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37A - System for automatic safety - Google Patents

System for automatic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37A
KR20200082737A KR1020180173612A KR20180173612A KR20200082737A KR 20200082737 A KR20200082737 A KR 20200082737A KR 1020180173612 A KR1020180173612 A KR 1020180173612A KR 20180173612 A KR20180173612 A KR 20180173612A KR 20200082737 A KR20200082737 A KR 2020008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er
analysis device
detection syste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4640B1 (en
Inventor
이재구
이환수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640B1/en
Publication of KR2020008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 system for automatically sensing safe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whether an operator wears a safety gear. The system comprises: a sensing unit sensing an image of an operator; an analysis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by analyz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 gate disposed at an entrance of work space. The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gate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Description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SAFETY}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SYSTEM FOR AUTOMATIC SAFETY}

본 발명은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monitoring whether a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산업 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다양한 종류와 많은 물질이 사용되고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 공정 내 유독가스 사용의 빈도수가 높아지고 있어 작업자들이 쉽게 유독가스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화재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환경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As industrial activities become more active, various types and materials are used, and as the dependence on industries increases, the frequency of toxic gas use in the production process is increasing, which often causes workers to be easily exposed to toxic gases. There is also growing concern. Accordingly, the environment industry related to this is rapidly growing.

한편, 이러한 산업 활동에서의 안전장구는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safety equipment in these industrial activities must be wor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314호(2018.06.22. 등록)에서는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72314 (2018.06.22. registration) discloses a monitoring system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safety equipment worn by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그러나, 이 경우 비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작업장에 비콘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as monitoring whether or not a safety gear is worn using a beac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eacon must be installed in a work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장에 기존에 설치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that can easily monitor whether a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by using devices installed in the workpl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장치; 및 작업공간의 입구에 배치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n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whether a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n image of a worker; An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And a gate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The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gat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장에 기존에 설치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monitor whether a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by using devices installed in the workplac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작업자가 안전장구를 착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작업공간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센싱부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분석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안전장구의 개략 구성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orker wears a safety gear.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orking space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ing unit of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alysis device of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nother component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change, delete, etc.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장치; 및 작업공간의 입구에 배치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n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whether a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n image of a worker; An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And a gate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The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gat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또,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누구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device may analyze the image to determine who the worker is.

또,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기 단말기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 terminal carried by the operator; further includes, the analysis device may transmit an alarm to the terminal of the opera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is not wearing the safety equipment.

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안전장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소지하나 소정의 위치에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analysis device, if the operator determines that the operator carries the safety device, but is not worn at a predetermined location,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 can send it.

또,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does not have the safety equipment, the analysis device may no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또,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른 작업자의 단말기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does not wear the safety equipment, the analysis device may transmit an alarm to another operator's terminal.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작업자가 안전장구를 착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or wears a safety gea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작업공간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센싱부의 개략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orking space for explaining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ing unit of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분석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의 안전장구의 개략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alysis apparatus of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a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implified or omitted from parts that are less relevant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작업자의 안전장구(500) 착용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1 to 6, the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ystem for monitoring whether a worker's safety equipment 500 is worn.

일례로, 상기 안전장구(500)를 작업의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착용해야 하는 장비일 수 있으며, 안전모, 장갑, 방독면, 위생 신발 등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전모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For example, the safety gear 500 may be equipment to be worn by an operator for safety of work, and may be a helmet, gloves, gas mask, sanitary shoes, etc., but will be described as a safety helm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일례로,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작업자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싱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may include a sensing unit 100 for sensing the image of the operator.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실시간으로 작업자를 촬영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photograph an operator in real time.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작업공간(S2) 및/또는 상기 작업공간(S2)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공간(S2)으로 진입하는 및/또는 상기 작업공간(S2)에 진입한 작업자를 촬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S2 and/or the work space S2, and enters the work space S2 and/or the work space S2. You can take a picture of the worker who has entered.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작업자를 촬영하여 사진을 생성할 수도 있고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generate a picture by photographing an operator or may generate an image.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CCTV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be a CCTV.

