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932A - Wareable device - Google Patents

Ware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932A
KR20180009932A KR1020160091886A KR20160091886A KR20180009932A KR 20180009932 A KR20180009932 A KR 20180009932A KR 1020160091886 A KR1020160091886 A KR 1020160091886A KR 20160091886 A KR20160091886 A KR 20160091886A KR 20180009932 A KR20180009932 A KR 20180009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fastening
wavegui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종
설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932A/en
Priority to PCT/KR2016/009937 priority patent/WO2017171157A1/en
Publication of KR2018000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ighter or better balanced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adjustable nose p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which comprises: a frame worn on a head of a user; a pair of lenses mounted on the frame; and an optic modul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ame. The optic module includes: a housing; an image projection device mounted on the housing, and emitting light; a first fastening unit formed in the housing; and a wave gu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herebetween, and supply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to eyes of the user. The frame includes a second fastening unit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unit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only when the optic module is used, and removes the same to be worn as general glasses.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AREABLE DEVICE}Wearable device {WAREABLE DEVICE}

본 발명은 일반 안경과 같은 프레임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옵틱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n optic module detachable and attachable to a frame such as ordinary spectacles.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최근에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웨어러블(wareable) 단말기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안경, 팔찌, 시계뿐만 아니라 의복에 장착되는 형태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a wareable terminal for user's convenience, and various portable terminals mounted on clothes as well as glasses, bracelets, and watches are being studied.

얼굴에 착용하는 글래스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시야 범위 내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항상 위치하여 정보의 전달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다만 글래스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안경과 같이 눈의 전방에 착용하기 때문에 안경과 같이 착용하는 경우 불편함이 있는 문제가 있다.The glass-type portable terminal worn on the face has a transparent display all the time within the visual range of the user, so that information can be easily transmitted and the same image as the user's gaze can be continuously obtained. However, since the glass-type portable terminal is worn on the front of the eyes like g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wear it like glasses.

본 발명은 일반 안경과 같은 프레임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옵틱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n optic modul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frame such as ordinary spectacles.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한 쌍의 렌즈; 및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옵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며, 빛을 사출하는 이미지 투사장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하며 상기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빛을 사용자의 눈에 공급하는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부가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A frame worn on the user's head; A pair of lenses mounted on the frame; And an optic module detachable to said frame, said optic module comprising: a housing; An image projection device mounted on the housing and emitting light;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a wave gu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using and supplying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to a user's eye, 2 fastening portion.

상기 웬이브 가이드는 상기 렌즈와 사용자의 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wipe guid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ns and the user's eye.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가 결합하는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단부에 꺾어져 연장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includ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lens is coupled; And a side frame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front frame and hav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 브라켓 및 상기 체결부 브라켓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상기 삽입부의 하부 사이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삽입홀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bracke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n inserting portion protru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portion bracket to be fastened to the inserting recess,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side fram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의 제3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제1 요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측의 상기 제3 방향의 측면에 상기 제1 요철에 상응하는 제2 요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홈에 제2 방향으로 삽입 후, 상기 옵틱모듈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concave and a convexity locat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n a third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has a second convexo-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can be coupled by sliding the optic module in the third direction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자성부와 자력에 의해 붙는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ic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magnetic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ortion by a magnetic force,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hen fastened.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시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hook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hook groove that is fastened to the hook when the first and second irregularities are fastened.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에 결합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being located on top of the lens and hav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상기 하부 프레임은 ω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렌즈 한 쌍이 중앙부의 좌우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휘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상기 상부 프레임보다 강도(strength)가 크게 구성할 수 있다. The lower frame has an ω-shaped shape, and the pair of lens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he upper frame is bent to include a soft material, and the lower frame has a greater strength than the upper frame. .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분리시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막혀있는 레일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레일은 상기 레일홈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상기 옵틱모듈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rail formed on the hous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one end of the rail groove is exposed when the upper fram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rail slides from one side of the rail groove to the other side to couple the optical module with the frame.

상기 체결레일과 상기 레일홈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astening rail and the rail groove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웨이브 가이드가 이루는 x-y평면 상의 각은 90°를 초과하고,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영상이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각도를 전환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ism may further include a prism that has an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defined by the housing and the waveguide and that converts an angle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to be perpendicular to the waveguide.

상기 웨이브 가이드는 y-z평면상 상기 z축에 θ만큼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고,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영상이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각도를 전환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veguide may further include a prism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of θ with respect to the z-axis on the y-z plane and switches angles so that an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is incident on the wavegu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veguide.

상기 프리즘은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반사된 빛을 상기 웨이브 가이드를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ism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the reflected light toward the waveguide.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다.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may be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waveguide.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may not be parallel.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통과하여 상기 제1 반사면을 관통하여 사출할 수 있다.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passes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상기 제1 반사면에 입사된 빛의 입사각은 전반사 각도범위 이내이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반사면에 입사된 빛의 입사각은 전반사 각도 범위 밖일 수 있다.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f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is within the total reflection angle range and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nd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may be out of the total reflection angle range.

상기 웨이브 가이드는 일면과 타면을 가지는 판형상의 투명부재이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의 일면에서 입사된 빛을 상기 일면에 전반사 각도로 반사하는 제3 반사면; 및 상기 웨이브 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서 반사된 빛을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하는 제4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waveguide is a plate-shaped transparent member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third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one surface of the waveguide to the one surface at a total reflection angle; And a fourth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waveguide to the user's eyes.

상기 프리즘을 고정하는 제1 부분,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를 고정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웨이브 가이드를 고정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후크 또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 또는 상기 웨이브 가이드와 체결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fixing bracket including a first portion for fixing the prism, a second portion for fixing the image projection device, and a third portion for fixing the waveguide, where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re hooks Or a fastener may be used to fasten the image projection device or the wave guid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옵틱모듈을 사용할 때에만 이를 장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를 분리하여 일반 안경으로 착용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optic module only when it is used, and when not using it, it can be worn as general glasses.

