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827A - Head mount display deevice - Google Patents

Head mount display de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827A
KR20180066827A KR1020170150640A KR20170150640A KR20180066827A KR 20180066827 A KR20180066827 A KR 20180066827A KR 1020170150640 A KR1020170150640 A KR 1020170150640A KR 20170150640 A KR20170150640 A KR 20170150640A KR 20180066827 A KR20180066827 A KR 2018006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arbud
band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림
임상혁
한종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35,24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59236B2/en
Publication of KR2018006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8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band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main body to a head of a user; an image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face the opening and providing an image to the user; an earbud holder partially depressed into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t a corner between the lat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 earbud mounted on the earbud hold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earbud. Accordingly, a sound output unit is integrated,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 DISPLAY DEEVICE}HEAD MOUNT DISPLAY DEEVICE [0002]

본 발명은 사용성을 증대시킨 가상현실(Virtual Real) 정보를 전달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virtual reality information with increased usability.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영상출력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is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video output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최근에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웨어러블(wareable) 디바이스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안경, 팔찌, 시계뿐만 아니라 의복에 장착되는 형태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wearable devices for user's convenience, and various portable terminals mounted on clothes as well as glasses, bracelets, and watches are being studied.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각종 컨텐츠가 개발되면서 그와 함께 각광을 받고 있다.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that wears on a user's face of a wearable device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has been spotlight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영상출력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종센서,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 등이 구비되며, 또한,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향도 중요하기 때문에 음향출력부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형태가 이용되고 있다. The head mount display is provided with an image output unit,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user's movement, and a fixing structure for stably fixing the user's head. In addition, since sound is also important for realizing not only a display but also a virtual reality, And the output portion is mounted on the head mount display.

음향출력부까지 구비하는 경우 부피 및 무게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져서 주로 한 장소에서 이용하게 되고,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별도로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 음향출력부를 탑재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니즈가 있다.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earphone or the headset separately if it is provided separate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arry the earphone or the headset separately, and the sound output unit is mount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There is a need for a head mou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메인바디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mount display having an audio output section which can be housed in a main body and carri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main body.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하는 밴드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메인바디에서 부분적으로 인입되며 측면과 하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이어버드홀더;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안착되며 이이버드;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상기 이어버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a back surface; A band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main body to a user's head; An image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providing an image to the user; An earbud holder partially received at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e earbud being seated in the earbud hold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earbud.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상기 이어버드가 수납되면 OFF상태로 변화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가 상기 이어버드에서 분리되면 ON상태로 변화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상기 이어버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or that changes to an OFF state when the earbud is received in the earbud holder and changes to an ON state when the earbud holder is separated from the earbud, , It is possible to output sound through the earbud.

상기 메인바디에 실장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FF상태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And a speaker mount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ler can output sound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first sensor is in an OFF state.

상기 메인바디가 배면에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ON상태로 변화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FF상태이고, 상기 제2 센서가 ON상태이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이어버드의 수납위치를 안내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main body is worn by a user on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ensor to be in an OFF state and the second sensor to be in an ON state, It is possible to output an image guid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earbu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가 되면,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n image when the first sensor is turned on.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영상을 출력 중에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에서 OFF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정지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ensor is turn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while an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output unit.

상기 영상출력부에 제공되는 영상이 종료되면 상기 이어버드를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수납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provided to the video output unit is completed, the notification unit informs the user that the earbud is to be stored in the earbud holder.

상기 이어버드홀더는 상기 이어버드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면은 하단으로 갈수록 배면 방향으로 치우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arbud holder located at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earbud may be tilted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bottom side.

일단은 상기 이어버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형성된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회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 acoustic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arbud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a cable hole formed in the earbud holder; And a rotation modul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wound with the acoustic cable.

상기 회전모듈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음향케이블이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홀과 상기 회전부의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rotary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rotating part that is wound or un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oustic cable in a rotating direction;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part, wherein the side surfaces of the cable hole and the rotation part can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케이블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음향케이블의 방향과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케이블홀까지 연장된 음향케이블의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extending through the cable hole may be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extending from the rotary part to the cable ho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의 측면 둘레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케이블홀 사이가 이루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A second fixing part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ry part; And a plurality of third fixing portions which connect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includes a straight line portion formed between the rotation portion and the cable hole As shown in Fig.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과 하면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커버하며 삽입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형성된 데이터홀; 및 상기 데이터홀을 관통하여 외부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arbud holder further includes a pair of openings formed at corners between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earbud holder is inserted to cover the pair of openings and formed in the earbud holder. And a data cable connecting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hole.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단부가 서로 체결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a back surface; A first band and a second band which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end portions of the user's head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 image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providing an image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output unit.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의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제1 자석의 제1 극과 상기 제2자석의 제2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체결하고, 상기 메인바디,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가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second band, wherein the first magnet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portion is disposed and fastened such that the first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pole of the second magnet face each other, and the main body,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form a closed curve.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가 중첩 시 상기 제1 자석의 측면은 상기 제2 자석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overlappe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agne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agnet.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극이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극이 상기 제2 밴드와 마주보지 않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pole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such that the second pole does not face the second band have.

상기 제1 밴드에 상기 제1 자석이 배치된 제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밴드에 상기 제2 자석이 배치된 제2 영역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n which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in the first band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in the second band.

