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570A -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570A
KR20180013570A KR1020160097467A KR20160097467A KR20180013570A KR 20180013570 A KR20180013570 A KR 20180013570A KR 1020160097467 A KR1020160097467 A KR 1020160097467A KR 20160097467 A KR20160097467 A KR 20160097467A KR 20180013570 A KR20180013570 A KR 20180013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bot
home
beac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편태일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두원
주식회사 태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두원, 주식회사 태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두원
Priority to KR102016009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570A/en
Publication of KR2018001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5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robot service. The system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home of a user, a robot installed in the home of the user, and a service server through a network so as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robot, and to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refore, the user terminal can check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and can request a control message of the IoT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in the home to the robot through the service server based on displayed information.

Description

집 안의 사물을 제어하는 가족으로서의 로봇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servic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본 발명은 집 안의 로봇이 주변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활용하여 가족과 소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mily using a nearby Internet (Things) device.

최근에는 온도, 습도,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나 가전기기의 플러그 및 스위치와 같은 사물에 인터넷 기능을 장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사물 인터넷 기기들이 나와있다. 이 기기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서 측정 정보나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net appliance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y attaching Internet functions to objects such as sensors, appliances, and switches for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This device can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or control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and has a function to reflect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따라서, 요즘은 집 안에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생활공간 관리 서비스, 소비 전력 관리 서비스, 방범 서비스와 같은 생활 편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se days, it is possible to provide living convenience services such as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service, and a crime prevention service by using the Internet device in the house.

그리고, 사물의 기능이 인터넷 통신을 기반으로 확장하면서, 사람과 사물 및 사물과 사물간에도 지능적으로 통신이 가능해졌다. 예로써, 사람들끼리 유대 관계 형성에 주로 사용하는 SNS 서비스는 사물과 사물간의 정보 교환까지 가능하여서, 사람뿐만 아니라 사물도 주체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처리할 수 있다.And, as the function of objects is expanded on the basis of Interne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intelligently between people and objects, objects and objects. For example, the SNS service, which is mainly used to build relationships among people, can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objects and objects, and can provide and process services as objects as well as people.

게다가 가정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이 점차 줄어가고 있는 요즘은 생활의 편리와 더불어 친근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감성을 고려하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로봇을 가족의 일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감성 서비스와 기존의 생활 편리 서비스를 접목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members who are becoming family members is gradually decreasing. Nowadays, it is demanding the technology that considers the feeling of being able to give a feeling of being friendly with the convenience of living, and the emotional service that enables the robot to feel as a member of the family, It is time to look for ways to combine life convenience services.

특허출원번호 10-2014-0011073호(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11073 (Servic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특허출원번호 10-2014-0029517호(스마트 홈 솔루션)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29517 (Smart Home Solu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집에 항상 거주하는 가족이 드문 요즘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여 로봇이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대신하거나, 집안의 정보를 알려서 원격지에서 사람이 집안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집에 사람이 없더라도 로봇이 사람을 대체해서 생활의 편리와 부족한 가족 간의 소통을 제공할 수 있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above-mentioned demands. It reflects the lifestyle of the family that is always living in the house, so that the robot can replace the work that the person can do, or inform the information of the hous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obo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of liv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a family member who lacks a robot even if there is no person at home.

여기서, 로봇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물의 전원을 제어하는 서비스, 집 안에서 수집한 정보를 가족에게 SNS를 이용하여 알리는 서비스, 가족이 소지한 비콘의 등록 번호를 확인하여 구성원을 인식하는 서비스, 인식한 가족 구성원에게 음성 메일을 재생하는 서비스, 로봇에 설치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집 안을 감시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robot system is a ser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object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s, a service for informing the famil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SNS, A service for recognizing a member by checking the registration number of a beacon, a service for playing voice mail to a recognized family member, and a service for monitoring the home using a camera installed in the robo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다수의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로봇과,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을 통해서 상기 IoT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기기의 제어 메시지와 상기 홈 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로봇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 robot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nd a service server through a network, IoT device,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and based on the posted information, And requests the robot to transmit the control message and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groove through the service server.

또한, 상기 IoT 기기는, 상기 홈 내의 각종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에 연결된 스마트 스위치와, 상기 홈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와, 블루투스 기반으로 상기 홈 내의 가족 구성원을 감지할 수 있는 비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o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mart switch connected to a power plu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n the groove, a smar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in the groove, And a beacon module capable of detecting family members.

