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701A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701A
KR20180011701A KR1020170002845A KR20170002845A KR20180011701A KR 20180011701 A KR20180011701 A KR 20180011701A KR 1020170002845 A KR1020170002845 A KR 1020170002845A KR 20170002845 A KR20170002845 A KR 20170002845A KR 20180011701 A KR20180011701 A KR 2018001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ehicle
wireless charging
tes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5490B1 (en
Inventor
최봉호
Original Assignee
최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호 filed Critical 최봉호
Publication of KR2018001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11/1829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ethod of vehicles using the same. The technical objective is to use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if necessary, uses only one between the methods, and communicate with vehicles when a vehicle is placed within a chargeable place to transmit/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harging, or to transmit a charging state in real time during charging, such that a user utilizes waiting time required to charge a vehicle. For example, disclosed is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current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any current among a first test current, a second test current and a charging curr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 current control command; a searching unit which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searches and provides a first coordinate of a location having a largest induction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and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searches and provides a second coordinate of a location having a largest induction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as follows: if the vehicle is placed in a wireless charging space, move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a coordinate of a location away from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move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the first coordinate of a location having a largest induction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searched by the searching unit, and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nd move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the second coordinate of a location having a largest induction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searched by the searching unit and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the charging current.

Description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vehicle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가 등장하면서 충전 인프라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미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비롯하여 배터리 교체, 급속 충전장치, 무선 충전장치 등 다양한 충전방식이 등장하고 있고, 새로운 충전사업 비즈니스 모델도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시험 운행중인 전기차와 충전소가 눈에 띄기 시작했고, 일본에서는 자동차제조업체와 전력회사들이 주도하여 전기자동차 및 충전소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Recently, as electric vehicles have emerged, interest in building charging infrastructure is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charging methods such as battery charging, rapid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business business model are beginning to appear. In Europe, test cars and charging stations have become more prominent. In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nd electric power companies are running pilot cars for electric vehicles and charging stations.

향후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충전시간을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킨 안전하고 빠른 충전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유선충전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비접촉식 충전방식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become popular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provide a safe and fast charging method that shortens the charging time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wired charging method A variety of non-contact charg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근거리 무선충전방식은 자기공명 방식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 진다. 자기 공명 방식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하며, 두 개의 코일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전자 기기에 연결하여 공명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기 공명 방식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와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1m 내지 2m가 되어도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near-field wireless charging method is charged by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uses a resonance phenomenon that vibrates at a specific frequency with a large amplitude, and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one of the two coils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to charge by using a current generated by resonance . Such a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device to be charged in the vehicle becomes 1 m to 2 m.

즉, 자기공명 방식은 전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충전으로 유도 거리가 자기유도 방식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이지만, 원거리의 전자기 유도 과정에서 유도 거리에 따른 유기 손실 또한 10배 이상이다. 결론적으로, 자기공명 방식은 유도 거리가 크면 전자기 유기 손실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i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induction distance is 10 times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by wireless charging by electromagnetic resonance, but the organic loss according to the induction distance is also 10 times or mor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ocess at a distance. In conclusio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a problem that electromagnetic induction loss is large when the induction distance is large.

또한, 근거리 무선충전방식은 자기유도 방식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 진다. 자기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로 1차 코일을 사용하고,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로 2차 코일을 사용하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1차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인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2차 코일에 유도돼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near-field wireless charging method is charged through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uses a primary coil as a transmitter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uses a secondary coil as a receiver of a device to be charged inside the vehicle,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of the device to be charged.

이러한 경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1차 코일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2차 코일에 의한 자기 에너지 결합을 이용한 기술로 높은 전력 전송을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력 전송을 위해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1차 코일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2차 코일이 수mm 정도의 짧은 거리에 인접해 있어야 하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1차 코일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2차 코일의 정렬에 따라 전력 전송의 효율성이 급격하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power transmission using a technique using magnetic energy coupling by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of the charging device inside the vehicle. However,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er of the device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of the device to be charged inside the vehicle must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a short distance of several millimeters and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coi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nges sharply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of the device.

상기와 같은 자기유도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충전방식으로 자기공명 방식과 비교하여 충전시간이 짧고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 사이의 유도 거리가 초근접시 전자기 유도율이 높다. 하지만, 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 사이의 유도 거리가 크면 정렬 위치에 따라 무선 충전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wireless charging metho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s compared with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when the charging time is short and the induction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in the vehicle is short The rate is high. 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of the pre-charging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device to be charged in the vehicle is large,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s lost depending on the alignment position.

즉, 사용자의 운전 습관이나 주정차 구역의 환경에 따라 차량을 운행하여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위치에 정확히 주정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 사이의 유도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무선 충전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habit of the user or the environment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can not accurately move to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guidance between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receiver of the charging device inside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s lost because the distance becomes large.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1446호는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인 차량들끼리 상호 간에 전력 요청 또는 제공 신호를 송수신하여 원하는 외부 차량을 선택하고 무선 도킹함에 따라 주행 중에도 차량들끼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1446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a vehic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vehicle wirelessly, It is disclosed that wireless charging can be carried out among them. However,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not disclo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14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1446

본 발명은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을 겸하거나 필요 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충전 가능한 일정 구간에 위치하면 차량과 통신하여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충전 시에도 충전 상황을 실시간 전송하여 사용자가 충전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enables a user to utilize a charge waiting tim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charging by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chargeable period, And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전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테스트 전류, 제2 테스트 전류 및 충전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를 차량에 송신하는 전류 송신부; 상기 제1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를 검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부; 및 상기 차량이 무선 충전 구간 안에 위치하면 상기 전류 송신부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좌표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로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current of any one of a first test current, a second test current, and a charge curr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 current control command; Searching for and providing a first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nd providing a second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largest; And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fter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coordinates of a position spaced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section,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er so that the second test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fter the current transmitter is moved to the first coordinate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detected by the search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provide the charging current by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a second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가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X축과 Y축 좌표를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nd may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X and Y axes in the course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nd the searching unit may search the X axis and Y axis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the induced curre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X axis and the Y axis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상기 X축과 Y축 좌표의 위치에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류 송신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가 상기 Z축으로 좌표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Z축 좌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는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t the positions of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s retrieved through the search unit, The current transmitte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Z 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mitted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of the curren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est current may include a test current of a magnetic resonance method.

