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59B1 -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959B1
KR102489959B1 KR1020170120436A KR20170120436A KR102489959B1 KR 102489959 B1 KR102489959 B1 KR 102489959B1 KR 1020170120436 A KR1020170120436 A KR 1020170120436A KR 20170120436 A KR20170120436 A KR 20170120436A KR 102489959 B1 KR102489959 B1 KR 10248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user
external termi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2023A (en
Inventor
남민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59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단말기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a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can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기술에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ft of a vehicle using an external terminal device.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편해지는 등 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automobile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using automobiles is increas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technology, many changes are occurring in life, such as making long-distance travel easier than in the past and making life more comfortable.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및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동차 관련 기술 분야들 중에서 전기전자 분야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A lot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hands-free devices, GPS receivers, Bluetooth devices, and high-pass de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convenience of drivers, and among automobile-related technologies, the electric and electronic fields are increasingly creating new value. .

또한, 과거에는 차량의 키를 이용하여 직접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의 시동을 켰지만, 최근에는 외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Also, in the past, a vehicle door was opened and the vehicle was started using a vehicle key, but recently, many technologies for operating a vehicle using an external terminal device have been developed.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하며,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폰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원격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refers to a system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and starting a vehicle from the outside without a driver inserting a separate key into the vehicle's key box or a special operation for operation.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FOB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원격 조작 장치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엘에프(Low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 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When a driver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approaches the vehicle, the car door is unlocked automatically through Bluetooth (Low Frequency)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Bluetooth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a separate key is required.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inserting it, and the engine can be started withou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gnition key after getting into the vehicle.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이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NFC,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통신을 활용하여 차량 출입시동, 원격주차, 차량진단 등 다양한 기능을 접목하여 확대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technologies using external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se technologies are being expanded and developed by combin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vehicle entry and start, remote parking, and vehicle diagnosis by utiliz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NFC and Bluetooth. .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아웃 사이드 핸들에 접촉시키면 차량은 NFC 또는 불루트스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차량의 센터 트레이나 시동 버튼과 같은 특정 위치에 접촉시키는 경우 자동적으로 차량의 전원이 온이 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user brings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handle,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terminal using NFC or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he vehicle door can be locked or unlocked. In addition, when the user brings the external terminal into contact with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 center tray or start button of the vehicle, the power of the vehicle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n.

그러나, 외부 원격 조작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 그 특성상 차량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차량 가까이에서 안테나 등을 통해 수집하여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존재하는 원격 조작 장치에 전달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에 신호를 직접 송신하도록 하거나, 다시 안테나 등을 통해 신호를 수집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중계기의 무선 신호의 해킹 문제, 즉 중계 공격(릴레이 어택이 발생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technology using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due to its natur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are collected through an antenna near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exists at a distance from the vehicl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signal to the vehicle. The hacking problem of the radio signal of the repeater that transmits directly or collects the signal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vehicle, that is, relay attack (relay attack is occurring.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진동 센서와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과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한 후, 이를 기초로 외부의 중계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fte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vibr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and beacon communication, based on this, the exter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relay attack of the above.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단말기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ere i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기와 상기 차량과의 거리 변화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obtai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vehicle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cond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lock or unlock the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킬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may turn on power of the vehicle or start the vehicle.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전원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first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a handle of the vehicle or operates a power butt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signal.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인 정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for a preset period of time.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ct a change in the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based on this,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may lock or maintain the door of the vehicle in a locked state.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external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and Wi-Fi.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turns off the power of the vehicle or turns off the vehicle. The start function can be blocked.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tate to the mobile terminal.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외부 단말기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취득한 상기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ransmitting a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nd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steps may be included.

상기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기와 상기 차량과의 거리 변화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cquir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vehicle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cond signal.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can include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the power of the vehicle is turned on or the vehicle is started. The key may further include steps.

상기 제 1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전원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a handle of the vehicle or operates a power button.

