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151B1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151B1
KR102384151B1 KR1020170161136A KR20170161136A KR102384151B1 KR 102384151 B1 KR102384151 B1 KR 102384151B1 KR 1020170161136 A KR1020170161136 A KR 1020170161136A KR 20170161136 A KR20170161136 A KR 20170161136A KR 102384151 B1 KR102384151 B1 KR 10238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2685A (en
Inventor
손기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15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 원격 조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상기 램프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lamp, a sens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etects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exists within a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ased on the sens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signal related to the lamp operation is received.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조작 장치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차량에 설치된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whether a lamp installed in a vehicle is operating normall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편해지는 등 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automobile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using automobiles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technology, many changes are taking place in life, such as making it easier to travel long distances than in the past and make life easier.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및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동차 관련 기술 분야들 중에서 전기전자 분야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Electronic devices such as hands-free devices, GPS receivers, Bluetooth devices, and high-pass de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

과거에는 차량의 키를 이용하여 직접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의 시동을 켰지만, 최근에는 외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In the past, the vehicle door was opened directly using the vehicle key and the vehicle was started, but recently, many technologies for operating the vehicle using an external terminal device have been developed.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 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The remo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refers to a system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and starting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without a driver inserting a separate key into a key box of the vehicle or special operation for operation.

원격 조작 장치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엘에프(Low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 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When a driver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approaches the vehicle, the vehicle door is automatically unlocked through Low Frequency (Bluetooth) communication and R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parate key is required. You can open the door without inserting it, and you can start the vehicle without inserting the ignition key after getting into the vehicle.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로는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폰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장치가 사용된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로 포괄적으로 설명하지만, 당연히 원격 조작 장치에는 포브 키와 스마트 키, 모바일 기기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a portable smart phone or a device such as a FOB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For convenience,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comprehensively described as a remote control device, but of course,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ob key, a smart key, a mobile device, and the like.

한편 원격 조작 장치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차량에 설치된 여러 램프들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인데,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차량의 램프가 점멸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technolog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develops, technologies for checking whether various devices of a vehicle are operated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re being developed. One of them is a technology for detecting whether several lamps installed in the vehicle are operating. When the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vehicle lamp flickers,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lamps are operating normally.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의 램프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률적으로 점멸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사를 원하는 램프에 대한 판단 없이 일률적으로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he lamps of the vehicle flash uniform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amps are operated uniformly without a judgment on which lamps the user wants to inspect.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원격 조작 장치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를 수행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vention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is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 원격 조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상기 램프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lamp, a sens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etects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exists within a preset rang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o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ased on the sens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signal related to lamp operation is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상기 램프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lam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대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in the order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 검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set ord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멸하거나 상기 램프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y blinking the lamp or chang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mp.

상기 램프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미등, 정지등, 후진등 및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dlamp, a turn indicator lamp, a tail lamp, a stop lamp, a reversing lamp, and a daytime running light (DRL).

상기 전조등은, 가변형 전조등 방식(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headlamp may be operated by an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검사 중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가 변경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 상태가 된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inspection when receiving an inspection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 change in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or a driving state from a stopped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를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긴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test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test,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or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상기 램프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includes at least one lamp,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rei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in advance. The method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ased on the sens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n the lamp is within a set range and a signal regarding the lamp operation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상기 램프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lamp.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대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n an order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according to a preset order.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xamin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를 점멸하거나 상기 램프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y blinking the lamp or changing an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mp.

상기 램프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미등, 정지등, 후진등 및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dlamp, a turn indicator lamp, a tail lamp, a stop lamp, a reversing lamp, and a daytime running light (DRL).

상기 전조등은, 가변형 전조등 방식(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headlamp may be operated by an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검사 중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가 변경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 상태가 된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xamin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stopping the testing when receiving a test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or the driving state is changed from a stopped state. there is.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를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긴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inspect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may include stopping the inspection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test, the remote control devic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or the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may include the step of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원격 조작 장치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를 수행하므로, 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의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Since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hecks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lamp of the vehicle is operating normall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4 는 다양한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간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차량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는 일 실시예에 따라,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되는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따라 점멸되는 램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n interior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ehicl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a vehicl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performed in a distance where various signals can be transmitted/received.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inspecting whether a lamp is ope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a lamp flickering according to a detected position of a remote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other featur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2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vehic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1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n inter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ate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descriptions will be made together to prevent duplication of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후방 유리(18) 및 사용자에게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xterior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wheels 12 and 13 for moving the vehicle 100 , a door 15L for shield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nd the vehicle 100 . ) a windshield 16 that provides a view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to a user inside, a rear glass 18 that provides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a view of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100 to the user and side mirrors 14L and 14R.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The wheels 12 and 13 include a front wheel 1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1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front wheel 12 or the rear wheel 13 to move forward or backward. Such a driving device may employ an engine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a capacitor.

