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379A -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379A
KR20190128379A KR1020180052497A KR20180052497A KR20190128379A KR 20190128379 A KR20190128379 A KR 20190128379A KR 1020180052497 A KR1020180052497 A KR 1020180052497A KR 20180052497 A KR20180052497 A KR 20180052497A KR 20190128379 A KR20190128379 A KR 20190128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vement
jog shuttle
acceleration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3525B1 (en
Inventor
임민석
김정한
김병윤
홍동희
한상민
류인환
신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8005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525B1/en
Publication of KR2019012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list based on an accelerating jog shuttle which can provide a jog shuttle on a screen to allow a user to provide an easy content movement if moving acceleration of content by a search of a device screen is recognized when scrolling. The apparatus for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list based on an accelerating jog shuttle comprises: a direction sensing unit linked to a screen movement for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by drag of a user to sense a direction of the movement; an acceleration sensing unit linked to a movement direction sensed by the direction sensing unit to sense moving acceleration of the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a jog shuttle generation unit to generate a jog shuttle to perform a screen moving function for an application being driven by the portab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previously stored UI information in response to moving acceleration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ing unit and a screen moving direction sensed by the direction sensing unit; and a screen processing unit to display the jog shuttle generated by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 a movement of the screen in response to a rotating direction of the hog shuttle based on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Description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들과 그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크롤 시 디바이스 스크린의 탐색을 통한 콘텐츠의 가속도가 인지되는 경우 화면상에 조그셔틀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쉬운 콘텐츠 이동을 제공할 수 있는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user interf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jog shuttle on a screen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ontent through navigation of the device screen is perceived upon scrolling to provide a user with easy content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으로, 일반인들에게 보편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a generic term for a portable computing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tablet PC, a smart phon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부를 갖는데, 표시부는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사이즈에 의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되어 있다. Such a portable terminal has a display unit as a display means for providing a user with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an operation process, and the display unit is limited to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인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많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그 버튼(jog button), 스크롤바(scroll bar), 상하버튼과 같은 기능 버튼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다.Accordingly, function buttons such as jog buttons, scroll bars, and up and down buttons ar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easily check and access a lot of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a limited display. It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이러한 기능 버튼은 위/아래 방향으로 터치하거나 드래그(drag)하면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하는 정보인 항목 또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사용자가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화면을 이동하며 표시부의 화면상에서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많은 양의 정보를 끌어 당기며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이다.These function buttons are used to move the screen while touching or dragging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the user moves the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find an item or content that is desired information. It is a function to draw and brows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one screen.

이러한 기능 버튼은 탐색해야 할 내용이 적고 정확한 이동을 하는 경우 효과적이나, 모바일 환경으로 콘텐츠와 내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제한된 이동속도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을 하는 경우 화면 터치의 행위가 다수의 반복행위를 요구하게 됨에 따라, 사용상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This function button is effective when there is little content to navigate and moves precisely, but when the content and contents are rapidly increased in a mobile environment, when the user moves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by using the limited movement speed and function buttons As it requires a number of repetitive a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in use.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다수의 하드웨어적인 키를 구비하고 있는 키패드 부분을 없애고 표시부에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면서 키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키패드를 대신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miniaturize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that replaces the keypad with a touch screen that removes a keypad part having a plurality of hardware keys and inputs a key while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display unit has been commercialized. have.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종 기능에 해당하는 복수의 메뉴를 아이콘 형태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들 중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메뉴 아이콘을 찾아서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특정 모드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들은 키의 형태로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하는 소프트키 바(SoftKey-Bar)에 포함시켜, 항상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displays a plurality of menu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icons, and among them, the user finds and touches a menu icon of a specific function, and thus the function is executed. . In addition, menus corresponding to functions frequently used in a specific mode or a specific application are included in a softkey ba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in the form of a key so that they are always displayed on the screen.

그러나, 이처럼 표시부에 항상 표시되는 소프트키 바는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거부감이나 아쉬움을 발생시키게 된다. However, the softkey bar that is alwa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hid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causing a feeling of rejection or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부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소프트 키 바의 숨김 기능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소프트키 바의 숨김 기능은 숨김 되어 있는 소프트 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프트 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키 조작이나 터치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발생시키고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some portable terminals apply the soft key bar hiding function. However, the soft key bar hiding function requires a separate key operation for the user to activate the soft key in order to use the hidden soft key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a touch is generated.