상기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signal.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인 정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a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for a preset period of time. .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may include detecting a change in the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is. steps may be included.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locking or maintaining the door of the vehicle in a locke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can include

상기 제1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nd receiving the second signal may inclu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external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and Wi-Fi. steps may be included.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기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of time, the vehicle of the vehic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ff the power or blocking the starting function of the vehicle.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tate to the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과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중계 공격을 차단하므로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중계 공격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와 비콘을 이용하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중계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blocks a relay attack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bile terminal, so it is possible to block relay attacks under more diverse conditions. Since beacons are used, relay attacks can be blocked more econom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단말기와 차량이 통신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중계기를 이용하여 중계 공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는 여러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lay attack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repeaters.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several example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2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Hereinafter, a vehic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1 is an exterior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view showing an internal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will be made together to prevent duplication of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xterior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wheels 12 and 13 for moving the vehicle 100, a door 15L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nd a vehicle 100 ) may include a windshield 16 providing a front view of the vehicle 100 to a driver inside, and side mirrors 14L and 14R providing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to the driver.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The wheels 12 and 13 include a front wheel 1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1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0 is )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front wheels 12 or rear wheels 13 so as to move forward or backward. Such a driving device may employ an engine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a capacitor.

도어(15L,15R(도 2 참조))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15R(도 2 참조))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L)에는 블루투스(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111a, 111c; 도 3 참조)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Doors 15L and 15R (see FIG. 2) are provided to be pivotab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00 so that a driver or passenger can get inside the vehicle 100 when opened, and when closed, the vehicle ( 100)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handles 17L and 17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 15L and 15R (see FIG. 2) may be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100, and a Bluetooth (Low Frequenc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handle 17L. Bluetooth antennas 111a and 111c (see FIG. 3)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input and a touch sensor (not shown)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input may be mounted.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200; 도 3 참조)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200; 도 3 참조)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외부 단말기(200)를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When the touch sensing unit of the doors 15L and 15R detects the user's touch input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e FIG. 3), the vehicle 100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device ( 200 (see FIG. 3) and authentication are performed,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0 is released, and the door 15L can be opened by the user pulling the handles 17L and 17R. Here, the user includes not only the driver but also a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100 and means a person who possesses the external terminal 200 .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The windshield 16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obtain visual informa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windshield glass.

또한, 사이드 미러(14L,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s 14L and 14R include a left side mirror 14L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00 and a right side mirror 14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00, so that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100) to obtain side and rear visual information.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sensing device such a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or another vehicle on the rear or side, and a rai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precipitation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and receive a reflected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such as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received reflection signal,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on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100 may be det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may be detected. As an example of such a proximity sensor, a method of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and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using the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bstacle may be employed.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71)와 AVN 입력부(6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디스플레이(71)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isplay 71 and an AVN input unit 61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area of the dashboard 29 . The AVN display 71 may selectively display at least one of an audio screen, a video screen, and a navigation screen, and may also display various control screens related to the vehicle 100 or screens related to additional functions.

AVN 디스플레이(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AVN display 71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ght Emitting Diode (LED), Plasma Display Panel (PD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thode Ray Tube (CRT), or the like.

AVN 입력부(61)는 AVN 디스플레이(7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AVN 디스플레이(7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VN 디스플레이(7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AVN input unit 61 may be provided as a hard key type in an area adjacent to the AVN display 71, or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on the front of the AVN display 71 when the AVN display 7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ype. may be provided.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6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62)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 jog shuttle type center input unit 6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18L and the passenger's seat 18R. The user may input a control command by turning, pressing, or pushing the center input unit 62 up, down, left, or right.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부(80)가 마련될 수 있고, 음향 출력부(8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8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 sound output unit 80 capable of outputting sound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and the sound output unit 80 may be a speaker. The sound output unit 80 may output sound necessary for performing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nd other additional functions.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9)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원격 조작 장치(200; 일 예로서, 포브(FOB)키; 도 3 참조)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9a)가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9a)에 외부 단말기(2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2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외부 단말기(200)와 차량(100)이 연결될 수 있다.A steering wheel 27 is provided on the dashboard 29 on the driver's seat 18L sid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an example, a FOB key; see FIG. 3) is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steering wheel 27. A key groove 29a into which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29a or authentication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100 is comple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100 may be connected.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31)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9a)에 외부 단말기(2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2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31)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shboard 29 may be provided with a start button 31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29a o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authentication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100 succeeds, the vehicle 100 may be turned on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31 by the user.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100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er to perform both heating and cooling, and the heated or cooled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vent 21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100 .

