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05A -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05A
KR20190005705A KR1020180000759A KR20180000759A KR20190005705A KR 20190005705 A KR20190005705 A KR 20190005705A KR 1020180000759 A KR1020180000759 A KR 1020180000759A KR 20180000759 A KR20180000759 A KR 20180000759A KR 20190005705 A KR20190005705 A KR 2019000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er terminal
data code
purch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보순
Original Assignee
(주) 빌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빌트온 filed Critical (주) 빌트온
Publication of KR2019000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rder method for conveniently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by extracting a data code which cannot be recognized by a sense of a human from an object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n object by a user terminal to obtain an image or to obtain a sound generated from the object; recognizing a data code which cannot be recognized by a sense of a human from the image or the sound by the user terminal; decoding the data code or requesting a service server to decode the data code to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by the user terminal; accessing a product sales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by the user terminal; and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through the product sales server by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0001]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0002]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0003] Technical Field [0004]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rdering method for extracting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본 발명은 상품 구매 또는 재구매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purchase or a repurchase technique.

소비자는 끊임없이 상품을 구매하고 소비한다. 기업은 소비자를 자신의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마케팅한다. Consumers constantly buy and consume goods. Companies market in a variety of ways to attract consumers to their customers.

종래에 모바일결제를 행하는 사용자에게 할인쿠폰을 발행하거나 스탬프를 발행하는 기술이 알려져왔다. 그러나, 할인쿠폰과 스탬프를 발행하는 기술은 모바일 시대의 신기술이 아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technique of issuing a discount coupon or issuing a stamp to a mobile payment user has been known. However, the technology to issue discount coupons and stamps is not a new technology in the mobile age.

KT 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O2O (Offline to Online) 시장의 규모는 15조원이며 향후 30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ICT기술의 진화로 웹기반 결제기술이 스마트폰 결제기술로 발전되고 있으며, 다시 사물인터넷 기반의 결제기술로 진화되고 있다. 바야흐로 초연결의 시대가 개막된 것이다.According to the K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e domestic O2O (offline to online) market is expected to reach 15 trillion won in 2015 and grow to 300 trillion won in the future. With the evolution of ICT technology, web-based payment technology is evolving into smartphone payment technology, and again, it is evolving into object-based payment technology. The era of superconnection has just begun.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O2O 구매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ong studied and developed trial and error to realize a more convenient, intuitive and simple O 2 O purchasing method, and finally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에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도록 하는 스마트오더방법을 제공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order method for inserting a data code which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into an object, .

본 발명은 (a) 사용자단말이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 (image)를 획득하거나 사물에서 발생되는 음향 (sound)을 획득하는 단계;(A) capturing an image by a user terminal to acquire an image or acquiring sound from an object;

(b) 사용자단말이 이미지 또는 음향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인식하는 단계;(b) recognizing a data code that the user terminal can not perceive from an image or sound into a human sense;

(c) 사용자단말이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거나 서비스서버에 디코딩을 요청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c) the user terminal decoding the data code or requesting decoding by the service server to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d)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d)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e) 사용자단말이 상품판매서버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을 제공한다.(e) a step of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through a merchandise sales server, wherein the user terminal extracts a data code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a human sensation from an object, .

본 발명은 (가) 서비스서버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하는 단계;(A) encoding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urchasing a product into a data code which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inserting the encoded product code into an object or sound;

(나)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이 요청한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단말에게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B) The service server decodes the data cod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extrac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ppl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or provides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oding the data code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extrac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

(다) 상품판매서버가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에게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을 제공한다.(C) providing a merchandise purchase interface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by using 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so as to purchase or repurchase the merchandise; and And provides a smart order method for easily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본 발명은 (1)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행위가 발생하면, 상품판매서버가 사용자단말이 구매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1) transmitting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a product purchase history purchased by a user terminal to a service server when a product purchas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ccurs;

(2) 서비스서버가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하고, 데이터코드를 상품판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2) 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transmits the data code to the product sale server;

(3) 상품판매서버가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데이터코드를 프린트하거나, 음향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는 단계;(3) printing a data code on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or inserting a data code into the sound;

(4) 상품판매서버가 데이터코드가 프린트된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음향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4) provid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printed with a data code,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5)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게, 상품판매서버가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는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을 제공한다.(5) providing a product purchase interface capable of re-purchasing th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acquired by decoding the data co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order method of extracting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from an object and easily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4) 단계 및 (5) 단계 사이에In a preferred embodiment, between steps (4) and (5)