또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주 송신 코일; 및 상기 주 송신 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주 송신 코일의 주변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보조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송신 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송신 코일을 상기 주 송신 코일의 주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in transmission coil;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coil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transmission coil around the main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xiliary transmission coils to be arranged around the main transmission coil It can be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미리 결정된 구간에 위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기 자동차 정보, 사용자의 충전 요구량 및 운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충전 요구량에 따라 충전을 완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승인 결과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receive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the user's charging request amount and driver's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request approv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fter completing the charg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pproval by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 송신부에서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하고, 상기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은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는 반사체 금속 또는 상기 반사체 금속을 이용한 합금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urrent transmitter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using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diaphragm, and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diaphragm may include a reflector metal that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Alloy body.

또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 상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에 따라 차량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mitter is provided on each of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to sequentially charge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is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the parking order on the parking surface And identif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 charge for the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current transmitter.

또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 상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주차면을 따라 설치된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에 따라 차량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so as to be movable along transport rails provided along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control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vehicle is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one sequence and to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 charging of the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to selectively control th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에 각각 설치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테스트 전류 및 상기 제2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t a parking order on the parking surface by using a proximity sensor provided in each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s and may set at least one of the first test current and the second test current applied through the current transmitt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 charge for the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주차면에 차량이 위치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전류 송신부가 제1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상기 전류 송신부를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시켜가며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좌표의 지점에서 상기 전류 송신부가 제2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류 송신부를 Z축을 따라 이동시켜가며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송신부가 상기 제1 좌표 및 상기 제2 좌표의 지점에서 상기 차량에 충전 전류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a vehicle us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hicle is located on a parking surface for wireless charging, the current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ransmits a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step; The controll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X axis and the Y axis to search for a first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t the point of the first coordinate; Searching the second coordinates of a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while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Z axis; And charging the vehicle by transmitt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vehicle at the points of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명 방식을 겸하거나 필요 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induction system and a magnetic resonance system can be combined or used alone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충전 가능한 일정 구간에 위치하면 차량과 사용자와 통신하여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충전 시에도 충전 상황을 실시간 전송하여 사용자가 충전 대기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certain period in which the vehicle can be charged, the vehicle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harging, or transmit the charging status in real time even when charg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충전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이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이동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자기 유도 방식과 손실 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복수의 주차면에 적용한 구성과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복수의 주차면에 적용한 구성과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network diagrams for explaining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ov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f FIG.
8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ing metho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f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loss electrons.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wireless 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ing plate of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차량"은 전기 충전을 통해 이동 가능한 모든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이송 대차 전동 대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vehicle" includes all moving means that are movable through electrical charging.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motorcycle, a transport vehicle, and the like.

본 명세서의 차량 무선 디바이스의 전류 송신부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X축, Y축, Z축 및 R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이 적용된다. 만일, 차량의 종류가 조향 장치(즉, 선회 장치)가 있는 차량(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인 경우, 차량 무선 디바이스의 전류 송신부는 X축, Y축, Z축 및 R축이 적용된다. 한편, 차량의 종류가 조향 장치가 없는 차량(예를 들어, 이송 대차, 전동 대차 등)이 경우 차량 무선 디바이스의 전류 송신부는 X축 및 Z축 방향이 적용된다. 이때, 차량의 종류가 조향 장치가 없는 차량 경우 차량이 레일을 따라 X축 직선으로 움직인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X axis, the Y axis, the Z axis, and the R axis is applied to the current transmitter of the vehicle wireless devic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If the type of vehicle is a vehicle (e.g., an electric vehicle) with a steering device (i.e., a swivel device), the X-axis, Y-axis, Z-axis, and R-axis are applied to the current transmitter of the vehicle wireless device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type of the vehicle is a vehicle without a steering device (for example, a conveying bogie, an electric bogie, etc.),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are applied to the current transmitter of the vehicle wireless device. At this time, if the type of the vehicle is a vehicle without a steering device, the vehicle moves along the rail in the X-axis straight lin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 충전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and 2 are network diagrams for explaining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차량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 및 차량(200)을 포함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전류 송신부(110)을 포함하고, 차량(200)은 전류 수신부(2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3,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a vehicle 20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current transmitter 110 and the vehicle 200 includes a current receiver 210.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운행되는 차량(200)이 차량 무선 충전 구간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비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통해 차량(200)과 연관된 단말 장치(예를 들어,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하는 스마트 기기(즉, 스마트 폰, PDA, 테블릿 PC 등))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vehicle 200 via a wireless network (e.g., beacon, Bluetooth, WiFi, etc.) when the vehicle 200 operated by the user is locat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section. (E.g.,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etc.) owned by a driver of a vehic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이때,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220)로부터 전기 자동차 정보(예를 들어, 잔여 용량, 자기장 주파수, 코일의 권선수 등), 사용자 요구량, 운전자 정보(예를 들어, 카드 번호, 자동 이체 계좌 번호, 비밀 번호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receive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e.g., remaining capacity, magnetic field frequency, coil speed, etc.) from the driver's smart device 220, user demand amount, driver information Card number, direct debit account number, password, etc.).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차량(200) 내 단말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무선 충전 방식 정보, 사용자 요구량 및 운전자 정보에 따라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 금액을 산출하여 단말 장치(220)에 제공한다. 이때,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무선 충전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식, 자기 유도식 또는 자기 공명식 및 자기 유도식의 겸용식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alculates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the charging amount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formation, the user requirement amount, and the driv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220 in the vehicle 200, and provides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the charging amount to the terminal device 220.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an confirm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vehicle is a magnetic resonance type, a magnetic induction type,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magnetic induction type using the wireless charging type inform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장치(22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충전을 위해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전 대기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220 and check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charging,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charging waiting tim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충전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전류 송신부(110)는 송신 코일(111) 및 송신 소스 코일(112)을 포함하고,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는 수신 코일(211) 및 수신 소스 코일(212)을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charg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current transmitter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111 and a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and the current receiver 210 of the vehicle 200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coil 211 and the reception source coil 212).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충전 예정 전류량만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전류를 제공한 후에 단말 장치(220)로부터 미리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비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220)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한 승인 결과에 따라 결제를 진행한다.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 provides current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ption unit 210 by the amount of the current to be charged and then proceeds with the settlement accor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220 .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onnects with the smart device 220 of the dri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beacon, Bluetooth, Wi-Fi, etc.) to request approval from the user, .

