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72A -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72A
KR20190080572A KR1020170183104A KR20170183104A KR20190080572A KR 20190080572 A KR20190080572 A KR 20190080572A KR 1020170183104 A KR1020170183104 A KR 1020170183104A KR 20170183104 A KR20170183104 A KR 20170183104A KR 20190080572 A KR20190080572 A KR 2019008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mart
user
electromyogram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5553B1 (en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to KR102017018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8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61B5/049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area increasing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wherein the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includes: a sensing unit sensing an electromyogram for the contact area of a user and transmit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corresponding to a sensing result to a receiving device; and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increasing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comprises: an attachment patch having a coupling unit on the center of one surface to be intermittently coupled to a pair of electrode parts, and having an adhesive surface formed on the entir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atch to be attached to the contact area of the user; a contact unit having an upper surface which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of the user and has a tilted shape, and a lower surface which has a horizontal shape; and an elastic unit fastened and fixated to a fixation pin of the contact unit to have an outer diameter getting smaller gradually as going downwa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users having various physical body characteristics and also can easily acquire biometric signals from a portion of a physical body to be measured by applying the electromyography sensor to the portion of the physical body of the user without other special coupling units.

Description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nd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본 발명은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에 접촉면의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 연계되면서 근전도를 감지 및 접촉면에 면접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노출되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하면서 노이즈를 감쇄하도록 제공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for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for sensing an electromyogram of a contact surface in a case and transmit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result to a receiv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increasing a contact area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which includes a battery and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sec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ection and which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so as to detect an EMG and to be in contact with a contact surface, will be.

근전도 센서는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근래에 근전도 센서를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 EMG sensor is a sensor that senses a change in current caused by the movement of muscles. Recently, a variety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utilizing an EMG sensor.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563530호는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근육의 피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상인과 환자군의 관절 각도와 근력의 상관관계를 비교할 수 있으며 감지 장치를 신체 전신의 관절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동작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등록특허 1009222호는 무선 근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근전도 감지모듈에 무선송신모듈을 구비하고, 근전도 단말기에 무선수신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근전도 감지모듈은 근전도 단말기로 근전도 신호를 무선송신할 수 있으므로, 잦은 사용으로 인한 케이블 손상이 방지되고 피시험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Regarding this, Patent No. 1563530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electromyogram and mo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confirm fatigue of a muscle,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a joint angle of a normal person and a patient's group and muscle strength, Is attached to the joints of the whole body of the body to provide a system for detecting EMG and motion that enables analysis of various complex motions. In additio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09222 relates to a wireless electromyography measuring system, which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in the electromyogram detection module and a wireless reception module in the electromyogram terminal. Here, since the EMG sensing module can wirelessly transmit the EMG signal to the EMG terminal, the cable damage due to frequent use can be prevented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subject can be minimized.

종래 기술들의 경우, 근전도 센서의 특정 활용 방안에 대해 제안할 뿐,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근전도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only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electromyography sensor is suggested, but a method of easily applying an electromyography sensor to users having various body characteristics is not suggested.

그리고, 근전도 센서를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착용자의 자세, 움직임 및 피로도 등에 의한 오차를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동작의 인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orrect operation because the error due to the posture, movement and fatigue of the wearer, which may occur in practically applying the electromyogram sensor, is not reflect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63530호(발명의 명칭 :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63530 (entitl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G AND EMG OPERATION)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22호(발명의 명칭 : 무선 근전도 측정 시스템)2. Korean Patent No. 1009222 (entitled: Wireless EMG Measurement System)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01661호(발명의 명칭 : 착용형 근전도 센서 시스템)3. Korean Patent No. 1501661 (entitled: Wearable Electromyography Sensor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과 대응되는 케이스의 일면에 양측 전극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 전극부와의 동일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밀착구조를 가져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도 별다른 체결수단 없이 용이하게 근전도감지기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structure which is provided between both electrode parts on one surface of a case corresponding to a user's body contact surfa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which can easily apply an electromyogram sensor to a body part of a user without any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움직임과 자세를 반영하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동작의 인식이 가능하면서 피로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여,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by accurately and accurately recognizing motions and attitudes while reducing the errors caused by fatigue while enabling accurate and accurate operation recognition.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air of electrode portions spaced apart from a surface of a case corresponding to a contact surface of a user,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electromyogram of the smart electromyogram corresponding to a sensed result;

