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116A -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116A
KR20180071116A KR1020160173938A KR20160173938A KR20180071116A KR 20180071116 A KR20180071116 A KR 20180071116A KR 1020160173938 A KR1020160173938 A KR 1020160173938A KR 20160173938 A KR20160173938 A KR 20160173938A KR 20180071116 A KR20180071116 A KR 2018007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ser
quick
inpu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7304B1 (en
Inventor
김건년
박광범
김원효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04B1/en
Priority to PCT/KR2017/014947 priority patent/WO2018117566A1/en
Publication of KR2018007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a standby mode, a quick mode, and an activation mode.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each sensing a physical change on the skin of a corresponding body region;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n operation inputted by a user based on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control unit changing a mode between a standby mode, a quick mode, and an activ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ted from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and changing from the quick mode to the standby mode when a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ted for a first period of time.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0001]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for wearable device [0002]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terface method.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처리기능을 갖는 장치를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분야가 개척되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으로, 터치패드를 이용하거나 음성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사람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제스처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가 연구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 has been pioneered the field of wearable apparatus which wears a device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to the body. As a way of interacting with such a wearable device, an interface method using a touch pad or using a voice has been developed. Especially, gesture recognition based interface for recognizing human gesture and inputting information is being studied.

한편, 웨어러블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배터리의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제스처 입력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가 동작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가속화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time of the wearable device is shorten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orage space for the battery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downsizing and lightening of the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able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an unintentional gesture input in the process of wearing the wearable device and running the everyday life, thereby accelerat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KRKR 10-2010-007613610-2010-0076136 A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입력과 각 모드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대기모드, 퀵모드 및 활성모드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terface method that provide a standby mode, a quick mode, and an active mode based on a user's operation input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또한, 대기모드에서 퀵모드로 전환되고, 제1 시간 내에 정해진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대기모드 해제동작을 입력하더라도 곧바로 활성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standby mode is switched to the quick mode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not inputted within the first time, the standby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interface that does not enter the active mode immediately after the user unintentionally enters the standby mode releasing operation A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of interfacing the wearable device are provided.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이 단일 동작인지 연속 동작인지 현재 모드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terface method for judging based on a current mode whether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is a single operation or a continuous oper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결정부 및 상기 동작결정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각 모드의 지속시간에 따라, 대기모드, 퀵모드 및 활성모드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hat respectively detect physical changes of a skin region of a corresponding body region, A quick mode and an activ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by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and in the quick mode state, the first time If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퀵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한다.The controller switches to the quick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switches to the active mode when the user inputs the second operation within the first time from the quick mode, And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user in the active mode,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when the user inputs the third operation in the standby mode.

또한,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퀵모드로 전환됨을 사용자에게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quick mode to the user using one of a screen, sound, and vibration.

또한, 상기 동작결정부는 현재 모드 상태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속 동작이 현재 모드 상태에서 허용되는 연속 동작인지 판단한다.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ntinuous operation input by the user is a continuous operation allowed in the current mode based on the current mode state and the sensing signal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quick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the controller perform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입력단계,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이 입력되면 퀵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해제단계,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지속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수신되는 경우 활성모드로 전환하는 퀵모드 해제단계 및 상기 활성모드 상태에서, 제2 지속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활성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interfac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ing a physical change of a skin region of a corresponding body region by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 standby mode releasing step of judging whether a first operation is input from a user in a standby mode and switching to a quick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te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second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within a first time duration in a mode state and switch to the standby mode if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time duration, A quick mode releasing step of switching to an active mode when a second operation is received, and a quick mode releasing step of, in the active mode state, And an active mode releasing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when no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또한, 상기 퀵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퀵모드로 전환함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퀵모드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quick mode display step of switching to the quick mode and notifying the user of switching to the quick mode using one of a screen, sound, and vibration.

또한, 상기 대기모드 해제단계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3 동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한다.Also, the idle mode releasing step determines whether a third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when the third operation is input.

또한,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퀵기능 수행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quick function performing step of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state upon receiving a quick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state.