여기서, 일례로,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고,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receives the image from the sensing unit 100 and analyz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100 to determine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500. The analysis device 200 for determining may be further included.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비교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store in advance comparison data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500.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안전장구(500)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작업자에 대한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store an image of the safety equipment 500 and may store an image of the operator in advance.

그 결과,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를 기초로 미리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매칭시켜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nalysis device 200 matches the image data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sensing unit 100 to derive whether the worker wears the safety gear 500. Can.

일례로, 도 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한 작업자의 상기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a), the sensing unit 100 may sense the image of the worker wearing the helmet on the head, the analysis device 200 analyzes the im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properly worn the helmet.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손에 파지한 작업자의 상기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파지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b), the sensing unit 100 can sense the image of the worker gripped in the hand without wearing the helmet on the head, the analysis device 200 is the By analyzing the im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orker grips the helmet without wearing it properly.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손에 파지하지도 않은 작업자의 상기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파지하지도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c), the sensing unit 100 may sense the image of an operator who does not wear the helmet on his head and does not grip the hand, and the analyzer 200 By analyzing the ima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does not wear the helmet and does not grip it.

여기서,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상기 작업공간(S2)의 입구에 배치되는 게이트(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ate 300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S2.

일례로, 상기 게이트(300)는 상기 작업공간(S2)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300)가 폐쇄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S2)으로 출입을 못하고, 상기 게이트(300)가 개방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작업공간(S2)으로 출입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gate 30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S2), when the gate 300 is closed, the worker cannot enter or exit the work space (S2), and the gate (300) is opened. In this case, the worker can enter and exit the work space S2.

일례로, 상기 게이트(300)는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ate 300 may be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signal.

여기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30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gate 300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5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도 2(a)와 같이 상기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한 경우 상기 게이트(3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게이트(300)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analysis device 200 analyzes the image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gate 300 when the worker properly wears the helmet as shown in FIG. 2(a), so that the gate 300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반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작업자가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게이트(300)에 폐쇄신호를 주거나, 개방 신호를 주지 않아 상기 게이트(300)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the analysis device 200 gives a closed signal to the gate 300 when an operator does not properly wear the helmet on the head as shown in FIGS. 2(b) and 2(c).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ate 300 from being opened by not giving an open signal.

여기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누구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analyze the image to determine who the worker is.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제대로 착용했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작업자의 얼굴 등의 외형 및/또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액세서리 등을 기초로 미리 저장하고 있는 작업자의 데이터와 매칭시켜 상기 이미지 상의 작업자가 누구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analysis device 200 not only indicates whether the worker properly wears the safety gear 500, but also the appearance of the worker's face and/or accessories worn by the worker, etc., included in the image. On the basis of, it can be determined by matching with the data of the worker who has been stored in advance.

여기서, 일례로,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400 carried by an operator.

일례로, 상기 단말기(400)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400 may display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signal.

일례로, 소정의 정보는 빛, 소리, 문자 및/또는 진동일 수 있다.In one example, certain information may be light, sound, text, and/or vibration.

일례로, 상기 단말기(400)는 스마트 워치로서 작업자에게 착용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작업자가 소지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terminal 400 may be worn by a worker as a smart watch, or may be carried by a worker with a smartphone or tablet.

여기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기 단말기(400)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transmit an alarm to the terminal 400 of the work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oes not wear the safety gear 5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제대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가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로 경고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analysis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an operator properly wears the safety gear 500 through the image analysis, and if an operator does not properly wear the safety gear 500.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it may transmit an alarm including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worker.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들이 각각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가 누구인지 파악하여, 해당 작업자가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400 carried by each worker in advance, and identify the worker who is not wearing the safety gear 500, so that the worker An alarm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00 in possession.

