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74A - 음료 제조용 캡슐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용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74A
KR20190033474A KR1020187035826A KR20187035826A KR20190033474A KR 20190033474 A KR20190033474 A KR 20190033474A KR 1020187035826 A KR1020187035826 A KR 1020187035826A KR 20187035826 A KR20187035826 A KR 20187035826A KR 20190033474 A KR20190033474 A KR 2019003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housing
beverage
engaging membe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867B1 (ko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올리비에 마르땡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9003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9Details of the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6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29C51/268Cutting,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캡슐은 찻잎과 같은 음료 성분(11)을 포함하고, 내부에 온수를 주입함으로써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은 - 상기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하우징(12)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개방 측부(121),. 물 주입 영역(123)을 포함하는 후방 측부(122), 및. 상기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12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후방 측부로부터 상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본질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하는, 상기 하우징, 및 -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 측부를 폐쇄하는 전방 커버(13) 및/또는 벽(14)을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에 있는 상기 물 주입 영역(123)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멍(124)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후방 커버(15)에 의해 덮이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4 mm의 직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용 캡슐
본 발명은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들에 기초하여 음료 또는 다른 액체 식료품을 제조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갖는 모듈을 포함하고,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개방된 캡슐 삽입 위치와 폐쇄된 캡슐 봉입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음료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모듈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이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캡슐 배출 위치로 캡슐을 능동적으로 후퇴(retract)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계는 음료 제조 위치에 대해 오프셋된 캡슐 배출 위치를 갖는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기계가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서 캡슐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음료가 기계와 접촉하지 않고서 음료를 캡슐로부터 컵 내로 직접 전달하도록 기계 및 캡슐이 창안되는 경우에 관심 대상이 된다. 그러한 음료 제조 기계가 EP-A1-2033551호, WO 2011/144479호 또는 WO 2015/03265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기계에서, 캡슐은 음료 제조 모듈 내에 도입되고, 사전-고정 아암에 의해 사전-결합 위치에서 보유되고, 이어서 캡슐에 대한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에 더하여 캡슐 형상에 등각(conformal)인 제1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의 마지막에, 캡슐은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클램핑되고, 대체로 온수인 희석액이 캡슐 내의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생성된 음료는 캡슐 결합 동안 캡슐에 제공되고/되거나 기계에 의해 생성된 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유출되고, 중력에 의해 컵 내에 떨어진다. 일단 음료가 전달되었다면, 제1 결합 부재는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를 향해 캡슐을 드래그(drag)하는 캡슐 배출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제1 결합 부재의 이동은 선형 이동과 단부 선회 이동의 조합이어서, 캡슐이 중력에 의해 제1 결합 부재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한다.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rim)을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 상에 대칭으로 위치되거나 약간 오프셋되고 캡슐의 림을 보유할 수 있는 2개의 탭으로 구성된다.
종종,
Figure pct00001
에 의해 상표명 Special-T로 상품화된 이러한 기계와 함께 사용되는 캡슐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캡슐은 저장 동안, 특히 그가 벌크(bulk)로 보관되는 경우, 쉽게 그리고 비가역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실제로, 캡슐이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로서 사용되고 찻잎을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러한 캡슐은 다소 큰 치수를 제공하고 찻잎은 내부에서 압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포일에 인가되는 외력은 캡슐 벽의 소성 변형으로 이어지고 덜 매력적인 외관으로 이어진다.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슐들이 트레이를 포함하는 특정 패키징 내에 저장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캡슐은 다른 캡슐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해법은 효율적이지만, 그러한 패키징은 저장 체적을 증가시키고 비용이 많이 든다.
비-변형가능 캡슐을 제공하기 위하여, 캡슐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특성에 따라, 음료 제조 동안 여러 예측불가능한 문제들이 발생한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첫째, 캡슐이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때, 사용자가 기계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실제로, 이러한 기계에서, 캡슐 결합 부재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한 레버의 수동 작동에 기인한다. 수동 취급은 플라스틱 캡슐의 경우 더 어려운데, 이는 사용자가 캡슐 결합 부재의 기계적 이동을 개시할 때, 플라스틱 캡슐의 후방 측부의 천공은 더 강한 힘을 필요로 하고 힘든 이동으로 인지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캡슐의 방출은 플라스틱과 워터 니들 사이의 마찰로 인해 어려워질 수 있다. 결국, 인체공학적 느낌은 좋지 않다.
둘째, 캡슐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일단 음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면, 추출된 캡슐은 변형되어 그의 원래 형상을 더 이상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정확하게, 캡슐의 횡방향 둥근 측부는 사용 전에 원래 볼록하고, 추출 후에는 캡슐이 내부로 흡인된 것처럼 오목해 진다. 이러한 형상의 변화는 최종 음료의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느낌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플라스틱 재료와 온수 사이의 잠재적인 반응에 대한 의문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추출 동안 일어나고, 재료의 특성을 단순히 변경함으로써 그러한 변형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의 수동 작동 동안 좋은 인체공학적 느낌을 제공하는 상기 기계용 플라스틱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온수 추출 하에서 변형되지 않는 상기 기계용 플라스틱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캡슐이 제공되는데, 상기 캡슐은 찻잎과 같은 음료 성분을 포함하고, 내부에 온수를 주입함으로써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은
- 상기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 전방 개방 측부,
. 물 주입 영역을 포함하는 후방 측부, 및
.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 측부로부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하는, 상기 하우징, 및
- 하우징의 전방 개방 측부를 폐쇄하는 전방 커버 및/또는 벽을 포함하고,
여기서,
-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물 주입 영역은 하우징 내에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후방 커버에 의해 덮이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4 mm의 직경을 제공한다.
캡슐은 내부에 온수를 주입함으로써 음료, 바람직하게는 차를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물은 물 주입 영역을 통해 주입되어 하우징을 충전하고 캡슐 내에서 음료 성분을 브루잉한다. 생성된 음료는 제조 공정 동안 전방 측부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전방 커버 및/또는 벽 내에 천공된 개구를 통해 분배된다.
캡슐의 하우징은 원형 프로파일과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삼각형 프로파일 사이에서 변하는 단면 형상을 제공하는 용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프로파일은 이등변(isoscele)이고, 2개의 동일한 변은 제3 변보다 더 길다.
대체적으로, 물 주입 영역은 평면 표면이다.
그러한 형상을 제공하는 캡슐은
Figure pct00002
에 의해 상표명 Special-T로 상품화되어 있다. 이들 상품화된 캡슐의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캡슐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성분을 포함한다. 음료 성분은 예를 들어 다음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찻잎, 허브 또는 과일 찻잎, 로스팅 및 그라인딩된 커피, 용해성 음료 성분, ... 이는 바람직하게는 차 또는 허브 또는 과일 찻잎이다.
