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501A -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501A
KR20200006501A KR1020190082157A KR20190082157A KR20200006501A KR 20200006501 A KR20200006501 A KR 20200006501A KR 1020190082157 A KR1020190082157 A KR 1020190082157A KR 20190082157 A KR20190082157 A KR 20190082157A KR 20200006501 A KR20200006501 A KR 2020000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data
information
land use
re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4048B1 (en
Inventor
송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0000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viewing a land use plan based on GIS capable of deriving a development unavailable area and a development available area by matching information on regulations related to land where to establish a land use plan with GIS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for corresponding land and reviewing and providing a land development method through analysis of regulations related to land development for a development available area. The system comprises a collection unit, a limited data generation unit, and a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Description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토지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해당 토지에 대한 GIS 기반 지리 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개발 불가능 지역과 개발 가능 지역을 도출하고, 또한 개발 가능 지역에 대한 토지 개발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토지 개발 방식을 검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mpossible to develop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n land to establish a land use plan by matching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n the l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viding land and development areas, and reviewing and providing land development methods through analysis of laws related to land development for development areas.

근래에는 급속한 도시성장과 함께,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것이 새로운 도시 성장 관리의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였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ities with rapid urban growth has emerged as a paradigm of new urban growth management.

이에, 지자체, 공사, 민간 건설사 및 시행사는 매년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고 있으며, 중견 이하의 건설사 역시, 이러한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소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construction companies, private builders, and developers conduct reviews every year to develop sustainable cities, and subcontractors are also seeking ways to develop small cities in line with this paradigm. .

한편 이러한, 지속 가능한 도시의 개발 방안 및 소규모 도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은 토지 이용 계획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은 교통 계획, 시설 계획, 공원 녹지 계획과 더불어 도시 계획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plans for developing sustainable cities and developing small cities include land use plann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 of urban planning along with transportation planning, facility planning and park greening planning. It is considered part.

이때, 토지 이용 계획이란, 일반적으로 계획 구역 내의 토지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계획으로, 도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들의 양적 수요를 예측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계획 작업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land use plan is generally a plan for determining how to use land in the planning area, and refers to a planning work for predicting and rationally arranging quantitative demands of various activities in urban space.

한편,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와 함께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각의 토지 이용 계획 내에 포함되는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해야 했으므로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establishing such a land use plan, it requires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planning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underground facilities, etc. In the past, the planning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land use plan is collected to collect such related information. Since the information had to be collected one by on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ook too much time and effort.

아울러, 연간 계획되는 다수의 토지 이용 계획이 모두 실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not all of the land use plans planned annually are implemen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inefficient to spend a lot of effort and tim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planning area.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긴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 및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집할 뿐, 이러한 시스템 역시, 계획 구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및 예상 비용 정보 등을 일일이 검토하고 산출해야 하므로, 여전히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cent years, a system utiliz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ut this is simply related to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planned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In addition, this system, too, still requires too much time and effort in the process, since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and estimated cost information of the planning area must be reviewed and calculated.

또한, 지리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토지 이용 계획에 포함되는 계획 작업을 지리 정보 시스템에 일일이 반영시켜,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의 실질적 실행 가능성을 검토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lanning work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must be reflec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the land use plan must be exam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789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17898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토지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해당 토지에 대한 GIS 기반 지리 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개발 불가능 지역과 개발 가능 지역을 도출하고, 또한 개발 가능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의 분석을 통해 토지 개발 방식을 검토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p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n the land for which the user intends to establish a land use plan with the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n the land, and to derive the undeveloped area and the developable area, and also the developable area. It is to provide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that can review land development methods and provide them to users through analysis of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about the government.

