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624A -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624A
KR20180029624A KR1020160117940A KR20160117940A KR20180029624A KR 20180029624 A KR20180029624 A KR 20180029624A KR 1020160117940 A KR1020160117940 A KR 1020160117940A KR 20160117940 A KR20160117940 A KR 20160117940A KR 20180029624 A KR20180029624 A KR 20180029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user terminals
streams
solution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8557B1 (en
Inventor
고영채
권재홍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57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6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based on a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ype, which comprises: a step of transmitting a pilot signal to a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that require data transmission within coverage; a step of receiving feedback on partial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lot signal by candidate user terminal; a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by candidate user terminal; a step of calculating an optimal solution of an energy efficiency function that optimizes the number of streams and the value of transmission power respectively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s; and a step of transmitting streams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by applying the number of streams and the value of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In additi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includes the index of beamforming,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ize of interference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ignal while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ize of interference by user terminal are calculated based on a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by using the pilot signal. Therefore, a device and the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can optimize energy efficiency when performing random unitary beamforming based on a multi-user MIMO type.

Description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방식에서의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dom unit beamform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ulti-user multi-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출력 브로드캐스트 채널(MIMO Broadcast Channels)을 통해 다중사용자에게 신호를 송신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to multiple users through MIMO Broadcast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Multi-user MIMO) 기술은 기존의 다중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기술에서 발전된 형태로서, 동일 자원(즉, 같은 주파수 및 시간 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각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법이다.Multi-user MIMO (Multi-User MIMO) is a type of multi-input multiple output (MIMO) technology that allows multiple users to share desired data in the same resource This is a communication technique that enables high data rate to be achieved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이러한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내 사용자 간 협력(cooperation)이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 간 간섭이 크게 증가하여 각 사용자들의 수신 신호 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또는 액세스포인트 등)은 베이스밴드에서 사용자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사용자들의 수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최대화 시키는 방향으로 빔포밍 벡터를 다운링크 신호에 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빔포밍(Digital 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In a multi-user multi-input / 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re is no cooperation among users in a cell, inter-user interference greatly increases,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a received signal of each user is greatly reduced. To solve this problem, the base station (or access point, etc.) multiplies the downlink signal by the beamforming vector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users in the baseband and maximizing the received signal-to-noise ratio (SNR) A digital beamforming technique for transmitting a signal is applied.

종래의 대부분의 빔포밍 기술들(예: 제로포싱 빔포밍 (zeroforcing beamforming) 및 DPC-BF(Dirty Paper Coding-Beamforming) 등)은, 기지국에서 각 사용자들로부터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되 모든 채널 정보(full Channel State Information, full CSI)를 아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기법이 일반적이었다.Most conventional beamforming techniques (e.g., zeroforcing beamforming and DPC-BF (Dirty-Paper Coding-Beamforming), etc.) receive channel information from each user at the base sta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full CSI).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빔포밍 기법들은 많은 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거대배열 다중입출력(massive MIMO) 시스템이나 또는 셀(즉, 커버리지) 안에 많은 숫자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요구되는 피드백량의 증가로 인해 지연(delay)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beamforming schemes are not suitable for massive MIMO systems using a large number of antennas or in a situation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exist in a cell (i.e., coverage) a problem such as delay has occurr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random unitary beamforming) 기법이 개발되었다.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기술은 다른 빔포밍 기술과 다르게 각 사용자마다 모든 채널 정보가 아닌 부분적인 채널 정보(partial CSI)만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도록 하여 피드백량을 줄이고 동시에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Random unitary beamforming technique can feed 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partial CSI) not only to all channel information but partial CSI for each user differently from other beamforming techniques, thereby reducing feedback amount and achieving high data transmission rate at the same tim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7157호(발명의 명칭: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유니터리 프리코딩 장치 및 방법)는,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간섭 신호들을 제거하면서 전송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니터리 행렬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니터리 행렬을 프리코딩 시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7157 (entitled " unit preco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ulti-user multi-antenna system ") is used in a multi-user multi- A technique for generating a unitary matrix for improving transmission capacity while eliminating interference signals and using the generated unitary matrix for precoding is disclosed.