또한, 상기 동작입력단계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동작이 상기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한 동작을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동작이 상기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인 경우, 다음 동작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연속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inputting step may include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a physical change of a skin region of the corresponding body region, and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 motion of the user based on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Determining a current mode, determining that the detected motion is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if the motion detected in the current motion detection step is not an initial motion of a continuous motion designated in the current mode, And detecting a nex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is an initi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designated in the current mode, thereby determining a continuous operation input by the us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대기모드 해제동작이 웨어러블 장치에 입력되더라도, 곧바로 활성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지속시간이 짧은 퀵모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 수행을 방지하고, 웨어러블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immediately switch to the active mode but switch to the quick mode having a shorter duration even if the standby mode release operation that is not intended by the user is input to the wearable device ,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user from performing an unintended function and reduce battery consumption of the wearable device, thereby extending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device.

또한, 사용자가 퀵모드에서 퀵동작을 입력함으로써, 배터리 소모가 많은 활성모드에 들어가지 않고도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by inputting the quick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quick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entering the active mode in which the battery consumption is large.

또한, 각 모드마다 단일 동작 또는 연속 동작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동작이라도 각 모드마다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동작 입력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single operation or a continuous operation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and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functions for each mode even in the same operation, thereby provid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nly by inputting a user's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하는 모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하는 모드 인터페이스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제스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interface provided by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witching operation of a mode interface provided by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earable device determines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gesture recognizable by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one side," " first, "" first," "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n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본체(2)와 밴드(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팔과 손을 움직이는 동작을 입력받아 해당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and a band (3). As shown in FIG. 1, the wearable apparatus 1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by inputting an operation of moving a user's arms and hand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센서 어레이(10), 관성센서(20), 동작결정부(30), 제어부(40), 출력부(60)를 포함한다. 2, the wearable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array 10, an inertial sensor 20, a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a control unit 40, an output unit 60 ).

센서 어레이(10)는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1)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10)는 밴드(3)가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고, 각 센서는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센서 어레이(10)를 구성하는 센서의 밀집도는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 아래에 있는 근육 밀집도에 비례할 수 있다. The sensor array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11 each sensing a physical change to the skin of the body region. As shown in FIG. 1, the sensor array 10 is disposed on a surface where the band 3 is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each sensor senses a physical change to the skin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he density of the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array 10 may be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muscles beneath the epidermis of the body region.

관성센서(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하는 동작이나,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 등에 의해 변화하는 관성변화를 감지하여 관성 신호로 출력한다. The inertial sensor 2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The inertial sensor 20 senses a change in inertia caused by a user's operation of rotating the wrist or lifting the arm, and outputs the inertial signal.

동작결정부(30)는 복수의 센서(11)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한다. 동작결정부(30)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들의 세기를 저장된 값과 비교하고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취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결정한다. 또한, 동작결정부(30)는 관성센서(20)에서 측정되는 관성 신호와 센서 어레이(10)의 복수의 센서(11)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compares the strengths of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s with the stored values, determines which operation the user takes, and determines what operation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can determine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inertial signal measured by the inertial sensor 20 and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of the sensor array 10 .

동작결정부(30)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 상태와 복수의 센서(11)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속 동작이 현재 모드 상태에서 허용되는 연속 동작인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속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결정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판단하는 과정은 후술한다.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ontinuous operation input by the user is a continuous operation allowed in the current mode based on the current mode state and the sensing signal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Determines which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input by the user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40)는 동작결정부(3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각 모드의 지속시간에 따라, 대기모드(M1), 퀵모드(M2) 및 활성모드(M3)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퀵모드(M2) 상태에서,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M1)로 전환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대기모드(M1), 퀵모드(M2), 활성모드(M3)의 세가지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모드(M1), 퀵모드(M2), 활성모드(M3)는 사용자의 입력과 각 모드의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서로 전환된다.The control unit 40 switches between the standby mode M1, the quick mode M2 and the active mode M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input from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In the mode (M2), if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ted within the first time, it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M1). That is, the wearable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three modes of the standby mode M1, the quick mode M2, and the active mode M3. As shown in Fig. 3, the standby mode M1, the quick mode M2, and the active mode M3 are switch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대기모드(M1)는 사용자 또는 웨어러블 장치(1)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들어올 수 있는 입력 또는 알림 등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대기모드(M1)는 출력부(60)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으며, 대기모드(M1)를 해제하기 위하여 정해진 입력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동작(예를 들어, 주먹을 쥐는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만 대기모드(M1)를 해제한다.The standby mode M1 is in a state of waiting for an input or an announcement or the like that can come from the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 [ The standby mode M1 can save the battery by keeping the output unit 60 in an inactive state, and can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input to release the standby mode M1. For example, the user releases the standby mode M1 only when he / she inputs the first operation (e.g.,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fist).

