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93A -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93A
KR20180053893A KR1020160151015A KR20160151015A KR20180053893A KR 20180053893 A KR20180053893 A KR 20180053893A KR 1020160151015 A KR1020160151015 A KR 1020160151015A KR 20160151015 A KR20160151015 A KR 20160151015A KR 20180053893 A KR20180053893 A KR 2018005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information
driver
match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2241B1 (en
Inventor
유종일
박기원
권지원
박재우
김수연
이돈형
신원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41B1/en
Publication of KR2018005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18Central base unlocks or authorises unlo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vehicle identifies a user using a smart key and effectively controls a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customized for the identified user so a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More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the vehicle comprises: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s unit receiving signal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first smart key or a second smart key; at least on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which can be controlled based on a personality of a driver; and a controller obtaining matching information by learn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s unit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스마트 키를 이용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using a smart ke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스마트 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스마트 키가 사용된다.The smart key system enables a driver to insert a separate key into a key box of a vehicle or to open and close a vehicle door from outside without starting a special operation for the operation and to start the vehicle. Smart keys such as FOB are used.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스마트 키와의 엘에프(Low Frequency; LF) 통신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RF) 통신을 통하여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When the driver having the smart key approaches the vehicle,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through the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and the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so that even if the door is not insert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started without a process of inserting the ignition key after boarding the vehicle.

한편, 차량 운전자별로 자신의 신체에 맞는 시트나 미러 및 핸들 등의 위치를 메모리 버튼에 지정하여 등록해 놓았다가 다른 운전자가 운전을 해서 시트, 백미러 및 핸들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자신이 등록해 놓은 메모리 버튼을 눌러 한 번에 자신의 신체에 맞는 위치로 시트, 백미러 및 핸들을 자동 조절하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ositions of the seat, the mirror, the steering wheel, and the like that match the body of the driver are registered in the memory button for each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seat,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teering wheel position are not matched by another driver, There is an Integrated Memory System (IMS)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seat, rearview mirror and steering wheel to a position suitable for one's body by pressing a button.

일반적으로 하나의 자동차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다수의 운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운전자들을 자동차에 탑승하여 해당 시스템에 자신의 신체조건 및 취향에 따른 디자인 등을 설정하고 다른 운전자들과 중복되지 않도록 임의의 메모리 버튼에 저장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바뀐 경우 상기 메모리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를 불러온다.In genera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ivers who commonly use one automobile, each driver is boarded in the automobile to set a design according to his / her body condition and taste in the corresponding system, Button. When the driver is changed, the user's own information is retrieved by using the memory button.

그러나 종래 편의 시스템에서는 버튼에 사용자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기재해 놓지 않는 이상 자신의 버튼이 어떤 버튼인지 혼동될 때가 있어 여러 버튼을 눌러 보거나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venience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tton is confused with the button of the user unless the user's name is directly written on the butto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면서 실제 차량을 운전할 운전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손쉽게 불러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information of the driver who drives the actual vehicle or easily retrieve the stored information while overcoming these problems.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 키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맞게 설정된 차량 편의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enhancing convenience of a user by efficiently identifying a user by utilizing a smart key and setting a vehicle convenience device adapted for the identified user.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저장부; 제1스마트 키 또는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운전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편의장치; 및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제어 정보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를 학습하여 매칭(Matching)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At least one vehicle comfort device capable of being controll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And a control unit for learning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obtain matching information,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매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the matc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exists.

상기 제어부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값을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MS (Integrated Memory System), and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at least one input value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한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on the basis of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rbitrarily adjusted by the dri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칭 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매칭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may store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if the reliabi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마트 키를 인식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if the first smart key is recogniz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신호는 잠금 해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마트 키 또는 상기 제2스마트 키가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The signal may include an unlock signal,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transmits the unlock signal.

상기 통신부는, 제1스마트 키 및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 할 수 있고,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and the second smart ke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상기 운전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스마트 키의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획득된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r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차량 편의장치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 사이드 미러, 룸 미러, 브레이크 페달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a side mirror, a room mirror, a brake pedal, and a seat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편의장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 할 수 있고,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may include a navigation system,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제1스마트 키 또는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제어 정보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를 학습하여 매칭(Matching)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a first smart key or a second smart key;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Acquiring matching information by learning information,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저장된 상기 매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when there is the stored match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상기 매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Obtaining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obtaining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input value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상기 매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한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Obtaining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cquiring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rbitrarily adjusted by the driver.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매칭 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reliability of the matching information,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f the reli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마트 키를 인식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The controlling of the vehicle comfort devic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recognizing the first smart ke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신호는, 잠금 해제 신호를 포함 할 수 있고,The signal may comprise an unlock signal,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스마트 키 또는 상기 제2스마트 키가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transmits the unlock signal.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1스마트 키 및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 할 수 있고, Receiving the signal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and the second smart key,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 1 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상기 운전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스마트 키의 상기 식별 정보로 부터 획득된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of the vehicle comfort device is perform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atching apparatus.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키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맞게 설정된 차량 편의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enhanced by identifying the user by utilizing the smart key and efficiently controlling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set for the identified us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키의 일 예시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차량, 차량 편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획득한 매칭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한 매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개수가 다른 경우의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키의 일 예시도이다.
도 10내지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key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key, a vehicle, and a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match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obtaining accurate matc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9A and 9B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key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when the number of smart keys is differ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12 are flowchar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between general contents or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and block' may be embodi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a singl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is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forms " a "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xt.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한다.1, an appearance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wheels 12 and 13 for moving the vehicle 100, a door 15L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 front glass 16 for providing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with a field of view ahead of the vehicle 100 and side mirrors 14L and 14R for providing the driver with a field of view behind the vehicle 100. [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The wheels 12 and 13 include a front wheel 1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1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 driv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0 includes a vehicle 100 To the front wheel 12 or the rear wheel 13 to move forward or backward. Such a drive system may employ an engine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a capacitor.