상기 메인바디의 양 단부는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얼굴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디는 배면의 상부는 제1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메인바디의 배면의 하부는 상기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의 곡선을 이룰 수 있다. Wherein the main body has a curved line having a first curvatu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has a curved surface, A curve of a second curvature larger than the first curvatur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출력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더라도 사이즈 및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하여 착용시 코나 광대를 압박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The head mou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ortability by integrally providing an acoustic output unit. Further, even if the sound output unit is provided, the increase in size and weight can be minimized, and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nose or clown when worn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가 메인바디에 수납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출력부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acoustic output unit is worn by the user depending on whether the acoustic output unit is housed in the main body, and control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또한, 사용자의 두상 크기나 형상에 따라 헤드밴드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켜 외부 빛이 새어 들어와 영상의 감상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eadb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user's hea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light from leaking from hindering the appreciation of the image, thereby improving usabilit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홀더에 이어버드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와 이어버드홀더 및 회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와 이어버드홀더 및 회전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의 ON/OFF여부에 따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센서와 제2 센서의 ON/OFF에 따라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밴드에 위치하는 제1 자석과 제2 밴드에 위치하는 제2 자석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user.
5 is a bottom view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earbud is housed in an earbu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bud, an earbud holder and a rota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n ear bud, an ear bud holder and a rot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ab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 / OFF status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10 is a view showing a screen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according to ON / OFF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wearing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user.
12 and 1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st magnet located in the first band and a second magnet located in the second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전화통화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전화 통화 이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는 포터블 기기를 모두 이동 단말기라고 칭한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있다.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are based on a phone call function, but in recent years, portable devices hav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in addition to phone calls are all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s.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tended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eyond the dimension that the user mainly grasps and uses. Such wearable devices include a smart 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 display device.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영상장치로서, 시각적으로 외부와 차단하고 실제 보는 듯한 영상을 제공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장치이다. The head mount display device 100 is a video apparatus worn on the head of a user, and is an essential device for realizing a virtual reality by providing an image that is visually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looks as if it is actually viewed.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이동 단말기 주변에 통신 가능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감지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can be made capable of interchanging (or interlocking) data with other mobile termina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can detect (or recognize)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communicating around the mobile terminal. Further, when the sensed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transmits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hort- .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data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a telephone call is made throug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or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received message is confirmed via the head- It is possi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35), 제어부(130) 및 전원 공급부(1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mount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35, a control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39, . 1 are not essential,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100 is located can do.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이동통신 모듈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ve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SM (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o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 Evolution (but not limited to) may be used.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In view of the fact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or the like is perform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three-dimensional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t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사용자 입력부(123) 및 터치센서등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 user input unit 123, a touch sensor, and the like.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저장부(135)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output when it is in the call mod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카메라(121)가 정지영상을 취득한 경우 정지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복수개의 정지영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상 인식부가 복수개의 정지영상 전부에 대해 영상 인식부에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것은 불필요한 프로세스 낭비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까지 추출하여 제공하면 안경과 같이 착용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When the camera 121 acquires a still imag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still image. Since the camera 121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till images when capturing a moving image, it is unnecessary to waste the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from the image recognizing unit and processing it in the control unit for all of the plurality of still images have. In addition, if unnecessary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in using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to be worn with glasses.

사용자가 메인바디(16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3)를 누르거나 영상정보를 취득하라는 음성명령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 추출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동일 사물을 응시하여 카메라(121)가 동일 영상을 일정시간 이상 촬영할 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user can extra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 voice command to pres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ed in the main body 160 or acquire image information, or the user can look at the same object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when the same image is photograph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는 특정 오브젝트에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시야에서 크게 차지하게 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주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21)가 인식한 영상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의 일정범위 이상 차지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Or when a user is close to a specific object, if the object is largely occupied in the field of view,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being watched. Accordingly, when one object of the image recognized by the camera 121 occupies more than a certain range of the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can be extracted.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키보드를 구비하기 어려우나 메인바디(160) 상에 버튼 타입의 사용자 입력부(123)를 구비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명령 또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량의 조절 등의 명령이 지정될 수 있다. Althoug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s difficult to have a keyboard, it may include a button-type user input unit 123 on the main body 160 to input frequently used commands. For example, a command to shoot the image the user is watching or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he image or a command to adjust the volume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specified.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는 메탈돔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압력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또는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이 터치된 것을 인식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123)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The user input unit 123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user input units 123 such as a method of generating a signal by recognizing a physical pressure using a metal dome or a method of recognizing that a user's hand is touched using a touch sensor Applicable.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 및 주변환경을 감지하며, 대표적으로 자이로 센서(141) 및 가속 센서(142) 등을 들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ypically includes a gyro sensor 141 and an acceleration sensor 142.

자이로 센서(141)는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는 장치로서, x축, y축, z축의 3개의 직교하는 축에 대한 변동을 검출한다. 각속도 센서라고도 한다.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운동량을 감지하여 이동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흔들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141 is a device for detecting a change in til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cts variations in three orthogonal axes of x-axis, y-axis, and z-axis. Also known as an angular velocity sensor. It is possible to sense the tilt fluctu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cting the momentum of the rotational movement around each axis.

종래의 자이로 센서는 3개의 축을 갖는 팽이형태였으나, 최근에는 광학식 자이로, 진동식 자이로 등과 같이 그 정밀도를 높이고 크기를 소형화하여 이동단말기와 같은 작은 전자제품에 실장 가능하다. 또한 MEMS모듈로 구현한 6축 센서도 자이로 센서(141)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gyro sensor is in the form of a top having three axes, but recently it can b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terminal by increasing its precision and miniaturizing its size, such as an optical gyro and a vibrating gyro. A six-axis sensor implemented by a MEMS module can also be used as the gyro sensor 141.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자이로 센서(141)는 상술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한다.The gyro sensor 14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e tilt and movement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without being restricted to the above-described mode.

가속 센서(142)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와 같이 동적 힘을 측정한다. 가속도의 변화로부터 진동, 충격 등도 검출 가능하다.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도를 받으면 힘이 발생하므로 그 힘에 따른 변화를 감지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142 measures the dynamic force, such as the acceleration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vibrations, shocks, etc. from changes in acceleration. When an object with a mass is accelerated, a force is generated, so that a change due to the force is detected.

근접 센서(144)는 메인바디(160)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4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160 portion and may sense an object proximate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다음으로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영상출력부(151), 음향출력부(152)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output unit 15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output unit 151 and an audio output unit 152.

