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596A -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596A
KR20190067596A KR1020170167693A KR20170167693A KR20190067596A KR 20190067596 A KR20190067596 A KR 20190067596A KR 1020170167693 A KR1020170167693 A KR 1020170167693A KR 20170167693 A KR20170167693 A KR 20170167693A KR 20190067596 A KR20190067596 A KR 2019006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layer
electrode
bio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7128B1 (en
Inventor
강현덕
주장현
조민재
노시형
김예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6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6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nd a system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comprises: a sheet member including a through-hole and compos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 electrode layer formed in the through-hole and composed of a conductive material while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protrudes on a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is positioned in the through-hole; and a metal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Description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for detecting a biological signal, and a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ignal sensing electrode and a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첨단 IT 제품 및 그 융합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시대의 건강 관리는 심약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운동 선수나 특수 작업자(소방관, 경찰관, 군인 등)는 물론, 등산을 즐기는 일반인들에게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상황 별 근전도, 심전도 등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의 웨어러블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The smart management of the smart era that utilizes advanced IT products and its convergence system is not only aimed at people who are concerned but also needs athletes and special workers (firefighters, police officers, soldiers, etc.) do. That i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wearable monitoring technology as a method for checking health conditions such as EMG and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circumstances.

최근,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 센서 기술을 응용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이는 통신 모듈이나 측정 데이터 분석 등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치중되었다.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 product using smart clothing sensor technology which can conveniently measure biological signals in daily life. However, this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such as communication module and measurement data analysis.

또한, 그 동안 세계 각국의 많은 기업체와 연구소들은 다양한 건강관리 센싱 기능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심박 및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가 더욱 활발하게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들은 단순히 압박하고 부착하는 등의 인체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many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ound the world have developed smart clothes with various health care sensing functions, among which smart clothing for sensing heartbeat and electrocardiogram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However, most of these garments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such as simply pressing and attaching them,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activity of the user.

따라서, 착용자의 활동성 및 쾌적성을 보장하면서도,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센서의 소재 및 구조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measure the wearer's bio-signal while ensuring the activity and comfort of the wearer,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sensor used must be differentiated.

예를 들어, 종래 기술로써, 생체 신호 측정용 가슴 벨트가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이는, 인체 흉부와 밀착되는 부분에 전도성 직물 밴드가 형성되어 인체 흉부에서 발생하는 전위차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생체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신호 표시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벨트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하는 생체 신호 측정용 가슴 벨트이다. For example, as a prior art, a chest belt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has been disclosed.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 Patent Document 1 ] It is a chest belt for bio-signal measurement that allows you to continuously check your health condition.

그러나, 이러한 벨트는 독립적인 장치로써, 의복과의 일체화가 어렵고, 이질감이 높아 사용자의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However, such a belt is an independent devi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tegrate with clothes and has a high degree of heterogeneity, thereby failing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user's activity.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926700호, 2009. 11. 17.[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926700, Nov. 17, 200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술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관통 홀을 포함하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트부재; 상기 관통 홀 내에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 위로 돌출되며, 상면은 상기 관통 홀 내에 위치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 위에 형성된 금속부재;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comprising: a sheet member including a through hole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 electrode layer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 lower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nd a metal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층은, 원판 형상이며, 상면의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부; 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de layer is in the form of a disk, the depression is depress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the metal memb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부재는, 시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전극층의 측면은, 상기 관통 홀의 내측면과 접촉된다.In an embodiment, the sheet member has a sheet shap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일부분이 상기 전극층 또는 금속부재와 접촉된 신호 연결선; 을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ode for sensing a living body includes: a signal connection line part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or the metal member; .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연결선은,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구조의 원사; 및 상기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비전도성 물질층; 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signal connection line may be a yarn of a filament or staple structure;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yarn; .

실시예에서, 상기 원사의 표면의 일부분에 상기 비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며, 상기 원사의 표면의 코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전극층 또는 금속부재와 접촉된다.In an embodiment,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yarn, and an uncoated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yarn is contacted with the electrode layer or the metal member.

실시예에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시트부재를 이루는 비전도성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oncondu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sheet member.

