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832A -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832A
KR20190072832A KR1020170173920A KR20170173920A KR20190072832A KR 20190072832 A KR20190072832 A KR 20190072832A KR 1020170173920 A KR1020170173920 A KR 1020170173920A KR 20170173920 A KR20170173920 A KR 20170173920A KR 20190072832 A KR20190072832 A KR 2019007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rea
warning
reg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3126B1 (en
Inventor
김경연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26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rning alarm method which helps a user to more safely move while a music-related program is being executed in a user terminal. The warning alarm method is a warning alarm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executing a music-related program for playing sound;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in real time; performing a warning action when entering a target area.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target area such as a dangerous area, the warning alarm method can help the user to recognize that he or she is in the dangerous area by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경고 알림 방법{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an alert using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경고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전을 위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경고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ert notification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ert notification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warning message to a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많은 사용자들은 각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화를 하거나, 뉴스, 영화, 드라마, 스포츠 등을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통화앱, 뉴스앱, 음악앱, 동영상앱 등을 수행할 수 있다.Recently, smartphones have been popularized and used by many people. Many users can use their smartphones to make calls, listen to news, movies, dramas, sports, listen to music and play games anytime, anywhere. That is, each user can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his / her smart phone, for example, a call app, a news app, a music app, and a video app.

그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벽, 나무, 자동차 등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쳐 다치거나 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8634호(2016년 11월 16일 공고)에서 '안전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스마트폰'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폰의 후면에서 출사되는 초음파를 통해 임의의 물체(장매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험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주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However, a smartphone user may hurt or fall over an obstacle such as a wall, tree, or car when using his smartphone while moving. 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a risk,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8634 (published on Nov. 16, 2016) discloses a " smartphone in which a safety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 Specifically,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a distance from an arbitrary object (a long sale) is measured through an ultrasonic wave emitted from a rear surface of a smart phone, and a caution message is displayed when the distance is within a dangerous distance.

한편,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단순히 자신의 스마트폰을 눈으로 보면서 이동할 수 도 있지만, 상기 스마트폰에 연결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과 같은 소리를 들으며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으며 이동하는 사용자는 주변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안전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user of a smartphone can simply move his / her smartphone while looking at his / her eyes, but can also listen to sounds such as music using a headphone or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hus, a user who moves while listening to music using a headphone or an earphone can not hear the surrounding sound, so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more safety.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보다 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고 알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rning alarm method that enables a user to move more safely while a music related program is running in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고 알림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경고 알림 방법에 대한 것으로, 소리가 재생되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타겟 지역에 진입시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ert notif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includes executing a music related program in which sounds are reproduced,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performing a warning action upon entry.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sic-related program may include any one of a music playing program, a moving picture playing program, and a game program.

상기 경고 알림 방법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경고 알림을 위한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music related program to a warning mode for warning notification.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상기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step of setting the music-related program to the warning mode, the music-related program may be automatically set to the warning mode when a headphone or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인접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In the step of sens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the current position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lternatively, in the step of sens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the current position may be sensed in real time using at least on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djacent to the user terminal so as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경고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경고 메시지 표시,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rning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volume reduction, a warning message display, a vibration occurrence,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occurrence.

상기 경고 알림 방법은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comprise determining the target area.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the target area, the target area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urrent position. At this tim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t least one area with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ference distance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areas included in the map data may be determined as the target area.

상기 지도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자체 메모리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map data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s own memory.

상기 타겟 인접 지역들 각각은 횡단보도 및 사거리를 포함하는 위험 지역, 및 기준 기간 동안 사고가 기준치 이상 발생된 사고 발생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target adjacent areas may include a hazardous area including a crosswalk and a crossroad, and an accident occurrence area where an accident occurs over a reference value during the reference period.

한편,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도착지를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the destination set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gram may be determined as the target area.

상기 경고 알림 방법은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겟 지역과 인접한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시 예비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preliminary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djacent region adjacent to the target region before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may include detecting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area to the target area, and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rea.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Wherein sensing the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uses successive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using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Lt; / RTI >

상기 예비 경고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고 액션은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및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liminary warning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volume reduction and a warning message display, and the warning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ion occurrence,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타겟 인접 지역 및 상기 타겟 지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ns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the current position can be sensed in real time using a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rrang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target adjacent region and the target region.

