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90A -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90A
KR20180000990A KR1020160079441A KR20160079441A KR20180000990A KR 20180000990 A KR20180000990 A KR 20180000990A KR 1020160079441 A KR1020160079441 A KR 1020160079441A KR 20160079441 A KR20160079441 A KR 20160079441A KR 20180000990 A KR20180000990 A KR 2018000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learning
alphabet
symbol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현욱
Priority to KR102016007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90A/en
Publication of KR2018000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A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toring learning data including phonemes of English, syllables, words, accent and intonation display data,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igns and reading image data; selecting an alphabet or word, classifying phonemes forming the selected word and extracting an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ign, accent and intonation display data and rea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ed phoneme; and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electe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can pronounce alphabets and English words more similar to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escription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0002]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어 파닉스 및 알파벳 학습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and alphabet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set forth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to be included in this section.

우리나라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공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육을 시작하고, 교육열이 높은 학부모들은 영어 조기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 많은 학부모들은 자녀를 위한 효과적인 영어 공부 방법을 찾고 있고 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현재 많은 영어 교재가 출판되고,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영어 학습법이 소개되고 있지만, 언어특성상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찾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In Korea, English education is started in th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parents who have high education are interested in English early education. Many parents are looking for effective ways to study English for their children and are willing to invest in it. Although many English textbooks are currently being published and various English learning methods for children are introduced, it is not easy to fi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due to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특히 파닉스 학습은 영어학습의 첫걸음일 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한 학습 개념이다. 기존의 영어 파닉스 학습은 전문가 도움 없이 어린이들이 쉽게 학습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닉스 학습 도중 영어 공부를 일찍부터 포기하는 어린이들이 많은 실정이다. Especially phonics learning is not only the first step of English learning, but also a very important learning concept for students studying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e existing English phonics learning is structur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hildren to learn easily without special help. Therefore, many children abandon early English studying during phonics learning.

1. 한국 특허등록 제10-1447556호(2014.09.29)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7556 (2014.09.29) 2. 한국 특허등록 제10-1111487호(2012.01.26)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1487 (2012.01.26)

한글의 음운, 음절 규칙을 파닉스 학습에 적용하여 알파벳 단어를 원어민과 비슷하게 발음할 수 있게 표시하고, 알파벳 단어의 음소, 음절 단어의 구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청각적,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어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English phonetic and syllable rules are applied to phonics learning to display alphabetic words similar to those of native speakers,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phonemes and syllable words in alphabetical words, and to provide auditory and visual contents for analysis results Learning device.

하나의 실시예로서, 영어 파닉스 학습 방법은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한글 발음기호, 읽기 영상 자료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알파벳 또는 단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구분하고, 구분된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및 국어 발음기호,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및 읽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storing learning data including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of English,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and reading image data; Selecting an alphabet or a word, distinguishing phonemes constituting the selected word, extracting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phonemes, stress and accent display data, and reading image data;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data; . ≪ / RTI >

다른 실시예로서 영어 학습 장치는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국어 발음기호, 영어단어와 알파벳 읽기 영상 자료, 알파벳 쓰기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알파벳 또는 단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구분하고, 구분된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와 한글 음소,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와 읽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학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터치 입력 또는 전자 펜에 의한 입력신호, 기 저장된 데이터 디스플레이 순서에 따라 학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추출된 학습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 English learning device may store learning data and programs including English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English words and alphabet reading image data, A storage unit;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learning data including an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phonemes, a Hangul phoneme, stress and accent display data, and reading image data by selecting an alphabet or a word, discriminating phonemes constituting the selected wo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rder of the learning dat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ouch input or the electronic pen and the stored data display order to display the extracted learning data; And a display unit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learning dat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