도어(15L, 15R)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The doors 15L and 15R are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100 so that a user or a passenger can get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when it is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when closed It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 15R)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L)에는 블루투스(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handles 17L and 17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 15L and 15R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and a Bluetooth antenna capable of transmitting a Bluetooth (Low Frequency) signal to the handle 17L and A touch sensing unit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input may be provided.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 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ensing unit of the doors 15L and 15R senses the user's touch input while the user holds the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he vehicle 100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0 is released and the door 15L may be opened by the user's pulling operation of the handles 17L and 17R. Here, the user may include not only the user but also a passenger in the vehicle 100 .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라고도 한다.The windshield 16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 us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acquire visual information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 and is also called windshield glass.

후방 유리(18)는 본체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리어 글라스 (Rear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후방 유리(16)에는 유리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후방 유리 안테나(50)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ar glass 18 is provid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 us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acquire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100 ,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rear glass. In addition, the rear glass 16 may be provided with a rear glass antenna 50 tha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while serving to remove the frost generated on the glass.

또한, 사이드 미러(14L, 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s 14L and 14R include a left side mirror 14L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00 and a right side mirror 14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00 , and a us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use the vehicle ( 100) to obtain side and rear visual information.

또한, 차량(100)에는 사용자의 운전 시야를 밝혀주는 전조등(11)이 각각 차량(100)의 전면부 왼쪽(11L)과 오른쪽(11R)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라이트(Head Light)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조등(11)은 먼 곳을 비추기 위한 상향등, 가까운 곳을 비추기 위한 하향등 두 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100)에는 전조등(11_ 외에도 후진등(19), 차폭등, 방향 지시등, 미등 등이 마련될 수 있다.Also, in the vehicle 100 , headlights 11 for illuminating the driving view of the user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11L and the right side 11R of the vehicle 100 , respectively. Also called headlights. The headlight 11 is composed of two modes: a high beam to illuminate a distant place, and a low beam to illuminate a nearby place. This can be provided.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sensing device such a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on the rear or side or another vehicle, and a rai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precipitation is present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의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and receive a reflected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such as another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on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100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received reflected signal, and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may be detected. As an example of such a proximity sensor, a method of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and detect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stacle may be employed.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6)의 중앙 영역에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이 마련될 수 있다. AVN 단말에는 단말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5)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a navig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ashboard 26 . The AV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25 for displaying an image or an im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The display 25 may selectively display at least one of an audio screen, a video screen, and a navigation screen, and may also display various control screens related to the vehicle 100 or screens related to additional functions.

디스플레이(2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25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cathode ray tube (CRT), or the like.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33)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입력부(33) 옆에는 핸드폰 등을 포함한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32)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jog shuttle type center input unit 3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18L and the passenger seat 18R. A user may input a control command by turning or pressing the center input unit 33 or pushing the center input unit 33 in an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 In additi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32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of a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may be provided next to the center input unit 33 .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3L, 23R)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speaker 23 capable of outputting sound. The speakers 23L and 23R may output sound necessary for performing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nd other additional functions.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6)에는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 일 예로서, 포브(FOB)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8)에 차량의 시동을 킬 수 있는 원격 조정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A key groove 28 into which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as an example, a FOB key)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dashboard 26 on the driver's seat 18L side.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starting the vehicle may be inserted into the keyway 28 .

또한, 대시보드(26)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29)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8)에 원격 조작 장치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29)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shboard 26 may be provided with a start button 29 for on/off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vehicle 100 , and a remote opera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28 , or is remotely opera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f authent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vehicle 100 is successful, the vehicle 100 may be started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29 by the user.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L, 21R)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100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er to perform both heating and cooling, and the heated or cool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21L and 21R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100 .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 일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vehicle 100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직접 접촉하거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된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100 or is connected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도 3에 개시된 일 예로,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 키일 수 있다.As an example disclosed in FIG. 3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FOB key th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to release a door lock or enable starting and driving.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원격 조작 장치(200)는 포브 키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operation device 200 i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3 may include any input device that controls the vehicle 100, such as releasing the above-described door lock or enabling starting and driving, even if it is not a FOB key. .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원격 조작 장치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개시된 발명의 원격 조작 장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모바일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차량(100)에 대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bile device serves as a remote control devic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disclosed invention to include the mobile device. In this case, an application capable of executing an operation as the remote operation device 200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may be sold aft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or may download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after the sale.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mobile device to operate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the vehicle 100 , an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sold together with the vehicle 100 ,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on with the vehicle 100 may be stored in advance.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은 상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LF통신망 및 RF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hicle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perform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LF(Low Frequency)통신망은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The LF (Low Frequency)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low frequency band used for transmitting the LF signal required for the vehicle 100 to searc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has,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20 kHz or more and 150 kHz or less. It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F signals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t/receive distance of the signal is shorter than the transmit/receive distance of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high frequency b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w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LF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possible distance may be about 5m, and the RF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possible distance may be about 100m.