도어(15L,15R(도 2 참조))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15R(도 2 참조))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L)에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LF 안테나(111a, 111c; 도 3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The doors 15L and 15R (see Fig. 2) are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00 so that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ride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when the door 100 is opened. 100 are shielded from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grips 17L and 17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15L and 15R (see Fig. 2)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and to transmit an LF (Low Frequency) signal to the grip 17L LF antennas 111a and 111c (see FIG.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키(200; 도 3 참조)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고,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200 (see FIG. 3) and the vehicle 100 is comple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0 is released and the door 15L is pulled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user's handles 17L, Can be opened.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The front glass 16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obtain time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100. The windshield glass is also called a windshield glass.

또한, 사이드 미러(14L,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mirrors 14L and 14R include a left side mirror 14L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00 and a right side mirror 14R provided on the right side. 100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side and rear of the display unit 100 can be obtained.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rear or side obstacles or other vehicles, and a rain sensor for detecting rainfall and rainfall.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can send a detection signal to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and receive a reflection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such as another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on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100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received reflection signal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can be detected. As an example of such a proximity sensor, a method of transmitting an ultrasonic wave or an infrared ray and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bstacle may be employed.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71)와 AVN 입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2,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71 and an AVN input unit 61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area of the dashboard 29. The AVN display 71 can display at least one of an audio screen, a video screen, and a navigation screen, as well as a screen related to various control screens or additional functions related to the vehicle 100.

AVN 디스플레이(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AVN display 71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LED (Light Emitting Diode), a PDP (Plasma Display Panel),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CRT (Cathode Ray Tube)

AVN 입력부(61)는 AVN 디스플레이(7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7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7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AVN input unit 61 may be provided in a hard key type area adjacent to the AVN display 71. When the AVN display 7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ype, .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6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6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A center input unit 62 of a jog shuttle ty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18L and the passenger's seat 18R. The user can input the control command by turning the center input unit 62, pressing it, or pushing it in the upward, downward, leftward or rightward direction.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80)가 마련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8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coustic output section 80 capable of outputting sound, and the acoustic output section 80 may be a speaker. The sound output unit 80 can output sounds necessary for performing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nd other additional functions.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9)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스마트 키(200; 일 예로서, 포브(FOB)키; 도 3 참조)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9a)가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9a)에 스마트 키(2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이 연결될 수 있다.The dashboard 29 on the driver's seat 18L is provided with a steering wheel 27 and a smart key 200 (for example, a FOB key; see FIG. 3) in an area adjacent to the steering wheel 27 An insertable key groove 29a can be formed. When the smart key 200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29a or authent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is comple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can be connected.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9a)에 스마트 키(2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31)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The dashboard 29 may be provided with a start button 31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start of the vehicle 100. The smart key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29a, If authent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is successful, the start of the vehicle 100 can be turned on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31 of the user.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to perform both heating and cooling,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100 by discharging heated or cooled air through the air vents 21.

차량(100)에는 운전자별로 자신의 신체에 맞는 시트나 미러 및 핸들 등의 위치를 메모리 버튼에 지정하여 등록해 놓았다가 다른 운전자가 운전을 해서 시트, 백미러 및 핸들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자신이 등록해 놓은 메모리 버튼을 눌러 한 번에 자신의 신체에 맞는 위치로 시트, 백미러 및 핸들을 자동 조절하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이 존재한다. In the vehicle 100, the positions of the seat, the mirror, and the steering wheel, etc., suitable for the driver's body are registered in the memory button, and when the seat, the rearview mirror, and the steering wheel position are not matched by another driver, There is an integrated memory system (IMS)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seat, rearview mirror and steering wheel to the position appropriate to their body at once by pressing the memory button that is releas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키의 일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smart key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 키(200)는 차량(100)과 유선 또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된다.The smart key 2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d or wireless signals.

