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58A -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58A
KR20200029258A KR1020180107882A KR20180107882A KR20200029258A KR 20200029258 A KR20200029258 A KR 20200029258A KR 1020180107882 A KR1020180107882 A KR 1020180107882A KR 20180107882 A KR20180107882 A KR 20180107882A KR 20200029258 A KR20200029258 A KR 2020002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terminal
home applian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258A/en
Publication of KR2020002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that connects a device, which unconnected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lready connecte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pre-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통신 기능이 포함된 가전 장치의 통신 연결에 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통신 기능이 포함된 가전 장치는 통신 수단에 연결됨으로써, 통신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동작/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 기능(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통합 감시/제어/편의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선 가전 장치과 통신 수단 간의 통신 연결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가전 장치와 통신 수단 간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The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eans, so that various operations / controls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A typical example is a smart function (integrated monitoring / control / convenience function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household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means must be a premise. That is,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communication means is required, and this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user manipulation.

대부분의 가전 장치는 간소화된 UI 특성상,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하는 간접적인 AP 연결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다. 사용자는 해당 가전 장치가 스마트 기능을 지원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 기능 수행을 위해 통신 연결 수립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통신 연결의 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해당 가전 장치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도 어려운 점이 있었다.Most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e an indirect AP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using a user's terminal due to the simplified UI characteristics, and this method has a limitation that requires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he user often does not even know whether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supports the smart function, and in many cases,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perform the smart function.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mplicated, so that the user has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즉, 종래에는 이러한 한계들로 인해, 스마트 기능을 지원하는 가전 장치의 통신 연결 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가전 장치의 활용성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That is, conventionally,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tself of the home appliance supporting the smart function could not be easily achieved, thereby limiting the usability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즉, 본 명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at is,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hat can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미연결된 장치를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etween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hat can connect a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user interaction.

또한, 통신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과정 없이 간편하게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hat can easily connect communication without a separate process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게다가,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etween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아울러, 원격 제어의 수행을 위한 통신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가 적용되는 가전 장치의 활용성/효용성/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is easily performed, the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which can increase the usability / utility / convenience of the home appliance to which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ppli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기연결된 장치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미연결된 장치를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connected through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pre-conn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구체적으로는, 상기 미연결된 장치가 상기 기연결된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기연결된 장치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한다.Specifically, the unconnected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pre-connected device, receives information for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re-connected device, and connects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reception result.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기연결된 장치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mean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with the pre-connected device.

이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기연결된 장치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a solution means to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with the pre-connected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is solv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기연결된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미연결된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또는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가전 장치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technical features are applied to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device,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is alread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r applied to a home appliance device included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an be.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또한,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또는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가전 장치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technical features may also includ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device, a devic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preset, and a devic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established, or a home appliance device included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t can be applied and implement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가전 장치, 상기 가전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가전 장치를 원격/스마트 제어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상기 가전 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가전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상기 가전 장치의 통신 수립 방법, 상기 가전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수립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를 제공한다.The above technical features include a home applian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other devices,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 smartl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including one or more home appliances, a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device, a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Th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control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Provides an embodiment of the method.

상기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의 실시 예는, 외부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장치에서 송신되어, 상기 미설정된 장치의 정보가 포함된 제 1 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통신 결과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여,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 간에 통신을 연결시킨다.In the embodiment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technical features as a solution to proble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is prese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from a devic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established, and a firs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is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and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result, so that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nestablished device.