영상출력부(151)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얘를 들면 스마트 폰)를 장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video output unit 151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age to a use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or may be equipped with a bar 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It can also be implemented.

영상출력부(151)는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좌안과 우안에 각각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부의 화면을 분할하여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제공하거나,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151 may provide images to the left and right eye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and may provide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by dividing a screen of one display unit or use a pair of display units .

영상출력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output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음향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 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하기 골정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인체의 두부에 밀착된 부분에 진동모듈을 구비하여 두개골을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in a manner to be worn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A vibrating module is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body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o transmit sound by vibrating the skull.

저장부(135)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새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먼저 저장된 데이터는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5)는 내장 방식뿐만 아니라 SD카드와 같이 보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저장 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5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3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The newly input data can be stored, and the previously stored data can be extracted and used. The storage unit 135 may expand the storage function using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n SD card as well as a built-in method.

제어부(controller)(130)는 통상적으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영상출력부(151) 및 음향출력부(15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And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or receive various signals or process input data or to control the video output unit 151 and the audio output unit 152.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카메라(121)에서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거나, 추출된 정보를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관련정보를 추출하여 영상출력부(151)에 출력하거나, 관련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informat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121 and compares the extracted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or stores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35, And outpu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video output unit 151. Alternatively, the related information may be retrieved from the Internet.

전원 공급부(139)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9)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부,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3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39 may include, for example, a battery,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unit, a control unit, and a charge monitoring uni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head.

영상출력부(151), 센싱부(140) 및 제어부(130)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는 메인바디(160)와, 상기 메인바디(16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 (170)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시 얼굴이 닿는 부분을 후방(배면)이라 하고,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전방(전면)이라 한다. A main body 160 including an image output unit 151, a sens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30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a band unit for fixing the main body 160 to the user's head 17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user wears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the portion of the user's face that touches the back is referred to as the back (back),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front).

메인바디(160)에 실장되는 영상출력부(151)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의 경우, 내부에 영상출력부(151)를 직접 구비한다. The video output unit 151 mounted on the main body 160 may include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n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mounted and used. In case of the built-in type, the video output unit 151 is directly provided therein.

메인바디(160)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외부 빛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출력부(15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받기 때문에 얼굴에 맞닿는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곡선에 따라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얼굴에 밀착되도록 사용자의 얼굴이 닿는 부분에 실리콘이나 쿠션 소재를 개재하여 얼굴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변형 가능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눈으로 외부 빛이 새어 들어가지 않아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메인바디(160)를 이루는 하우징(161, 162)를 전면과 배면을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코와 닿는 부분도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할 수 있어 착용감이 더 좋아질 수 있다. Since the main body 160 is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face and receives the imag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151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light is not introduced, You can have a curved surface depending on the curve. It is possible to deform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face through the silicone or cushion material at the portion of the user's face contacting the face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so that the external light does not leak through the eyes, I never do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s 161 and 162 constituting the main body 160 can be formed by using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front and the back. In this case, the portion touching the nose of the user can also use the soft material, and the fit can be improved.

메인바디(160)는 외부의 빛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완전히 차폐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 좌우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는 메인바디(160)의 좌우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하부는 사용자의 광대와 중첩된다. 사용자의 눈 옆쪽은 광대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바, 착용감 개선을 위해 차광부 단부의 상부가 더 돌출되고 하부는 상부의 곡률(R1) 보다 더 완만한 곡률(R2)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6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hielding part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s face to completely shield external light from leak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protrudes rearward from the left and right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160, and the lower portion overlaps with the user's clown. The upper end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may protrude further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R2 that is more gentle than the curvature R1 of the upper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헤드밴드(170)는 메인바디(160)에 연결되며, 메인바디(160)와 헤드밴드(170)는 사용자의 이마부터 머리뒤편까지 이어지는 링 형상을 이룬다. 헤드 밴드는 메인바디(160)의 측방향에서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 윗부분을 지나 머리 뒷부분까지 이어지는 형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메인바디(160)에 연결된 부분 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밴드(170)는 θ의 각도를 이루며 상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헤드밴드(170)의 머리 뒤쪽에서 지지하는 부분이 위에 위치할수록 메인바디(160)가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힘을 상쇄하기 유리하다. The headband 17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60. The main body 160 and the headband 170 form a ring extending from the forehead of the user to the back of the head. The headband is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60 and extends from the top of the user's ear to the back of the head. As shown in FIG. 4, a portion positioned behind the head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160. [ That is, the headband 170 forms an angle of &thetas; and is inclined upward, and as the portion of the headband 170 that is supported at the back of the headband 17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the force that the main body 160 tilts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canceled It is advantageous.

메인바디(160)에 연결된 위치도 메인바디(160)의 위쪽에 위치한다. 메인바디(160)의 위쪽을 고정하면 사용자의 이마 쪽에 밀착이 되며, 상대적으로 광대가 위치하는 부분은 들뜨기 때문에 광대를 누르는 힘은 약해진다. 사람의 얼굴 중 이마부분은 감각이 무디고 볼 부분의 감각이 민감하므로 볼 부분에 압박을 줄이고 이마부분에서 메인바디(160)의 무게를 지지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160 is also located above the main body 160. Whe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60 is fixed, i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rehead of the user, and the portion where the clown is located is weakened, so that the force of pressing the clown is weakened. Since the forehead portion of the human face is senseless and the sensation of the ball portion is sensiti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essure on the ball portion and to improve the fit feeling 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60 in the forehead portion.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로, 메인바디(160)의 상부가 하부보다 더 뒤쪽으로 튀어 나와 메인바디(160)의 무게는 사용자의 이마에서 주로 지지되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메인바디(160)의 후방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며, 이마에 닿는 상부(A)가 볼에 닿는 하부(B)보다 더 곡률이 작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볼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5 is a bottom view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60 protrudes further back than the lower portion, and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60 is mainly supported on the user's forehead The comfort is improved. The rear of the main body 160 forms a curved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user's face and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urvature than the lower portion B where the upper portion A touching the forehead touches the ball, .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뿐만 아니라 소리를 제공하는 음향출력부(152)로서 이어버드(155)를 포함하고, 메인바디(160)는 이어버드(155)를 수납할 수 있는 이어버드홀더(165)를 더 포함한다.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 bud 155 as an audio output unit 152 for providing sound as well as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n image and the main body 160 includes an earbud 155, And an ear bud holder 165 which can receive the ear bud holder 165.