또한, 상기 로봇은, 각 가정 내의 IoT 기기 및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통신부와, 상기 IoT 기기에 따른 데이터의 형식에 맞춰서 각 IoT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물정보 수집부와, 각 가정 내에 설치된 IoT 기기의 고유 식별자 관리(저장/수정/삭제/조회)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물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로봇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IoT 제어부와, 장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온/오프하거나 줌인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거나 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소정 주기로 실내 이동하면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로봇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includes a robo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with IoT devices and service servers in respective homes, and a robo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IoT device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IoT device (Storing / modifying / deleting / inquiring)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installed in each home, 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or collecting it through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or An IoT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via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and a camera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or zooming the mounted camera, the camera, or rotating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And a robot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while moving indoors to the service server .

또한, 상기 사물정보 수집부는, 상기 스마트 센서를 통해 수집된 실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센서 수집부와, 상기 스마트 스위치를 통해 수집된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스위치 수집부와, 상기 비콘 모듈을 통해 집안에 현재 감지되는 가족 구성원 정보를 확인하는 비콘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smart sensor collecting unit for storing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ensor, and on / off information of the smart switch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witch. And a beacon collecting unit for confirming the family member information currently sensed in the house through the beacon module.

또한, 상기 IoT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제어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상기 스마트 센서 제어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센서와 연동된 냉온방 장치, 습도장치, 조도장치를 온/오프하거나 설정된 온도, 습도 또는 조도로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구성원 확인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비콘 수집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집안의 가족 구성원을 확인하고 해당 구성원 단말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비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 control unit may include a smart switch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mart switch control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controlling on / off of the smart switch, A smart switch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controls the cold / hot room apparatus, the humidity apparatus, and the illuminance apparatus interlocked with the smart sensor on / off, or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umidity or illumination; And a beac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beac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collecting unit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identifying a family member of the hom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beacon collecting unit and providing a voice or text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member terminal.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사용자 인증 절차 및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을 포함하는 웹서버; 1가구 이상의 각 가정 내의 로봇을 등록하여 각 로봇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릴레이 서버;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로봇으로부터 IoT 기기 수집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may include: a web server includ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robot,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A session relay server for registering robots in each household having one or more households and managing sessions for the robots;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IoT device collection information from the robot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 streaming server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다수의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로봇과,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로봇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을 통해서 상기 IoT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기기의 제어 메시지와 상기 홈 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로봇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service method i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 robot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nd a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via a network,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robo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check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collec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requests the control message of the IoT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groove through the service server to the robot.

또한, 상기 로봇은 인식할 수 있는 IoT 기기의 정보를 이미 내장하고 있고, IoT 기기가 동작하고 있으면 수신을 시작하여,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의 종류를 구분하여 처리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의 정보를 처리하고,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고,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IoT device is operating, the robot starts to receive the information. Then, the robot classifies the type of the IoT devic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switch if the IoT devic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 smart switch,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if the smart sensor, and processing beacon information if the IoT device is the beacon module.

또한, 상기 비콘 정보 처리는 미리 가족 구성원이 등록한 비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집안에서 인식한 비콘 모듈에서 비콘의 고유 번호를 수집하여 등록한 가족의 비콘 고유 번호와 비교하여 가족 구성원 중에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고, 가족이 아닌 경우로 판별하는 단계와, 카메라를 통해서 집안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콘이 인식되지 않거나, 비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가족이 아닌 경우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beacon information processing may collect the beacon's unique number from the beacon module recognized in the home based on the beacon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family member, compare it with the registered beacon number of the family,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the house through the camera, determining whether the beacon is not recognized, recognizing the beacon numb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eacon is not a family memb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이미 로봇에 의해 수집하여 게시된 IoT 기기의 정보를 SNS를 통해서 확인하는 단계와, 제어가 필요한 IoT 기기를 선택하여 필요한 제어 메시지를 웹 서버 또는 세션 릴레이 서버를 통해서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한 제어 메시지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를 제어하고,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를 제어하고,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정보 제어는, 비콘의 고유 번호를 통해서 확인한 가족 구성원에게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을 녹음하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구성원에게 음성 메일이 있다는 것을 웹 서버와 세션 릴레이 서버를 거쳐서 상기 로봇이 전달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cessing a web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lready collected and posted by the robot through the SNS, selecting an IoT device requiring control, Controlling the smart switch if the requested control message is a smart switch, controlling the smart sensor if the smart sensor is a smart sensor, and controlling beacon information if the requested control message is a smart switch, and controlling the beacon information, Recording the voice in the user terminal to the family member identified through the unique number, storing the voice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and reproducing the voice mail through the web server and the session relay server through the session relay server .

