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861A -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861A
KR20140067861A KR1020120135657A KR20120135657A KR20140067861A KR 20140067861 A KR20140067861 A KR 20140067861A KR 1020120135657 A KR1020120135657 A KR 1020120135657A KR 20120135657 A KR20120135657 A KR 20120135657A KR 20140067861 A KR20140067861 A KR 20140067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olling
scroll
screen display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승우
정진혁
유준식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13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861A/en
Publication of KR2014006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8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crolling on a web electronic document, etc.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 first input on a touchscreen display; scroll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screen display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the first input; display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depending on the start of the scroll; detecting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controlling the scroll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Therefore, a scroll on the touchscreen display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웹 전자문서 등에서 스크롤 (scroll) 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직관적인 제스처 (gesture) 입력을 통하여 전자문서 등을 스크롤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crolling in web electronic document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an electronic document or the like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란, 디스플레이 상에 미세전류 또는 압력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미세 전류 또는 압력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신호를 인가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터치패드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터치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는 터치패드 상에서 입력되는 터치팬 또는 손가락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경우 터치센서와 터치패드가 함께 구현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지점에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해당 지점에서 포인터가 동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손가락 등을 통해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신호를 인식하는 민감도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입력신호에 대한 반응도가 뛰어난 정전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전자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는 보통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직접 GUI 객체를 가리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선택을 하게 되므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에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과거 컴퓨터를 통해서 수행되던 프로그램들 중 상당수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구현되고 있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기기와 사용자가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은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The touch screen display means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display by applying a minute current or pressure on the display. There is a point similar to a touch pad in that an input signal is applied through a touch sensor that recognizes a minute current or pressu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the pointer on the display moves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ouch fan or the finger input on the touch pad, while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display,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pad are implemented together to apply a signal to a specific point on the display The difference is that the pointer works at that point. Thus, when a signal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display through a finger or the like, the sensitivity of recognizing the signal is very important. Recently, a capacitive touch screen display having excellent response to an input signal has been developed, and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are being developed. The user does not need a separate input device because the user usually makes a selection on the display screen by pointing the GUI object directly on the display screen with a stylus or a finger. Due to these advantages, mobile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and since the use of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display is becoming common, many of programs that have been performed through computer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mobile devices. Designing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one device and user to easily interact has become a new challenge.

한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휴대성이 요구되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면의 크기가 일반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표시해야 하는 컨텐츠, 페이지 등을 하나의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스크롤 (scroll) 이란, 디스플레이 상에 페이지 또는 객체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창을 여는 작업 없이 표시된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상에 표지 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 또는 객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이동 과정을 의미한다. 데스크 탑 PC의 경우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 또는 전자문서의 일 측에 마커 또는 인디케이터를 두어 마우스와 같은 입력기기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경우 별도의 외부 입력장치를 요구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직접 제어를 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특정 제스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스크롤을 수행하였으며, 대부분의 기기들이 플리킹 (flicking) 제스처 입력을 통해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였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ouch screen display is mostly applied to a mobile device requiring portability, the screen size is generally smaller than that of a normal display. This is because the contents, pages, and the like to be displayed are displayed on one screen It can not be done. A scroll is a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view a page or object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by moving the displayed screen upward or downward or left and right without opening a new window when only a page or part of the o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t means movement process. In the case of a desktop PC, it is common to place a marker or an indicator on one side of a web-browser or an electronic document to perform a scroll oper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but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display, Because it controls directly through the touchscreen display, scrolling is performed by inputting a specific gesture signal to the touchscreen display, and most devices perform scrolling through the flicking gesture input.

도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 variation of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도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플리킹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롤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크롤 움직임은 시간 경과에 따라 속도가 줄어들도록 설계된다. 즉, 스크롤의 초기 속도는 드래그 입력의 강도에 따라 결정되고, 드래그 입력에 따른 스크롤 움직임은 현실에서 사물을 밀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hown in FIG. 1, when scrolling is generally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flicking gesture input, the scroll movement is designed to slow down over time. That is, the initial speed of the scro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drag input, and the scroll movement according to the drag input is generally implemented such that the scroll speed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as in the case where the object is pushed in reality.