도 3에 개시된 일 예로, 스마트 키(200)는 차량(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키(FOB key)일 수 있다.3, the smart key 200 may be a FOB key th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by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o release the door lock, or to start and run the vehicle.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키(200)는 포브키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 키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개시된 발명의 스마트 키(200)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스마트 키(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모바일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차량(100)에 대한 스마트 키(20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The smart key 20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may be any input device that controls the vehicle 100, such as releasing the door lock described above, enabling startup and running, and the like, even if it is not a Pobkey key. 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acts as a smart ke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mart key 200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s the smart key 200. The mobile device may be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and may download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after the sale. Further, in order for the mobile device to operate as the smart key 200 for the vehicle 100, an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스마트 키(200)는 차량(10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mart key 200 may be sold together with the vehicle 100,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on with the vehicle 100 may be stored in advance.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은 상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LF통신망 및 RF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exchange signals between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perform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LF(Low Frequency)통신망은 차량(100)이 스마트 키(200)를 스캐닝하거나 인증하기 위한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120kHz 이상 135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2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The LF (Low Frequency)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low frequency band used for the vehicle 100 to transmit an LF signal for scanning or authenticating the smart key 200, and has a frequency band of, for example, 120 kHz or more and 135 kHz or less Network. When the LF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ssion / receivable distance of the signal is shorter tha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of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the high frequency ban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due to the low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LF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tance is about 12 m, and the RF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tance is about 100 m.

따라서, 차량(100)은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스마트 키(200)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100 can reques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of the smart key 200 close to the vehicle 100 by transmitting the LF signal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LF통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LF통신부(111)는 하나 이상의 LF안테나(111a-111d)를 포함한다.In order to transmit the LF signal,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n LF communication unit 111, and the LF communication unit 111 includes one or more LF antennas 111a-111d.

각 LF안테나(111a-111d)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한다. LF안테나(111a-111d)의 마련 위치에 따라 후술할 스마트 키(200)의 LF신호의 수신 세기와 수신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Each LF antenna 111a-111d is provided on the front, rear, side, or inside of the body of the vehicle 100 and transmits the LF signal at various angles and intensities.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LF antennas 111a-111d, the LF signal reception strength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smart key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fferent.

이하,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1a),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1c),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1b),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1d)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LF안테나의 마련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LF antenna 111a provided at the handle 17R of the right door 15R, the LF antenna 111c provided at the handle 17L of the left door 15L, the LF antenna 111b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LF antenna 111d provided in the LF antenna 111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location of the LF antenna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100)이 LF안테나(111a-111d)를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200)는 각 LF안테나(111a-111d)의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transmits an LF signal through the LF antennas 111a through 111d, the smart ke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the LF signals of the respective LF antennas 111a through 111d.

여기서, 스마트 키(200)가 수신하는 LF신호의 수신 세기와 LF신호의 수신 방향은 각 LF안테나(111a-111d)와 스마트 키(20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strength of the LF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key 200 and the receiving direction of the LF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LF antennas 111a-111d and the smart key 200. [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차량(100)이 LF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키(200)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고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15MHz 이상 433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high frequency band for receiving an RF signal from the smart key 200 from which the vehicle 100 has received the LF signal.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frequency band of 315 MHz or more and 433 MHz or less . When an RF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RF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ssion / receivable distance of the signal is longer than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in a low frequency band.

스마트 키(200)가 차량(100)으로부터 LF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RF신호를 RF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mart key 200 can receive the LF signal from the vehicle 100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the RF signal to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100. [ To the vehicle 100 via the network.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차량 및 차량 편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key, a vehicle, and a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및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스마트 키(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차량(1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데이터 및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포함한다.4 and 5,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smart key 200,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And a storage unit 130 for storing data and matching information.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스마트 키의 고유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 또는 스티어링 휠(27)에 위치한 스마트 키(200)를 구분 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can acquir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Also,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smart key 200 located on the door or the steering wheel 27 of the vehicle.

통신부(110)는 LF통신망을 통해 LF송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LF신호를 송신하는 LF통신부 및 RF통신망을 통해 RF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를 포함 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LF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LF signal within an LF transmittable distance through an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RF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n RF signal within an RF transmission / receivable distance through an RF communication network.

LF통신부는 LF 통신망과 제어부(120)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LF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 를 포함하는 LF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LF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n LF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nnecting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unit 120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LF signal.

LF송신기는 LF안테나로서 구현되어, 차량(100)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서로 다른 각도 및 서로 다른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LF transmitter may be implemented as an LF antenna and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100 and may transmit LF signals at different angles and different intensities at the front, rear, side, or inside of the main body.

LF안테나는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1a),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1c),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1b),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1d)를 포함할 수 있다.The LF antenna includes an LF antenna 111a provided on the handle 17R of the right door 15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n LF antenna 111c provided on the handle 17L of the left door 15L, An LF antenna 111b provided in the trunk, and an LF antenna 111d provided in the trunk.

또한, LF 통신부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LF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LF신호로 변조하는 LF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F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LF signal conversion module that modulates the digital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inte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into an analog LF signal.

RF 통신부는 RF 통신망과 제어부(120)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RF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RF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n RF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nnecting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unit 120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RF signal.

또한, RF 통신부는 RF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RF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RF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F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RF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demodulating the analog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 digital control signal.

