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586A -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586A
KR20190059586A KR1020170157332A KR20170157332A KR20190059586A KR 20190059586 A KR20190059586 A KR 20190059586A KR 1020170157332 A KR1020170157332 A KR 1020170157332A KR 20170157332 A KR20170157332 A KR 20170157332A KR 20190059586 A KR20190059586 A KR 2019005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wireless
remote 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이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철 filed Critical 이경철
Priority to KR102017015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586A/en
Publication of KR2019005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5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uxiliary horn system which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a car bonnet or a bumper and the like, and generates sound such as a horn/melody/bel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wireless auxiliary horn system for an automobile hav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t a position such as a bonnet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to provide a small and clear sound; and a wireless operating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side the automobile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uch that a driver can easily operate i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iscomforts and surprises of a pedestrian and a driver of a counterpart vehicle, thereby contributing to a well-established traffic culture.

Description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0001]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 등과 같은 외측에 장착되고 무선 통신을 통해 클락션/멜로디/벨 등과 같은 음향을 발생하는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 등과 같은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고 명랑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발생장치와,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비치되어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을 구비하여 보행자 및 상대방 자동차의 운전자의 불쾌감 및 놀람 등을 방지하여 건전한 교통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uxiliary clock system which is mounted on the outside such as a car bonnet or a bumper and generates sound such as a clock / melody / bell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which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the driver and which operates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driver of the pedestrian and the opponent car And surprise, thereby contributing to a healthy traffic cultur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와 자동차 간, 그리고 보행자와 자동차 간의 돌발사태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클락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락션 장치는 자동차 운행 중에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클락션(경적음)을 발생하여 상대방 자동차 운전자, 혹은 보행자에게 사고 위험을 알리도록 되어 있다.  Generally, a car is equipped with a crushing device to prevent a traffic accident caused by an accident between a car and a car, and between a pedestrian and a car in advance. Such a cricting device is designed to cause a warning (warning sound) to the driver of the other vehicle or a pedestrian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accident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하지만, 기존의 자동차 클락션 장치는 비교적 높은 데시벨(dB)의 클락션을 출력함에 따라 상대방 자동차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 소음 공해로 작용하여 오히려 상대방 자동차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클락션 소리에 놀라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무분별한 자동차 클락션은 도심의 소음 공해 및 운전자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주범이 되고 있으며, 클락션이 불규칙하고 장소와 때를 불문하는 그 특성에 따라 법적으로 제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r crossover device outputs a relatively high decibel (dB) of the crossover, it causes a noise pollution such as discomfort to the driver or the pedestrian of the opponent, so that the opponent car driver or the pedestrian . Especially, unreasonable car clash is causing the noise pollution in the city and conflict between drivers, and it is difficult to legally prohibit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irregularity of clash and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에 기설치된 클락션 장치(운전자에 의해 클락션 데시벨을 조정할 수 없는 구조) 외에, 별도의 보조 클락션 시스템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지금까지 제안된 종래기술에 따른 클락션 시스템은 유선통신모듈을 통해 유선으로 동작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별도로 배선과 스위치 등을 추가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설치 및 장착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eparate auxiliary clock system has been proposed in addition to a previously installed clock device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er can not adjust the clock decibel). However, Sinc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a wired line through the module, additional wiring and switches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a general person to install and install the device, which causes a problem of a large cost.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07817호(2017.02.13)KR Patent Registration No. 10-1707817 (Feb.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 등과 같은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고 명랑한 클락션/멜로디/벨 등과 같은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와,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차 내부에 비치되어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을 구비하여 보행자 및 상대방 자동차의 운전자의 불쾌감 및 놀람 등을 방지하여 건전한 교통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generator,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t a position such as a bonnet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to generate and output sounds such as small and pleasant crescents / melodies /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provided inside the vehicle for easy operation so as to operat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to prevent discomfort and surprise of the driver of the pedestrian and the opponent car to contribute to a healthy traffic culture.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은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위험 상황 발생시 작고 명랑한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 및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의 내부에 비치되고, 무선통신으로 상기 음향 발생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wireless auxiliary c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bonnet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and generates and outputs sound of any one of small, ;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driv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generation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operate the sound generation device. to provide.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위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대상체에 따라 조정하는 볼륨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b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oper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either a clock, a melody or a bell in response to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ound genera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or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a target object to be informed of the dangerous situation And a volum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recording medium.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 발생장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에 대응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는 음향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ound generator, And a sound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a sound, a clock, a melody, and a bell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ion unit,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to transmit a signal 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of one of a clock, a melody, and a bell selected by the sound selection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 발생장치의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와,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 인지 아니면 상대방 자동차인지를 분석하는 물체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물체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멜로디 또는 벨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물체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상기 상대방 자동차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되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은 상기 보행자 감지시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에 비해 높은 데시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b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operation modu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either a clock, a melody or a bell in response to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ound generation device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on unit,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in real time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automobile, and an objec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nd an object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whether the vehicle is a pedestrian or a counterpart vehicle, The object analyzing unit selects and outputs a melody or a bell among the clergy / melody / bell when the object sens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a pedestrian,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outputs the melody or bell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object analyzing unit, Melody / bell when the object sensed by the pedestrian is the counterpart vehicle, and outputs decibel of the outputted sound at a higher decibel compared to decibel of the sound outputted when the pedestrian is sensed .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 등과 같은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고 명랑한 클락션/멜로디/벨 등과 음향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와,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비치되어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을 구비하여 보행자 및 상대방 자동차의 운전자의 불쾌감 및 놀람 등을 방지하여 건전한 교통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und generating device which is detachably mounted at a position such as a bonnet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to generate and output one of a small and pleasant clark / melody /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provided inside the vehicle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o as to easily operate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discomfort and surprises of the driver of the pedestrian and the opponent vehicle, thereby contributing to a healthy traffic cultur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작동 리모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무선 작동 리모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향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to explain a state in which a radio-assisted clutch system for a ca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in a car.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2;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6;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 module, " .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nd / or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 in each step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limit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the context clearly states a particular order, it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radio-assisted clutch system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adio-assisted clutch system for a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adio-assisted clutch system for a car,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은 자동차(1)의 본넷 또는 범퍼 등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고 명랑한 음향(클락션/멜로디/벨)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11)와,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차(1)의 내부에 비치되고 무선통신으로 음향 발생장치(11)와 통신하여 음향 발생장치(11)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12)을 포함한다. 1 and 2, a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bonnet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1 to generate a small and pleasant sound (a clock / melody / bell)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driv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generator 1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operate the sound generator 11, (12).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장치(11)는 셋탑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고무판, 흡착기, 자석, 고무패드 또는 압착기 등과 같은 장착부재를 통해 자동차(1)의 본넷 또는 범퍼 등에 장착될 수 있다. 1 to 3,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et-top box, and is mounted on a vehicle (not shown) through a mounting member such as a rubber plate, an adsorber, a magnet, a rubber pad, 1) or a bumper or the like.