따라서, 차량(100)은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100 may search for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 to the vehicle 100 and request information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by transmitting the LF signal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LF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LF통신부(114)는 하나 이상의 LF안테나(111a - 111d)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the LF signal,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LF communication unit 114, and the LF communication unit 114 may include one or more LF antennas 111a - 111d.

각 LF안테나(111a - 111d)는 차량(100)의 본체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다양한 각도 및 세기로 LF신호를 송신한다. LF안테나(111a -111d)의 마련 위치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200)의 LF신호의 수신 세기와 수신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Each LF antenna (111a - 111d) is provided in the front, rear, side, or inside of the body of the vehicle 100 transmits LF signals at various angles and strengths. The reception strength and reception direction of the LF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F antennas 111a -111d.

이하, 본체 상단에 마련된 LF안테나(111a), 및 트렁크에 마련된 LF안테나(111d), 우측 도어(15R)의 손잡이(17R)에 마련된 LF안테나(114b), 좌측 도어(15L)의 손잡이(17L)에 마련된 LF안테나(114c)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LF안테나의 마련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LF antenna (111a)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LF antenna (111d) provided in the trunk, the LF antenna (114b) provided on the handle (17R) of the right door (15R), the handle (17L) of the left door (15L) The LF antenna 114c provided in the LF antenna 114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location of the LF antenna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100)이 LF안테나(111a - 111d)를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각 LF안테나(111a - 111d)가 송신한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transmits an LF signal through the LF antennas 111a - 111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the LF signal transmitted by each LF antenna 111a - 111d. there is.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차량(100)이 LF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00MHz 이상 450MHz 이하의 UHF(Ultra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Th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frequency band for the vehicle 100 to receive an RF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at has received the LF signal, for example, UHF (Ultra High Frequency) of 300 MHz or more and 450 MHz or less. )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frequency ban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t/receive distance of the signal is longer than the transmit/receive distance of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low frequency band.

도 4 는 다양한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과 원격 조작 장치 간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a vehicl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performed in a distance where various signals can be transmitted/received.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으로부터 LF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으로부터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RF신호를 RF통신망을 통해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LF signal from the vehicle 100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s the LF signal from the vehicle 100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transmit the RF signal to the vehicle 100 through the RF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으로부터 LF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이 LF통신망을 통해 주변에 LF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원격 조작 장치(200)는 이를 수신할 수 없다. LF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으로 응답 신호인 RF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within the LF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distance possible from the vehicle 100, even if the vehicle 100 transmits the LF signal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LF communication network,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can't receive i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at has not received the LF signal cannot transmit the RF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100 .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120),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10), 원격 조작 장치(200)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통신부(120),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감지부(110)에서 측정한 결과를 기초로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ransmits signals with at least one lamp 120 , the sensing unit 11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storage unit 130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100 is stored, and the control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lamp 140 operate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sensing unit 110 may contain 150

감지부(110)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150 .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차량(100)의 외부와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 장치(200)의 접근 방향 및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110 uses sensors provided at various locations outside and inside the vehicle 100 to determine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vehicle 100 . can be measured.

따라서, 감지부(110)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200 . The sensor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but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ensor.

또한, 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L, 15R)의 손잡이(111b, 111c) 및 차량(100)의 전방(111a) 및 후방(111d)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s 111b and 111c of the doors 15L and 15R and the front 111a and rear 111d of the vehicl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locations.

또한, 후술할 통신부(120)의 역할을 감지부(110)가 동시에 수행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10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부(120)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결과를 제어부(150)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remote operation device 200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to the control unit 150 .

따라서,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와 여러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using various methods. Various methods such as RF (Radio Frequenc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luetooth),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Wide Band (UWB) communication, etc.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the server 200 . The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ny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

또한, 도 5에서는 통신부(120)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illustrated as a single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FIG. 5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ransmitting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receiving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signal are separately It can consist of what exists.