사용자단말이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촬영하거나, 음향을 획득하여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Captur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to be provided with a product, or acquiring a sound to obtain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the human senses; And

사용자단말이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nd connecting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obtained by decoding the data code by the user termina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단말, 상품판매서버, 및 서비스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stores the merchandise purchase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In a preferred embodiment,

상품구매정보는 상품식별정보,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 상품판매서버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erchandi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of a merchandise sales site, and access information of a merchandise sales server,

상품구매이력은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날짜, 구매시간, 상품명, 상품가격,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product purchase hist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 purchase date, a purchase time, a product name, a product price, and a product quantit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In a preferred embodiment,

서비스서버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고, 해당 공간의 픽셀정보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코드를 인코딩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data code by dividing the target image into which the data code is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modifying the pixel information of the space.

본 발명은 (a) 서비스서버가 온라인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서버의 접속정보 및 상품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하는 단계;(A) a service server encode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connection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oduct sale server for selling a product online, with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ation, Inserting;

(b) 서비스서버가 데이터코드로부터 추출한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이력을 수집하는 단계; 및(b) collecting product purchase historie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 code by the service server; And

(c) 서비스서버가 복수의 사용자단말이 사용한 상품구매정보 및 복수의 상품판매서버에서 발생한 상품구매이력을 분석하여 도출된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복 수의 상품판매서버 사이의 상품구매활동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 analyz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used b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product sale servers, and the product purchase activity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derived from the plurality of product sale servers, In the second step,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가 표현된 사물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경제활동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이커머스 마케팅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lmus marketing method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rom economic activities mediated by objects expressing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있어서,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c)

상품구매활동정보는 어떤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된 데이터코드로부터 어느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를 획득했는지 분석하여 추출한 상품구매정보의 획득경로, 및The product purchase activity information includes an acquisition path of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which user terminal obtaine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a data code embedded in an object or sound,

어느 사용자단말이 어느 상품구매서버에서 어떤상품을 구매했는지 분석하여 추출한 상품의 구매경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a user terminal includes a purchase route of a product obtained by analyzing which product is purchased from which product purchase serve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서비스서버가 상품의 구매경로를 분석하여 어느 사용자단말이 어떤 상품을 얼마나 자주 구매하는지 분석하여 상품의 구매주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nalyzing a purchase route of a product by the service server, analyzing how often a user terminal purchases a product, and extracting a purchase cycle of the produc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d) 서비스서버가 상품판매서버에게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획득경로, 상품의 구매경로, 및 상품의 구매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마케팅분석보고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mbodiment, (d)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a marketing analysis report analyz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a product purchase route, and a product purchase cycle f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o the product sal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명함, 인터넷에 게시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T커머스에 게시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오프라인 상의 광고지 또는 광고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bject may include a commodity, a commodity package,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commodity, a business card, an image or video posted on the Internet, an image or video posted on T-commerce, a offline handbill or billboard .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사물을 스캔하거나 음향을 듣는 것만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urchase or re-purchase a desired product by simply scanning an object or listening to the sound using the user terminal.

사용자 관점에서는 사물을 스캔하거나 음향을 듣는 행위 자체만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매우 단순하고 편리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since it is possible to purchase a product by itself only by scanning an object or listening to the sou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ery simple and convenient user experience.

사물 자체에 눈에 보이지 않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사물에서 출력되는 음향 자체에 귀에 들리지 않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물의 디자인을 훼손하거나 음향을 훼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람이 사물을 보거나 음향을 듣는 행위를 방해하지 않고도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nserts invisible data code into the object itself, or inserts data code that can not be heard into the sound output from the object itself, so it has the effect of not damaging the design of the object or damaging the soun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a person can purchase a produc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ct of viewing the object or listening to the sound.

상품을 한 번 구매한 사용자가 동일한 상품을 재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 또는 상품구매시 받은 특정한 사물을 스캔하는 것만으로 다시 해당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으므로, 특정 주기 또는 비주기로 상품을 반복구매하는 재구매고객을 매우 용이하게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a user who has once purchased a product wants to repurchase the same product, the user can repurchase the product by simply scanning the product or a specific item received at the time of purchasing the product using the user terminal, It is very easy to attract a repurchase customer who repeatedly purchases a product in a non-periodic manner.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which i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otenti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오더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오덥방법을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사용자단말로 구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커머스 마케팅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mart ord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mart cov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user terminal.
4 is a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ecolmus marke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오더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mart ord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스마트오더시스템(100)은 서비스서버(200), 사용자단말(300), 상품판매서버(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 order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server 200, a user terminal 300, and a merchandise sales server 400.

