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67B1 -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67B1
KR102000667B1 KR1020180115304A KR20180115304A KR102000667B1 KR 102000667 B1 KR102000667 B1 KR 102000667B1 KR 1020180115304 A KR1020180115304 A KR 1020180115304A KR 20180115304 A KR20180115304 A KR 20180115304A KR 102000667 B1 KR102000667 B1 KR 10200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determining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8551A (en
Inventor
최진혁
강진규
이병무
강준혁
이남정
강병창
방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67B1/en
Publication of KR2018010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협력 전송 기반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이 개시된다.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 및 k번째 수신 장치의 전송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파워 제한 조건 및 전송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가 k번째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A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antenna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ssion is disclosed.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includes: setting a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a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of a k-th reception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 th >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he j < th >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k < th >

Description

협력 전송 기반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0001]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0002]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0003]

본 발명은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Quality-Of-Service(QoS)를 만족하면서도 전송 파워를 최소화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that minimizes a transmission power while satisfying a quality-of-service (QoS) of a user.

다중안테나(MIMO: Multi Input-Multi Ouput) 시스템은 복수의 안테나를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에서 사용함으로써 많은 성능 이득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다중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된 송신 장치가 사용하는 전송 파워는 송신 장치의 안테나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앞서 설명한 관계는 송신 장치의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면 수신 장치의 수신 신호 대 잡음비 (SNR: Signal-to-Noise Ratio)가 증가하는 것과 반대 관계에 있다. Multi Input-Multi Ouput (MIMO) systems exhibit a large performance gain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a transmitting apparatus or a receiving apparatus. In general, the transmission power used by a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ed in a multi-antenna system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is inversely 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received signal-to-noise ratio (SNR) of the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creases.

따라서 송신 장치의 안테나의 수를 엄청나게 증가시키면 수신 장치의 QoS를 만족 시키기 위한 전송 파워의 감소 이득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이라 정의된다.Therefore, if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is greatly increased, the reduction gain of the transmission power for satisfying the QoS of the reception apparatus can be maximized. Such a system is defined as a " massive multi-antenna system ".

한편, 최근 한정적인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모든 기지국-휴대폰 관련 무선통신 표준에서는 여러 셀이 같은 주파수를 공유하여 통신을 하는 것을 정의한다. 이 때, 여러 셀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셀 간의 간섭 (ICI: inter-Cell Interference)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간섭으로 인해 셀 용량이 제한적이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limited frequency resources, all base station-cell phone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define that a plurality of cells share the same frequency to communicate.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cell interference (ICI) exists due to the use of the same frequency by a plurality of cells, and cell interference is limited due to such interference.

이에, 근접한 여러 셀의 송신 장치가 서로 협력하여 다중사용자 (MU: multi-user)를 지원하는 협력 다중 안테나 시스템(cooperative MIMO system)이 제안되었다. 송신 장치들은 고속의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광케이블을 통하여 각 셀의 사용자의 채널 정보와 송신 데이터를 교환한다. 교환된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셀의 송신 장치가 협력하여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셀 간의 간섭이 효율적으로 줄어들고 전체적인 시스템의 용량이 증대된다. 또한, 송신 장치의 협력은 power 이득, 채널 이득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하여 협력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IMT-Advanced에서 셀 경계(cell-edge) 유저들의 용량 증대를 통한 커버리지(coverage) 확장 등을 위한 주요 기술로써 활용되고 있다.Accordingly, a cooperative MIMO system in which adjacent transmitting apparatuses of a plurality of cells cooperate to support a multi-user (MU) has been proposed. Transmission devices are connected by a high-speed optical cable and exchange channel data of the user of each cell and transmission data through the optical cable. Based on the exchanged informa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es of a plurality of cells cooperate to transmit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and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entire system. The coopera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lso has advantages such as power gain and channel gain. Due to these advantages, the cooperative multi-antenna system is utilized as a main technology for expanding the coverage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cell-edge users in IMT-Advanced.

 협력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 통신 빔포밍 디자인 및 파워 할당은 시스템의 사용 파워 제한 하에 이루어진다. 이 때에 사용 파워 제한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송신 장치들의 총 사용가능 파워를 자유롭게 나눠 쓸 수 있도록 하는 pooled-power constraint이며; 둘째는,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송신 장치들 각각의 최고 파워를 제한하는 조건인 per-base power constraint 이다. Collaborative communication beamforming design and power allocation to develop transmitters in cooperative multi-antenna systems occurs under the power limitations of the system. At this time, there are two types of usage power limit: a pooled-power constraint that allows free use of the total available power of the transmitting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The second is the per-base power constraint, which is a condition limiting the maximum power of each of the transmitting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하지만, pooled-power constraint에 따라 파워 할당이 이루어지면, 일부 송신 장치에서 과도하게 큰 파워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 셀들에 심한 간섭을 줄 수 있다. 따라서, per-base power constraint가 파워 제약 조건으로 많이 활용된다.However, if the power alloc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pooled-power constraint, there may be situations where excessive power may be used by some transmitting devices, which may cause severe interference to neighboring cells. Therefore, the per-base power constraint is often used as a power constraint.