영상을 사용자의 눈에 제공하는 웨이브 가이드가 렌즈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배치하여 타인에게 옵틱모듈이 노출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The waveguide that provides the image to the user's eyes is placed inside the lens rather than the outside of the lens, so that the optical module is not exposed to the other person, so that a natural appearance can be produced.

또한, 사용자의 머리 형상 및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고려하여 각도가 비틀리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한한 각도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can b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ad shape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appreciate the image at a more comfortable angl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옵틱모듈의 일 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옵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옵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프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웨이브 가이드와 프리즘 및 이미지 투사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earable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module of a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of Fig.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tical module of a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tical module of a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prism of a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waveguide, a prism, and an image projection device of a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wearable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전화통화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전화 통화 이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는 포터블 기기를 모두 이동 단말기라고 칭한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are based on a phone call function, but in recent years, portable devices hav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in addition to phone calls are all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s.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tended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eyond the dimension that the user mainly grasps and uses. These wearable devices include smart watch, smart glass, and head mounted display (HMD).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이동 단말기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wearable device can be made to be able to exchange (or interlock) data with other mobile termina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can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around the mobile terminal. Further, when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data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ke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to confirm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35), 제어부(130) 및 전원 공급부(1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35, a control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39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the wearable device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wearable device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이동통신 모듈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ve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SM (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an be built in or enclos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 Evolution (but not limited to) may be used.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In view of the fact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or the like is perform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three-dimensional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t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사용자 입력부(123) 및 터치센서(124)등이 포함될 수 있다. 1,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 user input unit 123, a touch sensor 124, and the like.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160)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160)은 웨이브 가이드(153)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160)은 저장부(135)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160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ommunication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160 may be displayed on the waveguide 153. The image frame 160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output when it is in the call mod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카메라(121)가 정지영상을 취득한 경우 정지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복수개의 정지영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상 인식부가 복수개의 정지영상 전부에 대해 영상 인식부에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것은 불필요한 프로세스 낭비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까지 추출하여 제공하면 안경과 같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When the camera 121 acquires a still imag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still image. Since the camera 121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till images when capturing a moving image, it is unnecessary to waste the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from the image recognizing unit and processing it in the control unit for all of the plurality of still images have. Also, if unnecessary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in using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with glasses.

사용자가 프레임(16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3)를 누르거나 영상정보를 취득하라는 음성명령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 추출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동일 사물을 응시하여 카메라(121)가 동일 영상을 일정시간 이상 촬영할 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user can extra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 voice command to pres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ed in the frame 160 or acquire image information, or the user can gaze at the same objec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when the same image is photograph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는 특정 오브젝트에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시야에서 크게 차지하게 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주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21)가 인식한 영상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의 일정범위 이상 차지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Or when a user is close to a specific object, if the object is largely occupied in the field of view,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being watched. Accordingly, when one object of the image recognized by the camera 121 occupies more than a certain range of the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can be extracted.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키보드를 구비하기 어려우나 프레임(160) 상에버튼 타입의 사용자 입력부(123)를 구비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명령 또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량의 조절 등의 명령이 지정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is difficult to be equipped with a keyboard, but a button type user input unit 123 is provided on the frame 160 to input frequently used commands. For example, a command to shoot the image the user is watching or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he image or a command to adjust the volume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specified.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는 메탈돔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압력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또는 터치센서(12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이 터치된 것을 인식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123)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The user input unit 123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user input units 123 such as a method of generating a signal by recognizing a physical pressure using a metal dome or a method of recognizing that a user's hand is touched using a touch sensor 124 ) Are all applicable.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 및 주변환경을 감지하며, 대표적으로 자이로 센서(141) 및 가속 센서(142) 등을 들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ypically includes a gyro sensor 141 and an acceleration sensor 142.

자이로 센서(141)는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는 장치로서, x축, y축, z축의 3개의 직교하는 축에 대한 변동을 검출한다. 각속도 센서라고도 한다.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운동량을 감지하여 이동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흔들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141 is a device for detecting a change in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s variations in three orthogonal axes of x-axis, y-axis, and z-axis. Also known as an angular velocity sensor. It is possible to sense the tilt fluctu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cting the momentum of the rotational movement around each axis.

종래의 자이로 센서는 3개의 축을 갖는 팽이형태였으나, 최근에는 광학식 자이로, 진동식 자이로 등과 같이 그 정밀도를 높이고 크기를 소형화하여 이동단말기와 같은 작은 전자제품에 실장 가능하다. 또한 MEMS모듈로 구현한 6축 센서도 자이로 센서(141)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gyro sensor is in the form of a top having three axes, but recently it can b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terminal by increasing its precision and miniaturizing its size, such as an optical gyro and a vibrating gyro. A six-axis sensor implemented by a MEMS module can also be used as the gyro sensor 141.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자이로 센서(141)는 상술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The gyro sensor 14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e inclination and move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가속 센서(14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가속도와 같이 동적 힘을 측정한다. 가속도의 변화로부터 진동, 충격 등도 검출 가능하다.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도를 받으면 힘이 발생하므로 그 힘에 따른 변화를 감지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142 measures the dynamic force, such as the accel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vibrations, shocks, etc. from changes in acceleration. When an object with a mass is accelerated, a force is generated, so that a change due to the force is detected.