이러한 음향 발생장치(11)는 도 3과 같이, 무선 작동 리모컨(12)과 무선통신하여 무선 작동 리모컨(12)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111)과, 무선통신모듈(111)로 수신된 무선 작동 리모컨(12)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등과 같은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112)와, 음향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13)와, 음향 발생장치(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음향 발생장치(11)는 볼륨 조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1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A sound generation unit 112 for generating sounds such as a clock / melody / bell in response to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unit 12 and an acoustic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or 11. [ In additio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1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adjusting unit 115.

무선통신모듈(111)은 무선 작동 리모컨(12)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로서, 무선 작동 리모컨(12)이 적외선 리모컨(적외선 LED)으로 이루어진 경우 적외선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111)은 무선 작동 리모컨(12)으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스마트폰)를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WiFi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is a module for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and may be an infrared receiver when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is composed of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infrared L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be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smartphone when using a terminal (smartphone) Module. ≪ / RTI >

음향 생성부(112)는 제어부(114)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하고, 무선 작동 리모컨(12)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음향을 생성한다. 이때, 음향 생성부(112)는 무선 작동 리모컨(12)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한다. The sound generation unit 1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4 and operates to generate sound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unit 112 generates sound of one of the clock / melody / bell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볼륨 조정부(115)는 음향 생성부(112)로부터 생성되어 음향 출력부(113)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대상체에 따라 조정한다. 즉, 볼륨 조정부(115)는 동작 모드(보행자 모드/자동차 모드)에 따라 음향 출력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The volume adjusting unit 115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generating unit 112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113 according to the target object. That is, the volume adjusting unit 115 can adjust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13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pedestrian mode / automobile mode).