 다중사용자/다중안테나 (MU-MIMO: multi-user MIMO) 시스템에서 전송파워를 줄이기 위한 빔포밍 (beamforming) 기술 및 파워할당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중 셀에서 각 수신 장치의 QoS를 만족시키면서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최소화 시키는 최적의 빔포밍 기법 및 각 빔포밍 마다 파워를 할당하는 기술이 필요하다.A beamforming technique and a power allocation technique for reducing transmission power are applied in a multi-user / multi-user (MIMO) system.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n optimal beamforming technique that minimizes the transmission power of a transmitting apparatus while satisfying the QoS of each receiving apparatus in multiple cells, and a technique of allocating power for each beamform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 및 k번째 수신 장치의 전송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 제한 조건 및 전송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j번째 송신 장치가 k번째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setting a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a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of a k-th reception apparatus;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k-th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power limiting condition and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j번째 송신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최대 파워를 설정하는 단계; k번째 수신 장치와 관련된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파워와 타겟 품질 정보를 고려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setting a maximum power available in a j th transmission apparatus;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kth receiving device; And determining a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owe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k번째 수신 장치와 관련된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k번째 수신 장치의 빔포밍 벡터에 대응하는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setting a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vector associated with a kth receiving device; And determining a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j th transmit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beamforming vector of the kth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신 장치의 QoS와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가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can be minimized while satisfying the QoS of each receiving apparatus and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반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장치의 안테나 개수에 따른 총 전송 파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장치의 사용 가능한 전송 파워에 기초한 확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operative based multi-antenn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tal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ability based on available transmit power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green communication을 위한 협력 전송 기반의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전송 파워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전송파워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많은 안테나로 인해 높은 복잡도를 야기시키지 않도록, 안테나 수가 많을 경우 (수신 SNR이 높아질 경우) 최적의 프리코딩(precoding) 기법과 유사한 성능을 보여주는 제로-포싱 기반의 빔포밍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inimizing transmission power in a cooperative transmission based multi-antenna system for green communication is proposed. In this case, introduction of massive multi-antenna system enables more efficient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In addition, a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technique that exhibits performance similar to an optimal precoding technique when the number of antennas is large (when the reception SNR is high) can be applied so as not to cause high complexity due to many antenna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반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operative based multi-antenn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협력 다중 안테나 시스템><Collaborative Multi-Antenna System>

도 1을 참고하면, 두 개의 송신 장치가 두 개의 수신 장치에 협력 전송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에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개수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송신 장치는 기지국에 대응할 수 있고, 수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a process of cooperating transmission of two transmitting devices to two receiving devices is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receiving apparatuse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scribed below may correspon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ing apparatus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협력 송신 시스템에서 모든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채널 정보와 전송 신호는 완벽하게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각 송신 장치는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1
개 안테나를 가지며 각 수신 장치는 한 개의 안테나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식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한 주파수 자원에서 협력 기반의 송신 장치는 2 개의 수신 장치를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system, it is assumed that channel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signals between all transmission devices and reception devices are completely known. Each transmitting device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1
It is assumed that each antenna has one antenna and each receiving device has one antenna. In order to simplify the formulas described below, it is assumed that a cooperative-based transmitting apparatus in one frequency resource supports two receiving apparatuses. However, the number of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receiving apparatuse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송신 신호는 두 개의 송신 장치(101, 102)에서 함께 전송된다. 이 때, timing-advanced mechanism 기술을 통하여 송신 장치(101,102)에서 전송된 신호는 수신 장치(103)에 동시에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복수의 수신 장치들 중에서 k번째 수신 장치의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gether by the two transmission devices 101 and 102.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es 101 and 102 through the timing-advanced mechanism technique are received at the receiving apparatus 103 at the same time. Then, a received signal of the k-th receiving apparatus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is expressed by Equation (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2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3
는 각각 k번째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4
는 j번째 (j =1,2) 전송 장치에서 k번째(k=1, 2) 수신 장치를 위해 실행되는 빔포밍 벡터 (vector) 이다. 그리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5
는 j번째 전송 장치에서 k 번째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파워를 나타낸다. here,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3
Denotes a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k &lt; th &gt; And,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4
Is a beamforming vector that is run for the kth (k = 1,2) receiver at the jth (j = 1,2) transmitter. And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5
Represents the transmission power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j &lt; th &gt;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k &lt; th &gt;