이어버드홀더(165)는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 즉 눈이 가려진 상태에서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메인바디(160)의 하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메인바디(160)의 하면은 사용자의 귀 구멍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하측방향으로 이어버드(155)를 분리하는 바, 이어버드(155)는 이어버드홀더(165)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홀의 둘레에 끼워지는 탄성재질의 이어팁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The earbud holder 165 may be positioned at an edge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6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e., even when the eyes are hidden. 4,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60 is located below the ear hole of the user, the earbud 155 is separ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earbud 155 is connected to the earbud holder 165,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ear tip of the elastic material to be fitted around the output acoustic hole so as to face downward.

이어버드(155)가 좌우방향으로 위치하여 이어팁의 단부가 좌우방향을 향하게 되면 음향홀이 보이게 되어 외관 디자인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155)와 이어버드홀더(165)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사용자가 이어버드(155)를 이어버드(155)에서 분리하여 배면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배면방향으로 이어버드(155)를 빼기 쉽도록 이어버드홀더(165)는 이어버드(155)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면은 하단으로 갈수록 배면 방향으로 치우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If the earbud 155 is posit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ear-tip is orien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acoustic hole may be seen, which may be a factor of damaging the appearance desig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arbud 155 and earbud holder 16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emoves the earbud 155 from the earbud 155 and pulls the earbud 155 in the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earbud holder 165 can easily pull the earbud 155 in the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arbud 155, The inner side surface located at the lower end may be inclin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ack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도 6의 (a)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면만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의 (b)와 같이 이어버드홀더(165)가 전체적으로 하단으로 갈수록 배면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a), only the inner side located at the rear side may be inclined, or the earbud holder 165 may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as the whole have.

본 발명의 이어버드(155)는 무선방식으로 메인바디(160)에 구비된 제어부로부터 음향신호를 받을 수도 있고, 음향케이블(154)을 통해 메인바디(160)와 연결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이어버드(155)는 이어버드홀더(165)에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견고한 결합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를 이어버드(155)를 체결하고 후크를 분리하는 버튼을 구비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earbud 15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sound signal from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160 in a wireless manner and may connect to the main body 160 through an audio cable 154. The wireless earbud 155 may use a more rigid coupling schem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to the earbud holder 165. [ For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in which a hook is attached to the earbud 155 and a button for separating the hook is used, or a method in which the hook is coupled in a force fitting manner.

이어버드(155)는 음향케이블(154)을 통해 메인바디(160)와 연결되는 방식은 음향케이블(154)이 메인바디(160)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케이블홀(166)을 통과하여 배치되며 일단은 제어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이어버드(155)에 연결된다. 음향케이블(154)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으나, 휴대성과 외관 디자인 측면에서 메인바디(160) 내측으로 수납 가능한 회전모듈(153)을 더 포함할 수 잇다. The earbud 155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60 through the acoustic cable 154. The acoustic cable 154 is disposed through the cable hole 166 passing through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1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arbud 155. The audio cable 15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u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module 153 that can be housed inside the main body 160 in terms of portability and appearance design.

도 7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155)와 이어버드홀더(165) 및 회전모듈(153)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어버드홀더(165)는 이어버드(155)가 체결되도록 이어버드(155)의 형상에 상응하게 인입된 곡면형태이고, 음향케이블(154)이 지나가는 케이블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케이블(154)이 안정적으로 통과하도록 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153) 방향으로 돌출된 케이블 가이드(167)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ar bud 155, the ear bud holder 165, and the rotation module 15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bud holder 165 may hav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arbud 155 so that the earbud 155 is fastened and may include a cable hole 166 through which the acoustic cable 154 passes. The hole may include a cable guide 167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module 153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acoustic cable 154 passes stably.

이어버드홀더(165)는 하우징(161)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에 별도의 부재를 끼우는 방식으로 구비하며, 도 7과 같이 이어버드(155) 및 회전모듈(153)과 일체로 된 부품을 하우징에 결합한다. 이어버드홀더(165)를 위한 개구부를 활용하여 추가로 데이터케이블(133)이 통과할 수 있다. The earbud holder 165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161 and a separate member is inserted in the opening. The earbud holder 165 and the rotary module 153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arbud 155, To the housing. The data cable 133 can be further passed through the opening for the ear bud holder 165. [

데이터케이블(133)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로 상기 데이터케이블(133)을 위해 하우징(161)에 추가적으로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이어버드홀더(165)를 위한 개구부를 이용해 데이터케이블(133)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이어버드홀더(165)는 데이터케이블(133)이 통과할 수 있도록, 데이터홀을 형성할 수 있다. (도5 참고)The data cable 133 does not additionally form an opening in the housing 161 for the data cable 133 with a cable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sound data to 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100, The data cable 133 can be disposed by using the opening for the data cable 133. [ That is, the earbud holder 165 can form a data hole so that the data cable 133 can pass through. (See FIG. 5)

회전모듈(153)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음향케이블(154)이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1535)와 상기 회전부(1535)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160)에 고정되는 고정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30)는 회전모듈(153)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모듈(153)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판형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듈(153)의 측면을 모두 감싸면 크기가 커지므로, 복수개의 제3 고정부(1533)를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rotation module 153 includes a cylindrical rotary part 1535 which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oustic cable 15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ry shaft penetrating the rotary part 1535 and fixed to the main body 160 (Not shown). The fixing portion 1530 may include a plate-shaped cas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rotation module 153 and covers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rotation module 153. As the side of the rotation module 153 is entirely enclosed, the size increases, so that a plurality of third fixing portions 1533 can be formed and fixed.

