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33B1 -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 Google Patents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33B1
KR102664333B1 KR1020180128244A KR20180128244A KR102664333B1 KR 102664333 B1 KR102664333 B1 KR 102664333B1 KR 1020180128244 A KR1020180128244 A KR 1020180128244A KR 20180128244 A KR20180128244 A KR 20180128244A KR 102664333 B1 KR102664333 B1 KR 10266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er
charging
electric vehicle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6711A (en
Inventor
김현식
박현욱
강전웅
이병천
신성수
조연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4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은, 전기차 충전 로봇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에 정렬하는 정렬 단계,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충전기와 상기 차량의 충전구간 제 1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상기 제 1 상대 위치만큼 상기 충전기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상기 충전구에 유도하는 충전기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is provided. The method of guiding the vehicl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includes an alignment step of align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a specific part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ligns the charger with the first charging section of the vehicle. A posi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lative position, and a charger induction step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moving the charger by the first relative position and guiding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Description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Method for lea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inlet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본 발명은 차량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charging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vehicle charging port.

차량의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 차량의 연료인 경유, 휘발유 등의 유가의 부담으로 인해 차량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Demand for vehicles has recently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vehicle exhaust gases and the burden of oil prices such as diesel and gasoline, which are vehicle fuels.

그러나, 최근까지도 차량 내부의 배터리 충전 설비에 대한 인프라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은 이유에서 많은 잠재적 수요자들은 차량의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many potential consumers are hesitating to purchase a vehicle because the infrastructure for battery charging facilities inside the vehicle has not been sufficiently established until recently.

뿐만 아니라, 차량은 아직까지는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빈번한 충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의 사용자들은 거의 매일 직접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고 충전을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because vehicles still require frequent charging due to limitations in battery capac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vehicle users have to endu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status of the vehicle's battery and charge it almost every day.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주차장을 돌아다니며 차량을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로봇, 천장에 설치되는 자동 충전 시스템 등이 제안되었다. Therefore, to solve this inconvenienc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s that move around the parking lot and charge vehicles, and automatic charging systems installed on the ceiling have been proposed.

그런데, 이들의 경우, 충전구에 미리 부착된 센서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쫓아 충전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상 카메라, 신호 감지기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se cas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mage camera and a signal detector must be install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port by tracking the signal emitted from a sensor previously attached to the charging port in real time.

또한, 충전 로봇 등은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자동으로 결합해야만 하므로, 매 충전마다 충전대상 차량, 주차위치 등이 변화하기 때문에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하는 기술은 다량의 센서 및 제어기술을 요구하며, 이는 복잡한 구조 및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charging robots, etc. must automatically connect the charger to the vehicle's charging port, the charging target vehicle, parking location, etc. change with each charge, so the technology to guide the charger to the vehicle's charging port requires a large amount of sensor and control technology. is required, which causes complex structures and increased costs.

1. 중국공개특허번호 제104933778A호(공개일: 2015.09.23)1. 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4933778A (Publication Date: 2015.09.23) 2.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075944호(등록일자: 2011.10.17)2. Korean Patent No. 10-1075944 (registration date: 2011.10.17)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상 카메라, 신호 감지기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용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of a vehicle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mage camera or signal detector. .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화상 카메라, 신호 감지기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용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of a vehicle without providing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mage camera or a signal detector.

상기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guiding the vehicl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is:

전기차 충전 로봇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에 정렬하는 정렬 단계; An alignment step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충전기와 상기 차량의 충전구간 제 1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 단계; 및A position calcula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calculates a first relative position of the charger and the charging section of the vehicle; and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상기 제 1 상대 위치만큼 상기 충전기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상기 충전구에 유도하는 충전기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harger induc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moves the charger by the first relative position and guides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이때,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특정 부품과 충전구간 제 2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vehicl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pecific part and the second relative position of the charging section.

또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상기 특정 부품의 센터를 연결하는 센터 연결선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ligned on a cen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pecific components.

또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상기 센터 연결선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을 미리 정해진 특정 방향으로 중앙 포인트 직교 라인과 미리 설정되는 거리 간격을 갖는 일정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characterized in that, while aligned on the center connection line, the vehicle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specific direction at a certain position with a preset distance interval from the center point orthogonal line.

또한, 상기 제 2 상대 위치는 차량별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second relative position is preset and stored for each vehicle.

또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차량 하부를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차량에 나란히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및 천장에 매달려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characterized as being on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under the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in parallel with the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while hanging from the ceiling.

