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635A -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635A
KR20200091635A KR1020190008631A KR20190008631A KR20200091635A KR 20200091635 A KR20200091635 A KR 20200091635A KR 1020190008631 A KR1020190008631 A KR 1020190008631A KR 20190008631 A KR20190008631 A KR 20190008631A KR 20200091635 A KR20200091635 A KR 2020009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file
multimedia
movie
playback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지원
Original Assignee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635A/ko
Publication of KR2020009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은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결제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 횟수만큼의 결제금액을 상기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Movie postpay billing system}
본 발명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영화 배급 시스템은 메이저 영화 배급사가 영화가 상영될 극장(예컨대, 개봉관 또는 상영관)을 결정하고, 상기 극장으로 영화 컨텐츠가 저장된 필름(Film)을 배급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영화 티켓 예매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필름 배급 정보와 극장 정보를 근거로 티켓 예매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티켓 예매 애플리케이션과 결제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영화 배급 시스템 및/또는 티켓 예매 시스템 등의 특징은 영화 컨텐츠가 저장되는 기록 매체가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을 배급할 극장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의 영화 배급 및/또는 예매 시스템은, 제작자 입장에서 영화 편집에 오랜 시간이 소모되고, 배급사 입장에서 영화 배급 필름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모 될 뿐만 아니라 개봉관으로 배급된 필름을 통한 해적판이 난무하며, 극장 입장에서 일단 배급된 영화 필름은 관객이 없더라도 상영해야 하는 비효율성 등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영화를 관람할 때 비용을 선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영화상영이 시작된 이후에는 흥미없는 영화내용이더라도 비용을 환불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재생횟수 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 횟수만큼의 결제금액을 상기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멀티미디어 소스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수단과, 상기 파일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는 파일 DB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수신받는 재생 횟수 수신수단과, 상기 재생 횟수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에 상응하는 요금을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과금 처리수단과, 사용자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 기록수단에서 기록한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수단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에서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재생 횟수 카운팅수단과, 상기 재생 횟수 카운팅수단에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상응하는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횟수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재생 횟수 기록수단과, 일정 주기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재생 횟수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은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파일 감상 횟수만큼의 요금을 투명하게 징수하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측(콘텐츠 제공자측)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간에 수익을 배분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이 무료로 배포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저작권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불법 복제로 인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산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구성도
도 3은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 콘텐츠 제공서버(30), 결제 단말기(200), 결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서버(30)는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콘텐츠 제공서버(30)에서 제공되는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 서버(300)를 통해 결제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는 콘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며,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 횟수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 서버(300)를 통해 결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10), 컴퓨터(20) 및 콘텐츠 제공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영상/오디오 재생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공지의 이동통신 기능(예; 통화, SMS등), 무선 인터넷 기능(예; 웹(왑) 페이지 접속 등) 및 컴퓨터(20)와의 데이터 통신 기능 등도 탑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예; MP3 파일, AVI 파일 등) 재생 기기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유선 인터넷 기능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 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이 탑재된 컴퓨터, 노트북, PDA, 휴대형 MP3 플레이어, 휴대형 동영상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적용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측(서비스 제공자측)이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해 과금한 요금 중 저작권료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에게 지불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텐츠 제공자측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간의 제휴 관계를 통해 음악 소스 및 영화 소스 등이 가공되어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때에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 식별을 위한 코드(이하, "식별 코드"라 함)를 멀티미디어 파일에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여 DB에 저장시켜 놓는다.
이러한 식별 코드는 해당 멀티미디어를 고유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이 각 멀티미디어마다 부여한 식별 코드를 콘텐츠 제공자측에 배포하며, 그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측이 멀티미디어 파일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거나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이 각 멀티미디어마다 부여한 식별 코드를 직접 멀티미디어 파일에 삽입한 후에 이 식별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콘텐츠 제공자측에 배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컴퓨터(20) 등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요청을 받으면 식별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 또는 컴퓨터(20)측의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요금 지불을 요구하지 않고서 일단 무료로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를 요청하여 다운로드받거나 컴퓨터(20)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컴퓨터(2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식별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가 케이블 연결 방식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 등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다운로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감상 요청(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신호 입력)에 따라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키고 이 때 식별 코드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별 재생 횟수를 파악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일정 주기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 및 식별 코드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에서 재생된 멀티미디어 식별 코드 및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요금을 후불제로 과금 처리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파일 요금 지불 방식 설정 사항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요금을 이동통신 요금에 부가하여 청구토록 설정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요금에 멀티미디어 파일 요금을 부가하여 과금하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요금을 신용카드로 청구토록 설정한 경우에는 신용카드 결제 정보로 멀티미디어 파일 요금을 과금한다.