실시예에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이다.In an embodiment, the nonconductive material is polyDiMethyl Siloxane (PDM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은, 관통 홀을 포함하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트부재; 상기 관통 홀 내에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 위로 돌출되며, 상면은 상기 관통 홀 내에 위치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 상기 전극층의 상면 위에 형성된 금속부재; 및 상기 전극층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를 전달 받아 그와 관련된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signal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sheet member including a through hole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 electrode layer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 lower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 metal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bio-signal sensed by the electrode layer and generating biometric information related thereto; .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moves noise included in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and generates th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biased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층은 복수 개이며, 상호 이격 되어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Hereinafter "a typical descriptor")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들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신축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저하를 최소화 시킨 효과가 있다.First, an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ctivity of a user by includ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구성들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등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a smart clothing, and the like, including configurations made of elastic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일상 생활에서 쉽게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detecting a user's bio-signal in everyday life and accordingly monitoring a user's health condition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맞닿는 시트부재 및 전극층이 생체 적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 표면에 장기간 부착되더라도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member and an electrode layer which are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surface and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so that a side effect is not caused even if the electrode is attached to a user's body for a long tim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맞닿는 시트부재 및 전극층이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를 포함하여, 반영구적인 점착력을 가져, 사용자에 신체 표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member and an electrode layer contacting the surface of a user's body including polydimethylsiloxane (PDMS), which has a semi-permanent cohesive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서의 생체 신호를 쉽게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io-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asily detecting a bio-signal in a specific body part of a user and genera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detected bio-sig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서 쉽게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io-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nitor the user's health state by detecting the user's bio-signal easily in daily life and generating the user's bio-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bio-signal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the potenti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 및 도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views showing electrodes for sens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connection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views showing electrode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bio-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 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Various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claims may be better understood in view of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 devices, methods, processes and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ovided for illustration. The disclosed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are intended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various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s and phrases disclosed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eatur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views showing electrodes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signal connecting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C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은, 시트부재(10), 전극부재(20) 및 신호 연결선(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A to 3C, the bioelectrical signal sensing electrod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eet member 10, an electrode member 20, and a signal connection line 30. [

시트부재(10)는, 전극부재(20)가 사용자의 신체 표면에 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도록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시트부재(10)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은, 사용자의 활동성 저하를 최소화 시키며, 사용자의 활동성을 극대화 시킨 효과가 있다. The sheet member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electrode member 20 can be easi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while not giving the user a sense of foreign body. Since the sheet member 10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e electrode 1 for detect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user's activity and maximizing the user's activity.

또한, 시트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직접 접촉하더라도 피부 손상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괴사 등의 문제가 없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heet member 10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rface, the sheet member 10 is free from problems such as skin damage and skin necrosis caused by long-term use even if the sheet member 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rface Lt; / RTI >

또한, 시트부재(10)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전극부재(20)를 통해서만 생체 신호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Further, the sheet member 1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is is for the purpose of allowing a living body signal to be received only through the electrode member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즉, 시트부재(10)는 생체적합성, 비전도성 및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트부재(10)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과 가교제가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sheet member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biocompatibility, nonconductivity and stretchability. At this time, the sheet member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 which a poly (dimethyl siloxane) (PDMS) and a crosslinking agent are mixed.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 물질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생체 적합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써,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직접 접촉하더라도 피부 손상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괴사 등의 문제가 없는 물질이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절연 물질로써 비전도성 물질이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쉽게 부식되거나 변성되지 않는 물질이며, 사용자의 신체 표면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하여도 점착성이 유지되는 반영구적인 점착성을 갖는 물질이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써, 사용자의 활동성 저하를 최소화 시키며, 사용자의 활동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 충격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Polydimethylsiloxane is a silicon-based polymer. Polydimethylsiloxane is a highly biocompatible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kin damage and skin necrosis due to long-term use even if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rface. In addition, polydimethylsiloxane is a nonconductive material as an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polydimethylsiloxane is a material that is not easily corroded or denatured, and is a semi-permanent adhesive material that maintains stickiness even if it is repeatedly attached to a user's body surface. In addition, polydimethylsiloxane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which minimizes the deterioration of the user's activity, maximizes the activity of the user, and easily absorbs external imp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10)는, 이러한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져, 생체 적합성이 높고, 반영구적인 점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사용자의 활동성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heet memb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uch polydimethylsiloxane, has high biocompatibility, has semi-permanent adhesive property, and has an effect of maximizing user's activity.