한편, 일반적으로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너지 효율성(energy efficiency)은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과 더불어 중요한 성능 평가 지표이다.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스케줄링 및 전력 할당 기술이 필요하다.Meanwhi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input / output antenna technology, energy efficiency is an importan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n addition to spectral efficiency. Random unitary beamforming systems also requir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techniques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is energy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 시킬수 있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optimize energy efficiency in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based on multi-user multi-input / outpu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based on a multi-user multi-input / output (I / O)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via the antenna; An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rogram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An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응하여,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부분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의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전력의 값을 각각 최적화하는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해에 따른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로 스트림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분 채널 정보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 신호 크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별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 신호 크기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이다.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transmits a pilot signal to a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esting reception of a signal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cludes partial channel information as a response thereto To select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feed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and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 RTI ID = 0.0 > And transmits the stream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by applying the stream number and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Herei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includes an index of a beamforming vector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ignal, a received signal magnitude, and an interference signal magnitude, and the received signal magnitude and the interference signal magnitude for each user terminal are determined using the pilot signal And is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은, 커버리지 내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별로 상기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부분 채널 정보를 피드백받는 단계;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별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의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전력의 값을 각각 최적화하는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최적해에 따른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분 채널 정보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포밍 인덱스,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의 크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별 수신 신호의 크기 및 간섭의 크기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method based on multiuser multi input / output, comprising: transmitting a pilot signal to a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within a coverage; Receiving partial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lot signal for each candidate user terminal; Selec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andidate user terminals and calculating an optimal solution of an energy efficiency function for optimizing values of the number of streams and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s ; And transmitting a stream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by applying a stream number and a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In this case,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includes a beamforming index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ignal, a received signal magnitude, and a magnitude of interference, and the magnitude and interferenc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for each user terminal are determined using the pilot signal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중입출력 브로드캐스트 채널 상황에서 다중사용자로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partial CSI)에 기초하여 최적의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채널 별 상태 및 신호 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수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number of streams and a transmission power can be set based on partial CSI fed back to multiple users in a MIMO broadcast channel situation, Can be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number of users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셀 내의 사용자 수가 유동적인 환경에서는 최적의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스트림 개수, 안테나 개수 및 전송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으며, 셀 내 사용자 수가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최적의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안테나 개수 및 전송 전력량을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change the number of streams, the number of antennas, and the amount of transmission power having the optimum energy efficienc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users in a cell is flexibl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number of antennas and transmission power with optimal energy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에 의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ndom unitary beam forming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ndom unitary bea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ndom unitary bea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n effect of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optim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Herein, the term " part " or " module " mean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or software,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ndom unitary bea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10) 상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다중입출력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제공한다. 즉,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100)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되,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 기법을 적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100)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포인트와 같은 통신 장비일 수 있다.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provides a multiple input / output broadcast channel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That is, the random unit beamform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nd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by applying a multi-user MIMO scheme. The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100 may be a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a base station or an access poin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100)가 '기지국'이며, 각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자'라고 지칭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random unit beamforming apparatus 100 is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and each user terminal 200 is referred to as a 'user'.

기지국(100)은 M개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스트림(stream)을 전송하되, 다중입출력 브로드캐스트 채널 상황에서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복수의 사용자(200)들에게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a stream through M antennas and transmits a downlink signal to a plurality of users 200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signal in a MIMO broadcast channel condition.

이때, 기지국(100)은 복수의 사용자(200) 별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받고, 피드백된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할 스트림 개수 및 전체 전송 전력을 최적화 계산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최적화시킨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된 사용자(200)들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처리한 후 해당 사용자(200) 별로 선택한 빔포밍 벡터를 프리코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0 receives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200, and optimizes the number of streams to be transmitted and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feedback result. Then, the base station 100 processes the downlink scheduling for the selected users 200 based on the optimized conditions, precodes the selected beamforming vector for each user 200, and transmits the signal.

사용자 단말(200)들은 각각 기지국(100)과 무선통신하는 장치들로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이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즉, 스트림을 한 개씩 수신하는)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 사용자 단말(200) 별로 구비된 안테나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에 둘 이상의 다운링크 스트림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할 기지국(100)의 에너지 효율성 최적화 문제의 해결 시에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의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하나씩 사용자 단말(200)로 인식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User terminals 200 are devices that are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base station 100, respectively, and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and communication modul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one user terminal 200 has one antenna (that is, one stream is received one by one). Howeve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for each user terminal 200, and accordingly, two or more downlink streams are allocated to one us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in solving the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roblem of the base station 1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and process the plurality of antennas of one user terminal 200 as user terminals 200 one by on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다중입출력 안테나(110), 통신모듈(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2,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a multi-input / output antenna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memory 130, and a processor 140. The multi-

기지국(100)은 M개의 안테나(110)를 갖되, 도 2에서는 4개의 안테나(110)를 통해 4개 이하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예로서 나타내었다.The base station 100 has M antennas 110, and in FIG. 2, four or less streams can be transmitted through four antennas 110 as an example.

통신모듈(120)은 복수의 사용자(200)와 설정된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모듈(120)은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M개의 안테나(1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출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signals to and from a plurality of users 200 in a set communication format.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ransmits a downlink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 antennas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40.