차량(100)의 제어 신호와 RF 신호와 LF 신호는 각각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of the vehicle 100 and the RF signal and the LF signal may have different formats from each other.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100.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의 인증 정보를 전달 받으면 사용자에게 설정 될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인지 할 수 있으며, 이때 비상등을 점등하는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상등이 점등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 스마트 키(200)의 신호를 수신 감지 할 수 있으며 도어(17)의 열림을 감지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완료를 감지 할 수 있으며, 탑승이 완료되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100)내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를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 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the control unit 120 can recognize the preset information to be set to the us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lighting the emergency light. The control unit can sense the signal of the smart key 20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mergency light is turned on and can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17. The control unit 120 can sense completion of boarding the user and can control various components in the vehicle 100 based on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arding is completed.

한편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의 인증 정보를 감지 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설정 값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120)는 특정 스마트 키(200)와 매칭(matching) 될 수 있으며, 이를 해제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can sens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and can acquire the user's setting valu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lso, the control unit 120 may match and release the specific smart key 20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차량(100)이 포함하는 복수의 LF안테나에 각각 대응하는 LF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LF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F antennas included in the vehicle 100, respectively.

제어부(120)는 RF통신부가 RF신호를 수신한 경우, RF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키(200)를 식별 할 수 있다.When the RF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RF signal, the control unit 120 can identify the smart key 2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F signal.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 및 매칭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generate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programs, data, and matc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 및 통신부(110)로부터 받은 신호와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도2가 제시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매칭된 신호와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운전석(18L)과 조수석(18R)의 위치를 제어 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의 주파수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매칭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휠(27)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14L, 14R)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based on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smart key 2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driver's seat 18L and the passenger's seat 18R based on the matched signal and the stored information, and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radio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80 . Further,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27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matched user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ide mirrors 14L and 14R can be adjusted.

한편, 제어부(120)는 후술할 목적지와 장소 정보를 기초로 차량 내비게이션 목적지를 추정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주로 지정하는 목적지와 출발지 정보를 획득 할 수 있고, 이를 저장부(130)에 저장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와 차량이 매칭된 후 탑승 요일과 시간대 별 정보를 기초로 저장된 목적지를 설정 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의 매칭이 취소가 된 경우에는 목적지를 초기화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20 can estimate the vehicle navigation destination on the basis of destination and place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120 can acquire destination and departure point information mainly designated by the user based on the smart ke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n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30. [ The control unit 120 may set a stored destination on the basis of the day of the week and the time zone information after the smart key and the vehicle are matched. However, if the matching between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is canceled, the destination can be initialized.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된 LF신호의 송신 순서를 저장한다. LF통신부가 여러 번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된 1차 송신 순서와 2차 송신 순서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transmission order of the LF signal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20. [ When the LF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LF signal several times,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the primary transmission order and the secondary transmission order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20. [

또한, 저장부(130)는 차량(100)과 정상적으로 인증되는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이 상호 공유하는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ared by the vehicle 100 and the smart key 200 normally authenticated with the vehicle 100.

저장부(130)는 차량(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data, and match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

실시 형태에 따라 저장부(130)와 제어부(120)는 별개의 메모리 장치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장치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memory devices and 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device.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cache, a read 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OM (P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Random Access Memory),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and a CD-RO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in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12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차량 편의장치(14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제어하는 차량의 구성요소 일 수 있다. 차량 편의장치(140)는 도2에 개시된 구성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2가 제시하고 있는 구성요소는 차량 편의장치(140)의 일 예시일 뿐이며 차량 편의장치(140)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may be a component of a vehic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may be any one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only examples of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and the type of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차량 편의장치(140)은 운전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 될 수 있다. 운전자의 운행 목적지 설정 빈도, 운전자의 체중, 운전자의 운전 습관, 운전자의 나이, 운전자의 성별 및 운전자의 차량 편의장치(140)의 조작 이력 등은 운전자의 특성의 일 예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AVN 입력부(61)를 통하여 입력한 운행 목적지 설정 빈도, 운전석(18L)의 재설정 위치도 운전자 특성의 예이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er, the weight of the driver, the driving habit of the driver, the age of the driver, the driver's sex, and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driver's convenience device 140 are examp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Specifically, the travel destination setting frequency inputted by the driver through the AVN input unit 61 and the reset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18L are examples of driver characteristic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를 참고하면, 스마트 키(200)를 소지한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 할 수 있으며 차량내부에 구비된 시트(18L, 18R)와 사이드 미러(14L, 14R), 스티어링 휠(27)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에 구비된 통합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Integrated Memory System: IMS, M)을 통하여 설정한 위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차량(100)은 스마트 키(200)와 차량과 매칭 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20)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을 통하여 저장된 정보를 스마트 키(2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 할 수 있다. 6, the user holding the smart key 200 can ride on the vehicl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18L, 18R, the side mirrors 14L, 14R, and the steering wheel 27 Can be adjusted. Also, it is possible to store the position information set through the integrated driver system (MMS) (IMS, M) provided in the vehicle 100. The vehicle 100 can be matched with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20 can store the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

