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340B1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340B1
KR101386340B1 KR1020120140052A KR20120140052A KR101386340B1 KR 101386340 B1 KR101386340 B1 KR 101386340B1 KR 1020120140052 A KR1020120140052 A KR 1020120140052A KR 20120140052 A KR20120140052 A KR 20120140052A KR 101386340 B1 KR101386340 B1 KR 10138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12014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3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fely storing such a card or a business card, enabling easy use or replacement of a card without sepa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case, and enabling to block a card storing part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rt.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ver comprising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detachably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a storing part for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between the opposed surface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frame attach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of the first cover along the edge, and covering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to the inside.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0001]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0002]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an external shock.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단순히 휴대 전자기기를 구매하는 것을 넘어서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스크래치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는 필수품목이 되었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widely spreading. In addition, user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interested not only in purcha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related accessories. In particular, in order to protect expensive electronic devices from external impacts and prevent scratches and breakage, .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는 소위 '범퍼'라 불리우는 상하방이 개구된 프레임 타입과, 프레임 타입의 케이스에 뒷판이 부착된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는 프레임의 상방에서 밀어넣어 케이스에 장착하게 되며, 프레임은 휴대 전자기기가 잘 끼워지도록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mainly composed of a frame type which is called "bumper", in which upper and lower rooms are opened, and a case in which a frame type case and a back plate are attached. In this ca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ushed in from above the frame and mounted on the case, and the frame is made of rubber or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ome extent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fitted well.

그런데, 종래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는 프레임이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가 케이스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더욱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가 바닥을 향하여 떨어진 경우 전면유리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은 부족하였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가 잘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프레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레임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분리하기 어려워 분리하는 과정에서 손톱이 부러지거나 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rame is coup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ase, and more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ces the bottom. There was a lack of functionality to prevent the windshield from breaking when fall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rame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es not easily fall ou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separ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frame, and thus damages such as a broken nail are generat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한편, 최근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 예로, 보호케이스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교통카드나 명함 등과 같은 소형 소지품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보호케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탈 경우 보호케이스를 리더기에 접촉시켜 수납된 교통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고, 미팅시 케이스에 수납된 명함을 바로 꺼내 교환할 수 있는 등 일상 생활에서 여러 가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to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protective case for forming a storage space in a protective case to carry small belongings such as a traffic card or a business card is It is commercially available. According to this, when a user rides a bus or subway in the process of carry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user can contact the protective case with a reader and pay the fee with the stored transportation card, and take out the business card stored in the case immediately during the meeting. It can be exchanged and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in daily life.

그런데, 종래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수납부는 단순히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켓 형태가 있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밴드 형태의 수납부는 케이스의 일면에 밴드를 부착하여 밴드 사이에 카드 등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두께가 얇은 카드 등이 쉽게 빠져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밴드가 노후되어 헐거워질 경우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등, 카드 등을 제대로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simply made in the form of a band or has a pocket form, thes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of all, the band-shaped housing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so that the card can be inserted between the bands, and if configured in this way, a thin card or the like is easily missed, and there is a risk of loss. If it becomes loo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store a card or the like, such as not being able to perform its function.