본 캡슐에서,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열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이는 통상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이다. 이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그의 사용으로 인해 식품에 대해 승인되어(food agreed)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인 열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이러한 재료는 PP(폴리프로필렌) 기반 층 재료, 특히 PP-EVOH-PP 층상 재료(EVOH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을 의미함)의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층들은 분쇄재생(regrind) 플라스틱 재료 층, 결합 재료 층 및/또는 착색 재료 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플라스틱 캡슐에 적용되는데, 여기서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는 그가 가열되고 동시에 압축력을 받게 되는 경우에 변형되는데, 즉 플라스틱 재료는 좌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물 주입 영역은 하우징 내에 구멍을 포함한다. 후방 측부는 통상 하나의 단일 구멍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멍은 캡슐이 음료 제조 기계에서 사용될 때 물 주입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멍은 후방 커버에 의해 덮인다. 후방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된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후방 커버는 니들에 의해 천공가능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AlOx 코팅된 PET 필름이 또한 사용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식품에 대해 승인된 천공가능한 커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 주위의 물 주입 영역의 일부는 평탄하다. 따라서, 후방 커버는 구멍을 폐쇄하기 위해 하우징에 더 효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은 원의 형상을 제공한다.
통상, 구멍은 적어도 4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mm 이상의 직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캡슐이 음료 제조 기계의 니들에 의해 천공될 때, 천공 이동은 조작자에 대해 부드럽고, 니들이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의 에지에 대해 부적절한 방식으로 활주하고 그의 이동이 캡슐의 플라스틱 벽에 의해 방해되는 위험은 없다. 이는 캡슐 배출 단계 동안 니들이 캡슐로부터 후퇴될 때에도 동일하다. 니들이 구멍 내외로 이동할 때 캡슐이 완벽하게 이동 불가능하지 않더라도, 구멍의 치수는 니들이 캡슐의 플라스틱 벽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여, 기계 내에서의 캡슐의 부드러운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멍은
Figure pct00003
에 의해 상표명 Special-T로 상품화된 유형의 기계 내에서 플라스틱 캡슐의 이동의 어떠한 문제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 47.9 mm 내지 48.5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48.2 mm로 구성된 최대 높이,
- 36.7 내지 37.3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37 mm로 구성된 최대 폭, 및
- 24.1 내지 24.3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24.4 mm로 구성된 최대 깊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후방 측부는 물 주입 영역 주위에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공부는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하우징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이러한 중공부 또는 이러한 홈을 포함하도록 형상화된다.
이러한 중공부는 하우징의 후방 면에서 물 주입 영역을 둘러싼다.
하나의 관점에서, 이러한 중공부는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된다.
다른 관점에서, 이러한 중공부는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바람직한 모드에 따르면, 중공부는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링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모드에 따르면, 중공부는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포함하는 원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덜 바람직한 모드에 따르면,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가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임의의 형상(타원형, 정사각형, ...)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하우징의 상기 바람직한 관점으로,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고 중공부가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부분은 10 mm의 내경 및 14 mm의 외경을 제공한다.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이러한 중공부는,
Figure pct00004
에 의해 상표명 Special-T로 상품화된 유형의 기계에 의한 하우징 내로의 (대체적으로 적어도 70℃의) 온수의 도입과 관련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하우징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대체적으로,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중공부의 깊이는 적어도 0.7 mm, 바람직하게는 약 0.9 mm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모드에서, 중공부는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 또는 링의 형상을 제공한다.
홈이 통상 하우징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됨에 따라, 이러한 홈의 체적은 원 형태의 홈(대안적인 모드임)과 비교하여 하우징의 내부 체적을 약간 방해(impede)한다. 실제로, 하우징의 내부 체적을 가능한 한 크게 유지하는 것이 캡슐 내부의 찻잎의 최적의 브루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하우징의 상기 바람직한 관점으로,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14 mm 직경의 원을 제공하는 것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기존의 캡슐에 비해 6%의 감소만큼 캡슐의 내부 체적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내부 체적을 가능한 한 크게 유지하기 위해 환형 부분 또는 링의 형상의 중공부가 바람직하다.
통상, 캡슐의 하우징은 열성형함으로써 그리고 이어서 후방 측부에서 구멍을 펀칭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시작하여 열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이는
- 플라스틱 시트를 유연한 성형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 몇몇 하우징을 플라스틱 시트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 하우징(들)을 트리밍(trinm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은 통상 추가의 단계에서 하우징의 후방 측부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캡슐의 후방 측부를 정밀하게 펀칭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지 않고, 구멍을 하우징의 후방 측부의 중심에 매우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멍이 중심설정되지 않는 일은 흔히 있다. 실제로, 펀칭 또는 절단에 기인한 구멍의 위치에 대한 공차는 약 +/- 0.2 mm이다. 캡슐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의 이러한 불량한 중심설정의 결과는, 후방 구멍이 음료 제조 동안 음료 제조 모듈 내에서 워터 니들(water needle)에 대해 비교적 잘 위치설정되지 않아서 워터 니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이 증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 정의된 것과 같은 플라스틱 캡슐은 이러한 위험을 제한한다. 특히, 후방 구멍의 치수는 최악의 공차로 생성된 캡슐이 음료 제조 모듈에서 계속 잘 취급되는 것을 보장한다.
하기의 제조 단계에서, 후방 측부 커버는 후방 측부 구멍을 폐쇄하기 위해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커버는 구멍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부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초음 용접에 의해, 또는 열밀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양호한 부착을 얻기 위하여, 커버의 에지는 구멍 주위에서 하우징에 강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구멍은 커버가 다소 평탄한 영역 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멍 주위에 적어도 2 mm의 폭을 제공하는 환형 영역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의 직경은 최대 12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11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mm이다.
하기의 제조 단계에서, 하우징은 이하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커버 및/또는 벽으로 전방 측부를 폐쇄하기 전에 음료 성분으로 충전될 수 있다.
캡슐은 하우징의 전방 개방 측부에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벽은 음료를 캡슐의 외부로 안내하는 기능 및/또는 캡슐로부터의 음료 출구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 및/또는 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떠한 기능이든, 벽은 항상 캡슐 내에서 제조된 음료를 위한 출구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개구는 벽을 통과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절두된 벽의 사용에 기인할 수 있다.
캡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에 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오버플로우 구멍(beverage overflow hol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가 상기 벽에 부착되어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오버플로우 구멍을 덮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하우징의 내부 인클로저(enclosure)를 향하는 벽의 측부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러한 벽은 WO 2007/042414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이 찻잎을 포함하는 경우, 최적화된 품질의 그리고 찻잎 미립자가 제거된 차 음료가 생성된다.
캡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에 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그의 외측 면 상에 식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부재는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된다.
식별 부재를 포함하는 그러한 벽은 EP-A-1 950 150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성분으로부터의 음료의 최적의 제조에 관한 정보는 식별 부재를 통해 코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에 벽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오버플로우 구멍 및 그의 외측 면 상의 식별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가 상기 벽에 부착되어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오버플로우 구멍을 덮게 한다.