그 결과, 상기 분석장치(200)로부터 알람을 수신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분석장치(200)에 의해 빛, 소리, 문자 및/또는 진동의 형태로 알람을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erminal 400 receiving the alarm from the analysis device 200 may transmit the alarm to the worker in the form of light, sound, text and/or vibration by the analysis device 200.

여기서, 일례로, 상기 안전 자동감시 시스템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D)를 구비하는 상기 안전장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utomatic safety monito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safety equipment 500 having a display unit D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일례로,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안전장구(5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정보는 빛, 소리, 문자 및/또는 진동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gear 500,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light, sound, text, and/or vibration.

여기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소지하나 소정의 위치에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D)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carries the safety gear 500 but is not wearing i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S2)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작업공간(S2)으로 진입하려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를 소지하고는 있으나 머리에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로 상기 분석장치(200)가 판단하는 경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표시부(D)에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부(D)가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b), an operator who is located on the work space S2 or intends to enter the work space S2 has the helmet but is not properly worn on the head. If not, the analysis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analysis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nd/or signals to the display unit D so that the display unit D display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have.

한편,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D)에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does not have the safety gear 500, the analysis device 200 may no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S2)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작업공간(S2)으로 진입하려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상기 분석장치(200)가 판단하는 경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표시부(D)에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c), the analysis device is determined to be located on the work space S2 or to enter the work space S2 by the worker who does not have the helmet. When 200) determines, the analysis device 200 does not transmit information and/or signals to the display unit D.

왜냐하면, 작업자는 상기 안전모를 소지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 표시부(D)가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해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오로지 전력 손실만 발생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operator does not have the hard hat and does not recognize even if the display unit D display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only power loss is generat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일례로, 상기 게이트(300)를 기준으로 외부공간(S1)과 상기 작업공간(S2)이 나누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space S1 and the working space S2 may be divided based on the gate 300.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외부공간(S1) 및/또는 상기 작업공간(S2)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external space S1 and/or the working space S2.

여기서, 상기 작업공간(S2) 상에 제1 작업자(A)와 제2 작업자(B)가 작업을 실시하고 있을 수 있다.Here, the first worker A and the second worker B may be performing work on the work space S2.

이 때, 상기 제1 작업자(A)는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파지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작업자(B)는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제대로 착용하고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worker (A) may be holding the hard hat without properly wearing it on the head, and the second worker (B) may be wearing the hard hat properly on the head.

여기서, 상기 센싱부(100)는 실시간으로 상기 작업공간(S2)을 촬영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100 may generate the image by photographing the workspace S2 in real time.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작업자(A) 및 상기 제2 작업자(B)가 상기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analysis device 200 may receive the image in real time from the sensing unit 100 and monitor whether the first worker A and the second worker B are properly wearing the helmet. .

여기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분석장치(200)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5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른 작업자의 단말기(400)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Her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transmit an alarm to the terminal 400 of another work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oes not wear the safety gear 5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작업자(A)가 상기 안전모를 머리에 제대로 착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1 작업자(A)가 소지하고 있는 상기 단말기(400)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작업자(B)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400)에도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analysis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worker A is not properly wearing the helmet on the head through the image analysis, wherein the first worker ( An alarm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second worker B as well as the terminal 400 possessed by A).

그 결과, 상기 제2 작업자(B)는 상기 제1 작업자(A)가 상기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worker B can recognize that the first worker A is not wearing the helmet properly.

여기서,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소정의 영역내의 객체에 대해 상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분석장치(200)는 소정의 영역내의 객체에 대해서만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작업자(A)와 상기 제2 작업자(B)가 상기 이미지 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작업자(B)가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generate the image for an object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analysis device 200 analyzes the image captured only for an object in a predetermined area, An alarm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00 owned by the second worker B only when the first worker A and the second worker B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image.