이상에서와 같은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방법은 한글 발음기호와 영문 발음기호, 영어 음소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알파벳 및 영어 단어를 원어민 발음과 보다 유사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각적 청각적 학습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고, 알파벳의 음소, 음절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단어의 스펠링 암기 효율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Korean pronunciation symbol,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and the English phoneme so that the alphabet and the English word can be pronounced more similar to the pronunciation of the native speaker. In addition, visual and auditory learning contents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honemes and syllables of the alphabet, thereby improving the spelling memorization efficiency of the word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알파벳과, 복합자음의 한글표시, 음가표시, 소리기호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 방법의 데이터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에서의 순차적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디스플레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에서 혼성자음의 음가를 단어를 통해 익히기 위해 혼성 자음에 따라 표시되는 음가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표
도 8은 이중 자음을 포함한 단어의 학습을 위한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alphabets stored in a database, a Hangul display of a compound consonant, a sound display, and a sound symbol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of an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4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processing flow of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processing flow for sequential display in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FIG. 7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of the phonemes displayed according to hybrid consonants in order to learn the phonetic values of the hybrid consonants in words in the English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display example for learning a word including a double consona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영어 파닉스 학습장치는 데이터베이스(110), 추출부(12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저장부)(110)는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국어 발음기호, 영어단어와 알파벳 읽기 영상 자료, 알파벳 쓰기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1,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may include a database 110, an extra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The database (storage unit) 110 stores learning data and programs including English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English words and alphabet reading image data, do.

추출부(12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알파벳 또는 단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구분한다. 이후, 구분된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와 한글 음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와 읽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한다.The extraction unit 120 selects an alphabet or a word to be displayed to the user, and distinguishes the phonemes constituting the selected word. Then, learning data including English pronunciation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phonemes, Hangul phoneme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and reading image data are extracted.

제어부(130)는 추출된 학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터치 입력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extracted learning data on the touch input

또는 전자 펜에 의한 입력신호와 기 저장된 데이터 디스플레이 순서에 따라 학습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된 단어의 음소 수 및 자음, 모음, 반모음의 음소 구성을 분석하고, 분석 이후 입력된 단어의 음소 구성에 대응되는 발음기호, 음소, 음가, 음절, 단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추출된 학습 데이터를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Or the output order of the learning dat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by the electronic pen and the stored data display order.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phoneme counts of the input words and the phonemes of consonants, vowels, and half vowels, and sequentially analyzes the phonetic symbols, phonemes, phonemes, syllables, and words corresponding to the phonemes of the input words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140 sequentially displays the extracted learning dat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

도 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알파벳과 혼성자음의 한글표시, 음가표시, 소리기호의 예를 나타낸다.Fig. 2 shows examples of the alphabet and mixed consonant Hangul, phonetic, and phonetic symbols stored in the databas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는 영어 자음 별 한글표시, 음가표시, 소리기호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110) 에는 소리기호 [ㅍㅎ]를 영어 발음기호 [f]로, 소리기호[∀]는 영어 발음기호 [v]로, 소리기호 [

Figure pat00001
]은 알파벳 R의 발음 기호로, 소리기호 [ㅅㅈ ]는 알파벳 Z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ㅗㅜ]는 알파벳 O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ㅎㅅ ], [ㄷㅎ ]는 혼성자음 t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ㅅㅎ ]는 혼성자음 s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 호 [ㅊㅎ ]는 혼성자음 c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ㅎ ]는 혼성자음 wh의 발음기호 로, 소리기호 []은 혼성자음 ng의 발음기호로 매칭하여 저장 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database 110 may store Hangul, a sound note, and a sound note in correspondence with English consonants. In the embodiment, the sound symbol [ phi ] is assigned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f], the sound symbol [∀] is assigned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v]
Figure pat00001
] Is a phonetic alphabet R, the sound symbol [ㅅㅈ ] Is a phonetic alphabet Z, the sound symbol [ㅗㅜ] is a phonetic alphabet O, the sound symbol [ㅎㅅ], [ㄷㅎ ] Is a phonetic of consonants mixed th, the sound symbol [ㅅㅎ ] Is a phonetic symbols of the hybrid consonants sh, the sound symbol [ㅊㅎ] is a phonetic symbols of the hybrid consonants ch, sound symbol [Right heh] is a phonetic symbols of the hybrid consonants wh, sound symbol [o] is a hybrid consonants ng Matches with phonetic symbols and stores them.