회전모듈(153)의 회전부(1535)는 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형으로 감긴 테이프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부(1535)가 회전하는 것을 막아 인출된 음향케이블(154)이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part 1535 of the rotation module 153 may include a spiral wound tape spring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inside of the rotation module 153. The elasticity of the tape spring prevents the rotation part 1535 from rotating, To be fixed in a drawn-out stat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530)는 사각형의 제1 고정부(1531)와 제2 고정부(1532)가 회전부(1535)의 일면과 타면에 위치하고, 제1 고정부(1531)와 제2 고정부(1532)를 연결하며 회전부(1535)의 측면 둘레에 위치하는 제3 고정부(153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531)와 제2 고정부(1532)를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4개의 모서리 부분이 회전부(1535)와 가장 이격되어 있는 바 제3 고정부(1533)는 제1 고정부(1531)와 제2 고정부(1532)의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다. 7, the fixing part 1530 has a rectangular first fixing part 1531 and a second fixing part 1532 which are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1535, and the first fixing part 15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532 And a third fixing part 1533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part 1532 and located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1535. When the first fixing part 15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532 ar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four corner parts are most spaced from the rotation part 1535. The third fixing part 1533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53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532, as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이어버드(155)와 이어버드홀더(165) 및 회전모듈(153)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음향케이블(154)은 회전모듈(153)의 외측에 감기며, 회전모듈(153)의 회전부(1535)에서 풀리는 음향케이블(154)은 팽팽하게 당겨지기 때문에 회전모듈(153)의 접선방향으로 풀려나간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earbud 155, the earbud holder 165 and the rotation module 15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cable 154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rotary module 153 and the acoustic cable 154 unrolled from the rotary part 1535 of the rotary module 153 is pulled out in an unstressed state and thus releas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module 153 Goes.

도 8의 (a)와 같이 이어버드홀더(165)의 케이블홀(166)과 회전모듈(153)의 중심 축이 나란히 배치되도록 회전모듈(153)을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음향케이블(154)이 풀리는 접선 방향과 케이블 가이드(167)에 의해 음향케이블(154)이 케이블홀(166)을 통과하는 방향이 달라 음향케이블(154)이 꺾어져 인출되어 음향케이블(154)이 단선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The rotation module 153 can be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axis of the rotation module 153 is aligned with the cable hole 166 of the earbud holder 165 as shown in FIG. 8 (a). However,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oustic cable 154 passes through the cable hole 166 is different by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154 and the cable guide 167, and the acoustic cable 154 is bent and pulled out, A defect may occur that the wiring 154 is disconnected.

도 8의 (b)와 같이 접선방향이 케이블홀(166)과 나란히 배치되도록 음향케이블(154)을 배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음향케이블(154)이 제3 고정부(1533)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coustic cable 154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tangential direction thereof is aligned with the cable hole 166 as shown in FIG. 8B. In this case, however, the problem that the acoustic cable 154 is caught by the third fixing part 1533 Lt; / RTI >

따라서, 도 8의 (c)와 같이 고정부(1530)가 비스듬하게 배치되도록 비틀어서 배치하면, 접선방향으로 풀리는 음향케이블(154)의 방향과 음향홀을 통과하는 음향케이블(154)의 방향이 일치하고 음향케이블(154)이 제3 고정부(1533)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8C,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154 to be unwoun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154 passing through the acoustic hole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blem that the acoustic cable 154 is caught in the third fixing part 1533 can be solved.

이어버드(155)가 이어버드홀더(165)에 결합되었는지 여부 혹은 사용자가 이어버드(155)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43)는 이어버드(155)에 위치하는 자석에 의해 변화하는 자성을 감지하는 홀센서나, 이어버드홀더(165)에 이어버드(155)가 수납되면 물리적으로 눌러지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이어버드홀더(165)에 이어버드(155)가 수납되면 사용자가 이어버드(155)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파악하고, 이어버드홀더(165)에 이어버드(155)가 수납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nd a first sensor 143 for sensing whether the earbud 155 is coupled to the earbud holder 165 or whether the user has worn the earbud 155. The first sensor 143 may be a hall sensor for sensing magnetism which is changed by a magnet located in the earbud 155 or a switch for physically pressing the earbud 155 when the earbud 155 is received. It is possible. When the bird 155 is stored in the earbud holder 165,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earbud 155 is not worn. If the bird 155 is not stored in the earbud holder 165, As shown in FIG.

또는, 제1 센서(143)는 이어버드(155)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착용시 온도를 감지하거나,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이어버드(155)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143)는 이어버드(155)가 이어버드홀더(165)에 수납되면 OFF가 되고 이어버드홀더(165)에서 이탈되면 ON이 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first sensor 143 may be located in the ear bud 155 to sense the temperature when the user wears it, or to sense the pressure to be pressed,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the earbud 155. The first sensor 143 is turned off when the earbud 155 is received in the earbud holder 165 and turned on when the earbud 155 is separated from the earbud holder 165 and vice versa.

제1 센서(143)가 ON이 되면 이어버드(155)를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어버드(155)를 통해 소리를 재생하고, 제1 센서(143)가 OFF되면 이어버드(155)를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제1 센서(143)의 ON/OFF상태에 따라 영상출력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재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worn the earbud 155 and the sound is reproduced through the earbud 155.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turned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it, and the sound can be outputted through a separate speaker. If the speaker is not provid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image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151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sensor 143.