캡슐은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하우징의 전방 측부를 폐쇄한다. 통상, 커버는 평면 커버이다.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천공가능하거나 인열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 알루미늄과 같은 단층 멤브레인, 또는
- PET/알루미늄/PP(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EVOH/PP, PET/금속화/PP, 알루미늄/PP, 종이의 라미네이트(laminate)와 같은 다층 멤브레인으로 제조된다.
전방 커버는 캡슐 내에 저장된 음료 성분의 신선도 및 위생을 보장한다. 전방 커버는 통상 식품에 대해 승인되어 있다.
전방 커버는 캡슐 내에 저장된 음료 성분의 신선도 및 위생을 보장한다.
커버는 캡슐 내에 저장된 음료 성분의 신선도 및 위생을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에 벽을 그리고 벽 위에 하우징의 전방 측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벽은 그의 외측 면 상에 전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부재는 캡슐이 음료 제조 기계 내에 클램핑될 때 커버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캡슐이 기계 내에 클램핑될 때 음료 출구가 커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은 통상 전방 측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림은 평탄한 표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이러한 림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커버 아래에 전술된 바와 같은 식별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커버 아래에 필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커버 아래에 오버플로우 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전방 측부가 음료 제조 기계 내에서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음료를 제조 및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제2 태양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은 캡슐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 모듈은
. 캡슐 배출 위치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제1 캡슐 결합 부재, 및
. 음료 제조 위치와,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캡슐 배출 위치 사이에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능동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 캡슐은 일단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에 결합되면, 캡슐의 림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하고,
-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 캡슐의 하우징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캡슐 리셉터클,
. 캡슐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서 구멍을 통해 캡슐 내에 들어가기 위한 그리고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워터 니들, 및
. 캡슐 리셉터클 내에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되고,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hook)인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을 포함하고,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2개의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가 다른 보유 수단에 앞서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시스템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은 EP-A1-2 033 551호에 기술된 모듈의 특징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상호협력하는 캡슐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데, 제1 부재는, 캡슐이 2개의 부재들 사이에 결합되고 음료 제조 위치로 지칭되는 폐쇄 위치와 어떠한 캡슐도 부재들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캡슐 배출 위치로 지칭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제1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에 있을 때, 음료는 캡슐로부터 추출되어 음료용 용기에 분배될 수 있다.
캡슐 배출 위치는 음료 제조 위치와 구별된다. 따라서, 캡슐 배출 위치는 음료 제조 위치, 즉,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대해 오프셋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의 내부 표면은 캡슐의 하우징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되는데, 이는 캡슐 리셉터클이, 캡슐의 경우와 같이, 후방 측부로부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본질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캡슐의 하우징의 후방 부분의 외부 형상과 매칭된다.
이러한 리셉터클은 캡슐을 함유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캡슐 결합 부재와 구획(delimit)하는 측벽 및 마우스(mouth)를 제공한다.
모듈은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핸들이다. 예를 들어, 핸들은 WO 2015/032651호 또는 WO 2007/134960호에 기술된 바와 같다.
모듈은 캡슐 내로 물을 주입하고 캡슐이 음료 제조 위치에 있는 동안 캡슐로부터 음료를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물 주입 영역의 구멍 내에 들어가기 위한 워터 니들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구멍을 덮는 후방 커버를 천공하고 이는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한다. 이러한 니들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 부재는 제1 부재가 캡슐을 가압할 수 있게 되는 전방 벽이다. 전방 벽에 대해 가압되는 동안, 캡슐 내의 출구가 개방되어서, 음료가 상기 출구로부터 유동할 수 있고 이어서 음료용 용기 내의 전방 벽을 따라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모듈, 바람직하게는 제2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을 천공하고 캡슐의 전방 측부 내에 음료 출구를 생성하기 위한 개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수단은 WO 2010/14610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펀처(puncher)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 수단은 대체적으로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심지어 이러한 제2 캡슐 결합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은 모듈 내에 도입되기 전에 개방된 음료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부재는 본질적으로 음료 유동 경로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캡슐은 일단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에 결합되면, 캡슐의 림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은 또한,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는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로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횡방향 벽들을 포함하고, 보유 수단은 상기 횡방향 벽들로부터 돌출된 탭이다.
탭은, 각각의 탭이 다른 탭에 의해 결합되는 캡슐의 횡방향 측부에 대향하는 캡슐의 횡방향 측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횡방향 벽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캡슐 림의 상이한 부분들이 결합된다.
탭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경로 내에서, 제1 결합 부재와 함께 상기 캡슐이 이동하는 동안 그들이 캡슐의 림과 결합하게 되는 그러한 높이만큼 돌출된다.
탭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듈의 프레임이 플라스틱인 경우, 그들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 내에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홀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캡슐 배출 위치로 능동적으로 후퇴될 때 캡슐 리셉터클 내부에 캡슐을 홀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제1 결합 부재가 후퇴되는 동안 캡슐이 제2 결합 부재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홀딩 수단은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이다.
바람직하게는,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2개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2개의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된다.
후크 및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어, 후크가 제1 캡슐 결합 부재와 함께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후크는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면의 횡방향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이고, 상기 아암은 경사 단부를 제공하고 수직 슬릿을 포함한다. 경사 단부는,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캡슐로 이동하여 그를 둘러싸고 제2 결합 부재에 대해 가압할 때 각각의 후크가 캡슐의 림과 점진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캡슐의 림은 경사 단부를 따라 활주하고, 상기 림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수직 슬릿으로 이어진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2개의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는 다른 보유 수단이 캡슐 림과 결합하기 전에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캡슐은 하기의 짧고 가까운 2개의 단계로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결합해제된다:
- 첫째, 캡슐의 하나의 횡방향 림이 제1 보유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보유 수단은 캡슐의 림을 홀딩하고,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제1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을 제거하고,
- 둘째, 캡슐의 다른 횡방향 림이 제2 보유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보유 수단은 캡슐의 림을 홀딩하고,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갖는 부재의 제2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후크로부터 캡슐의 림의 제거는 2개의 단계로 분할된다. 각각의 후크로부터 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이 양쪽 후크로부터 동시에 림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열등하기 때문에, 캡슐은 더 적은 힘으로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 모듈의 전방 방향으로 수평으로 밀려나고, 캡슐 통(bin)에서 간단히 아래로 드래그하는 대신에 기계에서 막힌 채로 남아있게 되어 모듈 내에 임의의 새로운 캡슐의 도입을 방지하는 위험성이 없게 된다.
이어서, 캡슐은 제1 결합 부재가 그의 이동 과정을 완료하는 동안 양쪽 보유 수단에 의해 그의 림을 통해 보유된다. 이러한 이동의 마지막에서, 제1 결합 부재는 - 특히 니들을 캡슐로부터 제거함으로써 - 캡슐 리셉터클로부터 캡슐을 완전히 해제하고,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수집 통에 자유롭게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보유 수단이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변위의 종축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변위의 종축을 따르는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된다.
대체적으로, 모듈의 프레임의 종축을 따르는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는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mm만큼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된다.