근접 센서(144)는 프레임(160)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4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frame 160 and may sense an object proximate to the wearable device.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다음으로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이미지 투사장치(151), 웨이브 가이드(153), 음향 출력부(15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 waveguide 153, and an audio output unit 152.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 wave guide 153,

이미지 투사장치(151)는 프로젝터와 같이 영상을 사출하는 장치로, 웨이브 가이드(153)에 전달한다. 이미지 투사장치(151)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출하고 복수개의 렌즈와 미러를 통과하며 이미지를 확대 반전시켜 상기 웨이브 가이드(153)에 전달한다.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is an apparatus for projecting an image, such as a projector, and transmits it to the wave guide 153.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generates an image, projects it,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lenses and mirrors, magnifies and inverts the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wave guide 153.

웨이브 가이드(153)은 사용자의 눈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제공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투명하여 전면의 사물을 볼 수 있다. 웨이브 가이드(153)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웨이브 가이드(153)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The wave guide 15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provides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he wave guide 153 can be transparent to see the object on the front side. The rear structure of the waveguide 153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wave guide 153 of the terminal body.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하기 골정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인체의 두부에 밀착된 부분에 진동모듈을 구비하여 두개골을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A wearable device can be made to deliver sound in a manner that it is worn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A vibrating module is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body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o transmit sound by vibrating the skull.

저장부(135)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새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먼저 저장된 데이터는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5)는 내장 방식뿐만 아니라 SD카드와 같이 보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저장 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5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3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The newly input data can be stored, and the previously stored data can be extracted and used. The storage unit 135 may expand the storage function using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D card as well as a built-in method.

제어부(controller)(13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웨이브 가이드(153) 및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인식부(125) 음성 인식부(126)는 제어부(13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 receive various signals, process input data, or control the wave guide 153 and the sound output unit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image recognition unit 125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control unit 130.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카메라(121)에서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거나, 추출된 정보를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관련정보를 추출하여 웨이브 가이드(153)에 출력하거나, 관련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informat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121 and compares the extracted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r stores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35, And outpu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wave guide 153. Alternatively,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Internet.

전원 공급부(139)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9)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부,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프레임(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39 may include, for example, a battery,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unit, a control unit, and a charge monitoring unit. The battery may be an internal battery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160 for charging or the lik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통상의 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160)과 렌즈(168)로 구성되고, 출력부, 입력부, 센싱부 등이 구비된 옵틱모듈(170)이 최대한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통상의 안경 또는 선그라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wearable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ame 160 and a lens 168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normal eyeglass and has an optical module 170 including an output unit, an input unit, a sensing unit, It is not exposed and has a form similar to ordinary glasses or sunglasses.

프레임(160)은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위치하는 프론트 프레임(161)과 사용자의 얼굴 옆쪽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귀에 거는 다리부(162b)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162)으로 구성된다. 사이드 프레임(162)은 프론트 프레임(161)에 각도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된 제1 사이드 프레임(162a)와 힌지를 통해 굽혀지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 위쪽에 걸리는 제2 사이드 프레임(162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rame 160 is composed of a front frame 161 located on the front face of the user and a side frame 162 located on the side of the user's face and including a leg portion 162b on the user's ear. The side frame 162 includes a first side frame 162a fixed to the front frame 161 so as not to change its angle and a second side frame 162b including a flexible material bent over the hinge, ).

렌즈(168)는 상기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다.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렌즈(168)의 형태가 통상의 안경과 차이가 크고 프레임(160)에 영상을 제공하는 이미지 투사장치(151)가 프레임(16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이즈가 커져 통상의 안경과 차이가 분명히 드러나서 타인의 시선이 신경이 쓰여 착용이 어렵고 다른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The lens 168 is coupled to the frame 160 to position the wearable device 100 in front of the user when worn by the wearer.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lens 168 is larger than that of ordinary glasses and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that provides the image to the frame 16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16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fference from ordinary glasses is clearly revealed, the attention of others is worried, it is difficult to wear, and others feel rejection.

본 발명은 통상의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프레임(160)과 렌즈(168)를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투사장치(151)와 웨이브 가이드(153)는 별도의 옵틱 모듈에 장착시킨다. 상기 옵틱 모듈은 이미지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음향출력모듈, 카메라, 센서부 등 각종 부품이 함께 실장될 수 있다.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the wave guide 153 constituting the frame 160 and the lens 168 so as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ordinary glasses are provided in a separate optical module . The optical module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audio output module, a camera, and a sensor uni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images.

옵틱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르 착용시 사용자에 인접한 방향에 위치하여 다른 사람이 전면에서 옵틱모듈(170)을 인지할 수 없게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optical module can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by the user, the optical module is locat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user and the other person can not recognize the optical module 170 from the front side.

옵틱모듈(170)은 렌즈(168)의 후방(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시 사용자에게 가까운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에 위치하는 웨이브 가이드(153)와 프레임(160)에 결합하는 하우징(171)으로 구성된다. 웨이브 가이드(153)는 상기 렌즈(168)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렌즈(168)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타인이 웨이브 가이드(153)를 인식할 수 없다. The optical module 170 includes a waveguide 153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lens 168 (the direction nearer to the user when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is referred to as the rear), and a housing 171 coupled to the frame 160. [ . When the wave guide 15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ns 168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lens 168, the wave guide 153 can not be recognized by a person.

하우징(171)은 상기 프레임(160)과 나란히 배치되어 웨이브 가이드(153)와 하우징(171)은 사이드 프레임(162)과 프론트 프레임(161)(또는 그에 결합된 렌즈(168))와의 각도에 상응한 각도로 결합한다.The housing 17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ame 160 so that the waveguide 153 and the housing 171 correspond to the angle between the side frame 162 and the front frame 161 (or the lens 168 coupled thereto) Combine at an angle.