이와 관련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스크롤 방법에 관한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식을 제공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스크롤의 대상이 많은 경우, 예를 들어 많은 음악을 포함하고 있는 음악목록에서 스크롤을 통해 원하는 음악을 선택함에 있어 원하는 곡이 음악목록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경우 등에는 원하는 부분이 화면에 나타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드래그 입력을 인가 해주어야 했다. 이러한 방식은 전자문서가 매우 길거나, 스크롤이 많이 요구되는 작업에 있어서 스크롤 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스크롤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제스처 입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on the scroll method in the touch screen display does not provide an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For example, if you have a lot of scrolling targets, for example, in the list of music that contains lots of music, you can select the desired music by scrolling. If the desired song is at the end of the music list, I had to constantly apply the drag input until it appeared. This method is very inconvenient in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is very long, the scroll itself takes a lot of time in a job requiring a lot of scrolling, and the gesture input is continuously required to maintain the scroll.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to develop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provide an intuitive and efficient interface for performing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직관적인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효율적인 스크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in performing a scroll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직관적인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스크롤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스크롤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크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ol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scrolling by controlling the speed of scrolling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in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하는 단계, 스크롤의 개시에 따라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crolling a scree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input,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first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Display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in response to the start of the scroll, detecting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controlling scrolling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은 제2 입력의 검출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기 시작한 당시 상기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crolling a scree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input, wherein when the detection of the second input is continued,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maintained at the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second input is sta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은 제2 입력이 드래그 제스처 입력인 경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수록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증가시키고, 제2 방향으로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수록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crolling a scree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input, wherein when the second input is a drag gesture input,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input increases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an initial position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increased and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decreased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input is increased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가 서로 구분이 가능한 일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진 경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상단부에 스크롤에 따라 일 이상의 객체가 화면의 특정 부분에 위치할 때마다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스크롤이 중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ject is composed of one or more object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each time an object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according to scrolling at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display, And stopping the scrolling for a whi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상단부에 스크롤에 따라 일 이상의 객체가 화면의 특정 부분에 위치할 때마다 일 이상의 객체를 이미지 처리하여 강조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of one or more objects and highlighting each time each of the objects is position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according to scrolling at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의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일 이상의 객체의 스크롤이 중단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속도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stopping the scrolling of one or more object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ethod of scrolling the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display inpu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when the scrolling spe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해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는 판독가능 매체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하고, 스크롤의 개시에 따라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a screen scroll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input, the touch screen display comprising: a first input for detecting a first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Including instructions to scroll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to display a scroll control indicator upon initiation of scrolling, to detect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to control scrolling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do.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처리부를 포함하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처리부는 상기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하고,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처리부는 제2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display and a processing unit, the touch screen display detecting a first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The touch screen display scrolls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irst input and displays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the touch screen display detects the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the lik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직관적인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효율적인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efficient scrolling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in performing a scroll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크롤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직관적인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스크롤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스크롤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scrolling by controlling the speed of scrolling through an intuitive gesture input in performing a scrolling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도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스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스크롤을 실시하는 알고리즘 처리모듈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스크롤을 실시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스크롤을 유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6a 및 도6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속도가 일정 크기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마그네틱 윈도우 효과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variation of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 algorithm processing module that performs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a flow diagram of an algorithm for performing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llustrate how scrolling is maintained us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scroll speed control us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and 6B illustrate how a magnetic window effect is applied when the scroll speed is lower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components even whe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possible.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actually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스크롤을 실시하는 알고리즘 처리모듈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 algorithm processing module that performs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2 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스크롤 동작을 구현하는 알고리즘 처리모듈 (100) 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와 처리부 (120) 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algorithm processing module 100 for implementing a scroll operation through a gesture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may include a touch screen display portion 110 and a processing portion 120.