활성모드(M3)는 웨어러블 장치(1)의 모든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활성모드(M3)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서 어레이(10)와 관성센서(20)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음성인식부(5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통신부(7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외부 전자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출력부(6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화면, 소리, 진동 등을 제공한다.The active mode M3 is a state in which all functions of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active mode M3, the operation of the user can be inputted by using the sensor array 10 and the inertial sensor 20, the voice input of the user can be inputt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50, ), And provides a screen, sound, vibration, etc. to the user by using the output unit 60. [0050]

퀵모드(M2)는 사용자에게 퀵동작에 따른 퀵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퀵모드(M2)의 지속시간은 활성모드(M3)의 지속시간에 비하여 상당히 짧게 설정되며, 퀵모드(M2)의 지속시간 내에 활성모드(M3)로 전환하는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대기모드(M1)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퀵모드(M2)의 지속시간은 2초 또는 3초로 짧게 설정될 수 있고, 대기모드(M1)에서 퀵모드(M2)로 전환하고 3초 이내에 활성모드(M3)로 전환하는 제2 동작(예를 들어,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세우는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대기모드(M1)로 전환된다. The quick mode M2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quick function according to the quick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The duration of the quick mode M2 is set to be considerably shorter than the duration of the active mode M3 and if the operation for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M3 is not input within the duration of the quick mode M2, (M1). For example, the duration of the quick mode M2 may be set as short as 2 seconds or 3 seconds, and the mode of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M1 to the quick mode M2 and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M3 within 3 seconds 2 If the opera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fist and raising the thumb) is not inputted, th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M1).

퀵모드(M2)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에 대기모드(M1)를 해제하는 동작을 입력하려는 의도가 없더라도,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대기모드(M1)를 해제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만약, 대기모드(M1)가 해제되어 곧바로 활성모드(M3)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각종 기능이 실행되거나, 활성모드(M3)의 화면을 디스플레이(61)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소모되어 웨어러블 장치(1)의 이용시간이 급속히 감소한다.The quick mode M2 is a mode in which the wearable device 1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releases the standby mode M1 even if the wearable device 1 does not intend to input the operation to release the standby mode M1 It is prepared in case. If the standby mode M1 is canceled and then enters the active mode M3, various functions are executed by sensing the user's operation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intend to do so, or the screen of the active mode M3 The battery is consumed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61 and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device 1 is rapidly reduced.

따라서, 대기모드(M1)와 활성모드(M3) 사이에 퀵모드(M2)가 존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대기모드(M1) 해제가 발생하더라도 퀵모드(M2)로 진입하고, 퀵모드(M2)의 지속시간 내에 활성모드(M3)로 진입하기 위한 동작을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대기모드(M1)로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활성모드(M3)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를 저감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ce of the quick mode M2 between the standby mode M1 and the active mode M3 allows the user to enter the quick mode M2 even if the unintended standby mode M1 is released, If the operation for entering the active mode M3 is not input within the duration of the active mode M3, the use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M1,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entering the unintended active mode M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device 1 can be extended.

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대기모드(M1) 해제동작이 웨어러블 장치(1)에 입력되더라도, 곧바로 활성모드(M3)로 전환되지 않고 지속시간이 짧은 퀵모드(M2)로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 수행을 방지하고, 웨어러블 장치(1)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하여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That is, even if the unintentional standby mode M1 release operation is input to the wearable device 1, it is not immediately switched to the active mode M3 but is switched to the quick mode M2 having a shorter dura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earable apparatus 1 is prevented and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wearable apparatus 1 is reduced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apparatus 1.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가 제공하는 모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mode interface provided by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대기모드(M1)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면 퀵모드(M2)로 전환하고, 퀵모드(M2)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M3)로 전환하며, 활성모드(M3)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대기모드(M1)로 전환하고, 대기모드(M1)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M3)로 전환한다.3,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M1, the controller 40 switches to the quick mode M2. In the quick mode M2,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M3 when the second operation is input and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M1 if there is no input from the user in the active mode M3, The controller switches to the active mode M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대기모드(M1)에서 퀵모드(M2)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활성모드(M3)로 전환하기 위한 제3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에게 대기모드(M1)를 해제하는 두가지 경로를 제공한다. 즉, 첫번째 경로는 대기모드(M1)에서 제1 동작을 입력하여 퀵모드(M2)로 전환하고 퀵모드(M2)에서 제2 동작을 입력하여 활성모드(M3)로 전환하는 것이고, 두번째 경로는 대기모드(M1)에서 제3 동작을 입력하여 곧바로 활성모드(M3)로 전환하는 것이다.The wearable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o the third operation for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M1 to the active mode M3 without going through the quick mode M2.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paths for releasing the standby mode M1 to the user. That is, the first path is for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quick mode M2 in the standby mode M1 and the second mode for switching from the quick mode M2 to the active mode M3, And enters the third operation in the standby mode M1 and immediately switches to the active mode M3.