한편 차량에 스마트 키(200)는 적어도 1개가 제공 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스마트 키(200)로 여러 명의 운전자가 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에 미리 각자의 정보를 저장 해놓고 탑승 할 때 마다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미리 저장된 정보대로 시트(18L, 18R)의 위치를 간편히 조절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스마트 키(200)와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설정을 위한 버튼의 사용 빈도로 사용자를 추정 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smart key 200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drivers may be driven by the plurality of smart keys 200. Therefore, the driver can store his / her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and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18L or 18R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by pres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have. The control unit 120 can estimate the user b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uttons for setting the smart key 200 and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

한편,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차량(100)에 구비된 여러 구성요소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다. 즉, 차량에 구비된 시트(18L, 18R)나 미러(14L, 14R)의 위치를 각각의 조작 컨트롤러를 통하여 조절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각각 구성요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is not used,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sheets 18L and 18R and the mirrors 14L and 14R provided in the vehicle can be adjusted through respective operation controller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획득한 매칭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llustrates a structure of match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8 illustrates a process for acquiring matc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도7및8을 참고하면, 차량(100)이 획득한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의 식별정보,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 정보, 차량 편의장치(140)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키(200)의 식별 정보는 차량(100)에 제공되는 특정 스마트 키의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은 사용자가 사용한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 1과 버튼2의 사용 빈도를 의미한다.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18L,18R)의 위치의 조절 정보, 스티어링 휠(27)의 위치 조절 정보, 사이드 미러(14L, 14R)의 위치 조절 정보등을 저장 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가 주로 이용한 요일(W)에 관련된 정보, 사용 시간(T)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 할 수 있으며, 차량 주행 시작시 목적지(H)에 관련된 정보와 시동을 켜기전 장소 정보(P)를 저장하여 상술한 내비게이션 목적지 추정 알고리즘에 활용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용이한 사용자 식별을 위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7 and 8, the control unit 120 acquired by the vehicle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button information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140, Can be saved. 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means information of a specific smart key provided to the vehicle 100. The button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mean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utton 1 and the button 2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used by the user. When the buttons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are not used, 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seat 18L, 18R, 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steering wheel 27, 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side mirrors 14L, 14R, can do.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y of week (W) used by the us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time (T) can be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H) at the start of the vehicle running and the place information (P) And can be utilized for the above-described navigation destination estimation algorithm. The controller 120 may obtain the user's weight information for easy user identif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은 특정 스마트 키(200)를 이용할 때의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의 사용 횟수에 관련된 정보와 차량 편의장치(140)의 위치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100 can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buttons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140 when the specific smart key 200 is used.

도8을 참고하면, 정해진 샘플 횟수 동안 사용된 스마트 키(2000와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 활용 빈도를 알 수 있다. 차량(100) 한 대에 제공되는 스마트 키(200)가 여러 개 일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가 스마트 키(200)를 정해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무작위로 사용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전석 위치 정보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 활용 빈도와 스마트 키(200)의 종류를 종합하여 사용자를 식별 할 수 있다. 8, it is possible to know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of the smart key 2000 and the buttons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d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sampling. When the number of smart keys 200 provided to one vehicle 100 is several However, since the driver's seat posi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a specific user is determined, the frequency of the button usage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can be determined, And the type of the smart key 200 may be combined to identify the user.

도 8의 첫 번째 칸과 두 번째 칸에 개시된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스마트 키를 사용하면서 운전석 기억 시스템의 버튼을 사용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차량에 10번을 탑승 했다고 가정 했을 때, 첫 번째 칸은 제1스마트 키를 사용하면서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 1을 5번, 버튼2를 5번 사용 한 것이다. 두 번째 칸은 제1스마트 키를 사용하면서 버튼1을 8번 버튼2를 2번 사용한 것이다. 세 번째 칸은 제2스마트 키를 사용하면서 2번 버튼을 9번 1번 버튼을 1번 사용한 것이며, 네 번째 칸은 제2 스마트 키를 사용하면서 1번 버튼을 6번, 2번 버튼을 4번 사용한 것이다. Information shown in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in FIG. 8 shows information using the buttons of the driver's seat storage system while the user uses the first smart key. Assuming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10 times, the first column uses Button 1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5 times and Button 2 5 times, while using the first smart key. The second column uses Button 1, Button 8, and Button 2 twice, using the first smart key. The third column uses the 2nd smart key and the 2nd button 9th and 1st button 1 times. The fourth column uses the 2nd smart key and the 1st button 6th and the 2nd button 4th I used it.

도 8에 제시된 표를 참고하면, 특정 스마트 키(200)를 사용하면서, 특정 버튼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 하기 위해서는 두 번째, 세 번째 칸의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다. 첫 번째, 네 번째 칸의 정보는 1번 버튼과 2번 버튼을 이용한 횟수가 비슷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정보의 정보의 신뢰도는 아래의 식으로 도출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table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columns in order to identify a user who uses a specific button while using the specific smart key 200. The information in the first and fourth columns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user because the number of times using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s similar. The reliability of such inform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1을 참고하면, P는 신뢰도를 의미하며,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은 1번 버튼을 사용한 횟수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은 2번 버튼을 사용한 횟수를 의미한다. 신뢰도는 정보의 정확도를 의미한다. 도8에 제시하고 있는 정보를 기초로 신뢰도를 계산하면, 두 번째와 세 번째 칸의 신뢰도가 가장 높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 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1), P denotes reliability,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1 is used.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2 is used. Reliability refers to the accuracy of information. When the reliabil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8, the reliability of the second and third cells is the highest, and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user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reliability.