메모리(130)에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메모리(130)에 저장된 에너지 효율 최적화 프로그램은, 다운링크 신호 전송 시 최적화된 스트림 개수 및 전체 전송 전력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프로그램, 및 설정된 최적화 조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들의 다운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개로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130 stores an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rogram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At this time, the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 includes a program for adaptively changing and setting the number of streams and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that are optimiz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signal, and a program for optimizing the downlink signal And programs for scheduling and sending are stored in a single or a plurality of program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참고로, 메모리(1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memory 13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keep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no power is supplied,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maintain stored information.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에 따른 처리들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14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performs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ogram.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100)의 프로세서(140)가 에너지 효율이 최적화된 다운링크 신호 전송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process of a processor 140 of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process of processing energy-efficient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ndom unitary bea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기지국(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커버리지(즉, 셀 또는 무선통신 가능 거리) 내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복수의 사용자(이하, "후보 사용자"라고 지칭함)(200)를 검출한다(S301).First, a plurality of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ndidate users") 200 requesting signal transmission within the coverage (that is, the cell or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or access point) 100 are detected (S301 ).

다음으로, 검출된 복수의 후보 사용자 수(이하, "K" 라고 함)에 기초하여 통계적으로 에너지 효율성이 최대인 스트림 개수(이하, "N"이라고 함) 및 전송 전력량(이하, "P"라고 함)을 산출한다(S302).Next, based on the detected number of candidate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K"), the number of stre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 ") and the amount of transmitted power Is calculated (S302).

그런 다음, 산출된 스트림 개수에 기반하여 N*N의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를 생성한다(S303).Then, a random unitary matrix of N * N is generated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streams (S303).

이러한 N*N의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를 사용자 별로 전송하여 사전에 각 사용자들과 공유한다.The N * N random unitary matrix is transmitted for each user and is shared with each user in advance.

다음으로, 후보 사용자(200)들에게 각각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S304), 이에 따라 각 후보 사용자(200)들로부터 부분적인 채널 상태 정보(이하, "부분 채널 상태 정보"라고 지칭함)를 피드백받는다(S305).Next, pilot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candidate users 200 (S304), and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fed back from each of the candidate users 200 (S305).

참고로, 부분 채널 상태 정보는, 다운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모든 종류의 채널 상태 정보 중 기설정된 소정의 종류의 채널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분 채널 상태 정보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유니터리 매트릭스의 컬럼 벡터 중 어느 하나(즉, 빔포밍 벡터)의 정보인 빔포밍 인덱스 및,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에 따른 수신 신호의 크기와 다른 사용자의 수신 신호에 따른 간섭의 크기가 사용된다.For reference, the partial 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s to a predetermined type of channel status information among all kinds of channel status information set in advance for measuring the downlink channel stat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a beamforming index, which is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column vectors of a unitary matrix to be used by a user (i.e., a beamforming vector), and a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and the magnitude of the interference according to another user's received signal.

이러한 부분 채널 상태 정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artial channel status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K개의 사용자가 각각 단일 안테나를 가지며, 하나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스트림이 할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100)은 M개의 안테나(110)를 포함하며, 총 N개의 스트림이 송신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에서 기지국(100)의 전송신호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의 개수 N은 안테나 개수 M 이하이다.First,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K users has a single antenna, and one stream is allocated to one user.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M antennas 110 and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0 in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system in which a total of N streams are transmitted can be defined as Equation (1). At this time, the number N of stream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M of antennas.

<수학식 1>&Quot; (1) &quo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때, sj 및 fj는 각각 j번째 선택된 사용자(즉, 스트림)에 할당된 데이터 심볼과 빔포밍 벡터이다. 이러한 전송신호는

Figure pat00002
의 전력 제한을 갖는다.At this time, s j And f j are data symbols and beamforming vectors assigned to the jth selected user (i.e., stream), respectively. This transmission signal
Figure pat00002
Lt; / RTI &gt;

그리고 i번째 사용자가 수신하는 신호(즉, 수신 신호 yi)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The signal received by the i-th user (i.e., the received signal y i )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때, hi=[hi1, hi2,..., hiN]인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 벡터(Rayleigh fading channel vector)로 모델링하며, ni는 N0를 분산값(spectral density)으로 갖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다. 그리고

Figure pat00004
는 i번째 사용자가 받아야 할 신호이며,
Figure pat00005
는 다른 사용자에게 보낸 신호가 i번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이다.At this time, a Rayleigh fading channel vector with h i = [h i1 , h i2 , ..., h iN ] is modeled, and n i is a white color having N 0 as a spectral density Gaussian noise. And
Figure pat00004
Is the signal to be received by the i-th user,
Figure pat00005
Is the interference of the signal sent to the other user to the i-th user.