또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6
는 평균값이 0이고 공분산 배열인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7
는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ce) 값이다. 그리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8
는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채널 벡터이며, 0의 평균과 1의 분산을 가지는 복소수 가우시안 (Gaussian) 벡터이다. 본 발명에서 각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채널은 모두 독립적이며 플랫(flat)하다고 가정한다.Also,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6
The average value is 0 and the covariance matrix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7
Is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value. And,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8
Is a channel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tter and the kth receiver and is a complex Gaussian vector with an average of zero and a variance of on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between each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is independent and flat.

 <Linear Zero-Forcing beamforming scheme><Linear Zero-Forcing beamforming sche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각 수신 장치의 신호-간섭 대 잡음비(SINR)와 각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송신 장치의 총 전송 파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모든 빔포밍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9
와 전송 파워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0
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루는 전송 파워의 최소화 문제를 공식화 하면 하기 수학식 2와 같다.In a cooperative massive multi-antenn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beams that can satisfy the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SINR) of each receiving apparatus and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each transmitting apparatus, Forming vecto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09
And transmission powe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0
Can be extracted. The problem of minimizing the transmission power handl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2
는 각각 k번째 수신 장치의 타겟 SINR을 의미하다. 즉,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3
는 k번째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의미하며, QoS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4
는 j번째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를 나타낸다. here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2
Denotes the target SINR of the k &lt; th &gt; receiver. In other word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3
Denotes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k &lt; th &gt; receiving apparatus, and can be expressed by QoS. Also,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4
Represents the transmit power available at the j &lt; th &gt; transmitter.

이 때, k번째 수신 장치의 SINR은 하기 수학식 3과 같다.In this case, the SINR of the k &lt; th &gt;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5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5

본 발명에서의 협력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많은 안테나를 채택하기 때문에 최적의 협력 빔포밍 벡터 디자인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가장 간단하면서도 안테나 수가 많은 경우 최적에 가까운 성능을 나타내는 선형 제로-포싱(Zero Forcing: ZF) 협력 빔포밍 벡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수신 장치를 지원한다. Since the cooperative massive multi-antenna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many antennas, it is necessary to derive an optimal cooperative beam-forming vector design. We support multiple receivers using a linear zero-forcing (ZF) cooperative beamforming vector, which is the simplest and most suitable for near-best performance when the number of antennas is large.

이 때,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6
가 j번째 송신 장치에서 각각의 수신 장치들에 지원하는 빔포밍 벡터를 열 벡터로 가지는 매트릭스라고 가정한다. 즉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7
로 표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6
Is a matrix having a column vector as a beamforming vector supported by each receiving apparatus in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In other word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7
. &Lt; / RTI &gt;

그러면,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매트릭스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8
는 하기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Then, a linear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matrix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8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9
Figure 112018095703265-pat00019

여기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0
는 j번째 송신 장치와 모든 수신 장치들 간의 채널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를 이용하면 각 수신 장치 간의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수학식 1에서 k번째 수신 장치의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here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0
Represents a channel matrix between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and all receiving apparatuses. Using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vectors, the interference between each receiving device can be eliminated. In Equation (1), the reception signal of the k &lt; th &gt; reception apparatu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5).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1

그러면, 수학식 3은 하기 수학식 6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n, Equation (3)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6) below.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2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2

이 때, 수학식 4,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을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전송 파워의 최소화 문제인 수학식 2는 하기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Substituting Equations (4), (5), and (6) into Equation (2), Equation (2), which is a problem of minimizing the transmission power,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7).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3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3

이 때, k는 송신 장치, j는 수신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송신 장치(BS)와 수신 장치(Rx)의 개수는 2개로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k denotes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j denotes a receiving apparat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ransmitting apparatuses (BS) and receiving apparatuses (Rx) is assumed to be tw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수학식 7에서 빔포밍 벡터가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각 빔포밍 벡터에 대응하는 전송 파워를 분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전송 파워를 분배하는 방법은 목표 SIN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4
과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5
의 값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Since the beamforming vector is fixed in Equation (7), a method of distributing the transmission power corresponding to each beamforming vector is needed in order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 method for distributing transmit power is based on a target SIN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4
And a transmitte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5
The value of the parameter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1) CASE 1: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6
가 충분할 경우(1) CASE 1: transmit power available 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6
Is sufficient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에서 사용 제한 파워가 모든 송신 장치에서 충분할 경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CASE 1은 각 송신 장치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전송 파워가 각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보다 작은 경우를 의미한다. 이 때, 송신 장치에서의 전송 파워는 하기 수학식 8과 같다.Specifically, this means that the use restriction power is sufficient in all transmitting apparatuses 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other words, CASE 1 means that the transmission power actually used by each transmission apparatus is small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at each transmission apparatus.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8).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7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7