또한, 상기 특정 부품은 후륜, 전륜, 및 측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specific part is characterized as being one of a rear wheel, a front wheel, and a side wheel.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전기차 충전 로봇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에 정렬하는 정렬 단계;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무선 충전기와 상기 차량의 무선 충전 단자간 제 1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상기 제 1 상대 위치만큼 상기 무선 충전기를 이동시켜 상기 무선 충전기를 상기 무선 충전 단자에 유도하는 충전기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ignment step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a specific part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A position calcula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calculates a first relative position between a wireless charger and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of the vehicle; and a charger induc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moves the wireless charger by the first relative position to guide the wireless charger to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카메라, 신호 감지기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차량량용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harger can be guid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image camera or signal det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전기차 충전 로봇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로봇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상태와 상관없이 후륜과 충전구의 상대위치를 보여주는 원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봇을 정렬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라 정렬된 후 전기차 충전 로봇을 이동시키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로 전기차 충전 로봇을 이동 완료한 후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다른 적용예시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FIG. 3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general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ar wheels and the charging port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vehicle.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guiding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mov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fter being aligned according to Figure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uiding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after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guiding a charger to a charging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referenc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구성된다”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nsisting of” mentioned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

비록 제1, 제2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대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it i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such as first and seco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nly one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전기차 충전 로봇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10)이 주차 라인에 위치하고, 전방에 충전구(111)가 설치되고, 후방에 후륜(112)이 설치된 상태이다. 이 차량(110)으로부터 후륜-충전구간 상대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가 전기차 충전 로봇(120)측으로 발신된다. 전기차 충전 로봇(120)에는 충전기(121)가 설치된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a vehicle 110 is located in a parking line, a charging port 111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a rear wheel 112 is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ear wheel and charging s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10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A charger 121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112)과 충전구(111)사이의 상대위치는 언제나 동일하다. 따라서, 후륜(112)과 충전구(111)사이의 상대위치를 갖는 차량 정보가 차량의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가 충전 지시에 따라 차량 정보가 전기차 충전 로봇(120)에 전송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ear wheel 112 and the charging port 111 is always the same. Therefore,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ear wheel 112 and the charging port 111 is stored in advance in the vehicle's storage unit (not shown), and then the vehic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according to the charging instruction. do.

전기차 충전 로봇(120)은 차량 하부를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차량에 나란히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및 천장에 매달려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등이 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may b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under the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in parallel with the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while hanging from the ceiling.

전기차 충전 로봇(120)은 충전시 차량(110)의 후륜(112)에 정렬하여 충전기(121)와 충전구(111)의 상대위치 맞춤을 수행한다.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aligns with the rear wheel 112 of the vehicle 110 to alig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harger 121 and the charging port 111.

이렇게 정렬된 상대위치는 항상 동일하므로, 차량 정보에 맞는 만큼만 충전기(121)를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충전구에 충전기가 유도된다.Since the relative positions aligned in this way are always the same, if the charger 121 is moved only as much as matches the vehicle information, the charger is automatically guided to the charging port.

도 1에서는 후륜(112)과 충전구(111)간 상대위치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후륜(112)이외에도 전륜, 측륜(즉 앞뒤 바퀴)이 가능하다. 즉, 전륜과 충전구간 상대위치도 가능하다.In Figure 1,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ear wheel 112 and the charging port 111 is explained,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addition to the rear wheel 112, front wheels and side wheels (i.e. front and rear wheel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the charging section are also possibl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1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10)은,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210), 전기차 충전 로봇(120)과 통신하여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통신부(220),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는 충전부(230),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110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110 includes a vehicle controller 210 that controls the vehicle,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2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a battery (not shown) that charges the batter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ing unit 230, a storage unit 240 that stores vehicle information, etc.

차량 제어기(210)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The vehicle controller 210 is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circuits, etc. to control the vehicle.

차량 통신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기차 충전 로봇(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안테나, 통신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으로는 IrDA(Infrared Data) 통신, 무선 랜(Local Area Network),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을 들 수 있다.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vehicl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it is composed of an antenna, a communication circuit, etc.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IrDA (Infrared Data) communication,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LiFi (Light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and NFC (Near Field Control).

저장부(240)는 차량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저장부(240)는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40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programs, software,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240 is a storage unit 130 that h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로봇(12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로봇(120)은, 로봇을 제어하는 로봇 제어기(310), 차량(110)과 통신하여 차량 정보를 전송받는 로봇 통신부(320),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121), 로봇을 이동시키는 구동부(3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ncludes a robot controller 310 that controls the robot, a robot communication unit 3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110 and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and a charger 121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 and a driving unit 330 that moves the robot.