포켓 형태의 수납부는 커버의 내측 표면에 포켓을 형성하여 카드 등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인데, 카드나 명함을 사용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자기기를 커버에서 분리하고 다시 커버에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카드와 휴대 전자기기가 직접 접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의 전자파로 인한 카드의 마그네틱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카드와 휴대 전자기기의 접촉으로 인해 휴대 전자기기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The pocket-shaped accommodating part is configured to receive a card by forming a pock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in order to use or replace a card or a business card, it is cumbersome to deta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cover and reconnect it to the cover. In addition, since the card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in direct contact, the magnetic of the card may be damaged due to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cause scratches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수납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rmly stored so that it does not easily fall o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그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minimize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나 명함 등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해내지 않고서도 손쉽게 카드를 사용 또는 교체할 수 있으며, 카드 수납부와 휴대 전자기기 수납부를 차단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securely store a card or business card, to easily use or replace a car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case, and to store the card storage unit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orage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blocke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ard or a business card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rst cover having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so that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of the first cover, the fram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to the support; By providing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plate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plate has a pair of guide rails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ne surface, the second plate may have a gu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of the first plat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커버의 수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이 전방 및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cover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rail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plate is a card or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rear It may have a locking step so that it is preve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의 표면에 함입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표면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plate has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plate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surface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late It may have a binding protrusion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내측으로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패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plate may have a pad attached to th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ward of each of the guide rai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홀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plate may have a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to push the second plate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v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the frame is made of a 'c'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first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second cover may have a second opening formed on a surface of the screen of the inser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rame has a valu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rame for inse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outward direction on each end of each It may have a rotating part formed to be rota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회동부는 상면 및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커버는 상기 회동부의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otating part of the frame ha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cover has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rotating portion Can hav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제1커버의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수용부에 카드 또는 명함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d or a business card can be easily and safely stored in an accommoda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f the first co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카드 수납부와 휴대 전자기기 수납부가 제1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해내지 않고서도 손쉽게 카드 또는 명함을 사용 또는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d housing portion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orage portion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card or business card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case. Can be used or repla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프레임에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수납되어 쉽게 빠지지 않으며, 프레임의 양단에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동부가 형성됨으로써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is attached to the fram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irmly stored and is not easily removed, and a rotating par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ame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As a result, the stor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es not easily come of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프레임에 제2커버가 부착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cover is attached to the frame, damage may be minimiz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를 프레임의 개구부를 통해 밀어넣거나 빼냄으로써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coupled or separated by pushing or remo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opening of the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5 and 6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제1커버(100), 프레임(200), 제2커버(300)를 포함하며, 제1커버(100)에 프레임(200)이 부착되고, 프레임(200) 상에 제2커버(300)가 부착된다.1 to 6,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illustrated,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100, a frame 200, a second cover 300, and a frame 200 on the first cover 100. ) Is attached, and the second cover 300 is attached on the frame 200.

제1커버(100)는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플레이트(110)와,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20)를 갖는다.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10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결합된 경우 양자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마련되는 수용부(130)를 가지며, 수용부(130)에는 카드 또는 명함이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00 serves to protect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as a first plate 110 and a second plate 120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cover 100 includes a receiving unit 130 provided between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Business cards can be accepted.

제1커버(100)의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을 개폐하게 된다. 다만, 슬라이딩 결합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두 개의 플레이트를 적층 결합시키는 방식들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120 of the first cover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second plate 120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110 in a sliding manner to open and close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liding coupling method, and in general, two coupling plates may be naturally applied.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제1플레이트(110)는 가이드레일을, 제2플레이트는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1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의 양 측단에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1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또는 'ㄴ' 형태와 같은 직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122)는 제2플레이트(120)의 양 측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110)의 가이드레일(112)에 제2플레이트(120)의 가이드(122)가 결합되면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는 상대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또한 제2플레이트(120)의 이탈이 방지된다.For sliding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 guide rail, the second plate may have a gu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As illustrated in FIG. 3, the guide rails 112 may be formed as a pair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guide 122 may be formed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Likewise, it may be bent 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plate 12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guide rail 112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d bent shape such as a 'b' or 'b' shape, and the guide 122 may be formed of the second plate 120. It may be made in a form bent at both sides. Accordingly, when the guide 122 of the second plate 12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12 of the first plate 110,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may be relative slid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plates 120 is prevented.