하우징(171)의 내부에 웨이브 가이드(153)에 영상을 제공하는 이미지 투사장치(151)가 실장되고, 그 외에 카메라(121), 음향 출력부(152) 각종 센싱부(14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투사장치(151)는 웨이브 가이드(153)의 일측에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영상은 웨이브 가이드(153)를 통해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눈에 제공한다.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투사한 이미지가 웨이브 가이드(15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은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n image projection device 151 for providing an image to the wave guide 153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171 and a camera 12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various sensing units 140 and the like are mounted .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projects an image on one side of the wave guide 153, and the image is reflected through the wave guide 153 and finally provided to the user's ey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image projected by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to the user through the wave guide 15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본 발명의 옵틱 모듈은 프레임(160)에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를 분리할 수 있으며, 프레임(160)과 렌즈(168)를 바꿔 다양한 느낌의 안경(또는 선글라스)로 이용 가능하다. 옵틱모듈(170)에 구비된 제1 체결부(190)와 프레임(160)에 구비된 제2 체결부(195)가 결합하여 프레임(160)과 옵틱모듈(170)을 도 3과 같이 결합시킨다. 도면상 옵틱모듈(170)은 오른쪽 프레임에 배치되나 왼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optica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160 so that the optical module can be separated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optical module. The frame 160 and the lens 168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glasses (or sunglasses).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provided on the optic module 17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provided on the frame 160 are combined to couple the frame 160 and the optic module 170 as shown in FIG. . In the drawing, the optic module 170 is disposed in the right frame, but may be located on the left.

도 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옵틱모듈(170)의 일 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 체결부(190)와 제2 체결부(195)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옵틱모듈(170)은 하우징(17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90)를 구비하고, 제2 체결부(195)는 사이드 프레임(162)에 구비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tical module 170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The optical module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19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71 and a second coupling part 195 provided at the side frame 162.

사이드 프레임(162)이 고정된 제1 프레임(160)과 가변하는 제2 프레임(16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195)는 프론트 프레임(161)과의 각도가 유지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162)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16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rame 160 in which the side frames 162 are fixed and a second frame 160 in which the side frames 162 are fixed, And may be located in the side frame 162.

제2 사이드 프레임(162)에 제2 체결부(195)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착용시 제2 사이드 프레임(162)은 각도가 벌어질 수 있어 옵틱모듈(170)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고, 또 사용자가 제2 사이드 프레임(162)을 접으면 렌즈(168)와 웨이브 가이드(153)가 부딪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95 is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frame 162, the second side frame 162 may be angled when the user wears 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ptic module 170 becomes unstable, Further, when the user folds the second side frame 162,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lens 168 and the wave guide 153 hit each other.

방향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이드 프레임(162)이 연장된 방향을 y축방향으로 설정하고, 그와 좌우 방향으로 직각방향을 x축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오른쪽 방향을 x+, 왼쪽 방향을 x-, 전방을 y+, 후방을 y-, 상측 방향을 z+, 하측 방향을 z-로 표현할 수 있다. (도 4의 좌표 참고)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directio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frames 162 of the wearable device 100 extend is set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ater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z-axis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s represented by x +, the left direction by x-, the front by y +, the rear by y-, the upper direction by z +, and the lower direction by z-. (See the coordinate in Fig. 4)

제1 체결부(190)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191)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195)는 상기 삽입부(19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1 방향으로 인입된 삽입홈(19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방향은 x축방향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91)는 x축 방향으로 삽입홈(196)에 삽입 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includes an insertion part 191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is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191 An insertion groove 196 is formed.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x-axis direction. 5, the insertion portion 19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96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n slid in the y-axis direction.

제1 체결부(190)는 y축 방향의 단부에 제1 요철(193)이 형성되고, 제2 체결부(195)는 삽입홈(196)의 내측에 상기 제1 요철(193)에 상응하는 제2 요철(198)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요철(198)은 옵틱모듈(170)이 x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임(16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90 is form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93 at an end portion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95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96, And a second unevenness (198).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198 can be stably fixed to the frame 160 by preventing the optical module 170 from moving in the x-axis direction.

y+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 후에 삽입홈(196)과 삽입부(191)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착용 중에 y- 방향으로 삽입부(191)가 이동 하면 제1 요철(193)과 제2 요철(198)의 체결이 분리되고 삽입부(191)가 삽입홈(196)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옵틱모듈(170)을 슬라이드 한 후에 y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부재가 필요하다. y축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자성부를 이용한다.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196 and the insertion portion 191 after sliding in the y + direction, and when the insertion portion 191 moves in the y-direction during wear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of the two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98 is separated and the insertion portion 191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96. To prevent this,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is fixed after the optical module 170 is slid A member is required. To fix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this embodiment uses a magnetic portion.

제1 체결부(190)의 제1 자성부와 제2 체결부(195)는 제2 자성부(197)는 서로 자력에 의해 붙는다. 제1 자성부와 제2 자성부(197)는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고 일측은 자석 타측은 금속물질일 수 있다. 제2 자성부(197)는 삽입부(191)가 y+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요철(193)과 제2 요철(198)이 체결되도록 슬라이드 된 경우 제1 자성부와 붙는 위치에 배치되는 바, 사용자가 삽입부(191)를 삽입홈(196)에 넣으면 상기 제1 자성부와 제2 자성부의 자력에 의해 제1 요철(193)과 제2 요철(198)이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magnetic part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The first magnetic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ic portion 197 may be magne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magnetic poles and one side may be a metal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magnet. The second magnetic portion 197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portion 19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portion when the insertion portion 191 is moved in the y + direction and is slid so that the first irregularities 193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198 are engaged. When the user inserts the inserting portion 191 into the insertion groove 196, the first irregularities 193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198 can be fastened by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ortions.