만약, 소정의 영역내의 객체에 대해서만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오로지 제1 작업자(A)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제2 작업자(B)가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로 알람을 송신하지 않고, 오로지 상기 제1 작업자(A)가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에 대해서만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If only the first operator A exists in the image photographed only for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area, the analysis device 200 sends an alarm to the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second operator B. Without transmitting, an alarm can be transmitted only to the terminal 400 carried by the first worker A.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가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는 상기 제2 작업자(B)의 상기 단말기(400)에 알람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되는 문자는 상기 제2 작업자(B)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작업자(A)가 위치하는 방향 및/또는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nalysis device 200 transmits an alarm to the terminal 400 of the second worker B who is wearing the helmet properly, the text displayed on the terminal 400 is the second worker It may be a character indicating the direction and/or distance in which the first worker A is located based on (B).

즉,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작업자(B)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작업자(A)가 어느 방향에 및/또는 얼마나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analysis device 200 may analyze the image and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and/or how far apart the first worker A is based on the second worker B.

따라서, 상기 제2 작업자(B)는 자신이 소지하는 상기 단말기(400)를 보고 상기 제1 작업자(A)가 어느 방향에 및/또는 얼마나 떨어진 거리에 존재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worker B can easily see which direction and/or how far away the first worker A is from the terminal 400 he possesses.

이하에서는, 상기 안전 자동감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safety monitor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앞서 설명한 내용과 겹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겠다.Conten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r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자동감시 시스템의 기능이 구현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an acquiring unit 120 for acquiring the image, and predetermined data and/or data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automatic safety monitoring system. Alternatively, a communication unit 13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분석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analysis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또한,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획득부(12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unit 140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cquiring unit 120.

그 결과, 상기 획득부(120)는 상기 위치 조절부(140)에 의해 위치 변화되어 여러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cquiring unit 120 may change the position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40 to acquire the image for various areas.

또한, 일례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획득부(120) 등 상기 센싱부(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센싱 제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control unit 110 that control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100 such as the acquiring unit 12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센싱부(100), 상기 게이트(300), 상기 단말기(400) 및/또는 상기 안전장구(500)와 상기 안전 자동감시 시스템의 기능이 구현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분석 통신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analysis device 200 is the function of the sensing unit 100, the gate 300, the terminal 400 and / or the safety equipment 500 and the automatic safety monitoring system An analysis communication unit 22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and/or information to be implemented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분석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300)로 상기 게이트(300)의 개폐와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기(400) 및/또는 상기 안전장구(500)로 소정의 정보 및 알람을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acquire the image from the sensing unit 100 through the analysis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gate 300 may transmit a signal related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30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an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or dat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alarms to the terminal 400 and/or the safety equipment 500.

또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안전장구(500), 작업자, 상기 단말기(400), 상기 게이트(300)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상기 분석 메모리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the analysis memory unit 240 for pre-storing data related to the safety equipment 500, the operator, the terminal 400, the gate 300, and the like. Can.

또한, 일례로, 상기 분석장치(200)는 상기 분석 메모리부(240)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와 상기 센싱부(1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매칭하여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분석 제어부(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 as an example, the analysis device 200 performs a function related to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by matching the data stored in the analysis memory unit 240 with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100. The analysis control unit 210 may be further provided.

일례로, 상기 분석 제어부(210)는 상기 안전장구(500)를 제대로 착용했는지, 작업자가 누구인지 등 안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를 연산, 산출, 분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alysis control unit 210 may calculate, calculate, and analyze data for monitoring safety, such as whether the safety gear 500 is properly worn and who is the worker.

일례로, 상기 분서장치는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분석 입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nalysis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nalysis input unit 230 capable of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from an administrator.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안전장구(500)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D)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as an example, the safety equipment 50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D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unit 520 that supplies power. .

또한, 상기 안전장구(500)는 상기 표시부(D)를 제어하는 장구 제어부(5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gear 500 may further include a gear control unit 51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D.

