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736A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736A
KR20180045736A KR1020160140440A KR20160140440A KR20180045736A KR 20180045736 A KR20180045736 A KR 20180045736A KR 1020160140440 A KR1020160140440 A KR 1020160140440A KR 20160140440 A KR20160140440 A KR 20160140440A KR 20180045736 A KR20180045736 A KR 2018004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ssenger
sharing group
content sharing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5633B1 (en
Inventor
고경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14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33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4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 H04N21/2146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located in mass transportation means, e.g. aircraft, train or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by using a passenger device in an aircraf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using a passenger device in an aircraft, the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by referring to boarding information of a passenger, authenticating whether the passenger may validly board an aircraft or not; in a range in which exchanging content with one another is available, dynamically creating a content sharing group including a device possessed by at least one said authenticated passenger; and according to a content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llowing content owned by a first device which is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which is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Description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Desc / Clms Page number 1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DITION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본 발명은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occupant device in an aircraft.

근래에 들어, 항공사들은 탑승자들이 항공기 내에서 긴 운항시간 동안 느끼는 지루함,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기내 멀티미디어 저장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축하여 영화, 방송, 음악 등을 제공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irlines have provided in-flight multimedia storage servers and display devices to provide movies, broadcasts, and music in order to relieve the boredom and fatigue that passengers experience during long flight hours on the aircraft.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599540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승객의 고유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한 후 획득된 승객의 고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승객 각자의 좌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승객 각자의 조건에 맞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을 선별적으로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하는 항공기 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승객 맞춤형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기술이 제공된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599540 is exemplified.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the unique information of a passenger is automatically recogniz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nsor network terminal, A passenger-customized media service system technology using a sensor network in an airplane that enables to selectively receive and view only multimedia contents meeting the condition of each passenger through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each passenger's seat is provided.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항공기 내 좌석마다 콘텐츠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별도의 콘텐츠 저장 서버를 구축하여야 되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there has been a limit in that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for each seat in an airplane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or a separate content storage server must be constructed.

이에 본 발명자는, 항공기 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콘텐츠 저장 서버 구축 없이 항공기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탑승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propose a technique of providing content to a passenger using an airplane occupant device without constructing a separate display device or a content storage server in the airplan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항공기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an airplane occupant to certify whether or not a passenger can effectively board the aircraft, and includes a device possesse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occupant within a range where contents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sharing group is dynamically generated and the contents held by the first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s sharing group are included in the contents sharing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s sharing group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ereby providing contents using the occupant device in the aircraf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occupant device in an aircraf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occupant is able to board the aircraft eff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occupant's boarding information; Dynamically creating a content sharing group including a device possesse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occupant within a range that allows content to be exchanged, and generating content from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nd causing a content held by a first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ccording to the sharing reque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부,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공유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콘텐츠 전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occupant device in an aircraft, the system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authenticate whether or not the occupant can effectively board the aircraft, A management section for dynamically creating a content sharing group including devices possesse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occupant within a range where contents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And a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content held by a first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a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ccording to a content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the device of the content sharing group do.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non-transitory computer program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 탑승자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항공기 좌석마다 콘텐츠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는 것 없이,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통해 탑승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 to the passenger through the passenger device in the aircraft without installing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for each seat of the aircraft, by using the device of the airplane occupant, The effect is gene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 탑승자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항공기 내에 별도의 콘텐츠 저장 서버 구축 없이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통해 탑승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can be provided on board the aircraft by using the device of the occupant of the airpla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s to the passenger through the passenger device in the airplane without constructing a separate content storage server in the airplan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passenger device 200 in an air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using an occupant device 200 in an air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passenger device 200 in an air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00, a passenger device 200, and the lik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configured without regard to communication modes such as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a LAN (Local Area Network), a Metropolitan Area Network),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like.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ferred to herein may be the well-known Internet or World Wide Web (WWW).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include, at least in part, a known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or a known wire /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광 통신망으로서, 라이파이(LiFi, Light Fidelity)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a WiFi-Direct communication,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a Bluetooth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Bluetooth low energy (BLE)),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t least in part, by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LiFi (Light Fidelity)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는 탑승자가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피디에이(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로서 채택될 수 있다.Next, a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allowing a passenger to communic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a desktop computer, Any number of digital devices having memory means such as a 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는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통신망(100)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탑승자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20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Lastly, the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and verifie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can effectively board the aircraft, ) Dynamically creates a content sharing group that includes at least one device (200) having at least one authenticated passenger within the range of the content sharing group, and in response to a content sharing request originating from at least one device (200) , And to transmit the content held by the first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the second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occupant device 200, this description is exemplar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components required of the occupant device 200 may be realized within the other occupant device 20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included within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디바이스(2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 또는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 device 200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supporting a function of providing or receiving a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n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nother passenger device 200 or from an external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not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odule are gener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and the control unit 250 of the passenger device 200 Can be similar. Here, the application may be replaced with a hardware device or a firmware device, at least some of which can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or equivalent functions as necessary.