상기 경고 알림 방법은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the target adjacent area.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지역으로부터 기준 인접 거리 내에 있는 지역을 상기 타겟 인접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the target region and the target adjacent region, the target region and the target adjacent region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urrent position. The determining of the target area and the target adjacent area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areas included in the map data with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ference distance as the target area, And determining an area within the reference proximity distance from the target area as the target adjacent are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고 알림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소리가 재생되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동안, 타겟 지역, 예를 들어 위험 지역에 진입시 경고 액션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소리를 들으며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액션에 의해 상기 위험 지역에 들어왔음을 인지하여 앞으로 닥칠 위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의 동영상을 보면서 횡단보도와 같은 위험 지역을 지나갈 경우, 소리 볼륨을 자동으로 줄여주거나 마이크를 켜서 외부 소리를 듣게 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주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여 주위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user terminal executes the music related program in which the sound is reproduced, when the user performs the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rea, for example, the dangerous area, When the user enters the hazardous area by listening to the sound through the warning ac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hazardous area by the warning action, For example, if a smartphone user uses headphones or earphones to listen to music, or watch movies such as movies, dramas, sports, etc., and crosses dangerous areas such as crosswalks, By listening to sounds, generating vibrations,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by recognizing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dangerous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에서, 타겟 지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경고 알림 방법에서, 타겟 지역 및 타겟 인접 지역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arget area in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of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of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arget area and a target adjacent area in 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of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may be exaggerat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A and B are 'connected' and 'coupled', meaning that A and B are directly connected or combined, and other component C is included between A and B, and A and B are connected or combined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Also, in the claims of a method invention, each step may be reversed in order, unless the steps are clearly constrained in ord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에서 타겟 지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of FIG. 1.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경고 알림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수행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타겟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10, and relates to a method of informing a user of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a user has entered a target are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smart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우선, 상기 경고 알림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소리가 재생되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10). 이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step S110, the user terminal 10 executes a music-related program in which sound is reproduced by the warning notific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music related program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and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usic playing program, a moving picture playing program, and a game program.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경고 알림을 위한 경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터치 표시패널에 표시된 모드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경고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set the music-related program to a warning mode for warning notification (S120). Here, when a headphone or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e music related program may be automatically set to the warning mode. Alternatively, the music-related program may be set to the warning mode by a user's input a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warning mode on the mode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display panel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usic related program may be set to the warning mode.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인접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제공 장치(20), 예를 들어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 장치(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 제공 장치(20)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can detect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S130). Here, the user terminal 10 can sense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 adjacent to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beacon,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and transmits the location-relate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타겟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S140). 우선, 상기 S14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마다, 예를 들어 5분마다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예를 들어 100 m 이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도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자체 메모리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a target area (S140). First, in step S140,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the target area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every 5 minutes using the current loca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 transmits at least one region within the target position and a reference distance, for example, 100 m,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regions included in the map data stored in its own memory, . At this time, the map data may be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elf memo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인접 지역들 각각은 위험 지역 및 사고 발생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지역은 사고 위험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예를 들어 횡단보도 및 사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발생 지역은 기준 기간, 예를 들어 한 달 또는 일주일 동안 사고가 기준치, 예를 들어 1건 이상 발생된 지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겟 지역이 횡단보도일 경우, 상기 위치정보 제공장치는 해당 횡단보도의 양측에 배치된 신호등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target adjacent areas may include a dangerous area and an accident occurrence area. The hazardous area may be an area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accident, for example, a crosswalk and a crossroad. The accident occurrence area may be an area where the accident occurred for a reference period, for example, one or more, for a reference period, for example, a month or a week.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rget area is a crosswalk,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a traffic ligh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이와 다르게, 상기 S14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도착지를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도착지 또는 도착 정류장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착지를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S13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step S140,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the destination set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gram as the target area.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a destination or an arrival stop designated by the user as the target area in the bu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lication. 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stination as the target area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S130 because it can be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current location.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지역에 진입시 경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S150). 즉,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있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타겟 지역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경고 메시지 표시,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perform a warning action when entering the target area (S150). That is, when the current location being detected in real time is included in the target area, the user terminal 10 can perform the warning action. Here, the warning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volume decrease, a warning message display, a vibration occurrence,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occurren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동안, 상기 타겟 지역, 예를 들어 위험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소리를 들으며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할 때, 상기 경고 액션에 의해 상기 위험 지역에 들어왔음을 인지하여 앞으로 닥칠 위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의 동영상을 보면서 횡단보도와 같은 위험 지역을 지나갈 경우, 소리 볼륨을 자동으로 줄여주거나 마이크를 켜서 외부 소리를 듣게 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주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여 주위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the user terminal 10 executes the music related program, the user performs the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rea, for example, the dangerous area, When the user enters the danger zone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he / she can recognize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by the warning action, and can prepare for the risk of coming in the future. For example, if a smartphone user uses headphones or earphones to listen to music, or watch movies such as movies, dramas, sports, etc., and crosses dangerous areas such as crosswalks, By listening to sounds, generating vibrations,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by recognizing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dangerous area.