바람직하게는, 탭은 캡슐의 림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모듈의 횡방향 벽 내에 위치되는데, 상기 일부는 후크들 중 하나와 결합된 림의 부분에 근접해 있다.
제1 캡슐 결합 부재로부터의 캡슐의 제거의 이동 동안, 제1 보유 수단 및 이어서 제2 보유 수단과 캡슐 림의 연속적인 결합으로 인해, 캡슐은 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계 및 이러한 배향 변화 동안,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워터 니들은 상기 구멍의 축과 더 이상 정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된 것과 같은 캡슐에 의해, 구멍의 치수는 니들과 캡슐의 이러한 오정렬 동안 니들이 구멍의 에지에 대해 마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돌출된 워터 니들의 기저부에 밀봉부를 포함한다. 밀봉부는 물 또는 음료가 캡슐의 물 주입 영역에서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기계의 내부 부품으로 상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밀봉부는 대체적으로 탄성중합체와 같은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형 링은 대체적으로 니들의 기저부에 중심설정된다.
시스템의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 모듈에서,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워터 니들의 기저부에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부분을 포함하고,
- 캡슐에서, 하우징의 후방 측부는 물 주입 영역 주위에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공부는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환형 부분은, 캡슐이 음료 제조 위치에서 모듈의 제1 캡슐 결합 부재 내에 봉입될 때, 워터 니들의 기저부에 있는 밀봉부의 환형 부분의 형상과 매칭된다.
따라서,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음료 제조 위치로 변위시키는 동안, 제1 캡슐 결합 부재는 캡슐을 둘러싸고, 니들은 캡슐의 물 주입 영역에서 커버를 천공하고 캡슐 내부로 돌출된다. 동시에, 니들의 기저부에 있는 환형 밀봉부는 캡슐의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서 중공부와 상호협력한다: 캡슐 내의 중공부로 인해, 니들의 환형 밀봉부는 이러한 중공부 내에 들어간다.
이러한 위치에서, 온수는 음료 성분을 브루잉하기 위해 니들을 통해 플라스틱 캡슐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일단 캡슐이 기계로부터 추가로 추출되면, 플라스틱 캡슐은, 온수가 내부에 주입되었지만, 그가 음료 제조 전에 기계 내에 도입될 때와 동일한 형상을 제공한다.
제3 태양에 따르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의 전술된 바와 같은 캡슐의 용도가 제공되는데,
- 워터 니들은 캡슐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물 주입 영역에 포함된 구멍 내에 들어가고,
-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로 변위될 때, 후크는 캡슐의 림과 결합하고,
- 모듈의 2개의 보유 수단은 제1 캡슐 결합 부재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교대로 캡슐의 림을 보유하는, 캡슐의 용도가 제공된다.
제4 태양에 따르면, 상기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캡슐의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상기 하우징은
- 전방 개방 측부,
- 물 주입 영역을 포함하는 후방 측부, 및
-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 측부로부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본질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하고,
여기서,
-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물 주입 영역은 하우징 내에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4 mm의 직경을 제공한다.
구멍은 후방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들 "내부", "외부", "후방", "전방", "하부", 및 "횡방향"은 본 발명의 특징부들의 상대적 위치설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모듈 내에 위치될 때의 캡슐의 정상 배향을 또는 도 8, 도 9, 도 12a 내지 도 12f,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때의 모듈의 정상 배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들은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특징들은 상기 태양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되어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기술된 것 이외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유리한 특징부는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캡슐의 하우징의 내부 부분의 사시도이다.
-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캡슐의 측면도이다.
- 도 4a는 A-A에 따른 도 3의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4b는 B-B에 따른 도 3의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4c는 C-C에 따른 도 3의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4d는 D-D에 따른 도 3의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4e는 E-E에 따른 도 3의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5는 도 1a 및 도 1b의 캡슐의 하우징의 후방 측부의 확대도이다.
- 도 5a는 도 5의 평면 P를 따라 취해진 바와 같은 캡슐의 단면도이다.
- 도 5b 내지 도 5d는 캡슐의 후방 측부에 있는 중공부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 도 6은 내부 벽을 포함하는 캡슐의 사시도이다.
- 도 7은 필터를 포함하는 캡슐의 사시도이다.
- 도 8은 캡슐 배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시스템 내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의 수직 단면도이다.
- 도 8a는 도 8의 추출된 도면이다.
- 도 9는 캡슐이 그의 음료 제조 위치에 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의 수직 단면도이다.
- 도 9a는 도 9의 추출된 도면이다.
- 도 10a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의 제1 캡슐 결합 부재를 도시한다.
- 도 10b는 도 10a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후크 중 하나의 확대 평면도이다.
- 도 11a는 캡슐이 내부에 결합된 도 10a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배면도이다.
- 도 11b는 캡슐이 내부에 결합된 도 10a의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정면도이다.
- 도 12a 내지 도 12f는 캡슐의 도입으로부터 그의 방출까지의 모듈 내에서의 캡슐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 및 캡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 13a 내지 도 13c는 모듈의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가는 도중의 모듈 내에서의 캡슐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의 수평 단면도이다.
- 도 14는 도 13c의 확대도이다.
- 도 15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를 도시한다.
- 도 1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캡슐을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1)의 도면이다. 캡슐은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체적을 한정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열성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1a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후방 측부는 물이 캡슐 내에 도입되는 측부를 지칭하는 반면, 전방 측부는 음료가 분배되는 측부를 지칭한다. 상기 후방 측부에서, 하우징은 하우징 내에 구멍(124)을 포함하는 물 주입 영역(123)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멍은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의 물 주입 니들과 상호협력하고 그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아래 도 8,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멍은 커버(15)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커버는 물 주입 니들에 의해 천공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통상 알루미늄 멤브레인이다.
도 1b는 하우징의 전방 측부(121)를 도시한다. 상기 전방 측부에서, 하우징은 전방 커버(13)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13)는 하우징의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125)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음료 제조 동안 음료 출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천공가능하거나 인열가능하다. 커버는 캡슐 내에 저장된 음료 성분의 신선도 및 위생을 보장한다. 전방 커버(13)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고 천공가능하다.
도 2는 음료 성분이 내부로 도입되기 전의 그리고 그의 전방 개방 측부(121)가 전방 커버(13)에 의해 폐쇄되기 전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후방 측부에서, 후방 커버(13)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고, 구멍(124)을 은닉하고 폐쇄한다(점선으로 도시됨).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캡슐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상이한 평면 A-A, 평면 B-B, 평면 C-C, 평면 D-D 및 평면 E-E에 따른 하우징(12)의 단면들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매끄러운 둥근 모서리를 갖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인 단면(도 4a)으로부터 원형 섹션(도 4e)으로 단면이 어떻게 점진적으로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단면이 무엇이든, 하우징(12)은 바람직하게는 매끄러운 둥근 코너 및 라인을 항상 제공한다. 도 4a에서, 삼각형 프로파일은 이등변이고, 동일한 양 변들 중 어느 하나의 길이는 제3 변의 길이(도 3a의 상부의 변)보다 큰 것이 명백하다.