또한, 상기 안전장구(500)는 상기 분석장치(200)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구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the analysis device 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상기 작업공간(S2)에 설치된 CCTV 등을 이용하여 쉽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analyzes the image and monitors the safety of workers, so it is easy to construct a system using a CCTV installed in the work space S2. There is thi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센싱부
200: 분석장치
300: 게이트
400: 단말기
500: 안전장구
100: sensing unit
200: analysis device
300: gate
400: terminal
500: safety equipment

Claims (6)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장치; 및
작업공간의 입구에 배치되는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In the automatic safety detection system for monitoring whether workers wear safety equipment,
A sensing unit sensing an image of a worker;
An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n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And
Includes; a gate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space,
The analysis device,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gat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perator wears the safety gear,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작업자가 누구인지 판단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nalysis device,
Analyzing the image to determine who the worker is,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기 단말기에 알람을 송신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carried by the worker;
The analysis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oes not wear the safety equipment,
Sending an alarm to the terminal of the worker.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안전장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소지하나 소정의 위치에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정보를 송신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safet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analysis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the above safety equipment but is not wearing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analysis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oes not have the above safety equipment,
Do not send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른 작업자의 단말기에 알람을 송신하는,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analysis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oes not wear the safety equipment,
Sending an alarm to another worker's terminal,
Safety automatic detection system.
KR1020180173612A 2018-12-31 2018-12-31 System for automatic safety KR102204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12A KR102204640B1 (en) 2018-12-31 2018-12-31 System for automatic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12A KR102204640B1 (en) 2018-12-31 2018-12-31 System for automatic safe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37A true KR20200082737A (en) 2020-07-08
KR102204640B1 KR102204640B1 (en) 2021-01-19

Family

ID=7160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12A KR102204640B1 (en) 2018-12-31 2018-12-31 System for automatic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6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05B1 (en) * 2020-10-29 2021-01-08 이명희 System for safety monitoring
KR20220043334A (en)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the Workpl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20A (en) * 2011-11-11 2013-05-22 (주)넷투넷 The spo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helmet
KR20170027060A (en)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에스원 Monitering System of Wearing the safety Protector by Using Image Analysis at Hospital and Method thereof
KR101845933B1 (en) * 2017-08-29 2018-05-18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valve ch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420A (en) * 2011-11-11 2013-05-22 (주)넷투넷 The spo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helmet
KR20170027060A (en)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에스원 Monitering System of Wearing the safety Protector by Using Image Analysis at Hospital and Method thereof
KR101845933B1 (en) * 2017-08-29 2018-05-18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valve che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34A (en)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the Workplace
KR102201405B1 (en) * 2020-10-29 2021-01-08 이명희 System for safety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640B1 (en)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en) IOT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the RTLS and Video Control Technology
US20210216773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for safety event detection and visualization
KR101431424B1 (en) Plant system for supporting operation/maintenance using smart helmet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JP6364747B2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1910480B1 (en) Closed-spa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network
KR20190070935A (en) Context-based programmable safety rule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101715001B1 (en) Display system for safety evaluation in construction sites using of wearable device, and thereof method
US20180211345A1 (en) Automated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personal safety
US8212211B2 (en) System for protecting and/or guiding persons in dangerous situations
US20210126972A1 (en) Remote Interface With Type-Specific Handshake For Connecte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9003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pairing of wireless devices
KR101340008B1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JPH1025747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mmunication
KR102152738B1 (en) Wearable Device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00082737A (en) System for automatic safety
KR102080533B1 (en) Safety Diagnosis System for Underground
US11113942B1 (en) Human awareness telemetr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NO20180028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CN104332037A (en) Method and device for alarm detection
KR20210133071A (en) Smart safety costu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9125151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359625B1 (en) Method for operating safety management system of suffocation fire accident prevention devcie
CN1128187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management of product processing system
JP3697816B2 (en) Patrol inspection support system
CN110557501A (en) risk identification rescue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ordination of smart watch and smart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