이와 같이, 음향 출력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정하는 이유는 상황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정한 데시벨의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2)나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여 건전한 교통문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13 as described above is that it provides an appropriate decibel sou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driver of the opponent car 3 and the pedestrian 2 do not feel uncomfortable To contribute to a healthy traffic culture.

일례로, 무선 작동 리모컨(12)에 의해 송출된 신호가 보행자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음향 출력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을 50dB~70dB로 조정하여 출력하고, 자동차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을 80dB~100dB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For example, i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corresponds to the pedestrian mode, the decibel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13 is adjusted to be 50 dB to 70 dB, Adjust the decibel of the output sound to 80dB ~ 100dB.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작동 리모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hown in FIG. 2.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작동 리모컨(12)은 적외선 리모컨(적외선 LED)이거나, 혹은 운전자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스마트폰인 경우 음향 발생장치(11)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앱(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1 to 4,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frared remote control (infrared LED) or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driver himself / herself. In the case of a smartphone, an application (appl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ound generator 11 may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작동 리모컨(12)은 도 4와 같이, 일례로 무선 작동 리모컨(12)을 동작시키고 운전자(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버튼부(121)와, 동작 버튼부(121)의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작동 리모컨(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제어부(122)에 의해 제어되고 동작 버튼부(121)에 의해 응답하여 음향 발생장치(11)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123)을 포함한다. 4,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121 for operat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2 and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driver (user), an operation button unit 121, A control unit 122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12 in response to a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unit 121 and a control unit 12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1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12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3 for transmitting a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무선 작동 리모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무선 작동 리모컨(22)은 동작 버튼부(221), 제어부(222) 및 무선통신모듈(2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음향 발생장치(1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224)와, 모드 선택부(224)에 대응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는 음향 선택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the wireless remote control 2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221, a control unit 22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3. A mode selector 224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ound generator 11; an acoustic selector 225 for selecting one of a clock, a melody, and a bell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or 224; As shown in FIG.

동작 버튼부(221)는 무선 작동 리모컨(2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로서, 동작 버튼부(221)를 누르면, 무선 작동 리모컨(22)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무선 작동 리모컨(22)이 동작된다. The operation button unit 221 is a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22. When the operation button unit 221 is pressed,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22 to operate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22 .

모드 선택부(224)는 음향 발생장치(11)의 동작모드(보행자 모드/자동차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위험 상황이 발생되어 음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체가 보행자(2)인 경우 보행자 모드를 선택하고, 상대방 자동차(3)인 경우 자동차 모드를 선택한다. 즉,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224)를 조작하여 보행자 모드를 선택하면 보행자 모드로 진입하고, 자동차 모드로 진입하면 자동차 모드로 진입한다. The mode selection unit 224 selects the operation mode (pedestrian mode / car mode) of the sound generator 11. For example, the pedestrian mode is selected when the current dangerous situation is the pedestrian 2, and the vehicle mode is selected when the object 3 is the opponent car. That is,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mode selection unit 224 to select the pedestrian mode, the vehicle enters the pedestrian mode, and enters the vehicle mode when entering the vehicle mode.

이와 같이, 보행자 모드와 자동차 모드로 분리하여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이유는 보행자(2)가 외부로 노출되어 음향 발생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보다 크게 들을 수 있는 반면,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자동차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자동차의 창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음향 발생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이 낮은 경우에 잘 들리지 않아 위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pedestrian 2 is separated from the pedestrian mode and the automobile mode to set the operation mode is that the pedestrian 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hear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11 more greatly,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located inside the automobile, and when the window of the automobile is close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decibel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11 is low.

음향 선택부(224)는 모드 선택부(224)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음향 발생장치(11)에서 출력되는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동작모드가 보행자 모드인 경우 멜로디 또는 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보행자 모드에서 보행자가 아동인 경우에는 멜로디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모드인 경우에는 클락션을 선택한다. 이때, 상대방 자동차(3)의 창문의 개폐 유무에 따라 클락션의 데시벨을 다르게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대방 자동차(3)의 창문이 개방된 경우에는 낮은 데시벨의 클락션을 선택한다. The sound selection unit 224 selects any one of the clock, melody, and bell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11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224. [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pedestrian mode, either the melody or the bell is selected. At this time, if the pedestrian is a child in the pedestrian mode, a melody can be selected. In the case of the automobile mode, the clock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decibel of the clock can b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window of the opponent car 3 is opened or closed. For example, when the window of the opponent car 3 is open, a low decibel is selected.