시트부재(10)는, 전극부재(20) 주변에, 생체 적합성을 갖는 비전도성 물질과 가교제가 혼합된 유동 가능한 상태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혼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혼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가교제가 10: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The sheet member 10 is formed by applying a flowable mixtur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having biocompatibility with a cross-linking agent around the electrode member 20, and curing the applied mixture. For example, the mixture may be a mixture of polydimethylsiloxane and crosslinking agent in a ratio of 10: 1.

전극부재(20)는 전극층(21) 및 금속부재(22)를 포함한다. The electrode member (20) includes an electrode layer (21) and a metal member (22).

전극층(21)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에 쉽게 밀착하여 점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도록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전극층(21)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은, 사용자의 활동성 저하를 최소화 시키며, 사용자의 활동성을 극대화 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층(21)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에 쉽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de layer 2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easily adhered to and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and is not given to the user. Since the electrode layer 21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e electrode 1 for detect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user's activity and maximizing the user's activity. The electrode layer 2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so as to be easi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또한, 전극층(21)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전극층(21)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직접 접촉하더라도 피부 손상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괴사 등의 문제가 없는 물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layer 21 directly contacts the body surface of the user, the electrode layer 21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kin damage and skin necrosis due to long-term use even if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rface.

또한, 전극층(21)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생체 신호, 즉 전기적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극층(21)에서 감지되는 생체 신호는, 심전도 신호, 근전도 신호, 신경 신호 및 뇌파 등을 포함한다. 전극층(21)을 이루는 물질은, 전술한 생체 적합성, 전도성, 점착성 및 신축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층(21)을 이루는 물질은,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인 전도성 고무일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21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detects a bio-signal, that is, an electrical bio-signal, from the body surface of the user who is in contact. For example, the biological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ode layer 21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 EMG signal, a nerve signal, and an EEG signal.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de layer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ance having biocompatibility, conductivity, adhesiveness and stretchabilit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de layer 21 may be a conductive rubber which is a high molecular substance having conductivity.

전극층(21)은, 기설정된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극층(21)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사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생체 신호를 쉽게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극층(21)의 직경은 사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생체 신호를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직경 10mm 이상) 설정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21 may have the shape of a disk having a diameter of a predetermined length. If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layer 21 is too small, the bioelectric signal can not be easily received from the user's body surface.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layer 21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10 mm or more).

전극층(21)에서 감지되는 생체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는 모든 전기적 생체 신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극층(21)에서 감지되는 생체 신호는, 심전도 신호, 근전도 신호, 신경 신호 및 뇌파 등을 포함한다.The bio-signals detected by the electrode layer 21 include all electrical bio-signals that can be measured from the user's body surface. For example, the biological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ode layer 21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 EMG signal, a nerve signal, and an EEG signal.

금속부재(22)는, 전극층(21)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이때, 전극층(21)의 상면에는 중심에 일정 크기를 갖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며, 금속부재(22)는, 함몰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되어, 함몰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금속부재(22)의 직경 길이는, 전극층(21)의 직경 길이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는, 금속부재(22)가 전극층(21)에 포함된 함몰부 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metal member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21. 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21, there is formed a cylindrical depression having a certain size at the center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metal member 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 The diameter of the metal member 22 is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layer 21. This is so that the metal member 22 is located in the depression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재(20)는, 금속부재(22)를 포함함으로써,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만을 포함하는 전극부재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etal member 22 to transmit an accurate biomedical signal to the outside than an electrode member including only an electrode layer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구체적으로,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만을 포함하는 전극부재에 의하면,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되어, 생체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재(20)는, 금속부재(22)를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왜곡 발생 문제를 감소시켰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electrode member including only the electrode layer mad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bio-signal of the detected user, and the bio-signal is distorted. The electrode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etal member 22, thereby reducing such distortion generation problem.