제1커버(100)의 수용부(13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제1플레이트(110)의 가이드레일(1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은 제1플레이트(110)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레이트(110)는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이 제1플레이트(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플레이트(110)의 표면 전방 또는 후방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14)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카드 또는 명함은 제1플레이트(110)의 가이드레일(112) 및 걸림턱(114) 사이에 안착되며, 제2플레이트(120)가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을 덮게 됨으로써, 카드 또는 명함의 수납이 완료된다.The accommodating part 130 of the first cover 100 is provided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nd thus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Cards or business cards can be accommodated in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guide rails 112 of the first plate 110, so that the card or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3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plate 110. Departure can be prevented by 112. In this case, the first plate 110 may be placed in front of or behind th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o prevent the card or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irst plate 110. It may have a locking projection 114 is formed. Therefore, the card or the business card is seated between the guide rail 112 and the locking jaw 114 of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plate 120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the first plate 110 By covering one side of the, the storing of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comple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는 걸림턱(114)의 표면에 함입형성되는 삽입홈(115)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의 삽입홈(1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표면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25)를 가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의 삽입홈(115)에 제2플레이트(120)의 결합돌기(125)가 끼워지면,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에 유동됨이 없이 결합고정된다. 만일, 제1플레이트(110)에서 제2플레이트(120)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제1플레이트(110)의 삽입홈(115)에서 제2플레이트(120)의 결합돌기(125)가 빠지도록 힘을 가하여 제2플레이트(120)를 슬라이딩 시키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115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locking jaw 114, and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plate 120 may be formed. It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125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urface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5 of the first plate (110).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25 of the second plate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5 of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plate 120 is fixed to the first plate 110 without flow. . If the second plate 12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110, the for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5 of the second plate 120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15 of the first plate 110.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120 may be sli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는 일면 양측에 부착되는 패드(116)를 가질 수 있으며, 패드(116)는 가이드레일(112) 각각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부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의 표면에 패드(116)가 부착되면, 제1커버(100)의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pads 116 attached to both sides of one surface thereof, and the pads 116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each of the guide rails 112 in a lengthwise direction. have. When the pad 116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e sliding of the card or the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30 of the first cover 100 may be prevented.

제1플레이트(110)는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홀(118)을 가질 수 있는데, 제1플레이트(110)에 제2플레이트(120)가 결합된 경우에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제2플레이트(120)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플레이트(110)의 홀(11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 외에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 hole 118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When the second plate 120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plate 120 may be formed using a finger or the like. This is to push out in one direction. The holes 118 of the first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but may also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quadrangle.

제1플레이트(110)는 타면부의 내측, 즉 제2플레이트(120)가 결합되는 면의 반대쪽 면의 내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출턱(119)을 가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의 돌출턱(119)은 프레임(200)을 제1플레이트(110)에 부착할 때의 기준이 되는데, 제1플레이트(110)의 둘레와 돌출턱(119) 사이의 표면(113)에 프레임(200)이 부착된다.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 protruding jaw 119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plate 120 is coupled. The protruding jaw 119 of the first plate 110 serves as a reference when the frame 200 is attached to the first plate 110. The surface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protruding jaw 119 is provided. The frame 200 is attached to 113.

제1플레이트(11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에 부착되는 부드러운 천 재질의 내피(140)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1플레이트(110)에 휴대 전자기기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내피(140)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내피(140)는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에 돌출턱(119) 내측에 부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하단부(240) 상면, 제1플레이트(110)의 돌출턱(119) 상면, 내피(140)의 상면이 대략 동일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he first plate 110 may have a endothelium 140 made of a soft cloth material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is is to prevent scratches from occurr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allowing the device to be interposed therebetween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device. Endothelial 140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jaw 119 insid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240 of the frame 200, as shown in Figure 4,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late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jaw 119, the upper surface of the endothelium 140 is approximately the same horizontal plane.

프레임(200)은 제1커버(100)의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된다. 프레임(200)은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충격으로부터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1플레이트(110)의 돌출턱(119)이 프레임(200) 부착의 기준이 된다는 점은 전술하였다.The frame 200 is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of the first cover 100. The frame 200 serves to support and protect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s inserted inwardly, and is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to protec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impact when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lls to the floor. Can be done. For reference, the protruding jaw 119 of the first plate 110 serves as a reference for attaching the frame 200.