무선통신모듈(223)은 음향 발생장치(11)의 무선통신모듈(111)과 무선통신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223)은 전술한 음향 발생장치(11)의 무선통신모듈(11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향 선택부(225)를 통해 선택된 음향, 즉 클락션/멜로디/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음향 발생장치(11)의 무선통신모듈(111)로 송출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3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1 described above and may correspond to a sound selected through the sound selecting unit 225, namely, a clock / melody / bel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of the sound generator (1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radio-assisted clu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자동차 주행 중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어 보행자(2) 또는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고자 할 때, 자동차(1)의 실내에 비치되어 있는 무선 작동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음향 발생장치(11)를 통해 클락션/멜로디/벨 등과 같은 음향을 보행자(2) 또는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As shown in Figs. 1 to 4,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opponent car 3 wants to inform the driv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Melody / bell or the like through the sound generator 11 to the driver of the opponent car 3 by operating the controller 12 of the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2)와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에게 위험 사항을 알려주기 위한 음향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이들 음향 중 어느 하나와 각 음향에 대한 데시벨을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공한다. 즉, 도 5와 같이, 음향 발생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클락션/멜로디/벨 등)와 데시벨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ounds are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pedestrian 2 and the opponent car 3 in order to inform the driver of the danger, and one of these sounds and the decibel for each sound are adjusted and output. That is,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ype (such as a clock / melody / bell)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11 and the decibel.

도 5와 같이, 운전자는 무선 작동 리모컨(22)의 모드 선택부(224)를 조작하여 위험을 알리고자 하는 대상체가 보행자(2)인지 아님,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인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음향을 수동으로 선택하여 음향 발생장치(11)로 송출한다. 5, the driver operates the mode selection unit 224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22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to which the danger is to be notified is the pedestrian 2 or the driver of the opponent car 3, And sends the sound to the sound generator 11 by manually selecting the sound.

그리고, 음향 발생장치(11)는 무선 작동 리모컨(22)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작동 리모컨(22)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보행자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을 제1 데시벨로 조정하여 출력하고, 자동차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을 제1 데시벨보다 높은 제2 데시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데시벨은 50dB~70dB로 설정하고, 제2 데시벨은 80dB~100dB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22 corresponds to the pedestrian mode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22, the sound generator 11 adjusts the decibel of the sound to be outputted to the first decibel When the mode is the automobile mode, the decibel of the output sound is adjusted to the second decibel higher than the first decibel and outputted. At this time, the first decibel may be set to 50 dB to 70 dB, and the second decibel may be set to 80 to 100 dB.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음향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generator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무선 작동 리모컨(32)을 이용하여 자동차(1)의 본넷 또는 범퍼 등에 장착된 음향 발생장치(11)를 통해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여 위험을 알리고자 하는 대상체, 즉 보행자(2) 또는 상대방 자동차(3)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6 and 7, a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operation remote controller 32 as in the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n automobile shown in FIGS. 1 to 5, Melody / bell sound through the sound generator 11 mounted on the bumper of the vehicle 1 or the bumper of the opponent car 3 Provide to the driver.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은 무선 작동 리모컨(32)을 통해 동작모드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음향 발생장치(21)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 및 각 음향별 데시벨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체 감지 센서(215)를 이용하여 자동차(1)의 전방 또는 후방(물체 감지 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됨)에 위치하는 보행자(2)나 상대방 자동차(3)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자동차(1)의 전방(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이 보행자(2)인지 혹은 상대방 자동차(3)인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자동으로 음향 생성부(212)를 통해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는 한편, 그 데시벨을 조정한다. However, in the radio assisted clutch system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ode is manually operated throug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32 to detect the type of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generating device 21 and the decibel The pedestrian 2 or the opponent car 3 positioned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1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mounted) by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15,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analyzed whether the object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car 1 is the pedestrian 2 or the opponent car 3,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ound of the clock / melody / bell, and adjusts the decibel.