또한, 토지 이용 계획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다수의 유사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객관적이고 신속한 검토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GIS base can provide objective and rapid review results by reviewing a number of similar land use plans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land use plans. To provide a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아울러, GIS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해당 토지 이용 계획의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동일한 토지 위치 정보 또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한 검토 요청 시, 신속한 검토 결과와, 검토 결과의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result of the review of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of the land use plan using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when requesting the review of the same land location information or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later, It is to provide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a rapid review and a history of the review resul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고,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land use plan data from a user terminal, and performs geography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a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And a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for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generating review data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검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review data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 정보 및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base may store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review data information on land use plan data, and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may review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You can change 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검토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when generating the review data,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about land classified as available land may be included in the review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extracts a keyword associated with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containing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r from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May be extracted and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수집부에서 수집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llected by a collector or stored in a datab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에 대한 공적 규제 사항, 용도 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개발 법령에 대한 적용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may include public regulations on the land,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use,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is not applicable, and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la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은, 수집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한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고,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 collection plan data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llection unit, and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enerating, by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And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rough a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and generating review data on the land use plan dat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It can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제공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검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review data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to a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 정보 및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rough a databa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review data information on the land use plan data, and the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는 단계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the database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And changing the review data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stored in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검토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view data through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when generating the review data, the land indicating whether the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available or not And includ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bout land classified as available land,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in the review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ep of generating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through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web page including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r extracting a keyword related to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rom a text file, or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genera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수집부에서 수집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llected in a collection unit or stored in a datab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에 대한 공적 규제 사항, 용도 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개발 법령에 대한 적용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nd-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may include public regulations on the land,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use,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is not possible, and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la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지 이용 계획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GIS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와,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가능케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for objective review of the land use plan and the cost expected to be consumed By calculating and providing,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that enable more objective judgment of land use plans.

또한, 머신 러닝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토지 이용 계획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다수의 유사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유사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신속한 검토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a plurality of similar land use plans are reviewed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Provided ar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s and methods that can provide more objective and rapid review of land use plans.

아울러, GIS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해당 토지 이용 계획의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동일한 토지 위치 정보 또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대한 검토 요청 시, 신속한 검토 결과와, 검토 결과의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result of the review of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of the land use plan using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when requesting the review of the same land location information or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later,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s and methods are provided to provide rapid review results and a history of review results.

또한, 토지 이용 계획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GIS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토지에 적용 가능한 토지 개발 방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토지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여 해당 토지의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GIS-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th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pplicable to the land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to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nd system is provided for developing a development plan.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수신 및 검토 데이터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데이터에 대한 좌표계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land use plan data and providing review data that can be made through a user terminal of a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process for draw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further included by adding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A and 1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도 1a 및 1b에 도시된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However,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shown in FIGS. 1A and 1B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necessary. Note that can be added, changed or deleted.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은 수집부(110),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로서 제공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A and 1B,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llector 110, a restriction data generator 120, and a land use plan data processor 1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viding unit 140 and the database 150 as a component.

도 1a를 참조하여 수집부(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the collecting unit 110 is described. The collecting unit 110 receives land use pla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land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Based on th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t can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이때, 수집부(1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신하고,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receive land use plan data and land-related law information and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land-related law information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및 지리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업로드 되고,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로부터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직접 업로드 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불러오기를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land use planning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ay be uploaded directly from the user, and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may be uploaded directly from the supplier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20 or by importing from a database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llected.

아울러,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10) 및 공급자 단말(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및 데스크 탑 등 유선 및 무선 통신의 사용이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rovider terminal 20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smart phones, tablets, laptops and deskt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Be careful.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술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수신 및 검토 데이터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상기 도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현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수신 및 검토 데이터 제공 과정의 한 예로서, 상술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수신 및 검토 데이터 제공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ubsequently, the above-described land use plan data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and 3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land use plan data and providing review data that can be mad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of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the drawings may be output and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2 and 3 are examples of a process of receiving land use plan data and providing review data, which are represented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of providing the review data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사용자(예컨대, 발주자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 상에선 사용자라 통칭함)가 개발하려는 토지 위치 정보(도 2의 A) 및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용 가능한 개발 방식 정보(도 2의 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토지 데이터에 대한 범위 정보(도 3의 F)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and use plan data will be described. The land use plan data may include land location information (FIG. 2, which may mean a client, bu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user in this specification). A) and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selectable by the user (E of FIG. 2), and also range information on the land data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FIG. 3). F).