기지국(100)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선택(user selection) 및 스케쥴링(user scheduling)을 위하여, 사용자 별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NR)를 사용한다.The processor 140 of the base station 100 uses a user-specific 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 (SINR) for user selection and scheduling.

i 번째 사용자의 SINR(즉,

Figure pat00006
)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The SINR of the i-th user (i.e.,
Figure pat00006
)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이때,

Figure pat00008
는 신호대잡음비(SNR)로서
Figure pat00009
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10
는 i번째 사용자가 수신할 신호의 크기로서
Figure pat00011
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12
는 i번째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신호의 크기로서
Figure pat00013
로 정의된다. 그리고, W는 시스템의 대역폭이다.At this time,
Figure pat00008
(SNR) as a signal-to-noise ratio
Figure pat00009
Lt; / RTI &gt;
Figure pat00010
Is the size of the signal to be received by the i-th user
Figure pat00011
Lt; / RTI &gt;
Figure pat00012
Is the magnitude of the interference signal to the i-th user
Figure pat00013
. And W is the bandwidth of the system.

즉, 사용자(200)가 기지국(100)으로 피드백하는 정보 중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가 위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That is, among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200 feeds back to the base station 100
Figure pat00014
And
Figure pat00015
Can be calculated as above.

다음으로, 사용자(200)는 다운링크 신호 수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빔포밍 벡터 fi로서, 랜덤으로 생성된 유니터리 행렬(random Unitary matrix)인

Figure pat00016
의 컬럼 벡터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유니터리 행렬에서 컬럼 벡터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Next, the user 200 selects, as a beam forming vector f i to be used f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a randomly generated unitary matrix
Figure pat00016
One of the column vectors of FIG. In this case, the criterion for selecting the column vector in the unitary matrix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4).

<수학식 4>&Quot; (4) &quot;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이상에 의해, i번째 사용자(2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파일럿 심볼(pilot symbol)을 전송받은 후, 가장 높은 SINR을 갖는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index)와 해당되는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값을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The i-th user 200 receives the pilot symbol from the base station 100 and then transmits the index of the beamforming vector having the highest SINR to the i-
Figure pat00018
And
Figure pat00019
Value to the base station 100.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모든 사용자 후보로부터 피드백받은 정보(즉,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에 기초하여, 총 N개의 사용자(즉, 전송할 스트림의 개수)를 선택한다(S306).3, the information fed back from all user candidates (i.e., the index of the beamforming vector,
Figure pat00020
And
Figure pat00021
), A total of N users (i.e., the number of streams to be transmitted) is selected (S306).

이때, 기지국(100)의 프로세서(140)는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에 포함된 빔포밍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해당되는 빔포밍 벡터를 할당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of the base station 100 allocates a beamforming vector corresponding to each user based on the beamforming index included in the fed 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단계 (S306)을 통해 선택된 N개의 사용자(200)들 각각의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송 조건을 결정한다(S307).Next, in step S307, a transmission condition for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is determined based on the feed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each of the N users 200 selected in step S306.

이러한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시키는 전송 조건(즉, 최적의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량)을 산출 및 결정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and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i.e., the optimal number of streams and the transmission power) is as follows.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에서 목표하는 성능 즉, 데이터율(achievable data rate)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The target performance in the random unitary beamforming system, that is, the achievable data rate is expressed by Equation (5).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이때, 통계적 특성에 기반하여,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의 평균 데이터율을 의미하는 에르고딕 합 커패시티(ergodic sum capacity)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산출된다.Based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e ergodic sum capacity, which means the average data rate of the random unitary beam forming system, is calculated by Equation (6).

<수학식 6>&Quot; (6) &quot;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수학식 6에서,

Figure pat00024
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인
Figure pat00025
는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In Equation (6)
Figure pat00024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Figure pat00025
Can be derived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수학식 7>&Quot; (7) &quot;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이러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을 의미하는

Figure pat00027
은 "에르고딕 합 커패시티/전력 소모량"으로 정의되며,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이 스트림 개수인 N, 전송 전력량인 P, 사용자의 수인 K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random unitary beam forming system
Figure pat00027
Is defined as "Ergothic sum capacity / power consumption &quot;, and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N as a stream number, P as a transmission power amount, and K as a number of users as shown in Equation (8).