상기 한 쌍의 전극부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부착패치가 구비되고,And an attaching patch for forming an adhesiv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on the entirety of the other surface while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for interlocking with the pair of electrode portions,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홈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고정핀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A support piec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formed with a connecting hole passing through one e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inge groove a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end surface, and a " A plurality of fixing p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is inclined,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has a horizontal shape, The contact area enhancement structure of the smart electromyographic sensor including the elastic portion which is reduced in size.

한편, 상기 접촉부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과 타측 블록에서 타측 블록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일측 블록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blocks, and one surface of one side block of the block adjacen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other side block,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groove and is slid inward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uide groov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insertion guide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positions of the guide grooves to the sl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s of the guide grooves,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블록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A fixing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divided blocks, and an elastic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in is provided, or if a block connected to the hinge axis of the divided blocks is a starting block, a fixing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st block,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과 대응되는 케이스의 일면에 양측 전극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 전극부와의 동일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밀착구조를 가져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도 별다른 체결수단 없이 용이하게 근전도감지기를 적용함으로서,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생체신호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wo side electrode parts on one sid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contact surfac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who has various body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ecause it has a close contact structur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and also can easily apply the electromyogram sensor to the body part of the user without any fasten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gnal can be acquired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는, 접촉부에 의해 감지부에 연계되는 기준전극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접촉면에 기준전극의 작동으로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동작을 예측하거나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예측되거나 인식된 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다양한 명령 내지 동작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근육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도 즉, 신체활동 또는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값을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고 정확한 근전도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for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comprising: a reference electrode connected to a sensing unit by a contact unit; The motion can be predicted before the motion is performed or the motion can be recognized after the motion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ist various commands or operations intended by the user from the predicted or recognized mo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an error value that may be caused by a user's fatigue, that is, a physical activity or an operation, thereby providing a more reliable and accurate electromyogram det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결합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배면에 구비된 탄성부 구조도(a)와 결합 구조도(b).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전극부에 결합된 부착패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접촉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로 분할된 블록간의 결합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블록의 정면사시도(a), 배면사시도(b) 및 저면도(c).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yogram sensor in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ph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contact portio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FIG.
4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substructure (a) and a coupling structure (b)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in the contact surface increasing structure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ttachment patch structure attached to an electrode portion of an electromyogram sensor in a contact surface enhancement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tact por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in a contact surface increasing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in a contact surface increasing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 a rear perspective view (b), and a bottom view (c) of a block in a contact surface increasing structure of a smart electromyograph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100)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13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13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200)로 전송하는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130)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301)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302)을 형성하는 부착패치(3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130)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100)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102)이 형성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01)에 수용되어 힌지홈(102)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141)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103)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2-1)과 상기 지지편(142-1)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142-2)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142)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140)와, 상기 접촉부(140)의 고정핀(142)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150)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electrode units 130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a surface of a case 100 corresponding to a contact surface of a user, A sensing unit 110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30 for sensing an electromyogram of a user's muscle change biomedical signal and transmit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result to an external receiving unit 200,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10 includes a battery 120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de unit 110. The electrode unit 130 has a coupling part 301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thereof to be intermittently engaged with the pair of electrode parts 130, A patch 300 for forming an adhesive surface 302 attached to a contact surface of a user is provided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units 13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0 Each of the hinge grooves 10 And a connecting hole 141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01 and penetrates through both ends of the hinge groove 102. The hinge shaft 103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hole 101, And a locking pin 14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piece 142-1 so as to b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142. [ A plurality of spaced-apart contact portions 140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n upper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is inclined and a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fixing pin 142 of the contact portion 140, And a resilient part (150) whose outer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110)는 케이스(100)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면의 근전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극부(130)는 크게 피부 접촉면을 통해 피부의 전류를 감지하는 표면 전극과 선 또는 바늘을 삽입하는 삽입 전극을 포함하며, 이때 본 발명은 표면 전극을 사용하여 설명하며,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는 쌍극(bipolar)으로 구성되는 전극부(130)를 구비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에 연계되면서 케이스(100) 일면에 노출되는 형태의 전극부(130)는 후술되는 부착패치(300)의 결합부(301)에 결합되어 부착패치(300)의 결합부(301)가 수결합부라면 상기 전극부(130)는 암결합부로 형성되어 상호 탈부착하게 된다.1 to 3, the sensing unit 110 located inside the case 100 generates an electromyogram signal of a user's contact surface through a pair of electrode units 13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0 can do. The electrode unit 130 includes a surface electrode that senses the current of the skin through a skin contact surface and an insertion electrode that inserts a line or a needl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surface electrode, and an electrode unit 130 composed of bipolar electrodes. 5, the electrode unit 130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301 of the attachment patch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f the coupling part 301 of the attachment patch 300 is a male coupling part, the electrode part 130 is formed as an arm coupling part and is detachably attached thereto.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10)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는 전극부(130)를 구비하는 근전도 센서(111)와 상기 근전도 신호의 생체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작, 힘의 방향, 힘의 크기 및 에너지 분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정보의 변화를 감지 또는 예측하는 제어부(112)와 상기 제어부(112)의 생체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200)로 전달하는 통신부(113)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감지부(110)의 작동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n electromyogram sensor 111 having an electrode unit 130 for receiving an EMG signal, and a controller 110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A controller 112 for sensing or predicting a change 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agnitude and an energy distribution of a living body and a communication unit 113 for transmitting a living body signal of the controller 112 to an external receiving unit 200, And a battery 1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110.