또한, 상기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의 실시 예는, 외부의 단말기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기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 1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장치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technical features as a solution to problems, a communication device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s pre-connected, And a first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device not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second device generates a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t transmits to the first device, and connects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아울러, 상기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는, 외부의 단말기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기연결된 제 1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으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신호에 대응한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 technical features as a solution to a problem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a home appliance system including a first device connected and a second device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second device generates a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generate the first signal. Transmitting to a device, generating, by the first device, a second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terminal; Receiving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wherein the first device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Generating a fourth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device, and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ourth signal by the second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또는 분리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이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 예들이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Embodiment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separately, one or more embodiments are combined It may be carried out. In addition, other embodiment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들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용 장치, 상기 가전용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가전용 장치의 통신 시스템, 상기 가전용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상기 가전 장치의 통신 방법,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방법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s described above include a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system of the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It may be applied to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for remote control,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Howev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nd implemented in all of the home appliance devices,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to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technology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기연결된 장치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미연결된 장치를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상기 미연결된 장치의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connecting a device without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devic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pre-connec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connected device without manipulation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통신 연결 수립을 위한 별도의 수단/과정 없이 간편하게 상기 미연결된 장치를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connecting the unconnected devi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separate means / proces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통신 장치와의 통신이 기연결된 장치가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미연결된 장치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be established by allowing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has already been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terminal so that the unconnected device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automaticall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원격 제어의 수행을 위한 통신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통신 연결을 통한 원격 제어가 적용되는 가전 장치의 활용성/효용성/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cilitated by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home appliance applied with remote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utility /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mmunication sequen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given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전 장치,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의 실시 예들을 순서대로 구분하여 설명하되, 각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order, but the overlapping part i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가전 장치><Home Appliance>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장치]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r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terms used are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 used, it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상기 가전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 장치를 의미한다.The home appliance means a home appliance used at home.

상기 가전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용 장치일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be a household appliance used at home.

예를 들면, 세탁기, 청소기, 정수기, 조리기기, 냉장고, 조명장치,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디스플레이 장치, 컴퓨터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water purifier, a cooking appliance, a refrigerator, a lighting device, an air conditioner, an air cleaner, a display device, a computer, and the like.

상기 가전 장치는, 가정 내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be a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상기 가전 장치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치일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가전 장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가전 장치가 설치된 영역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거나, 상기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an area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이를테면, 스마트 가전 시스템에 포함되어, 상기 스마트 가전 시스템을 통해 원격에서 통합 감시/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included in a smart home appliance system, and can be remotely monitored / controlled through the smart home appliance system.

상기 가전 장치는, 가전 시스템과 연결되는 통신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전 시스템과 통신하게 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mmunicate with the home appliance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상기 가전 장치는, 상기 가전 시스템과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system.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은, 상기 가전 시스템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Here, the user's terminal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on which the home appliance system is operated.

즉, 상기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조작될 수 있다.That is, the home appliance and the home appliance system can be remotely controlled / managed by the user's terminal.

상기 가전 장치는, 상기 가전 장치가 설치된 영역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devices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상기 가전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단말기(1000)와 연결된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 및 상기 통신부(11)의 통신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ome appliance 10 ha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100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1000, and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for communicating with and a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

즉, 상기 가전 장치(1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home appliance 10 ha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와 같은 상기 가전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10 may be a device included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s shown in FIG. 2.

여기서, 상기 가전 제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전 장치(10) 및 상기 가전 장치(10) 외의 다른 가전 장치(20)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1000)를 통해 상기 가전 장치(10 및 20)를 원격에서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s shown in Figure 2, including the home appliance 10 and the other home appliance 20 other than the home appliance 10,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terminal 1000 It may mean a system for remotely and integrally controlling (10 and 20).

상기 통신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통신 장치(100)와 상기 단말기(1000)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망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network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00 are connected.

상기 통신망은, 통신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단말기(1000) 간의 통신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mean a commun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00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연결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be a mobile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가전 장치(10)가 설치된 영역의 장치를 통합으로 원격 감시 및 제어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user who remotely monitors and controls devices in an area where the home appliance 10 is installed.

이에 따라 상기 가전 장치(10)는,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me appliance 1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be controlled by the terminal 1000.

상기 통신 장치(100)는, 상기 단말기(1000) 및 상기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the connected device.

예를 들면, 와이 파이(Wi-Fi) 모듈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 Wi-Fi module.

이에 따르면 상기 가전 장치(10)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신 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home applian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 장치(100)는,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a device for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reset.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0)는, 상기 기설정된 장치와 상기 단말기(1000)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t device and the terminal 1000.

즉, 상기 통신 장치(100)는, 상기 가전 장치(10)와 상기 단말기(1000)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10 and the terminal 1000.

상기 가전 장치(10)는, 이와 같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한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10 ha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e.

상기 가전 장치(10)에서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가전 장치(10)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10,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가전 장치(10)에서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10,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경우,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set.

상기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경우는,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이 확인되어, 상기 단말기(1000)에 상기 통신 연결이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rese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nfirmed from the terminal 1000,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0.

상기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경우는, 상기 가전 장치(10)가 상기 통신 장치(100)의 연결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연결 정보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re-set, the home appliance 10 may stor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so that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y the connection information.