또한, 사용자의 얼굴이 닿는 메인바디(160)의 배면에 제2 센서(14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센서(144)의 대표적인 예로 근접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14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60 where the face of the user touch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proximity sensor.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제2 센서(144)는 ON이 되고 착용하지 않은 경우 OFF가 되며, 제1 센서(143)와 제2 센서(144)의 조합으로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143)가 ON이면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상태이고 제2 센서(144)가 ON이 되면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는 상태이므로 영상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가 OFF가 되면 영상을 볼 수 없거나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 wears the second sensor 144, the second sensor 144 is turned ON. When the user does not wear the second sensor 144, the second sensor 144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worn in a state where it can be worn. That is,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ON, the user can hear the sound, and when the second sensor 144 is ON, the user can view the image, so that the user can provide images and sound. However, when one of them is turned OFF, it is impossible to see the video or listen to the sound, so that the playback of the content can be stopped.

도 9는 제1 센서(143)와 제2 센서(144)의 ON/OFF여부에 따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센서와 제2 센서의 ON/OFF에 따라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센서(143)가 ON이고 제2 센서(144)가 ON이면 재생중인 영상은 계속 재생하고 영상이 재생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센서(143)와 제2 센서(144)가 모두 ON이 되면 영상 재생을 시작한다. 9 is a tab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ensor 143 and the second sensor 144 are turned on or off, And a screen displayed on the video output unit according to ON / OFF of the second sensor.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ON and the second sensor 144 is ON, the first image sensor 143 and the second sensor 144 are both turned ON while the image being reproduced is continuously reproduced and the image is not being reproduced The video playback starts.

제1 센서(143)는 ON이고 제2 센서(144)가 OFF인 경우, 즉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하지 않고, 이어버드(155)가 이어버드홀더(165)에 수납되지 않은 경우로서, 영상재생이 중단되고, 이어버드(155)를 이어버드홀더(165)에 수납할 것을 알리는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이나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f the first sensor 143 is ON and the second sensor 144 is OFF, ie, the user does not wear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and the earbud 155 is not stored in the ear bud holder 165 A notification may be output informing that the image playback is interrupted and the earbud 155 is stored in the ear bud holder 165. [ The notification may be a method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or a guidance voice through a speaker.

다음으로 제1 센서(143)가 OFF이고 제2 센서(144)가 ON인 경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했으나 이어버드(155)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영상재생을 중단하고 이어버드(155)의 위치를 안내하는 알림을 출력한다. 스피커를 통한 알림음이나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이므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버드(155)를 착용하도록 이어버드홀더(165)의 위치를 안내하는 영상 또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OFF and the second sensor 144 is ON, since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s worn on the head but the earbud 155 is not worn, And outputs a notification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ear bud 155. 10A, since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s worn by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use the earbud 155 to wear the earbud 155, And may output at least one of an image or a message guiding the position of the holder 165. [

제1 센서(143)가 OFF이고 제2 센서(144)가 ON인 경우 영상이 아직 재생되지 않는 상태이면 도 10의 (b)와 같이 이어버드(155) 위치를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first sensor 143 is OFF and the second sensor 144 is ON, if the image is not yet reproduced, a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earbud 155 as shown in FIG. 10B .

제1 센서(143)가 OFF이고 제2 센서(144)가 OFF인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재생을 중단하고 전원을 끌 수 있다. If the first sensor 143 is OFF and the second sensor 144 is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use any more, so that the image reproduction can be stopped and the power can be turned off.

스피커를 구비한 경우, 제1 센서(143)가 OFF되면 영상의 재생을 중단하는 대신에 이어버드(155)에서 출력하던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스피커로 음향 출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알림창이 영상출력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sensor 143 is turned off,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bud 155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instead of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At this time, a notification window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output sound to the speaker can be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151. [

이와 같이, 제1 센서(143)와 제2 센서(144)의 ON/OFF를 기초로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이를 기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출력부(151)와 음향출력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wears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in a usable state based on ON / OFF of the first sensor 143 and the second sensor 144, The image output unit 151 and the sound output unit 152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메인바디(160) 및 상기 메인바디(160)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170)를 도시한다. 도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밴드부(170)는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로 이루어지며,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는 일단이 메인바디(160)의 좌우에 각각 결합한다.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타단을 결합하면 메인바디(160)와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가 폐곡선을 이루며, 메인바디(160)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다. 1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wearing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a main body 160 and a band part 170 for fixing the main body 160 to the head are shown. do. 11 (a), the band portion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nd 171 and a second band 172, and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And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60, respectively. When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in body 160,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form a closed curve, Can be fixed on the face.

종래에는 메인바디(160)의 무게가 무거워 이를 지지하기 위해 일체형의 밴드부(170)를 이용하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착용이 어렵고, 밴드부(170)의 길이를 조정하는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된 부분이 머리를 눌러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메인바디(160)의 무게를 줄이고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양 단부를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Conventionall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60 is so heavy that it is difficult to wear the head mount display by using the integral band portion 170 to support it, and the portion of the band portion 170, which adjusts the length of the band portion 17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fit is lowered.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hod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60 and fastening both ends of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메인바디(160)의 하우징을 플라스틱보다 가벼운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모양으로 만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바디(160)가 가볍기 때문에 밴드부(170)를 착용시 양손으로 밴드부(170)만 잡고 착용하더라도 안정감이 있으며,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를 체결하는 체결부가 받는 힘이 작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다. A material of the main body 160 that is lighter than plastic can be used as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160.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made of a synthetic resin bonded with an adhesive and made into a felt can be used. Since the main body 160 is lightweight, it is safe to hold only the band portion 170 with both hands when wearing the band portion 170. The force received by the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It can be stably fixed to the user's head without being separated small.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자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자석끼리 체결되어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를 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자석이 체결력을 가지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은 착용상태에서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당김에 의해 모두 힘의 방향이 두상의 중심으로 향한다. 각 자석의 힘이 서로 아치형으로 밀어 주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안정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may have a plurality of magnets at their ends and the magnets of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band 172 can be fixed. Each magnet has a fastening force, and as shown in Fig. 11 (b), each magnet is pulled by the pull of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in the wearing state, . Since the forces of the magnets push each other in an arcuate shape, stable engagement can be maintained even with a small force.

