관리부;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상기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주문 처리부; 및
상기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상기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상기 셀러에게 지급하는 리워드 지급부
를 포함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n open market service related to the product sold by using an open market platform where a plurality of sellers are located,
A seller management unit managing content pos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rresponding seller, and a seller image from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An order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payment service to a user and processes purchases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when an order is generated for a sales product sold by the seller on the open market platform; And
Reward payment unit that pays the seller with a predetermined reward for the product,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purchase availability, and a seller rating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Seller ad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셀러 정보를 관리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ller management uni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content exposures, the number of updates, the number of followers, the number of sympathies, the number of scraps, comments, and the hash-tag poste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A seller entry system that manages any one or more of the seller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 관리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배송 서비스와 구매 후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답변 서비스에 기반하여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상기 셀러 이미지를 결정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eller management unit
And determining and managing the seller image from the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based on a delivery service for the sale product and an answer service for a user's review after purch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부는
결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 및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 처리 절차의 상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하고, 배송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rder process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payment service of the payme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purchase procedure and payment method fo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through a payment server, and processing the delivery product to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a delivery server To do, seller entry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부는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이즈 및 컬러에 따른 상품 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판매 상품의 잔여 개수에 따라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order processing unit
Seller ent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nting the number of products according to the size and color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processing the purchase for the sales product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ales produc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처리부는
상기 셀러가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소유하는 경우, 상기 셀러에게 상기 판매 상품의 사입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order processing unit
When the seller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ler requests the purchase of the sale product, the seller ent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SNS 상에서 활동하는 상기 셀러 정보와 상기 셀러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게 상기 셀러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셀러 등급과 상기 사입 여부를 기반으로 리워드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리워드 비율을 상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에 적용하여 상기 셀러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ward payment section
The seller rating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and the seller image active on an SNS, a reward ratio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ller rating and the purchase status, and the determined reward ratio is Seller entry system that applies to the sales results of sales products to pay rewards to the sel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셀러 등급이 높고,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사입 권한을 상기 셀러가 소유하며, 상기 판매 상품의 매출 결과가 높은 경우에 상기 셀러에게 최대 60%까지의 높은 리워드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reward payment section
When the seller rating is high, the seller owns the purchase authority to process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and when the sales result of the sale product is high, a high reward of up to 60% is paid to the seller. To do, seller entry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지급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경우, 사입에 대해 선 결제 후 상기 셀러에게 지급되는 리워드에서 차액분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reward payment section
In the case of processing the purchase for the sale product, the seller ent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s calculated and paid in the rewards paid to the seller after the pre-payment for the purch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서 상기 셀러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 및 접근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tivity and access of the seller and the user in the open market platform
Seller admis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셀러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업데이트되는 신상품에 관련된 콘텐츠 및 할인 이벤트를 업데이트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A seller entry system for updating content and discount events related to new products upda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elle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검품, 포장, 배송의 배송 서비스, 교환/환불 처리의 답변 서비스, 매출 정산/지급 서비스 및 관리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셀러 관리부 및 상기 리워드 지급부를 통해 상기 셀러 이미지 및 셀러 등급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Performs inspection, packaging, and delivery services for the sales items, response service for exchange/refund processing, sales settlement/payment service, and management service, and displays the seller image and seller rating through the seller management unit and the reward payment unit. Cellular entry system, controlling to dec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하는 셀러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Seller registration unit to register new sellers who want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Seller admis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 등록부는
상기 새로운 셀러에 의해 운용되는 SNS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 노출 횟수, 업데이트 수, 팔로워(follower) 수, 공감 수, 스크랩 수, 코멘트 및 해기 태그(hash-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셀러 정보와 상기 새로운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ller registration uni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ll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 exposure number, update number, follower number, empathy number, scrap number, comment, and hash tag posted on the SNS operated by the new seller Seller ent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for the sales products sold by new sellers.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러(sellers)들 각각에 의해 운용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게시되는 콘텐츠와 해당 셀러(seller)에 관련된 셀러 정보, 및 상기 셀러에 대한 서비스 평가로부터 셀러 이미지를 관리하는 단계;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된 상기 셀러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주문 발생 시, 사용자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주문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사입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셀러 정보, 사입 여부 및 상기 셀러 이미지에 의해 결정되는 셀러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리워드(reward)를 상기 셀러에게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seller entry system,
Managing a seller image from content posted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perated by each of a plurality of sellers, se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ler, and service evaluation for the seller;
Providing an payment service to a user when an order is generated for a sale product sold by the seller on the open market platform;
Processing the purchase of the ordered sales product; And
Based on the seller information, purchase availability, and seller grade determined by the seller image, paying the seller with a preset reward for the product to be sold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seller ad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마켓 플랫폼에 입점하기 원하는 새로운 셀러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러 입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Registering a new seller who wants to enter the open market platform
The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of a seller admiss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carry out the method of claim 15.
KR1020190010845A 2019-01-29 2019-01-29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KR202000937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45A KR20200093749A (en) 2019-01-29 2019-01-29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45A KR20200093749A (en) 2019-01-29 2019-01-29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749A true KR20200093749A (en) 2020-08-06

Family

ID=7204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845A KR20200093749A (en) 2019-01-29 2019-01-29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74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28A (en) * 2020-08-20 2022-03-02 (주) 아키드로우 An apparatus for providing market platform services using realistic scene images of furniture item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220056451A (en) 2020-10-28 2022-05-06 노현무 Internet shopping-mal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decision making by plurality of mana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607A (en)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공팔리터 Advertisement method using algorithm of selecting user for merchandise experience through s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607A (en)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공팔리터 Advertisement method using algorithm of selecting user for merchandise experience through s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28A (en) * 2020-08-20 2022-03-02 (주) 아키드로우 An apparatus for providing market platform services using realistic scene images of furniture item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220056451A (en) 2020-10-28 2022-05-06 노현무 Internet shopping-mal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decision making by plurality of mana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20200202379A1 (en) Determining subscription offers through user purchase behavior
US20200402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store
EP3757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20180322523A1 (en) Rules-based vouch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lf-service substantiation voucher
US11544642B2 (en) Supplier recommendation engine
US20210012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through return labels
CN106415639A (en) Advertisement price discounting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US20210012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turned items based on related inventory information
US202004020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an online marketplace
US20200202377A1 (en) User interface for determining subscription offers through user purchase behavior
KR101984071B1 (en) Online agency sale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JP202110807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2203379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live video streams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KR20200093749A (en)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12324B1 (en) Manufacturer centric selling platform and method thereof
KR20120076575A (en) System for purchase mediat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US117414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real-time variable product data for an e-commerce platform
JP2019512830A (en) Purchas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equipped with intelligent sel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8264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pen market service of social network service type
US201900737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purchasing
US20230080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it-focused recommendations of computer applications
US20240078594A1 (en) Dynamic gene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user-specific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