그리고, 상기 수신부(200)는 수신한 근전도 신호 및 동작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며,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와 연관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평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데이터 및 기초 생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평가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The receiving unit 200 outputs sensed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lectromyogram signal and operation signal, generates evaluation data associated with a user's muscle change based on the sensed data, and outputs the generated evaluation data And the evaluation data and the basic generation data display the evaluation data through the display.

그리고, 상기 전극부(130)에 끼움 결합되는 부착패치(300)는 일면 중앙, 즉, 하면 중앙에 결합부(301)가 형성되어 전극부(130)와 부착패치(300)가 탈부착되도록 사용되며, 상면 전체에는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탁되도록 전도성 소재를 가진 접착면(302)을 가지게 된다.The attachment patch 300 to be fitted to the electrode unit 130 is used to attach and detach the electrode unit 130 and the attachment patch 300 by forming a coupling unit 301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And an adhesive surface 302 having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be contact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on the entire upper surface.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40)와 탄성부(150)로 결합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140)는 케이스(100)의 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전극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상기 접촉부(140)를 수용하도록 케이스(100) 일면 중앙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102)이 형성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01)에 결속되어 수용되게 된다.3 and 4, the contact unit 140 has an integral structure that is coupled with the elastic unit 150. The contact unit 140 includes an electrode unit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100, The housing 1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case 100 so as to receive the contact portion 140. The housing 100 has a receiving groove 101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hinge groove 102, (101).

상기 접촉부(140)는 수용홈(101)의 내측에 면접하는 하면이 수평면을 형성하면서 케이스(100) 일면 상부로 노출되는 상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상기 수용홈(101)의 힌지홈(102)에 대응되는 일단 양측을 관통하는 연결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홈(102)과 연결공(141)을 상호 힌지축(103)으로 연결하여 회동구조를 가지도록 한다.A connecting hole 141 is formed to penetrate both ends of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01 corresponding to the hinge groove 102 so that the hinge groove 102 and the connecting hole 1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shaft 103 So as to have a pivoting structure.

상기 접촉부(140)의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2-1)과 상기 지지편(142-1)의 단부에 내측으로 “ㄱ”형의 걸림편(142-2)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142)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A support piece 142-1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and an engagement member 142-2 formed inside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142-1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ixing pins 142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탄성부(150)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40)의 고정핀(142)에 형성된 걸림편(142-2)에 상단이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이 마련된다.The elastic part 150 is formed in a spring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pper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engaging piece 142-2 formed on the fixing pin 142 of the contact part 140, A spring-shaped coil spring is provided.