이를테면,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식별 정보 또는 암호 정보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승인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uthorized b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encryp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so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상기 통신부(11)는, 외부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receive an external signal.

이를테면, 상기 통신 장치(100)에서 송신된 신호, 또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configured device 20 may be received.

상기 통신부(11)는 또한, 상기 가전 장치(1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also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the home appliance 100 to the outside.

이를테면, 상기 제어부(12)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100), 또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로 송신하게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or the unestablished device 20.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

즉, 상기 통신부(11)의 통신 수행은,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

상기 가전 장치(10)에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가전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10, the control unit 12 may be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가전 장치(10)의 중앙 처리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가전 장치(10)의 정보를 연산 및 처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may be a device that calculates and processes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통신부(11)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00.

이와 같은 상기 통신부(11) 및 상기 제어부(12)를 포함하는 상기 가전 장치(10)에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장치(20)에서 송신되어,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정보가 포함된 제 1 신호가 상기 통신부(11)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통신 결과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제어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간에 통신을 연결시킨다.In the home appliance 1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control unit 12, the control unit 12 is transmitted from the device 20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not established. When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unconfigured device 20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and the unset By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20,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unestablished device 20.

즉, 상기 가전 장치(10)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및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이 연결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home appliance 10 may communicate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nd the terminal 1000 so that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controlled to connect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e.

여기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가전 장치(10)와 같은 가전용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unestablished device 20 may be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가전용 장치일 수 있다.The unestablished device 20 may be a home applianc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unestablished.

상기 제어부(12)가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및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간에 통신을 연결시키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The process in which the controller 12 communicates with the unconfigured device 20 and the terminal 1000 to conn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unset device 20 is as illustrated in FIG. 3. It can be the same.

상기 제어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상기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서 송신(B0)되어,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통신부(11)에 수신(B1)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B2 및 B3)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as shown in Figure 3,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transmitted (B0) from the unestablished device 20 that is not established, the unestablished device 20 of the When the firs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is received (B1) by the communication unit 11,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00 (B2 and B3)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여기서, 도 3에서 B0 및 B5 블록은,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서 수행되는 과정이고, B1 내지 B4 블록은, 상기 가전 장치(10)에서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Here, in FIG. 3, blocks B0 and B5 are processes performed in the unconfigured device 20, and blocks B1 to B4 may be processes performed in the home appliance 1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B1)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B2 및 B3)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1), the controller 12 identifies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determines a state, and determines the stat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B2 and B3) with the terminal 1000.

여기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서 생성된 신호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nd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단말기(1000)에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의 식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identification of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00.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type of device of the unset device 20.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unset device 2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B1)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1),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one or m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possible device.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B1)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B2 및 B3)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1), the controller 12 identifies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and determines the state. As a result, the unestablished device ( When 2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communication (B2 and B3) with the terminal 1000 may be controlled.

즉,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B2 및 B3)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unconfigured device 2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unconfigured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n the case of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00 (B2 and B3) may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B2)하고,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제 3 신호를 수신(B3)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generates a second signal for a connection request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Transmitting (B2), and receiving a third signal for the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B3).

즉, 상기 가전 장치(10)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 경우,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B2)하고,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B3)하도록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게 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nset device 2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home appliance 10 may transmit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to the terminal 1000. To (B2), an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to receive (B3) the third signal for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되도록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for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so that the unconfigured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상기 제 2 신호는 또한, 상기 제어부(12)가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may also include a result of the control unit 12 determining whether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first signal.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receive the second signal and confi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the second signal.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제 2 신호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 요청을 확인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확인에 대한 상기 제 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check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generates the third signal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You can.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third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에 대한 상기 제 3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3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가전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generates the third signal for the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nd transmits the third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can do.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제어(B4)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 may receive the third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and control (B4)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결과, 상기 제 3 신호에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이 확인된 경우,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제어(B4)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unconfigured device 20 when the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confirmed in the third signal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 B4) You can.

여기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결과, 상기 제 3 신호에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이 미확인된 경우,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보류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2,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if the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n the third signal is not confirmed, the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Can be withheld.