또한, 도5에서는 감지부(110)와 통신부(120)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부(120)가 하는 역할을 감지부(110)가 동시에 수행할 수 도 있고, 통신부(120)가 감지부(11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in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ing unit 110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the sensing unit 110 .

저장부(130)는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100 .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차량(100)의 길이, 높이, 너비 등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14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50)로 송신되고 제어부(150)는 저장부(13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감지부(110) 및 통신부(120)로 부터 수신한 결과를 기초로 램프(140)의 작동 여부에 대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information on various types of lamps 140 provided in the vehicle 100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length, height, width, etc. of the vehicle 100 .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lamp 140 operat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results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inspected for.

따라서,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 cache, a read 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OM (P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controller 150 ,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제어부(150)는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램프(140) 작동 여부 검사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exists within a preset range and receives a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lamp 140 operates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detected remote control device ( Based on the position of 200 ,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ing or not.

즉, 제어부(150)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램프(140) 검사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 근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차량(100) 근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램프(140)를 작동시켜 램프(1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signal for examining the lamp 140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ear the vehicle 100 , the user controls the vehicle 100 .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arby and operates the lamp 140 to inform the user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ing normally.

또한, 제어부(150)는 원격 조작 장치(200)와 램프(140)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램프(1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조작 장치(200)와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대로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50 may perform an inspection that the lamp 140 is normally operating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lamp 140 . For example,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ed in the order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user can more easily check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ed in sequence.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순서에 기초하여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조등과 방향 지시등을 우선 순위로 설정해 놓은 경우, 다른 램프(140)의 검사보다 먼저 전조등과 방향 지시등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50 may check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ed based on an order set in advance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headlight and the turn indicator as priority, the headlamp and the turn indicator may be inspected before the other lamps 140 are inspected.

램프(140)는 전조등(11), 방향 지시등, 미등, 정지등, 후진등(19) 및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p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dlight 11 , a turn indicator light, a tail light, a stop light, a reversing light 19 , and a daytime running light (DRL).

따라서, 제어부(150)는 상기 램프(140)들을 점멸하거나 램프(140)의 조사 방향은 변경하는 방식으로 램프(140)를 작동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램프(140)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the lamp 140 in such a way as to flicker the lamps 140 or chang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mp 140,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lamp 140 normally through th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또한, 전조등(11)을 포함한 램프(140)들이 가변형 전조등 방식(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으로 작동되는 경우 AFLS 방식을 이용하여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mps 140 including the headlamp 11 are operated by the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ed using the AFLS metho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 는 일 실시예에 따라,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과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되는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따라 점멸되는 램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ination of whether a lamp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S. 8 and 9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a lamp flickering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도 6을 참고하면,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차량(100)에 마련된 램프(140)의 검사를 수행하는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100)Referring to FIG. 6 ,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gnal for testing the lamp 140 provided in the vehicle 100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S100 ).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차량(100)이 정지 상태인지 판단한다. (S200)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100 is in a stopped state. (S200)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정지 상태 여부에 대한 판단과 더불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가 미리 설정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pecifically, in addition to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100 is in a stopped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200 carried by the user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300)가 센서(111a, 111d)로부터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램프(140)의 작동 여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300)가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도 램프(140)의 작동 여부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범위는 어느 특정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vehicle 100 may check whether the lamp 140 operates only when the user 300 i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sensors 111a and 111d. If the user 3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operation of the lamp 140 is not checked even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operation device 200 . The preset rang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range and may be set to various ranges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차량(100)이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이 되면, 차량(100)은 원격 조작 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램프(140)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한다. (S400, S50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00 is in a stopped state, the vehicle 100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operates the lamp 140 in a manner that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lamp 140 based on this. check whether (S400, S500)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원격 조작 장치(200)와 램프(140)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램프(1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ehicle 100 may perform an inspection that the lamp 140 is operating normally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lamp 140 .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00)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가 차량(100)의 전방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검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100)의 왼쪽 전조등(11L)의 점멸을 먼저 시작한 후, 오른쪽 전조등(11R)의 점멸을 시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of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200 carried by the user 300 has moved from the front left to the right of the vehicle 100, the user can more easily inspect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100 , the left headlight 11L of the vehicle 100 may start blinking first, and then the right headlamp 11R may start blinking.

또한,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00)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가 차량(100)의 후방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검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100)의 왼쪽 후진등(19L)의 점멸을 먼저 시작한 후, 오른쪽 후진등(19R)의 점멸을 시작할 수 있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 9 ,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rried by the user 300 has moved from the rear left to the right of the vehicle 100 , the user can more easily check whether In order to confirm , the left reversing light 19L of the vehicle 100 may start blinking first, and then the right reversing light 19R may start blinking.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에 마련된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지되는 원격 조작 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램프(140)의 검사 순서를 다르게 제어하므로, 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That is, in the method of inspecting whether the lamp 140 provided in the vehicle 100 operates in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amp 140 is located on the basis of the sens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Since the inspection order is controlled different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more easily inspect whether the lamp 140 is operating.