또는 도6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1 체결부(190)와 제2 체결부(19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6과 같이 상기 슬라이드 하여 제1 요철(193)과 제2 요철(198)이 맞물릴 때 체결되는 후크(194a)와 후크홈(19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194a)는 제1 체결부(190)에서 돌출되고 후크홈(194b)은 제2 체결부(195)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194a)는 일측만(y+방향) 경사가 형성되고 타측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삽입분리가 용이하도록 y축 방향으로 모두 경사가 형성된 반원형상의 요철일 수 있다.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ok groove 194b which is engaged when the second concavity 198 is engaged with the hook 194a. The hooks 194a are projec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190 and the hook grooves 194b are formed o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195, but they may be reversed. The hooks 194a may be inclined only in one side (y +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in steps, or may be semicircular concavo-convexes inclined in the y-axis direction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and removal.

삽입부(191)는 하우징(171)의 상부에서 체결부 브라켓(192)을 통해 소정거리(a)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71)과 삽입부(191) 사이의 거리는 사이드 프레임(162)의 하단에서 삽입홀(196)이 형성된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응한다. 도 7은 도 3의 A-A의 단면도로서, 상기 하우징(171)의 상부와 삽입부(191) 사이의 이격 공간(a)에 사이드 프레임(162)의 삽입홀(196) 하단부(163)가 삽입되어 옵틱모듈(170)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체결부 브라켓(192) 도 7과 같이 L자 모양인 경우 체결부 브라켓(192)의 하우징(171)에 결합한 부분과 삽입부(191) 사이에 사이드 프레임의 삽입홀(196) 하단부(163)가 삽입된다. The insertion portion 19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7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bracket 19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71 and the insertion portion 191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portions of the side frame 162, To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hole 196 is formed.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 163 of the insertion hole 196 of the side frame 162 is inserted into the space a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71 and the insertion portion 191 Thereby fixing the movement of the optic module 170 in the z-axis direction. 7, a lower end portion 163 of the insertion hole 196 of the side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191 and a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bracket 192 joined to the housing 171, .

이와 같이 전술한 구조들에 의해 옵틱모듈(170)은 프레임(1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분리하여 가볍게 안경처럼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module 170 can be stably fixed to the frame 160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and can be separated and used as a pair of glasses when not in use by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프레임(160)이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된다. 렌즈(168)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65)과 렌즈(168)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166)으로 구성된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100 of FIG.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160 is divided into two memb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frame 165 positioned above the lens 168 and a lower frame 166 located below the lens 168. [

하부 프레임(166)은 강도(strength)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나, 상부 프레임(165)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변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ower frame 166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However, the upper frame 165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can be naturally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of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본 실시예의 렌즈(168)는 하부 프레임(166)에 결합하고, 상부 프레임(165)에는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으며, 하부 프레임(166)은 w자 형상을 이루며 좌우에 각각 렌즈(168)가 결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부 프레임(165)에 결합하고 하부 프레임(166)의 양 단부는 체결되지 않아 상부 프레임(165)의 형상이 변화하더라도 하부 프레임(166)과 렌즈(168)의 위치는 고정된다. The lens 168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66 and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165. The lower frame 166 has a w- .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66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165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166 are not engaged so that the lower frame 166 and the lens 168 The position is fix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옵틱모듈(170)은 하부 프레임(166)에 형성된 제2 체결부(195)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체결부(190)는 하우징(171)에 형성된 체결레일(173)을 포함하고, 제2 체결부(195)는 하부 프레임(166)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부(190)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레일홈(167)을 포함한다. 체결레일(173)과 레일홈(167)은 상하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71)을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체결레일(173)과 레일홈(167)을 체결한다. Accordingly, the optic module 170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formed on the lower frame 166. The first fastening part 19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astening rail 173 formed on the housing 17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95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166, And a rail groove 167 slidably engaged with the rail 167. The fastening rail 173 and the rail groove 167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and slide the housing 171 downward to fasten the fastening rail 173 and the rail groove 167.

레일홈(167)은 일측 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막혀있으며, 개방된 일측 단부는 상부 프레임(165)과 하부 프레임(166)이 분리시 노출되나 결합시 변형이 안된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165)에 의해 가려진다. 개방된 레일홈(167)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단부 방향으로 체결레일(173)을 레일홈(167)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체결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rail groove 167 is opened and the other end of the rail groove 167 is closed. The opened end of the rail groove 167 is exposed when the upper frame 165 and the lower frame 16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It is possible to slide and fasten the fastening rail 173 along the rail groove 167 from one end of the open rail groove 167 toward the other end.

도 10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옵틱모듈(170)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FIG.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nd 12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tic module 170 of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얼굴은 입체형상이기 때문에 코를 중심으로 양 끝이 뒤쪽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도 사람의 얼굴 형상에 따라 가운데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ω 만큼 기울어진 곡면 또는 경사면을 가진다. (도 10 (a)참조)Referring to FIG. 10 (a), since the face of the user is a three-dimensional shape, both ends of the face are inclined rearward about the nose.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rear by? On the center of the human face shape. (See Fig. 10 (a)).

옵틱모듈(170)의 웨이브 가이드(153)도 사용자의 얼굴 형상과 시선상 렌즈(168)와 같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본 발명의 웨이브 가이드(153)와 옵틱모듈(170)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평면에서 90°보다 ω 만큼 더 벌어진 각도로 결합한다. 하우징(171)의 내부에 실장되는 이미지 투사장치(151)는 하우징(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빛을 사출하기 때문에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웨이브 가이드(153)에 입사되는 빛도 웨이브 가이드(153)의 표면에서 90°가 아닌 입사각을 가지게 된다. The waveguide 153 of the optical module 170 is also preferably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eyeglass lens 168. The waveguide 15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tic module 170 are also shown in Fig. In an xy plane, as shown in Fig. Since the image projecting device 151 mounted inside the housing 171 emits ligh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using 171, the light incident on the wave guide 153 in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is also guided to the wave guide 153 have an incident angle of not 90 °.