<실시예 2>&Lt; Example 2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경고 알림 방법에서 타겟 지역 및 타겟 인접 지역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경고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arget region and a target adjacent region in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of FIG. 5,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warning notification method of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경고 알림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수행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타겟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7, the alarm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 and relates to a method of informing a user of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entered a target are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smart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우선, 상기 경고 알림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소리가 재생되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210). 이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step S210, the user terminal 10 executes a music-related program in which a sound is reproduced by the alert notific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music related program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and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usic playing program, a moving picture playing program, and a game program.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경고 알림을 위한 경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set the music-related program to a warning mode for warning notification (S220). Here, when a headphone or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e music related program may be automatically set to the warning mode. Alternatively, the music-related program may be set to the warning mode by a user's input a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인접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제공 장치(20), 예를 들어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can detect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S230). Here, the user terminal 10 can sense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 adjacent to the user terminal 10, for example, beacon,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지역과 인접한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마다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예를 들어 100 m 이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타겟 지역으로부터 기준 인접 거리, 예를 들어 10 m 내에 있는 지역을 상기 타겟 인접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도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자체 메모리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a target area and a target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target area (S24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determine the target region and the target adjacent region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sing the current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 determines at least on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areas included in the map data as the target area with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ference distance, for example, 100 m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rea within the reference adjacent distance, for example, 10 m, from the target area as the target adjacent area. At this time, the map data may be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elf memo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인접 지역들 각각은 위험 지역 및 사고 발생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지역은 사고 위험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예를 들어 횡단보도 및 사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발생 지역은 기준 기간, 예를 들어 한 달 또는 일주일 동안 사고가 기준치, 예를 들어 1건 이상 발생된 지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 장치(20)는 상기 타겟 인접 지역 및 상기 타겟 지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타겟 인접 지역 중 상기 타겟 지역과 인접한 영역, 상기 타겟 지역 중 상기 타겟 인접 지역과 인접한 영역, 그리고 상기 타겟 인접 지역 및 상기 타겟 지역 사이의 경계선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target adjacent areas may include a dangerous area and an accident occurrence area. The hazardous area may be an area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accident, for example, a crosswalk and a crossroad. The accident occurrence area may be an area where the accident occurred for a reference period, for example, one or more, for a reference period, for example, a month or a week. 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 may be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target adjacent region and the target region. Here, the boundary region may include a region adjacent to the target region, a region adjacent to the target adjacent region, and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target adjacent region and the target region, among the target adjacent regions .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시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S250). 즉,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있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타겟 인접 지역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perform a warning preliminary action when entering the target adjacent region (S250). That is, when the current position detected in real time is included in the target adjacent region, the user terminal 10 can perform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Here,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volume reduction and a warning message display.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지역에 진입시 경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S260). 즉,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있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타겟 지역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 액션은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0 may perform a warning action when entering the target area (S260). That is, when the current location being detected in real time is included in the target area, the user terminal 10 can perform the warning action. Here, the warning a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ion occurrence,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occurrence.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과정(S260)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고, 이후 상기 타겟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했음에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 이동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경고 예비 액션과 다른 상기 경고 액션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이동을 멈췄을 경우,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이 정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타겟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0030] The user terminal 10 senses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area to the target area, and then, when the user terminal 10 enters the target area, A warning action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 may sense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vibration sensor. That is, when the user continuously moves to the target area even though the user terminal 10 enters the target adjacent area and performs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if the user terminal 10 moves to the target area, You can also perform the warning action again. If the user stops the movement to the target area when the user terminal 10 enters the target adjacent area and performs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vement is stopped. At this time, the user can fully recognize that he / she is moving to the target area.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동안,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타겟 지역 내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경고 예비 액션을 수행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타겟 지역, 예를 들어 위험 지역에 들어왔음을 인지하여 앞으로 닥칠 위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the user terminal 10 executes the music related program,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terminal 10 enters the target adjacent region, thereby inhibiting the user from continuously moving into the target area .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continues to move to the target area even after performing the warning preliminary action, it performs the warning action to recognize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target area, for example, a dangerous area You can prepare for the risks ahea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위치정보 제공 장치10: User terminal 20: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laims (2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경고 알림 방법에 있어서,
소리가 재생되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타겟 지역에 진입시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알림 방법.
A method of notifying an alert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Executing a music-related program in which sound is reproduced;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And performing a warning action when entering the targ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게임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
A music playback program, a video playback program, and a game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경고 알림을 위한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the music-related program to a warning mode for warning notifi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상기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상기 경고 모드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ep of setting the music-related program to the warning mode,
Wherein the music related program is automatically set to the warning mode when a headphone or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current position is detected in real time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인접해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current location is detected in real time using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djacent to the user terminal so as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경고 메시지 표시,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rning action
A sound volume decrease, a warning message display, a vibration occurrence,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occur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determin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current lo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determines at least one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regions included in the map data with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ference distance as the target reg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자체 메모리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p data
And the updated aler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updated and stored in a self-memory of the user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접 지역들 각각은
횡단보도 및 사거리를 포함하는 위험 지역, 및 기준 기간 동안 사고가 기준치 이상 발생된 사고 발생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Each of the target adjacent regions
A danger area including a pedestrian crossing and an intersection, and an accident occurrence area where an accident occurs over a reference value during a reference peri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도착지를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determining a destination set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program as the targ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타겟 지역과 인접한 타겟 인접 지역에 진입시 예비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preliminary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djacent region adjacent to the target region before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지역에 진입시 상기 경고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comprises:
Sensing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And
And performing the warning action upon entering the target ar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인접 지역에서 상기 타겟 지역으로의 연속적인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Detecting a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Wherein the sensor detects continuous movement from the target adjacent region to the target region using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vibration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경고 액션은
소리 볼륨 감소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액션은
진동 발생, 마이크 켜짐(ON) 및 알람 소리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eliminary warning action
A sound volume reduction, and a warning message display,
The warning action
Wherein the microcompu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microcomputer, a vibration generator, a microphone on (ON),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타겟 인접 지역 및 상기 타겟 지역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current location is detected in real time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rrang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target adjacent area and the target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the target adjacent area.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region and the target adjacent region,
Wherein the target region and the target adjacent region are determined using the current posi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역 및 상기 타겟 인접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타겟 인접 지역들 중 상기 현재 위치와 기준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상기 타겟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지역으로부터 기준 인접 거리 내에 있는 지역을 상기 타겟 인접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알림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area and the target adjacent area comprises:
Determining at least one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adjacent regions included in the map data with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ference distance as the target region; And
And determining an area within the reference adjacent distance from the target area as the target adjacent area.
KR1020170173920A 2017-12-18 2017-12-18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KR102013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20A KR102013126B1 (en) 2017-12-18 2017-12-18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20A KR102013126B1 (en) 2017-12-18 2017-12-18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32A true KR20190072832A (en) 2019-06-26
KR102013126B1 KR102013126B1 (en) 2019-08-22