한편, 사용자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버튼의 사용횟수가 아닌 차량 편의장치(140)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도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이 체형이 작아 시트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1이 스마트 키1을 갖고 지속적으로 시트를 앞쪽으로 이동시킨다면,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1의 정보와 시트(18L, 18R)를 앞쪽으로 이동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1을 식별 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가 원하는 미러(14L, 14R)나 시트(18L, 18R)의 위치는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정 범위내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로 본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식별 정도는 차량이 측정한 몸무게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도8에서 설명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숫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not use the button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In this cas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eriv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140, rather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used. For example, if the user 1 moves the seat forward by being small in shape, if the user 1 has the smart key 1 and continuously moves the seat forward,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1 and the sheets 18L, The user 1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moving the user 1 forward. The positions of the mirrors 14L and 14R or the sheets 18L and 18R desired by a specific user may have an error, so that the positions within a certain range are regarded as the same position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egree of user identification may includ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ehicle. The number of methods for identifying the user described in FIG. 8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9a 및 도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200)의 개수가 다른 경우의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키의 일 예시도이다.9A and 9B are diagrams of smart key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100 when the number of smart keys 200 is diffe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9a를 참고하면, 도9a는 1대의 차량(100)에 1대의 스마트 키(200)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키(200)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100)에 접근하E면 차량(100)의 통신부(130)가 스마트 키(200)를 감지하고, 스마트 키(200)의 인증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120)(에 전달되고,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비상등을 점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마트 키(200a)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비상등을 길게 2회 점등 할 수 있고, 제2스마트 키(200b)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비상등을 짧게 4회 점등 할 수 있다. 이렇게 스마트 키(200)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통신부(130)는 사용자가 차량(100)의 도어(15L)를 여는 것과 동시에 제어부(120)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달 할 수 있고 도어(15L)를 닫으면 제어부(120)는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시트(18L)와 미러(14L, 14R) 등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중에 사용자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을 중단 시킬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키(200)의 언락(unlock)버튼을 통하여 운전자가 도어(15)를 개방 하는 동작은 RF주파수에 기초하고, 차량(100)이 스마트 키(200)를 감지하는 동작은 LF 주파수에 기초하여, RF주파수에 기초한 동작이 더 먼거리에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100)이 스마트 키(200)를 감지하기 전에 사용자가 언락(Unlock)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문을 개방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LF신호를 통하여 차량(100)이 스마트 키(200)를 인식 한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 키(200)의 RF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키(200)를 인지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FIG. 9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a user based on one smart key 200 in one vehicle 100. FIG.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vehicle 100 senses the smart key 200 and acqui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when the driver having the smart key 200 approaches the vehicle 100. [ The obtain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illuminate the emergency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mart key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having the first smart key 200a The emergency light can be lighted up twice a long tim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smart key 200b and the emergency light can be lighted up four times when the user having the second smart key 200b approaches the smart key 200b.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transmit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at the same time that the user opens the door 15L of the vehicle 100. When the door 15L is closed, The position of the seat 18L and the mirrors 14L and 14R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button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During the position adjustment, The driver can open the door 15 through the unlock button The operation is based on the RF frequency and the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100 senses the smart key 200 is based on the LF frequency and the operation based on the RF frequency can be controlled at a greater distance, The user can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100 by using the unlock button before sensing the smart key 200. In this case the vehicle 100 recognizes the smart key 200 through the LF signal Howev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mart key 200 based on the RF signal of the smart key 200.

도9b는 2대의 차량(100)에 2대의 스마트 키(200)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a user based on two smart keys 200 to two vehicles 100. FIG.

도9b를 참고하면, 차량(100)1대에는 2대의 스마트 키(200a, 200b)가 구비 될 수 있다. 도9b에는 운전자가 소지한 제1스마트 키(200a), 동승자가 소지한 제2스마트 키(200b)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100)이 제2스마트 키(200b)를 먼저 인지 한 경우, 제2스마트 키(200b)에 맞추어 차량(100)의 차량(100) 장치(140)를 설정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2스마트 키(200b)에 맞추어진 비상등을 점등 할 수 있다. 하지만 운전자는 제1스마트 키(200b)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제2스마트 키(200b)에 할당된 설정 값으로 설정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운전자는 제1스마트 키(200a)를 소지함과 동시에 차량(100)의 도어(15L)에 위치한 스마트 키(200) 버튼 또는 도어(15L)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도어(15L)를 열게 된다. 차량(100)은 이 때 다시 스마트 키(200)를 인지 할 수 있으며, 도8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1스마트 키(200a)로 다시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차량(100)은 제2스마트 키(200b)에서 제1스마트 키(200a)로 새롭게 인지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two smart keys 200a and 200b may be provided in one vehicle 100. FIG. 9B shows the first smart key 200a held by the driver and the second smart key 200b carried by the passenger. When the vehicle 100 recognizes the second smart key 200b first, it prepares to set the vehicle 100 device 140 of the vehicle 100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smart key 200b. 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light adapted to the second smart key 200b may be turned on. However, since the driver possesses the first smart key 200b, a problem arises if the set value is set to the second smart key 200b. In this case, the driver holds the first smart key 200a and simultaneously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100 using the smart key 200 button or the door 15L handle located on the door 15L of the vehicle 100. In this case, (15L). The vehicle 100 can recognize the smart key 200 again at this time and recognize the first smart key 200a aga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B. Through this process, the vehicle 100 can newly recognize the first smart key 200a in the second smart key 200b.