도 3은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1) 중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데이터 저장부(11), 멀티미디어 재생부(12), 재생 횟수 카운터부(13), 재생 횟수 기록부(14) 및 재생 횟수 송신부(15)를 포함하며,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파일 생성부(31), 파일 송신부(32), 재생 횟수 수신부(33), 과금 처리부(34), 파일 DB(35) 및 사용자 DB(36)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일은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MP3, WMA, OGG 등과 같은 음악 파일 및 AVI, MPG 등과 같은 동영상 파일을 일컫는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영상/오디오 재생을 위한 코덱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음악 제목/가수/재생 시간 또는 영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버튼을 통해 재생 요청신호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 음성 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사운드/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일 생성부(31)는 외부, 즉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으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소스(예; 음원, 오디오 씨디 등)를 가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예; MP3, AVI 등)을 생성한다.
특히, 상기 파일 생성부(31)는 멀티미디어 소스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헤더 부분에 삽입되며, 각 멀티미디어 파일마다 고유의 식별 코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 코드는 숫자, 기호,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식별 코드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고유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음반 정보 또는 영화 정보 등을 토대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 송신부(32)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파일DB(3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를 요청하지 않고도 타인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 즉 식별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타인의 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파일 공유(파일 복사)를 통하여 타인의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콘텐츠 제공 서버(30)를 통하여 배포되고 있지만 멀티미디어 파일에 식별 코드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불법 복제/배포(사용자간 P2P 자료 공유 등)가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정당한 요금을 지불해야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파일을 자유롭게 복제/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파일불법 복제를 근본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인의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복제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하며, 이후에 콘텐츠 제공 서버(30)가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감상 횟수에 따른 요금을 과금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따라서, 복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전송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 등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하고 나서 신규 사용자인 경우에 회원 가입 등의 절차를 거치도록 유도하거나 결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예로,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하여 직접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받지 않고서 컴퓨터(2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 상기 파일 송신부(32)는 컴퓨터(20)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파일 DB(3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컴퓨터(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컴퓨터(20)로 다운로드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케이블 연결 방식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 (예;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무선랜(W-LAN),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등)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등으로 다운로드시켜 감상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또는 컴퓨터(20) 등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후불제 멀티미디어 감상 서비스에 회원 가입하고 나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에 따라 후불제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사전에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요금 결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가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되는 시점에 특정 결제 정보를 입력시켜 요금을 곧바로 지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결제 정보로는 이동통신 가입 정보(예;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이동통신 요금 결제 정보 등) 또는 신용카드 정보 또는 자동 이체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재생 횟수 수신부(33)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등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재생 횟수 수신부(33)는 일정 주기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별로 수집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금 처리부(34)는 재생 횟수 수신부(33)에서 수신받은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에 상응하는 요금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게 부과한다. 여기서, 사용자 감상에 대한 요금은 "각 식별 코드마다 재생 1회 비용 × 재생 횟수"로 산출되며, 각각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1회 비용은 서로 다르게 책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감상에 대한 요금은 모든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 총합이 소정 횟수(예; 100회 등)를 넘는 경우에 할인 요율이 적용되어 산출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요금 책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일 DB(35)에는 파일 생성부(31)에서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DB(36)에는 사용자가 입력시킨 사용자 결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1)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30) 또는 컴퓨터(20)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식별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고, 파일 재생 횟수 기록부(14)에서 기록한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가 저장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12)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요청신호 입력 등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재생부(12)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불러오게 되는데 이 멀티미디어 파일에 식별 코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재생 불가 사실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문자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오류음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즉, 불법적인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및 재생을 막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식별 코드를 통해 기 인증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아닌 경우(즉, 식별 코드 미삽입)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를 감상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재생 횟수 카운터부(13)는 멀티미디어 재생부(12)에서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한다. 여기서, 재생 횟수 카운터부(13)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해 사용자가 1회 재생할 때마다 재생 횟수를 "1"씩 증가시킨다.
특히, 상기 재생 횟수 카운터부(13)는 멀티미디어 재생부(12)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일정 시간만큼 재생한 경우에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핸 재생 횟수를 증가시킨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대로 감상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5분 정도의 음악을 10초 정도 듣다가 재생을 중지시킨 경우에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파일 감상에 대한 요금 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멀티미디어를 제대로 감상한 경우에 후불제로 요금을 과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를 일정 시간 이상 감상한 경우에 재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횟수 기록부(14)는 재생 횟수 카운터부(13)에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상응하는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를 데이터 저장부(11)에 기록한다.