그런 다음, 검색부(120)는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의 위치를 인식한 후, 차량(200)으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송신 코일(111)은 제1 테스트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송신한다. The search unit 120 then automatically searches for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hen, The transmitting coil 111 transmits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n this case,

즉,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차량 무선 충전 구간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부터 자기공명 방식이 반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좌표로 이동한 후,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제1 테스트 전류를 송신하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 및 좌표를 검색한다.That is,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is located at a position of a position distant from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locat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vehicle radio charging section, The first test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and the induced current amount and coordinates of the first test current are retrieved.

이와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이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제1 테스트 전류를 송신하는 이유는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기 위해서이다. The reason why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ransmits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s that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is To search.

이를 위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동하면서 제1 테스트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제공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while providing a first test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can retrieve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결론적으로, 차량(200) 마다 고유의 서스펜션 높이가 다르고 운전자의 주차 습관에 따라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 및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정차된 차량(200)의 송신 코일(111)의 위치를 1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로 이동한다.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parking habit.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vehicle 200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primarily scans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straddle-type vehicle 200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is the larges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가 검색되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가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로 이동하게 되며, 해당 위치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가 제2 테스트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송신한다.When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is foun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oves to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

이때,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제2 테스트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송신하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 및 좌표를 다시 스캔한다.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ransmits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while repeating rising and fall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re-scans the coordinates.

상기와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송신하는 이유는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에 대한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더 큰 위치의 좌표를 이용하여 차량(200)을 충전하기 위해서이다. The reason why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ransmits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s as follows. In order to charge the vehicle 200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is larger in the induced current amoun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and the self-induced test current.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를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에 대한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한 후,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 및 전류의 종류가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어느 전류인지 확인한다.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Of the induced current amoun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est current and a self-induced test curren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송신 코일(111)이 이동될 위치의 X 축, Y 축 및 Z 축 각각의 좌표를 확정하며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가 해당 위치의 좌표로 이동한 후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전류를 송신하여 차량의 충전을 실행하기 때문에 손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대의 충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X-axis, Y-axis, and Z-axis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to be moved are determ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oves to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to charge the vehicle, so that the current lost can be minimized and the maximum charging effect can be expected.

결론적으로, 차량(200) 마다 고유의 서스펜션 높이가 다르고 운전자의 주차 습관에 따라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 및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정차된 수신 코일(211)의 위치를 2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손실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상의 전송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자기공명 방식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의 효율을 가질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parking habit. The transmission coil 111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and scans the position of the disturbed reception coil 211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is the largest, thereby minimizing the loss current and maintaining the best transmission efficiency. That is, the power loss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be minimized and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즉, 종래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는 자기공명 방식 및 자기유도 방식 각각이 사용되거나 자기공명 방식 및 자기유도 방식이 혼합하여 사용되었으나 자기공명 방식은 유도 거리가 자기유도 방식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이지만, 원거리의 전자기 유도 과정에서 유도 거리에 따른 유기 손실 또한 10배 이상이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기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와 차량 사이의 거리에 수mm 정도의 짧은 거리에 인접해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각각 있었다.That is, the magnetic resonance system and the magnetic induction system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agnetic resonance system and the magnetic induction system, respectively. However, in the magnetic resonance system, the induction distance is 10 times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magnetic induction system. The organic indu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organic loss due to the induction distance is more than 10 times. In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vehicle must be close to a short distance of several millimeter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차량을 운행하여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위치에 정확히 주정차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무선 충전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충전을 하기 위해서, 자기공명 방식이 반응하는 위치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송신 코일(111)은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고 해당 좌표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X 및 Y 좌표를 결정한다.In order to charge the vehicle without losing the function of wireless charging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ccording to the user's driving habit and can not accurately move to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transmitting coil 111 searches for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and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s the X and Y coordinates.

그런 다음,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로 이동시킨 후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의 Z좌표를 결정한다. Then, after moving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is the largest, the transmission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 is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the magnetic current test type test current and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est current The Z coordinate of the coil 111 is determined.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결정된 X, Y, Z 좌표는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의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기준으로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손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대의 충전 효과를 볼 수 있는 위치이다. Since the X, Y and Z coordinates determ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ordinate of the largest position of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test current, it is a position where the lost current can be minimized and the maximum charge effect can be observed.

결론적으로,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은 X, Y, Z 좌표로 이동하여 차량(200)에 대한 무선 충전을 진행하기 때문에 손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대의 충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since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moves to the X, Y, and Z coordinates and wirelessly charges the vehicle 200, the current lost is minimized and the maximum charging effect can be seen will be.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유기 자기 반사 격판(도 4, 150)을 더 포함하며,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하여 손실되는 전류량을 최대한 줄여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을 통해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n organic magnetic reflective diaphragm (FIGS. 4 and 150), and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diaphragm 150 includes a receiving coil The amount of current lost can be minimized to supply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through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diaphragm.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는 반사체 금속(예를 들어, 은, 알류미늄, 마그네슘 등) 또는 반사체 금속을 이용한 합금체로 구현되어 전류 송신부(110)의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를 반사시킨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may be implemented as an alloy body using a reflector metal (for example, silver, aluminum, magnesium or the like) that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or a reflector metal, And reflects the electrons induc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211.

즉,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상/하 구배 조절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송신부(110)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를 반사시킴으로써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중에 손실되는 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by adjusting the angle by adjusting the upward / downward gradient, the current transmitter 110 reflects electrons induced in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he amount of electrons lost during the induction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can be adjusted.