한편, 운전석 도어(15L)가 아닌 트렁크 및 동승석 도어(15L)에 위치한 스마트 키(200) 버튼을 이용한 언락(unlock)을 실시하는 경우, 운전자에 해당하는 설정 값을 불러와 차량(100) 장치(140)를 조절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120)는 스마트 키(200) 아이디를 할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비상등을 점등하는 등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00) 장치(140)가 구동하는 동작도 실행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unlocking is performed using the smart key 200 button located on the trunk and not on the driver's door 15L and on the passenger's door 15L, The control unit 120 does not assign the ID of the smart key 200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smart key 200. [ Therefore, an operation such as lighting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light is not performed, and an operation of driving the vehicle 100 apparatus 140 based on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is also not executed.

도 10내지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10-12 are flowchar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10은 제어부(120)가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rder in which the control unit 120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10을 참고하면 차량(100)은 스마트 키(200)의 식별정보를 검출 할 수 있다(500). 스마트 키(200)의 종류를 식별한 차량(100)은 운전자 탑승 후 도어(15L)의 잠금 상태를 확인한다(501). 사용자가 탑승 후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 버튼의 사용 빈도와 먼저 획득한 스마트 키(2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매칭 정보를 획득한다(504). 사용자가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M)의 버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편의장치(1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기초로 매칭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503).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획득된 매칭 정보 중 신뢰도가 낮은 매칭 정보는 제거된다(505). 신뢰도가 높은 매칭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된다(506).Referring to FIG. 10, the vehicle 100 may det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500). The vehicle 100 that identifies the type of the smart key 200 confirm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15L after boarding the driver (501). When the user uses the buttons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after board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s acquire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utt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acquired earlier (504).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button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M,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503) based o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140. Matching information with low reliability among the matching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moved (505). The highly reliable match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6).

도11은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00) 장치를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apparatus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도11을 참고하면, 스마트 키(200)가 차량(100)에 접근하면(600)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이 매칭된다(601).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 사이는 LF 또는 RF주파수로 통신이 가능하다. 스마트 키(200)와 차량(100)이 매칭되고 나면 미리 저장된 정보와 스마트 키(20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한다(602). 식별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120)는 차량(100)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603). 차량 편의장치(14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smart key 200 approaches the vehicle 100 (600),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are matched (601).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is possible at the LF or RF frequency. After the smart key 200 and the vehicle 100 are matched, the user is ident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key 200 (602).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vehicle 100 apparatus (603). The type of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140 is not limited.

도12는 스마트 키(200)가 2대 이상일 경우 차량(100) 장치를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when there are two or more smart keys 200. FIG.

도12를 참고하면, 제1스마트 키(200a)와 제2스마트 키(200b)가 동시에 차량(100)에 접근 할 수 있다(700). 제1스마트 키(200a)와 차량(100)은 LF 또는 RF주파수로 통신이 가능 하며 제1스마트 키(200a)의 언락(Unlock)사용하여 차량(100)과 매칭 될 수 있다. 하지만 언락 버튼을 이용한 사용자가 운전을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차량(100)은 차량(100)의 도어(15L)를 닫기 전까지 운전자가 제2스마트 키(200b)를 소지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703). 도어(15L)를 닫기 전까지 제2스마트 키(200b)를 인지 하였다면 다시 제2스마트 키(200b)와 차량(100)을 매칭한다(704). 이 경우, 제2스마트 키(200b)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차량 편의장치(140)를 제어한다(705). 반면 언락 버튼을 사용한 제1스마트 키(200a)의 사용자가 운전자인 경우 제1스마트 키(2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차량 편의장치(140)를 제어한다(706).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smart key 200a and the second smart key 200b can simultaneously access the vehicle 100 (700). The first smart key 200a and the vehicle 1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LF or RF frequency and can be unlocked using the first smart key 200a. However, since the user using the unlock button may or may not be driving, the vehicl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the driver holding the second smart key 200b until the door 15L of the vehicle 100 is closed (703). If the second smart key 200b is recognized until the door 15L is closed, the second smart key 200b is matched with the vehicle 100 again (704). In this case,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140 is controll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mart key 200b (7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f the first smart key 200a using the unlock button is the driver,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14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 key 200 (706).