웨이브 가이드(153)에 90°가 아닌 비스듬하게 입사되는 경우 정확한 광경로의 연산이 어려워 사용자의 눈에 정확히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사출된 영상이 웨이브 가이드(153)에 정확히 90°로 입사하도록 이미지 투사장치(151)와 웨이브 가이드(153) 사이에 프리즘(180)을 구비할 수 있다.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optical path and it is not accurately supplied to the user's eye when the optical waveguide 153 inclines at an angle other than 90 degrees. A prism 1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the wave guide 153 so tha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is incident on the wave guide 153 at exactly 90 degrees.

상기 프리즘(180)은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사출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181)과 상기 제1 반사면(181)에서 반사된 빛을 재반사하여 상기 웨이브 가이드(153)로 영상을 송출하는 제2 반사면(18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면(181)과 상기 제2 반사면(182)은 마주보고 있지만 프리즘(180)이 반사되는 빛과 사출되는 빛의 각도가 다르도록 x-y평면상 평행하지 않다.The prism 180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transmits the reflected light to the wave guide 153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82 for emitting an image.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face each other bu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xy plane so that the angl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prism 180 differs from the angle of the emitted light.

제1 반사면(18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브 가이드(153)로 빛이 공급되는 사출면이 된다. 즉 제1 반사면(181)의 일측은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공급된 영상을 반사하고, 타측은 제2 반사면(182)에서 반사된 영상을 통과하여 웨이브 가이드(153)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becomes an emitt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light is supplied to the waveguide 153 as shown in FIG.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reflects the image suppli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imag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and supplies the reflected wave to the wave guide 153 .

웨이브가이드로 입사된 영상은 웨이브가이드의 전면과 배면에 전반사되는 각도로 꺽어지도록 반사하는 제3 반사면(1531)을 포함하고, 제3 반사면(1531)에 반사된 빛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위치까지 전반사 되며 웨이브 가이드(153)의 전면과 배면에 반사되며 전송된다.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전반사된 빛의 각도를 변경하여 웨이브 가이드(153)를 벗어나 사용자의 눈에 공급되도록 반사하는 제4 반사면(1532)을 포함한다. The image incident on the waveguide includes a third reflection surface 1531 that is reflected so as to be bent at an angle total of reflection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waveguide and the light reflected on the third reflection surface 1531 is reflected And is ref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wave guide 153. And a fourth reflecting surface 1532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ser's eyes and changing the angle of the totally reflected light to reflect the wave guide 153 to be supplied to the user's eye.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사람은 일반적으로 약간 아래쪽을 바라보기 때문에 렌즈(168)도 그에 맞추어 θ만큼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프레임(160)에 결합한다.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사이드 프레임(162)은 중력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사이드 프레임(162)과 렌즈(168)가 이루는 각도는 90°보다 전방으로 θ만큼 기울어지는 바, 옵틱모듈(170)의 하우징(171)과 웨이브 가이드(153)의 배치도 사이드 프레임(162)과 웨이브 가이드(153)의 각도와 같이 전방으로 θ만큼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b), since the person generally looks slightly downward, the lens 168 also tilts downward by θ to fit to the frame 160. The angle formed by the side frame 162 and the lens 168 is inclined forwar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angle of the side frame 162 with respect to the lens 168 The arrangement of the waveguide 171 and the waveguide 153 can also b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forwardly by an angle θ such as the angle between the side frame 162 and the waveguide 153.

따라서 도 11의 형태에서 더 나아가 도 12와 같은 형태로 웨이브 가이드(153)가 하측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하우징(171)(또는 옵틱모듈(170))에 결합된 형태의 옵틱모듈(17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투사장치(151)의 영상 공급 방향과 웨이브 가이드(153)의 표면이 y-z 평면에서 90°보다 전방으로 θ만큼 기울어지는 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하우징(171)은 상면이 보이나 웨이브 가이드(153)는 영상이 입사되는 면이 보이도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orm of FIG. 11, the waveguide 153 is inclined downward to be used in the form of FIG. 12, and the optical module 170 is coupled to the housing 171 (or the optical module 170) . The image supply direction of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the surface of the waveguide 153 are inclined forward by 90 degrees from the yz plane by θ. As shown in FIG. 12, in the plan view, the housing 171 has an upper surface The waveguide 153 may have a shape tilted forward so that a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incident is seen.

도 11의 실시예는 프리즘(180)으로 x-y평면상 제1 반사면(181)과 제2 반사면(182)의 각도를 조정하여 웨이브 가이드(153)에 x-y평면상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조절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y-z평면상 각도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180)의 제1 반사면(181)과 제2 반사면(182)의 y-z평면상의 각도를 달리하여, 웨이브 가이드(153)의 입사면에 수직하게 영상을 공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is adjusted by the prism 180 on the xy plane so as to be incident on the wave guide 153 perpendicularly on the xy plane, In this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n the yz plane. 13, the angles of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of the prism 18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yz plane, The image can be vertically supplied.

도 13은 옵틱모듈(170)의 프리즘(180)을 제1 반사면(181)에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이다(도 12의 C-C).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sm 180 of the optic module 170 cut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C-C of FIG. 12).

도 13의 (a)는 z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반사면(181)과 제2 반사면(182)은 웨이브 가이드(153)와 기울어져 웨이브 가이드(153)의 입사면에 비스듬하게 빛이 입사된다. 1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z axi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ve guide 153 and are inclined to the incident surface of the wave guide 153 / RTI >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3의 (b)와 같이 제1 반사면(181)과 제2 반사면(182)을 웨이브 가이드(153)의 y-z축 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기울이면 웨이브 가이드(153)에 입사되는 각도를 90도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반사면(18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투사장치(151)에서 공급된 빛을 최초로 반사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도 13의 (b)와 같이 비스듬하게 형성하면 제1 반사면(181)에서 반사하여 제2 반사면(182)으로 공급되는 빛도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13 (b), whe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are tilted by an inclined angle of the yz axis of the wave guide 153,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ngle of incidence to 90 degrees. However, since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serves to reflect light suppli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for the first time as shown in FIG. 12, if it is formed obliquely as shown in FIG. 13 (b)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surface 181 and also the light supplied to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is also distorted.

