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59U -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 Google Patents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59U
KR20180001459U KR2020160006508U KR20160006508U KR20180001459U KR 20180001459 U KR20180001459 U KR 20180001459U KR 2020160006508 U KR2020160006508 U KR 2020160006508U KR 20160006508 U KR20160006508 U KR 20160006508U KR 20180001459 U KR20180001459 U KR 201800014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sliding
cover
cas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홍만
Original Assignee
허홍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홍만 filed Critical 허홍만
Priority to KR2020160006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459U/en
Publication of KR20180001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5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내면에 스마트폰이 끼워지고 외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제1슬라이딩체결부를 갖는 제1케이스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진 범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 사이에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인출입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is provided. The smartphone bumper case includes a first case cover having a smartphone on its inner surface and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a card on its outer surface and having a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n its outer surface, A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 are fasten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The first case cover (100) has a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11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first sliding cover And the second sliding cover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110,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can take out or store the card between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when the first case cover 1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So that the drawn-out insertion portion 300 is formed.

Description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

본 고안은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의 제1케이스커버와 경질의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제2케이스커버를 호형으로 구비하고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카드를 쉽게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 soft case cover and a rigid second case c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for allowing a card to be easily drawn out or drawn through a space formed by moving the case cover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case cover.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폰, PDA, 게임기, MP3 플레이어, PMP, 소형 넷북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주로 액정패널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에 잡힐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되고 있으며, 통신, 인터넷, 동영상감상과 같이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덴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이 각광 받고 있는 추세이며, 스마트폰의 기능이 더해짐에 따라 스마트폰 가격 역시 고가인 실정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game machine, an MP3 player, a PMP, and a small netbook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technology. Such a portable terminal has a display unit formed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smart phones that are capable of enjoying various contents using a single terminal such as communication, internet, and movie viewing are getting popular, and as the function of the smart phone is added Smartphone prices are also expensive.

이와 같이 고가인 스마트폰은 충격에 민감하여 사용자가 자칫 부주의로 땅에 떨어드릴 경우에는 치명적인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Such expensive smart phones are susceptible to shocks, so that if a user accidentally drops to the ground, a fatal malfunction or damage occurs. In particular, a display screen of a smart phone is easily broken.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떨어질 경우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한 케이스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 시장 역시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variety of cases have been introduced to minimize the impact of a fall of a smartphone, and the market for such a smartphone case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는,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은 물론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경질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통상의 케이스에서부터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케이스(일명 젤리케이스 또는 실리콘케이스)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Such a smartphone case performs both a function of protecting against external impacts, a function of preventing scratches and an improvement of appearance, and is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silicone, (Aka jelly case or silicon case).

이 중, 경질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에는 완충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그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질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케이스의 경우에는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uffering effect is deteriorated as well as the grip feeling is lowered. In the case of the case made of the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case is easily torn.

이에 따라, 근자들어서는 연질성이 갖는 충격흡수작용과 경질성이 갖는 찢어짐 방지성을 결합한 범퍼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As a result, there is a tendency that a bumper case combining a shock absorbing action with softness and a tear-resistant property with hardness is recently released.

이러한 범퍼케이스는, 연질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1케이스커버와 이 제1케이스커버를 보호하고 제1케이스커버를 포설하는 제2케이스커버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떨어짐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제1케이스커버가 흡수하고 제1케이스커버의 찢어짐을 제2케이스커버로 방지하고 있다.The bumper case includes a first case cover made of a soft material and a second case cover that protects the first case cover and projects the first case cover. The first case cover absorbs and the tear of the first case cover is prevented by the second case cover.

한편, 근자들어서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신용카드나 교통카드와 같은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tore cards such as credit cards and transportation cards in smartphone cases.