즉, 수학식 8에 의하면,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8
), 상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9
) 및 타겟 품질 정보(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0
)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Equation (8),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8
),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and anoth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th receiving apparatus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29
) And target quality information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0
)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여기서, 수학식 8이 도출되기 위한 조건은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충분할 경우이며, 이는 수학식 9로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condition for deriving Equation (8) is a case where the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sufficient, which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9).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1

(2) CASE 2: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2
가 불충분할 경우(2) CASE 2: transmit power available 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2
Is insufficient

구체적으로, CASE 2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불충분할 경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CASE 2는 각 송신 장치에서 실제 전송 파워가 각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를 나타낸다. 즉, CASE 2는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불충분한 송신 장치는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를 모두 소비하고, 그 부족한 전송 파워를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충분한 다른 송신 장치가 소비함으로써 각 수신 장치의 목표 SINR을 만족 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Specifically, CASE 2 means a case where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is insufficient in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es. In other words, CASE 2 indicates that the actual transmission power at each transmission apparatu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at each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CASE 2 consumes all of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with insufficient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satisfies the target SINR of each reception apparatus by consuming the transmission power that is insufficient by the other transmission apparatuses having sufficient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Respectively.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ASE 2의 경우 복잡한 제한조건들이 많기 때문에 총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전송 파워의 분배 기법을 찾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협력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면 송신 장치에서의 효율적인 전송 파워의 할당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CASE 2, since there are many complicated constraints, it is not easy to find the transmission power distribution technique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otal transmission apparatus.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ve massive multi-antenna system,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llocate the transmission power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구체적으로,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대수의 법칙 (law of large numbers)이 적용되면,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3
의 특성이 도출된다. 그러면,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는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4
이 된다. 그리고, 각 채널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5
의 norm 값은 대수의 법칙에 의해 거의 같기 때문에 모든 빔포밍 벡터의 norm 값 또한 거의 같다. 즉,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6
이며 여기서 j은 어떤 상수 값이 된다.Specifically, when a law of large numbers is applied in a massive multi-antenna system,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3
. Then, the linear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vector i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4
. Then, each channel vecto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5
The norm values of all the beamforming vectors are almost the same because the norm values of the beamforming vectors are almost the same by the law of the logarithm. In other words,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6
Where j is some constant value.

또한,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7
번째 ()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불충분하다고 가정할 때, k번째 수신 장치를 위해 j번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송 파워는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Also,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7
Assuming that the transmit power available at the () transmitting device is insufficient, the transmit power used at the j &lt; th &gt; transmitting device for the k &lt; th &gt;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8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8

즉, 수학식 8에 의하면,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9
), 상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0
), 타겟 품질 정보(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1
) 및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2
)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Equation (8),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39
),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and anoth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th receiving apparatus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0
), Target quality information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1
) And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j 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other transmission apparatuses (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2
)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은 전송 파워 결정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송신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은 복수의 수신 장치들 각각에 협력 전송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한다.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described in Figs. 2 to 4 can be performed in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Optionally,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transmission device. 2 to 4,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constitute a multi-antenna system for cooperatively transmitt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단계(201)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 및 k번째 수신 장치의 전송 품질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제한 조건은 j번째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파워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송 품질 정보는 k번째 수신 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때의 QoS 정보이며, SINR로 표현될 수 있다.In step 201,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can set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of the k-th reception apparatus. Here,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means the power available i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is QoS information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kth receiving device and can be expressed by SINR.

단계(202)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파워 제한 조건 및 전송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가 k번째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가 k번째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벡터는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일 수 있다. 그러면, 전송 품질 정보는 k번째 수신 장치에 적용되는 빔포밍 벡터 및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step 202,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whe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k-th reception apparatus using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and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j-th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k-th reception apparatus. Here, the beamforming vector may be a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vector. Then, the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beamforming vector applied to the k &lt; th &gt;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일례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상기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구체적으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및 타겟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상기 수학식 8에 따라 j번째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k-th recept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beamforming vecto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betwe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 &lt; th &gt; If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Equation (8).