이때,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단일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3 동작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연속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동작으로 설정하는 연속 동작은 각 동작 사이에 연관성이 낮은 동작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고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제3 동작으로 설정된 연속 동작을 정확히 수행하는 확률이 낮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활성모드(M3) 진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활성모드(M3)로 진입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연속 동작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can be set to a single operation using the user's hand, and the third operation can be set to the continuous operation using the user's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inuous operation to be set to the third operation is set to an operation having low association between the respective opera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ntering the unintentional active mode M3 since the probability of accurately performing the continuous operation set as the third operation in the course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apparatus 1 is low,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tinuous operation correctly when the user desires to enter the active mode M3.

이와 같이,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을 이용하여 활성모드(M3)로 진입하면, 활성모드(M3)에서 음성을 이용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명령을 말하면 음성인식부(50)가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정해진 명령인지 판단하여 제어부(40)로 명령을 전달한다. 종래의 음성을 이용하여 활성모드(M3)로 진입하는 방식은 정해진 특정 단어를 말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음성인식 자체의 인식률도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의 손 또는 팔 동작을 이용하여 활성모드(M3)로 진입하고, 음성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entering the active mode M3 by using the first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third operation, a command using voice in the active mode M3 can be input. When the user speaks a comm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50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mmand is a predetermined command,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rol unit 40. [ The method of entering the active mode M3 by using the conventional speech is inconvenient because it has to say a specific word and the recognition rate of the speech recognition itself is also low. In contrast, the wearable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wearer can enter the active mode M3 by using the user's hand or arm operation and can issue commands by voice.

한편, 제어부(40)는 퀵모드(M2)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퀵모드(M2) 상태에서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퀵모드(M2)는 상술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대기모드(M1) 해제를 대비하는 기능에 더불어, 사용자가 활성모드(M3)에 진입하지 않고도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퀵모드(M2)는 대기모드(M1)에서 퀵모드(M2)로 전환됨을 출력부(6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퀵모드(M2)로의 진입을 알려 퀵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40 receives the quick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M2, the controller 40 can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M2. The quick mode M2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perform a necessary function without entering the active mode M3,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eparing for the unintentional release of the standby mode M1 of the user. The quick mode M2 displays the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M1 to the quick mode M2 using the output unit 60 by using the screen, sound, or vibration. This informs the user that the quick function M2 can be used by informing the user of entry into the quick mode M2.

퀵모드(M2) 상태에서 입력가능한 퀵동작은 연속 동작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고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퀵동작으로 설정된 연속 동작을 정확히 수행하는 확률이 낮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퀵기능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quick operation that can be input in the quick mode (M2) is set as a continuous operation. Since the probability of accurately performing the continuous operation set by the quick operation in the course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apparatus 1 is 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performing the unintentional quick function.

퀵모드(M2) 상태에서 제공되는 퀵기능은 웨어러블 장치(1) 자체를 제어하는 것과, 웨어러블 장치(1)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퀵기능이 웨어러블 장치(1) 자체를 제어하되 화면의 제공이 불필요한 기능(스피커(62) 볼륨의 제어 등)인 경우, 퀵모드(M2)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직접 관련있는 장치(스피커(62))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61)를 통해 화면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퀵모드(M2)에서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퀵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웨어러블 장치(1)의 디스플레이(61)에 화면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The quick function provided in the quick mode M2 state can be classified as controlling the wearable apparatus 1 itself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thereto by using the wearable apparatus 1. [ In the case where the quick function controls the wearable apparatus 1 itself but the function of the speaker 62 is not required to be provided (for example, the control of the volume of the speaker 62), in the quick mode M2, 62), and may not provide a screen through the display 61. [0050] Further, even when the quick function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in the quick mode M2, it is possible not to provide a screen to the display 61 of the wearable device 1. [