일예로, 공개특허 10-2014-0045617호인 탄성밴드를 부착한 스마트폰용 범퍼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따라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테두리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씌워지되, 스마트폰 전면과 배면의 외주면 둘레가 일부 포함되어 감싸지도록 전면과 배면의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ㄷ형 단면구조 프레임의 범퍼 케이스가 제공되고 케이스 후면에 탄성재질의 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or example, a bumper case for a smartphone with an elastic band,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45617, has been developed. The case is integrally molded alo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martphone, There is provided a bumper case of a frame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a band of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탄성재질의 밴드를 이용하여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스마트폰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although a card is stored using an elastic material b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ase must be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in order to store the card.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340346호인 교통 카드 수납용 휴대폰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교통 카드 또는 신용 카드를 포함하는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교통 카드 수납용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임의의 휴대폰의 일면을 보호하고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을 감싸 결합하는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면의 일부 함몰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수납부 내에 수납되는 상기 카드를 고정하는 카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수납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 내면의 일부 함몰된 영역의 두께는, 상기 카드의 두께와 상기 카드 고정부의 두께의 합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Another example is a mobile phone case for housing a transportation card, which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Korean Patent No. 10-1340346, which is a mobile phone case for storing a transportation card, inclu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ard including a transportation card or a credit card, A card housing part formed in a partially recessed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the card therein, and a card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a thickness of a partially recessed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card retention part is formed corresponds to a sum of a thickness of the card and a thickness of the card fixing part .

이러한 종래 기술은 카드를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카드를 수납하거나 수납된 카드를 빼내고자 할 경우 스마트폰과 케이스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allows the card to be housed inside the case.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smartphone and the case in order to store the card or retrieve the stored card.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45617호(2014.04.17.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5617 (published April 17, 2014)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40346호(2013.12.05.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0346 (Registered on December 05, 2013)

본 고안은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진 범퍼케이스의 제2케이스커버를 호형으로 굴곡지게 구비하여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의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에 의해 제1케이스커버와 외부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스와 스마트폰을 분리하지 않고 형성된 공간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카드를 수납하거나 수납된 카드를 빼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케이스커버 및 제2케이스커버와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수납부와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수납된 카드가 빠지거나 또는 카드수납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호형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bumper case includes a first case cover and a second case cover. The second case cover includes a second case cover bent in an arc shape so that the second case cover slides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case cover.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outer cover so that the card can be easily and simply removed through a space formed without separating the case from the smart phone or the card can be taken out. And a card cover which accommodates the card, and a smart cover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for preventing a gap from being generated and preventing a stored card from being taken out or foreign matter being infiltrated into the card receiving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호형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는, 내면에 스마트폰이 끼워지고 외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제1슬라이딩체결부를 갖는 제1케이스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진 범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제2슬라이딩체결부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 사이에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인출입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comprising: a smartphone having an inner surface;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 car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 are fastened, And a second case cover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wherein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ase cover,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ase cover,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is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When the car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se cover and the second case cover, a draw-out mouth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ase cover and the second case cover.

나아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에 구비되는 제1슬라이딩체결부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에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Further,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case cover may be formed as one of a projection or a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case cover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Or a groove or a groove.

나아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은 상기 제2케이스커버에 대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내면은 상기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출입공간부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의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의 내면이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에 대해 벌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Fur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may be flat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cover may have an arcuat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When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cover made of arc- And is formed to be formed by open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나아가,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가 각각 상면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호형돌출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호형돌출부는,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arc-shape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arc-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A protruding wall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respectively; And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wall and having an inclinatio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ase cover formed of the arcuate surface.

나아가, 상기 카드를 수납하는 수납부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1수납공간부와 상기 제1수납공간부의 외부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1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를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수납공간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와 상기 제2수납공간부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2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를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2수납부로 이루어진다.Further, the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card may include a first storage spac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and a first open por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portion, A first housing part which is exposed when the housing cover is sli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cover; A second storage space par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the second storage space part being locat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part, and a second opening part on a sid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is exposed when the first housing cover is slid in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cover.

나아가,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에는 스토퍼홈 또는 스토퍼돌기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의 스토퍼홈 또는 스토퍼돌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스토퍼돌기 또는 스토퍼홈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f a stopper groove or a stopper projection,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projection or a stopper proj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topper groove or the stopper projection of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Grooves are formed.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홈과; 상기 슬라이딩레일홈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돌부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에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홈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돌부와; 상기 슬라이딩레일돌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가 끼워지는 슬라이딩가이드홈부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홈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걸어지는 걸림홈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includes a sliding rail groove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 sliding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rail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fastener includes a sliding rail protrusion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an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groove; A sliding guide groove portion provided on the sliding rail projecting portion to receive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And a latching groove formed in the sliding guide groove to hook the latching protrusion.

