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966A -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966A
KR20200005966A KR1020180079630A KR20180079630A KR20200005966A KR 20200005966 A KR20200005966 A KR 20200005966A KR 1020180079630 A KR1020180079630 A KR 1020180079630A KR 20180079630 A KR20180079630 A KR 20180079630A KR 20200005966 A KR20200005966 A KR 2020000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thoring
original
communication unit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690B1 (ko
Inventor
송형주
김시균
신승호
윤찬민
정준영
조익환
최지윤
한진용
임국찬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6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장치는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 각각을 기초로 생성된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저작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RELAY SERVER, 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ENTS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M}
본 발명은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타입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한 예이다.
또한, 사용자(내지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기존의 컨텐츠를 저작(각색)하게 해주는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기존의 컨텐츠를 제공받은 뒤 자신의 취향에 맞게 해당 컨텐츠를 저작한다. 사용자의 저작 부분은 기존의 컨텐츠에 반영되며, 이로써 새로운 컨텐츠가 생성된다.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은 다양한 재생 매체(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또는 스마트 TV)를 통해 기존의 컨텐츠 뿐 아니라 전술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즐길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저작 부분을 기존의 컨텐츠에 반영시키는 과정이 어떤 장치에서 어떠한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는지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및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각자가 부담하게 될 역할이나 비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26322호 (2018.01.31. 등록)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저작 부분을 기존의 컨텐츠에 반영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며, 이 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및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반영되어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장치는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 각각을 기초로 생성된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저작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는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생성된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저작 컨텐츠 복수 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 수신되는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획득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게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중계 서버와 컨텐츠 생성 장치를 포함한다. 중계 서버는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각각을 기초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 수신되는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 컨텐츠 중에서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저작 컨텐츠를 상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게 송신한다. 컨텐츠 생성 장치는 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저작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수신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하여도 렌더링 과정이 중계 서버에서 수행되지 않고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각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계 서버에 걸리는 부하량이 경감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고성능 고용량의 중계 서버를 갖추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저작 서비스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소스 생성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작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계 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생성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1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식별번호 A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2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식별번호 A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3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 식별번호 A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저작 서비스(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작 서비스(10)는 역할 놀이 서비스(11), 이미지 대체 서비스(12) 또는 음성 대체 서비스(13)를 포함한다. 