도 3과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단말기(200)와 차량(100)이 통신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비콘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중계 공격이 이루어지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xternal terminal 200 and a vehicle 100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beacon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dure in which a relay attack is performed.

도 3및 도4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200)는 차량(100)과 직접 접촉하거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된다. 도 3에 개시된 일 예로, 외부 단말기(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키의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external terminal 200 directly contacts the vehicle 100 or is connected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As an example disclosed in FIG. 3 ,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to release a door lock or serve as a FOB key enabling start-up and driving.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외부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200)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 원격 제어 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모바일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차량(100)에 대한 원격 조작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The external terminal 200 i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3 may correspon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f the external terminal 200 is a mobile device, an application capable of executing an operation as a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installed. The mobile device may be sold with the application installed, or may be downloaded from a server after sale.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mobile device to operate a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100, it may undergo an authentication procedure.

또한, 차량(100)은 비콘(Beacon)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외부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또 다른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외부 단말기(200)의 정보 및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terminal 200 using a beacon device. Specifically, by transmitting a Bluetooth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receiving another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close to the vehicle 100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r authentication are obtained. You can request and receive.

따라서, 차량(100)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111)는 하나 이상의 비콘(110a-110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and receive Bluetooth signals,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1 may include one or more beacon devices 110a to 110d.

비콘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하며, 블루투스 통신은 송신기에서 송신기 ID와 출력세기 정보만 일방적으로 공간에 송신하는 단방향 통신 기술을 말한다. A beacon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Bluetooth 4.0 (BLE) protocol, and Bluetooth communication refers to a one-way communication technology in which a transmitter transmits only transmitter ID and power intensity information unilaterally to a space.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 GPS 신호 없이 5 ~ 10cm 단위의 정확도로 블루투스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다. 도 5는 비콘(Beacon)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패킷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비콘으로 송신되는 신호는 송신기 아이디에 대한 정보(a)와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Bluetooth communication, the location of a Bluetooth device can be determined with an accuracy of 5 to 10 cm without a GPS signal,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devices within a maximum distance of 70 m.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data packet of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beaco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beacon includes information (a) on a transmitter ID and information on the strength (b) of a transmitted signal. can do.

송신기에서 송신하는 ID로 송신기 정보를 판단하고, 출력신호세기 정보와 실제 수신되는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Transmitter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ID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and the distance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 strength information with the actually received signal strength.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1신호를 외부 단말기(200)로 송신한 후,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제 2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2신호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200)와 차량(100)과의 거리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then receives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Afte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signal, based on the acquired distance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exists. can judge about i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각 비콘(110a-110d)장치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외부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 장치(110a-110d)의 마련 위치에 따라 외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세기와 수신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Each of the beacon devices 110a to 110d is provided on the front, rear, side, or inside of the body of the vehicle 100 to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terminal 200 at various angles and strength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beacon devices 110a to 110d, the reception strength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Bluetooth signal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vary.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200)가 차량(1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은 블루투스 신호를 외부 단말기(200)에 송신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is within a rang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vehicle 100, the vehicle 100 may transmit a Bluetooth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the external terminal (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it.

한편, 외부 단말기(200)가 차량(1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이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외부 단말기(200)는 이를 수신할 수 없다.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외부 단말기(200)는 차량(100)으로 응답 신호인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Meanwhile,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does not exist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vehicle 100, even if the vehicle 100 transmits a Bluetooth signal, the external terminal 200 cannot receive it. The external terminal 200 that has not received the Bluetooth signal cannot transmit a Bluetooth signal as a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100 .