탑승자 Passenger 디바이스(200)의The device 200 구성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ccupant device 200 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탑승자 디바이스(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2, the passenger device 200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a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a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 communication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5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the communication unit 240, Lt; / RTI > Such a program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occupant device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or other program module,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well-known storage devices. Such a program module may also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ccupant device 200. [ Such program modules, on the other hand, encompass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관리부(210)는 항공기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탑승자에는 항공기를 탑승하는 승객뿐만 아니라 기장, 승무원 등 항공기 내 탑승하는 모든 사람이 포함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can perform a function of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a passenger can effectively board an aircraft by referr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an airplane occupant. The above passengers may include not only the passengers on board the aircraft, but also all persons boarding the aircraft, such as captains and crew.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관리부(210)는 항공기 탑승자가 탑승권 바코드를 촬영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탑승 정보를 입력하면, 탑승자가 탑승 정보에 매칭되는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기 탑승 정보에는 성명, 항공기 편명, 항공사, 출발지, 목적지, 좌석번호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 관리부(210)는 항공기 내 초지향성 스피커에서 발생시키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탑승자가 항공기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초지향성 스피커에서 항공기 편명, 항공기 좌석 등 식별 번호가 포함된 초음파 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증 관리부(210)는 위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위의 식별 번호와 탑승자가 입력한 탑승 정보를 비교하여 탑승자가 항공기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pant of the airplane photographs the boarding pass barcode or inputs the boarding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boarding passenger effectively board the airplane matching the boarding information You can verify whether you can do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an aircraft name, an airline, a departure location, a destination, and a seat number.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may authenticate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boarded the aircraft by receiving ultrasonic signals generated from the supergain speaker in the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sound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n airplane flight name, an aircraft seat,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in the supergain speaker.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receives the ultrasound signal The identification number above can be compared with the boarding information entered by the passenger to verify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boarded the aircraft.