제1 밴드(171)에 위치하는 제1 자석(173)과 제2 밴드(172)에 위치하는 제2 자석(174)은 동일한 개수가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일측이 더 많고 다른 한쪽이 더 적은 숫자의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사람 마다 머리 사이즈가 달라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여분으로 추가적으로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173 located in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magnet 174 located in the second band 172 may b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 magnet may be provided. This can be supplemented with an extra magnet so that each person can have different hair sizes and control them.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밴드(171)의 자석의 개수가 더 많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밴드(172)의 제2 자석(174)이 배치되는 부분은 제1 밴드(171)에 제1 자석(173)이 배치되는 부분에 비해 짧다. 제2 밴드(172)에 제2 자석(174)이 배치되는 부분의 길이(b)는 메인바디(160)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지지하기 위한 자석의 개수 이고, 제1 밴드(171)에 제1 자석(173)이 배치된 부분의 길이(a)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더 제1 자석(173)을 배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magnets of the first band 171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magnets. The portion of the second band 172 where the second magnet 174 is disposed is shorter than the portion of the first band 171 where the first magnet 173 is disposed. The length b of th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174 is disposed in the second band 172 is the number of magnets for supporting the force required to support the main body 160, The length a of the portion in which the first magnet 173 is disposed may further be further arranged so that the first magnet 17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ad.

도 12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밴드(171)에 위치하는 제1 자석(173)과 제2 밴드(172)에 위치하는 제2 자석(174)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은 모두 같은 극끼리 밀어내고 다른 극끼리 잡아당기는 제1극과 제2 극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은 하나의 극이 밴드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한 극은 밴드와 닿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12 and 13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first magnet 173 located in the first band 171 and a second magnet 174 located in the second band 17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hav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which push out the same poles and pull out the other poles, and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have one The other pole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touch the band.

도 12의 (a)와 같이 제1 자석(173)의 제1 극(도면상 S극)이 제1 밴드(171)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 자석(174)의 제2극(도면상 N극)이 제2 밴드(172)와 접하지 않도록 제2 밴드(172)에 배치하는 경우,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은 밴드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결합된다. 12A, the first pole (S pol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magnet 173 is arranged so as not to contact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pole 173 of the second magnet 174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are overlapped and joi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nd when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are disposed on the second band 172 so as not to contact the second band 172. [

도 12의 (b)와 같이 제1 자석(173)의 제1 극(도면상 S극)이 제1 밴드(171)와 접하지 않고, 제2 자석(174)의 제1 극(도면상 S극)이 제2 밴드(172)와 접하지 않는 경우,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은 도 12의 (a)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중첩하면 서로 밀어내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체결할 수 있다. The S pole of the first magnet 173 does not contact the first band 171 and the first pole of the second magnet 174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are not pushed together when they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a). Therefore,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stened.

메인바디(160)의 무게 때문에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상기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은 후크와 같이 체결될 수 있어, 자성에 의한 체결력 이외에 추가적으로 후크방식으로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are urged in opposite directions due to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60,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are fastened together like a hook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다음으로, 도 13의 실시예는 제1 자석(173)과 제2 자석(174)의 배치 방향이 상이하다. 제2 자석(174)은 전술한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극만 제2 밴드(172)와 결합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제1 자석(173)은 제2 자석(174)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제1 극과 제2 극이 밴드의 단부와 메인바디(160)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Next, 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first magnet 173 and the second magnet 174 are different. The second magnet 174 may be arranged to engage with the second band 172 such that only one pol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gnet 17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magnet 174 So that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directed to the end of the band and the main body 160.

이 경우 도 13의 (a)와 같이 제1 자석(173)의 제2 극(도면상 N극)이 제2 자석(174)의 제1 극(도면상 S극)의 측면에서 체결되며, 전술한 도 12의(b)의 실시예와 같이 후크 방식으로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pole (N pol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magnet 173 is engaged at the side of the first pole (S pole in the drawing) of the second magnet 174 as shown in FIG. 13A, The fastening force can be reinforced by a hook method like the embodiment of Fig. 12 (b).

도 13의 (b)는 도 13의 (a) 실시예의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밴드(171)와 제2 밴드(172)를 분리하기 위해 제2 밴드(172)의 단부를 당기면 제2 자석(174)이 제1 자석(17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제1 자석(173)의 제2 극과 제2 자석(174)의 제2 극이 서로 척력을 일으켜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FIG. 13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parating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of the embodiment of FIG. 13A. When the end of the second band 172 is pulled to separate the first band 171 and the second band 172, the second magnet 174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magnet 173, 173 and the second pole of the second magnet 174 generate repulsive force with each other,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향출력부(152)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부(152)를 구비하더라도 사이즈 및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하여 착용시 코나 광대를 압박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d mount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ortability by integrally providing the sound output unit 152. In addition, even if the sound output unit 152 is provided, the increase in size and weight can be minimized, and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the nose or clown when worn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음향출력부(152)가 메인바디(160)에 수납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출력부(152)의 착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다.The head mount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 user wears the sound output unit 152 according to whether the sound output unit 152 is housed in the main body 160,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o improve convenience of use.