그러나,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중계 공격(Relay Attack)을 시도하는 중계기(relay 1, relay 2)가 차량(100)과 외부 단말기(200) 간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 과정에 관여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는 외부 단말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6 , even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does not exist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the relays (relay 1 and relay 2) attempting a relay attack may attack the vehicle 100. )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the Bluetooth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구체적으로, 차량(1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제 1 중계기(relay1, 300)가 존재하고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제 2 중계기(relay2, 400)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중계기(relay1, 300)가 차량(100)으로부터 송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제 2 중계기(relay2, 400)에 전달하고, 제 2 중계기(relay2, 400)가 블루투스 신호를 다시 원주파수 대역으로 복조하여 외부 단말기(200)에 전달함으로써 블루투스 신호는 원거리에 있는 외부 단말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repeater (relay1, 300) exists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vehicle 100, and the second repeater (relay2, 400) exists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 exists, the first repeater (relay1, 300) modulates the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00 into a high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repeater (relay2, 400), and the second repeater (relay2, 400) The Bluetooth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at a long distance by demodulating the Bluetooth signal back to the original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it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

즉, 제 1 중계기(relay1, 300)는 블루투스 신호의 송신 가능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고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repeater (relay1, 300) may modulate the frequency band of the Bluetooth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100 into a high frequency band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ttable distance of the Bluetooth signal.

그리고, 차량(1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 2 중계기(relay2, 400)는 응답 신호로서 블루투스 신호를 차량(100)에 송신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인증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epeater (relay2, 400) existing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vehicle 100 transmits a Bluetooth signal to the vehicle 100 as a response signal, so that the authentication process can be abnormally completed.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단말기(200)가 차량(100)으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100) 및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중계기가 블루투스 신호를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차량(100)으로 전달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인증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even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does not exist within a possible distan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uetooth signals from the vehicle 100, Bluetooth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abnormally completed by a repeater exist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transmitting a Bluetooth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to the vehicle 100 .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중계기가 차량(100)과 외부 단말기(200) 간의 인증 과정에 관여하였는지 여부, 즉, 중계 공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계 공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세부 구성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is involv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that is, a relay att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lay attack in advance by determining whether it has occurred.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차량(1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130).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외부 단말기(200)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1)와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비콘(Beacon)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transmitter 111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receiver 11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acon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uetooth signals.

비콘 장치는 차량(100)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서로 다른 각도 및 서로 다른 세기로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The beacon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rear, side, or inside of the body of the vehicle 100 to transmit and receive Bluetooth signals at different angles and different intensities.

구체적으로, 비콘 장치는 도 3에서 전술한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 본체 상단에 및 트렁크에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eac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17R of the right door 15R, the handle 17L of the left door 15L,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the trunk.

통신부(110)의 송신부(111)는 외부 단말기(200)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111)는 사용자가 차량(100)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전원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실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외부 단말기(200)로 사용자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11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first signal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 Specifically,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le of the vehicle 100 or operates the power button, the transmitter 111 transmits the user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to determine whether a user having authority to actually control the vehicle has accessed. A first signal requesting information of may be transmitted.

통신부(110)의 수신부(112)는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제1신호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

구체적으로, 수신부(112)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차량(100)과 외부 단말기(200)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112 may receive a second signal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for a preset period of tim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통신부(110)와 외부 단말기(200)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부(110)와 외부 단말기(2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또는 Wi-Fi(Wireless-Fidelity)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Bluetooth communication is described herein as a meth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external terminal 22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external terminal 220 use NFC (Near Signa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using Field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or Wi-Fi (Wireless-Fidelity) communication.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부(110)에는 차량(1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로 LF신호를 송신하는 LF송신부(미도시), RF통신망을 통해 RF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서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부(미도시), 및 차량(100)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수신부(미도시) 등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vehicle 100, and an LF transmiss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 LF signal, an RF signal within an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through an RF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also include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nd a high frequency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 signal of a frequency band preset in the vehicle 100.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100 .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수신부(112)에서 수신한 제2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차량(100)과 상기 외부 단말기(220)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20 based on the second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112, and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자이로스코프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 단말기(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외부 단말기(200)의 움직인 정도 및 진동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Since the external terminal 200 such as a smart phone generally h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gyroscope sensor), the external terminal 200 measures the degree of movement and vib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for a preset time. can judge