본 발명은, 사람이 집에 없더라도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로봇과 통신하여 가전 기기의 전원은 물론 온도, 습도, 조도의 변화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고, 가족에게 남기고 싶은 음성을 대신 로봇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erson is not at hom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robot through the user's terminal, there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as well as the change in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이를 통해, 생활의 편리한 서비스와 집에 혼자 있을 때에 더 필요한 감성적인 서비스를 통해서 가족의 규모가 작아지고 있는 요즘 시대에 보다 적극적으로 사람에게 다가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approaches people more positively in a time when the size of the family is getting smaller through convenient service of life and emotional service which is needed more when being alone at home.

도 1은 본 발명에서 집안의 로봇이 IoT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로봇의 각 기능에 해당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로봇 서비스 서버에 해당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로봇이 집안의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집안의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로봇이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집안의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집안의 로봇에게 영상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1의 시스템을 통해, 세션 릴레이 서버가 사용자와 로봇과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system in which a robot in a house controls an IoT device and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of the robot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robot service server in FIG. 1;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in the house through the system of FIG. 1; FIG.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firm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IoT device through the system of FIG. 1;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home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 robot at the request of a user through the system of FIG. 1;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requesting a robot to a home by a user through the system of FIG. 1;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ssion relay server communicates with a user and a robot through the system of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in the specification as " comprises "or" comprising "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device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로봇 시스템 및 서비스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obot system and a service procedure for a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 가정(홈) 내의 다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300), 로봇(100) 및 로봇 서비스 서버(200)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시스템은 로봇(100)을 통해서 가정 내의 다수의 IoT 기기(300)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로봇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00)이 로봇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400)이 가정 내 IoT 기기(300)의 제어와 집안 영상 정보를 로봇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서 로봇(100)에게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a robo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a plurality of Internet (IoT) devices 300 in a home (home), a robot 100, and a robot service server 200 ). The system collects th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300 in the home via the robot 100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200) to confirm the collected information. Based on the post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4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quest control of the home IoT device 300 and the home image information from the robot 100 through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여기서, 사물인터넷(IoT) 기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가입자(이하, 사용자)의 가정(홈) 내에 설치되고, 가정 내의 사물에 소형의 통신모듈과 컴퓨터를 부착하여, 통신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디바이스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300)를 통해, 사용자 집 안 내에서 온도, 습도, 조도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실내 환경 관리를 하거나 전원 제어 관리를 하거나 집안 내의 가족 구성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기기(300)는, 집안 내의 각종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에 연결된 스마트 스위치(310)와, 집안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320)와, 블루투스 기반으로 집안 내의 가족 구성원을 감지할 수 있는 비콘 모듈(330) 등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ternet (IoT) device 300 is installed in a home (home) of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subscri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taches a small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mputer , And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hrough the Internet device 300,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managed, the power control can be managed, or the family members in the house can be checked by detecting changes in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the like in the user's home. The smart Internet device 300 includes a smart switch 310 connected to a power plu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n a home, a smart sensor 320 capable of measuring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 beacon module 330 that can detect a family member in the house based on Bluetooth, and the like.

또한, 사물인터넷 기기(300)와 로봇(100)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령, 사물인터넷 기기(300)에 NFC 칩 또는 블루투스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NFC 기능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모듈(또는 앱 프로그램)이 설치된 로봇(100)을 통해 사물의 고유식별번호를 인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bject Internet device 300 and the robot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he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NFC chip or a Bluetooth module is embedded in the object Internet device 3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n application program) that implements an NFC function or a Bluetooth function is installe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gnized.