도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 (111) 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부 (112) 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에서는 문서 또는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부 (111) 와 터치스크린 패널부 (112) 는 하나의 모듈에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unit 111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touch screen panel unit 112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can receive not only a document or an image but also a signal for content control. The display panel unit 111 and the touch screen panel unit 112 may be implemented in one modu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한편, 처리부 (120) 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 (121)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121)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 (120)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 memory 121 as required. The memory 121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nd may reside separately external to the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may be omitted in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스크롤 동작을 구현하는 알고리즘 처리모듈에서의 동작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dure in the algorithm processing module for implementing the scroll operation through the gesture input on the touch screen displ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스크롤을 실시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illustrates a flow diagram of an algorithm for performing scrolling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에 제1 입력이 인가되면 스크롤 동작이 트리거링 (triggering) 된다 (S100). 제1 입력은 다양한 제스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stylus) 와 같은 입력 도구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킨 상태뿐만 아니라, 접촉하지 않더라도 근접한 거리에 접근시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 (floating touch) 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은 특정 제스처, 예를 들어 플리킹 (flicking) 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래그 (drag), 탭 (tap), 더블 탭 (double tap) 을 포함하는 멀티플 탭 (multiple tap) 또는 롱 탭 (long tap) 제스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입력이 드래그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상정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the scroll operation is triggered (S100). The first inpu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gestures. The input may occur not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hysically touches the input device such as a finger or a stylus on the touch screen display but also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tact is made in a floating touch by approaching the close distance. Also, the first input may be implemented as a specific gesture, e.g., flicking, but is not so limited and may include multiple tabs including drag, tab, double tap, tap or long tap gesture input. It is assumed herein that the first input is a drag gesture input.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에 제1 입력이 인가되면 처리부 (120) 에서는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롤을 실행한다 (S200). 처리부 (120) 는 제 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초기 스크롤 속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입력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초기 스크롤 속도를 크게 설정하고, 플리킹 입력의 크기다 작은 경우에는 초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한다.When the first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the processing unit 120 scrolls in response to the first input (S200). The processing unit 120 determines the initial scrolling speed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irst input.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plicking input is large, the initial scrolling speed is set to a large value, and if the size of the plicking input is small, the initial scrolling speed is set.

스크롤이 실행되면, 처리부 (120) 는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에 표시한다 (S300).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는 스크롤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스크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의 세부적인 동작 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는 특정 이미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스크롤이 진행되는 프로그램과 동일한 창에 표시될 수도 있고, 별도의 창에 표시될 수도 있다.When the scroll is executed, the processing unit 120 displays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on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S300).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controls the scrolling while the scroll is in progress.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and function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may be expressed in a specific image format, and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window as the program in which the scrolling proceeds, or in a separate window.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0) 에 표시된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통해서 제2 입력이 인가되면 처리부 (120) 에서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롤을 제어한다 (S400).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에 제스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스크롤의 방향,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의 세부적인 동작 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When the second input is applied through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110, the processing unit 120 controls the scrolling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S400). The direction, speed, etc. of the scroll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a gesture input to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and function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will be described later.

도4a 및 도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스크롤을 유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s 4A and 4B illustrate how scrolling is maintained us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롤 하고자 하는 객체 (200) 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에서 제1 입력을 인가 (210) 함으로써 스크롤이 시작된다. 제 1 입력 (210) 은 다양한 제스처 입력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입력 (210) 에 대응되는 제스처 입력이 플리킹 입력인 것으로 상정하였다. 한편, 제1 입력 (210) 에 따른 스크롤의 초기 속도는 제1 입력 (210) 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 (200) 의 스크롤 속도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느려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Scrolling is initiated by applying a first input 210 at a location on the touch scree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object 200 to be scrolled,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input 2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gesture inputs,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gesture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210 is a flicking input. The initial velocity of the scroll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210 may be determined to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irst input 210. In the case of the scroll velocity of the object 200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Likewise, the scroll speed can be slowed down over time.

스크롤이 시작되면 도4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가 표시된다.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는 별도의 플리킹 입력 없이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4b 의 경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가 화면의 우측에 원형의 이미지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발명사상의 범위 내에서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는 다양한 이미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When scrolling is started,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B.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functions to scroll the screen without a separate flicking input. 4B,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s embodied as a circular image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may be embodied in various images have.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를 통한 스크롤의 제어는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에 제2 입력 (230) 을 인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입력 (230) 에 대응되는 제스처로서 누르고 있기 (press and hold) 동작을 상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탭, 더블 탭, 멀티플 탭, 드래그 등 다양한 제스처가 사용될 수 있다. 도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스크롤은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된다. 스크롤 제어 인데케이터 (220) 에 제2 입력 (230) 을 가함으로써 스크롤을 지속시키는 경우 스크롤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스크롤 속도는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에 제2 입력 (230) 이 인가되는 순간의 스크롤 속도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입력 (210) 이 인가되어 발생한 스크롤의 초기속도가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Control of scrolling through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s enabled by applying a second input 230 to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230 is assumed to be a press and hold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gestures such as a tap, a double tap, a multiple tap, . As shown in FIG. 4B, while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s being depressed, the scroll continues without stopping. The scrolling speed is kept constant and the second input 230 is applied to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When the second input 230 is applied to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input 210 may be applied to the initial velocity of the scroll.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이용 (220) 하여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croll speed using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scroll speed control us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제3 입력 (240) 을 인가함으로써 스크롤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입력 (240) 은 다양한 제스처 입력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입력 (240) 에 대응되는 제스처 입력으로서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즉 드래그 하는 입력인 것으로 상정하였다.The scroll speed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the third input 240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as shown in FIG. The third input 24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variety of gesture inputs, and in this embodiment, as a gesture input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put 240,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may be moved up or down or left or right, Respectively.