서비스서버(200)는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고자 하는 대상이미지(20)를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고, 해당 공간의 픽셀정보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코드(21)를 인코딩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200 encodes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urchasing the goods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200 may encode the data code 21 by dividing the target image 20 into which the data code is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modifying the pixel information of the space.

본 발명에서 데이터코드에 인코딩되는 상품구매정보는 상품판매서버(400) 또는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일 수 있다. 그 밖에 상품구매정보는 상품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식별정보는 상품명 또는 상품코드와 같이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encoded in the data code may be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goods sale server 400 or the goods sale site. In addition,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product such as a product name or a product code.

서비스서버(200)는 인코딩된 데이터코드를 사물(30)의 일정공간 또는 음향에 삽입한다. 사물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는 일 실시예는 프린트일 수 있다. 상품의 표면 또는 상품포장 등에 직접 데이터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프린트하는 것이다. 프린트에는 특별한 잉크나 특별한 인쇄방법이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인 잉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인쇄를 해도 문제없다.The service server 200 inserts the encoded data code into a certain space or sound of the object 30. One embodiment of inserting a data code into an object may be a print. And prints an image in which a data code is directly inserted into a surface of a product or a product package. No special inks or special printing methods are required for printing. Normal printing using ordinary ink is acceptable.

본 발명에서 사물은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오프라인 상의 물건 또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물은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명함, 인터넷에 게시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T커머스에 게시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오프라인 상의 광고지 또는 광고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향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사물 자체에서 출력되는 음향 (예를 들어 말하는 밥솥)뿐 아니라, 모바일장치 또는 PC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콘텐츠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includes various off-line objects or online contents that a human can access in everyday life. For example, a thing may include a commodity, a commodity package, an article provided with a commodity, a business card, an image or a video posted on the Internet, an image or a video posted on T Commerce, a offline handbill or a bill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sound includes sound output from an object (for example, a so-called rice cooker) output from an object capable of outputting sounds, as well as sounds output from moving picture contents played on a mobile device or a PC.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API함수 등을 상품판매서버(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품판매서버(400)는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사용자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0 can provide a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that can decode the data code and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an provide an API function or the like to the product sale server 400, which can decode the data code and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400 can create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oding the data cod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300. [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3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통신모듈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음향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device used by a us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include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a microphone capable of recognizing sound.

사용자단말(300)은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 (image)를 획득하거나 사물에서 발생되는 음향 (sound)을 획득한 후, 이미지 또는 음향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인식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인식한 데이터코드를 직접 디코딩하거나 서비스서버(200)에 디코딩을 요청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300)은 서비스서버(200)가 제공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captures an image to acquire an image or acquires a sound generated from an object, and then recognizes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the human senses from the image or sound. The user terminal 300 directly decodes the recognized data code or requests decoding to the service server 200 to extract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300 can use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사용자단말(300)은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4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한다.The user terminal 300 accesses the product sale server 400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purchases or repurchases the product.

상품판매서버(400)는 서비스서버(200)에게 상품구매정보를 전달한다. 상품판매서버(400)는 사용자단말(300)에게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품을 손쉽게 구매하도록 한다. The goods sale server 400 delivers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200. The product sales server 400 provides the product purchase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300 to easily purchase the product.

사용자단말(300)이 상품판매서버(40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사용자단말(300), 상품판매서버(400), 및 서비스서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자단말(300)의 상품구매이력을 저장한다. 상품구매이력은 사용자단말(300)의 식별정보, 구매날짜, 구매시간, 상품식별정보, 상품가격,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When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300, the product sale server 4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300 when the user terminal 300 purchases the product at the product sale server 400, .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purchase date, purchase tim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price, and quantity.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오덥방법을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mart cov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품판매서버가 상품구매정보를 서비스서버에게 전달한다(S110). 상품구매정보는 상품판매서버 또는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와 상품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식별정보는 상품명 또는 상품코드와 같이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As shown in FIG. 2,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transmits 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S110).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sale server or the product sale site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product such as a product name or a product code.