또한, 원하는 정보인 항목 또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 버튼은 리스트의 일 측에 키의 형태로 항상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function button provided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item or content is configured to be alway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key on one side of the list, it does not effectively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크롤 시 디바이스 스크린의 탐색을 통한 콘텐츠의 이동 가속도가 인지되는 경우 화면상에 조그셔틀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쉬운 콘텐츠 이동을 제공할 수 있는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jog shuttle on the screen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s detected through the navigation of the device screen during scroll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cont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the base list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익숙한 상하 또는 좌우의 이동형태에서 사용자가 조그셔틀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 화면상에 조그셔틀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탐색 및 이용 편의성은 높일 수 있는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g shuttle on the screen only when the user needs a jog shuttle in a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form that the user is familiar with, and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to increase user's navigation and use convenienc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조그셔틀 생성부, 및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에서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r interface device for the acceleration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movemen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user drag (drag) Accelerat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the movement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and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pre-stored UI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jog shuttle for performing a screen moving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jog shuttle generated by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ed on the screen, and based on the UI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uttle and a display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또한,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는 상기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한다.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jog shuttle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is faster than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또한,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는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킨다.In additio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maps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jog shuttl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또한,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UI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UI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또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가속도 감지부를 통해 조그셔틀을 드래그하는 회전 가속도에 감지하고, 이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한다.The screen processor detects a rotational acceleration of dragging a jog shuttl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acceler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A)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방향 감지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C) 가속도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D) 조그셔틀 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화면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r interface method for the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mines whether the screen movement by the user drag (drag) occurs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running the application; (B) dete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when the screen movem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 detecting the movement using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movement acceleration of a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direction; (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and UI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and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using a jog shuttle generation unit; Create a jog shuttle that performs a screen scroll function for a running application (E) displaying the generated jog shuttle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screen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the movement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based on the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It includes.

또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이 움직이면, 이에 대응되어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in a straight direction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is.

또한, 상기 UI 정보는 상기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creen movement direction.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D) may include comparing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generating a jog shuttle if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is fas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and detecting the detected screen movement direction. And mapping a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또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조그셔틀이 회전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이 상하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by the user's drag, the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is moved to any one of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E) 단계는 감지되는 조그셔틀의 회전 가속도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한다. In addition, step (E)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detected acceleration of the jog shuttl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은, 화면상에 조그셔틀을 제공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생산 및 유동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이용 편의성은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the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jog shuttle on the screen to search for a plurality of contents produced and flow in a mobile environment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수단인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ccess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sing a jog shuttle, which is an interface means.

또한, 스크롤 시 디바이스 스크린의 탐색을 통한 콘텐츠의 가속도가 인지되는 경우 화면상에 조그셔틀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부에 항상 표시되는 소프트키 바에 따른 사용자에게 거부감이나 아쉬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그셔틀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별도의 키 조작이나 터치의 수행 없이 조그셔틀이 필요한 순간에 한해 조그셔틀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 조그셔틀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navigation of the device screen is recognized when scrolling, by providing a jog shuttle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comfort or inconvenienc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oft key bar that is alwa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lso jog shuttle The jog shuttle can be activated only when the jog shuttle is needed without additional key manipulation or touch to activate i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ing the jog shuttl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pecific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가 상하로 드래그를 통해 원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조그셔틀이 표시되고, 조그셔틀의 회전을 통해 원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method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user sequentially searches for a desired item by dragging up and dow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jog shuttle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earches for desired items by rotating the jog shuttle.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도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방향 감지부(10), 가속도 감지부(20), 조그셔틀 생성부(30), 저장부(40), 화면 처리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detecting unit 10, an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a jog shuttle generating unit 30, a storage unit 40, and a screen processing unit 50. .

방향 감지부(10)는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한다. 즉, 방향 감지부(10)는 사용자가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킬 때, 화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user's drag. That i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dete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een when the user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in a straight direction vertically or horizontally.

예로서, 방향 감지부(10)는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아래가 되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위가 된다. 또한 방향 감지부(10)는 사용자가 좌에서 우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우측이 되고, 반대로 우에서 좌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좌측이 된다.For example,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i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when the user drags down from the top, and conversely,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up. In addition,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left to right,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to the right,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right to left,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is left.

이처럼, 방향 감지부(10)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 움직임의 방향으로 감지된다.As such,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detect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g direction of the user a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가속도 감지부(20)는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한다. 즉, 가속도 감지부(20)는 사용자의 드래그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될 때, 단위시간 동안의 화면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20 detects the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That is,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detects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screen for a unit time when moved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dragging of the user.