또한, 토지 위치 정보가 도 2의 A 영역에 입력되는 경우, 도 2의 B 영역을 통해 해당 토지에 대한 토지 대장 정보도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공되는 토지 대장 정보는 후술되는 비용 산출 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land posi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area A of FIG. 2, land accou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and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the area B of FIG. 2, and the land account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based on the cost calcula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used as.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서울 모처(토지 위치 정보)에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와, 토지 데이터에 대한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nd use plan data may includ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 ecological park at Seoul Mocher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range information on the land data.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지 위치 정보,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토지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수집부(110)는 해당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Note that the land use plan data is not limited to including land position information,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range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For example, the land use plan data may include only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lan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one or mor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clu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th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 whereby the user lands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can be applied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토지 개발 방식 정보(도 3의 E)는 직접 입력 항목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토지 개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된 개발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토 데이터의 일부로서 토지 개발 방식에 대한 가능, 보류 또는 불가 판정을 내린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E of FIG. 3) of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land development method selected directly by the user through a direct input item. For this selected development scheme, the result of making a possible, withholding or not decision on the land development scheme may be provided as part of the review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개발 방식 정보(도 3의 E)는 시스템 분석 항목을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포괄적인 개발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포괄적인 개발 유형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유형에 포함되는 토지 개발 방식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 마찬가지로 개발 방식에 대한 가능, 보류 또는 불가 판단에 대한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가 포함되는 검토 데이터는 후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부(14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E of FIG. 3) of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comprehensive development typ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 system analysis item. I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type is selected by the user, an analysis of the land development methods included in that type may be performed to likewise provide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possible, withholding or not possible for the development method. The review data inclu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or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by the provider 140.

또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범위 정보는 도 3의 F 구역 좌측에 표현된 TOOL 내의 범위 설정 버튼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범위 설정 기능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상술한 범위 정보를 설정 또는 재설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설정 버튼을 통해 범위 설정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사용자는 도 3의 F 영역에 표현되는 토지 데이터에 대해서 경계를 그리는 방법으로, 정보가 필요한 토지의 범위를 설정하여 범위 정보를 만들고 원하는 구역에 대한 토지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또한, 도 3의 F 영역에서 표현되는 범위가 설정된 토지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는 범위 설정 기능을 통해 범위 정보를 더 추가하여 상기 범위의 구역을 세분화 하고, 세분화된 구역 각각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range information of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is activated by the range sett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range setting button in the TOOL represented on the left side of the F zone of FIG. You can set or reset the information. In addition, if the range setting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range setting button, the user draws a boundary for the land data represented in the area F of FIG. Receive land information for.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land in which the range set in the area F of FIG. 3 is set, the user may further add the range information through the range setting function to subdivide the area of the range and receive information on each of the subdivided areas. Can be.

한편 도 3를 참조하면, 토지 데이터(도 3의 F)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가 반영되는 데이터이고, 지리 정보 데이터에는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각종 지리 정보가 수치화되어 포함되며,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리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 정보 데이터는 특정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의 서버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이상,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land data (F of FIG. 3) is data in which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reflected, an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cludes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land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digitized form, and may refer to data that may provide analysis and synthe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land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eospatial data may include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for a particular land location information, underground facilities, and may be collected from a server or storage medium storing the geospatial dat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structure that i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술한 직접 입력 또는 시스템 분석을 통해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어 설정 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각 세부 항목에 마우스 오버와 같은 미리 보기 동작을 실행하면, 선택된 각 세부 항목 별로 해당되는 범위에 대한 시각 정보가 도 3의 F 영역을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설정된 세부 항목에 따라 서로 중복되는 구역에 대한 정보 또한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tailed item is selected and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direct input or system analysis, or when the user executes a preview operation such as a mouseover on each detail i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 range corresponding to each selected detail item The visual information about may be represented through the region F of FIG. 3, through which information on the overlapping regions may also be known according to the detailed item se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따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data. Som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ay be extracted and collected.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1 내지 2등급지에 대한 세부 항목이 선택된 토지 개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집부(110)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생태 공원의 개발이 가능한 1등급지 및 2등급지에 해당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는 수집부(1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수집부(110)가 지리 정보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For example, when the land use plan data includes detaile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for grades 1 and 2 where the eco park is to be developed, the collection unit 110 may includ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ay be collected by extracting only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1st and 2nd grade lands where ecological parks can be develop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collecting unit 110, and the collecting unit 110 is not limited to extracting and collecting a part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토지 관련 법규 정보(도 2의 C 및 D)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적용 가능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키워드에 근거하여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Next, referring to FIG. 1,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may serve to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law-related law information (C and D of FIG. 2) may mean land-related law information applicable to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data. Land-related legislat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based on keywords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including land-related legislation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특정 토지 위치에 대한 개발 면적 제한, 토지의 공적 규제 사항, 용도 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주택법, 도시개발법, 국토계획법, 관광진흥법 등의 관련 법령 적용 여부와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면적' 및 '제한'과 같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위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may limit the development area for a specific land location, public regulations of the land, whether the use can be changed, whether it is impossible to develop, and housing law, urban development law, national land planning law, tourism promotion law, etc. Restriction of land use data including keywords such as 'area' and 'restriction' from web pages or text files that contai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and based on that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receives the land-related law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organization from the database 150 to be described later, extracts a keyword related to the land-related law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To generate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여기에서, 외부 기관이라 함은, 상기 키워드 추출의 대상이 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external agency may mean a public institution that provides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that is the target of the keyword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이렇게 생성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되어, 토지 데이터(도3 의 F) 상에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generated in this way is reflected in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distinguish between developable and undevelopable locations on land data (F in FIG. 3). Note that but may not be limited to this.