도 1a, 5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하우징 내에 구멍(124)을 포함하는 물 주입 영역(12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물 주입 영역의 구멍(15)은 원형이고, 최적으로, 직경(dh)은 적어도 4 mm이다.
구멍의 치수는 적어도 캡슐의 하우징의 치수에 의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예시된 캡슐은 통상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 47.9 mm 내지 48.5 mm로 구성된 최대 높이(H),
. 36.7 mm 내지 37.3 mm로 구성된 최대 폭(W),
. 24.1 mm 내지 24.7 mm로 구성된 최대 깊이(D), 및
. 적어도 6 mm의 직경(dh)을 제공한다.
이들 치수 H, W, D는 도 1b 및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1a, 도 5 및 도 5a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공부(126)가 물 주입 영역(123)을 둘러싼다. 하나의 관점에서, 이러한 중공부는 도 5a의 단면에서 분명히 명백한 바와 같이 리세스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부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중공부는 홈과 같이 물 주입 영역(123)을 둘러싸는 링의 형상을 제공한다. 도 1a, 도 5 및 도 5a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링은 구멍(124)을 둘러싼다.
다른 관점에서, 중공부(126)는 도 1a 및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중공부(126)는 이러한 환형 부분보다 클 수 있다. 특정 일 실시예에서, 중공부(126)는 도 5b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은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포함한다.
캡슐(1)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온수가 하우징 내에 주입될 때, 이러한 중공부(126)는 캡슐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환형 링의 형상을 제공하는 중공부(126)가 바람직한데, 이는 원의 형상을 제공하는 중공부(126)만큼 하우징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지 않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벽의 두께(t)(도 5a 참조)로 인해, 캡슐의 내부 체적은 알루미늄 시트로 제조된 현재의 하우징보다 작다. 실제로, 알루미늄 시트는 약 0.1 mm의 두께를 제공하는 반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제조된 열성형된 플라스틱 캡슐의 두께는 약 0.65 mm이다. 알루미늄으로부터 플라스틱으로의 캡슐 재료의 특성의 변화는 이들 재료의 두께의 차이로 인해 캡슐의 내부 체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경우, 플라스틱 캡슐의 내부 체적은 알루미늄 캡슐의 내부 체적에 비해 6%만큼 감소한다. 그러한 차이는 음료가 찻잎으로부터 제조된 차일 때 음료 제조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온수에 찻잎의 팽윤으로 인해 작은 체적의 캡슐에서 찻잎을 우려내는(infusing)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온수에서 찻잎을 개방하기 위한 공간이 더 적다. 캡슐 체적의 임의의 감소가 중요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홈의 설계는 그 양태를 고려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환형 링은 온수로 인한 형상 변형을 방지하면서 찻잎 브루잉에 필요한 체적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그러한 설계에 의해, 알루미늄 시트로 제조된 캡슐로부터의 열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캡슐로의 내부 체적의 감소는 단지 4.5%만큼 감소되었다.
환형 부분의 치수는 통상 적어도 캡슐의 하우징의 치수에 의존한다.
예로서, 전술된 치수(H, W, D)에 의해, 이어서, 중공부(126)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물 주입 영역의 구멍(15)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환형 부분은 10 mm의 내경(Øi) 및 14 mm의 외경(Øe)을 제공한다. 직경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부분의 내부 및 외부 에지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중공부(126)는 상기 내경 및 외경을 제공하는 환형 부분으로 제한되는 형상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환형 부분보다 큰 링 형상을 제공할 수 있거나 원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링 및 원은 환형 부분을 포함한다.
도 5d에서, 중공부(126)는 환형 부분을 포함하는 원으로서, 이는 이러한 원이 적어도 14 mm 직경(Ø)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공부(126)의 깊이(d)는 도 5a 또는 도 5d에서 적어도 0.7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0.9 mm이다.
이들 치수 H, W, D는 도 1b 및 도 1c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들 치수 Øi, Øe, Ø, w, t 및 d는 도 5a 및 도 5d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에 전방 벽(14)을 포함하는 캡슐을 도시한다.
전방 벽(14)은 2개의 음료 오버플로우 구멍(141)을 포함한다. 이들 오버플로우 구멍(141)은 음료가 캡슐을 너무 빨리 떠나는 것을 그리고 찻잎이 충분히 브루잉되기 전에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모드에서, 전방 벽(14)은 음료 제조 모듈의 식별 유닛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된 식별 부재(142)를, 여기서는 구멍의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부재를 포함하는 그러한 전방 벽(14)은 EP-A-1 950 150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성분으로부터의 음료의 최적의 제조에 관한 정보는 식별 부재를 통해 코딩될 수 있다.
전방 벽(14)은 통상 캡슐의 전방 커버(13)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모드에서, 전방 벽(14)은 그의 전방 면 상에 전단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단 부재는, 음료 제조 모듈의 개방 부재와 전단 부재의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캡슐이 음료 제조 기계 내에서 클램핑될 때 전방 커버(13)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캡슐이 기계 내에 클램핑될 때 음료 출구가 전방 커버(13)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전단 부재는 WO 2010/146101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도 7은 하우징의 전방 측부(121)에 필터(16)를 포함하는 캡슐을 도시한다. 필터는 찻잎이 캡슐을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는 오버플로우 구멍(141)을 포함하는 벽(14)의 후방 측부에 부착되어 필터가 이러한 구멍을 덮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러한 벽은 WO 2007/042414호의 교시내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이 찻잎을 포함하는 경우, 최적화된 품질의 그리고 찻잎 미립자가 제거된 차 음료가 생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로부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2)을 도시한다. 모듈(2)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의 도입 및 위치설정과 캡슐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에서, 모듈은 그의 개방 위치가, 즉 캡슐이 아직 도입되지 않은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2)은 캡슐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모듈(2)은 프레임(21)을 포함한다. 모듈은 제1 캡슐 결합 부재(3) 및 제2 캡슐 결합 부재(4)를 포함한다. 제2 부재(4)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제1 부재(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슐 배출 위치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변위가능하다.
모듈은 일단 캡슐이 개구(7)를 통해 모듈 내에 도입되었으면, 조작자가 음료 제조를 개시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5)를 포함한다. 일단 조작자가 개구(7)를 통해 모듈(2) 내에 캡슐을 도입하였으면, 캡슐은 캡슐의 에지가 기대어 있는 지지 수단(71)에 의해 제2 캡슐 결합 부재(4)의 전방에 보유된다.