예로서, 가속도 감지부(20)는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 터치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할 때 터치된 터치 수단(손가락, 터치펜)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가 달라지게 된다.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화면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느리면 화면의 움직임도 느려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cceleration sensor 20 move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touch means (finger, touch pen) that is touched when drag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Change will be different. The faster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the faster the movement of the screen. The slower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the slower the movement of the screen.

가속도 감지부(20)는 이러한 화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의 순간적인 이동 가속도를 감지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20 detects an instantaneous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creen.

이때, 방향 감지부(10) 및 가속도 감지부(20)는 측정 센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통해 화면 움직임의 방향 및 가속도를 감지하는 것이 아닌, 화면 변화를 통해 발생되는 화면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적으로 감지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and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do not detect the direction and acceleration of the screen movement through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easuring sensor, but use the screen processing result generated through the screen change. Detect by enem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조그셔틀 생성부(30)는 가속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한다. 즉, 조그셔틀 생성부(30)는 가속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한다. 그리고 조그셔틀 생성부(3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킨다.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30 i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UI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and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Creates a jog shuttle that performs the screen scroll function for the running application in. That is,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a jog shuttle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is fas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maps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jog shuttl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예로서, 조그셔틀 생성부(30)는 가속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한다. 그리고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생성된 조그셔틀이 좌(반시계 방향) 회전인 경우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고, 우(시계 방향) 회전인 경우 화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기능을 설정한다.For example,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a jog shuttle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is faster than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In addition, whe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in a straight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30 rotates the generated jog shuttle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Sets the function to move the screen from right to left and to move the screen from left to right in case of right (clockwise) rotation.

다른 예로서, 조그셔틀 생성부(3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상하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생성된 조그셔틀이 좌 회전인 경우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고, 우 회전인 경우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도록 기능을 설정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ing unit 10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the generated jog. Set the function to move the screen from top to bottom if the shuttle is to rotate left and to move the screen from bottom to top if it is to the right.

이처럼, 조그셔틀 생성부(3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갖는 조그셔틀을 가속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에 대응되어 활성화되도록 한다.As such, the jog shuttle generator 30 activates the jog shuttle hav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저장부(4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UI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UI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예컨대 저장부(4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좌우이동” 방향인 경우에 대응하여, 조그셔틀이 좌 회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우 회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UI 정보를 저장한다.For example, the storage unit 40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is a “left to right movement” direction. When moving from the right to the left, and rotates to the right, the UI information for moving the screen moving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from left to right is stored.

또한, 저장부(4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상하이동” 방향인 경우에 대응하여, 조그셔틀이 좌 회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고, 우 회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는 UI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0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is a “up and down movement” direction.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left, the screen moving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It moves from top to bottom, and when rotated to the right to store the UI information for moving the screen movement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bottom up.

이처럼, 저장부(4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과 대응시켜 구체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As such, the storage unit 40 may specifically designate a screen moving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화면 처리부(50)는 조그셔틀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한다.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displays the jog shuttle generated by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based on the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

예로서, 화면 처리부(50)는 생성된 조그셔틀의 화면 움직임 방향이 좌우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조그셔틀이 좌측(반시계 방향)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is set to the left and right,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moves the screen from right to left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and the right (clock) Direction, the screen is moved from left to right.

또한, 화면 처리부(50)는 생성된 조그셔틀의 화면 움직임 방향이 상하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조그셔틀이 좌측(반시계 방향)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고,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is set up and down,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moves the screen from top to bottom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and to the right (clockwise). When rotated to, the screen moves from bottom to top.

한편, 화면 처리부(50)는 가속도 감지부(20)를 통해 조그셔틀을 드래그하는 회전 가속도에 감지하고, 이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detects the rotational acceleration dragging the jog shuttle through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20, and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conjunction with this.

예로서, 화면 처리부(50)는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조그셔틀을 회전할 때 터치된 터치 수단(손가락, 터치펜)의 회전 속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는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화면의 움직임은 빠르게 제어되고,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느리면 화면의 움직임을 느리게 제어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jog shuttle while the user touches, the screen processor 50 chang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ouched means (finger, touch pen).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rolled to be fast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fast, and the movement of the screen is slowly controlled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slow.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device for the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형 조그셔틀 기반 목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method for accelerated jog shuttle based lis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S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20).Referring to FIG. 2, first, when an appl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s driven by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10), the user interface device determines whether screen movement through dragging of the user occurs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S20).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가 상하로 드래그를 통해 원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user sequentially searches for a desired item by dragging up and dow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라,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방향 감지부(10)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한다(S30).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en movement occur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in the user interface device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screen movement in association with the screen movemen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30).

