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855A -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855A
KR20130067855A KR1020110134849A KR20110134849A KR20130067855A KR 20130067855 A KR20130067855 A KR 20130067855A KR 1020110134849 A KR1020110134849 A KR 1020110134849A KR 20110134849 A KR20110134849 A KR 20110134849A KR 20130067855 A KR20130067855 A KR 2013006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ontent
video
dimensiona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691B1 (ko
Inventor
장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6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객체 생성부; 상기 3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를 모델링하고, 다수개의 촬영 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상기 3차원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 및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 및 상기 선택 시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3D CONTENTS ANIMATION WHERE VIEW SELEC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3차원 가상 콘텐츠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을 각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카메라의 영상 획득에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공하여 전송이나 저장을 위한 형식으로 변환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즉, 다양한 편집 도구 및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 대한 편집, 특수 효과 삽입, 자막 처리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러한 콘텐츠 생성 시스템 중의 하나인 가상 스튜디오(Virtual Studio)는 블루 스크린에서 촬영된 배우의 영상과 미리 준비된 2차원 배경이나 3차원 컴퓨터 그래픽을 크로마키(Chroma-Key)에 의해 합성한다.
따라서 배우는 파란색 옷을 입고 촬영할 수 없는 제약이 있으며, 단순한 색상의 치환이기 때문에 깊이에 따른 장면 연출에 있어 제약이 있다. 또한, 배경이 3차원 컴퓨터 그래픽일지라도 단순히 파란색 대신에 배경을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복수의 배우와 복수의 컴퓨터 그래픽 모델이 중첩되는 상황은 연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기존의 2차원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하나의 시점으로 구성된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scopic) 영상이나 다안식(Multi-View) 영상을 제공할 수 없고, 아울러 시청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점의 영상도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가상 스튜디오 시스템이나 영상 콘텐츠 저작 도구와 같은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3차원 컴퓨터 그래픽 모델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2차원적인 영상을 표현함으로써, 입체감이나 공간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방송에 사용되는 콘텐츠 생성 및 제작에 관련된 시스템은 기존의 2D(Dimension) 방송을 위해 개발되었으므로 향후 등장할 다시점 입체 영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실시간 3차원 가상 콘텐츠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을 각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감상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가상 콘텐츠 영상을 소프트웨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는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객체 생성부; 상기 3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를 모델링하고, 다수개의 촬영 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상기 3차원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 및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 및 상기 선택 시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실시간 3차원 가상 콘텐츠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을 각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감상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동영상 감상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원 가상 콘텐츠 영상을 소프트웨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축 및 운용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고, 도 6은 콘텐츠 재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는 크게 3차원 객체 생성부(100),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 콘텐츠 재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차원 객체 생성부(100)는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한다. 3차원 객체 생성부(100)는 사람의 음성이나 이벤트를 통해 생성된 사운드 추출도구(110), 실제 객체의 모션 캡쳐 도구(120),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도구(1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도구들의 조합을 통해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한다.
3차원 객체 생성부(100)는 상기의 도구를 사용하여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하고, 이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에 제공한다.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는 3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B)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는 다수개의 촬영 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3차원 가상 객체(B)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부(300)에 제공한다.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와 콘텐츠 재생부(300)는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 방송 SW 서비스 메인 서버(220),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를 포함한다.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들의 콘텐츠 재생부(300)에 실시간으로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는 서버 관리부(211), 3차원 가상 콘텐츠 모델링부(212),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저장부(213),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신부(214)를 포함한다. 서버 관리부(211)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를 통합적으로 관리 제어한다. 3차원 가상 콘텐츠 모델링부(212)는 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B)를 모델링한다.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저장부(213)는 다수개의 촬영 수단(C1, C2)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3차원 가상 객체(B)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신부(214)는 생성된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에 전송한다.
방송 SW 서비스 메인 서버(220)는 실시간으로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 그리고 클라이언트들의 콘텐츠 재생부(300)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방송 SW 서비스 메인 서버(220)는 확장 서버 관리부(221), 인터페이스 관리부(222), 방송 SW 관리부(223),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관리부(224)를 포함한다. 확장 서버 관리부(221)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를 관리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222)는 콘텐츠 재생부(230)의 콘텐츠 재생 관리부(301)를 관리한다. 방송 SW 관리부(223)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의 방송 SW(233)를 관리한다.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관리부(224)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를 관리한다.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재생부(300)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확장 서버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는 서버 관리부(231),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수신부(232), 방송 SW(233), 분할 실행 방송 SW 에이전트(234)를 포함한다. 서버 관리부(231)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를 통합적으로 관리 제어한다.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수신부(232)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전송 서버(210)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신부(214)로부터 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받아, 콘텐츠 재생부(300)에 송신한다. 방송 SW(233)는 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분할 실행 방송 SW 에이전트(234)는 그래픽/사운드 작업 추출부(237)를 통하여 방송 SW(233)의 그래픽/사운드 작업들을 추출하고 그래픽/사운드 작업 송신부(238)를 통하여 이를 콘텐츠 재생부(30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분할 실행 방송 SW 에이전트(234)는 콘텐츠 재생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입력 데이터 즉,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311,321)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를 인터페이스 입력 처리부(235)와 인터페이스 입력 수신부(236)를 통하여 수신받아 방송 SW(233)로 전송하고, 방송 SW(233)는 그래픽/사운드 작업 추출부(237)에 전달하여 그래픽/사운드 작업 추출부(238)가 사용자의 선택 시점 정보에 따라 그래픽/사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재생부(30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311,321)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 및 상기 선택 시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 객체(B)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인터페이스(311,321)는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말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관리부(301), 방송 SW 실행부(302),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수신부(303), 인터페이스 입력 추출부(304), 인터페이스 입력 송신부(305), 그래픽./사운드 작업 표시부(306), 그래픽/사운드 작업 수신부(307)를 포함한다.
콘텐츠 재생 관리부(301)는 콘텐츠 재생부(300)를 통합적으로 관리 제어한다. 방송 SW 실행부(302)는 방송을 보기 위한 방송 SW 없이도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의 다양한 방송 SW들을 서비스 형태로 실행시킨다.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수신부(303)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 송수신부(232)로부터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입력 송신부(305)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311,321)의 입력을 수신받고, 인터페이스 입력 추출부(304)는 수신받은 입력으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를 추출하다. 추출된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의 인터페이스 입력 수신부(236) 및 입력 처리부(235)로 전달되어 방송 SW(233)가 실행되도록 한다. 그래픽/사운드 작업 수신부(307)는 방송 SW 서비스 확장 서버(230)의 그래픽/사운드 작업 송신부(236)로부터 작업된 그래픽/사운드 작업을 수신받고, 이를 그래픽/사운드 작업 표시부(306)가 디스플레이 장치(312,322)와 스피커(313,123)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하,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는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한다.(S701) 이때, 3차원 객체 모델은 사람의 음성이나 이벤트를 통해 생성된 사운드 추출도구(110), 실제 객체의 모션 캡쳐 도구(120),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도구(1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도구들의 조합을 통해 생성한다.
다음, 3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B)를 모델링 한다.(S702)
다음, 3차원 객체 모델을 촬영한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S703) 이때,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는 3차원 객체 모델을 다수개의 촬영 수단(C1, C2)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음성, 영상 정보이다.
다음, 사용자가 인터페이스(311,321)로부터 사용자 선택 시점을 선택한다.(S704) 이때, 사용자의 인터페이스(311,321)는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말한다.
다음, 선택 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 객체(B)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312,322)와 스피커(313,323)를 통하여 재생한다.(S705)
이처럼, 본 발명은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실시간 3차원 가상 콘텐츠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을 각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감상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동영상 감상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원 가상 콘텐츠 영상을 소프트웨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축 및 운용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3차원 객체 생성부 200 :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
300 : 콘텐츠 재생부