상기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투과성이 좋은 필름지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하거나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전류 송신부(110)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최대로 하여 충전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의 형상은 원형, 격자형 및 나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is attached or not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m having good permeability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so that the current transmit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210 The amount of electrons can be maximized and the charging time can be reduced. The shape of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diaphragm may be circular, lattice, or spir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전류 송신부(110), 검색부(120), 무선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1 and 4,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 a search unit 12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전류 송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1 테스트 전류, 제2 테스트 전류 및 충전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를 차량에 송신한다.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ransmits any one of the first test current, the second test current, and the charge current to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일 실시예에서, 전류 송신부(110)는 제1 테스트 전류를 차량(200)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전류 송신부(110)의 평면도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검색부(120)는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rent transmitter 110 is connected to the current transmitter 11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n the plan view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Crossing. Thus, the search unit 120 can search for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류 송신부(110)는 제2 테스트 전류를 차량(200)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전류 송신부(110)의 수신 코일(211)의 평면도 상에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검색부(120)는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할 수 있다.The current transmitter 110 may control the current of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in the course of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And moves up and down repeatedly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earch unit 120 can search for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검색부(120)는 전류 송신부(110)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테스트 전류를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The search unit 120 searche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having the largest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검색부(120)는 전류 송신부(110)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2 테스트 전류를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The search unit 120 searche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having the largest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보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20)는 전류 송신부(110)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를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에 대한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한 후,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 및 전류의 종류가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어느 전류인지 확인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arching unit 120 searches for a current of at least one of a self-resonant test current and a magnetic induction test current to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is the largest among the induced current amounts of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resonance type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is searched, Type test current and the self-induction type test current, and supplies the test current to the control unit 140.

무선 통신부(130)는 제어부(140)의 명령에 따라 차량과 연관된 단말 장치에 무선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부(130)는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220)로부터 전기 자동차 정보(예를 들어, 잔여 용량, 무선 충전 방식 정보, 자기장 주파수, 코일의 권선수 등), 사용자 요구량, 운전자 정보(예를 들어, 카드 번호, 자동 이체 계좌 번호, 비밀 번호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방식 정보는 차량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식, 자기 유도식 또는 자기 공명식 및 자기 유도식의 겸용식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unit 14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receive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for example, remaining capacity, wireless charging scheme information, magnetic field frequency, coil power of the coil, etc.) from the smart device 220 of the driver, Card number, direct debit account number, password, etc.).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nformation is used to confirm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vehicle is a magnetic resonance type, a magnetic induction type, a magnetic resonance type, or a magnetic induction type.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정차 구간 안에 위치해있으면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차량과 연관된 단말 장치로부터 충전 정보를 수신하면, 충전 정보에 따라 충전 예상 소요 시간, 결제 예정 비용 및 충전 예정 전류량을 산출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충전을 위해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전 대기 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the parking space,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charg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expected charging time, the scheduled charging cost, and the expected charging current amount according to the charg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device and confirm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charging,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the charging waiting time.

제어부(140)는 충전 예정 전류량만큼 차량에 전류를 제공한 후에 단말 장치(220)로부터 미리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비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220)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며, 사용자에 의한 승인 결과 에 따라 결제를 진행한다.The control unit 140 proceeds to settle the settlement according to the settlement information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220 after providing the current to the vehicle by the amount of the current to be charged.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onnects with the smart device 220 of the dri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beacon, Bluetooth, Wi-Fi, etc.) to request approval from the user, .

그런 다음, 제어부(140)는 전류 송신부(110)를 차량(200)으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좌표로 이동시킨 후 제1 테스트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도록 수신부(210)의 위치를 검색하여 확인한다. The control unit 140 then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spaced by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vehicle 200 and then sets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210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Search and confirm.

이때, 제어부(140)는 전류 송신부(110)에 의해 제1 테스트 전류가 차량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교차하여 전류 송신부(11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교차하여 전류 송신부(110)를 이동시키는 이유는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기 위해서이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by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he reason why the controller 140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11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s to search for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제어부(140)는 전류 송신부(110)에 의해 제1 테스트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검색부(120)에 의해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가 검색되면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로 전류 송신부(110)를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140)는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X 축 및 Y 축 좌표로 전류 송신부(110)를 이동시킨다. When the search unit 120 find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having the largest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by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he current transmitter 110 is moved to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the induced current of the first test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120 is the largest. That is, the controller 140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s retrieved by the search unit 120.

결론적으로, 차량(200) 마다 고유의 서스펜션 높이가 다르고 운전자의 주차 습관에 따라 전류 수신부(210)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도 5 및 도 6와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정차된 차량의 전류 수신부(210)의 위치를 1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로 이동한다. 5 and 6, since the current suspension 210 is different for each vehicle 200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ceiver 210 changes according to the driver's parking habit, The transmission coil 111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o primarily sca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of the vehicle that has been driven and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is the largest.

그런 다음, 제어부(140)는 제2 테스트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도록 송신 코일(111)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송신 코일(111)에 의해 제2 테스트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도 7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를 이동시킨다.The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ransmitting coil 111 so that the second test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0. [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by the transmission coil 111, the control unit 140 repeats rising and falling in the Z-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7, (111).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송신 코일(111)에 의해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송신 코일(111)를 이동시킨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ransmission coil 111 so that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200, And moves the transmission coil 111 while repeating the descent.

이와 같이, 제어부(140)가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송신 코일(111)를 이동시키는 이유는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의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를 검색하기 위해서이다. 제어부(140)는 송신 코일(111)에 의해 제2 테스트 전류가 차량(200)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검색부(120)에 의해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의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가 검색되면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 및 자기 유도 방식의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의 유도 전류량 중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좌표로 송신 코일(111)를 이동시킨다.The reason why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transmission coil 111 while repeating rising and falling in the Z-axis direction is that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nd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his is to search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is the largest.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test current and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est current by the search unit 12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200 by the transmission coil 111 If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having the largest induced current amount in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current is found,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in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at least one of the test current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the test current of the self- And moves the transmitting coil 111 to the coordinates of the large position.

결론적으로, 차량(200) 마다 고유의 서스펜션 높이가 다르고 운전자의 주차 습관에 따라 전류 수신부(210)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제어부(140)는 도 7과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을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정차된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의 위치를 2차적으로 스캐닝하여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손실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상의 전송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자기공명 방식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의 효율을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inherent suspension height of the vehicle 200 is different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ceiver 210 changes according to the driver's parking habit,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111)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to sca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of the constantly-moving vehicle 200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is the largest, thereby minimizing the loss current and maintaining the best transmission efficiency . That is, the power loss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be minimized and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즉, 제어부(140)는 검색부(120)에 의해 검색된 X 축, Y 축 및 Z 축 각각의 좌표로 전류 송신부(110)를 이동시킨 후 검색부(120)에 의해 결정된 전류의 종류에 따라 전류를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에 송신하여 충전을 실행하기 때문에 손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고 최대의 충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40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coordinates of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detected by the search unit 120, and the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urrent determined by the search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of the vehicle 200 to perform charging, so that the loss current can be minimized and the maximum charging effect can be expected.