액추에이터(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캡슐 결합 부재(3, 4) 사이에 지지 수단(71)에 의해 보유되는 캡슐을 봉입하는 효과와 함께, 액추에이터(5)를 내려 누름으로써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제2 캡슐 결합 부재(4)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 리셉터클(31)을 포함하며, 그가 음료 제조 위치(도 9)로 변위될 때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형상은 캡슐의 하우징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된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캡슐의 후방 커버를 천공하고 캡슐 내에 들어가고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워터 니들(6)을 포함한다. 니들은 온수 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유체 연결 상태에 있다.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워터 니들(6)의 기저부에 밀봉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부는 음료 제조 동안 캡슐의 후방 측부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실제로, 음료 제조 동안, 캡슐은 온수로 완전히 충전되고, 물은 캡슐의 후방 커버(15) 내의 니들에 의해 생성되는 구멍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물 누출은 기계를 더럽힐 것이고, 물의 일부가 음료 성분과 접촉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음료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도 8a는 도 8의 니들(6) 및 밀봉부(32)의 추출된 확대도이다. 밀봉부는 상이한 직경의 2개의 환형 부분(321, 322)을 포함한다. 하나의 환형 부분(321)은 액체가 음료 제조 기계의 부품으로 니들 상류로 누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반면, 다른 환형 부분(322)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개방된 마우스로 액체가 유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밀봉부는 통상 탄성 및 가요성 특성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다. 도 8a는 휴지(rest) 상태에 있는, 즉 캡슐에 의해 압축되지 않은 밀봉부를 도시한다.
도 9a는 도 9의 캡슐의 후방 측부, 밀봉부(32) 및 니들(6)의 추출된 확대도이다. 캡슐의 후방 측부는, 상기 가장 작은 환형 부분(321)의 형상과 매칭되는 캡슐의 후방 측부에 있는 리세스(126) 때문에, 밀봉부의 더 큰 환형 부분(322)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더 작은 환형 부분(321)에 대항하여 가압되지는 않는다. 밀봉부는 그가 가장 큰 환형 부분(322)에 의해 효과적인 밀봉을 보장하기 때문에 물 누출의 면에서 그의 효과를 제공하지만, 이러한 밀봉은 온수 주입과 관련하여 캡슐의 형상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제로, 밀봉부의 가장 작은 환형 부분(321)과 플라스틱 캡슐의 후방 측부의 특정 상호작용만이 온수에 의한 형상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니들의 환형 밀봉부의 영역과 매칭되는 중공 환형 부분(126)을 갖는 플라스틱 캡슐을 설계함으로써, 캡슐 변형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더 작은 환형 부분(321)만을 포함하는 환형 밀봉부(32)를 포함하는 모듈(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캡슐에 의해 동일한 효과가 얻어졌다는 것이, 즉 변형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 주목되었다.
도 10a는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도시한다. 이러한 부재는 캡슐 리셉터클(31)을 포함한다. 캡슐을 천공하고 내부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워터 니들(6)은 캡슐 리셉터클의 후방 측부로부터 외부로 향한다. 제1 결합 부재(3)는 또한 중공 부재(3)의 전방부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보유 수단(33a, 33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보유 수단은 후크이다.
도 10b는 도 10a의 후크(33a)들 중 하나의 후크의 확대 평면도이다. 후크(33a)는, 캡슐 리셉터클(3)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캡슐 리셉터클의 전방 측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아암(331a)을 포함한다. 아암(331a)은 경사 자유 단부(331b)를 제공한다. 단부는 캡슐 리셉터클(3)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져서, 제1 결합 부재가 캡슐을 향해 이동할 때, 경사 단부(331b)가 캡슐의 림을 따라 활주하고 이 림을 약간 압축하여 아암의 슬릿(331c) 내에 들어가게 하며, 이 슬릿 내에 캡슐의 림이 보유된다. 동일한 동작이 캡슐의 림의 다른 측부 상에 있는 다른 아암(33b)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도 11a는 캡슐(1)이 캡슐 리셉터클에 결합된 상태의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캡슐의 림(125)의 일부 부분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전방 면의 에지(311)를 지나서 연장된다. 림(125)의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전방 면의 에지(311)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이라는 용어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의 정상적인 배향에 따른 모듈 내부의 캡슐의 위치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또한, 캡슐 리셉터클의 횡방향 측부에 제공된 안내 핀(34)인, 상기 부재를 변위 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안내 핀은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모듈(2)의 프레임 내의 대응하는 안내 만곡부(도 8에서 도면 부호 211로 도시됨)와 상호협력한다.
도 11b는 림(125)이 후크(33a, 33b)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상태의, 캡슐 리셉터클에 결합된 캡슐(1) 및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모듈 내로의 캡슐의 도입으로부터 모듈 외부로의 캡슐의 방출까지 모듈(2) 내에서의 캡슐(1)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2)의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은 모듈의 평면도이고, 제1 및 제2 캡슐 결합 부재(3, 4), 캡슐(1), 탭(8a, 8b), 사전-고정 부재(9a, 9b) 및 후크(33a, 33b)의 상대 이동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 12a에서, 캡슐(1)은 모듈(2)에 막 도입되었다. 캡슐은 후방 커버(15)에 의해 폐쇄되는 후방 측부 구멍(124)을 포함한다. 캡슐의 림(125)은 제2 캡슐 결합 부재(4)의 대응하는 모듈의 전방 단부와 사전-고정 부재(9a, 9b)의 단부 사이에 구획된 공간(s) 내에 위치된다. 이들 사전-고정 부재(9a, 9b)는 캡슐이 모듈의 후방 측부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림(125)의 하부 부분은 캡슐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수단(도 8에 도시됨) 상에 기대어 있다. 따라서, 캡슐은 이러한 위치에서 그의 림(125)에 의해 보유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캡슐(1) 및 제2 결합 부재(4)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종축(XX')을 따라서 제2 결합 부재(4)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2a는 모듈의 횡방향 측부 상에 2개의 탭들(8a, 8b)이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다. 대체적으로, 이들 탭은 모듈의 프레임의 횡방향 벽들에 고정되고, 방출 위치로 이동될 때 캡슐의 림(125)과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종축(XX')을 따르는 탭들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거리(l)만큼 오프셋된다.
도 12b에서, 제1 결합 부재(3)는 제2 결합 부재(4)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동시에, 사전-고정 부재(9a, 9b)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림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기 시작한다.
도 12c에서, 제1 결합 부재(3)는 제2 결합 부재(4)의 방향으로의 그의 이동을 완료하였다. 사전-고정 부재(9a, 9b)는 캡슐의 림으로부터 완전히 멀리 이동되었고, 캡슐은 제1 결합 부재의 캡슐 리셉터클(31) 내에 그리고 제2 결합 부재(4)에 대항하여 유지된다. 워터 니들(6)은 커버(15)를 천공하였고 캡슐의 구멍(124) 내에 들어갔다. 물이 니들을 통해 도입될 수 있고 음료 제조가 일어날 수 있다. 캡슐의 림(125)은 후크(33a, 33b)(캡슐과 제2 캡슐 결합 부재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었다.