본 고안은 제2케이스커버를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케이스커버에 구비되는 카드수납부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드수납 및 수납된 카드의 인출이 가능하고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었을 때 제2케이스커버와 제1케이스커버 사이에 벌어지는 인출입공간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인출입공간부에 의해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카드의 수납 또는 수납된 카드의 인출작업이 용이하여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호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케이스커버를 제1케이스커버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제1케이스커버를 벗어나는 제2케이스커버의 단부가 제1케이스커버를 덮을 수 있어 케이스 측면에 대한 폭이 얇아짐에 따른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케이스커버 및 제2케이스커버와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수납부와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수납된 카드가 빠지거나 또는 카드수납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card compartment provided in the first case cover by sliding the second case cover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so that the card can be stored and the stored card can be taken out And when the second case cover is sli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the draw-out mouth space opened between the second case cover and the first case cover is naturally formed, so that the cover is separated It is possible to greatly enhance convenience because the card can be stored or taken out of the card, and the second case cover is arc-shap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Or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which is out of the first case cover when the second case cover is slid to the right The gap between the first case cover and the second case cover and the card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ard is accommodat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d from being pulled out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infiltrated into the card receiving portion.

도 1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제2케이스커버가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제2슬라이딩체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case cover of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the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case cover of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the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FIG. 6 is a parti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the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Figs.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는, 내면에 스마트폰이 끼워지고 외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제1슬라이딩체결부를 갖는 제1케이스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진 범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호형을 따라 이동될 때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 사이에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인출입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the arc-shaped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cover having a smartphon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a car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liding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The first sliding cover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sliding cover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110, When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are moved along the arc shap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110 of the case cover 100, The outflow inlet portion 300 can be formed.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충격을 흡수하는 연질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연질성을 갖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틀어짐을 보호하기 위한 경질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se cover 100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that absorbs impacts, and is not limited.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hardness for pro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100.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가로방향 즉, 제1케이스커버(10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납부(400)가 개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개방되는 수납부(400)에 카드를 수납하거나 수납된 카드를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를 수납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제1케이스커버와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지는 범퍼케이스의 커버를 서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i.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cover of the bumper case made up of the first case cover and the second case cover for storing or withdrawing the card can be attached to the cov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and usability and convenience are greatly improved.

또한, 수납부(400)에 카드를 수납하거나 수납된 카드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입공간부(300)에 의해 보다 쉽고 간단하게 카드를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인출입공간부(30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호형을 따라 이동될 때 자연스럽게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 사이에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oring a card in the storage unit 400 or taking out a card stored therein, the card can be stored and taken out more easily and easily by the withdrawal slot unit 300,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along the arc shap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구비되는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may be a protrusion or a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may be formed of a non- And may be a protrusion or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또한,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와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각각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에 대해 균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의 가로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equal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may extend along the lateral length of th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와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서로에 대해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측으로 눌러주면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바, 이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재질이 연질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하다.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are fitted to each other in a forced fit manner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is fitted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pushed toward the first case cover 10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se cover 100 so that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correspondingly positioned, The sliding coupling part 210 is fitted in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because the first case cover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softness.

본 고안의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은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대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은 상기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출입공간부(30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이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대해 벌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n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200, Wherein the second sliding engagement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engaged with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2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having the arcuate surface is moved toward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having the flat surface when the first case cover 1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1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이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호형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과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이 벌어지는 공간 즉 인출입공간부(300)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출입공간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하여 수납부(400)에 수납된 카드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is flat and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formed as an arcuat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c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by locating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outgoing /

즉,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케이스커버(200)는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호형지게 이동되고 이와 같이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호형지게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 사이에 벌어지는 각도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 사이의 벌어짐 각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인출입공간부(3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 사이의 벌어짐 각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인출입공간부(30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하여 수납부(400)에 수납된 카드를 잡을 수 있어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쉽고 용이하게 수납부(400)에 수납된 카드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arcuat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s a result, an angle between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moving the second case cover 200 against the first case cover 100, Since the outgoing inlet / outlet section 300 is formed naturally by the angle of opening between the cas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gap between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user's finger can be placed on the outgoing inlet / outlet portion 300 which is formed naturally by the angle so that the card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400 can be held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can be separated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remove the c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There.