물론,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 가능한 저작 서비스(10)의 종류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이하에서 저작 서비스(10)란 기존의 컨텐츠를 저작(내지 각색)하여서 사용자에게 기존의 컨텐츠와는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저작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예컨대 사진, 영상 또는 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역할 놀이 서비스(11)는 컨텐츠에 등장하는 원래 캐릭터를 다른 캐릭터로 대체시킴으로써, 해당 컨텐츠에서 원래 캐릭터가 하는 '역할'을 상기 다른 캐릭터가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테면 컨텐츠로서 돼지가 주인공인 동화를 가정해보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될 때, 주인공인 돼지가 나오는 장면에서는 해당 돼지 대신 사용자가 지정한 대체 인물이 등장해서, 해당 돼지의 역할을 돼지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돼지가 웃는 장면에서는 대체 인물도 웃는 표정을 짓게 되고 돼지가 움직이는 장면에서는 대체 인물도 동일하게 움직인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서 대체 인물의 얼굴이나 그 주변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의 스티커(=이미지)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미지 대체 서비스(12)는 컨텐츠에 등장하는 객체의 이미지를 다른 객체로 '대체'시켜서 표현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테면 컨텐츠로서 '모나리자'와 같은 미술 작품을 가정해보자. 해당 컨텐츠가 표시될 때, 모나리자의 얼굴 부분은 사용자가 지정한 인물의 얼굴 내지 사용자가 그린 얼굴 등의 이미지로 대체되어서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대체 서비스(13)는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을 다른 음성으로 '대체'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테면 컨텐츠로서 '터미네이터'와 같은 영화를 가정해보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될 때, 주인공인 에드워드 폴롱의 목소리가 나오는 장면에서는, 에드워드 폴롱의 목소리 대신 사용자가 녹음한 목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3가지 저작 서비스(10)는 서로 결합되어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동화의 주인공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인물의 사진으로 대체되면서 이와 함께 해당 주인공의 목소리가 사용자가 녹음한 목소리로 대체되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에서 역할 놀이 서비스(11)를 나타내는 원과 이미지 대체 서비스(12)를 나타내는 원 및 음성 대체 서비스(13)를 나타내는 원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a1,a2,a3,b) 각각은, 3가지 저작 서비스(10) 중 적어도 2개의 서비스가 결합되어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저작 서비스(10)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2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0)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0)은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 리소스 생성 장치(200), 저장 서버(300), 저작 장치(400), 중계 서버(500), 컨텐츠 생성 장치(600), 재생 장치(700) 및 외부 서버(800)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이들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네트워크 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0)이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저작의 대상이 되는 원본 컨텐츠를 저장한다. 아울러,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나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원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방송국의 서버 또는 전술한 원본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의 서버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원본 컨텐츠란 기존에 존재하는, 저작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컨텐츠를 지칭한다. 아울러, 이러한 원본 컨텐츠는 이전에 저작의 대상이 된 적이 없는 컨텐츠를 가리키거나 또는 이미 과거에 저작이 가해진 적이 있는 컨텐츠를 가리킬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이미 저작이 가해진 컨텐츠에도 추가적으로 저작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는 원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저작(각색)할 수 있는 부분이 어느 부분이고 어느 정도까지 저작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원본 컨텐츠를 기반으로 생성한다. 또한, 리소스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작이 완료된 저작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결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서의 '리소스'란,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서 생성된 전술한 정보들이 저작 컨텐츠의 생성 및 원본 컨텐츠와 저작 컨텐츠 간의 동기화(=결합, 오버레이 등) 과정에서 리소스(resource)로서 활용 내지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리소스 생성 장치(200)는 원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 가능하며, 컴퓨터 등에서 구현 가능하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가 생성한 전술한 정보들은 저장 서버(300)를 거쳐 저작 장치(400)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저작 장치(400)에게 제공되는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만의 저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소스 생성 장치(200)는 통신부(210), 인터페이스 제공부(220), 템플릿 생성부(230) 및 결합 정보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는 이러한 통신부(210)를 통해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 또는 후술할 저장 서버(3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20), 템플릿 생성부(230) 및 결합 정보 생성부(240)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들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22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의 운용자가 원본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운용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20)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원본 컨텐츠에서 사용자가 저작할 수 있는 부분이 어디인지 또는 무엇인지를 지정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정도까지 저작(각색)할 수 있는지를 지정할 수 있음
다음으로, 템플릿 생성부(230)는 템플릿을 생성한다. 템플릿이란 원본 컨텐츠로부터 저작(각색) 가능하게 추출된, 패키징된 파일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터페이스 제공부(220)에 의해 원본 컨텐츠에서 어떤 부분이 어느 정도까지 저작 가능한지가 지정되면, 템플릿 생성부(23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20)에 의해 지정된 사항을 반영하여서, 또한 원본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해당 원본 컨텐츠로부터 다음과 같은 다양한 템플릿(예시에 불과함)을 생성할 수 있다(도 7 내지 12에서 보다 자세한 예시를 들 것임).