따라서, 도 13의 (c)와 같이 제2 반사면(182)은 비스듬하게 형성하되 제1 반사면(181)은 z축과 나란히 배치하고, 대신에 제2 반사면(182)은 웨이브 가이드(153)가 기울어진 각도보다 작은 θ'의 각도로 기울어져 제1 반사면(181)에서 사출된 빛이 법선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더 꺽어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프리즘(180)의 굴절율이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프리즘(180)에서 사출되는 빛은 법선의 바깥쪽으로 꺾어진다.13 (c),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82 is formed obliquely, and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is dispos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z-axis. Instead,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8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z- 153 are inclined at an angle of &thetas; ' which is smaller than the tilted angl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can be compensated for further deflection in the normal direction from the normal line.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sm 180 is larger than that of air,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ism 180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normal line.

즉, 도 13의 (c)와 같이 프리즘(180)의 제1 반사면(181)과 제2 반사면(182)의 y-z평면의 각도도 평행하지 않게 배치하여, 이미지 투사장치(151)에 대해 y-z평면상 θ만큼 기울어진 웨이브 가이드(153)에 수직으로 영상을 공급할 수 있다. 13 (c), the angles of the yz plane of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and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182 of the prism 180 are also set so as no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 image can be vertically supplied to the wave guide 153 inclined by the yz plane?

도 1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웨이브 가이드(153)와 프리즘(180) 및 이미지 투사장치(15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웨이브 가이드(153)와 이미지 투사장치(151)가 직각을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프리즘(180)이 개재되며 특히 프리즘(180)과 웨이브 가이드(153)가 마주하는 면이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3개의 부품을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waveguide 153 of the wearab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sm 180, and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Fig. Since the waveguide 153 and the image projecting device 151 are no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prism 180 is interposed, and in particular, the surfaces of the prism 180 and the waveguide 153 facing each other are not parallel, .

따라서 프리즘(180)과 웨이브 가이드(153) 및 이미지 투사장치(151)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75)을 이용한다. 고정 브라켓(175)은 프리즘(180)을 감싸는 제1 부분, 이미지 투사장치(151)에 체결되는 제2 부분, 그리고 웨이브 가이드(153)에 체결되는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분 프리즘(180)의 입사면과 제2 반사면에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153)를 향하여 빛이 사출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프리즘(18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프리즘(180)의 입사면에 가까운 부분은 이미지 투사장치(151)가 고정되므로 제2 부분이 위치하고, 프리즘(180)의 제1 반사면(181)에 인접한 위치는 웨이브 가이드(153)와 고정하기 때문에 제2 부분이 위치한다. Therefore, the fixing bracket 175 for fixing the prism 180, the wave guide 153, and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is used. The fixing bracket 175 may include a first portion surrounding the prism 180, a second portion coupled to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and a third portion coupled to the wave guide 153. The prism 180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rism 180 ex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incident surface of the first partial prism 180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toward the waveguide 153. The portion near the entrance surface of the prism 180 is fixed to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so that the second portion is positioned and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81 of the prism 180 is fixed to the wave guide 153 The second part is located.

제2 부분은 일측은 후크(175d)로 이미지 투사장치(151)에 고정하고, 타측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176b)를 이용하여 이미지 투사장치(151)에 고정한다. 제3 부분은 웨이브 가이드(153)에 고정되며, 프리즘(180)의 제1 반사면(181)을 통과하여 웨이브 가이드(153)에 입사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하 부분은 실질적으로 빛이 통과하지 않는 바, 체결구(176a)로 웨이브 가이드(153)와 제3 부분을 고정한다. The second part is fixed to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with one side by a hook 175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image projection device 151 by using a fastener 176b such as a screw. The third portion is fixed to the waveguide 153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ism 180 except the portion that is incident on the waveguide 153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81 of the prism 180 are substantially light- The wave guide 153 and the third part are fixed to the bar and the fastener 176a.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180)의 제1 반사면(181)과 웨이브가이드가 비스듬하게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여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81 of the prism 180 and the wave guide are fixed in a state of being diagonally spaced to prevent a risk that the light path is distor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옵틱모듈을 사용할 때에만 이를 장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를 분리하여 일반 안경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영상을 사용자의 눈에 제공하는 웨이브 가이드(153)가 렌즈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배치하여 타인에게 옵틱모듈이 노출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mounts the optical module only when the optical module is used an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optical module, the user can wear the optical module separately as general glasses, and the waveguide 153, which provides the image to the user's eye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natural appearance because the optic module is not exposed to the other person.

또한, 사용자의 머리 형상 및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고려하여 각도가 비틀리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한한 각도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can b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ad shape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appreciate the image at a more comfortable ang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이미지 투사장치 152: 음향 출력부
153: 웨이브 가이드 160: 프레임
161: 프론트 프레임 162: 사이드 프레임
165: 상부 프레임 166: 하부 프레임
167: 체결레일 168: 렌즈
170: 옵틱모듈 171: 하우징
173: 레일홈 175: 고정 브라켓
180: 프리즘 181: 제1 반사면
182: 제2 반사면 190: 제1 체결부
191: 삽입부 192: 체결부 브라켓
193: 제1 요철 194a: 후크
194b: 후크홈 195: 제2 체결부
196: 삽입홈 197: 제2 자성부
198: 제2 요철
100: wearable device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image projection device 152: sound output unit
153: waveguide 160: frame
161: front frame 162: side frame
165: upper frame 166: lower frame
167: fastening rail 168: lens
170: Optic module 171: Housing
173: Rail groove 175: Fixing bracket
180: prism 181: first reflection surface
182: second reflecting surface 190: first coupling part
191: insertion part 192: fastening part bracket
193: first concave / convex 194a: hook
194b: hook groove 195: second fastening portion
196: insertion groove 197: second magnetic part
198: The second unevenness