또한, 모음과 자음 r이 인접한 경우, E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02
] 로 정의하고, AR의 발음기호는 [ㅏ~
Figure pat00003
]로 저장하고, I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04
]로 정의하고, OR의 발음기호는 [ㅗㅓ~
Figure pat00005
]로 저장하고, U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06
]로 정의한다.In addition, when the vowel and the consonant r are adjacent, the pronunciation symbol of ER is [
Figure pat00002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AR is [a ~
Figure pat00003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IR is [ㅓ ~
Figure pat00004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OR is [ㅗㅓ ~
Figure pat00005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UR is [ㅓ ~
Figure pat00006
].

도 3은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다. Figure 3 shows a display embodiment of an English phonics learning dev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는 단어 또는 알파벳을 표시하는 제1영역(a), 단어와 알파벳의 읽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b), 학습 단어 또는 알파벳 쓰기 순서를 표시하는 제3영역(c) 및 사용자로부터 학습 단어 또는 알파벳 이미지를 입력 받는 제 4영역(d)을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알파벳 A를 선택 받으면, 알파벳을 표시하는 제1영역에 알파벳 기호 및 선택한 알파벳에 대응하는 한글 음가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알파벳의 읽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b)를 클릭하면, 알파벳 A를 발음하는 영상 컨텐츠가 제 2영역에 디스플레이 된다. 알파벳 읽기 영상 디스플레이 이후, 쓰기 순서를 표시하는 제3영역을 클릭하면, 선택한 알파벳을 쓰는 순서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 4영역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또는 전자펜으로 알파벳 쓰기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4영역에 입력된 알파벳 모양과 제 1영역의 알파벳 모양을 비교해서 비교 결과에 기반한 학습 완성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영역에 나타난 알파벳 모양과 제4영역에 입력된 기호의 이미지 일치 율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다시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일치율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선택한 알파벳 하단에 한글 음가가 표시된다.3, the display unit 140 includes a first area (a) for displaying a word or an alphabet, a second area (b) for displaying a read image of a word and an alphabet, a second area And a fourth area (d) for receiving a learning word or an alphabet image from the user, and display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areas. For example, when alphabet A is selected from the user, alphabetical symbols and the Hangul sou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lphabet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for displaying the alphabet. Thereafter, when the user clicks on the second area (b) in which the alphabet reading image is displayed, the image content that pronounces the alphabet A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fter displaying the alphabet reading image, if you click the third area showing the writing order, the order of writing the selected alphabet is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the user can perform alphabet writing exercises with his / her finger or electronic pen. The display unit 140 can display the learning comple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alphabet shape input in the fourth area with the alphabet shape of the first area. For example, when the image matching rate of the alphabet shape shown in the first area and the symbol inputted in the fourth area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a message for re-inputting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If the matching rate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Hangul sound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elected alphabet.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 방법의 데이터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flow of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410 단계에서는 영어 파닉스 학습에 필요한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한글 발음기호, 읽기 영상 자료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저장한다.In step S410, learning data including English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and reading image data necessary for English phonics learning are stored.