즉, 제2 입력 (230) 인 누르고 있기 제스처를 인가 중인 상태에서 스크롤 제어 인데케이터 (220) 을 상향 드래그 (220a) 하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의 원위치와 드래그에 의해 이동된 거리가 클수록 스크롤 속도가 빨라지고, 반대로 스크롤 제어 인데케이터 (220) 을 하향 드래그 (220b) 하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의 원위치와 드래그에 의해 이동된 거리가 클수록 스크롤 속도가 느려진다.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에 제3 입력을 인가하여 객체 (200) 의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220) 를 좌우로 드래그 (220c, 220d) 함으로써 제어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ler 220 scrolls upward while the gesture of the second input 230 is being applied, if the original value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and the distance moved by the drag are greater, If the home position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and the distance moved by dragging become larger, the scroll speed becomes slower as the speed of the scroll control is increase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200 by applying the third input to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The method of dragging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220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5 220c, and 220d.

나아가, 필요한 경우 속도뿐만 아니라, 좌우 드래그 (220c, 220d) 는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는 입력으로 사용하고, 상하 드래그 (220a, 220b) 는 스크롤 방향을 전환하는 입력으로 사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f necessary, not only the speed but also the left and right drags 220c and 220d may be used a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scroll speed, and the up and down drags 220a and 220b may be used as an input for switching the scroll direction.

도6a 및 도6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속도가 일정 크기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마그네틱 윈도우 효과가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S. 6A and 6B illustrate how a magnetic window effect is applied when the scroll speed is lower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크롤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어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위치 근방까지 스크롤이 진행된 경우, 페이지 별, 또는 컨텐츠 별과 같이, 객체 별로 스크롤이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스크롤을 일정 시간 동안 멈추어주는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When scrolling progresses to some extent and the user scrolls to a location close to the desired location, the user can scroll through the scrolls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desired object is in the middle of scrolling by object, such as by page or by content You may need the ability to pause for a while.

도6a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롤의 진행 중에 스크롤 속도가 일정 속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각각의 객체 (200, 300) 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가 될 때 마치 객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자석처럼 붙는 효과 (마그네틱 윈도우) 를 주어 스크롤 되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6a 와 도6b 에서는 스크롤 되는 객체 (200, 300) 인 페이지의 상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마그네틱 윈도우 효과 (310) 가 발생하도록 구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객체의 중간 부분이 화면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객체의 특정 위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 마그네틱 윈도우 효과 (310) 가 나타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A, when the scroll speed is lowered below a predetermined speed during the progress of scrolling, when each of the objects 200 and 3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effect A magnetic window)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scrolling. 6A and 6B, a magnetic window effect 310 is generated when an upper part of a page, which is a scroll object 200 or 300,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a display scr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 magnetic window effect 310 appears whe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object is loc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screen.

마그네틱 윈도우 효과 (310) 는 마치 객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자석처럼 붙어 일정시간 동안 스크롤의 진행을 멈추는 효과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해당 객체의 색상이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강조해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gnetic window effect 310 may be realized by not only stopping the progress of the scroll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bject is attached to the display screen like a magnet but also by emphasizing the change by changing the color or size of the object.

한편, 스크롤의 진행 중에 마그네틱 윈도우 (310) 효과를 트리거링 하기 위해서는 스크롤 속도가 일정 속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적으로 트리거링 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특정 이미지 (별도의 마그네틱 윈도우 트리거링 인디케이터) 에 특정 제스처 입력을 인가하여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order to trigger the effect of the magnetic window 310 during the progress of scrolling, it may be implemented to be automatically triggered when the scrolling speed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peed. Alternatively, a specific gesture input may be applied to a specific image (a separate magnetic window triggering indicator) May be implemented.