반대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타겟 품질 정보 및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상기 수학식 10에 따라 j번째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does not satisfy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k-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 &lt; th &gt; receiving apparatus,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j & If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does not satisfy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Equation (10).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에 대한 전송 전력은 송신 장치의 개수, 송신 장치의 안테나 개수, 수신 장치의 안테나 개수,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간 생성된 채널 사이즈, 수신 장치의 요구 SIN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ower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may be determined by a number of transmission apparatuses, a number of antennas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 number of antennas of the reception apparatus, a channel size gener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reception apparatus, SINR &lt; / RTI &g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301)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최대 파워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301,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can set the maximum power available i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단계(302)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k번째 수신 장치와 관련된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품질 정보는 타겟 SINR을 의미할 수 있다.In step 302,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may set target qualit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k &lt; th &gt; Here,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may mean a target SINR.

단계(303)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최대 파워와 타겟 품질 정보를 고려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k번째 수신 장치에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가 적용될 때,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303,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owe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can determine the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when a zero-forcing-based beamforming vector is applied to the k-th reception apparatus.

일례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를 만족하는 지 여부에 따라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satisfies the maximum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구체적으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보다 작은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및 타겟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보다 작은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상기 수학식 8에 따라 j번째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s smaller than the maximum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a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k-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tting apparatu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beamforming vecto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between the apparatus and the kth receiving apparatus.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s smaller than the maximum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Equation (8).

반대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와 k번째 수신 장치 간의 빔포밍 벡터, 타겟 품질 정보 및 j번째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가 j번째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상기 수학식 10에 따라 j번째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determines the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j-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 &lt; th &gt; transmitting apparatus may be determined using the beamforming vector betwe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k &lt; th &gt; receiving apparatus,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j &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Equation (1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파워 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401)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k번째 수신 장치와 관련된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벡터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401,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may set a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vector associated with the kth receiving device.

단계(402)에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k번째 수신 장치의 빔포밍 벡터에 대응하는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전송 파워와 최대 파워를 비교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k번째 수신 장치와 관련된 타겟 품질 정보를 고려하여 j번째 송신 장치에 할당될 최소의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402,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a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beamforming vector of the kth reception apparatu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may determine the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by comparing the maximum power with th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Then,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minimum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jth transmission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kth reception apparatu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장치의 안테나 개수에 따른 총 전송 파워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tal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향링크 (DL: downlink)에서 협력 전송 기반의 massive 다중안테나(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은 송신 장치의 per-base power constraint와 수신 장치의 품질 정보인 QoS를 만족시키면서 송신 장치의 전송 파워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송신 장치의 빔포밍 기술로는 제로-포싱(Zero-Forcing) 기반의 빔포밍 기법이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perative transmission-bas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in a downlink (DL) is a system in which a per-base power constraint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quality of servic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s provided. At this time, a Zero-Forcing-based beamforming technique may be selected as the beamforming technique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도면 5는 제로-포싱 빔포밍을 기반으로 한 협력 전송 기반의 massive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총 전송 파워가 다른 시스템의 전송 파워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x축은 전송 장치의 안테나 개수, y축은 모든 송신 장치(BS)에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한 전송 파워의 합을 나타낸다. FIG. 5 shows that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of a massive multi-antenna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ssion based on zero-forcing beamforming is superior to the transmission power of other systems. The x-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sum of the transmission powers used when transmitting signals from all transmitting apparatuses (BSs).

도 5를 통해 다중 셀에서 협력을 하지 않은 시스템(Non-Cooperative BS in mulitcell)과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디자인을 한 협력 시스템(Cooperative BS based ZF), 그리고 전송 파워의 최소화를 비교하기 위해 upper bound로 설정된 최적의 빔포밍 디자인의 단일 셀 시스템(Optimal beamforming in singlecell)의 총 전송 파워의 합을 비교하였다. 이하에서, 다중 셀에서 협력을 하지 않은 시스템은 제1 시스템,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디자인을 한 협력 시스템은 제2 시스템, 최적의 빔포밍 디자인의 단일 셀 시스템은 제3 시스템으로 설정한다.FIG. 5 illustrates a non-cooperative BS in mulitcell in a multi-cell, a cooperative BS based ZF in a beamforming scheme based on a linear zero-forcing scheme, and an upper we compared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of a single cell system (Optimal beamforming in single cell) of an optimal beamforming design set to bound. Hereinafter, the first system, the cooperative system with beam-forming design based on linear zero-forcing, the second system, and the single-cell system with optimal beam-forming design are set as the third system.