서비스서버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한다(S120).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urchasing the product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inserts it into an object or sound (S120).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에게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단말이 직접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S130).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이 요청한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rvice server provides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oding the data code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directly extrac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S130).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may decode the data cod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product code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단말은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사물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획득하고, 이미지 또는 음향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인식한다(S140). 사용자단말은 데이터코드를 직접 디코딩하거나 서비스서버에 디코딩을 요청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한다(S150).The user terminal acquires an image by capturing an object, acquires sound generated from the object, and recognizes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the human senses from the image or sound (S140). The user terminal directly decodes the data code or requests decoding to the service server to extract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S150).

상품구매정보에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판매서버 또는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와 상품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단말은 이와 같은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 또는 상품판매사이트에 접속한다(S160).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includes access information and merchandi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erchandise sales server or a merchandise sale site that can purchase merchandise.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odity sales server or the commodity sales site using the commodity purchase information (S160).

상품판매서버는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에게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70). 상품구매인터페이스에는 상품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이 표시되며, 가격과 같은 정보 등이 표시되며, 수량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이 표시된다.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provides the merchandise purchase interface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s using 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S170). The commodity purchase interface displays a commodity corresponding to the commod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price, and display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quantity.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 또는 재구매한다(S180). The user terminal purchases or repurchases the product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terface (S180).

도 3은 본 발명을 사용자단말로 구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던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재구매하고자할 때의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user terminal. In particular, a method of when a user purchasing and using a product wants to repurchase the produc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품이 출하되기 전에 서비스서버가 인간의 시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상품의 겉면에 삽입한다(S210). As shown in FIG. 3, before the goods are shipped, the service server inserts data codes that are not perceivable by the human's eyes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goods (S210).

해당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던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재구매하고자 할 때, 사용자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의 이미지를 촬영한다(S220).When a user who has purchased and used the product tries to repurchase the product, an image of the product is captured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S220).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에 포함된 상품판매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상품구매인터페이스에는 상품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상품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단말은 상품수량을 선택하여 상품을 결재한다.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accesses the commodity sales server included in the commodity purchase information. In the product purchase interface, a product matched with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isplayed. The user terminal selects the quantity of the goods and pays the goods.

이와 같이 상품에 인간의 감각으로는 인지할 수 없는, 즉 사용자단말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면 상품의 디자인이나 외관을 헤치지 않고도 매우 간편하게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오더방법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경험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사용자단말은 상품명을 직접 입력하거나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고, 단지 상품의 겉면을 사용자단말로 찍었을 뿐인데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에 바로 접속되어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간편하며 단순한 방법의 구매 또는 재구매방법이다.In this way, if a data code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a human sense, that is, a data code that can be recognized only by a user terminal is inserted, a product can be repackaged very easily without hindering the design or appearance of the product. Thus, the smart ord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a new user experience. This is because the user terminal does not perform the operation of directly entering the product name or input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product sale site but merely taking the goods surface by the user terminal and directly accessing the site selling the product to purchase the product Because it was possible. This is a very simple and simple way to purchase or repurchase.

[상품재구매를 위한 상품구매이력 삽입][Insert purchase history for repurchase of goods]

본 발명은 상품재구매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구현하기 위해 상품구매이력을 데이터코드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a product purchase history to a data code in order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mplement repurchase of the product. A concrete examp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행위가 발생하면, 상품판매서버가 사용자단말이 구매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서비스서버에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품구매이력은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날짜, 구매시간, 상품식별정보, 상품가격,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a product purchas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ccurs, the product sale server transmi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rchandise purchase hist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urchase date, purchase tim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price, and quantity.

서비스서버가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하고, 데이터코드를 상품판매서버로 전송한다.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transmits the data code to the product sale server.

상품판매서버가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데이터코드를 프린트하거나, 음향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한다.A product sales server prints a data code on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or inserts a data code into the sound.

상품판매서버가 데이터코드가 프린트된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음향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한다.A product sales server provides at least one of a product printed with a data code,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or sound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단말이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촬영하거나, 음향을 획득하여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획득한다. 사용자단말이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한다.The user terminal captures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or obtains a data code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the human senses by acquiring sound.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odity sales server using the commodity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commodity purchase history obtained by decoding the data code.