본 고안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을 호형지게 구비하여도 관계치 않는다.10,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rcuate shape.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가 각각 상면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호형돌출부(1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호형돌출부(130)는,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돌출벽(131)과, 상기 돌출벽(13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의 경사각도(a)와 동일한 경사각도(a')를 갖는 경사면(13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Shaped protrusions 130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arc-shaped protrusion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s 110, The first case cover 130 includes a protruding wall 131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wall 131, And an inclined surface 132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

이와 같이 호형돌출부(130)를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 상부와 하부에 각각 더 돌출되게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호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와 하부측이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Shaped projections 130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so that the second slides 13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Not only can the fastening part 210 slide in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art 110 but also the second case cover 200 can slide in the left or right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can be prevented from lifting.

즉, 외면(120)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에 제2케이스커버(200)를 끼움 결합하면 외면(120)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와 내면(220)이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들뜸 현상 다시 말해, 공간이 발생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 사이로 유입되는 바, 본 고안과 같이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슬라이딩체결부(110)가 위치되도록 호형돌출부(13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호형돌출부(130)가 차단할 수 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fitted to the first case cover 100 having the outer surface 120 in a plane,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inner surface 220, A space is gener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composed of arc-shaped surfaces, and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is generated through the space generated by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Shaped protrusion 130 so that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haped protrusions 130 can block the spac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so that dust and foreign matter can flow through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또한,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이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대해 호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제1케이스커버(100)를 벗어나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단부가 제1케이스커버(100)를 덮을 수 있어 케이스 측면에 대한 폭이 얇아짐에 따른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arc-shap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which is moved out of the first case cover 100 when the first case cover 100 is sli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can cover the first case cover 100. As a result,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상기 카드를 수납하는 수납부(40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구비되는 제1수납공간부(411)와 상기 제1수납공간부(411)의 외부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1개방부(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1수납부(410)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구비되되 상기 제1수납공간부(411)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421)와 상기 제2수납공간부(421)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2개방부(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촤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2수납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400 for storing th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a second storage space part 411 provided on the second storage space part 411 A first housing part 410 which is exposed when the second housing cover 200 is sli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cover 100 and a first opening part 41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cover 100, , A second storage space part (42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positio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42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cover 200 to cover the second case cover 421 and exposed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first case cover 100 420).

이와 같이 수납부(400)가 제1수납부(410)와 제2수납부(420)로 이루어지고 제1수납부(410)와 제2수납부(420)가 하나의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2장의 카드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first housing part 4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420 are formed by the first housing cover 4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420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part 400 includes the first housing part 4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420, The two cards can be stored at the same time, and the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 제1개방부(412)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제2개방부(422)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개방부(412) 또는 제2개방부(422)가 노출될 때 제2케이스커버(200)와 제1케이스커버(100) 사이에 인출입공간부(300)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부(400)의 제1수납부(410) 또는 제2수납부(420)에 수납된 카드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opening 412 is exposed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opening 422 is exposed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opened When the first cover 412 or the second cover 422 is exposed, when the case cover 200 is sli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100, Since the outflow perforation portion 300 is formed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first case cover 100 naturally, the card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portion 410 or the second storage portion 420 of the storage portion 400 Can be easily carried out.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는 스토퍼홈(111) 또는 스토퍼돌기(112)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210)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의 스토퍼홈(111) 또는 스토퍼돌기(112)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스토퍼돌기(211) 또는 스토퍼홈(212)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서로에 대응되는 스토퍼홈(111)(212) 또는 스토퍼돌기(112)(21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 및 제2슬라이딩체결부(210)에 각각 더 구비됨에 따라 수납부(400)의 제1수납부(410) 또는 제2수납부(42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간섭할 수 있어 제2케이스커버(200)가 제1케이스커버(100)로부터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groove 111 or a stopper projection 112.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groove 111 or a stopper protrusion 112, The stopper protrusion 211 or the stopper groove 212 corresponding to either the groove 111 or the stopper protrusion 112 may be further provided. Since any one of the stopper protrusions 212 or the stopper protrusions 112 and 211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ortion 210,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to open the second case cover 410 or the second case 420, Can be interfered with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case cover 200 from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irst case cover 100 by the sliding movement.