따라서, 외부 단말기(200)는 차량(100)으로 제1신호를 수신 받은 경우, 외부 단말기(200)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 2신호를 차량(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외부 단말기(200)의 움직임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라 할 수 있으므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eceiving the first signal from the vehicle 100,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transmit a second signal includ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to the vehicle 100. Then, sinc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referred to as user mo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obtain the user motion information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cond signal.

또한, 외부 단말기(200)가 송신하는 제2신호는 블루투스, NFC 또는 와피 파이 통신에 기초한 신호이므로 차량(100)과의 거리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by the external terminal 200 is a signal based on Bluetooth, NFC, or Wi-Fi communicati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10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user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또한,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란, 제어부(120)가 제2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200)가 제1신호를 송신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차량(200)이 제2신호를 처음으로 수신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간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의 작동 환경에 따라 다양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Also, here, the preset time may mean a sufficient time for the control unit 120 to obtain user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signal. It may be the tim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the external terminal 200 transmits the first signal, and the tim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the vehicle 200 first receives the second signal corresponds to this. can In addition, it can be set to various tim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user.

또한, 제어부(120)는 제2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전원 또는 시동 기능을 온(ON)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second signal, the controller 120 may lock or unlock the door of the vehicle 100, The power or starting function of the vehicle 100 may be turned on.

반대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이 있다고 판단하여 차량(1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차량(100)의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exceeds a certain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intrusion from the outside and powers on the vehicle 100. may be turned off or the starting function of the vehicle 100 may be blocked.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판단 결과를 통신부(110)로 송신하고 통신부(110)의 송신부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로 현재 차량(100)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100 to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user.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using a memory (not shown) storing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100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저장부(130)에는 외부 단말기(200)와 상호 공유하는 아이디, 및 인증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n ID shared with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or RAM.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controller 12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도 7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f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shown in FIG. 7 .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한편, 도 7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Meanwhile, each component shown in FIG. 7 may be software and/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차량(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은 사용자가 차량(1)에 접근하였는지 여부 및 외부 단말기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 S200)Referring to FIG. 8 ,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a user approaches the vehicle 1 and whether an external terminal is detected (S100, S200).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 단말기(200)가 차량(1)과 통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차량에 접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100)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시동 버튼을 터치한 경우 사용자가 차량(100)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terminal 200 has approached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or not it has entered within a communication distance with the vehicle 1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ouches the handle of the vehicle 100 or When the start button is touch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vehicle 100 .

외부 단말기(200)가 감지된 경우, 차량(1)은 외부 단말기(200)로 사용자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1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제1신호의 응답신호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0, S400)When the external terminal 200 is detected, the vehicle 1 may transmit a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and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A second signal may be received. (S300, S400)

차량(1)과 외부 단말기(200)와의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및 Wi-Fi(Wireless-Fidelity)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제 2신호에는 외부 단말기(200)의 움직임 정보 및 차량(100)과의 거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commun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nd Wi-Fi (Wireless-Fidelity)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signal includes an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capable of obtaining motion information of 200 and distance information to the vehicle 100 may be included.

제 2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차량(100)은 수신한 제2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500)If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the vehicle 100 may acquire user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signal (S500).

이를 도 9를 통해 알아보면, 외부 단말기(200)에서 차량(1)으로 송신하는 제 2신호에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와 차량(100)과 외부 단말기(200)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0 to the vehicle 1 may include user moveme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there is.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외부 단말기(200)에 구비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움직였는지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on how much the user has moved may be acquire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200 .