Upper bound로 설정된 단일 셀 시스템의 안테나 수는 다중 셀에서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안테나 수의 합으로 하였다. 채널 상황에 경로 손실(path loss)을 고려하지 않으면, 단일 셀 시스템에서 다중 셀 시스템에서 고려하는 각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의 제한조건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면, 전송 파워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이 직관적으로 다중 셀 협력 시스템의 upper bound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로 각 수신 장치의 목표 SINR은 10, 50dB 그리고 각 BS의 이용 가능한 송신 파워는 50W로 지정하였다.The number of antennas of a single cell system set to an upper bound is the sum of the number of antennas of each of transmitting apparatuses in multiple cells. Without consideration of path loss in the channel condition, there is no transmit power constraint available in each transmitting device considered in a multi-cell system in a single cell system. This implies that the system applying the transmission power optimization technique can intuitively be set to the upper bound of the multi-cell cooperative system. As a simulation parameter, the target SINR of each receiving device is specified as 10, 50dB and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each BS is 50W.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안테나의 개수가 커질수록 제2 시스템과 제3 시스템의 차이는 거의 없다. 안테나의 개수가 커질수록 수신 장치의 SINR 값이 커질 수 있다. 그러면, 수신 장치의 SINR이 무한대일 때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기법이 최적의 전송 파워의 할당 기법이 되므로, 안테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제2 시스템과 제3 시스템 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 As can be seen from FIG. 5, the larger the number of antennas, the 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system and the third system. The larger the number of antennas, the larger the SINR value of the receiving apparatus. Then, when the SINR of the receiving apparatus is infinite, the zero-forcing-based beamforming scheme is an optimal transmission power allocation scheme, so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ystems as the number of antennas increases.

하지만 제3 시스템은 고정된 전송 파워에서 빔포밍 디자인을 한다. 그 후에 고정된 빔포밍에서 전송 파워를 다시 분배하고 이 방법을 전송 파워와 빔포밍이 수렴할 때까지 계속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빔포밍과 송신 파워 분배를 디자인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안테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복잡도가 낮은 제2 시스템의 성능과 복잡도가 높은 제3 시스템 간의 성능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2 시스템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the third system has a beamforming design at a fixed transmission power. Then, the transmission power is redistributed in the fixed beamforming and the method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transmission power and beamforming converge to design beamforming and transmission power distribution. Therefore, as the number of antennas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system having a low complexity and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system having a high complexity hardly differ, so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장치의 사용 가능한 전송 파워에 기초한 확률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ability based on available transmit power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로 포싱 기반이 빔포밍이 적용된 협력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비하여 좀더 제한적인 조건에서도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x축은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고정되지 않은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파워를 나타낸다. 그리고, y축은 제한 조건에서 실현 가능하지 않은 확률 즉 outage probability를 나타낸다. 도 6은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를 고정시키고 다른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가 증가함에따라 다중 셀에서 협력을 하지 않은 시스템과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이 빔포밍 디자인을 한 협력 시스템의 outage probability를 비교 하였다. FIG. 6 shows that a cooperative system in which beamforming is applied based on a zero-forcing can be realized even under a more restrictive condition as compared with other systems. The x-axis represents the power available at the transmitting device for which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is not fixed. The y-axis represents the outage probability that is not feasible under the constraint condi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the outage probability of a system that does not cooperate in multiple cells and a cooperative system that has a beamforming design based on a linear zero-forcing as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in other transmission apparatuses increases, Respectively.

여기서 실현 가능하지 않을 조건은 각 시스템에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한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이다. 본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로는 각 사용자의 목표SINR은 20dB 각 BS의 안테나 개수는 100개 그리고 고정된 하나의 송신 장치(BS)의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는 10W로 지정하였다. The condition that can not be realized here is that the system can not satisfy the constraint by any method in each system. In this simulation parameter, the target SINR of each user is 20dB, the number of antennas of each BS is 100,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a fixed transmission device (BS) is 10W.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기법을 적용한 협력 다중 안테나 시스템이 다중 셀에서 협력을 하지 않은 시스템보다 더 낮은 이용 가능한 파워에서 outage probability가 0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 기법을 적용한 협력 다중 안테나 시스템이 더 낮은 전송 파워에서도 모든 제한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선형 제로 포싱 기반의 빔포밍이 적용된 협력 다중 안테나 시스템은 협력 하지 않은 시스템보다 더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As can be seen from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cooperative multi-antenna system employing the beam-forming scheme based on the linear zero-forcing approaches the outage probability at a lower available power than the system not cooperating in multiple cells. This indicates that a cooperative multi-antenna system employing a linear zero-forcing-based beamforming scheme can satisfy all constraints even at lower transmission power. That is, a cooperative multi-antenna system with linear zero-forcing based beamforming is more feasible than a non-cooperative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01: 송신 장치(BS1)
102: 송신 장치(BS2)
103: 수신 장치(Rx1)
104: 수신 장치(Rx2)
101: transmitting apparatus (BS1)
102: transmitting apparatus (BS2)
103: Receiving device (Rx1)
104: Receiving device (Rx2)