차량 제어기(210)는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The vehicle controller 210 is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circuits, etc. to control the robot.

로봇 통신부(320)는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안테나, 통신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으로는 IrDA(Infrared Data) 통신, 무선 랜(Local Area Network),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을 들 수 있다.The robot communication unit 32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it is composed of an antenna, a communication circuit, etc.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IrDA (Infrared Data) communication,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LiFi (Light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and NFC (Near Field Control).

구동부(330)는 차량 제어기(210)의 지시에 따라 충전기(121)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회전 액츄에이터, 이동 액츄에이터,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The driving unit 330 performs a function of moving the charger 121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vehicle controller 210. For this purpose, it is composed of a rotation actuator, a movement actuator, and a circuit that controls these actuators.

충전기(121)는 유선 충전기로서, 앞단에 플러그가 있는 충전기이다. 이 플러그가 충전구(111)에 삽입된다. 물론, 도 1에서는 충전기(121)를 유선 충전기로 설명하였으나, 무선 충전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110) 측에도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받기 위한 무선 충전 단자가 구성될 수 있다.The charger 121 is a wired charger with a plug at the front end. This plug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111. Of course, in FIG. 1, the charger 121 is described as a wired charger, but a wireless charger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may be configured on the vehicle 110 side to receive wireless power from a wireless charger.

이 경우, 무선 충전은 일반적으로 자기공명 방식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지 않으며 자기유도 방식 등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wireless charging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magnetic resonance metho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lso possible.

일반적으로, 자기 공명 방식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하며, 두 개의 코일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전자 기기에 연결하여 공명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Generally,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uses a resonance phenomenon that vibrates with a large amplitude at a specific frequency, and connects power to one of the two coils and connects the other to an electronic device to charge using the current generated by resonance. This is the way to do it.

자기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로 1차 코일을 사용하고, 차량 내부에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로 2차 코일을 사용하며,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기의 1차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차량에 구성되어 있는 충전 대상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2차 코일에 유도돼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uses the primary coil as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secondary coil as the receiver of the charging device inside the vehicle,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formed in the vehicle. It is induced into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of the device being charged and supplies current.

따라서, 무선 충전부(230)는 무선 전력을 송출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대응하게 차량의 하단면에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충전 단자(미도시)가 구성된다.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230 serves to transmit wireless power, and correspondingly,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not shown)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또한, 전기차 충전 로봇(120)에는 이동을 위한 일반 바퀴, 이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이 구성된다. 물론,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천장에 매달려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인 경우, 레일 바퀴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ncludes general wheels for movement and a motor to rotate the wheels. Of course, i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a type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while hanging from the ceiling, it is composed of rail wheels.

도 4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상태와 상관없이 후륜과 충전구의 상대위치를 보여주는 원리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상태는 주차 라인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주차된 상태(410),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주차된 상태(420), 정중앙에 주차된 상태(43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주차 상태에 불구하고, 차량의 주차 상태와 상관없이 충전구와 후륜간의 상대위치는 언제나 동일하다.Figure 4 is a general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ar wheels and the charging port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vehicle. Referring to FIG. 4, the state of the vehicle may be parked diagonally to the left of the parking line (410), parked diagonally to the right (420), and parked in the exact center (430). Regardless of the parking state of the vehicl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charging port and the rear wheels is always the sam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21)를 충전구(111)에 유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차량(11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받는다(단계 S510).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guiding the charger 121 to the charging por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110 (step S510).

이후, 후륜 센터 라인에 전기차 충전 로봇(120)을 정렬시킨다(단계 S520).Afterward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aligned to the rear wheel center line (step S520).

이후,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충전기(121)와 충전구(111)의 상대위치를 계산한다(단계 S530).Afterward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harger 121 and the charging port 111 (step S530).

이후,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계산된 상대위치만큼 충전기를 이동시켜 충전 작업을 진행한다(단계 S540).Afterward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moves the charger by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to proceed with the charging operation (step S54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봇을 정렬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하부에서 정렬하는 경우(610) 및 차량 외측에서 정렬하는 경우(620)가 예시된다. 차량 하부에서 정렬하는 경우(610),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차량(110)의 하단면에 위치한다. 부연하면, 후륜의 센터를 연결하는 후륜 휠센터 연결선에 전기차 충전 로봇(120)을 정렬한 상태로, 차량(110)의 정중앙인 중앙 포인트 직교라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되는 차량(110) 하단면의 위치에 정렬한다. 물론, 일정한 거리는 차량별로 미리 세팅된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a case 610 of aligning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a case of aligning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620 are illustrated. In the case of alignment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61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110). To elaborate, the posi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110 i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rthogonal line, which is the exact center of the vehicle 110,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aligned to the rear wheel cen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rear wheels. Sort by Of course, a certain distance is set in advance for each vehicle.