본 실시예에서 전류 송신부(110)를 X 축, Y축 및 Z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X 축 슬라이스 레일, Y축 슬라이스 레일 및 Z축 슬라이스 레일과 모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X-axis slice rail, a Y-axis slice rail, and a Z-axis slice rail and a motor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to move the current transmitter 110 along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도 8(a)와 같이 전류 송신부(110) 및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가 평행하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도 8(b)와 같이 주차 습관에 따라 전류 송신부(110) 및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가 평행하지 않고, 전류 수신부(210)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 및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 사이의 엇각이 발생하므로 도 9과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의 R축 회전판을 회전시켜 R축의 엇각값을 보정하여 유도자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urrent transmitter 110 and the current receiver 210 of the vehicle 20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a) I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s 210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200 are not parallel and the number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s 210 is plural, 9, the induced magnetic loss can be prevented by rotating the R-axis rotary plate of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 to correct the R-axis angle value.

R축 회전판은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가 복수 개 일 때 도 10(a)와 같이 주 송신 코일(111a)과 복수의 보조 송신 코일(111b)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도 10(b)와 같이 주 송신 코일(111a)과 복수의 보조 송신 코일(111b)가 일정한 각을 이룰 수 있도록 보조 송신 코일(111b)을 주 송신 코일(111a)을 중심으로 주 송신 코일(111a)의 주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10A, when the current receiver 210 of the vehicle 200 is in the R-axis rotation plate, the main transmission coil 111a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coils 111b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he auxiliary transmission coil 111b is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main transmission coil 111a with the main transmission coil 111a as the center so that the main transmission coil 111a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coils 111b can form a certain angle, It can be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ce.

이와 같이, 차량(200)의 주정차 시 전류 송신부(110) 및 전류 수신부(210)가 평행하지 않아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 및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 사이의 엇각이 발생하더라도 전류 송신부(110)가 R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각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this way, since the current transmitter 110 and the current receiver 210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vehicle 200 is stationary,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Since the current transmitter 110 can rotate by the R axis even if a corner angle occurs, charging can be performed at all angles.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하여 손실되는 전류량을 최대한 줄여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을 통해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150.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plate 150 adjusts the amount of electrons induced in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o reduce the amount of current lost to a minimum, As shown in FIG.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는 반사체 금속(예를 들어, 은, 알류미늄, 마그네슘 등) 또는 반사체 금속을 이용한 합금체로 구현되어 전류 송신부(110)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중에 손실되는 전자량을 반사시킨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plate 150 is implemented by a reflector metal (for example, silver, aluminum, magnesium or the like) which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or an alloy body using a reflector metal, And reflects an amount of electrons lost while being induced in the organic layer 211.

즉,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상/하 구배 조절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송신부(110)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를 반사시킴으로써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중에 손실되는 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by adjusting the angle by adjusting the upward / downward gradient, the current transmitter 110 reflects electrons induced in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he amount of electrons lost during the induction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can be adjusted.

상기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투과성이 좋은 필름지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하거나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전류 송신부(110)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최대로 하여 충전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의 형상은 원형, 격자형 및 나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is attached or not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m having good permeability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so that the current transmit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210 The amount of electrons can be maximized and the charging time can be reduced. The shape of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diaphragm may be circular, lattice, or spiral.

도 11은 일반적인 자기 유도 방식과 손실 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neral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loss electrons.

도 11을 참조하면, 자기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 사이에 형성되는 강항 자계결합 현상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충전을 진행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wirelessly charges by using the strong magnetic field coupling phenomenon formed between the air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이러한 자기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충전 대상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전력이 인가되는 송신 코일(111) 및 송신 소스 코일(112)을 포함하고, 충전 대상 디바이스는 전력이 인가되는 수신 소스 코일(212) 및 수신 코일(211)을 포함한다.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such a magnetic resonance method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charging target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111 and a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to which electric power is applied, And a reception coil 211 and a reception source coil 212 to which the reception coil 212 is applied.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코일(111) 및 송신 소스 코일(112) 중 송신 소스 코일(112)은 전원을 연결하고 송신 코일(111)은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 코일(211)에 근접한다.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of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connect the power source and the transmission coil 111 is close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device to be charged.

이와 같은 이유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두 개의 코일(111, 112) 중 하나의 코일(112)을 전원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코일(111)을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 코일(211)에 근접함으로써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맞추어 공명이 발생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is is because the coil 112 of one of the two coils 111 and 112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one of the coils 111 is close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Resonance frequency is set to resonance so that current flows.

이를 통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충전 대상 디바이스 사이의 간격을 수m 이상 이격시킨 상태에서도 충전 대상 디바이스를 충전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은 에너지 부분은 전자장으로 재 흡수되어 다른 방식과는 달리 비방사식이므로 주변 기기나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s a result, the charging target device can be charged even when the gap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separated by a distance of several meters or more. Since unused energy is re-absorbed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I do not affect the human body.

자기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소스 코일(112)이 전류를 고주파로 변환시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코일(111)에 전송한다. 이로 인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코일(111)의 내부의 진동 전류가 코일에서 자기장이 형성되어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 코일(211)로 전기가 유도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verts the current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us, a vibration current inside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ms a magnetic field in the coil so that electricity is induced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상기의 자기공명 방식은 전자기 공진에 의한 무선 충전으로 유도 거리가 자기유도 방식과 비교하여 10배 이상이지만, 원거리의 전자기 유도 과정에서 유도 거리에 따른 유기 손실 또한 10배 이상이다. 결론적으로, 자기공명 방식은 유도 거리가 크면 전자기 유기 손실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I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induction distance is 10 times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by wireless charging by electromagnetic resonance, but the organic loss according to the induction distanc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ocess at a distance is also 10 times or more. In conclusio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a problem that electromagnetic induction loss is large when the induction distance is larg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ing plate of Fig.

도 8,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 및 차량(200)을 포함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전류 송신부(110)는 송신 코일(111) 및 송신 소스 코일(112)을 포함하고, 차량(200)의 전류 수신부(210)는 수신 코일(211) 및 수신 소스 코일(212)을 포함한다.8, 12 and 13,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a vehicle 200. [ The current transmitter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111 and a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and the current receiver 210 of the vehicle 200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coil 211 and the reception source coil 212).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코일(111) 및 송신 소스 코일(112) 중 송신 소스 코일(112)은 전원을 연결하고 송신 코일(111)은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 코일(211)에 근접한다.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of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connect the power source and the transmission coil 111 is close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device to be charged.