이 경우,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이 상기 단말기(1000)에서 미승인된 것으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에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이 미확인된 경우,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보류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되지 않게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not approved by the terminal 1000, and the controller 12 has not confirmed the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n the third signal. In this case,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suspended, so that the unestablished device 2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0)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B4)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generates a fourth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and transmits the fourth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to the unconfigured device 20 ) (B4).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에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의 승인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B4)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 generates the fourth signal when the 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confirmed in the third signal, and generates the fourth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It is possible to transmit (B4) to the unestablished device 20.

상기 제 4 신호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상기 연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ourth signal may include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가전 장치(1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의 근거가 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the home appliance 10 i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되기 위한 정보로, 이를테면,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 시에 요구되는 암호 정보일 수 있다.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for example, may be encryption information required when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가전 장치(1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된 근거가 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the home appliance 1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s a predetermined basis.

즉, 상기 가전 장치(10)는, 상기 연결 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될 수 있다.That is, the home appliance 10 may hav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 연결이 설정되도록,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의 근거가 되는 상기 연결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 includ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so that the unestablished device 2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 fourth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nconfigured device 2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B4)하고,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B5)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generates the fourth signal, transmits the fourth signal to the unconfigured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B4), and the unconfigured device 20 comprises: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B5)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ourth signal.

즉,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가전 장치(10)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른 상기 가전 장치(10)의 통신 결과에 해당하는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가전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 4 신호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 연결이 설정(B5)됨으로써, 상기 가전 장치(10)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nestablished device 20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10 and transmits the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result of the home appliance 10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10,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5)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fourth signal,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home appliance 10 It becomes possible.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이 연결된 후,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unconfigured device 20 may generate a fifth signal for a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0 after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 경우,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제 5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게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established device 2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o transmit the fif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

상기 제 5 신호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되었음을 상기 단말기(1000)에 확인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fifth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confirmation from the terminal 1000 that the unconfigured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5 신호는,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 연결이 설정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fth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ic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has established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제 5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통신 연결 확인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receives the fifth signal, confirms that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ransmits a signal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nconfigured device 20.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는,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제 5 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The unestablished device 20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fth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and, according to a reception result,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통신 장치(100)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간에 통신을 연결시키는 상기 제어부(12)의 보다 구체적인 통신 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A more specific communication sequence of the control unit 12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unestablished device 2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as shown in FIG. 4.

상기 제어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B1)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S1)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control unit 12 identifies the unconfigured device 20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1). The determination (S1), and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S1)한 결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장치에 해당하고,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하는 경우(S2),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의 연결 요청에 대한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S3)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S4)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 identifies the unestablished device 20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determines the state (S1). As a result, the unestablished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f the device corresponds to an unestablished device and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S2), the second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unestablished device 20 is generated (S3). , The second signal may be transmitted (S4)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후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S5)한 결과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 may control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20 according to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S5) for confirming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S5)한 결과,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이 승인(S6)된 경우, 상기 통신 장치(100)의 상기 연결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4 신호를 생성(S7)하여,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20)에 송신(S8)할 수 있다.As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S5), the controller 12 receives the fourth signal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is approved (S6). By generating (S7), the fourth signal may be transmitted (S8) to the unconfigured device 20.

상기 제어부(12)가 이와 같이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상기 단말기(1000)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20) 순으로 통신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미설정된 장치(20)가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 연결이 설정(S9)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communication in the order of the unconfigured device 20, the terminal 1000, and the unconfigured device 20, so that the unconfigured device 20 is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As a result,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established (S9).

<가전 제어 시스템><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이하,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한다)의 실시 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가전 장치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하여 상기 시스템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parts that are common / duplicate with those described in the home appliance described above ar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은 상술된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Home appliance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r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or below-described embodiment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terms used are only specific embodiments It is used to describe, it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상기 시스템은, 가정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The system may be a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one or more household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상기 시스템은, 가정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The system may be a system in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one or more household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to control one or more household appliances.

상기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 또는 제어 전용 단말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스마트 가전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The system may be a user's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home applian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smart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one or more home appliances through a dedicated control terminal.

상기 시스템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가전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The system may be a smart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home appliance capabl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상기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가전 장치(10)가 설치된 실내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가전 장치(10)가 상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가전 장치(10)에 상기 시스템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system is a system for controlling a room in which the home appliance 1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home appliance 10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system, or the home appliance 10 may have the system. It may be applied.

상기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단말기(1000)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100),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는 제 1 장치(10) 및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ystem 1 is a communication device 100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1000 and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connected. A first device 10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a second device 20 not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re included.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시스템(1)을 통합 제어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user who integrally controls the system 1.