한편,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를 인증하는 일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바코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및 초지향성 스피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탑승자가 해당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다양한 인증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승자의 체크카드, 신용카드, 공인인증서 등 탑승자의 신원 확인이 가능한 수단을 통해 탑승자의 항공기 탑승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While som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for authenticating passengers within an aircraf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ar codes, certain applications, and super-directional speakers,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can be used to authenticate whether or not the aircraft can be effectively boarded on the aircraft.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an occupant through a means capable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passenger such as a check card, a credit card, and an official certificate of an occupant, You can authenticate whether or no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그룹 관리부(220)는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통신망(100)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200 owne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passenger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100 capable of exchanging contents with each other And a function of dynamically generating a content sharing group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200) 간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 내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200)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디바이스(200)들과 콘텐츠 공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무선 주파수(RF), NFC,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지그비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or receive content between devices 200 owned by one or more authenticated passengers. In this case, Search for the devices 200 owned by the occupant, and create a content sharing group with the searched devices 200.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infrared, radio frequency (RF), NFC, WiFi, WiFi-Direct, and ZigBe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200) 상호 간에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to allow content to be provided between the devices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20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manages, in accordance with a content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nd to transmit the content held by the second device 200 to the second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200) 프로파일 정보(운영체제, 영상재생을 위한 보유 코덱(Codec) 등 기기와 연관된 정보), 보유 중인 콘텐츠 목록 및 보유 중인 콘텐츠 메타정보(콘텐츠의 이미지, 파일명, 파일종류, 재생시간 등 포함)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된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device profile information (operating system, a codec for playback of video, and the like) from at least one passenger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cquiring at least one of a content list and a content meta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of the content, a file name, a file type, a playback time, and the like) hel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획득한 디바이스(200) 프로파일 정보(운영체제, 기기정보, 영상음성 보유 코덱(Codec) 정보 등 포함)를 참조하여, 전송될 콘텐츠가 해당 콘텐츠를 전송받을 탑승자 디바이스(2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콘텐츠를 전송받을 탑승자 디바이스(2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evice profile information (operating system, device information, Codec (Codec), etc.) acquired from at least one passenger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 Information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has a form that can be used in the passenger device 200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and if necessary, the passenger device 200,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format that can b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디바이스(200)가 보유 중인 콘텐츠를 전송받은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가 콘텐츠 공유 그룹에서 이탈된 경우, 이탈된 탑승자 디바이스(200)가 전송받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occupant devices 200, which have received the content held by at least one occupant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arting passenger device 200 from using the received content.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제1 디바이스(2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시간으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고, 전송된 콘텐츠가 재생 후 실시간으로 자동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가 제1 디바이스(2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가 콘텐츠 공유 그룹에서 이탈하거나 콘텐츠 이용을 완료할 경우, 제2 디바이스가 해당 콘텐츠 공유 그룹을 통하여 제공 받았던 콘텐츠가 제2 디바이스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200)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 콘텐츠를 전송 시, 콘텐츠를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으로 보호하여, 콘텐츠를 제공한 제1 디바이스(200)가 포함된 콘텐츠 공유 그룹에 제2 디바이스(200)가 포함되어 있는 동안에만 전송받은 해당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content from the first device 200 to the second device 200 in a streaming manner. In this case, So that the transmitted content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in real time after playback. 