도 12d에서, 방출 이동이 시작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제2 결합 부재(4)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이동하고 캡슐을 동반한다. 사전-고정 부재(9a, 9b)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12e에서, 제1 결합 부재(3)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캡슐의 림(125)의 하나의 횡방향 부분은 캡슐 리셉터클(31)로부터 캡슐의 횡방향 분리를 유도하는 제1 탭(8a)에 의해 보유되며, 특히, 림(125)은 후크(33a)로부터 분리된다(이러한 하나는 그가 캡슐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도 12e에서 보이지 않음). 다른 횡방향 측부 상에는, 다른 후크(33b)는 여전히 림(125)을 보유한다.
도 12f에서, 제1 결합 부재(3)가 후방으로 이동 중인 동안, 캡슐의 림의 다른 횡방향 부분(125)은 캡슐 리셉터클(31)로부터 캡슐의 완전한 분리를 유도하는 제2 탭(8b)에 의해 보유되고, 림(125)은 제2 후크(33b)로부터 분리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그의 초기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할 수 있는 한편, 캡슐은 모듈(2) 아래로 중력에 의해 떨어질 수 있다.
도 12e에 도시된 단계에서, 캡슐(1)은 캡슐의 구멍(124)이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선형 이동에 대응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부재에 부착된 워터 니들(6)의 축(XX') 상에 정렬되지 않은 위치에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도 12c 및 도 12d에서 초기에 구멍(124)에 중심설정되었던 니들(6)은 캡슐의 림(125)이 도 12e의 제1 탭(8a)에 의해 보유되는 시점에 이 구멍에 더 이상 중심설정되지 않는다. 제조 단계에서 구멍이 너무 작거나 중심설정이 잘 되지 않은 경우, 니들은 구멍(124)의 에지를 따라서 마찰할 수 있고 핸들이 그의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되는 진로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작자는 핸들의 이동에 대한 제동을 느낄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모듈 내에 봉입된 캡슐의 위치로부터 모듈 외부로의 캡슐의 방출로 가는 도중의 모듈 내에서의 캡슐(1)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듈(2)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은 모듈의 평면도이고, 제1 및 제2 캡슐 결합 부재(3, 4) 및 캡슐(1)의 상대 이동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 13a는 캡슐 리셉터클(31)이 제2 결합 부재(4)의 방향으로의 그의 이동을 완료하였고 캡슐(1)이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클램핑된 도 12c에 비교된다. 워터 니들(6)은 커버(15)를 천공하였고 캡슐의 구멍(124) 내에 들어갔고, 추출이 일어날 수 있다.
도 13b는 캡슐 방출 이동이 시작되는 도 12d에 비교된다. 제1 결합 부재(3)는 종축(XX')을 따라서 제2 캡슐 결합 부재(4)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3)는 제2 캡슐 결합 부재(4)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이동하고 캡슐(1)을 동반한다. 모듈의 프레임(21)의 수직 벽은 탭(8a, 8b) 형태의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탭은 하우징의 횡방향 벽으로부터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리셉터클(31)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길이로 연장된다. 그러나, 이들은 캡슐이 제1 캡슐 결합 부재(3)로 다시 이동할 때 캡슐의 림(125)의 경로 상에 위치된다. 종축(XX')을 따르는 탭들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거리(l)만큼 오프셋된다.
도 13c는 도 12e에 비교된다. 제1 결합 부재(3)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캡슐의 림의 횡방향 부분(125)은 캡슐 리셉터클(32)로부터 캡슐의 횡방향 분리를 유도하는 제1 탭(8a)에 의해 보유되고, 특히, 림의 그 부분(125a)은 후크(33a)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이동 시에, 캡슐은 기울어지고, 캡슐의 후방 측부에 있는 구멍(124)에 중심설정된 축(YY')은 축(XX')과 더 이상 정렬되지 않는다.
도 14는 도 13c의 위치에서의 구멍(124)의 확대도이다: 캡슐과 축(XX') 사이의 오정렬은 니들(6)이 캡슐의 구멍(124)의 중간에서 중심설정되지 않고 구멍(124)의 횡방향 일 측부에 더 가깝도록 하는 것이다. 본 도면은 구멍의 에지에 또는 심지어 구멍 주위의 캡슐 벽에 충동하지 않고서 니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큰 후방 구멍(124)을 갖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100)를 도시한다. 기계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듈(2)을 포함한다. 중공 니들(31)은, 연속적으로 체크 밸브(101), 히터(102), 펌프(103) 및 유체 공급원, 통상 물 탱크(104)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기계의 상이한 요소들은 프레임(10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기계는 모듈(2) 아래에 컵(109)을 지지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드립 트레이(drip tray)(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06)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하우징의 후방 측부가 본질적으로 평탄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캡슐과 유사한 캡슐(1)을 도시한다. 도 1a의 캡슐과 비교하여, 후방 측부는 절두되었고, 따라서 하우징의 깊이(D)는 더 짧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캡슐이 도 8에 도시된 모듈 내에 도입될 때, 니들의 기저부에 있는 밀봉부(32) 및 캡슐의 후방 측부는 서로에 대해 압착되지 않고, 브루잉 및 방출 후에 캡슐의 형상의 변형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캡슐은 도 1a 및 도 5b에 도시된 캡슐에 비해 더 작은 내부 체적을 제공한다. 따라서, 찻잎의 브루잉을 위해 더 적은 공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들 예시된 실시예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특징부에 대한 알려진 균등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균등물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기라도 한 것과 같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유사한 단어는 배타적 또는 완전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것들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면 부호의 목록 :
Figure pct00005

Claims (19)

  1. 찻잎과 같은 음료 성분(11)을 포함하고, 내부에 온수를 주입함으로써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캡슐(1)로서,
    - 상기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하우징(12)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 전방 개방 측부(121),
    . 물 주입 영역(123)을 포함하는 후방 측부(122), 및
    . 상기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rim)(12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후방 측부로부터 상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본질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하는, 상기 하우징, 및
    -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 측부를 폐쇄하는 전방 커버(13) 및/또는 벽(14)을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에 있는 상기 물 주입 영역(123)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멍(124)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후방 커버(15)에 의해 덮이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4 mm의 직경을 제공하는,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열성형 중합체인, 캡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PP) 기반 플라스틱 재료인, 캡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은 적어도 6 mm의 직경을 제공하는, 캡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은 최대 12 mm의 직경을 제공하는, 캡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은 최대 10 mm의 직경을 제공하는, 캡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은 6 내지 7 mm로 구성된 직경을 제공하는, 캡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 47.9 mm 내지 48.5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48.18 mm로 구성된 최대 높이,
    - 36.7 내지 37.3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37 mm로 구성된 최대 폭, 및
    - 24.1 내지 24.3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24.43 mm로 구성된 최대 깊이를 제공하는, 캡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는 상기 물 주입 영역(123) 주위에 중공부(126)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공부는 적어도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캡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5)을 둘러싸는 상기 환형 부분은 10 mm의 내경 및 14 mm의 외경을 제공하는, 캡슐.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124)을 둘러싸는 상기 환형 부분을 따라서, 상기 중공부의 깊이는 적어도 0.7 mm인, 캡슐.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하우징(12)은
    - 상기 하우징(12)을 열성형함으로써, 그리고 이어서
    -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에서 상기 구멍(124)을 펀칭함으로써 제조되는, 캡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 및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모듈(2)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 상기 모듈(2)은
    . 캡슐 배출 위치와 음료 제조 위치 사이에서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2d)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제1 캡슐 결합 부재(3), 및