<수학식 8> &Quot; (8) &quot;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수학식 8에서 분모인 전체 전력 소모량의 모델(power consumption model)은 전송 전력 (transmission power)인 P와, 스트림의 개수인 N, 그리고 상수(즉, C)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될 수 있다. 참고로, 전력 소모 모델은 데이터 전송 전력, 회로 사용 전력 및 고정 전력(static power)의 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전송 전력은

Figure pat00029
이며
Figure pat00030
는 기지국(100)의 송신기(미도시)의 전력 증폭 효율(power amplifier efficiency)이다. 그리고 회로 사용 전력은 기지국(100)의 신호 전송 시 각 회로에서 소모되는 전력이며, 고정 전력은 기지국(100)의 시스템 쿨링 및 제어 신호 전송 등에 사용되는 고정된 전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수학식 8의 상수값인 C1, C2, C3는 기지국(100)(즉,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의 성능에 따라 변경되는 값들이다. 또한, 수학식 8에서 분자에 포함된 K 값은 셀 크기 또는 장치의 송신 반경 등에 의해 결정되며, 별도로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은 N과 P의 함수에 의해 정해지게 되며, 이 두 변수에 의한 최적화 문제(two-variable optimization problem)를 해결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model of the denominator in Equation (8) is expressed as a linear combination of P, which is the transmission power, N, the number of streams, and a constant (i.e., C) . For reference, the power consumption model may be composed of a sum of data transmission power, circuit use power, and static power. 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power is
Figure pat00029
And
Figure pat00030
Is the power amplifier efficiency of the transmitter (not shown) of the base station 100. The circuit power is power consumed in each circuit at the time of signal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fixed power is a fixed power used for system cooling and control signal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100. That is, the constants C 1 , C 2 , and C 3 in Equation (8) are value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100 (i.e., a random unit beamforming apparatus). In Equation (8), the K value included in the numerator is determined by the cell size or the transmission radius of the apparatus, and can not be separately controlled. Therefor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random unit beamforming system is determined by the function of N and P,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solving the two-variable optimization problem.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의 통계적 특징에 의하여, 평균 에너지 효율성

Figure pat00031
는 다음의 수학식 9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다.By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andom unitary beam forming system, the average energy efficiency
Figure pat00031
Can be defined as the following equation (9).

다음의 수학식 9는 최적화된 N과 P를 구하기 위한

Figure pat00032
를 나타냈다.The following equation (9) is used to calculate the optimized N and P
Figure pat00032
Respectively.

<수학식 9>&Quot; (9) &quot;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3

수학식 9에서 두 변수 N과 P에 대해 모두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 변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한 변수에 대한 최적화 문제를 푸는 처리를 두 변수에 대해서 각각 수행한다.In order to optimize both variables N and P in Equation (9), a process of fixing one variable and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for the other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two variables.

먼저 전송 전력량 P를 고정시키고 스트림 개수 N에 대해 최적화 문제를 설정하면, 이 문제는 준볼록(quasi-concave) 문제가 되므로 간단히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계산이 가능하다.First, if the transmission power P is fixed and an optimization problem is set for the number of streams N, this problem becomes a quasi-concave problem, so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following equation (10) simply.

<수학식 10>&Quot; (10) &quot;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4

마찬가지로 스트림 수 N을 고정시키고 전력량 P에 대한 최적화 문제를 설정하면, 이 또한 준볼록 문제이므로 다음의 수학식 1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Similarly, if the number of streams N is fixed and an optimization problem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power P is set, this is also a quasi-convex problem, so that it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xpression (11).

<수학식 11>Equation (11)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5

이상에서와 같이, 각각의 최적화 문제의 해답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게 되므로, 두 변수에 대한 공동 최적화 문제는 수학식 10과 11을 반복하며 풀어서 해답을 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utions of the respective optimization problems affect each other, the joint optimization problem for the two variables is solved by repeating the equations (10) and (11).

즉, 적절한 초기값 N=1일 때,수학식 11을 이용하여

Figure pat00036
을 구하고, 구한
Figure pat00037
값을 수학식 10에 대입하여
Figure pat00038
을 구한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Figure pat00039
값을 다시 수학식 11에 대입하여
Figure pat00040
을 구하는 방식으로 계산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 계산을 통해 정수인
Figure pat00041
값에 대해 수렴의 특성을 적용하여,
Figure pat00042
값 이 변화없이 고정될 때 수렴이 선언되어 그 값이 확정된다.That is, when an appropriate initial value N = 1, using Equation 11
Figure pat00036
, And
Figure pat00037
The value is substituted into Equation 10
Figure pat00038
. As a result,
Figure pat00039
The value is substituted into the equation 11 again
Figure pat00040
The calculation is repeated. These iterations are
Figure pat00041
By applying the property of convergence to the value,
Figure pat00042
When the value is fixed without change, convergence is declared and its value is fixed.