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may transmit the content from the first device 200 to the second device 200 in a downloading manner. When the second device 200 leaves the content sharing group or completes the use of the content , The content that the second device has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sharing group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from the second device. When content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device 200 to the second device 200, the content is protected by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the content is stored in a content sharing group including the first device 200 providing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tted only while the second device 200 is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디바이스(200)는 탑승자 디바이스(200) 간 콘텐츠 업로드/다운로드 시 각 디바이스(200)를 소지하고 있는 탑승자의 포인트를 제공/차감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asseng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 management unit (not shown) for providing / deducting the occupant's point holding each device 200 when contents are uploaded / downloaded between the occupant devices 20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포인트 관리부(미도시됨)는 인증된 탑승자의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200)가 보유 중인 콘텐츠가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경우에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디바이스(200)를 소지(또는 소유)하고 있는 탑승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제2 디바이스(200)를 소지하고 있는 탑승자로부터 포인트를 차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를 소지하고 있는 탑승자가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포인트 차감을 대신하여, 설문조사, 광고시청 등을 제공하거나 소정의 금액을 지불토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int management unit (not shown) may perform the function of managing the point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ed passenger, and when the content held by the first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00 A point can be provided to a passenger holding (or possessing) the first device 200 providing the content, and a function of subtracting a point from the passenger holding the second device 200 receiving the content can do. 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holding the second device 200 lacks a point for receiving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rvey, advertisement viewing, or pay a predetermined amount instead of subtracting the poi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탑승자의 탑승 정보, 탑승자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되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탑승자의 콘텐츠 이용 습관/성향, 목적지(국가, 도시 등)별 인기 콘텐츠 정보(예를 들면, 목적지 별 탑승자들이 다수 이용한 콘텐츠), 탑승자의 국적/ 연령/운항시간별 관심 콘텐츠 등이 포함된 탑승자의 콘텐츠 활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manages the occupant's boarding information, (For example, content used by a plurality of occupants per destination), occupant information (for example, content used by a plurality of passengers by destination)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contents transmitted to the occupant device 200,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ncluding the contents of interest by nationality / age / flight time of the passenger can be extrac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전술한 탑승자의 콘텐츠 활용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콘텐츠 활용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탑승자 디바이스(200)가 보유 중인 콘텐츠 목록 정보 또는 콘텐츠 메타 정보 중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에게 전송될 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콘텐츠 활용 정보 또는 콘텐츠 활용 패턴을 참조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can learn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may be referred to in se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ssenger devices 200 out of the content list information or the content meta information held by the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20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목록 또는 보유 콘텐츠 메타 정보를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탑승자의 콘텐츠 활용 정보 및 콘텐츠 활용 패턴을 참조하여, 제2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탑승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의 목록 또는 콘텐츠 메타정보를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list or the content meta information held by the first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provide the list of contents or the content meta information preferred by the passenger possessing the second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of the passenger possessing the second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전술한 콘텐츠 활용 정보 또는 콘텐츠 활용 패턴을 참조하여,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맞춤형 타겟 광고(예를 들면, 취항 도시별 광고 또는 탑승자의 국적/연령별 관심 기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타겟 광고 제공은 탑승자 디바이스(200) 간 콘텐츠 제공 시, 제공되는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 소정의 시간 동안 광고를 시청한 이후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맞춤형 타겟 광고 단가 책정 시, 타겟률에 비례하여 타겟 광고 단가를 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refers to the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customized target advertisement (for example, National interest / age-based interest-based advertising).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the customized target advertisement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of inserting the advertisement into the provided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after watching the advertis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providing the content between the passenger devices 200,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setting the customized target ad unit price, the target ad unit price can be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target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전술한 콘텐츠 활용 정보 또는 콘텐츠 활용 패턴을 참조하여, 국적/연령별 콘텐츠 라이선스 비용, 콘텐츠 용량 요금(CP, Capacity Payment) 등이 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콘텐츠 제공 시, 위의 국적/연령별 콘텐츠 라이선스 비용 또는 콘텐츠 용량 요금(CP, Capacity Payment)이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산정된 정보가 콘텐츠 수출/제작을 위한 콘텐츠의 장르/종류/제작방향 결정 등에 활용(예를 들어, 인기 콘텐츠 장르, 국적/연령별 탑승자의 콘텐츠 선호도를 고려한 제작/수출할 콘텐츠 장르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refers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to calculate the content license fee, the content capacity fee (CP), etc. according to nationality / .