Family

ID=6710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20A KR102013126B1 (en) 2017-12-18 2017-12-18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2147A (en) * 2019-09-23 2020-02-28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Security alarm method, security alarm device,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55B1 (en) * 2005-11-25 2007-09-07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Mobile device with sensing danger function and method for sensing unpxected danger sound on the mobile device
KR20140038579A (en) * 2012-09-19 2014-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notifying destination arrival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48690B1 (en) * 2012-01-06 2014-10-08 주식회사 시노펙스 The smart device with protect function, and its method
KR20150082855A (en) * 2014-01-08 2015-07-16 장민호 Method for warning and detecting obstacle forward for when walking using smart phone, and smart phone of loading application of function the same
KR20160063937A (en) * 2014-11-27 2016-06-07 조승우 Safety Pass System in Pedestri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55B1 (en) * 2005-11-25 2007-09-07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Mobile device with sensing danger function and method for sensing unpxected danger sound on the mobile device
KR101448690B1 (en) * 2012-01-06 2014-10-08 주식회사 시노펙스 The smart device with protect function, and its method
KR20140038579A (en) * 2012-09-19 2014-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notifying destination arrival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50082855A (en) * 2014-01-08 2015-07-16 장민호 Method for warning and detecting obstacle forward for when walking using smart phone, and smart phone of loading application of function the same
KR20160063937A (en) * 2014-11-27 2016-06-07 조승우 Safety Pass System in Pedestri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2147A (en) * 2019-09-23 2020-02-28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Security alarm method, security alarm device,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852147B (en) * 2019-09-23 2021-10-15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Security alarm method, security alarm device,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26B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275B2 (en) Mobile device safety
US10096249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collision alert
US104701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163017B2 (en) Portable terminal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KR201500970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Forecasting Dangerous Object by Device Information Exchange among Devices
WO2015139481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105701967A (en) Position prompting method and position prompting device
US8760275B2 (en) Obsta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WO2015187592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18198926A1 (en) Electronic device, roadside device,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traffic system
KR101637378B1 (en)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wearable Bluetooth device
US9374636B2 (en) Hea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enabling monitoring mode within said hearing device
JP6169747B2 (en) Mobile device
KR102013126B1 (en) Method for alarming a warning using user terminal
US106455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indoor/outdoor specification
US11792601B2 (en) Mobile device intelligent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wireless emergency alerts
JP7313806B2 (en) Pedestrian device, vehicle-mounted device, inter-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and safety confirmation support method
KR101874123B1 (en)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KR20170040458A (en) Collision warning device and collision w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834984A (en) Positioning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3037625A (en) Emergency vehicle notification device, emergency vehicle notification method
JP6775143B2 (en) Warning system and warning method
JP7422344B2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notification control program
WO2023053265A1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3042249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 notification program, and approach not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