<원본 컨텐츠가 동화인 경우이면서, 역할 놀이 서비스(11)가 제공되는 경우의 템플릿>
- 해당 동화에서 등장 인물이 등장하는 장면에 대해, 타 캐릭터의 얼굴을 등장 인물의 얼굴에 합성할 수 있도록 등장 인물의 얼굴을 공란으로 만든 장면
<원본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이면서, 이미지 대체 서비스(12)가 제공되는 경우의 템플릿>
- 해당 사진에 표시된 객체를 본 딴, 채색 가능한 객체의 이미지
동기 정보 생성부(240)는 동기(synchronization) 정보를 생성한다. 동기 정보란, 템플릿을 기반으로 저작 장치(400)에서 생성 완료된 저작 컨텐츠가, 해당 저작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원본 컨텐츠와 어떻게 동기(=결합 또는 오버레이)되어야 하는지에 사용되는 정보, 즉 동기화에 사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동기 정보는 저작 컨텐츠가 그 기초가 되는 원본 컨텐츠에서 어느 부분에 어떤 크기로 삽입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 파일을 그 기초가 되는 원본 컨텐츠와 동기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기 정보의 종류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서 저장 서버(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저장 서버(30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 또는 외부 서버(8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서 저장하며, 또한 저작 장치(400)나 중계 서버(500) 등으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선별한 뒤 요청한 주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 서버(300)는 후술하겠지만 외부 서버(8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 서버(3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작 장치(4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원본 컨텐츠를 자신의 의도에 맞게 저작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저작 장치(400)는 사용자의 단말(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에 설치 내지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작 장치(4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작 장치(4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작 장치(400)는 통신부(410), 출력부(420), 인터페이스 제공부(430) 및 카메라(4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4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저작 장치(400)는 이러한 통신부(410)를 통해 저장 서버(300) 또는 중계 서버(5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420)는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출력부(420)는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420)는 원본 컨텐츠의 저작에 사용되는 정보와 저작의 결과물인 저작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30)는 저작 장치(400)의 운용자가 저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출력부(420)를 구성하는 모니터 등에 표시될 수 있다. 운용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430)를 통해 다양한 저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440)는 AR 저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촬영하고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서, 중계 서버(5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중계 서버(500)는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전달받아서 저장하고 있다가, 저작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해당하는 저작 컨텐츠를 전달(중계)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중계 서버(500)는 컴퓨터 등에서 구현 가능한데, 이러한 중계 서버(500)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계 서버(5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 서버(500)는 통신부(510), 저장부(520) 및 획득부(5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5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5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중계 서버(500)는 이러한 통신부(510)를 통해 저장 서버(300), 복수 개의 저작 장치(400) 또는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저장부(520)에는 통신부(5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동기 정보 또는 통신부(510)를 통해 복수의 저작 장치(4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저작 컨텐츠가 저장된다.
획득부(530)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전달할 저작 컨텐츠를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한다. 획득된 저작 컨텐츠는 통신부(510)를 통해 대상이 되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중계 서버(500)에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도 2와는 달리 복수 개일 수 있고, 이 때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원본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는, 각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제공되는 원본 컨텐츠와 부합될 수 있는 저작 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획득부(530)는, 통신부(510)를 통해서,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 어떤 원본 컨텐츠가 제공될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아울러, 획득부(53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 제공될 저작 컨텐츠를 저장부(520)에서 선정한다. 선정된 저작 컨텐츠는 해당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통신부(510)를 통해 제공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500)는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받아서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로 하는 각각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제공(중계)하는 역할만을 할 뿐 원본 컨텐츠와 저작 컨텐츠를 직접 렌더링하진 않는다. 렌더링 과정은 후술하겠지만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하여도 렌더링 과정이 중계 서버(500)에서 수행되지 않고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계 서버(500)에 걸리는 부하량이 경감될 수 있으며,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고성능 고용량의 중계 서버(500)를 갖추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중계 서버(500)는 저장 서버(300)로부터 전술한 동기 정보를 수신하여서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게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12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서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셋톱 박스(settop) 내에 구현되거나 셋톱 박스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복수 명의 소비자가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통신부(6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 렌더링부(630) 및 연결부(6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6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6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이러한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 및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는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를 통해 복수 개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채널 각각을 통해서는 서로 상이한 원본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를 통해 복수 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결과적으로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는 예컨대 리모콘이나 채널을 선택하는 버튼, 그리고 리모콘이나 버튼과 연결되어서 어떤 채널이 선택되었는지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620) 자체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렌더링부(630)는 원본 컨텐츠와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동기 정보가 렌더링에 활용될 수 있다. 