도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항목들이 상하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드래그를 상하로 수행하며, 항목들이 좌우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드래그를 좌우로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when items are displayed up and down, dragging is performed up and down, and when items are displayed left and right, dragging is performed left and right.

이때, 도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아래가 되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위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좌에서 우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우측이 되고, 반대로 우에서 좌로 기능 버튼을 드래그하는 경우, 움직임의 방향은 좌측이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drag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becomes downward, and conversely,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becomes upward. In addition,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left to right, the direction of movement becomes right, and conversely, when the user drags the function button from right to left, the direction of movement becomes left.

이처럼, 방향 감지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이 움직이면, 이에 대응되어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As such, when the user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the user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rough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creen is detected.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가속도 감지부(20)는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한다(S40). 이동 가속도는 단위시간 동안의 화면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in the user interface device detects the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S40). The movement acceleration represents a change in movement of the screen during unit time.

예로서,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 터치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할 때 터치된 터치 수단(손가락, 터치펜)의 움직임의 속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화면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느리면 화면의 움직임도 느려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movement change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chang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ement of the touch means (finger, touch pen) touched when drag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this time, if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fast, the movement of the screen is faster, and if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slow, the movement of the screen is also slowed down.

가속도 감지부(20)는 이러한 화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의 순간적인 이동 가속도를 감지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20 detects an instantaneous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creen.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한다. Subsequently,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of the user interface device moves the screen to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and the UI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Create a jog shuttle to perform the function.

즉,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비교하여(S50), 감지된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한다(S60). That is,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a jog shuttle when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is fas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S50), when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is fas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S60).

그리고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상기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킨다(S70).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maps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creen movement direction (S70).

예로서, 조그셔틀 생성부(30)는 가속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한다. 그리고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생성된 조그셔틀이 좌(반시계 방향) 회전인 경우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고, 우(시계 방향) 회전인 경우 화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기능을 설정한다.For example,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a jog shuttle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20 is faster than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In addition, whe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0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in a straight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30 rotates the generated jog shuttle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Sets the function to move the screen from right to left and to move the screen from left to right in case of right (clockwise) rotation.

다른 예로서, 조그셔틀 생성부(30)는 방향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이 상하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조그셔틀 생성부(30)는 생성된 조그셔틀이 좌 회전인 경우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고, 우 회전인 경우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도록 기능을 설정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ing unit 10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the generated jog. Set the function to move the screen from top to bottom if the shuttle is to rotate left and to move the screen from bottom to top if it is to the right.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화면 처리부(50)는 상기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한다(S80). 즉, 화면 처리부(50)는 조그셔틀 생성부(30)에서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매핑되는 조그셔틀의 좌/우 회전(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으로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한다.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of the user interface device displays the generated jog shuttle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based on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 S80). That is,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may move the screen i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rotation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jog shuttle mapped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by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30. Process.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조그셔틀이 표시되고, 조그셔틀의 회전을 통해 원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jog shuttle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quentially searches for desired items by rotating the jog shuttle.

도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화면 처리부(50)는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조그셔틀을 회전하면서 원하는 항목을 순차적으로 검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sequentially searches for a desired item while rotating the jog shuttle while the user touches it.

이때, 화면 처리부(50)는 생성된 조그셔틀의 화면 움직임 방향이 상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그셔틀이 좌측(반시계 방향)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고,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킨다.In this case, since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is set up and down,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moves the screen from top to bottom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and to the right (clockwise). When rotated to, the screen moves from bottom to top.

그러나 화면 처리부(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생성된 조그셔틀의 화면 움직임 방향이 좌우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조그셔틀이 좌측(반시계 방향)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화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However,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is set to the left and right,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to the left (counterclockwise), the screen is moved from right to left, When rotated to the right (clockwise), move the screen from left to right.

그리고 화면 처리부(50)는 가속도 감지부(20)를 통해 조그셔틀을 드래그하는 회전 가속도에 감지하고, 이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creen processor 50 may detect the rotational acceleration of dragging the jog shuttl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20 and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acceleration.