이때, 토지 데이터 상에 반영된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색깔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구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this case, the developable location and the non-developable location reflected on the land data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distinguish th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추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It is also noted that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being extracted from web pages or text files. For exampl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may be input directly from the supplier terminal (20).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적용 가능한 층수 제한 정보, 개발 면적 제한 정보 등과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lier may input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uch as floor limit information and development area restric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the correspon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 May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provider terminal 20.

다만 이때,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의해서만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는 경우, 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추가 반영하여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land use plan data reflec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not judged as a location that can be developed and a location that cannot be developed only by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For example, whe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lects the land use pla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adds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land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terrain information and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review data determined to be possible to develop and not develop.

또한, 후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범위 설정 기능 등으로 위치(구역)을 재설정함으로써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서 상기 개발 불가능 위치(구역)를 제외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후에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에서 개발 불가능한 위치만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개발 불가능한 위치의 토지에 대한 제약 조건을 반영한 도면을 표시할 수 있으나, 표현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addition, the user may exclude the non-developable location (area) from the land use plan data by resetting the location (area) by the range sett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like. On the contrary,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land use plan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only the undeveloped location may be represented, and a drawing reflecting the constraint on the land of the undeveloped location may be displayed, but the expression method is limited thereto. Note that this does not work.

한편, 특정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먼저 생성되는 경우, 수집부(110)는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시킨 후,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land use restriction data for specific land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irst, the collection unit 110 reflect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n geography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Note that some of the information data may be extracted and coll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시킨 후,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Next,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reflect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110. After doing so, it may play a role of generating review data on the land use plan dat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또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검토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the review data,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and use. Grade information,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about land classified as possible land may be included in the review data.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토지 데이터의 좌표계를 기준 원점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각 지자체 또는 사용자가 토지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130 converts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land data collected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reference origin, thereby providing each local government. Alternatively, the user can easily utilize the land data.