도 9 의 이동량에 대한 그래프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의 변화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그만큼 많이 움직였다는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량에 대한 그래프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의 변화가 적은 경우 사용자는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는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left side of the graph for the amount of movement in FIG. 9 , when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graph,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moved that much can be inferred. However,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graph for the amount of movement, if the change in the graph is small,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hardly moved can be inferred.

또한, 도 9의 신호 세기에 대한 그래프를 살펴보면, 시간이 갈수록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는데, 불르투스의 신호의 경우 거리에 비례하여 신호의 세기가 약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그래프를 얻은 경우 사용자는 차량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graph of signal strength in FIG. 9 ,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with time. In the case of a Bluetooth signal,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herefore, when obtaining such a graph, the user can infer that the user is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vehicle. Through this process,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취득하였으면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권한이 있는지 판단한다.(S600)If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re acqui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based on this (S600).

제2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전원 또는 시동 기능을 온(ON)시킬 수 있다. (S70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second signal, the door of the vehicle 100 may be locked or unlocked, and the power of the vehicle 100 or The start function can be turned on. (S700)

반대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이 있다고 판단하여 차량(1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차량(100)의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exceeds a certain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rusion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of the vehicle 100 is turned off. or block the starting function of the vehicle 100.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는 여러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several example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유형 1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지속적이며, 비콘 신호의 세기가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를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movement is continuous and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constantly increases.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user normally carries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pproaches the vehicle, 100) can be judged to have a legitimate right to control.

유형 2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미하지만, 비콘 신호의 세기가 일정하게 강하므로 차량(100) 주변에 사용자가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를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한 후 차량(100) 근처에 머물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2, although the user's movement is insignificant, since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is constantly strong, it can be known that the user is staying around the vehicle 100 . This case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user normally possesses the mobile terminal 200, approaches the vehicle, and then stays near the vehicle 100,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 legitimate right to control the vehicle 100.

유형 3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관찰되기는 하나,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약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제 사용자가 차량(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가고 있는 경우로서, 차량(100) 주변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차량(100)이 신호를 수신한다면 이는 중계 공격에 해당하므로, 차량(100)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는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락을 유지하고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3, although the user's movement is observed,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is getting weaker. This corresponds to a case where an actual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vehicle 100 and there is no user around the vehicle 100 . However, in this case, if the vehicle 100 receives the signal, it corresponds to a relay attack,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person who wants to enter the vehicle 100 does not have a legitimat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 Th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door locked and shut off the starting function.

유형 4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관찰되지도 않으며, 비콘 신호의 세기 또한 약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제 사용자가 차량(100) 주변에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차량(100)이 신호를 수신한다면 이는 중계 공격에 해당하므로, 차량(100)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는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락을 유지하고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4,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movement is not observed and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is also maintained in a weak state. This corresponds to a case where an actual user is not around the vehicle 100 . However, in this case, if the vehicle 100 receives the signal, it corresponds to a relay attack,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person who wants to enter the vehicle 100 does not have a legitimat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00 . Th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door locked and shut off the starting function.

유형 5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은 관찰되었으나, 비콘 신호의 세기가 갑자기 증가한 경우로 이는 장비를 이용한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사용자의 접근이 아닌 중계 공격에 해당하므로, 차량(100)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는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락을 유지하고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5, the user's movement was observed, but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suddenly increased, and this can be determined as an approach using equipment. That is, since it corresponds to a relay attack rather than a normal user's acces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person who wants to enter the vehicle 100 does not have a legitimate right to control the vehicle 100 . Th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door locked and shut off the starting function.

유형 6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도 관찰되지 않고, 비콘 신호의 세기가 갑자기 증가한 경우로 이는 장비를 이용한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사용자의 접근이 아닌 중계 공격에 해당하므로, 차량(100)에 진입하고자 하는 자는 차량(100)을 제어할 정당한 권원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락을 유지하고 시동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ype 6, the user's movement is not observed and the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suddenly increases, which can be determined as an approach using equipment. That is, since it corresponds to a relay attack rather than a normal user's acces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person who wants to enter the vehicle 100 does not have a legitimate right to control the vehicle 100 . Th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door locked and shut off the starting function.