상기 단말기(1000)는 또한, 상기 시스템(1)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The terminal 1000 may also be a control-only terminal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system 1.

상기 단말기(1000)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0 ′.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00)와 연결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may communicate with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 장치(100)는, 상기 단말기(1000) 및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통신 장치(100)는, 상기 제 1 장치(10)의 통신이 기연결되어, 상기 단말기(1000) 및 상기 제 1 장치(1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communication of the first device 10 is pre-connecte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0 and the first device 10 can be relayed.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10 및 20)는, 가전 장치일 수 있다.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s 10 and 20 may be household appliances.

예를 들면, 세탁기, 청소기, 정수기, 조리기기, 냉장고, 조명장치,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디스플레이 장치, 컴퓨터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water purifier, a cooking appliance, a refrigerator, a lighting device, an air conditioner, an air cleaner, a display device, a computer, and the like.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10 및 20)는, 상기 시스템(1) 내의 다른 장치와 통신이 연결되는 가전 장치일 수 있다.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s 10 and 20 may be home appliances that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in the system 1.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set,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connected.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ecause communication is previou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미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not established,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not connected.

이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100), 상기 제 1 장치(10) 및 상기 제 2 장치(20)를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10)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장치(10)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1 including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first device 10, and the second device 20, the second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 first signal for a connec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10, and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a communication result with the first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do.

즉,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제 1 장치(10)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하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device 20 may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device 1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제 1 장치(10)와 통신하여, 상기 제 1 장치(10)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device 10 to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communication result with the first device 10.

상기 제 2 장치(20)는, 제 1 통신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장치(10)와 통신하고, 제 2 통신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operate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evice 10, and operate in a second communication mode to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1 통신 모드는, 상기 제 2 장치(20)가 통신 연결 노드로 동작하여,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는 모드로, 이를테면 AP 모드일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econd device 20 operates 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node and transmits a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for example, an AP mode.

상기 제 2 통신 모드는, 상기 제 2 장치(20)가 통신 대상으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로, 이를테면, Client 모드일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econd device 20 operates as a communication target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for example, a client mode.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이 연결되는 구체적인 통신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In the system 1, a specific communication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device 2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as illustrated in FIG. 5.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상기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된 상기 제 1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generates the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first device 10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lready connected. You can.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2 장치(20)에서 송신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receives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evice 20, identifies the second device 20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 determines the state, and determines the resul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20)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may generate a second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2 장치(20)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20)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 가능한 장치인 경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state by identifying the second devic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20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the first device 10 is the second device 20 When is a device connectabl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second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한 후,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제 3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terminal 1000, receives the third signal for the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It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evice (20).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결과, 상기 제 3 신호에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연결 확인이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 장치(100)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when the third signal includes a connection confirmation for the connection request, a fourth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제 2 장치(20)에 송신한 후,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제 4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device 10 transmits the fourth signal to the second device 20, the second device 20 receives the fourth signal and communicates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100.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와의 통신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device 2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이 연결된 후,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After th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second device 20 may generate a fifth signal for a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 5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transmit the fif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 5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한 후,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제 5 신호에 대응한 제 6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transmits the fif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n receives a six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fth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can do

상기 제 6 신호는,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된 상기 제 2 장치(20)의 동작 확인 요청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The sixth signal may be a signal for an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2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제 6 신호는, 상기 제 2 장치(20)의 특정 동작 수행을 요청하여, 상기 특정 동작의 수행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0)와 연결된 상기 제 2 장치(20)의 상태를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sixth signal may be a signal for requesting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of the second device 20 and confirming the state of the second device 2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operation. have.

이를테면, 상기 제 2 장치(20)가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요청하여, 상기 제 2 장치가 요청에 따라 특정 동작이 수행된 경우, 상기 제 2 장치(20)의 통신 및 제어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확인하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evice 20 requests a specific operation to be performed, so that when the second device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status of the second device 20 is confirmed to be normal. Can be.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동작 확인 요청에 대한 제 6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확인에 대한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receives the six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and generates a seven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so that the terminal 1000 Can be sent to.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동작된 경우, 상기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When operated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the second device 20 may generate the seventh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7 신호는, 상기 제 6 신호에 따른 동작 결과에 대한 신호로,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동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The seventh signal is a signal for an oper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and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cond device 20 has been operated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단말기(1000)가 상기 제 7 신호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device 20, the terminal 1000 receives the seventh signal, so that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can be completed.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이하, 연결 방법이라 칭한다)의 실시 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가전 장치 및 가전 제어 시스템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하여 상기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ut is a common / overlapping part as described in the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상술된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r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or below-described embodiment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상기 연결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전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일 수 있다.The connection method may b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home appliance devices.