한편, 차량 외측에서 정렬하는 경우(620),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차량(110)의 외측에 위치한다. 부연하면, 후륜의 센터를 연결하는 후륜 휠센터 연결선에 전기차 충전 로봇(120)을 정렬한 상태로, 차량(110)의 정중앙인 중앙 포인트 직교라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되는 차량(110)의 외측 위치에 정렬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alignment outside the vehicle (62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110. To elaborat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aligned to the rear wheel cen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rear wheels, and is positioned outside the vehicle 110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rthogonal line, which is the exact center of the vehicle 110. Sort.

도 7은 도 6에 따라 정렬된 후 전기차 충전 로봇을 이동시키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도 6에 따라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정렬된 후, 충전기(121)를 화살표와 같이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충전구(111)에 충전기(121)가 유도된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mov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after being aligned according to Figure 6. Referring to FIG. 7, afte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aligned according to FIG. 6, when the charger 121 is moved as shown by the arrow, the charger 121 is automatically guided to the charging port 111.

도 6 및 도 7은 2개의 후륜을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앞뒤의 측륜을 이용하는 방식도 이와 유사하게, 앞뒤 바퀴의 센터를 연결하는 휠센터 연결선을 만들고, 이후 이 휠센터 연결선에 직교라인을 만든다. 이후, 이 직교라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되는 차량의 외측 위치에 전기차 충전 로봇이 정렬된 후, 충전기(121)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Figures 6 and 7 illustrate two rear wheels, but the method of using the front and rear side wheels is similar, creating a wheel cen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then creating a perpendicular line to this wheel center connection line. Afterwards, it is possible to move the charger 121 afte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aligned at a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is orthogonal lin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로 전기차 충전 로봇을 이동 완료한후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하부로 이동후,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차량(11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충전기(121)의 X,Y축 좌표 정보와 차량(110)의 X,Y축 좌표 정보를 비교한다(810).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uiding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after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fter moving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110, the X and Y axi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harger 121 and the X and Y axes of the vehicle 110 Compare coordinate information (810).

이후, 비교에 따라 전기차 충전 로봇(120)을 후진하여 차량의 후륜에 충전 로봇의 X축을 정렬한다(820). 물론, 정렬 수행중 충전기(121)의 X축 좌표 정보와 차량의 X축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되는 지를 계속 판단하고, 판단결과 매칭되면 X축 정렬을 완료한다(830).Thereaft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moves backwards and aligns the X-axis of the charging robot with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820). Of course, during alignment, the X-axi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harger 121 and the

이후, 좌우로 움직이며 좌우에 부착된 센서로 Y축 정렬을 수행한다(840).Afterwards, it moves left and right and performs Y-axis alignment using sensor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840).

물론, 정렬 수행중 충전기(121)의 X축 좌표 정보와 차량의 X축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되는 지를 계속 판단하고, 판단결과 매칭되면 Y축 정렬을 완료한다(850).Of course, while performing alignment, the X-axi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harger 121 and the

XY축 정렬이 완료되면 미리 수신한 차량 정보를 토대로 충전구까지 상대거리를 계산하여 충전기(121)의 회전, 이동 제어를 통해 충전기(121)를 유도하여 차량(110)의 충전구(111)에 꽂는다.When the XY axis alignment is completed,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charging port is calculated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in advance, and the charger 121 is guided through rotation and movement control of the charger 121 to the charging port 111 of the vehicle 110. Plug it in.

도 8에 도시된 유도 과정의 경우, 전기차 충전 로봇(120)이 차량 하부를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인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충전 로봇(120)에 위치 정보를 센성하기 위한 센서들이 배치된다.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항법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도 8의 경우, 무선 충전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차량(110)의 무선 충전 단자(미도시)에 전기차 충전 로봇(120)의 무선 충전기(미도시)를 유도한다.In the case of the guidance process shown in FIG. 8, the case w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a type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under the vehicle is used as an example. For this purpose, sensors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are placed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The sensor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a gyro sensor, an inertial navigation sensor, etc.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G. 8, a wireless charging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elaborate, the wireless charger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0 is guided to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not shown) of the vehicle 11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다른 적용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로봇(910)이 천장에 배치된 레일(9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주차 라인(930)에 있는 차량을 충전한다. 물론, 차량으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부(912)가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앞선 기술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로봇(910)의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구에 유도한다. 물론, 도 9에서는 레일(920)이 일직선으로 되어 있으나, 곡선, 네모,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레일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igure 9 i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guiding a charger to a charging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910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920 placed on the ceiling and charges the vehicle in the parking line 930. Of course, the communication unit 912 is configured to receiv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 this case, as previously described, the charg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910 is guid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Of course, in Figure 9, the rail 920 is a straight line, but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rail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urve, square, or triangle.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 code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rogram (instruction) cod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 DVD, and Blu-ray, and ROM and RAM. Semiconductor memory element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 code, such as RAM), flash memory, etc., may be included.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Her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 code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110: 차량
111: 충전구
120: 전기차 충전 로봇
121: 충전기
110: vehicle
111: Charging port
120: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121: charger