렌더링에 사용되는 원본 컨텐츠, 저작 컨텐츠 또는 동기 정보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렌더링이 진행되는 알고리즘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다만 렌더링 과정이나 렌더링의 대상, 그리고 렌더링에 따라 생성된 결과물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12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640)는 후술할 재생 장치(700)와 컨텐츠 생성 장치(600)를 연결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렌더링부(630)에 의해 렌더링된 결과물은 연결부(640)를 통해 재생 장치(700)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연결부(640)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셋톱 박스 내에 구현되거나 셋톱 박스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셋톱 박스는 렌더링 내지 렌더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장비이므로,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서 전술한 렌더링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부담이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장치(600)가 원본 컨텐츠와 저작 컨텐츠를 직접 렌더링하는 대신 중계 서버(500)는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받아서 저장하고 있다가 각각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에게 제공(중계)하는 역할만을 할 뿐 직접 렌더링하진 않는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하여도 렌더링 과정이 중계 서버(500)에서 수행되지 않고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600) 각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계 서버(500)에 걸리는 부하량이 경감될 수 있으며,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고성능 고용량의 중계 서버(500)를 갖추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재생 장치(700)는 TV나 모니터와 같이, 음성과 영상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가리키는데, 이 때 출력 대상인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12를 참조하여서,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서비스(11,12,13)가 수행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7 내지 1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7 내지 1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1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저작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역할 놀이 서비스(11)를 가리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게 원본 컨텐츠를 제공한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의 템플릿 생성부(230)는 템플릿(ⓐ)을 생성하고 동기 정보 생성부(240)는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 템플릿(ⓐ)은 예컨대 미리보기 배경 및 스티커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보기 배경은 예컨대 원본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에서 원래 캐릭터가 삭제된 상태의 장면을 의미한다. 아울러, 스티커 배치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대체 캐릭터의 사진 내지 그림(=스티커)이 원본 컨텐츠의 어떤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에 어떤 크기로 배치될지, 그리고 이 때 대체 캐릭터의 표정이 어떤 것일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a-1은 미리보기 배경의 예시이고, a-2는 스티커 배치 정보의 예시이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저장 서버(300)는 템플릿(ⓐ) 및 동기 정보(ⓑ)를 리소스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한다.
또한, 저장 서버(300)는 얼굴 특징점 추출용 자료 또는 AR 관련 정보(ⓒ)를 외부 서버(8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얼굴 특징점 추출용 자료란 사용자가 지정한 대체 캐릭터의 얼굴 사진 내지 얼굴 그림에서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한 자료를 나타내는데, 이는 원본 컨텐츠에서 원래 캐릭터의 표정에 따라 대체 캐릭터의 표정도 그에 부합되도록 변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작 장치(40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템플릿(ⓐ) 및 얼굴 특징점 추출용 자료 또는 AR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30)를 사용하여서 사용자가 저작 컨텐츠를 생성(내지 완성)하면, 완성된 저작 컨텐츠(ⓓ)는 통신부(4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중계 서버(500)는 통신부(5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동기 정보(ⓑ)를 제공받고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저장부(520)에 저장한다.
이 후,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 장치(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컨텐츠와 관련된 저작 컨텐츠(ⓓ)를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한다. 이 때 획득부(530)는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 정보(ⓑ) 또한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가 획득한 저작 컨텐츠(ⓓ) 및 동기 정보(ⓑ)를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으며,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렌더링부(640)는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저작 컨텐츠(ⓓ)와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이 때, 컨텐츠 생성 장치(600)가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로부터 획득한 동기 정보(ⓑ)도 렌더링시에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렌더링된 결과물은 연결부(640)를 통해 재생 장치(700)에게 전달된다. 이를 통해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저작한 저작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에 반영된 결과물을 시청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2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저작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대체 서비스(12)를 가리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게 원본 컨텐츠를 제공한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의 템플릿 생성부(230)는 템플릿(ⓐ)을 생성하고 동기 정보 생성부(240)는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 템플릿(ⓐ)은 예컨대 대체 이미지에 대한 마스크 이미지, 에지 이미지 또는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도 10의 식별번호 a-1, a-2 및 a-3 각각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동기 정보(ⓑ)는 대체 이미지가 원본 이미지의 어떤 위치에 어떤 크기로 배치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서버(300)는 템플릿(ⓐ) 및 동기 정보(ⓑ)를 리소스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한다.