도 10에서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신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을 제어할 수 있는 정당한 권원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면 이에 해당할 수 있다.In FIG. 10, various embodiment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egitimate user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valid source of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1 based on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this will be the case. can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So far, the vehicle 100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외부 원격 조작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 그 특성상 차량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차량 가까이에서 안테나 등을 통해 수집하여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존재하는 원격 조작 장치에 전달하고, 원격 조작 장치가 차량에 신호를 직접 송신하도록 하거나, 다시 안테나 등을 통해 신호를 수집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중계기의 무선 신호의 해킹 문제, 즉 중계 공격(릴레이 어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In the case of a technology using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are collected through an antenna near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exists far away from the vehicl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direct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vehicle. There is no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hacking problem of the wireless signal of the repeater, that is, the relay attack (relay attack), which collects signals through an antenna or the like and transmits them to the vehicle.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과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중계 공격을 차단하므로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중계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와 비콘을 이용하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중계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blocks relay attack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blocking relay attacks under more diverse conditions. In addition, since a sensor and a beac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are used, relay attacks can be blocked more economically.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so far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200: 외부 단말기
300: 제1 중계기
400: 제 2중계기
100: vehicl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control unit
130: storage unit
200: external terminal
300: first repeater
400: second repeater

Claims (24)

외부 단말기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정도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정도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Based on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econd signal is acquired for a preset tim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econd signal are obtained.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locks or unlocks a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키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the vehicle turns on the power of the vehicle or starts the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전원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sending unit,
A vehicle that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a handle of the vehicle or operates a power butt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obtains information o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locks or maintains a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 vehic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the external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and Wi-Fi.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기능을 차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the vehicle's power is turned off or the vehicle's starting function is blocked. vehicle to do.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1,
The sending unit,
A vehicle tha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vehicle to the external terminal.
외부 단말기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정도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취득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정도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ransmitting a first signal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a user to an external terminal;
receiv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i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in strength of the second signal.
삭제delet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The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locking or unlocking a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을 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turning on power of the vehicle or starting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손잡이를 터치하거나 전원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a handle of the vehicle or operates a power butt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정도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second signal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acquiring information o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The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locking or maintaining a locked state of a door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and receiving the second signal,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external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and Wi-Fi.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지 않는다고 판단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기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ists,
When the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set period, the vehicle's power is turned off or the vehicle's starting function is block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oing.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23,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vehicle to the external terminal.
KR1020170120436A 2017-09-19 2017-09-1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9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36A KR102489959B1 (en) 2017-09-19 2017-09-1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36A KR102489959B1 (en) 2017-09-19 2017-09-1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23A KR20190032023A (en) 2019-03-27
KR102489959B1 true KR102489959B1 (en) 2023-01-19

Family

ID=6590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436A KR102489959B1 (en) 2017-09-19 2017-09-1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78B1 (en) * 2019-11-28 2020-12-23 김이현 Automotive door lock device using On Board Diagnostics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582A (en) * 2010-08-04 2012-02-23 Denso Corp Control system
JP2015209707A (en) * 2014-04-28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333B1 (en) * 1998-06-17 2001-05-22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Passiv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DE102010010057B4 (en) * 2010-03-03 2012-09-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 door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6582A (en) * 2010-08-04 2012-02-23 Denso Corp Control system
JP2015209707A (en) * 2014-04-28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23A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4470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307294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mobile device relative to a vehicle cabin
JP644761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6372688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491371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487151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6100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44727B1 (en) A smart key, a method for controlliong the smart key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mart key
CN110834601B (en) Remote controll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KR10184243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45514B1 (en) A vehicle and vehicle system
CN105247576A (en) Provision of a status indication to a user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7819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524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78932B2 (en) 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48995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98437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46063A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KR101480619B1 (en) System for confirming location of a smart key
KR20180067844A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142077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45578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22877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program, and location confirmation device
KR102485245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84151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