이러한 퀵모드(M2)의 퀵기능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의 디스플레이(61)를 보지 않고 정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며, 퀵기능을 수행하면서 화면을 표시하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장치(1)에서 가장 배터리의 소모가 큰 디스플레이(61) 부분의 작동을 생략할 수 있어, 웨어러블 장치(1)의 사용시간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퀵모드(M2)에서 퀵동작을 입력함으로써, 배터리 소모가 많은 활성모드(M3)에 들어가지 않고도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quick function of the quick mode M2 provides a convenient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without viewing the display 61 of the wearable device 1 and does not display a screen while performing a quick func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operation of the portion of the display 61 which consumes the largest amount of battery in the mobile phone 1, and the use time of the wearable device 1 is prolonged. That is, by inputting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M2, the user can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without entering the active mode M3 which consumes a lot of battery power.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terface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가 제공하는 모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가 제공하는 모드 인터페이스의 전환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mode interface provided by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mode interface switching operation provided by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복수의 센서(11)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10)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결정부(30)가 복수의 센서(11)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입력단계(S200), 대기모드(M1)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S101)하고, 제1 동작이 입력되면 퀵모드(M2)로 전환(S102)하는 대기모드(M1) 해제단계, 퀵모드(M2)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지속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S103)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대기모드(M1)로 전환(S104)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수신되는 경우 활성모드(M3)로 전환(S105)하는 퀵모드(M2) 해제단계 및 활성모드(M3) 상태에서, 제2 지속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S106) 상기 대기모드(M1)로 전환하는 활성모드(M3) 해제단계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ing the physical change of the skin region of the body region by the sensor array 10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nsors 11, (S200)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M1) (S101), switching to the quick mode (S102)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 (S102), in the quick mode (M2) (S104). If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duration,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a standby mode (S104). If the second operation is received within the first duration, (M2) releasing step and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M3) (S105) And an active mode (M3) releasing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M1) when no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second duration (S106).

동작입력단계(S200)에서, 동작결정부(30)는 센서 어레이(10)의 복수의 센서(11)들 및 관성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한다. 동작결정부(30)에서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은 후술한다.In operation input step S200,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of the sensor array 10 and the inertial sensor 20, .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i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later.

대기모드(M1) 해제단계에서, 제어부(40)는 동작결정부(3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미리 결정된 제1 동작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01). 사용자가 제1 동작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되면 퀵모드(M2)로 전환(S102)하고, 사용자가 제1 동작이 아닌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대기모드(M1)를 유지한다. In the standby mode (M1) releasing step,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user provided b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is identical to the predetermined first operation (S10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input the first operatio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quick mode M2 (S102). If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other than the first operation, the user remains in the standby mode M1.

이때, 대기모드(M1)에서 퀵모드(M2)로 전환(S102)하는 동시에,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퀵모드(M2)로 전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퀵모드(M2) 표시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퀵모드(M2)로 전환을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사용자는 퀵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quick mode (M2) display step (S102) for notifying the user that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M1) to the quick mode (S102) and switching to the quick mode (M2) Can be performed. Upon informing the user of the switch to the quick mode M2,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quick operation can be input.

또한, 대기모드(M1) 해제단계에서, 대기모드(M1)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101), 제3 동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활성모드(M3)로 전환(105)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모드(M1)에서 사용자가 제1 동작을 입력하면 퀵모드(M2)로 전환되면서 대기모드(M1)가 해제되고, 사용자가 제3 동작을 입력하면 활성모드(M3)로 전환되면서 대기모드(M1)가 해제된다.If the third operation is input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oper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M1) in the standby mode (M1) can do. In this manner, when the user inputs the first operation in the standby mode M1, the standby mode M1 is released while switching to the quick mode M2,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third operatio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M3 The standby mode M1 is released.

한편, 퀵모드(M2)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퀵모드(M2) 상태에서 상기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퀵기능 수행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퀵기능 수행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퀵동작에 대응하는 퀵기능을 수행하고, 퀵기능을 수행한 후에 제1 시간을 처음부터 카운트하여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3)를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quick oper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M2, a quick function performing step may be further perform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M2. Performing a quick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putted by the user in the quick function execution step, counting the first time from the beginning after executing the quick function, and judging whether the second operation is inputted within the first time (S103 ).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의 동작 입력에 따라 대기모드(M1), 퀵모드(M2), 활성모드(M3)의 전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해 대기모드(M1)가 해제되더라도 곧바로 활성모드(M3)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장치(1)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배터리 소모를 저감하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nterface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witching of the standby mode M1, the quick mode M2 and the active mode M3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of the user And even if the standby mode M1 is released by an unintended input, the wearer does not immediately enter the active mode M3. Therefore, mal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 is prevented and battery consumption is reduced.