Claims (20)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한 쌍의 렌즈; 및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옵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며, 빛을 사출하는 이미지 투사장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하며 상기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빛을 사용자의 눈에 공급하는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부가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frame worn on the user's head;
A pair of lenses mounted on the frame; And
And an optic module detachable to said frame,
The optical module includes:
housing;
An image projection device mounted on the housing and emitting light;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And a wave gu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using and supplying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to a user's eye,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eng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웬이브 가이드는 상기 렌즈와 사용자의 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ggle guide is positioned between the lens and the user's ey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가 결합하는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단부에 꺾어져 연장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lens is coupled;
And a side frame formed by bending the end portion of the front frame and hav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 브라켓 및 상기 체결부 브라켓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상기 삽입부의 하부 사이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삽입홀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bracke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e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fastening portion bracket to be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side frame is insert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의 제3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제1 요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측의 상기 제3 방향의 측면에 상기 제1 요철에 상응하는 제2 요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홈에 제2 방향으로 삽입 후, 상기 옵틱모듈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concave and a convexity locat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n a third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in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ptical module is slid in the thi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irregularities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engage with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자성부와 자력에 의해 붙는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ic portion,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magnetic portion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portion by a magnetic force,
Wherein the first magnetic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ic portion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hen the first irregularities and the second irregulariti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요철과 상기 제2 요철이 체결시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hook proje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hook groove that is engaged with the hook when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and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are fast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렌즈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에 결합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n upper frame positioned above the lens; And
And a lower fram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ω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렌즈 한 쌍이 중앙부의 좌우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휘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상기 상부 프레임보다 강도(strength)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frame has an < RTI ID = 0.0 > omega < / RTI &
Wherein the upper frame includes a flexible material, and the lower frame has a higher strength than the upper fra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분리시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막혀있는 레일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레일은 상기 레일홈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상기 옵틱모듈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rail formed on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and has one end exposed when expos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end clogged,
Wherein the fastening rail slides from one side of the rail groove to the other side to join the optic module and the fra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일과 상기 레일홈과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astening rail and the rail groove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웨이브 가이드가 이루는 x-y평면 상의 각은 90°를 초과하고,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영상이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각도를 전환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ngle on the xy plan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aveguide is greater than 90 degrees,
Further comprising a prism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so as to be incident on the wave gu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ve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는 y-z평면상 상기 z축에 θ만큼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고,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영상이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각도를 전환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veguide is inclined obliquely by? On the z-axis on the yz plane,
Further comprising a prism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on device so as to be incident on the wave gu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ve gui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사출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반사된 빛을 상기 웨이브 가이드를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ism
A first reflecting surface that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projecting device,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reflected light toward the wavegui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웨이브 가이드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waveguid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은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are not parall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이 통과하여 상기 제1 반사면을 관통하여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passes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nd is emitted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에서 상기 제1 반사면에 입사된 빛의 입사각은 전반사 각도범위 이내이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반사면에 입사된 빛의 입사각은 전반사 각도 범위 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in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is within a total reflection angle range,
Wherein the incidence angl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and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is out of the total reflection angl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가이드는 일면과 타면을 가지는 판형상의 투명부재이고,
상기 웨이브 가이드의 일면에서 입사된 빛을 상기 일면에 전반사 각도로 반사하는 제3 반사면; 및
상기 웨이브 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서 반사된 빛을 사용자의 눈으로 반사하는 제4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veguide is a plate-shaped transparent member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third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light incident on one surface of the waveguide at a total reflection angle on the one surface; And
And a fourth reflecting surface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wave guide to the user's ey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을 고정하는 제1 부분,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를 고정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웨이브 가이드를 고정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후크 또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투사장치 또는 상기 웨이브 가이드와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racket including a first portion fixing the prism, a second portion fixing the image projection device, and a third portion fixing the waveguide,
Wherei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re fastened to the image projection device or the waveguide using hooks or fasteners.
KR1020160091886A 2016-03-30 2016-07-20 Wareable device KR2018000993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86A KR20180009932A (en) 2016-07-20 2016-07-20 Wareable device
PCT/KR2016/009937 WO2017171157A1 (en) 2016-03-30 2016-09-06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86A KR20180009932A (en) 2016-07-20 2016-07-20 Ware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32A true KR20180009932A (en) 2018-01-30

Family

ID=6107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886A KR20180009932A (en) 2016-03-30 2016-07-20 Ware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9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1271A (en) * 2021-03-10 2021-06-2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Projection mechanism and glas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1271A (en) * 2021-03-10 2021-06-2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Projection mechanism and 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9236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earbud holder
EP3525031B1 (en) Display device
TWI599796B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9459457B2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US6091546A (en) Eyeglass interface system
EP2814252B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CN103091843B (en) See-through display brilliance control
KR101977433B1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KR20170112898A (en) Wareable device
KR102102643B1 (en) Glass Type Terminal
KR20190018518A (en) Wearable device
US10215990B2 (en) Wearable device
CN103033936A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iris scan profiling
CN106575038A (en) Weight-distributing headband for head-worn assembly
WO2017171157A1 (en) Wearable device
US20210373333A1 (en) Smart eyeglasses
JP2016509682A (en) Spectacle with concealed and invisible optics
US11880093B2 (en) Hyperextending hinge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70874A (en) Grass typ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31577A (en) Glass Type Terminal
US20220299794A1 (en) Hyperextending hinge having fpc service loops for eyewear
KR20180066827A (en) Head mount display deevice
KR20180009932A (en) Wareable device
JP2016081372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US20210072545A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