상품판매서버가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에게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는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품판매서버는 이미 해당 상품이 언제 누구에게 판매되었는지 상품구매이력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판매서버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사용자단말에게 제시할 수 있다. The product sales server provides a product purchase interface that can repurchase th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The commodity sales server can know the date and time when the commodity is sold to the commodity through the commodity purchase history. Therefore,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can establis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present them to the user terminal.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구매이력은 데이터코드에 삽입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왜냐하면 데이터코드에 상품구매이력이 삽입되어 유통되면 사용자단말의 개인정보(구매이력과 구매주기 등을 포함한다)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제안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erchandise purchase history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data code. This is becaus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urchase history and purchasing cycle) of the user terminal may be leaked if a product purchase history is inserted and distributed in the data code.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following embodiment is proposed.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코드는 소정의 접근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접근코드는 상품구매이력에 접근할 수 있는 코드이다. 접근코드는 서비스서버, 상품판매서버, 또는 사용자단말만이 해석할 수 있다. 해당 접근코드를 이용하면 상품구매이력에 접근할 수 있지만,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자는 서비스서버, 상품판매서버, 또는 사용자단말이고 그 외 제3자는 해당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더라도 상품구매이력을 추출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상품구매이력이 상품판매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은 상품구매정보 및 접근코드만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한다. 상품판매서버는 자신이 해독할 수 있는 접근코드가 맞다면 스스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접근코드에 대응하는 상품구매이력을 추출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predetermined access code may be inserted into the data code. The access code is a code that can access the purchase history of the product. The access code can only be interpreted by the service server,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or the user terminal. The access code can be used to access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but the person who can interpret it is the service server, the product sale server, or the user terminal, and the other third party can extract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even if the data code is decoded There is no. For example, when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s stored in the product sale server,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only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access code.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can extract the merchandise purchase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access code from the database of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if the access code that can be decoded is correct.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구매이력은 사용자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코드에는 상품구매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은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한 후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상품구매이력을 상품판매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purchase history of goods can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only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data code. The user terminal can decode the data code and then deliver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stored therein to the product sale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이커머스 마케팅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ecolmus marke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이커머스 마케팅방법은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가 표현된 사물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경제활동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이커머스 마케팅방법은 온라인와 오프라인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eCommerce marke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utilizes big data from economic activities mediated by objects expressing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In particular, the ecolmus marke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data from both online and offline.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200)가 온라인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서버(400)의 접속정보 및 상품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한다. 사물과 음향은 사용자에게 보급된다.To this end, the service server 200 enco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the access information and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sale server 400, which sells products online,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the human senses, Insert it into the sound. Objects and sounds are spread to users.

사용자단말(300)이 사물과 음향에 포함된 데이터코드를 인식하고, 데이터코드로부터 추출된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4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300)이 접속한 상품판매서버(400)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한다. 상품판매서버(400)가 복수의 사용자단말(300)의 상품구매이력을 생성한다.The user terminal 300 recognizes data codes included in objects and sounds and accesses the goods sale server 400 using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 codes. Then, the user terminal 300 purchases or repurchases the commodity from the commodity sales server 400 connected thereto. The product sale server 400 generates a product purchase history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

서비스서버(200)가 복수의 상품판매서버(40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단말(300)의 상품구매이력을 수집한다.Th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the commodity purchase histories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from the plurality of commodity sales servers 400.

서비스서버(200)가 복수의 사용자단말(300)이 사용한 상품구매정보 및 복수의 상품판매서버(400)에서 발생한 상품구매이력을 분석하여 도출된 복수의 사용자단말(300)과 복수의 상품판매서버(400) 사이의 상품구매활동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The service server 200 analyz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used b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product sale servers 40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400) in the database.

서비스서버(200)가 수집한 상품구매활동정보는 어떤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된 데이터코드로부터 어느 사용자단말(300)이 상품구매정보를 획득했는지 분석하여 추출한 상품구매정보의 획득경로, 및 어느 사용자단말(300)이 어느 상품구매서버에서 어떤상품을 구매했는지 분석하여 추출한 상품의 구매경로를 포함한다.The product purchase activit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n acquisition path of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which user terminal 300 obtaine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from a data code embedded in an object or sound, And a purchasing path of a product which is extracted and analyzed by which purchase commodity server the purchaser 300 purchases.