S420 단계에서는 알파벳 또는 단어를 선택하고, S430 단계에서는 선택된 단어의 구성을 분석한다. S440 단계에서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구분하고, 구분된 음소 수를 분석한다. S450 단계에서는 음소를 포함하는 단어 구성에 따른 음소, 음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소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S450 단계에서는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및 한글 발음기호,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및 읽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 방식을 결정한다. S460 단계에서는 추출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In step S420, an alphabet or a word is selected, and in step S430, the composition of the selected word is analyzed. In step S440, phonemes constituting the selected word are classified and the number of separated phonemes is analyzed. In step S450, phoneme data and phonetic value data corresponding to the word structure including phonemes are extracted 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extracted phoneme is determined. In step S450, English and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corresponding to phonemes, intensification and accent display data, and read image data are extracted and a display method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e extracted data is sequentially displayed.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에서의 순차적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디스플레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와 6을 함께 설명한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flow for sequential display in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5 and 6 will be described together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TENT' 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TENT' 의 발음을 나타내는 한글 기호 [트ㅔ느트]와 영단어의 뜻인 '천막, 텐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단어의 음소 별 음성을 출력하고(S462), 음소 각각을 디스플레이 한다(S464). 예컨대, 첫 번째 음소에 해당하는 'T' 발음인 '트'의 음성을 출력 후 화면에 알파벳 'T'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알파벳 음소에 해당하는 발음기호 [트] 를 표시한다. 이후 두 번째 음소 'E'에 해당하는 발음인 '에' 음성 출력 후 두 번째 음소인 알파벳 'E' 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 [ㅔ]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세 번째 음소 'N'의 발음 음성 '은' 출력 후, 알파벳 'N'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 [은]을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소 'T'의 발음음성 '트' 출력 이후, 알파벳' T'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 [트] 를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inputs the word 'TENT', a Hangul symbol [Ternet] indicating the pronunciation of 'TENT' and a 'tent' indicating the English word are displayed. Then, a phoneme-by-phoneme speech is outputted (S462), and each phoneme is displayed (S464). For example, after outputting the voice of 'T' which is the pronunciation of '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honeme, the alphabet '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t] corresponding to the alphabet phoneme is displayed. Then, the second phoneme 'E', which is the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honeme 'E', is displayed after the phonetic output, and the phonetic symbol [ㅔ]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Similarly, after outputting the pronunciation voice 'N' of the third phoneme 'N', the alphabet 'N' is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phonetic symbol [] is displayed. Finally, after outputting the pronunciation voice 'T' of the last phoneme 'T' of the word, the alphabet 'T' is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pronunciation symbol [T] is displayed.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소의 발음 음성, 알파벳 이미지와 발음기호를 각각 출력한 이후, 음소가 결합한 음절(TENT)의 음성(트엔트)을 출력하고(S466) 음절 알파벳과 발음기호를 다시 디스플레이 한다(S468).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음소 T, 두 번째 음소 E, 세 번째 음소 N, 네 번째 음소 T 가 결합된 TENT 단어의 발음 음성을 출력할 때, '트에은트'와 같이 각각의 음소 발성이 확실히 구분되도록 출력하고, 음소 별 음성이 출력되는 시점에 각 음소의 색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음소 별 발음을 시각적 자료와 함께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킨다.  After outputting the phonetic voice, alphabet image and phonetic symbol of each phoneme constituting the word, the voice (tent) of the syllable TENT combined with the phoneme is outputted (S466) and the syllable alphabet and phonetic symbol are displayed again S468). As shown in FIG. 6, when the pronunciation voice of the TENT word combined with the first phoneme T, the second phoneme E, the third phoneme N, and the fourth phoneme T is output, So that the phonemics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phonemes of the phonemes are displayed at different timings when the phonemes are output.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에서 혼성자음의 음가를 단어를 통해 익히기 위해 혼성 자음에 따라 표시되는 음가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표이다.FIG. 7 is a table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sound value displayed according to hybrid consonants in order to learn the phonetic values of the hybrid consonants by words in the English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혼성자음이 단어에 존재하는 위치에 다라 첫 소리 일 때, 중간 소리 일 때 또는 끝소리 일 때의 음가 표시를 다르게 한다. 예컨대, ch-(첫소리), -ch(중간소리)-, -ch(끝소리)/ ph-(첫소리), -ph(중간소리)-, -ph(끝소리) sh-(첫소리), -sh(중간소리)-, -sh(끝소리)/th-(첫소리), -th(중간소리)-, -th(끝소리) wh-(첫소리), -wh(중간소리)-, -wh(끝소리)로 구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음가를 한글로 표시 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hybrid consonant exists at a position where the consonant exists in the word, the sound display is different when the sound is the first sound, the middle sound, or the sound. For example, ch- (first sound), -ch (middle sound), -ch (phoneme) / ph- (first sound), -ph - th (first sound), -th (middle sound) -, -th (sound) wh- (first sound), -wh (middle sound) As shown in FIG. 7, each sound value is displayed in Korean.

도 8은 이중 자음을 포함한 단어의 학습을 위한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example for learning words including double consonants.