이와 같은 이유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소스 코일(112)을 전원에 연결하고 송신 코일(111)을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 코일(211)에 근접함으로써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맞추어 공명이 발생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because resonance is generated by connecting the transmission source coil 112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power source and matching the transmission coil 111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to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

이를 통해, 전류 송신부(110) 및 전류 수신부(210) 사이의 간격을 수m 이상 이격시킨 상태에서도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전류를 충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urrent can be charg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even when the gap between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is spaced apart by several m or more.

자기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200)의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이 전류를 고주파로 변환시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에 전송한다. 이로 인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의 내부의 진동 전류가 코일에서 자기장이 형성되어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전자가 유도되도록 한다.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 of the vehicle 200 converts the current into a high frequency and outputs the radio frequency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ption unit 210 send. The oscillation current inside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so that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

이때,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는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을 이용하여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도되는 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하여 손실되는 전류량을 최대한 줄여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을 통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로 최대 유효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an adjust the amount of electrons induced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by using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partition plate 150. That is,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adjusts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he maximum effective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through the diaphragm 150.

결론적으로,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도 자기를 보낼 때 유도 자기는 60%~60%이고, 40%~35%는 손실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실 유도 자기를 줄이고자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을 사용하였다.As a result, when the induction magnet is sent from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reception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er 210, the induced magnetism is 60% to 60%, and 40% to 35% is lost .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to reduce the loss induction magnetism.

상기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는 반사체 금속(예를 들어, 은, 알류미늄, 마그네슘 등) 또는 반사체 금속을 이용한 합금체로 구현되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손실되는 전자량을 반사시킨다. 즉,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상/하 구배 조절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손실되는 전자를 수신 코일로 반사시킴으로써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may be formed of a reflector metal (for example, silver, aluminum, magnesium, or the like) that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or an alloy body using a reflector metal, And reflects an amount of electrons lost by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That is, since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does not absorb the electromagnetic wave by adjusting the angle by adjusting the upward / downward gradient,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The amount of electrons induced in the receiving coil 211 of the current receiving unit 210 can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lost electrons to the receiving coil.

상기의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투과성이 좋은 필름지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하거나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에서 전류 수신부(210)의 수신 코일(211)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최대로 하여 충전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자기 반사 격판(150)의 형상은 도 13(a)와 같이 원형, 도 13(b)와 같이 격자형, 도 13(c)와 같이 나선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plate 150 may be formed by attaching or not attaching a highly transparent film sheet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urrent receiving portion 210 in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ing portion 110, The amount of electrons induced in the receiving coil 211 can be maximized to reduce the charging time. The shape of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on partition 150 may be circular, as shown in FIG. 13 (a), a lattice as shown in FIG. 13 (b), or a spiral as shown in FIG. 13 (c).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복수의 주차면에 적용한 구성과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전류 송신부(110A, 110B, 110C, 110D)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충전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주차면'이 마련되어 있고, 각 주차면 상에는 차량이 주차되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전류 송신부(110A, 110B, 110C, 110D)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first to fourth parking faces' are provided so that the vehicle can park as shown in FIG. 14, and on the respective parking faces, And fourth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respectively.

여기서, 제어부(140)는 각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에 따라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전류 송신부(110A, 110B, 110C, 110D)를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200A)이 제1 주차면에 먼저 주차된 후, 제2 차량(200B)이 제4 주차면에 나중에 주차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주차면에 주차된 제1 차량(200A)에 대한 무선 충전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 전류 송신부(110A)를 제어한 후, 충전이 완료되면 제4 주차면에 주차된 제2 차량(200D)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4 전류 송신부(100D)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전류 송신부(110A, 110B, 110C, 110D)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각 주차면에 주차를 한 여부와 함께 주차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140 may sequentially control the first to fourth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so that wireless charg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rking order on each parking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vehicle 200A is parked first on the first parking surface and the second vehicle 200B is parked on the fourth parking surface at a later tim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arking After the first current transmitter 110A is controlled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for the first vehicle 200A is preferentially performed, wireless charging for the second vehicle 200D parked on the fourth parking space is completed The fourth current transmission section 100D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current transmission section 100D is controlled. To this end, the first to fourth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may set the parking order together with whether the vehicle has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using the proximity sensor.

예를 들어, 제1 전류 송신부(110A)에는 제1 근접센서(113A)가 설치되고, 제2 전류 송신부(110B)에는 제2 근접센서(113B)가 설치되고, 제3 전류 송신부(110C)에는 제3 근접센서(113C)가 설치되고, 제4 전류 송신부(110D)에는 제4 근접센서(113D)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주차면에 제1 차량(200A)이 먼저 주차되고 제4 주차면에 제2 차량(200D)이 주차되면,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13A)로부터 감지 신호를 먼저 입력 받은 후 제4 근접 센서(113D)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가장 먼저 감지 신호를 전송한 제1 근접 센서(113A)에 기초하여 제1 주차면에 대한 충전 순서를 1순위로 설정하고, 가장 나중에 감지 신호를 전송한 제4 근접 센서(113D)에 기초하여 제4 주차면에 대한 충전 순서를 2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주차면에는 차량이 주차되지 않았으므로, 제2 및 제3 전류 송신부(110B, 110C)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지만, 이후에 제2 또는 제3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한 충전 순서를 3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roximity sensor 113A is provided in the first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A,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13B is provided in the second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B,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13B is provided in the third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C. The fourth proximity sensor 113D may be installed on the fourth current transmission unit 110D and the first vehicle 200A may be parked first on the first parking surface,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113A and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fourth proximity sensor 113D after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113A.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sets the charging order on the first parking surface to be the first order based on the first proximity sensor 113A that first transmitted the sensing signal, and the fourth proximity sensor 113A, The charging order for the fourth parking surface can be set to the second order based on the first parking position 113D. At this time, since the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second and third parking faces, the control for the second and third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B and 110C is not performed, but thereaft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second or third parking face The charging order for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can be set to the third order.