Claims (33)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 및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 제한 조건 및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은 상기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파워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품질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SINR(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인,
전송 파워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signal quality associated with noise and interfere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power limiting condition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Lt; / RTI &gt;
Wherein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includes power available 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rei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is a target SINR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of th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벡터는, 제로 포싱(zero-forcing) 빔포밍 벡터인
전송 파워 결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eamforming vector is a zero-forcing beamforming vector &lt; RTI ID = 0.0 &gt;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전송 품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 RTI &g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And
Determining the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whether the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 RTI &g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할 때의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comprises: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different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when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is satisfied
/ RTI &g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할 때, 아래의 수학식1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수학식 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3

를 포함하고,
여기서, P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나타내고, j는 상기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j'은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k는 상기 수신 장치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4
는 타겟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comprises:
Determining, when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Equation
[Equation 1]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3

Lt; / RTI &gt;
Here, P kj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unit, j denotes the transmission apparatus, j 'denotes the other transmitting devic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k is the received W kj denotes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W kj ' denote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W kj'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4
Lt; RTI ID = 0.0 &gt; target &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될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타겟 품질 정보,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할당되는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comprises: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oes not satisfy the power limiting condition; A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when the oth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Determining power
And determining a transmit power to be inclu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수학식 2]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5

를 포함하고,
여기서, P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나타내고, k는 상기 수신 장치를 나타내고, j는 상기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j'은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6
는 타겟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Pkj'은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나타내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comprises: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Equation (2) below when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oes not satisfy the power limiting condition
&Quot; (2) &quot;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5

Lt; / RTI &gt;
Where p kj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k denotes the receiving apparatus, j denotes the transmitting apparatus, j ' denotes a device, || W || kj denotes a beamforming vector of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to the receiving device to send data, || W kj '|| is the other the transmission device to the reception device to transmit data Beamforming vecto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6
P kj ' represent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wh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determining the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comprise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other tha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Lt; RTI ID = 0.0 &gt;
And determining a transmit power to be included.
삭제delete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의 이용 가능한 최대 파워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파워와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인 파워 제한 조건이 결정되고,
상기 타겟 품질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SINR(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인,
전송 파워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Setting a maximum available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signal quality associated with noise and interfere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maximum power and target quality information
Lt; / RTI &gt;
A power limitation condition which is an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is determined based on a maximum power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Wherei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is a target SINR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of th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는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based on a zero forcing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And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when the total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power, a beamforming vector when another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beamforming vecto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 RTI &g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아래의 수학식3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수학식 3]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7

를 포함하고,
여기서, P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나타내고, j는 상기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j'은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k는 상기 수신 장치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8
는 타겟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And
Determining, if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power,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based on Equation
&Quot; (3) &quot;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7

Lt; / RTI &gt;
Here, P kj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unit, j denotes the transmission apparatus, j 'denotes the other transmitting devic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k is the received W kj denotes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W kj ' denote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W kj'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8
Lt; RTI ID = 0.0 &gt; target &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파워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할당되는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And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when the total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is larger than the maximum power, a transmitt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 RTI &g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파워보다 큰 경우, 아래의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수학식 4]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9

를 포함하고,
여기서, P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나타내고, k는 상기 수신 장치를 나타내고, j는 상기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j'은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Wkj'||는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95703265-pat00050
는 타겟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Pkj'은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나타내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And
Determining, if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is greater than the maximum power,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based on Equation (4) below
&Quot; (4) &quot;
Figure 112018095703265-pat00049