이상에서와 같은 결합 최적화 문제(joint optimization problem)의 해를 찾기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joint optimization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the processing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3

그런 다음, 최적해에 따른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Figure pat00044
개의 선택된 사용자(200)들(즉, 최적화된 스트림 개수)에 기설정된 빔포밍 벡터를 곱한 신호(즉,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 전력
Figure pat00045
로 전송한다(S308).Then, by applying the stream number and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optimal solution,
Figure pat00044
(I.e., the downlink signal)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lected users 200 (i.e., the number of optimized streams) by a predetermined beamforming vector is multiplied by the transmit power
Figure pat00045
(S308).

즉, 프로세서(140)는 설정된 N 개의 스트림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처리하여, 각 스트림 별로 각각 해당 사용자에 대해 할당된 빔포밍 벡터를 적용한 후 이를 설정된 전송 전력으로 송출한다.That is, the processor 140 processes the scheduling for the set N streams, applies a beamforming vector allocated to each user to each stream, and transmits the beamforming vector with the set transmission power.

이때,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N개의 스트림의 수가 안테나(110)의 수 M보다 작은 경우 N개의 안테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빔포밍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may randomly select N antennas and perform beamforming when the number of selected N streams is smaller than the number M of antennas 110. [

참고로, 프로세서(140)는 초기 다운링크 전송 이후에, 복수의 후보 사용자 수(즉, K)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앞서 설명한 단계 (S301) 내지 (S303)의 과정은 생략하고, 단계 (S304) 내지 (S308)의 과정을 반복 처리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number of candidate users (i.e., K) is not changed after the initial downlink transmission, the processor 140 omits the above-described steps S301 to S303, ) To (S308) can be repeatedly performed.

또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후보 사용자 수(K)가 크게 변경되는 경우(예: 변경 시간 범위 및 변경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 (S301)부터의 과정을 재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candidate users K is greatly changed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change time range and the change amount exceeds the respective threshold values),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cess from the step S301 Can be reprocessed.

한편, 정수인

Figure pat00046
은 채널의 변화에 따라 큰 변화가 없으나 실수인
Figure pat00047
는 채널의 통계적 특징에서 약간의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즉각적인 (instantaneous) 피드백 정보인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에 기반하여 적응적인 전력 제어(adaptive power control)를 처리한다.Meanwhile,
Figure pat00046
There is no big change according to the channel change,
Figure pat00047
May have some errors i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Thus,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instantaneous feedback information &lt; RTI ID = 0.0 &gt;
Figure pat00048
Wow
Figure pat00049
To handle adaptive power control.

구체적으로,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새 함수

Figure pat00050
를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Figure pat00050
Can be defined as Equation (12) below.

<수학식 12>&Quot; (12) &quot;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1

즉각적인 채널 정보를 통해 좀 더 미세하게 제어한 전력량을

Figure pat00052
라 하며, 이는 수학식 12를 이용한 언덕오르기(hill-climb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때, 초기값은 채널의 통계적 특징을 이용해 계산한 수학식 11의 값을 사용한다.Instantaneous channel information provides more finely controlled power
Figure pat00052
, Which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 hill-climbing algorithm using Equation (12). At this time, the initial value uses the value of Equation 11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 of the channel.

이상에서와 같은 적응적인 전력 제어를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the adaptive power control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40 can perform the processing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3

즉, 상기 산출된 최적해 중 전송 전력

Figure pat00054
에 대해 새롭게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를 적용하여
Figure pat00055
를 산출하고, 선택된 사용자(200)들에 산출된
Figure pat00056
를 적용하여 스트림을 송출할 수 있다.That i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Figure pat00054
The newly fed-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is applied
Figure pat00055
Calculated for the selected users 200,
Figure pat00056
To transmit the strea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에 의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n effect of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optim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에 최대 전력량 및 최대 개수의 스트림을 스케줄링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량을 적응적으로 적용한 결과, 에너지 효율성이 크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scheduling the maximum power amount and the maximum number of streams in the conventional random unit beamforming, the optimized stream number and transmission power amou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aptively applied, Energy efficiency is greatly increased.