여기에서, 좌표계가 변환된 토지 데이터는 도 3의 F 영역에 반영되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기준 원점은 서부원점, 중부원점, 동부원점, 동해원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지역마다 사용하는 기준 원점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창원시 같은 경우 동부원점(Bessel1841)을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임의의 중부원점(GRS80)이 적용된 기존 도면 데이터를 동부원점으로 변환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 5를 통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국 행정구역(최소 '리' 또는 '동' 단위)의 중첩값을 기준으로 측지기준계 별로 각각 4개의 원점기준도를 구축한 후, 공급자 단말(20) 등을 통해 입력되는 도면과 비교하여 중첩되는 범위가 가장 높은 원점기준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좌표 변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좌표계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원점은 상술된 공급자 단말(20)에 의해서 입력 및 설정될 수 있으나, 입력 및 설정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Here, the land data of which the coordinate system is converted may be reflected in the region F of FIG. 3 and expres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 reference origi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western origin, a central origin, an eastern origin, and an East Sea origin, and the reference origin used for each region may va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ngwon, South Korea, the eastern origin (Bessel1841) is used, and thus, an example of a process of converting the existing drawing data to which the arbitrary central origin (GRS80) is applied to the eastern origin can be seen through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nstructing four origin reference maps for each geodetic reference system based on overlapping values of the na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s (minimum 'Lee' or 'East' units), comparison is made with drawings input through the provider terminal 20 and the like. The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ay be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coordinate transform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 reference diagram having the highest overlapping range. Note that the reference origin may be input and set by the provider terminal 20 described above, but the input and sett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 정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었던 기존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and review data information on the land use plan data are stored in a database 150 to be described later, wherei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store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When is changed, the review data fo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may be changed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도 2의 C)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여, 토지 데이터(도 3의 F) 상에 표현되는 토지 위치 정보를 개발 가능한 위치와 불가능한 위치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분된 토지 위치 정보의 개발 가능한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정보,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및 예상 비용(도 3의 F 우측)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reflects land use restriction data includ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 of FIG. 2)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ereby providing land data (FIG. It can play a role of dividing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expressed in 3F) into developable location and impossible location, and class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land use plan data based on the developable location of the separated land location information. Th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cost (right side F of FIG. 3) can be calculated.

여기에서, 예상 비용은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용역비, 공사비 및 용지 보상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품셈은 건설 공사 표준품셈으로서, 건설 공사 중 대표적이며 일반화된 공종 및 공법을 기준으로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사량 등을 수치로 나타내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estimated cos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ervice cost, construction cost and site compensation cost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product. The standard product is a standard construction for construction, and may refer to a standard indicating numerical values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required for construction based on representative and generalized types and construction methods during construction.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실현 가능 정도를 토대로 등급을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를 DB화하고 해당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100% 실현 가능한 경우 A등급, 9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B등급, 8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C등급, 7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D등급, 그 이하인 경우 F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may be set to calculate a grade based on the feasibility of the land use plan data. By using machine learning, keywords for regions similar to, can be rated A if 100% of land use planning data is possible, B if 90% or more, C, 70% or more if 80% or more If it is less than D grade, it can be calculated as F grade.)

구체적인 예로써, 도 3의 F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괄 평가에서 70%의 실현 가능성이 도출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서 D등급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 of FIG. 3, when a 70% feasibility is derived from the overall evaluation, the grade of the D grade may be calculated for the land use plan data.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함에 있어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토지의 규제와 관련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간에 상관 관계를 구축한 후, 우선 시 해야 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먼저 적용하고 후 순위의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했을 때, 해당 토지의 구역이 특별법에 의한 개발 제한 구역일 경우, 다른 규제 사항보다 우선 적용할 수 있고, 동등한 위계의 규제 또는 규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단 알고리즘에 의해 미리 분석된 조항 간 상관 관계에 따라 규제 또는 규정이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그리기 기능을 통해 범위 설정한 구역에 대해서 다른 개발 가능한 사업 방식을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시킬 지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130 establishes a correlation betwee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the land through a decision algorithm in calculating the grade and the estimated cost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and then, It may includ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grade and the estimated cost of the land use planning data by applying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that should be applied first and then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f the next rank. For example, when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land of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if the area of the land is a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under a special law, it may be applied before other regulations, If there is an equivalent hierarchy or regulation, the regulation or regulation may be differenti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visions previously analyzed by the determination algorithm.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algorithm, the land development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or another developable business method for the area set by the user's direct drawing function is derived and the user terminal 10 is derived. By providing the user, the user can provide recommendation information on how to develop the land location included in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다만 이때,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과 예상 비용을 산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예상 비용 정보 및 등급을 산출하는 것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At this time,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calculates the grade and the estimated cost for the land use plan data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Note that 130 is not limited to calculating the estimated cost information and the rating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은 그 구성요소로서 제공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 the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vision unit 140 as a component thereof.