Claims (8)

전기차 충전 로봇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에 정렬하는 정렬 단계;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충전기와 상기 차량의 충전구간 제 1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상기 제 1 상대 위치만큼 상기 충전기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를 상기 충전구에 유도하는 충전기 유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정보는 언제나 동일한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과 상기 차량의 충전구간 제 2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n alignment step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A position calcula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calculates a first relative position of the charger and the charging section of the vehicle; and
A charger induc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moves the charger by the first relative position and guides the charger to the charging port,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that are always the same and a second relative position of the charging section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상기 특정 부품의 센터를 연결하는 센터 연결선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where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aligned on a cen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centers of the specific compon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상기 센터 연결선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을 미리 정해진 특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앙 포인트 직교 라인과 미리 설정되는 거리 간격을 갖는 일정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aligned on the center connection line 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a preset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orthogonal line that crosses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specific direction. How to indu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대 위치는 차량별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wherein the second relative position is preset and stored for each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은 차량 하부를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차량에 나란히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및 천장에 매달려 이동하는 타입의 전기차 충전 로봇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is on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under the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moves in parallel with the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at hangs on the ceiling. How to induce a sphe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품은 후륜, 전륜, 및 측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wherein the specific part is one of a rear wheel, a front wheel, and a side wheel.
전기차 충전 로봇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에 정렬하는 정렬 단계;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무선 충전기와 상기 차량의 무선 충전 단자간 제 1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봇이 상기 제 1 상대 위치만큼 상기 무선 충전기를 이동시켜 상기 무선 충전기를 상기 무선 충전 단자에 유도하는 충전기 유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정보는 언제나 동일한 상기 차량의 특정 부품과 상기 차량의 충전구간 제 2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구에 유도하는 방법.
An alignment step of alig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A position calcula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calculates a first relative position between a wireless charger and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of the vehicle; and
A charger induction step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moves the wireless charger by the first relative position and guides the wireless charger to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A method of guiding a vehicle charger to a charging port,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that are always the same and a second relative position of the charging section of the vehicle.
KR1020180128244A 2018-10-25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KR102664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244A KR102664333B1 (en) 2018-10-25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244A KR102664333B1 (en) 2018-10-25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11A KR20200046711A (en) 2020-05-07
KR102664333B1 true KR102664333B1 (en) 2024-05-0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411A (en) * 1999-03-12 2000-09-29 Honda Motor Co Ltd Charging arm control equipment of electric motor car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411A (en) * 1999-03-12 2000-09-29 Honda Motor Co Ltd Charging arm control equipment of electric motor car and the li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773B (en) Method and ground unit for inductively charging a vehicle
US9836972B2 (en) Aid for inductive battery charging of a motor vehicle
KR101410272B1 (en) Robot for Recharging of Electiric Vehicle
KR101985490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7532915B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uitable parking space, motor vehicle and server
JP2019140782A (en) External charger 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JP2019140879A (en) External charger 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JP2019165544A (en) External replenishment device 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CN105531567A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guidance and alignmen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CN102027318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CN108944514B (en) Mobile charg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charging system
CN105045268A (en) AGV laser tape hybrid navigation system
US10336204B2 (en) Automatic lateral alignment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WO2014192136A1 (en) Vehicle power feeding system
WO2017154985A1 (en) Vehicle-charging system, parking lot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vehicle
CN110509792A (en) Wireless charging alignment methods,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based on automatic parking
KR2017007843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vice charge by electric wir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N110971653A (en) Data exchange and resupply infrastructure for vehicles
CN110455305A (en) AGV trolley control method with autonomous path planning function
KR102664333B1 (en)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CN106899057B (en) Autonomous charg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JP2016211210A (en) Parking facility system
KR20200046711A (en) Method for leading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o charging inlet
KR102598419B1 (en) Robo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83621A (en) Power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