    .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상기 캡슐(1)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캡슐 배출 위치로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를 변위시켜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5)을 포함하고,
    - 상기 캡슐(1)은 일단 상기 캡슐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에 결합되면, 상기 캡슐의 림(12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하는 림 크기를 제공하고,
    - 상기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 상기 캡슐의 하우징(12)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캡슐 리셉터클(31),
    . 상기 캡슐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서 상기 구멍(124)을 통해 상기 캡슐 내에 들어가기 위한 그리고 상기 캡슐 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워터 니들(water needle)(6), 및
    . 상기 캡슐 리셉터클(31) 내에 상기 캡슐을 홀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의 림(12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후크(hook)(331, 332)인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모듈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캡슐의 림(125)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8a, 8b)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림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2개의 수단(8a, 8b)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상기 2개의 보유 수단 중 하나(8b)가 다른 보유 수단(8a)에 앞서 상기 캡슐의 림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 하나의 보유 수단(8a, 8b)이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의 변위의 종축(XX')의 각각의 횡방향 측부 상에 위치되고,
    - 상기 변위의 종축을 따르는 상기 2개의 보유 수단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오프셋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하우징의 종축을 따르는 상기 2개의 보유 수단(8a, 8b)의 위치는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적어도 1 mm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만큼,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 mm 및 4 mm만큼 오프셋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모듈(2)에서, 상기 변위가능한 제1 캡슐 결합 부재(3)는 상기 워터 니들(6)의 기저부에 밀봉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부분(321)을 포함하고,
    - 상기 캡슐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는 상기 물 주입 영역 주위에 중공부(126)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체적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공부는 적어도 상기 물 주입 영역의 구멍을 둘러싸는 환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환형 부분은, 상기 캡슐이 상기 음료 제조 위치에서 상기 모듈의 제1 캡슐 결합 부재 내에 봉입될 때, 상기 워터 니들의 기저부에 있는 상기 밀봉부의 환형 부분의 형상과 매칭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의 용도로서,
    - 상기 워터 니들(6)은 상기 캡슐 하우징의 후방 측부에 있는 상기 물 주입 영역에 포함된 상기 구멍(124) 내에 들어가고,
    -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상호협력하는 제2 캡슐 결합 부재(2)로 변위될 때, 상기 후크(33a, 33b)는 상기 캡슐의 림(125)과 결합하고,
    - 상기 모듈의 2개의 보유 수단(8a, 8b)은 상기 제1 캡슐 결합 부재(3)가 상기 음료 제조 위치로부터 그의 캡슐 배출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교대로 상기 캡슐의 림(125)을 보유하는, 캡슐의 용도.
  18. 음료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캡슐의 하우징(12)으로서,
    - 전방 개방 측부(121),
    - 물 주입 영역(123)을 포함하는 후방 측부(122), 및
    - 상기 전방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림(12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후방 측부로부터 상기 전방 측부로 변하는 단면을 각각 원형 섹션으로부터 매끄러운 둥근 코너를 갖는 본질적으로 삼각형인 섹션으로 제공하고,
    여기서,
    - 상기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부(122)에 있는 상기 물 주입 영역(123)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멍(124)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4 mm의 직경을 제공하는, 하우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24)은 후방 커버(15)에 의해 덮이는, 하우징.
KR1020187035826A 2016-07-26 2017-07-11 음료 제조용 캡슐 KR102422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1236.7 2016-07-26
EP16181236 2016-07-26
PCT/EP2017/067371 WO2018019569A1 (en) 2016-07-26 2017-07-11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74A true KR20190033474A (ko) 2019-03-29
KR102422867B1 KR102422867B1 (ko) 2022-07-19

Family

ID=5655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826A KR102422867B1 (ko) 2016-07-26 2017-07-11 음료 제조용 캡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90907B1 (ko)
JP (1) JP7008042B2 (ko)
KR (1) KR102422867B1 (ko)
WO (1) WO201801956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2160A1 (en) * 2004-03-26 2005-10-06 Illycaffe's.P.A. Integrated cartridg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WO2008025730A1 (en) * 2006-08-30 2008-03-06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WO2011144479A2 (en) * 2010-05-19 2011-11-24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EP2592021A1 (en) * 2009-08-19 2013-05-15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US20130139699A1 (en) * 2007-07-13 2013-06-06 Adrian Rivera Cartridge for Use in Coffee Maker
WO2015136433A1 (en) * 2014-03-12 2015-09-17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11931T3 (es) 2005-10-14 2009-02-16 Nestec S.A.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EP1859712B2 (en) 2006-05-24 2014-10-01 Nestec S.A. Capsule piercing module
EP1950150B1 (en) 2007-01-24 2010-03-03 Nestec S.A. Identification of beverage ingredient containing capsules
ES2556265T3 (es) 2009-06-17 2016-01-14 Nestec S.A. Medios de abertura para un dispositivo de preparación de bebidas a base de cápsulas
JP5763905B2 (ja) * 2009-10-30 2015-08-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水の注入のための穿孔を容易にする構造部を有するコーヒー抽出物の生成のためのカプセル
CN103889857A (zh) * 2011-06-01 2014-06-25 艾伦·弗里德曼 用于制取加压饮料的囊体
CA2917211A1 (en) 2013-09-03 2015-03-12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ing capsu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2160A1 (en) * 2004-03-26 2005-10-06 Illycaffe's.P.A. Integrated cartridg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WO2008025730A1 (en) * 2006-08-30 2008-03-06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20130139699A1 (en) * 2007-07-13 2013-06-06 Adrian Rivera Cartridge for Use in Coffee Maker
EP2592021A1 (en) * 2009-08-19 2013-05-15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WO2011144479A2 (en) * 2010-05-19 2011-11-24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WO2015136433A1 (en) * 2014-03-12 2015-09-17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0907B1 (en) 2020-08-26
KR102422867B1 (ko) 2022-07-19
JP7008042B2 (ja) 2022-01-25
JP2019523039A (ja) 2019-08-22
EP3490907A1 (en) 2019-06-05
WO2018019569A1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87B1 (ko)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EP2817245B1 (en) Cartridge and assembly for obtaining a beverage
JP7277359B2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2802520B1 (en) Capsule for beverage
KR102399176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77592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77601B1 (ko)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방법, 캡슐, 및 캡슐의 키트
KR102503981B1 (ko)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방법, 캡슐, 및 캡슐들의 키트
KR102378117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장치 및 교환가능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425041B1 (ko) 캡슐 및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422869B1 (ko) 캡슐 및 음료 제조 시스템
EP2607269A2 (en)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drinks
KR102422867B1 (ko) 음료 제조용 캡슐
KR20180018518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