무선 작동 리모컨(32)은 도 4에 도시된 무선 작동 리모컨(12)과 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3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12 shown in Fig.

그리고, 음향 발생장치(21)는 도 7과 같이, 무선통신모듈(211), 음향 생성부(212), 음향 출력부(213), 제어부(214), 물체 감지 센서(215) 및 물체 분석부(216)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통신모듈(211), 음향 생성부(212), 음향 출력부(213) 및 제어부(214)는 도 3에 도시된 음향 발생장치(11)의 무선통신모듈(111), 음향 생성부(112), 음향 출력부(113) 및 제어부(11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7, the sound generating device 2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1, an acoustic generating unit 212, an acoustic output unit 213, a control unit 214, an object detecting sensor 215, (216).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1, the sound generation unit 212, the sound output unit 213 and the control unit 214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1 of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11 shown in FIG. 3, The sound output unit 112, the sound output unit 113, and the control unit 114 shown in FIG.

물체 감지 센서(215)는 음향 발생장치(21)에 구비되거나, 혹은 음향 발생장치(21)로부터 분리되어 자동차(1)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향 발생장치(21)에 구비되어 자동차(1)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대상체)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15 may be provided i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21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vehicle 1 separated from the sound generating device 21. [ Preferably, the sound generator 21 detects an object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automobile 1 in real time.

물체 분석부(216)는 물체 감지 센서(215)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2) 인지 아니면 상대방 자동차(3)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보행자(2)인 경우 아동인지 아니면 성인인지를 판단하고, 이때 판단 기준은 예를 들면, 보행자(2)의 신장을 토대로 신장이 150cm 이하이면 아동으로 판단하고, 그 이상이면 성인으로 판단한다. The object analyzing unit 216 analyzes whether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sensor 215 is the pedestrian 2 or the counterpart car 3. If the pedestrian 2 is a child or an adult, the judgment criterion is determined to be a child if the height is 150 cm or less based on the height of the pedestrian 2, for example, and the pedestrian 2 is judged to be an adult .

음향 생성부(212)는 물체 분석부(216)의 분석 결과, 물체 감지 센서(215)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2)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멜로디 또는 벨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보행자(2)가 아동인 경우에는 친숙한 멜로디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The sound generation unit 212 selects and outputs a melody or a bell among the clock, melody, and bell when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15 is the pedestrian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bject analysis unit 216. When the pedestrian (2) is a child, a familiar melody is selected and output.

반면, 음향 생성부(212)는 물체 분석부(216)의 분석 결과, 물체 감지 센서(215)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상대방 자동차(3)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보다 빠라게 인지할 수 있도록 클락션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물론, 멜로디 또는 벨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때, 데시벨은 보행자(2)에 비해 높은 데시벨로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bject sens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15 is the counterpart vehicle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bject analyzing unit 216, the sound generating unit 212 can recognize faster than the clock / melody / Select the clerk to output. Of course, a melody or a bell may be selected and output. In this case, the decibel is outputted at a higher decibel than the pedestrian 2.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장치(11, 21)에는 LED 램프를 더 구비하여 음향과 함께 발광 효과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지하 주차장 등에서 본인 차량을 찾을 때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오래된 중고차에도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골목길 등에서 뒷차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보행자 등에게 기존의 큰 클락션 소음 대신에 작고 명랑한 음향을 제공하여 보행자의 불쾌감 및 놀람 등을 방지하여 건전한 교통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generators 11 and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LED lamp to provide sound effects and the like. This makes it useful for finding your own vehicle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old used cars. In addition, it provides a small and cheerful sound instead of the existing large climbing noise to the pedestrians who can not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rear car in the alley, etc., thereby provi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the discomfort and surprise of the pedestrian,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장치(11, 21)는 보조 클락션 또는 주차장 등에서 자동차의 위치를 알리는 자동차 위치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가 주차장 등에 주차된 자신의 자동차를 찾고자 할 때, 소지하고 있는 리모컨을 조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설정된 알림음을 발생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und generators 11 and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vehicle position notification function for inform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an auxiliary clock or a parking lot. That is, when the driver searches for his / her car parked in a parking lot or the like, he / she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and provid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by generating a preset soun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자동차
2 : 보행자
3 : 상대방 자동차
11, 21 : 음향 발생장치
12, 22, 32 : 무선 작동 리모컨
1: Automotive
2: Pedestrians
3: Others
11, 21: sound generating device
12, 22, 32: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Claims (4)