상기 연결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단말기(1000)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100),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된 제 1 장치(10) 및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20)를 포함하는 가전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1)의 통신 연결 방법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method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00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1000 and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a first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viously connected ( 10)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system including a second device 2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may be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the system 1 as described above.

상기 연결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10)에 송신하는 단계(S1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20)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2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제 2 신호에 대응한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100)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20)에 송신하는 단계(S40) 및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In the connection method,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device 20 generates a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device 10. (S10), the first device 10 generates a second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20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1000 (S20) , The first device 10 receiving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S30), the first device 10 is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Generating a fourth signal contain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1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device 20 (S40) and the second device 20 is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ourth signal And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S50).

상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 방법은,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2 장치(20) 및 상기 단말기(1000)와 통신하여, 상기 제 2 장치(20)를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In the connection method including the above steps, in the system 1, the first device 1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device 20 and the terminal 1000, so that the second device 20 It may be a method of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상기 연결 방법의 구체적인 통신 관계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The specific communication relationship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ethod may be as illustrated in FIG. 5.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1 장치(10)에 송신하는 단계(S10)는, 상기 제 2 장치(20)에서 상기 제 1 장치(1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step S10 of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first device 10,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device 20 to the first device 10 may be performed.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상기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이 기연결된 상기 제 2 장치(10)에 송신(S10)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generate the first signal for the connection request,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device 10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viously connected (S1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20)는, 상기 제 1 장치(10)에서 상기 단말기(100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Step S20 in which the first device 10 generates the second signal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1000 (S20) is performed from the first device 10 to the terminal 1000.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20)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S20)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 may generate a second signal fo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20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0 (S2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는, 상기 단말기(1000)에서 상기 제 1 장치(1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irst device 10 receives the third signal from the terminal 1000 (S30),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from the terminal 1000 to the first device 10.

상기 단말기(1000)는, 상기 제 2 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요청을 확인하여, 상기 연결 요청의 승인에 대한 상기 제 3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10)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S30)하게 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0 checks the connection request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generates the third signal for the approval of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s it to the first device 10, and sends the first device (10) may receive the third signal (S30).

상기 제 1 장치(10)가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20)에 송신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 1 장치(10)에서 상기 제 2 장치(2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p (S40) of the first device 10 to generate the fourth signal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device 20 (S40), the first device 10 in the second device ( 20) communication can be made.

상기 제 1 장치(10)는, 상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결과,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상기 단말기(1000)의 연결 승인이 확인된 경우, 상기 통신 장치(100)에 연결되기 위한 상기 연결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20)에 송신(S40)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approval of the terminal 1000 to the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third signal, the first device 10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included fourth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0 (S40).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S50)는, 상기 제 2 장치(20)에서 상기 통신 장치(10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ep S50 of the second device 20 connecting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from the second device 2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e.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통신 장치(100)와 통신을 연결(S50)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y attemp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S50).

상기 연결 방법은, 상기 제 2 장치(20)가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60) of the second device 20 generating a fifth signal for the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1000.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제 5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60)는,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통신 장치(100)에 통신을 연결한 후, 상기 통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20)에서 상기 단말기(1000)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tep (S60) of the second device 20 transmitting the fif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after the second device 20 connects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from the second device 20 to the terminal 1000 through the device 100.

상기 연결 방법은 또한,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동작 확인 요청에 대한 제 6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확인에 대한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thod may also include receiving a sixth signal for an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1000 (S70) and generating a seven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to generate the terminal 1000.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S80).

상기 제 6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 7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80)는, 상기 제 2 장치(2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p of receiving the sixth signal (S70)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ven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S80)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device 20.