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ent license fee or the content capacity fee (CP, Capacity) to the passenger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Payment can be utiliz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calculated information may be used for determining genre / kind / production direction of contents for export / production of contents (for example, contents popularity of popular contents genre, nationality / The content genre to be produced / expor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ty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는 전술한 콘텐츠 활용 정보 또는 콘텐츠 활용 패턴을 참조하여, 탑승자의 관광 통계 모수 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may refer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utilization pattern so that the tourist statistical parameter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may be acquir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40)는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및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40 performs a function of enabl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o / from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인증 관리부(210), 공유 그룹 관리부(220), 콘텐츠 전송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sharing group management unit 220,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ta flow from / to the outside of the passenger device 200 or the data flow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assenger device 200 so that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using an occupant device 200 in an aircra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200) 간 콘텐츠를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is assumed that contents are provided between passenger devices 200 in an aircra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디바이스(200) 간에 콘텐츠를 제공되기 위한 콘텐츠 공유 그룹이 생성되고,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탑승자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200) 프로파일, 보유 중인 콘텐츠 목록 및 보유 중인 콘텐츠 메타정보가 추출되어,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200)에 제공될 수 있다. 위의 제공된 콘텐츠 목록 또는 메타정보가 참조되어, 제1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로부터 제2 탑승자 디바이스(200c)가 보유 중인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발생하면, 위의 요청된 콘텐츠가 제2 탑승자 디바이스(200c)에서 제1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sharing group for providing content between passenger devices 200 is created, and the profile of the device 200 of the occupant device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he held content meta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other passenger devices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When the sharing request for the content held by the second occupant device 200c occurs from the first occupant device 200a or 200b with reference to the provided content list or meta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200c to the first occupant device 200a, 200b.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00a)는 아이오에스(iOS, iPhone OS)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스마트 기기이고, 디바이스(200b)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Windows) 또는 애플 맥(MAC)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노트북이며, 디바이스(200c)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가 디바이스(200b)를 가상의 서버로 설정함으로써, 디바이스(200b)를 중심으로 디바이스(200a, 200b, 200c) 간 콘텐츠 공유 그룹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바이스(200b)가 보유 중인 콘텐츠에 대한 디바이스(200a, 200c)의 콘텐츠 공유 요청이 발생하면, 위의 요청된 콘텐츠가 디바이스(200b)에서 디바이스(200a, 200c)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200a is a smart device driven by an iOS (OS) operating system and the device 200b is a smart device driven by a Microsoft Windows or an Apple Mac operating system And the device 200c may be a smart device driven by an Android operating system. In this case, by setting the device 200b as a virtual server, a content sharing group between the devices 200a, 200b, and 200c can be created centering on the device 200b. 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sharing request of the devices 200a and 200c for the content being held occurs, the above requested conten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200b to the devices 200a and 200c.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디바이스(2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 디바이스(200) 간 콘텐츠 공유 그룹을 빠르게 생성하기 위해 항공기 탑승 정보에 포함된 탑승자의 좌석 위치를 참조하여,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한 디바이스(200)를 콘텐츠 공유 그룹의 오너(WiFi-Direct 통신 그룹 오너)로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ssenger device 200 can transmit or receive contents using WiFi-Direct communica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quickly create a content sharing group between the passenger devices 200, referring to the seat position of the passenger included in the airplane boarding information, one of the at least one devices 200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 As the owner of the content sharing group (WiFi-Direct communication group own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 200c)의 탑승 정보를 통해 탑승자 좌석 위치(도 3에 도시된 항공기 좌석 위치를 참조하면,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 200c)를 소지한 각 탑승자의 좌석 위치는 F02좌석(200a), B17좌석(200b) 및 C31좌석(200c)일 수 있다.)를 획득하고,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 200c) 간 통신 거리를 고려하여, 각 탑승자 디바이스(200a, 200b, 200c) 간 통신 거리가 가장 짧은 탑승자 디바이스(200b)를 콘텐츠 공유 그룹의 오너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occupant seat position (the seat position of the airplane shown in FIG. 3), the passenger devices 200a, 200b, 200c 200b, and C31 seat 200c) of the occupant devices 200a, 200b, 200c,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 devices 200a, 200b, 200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occupant device 200b having the shortest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occupant devices 200a, 200b and 200c can be determined as the owner of the contents sharing group.