도 1을 참조하여 제공부(1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검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10)의 설정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뿐만 아니라, 등급 및 비용을 산출하게 된 산출 과정까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ovider 140 may serve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10 with the review data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or 130. have.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10, the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not only the grade and cost for the land use plan data, but also the calculation process for calculating the grade and cost to the user terminal 10. Therefore, the user can more objectively determine the land use plan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이때, 제공부(1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의해(도 3의 F 하단의 '보고서 / 예상 사업비 보내기' 버튼 클릭에 의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포함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나, 제공부(140)의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 제공 방식이 도 3에 나타낸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At this time, the provider 140, as shown in Figure 3, by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 (by clicking the 'Send report / estimated project cost' button at the bottom of F of Figure 3) grade for land use planning data And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it is noted that the class and cost providing method for the land use plan data of the providing unit 14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공부(140)를 통해 직접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과, 이의 산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vid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een for outputting the grade and cost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to be visible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use the land through the providing unit 140 You can see the grade and cost of the planning data and how it is calculated.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100)은 그 구성요소로서 데이터베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 the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150 as a component thereof.

이때, 데이터베이스(150)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데이터 및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base 150 may serve to stor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review data for the land use plan data, and the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여기에서, 상기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각 개발 법령에 대해서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ternal institution may include big data provided by a public institution for each development law.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판례 및 사례 데이터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등급 산출 예를 참조하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판례 및 사례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추출함으로써,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에 기초한 머신 러닝 분석은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수 많은 표본(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해서 정확도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50 may store data on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interrogation cases, and the precedents and case data may be included i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grade calculation example, the limit data generation unit 120 uses the case and case relat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to correspond to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Land use restriction data can be generated by analyzing and extracting keywords for regions similar to the requirem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based on these keywords can be performed by analyzing a number of samples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interrogations) stored in the database 150 for areas similar to the location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Can provide accurate results for land use plans.

이 때,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생성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킴으로써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실현 가능 정도(인허가 여부 및 입지 타당성 포함)를 나타내는 등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등급 정보는 제공부(140)를 통해 도 3의 F 우측과 같이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the gra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feasibility of the land use plan data (including whether it is licensed and location feasibility) by reflecting the generated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e generated gra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as shown in FIG. 3F right through the providing unit 140.

정리하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머신 러닝을 통해 이에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상술한 주택법, 도시개발법, 국토계획법, 관광진흥법 등의 관련 법령만을 적용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실현 가능성 판단이 상대적으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을 통해 추가 분석하여 반영함으로써 사용자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서 더 정확한 실현 가능성 판단 결과를 제공 받을 수 있다.In summary, when land use plan data is received,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corresponding land related law information. Only relevant laws such as the Housing Act, Urban Development Act, Land Planning Act, and Tourism Promotion Act apply. In this case, the feasibility determination of the land use plan may be relatively inaccurate.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further analyze and reflect data on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interrogation cases through machine learning. More accurate feasibility judgment results can be provided for the usage plan data.

한편,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다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와 동일한 토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검토 데이터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변경되어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one or mor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review data including the same land position information a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among the plura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is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It may be changed and stored by the 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은 상기 구성을 통해서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사례, 판례 또는 개정된 법령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최신화 함으로써, 정확한 검토 결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land-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in real time by reflecting cases, precedents, or revised laws that may newly occur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by continuing accurate review results. Can be provided as

이때, 지리 정보 데이터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의 값이 변경됨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In this ca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as the value of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와 같이, 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값이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변경 사항은 제공부(140)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addition, when the value includ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changed in this way, the chang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by the providing unit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지리 정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중복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개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database 150, when land use plan data including overlapping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 the stor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used. The grade and cost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can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more quickly.

또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정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는 토지 도출을 수행하고, 도출된 토지 정보에 기반한 유사 지역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performs land deduction that is determined to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l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similar area recommend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derived land information.

다음으로,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Next,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도 4에 도시된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과정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과정이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However,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shown in FIG. 4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some processe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Note that you can.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은, 먼저,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수신(S401)되면,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공급자 단말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한다(S402).Referring to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first, the collection unit 110 is a user terminal (10) When land use plan data is received from the S40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collected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or database (S402).