도 8을 참조하면, DUCK 단어를 학습하는 경우, -ck 가 끝소리에 위치하므로 -ck 의 발음 기호로 크 를 디스플레이하고, CHURCH 의 경우, ch 가 각각 첫소리와 끝소리에 위치하고, 첫소리는

Figure pat00007
로 끝소리는
Figure pat00008
소리로 발음 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발음기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Ph 경우, 는 P의[프]와 H의 [ㅎ]의 증간 음으로 표시하기 위해
Figure pat00009
로 표시하고, sh는 첫소리, 중간소리는
Figure pat00010
로 끝소리는
Figure pat00011
로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8, in learning DUCK words, since -ck is located at the end of a word, a word is displayed in the pronunciation symbol of -ck, and in the case of CHURCH, ch is posi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chords,
Figure pat00007
To the end
Figure pat00008
And the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hereto is displayed. In the case of Ph, P is expressed as an incremental sound of [p] of P and [h] of H.
Figure pat00009
, Sh is the first sound, and the middle sound is
Figure pat00010
To the end
Figure pat00011
.

Th의 경우,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로, 끝소리와 첫소리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나므로, THIS 단어 학습에서는
Figure pat00014
로 표시하고, MATH 단어에서는
Figure pat00015
로 표시한다. 모음+ng는 기본적으로 한글의 받침 [ㅇ]와 같다. 그러나 ng+자음의 형태면 [ㅇㄱ]소리가 나므로, 이에 따라 SING 단어의 발음을 디스플레이 할 때는 [ㅇ]로 표시하고, ANGRY 단어는 ng+자음 형태이므로 [ㅇㄱ]로 표시한다. In the case of Th,
Figure pat00012
And
Figure pat00013
, So there is a different sound depending on the sound of the end and the sound, so THIS word learning
Figure pat00014
, And the word MATH
Figure pat00015
. The vowel + ng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Hangul [ㅇ]. However, since the form of ng + consonant sounds [a], the pronunciation of the SING word is displayed as [o], and the ANGRY word is displayed as [a] because it is ng + consonant.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110: 데이터베이스
120: 추출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10: Database
120:
130:
140:

Claims (12)