이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증진시킨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및 그 에너지 효율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energy efficiency-enhanced random unit beamforming apparatus and its energy efficienc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be implemented.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시스템
100: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200: 사용자 단말
110: 안테나
120: 통신모듈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10: Random Unitary Beam Forming System
100: Random unitary beam forming apparatus
200: user terminal
110: antenna
120: Communication module
130: memory
140: Processor

Claims (10)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응하여,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부분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의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전력의 값을 각각 최적화하는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해에 따른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로 스트림을 전송하며,
상기 부분 채널 정보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 신호 크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별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 신호 크기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In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based on multiuser multi input / output,
A plurality of antenn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via the antenna;
An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rogram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An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is responsive to execution of the program to transmit a pilot signal to a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esting signal reception and receive feedback including partial channel information as a response thereto, Based on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s, an optimal solution of an energy efficiency function that optimizes values of stream number and transmission power, respectively,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s, Stream number and transmission power to transmit the stream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Wherei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includes an index of a beamforming vector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ignal, a received signal magnitude, and an interference signal magnitude,
Wherein the reception signal magnitude and the interference signal magnitude for each user terminal are calculated based on a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using the pilo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평균 데이터율을 전체 전력 소모량으로 나눈 함수의 최적해를 구하여 상기 최적의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산출하되,
상기 평균 데이터율은 스트림의 개수, 전송 전력 및 후보 사용자 단말의 수를 파라미터로 하는 에르고딕 합 커패시티(ergodic sum capacity)이고,
상기 전체 전력 소모량은 데이터 전송 전력, 회로 사용 전력 및 고정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Calculating an optimum number of streams and a transmission power by obtaining an optimal solution of a function obtained by dividing an average data rate b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herein the average data rate is an ergodic sum capacity with parameters as the number of streams, the transmission power and the number of candidate user terminals,
Wherei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calculated based on a sum of data transmission power, circuit use power, and fixed pow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균 데이터율을 전체 전력 소모량으로 나눈 함수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최적해로 산출하되,
상기 함수에서 스트림 개수 변수 및 전송 전력 변수 중 스트림 개수 변수가 1인 초기 값을 가정하여 상기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구한 후, 상기 구한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적용하여 상기 스트림 개수 변수의 해를 구하고, 상기 구한 스트림 개수의 변수의 해를 적용하여 상기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다시 구하는 과정을 상기 스트림 개수 변수해가 고정된 값으로 수렴될 때까지 반복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Calculating a number of streams and a transmission power such that a value of a func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average data rate b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maximized as an optimal solution,
In the above function, a solu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variable is obtained by assuming an initial value of a stream number variable and a transmission power variable of 1, and then a solution of the stream number variable is obtained by applying the solu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variable And repeat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solu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variable by applying a solution of the obtained number of streams to the stream number variable solution until the stream number variable solution converges to a fixed valu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최적해 중 상기 전송 전력에 대해 새롭게 피드백된 부분 채널 정보를 적용하여 적응적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performs adaptive power control by applying newly fed-back partial channel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power among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커버리지 내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을 검출하고,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스트림 개수에 기초하여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의 컬럼 벡터 벡터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로 수신하는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cti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in coverage,
Calculating a number of streams and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number of the candidate user terminals,
Generating a random unitary matrix based on the number of streams and providing the random unitary matrix to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And receives any one of the column vector vectors of the random unitary matrix from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as an index of the beamforming vector.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장치를 통한 다중사용자 다중입출력에 기반한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에 있어서.
커버리지 내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별로 상기 파일럿 신호에 대응하는 부분 채널 정보를 피드백받는 단계;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별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의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전력의 값을 각각 최적화하는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최적해에 따른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 채널 정보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포밍 인덱스, 수신 신호 크기, 및 간섭의 크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별 수신 신호의 크기 및 간섭의 크기는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에 기초하여 산출된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
A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based on multiuser multi input / output through a random unitary beamforming apparatus.
Transmitting a pilot signal to a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within a coverage;
Receiving partial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ilot signal for each candidate user terminal;
Selec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andidate user terminals and calculating an optimal solution of an energy efficiency function for optimizing values of the number of streams and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s ; And
And transmitting a stream to the selected user terminals by applying a stream number and a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Wherein the partial channel information comprises:
A beamforming index selected based on the pilot signal, a received signal magnitude, and a magnitude of interference,
Wherein a magnitude of a received signal and a magnitude of interference of each user terminal are calculated based on a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using the pilot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성 함수는 평균 데이터율을 전체 전력 소모량으로 나눈 함수이며,
상기 평균 데이터율은 스트림의 개수, 전송 전력 및 후보 사용자 단말의 수를 파라미터로 하는 에르고딕 합 커패시티(ergodic sum capacity)이고,
상기 전체 전력 소모량은 데이터 전송 전력, 회로 사용 전력 및 고정 전력의 합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nergy efficiency function is a function that divides the average data rate b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herein the average data rate is an ergodic sum capacity with parameters as the number of streams, the transmission power and the number of candidate user terminals,
Wherei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calculated based on a sum of data transmission power, circuit use power, and fixed pow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데이터율을 전체 전력 소모량으로 나눈 함수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최적해로 산출하되,
(a) 상기 에너지 효율성 함수에서 스트림 개수 변수 및 전송 전력 변수 중 스트림 개수 변수가 1인 초기 값을 가정하여 상기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구하는 단계;
(b) 상기 구한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적용하여 상기 스트림 개수 변수의 해를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한 스트림 개수 변수의 해를 적용하여 상기 전송 전력 변수의 해를 다시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및 (c)의 단계를 스트림 개수 변수의 해가 고정된 값으로 수렴될 때까지 반복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ptimal solu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function comprises:
Calculating a number of streams and a transmission power such that a value of a func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average data rate b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maximized as an optimal solution,
(a) obtaining a solu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by assuming an initial value of a stream number variable of a stream number variable and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in the energy efficiency function;
(b) obtaining a solution of the stream number variable by applying a solution of the obtained transmission power variable; And
(c) obtaining a solu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variable by applying a solution of the obtained stream number variable,
And repeating steps (b) and (c) until the solution of the stream number variable converges to a fixed valu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효율성 함수의 최적해를 산출하는 단계이후에,
상기 산출된 최적해 중 상기 전송 전력에 대해 새롭게 피트백된 부분 채널 정보를 적용하여 전송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calculating the optimal solu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function,
And applying the newly pitched partial channel information to the transmit power of the calculated optimal solution to change transmit power. &Lt; Desc / Clms Page number 19 &g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커버리지 내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스트림 개수 및 전송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림 개수에 기초하여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후보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랜덤 유니터리 매트릭스의 컬럼 벡터 벡터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상기 빔포밍 벡터의 인덱스로 수신하는 것인, 랜덤 유니터리 빔포밍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Prior to transmitting the pilot signal,
Detecti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requiring data transmission in coverage;
Calculating a number of streams and a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number of the candidate user terminals; And
Generating a random unitary matrix based on the number of streams and providing the random unitary matrix to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And receives any one of the column vector vectors of the random unitary matrix from the plurality of candidate user terminals as an index of the beamforming vector.
KR1020160117940A 2016-09-13 2016-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KR101868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40A KR101868557B1 (en) 2016-09-13 2016-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40A KR101868557B1 (en) 2016-09-13 2016-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24A true KR20180029624A (en) 2018-03-21
KR101868557B1 KR101868557B1 (en) 2018-07-23