이와 같이 카드수납부(400)가 제1수납공간(411)과 제2수납공간(421)으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개의 카드를 카드수납부(400)에 수납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Since the card storage unit 400 is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41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421, a plurality of cards can be stored in the card storage unit 40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이 때, 상기 제1수납공간(411)의 하부측에 제2수납공간(4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수납공간(411)에 수납되는 카드와 제2수납공간(421)에 수납되는 카드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torage space 42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411, the car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411 and the storage space 421 in the second storage space 421 Can be prevented from overlapping each other.

또한, 제1수납공간(411)을 덮는 제1수납부(410)와 제2수납공간(421)을 덮는 제2수납부(56)에 각각 제1개방부(412)와 제2개방부(42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1수납공간(411)과 제2수납공간(421)에 각각 구비된 카드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0 coveri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4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56 covering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421 are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portion 412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The card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4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421 can be easily taken out.

물론, 상기 제1수납공간(411)의 상부를 개방하여도 관계치 않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1수납공간(411)에 카드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로 제1수납공간(411)을 덮어줄 수 있기 때문에 제1수납공간(411)의 상부를 개방하더라도 제1수납공간(411)에 수납되는 카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housing space 411 is provided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411 and the first housing space 41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411 from being taken out even i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space 411 is opened because the space 411 can be covered.

본 고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120a)에 밀착되고 제1고정부(510)가 구비되는 제3케이스커버(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120a)에는 상기 제1고정부(5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5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3케이스커버(500)에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수납부(4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5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case cover 500 closely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having a first fixing part 510 as shown in FIG. The second case cov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520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510 on an inn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a receiving space part 530 in which the receiving part 400 of the cover 200 is accommodated.

이 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 및 제2케이스커버(200)의 재질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케이스커버(500)의 재질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and the third case cover 50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

이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3케이스커버(50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 및 제2케이스커버(200)의 재질을 경질로 구비할 수 있어 본 고안의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third case cover 500 made of a soft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can be made of a hard material, The dur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ving the sam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고안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홈(113)과, 상기 슬라이딩레일홈(113)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에 돌출되는 걸림돌출부(115)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12,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includes a sliding rail groove 113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and a locking protrusion 115 protruding from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이 때,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홈(113)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돌부(213)와, 상기 슬라이딩레일돌부(213)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가 끼워지는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출부(115)가 걸어지는 걸림홈부(215)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includes a sliding rail protrusion 213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groove 113, A sliding guide groove portion 214 provided in the sliding rail projection portion 213 to receive the sliding guide projection portion 114 and a locking groove portion 215 provided in the sliding guide groove portion 214 to hook the locking projection portion 115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레일홈(113)에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레일돌부(213)가 서로 끼워지게 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 때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가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에 끼워지게 되어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제2케이스커버(200)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rail projections 213 having the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s 210 are fitted to the sliding rail grooves 113 having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s 110, At this time,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is fitted into the sliding guide recess 214,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ably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또한,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제2케이스커버(200)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홈부(215)에 걸림돌출부(115)가 걸어지기 때문에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제2케이스커버(200)의 완전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케이스커버(100)를 제2케이스커버(200)가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의 고정이 가능하다.Since the engaging protrusion 115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15 in the process of sliding the second case cover 20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case cover 200 from completely open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o fix the first case cover 100 in a state that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completely covered.