영어 파닉스 학습 방법에 있어서,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한글 발음기호, 읽기 영상 자료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알파벳 또는 단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단어의 음소 수 및 자음, 모음, 반모음의 음소 구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및 국어 발음기호,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와 읽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분석된 음소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음소에 대응되는 음가, 음절 및 단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In the English phonics learning method,
Storing training data including English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s and intonation display data, English and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and reading image data;
Extracts the English and Korean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phonemes, the intensified and accented display data and the readout image data, analyzes the phoneme counts of the input words and the phonemes of consonants, vowels, and half vowels step;
Dividing the analyzed phonemes, sequentially displaying phonemes, syllables, and words corresponding to the phonemes; And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data;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는 입력된 단어의 음소 수 및 자음, 모음, 반모음의 음소 구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이후 입력된 단어의 음소 구성에 대응되는 알파벳, 음소, 음가, 음절, 단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data; Analyzing the phoneme composition of the inputted word and the phonemes of the consonant, vowel, and half vowel;
Sequentially displaying an alphabet, a phoneme, a sound value, a syllable, and a word corresponding to a phoneme structure of the input word after the analysis; And an English lear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학습 단어 또는 음소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쓰기 연습을 통해 입력 받는 단계;
입력된 이미지를 기 저장된 학습 단어 또는 음소이미지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반한 학습 완성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data comprises:
Receiv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learning word or phoneme through a user's writing practice;
Comparing the input image with a pre-stored learning word or phoneme image, evaluating learning completenes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displaying the evaluation resul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는
저장된 발음기호 [ㅍㅎ ]은 영어 발음기호 [f]에, [∀]은 영어 발음기호 [v]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
Figure pat00016
]은 알파벳 R의 발음 기호로 정의하고, [ㅅㅈ ]는 알파벳 Z의 발음기호로 정의하고, [ㅗㅜ]는 알파벳 O의 발음기호로 정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ing the learning data; The
Saved pronunciation symbol [ ] Corresponds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f], [∀] corresponds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v], and [
Figure pat00016
] Is defined as a pronunciation symbol of the alphabet R, [ x i ] is defined as a pronunciation symbol of the alphabet Z, and [x i] is defined as a pronunciation symbol of the alphabet O; And an English learn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는
모음과 자음 r이 인접한 경우, E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17
] 로 정의하고, AR의 발음기호는 [ㅏ~
Figure pat00018
]로 저장하고, I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19
]로 정의하고, OR의 발음기호는 [ㅗㅓ~
Figure pat00020
]로 저장하고, U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21
]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ring the learning data; The
When the vowel and the consonant r are adjacent, the pronunciation symbol of ER is [ㅓ ~
Figure pat00017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AR is [a ~
Figure pat00018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IR is [ㅓ ~
Figure pat00019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OR is [ㅗㅓ ~
Figure pat00020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UR is [ㅓ ~
Figure pat00021
].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는
한글의 자음, 모음, 음소, 어절 및 알파벳 각각의 특수기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honemes, syllables, words,
And a special symbol of each consonant, vowel, phoneme, word and alphabet of Hangul.
영어 학습 장치에 있어서,
영어의 음소, 음절, 단어,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영어 및 국어 발음기호, 영어단어와 알파벳 읽기 영상 자료, 알파벳 쓰기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알파벳 또는 단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구분하고, 구분된 음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와 한글 음소, 강세 및 억양 표시 데이터 와 읽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학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터치 입력 또는 전자 펜에 의한 입력신호, 기 저장된 데이터 디스플레이 순서에 따라 학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장치.
In an English learning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and programs including English phonemes, syllables, words, accent and accent display data, English and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English words and alphabet reading image data, and alphabet writing order information;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learning data including an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phonemes, a Hangul phoneme, stress and accent display data, and reading image data by selecting an alphabet or a word, discriminating phonemes constituting the selected wo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rder of the learning dat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ouch input or the electronic pen and the stored data display order to display the extracted learning data; And
A display unit sequenti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learning dat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n English learn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어 또는 알파벳을 표시하는 제1영역, 단어와 알파벳의 읽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 상기 학습 단어 또는 알파벳 쓰기 순서를 표시하는 제3영역 및 사용자로부터 학습 단어 또는 알파벳 이미지를 입력 받는 제4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A second region for displaying a read image of a word and an alphabet, a third region for displaying the learning word or the alphabet writing order, and a fourth region for receiving a learning word or alphabet image from the user, And displays the classified English learn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단어의 음소 수 및 자음, 모음, 반모음의 음소 구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이후 입력된 단어의 음소 구성에 대응되는 발음기호, 음소, 음가, 음절, 단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phoneme composition of the input word and phonemes of consonant, vowel, and semi-
Phoneme, phoneme, syllable, and word corresponding to the phoneme structure of the input word after the analysis are sequentially display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학습 단어, 음소, 알파벳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쓰기 연습으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기 저장된 학습 단어 또는 음소이미지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반한 학습 완성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input unit receives an image corresponding to one of a learning word, a phoneme, and an alphabet from a user's writing practice, and compares the input image with a previously stored learning word or a phoneme image, Learning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ㅍㅎ ]는 [f]의 발음기호로, [∀]는 [v]의 발음기호로, [
Figure pat00022
]는 알파벳 R의 발음 기호로, [ㅅㅈ ]는 알파벳 Z의 발음기호로, [ㅗㅜ]는 알파벳 O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ㅎㅅ ], [ㄷㅎ ]는 혼성자음 t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ㅅㅎ ]는 혼성자음 s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 [ㅊㅎ ]는 혼성자음 ch의 발음기호로, 소리기호[ㅎ ]는 혼성자음 wh의 발음기호 로, 소리기호 []은 혼성자음 ng의 발음기호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torage unit
[ ㅎㅎ ] is the pronunciation symbol of [f], [∀] is the pronunciation symbol of [v], [
Figure pat00022
] Is a phonetic alphabet R, [ㅅㅈ] is a phonetic alphabet Z, [ㅗㅜ] sound symbols to phonetic alphabet O [ㅎㅅ ], [ㄷㅎ] is a phonetic of consonants mixed th, the sound symbol [ㅅㅎ] is a phonetic of consonants mixed sh, the sound symbol [ㅊㅎ ] Is a phonetic symbol of a mixed consonant ch, wherein a phonetic symbol [ who ] is a phonetic symbol of a hybrid consonant wh, and a phonetic symbol [ o ] is a phonetic symbol of a hybrid consonant 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모음과 자음 r이 인접한 경우, E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23
] 로 정의하고, AR의 발음기호는 [ㅏ~
Figure pat00024
]로 저장하고, I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25
]로 정의하고, OR의 발음기호는 [ㅗㅓ~
Figure pat00026
]로 저장하고, UR의 발음기호는 [ㅓ~
Figure pat00027
]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torage unit
When the vowel and the consonant r are adjacent, the pronunciation symbol of ER is [ㅓ ~
Figure pat00023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AR is [a ~
Figure pat00024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IR is [ㅓ ~
Figure pat00025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OR is [ㅗㅓ ~
Figure pat00026
], And the pronunciation symbol of UR is [ㅓ ~
Figure pat00027
]. ≪ / RTI >
KR1020160079441A 2016-06-24 2016-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KR201800009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41A KR20180000990A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41A KR20180000990A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90A true KR20180000990A (en) 2018-01-04