Family

ID=6190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40A KR101868557B1 (en) 2016-09-13 2016-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141B1 (en) * 2019-11-29 2021-02-16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n/off mode of base station in a multiple base station massive mimo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1313A1 (en) 2019-06-26 2022-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mu-mimo layer limit contro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ibo Wang et al.; Random unitary beamforming with partial feedback for multi-antenna downlink transmission using multiuser diversity;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05.; 30 May-1 June 2005* *
W. Xu et al.; Efficient User Scheduling under Low Rate Feedback for Correlated MIMO Broadcast Channels; ICC '08.; 19-23 May 20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141B1 (en) * 2019-11-29 2021-02-16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n/off mode of base station in a multiple base station massive mim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57B1 (en)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5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976759B2 (en) Multi-user downlink linear MIMO precoding system
Wang et al. Adaptive downlink multi-user MIMO wireless systems for correlated channels with imperfect CSI
US8755358B2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560369B2 (e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US10079623B2 (en) Coordinated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artial interference alignment
US8112038B2 (en) Beamforming with im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US83802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ynamic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in a MIMO system
KR20150093947A (en) An user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based on two-stage beamformer for massive MIMO broadcast channels
CN107425891B (en) Energy efficiency joint optimization method in MU-MIMO wireless energy/data transmission
Choi et al. MIMO design for Internet of Things: Joint optimization of spectral efficiency and error probability in finite blocklength regime
KR1018685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unitary beamforming in multei-user mimo
Muharar et al. Base station cooperation with feedback optimization: A large system analysis
JP63310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WO2016090611A1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of
Zhang et al. User selection schemes in multiple antenna broadcast channels with guaranteed performance
KR20130104369A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WO2009107656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200066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EP4358428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employ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ompression
CN109547078B (en) Communic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de Francisco et al. A design framework for scalar feedback in MIMO broadcast channels
Wu et al. Performance analysis for RUB-based cognitive radio network with cooperative beam selection
Hanif et al. Transmit Antenna Selection for Multi-User Underlay Cognitive Transmission with Zero-Forcing Beamforming
Chen et al. Multi-user mimo and adaptive frequency reuse for next-generation mobile broadban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