이에, 상기 근전도감지기(10)의 전극부(130)에 부착패치(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촉부(140)의 경사면이 사용자의 접촉면 즉, 피부에 면접되며, 사용자의 피부가 곡면 또는 돌출된 형태일 경우 상기 접촉부(140)의 경사면이 접촉면과 긴밀히 밀착하면서 이때 사용자의 동작변화에 의해 근육의 이완과 팽창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140)가 탄성을 가져 밀착력을 증대하게 된다.The patch 300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130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0 and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When the skin of the user is curved or protrude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closely contacts with the contact surface, and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40 is resiliently de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xation and expansion of the muscles, So that the adhesion is increased.

또한, 상술한 접촉부(140)가 일체형의 구조를 가져 근육의 이완 또는 팽창에 대한 변화되는 방향의 위치를 정밀하게 밀착되면서 탄성을 가지도록 이러한 근력 변화에 대한 접촉부(140)의 부분적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contact portion 140 has an integral structure so as to perform only a partial operation of the contact portion 140 against this muscle force change so as to have elasticity while closely adhering the position of the changed direction to the relaxation or expansion of the muscle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40)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140-2)과 타측 블록(140-3)에서 타측 블록(140-3)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140-2)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140-3)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44)이 형성된 일측 블록(140-2)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140-3)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140-2)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144)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144)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고,6 to 8, the contact portion 14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 And one adjacent block 140-2 and the other block 140-3 of the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 One side of the one side block 140-2 and the one side of the other side block 140-3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block 140-3 are incised inward from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block 140-3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ne side block 140-2 formed with the guide groove 144 and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block 140-3, The guide groove 14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44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44 by a predetermined length, Submitted insertion guide portion 143 is formed,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하면에 고정핀(142)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142)에 결속되는 탄성부(150)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중 힌지축(103)에 연결되는 블록(140-4)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140-1) 하면에 고정핀(142)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142)에 결속되는 탄성부(150)가 마련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10)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The fixing pins 14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divided blocks 140-1, 140-2, 140-3, ... 140-n, A plurality of blocks 140-1 to 140-n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103 among the divided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 4 is a start block, the elastic pin 150 is fixed to the fixing pin 142 while the fixing pin 14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st block 140-1. Lt; / RTI >

상기 접촉부(140)는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된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가 상호 결합되면서 각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의 개별적인 상하이동이 되도록 한다.The contact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n that are divided into equally spaced blocks. 140-1, 140-2, 140-3, ..., 140-n while being mutually coupled.

상기 접촉부(140)에서 블록(140-2)의 일면에는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수직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탭(143-1)과 상기 돌출탭(143-1) 단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수평 돌출된 단속탭(143-2)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4)의 내부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진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된다.A guide groove 14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lock 140-2 in the contact portion 140 so as to be horizontally extended to the inside both sides of the block 140 while being incised inward from a position spaced from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end, A protruding tab 143-1 protruding in a vertical length direction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termittent tab 143-2 horizontally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protruding tab 143-1,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guide groove 144 is formed.

이에, 상기 블록(140-2)의 가이드홈(144)에 이웃하는 블록(140-3)의 삽입가이드부(143)가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구조로 상기 각각의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이 결합되어 일체의 접촉부(140)를 구성한다.The insertion guide portions 143 of the blocks 140-3 adjacent to the guide grooves 144 of the block 140-2 are slidably engaged with the blocks 140-1 and 142-2 -1, 140-2, 140-3, ..., 140-n are combined to constitute an integral contact portion 140. [

그리고, 상기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일면의 상단까지 가이드홈(144)과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지 않음은 각각의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이 이탈을 방지하면서 복원시 접촉부(140)의 상면이 경사면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guide grooves 144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s 143 are not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 In order to prevent the blocks 140-1, 142-1, 140-2, 140-3, ..., 140-n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maintains the inclined surface during the restoration .