이하, 동작입력단계(S200)를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inputting step (S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의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가 인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제스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earable device 1 determines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ges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가 단일 동작과 연속 동작을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모드에 따라 입력할 수 있는 연속 동작과 단일 동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동작(예를 들어, 도 6의 (a), (b), (c), (d))을 독립적으로 입력하는 단일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아래 표 1과 같이, 연속 동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The interface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input a single operation and a continuous operation and sets a single operation differently from a continuous operation tha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mode . As shown in Fig. 6, the user can input a single operation for independently inputting each operation (for example, (a), (b), (c), (d) Also, continuous operation can be input as shown in Table 1 below.

현재모드Current mode 초기동작Initial operation 중간동작Intermediate action 완료동작Completion action 기능function

대기모드(M1)


Standby mode (M1)
단일동작 aSingle action a XX XX 퀵모드(M2)로 진입
(제1 동작)
Enter quick mode (M2)
(First operation)

동작 b

Action b

동작 c

Action c

-

-

활성모드(M3)로 진입
(제3 동작)

Enter active mode (M3)
(Third operation)



퀵모드(M2)



Quick mode (M2)
단일동작 cSingle action c XX XX 활성모드(M3)로 진입
(제2 동작)
Enter active mode (M3)
(Second operation)

동작 a

Action a

동작 c

Action c

동작 b

Action b
스피커(62) 볼륨
높임
(퀵기능)
Speaker (62) Volume
exaltation
(Quick function)

동작 a

Action a

동작 d

Action d

동작 b

Action b
스피커(62) 볼륨
낮춤
(퀵기능)
Speaker (62) Volume
Lower
(Quick function)

활성모드(M3)

Active mode (M3)

동작 d

Action d

동작 c

Action c

-

-

통화 시작

Start a call

먼저,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S201),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면, 복수의 센서(11)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10)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센싱신호들을 동작결정부(30)로 제공하며, 관성센서(20)가 관성신호를 동작결정부(30)로 제공한다. 동작결정부(30)는 복수의 센서(11)들로부터 수신한 센싱신호들 및 관성센서(20)로부터 수신한 관성신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 동작의 신호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검출한다. First,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S201), when the user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the sensor array 10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nsors 11 senses a physical change of the skin region of the body region, And the inertia sensor 20 provides the inertia signal to the operation decision unit 30. [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compares the sensed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1 and the inertia signal received from the inertial sensor 20 with the signal values of each operation stored in advance, .

동작결정부(30)는 현재 모드가 무엇인지 확인한다(S202).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현재동작 검출단계 이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 현재모드를 자동으로 동작결정부(30)에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what the current mode is (S202). The step of confirming the current mode may be located before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the current mode to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when the mode is switched may be used.

동작결정부(30)는 현재 모드가 확인되면, 현재동작 검출단계(S201)에서 검출한 동작이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 동작의 초기동작인지 판단한다(S203). 상기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기모드(M1), 퀵모드(M2) 및 활성모드(M3)는 각 모드에서 입력가능한 단일 동작들 및 연속 동작들을 제공한다. 각 모드에서 단일 동작과 연속 동작의 초기 동작은 동일하지 않은 동작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이 연속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mode is confirmed,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ng step S201 is an initi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designated in the current mode (S203). As illustrated in Table 1 above, the standby mode (M1), the quick mode (M2) and the active mode (M3) provide single operations and continuous operations that can be entered in each mode. In each mode, the single operation and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are set to the same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input by the user is continuous operation.

현재동작 검출단계(S201)에서 검출한 동작이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이 아닌 경우, 동작결정부(30)는 현재동작 검출단계(S201)에서 검출한 동작을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으로 결정하는 단계(S204)를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동작결정부(30)가 제어부(40)에 제공하는 동작은 단일 동작이다. If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S201 is no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designated in the current mode,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S201 is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S204). ≪ / RTI > In this case, the operation that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provides to the control unit 40 is a single operation.