또한, 사용자의 두상 크기나 형상에 따라 헤드밴드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켜 외부 빛이 새어 들어와 영상의 감상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또한, 사용자의 두상 크기나 형상에 따라 헤드밴드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켜 외부 빛이 새어 들어와 영상의 감상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eadb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user's hea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light from leaking into the user's face and disturbing the appreciation of the image. Accordingly, the size of the headband can be adjusted, and the external l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inder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external light leaking from the user's face, thereby improving usability.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33: 데이터케이블
135: 무선통신부 139: 전원 공급부
140: 센싱부 143: 제1 센서
144: 제2 센서 150: 출력부
151: 영상출력부 154: 음향케이블
155: 이어버드 160: 메인바디
165: 이어버드홀더 166: 케이블홀
167: 케이블 가이드 170: 밴드부
171: 제1 밴드 172: 제2 밴드
173: 제1 자석 174: 제2 자석
100: Head-mounted display device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control unit 133: data cable
135: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9: power supply unit
140: sensing part 143: first sensor
144: second sensor 150: output section
151: Video output unit 154: Audio cable
155: Earbud 160: Main body
165: Ear bud holder 166: Cable hole
167: cable guide 170: band portion
171: first band 172: second band
173: first magnet 174: second magnet

Claims (19)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하는 밴드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메인바디에서 부분적으로 인입되며 측면과 하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이어버드홀더;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안착되며 이이버드;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상기 이어버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a back surface;
A band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main body to a user's head;
An image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providing an image to the user;
An earbud holder partially received at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e earbud being seated in the earbud holde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earbu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상기 이어버드가 수납되면 OFF상태로 변화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가 상기 이어버드에서 분리되면 ON상태로 변화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상기 이어버드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or that changes to an OFF state when the earbud is received in the earbud holder and changes to an ON state when the earbud holder is separated from the earbud,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sound through the earbud when the first sensor is in an ON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 실장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FF상태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peaker mount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ler outputs sound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first sensor is in the OFF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가 배면에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ON상태로 변화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FF상태이고, 상기 제2 센서가 ON상태이면 상기 영상출력부에 상기 이어버드의 수납위치를 안내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sens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main body is worn by the user on the back surfa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n image guid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earbud when the first sensor is in an OFF state and the second sensor is in an ON st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가 되면,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n image when the first sensor is turned 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영상을 출력 중에 상기 제1 센서가 ON상태에서 OFF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first sensor is turn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while an image is being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image provided by the video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에 제공되는 영상이 종료되면 상기 이어버드를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수납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image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unit is completed, the earbud holder informs the user that the earbud should be stored in the earbud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홀더는
상기 이어버드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면은 하단으로 갈수록 배면 방향으로 치우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bud holder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positio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earbud is inclined at an angle to the backward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이어버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형성된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회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coustic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arbud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a cable hole formed in the earbud holder; And
And a rotation modul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wound with the acoustic c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음향케이블이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홀과 상기 회전부의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otation module
A cylindrical rotating part i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or un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the fixing part including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part,
Wherein the cable hol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part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음향케이블의 방향과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케이블홀까지 연장된 음향케이블의 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extending through the cable hole is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acoustic cable extending from the rotary part to the cable h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의 측면 둘레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케이블홀 사이가 이루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ed portion
A first fixing part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rotary part;
A second fixing part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ry part; And
And a plurality of third fixing parts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rotary part
And the third fixing part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rotation part and the cabl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과 하면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 한 쌍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는 상기 한 쌍의 개구부를 커버하며 삽입되고,
상기 이어버드홀더에 형성된 데이터홀; 및
상기 데이터홀을 관통하여 외부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openings formed at corners betwee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earbud holder is inserted to cover the pair of openings,
A data hole formed in the earbud holder; And
And a data cabl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data hole.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단부가 서로 체결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a back surface;
A first band and a second band which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end portions of the user's head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 image output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providing an image to the us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output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의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2 밴드부는 제1 자석의 제1 극과 상기 제2 자석의 제2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체결하고,
상기 메인바디,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가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second band,
Wherein the first band portion and the second band portion are disposed such that a first pole of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pole of the second magnet face each other,
Wherein the main body,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form a closed curv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가 중첩 시 상기 제1 자석의 측면은 상기 제2 자석의 측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agnet is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magnet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overlap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극이 상기 제1 밴드의 단부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극이 상기 제2 밴드와 마주보지 않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so that the first pole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so that the second pole does not face the second ban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에 상기 제1 자석이 배치된 제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밴드에 상기 제2 자석이 배치된 제2 영역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n which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in the first band is
And the second band is longer than the second reg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양 단부는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얼굴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디는 배면의 상부는 제1 곡률을 가지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메인바디의 배면의 하부는 상기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의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both ends of the main body protrude in a backward direction and include light shielding parts loca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of the user,
The main body has a curved line having a first curvature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forms a curve of a second curvature larger than the first curvature.
KR1020170150640A 2016-12-09 2017-11-13 Head mount display deevice KR201800668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35,243 US10459236B2 (en) 2016-12-09 2017-12-07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earbud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1827P 2016-12-09 2016-12-09
US62/431,827 2016-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827A true KR20180066827A (en) 2018-06-19

Family

ID=6279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40A KR20180066827A (en) 2016-12-09 2017-11-13 Head mount display de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82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03A1 (en) * 2018-08-20 2020-02-27 주식회사 테그웨이 Feedback device and thermal feedback providing method using same
WO2020179940A1 (en) * 2019-03-04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vr, ar, and mr
WO2024032808A1 (en) * 2022-08-12 2024-02-1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Head-mounted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03A1 (en) * 2018-08-20 2020-02-27 주식회사 테그웨이 Feedback device and thermal feedback providing method using same
WO2020179940A1 (en) * 2019-03-04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vr, ar, and mr
WO2024032808A1 (en) * 2022-08-12 2024-02-1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Head-mounte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9236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earbud holder
KR102102643B1 (en) Glass Type Terminal
KR20190018518A (en) Wearable device
US10215990B2 (en) Wearable device
US8862186B2 (en) Lapel microphone micro-display system incorporating mobile information access system
EP3029551A1 (en)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s of virtual reality system
CN106936953B (en) Mobile terminal
KR20160044272A (en) Method and appratus for processing screen using device
KR20150010087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CN109688461B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CN106067833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7390B1 (en)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12898A (en) Wareable device
US10497171B2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070874A (en) Grass typ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66827A (en) Head mount display deevice
KR20150131577A (en) Glass Type Terminal
KR20160004129A (en) Glass type terminal
KR20150062500A (en) Mobile terminal, waterprotect case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60049687A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1224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140134A (en) Portable terminal
KR2017007398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163806A1 (en) Eyeglass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of use
KR2015014005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