Lt; / RTI &gt;
Where p kj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k denotes the receiving apparatus, j denotes the transmitting apparatus, j ' denotes a device, || W || kj denotes a beamforming vector of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to the receiving device to send data, || W kj '|| is the other the transmission device to the reception device to transmit data Beamforming vector,
Figure 112018095703265-pat00050
P kj ' represents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wh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 장치와 관련된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 및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 및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품질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SINR(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인,
전송 파워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including a zero forcing beamforming vector associated with the receiving device and a signal quality associated with noise and interference to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device;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zero forcing beamforming vecto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Lt; / RTI &gt;
Wherei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is a target SINR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of th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에 이용 가능한 최대 파워와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파워 결정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comprises:
Determining a total transmit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Comparing the maximum power available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ith the total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 RTI &gt;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장치의 파워 제한 조건 및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파워 제한 조건 및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은 상기 송신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파워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품질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SINR(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인,
전송 파워 결정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Wherein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comprising:
Setting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ignal quality related to noise and interference with respect to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rmines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power limiting condition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Wherein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includes power available 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rei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is a target SINR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apparatu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벡터는, 제로 포싱(zero-forcing) 빔포밍 벡터인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beamforming vector is a zero-forcing beamforming vector &lt; RTI ID = 0.0 &gt;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전송 품질 정보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rmines transmission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rmining a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whether the total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satisfies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파워 제한 조건을 만족할 때의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processor comprising: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different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when the power limit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processor comprising: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 beam 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other tha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Lt; RTI ID = 0.0 &gt;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삭제delete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장치의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이용가능한 전송 파워와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이용가능한 전송 파워는, 상기 송신 장치의 최대 파워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Wherein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comprising:
Sets available transmit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signal quality related to noise and interference with respect to a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rmine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and target quality information,
Wherein the available transmit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determined based on a maximum pow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는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processor comprising:
The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a zero forcing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is determined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상기 총 전송 파워가 상기 이용가능한 전송 파워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상기 송신 장치와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빔포밍 벡터 및 상기 다른 송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할당되는 전송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rmining a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A beamforming vector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when the total transmitting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is greater than the available transmitting power; And a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when the other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rmines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삭제delete 복수의 송신 장치들이 복수의 수신 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각각의 전송 파워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 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 장치와 관련된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 및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노이즈 및 간섭과 관련되는 신호 품질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품질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로 포싱 빔포밍 벡터 및 상기 타겟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품질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의 타겟 SINR(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인,
전송 파워 결정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pparatuses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Wherein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comprising:
Setting target qual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zero forcing beamforming vector associated with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signal quality associated with noise and interference with signal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rmining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zero-forcing beamforming vector and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Wherein the target quality information is a target SINR (Signal-Interference-to-Noise Ratio)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장치에 이용 가능한 전송 파워와 상기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총 전송 파워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할당되는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 장치.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rmining a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Comparing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with total transmission power alloca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And determines a transmission power to be allocated to a transmitting apparatus tha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ransmission power determination device.
KR1020180115304A 2018-09-27 2018-09-27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KR102000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304A KR102000667B1 (en) 2018-09-27 2018-09-27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304A KR102000667B1 (en) 2018-09-27 2018-09-27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800A Division KR20130104369A (en) 2012-03-13 2012-03-13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551A KR20180108551A (en) 2018-10-04
KR102000667B1 true KR102000667B1 (en) 2019-07-16

Family

ID=6386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304A KR102000667B1 (en) 2018-09-27 2018-09-27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6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10B1 (en) * 2009-04-13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distribut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551A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3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timal beam in a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KR101524689B1 (en)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vely feedbacking information about inteference channels for inteference alig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US8805283B2 (en) Inter-cell interference relief method
CN110235388A (en) Reduce bandwidth using Wave beam forming and data compression
US8649344B2 (en) Method of coordinating precoding matrix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83282A1 (en) Communication method of macro base station, macro terminal, micro base station, and micro terminal for interference control in hierarchical cellular network
KR20100051409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reof
KR1020279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inter-cell interference can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soumi et al. Coexistence of D2D communications and cell-free massive MIMO systems with low resolution ADC for improved throughput in beyond-5G networks
US930126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in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ssion
Wang et al. Dynamic cell muting for ultra dense indoor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KR10201225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beamforming through one-way cooperative channel
KR101547060B1 (en) Iterative power allocation scheme using waterfilling and beamforming in im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multi cell downlink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KR10200066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mimo system based on cooperative transmitting
CN103188006A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system of downlink coordinated multiple points
US92880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edback in a heterogeneous system
Liu et al. An optimal power allocation scheme in downlink multi-user NOMA beamforming system with imperfect CSI
CN108809379B (en) User terminal and MIMO data energy simultaneous transmission system
Asgharimoghaddam et al. Decentralized multi-cell beamforming via large system analysis in correlated channels
Rosa et al. Improving the Resource Efficiency in Massive MIMO-NOMA Systems
KR101188996B1 (en) Method for cooperative transmi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Zhang et al. A multi-armed bandit approach to distributed robust beamforming in multicell networks
CN112492642A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rference coordin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8233996B (en) Method for obtaining channe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system and terminal
KR101741361B1 (en) Mtehod for optimal transceiver design in interference alignment based cognitive radio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