예를 들어, 표 1의 퀵모드(M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동작 c를 수행하면, 동작결정부(30)는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c를 검출하고(S201), 현재모드를 확인하여(S202) 퀵모드(M2)에서 제공하는 연속 동작의 기초동작(동작 a)와 검출한 동작 c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203) 일치하지 않으므로 동작 c를 사용자가 입력한 단일 동작으로 결정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quick mode M2 of Table 1, when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c,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cts the operation c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S201) (S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sic operation (operation a) of the continuous operation provided in the quick mode M2 coincides with the detected operation c (S203), and the operation c is determined as a single operation input by the user .

한편,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동작이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인 경우, 동작결정부(30)는 다음 동작을 검출하여(S205), 사용자가 입력한 연속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S206)를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동작결정부(30)가 제어부(40)에 제공하는 동작은 연속 동작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is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designated in the current mode,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cts the next operation (S205) and determines the continuous operation inputted by the user S206). In this case, the operation that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provides to the control unit 40 is a continuous operation.

다음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S205)는 현재동작 검출단계(S201)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을 검출하고, 현재 모드의 연속 동작의 중간동작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면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다음 동작인 완료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연속 동작의 정해진 초기동작, 중간동작, 완료동작이 모두 검출되면, 동작결정부(30)는 사용자가 연속 동작을 입력하는 것으로 결정(S206)하고, 연속 동작을 제어부(40)로 제공한다.The step of detecting the next operation (S205) detects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S201), judges whether or not it coincides with the intermediate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urrent mode, Can be detected. When all of the predetermined initial operation, intermediate operation, and completion operation of the continuous operation are detected,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that the user inputs the continuous operation (S206), and provides the continuous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40. [

다음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S205)에서 중간동작 또는 완료동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동작결정부(3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을 검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처음부터 수신하는 초기상태로 돌아가고, 제어부(40)로 동작을 제공하지 않는다.If the intermediate operation or the completion operation is not detected in the step S205 for detecting the next operatio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not detected an unintended input, State, and does not provide an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40. Fig.

예를 들어, 표 1의 퀵모드(M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동작 a를 수행하면, 동작결정부(30)는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a를 검출하고(S201), 현재모드를 확인하여(S202) 퀵모드(M2)에서 제공하는 연속 동작의 기초동작(동작 a)와 검출한 동작 a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203) 일치하므로, 다음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S205)를 수행하여, 중간동작(동작 c) 및 완료동작(동작 b)가 순차로 검출되면 사용자가 퀵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연속 동작인 퀵동작을 입력한 것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연속 동작을 제어부(40)로 제공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quick mode M2 in Table 1, when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a,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cts the operation a on the basis of the sensing signal (S201) (S2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asic operation (operation a) of the continuous operation provided in the quick mode M2 coincides with the detected operation a (S203), so that the next operation is detected (S205) , The intermediate operation (operation c), and the completion operation (operation b) are sequentially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s a quick operation which is a continuous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quick function, and the determined continuous operation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 .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동작결정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이 단일 동작인지 아니면 연속 동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각 모드마다 연속 동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각 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용이한 동작으로 연속 동작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단일 동작 또는 연속 동작을 입력하더라도 모드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모드에 따라 동일한 동작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면 한정적인 동작을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can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input by the user is a single operation or a continuous operation. As shown in Table 1, since the continuous operation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tinuous operation can be configured by an opera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in each mode. Also, even if the same single operation or continuous operation is input, different function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mode. If the same operation is set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mited operation can be utilized as various function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웨어러블 장치 2: 본체
3: 밴드 10: 센서 어레이
11: 센서 20: 관성센서
30: 동작결정부 40: 제어부
50: 음성인식부 60: 출력부
61: 디스플레이 62: 스피커
63: 진동부 70: 통신부
80: 메모리
1: wearable device 2: main body
3: Band 10: Sensor array
11: sensor 20: inertia sensor
30: Operation determining unit 40:
50: voice recognition unit 60: output unit
61: Display 62: Speaker
63: Vibration unit 70: Communication unit
80: Memory