또한, 상기 접촉부(140)에 결속된 탄성부(150) 하단과 감지부(110)가 연계되어 접촉부(140)가 기준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탄성부(150)의 소재가 도전성 물질로서 상기 탄성부(150)의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101)의 내측에 도전판(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도전판(미도시)은 감지부(110)에 연계되고, 이때 감지부(110)에는 임피던스 신호를 검출하는 임피던스검출부(미도시)가 포함된다.The material of the elastic part 150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sens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150 bonded to the contact part 140 so that the contact part 140 functions as a reference electrode. A conductive plate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01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150. The conductive plat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ensing part 110, Includes an impedance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an impedance signal.

상기 임피던스라 함은 생체 임피던스를 의미하며, 일 예로 사람의 몸을 하나의 도체로 가정하여,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유입시키고, 전류 유입 전극의 내부에서 또 다른 전극을 이용하여 전압 양단의 전압 강하를 측정하여 인체 내부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The impedance refers to the bioimpedance. For example, assuming that a human body is a conductor, current is introduced by using two electrodes, and another electrode is used inside the current input electrode, Means a method of measuring the electrical impedance inside the human body by measuring the voltage drop.

즉, 상기 전극부(130)가 전류 전극이라면 상기 접촉부(140)가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검출 전극으로 수행하여 임피던스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That is, if the electrode unit 130 is a current electrode, the contact unit 140 performs a voltage sensing electrode to measure a voltage to detect an impedance signal.

이에, 근육이 수축 또는 이완하게 될 경우 근육의 단면적과 생체조직의 단면적 변화로 인해 임피던스가 변화하게 되며, 일정 시간간격으로 기 측정한 임피던스 기준값을 기초하여 임피던스 신호를 정규화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에 대한 개인 데이터가 개인에 일반적 생활환경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측정함으로써 얻어지고, 개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에 대한 기준값이 얻어질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스마트 근전도감지기를 이용하여, 팔 동작을 추정할 수 있으며, 팔 동작에 대한 기준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팔 동작의 편안한 상태(no motion, R)에서 측정한 임피던스 값이 기준값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와 같이 기준값을 얻고, 그 후에 동작에 따라 측정하는 임피던스 데이터를 개인에 대한 기준 값에 비교를 하여 임피던스를 정규화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개인에 대한 평균데이터는 개인에 대한 신체 동작을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uscle is contracted or relaxed, the impedance changes due to the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uscl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iotissue. The impedance signal can be normalized based on the impedance reference value meas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data about the individual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individual in advance in the general living environmen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reference value for the individual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individual data. For example,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stimate an arm motion and obtain a reference value for an arm motion. At this time, the impedance value measured in the relaxed state (no motion, R) of the arm motion can be a referenc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i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Thereafter, the impedance data measu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for the individual To normalize the impedance. In this method, the average data for an individual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accurately determining body motion for an individual.

또한, 상기 근전도의 신호 또는 임피던스의 신호에 대한 초기 시작 기준값을 정해지도록 상기 탄성부(150)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101) 내측면 사이에 압력센서(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압력센서(미도시)의 작동으로 신호의 기준값이 되는 감지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한다.A pressur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01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150 so as to determine an initial start reference value for the signal of the EMG signal or the impedance signal, (Not shown) collects sensed data that is a reference value of the signal.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근전도감지기 10 케이스 100 감지부 110
근전도 센서 111 제어부 112 통신부 113
베터리 120 전극부 130 접촉부 140
고정핀 142 가이드홈 143 삽입가이드부 144
탄성부 150 수신부 200 부착패치 300
EMG detector 10 case 100 detection part 110
Electromyogram sensor 111 control unit 112 communication unit 113
Battery 120 electrode portion 130 contact portion 140
Fixing pin 142 Guide groove 143 Insertion guide part 144
Elastic part 150 patch 200 with receiver 200