Family

ID=6099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441A KR20180000990A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90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05A (en) * 2018-06-29 2020-01-08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102078626B1 (en)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Hangul learning method and device
KR20200089245A (en) * 2020-06-25 2020-07-24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WO2020230983A1 (en) * 2019-05-14 2020-11-19 김정자 Study material for native speaker pronunciation by beginners in english, and english study method using same
KR102196457B1 (en) * 2020-05-18 2020-12-29 신은추 System for providing random letter shuffle based on english practice service for reading and speaking
KR20210023945A (en) * 2020-06-25 2021-03-04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102275200B1 (en) * 2020-11-24 2021-07-08 김소이 English Phonics Education System Based on Phonetic Value Matching
KR20210100858A (en) * 2020-02-07 2021-08-18 김정자 English-study materials for beginner comprising stepwise accent studying area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KR20220033186A (en)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for english pronunci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05A (en) * 2018-06-29 2020-01-08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WO2020230983A1 (en) * 2019-05-14 2020-11-19 김정자 Study material for native speaker pronunciation by beginners in english, and english study method using same
KR102078626B1 (en)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Hangul learning method and device
WO2021033865A1 (en) * 2019-08-16 2021-02-25 정현욱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written korean
KR20210100858A (en) * 2020-02-07 2021-08-18 김정자 English-study materials for beginner comprising stepwise accent studying area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KR102196457B1 (en) * 2020-05-18 2020-12-29 신은추 System for providing random letter shuffle based on english practice service for reading and speaking
KR20200089245A (en) * 2020-06-25 2020-07-24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20210023945A (en) * 2020-06-25 2021-03-04 김서영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20220033186A (en)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for english pronunciation
KR102275200B1 (en) * 2020-11-24 2021-07-08 김소이 English Phonics Education System Based on Phonetic Value Mat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9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Kang et al. The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English pronunciation
KR201400710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using phonetic symbol
Brinton Epilogue to the myths: Best practices for teachers
Kennedy et al. Pronunciation acquisition
JP7166580B2 (en) language learning methods
Fitria English Accent Variations of American English (Ame) and British English (Bre): An Implic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KR101080092B1 (en)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 and installation using thereof
Brown Activities and exercises for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Cucchiarini et al. The digital literacy instructor: develop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selecting learning material for opaque and transparent orthographies
Yilmaz The awareness of phonetics in ELT
F Alshahad Design simple instructional package of Arabic Language learning for non-Arabic speakers
KR102292477B1 (en) Server and method for automatic assessment of oral language proficiency
Souzandehfar How to improve pronunciation? An in-depth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sound-spelling systems in English and Persian
Strik et al. Speech technology for language tutoring
Genelza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Decoding Ability of Second Year BSED-English Students in USEP–Tagum Campus
Manurung et al. Diagnosing The English Department Students' English Vowel And Consonant Pronunciation Errors By Using Elsa Speak Application
KR102112059B1 (en) Method for making hangul mark for chinese pronunciation on the basis of listening,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learning foreign language using the same
AU2022228148B2 (en) Method and system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Çekiç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pronunciation teaching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termediate learners
Awramiuk et al. Sound form signalization in L1 Polish, Czech and Slovak textbooks: In search of best practices
Aoki Effective Use of Text-to-Speech Technology for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US20150179085A1 (en) Interactive Method and Game For Learning Characters and Spelling of a Foreign Language
Brinton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