또한, 제어부(140)는 각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4 전류 송신부(110A, 110B, 110C, 110D)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4 주차면에 차량이 순서대로 주차됨에 따라 제1 및 제4 주차면 순으로 충전 순서가 설정되면, 제어부(140)는 제1 및 제4 주차면 순으로 제1 및 제4 전류 송신부(110A, 110D) 각각을 통해 해당 차량으로 제1 또는 제2 테스트 전류를 송신한 후, 그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차량의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차면에 주차된 제1 차량(200A)이 무선 충전 가능한 전기 차량이고, 제4 주차면에 주차된 제2 차량(200D)이 일반적인 가솔린 또는 디젤 차량인 경우, 테스트 전류를 이용한 유도 전류의 검출 유무에 따라 해당 차량이 충전이 필요한 차량인지를 판별하여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에 대한 무선 충전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주차면과 제4 주차면 순으로 무선 충전 순서가 설정되더라도, 제4 주차면에 주차된 제2 차량(200D)에 대한 무선 충전 순서가 제외되고, 그 다음 순서의 차량에 대한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40 can selectively control the first to fourth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110B, 110C, and 110D by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al charging of the parked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More specifically, when the vehicles are sequentially parked on the first and fourth parking faces and the charging order is set in the order of the first and fourth parking faces,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first and fourth parking faces The first or second test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transmission units 110A and 110D and th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test current is detected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recharg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vehicle 200A parked on the first parking surface is a wirelessly chargeable electric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200D parked on the fourth parking surface is a general gasoline or diesel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 vehicle that needs to be char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tection of the induction current, and to omit wireless charging for a vehicle that does not require charging. In this case, even if the wireless charging order is set in the order of the first parking face and the fourth parking face, the wireless charging order for the second vehicle 200D parked on the fourth parking face is excluded, and the order Can be se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복수의 주차면에 적용한 구성과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디바이스(100)의 전류 송신부(110)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 상에 설치되되, 각 주차면을 따라 설치된 이송 레일(114)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충전소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주차면'이 마련되어 있고, 각 주차면을 걸쳐 이송 레일(1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이 이송 레일(114)을 따라 '제1 내지 제4 주차면'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5, the current transmitter 1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a vehicle, and is movable through a transfer rail 114 installed along each parking surface . For example, in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first to fourth parking faces' are provided so that the vehicle can park as shown in FIG. 15, the conveying rails 114 can be installed on the respective parking faces,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transmission unit 110 can be freely mov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arking planes along the feed rail 114. [

한편, '제1 내지 제4 주차면' 상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 근접 센서(113A, 113B, 113C, 113D)가 각각 설치되어, 도 14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제어부(140)를 통한 무선 충전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설정된 무선 충전 순서에 맞게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을 해당 주차면으로 이송시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o fourth proximity sensors 113A, 113B, 113C and 113D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to fourth parking faces' An order can be se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harging coil to be charged by feeding the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set wireless charging order.

이러한 이송 레일(1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 송신부(110)의 송신 코일(111)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각 주차면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코일(111)을 각 주차면으로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변경은 가능하다.The feed rail 11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a rail for moving the transmission coil 111 of the current transmitter 110 in the X axis direction on each of the parking plan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111 as long as it can freely transfer the transmission coil 111 to each parking surface.

상기 제어부(140)는 도 14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스트 전류를 이용한 유도 전류 검출 유무에 따라 각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전류 송신부(111)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테스트 전류를 이용한 유도 전류의 검출 유무에 따라 해당 차량이 충전이 필요한 차량인지를 판별하여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에 대한 무선 충전을 생략할 수 있다.14, the control unit 140 identifi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duced current detection using the test current, Wireless charging can be controlled.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 vehicle requiring charging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nduction current is detected using the test current, thereby omitting the wireless charging for the vehicle which does not require charging.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무선 충전 디바이스 110: 전류 송신부
111: 송신 코일 111a: 주 송신 코일
111b: 보조 송신 코일 112: 송신 소스 코일
113A, 113B, 113C, 113D: 근접 센서 114: 이송 레일
120: 검색부 130: 무선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유기 자기 반사 격판
200: 차량 210: 전류 수신부
211: 수신 코일 212: 수신 소스 코일
220: 단말 장치 300: 축전지
100: wireless charging device 110: current transmitter
111: transmitting coil 111a: main transmitting coil
111b: auxiliary transmission coil 112: transmission source coil
113A, 113B, 113C, 113D: proximity sensor 114: feed rail
120: Search unit 13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control unit 150: organic magnetic reflection diaphragm
200: vehicle 210: current receiver
211: receiving coil 212: receiving source coil
220 terminal device 300 accumulator

Claims (10)