Claims (1)

  1. 3차원 객체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객체 생성부;
    상기 3차원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를 모델링하고, 다수개의 촬영 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상기 3차원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3차원 가상 콘텐츠 제공부; 및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자 선택 시점 정보 및 상기 선택 시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가상 객체의 3차원 가상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KR1020110134849A 2011-12-14 2011-12-14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49A KR101752691B1 (ko) 2011-12-14 2011-12-14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49A KR101752691B1 (ko) 2011-12-14 2011-12-14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855A true KR20130067855A (ko) 2013-06-25
KR101752691B1 KR101752691B1 (ko) 2017-07-03

Family

ID=4886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849A KR101752691B1 (ko) 2011-12-14 2011-12-14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911A (ko) * 2017-12-20 2019-06-28 김기효 실감형 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10072086A (ko) * 2018-11-14 2021-06-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94B1 (ko) 2017-09-14 2018-10-18 (주)글루버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88088A (ko) 2017-12-26 2019-07-26 (주)글루버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911A (ko) * 2017-12-20 2019-06-28 김기효 실감형 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10072086A (ko) * 2018-11-14 2021-06-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US11956408B2 (en) 2018-11-14 2024-04-0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691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259B2 (en) Real-time generation method for 360-degree VR panoramic graphic image and video
JP6309749B2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装置
US10750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mment clusters for panoramic content segments
JP202217705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187797A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US119564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15786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참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581742B1 (ja) Vr生放送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配信サーバの制御方法、配信サーバのプログラム、およびvr生写真データのデータ構造
KR101752691B1 (ko) 시점 선택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콘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0730340B (zh) 基于镜头变换的虚拟观众席展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0901111B1 (ko) 삼차원 가상 공간 콘텐츠를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US20090153550A1 (en) Virtual object rendering system and method
US202301797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00239B1 (ko) 실시간 cg 영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CN109872400B (zh) 一种全景虚拟现实场景的生成方法
JP6091850B2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及び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KR20160136160A (ko) 가상현실 공연시스템 및 공연방법
JP2020101847A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N115174954A (zh) 视频直播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84162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6962745A (zh) 视频图像的混画方法、装置及直播系统
KR20210056414A (ko) 혼합 현실 환경들에서 오디오-가능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CN115665461B (zh) 一种视频录制方法及虚拟现实设备
CN111344744A (zh) 用于展示三维物体的方法以及相关计算机程序产品、数字存储介质和计算机系统
CN114554232B (zh) 基于裸眼3d的混合现实直播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