한편, 스마트 키(200)의 언락 버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차량(100)에 가까히 접근하는 스마트 키(200), 즉 제1스마트 키(200a)와 매칭이 된다(707). 제어부(120)는 제1스마트 키(200a)를 소지한 사용자가 운전석의 도어(15L)를 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08). 제1스마트 키(200a) 소지자가 도어(15L)를 연 경우 제1스마트 키(200a)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차량(100) 장치를 제어한다(709). 하지만 다른 사용자, 즉 제2스마트 키(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15L)를 연 경우에는 기존에 매칭된 제1스마트 키(200a)가 아닌 제2스마트 키(200b)와 차량(100)이 매칭된다(710).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제1스마트 키(200a)가 아닌 제2스마트 키(200b)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차량(100) 장치를 제어한다(711).On the other hand, if the unlock button of the smart key 200 is not used, the smart key 200 is matched with the first smart key 200a approaching the vehicle 100 (707).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olding the first smart key 200a opens the door 15L of the driver's seat (S708). When the owner of the first smart key 200a opens the door 15L, the device 100 is controll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 key 200a (709). However, when another user, that is, a user having the second smart key 200 opens the door 15L, the second smart key 200b, not the first smart key 200a, (71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mart key 200b rather than the first smart key 200a (711).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0 : 차량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차량 편의장치
200 : 스마트 키
100: vehicle
110:
120:
130:
140: Vehicle comfort device
200: Smart key

Claims (18)

저장부;
제1스마트 키 또는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운전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편의장치; 및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제어 정보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를 학습하여 매칭(Matching)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At least one vehicle comfort device capable of being controll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And
Acquiring matching information by learn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매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when the matc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exists, controls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값을 기초로 획득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luding an integrated memory system (IMS)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Wherein the vehicle is obtained based on at least one input value of the driver's seat memo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한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획득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Wherein the vehicle is obtained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칭 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매칭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iability of the matching information is calculated,
And stores the match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if the reliabi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마트 키를 인식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recognizes the first smart ke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s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잠금 해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마트 키 또는 상기 제2스마트 키가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Said signal comprising an unlock signal,
Wherein,
And when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transmits the unlock signal, controls the vehicle convenience device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스마트 키 및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상기 운전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스마트 키의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획득된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and the second smart key,
Wherei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 ke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편의장치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 사이드 미러, 룸 미러, 브레이크 페달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includes:
And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a side mirror, a room mirror, a brake pedal, and a seat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편의장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includes:
Including a navigation system,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nd a vehicle start point and destination information.
제1스마트 키 또는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제어 정보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를 학습하여 매칭(Matching)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Acquiring matching information by learn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매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if the stored matching information exists, controlling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운전석 메모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cquiring of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acquiring said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input value of a driver's seat memory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운전자가 임의로 조절한 상기 차량 편의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cquiring of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acquiring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of a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arbitrarily adjusted by a driv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reliability of the matching information,
Storing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d if the reliabi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tores the matching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스마트 키를 인식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comprises:
And when the first smart key is recogniz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is controlled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잠금 해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스마트 키 또는 상기 제2스마트 키가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ignal comprising an unlock signal,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comprises: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apparatus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the first smart key or the second smart key transmits the unlock sign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1스마트 키 및 제2스마트 키가 송신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 1 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스마트 키와 상기 차량의 상기 운전석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스마트 키의 상기 식별 정보로 부터 획득된 상기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ing of the signal,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smart key and the second smart key,
Controlling the vehicle comfort device compris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mart key a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onvenience apparatus is controlled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 key.
KR1020160151015A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2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15A KR10264224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15A KR10264224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93A true KR20180053893A (en) 2018-05-24
KR102642241B1 KR102642241B1 (en) 2024-03-04

Family

ID=6229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015A KR10264224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8463A1 (en) * 2018-10-19 2020-04-23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Driving environment smart adjustment and driver sign-in methods and apparatuses, vehicle, an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54A (en) * 2002-12-19 2004-07-15 Sony Corp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and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US20100087987A1 (en) * 2008-10-08 2010-04-08 Gm Global Technoloogy Oper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Driver Recognition and Customization Using Onboard Vehicle System Settings
KR20140128806A (en)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An method for configuring of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KR101571739B1 (en) * 2014-10-08 2015-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54A (en) * 2002-12-19 2004-07-15 Sony Corp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and boarding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US20100087987A1 (en) * 2008-10-08 2010-04-08 Gm Global Technoloogy Oper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Driver Recognition and Customization Using Onboard Vehicle System Settings
KR20140128806A (en)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An method for configuring of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KR101571739B1 (en) * 2014-10-08 2015-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8463A1 (en) * 2018-10-19 2020-04-23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Driving environment smart adjustment and driver sign-in methods and apparatuses, vehicle, and device
KR20200071117A (en) * 2018-10-19 2020-06-18 상하이 센스타임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Smart adjustment of driving environment and driver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vehic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41B1 (en)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4470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4727B1 (en) A smart key, a method for controlliong the smart key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mart key
KR101736100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4243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248545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6244B1 (en) Smart key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16240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9760630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03686B2 (en) Vehicle and vehicle system
KR10248524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819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7217B1 (en) 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8664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90236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642241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118773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KR20180067844A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72875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821108B1 (en) Vehicle system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KR10248995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4461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05039A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29317B1 (en) Vehicle,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