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944A - 근육 전기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전기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944A
KR20170118944A KR1020177027737A KR20177027737A KR20170118944A KR 20170118944 A KR20170118944 A KR 20170118944A KR 1020177027737 A KR1020177027737 A KR 1020177027737A KR 20177027737 A KR20177027737 A KR 20177027737A KR 20170118944 A KR20170118944 A KR 2017011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pair
musc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4259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189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7011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수납된 전원부(20)와, 전원부(3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부(30)와, 전극부(3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제어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부(50)를 구비한다. 전극부(30)는,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을 구비한다. 제1 전극군(31)은 본체부(10)의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오른손측(X1)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전극군(32)은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왼손측(X2)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과의 사이는 사람(2)을 매개로 하여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합하여 4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근육 전기 자극 장치{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펄스를 이용하여 근육에 자극을 부여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전원을 내장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며, 한 쌍의 전극을 인체에 붙이는 것에 의해, 전기 펄스를 인체에 흘려 근(筋)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58303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근육에 자극을 부여하는 전극을 한 쌍 구비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복부 중앙에서 광범위하게 넓어지는 복근 등의 근육에 효과적으로 자극을 주려면,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근에 효과적으로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부를 사람의 복부에 맞닿게 하여 상기 복부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복부의 한가운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사람의 신장 방향에 평행이고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오른손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전극군과, 상기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왼손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전극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과의 사이가 인체를 매개로 하여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은 합하여 4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이다.
사람의 복근은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복직근(腹直筋)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개의 복직근은 건화(腱畵)에 의해서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분되어, 복직근마다 3~4개의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전극부의 제1 전극군과 제2 전극군은 합하여 4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람의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제1 전극군은 본체부의 중심선 보다도 사람의 오른손측에 위치하고, 제2 전극군은 본체부의 중심선 보다도 사람의 왼손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각 전극을 복직근의 4개 이상의 구획에 대응하도록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전극이 대응하는 구획에서, 전극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운동점(運動点)(표피상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이어지는 신경에 통전시키기 쉬운 개소)에 전기 자극을 부여시키기 쉽다. 그 결과, 각 구획의 근육에 전기 자극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의 근육 운동(수축 및 이완) 외에, 근육의 운동에 의한 혈류 촉진, 복직근의 비대(肥大) 및 대사 촉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제1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과 제2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이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사람의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게 된다. 그 때문에, 본체부의 좌우에 동일한 전기 자극이 얻어지게 되고, 복근에 밸런스 좋게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전원부가 본체부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선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감이 좋음과 아울러, 외부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 전극군 및 제2 전극군은,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극군 및 제2 전극군은, 본체부를 기준에 서로 특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복부에 붙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가, 사람의 배꼽의 약간 상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본체부의 중심선이 사람의 중심축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의 복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각 전극을 복직근에서의 4개 이상의 구획에 대응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감이 좋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근에 효과적으로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에서의 IVa-IVa선 위치 단면 일부 확대도, (b)는 도 1에서의 IVb-IVb선 위치 단면 일부 확대도, (c)는 도 1에서의 IVc-IVc선 위치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사용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메인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제1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제2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제3 인터럽트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버스트파(burst波)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기억된 기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참고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참고예 1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7의 (a)는 실시예 4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의 색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먼셀 표색계(Munsell 表色系)에서의 색상 5YR에서의 명도와 채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평가 시험에서의, 테스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5에서의, 도 1에서의 IVa-IVa선 위치 상당의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변형예 2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의, XVI-XVI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3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6에서의, 본체부를 떼어낸 상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변형예 5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6에서의, 전극의 박리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변형예 4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변형예 5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참고예 2에 있어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7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7에서의, 제2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이면(裏面) 일부 확대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7에서의, 최단 경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변형예 6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8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8에서의, 도 1의 IVa-IVa선 위치 상당의 단면에서의, 피부 대면부(對面部)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35는 변형예 7에서의, 만곡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 마련된 홈을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일부 확대 배면도이다.
도 36은 변형예 8에서의, 피부 대면부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에 양단이 배치된 홈을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일부 확대 배면도이다.
도 37은 변형예 9에서의, 대략 타원형의 피부 대면부를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8은 실시예 9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예 9에서의, 도 1의 IVa-IVa선 위치 상당의 단면에서의 발음체(發音體)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0은 변형예 10에서의, 박육부를 외각(外殼) 형성체와는 별체로 구성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1의 (a)는 실시예 10에서의 도 1의 IVa-IVa선 위치 상당의 단면 일부 확대도, (b)는 도 1의 IVc -IVc선 위치 상당의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42는 실시예 10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10에서의, 진동체의 (a) 전원 조작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 (b) 강도 증대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 (c) 강도 저하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 (d) 한계 통지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 (e) 에러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12에서의, 도 1의 IVa-IVa선 위치 상당의 단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45는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겔 패드를 붙인 상태의 대지(台紙)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실시예 15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7은 실시예 16에서의, 제2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이면 일부 확대도이다.