자동차의 본넷 또는 범퍼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위험 상황 발생시 작고 명랑한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장치; 및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의 내부에 비치되고, 무선통신으로 상기 음향 발생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무선 작동 리모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A sound generating device detachably mounted on a car's bonnet or a bumper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ound of a small and pleasant crescents / melodies / bells in the event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A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 provided inside the automobile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driv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generat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operat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위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대상체에 따라 조정하는 볼륨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sponds to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ound generation device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on unit; 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generation unit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volum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object based on the object to be notified of the dangerous situation,
Wherein the vehicle-mounted auxiliary cascade system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 발생장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에 대응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는 음향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음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button unit, a signal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ound generator, And an acoustic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sounds of the clock / melody / bell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ion unit,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a clock /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on unit, wherein the sound generation unit generates sound of any one of the melody /
Wherein the vehicle-mounted auxiliary cascade system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은 동작 버튼부와, 상기 동작 버튼부에 의해 응답하여 상기 음향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장치는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과 무선통신하여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음향 발생장치의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무선 작동 리모컨의 송출신호에 응답하여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와, 상기 음향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상기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와,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 인지 아니면 상대방 자동차인지를 분석하는 물체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물체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보행자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멜로디 또는 벨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음향 생성부는 상기 물체 분석부의 분석 결과,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상기 상대방 자동차인 경우 클락션/멜로디/벨 중 어느 하나의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되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은 상기 보행자 감지시 출력되는 음향의 데시벨에 비해 높은 데시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sound generat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button unit,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sponds to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wireless operation remote controll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ound generation device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on unit,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automobile in real time, And an object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whether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sensor is a pedestrian or a counterpart vehicle,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unit analyzes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sensor as a pedestrian A melody or a bell among the clergy / melody / bell is selected and outputted, and the sound generation section If the object sens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the counterpart vehicle, the object analyzing unit may select one of a sound of a clock, a melody, and a bell to output a decibel of the sound to be output when the pedestrian is sensed Of decibels compared to a decibel output,
Wherein the vehicle-mounted auxiliary cascade system comprises:





KR1020170157332A 2017-11-23 2017-11-23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KR20190059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32A KR20190059586A (en) 2017-11-23 2017-11-23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32A KR20190059586A (en) 2017-11-23 2017-11-23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86A true KR20190059586A (en) 2019-05-31

Family

ID=6665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32A KR20190059586A (en) 2017-11-23 2017-11-23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58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4433A (en) * 2020-05-27 2021-12-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Entry support system, entry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817B1 (en) 2015-07-28 2017-02-17 염광섭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817B1 (en) 2015-07-28 2017-02-17 염광섭 System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4433A (en) * 2020-05-27 2021-12-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Entry support system, entry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744433B (en) * 2020-05-27 2023-10-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Entry support system, entry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452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rtificial driving noises of a vehicle
US7697698B2 (en) Sound-based vehicle safety system
KR101148476B1 (en) Vehicle cute horn device
CN102791523B (en) Vehicle notification sound sends equipment
WO2016067593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US20170028907A1 (en) Door opening warning device for car
JP4538415B2 (en) Vehicle alarm device and horn auxiliary device
US7274287B2 (en) Warning and information system for a vehicle
US200500438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n audio message system within a vehicle
KR101607221B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inner and outer side of a car
US99409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mping or amplifying a sound introduced in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JP2019189200A (en) Vehicle safety system
KR101804817B1 (en) Horn sound regulating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US57900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gnal translator
US8466805B2 (en) Emergency vehicle siren indicator
KR20190059586A (en) Wireless assistance klaxon system for vehicle
GB2514267A (en) Smart Honking
KR20210103983A (en) Automotive wireless horn
KR102327677B1 (en) Device for notifying danger situation of automobile room to near people based analysis of automobile room sound
KR102017046B1 (en) System for informing a starting state of front vehicle
KR200207834Y1 (en) Radio transitting reception device for cars horn
KR20170103221A (en) Apparatus for warning automobiles
JP2006144432A (en) Annunciator system and annunciating method
KR101568582B1 (en) Sound generat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1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08

Effective date: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