이상에서는, 항공기 탑승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항공기 내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항공기 내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비행 탑승 전에도(예를 들면, 항공기 탑승권 소지하고, 비행기 탑승시간이 남아 대기 중인 경우) 얼마든지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Alth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inly provide an example of providing contents in an airplane using the airplane occupant device 2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 airplane, and a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holding an airline boarding pass and waiting for boarding time) within the airplan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

100: 통신망
200: 탑승자 디바이스
210: 인증 관리부
220: 공유 그룹 관리부
230: 콘텐츠 전송 관리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100: Network
200: passenger device
210:
220: Shared group management unit
230: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240:
250:

Claims (7)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occupant device within an aircraft,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able to board the aircraft effectively by referr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Dynamically creating a content sharing group that includes devices owne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passenger within a range that allows content to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and
Wherein the content sharing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ent held by a first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a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ccording to a content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step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는,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 내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generating step,
Wherein the range in which the content is exchangeable is with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고, 탑승 정보에 포함된 탑승자의 좌석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한 디바이스를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의 오너로서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generating step,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ransmits or receives content using WiFi-Direct communication, refers to a seat position of a passenger included in the boarding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ny one of at least one device as the owner of the content sharing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이 생성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보유 콘텐츠 목록 및 보유 콘텐츠 메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콘텐츠 공유 그룹 내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ent sharing group is create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profile, a held content list, and held content meta information of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another device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소지하는 탑승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디바이스를 소지하는 탑승자로부터 포인트를 차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viding a point to a passenger holding a device providing the content, and subtracting a point from the passenger holding the device receiving the content
≪ / RTI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항공기 내에서 탑승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탑승자가 항공기에 유효하게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부,
상호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증된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그룹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공유 그룹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디바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그룹에 포함되는 제2 디바이스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콘텐츠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n occupant device within an aircraft,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for referring to the boarding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o certify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can board the aircraft effectively,
A shared group management unit that dynamically generates a content sharing group including devices held by at least one authenticated occupant within a range where content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tent sharing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ent held by a first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o a second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according to a content sharing reques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tent sharing group The content transmission management unit
/ RTI >
KR1020160140440A 2016-10-26 2016-10-26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KR101925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40A KR101925633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40A KR101925633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36A true KR20180045736A (en) 2018-05-04
KR101925633B1 KR101925633B1 (en) 2018-12-05

Family

ID=6219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440A KR101925633B1 (en) 2016-10-26 2016-10-26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578A (en) * 2020-03-18 2022-11-25 비아셋, 인크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light communication sess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615A (en) * 2002-07-31 2004-02-26 Uniden Corp Radio terminal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0510696A (en) * 2006-10-20 2010-04-02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Sharing multimedia content in peer-to-peer configurations
KR101648807B1 (en) * 2014-05-15 2016-08-18 (주)아비츠 커뮤니케이션즈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using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736B2 (en) * 2010-01-29 2012-02-22 株式会社 SmartEbook.com Content sharing system and content shar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615A (en) * 2002-07-31 2004-02-26 Uniden Corp Radio terminal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0510696A (en) * 2006-10-20 2010-04-02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Sharing multimedia content in peer-to-peer configurations
KR101648807B1 (en) * 2014-05-15 2016-08-18 (주)아비츠 커뮤니케이션즈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using user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883736호(2012.02.22.)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578A (en) * 2020-03-18 2022-11-25 비아셋, 인크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light communication se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633B1 (en)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590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10111025B2 (en)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139146A1 (en) Drone based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apturing images
EP33846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factor authentication
US9741022B2 (en) Parental controls
US9898881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20150248640A1 (en) 3d model and beacon for automatic delivery of goods
US20140094143A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itons
CN107798362B (en) Localized positioning using communication tags
US10210494B2 (en) Providing content to a target network that has insufficient connectivity to a source network
EP2648386A1 (en)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8400B1 (en) Beacon-bas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market service for passenger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N105893454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providing content to users located within virtual perimeter
US88495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vehicular advertising
US201401725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KR20150144774A (en) Remote user interface for self-service computing device
EP2770787B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EP3139319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70068959A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1079034A (en) Shared navigation implementat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equipment
JP6463833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ny one of NFC device and beacon and telephone number
JP690706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11934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ones as a service
KR101925633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ents in airplane by using personal devices
US10990905B2 (en) Location-based ticket rede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