저작 장치(40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템플릿(ⓐ)을 제공받는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30)를 사용하여서 사용자가 저작 컨텐츠를 생성(내지 완성)하면, 완성된 저작 컨텐츠(ⓓ)는 통신부(4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중계 서버(500)는 통신부(5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동기 정보(ⓑ)를 제공받고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저장부(520)에 저장한다.
이 후,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 장치(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컨텐츠와 관련된 저작 컨텐츠(ⓓ)를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한다. 이 때 획득부(530)는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 정보(ⓑ) 또한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가 획득한 저작 컨텐츠(ⓓ) 및 동기 정보(ⓑ)를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으며,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렌더링부(640)는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저작 컨텐츠(ⓓ)와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이 때, 컨텐츠 생성 장치(600)가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로부터 획득한 동기 정보(ⓑ)가 렌더링시에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렌더링된 결과물은 컨텐츠 생성 장치(600)의 연결부(640)를 통해 재생 장치(700)에게 전달된다. 이를 통해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저작한 저작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에 반영된 결과물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제3 저작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3 저작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음성 대체 서비스(13)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리소스 생성 장치(200)에게 원본 컨텐츠를 제공한다.
리소스 생성 장치(200)의 템플릿 생성부(230)는 템플릿(ⓐ)을 생성한다. 템플릿(ⓐ)은 예컨대 원본 음성 파일, 배경 이미지, 녹음 대상인 구간 및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도 12의 식별번호 a-1(원본 음성 파일), a-2(배경 이미지) 및 a-4(스크립트) 각각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저장 서버(300)는 템플릿(ⓐ)를 리소스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한다.
저작 장치(40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저장 서버(300)로부터 템플릿(ⓐ)을 제공받는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30)를 사용하여서 사용자가 저작 컨텐츠를 생성(내지 완성)하면, 완성된 저작 컨텐츠(ⓓ)는 통신부(4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중계 서버(500)는 통신부(510)를 통해 저작 장치(400)로부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저장부(520)에 저장한다.
이 후,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 장치(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는 컨텐츠 생성 장치(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컨텐츠와 관련된 저작 컨텐츠(ⓓ)를 저장부(520)로부터 획득한다.
컨텐츠 생성 장치(600)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 서버(500)의 획득부(530)가 획득한 저작 컨텐츠(ⓓ)를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으며,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렌더링부(640)는 중계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저작 컨텐츠(ⓓ)와 원본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컨텐츠를 렌더링한다.
렌더링된 결과물은 컨텐츠 생성 장치(600)의 연결부(640)를 통해 재생 장치(700)에게 전달된다. 이를 통해 재생 장치(7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저작한 저작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에 반영된 결과물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하여도 렌더링 과정이 중계 서버에서 수행되지 않고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각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계 서버에 걸리는 부하량이 경감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고성능 고용량의 중계 서버를 갖추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진다고 하여도 렌더링 과정이 중계 서버에서 수행되지 않고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각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중계 서버에 걸리는 부하량이 경감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고성능 고용량의 중계 서버를 갖추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500: 중계 서버
600: 컨텐츠 생성 장치

Claims (8)

  1.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 각각을 기초로 생성된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저작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 간의 동기화에 사용되는 동기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의 렌더링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동기 정보를 이용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와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 각각은,
    제1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속의 등장 인물을 대체하도록 저작된 인물 컨텐츠, 제2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삽입되도록 저작된 이미지 컨텐츠 및 제3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3 영상 컨텐츠의 음성을 대체하도록 저작된 음성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 장치는,
    셋톱 박스(settop box)에 포함되는
    컨텐츠 생성 장치.
  5.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생성된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저작 컨텐츠 복수 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 수신되는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게 송신되는
    중계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원본 컨텐츠와 저작 컨텐츠 간의 동기화에 사용되는 동기 정보를 상기 수신된 저작 컨텐츠 복수 개마다 각각 수신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각각의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소정의 저작 컨텐츠와 관련된 동기 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게 송신되는
    중계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컨텐츠와 상기 저작 컨텐츠 각각은,
    제1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1 영상 컨텐츠 속의 등장 인물을 대체하도록 저작된 인물 컨텐츠, 제2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2 영상 컨텐츠에 삽입되도록 저작된 이미지 컨텐츠 및 제3 영상 컨텐츠와 상기 제3 영상 컨텐츠의 음성을 대체하도록 저작된 음성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 서버.