이처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스크롤을 수행함에 있어서,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통해 직관적이고 편리한 방법으로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Thus, in scrolling on the touch screen display, scrolling can be performed in an intuitive and convenient manner through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a register,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which is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nd writing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스크롤을 실시하는 알고리즘 처리모듈
11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1 디스플레이 패널부
112 터치스크린 패널부
120 처리부
121 메모리
100 Algorithm processing module that scrolls through touch screen display operation
110 touch screen display unit
111 display panel section
112 Touch screen panel section
120 processor
121 memory

Claims (8)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하는 단계;
스크롤의 개시에 따라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Detecting a first input on a touch screen display;
Scroll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irst input;
Displaying a scroll control indicator upon initiation of scrolling;
Detecting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And controlling scrolling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의 검출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기 시작한 당시 상기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detection of the second input continues,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maintained at the time of starting to detect the second inpu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이 드래그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증가시키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입력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객체의 스크롤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second input is a drag gesture input,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increased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input increases in a firs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n initial position of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Wherein the scroll speed of the object is reduced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wo inputs in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서로 구분이 가능한 일 이상의 객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상단부에 스크롤에 따라 상기 일 이상의 객체가 화면의 특정 부분에 위치할 때마다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스크롤이 중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bject is composed of one or more object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crolling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each time the one or more objects are position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according to scrolling at the top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상단부에 상기 스크롤에 따라 상기 일 이상의 객체가 화면의 특정 부분에 위치할 때마다 상기 일 이상의 객체를 이미지 처리하여 강조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image processing and highlighting the one or more objects each time the one or more objects are loc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scroll at the top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How to scroll through the scree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일 이상의 객체의 스크롤이 중단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속도가 미리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stopping the scrolling of the at least one object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is expressed when the scrolling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하고,
스크롤의 개시에 따라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해 화면 스크롤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etecting a first input on the touch screen display,
Scroll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irst input,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i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of scrolling,
Detecting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controlling the scrolling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 Desc / Clms Page number 19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입력의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스크롤 및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크롤 제어 인디케이터 상에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화면 스크롤 장치.
Touch screen display; And
Processing unit,
Wherein the touch screen display detects a first input on the touch screen display and the processing unit displays a scroll and scroll control indicator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splay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irst input, Wherein the controller detects a second input on the scroll control indicator and the processing unit controls scrolling of the object based on the second input.
KR1020120135657A 2012-11-27 2012-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KR201400678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57A KR20140067861A (en) 2012-11-27 2012-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57A KR20140067861A (en) 2012-11-27 2012-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861A true KR20140067861A (en) 2014-06-05

Family

ID=5112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657A KR20140067861A (en) 2012-11-27 2012-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86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72A (en) * 2015-08-18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nts searching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7039103A1 (en) * 2015-09-02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72645A (en) * 2018-06-21 2018-06-29 장대용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crolling a user dveice by using a weight of deviece
KR20190128379A (en)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우리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72A (en) * 2015-08-18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nts searching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7039103A1 (en) * 2015-09-02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09907B2 (en) 2015-09-02 2020-10-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28379A (en)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우리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Lists Based on Acceleration Type Jog-Shuttle
KR20180072645A (en) * 2018-06-21 2018-06-29 장대용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crolling a user dveice by using a weight of devie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controlling using touch-screen
TWI552040B (en) Multi-region touchpad
US8976140B2 (en) Touch input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or,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TWI463355B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ng method of user-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interface
TWI389014B (en) Touchpad detection method
JP2009259079A (en) Touch board cursor control method
KR20100130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ed area in touch interface
KR101636665B1 (en) Programmable display device and screen operation processing program therefor
JP20110140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TW201516840A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100053099A1 (en) Method for reducing latency when using multi-touch gesture on touchpad
EP24265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380990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KR20100018883A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on electronic device
WO2013081594A1 (en) Input mode based on location of hand gesture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KR201400678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touch-screen display
KR20110133904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zoom in/out of touch window
KR201400675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ntents through a touch-screen display
KR1015058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controlling a pointer on a touch-screen display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KR1014689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objects across a touch-screen display
KR201500497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displaying magnification of an object on touch-screen display
KR20150122021A (en) A method for adjusting moving direction of displaying object and a terminal thereof
TWI462034B (en) Touch electronic device and digital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