한편, 서비스서버(200)는 상품의 구매경로를 분석하여 어느 사용자단말(300)이 어떤 상품을 얼마나 자주 구매하는지 분석하여 상품의 구매주기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상품판매서버(400)에 전달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rver 200 can analyze a purchase path of a product, analyze how often a user terminal 300 purchases a product, how often it is purchased, extract a purchase cycle of the product, and transmit it to the product sales server 400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서비스서버(200)는 상품판매서버(400)에게 복수의 사용자단말(300)에 대한 상품구매정보의 획득경로, 상품의 구매경로, 및 상품의 구매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마케팅분석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a marketing analysis report analyzing at least one of the acquisition path of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he purchase path of the product, and the purchase cycle of the product to the product sale server 400 .

이상 본 발명에서 서비스서버(200)와 상품구매서버는 별도의 서버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양 서버는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구동되는 서버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양 서버는 동일한 서버 내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goods purchase server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servers. However, both servers may be servers driven by the same operator, and in some cases both servers may be operated in the same server.

[사운드코딩에 관한 실시예][Examples of Sound Coding]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는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음향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사운드 코딩이라 한다.The servic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code the purchase information of goods necessary for purchasing a product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then insert it into the sound. This series of processes is called sound coding.

본 발명의 사운드 코딩은 가청주파수영역대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한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영역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는 경우 중계기에서 필터링되어 데이터가 소실되거나, 소음에 따라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가 없다. 또한, 가청주파수영역대에 데이터코드가 삽입되기 때문에 공중파 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송가능하다. The sound co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data code into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 the case of inserting data codes in a low frequency or high frequency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ta is filtered by the repeater or the recognition rat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noise,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such a problem. In addition, since data codes are inserted in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ey can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airwave broadcasting.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코드에는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가 인코딩될 수 있다. In the data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other than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urchasing the goods may be encoded.

예를 들어 상품구매정보에는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직접적인 상품 판매 외에도 상품에 대한 광고 또는 홍보를 수행할 수 있었다.For example,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itself, access information of the product sale site, event information, and the lik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dvertisement or promotion of the product in addition to direct product sal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그치지 않고 설문조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가 TV 또는 라디오 광고에 포함된 음향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한다. 해당 음향을 캐치한 사용자단말이 음향에 삽입된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설문조사 사이트에 자동접속한다. 사용자단말은 설문조사를 완료하고 결과를 전송한다. 서비스서버는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경우에 따라 서비스서버는 설문조사에 응답한 사용자단말에게 경품이나 포인트, 쿠폰과 같은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데이터코드를 사용자단말에게 전송하는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뿐 아니라, 사용자단말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urvey can be conducted.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inserts the data code into the sound contained in the TV or radio advertisement. The user terminal that has caught the sound decodes the data code inserted in the sound and automatically accesses the survey site. The user terminal completes the survey and sends the results. The service server collects and analyzes the survey results. In some cases, the service server may provide rewards such as prizes, points, and coupons to the user terminal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lements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data codes to a user terminal but also enabl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in the foregoing. It is again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7)