즉, 화면 처리부(50)는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조그셔틀을 회전할 때 터치된 터치 수단(손가락, 터치펜)의 회전 속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움직임 변화는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빠르면 화면의 움직임은 빠르게 제어되고, 터치 수단의 움직임 속도가 느리면 화면의 움직임을 느리게 제어된다.That is, the screen processing unit 50 chang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touch means (finger, touch pen) that is touched when the user moves the jog shuttle.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rolled to be fast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fast, and the movement of the screen is slowly controlled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touch means is s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um o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10: 방향 감지부 20: 가속도 감지부
30: 조그셔틀 생성부 40: 저장부
50: 화면 처리부
10: direction detection unit 20: acceleration detection unit
30: jog shuttle generation unit 40: storage unit
50: screen processing unit

Claims (11)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감지부;
상기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조그셔틀 생성부; 및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에서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하는 화면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 dir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direction of the movement in connection with a screen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dragging of the user;
An acceleration detector detecting a movement acceleration of a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a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or;
A jog for generating a jog shuttle for performing a screen moving function for an application running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and the UI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Shuttle generation unit; And
A user interface device which displays a jog shuttle generated by 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es the movement of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based on the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는
상기 가속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a jog shuttle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is faster than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 생성부는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og shuttle generating unit maps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jog shuttl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UI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UI information for adjusting a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a jog shuttle driven in a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가속도 감지부를 통해 조그셔틀을 드래그하는 회전 가속도에 감지하고, 이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creen processor detects a rotational acceleration of dragging a jog shuttl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association with the acceleration.
(A)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의 드래그(drag)를 통한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화면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방향 감지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한 화면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C) 가속도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되는 움직임 방향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D) 조그셔틀 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 및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는 UI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이동기능을 수행하는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화면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조그셔틀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조그셔틀에 설정된 UI 정보를 기반으로 조그셔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화면의 움직임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 determining whether screen movement through dragging of a user occurs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driven;
(B) dete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response to the screen movemen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direction detecting unit when the screen movement occurs;
(C) detecting a movement acceleration of a screen moving in one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using an acceleration detection unit;
(D) generating a jog shuttle for performing a screen moving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UI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and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using the jog shuttle generation unit; And
(E) a user comprising displaying the generated jog shuttle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screen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the movement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shuttle based on UI information set in the jog shuttle Interface metho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가 상하로 또는 좌우로 일직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통해 화면이 움직이면, 이에 대응되어 움직이는 화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ep (B) is
If the user moves the screen by dragging in a straight direction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the user interfa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i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는 상기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UI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adjusting a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a jog shuttle driven in a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creen movement direc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감지되는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보다 빠르면 조그셔틀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화면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되는 조그셔틀의 좌/우(반시계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화면 움직임 방향을 매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ep (D) is
Comparing the detected moving accele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Generating a jog shuttle when the detected movement acceleration is faster than a preset reference acceleration;
And mapping a screen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left / right (counterclockwise / clockwise) rotation of the generated jog shutt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creen movement direc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조그셔틀이 회전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이 상하 또는 좌우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E), when the jog shuttle is rotated by the user's dragging, the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is moved to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감지되는 조그셔틀의 회전 가속도와 연동하여 화면의 움직임 속도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ep (E) is a user interfa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screen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ed acceleration of the jog shuttle.
KR1020180052497A 2018-05-08 2018-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KR102113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97A KR102113525B1 (en) 2018-05-08 2018-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97A KR102113525B1 (en) 2018-05-08 2018-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379A true KR20190128379A (en) 2019-11-18
KR102113525B1 KR102113525B1 (en) 2020-05-22

Family

ID=6872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97A KR102113525B1 (en) 2018-05-08 2018-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5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821A (en)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o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30115061A (en) * 2012-04-10 2013-10-21 안재석 Method for scroll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67861A (en) * 2012-11-27 2014-06-0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821A (en)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o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30115061A (en) * 2012-04-10 2013-10-21 안재석 Method for scroll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67861A (en) * 2012-11-27 2014-06-0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525B1 (en)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010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US10416777B2 (en) Device manipulation using hover
US9146672B2 (en) Multidirectional swipe key for virtual keyboard
KR101668398B1 (en) Translating user interaction with a touch screen into input commands
JP2021177397A (en) Crown input for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JP6141300B2 (en) Indirect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9250729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plurality of non-selected graphical user elements
KR1019851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20110157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n a User Interface Object
EP2664986A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or process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multi-touch
US20130239058A1 (en) Handheld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s using the same
US20110283212A1 (en) User Interface
US10754543B2 (en) Touchscreen keyboard
US11249579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embedded interactive content
KR20090081602A (en) Method for providing UI to detect a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US20140082559A1 (en) Control area for facilitating user input
JP2011227854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518439B1 (en) Jump scrolling
JP2011210083A (en) Display device
JP2019505024A (en) Touch-sensitive surface-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gesture control by display
JP2008530645A (en) selector
CN108089643A (en) The method that electronic equipment and enhancing are interacted with electronic equipment
KR1021135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US10019127B2 (en) Remote display area including input lenses each depicting a reg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96968B1 (en) Control method of favorites mode and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per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