Claims (3)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부착패치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홈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고정핀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A pair of electrode parts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a case surface corresponding to a contact surface of the user, and a pair of electrode part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to detect electromyograms of the user's muscle changes, 1. A smart electromyogram senso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transmit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to an external receiving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And an attaching patch for forming an adhesiv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on the entirety of the other surface while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for interlocking with the pair of electrode portions,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 support piec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formed with a connecting hole passing through one e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inge groove a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end surface, and a " A plurality of fixing p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user is inclined,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has a horizontal shape, Where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has an elastic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과 타측 블록에서 타측 블록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일측 블록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블록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blocks, and one side block and one side of a block adjacent to each other, A guid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and is horizontally extended to both inner side portions incised inwardly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sertion guide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block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a lower end,
A fixing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divided blocks, and an elastic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in is provided, or if a block connected to the hinge axis of the divided blocks is a starting block, a fixing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st block,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결속된 탄성부 하단과 감지부가 연계되어 접촉부가 기준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소재가 도전성 물질을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의 내측에 도전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art has a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part so that the contact part serves as a reference electrode, Wherein a conductive plate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mart electromyogram sensor.
KR1020170183104A 2017-12-28 2017-12-28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15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en) 2017-12-28 2017-12-28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en) 2017-12-28 2017-12-28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72A true KR20190080572A (en) 2019-07-08
KR102015553B1 KR102015553B1 (en) 2019-08-28

Family

ID=672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en) 2017-12-28 2017-12-28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5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22B1 (en) 2008-12-30 2011-01-19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KR20130098319A (en) * 2010-08-12 2013-09-04 카피칼 게엠베하 Ecg hand-held device
KR101501661B1 (en) 2013-06-10 2015-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KR101555602B1 (en) * 2015-01-15 2015-09-24 박호동 Electrod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electrode module thereof
KR101563530B1 (en) 2014-03-14 2015-10-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System for sensing electromyogram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206215A1 (en) * 2015-01-20 2016-07-21 Seiko Epson Corporatio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KR20160115689A (en) * 2015-03-25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685013B1 (en) * 2015-12-17 2016-12-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mechanomyogram sensor
KR20170027646A (en)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Attachable pad and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22B1 (en) 2008-12-30 2011-01-19 주식회사 비솔 A wireless electromyogram system
KR20130098319A (en) * 2010-08-12 2013-09-04 카피칼 게엠베하 Ecg hand-held device
KR101501661B1 (en) 2013-06-10 2015-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electromyogram sensor system
KR101563530B1 (en) 2014-03-14 2015-10-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System for sensing electromyogram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55602B1 (en) * 2015-01-15 2015-09-24 박호동 Electrod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electrode module thereof
US20160206215A1 (en) * 2015-01-20 2016-07-21 Seiko Epson Corporatio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KR20160115689A (en) * 2015-03-25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27646A (en)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Attachable pad and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with the same
KR101685013B1 (en) * 2015-12-17 2016-12-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mechanomyogram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553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5972B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ed measurement of sural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amplitude
US200701854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ble stimulus intensity for nerve conduction testing
EP1553869B1 (en) Cardiac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6775566B2 (en) Electrode structure and heart rate measuring arrangement
US6692444B2 (en)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neuromuscular function by F-wave latency
US20170112444A1 (en) Bio-signal sensor
TWI603713B (en) Disposable adhesive substrate adapted to be arranged on a medical device
JP2015534495A (en) Monitoring device
WO2015100499A1 (en) Wearable apparatus for brain sensors
EP1364614B1 (en) Voltag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fixing member, electrode and transmitter
KR20150060928A (en) Pulse meter for new-borns
KR101555602B1 (en) Electrod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electrode module thereof
US2017002043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muscle stiffness
US20240041411A1 (en)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80572A (en) Structure for increasing contact area of system for smart electromyography sensor and mo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154016A1 (en) Wearable sensing device and sensor unit for acquiring one or more physiological signals of a subject
CN110123312A (en) Wearable device and its ECG detecting accessory
US20100036210A1 (en) Elastic cloth device with a function of physiological detection
JP2020502590A (en) Glasses with biosensor
JP2020502589A (en) Glasses with biosensor
WO2017109520A1 (en) A wearable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system
CN215534394U (en) Lumbar joint mobility monitoring devices
CN113017612B (en) Lumbar joint mobility monitoring devices
KR20190067596A (en)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11401489U (en) Disposable body temperature probe and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