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 개구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와,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210)를 갖는다. 즉, 프레임(200)은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개구부(21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ame 200 has upper and lower openings (not shown) and a first opening 210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at is, the frame 200 has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프레임(200)은 제1커버(100) 및 제2커버(300)와 부착되는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를 갖는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는 각각 소정 면적을 갖도록 내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20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프레임(200)의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를 연장형성한 이유는 제1커버(100) 및 제2커버(300)와의 부착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프레임(200)은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와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232, 242)와, 상단부(230) 및 하단부(240)의 양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234, 244)를 가질 수 있다.The frame 200 has an upper end 230 and a lower end 240 attached to the first cover 100 and the second cover 300, and the upper end 230 and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S. 2 and 4). 240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ly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respectively, so that the frame 200 has a cross-section of the 'c' shape. The reason why the upper end 230 and the lower end 240 of the frame 200 is extended is to increase the attachment area with the first cover 100 and the second cover 300 to strengthen the attachment force. In addition, the frame 200 may include first protrusions 232 and 242 protruding i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upper end 230 and the lower end 240 so as to further strengthen the attachment force with the upper end 230 and the lower end 240. The second protrusions 234 and 244 may protrude inward from both corners of the upper end 230 and the lower end 240.

제2커버(300)는 프레임(200)의 상단부(230)에 부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커버(300)는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310)를 갖는데, 제2개구부(310)를 통하여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화면부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제2커버(300)는 제2개구부(310)를 제외한 표면이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를 커버하게 되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부가 하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더라도 휴대 전자기기 전면부의 파손이 제2커버(300)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제2커버(300)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버튼, 스피커,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버튼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및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휴대 전자기기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커버(300)의 내측면에는 부드러운 천 재질의 내피가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1)의 전면부에 스크래치 발생이 예방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30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230 of the frame 200, and serves to protect the front par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econd cover 300 has a second opening 310 formed on the surface, the screen port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cond opening 31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second cover 30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xcept for the second opening 310, so that even if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lls downward, the front cov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damaged. It may be minimized by the second cover 300. The second co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not shown)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utton, a speaker, and a camera le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modify according to. Although not show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30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end of the soft cloth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프레임(200)의 상하로 제1커버(100) 및 제2커버(300)가 부착되면,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1개구부(21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00)의 제1개구부(210)는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를 프레임(200)의 제1개구부(210)로 밀어넣기만 하면 된다.When the first cover 100 and the second cover 300 are attach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2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formed in the frame 200.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210 of the frame 200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ca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ushed to the first opening 210 of the frame 200. Just put it in.