전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테스트 전류, 제2 테스트 전류 및 충전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전류를 차량에 송신하는 전류 송신부;
상기 제1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를 검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부; 및
상기 차량이 무선 충전 구간 안에 위치하면 상기 전류 송신부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좌표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로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A curren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the vehicle any one of a first test current, a second test current, and a charge current according to a current control command;
Searching for and providing a first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nd providing a second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larges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fter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coordinates of a position spaced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ositioned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section,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fter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a first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detected by the search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provide the charging current by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a second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류 송신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가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X축과 Y축 좌표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nd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irst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nd,
The search unit may search,
Wherein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are search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X-axis and the Y-axi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상기 X축과 Y축 좌표의 위치에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가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에 송신되는 과정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류 송신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가 상기 Z축으로 좌표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Z축 좌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테스트 전류는 자기 공명 방식의 테스트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Controls the current transmitter to transmit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at the position of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s retrieved through the search unit, and the second test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The current transmitter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Z axis direction,
The search unit may search,
Wherein the current transmitter moves a coordinate on the Z axis and searches a Z axis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Wherein the second test current comprises a test current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주 송신 코일; 및
상기 주 송신 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주 송신 코일의 주변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보조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송신 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송신 코일을 상기 주 송신 코일의 주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transmitter includes:
A main transmission coil; And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coils dispos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main transmission coil about the main transmission coil,
Wherein,
And rotates the auxiliary transmission coil about the periphery of the main transmission coil about the main transmission coi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미리 결정된 구간에 위치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기 자동차 정보, 사용자의 충전 요구량 및 운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충전 요구량에 따라 충전을 완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로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승인 결과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receives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the user's charging request amount and driver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completes charging according to the user charging amount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s approval from the user, and proceeds with the payment according to the approval result of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 송신부에서 상기 차량의 전류 수신부로 유기되는 전자량을 조절하고,
상기 유기 자기 반사 격판은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는 반사체 금속 또는 상기 반사체 금속을 이용한 합금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mount of electrons induced from the current transmitter to the current receiver of the vehicle is adjusted using an organic magnetic reflection plate,
Wherein the organic magnetic reflective partition is embodied as a reflector metal that does not absorb electromagnetic waves or an alloy body that uses the reflector met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 상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에 따라 차량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transmitter includes: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Wherein,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so that the vehicle is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al charging of the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송신부는,
차량의 무선 충전을 위해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 상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주차면을 따라 설치된 이송 레일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에 따라 차량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류 송신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transmitter includes:
A plurality of parking rails provided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rovide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vehicle,
Wherein,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current transmitter so that the vehicle is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al charging of the parked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current transmitting unit.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송신부에 각각 설치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면에 주차한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전류 송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테스트 전류 및 상기 제2 테스트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유도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전기 충전 가능 유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Setting a parking order on the parking surface using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current transmission units,
Wherein the controller detects an induced current cau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test current and the second test current applied through the current transmitter to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device.
무선 충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주차면에 차량이 위치한 경우, 상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전류 송신부가 제1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상기 전류 송신부를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시켜가며 상기 제1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1 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좌표의 지점에서 상기 전류 송신부가 제2 테스트 전류를 상기 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류 송신부를 Z축을 따라 이동시켜가며 상기 제2 테스트 전류의 유도 전류량이 가장 큰 위치의 제2 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송신부가 상기 제1 좌표 및 상기 제2 좌표의 지점에서 상기 차량에 충전 전류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무선 충전 방법
A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 vehicle us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current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ransmitting a first test current to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located on a parking surface for wireless charging;
The controll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oves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X axis and the Y axis to search for a first coordinate of a position where the induced current amount of the first test current is the largest;
Transmitting the second test current to the vehicle at the point of the first coordinate;
Searching the second coordinates of a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of the second test current is the largest while moving the current transmitter along the Z axis; And
And the current transmitter transmits a charging current to the vehicle at a point of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to charge the vehicle
KR1020170002845A 2016-07-25 2017-01-09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854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9 2016-07-25
KR20160094119 201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701A true KR20180011701A (en) 2018-02-02
KR101985490B1 KR101985490B1 (en) 2019-06-03

Family

ID=6122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45A KR101985490B1 (en) 2016-07-25 2017-01-09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90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681A (en) * 2018-09-13 2019-01-08 克斯福佑株式会社 A kind of high efficiency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KR20200046724A (en) 2018-10-25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obo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20255B1 (en) * 2019-04-05 2020-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optimal wireless charging position
KR102125901B1 (en) * 2019-04-05 2020-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movable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relessly
CN111422080A (en) * 2020-04-16 2020-07-17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vehicle
KR20200114447A (en)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A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based on block chai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is recorded
KR20210094968A (en) * 2020-01-22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KR20220088207A (en) 2020-12-18 2022-06-27 재단법인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Method for performing settlement according to contract based on smart contract and Apparatus for same
KR20220161708A (en) * 2021-05-31 2022-12-07 손나민 Wireless charger for vehicles and wireless charge system using it
KR102553125B1 (en) * 2023-02-24 2023-07-07 (주) 아하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4593A (en)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Charger
KR20120041446A (en) 2010-10-21 2012-05-0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vehicles and system thereof
KR20120081051A (en) * 2012-06-01 2012-07-18 김현민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JP3181067U (en) * 2012-10-15 2013-01-24 正▲うえ▼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Wireless charger
KR20130111647A (en) * 2008-07-08 2013-10-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wireless high power transfer under regulatory constraints
JP5700133B2 (en) * 2011-10-27 2015-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JP2016111778A (en) * 2014-12-04 2016-06-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order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non-contact charg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647A (en) * 2008-07-08 2013-10-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wireless high power transfer under regulatory constraints
JP2011254593A (en)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Charger
KR20120041446A (en) 2010-10-21 2012-05-0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of vehicles and system thereof
JP5700133B2 (en) * 2011-10-27 2015-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20120081051A (en) * 2012-06-01 2012-07-18 김현민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JP3181067U (en) * 2012-10-15 2013-01-24 正▲うえ▼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Wireless charger
JP2016111778A (en) * 2014-12-04 2016-06-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order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non-contact charging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681A (en) * 2018-09-13 2019-01-08 克斯福佑株式会社 A kind of high efficiency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KR20200046724A (en) 2018-10-25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obo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14447A (en)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A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based on block chai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is recorded
KR102120255B1 (en) * 2019-04-05 2020-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optimal wireless charging position
KR102125901B1 (en) * 2019-04-05 2020-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movable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relessly
KR20210094968A (en) * 2020-01-22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ar
CN111422080A (en) * 2020-04-16 2020-07-17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vehicle
CN111422080B (en) * 2020-04-16 2024-02-27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vehicle
KR20220088207A (en) 2020-12-18 2022-06-27 재단법인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Method for performing settlement according to contract based on smart contract and Apparatus for same
KR20220161708A (en) * 2021-05-31 2022-12-07 손나민 Wireless charger for vehicles and wireless charge system using it
KR102553125B1 (en) * 2023-02-24 2023-07-07 (주) 아하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490B1 (en)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490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531567B (en) With the guiding of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and be directed at rel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654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125901B1 (en) Method and movable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relessly
US10576833B2 (en) Vehicle charger positioning method and charger assembly
CN104520135B (en) For the apparatus and method positioned by triangulation
JP5348325B2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non-contact charging method, non-contact charging vehicle, and non-contact charging management device
JP5359093B2 (en) Mobile charging device and mobile charging method
US20180178666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with adjustable flux angle
KR1021202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optimal wireless charging position
CN104769453B (en) Alignment system for the method for the position that determines receiver and for receiver
JP2013228238A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server
KR102664333B1 (en)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KR20130128047A (en) Antenna altitude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the same
JPWO2013039160A1 (en) Mobile 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20140095411A (en)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apparatus
WO2013039130A1 (en) Moving vehicl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moving vehicle
KR102228389B1 (en) Ang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device
JP6820513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US20220126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lective guidance of vehicles to a wireless charger
KR102582450B1 (en) Mobil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multiple electric vehicles
WO2024101027A1 (en) Serve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price setting method
CN114379387B (en)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program, and navigation system
JP2024070623A (en) Serve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price setting method
KR102581534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smart-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