상기 제 2 장치(20)는, 상기 제 2 장치(20)가 상기 제 5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60), 상기 제 6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 7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0)에 송신하는 단계(S8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에 대한 최종 확인을 받아, 상기 통신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device 20, the second device 20 transmits the fifth signal to the terminal 1000 (S60), receives the sixth signal (S70), and the seventh device. Through the step (S80)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terminal 1000, the terminal 1000 receives the final confirmation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completed. It becomes possibl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e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전 장치(제 1 장치) 11: 통신부
12: 제어부 20: 가전 장치(제 2 장치)
100: 통신 장치 1000: 단말기
10: home appliance (first device) 11: communication unit
12: control unit 20: home appliance (second device)
100: communication device 1000: terminal

Claims (17)

외부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기설정되어,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미설정된 장치에서 송신되어, 상기 미설정된 장치의 정보가 포함된 제 1 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통신 결과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여,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미설정된 장치 간에 통신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s transmitted from an unestablished device, and a firs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unestablished device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result, thereby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nestablishe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t is a mobile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e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설정된 장치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identifies the unconfigured device, determines a state, and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의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제 3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미설정된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a second signal for a connection request of the unestablished device is generated,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third signal for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un-established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4 신호를 상기 미설정된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미설정된 장치는,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 fourth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and the fourt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nconfigure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unconfigured device,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설정된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이 연결된 후,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unconfigured device,
After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generating a fifth signal for the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외부의 단말기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기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 1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장치와의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A communication device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A first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cludes,
The second device,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st device, and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signal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제 1 통신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장치와 통신하고,
제 2 통신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device,
Operating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evi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operating in a second communication mode and connecting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를 식별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evi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omprising receiving the first signal, determining the status by identifying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and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의 확인에 대한 제 3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second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a third signal for confirmation of the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제 3 신호에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연결 확인이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4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device,
When the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request is included in the third signal,
Generating a fourth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device,
The second device,
And receiving the fourth signal to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이 연결된 후,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device,
After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fifth signal for a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동작 확인 요청에 대한 제 6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확인에 대한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device,
And receiving a six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even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to the termi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동작된 경우,
상기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device,
When operated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vent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외부의 단말기 및 통신이 연결된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기연결된 제 1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이 미연결된 제 2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제 1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 2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제 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신호에 대응한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제 3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포함된 제 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기 연결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신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어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
A communication device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device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A first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system comprising; a second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Generating, by the second device, a first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first device;
Generating, by the first device, a second signal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second device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terminal;
Receiving, by the first device,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gnal from the terminal;
Generating, by the first device, a fourth signal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device; And
And connecting, by the second device, the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ourth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연결 확인 요청에 대한 제 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And generating, by the second device, a fifth signal for a connection confirmation reques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동작 확인 요청에 대한 제 6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6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 확인에 대한 제 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Receiving a sixth signal for an operation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And
And generating a seventh signal for the oper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sixth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KR1020180107882A 2018-09-10 2018-09-10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202000292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82A KR20200029258A (en) 2018-09-10 2018-09-10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82A KR20200029258A (en) 2018-09-10 2018-09-10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58A true KR20200029258A (en) 2020-03-18

Family

ID=6999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82A KR20200029258A (en) 2018-09-10 2018-09-10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2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5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settings confirmation/change method used therefor
US9769245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a domestic appliance, and a system comprising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US20120331156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CA2919102C (en) Environment control device (ecd)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ecd to operate a wi-fi communication interface
JP2016524422A (en) Configuration connection device
US20220404814A1 (en) Remote Activation of the Wireless Service Interface of a Control Device Via a Radio Interface
KR101620260B1 (en)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19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ic and Secure Troubleshooting of Appliances Using Wireless and Mobile Network
KR1017724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s using wirelee lan
US9979811B2 (en) Controll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 system
JP2023091045A (en) Home appliance system and home appliance
KR20200029258A (en)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1667027B1 (en) One-stop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TWI571132B (en) Connection setting device and method
TW201532456A (en) Connection enabling method of wireless control system
JP7336857B2 (en) CONTROL SYSTEM,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71236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5376336A (en) Ground heating device matching method based on two-dimension code binding IP
KR100640826B1 (en) Method of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s
TW201939977A (en) Router connec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machine control system support connection of a communication object to a router of a connection end of the communication object when the communication machine of the object is connected to any of a plurality of routers
KR100411792B1 (en) Control apparatus for home automation and therof method
JP2019129395A (en) Relay device, router,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892757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JP6749493B2 (en)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nd program
KR100792076B1 (en)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