또한, 로봇(1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로봇 서비스 서버(200)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와이 파이(Wi-Fi),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robot 1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function.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xamp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 a wireless LAN (WLAN), a Bluetoot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 ZigBee, , 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like.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USB communication, an Ethernet, a serial communication, and an optical / coaxial cable.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컴퓨터, 노트북, 개인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등 온라인 상태에서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includes all devices capable of web browsing, such as 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and the like, as well as a computer, a notebook,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웹 서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웹 서버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웹페이지를 통해 용이하게 로봇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마련된 인터페이스 역할의 서버로서, 그 동작 및 작용은 통상적인 웹서버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웹 서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웹 페이지에 로그인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로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공인 인증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로봇(100)으로부터 제공된 사물인터넷 기기의 데이터 및 로봇에서 제공된 가정 내 촬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providing the rob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In general, the web server is a system in which,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rver are not so different from those of a conventional web server,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eb server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a user ID, a password, a public certificate, and the like may correspond to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for logging into the web p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 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DB) for storing the data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provided from the robot 100 and the multimedia data photographed in the home provided by the robot.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는, 홈 내의 로봇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또는 홈 내 실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버(200)로 제공하고, 이후 서버(200)로부터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정 내 영상 정보 또는 실내 정보 등을 수신받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provides the control command or the intra-home indoo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o remotely control the robot in the home, and then, from the server 200, Internal video information, indoor information, and the like. At this time, multimedia data such as moving pictures can be provided as a streaming service through a streaming server.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로봇(100)을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100 in the system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로봇(100)은 각 가정 내에 설치되고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100)은, 각 가정 내의 IoT 기기(300) 및 로봇 서비스 서버(2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통신부(110)와, IoT 기기(300)에 따른 데이터의 형식에 맞춰서 각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물정보 수집부(120)와, 각 가정 내에 설치된 IoT 기기(300)의 고유 식별자 관리(저장/수정/삭제/조회)하거나 상기 로봇 서비스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물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로봇 통신부(110)를 통해 로봇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IoT 제어부(130)와, 장착된 카메라(141)와 상기 카메라부(141)를 온/오프하거나 줌인하거나 카메라부를 회전시키거나 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제어부(142)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소정 주기로 실내 이동하면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로봇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하는 로봇 관리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obot 100 may be installed in each hom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or movable. The robot 100 includes a robot communication unit 1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home IoT devices 300 and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via network communication, An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object Internet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of data, a unique identifier management (storage / modification / deletion / inquiry) of the IoT apparatus 300 installed in each home The robot I / F 120 transmit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to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amera controller 142 for turning on / off or zooming the camera unit 141, or rotating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unit 141, if And a robot managing unit 140 that provides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o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이때, 사물정보 수집부(120)는, 스마트 센서(320)를 통해 수집된 실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센서 수집부(121)와, 스마트 스위치(310)를 통해 수집된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스위치 수집부(122)와, 비콘 모듈(330)을 통해 집안에 현재 감지되는 가족 구성원 정보를 확인하는 비콘 수집부(123)를 포함한다.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includes a smart sensor collecting unit 121 that stores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ensor 320, A smart switch collecting unit 122 for storing on / off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smart switch, and a beacon collecting unit 123 for confirming the family member information currently sensed in the house through the beacon module 330.

또한, IoT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400)이 요청한 스마트 스위치 제어 요청을 상기 로봇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아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132)와, 사용자 단말(400)이 요청한 스마트 센서 제어 요청을 상기 로봇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아 스마트 센서와 연동된 냉온방 장치, 습도장치, 조도장치를 온/오프하거나 설정된 온도, 습도 또는 조도로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132)와, 사용자 단말(400)이 요청한 구성원 확인 요청을 상기 로봇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비콘 수집부(122)의 정보를 기반으로 집안의 가족 구성원을 확인하고 해당 구성원 단말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비콘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OT control unit 130 includes a smart switch control unit 132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mart switch by receiving the smart switch control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A humidity sensor or an illuminance device interlocked with the smart sensor, which is received through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and is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the humidity or the illuminance, The switch control unit 132 and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and confirms the family members of the hom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beacon collection unit 122, And a beacon control unit (not shown) for providing voice or text messages to the terminal.

이때, 로봇 관리부(140) 또는 IoT 제어부(130)의 제어 구성은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 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 응용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등의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robot management unit 140 or the IOT control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ircuit (for example, a CMOS-based logic circuit),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utilizing transistors, logic gates, and electronic circuits in the form of various electrical structures.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software such as application programs (apps), application software, and computer programs.