이어서,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해당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S403)한다.Subsequently,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S403).

이때,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추출되어 수집되거나,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In this case, the land-related laws and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including the land-related laws and information, or may be directly input from the provider terminal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이, 토지 위치 정보 및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토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먼저 수집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지리 정보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발 방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시킬 지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ll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st collect geographic data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from a user, and in this case, may be applied to the geographic data. By provid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recommendation information on how to develop the land location included in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한편,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생성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generated,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reflects the generated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collect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다음으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게 되고, 이때, 검토 과정에서 이용 가능 토지 및 이용 불가능 토지를 구분하는 토지 구분 정보 및 이용 가능 행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구분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및 비용 정보를 포함하는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404).Next,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performs a review on the land use plan data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In this case, the land use plan data is classified into available and unavailable lands. The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grade information,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about the land use plan data based on the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review data is generated (S404).

보다 구체적으로, 토지 이용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근거로 등급을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를 DB화하고 해당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100% 실현 가능한 경우 A등급, 9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B등급, 8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C등급, 7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D등급, 그 이하인 경우 F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it may be set to calculate the rating based on the feasibility of the land use plan. (For example,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Q & A cases are generated by DB and keywords for areas similar to the applicable location ar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If it is feasible, it can be calculated as B class, 80% or more, C class, 70% or more, D class, and less than F class.)

이 때, 도 3의 F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괄 평가에서 70%의 실현 가능성이 도출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서 D등급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right side F of FIG. 3, when a 70% feasibility is derived from the overall evaluation, the grade of the grade D may be calculated for the land use plan data.

여기에서, 예상 비용은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용역비, 공사비 및 용지 보상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품셈은 건설 공사 표준품셈으로서, 건설 공사 중 대표적이며 일반화된 공종 및 공법을 기준으로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사량 등을 수치로 나타내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estimated cos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ervice cost, construction cost and site compensation cost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product. The standard product is a standard construction for construction, and may refer to a standard indicating numerical values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required for construction based on representative and generalized types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during construction.

다음으로, 상기 검토 데이터는 제공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검토 데이터 또한 변경될 수 있다(S405).Next, the review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y being output to the user terminal by the providing unit, and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the review data may also be changed (S405).

상술된 과정을 거치면서 이용될 수 있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으로써, 추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복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개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된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정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는 토지 도출을 수행하고, 도출된 토지 정보에 기반한 유사 지역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S406).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ning data, which reflect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hat can be us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re reviewed and stored in a database, thereby including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which are duplica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land use plan data is received, the grade and cost of the land use plan data can be more quickly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stor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land derivation that is determined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l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nd provide similar reg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rived land information (S406).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ations of this form will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단말
20: 공급자 단말
100: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110: 수집부
120: 제한 데이터 생성부
130: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
140: 제공부
150: 데이터베이스
10: user terminal
20: supplier terminal
100: GIS-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110: collector
120: limit data generation unit
130: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40: provider
150: database

Claims (16)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고,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Receive land use plan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ning dat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legal information;
A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a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And
And a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for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generating review data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Characterized by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검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review data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to a user terminal.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 정보,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atabase in which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review data information on land use plan data, and l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are stored.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the review data for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re changed.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검토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In the case of generating the review data,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vailability of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of land classified as available land, and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si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cos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view data to generate,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Extracting a keyword related to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including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r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수집부에서 수집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llected or stored in the database,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에 대한 공적 규제 사항, 용도 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개발 법령에 대한 적용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ublic regulations on the land, whether the use can be changed,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is not possible, and whether it applies to the development laws,
GIS based land use plan review system.
수집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한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고,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Receives land use plan data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llecting unit, and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land posi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Collecting data and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Generating, by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 use plan data; And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rough a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and generating review data on the land use planning dat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9항에 있어서,
제공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검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providing the review data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providing unit.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9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 정보 및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storing, through a databa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he review data information on the land use plan data, and the land related legal information.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시키는 단계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검토 데이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Changing the review data for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land use pla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when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changed.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검토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Generating review data through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When generating the review data, the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the available behavior information, the grade information of the land classified into the available land, and its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generating possi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cost information in the review data;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상기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방식 정보와 대응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Generating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through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Extracting a keyword related to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including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r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Genera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수집부에서 수집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ollected or stored in the database,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에 대한 공적 규제 사항, 용도 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개발 법령에 대한 적용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ublic regulations on the land, whether the use can be changed,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is not possible, and whether it applies to the development laws,
How to review GIS-based land use plans.
KR1020190082157A 2018-07-10 2019-07-0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1840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31 2018-07-10
KR20180080031 201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501A true KR20200006501A (en) 2020-01-20
KR102184048B1 KR102184048B1 (en) 2020-11-27