(a) 사용자단말이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 (image)를 획득하거나 사물에서 발생되는 음향 (sound)을 획득하는 단계;
(b) 사용자단말이 이미지 또는 음향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c) 사용자단말이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거나 서비스서버에 디코딩을 요청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e) 사용자단말이 상품판매서버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a) acquiring an image by capturing an object from a user terminal or acquiring sound from an object;
(b) recognizing a data code that the user terminal can not perceive from an image or sound into a human sense;
(c) the user terminal decoding the data code or requesting decoding by the service server to extra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d)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e) the user terminal purchasing or repurchasing a product through a merchandise sales server.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purchases or repurchases products.
(가) 서비스서버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한 후 사물 또는 음향에 삽입하는 단계;
(나)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이 요청한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한 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단말에게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단말이 상품구매정보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
(다) 상품판매서버가 상품구매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단말에게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A) encoding the goods purchase information necessary for purchasing the goods by the service server into a data code which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inserting the goods into the object or sound;
(B) The service server decodes the data cod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extrac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ppl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or provides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oding the data code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extrac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
(C) providing a product purchase interface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o purchase or repurchase the product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purchases or repurchases products.
(1)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행위가 발생하면, 상품판매서버가 사용자단말이 구매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2) 서비스서버가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로 인코딩하고, 데이터코드를 상품판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3) 상품판매서버가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데이터코드를 프린트하거나, 음향에 데이터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4) 상품판매서버가 데이터코드가 프린트된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음향을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5)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게, 상품판매서버가 상품을 재구매할 수 있는 상품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1) when the product purchas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ccurs, the product sale server transmit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2) 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nto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a human sense, and transmits the data code to the product sale server;
(3) printing a data code on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or inserting a data code into the sound;
(4) provid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printed with a data code,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provided with th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5) providing a product purchase interface capable of re-purchasing th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 server us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acquired by decoding the data code ≪ / RTI >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recogniz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purchases or repurchases produc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 및 (5) 단계 사이에
사용자단말이 상품, 상품포장, 상품과 함께 제공하는 물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촬영하거나, 음향을 획득하여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단말이 데이터코드를 디코딩하여 획득한 상품구매정보 및 상품구매이력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The method of claim 3,
Between the steps (4) and (5)
Captur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a product package, and an article to be provided with a product, or acquiring a sound to obtain a data code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the human senses;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o the merchandise sales server using 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merchandise purchase history obtained by decoding the data code by the user terminal.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repurchases product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단말, 상품판매서버, 및 서비스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자단말의 상품구매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a user terminal, a product sale server, and a service server further stores a product purchase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repurchases products.
제3항에 있어서,
상품구매정보는 상품식별정보, 상품판매사이트의 접속정보, 상품판매서버의 접속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품구매이력은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날짜, 구매시간, 상품명, 상품가격, 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merchandise purchas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erchandi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of a merchandise sales site, and access information of a merchandise sales server,
Wherein the product purchase history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 purchase date, a purchase time, a product name, a product price,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repurchases product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서비스서버는 데이터코드를 삽입하고자 하는 대상이미지를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고, 해당 공간의 픽셀정보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코드를 인코딩하는 것인,
사물로부터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데이터코드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상품을 재구매하는 스마트오더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rvice server encodes the data code by dividing the target image into which the data code is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ransforming pixel information of the space,
A smart order method that extracts data codes that can not be perceived by human senses from objects and easily repurchases products.
KR1020180000759A 2017-07-07 2018-01-03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KR201900057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671 2017-07-07
KR20170086671 2017-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05A true KR20190005705A (en) 2019-01-16

Family

ID=6528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759A KR20190005705A (en) 2017-07-07 2018-01-03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7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1997A (en) * 2020-04-03 2020-08-25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Small-size bar code decoding eng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1997A (en) * 2020-04-03 2020-08-25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Small-size bar code decoding engine
CN111581997B (en) * 2020-04-03 2022-04-19 福建新大陆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Small-size bar code deco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3246A1 (en) Content rendering system dependent on previous ambient audio
US9760896B2 (en) Acquiring customer insight in a retail environment
CN106713434B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bar code image
KR100963236B1 (en) System and Method of augmented reality-based product viewer
CN103518215B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televiewer's checking based on for being inputted by cross-device contextual
US20170286999A1 (en) Personal device-enabled lifestyle, commerce and exchange tracking system
US980535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nd reporting digital QR receipts
JP2008065125A (en) Advertising system using motion picture distribution system
US20130092730A1 (en) Interactive code processing platform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parties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single and multidimensional optical and digital codes
JP2017224198A (en) Content viewing effect measuring system
CN108573412B (en)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terminal,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system and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ethod
CN103310361A (en) Shopping guide method and system
US20150058870A1 (en) Facilitating purchase from video advertisements
CN106663215A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dynamic marks into visual images in a detectable manner
US20150363822A1 (en) Splitting a purchase panel into sub-groups
US20160042362A1 (en) Recording purchase behavior using device with multiple feedback and input modalities
KR20190005705A (en) Method for purchasing products using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KR20190005706A (en) METHOD OF e-COMMERCE MARKETING USING BIG-DATA FROM INSENSIBLE DATACODE EXTRACTED FROM THINGS
US2019031139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thering and Display of Responses to Surveys and Providing and Redeeming Rewards
US8195510B2 (en) Technique for eliminating fraudulent use of printed coupons
TWI681340B (en) Graphic code system integrating channel information and channel contribution calculation method
TWM578430U (en) Graphic code system for integrating channel message
CN108665326B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 target relationship
Fortin et al. Measuring the effects of visual scan codes in advertising
US20150235274A1 (en) Real-time analytical applian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