다시 도6으로 돌아와서, 램프(140)의 작동 여부 검사를 수행한 후, 검사 정지 조건을 만족한 경우 램프 점멸의 제어를 종료함으로써, 검사를 중지할 수 있다. (S500, S600)Returning again to FIG. 6 ,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check of the lamp 140 , when the test stop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 of the lamp blinking is terminated, so that the test can be stopped. (S500, S600)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검사를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더 이상 사용자가 검사를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검사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검사 중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량(100)의 도어가 잠긴 경우, 검사를 중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inspection of the vehicle 100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100 ,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performs the inspection and the inspection can be stopped Also, when a test sto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the door of the vehicle 100 is locked, the test may be stopped.

지금까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So far, the vehicle 100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함에 있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률적으로 검사 여부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였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user cannot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lamp is operating in a vehicle becaus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uniform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원격 조작 장치(200)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램프(140)의 작동 여부를 검사를 수행하므로, 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100)의 램프(14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However, since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hecks whether the lamp 140 is in oper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user can more easily use the lamp 140 of the vehicle 100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s operating normally.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차량
110: 감지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램프
150: 제어부
100: vehicle
110: sensing unit
120: communication department
130: storage
140: lamp
150: control unit

Claims (20)

적어도 하나의 램프;
원격 조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상기 램프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상기 램프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되,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대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차량.
at least one lamp;
a sens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etects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exists within a preset range and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lamp oper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 control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ased on the sensed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unit, but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lamp to check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A vehicle that checks whether the lamps are operated in the order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 검사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checks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according to a preset seque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checks whether the lamp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멸하거나 상기 램프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inspects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y blinking the lamp or changing an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미등, 정지등, 후진등 및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lamp is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urn signal light, a tail light, a stop light, a reversing light, and a daytime running light (DR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가변형 전조등 방식(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으로 작동되는 차량.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dlights are
Vehicles operated by the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검사 중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가 변경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변경이 된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stops the inspection when receiving an inspection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when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or the vehicle is changed from a stopped state to a driving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를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긴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The vehicle stops the inspection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inspection,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or when a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상기 램프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지된 상기 원격 조작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상기 램프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되, 상기 원격 조작 장치와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대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lamp,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remote manipulation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lamp oper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ased on the sens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nd examin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lamp, and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in an order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inspect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set ord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nd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를 점멸하거나 상기 램프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nd examin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ed by blinking the lamp or changing an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mp.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미등, 정지등, 후진등 및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amp is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urn signal light, a tail light, a stop light, a reversing light, and a daytime running light (DR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가변형 전조등 방식(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으로 작동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headlights are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operated by the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L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검사 중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가 변경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변경이 된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nd stopping the inspection when receiving an inspection stop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hanging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or changing from a stopped state to a driving sta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를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긴 경우, 상기 검사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lamp is operating is,
and stopping the inspection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inspec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or the door of the vehicle is locked.
KR1020170161136A 2017-11-29 2017-11-29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84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36A KR102384151B1 (en) 2017-11-29 2017-11-29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36A KR102384151B1 (en) 2017-11-29 2017-11-29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85A KR20190062685A (en) 2019-06-07
KR102384151B1 true KR102384151B1 (en) 2022-04-08

Family

ID=6684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136A KR102384151B1 (en) 2017-11-29 2017-11-29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1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839A (en)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KR101509947B1 (en) * 2013-10-2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of Rear La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186A (en) * 2002-08-01 2004-0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firming Damaged Lamp of Vehicle Using Remote Control Switch
KR101438445B1 (en) * 2012-12-20 2014-09-0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for operating lamp using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55622A (en) * 2014-11-10 2016-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diagnosing the failure of lamp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839A (en)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KR101509947B1 (en) * 2013-10-2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of Rea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85A (en)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4470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36905B2 (en) System for causing garage door opener to open garage door and method
US1073225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5514B1 (en) A vehicle and vehicle system
KR102491371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6027505B2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10184243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79998A (en) O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KR102578196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429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daptively controlling lamp
US10078932B2 (en) 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90135124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488706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84151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RU2680370C2 (en) Definition of a trunk button location for end user
KR10248995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5245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46063A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KR20180067844A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5578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87769A (en) Lighting system and on-vehicle device
KR102504474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