Family

ID=6936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57A KR102184048B1 (en) 2018-07-10 2019-07-0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0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20B1 (en) * 2022-12-10 2023-03-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Meathod for controlling ageographic information systemproviding national land planning and land planning information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271B1 (en) * 2021-11-16 2023-01-09 주식회사 그린이앤씨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rban design automation based on development project review criteria
KR102453874B1 (en) 2022-03-31 2022-10-11 서종주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217A (en) * 2002-06-05 2002-06-26 주용수 Method for Lot Datab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20100036557A (en)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도시개발연구원 The method for providing analysis service of real estate to investigate confirmation or permission requisite
KR20110049165A (en) * 2009-11-04 2011-05-12 한동수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KR101517898B1 (en) 2013-05-06 2015-05-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of the spatial development patterns based on determination factors of the city 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217A (en) * 2002-06-05 2002-06-26 주용수 Method for Lot Datab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20100036557A (en)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도시개발연구원 The method for providing analysis service of real estate to investigate confirmation or permission requisite
KR20110049165A (en) * 2009-11-04 2011-05-12 한동수 Method of supplying integrated development guide based on index array between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correlated to digital map and lot number of estate extracted therefrom
KR101517898B1 (en) 2013-05-06 2015-05-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of the spatial development patterns based on determination factors of the city for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황은경 외 2명*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20B1 (en) * 2022-12-10 2023-03-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Meathod for controlling ageographic information systemproviding national land planning and land planning information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KR102533004B1 (en) * 2022-12-10 2023-05-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Methods for providing up-to-date information on thematic m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048B1 (en)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varez et al. Development of the tool symbiosys to support the transition towards a circular economy based on industrial symbiosis strategies
Dawidowicz et al. A methodological evaluation of the Polish cadastral system based on the global cadastral model
Liu et al. A generalized framework for measuring pedestrian accessibility around the world using open data
CN111949834A (en) Site selection method and site selection platform
KR1021840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20130019629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nalysis service about location requirements and trade area according to types of real property
US11875412B2 (en) System for fast composing, launch and configuration of customizable second-tier transfer structures with build-in auditing and monitoring structures and method thereof
Lei et al. Assessing and benchmarking 3D city models
Bansal Integrated framework of BIM and GIS applications to support building lifecycle: A move toward nD modeling
Ramírez Eudave et al. On the suitability of a unified GIS-BIM-HBIM framework for cataloguing and assessing vulnerability in Historic Urban Landscapes: A critical review
Omrany et al. The uptake of City Information Modelling (CIM):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implementation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Singh et al. Multimodal data modeling for efficiency assessment of social priority based urban bus route transportation system using G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KR20180082648A (en) Integrated underground water data management system
Lin et al. Land parcel identification
Sinvula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roles in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of South Africa, Namibia and Ghana
Muzaffar et al. Quality assessment of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for educational planning
Rifai et al. Data mining applied for national road maintenance decision support system
KR20220110349A (en)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and commercial area analysis services for each type of real estate item
de Armas García et al. Deployment of a National Geocoding Service: Cuban Experience.
Silva et al. Authoritative cartography in Brazil and collaborative mapping platforms: challenges and proposals for data integration
KR20210074664A (en) Review method and server of system linkage for renewable energy
KR102505115B1 (en)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Patterson et al. Assessing spatial and attribute errors in large national datasets for population distribution models: a case study of Philadelphia county schools
Dimitrov et al. GIS application for economic assessment of direct disaster losses
Al-Bakri et al. Challenges and Issues i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 Development in Ira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