  8.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각각을 기초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복수 개의 컨텐츠 생성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 수신되는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 컨텐츠 중에서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저작 컨텐츠를 상기 어느 하나의 컨텐츠 생성 장치에게 송신하는 중계 서버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원본 컨텐츠를 기초로 저작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원본 컨텐츠 및 상기 수신된 소정의 저작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컨텐츠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KR1020180079630A 2018-07-09 2018-07-09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KR10215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30A KR102155690B1 (ko) 2018-07-09 2018-07-09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30A KR102155690B1 (ko) 2018-07-09 2018-07-09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66A true KR20200005966A (ko) 2020-01-17
KR102155690B1 KR102155690B1 (ko) 2020-09-14

Family

ID=6937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30A KR102155690B1 (ko) 2018-07-09 2018-07-09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9008A1 (en) * 2020-11-05 2022-05-12 Computer Generated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n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46A (ko) * 2000-06-09 2001-12-15 정주형 멀티미디어 파일에 확장 컨텐츠를 삽입·재생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80080961A (ko) * 2007-03-02 2008-09-05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개인 미디어 포탈 서비스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5728675B2 (ja) * 2009-06-26 2015-06-03 サード ホールディングス 2, エルエルシー ネットワーク内のインターネット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管理および/または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4981B1 (ko) * 2014-12-15 2018-01-04 주식회사 비디오팩토리 웹기반 인터액티브 영상 제작시스템
KR101826322B1 (ko) 2016-03-25 2018-02-0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템플릿 기반의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946A (ko) * 2000-06-09 2001-12-15 정주형 멀티미디어 파일에 확장 컨텐츠를 삽입·재생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80080961A (ko) * 2007-03-02 2008-09-05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개인 미디어 포탈 서비스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5728675B2 (ja) * 2009-06-26 2015-06-03 サード ホールディングス 2, エルエルシー ネットワーク内のインターネット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管理および/または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4981B1 (ko) * 2014-12-15 2018-01-04 주식회사 비디오팩토리 웹기반 인터액티브 영상 제작시스템
KR101826322B1 (ko) 2016-03-25 2018-02-0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템플릿 기반의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9008A1 (en) * 2020-11-05 2022-05-12 Computer Generated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n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US11721075B2 (en) 2020-11-05 2023-08-08 Computer Generated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n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690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0446B (zh) 虚拟形象的线上多媒体互动系统及方法
WO2018045927A1 (zh) 一种基于三维虚拟技术的网络实时互动直播方法及装置
CN105991962B (zh) 连接方法、信息展示方法、装置及系统
US921037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simulation image
US20220256216A1 (en) Encoding device and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8650591B2 (en) Video enabled digital devices for embedding user data in interactive applications
KR101915786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참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86887A1 (en) Real-time broadcast editing system and method
CN113542624A (zh) 生成商品对象讲解视频的方法及装置
CN107578777A (zh) 文字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语音识别方法及装置
KR100901111B1 (ko) 삼차원 가상 공간 콘텐츠를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KR101915792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광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102424150B1 (ko) 동영상 자동 제작 시스템
KR20060118838A (ko) 영상데이터에 특정효과 표시방법
KR102155690B1 (ko) 중계 서버, 컨텐츠 생성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
CN108320331B (zh) 一种生成用户场景的增强现实视频信息的方法与设备
CN113473165A (zh) 直播控制系统、直播控制方法、装置、介质与设备
KR102029604B1 (ko) 실시간 방송 편집 시스템 및 편집 방법
KR102417084B1 (ko) 멀티채널 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67855A (ko)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6962744A (zh) 网络直播的连麦互动方法、装置及直播系统
CN114466145A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19031306A1 (ja) 生成装置、再生装置、生成方法、再生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2404130B1 (ko) 텔레 프레젠스 영상 송신 장치, 텔레 프레젠스 영상 수신 장치 및 텔레 프레젠스 영상 제공 시스템
CN114915798A (zh) 实时视频生成方法、多摄像头直播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