상기 재생 횟수 송신부(15)는 일정 주기(예; 한달, 일주일 등)로 데이터 저장부(11)에 테이블 형태 등으로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재생하고 나서 후불제로 그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서 타 멀티미디어 파일 등을 감상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재생 제한 기준값(예; 한달에 5,000곡 정도 재생 등)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모든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 총합계가 기 설정된 재생 제한 기준값에 도달되면 재생 불가 사실 및 재생 횟수 송신 지시 사항을 통보하는 재생 금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생 불가 사실은 멀티미디어 파일이 더 이상 재생 될 수 없음을 알리는 문구 또는 음성/오류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보되며, 재생 횟수 송신 지시 사항은 이러한 재생 불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 재생 횟수 전송 기능 등을 통하여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전송해야 된다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한편, 재생 금지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 재생 횟수 전송 기능을 통하여 재생 횟수 송신부(15)에서 각 식별 코드 및 각각의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송신하면 데이터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를 초기화시킨다. 여기서, 각 식별 코드 및 각각의 재생 횟수를 콘텐츠 제공 서버(30)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그에 상응하는 요금이 사용자에게 과금되는 것이며, 사용자 과금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모든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를 초기화시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재생 제한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모든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 총합계가 기 설정된 재생 제한 기준값에 도달되기 전까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제한 횟수만큼 더 재생시켜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은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파일 감상 횟수만큼의 요금을 투명하게 징수하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측(콘텐츠 제공자측)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간에 수익을 배분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저작권자측이 무료로 배포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저작권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불법 복제로 인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산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영화 또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 및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시간만큼의 결제금액을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결제 단말기;
    를 포함하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며,
    상기 영화 또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재생 횟수만큼의 결제금액을 상기 결제 서버를 통해 결제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멀티미디어 소스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수단;
    상기 파일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는 파일 DB;
    상기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파일 송신수단;
    상기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수신받는 재생 횟수 수신수단;
    상기 재생 횟수 수신수단에서 수신받은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에 상응하는 요금을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과금 처리수단; 및
    사용자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 기록수단에서 기록한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 횟수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수단;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에서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재생 횟수 카운팅수단;
    상기 재생 횟수 카운팅수단에서 재생 횟수를 카운팅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상응하는 식별 코드에 대한 재생횟수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재생 횟수 기록수단; 및
    일정 주기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식별 코드 및 재생 횟수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재생 횟수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KR1020190008631A 2019-01-23 2019-01-23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KR20200091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31A KR20200091635A (ko) 2019-01-23 2019-01-23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31A KR20200091635A (ko) 2019-01-23 2019-01-23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35A true KR20200091635A (ko) 2020-07-31

Family

ID=7183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31A KR20200091635A (ko) 2019-01-23 2019-01-23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1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350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에 따른 후불제 과금 시스템 및그 방법
JP4878416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情報を配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情報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RU257377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держимым
US200701566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organizing audio-visual items stored in a central database
JP2002544627A (ja) 音楽とその他のメディアにデジタル透かしを用い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90228985A1 (en) Digital media content licensing and distribution methods
WO200103354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proced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de donnees numeriques, procede et dispositif de copie de donnees numeriques,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procede de stockage/reproduction de donnees numeriques
Calamita Coming to Terms with the Celestial Jukebox: Keeping the Sound Recording Copyright Viable in the Digital Age
JP2001344437A (ja) データ配信方法とそのシステム、データ使用装置および配信用データ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20210158316A (ko)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JP2003132232A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2352028A (ja) コンテンツ流通方法、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WO2001048645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numeriques
KR20200091635A (ko)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KR20200069970A (ko) 영화 후불 결제 시스템
JP4585736B2 (ja) サーバ装置
JP2002133144A (ja) 大容量データ販売/仲介/購入方法、システム、サーバ、端末、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866199B2 (ja) ボーナス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
KR100777990B1 (ko) 데이터의 가공방법, 암호화 데이터의 부정사용 방지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리드장치
JP2004355657A (ja) 電子コンテンツ取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3228657A (ja) 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配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207491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ダウンロード端末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US20080163326A1 (en) Portable Video Hard-Disk Drive (pVHDD) System
KR20100048718A (ko) 컨텐츠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8610A (ko) 디지털 오디오 음원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