물론, 상기 걸림돌출부(115)와 걸림홈부(215)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 및 상기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에 각각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115 and the engaging groove 215 may be spac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and the sliding guide slot 214,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케이스커버 110 : 제1슬라이딩체결부
111, 212 : 스토퍼홈 112. 211 : 스토퍼돌기
120 : 제1케이스커버 외면 130 : 호형돌출부
131 : 돌출벽 132 : 경사면
200 : 제2케이스커버 210 : 제2슬라이딩체결부
220 : 제2케이스커버 내면 300 : 인출입공간부
400 : 수납부 410 : 제1수납부
411 : 제1수납공간부 412 : 제1개방부
420 : 제2수납부 421 : 제2수납공간부
422 : 제2개방부 500 : 제3케이스커버
510 : 제1고정부 520 : 제2고정부
530 : 수용공간부
100: first case cover 110: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1, 212: stopper groove 112, 211: stopper projection
120: first case cover outer surface 130: arched protrusion
131: protruding wall 132: inclined surface
200: second case cover 210: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20: second case cover inner surface 300:
400: storage part 410: first storage part
411: first storage space part 412: first opening part
420: second storage part 421: second storage space part
422: second opening part 500: third case cover
510: first fixing part 520: second fixing part
530:

Claims (8)

내면에 스마트폰이 끼워지고 외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제1슬라이딩체결부를 갖는 제1케이스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와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커버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제2케이스커버로 이루어진 범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가로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케이스커버(100)와 제2케이스커버(200) 사이에 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인출입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A first case cover hav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car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case cover, And a second case cover which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which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cover by fastening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fastening portion,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se 110,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100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ase cover 100, respectively,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cover 200,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i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When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100) and the second case cover (200). The smartphone bumper case has an arc-shaped cover (300) that can draw or store a c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구비되는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체결부(2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provided in the first case cover 100 may be formed as one of a projection and a groove,
The second sliding cover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may be a protrusion or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cover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 smart phone bumper case having an arc-shape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은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대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은 상기 제1케이스커버에 대해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출입공간부(300)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제2슬라이딩체결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이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대해 벌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is plan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200,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has an arcuat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The drawing inlet / outlet unit 300,
When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11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formed by being opened to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comprising the pla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가 각각 상면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호형돌출부(1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호형돌출부(130)는,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돌출벽(131)과;
상기 돌출벽(13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220)의 경사각도(a)와 동일한 경사각도(a')를 갖는 경사면(13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Shaped protrusions 13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liding fastening portions 110, respectively,
The arc-shaped protrusions 13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protruding wall 131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of the plane;
And a slope 132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inner surface 22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wall 131 Wherein the bumper case has an arc-shape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를 수납하는 수납부(40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구비되는 제1수납공간부(411)와 상기 제1수납공간부(411)의 외부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1개방부(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1수납부(410)와;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의 외면(120)에 구비되되 상기 제1수납공간부(411)의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421)와 상기 제2수납공간부(421)를 덮어주고 일측에 제2개방부(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를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켰을 때 노출되는 제2수납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portion 400 for storing the card includes:
A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a first opening part 412 provided on one side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A first housing part (410) exposed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 second storage space part 42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20 of the first case cover 100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and a second storage space part 42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part 41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20 which is exposed when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slid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The bumper case of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에는 스토퍼홈(111) 또는 스토퍼돌기(112)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210)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의 스토퍼홈(111) 또는 스토퍼돌기(112)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스토퍼돌기(211) 또는 스토퍼홈(212)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ding coupling portion 110 may further include one of a stopper groove 111 and a stopper projection 112,
The stopper protrusion 211 or the stopper recess 212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topper groove 111 or the stopper protrusion 112 of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Wherein the bumper case has an arc-shaped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120a)에 밀착되고 제1고정부(510)가 구비되는 제3케이스커버(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내면(120a)에는 상기 제1고정부(5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5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3케이스커버(500)에는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의 수납부(4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5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A third case cover 500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having a first fixing part 510 is further provided,
The second case cov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520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510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120a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Wherein the third case cover (500) further comprises a housing space (530) in which the housing part (400) of the second case cover (200) is ho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체결부(110)는,
상기 제1케이스커버(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홈(113)과;
상기 슬라이딩레일홈(113)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에 돌출되는 걸림돌출부(11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슬라이딩체결부(210)은,
상기 제2케이스커버(2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홈(113)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레일돌부(213)과;
상기 슬라이딩레일돌부(213)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돌부(114)가 끼워지는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홈부(214)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출부(115)가 걸어지는 걸림홈부(21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커버를 갖는 스마트폰 범퍼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ding coupling part 11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110,
A sliding rail groove 113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cover 100;
A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rail groove 113;
And a locking protrusion 115 protruding from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114,
The second sliding coupling part 210 includes:
A sliding rail protrusion 213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cover 200 an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groove 113;
A sliding guide groove portion 214 provided on the sliding rail projection portion 213 to receive the sliding guide projection portion 114;
And a latching groove portion (215) provided in the sliding guide groove portion (214) to hook the latching protrusion (115).
KR2020160006508U 2016-11-08 2016-11-08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KR2018000145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08U KR20180001459U (en) 2016-11-08 2016-11-08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08U KR20180001459U (en) 2016-11-08 2016-11-08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59U true KR20180001459U (en) 2018-05-16