Claims (10)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결정부;
상기 동작결정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각 모드의 지속시간에 따라, 대기모드, 퀵모드 및 활성모드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each sensing a physical change to a skin of the body region;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 quick mode, and an activ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by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duration of each mode, and when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 within the first time period in the quick mode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o a standby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퀵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활성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는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the mode is switched to the quick mode, and when the second oper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the mode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when the third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퀵모드로 전환됨을 사용자에게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o the user the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quick mode by using one of a screen, sound, and vibr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결정부는
현재 모드 상태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속 동작이 현재 모드 상태에서 허용되는 연속 동작인지 판단하는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continuous operation input by a user is an allowable continuous operation in a current mode based on a current mode state and sensing signal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state upon receiving a quick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state.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입력단계;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이 입력되면 퀵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해제단계;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지속시간 내에 제2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지속시간 내에 상기 제2 동작이 수신되는 경우 활성모드로 전환하는 퀵모드 해제단계; 및
상기 활성모드 상태에서, 제2 지속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활성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n operation input step of sensing a physical change of a skin region of a corresponding body region by a senso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determining an operation input by a user based on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 standby mode releasing step of judging whether a first operation is inputted from a user in a standby mode and switching to a quick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inputted;
In the quick mode state, judges whether a second oper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a first duration,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second operation is not inputted in the first duration, A quick mode releasing step of switching to an active mode when the second operation is received; And
And an active mode release step of, in the active mode state,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if no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within a second dur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퀵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화면, 소리 또는 진동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퀵모드로 전환함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퀵모드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quick mode display step of switching to the quick mode and informing the user that switching to the quick mode is performed using one of a screen, sound, and vibr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 해제단계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3 동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andby mode releasing step
Determining whether a third oper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by mode, and switching the active mode when the third operation is inpu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퀵동작을 수신하면, 상기 퀵모드 상태에서 상기 퀵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퀵기능 수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quick function performing step of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operation in the quick mode state upon receiving a quick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quick mode st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작입력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어레이가 해당 신체 영역의 표피에 대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결정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동작이 상기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한 동작을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동작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동작이 상기 현재 모드에서 지정된 연속동작의 초기동작인 경우, 다음 동작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연속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operation input step
Detecting a physical change of a skin region of the body region by the sensor array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detecting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based on sen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Confirming the current mode;
Determining the detected operation as an operation input by the user if the detected operation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is no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specified continuous operation in the current mode; And
Detecting a next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detected in the current operation detection step is an initial operation of the specified continuous operation in the current mode, and determining a continuous operation input by the user.
KR1020160173938A 2016-12-19 2016-12-19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102157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38A KR102157304B1 (en) 2016-12-19 2016-12-19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PCT/KR2017/014947 WO2018117566A1 (en) 2016-12-19 2017-12-18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of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38A KR102157304B1 (en) 2016-12-19 2016-12-19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16A true KR20180071116A (en) 2018-06-27
KR102157304B1 KR102157304B1 (en) 2020-09-17

Family

ID=6262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38A KR102157304B1 (en) 2016-12-19 2016-12-19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304B1 (en)
WO (1) WO201811756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728A (en) * 2019-05-14 2020-11-24 한병수 Wearab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926A1 (en) * 2003-04-17 2007-07-12 Nike, Inc. Adaptive Watch
KR20100076136A (en)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에스디엔 Apparatus for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s
US20140278139A1 (en) * 2010-09-30 2014-09-18 Fitbit, Inc. Multimode sens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336A (en) * 2013-09-02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thereof
JP6204324B2 (en) * 2014-04-08 2017-09-27 松本 美司 Wear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EP3170062B1 (en) * 2014-07-18 2019-08-21 Apple Inc.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926A1 (en) * 2003-04-17 2007-07-12 Nike, Inc. Adaptive Watch
KR20100076136A (en)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에스디엔 Apparatus for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s
US20140278139A1 (en) * 2010-09-30 2014-09-18 Fitbit, Inc. Multimode sensor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728A (en) * 2019-05-14 2020-11-24 한병수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04B1 (en) 2020-09-17
WO2018117566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95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23492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waking up a screen
US10095186B2 (en) User interface activation
US10075582B2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9563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34614B (en) Wi-Fi antenna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2703946B1 (en)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9237601B2 (en) Mobile device function selection using position in relation to a user
KR201000815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n/off of liquid crystal display in a portable terminal
US8935554B2 (en)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user controlled power saving feature
US10198118B2 (en)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EP3525075A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CN104657057A (en) Terminal waking method and device
CN101681185A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to devices and peripherals
KR101571538B1 (en) Calling method in a touch pannel type portable terminal
JP637215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oper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7526522B (en) Black scre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80071116A (en) Wearabl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JP2003244066A (en) Mobile phon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60364005A1 (en) Gesture detection using mems wind turbines
EP3848780B1 (en) Electronic device
US9898309B2 (en) Wake-up trigger using MEMS wind turbines
CN108848247A (en) Terminal pattern is from selection method, bendable pack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478131A (en) Audio input output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2865826A (en) Touch oper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