도 3은 도 1의 로봇 서비스 시스템에서 로봇 서비스 서버(200)에 대한 기능 블럭도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in the robot service system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마트 홈 내의 IoT 기기(300)의 수집 정보를 로봇(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DB에 저장한 후 사용자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로봇(100)을 이용한 수집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한다. 이때, 서버(200)는 웹서버(220)로서 사용자 단말(400)들이 접속 가능하도록 대기(Listen)하고, 사용자 단말(400)들의 접속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절차 및 서비스 페이지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400)들의 계정 등록을 위한 절차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3, when the server 200 receives a request messag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400, the server 200 receives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300 in the smart home from the robot 100, And provides collection information using the robot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 At this time, the server 200 listens to the user terminals 400 as a web server 220, provides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service pag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s 400, ) To perform the procedure for account registration.

가령, 로봇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 및 로봇(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221)와, 사용자 인증 절차 및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222)을 포함하는 웹서버(220)와, 1가구 이상의 각 가정 내의 로봇(100)을 등록하여 각 로봇(100)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릴레이 서버(210), 상기 서버 통신부(221)를 통해 수신된 로봇(100)으로부터 IoT 기기 수집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30)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240)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2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robot 100,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222 for provid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smart home- A session relay server 210 for registering robots 100 in each household or more than one household and managing a session for each robot 100; A database 23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oT device collection information from the robot 100, and a streaming server 240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먼저, 서버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400) 또는 로봇(10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요청에 따라 로봇(100)으로 전송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robot 100.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request data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transmits the request data to the robot 100 Thereby enabling remote control.

또한,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서 영상을 촬영하여 스트리밍 서버(240)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40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240 by capturing an image through a camera mounted on the robot.

또한, 서비스 관리부(222)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 사용자 정보의 저장/수정/삭제, 로그인 정보의 관리, 로봇의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관리 및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management unit 222 manages user authentication, user information storage / modification / deletion, login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and registration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obot, etc.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0 Can be performed.

또한, 서비스 관리부(222)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로봇(100)을 통해서 가정 내의 다수의 IoT 기기(300)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수신받아 서버(200)에 접속하여 요청한 사용자 단말(400)로 수집된 정보를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가정 내 IoT 기기(300)의 제어와 집안 영상 정보를 로봇(100)에게 요청할 수 있게 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The service management unit 222 collects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300 in the home through the robot 1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receiv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connect to the server 200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requested user terminal 400 so that it can be confirm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0, based on the posted information, the control of the home IoT device 300 and the home image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to the robot 100 to enable remote control.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의 로봇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과정을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home-based robot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using the robot service system of FIGS. 1 to 3.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과정에서, 로봇(100)이 IoT 기기(300)의 정보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100 collects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300 in the smart home-based robot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로봇(100)은 인식할 수 있는 IoT 기기(300)의 정보를 이미 내장하고 있고, IoT 기기(300)가 동작하고 있으면(S410) 수신을 시작하여(S420),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300)의 종류를 구분하여 처리하여 로봇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S430).4, when the IoT device 300 is operating (S410), the robot 100 starts to receive (S420), and when th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IoT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S430).

여기서,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300)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의 정보를 처리하고(S440),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고(S450),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처리한다(S460).If the IoT device 300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 smart switch, information of the smart switch is processed (S440). I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 smart sensor,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is processed (S450) ).

이때, 비콘 정보 처리(S460)는 미리 가족 구성원이 등록한 비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집안에서 인식한 비콘 모듈에서 비콘의 고유 번호를 수집하여 등록한 가족의 비콘 고유 번호와 비교하여 가족 구성원 중에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고, 가족이 아닌 경우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서 집안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콘이 인식되지 않거나, 비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가족이 아닌 경우도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acon information processing (S460) collects the beacon unique number from the beacon module recognized in the home based on the beacon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family member, and compares the beacon unique number of the registered family with the beacon unique number of the registered family, , And can be identified as a family member. The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person in the house through the camera, whether the beacon is not recognized, or the beacon number is recognized and the family is not recogniz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로봇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IoT 기기(300)에게 제어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terminal 400 accesses a robot service server 200 and requests control of the IoT device 300 in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S510), 이미 로봇(100)에 의해 수집하여 게시된 IoT 기기(300)의 정보를 SNS를 통해서 확인하고(S520), 제어가 필요한 IoT 기기(300)을 선택하여 필요한 제어 메시지를 웹 서버(220) 또는 세션 릴레이 서버(210)을 통해서 요청할 수 있다(S530).The user accesses the web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in step S510 and confirms th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300 already collected and posted by the robot 100 through the SNS in step S520. The device 300 may be selected and a necessary control message may be requested through the web server 220 or the session relay server 210 in operation S530.