이와 달리,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제1개구부(210)의 길이(a)가 휴대 전자기기(1)의 가로부의 길이(b)보다 작을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1)의 삽입을 위해 프레임(200)의 양단이 양측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200)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220)를 갖는다. 회동부(220)는 휴대 전자기기(1)가 삽입되어 수납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환원되어 휴대 전자기기(1)가 프레임(200) 밖으로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220)는 탄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회동부(220)는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2)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제2커버(300)는 회동부(220)의 걸림돌기(222)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동부(220)의 하면에도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에 걸림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5, the length a of the first opening 210 of the frame 20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b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rame 200 may be rotated to both sides for inse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o this end, the frame 200 has rotating parts 220 formed on both ends so as to be able to rotate outwardly. The rotating unit 220 serves to prev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from easily exiting the frame 200 by being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inserted and received. Therefore, the rotating part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rubber or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 2, the pivoting part 220 of the frame 200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222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cover 300 is an obstacle of the pivoting part 220. It may have a lock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group 222 can be inserted. Although not shown,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220, and a locking groove 11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to correspond thereto.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작용에 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우선,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휴대 전자기기(1)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회동부(220)를 각각 손(도시되지 않음)으로 잡고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휴대 전자기기(1)를 프레임(200)의 제1개구부(210)로 삽입시키면 된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으로 회동부(220)를 회동시킨 후에 손에서 회동부(220)를 놓게 되더라도, 회동부(220)의 걸림돌기(222)가 제1플레이트(110) 및 제2커버(300)의 테두리에 각각 걸리게 되므로, 프레임(200)의 제1개구부(210)로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1)의 화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는 제2커버(300)의 제2개구부(310)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휴대 전자기기(1)가 케이스에 삽입되면 프레임(200)의 회동부(220)가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220)의 걸림돌기(222)가 제1플레이트(110) 및 제2커버(300)의 테두리에 각각 걸려있는 경우에는 손으로 회동부(220)를 밀어넣어 회동부(220)의 걸림돌기(222)가 제1커버(100)의 걸림홈(117)과 제2커버(300)의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First,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to be stored in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parts 220 of the frame 200 are held by hands (not shown), respectively, and are moved outward. After the rota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210 of the frame 200.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even if the rotating part 220 is placed in the hand after the rotating part 220 is rotated by hand, the engaging protrusion 222 of the rotating part 220 is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art. Since the respective edges of the cover 300 are caugh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s 210 of the frame 200. The screen portion (not shown) of the inser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by the second opening 310 of the second cover 300.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case, the pivoting part 220 of the frame 20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rotrusion 222 of the pivoting part 220 may be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cover 300, respectively, when the hanging edge of the rotating part 220 by pushing the rotating part 220 by hand, the locking projection 222 of the locking part of the first cover 100, the locking groove 117 ) And the locking groove of the second cover 3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카드 또는 명함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0)의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120)를 슬라이딩 시켜 수용부(130)를 개방시킨 후 카드 또는 명함을 삽입시키면 된다. 그리고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삽입된 카드를 꺼내고자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120)를 슬라이딩 시킨 후 카드(2)를 손으로 잡고 꺼내면 된다.In addition, when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in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econd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of the first cover 100 After sliding the plate 120 to open the receiving unit 130, a card or business card may be inserted. And if you want to take out the card inserted in the cas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ure 6 sliding the second plate 120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and then holding the card (2) by hand do.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제1커버(100') 및 프레임(20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와 달리 프레임(200')의 상측에 부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프레임(200')은 제1커버(100')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데, 휴대 전자기기가 프레임(200')의 일 측방에서 끼워지는 방식이 아니고, 휴대 전자기기(1)가 프레임(200')의 상방에서 끼워지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제1커버(100')가 제1플레이트(110'),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20'),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고, 제1플레이트(110')의 타면에 부착되는 프레임(200')은 통상의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제1커버(100')에 관한 기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제1커버(100)의 기술적 특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show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100 'and a frame 200', and unlike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include a second cover attached to the upper side. That is, the frame 200 'is attached to the first cover 100'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not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rame 200 '. 200 ') is fitted above. In such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100 ′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0 ′ and the first plate 110 ′ and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 ( 120 ') and a receiv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to accommodate a card or a business card betwee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 The frame 200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10'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a case for a gen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Other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cover 100 ′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cover 100 of th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100 : 제1커버 110 : 제1플레이트
112 : 가이드레일 114 : 걸림턱
115 : 삽입홈 116 : 패드
117 : 걸림홈 119 : 돌출턱
120 : 제2플레이트 122 : 가이드
125 : 결합돌기 130 : 수용부
140 : 내피
200 : 프레임 210 : 제1개구부
220 : 회동부 222 : 걸림돌기
300 : 제2커버 310 : 제2개구부
100: first cover 110: first plate
112: guide rail 114: locking jaw
115: insertion groove 116: pad
117: locking groove 119: protruding jaw
120: second plate 122: guide
125: engaging projection 130: receiving portion
140: endothelial
200: frame 210: first opening
220: rotating part 222: locking projection
300: second cover 310: second opening