한편, 금속부재만을 포함하는 전극부재는, 산화에 의하여 변형되면, 사용자의 신체 표면과 접촉하면 피부 손상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괴사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재(20)는,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며 생체 적합성을 갖는 전극층(21)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ode member including only the metal member is deformed by oxidatio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urface, skin damage and skin necrosis due to long-term use may occur. The electrode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ectrode layer 21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having a biocompatibility, thereby solving this problem.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부재(10)는, 전극부재(20) 주변에, 생체 적합성을 갖는 비전도성 물질과 가교제가 혼합된 유동 가능한 상태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혼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 홀의 내측면은 전극층(21)의 측면과 접촉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eet member 10 is formed around the electrode member 20 by applying a flowable mixture in which a non-conductive material having biocompatibility is mixed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curing the applied mix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21).

신호 연결선(30)은, 일부분이 전극층(21) 또는 금속부재(22)와 접촉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을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한다. A part of the signal connection line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21 or the metal member 22 to connect the electrode 1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an external device.

신호 연결선(30)은,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구조의 원사(101) 및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비전도성 물질층(102)를 포함한다. 비전도성 물질층(102)은, 생체 적합성, 비전도성 및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다. 이때, 비전도성 물질층(102)에 포함된 물질은, 시트부재(10)에 포함된 물질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The signal connection line 30 includes a yarn 101 of a filament or staple structure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yarn.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is a layer contain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biocompatibility, nonconductive, and stretchability. At this time,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sheet member 10.

예를 들어, 비전도성 물질층(102)에 포함된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가교제가 혼합된 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생체 적합성이 매우 높고, 쉽게 부식되거나 변성되지 않으며, 신축성을 갖는 물질이다. 따라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층(102)은 내부의 원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의류 등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may be a mixture of polydimethylsiloxane and a crosslinking agent. As noted above, polydimethylsiloxanes are highly biocompatible, easily corroded or denatured, and have elastic properties. Accordingly,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including polydimethylsiloxane can effectively protect the yarns therein, and the electrode 1 for detecting the b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pplied to wearable devices, do.

원사(101)가 메탈 파이버(metal fiber)로 이루어지고, 비전도성 물질층(102)에 포함된 물질이 폴리디메틸실록산인 신호 연결선(30)에 대하여 전류를 통전시키는 실험을 하면, 신호 연결선(30)의 저항값은 약 1.2Ω 의 값을 나타내며, 이는, 신호 연결선(30)이 쉽게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When the yarn 101 is made of metal fiber and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is an experiment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the signal connecting line 30 which is polydimethylsiloxane, Represents a value of about 1.2 OMEGA. This indicates that the signal connection line 30 can easily transmit the bio-signal sensed by the electrode 1 for sensing the bio-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비전도성 물질층(102)은 원사(101)의 표면의 일부분에만 코팅된다. 원사(101)의 코팅되지 않은 표면은 전극층(21) 또는 금속부재(22)와 접촉되어, 원사(101)와 전극층(21) 또는 원사(101)와 금속부재(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102 is coated only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yarn 101. [ The uncoated surface of the yarn 10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21 or the metal member 22 so that the yarn 101 and the electrode layer 21 or the yarn 101 and the metal member 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상에서 시트부재(10)에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홀에 대응되는 하나의 전극부재(20)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에 대하여 상술하였다.The electrode 1 for sensing a l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heet member 10 and one electrode member 2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Described above.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즉, 여러 신체 지점의 생체 신호들을 한 번에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복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하는 시트부재, 복수의 관통 홀들 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전극층들, 복수의 전극층들 각각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금속부재들을 포함한다. 이때, 감지되는 생체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극층들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복수의 신호 연결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 연결선 각각은, 일부분이 하나의 전극층 또는 하나의 금속부재와 접촉되어, 각 전극층을 외부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In another embodiment, an electrode for sensing a bio-signal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ccommodate various bio-signals at a time, that is, to detect bio-signals of various body points at one time. The electrode for sensing biological signal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heet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lurality of metal member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biological signals to be sensed. In addition, the bio-signal sens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lines.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lines is partly in contact with one electrode layer or one metal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s each electrode layer with an external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bio-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2)은,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 신호 연결선(30), 제어부(1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4, the bio-signal detection syste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de 1 for sensing a bio-signal, a signal connection line 30, a control unit 100, and a display unit 300.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이다. 즉,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은, 시트부재(10), 전극부재(20) 및 신호 연결선(30)을 포함하며, 각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신호 연결선(30)을 통하여,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가 제어부(100)로 전달된다.An electrode (1)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is an electrode (1) for sens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bioelectrical signal sensing electrode 1 includes the sheet member 10, the electrode member 20, and the signal connecting line 30,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constitution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Meanwhile, the bio-signal detected by the bio-signal sensing electrode 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00 through the signal connection line 30. [