여기서, 요청한 제어 메시지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를 제어하고(S540),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를 제어하고(S550),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제어한다(S560).If the requested control message is a smart switch, the smart switch is controlled (S540). If the requested control message is a smart switch, the smart sensor is controlled (S550).

이때, 비콘 정보 제어(S560)는, 비콘의 고유 번호를 통해서 확인한 가족 구성원에게 사용자 단말(400)에서 음성을 녹음하여 로봇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고 해당 구성원에게 음성 메일이 있다는 것을 웹 서버(200)와 세션 릴레이 서버(210)를 거쳐서 로봇(100)이 전달받아 재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acon information control (S560) records the voice from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family member identified through the beacon number, stores the voice in the database (230) through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The robot 100 is able to receive and reproduce the information through the web server 200 and the session relay server 210. [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로봇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봇(100)에게 집안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에 로봇(100)이 영상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400 accesses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and requests the robot 100 for the house image data in the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process, And a process of processing the video data request.

여기서, 로봇(100)은 카메라를 통해서 영상을 촬영하고 동영상 압축 모듈을 통해 영상을 인코딩한다(S610) 그리고, 사용자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압축 영상을 로봇 서비스 서버의 정해진 저장소에 업로드하고(S620)(S630), 해당 영상의 URL을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SNS에 게시한다(S640).Here, the robot 100 captures an image through a camera and encodes the image through a moving image compression module (S610). The compressed image is uploaded to a predetermined storage of the robot service server in response to a user-provided request (S620) S630). When the URL of the corresponding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posts the URL to the SNS (S640).

이어, 사용자 단말(400)은 URL을 선택하여 스트리밍 서버(240)를 통해서 수신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의 재생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S710 내지 S730).Then, the user terminal 400 can select a URL and confir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streaming server 240 through the player of the user terminal (S710 to S73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 과정에서, 로봇 서비스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400)에서 오는 제어 또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로봇(100)으로 전달하거나, 로봇(100)에서 오는 수집 또는 처리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receives control or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transmits the control or request information to the robot 100, Collecting 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or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FIG.

여기서, 서버(200)는 로봇(100)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고, 이를 웹 서버(220)을 통해 SNS 서비스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게시한다(S810). 그리고, 로봇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으로부터 SNS 확인 요청 또는 제어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S820), 세션 릴레이 서버(210)을 통해서 해당 사용자의 집안의 로봇(100)으로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Here, the server 200 stores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robot 100 in the database 230, and pos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rough the SNS service through the web server 220 (S810).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SNS confirmation request or control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400 in step S820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robot 100 in the user's home through the session relay server 210 .

이에 따라, SNS 확인 요청이 있으면, 로봇 서비스 서버(200)은 IoT 기기(300)의 수집 정보가 있으면 SNS 게시를 확인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 단말(400)은 IoT 기기의 제어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830 내지 S840).Accordingly, if there is an SNS confirmation request,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e SNS publication if there is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confirming the SNS publication confirms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S830 to S840).

또한, 로봇 서비스 서버(200)는 전송받은 IoT 기기의 제어 정보를 로봇(100)으로 전송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S850).In step S850, the robot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oT device to the robot 100 to remotely control the robo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로봇
200 : 로봇 서비스 서버
300 : IoT 기기
400 : 사용자 단말
110: 로봇 통신부
120: 사물정보 수집부
130: IoT 제어부
140: 로봇 관리부
210: 세션 릴레이 서버
220: 웹서버
230: 데이터베이스
240: 스트리밍 서버
310: 스마트 스위치
320: 스마트 센서
330: 비콘 모듈
100: Robot
200: Robot service server
300: IoT device
400: User terminal
110: robot communication section
120: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section
130: IoT control section
140: Robot management part
210: Session Relay Server
220: Web server
230: Database
240: Streaming server
310: Smart Switch
320: Smart sensor
330: Beacon module