Family

ID=6229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08U KR20180001459U (en) 2016-11-08 2016-11-08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45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543B1 (en) * 2021-08-31 2022-03-2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rd storage type portable electronics protective ca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58U (en) * 1996-11-13 1998-08-05 김성윤 Versatile picture frame
KR101340346B1 (en) 2012-07-30 2013-12-11 김영준 Mobile phone case for receiving a traffic card
KR101355772B1 (en)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KR20140045617A (en) 2012-10-07 2014-04-17 김종길 Elastic band attached bumper case for smart phone
KR20150012671A (en) * 2013-07-26 2015-02-04 김진삼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an accommodate cards
KR20150001869U (en) * 2013-11-08 2015-05-18 최상효 Portable terminal case with storage room and mirror
JP2015106754A (en)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シェリー Portable telephone rear cov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858U (en) * 1996-11-13 1998-08-05 김성윤 Versatile picture frame
KR101340346B1 (en) 2012-07-30 2013-12-11 김영준 Mobile phone case for receiving a traffic card
KR20140045617A (en) 2012-10-07 2014-04-17 김종길 Elastic band attached bumper case for smart phone
KR20150012671A (en) * 2013-07-26 2015-02-04 김진삼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an accommodate cards
KR101355772B1 (en)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function
KR20150001869U (en) * 2013-11-08 2015-05-18 최상효 Portable terminal case with storage room and mirror
JP2015106754A (en)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シェリー Portable telephone rear co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543B1 (en) * 2021-08-31 2022-03-2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rd storage type portable electronics protective case
US11949445B2 (en) 2021-08-31 2024-04-02 Spigen Korea Co., Ltd. Protective case having card storag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15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card storage compartment
US9049283B1 (en)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89109Y1 (en) Cell phone case for storing cards
KR101191867B1 (en) Case of mobile phone
KR101141309B1 (en) Receptacl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KR101386340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9053Y1 (en) decorative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200483756Y1 (en) mobile phone case
KR200472435Y1 (en) Mobile Device Case Containing Card With Slide Cover
KR200471599Y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taining card
KR200464242Y1 (en) Case of portable device
KR101325902B1 (en) Case for mobile
KR102531444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card storage and retrieval
KR20180001459U (en) bumper case for smart-phone with arc cover
KR20150000251U (en) Notebook type portable phone case with phone holder with linear motion
KR20180001455U (en) smart-phone case with sliding open and shut type credit card keeping part
KR102056653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card storage and retrieval
KR200479105Y1 (en)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card compartment
KR20200130069A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card storage and retrieval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KR20140037405A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43538B1 (en) Dual cover assembly for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inserting card means
KR101464707B1 (en) Cell Phone case including function to protect front
KR200476433Y1 (en)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locking part storage structure
KR200488623Y1 (en) Card Storage Bumpe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