제어부(100)는, 신호 연결선(30)을 통해 송신된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00)는, 전극부재(2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내부에 통신 모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모듈을 통해 생성된 생체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biometric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connecting line 30 and generates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That is,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user's biometric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ode member 20 and generat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Meanwhile,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erein, and may transmit the bio-signal gen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an external server.

예를 들어, 전극부재(20)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가 근전도 신호인 경우, 제어부(100)는, 수신된 생체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 신호와 관련된 생체 정보인 raw EMG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외부의 서버는, raw EMG 데이터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여 그래프화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iological signal sensed by the electrode member 20 is an EMG signal, the control unit 100 removes the noise of the received biological signal, and generates raw EMG data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server. An external server can calibrate and graph raw EMG data.

이상에서 시트부재(10)에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홀에 대응되는 하나의 전극부재(20)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2)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Hereinabove, the electrode 1 for detecting a l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which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heet member 10 and one electrode member 2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he biosignal sensing system 2 has been described above.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즉, 여러 신체 지점의 생체 신호들을 한 번에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하는 시트부재, 복수의 관통 홀들 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전극층들, 복수의 전극층들 각각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금속부재들을 포함한다. 이때, 감지되는 생체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전극층들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신호 연결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신호 연결선 각각은, 일부분이 하나의 전극층 또는 하나의 금속부재와 접촉되어, 각 전극층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어부는, 전극층들에서 감지된 복수의 생체 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체 정보들을 생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bio-signal detection system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ccommodate various bio-signals at a time, that is, to detect bio-signals of various body points at one time. The biological signal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eet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lurality of metal member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biological signals to be sensed. In addition, the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lines.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lines is in contact with one electrode layer or one metal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s each electrode layer to the control sec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plurality of biometric signals sensed by the electrode layer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2)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1)이 내부면에 마련되며, 제어부(100)을 포함하는 의복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io-signal detection syste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bio-signal detection system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de 1 for detecting a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 RTI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2 :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10 : 시트부재 20 : 전극부재
21 : 전극층 22 : 금속부재
30 : 신호 연결선 100 : 제어부
1: Biological signal detection electrode 2: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10: sheet member 20: electrode member
21: electrode layer 22: metal member
30: signal connecting line 100:

Claims (13)

관통 홀을 포함하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트부재;
상기 관통 홀 내에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 위로 돌출되며, 상면은 상기 관통 홀 내에 위치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상면 위에 형성된 금속부재;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A sheet member comprising a through hole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 electrode layer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 lower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nd
A metal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 RTI >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원판 형상이며,
상면의 중앙에 원기둥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layer has a disk shape,
A depressed portion recess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 RTI >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tal member comprises:
A reces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시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전극층의 측면은, 상기 관통 홀의 내측면과 접촉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et member has a sheet shape,
Wherei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은,
일부분이 상기 전극층 또는 금속부재와 접촉된 신호 연결선;
을 더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for sensing a living body includes:
A signal connection line partly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or the metal member;
≪ / RTI >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선은,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구조의 원사; 및
상기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비전도성 물질층;
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connection line
Yarn of filament or staple structure;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yarn;
/ RTI >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원사의 표면의 일부분에 상기 비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며,
상기 원사의 표면의 코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전극층 또는 금속부재와 접촉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on-
A non-condu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yarn,
Wherein an uncoated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yarn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or the metal member,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시트부재를 이루는 비전도성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on-
Wherein the sheet memb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onconductive material,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인,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
(PDMS), which is a polydimethylsiloxane (PDMS)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복수 개이며, 상호 이격 되어 마련된,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Electrodes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관통 홀을 포함하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트부재;
상기 관통 홀 내에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 위로 돌출되며, 상면은 상기 관통 홀 내에 위치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층;
상기 전극층의 상면 위에 형성된 금속부재; 및
상기 전극층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를 전달 받아 그와 관련된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A sheet member comprising a through hole and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 electrode layer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 lower surface protruding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 metal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ay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bio-signal sensed by the electrode layer and generating bio-information related thereto;
/ RTI >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generat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the biometric information being generated by removing the noise included in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복수 개이며, 상호 이격 되어 마련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ystem.
KR1020170167693A 2017-12-07 2017-12-07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17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93A KR102017128B1 (en) 2017-12-07 2017-12-07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93A KR102017128B1 (en) 2017-12-07 2017-12-07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96A true KR20190067596A (en) 2019-06-17
KR102017128B1 KR102017128B1 (en) 2019-10-21