Claims (10)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다수의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로봇과,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을 통해서 상기 IoT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기기의 제어 메시지와 상기 홈 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로봇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 robot installed in the user's home; and a system in which a service server is connected via a network,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robot,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and based on the post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sends the control message of the IoT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home to the robot via the service server Wherein the robot service system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상기 홈 내의 각종 가전 기기의 전원 플러그에 연결된 스마트 스위치와,
상기 홈 내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와,
블루투스 기반으로 상기 홈 내의 가족 구성원을 감지할 수 있는 비콘 모듈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device includes a smart switch connected to a power plu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n the groove,
A smar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in the groove,
And a beacon module capable of detecting a family member in the home based on Bluetoo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각 가정 내의 IoT 기기 및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통신부와,
상기 IoT 기기에 따른 데이터의 형식에 맞춰서 각 IoT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물정보 수집부와,
각 가정 내에 설치된 IoT 기기의 고유 식별자 관리(저장/수정/삭제/조회)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물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로봇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IoT 제어부와,
장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온/오프하거나 줌인하거나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거나 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소정 주기로 실내 이동하면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로봇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bot includes:
A robo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with IoT devices and service servers in each home,
An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Io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of data according to the IoT device,
(Storing / modifying / deleting / inquiring) the IoT devices installed in each home, 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rvice server 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the service server An IoT control unit,
And a camera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or zooming in the camera, rotating the camera,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wherein the robot management unit provide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while moving indoors at a predetermined cycle to the service server The robot service system comprising: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정보 수집부는, 상기 스마트 센서를 통해 수집된 실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실내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센서 수집부와,
상기 스마트 스위치를 통해 수집된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스위치 수집부와,
상기 비콘 모듈을 통해 집안에 현재 감지되는 가족 구성원 정보를 확인하는 비콘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objec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smart sensor collecting unit that stores in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ensor,
A smart switch collecting unit for storing on / off information of the smart switch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witch,
And a beacon collecting unit for confirming the family member information currently sensed in the house through the beacon modul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oT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상기 스마트 스위치 제어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상기 스마트 센서 제어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센서와 연동된 냉온방 장치, 습도장치, 조도장치를 온/오프하거나 설정된 온도, 습도 또는 조도로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구성원 확인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비콘 수집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집안의 가족 구성원을 확인하고 해당 구성원 단말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제공하는 비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oT control unit
A smart switch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mart switch control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controlling on / off of the smart switch;
A smart switch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smart sensor control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turns on / off a cold / hot room apparatus, a humidity apparatus, and a lighting apparatus interlocked with the smart sensor or controls the temperature / humidity / Wow,
A beacon controller for receiving a member confirmation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server, identifying a family member of the hom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beacon collecting unit, and providing a voice or text message to the member terminal, Robot servi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사용자 인증 절차 및 스마트 홈 기반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을 포함하는 웹서버;
1가구 이상의 각 가정 내의 로봇을 등록하여 각 로봇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릴레이 서버;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로봇으로부터 IoT 기기 수집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A web server includ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robot,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smart home based robot service;
A session relay server for registering robots in each household having one or more households and managing sessions for the robots;
A database for receiving and storing IoT device collection information from the robot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nd a streaming server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다수의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의 홈 내에 설치된 로봇과,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로봇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을 통해서 상기 IoT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기기의 제어 메시지와 상기 홈 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로봇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방법.
1. A robot service method i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a user's home, a robot installed in a user's home, and a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via a network,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robo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 user terminal can confirm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and based on the post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sends the control message of the IoT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home to the robot via the servic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인식할 수 있는 IoT 기기의 정보를 이미 내장하고 있고, IoT 기기가 동작하고 있으면 수신을 시작하여,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의 종류를 구분하여 처리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정보의 IoT 기기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의 정보를 처리하고,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고,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bot includes information of an IoT devic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robot. When the IoT device is in operation, the robot starts receiving, classifying the type of IoT devic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switch if the IoT device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 smart switch,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if it is a smart sensor, and processing beacon information if the IoT device is a beacon modu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정보 처리는 미리 가족 구성원이 등록한 비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집안에서 인식한 비콘 모듈에서 비콘의 고유 번호를 수집하여 등록한 가족의 비콘 고유 번호와 비교하여 가족 구성원 중에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고, 가족이 아닌 경우로 판별하는 단계와,
카메라를 통해서 집안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콘이 인식되지 않거나, 비콘 고유 번호를 인식하여 가족이 아닌 경우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eacon information processing may collect the unique number of the beacon from the beacon module recognized in the home on the basis of the beacon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family member, and compare the beacon unique number with the registered beacon number of the fami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a non-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the house through the camera, determining whether the beacon is not recognized, or recognizing the beacon number and not being a family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이미 로봇에 의해 수집하여 게시된 IoT 기기의 정보를 SNS를 통해서 확인하는 단계와,
제어가 필요한 IoT 기기를 선택하여 필요한 제어 메시지를 웹 서버 또는 세션 릴레이 서버을 통해서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한 제어 메시지가 스마트 스위치이면 스마트 스위치를 제어하고, 스마트 센서이면 스마트 센서를 제어하고, 비콘 모듈이면 비콘 정보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정보 제어는, 비콘의 고유 번호를 통해서 확인한 가족 구성원에게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을 녹음하여 서비스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구성원에게 음성 메일이 있다는 것을 웹 서버와 세션 릴레이 서버를 거쳐서 상기 로봇이 전달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서비스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ccessing a web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onfirming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lready collected and posted by the robot through the SNS;
Selecting an IoT device requiring control and requesting a necessary control message through a web server or a session relay server;
Controlling the smart switch if the requested control message is a smart switch, controlling the smart sensor if the smart sensor is a beacon module,
The beacon information control unit records the voice from the user terminal to a family member identified through the beacon number, stores the voice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ice server, and informs the member that the voice mail exists through the web server and the session relay server. And receiving and reproducing the robot service information.
KR1020160097467A 2016-07-29 2016-07-29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KR20180013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67A KR20180013570A (en) 2016-07-29 2016-07-29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67A KR20180013570A (en) 2016-07-29 2016-07-29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70A true KR20180013570A (en) 2018-02-07