Claims (10)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receiving unit provided to accommodate a card or a business card betwee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1 cover; And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of the first cover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cludes a frame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second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has a pair of guide rails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ne surface, the second plate has a gu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of the first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수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이 전방 및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cover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rail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to prevent the card or business car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rear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의 표면에 함입형성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표면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late has an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locking jaw, the secon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upling project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urface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lat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의 내측으로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plate i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ad attached to th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each of the guide rai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표면 일측에 형성되는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ha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to push the second plate in one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v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the frame has a 'c'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the first opening formed on one side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cover has a second opening formed on a surface of the inser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프레임은 양단 각각에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7,
The length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rame has a valu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or inse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rame has a rotating part which is rotatably formed outwardly at each end there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회동부는 상면 및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커버 및 제1플레이트는 상기 회동부의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ting part of the frame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second cover and the first plate has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rotating part.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 카드 또는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제1플레이트의 타면에 둘레를 따라 부착되며,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 전자기기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하방 개구부 및 일측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화면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표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receiving unit provided to accommodate a card or a business card betwee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1 cover; And
It is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of the first cover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cludes a frame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to the insid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v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the frame has a 'c'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the first opening formed on one side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cover has a second opening formed on a surface of the inser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KR1020120140052A 2012-12-05 2012-12-05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86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52A KR101386340B1 (en) 2012-12-05 2012-12-05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52A KR101386340B1 (en) 2012-12-05 2012-12-05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340B1 true KR101386340B1 (en) 2014-04-24

Family

ID=5065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52A KR101386340B1 (en) 2012-12-05 2012-12-05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34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17B1 (en) 2014-04-10 2014-09-1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equipped with card pocket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101568165B1 (en)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06483B1 (en) * 2014-11-13 2016-03-28 한빛세마텍(주) Cell phone case with slide function
KR20170002298U (en)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divice
KR20180001455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smart-phone case with sliding open and shut type credit card keeping part
KR200486580Y1 (en) * 2016-06-23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스픽 This mobile phone card storage available semi-automatic slid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5B1 (en)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Case for cell phone with touch screen
KR101054575B1 (en) * 2011-04-13 2011-08-04 정홍섭 Hand-phone case having card po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55B1 (en) 2010-06-21 2010-09-15 에스지피코리아 (주) Case for cell phone with touch screen
KR101054575B1 (en) * 2011-04-13 2011-08-04 정홍섭 Hand-phone case having card pocke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17B1 (en) 2014-04-10 2014-09-1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equipped with card pocket
KR101568165B1 (en)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A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101606483B1 (en) * 2014-11-13 2016-03-28 한빛세마텍(주) Cell phone case with slide function
KR20170002298U (en)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divice
KR200487194Y1 (en) 2015-12-18 2018-08-20 주식회사 앤비츠 Case for mobile divice
KR200486580Y1 (en) * 2016-06-23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스픽 This mobile phone card storage available semi-automatic slide case
KR20180001455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smart-phone case with sliding open and shut type credit card keeping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340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94285B1 (en) Connecting device opening and shutting front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thereof
US20110294556A1 (en) Mobile phone case with card slot
KR20130020817A (en) Pocketbook type mobile phone case
KR200469053Y1 (en) decorative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101519978B1 (en)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102423199B1 (en) Foldable Cell Phone Case Having Card Storage Structure
JP5689520B1 (en) Back cover for mobile phone
KR200471599Y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taining card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KR101591302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102013326B1 (en) A protection cover for slot and window of portable terminal
KR101247406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04240U (en) Cellular Phone Cases
KR101239088B1 (en) Cas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40346B1 (en) Mobile phone case for receiving a traffic card
KR102072676B1 (en) 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KR200467895Y1 (en) Notebook type portable phone protection case with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display window
KR200461845Y1 (en) Apparatus for protection of phone
KR200474127Y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8559Y1 (en) Portable terminal case
KR101620780B1 (en)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KR101433005B1 (en) Mobile phone case with leaving the structure to prevent the storage card
KR20160003466U (en) Mobile phone case
KR102149370B1 (en) Detachable card wallet for a smart phone and a smartphone holder for a ca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