Family

ID=6706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693A KR102017128B1 (en) 2017-12-07 2017-12-07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107B1 (en) * 2019-12-30 2021-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io sensor having piller-typed electrode suructure coated non-conductive material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812A (en) * 1995-03-30 1996-12-10 Nippon Koden Corp Electrode for living body
KR20070034242A (en) * 2005-09-23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 signal garment
KR100742402B1 (en) * 2006-05-08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KR100863064B1 (en) *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26700B1 (en) 2009-02-24 2009-11-17 한국봉제기술연구소 Breast belt for detecting physiological signal
KR20120078843A (en) * 2011-01-03 201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measuring living body signal
JP2012183302A (en) * 2011-02-14 2012-09-27 I Medex Co Ltd Bioelectrode for use in measurement of biological information and treatment of living body, and electrode pad used in the bioelectrode
KR101668022B1 (en) * 2015-09-07 2016-10-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de for measuring bio-signal and a method thereof
JP6221195B2 (en) * 2014-12-08 2017-11-01 株式会社プロキダイ Biological electrod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812A (en) * 1995-03-30 1996-12-10 Nippon Koden Corp Electrode for living body
KR20070034242A (en) * 2005-09-23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 signal garment
US20070073131A1 (en) * 2005-09-23 2007-03-29 Ryu Chang Y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KR100742402B1 (en) * 2006-05-08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KR100863064B1 (en) *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26700B1 (en) 2009-02-24 2009-11-17 한국봉제기술연구소 Breast belt for detecting physiological signal
KR20120078843A (en) * 2011-01-03 201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measuring living body signal
JP2012183302A (en) * 2011-02-14 2012-09-27 I Medex Co Ltd Bioelectrode for use in measurement of biological information and treatment of living body, and electrode pad used in the bioelectrode
JP6221195B2 (en) * 2014-12-08 2017-11-01 株式会社プロキダイ Biological electrode
KR101668022B1 (en) * 2015-09-07 2016-10-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de for measuring bio-signal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28B1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i et al. Validation of polymer-based screen-printed textile electrodes for surface EMG detection
KR102194246B1 (en) Electrode for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bio-signal comprising the same
ES2608858T3 (en) Electronic textile assembly
Kim et al. Highly wearable galvanic skin response sensor using flexible and conductive polymer foam
CN106470602B (en) Medical electrode
US20170112444A1 (en) Bio-signal sensor
KR102392040B1 (en) Ring-shaped bio-signal detection device
JP2015534495A (en) Monitoring device
KR102206105B1 (en) Sensor patch
WO2018047842A1 (en) Probe for use in measurement of biological information,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JP2011036524A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US20150201856A1 (en) Electrode and measuring device for acquiring biomedical vital parameters
US20120190960A1 (en) Biomedical electrode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movement artifact
CN105232036B (en) Medical energy conver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22838B1 (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piezoelectric sensor having carbon black
US11813064B2 (en) Apparatus and electronic circuitry for sensing biosignals
KR101308540B1 (en) EEG and bioelectr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capacitive electrode comprising polymer foam and system using thereof
EP1078595A3 (en) Disposable neonatal electrode for use in a high humidity enviroment
KR20190067596A (en)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70188B1 (en) Bio-signal sensing electrode, bio-signal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278492Y1 (en) A bioelectrode
CN110772246B (en)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ous and apposition detection of bioelectric signals and pressure signals
US20200323461A1 (en) Point-of-care system for detection of the physical stress at different parts of body
TWI568413B (en) Bio-signal sensor
EP3818924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