Family

ID=6120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67A KR20180013570A (en) 2016-07-29 2016-07-29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57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22A (en) * 2018-01-04 2019-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hom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bile home robot
WO2019209075A1 (en) * 2018-04-27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11844039A (en) * 2020-07-23 2020-10-30 上海上实龙创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Wisdom space system based on robot control
CN112910746A (en) * 2019-12-04 2021-06-04 瓦兰姆系统有限公司 Home robot and intelligent home safety monitoring system intercommunicated with home equip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22A (en) * 2018-01-04 2019-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hom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mobile home robot
WO2019209075A1 (en) * 2018-04-27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11533189B2 (en) 2018-04-27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12910746A (en) * 2019-12-04 2021-06-04 瓦兰姆系统有限公司 Home robot and intelligent home safety monitoring system intercommunicated with home equipment
WO2021112283A1 (en) * 2019-12-04 2021-06-10 (주)바램시스템 Smart home safety monitoring system through linking of home robot and home device
CN111844039A (en) * 2020-07-23 2020-10-30 上海上实龙创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Wisdom space system based on robot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7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TWI545920B (en)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 method of home appliance thereof
US11990126B2 (en) Voice-controlled media play in smart media environment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77786B1 (en) Media transfer between media output devices
US10002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KR1007401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recognition of home device used RFID
US11044554B2 (en) Auto-provisioning of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583658B1 (en)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Door-Phone
US20170345290A1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KR1022522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KR20180013570A (en) A method and system of Robot Service for controlling things in the home and communicating with a family
CN105137771A (en)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terminal
JP7393526B2 (en) Methods, electronic devices, server systems, and programs for providing event clips
US10101771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TWM459478U (en) Gateway and smart home system
CN110174848B (en)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20133495A1 (en) Smart device management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US20130166688A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torage, server
TWM449319U (en) Remote doorbell control system and its smart doorbell device
JP6876122B2 (en)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wireless audio / 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11630413B (en) Confidence-based application-specific user interaction
KR102320027B1 (en) Voice transmission method,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179855A1 (en) Display assistant device having a monitoring mode and an assistant mode
JP5810359B1 (en) Intercom system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