도 48은 실시예 16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9는 실시예 17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0은 실시예 17에서의, 전극의 붙임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1은 실시예 24에서의, 전극의 붙임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2는 실시예 25에서의, 전극의 붙임 형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3은 실시예 30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본체부가 사람의 배꼽의 약간 상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본체부의 중심선이 사람의 중심축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의 복부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또, 장착시의 본체부의 위치가 배꼽의 약간 상측으로부터 다소 어긋난 위치라도, 전극이 복직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면 복직근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단독으로 사람의 복부에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복부에 장착한 상태로,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 위로부터 복부를 덮는 벨트를 감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사용시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떨어지거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은, 각각 동수(同數)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전극부로부터 인체를 매개로 하여 흐르는 전류에 편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직근에서의 각 전극이 대응하는 구획의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은, 상기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복부에 장착할 때에, 본체부의 중심선이 사람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되도록 사람의 복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제1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과 제2 전극군에 포함되는 전극을 좌우 한 쌍의 복직근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직근에서의 각 전극이 대응하는 구획의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은, 상기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신장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전극군은, 상기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신장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본체부의 중심선이 사람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되도록 사람의 복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좌우 한 쌍의 복직근의 각각에서 사람의 신장 방향으로 구분된 구획의 근육의 각각에 각 전극으로부터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은, 각각 3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복직근이 6개 이상으로 구분된 복부에서, 각 전극이 6개의 구획에 대응하여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해당 구획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은, 상기 복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사람의 신장 방향에서,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의 각각에서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측 전극쌍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측 전극쌍과, 상기 상측 전극쌍과 상기 하측 전극쌍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앙 전극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전극쌍은, 상기 상측 전극쌍 및 상기 하측 전극쌍 보다도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복직근이 6개 이상으로 구획된 복부에서, 각 전극을 보다 적확(的確)하게 복직근의 6개의 구획에 대응하여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구획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전극쌍은, 상기 하측 전극쌍 보다도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복직근이 6개 이상으로 구획된 복부에서, 본체부의 중심선이 사람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되도록 사람의 복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각 전극을 보다 더 적확하게 6개의 구획에 대응하여 배치시킬 수 있기 위해, 해당 구획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극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를 향해 절려 들어간 절입부(
Figure pat00001
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중에, 사람의 복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전극부가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사용중에서의 전극부의 복부로부터의 박리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복부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절입부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복부와의 사이에 생기는 땀이나 땀이 차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사용중에서의 전극부의 복부로부터의 박리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복부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예의 실시예에 관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 도 1~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1~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 전원부(20), 전극부(30), 제어부(40) 및 조작부(50)를 구비한다.
전원부(2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수납되어 있다.
전극부(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부(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0)는, 전극부(3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조작부(50)는, 제어부(40)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극부(30)를 사람(2)의 복부(3)에 맞닿게 하여 상기 복부(3)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30)는,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을 구비한다.
제1 전극군(3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3)의 한가운데에 장착했을 때에 사람(2)의 신장 방향(Y)에 평행이고 본체부(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오른손측(X1)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전극군(3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3)의 한가운데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왼손측(X2)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과의 사이는 사람(2)을 매개로 하여 통전(通電)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합하여 4개 이상(실시예 1에서는 6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그 표측면(表側面)(즉, 후술의 전극 지지부(121)의 외표면(121a))과 반대측의 이측면(裏側面)(즉, 후술의 기재(基材)(33)에서 전극부(30)가 형성되는 측의 면인 이측면(33a))이 사람(2)의 복부(3)에 대향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사람(2)의 키의 길이 방향을 신장 방향(Y)으로 한다. 그리고, 신장 방향(Y)에서의 머리 부분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측(Y1), 다리부로 향하는 방향을 하측(Y2)라고 한다. 또, 사람(2)의 정면에 면(面)하여, 신장 방향(Y)에 평행히고 배꼽(3a)을 통과하는 사람(2)의 중심축(2a)으로부터 사람(2)의 오른손(5a)측으로의 방향을 우측 방향(X1)이라고 하고, 중심축(2a)으로부터 사람(2)의 왼손(5b)측으로의 방향을 좌측 방향(X2)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우측 방향(X1)과 좌측 방향(X1)을 합하여 좌우 방향(X)이라고 한다다.
이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대략 원반(圓盤) 모양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후술의 전원부(20) 및 제어부(40)를 수납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에 장착되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외각 형성체(12)로 이루어진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 형성체(12)는, 후술의 기재(33)가 마련되는 측의 면(面)(12b)과, 그 반대측의 외표면(12a)을 가지고 있다. 외각 형성체(12)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며, 본 예에서는 흑색의 실리콘제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33)의 표측면(33b)을 덮도록, 외각 형성체(12)로부터 전극 지지부(121)가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의 주위에 전극 지지부(121)와 기재(33)로 이루어지는 연장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 지지부(121)의 외표면(121a)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의 각 전극(311~313, 321~323)의 외부 가장자리를 대략 따른 선 모양을 이루는 착색(着色) 영역(1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착색 영역(122)은 귤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는 오목 모양을 이루는 제1 케이스(111)와, 제1 케이스(111)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11)와의 사이에 제어부(40)를 수납하는 수납부(13)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112)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는 모두 ABS제이다. 그리고, 제2 케이스(112)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마련된 리브(112a)가, 제1 케이스(111)의 외부 가장자리부(111a)의 내측에 감합(嵌合, 끼워맞춤)하여 제1 케이스(111)에 제2 케이스(112)가 접합되어 있다.
제1 케이스(111)에는, 도 1,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부(5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캔틸레버(cantilever)(51a) 및 제2 캔틸레버(5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캔틸레버(51a) 및 제2 캔틸레버(51b)는, 제1 케이스(111)의 벽의 일부를 도려내어 편(片)지지 빔(beam)의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캔틸레버(51a)와 제2 캔틸레버(51b)는, 신장 방향(Y)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고,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도 1,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캔틸레버(51a, 51b)는, 외각 형성체(12)에 덮여져 있다. 그리고, 외각 형성체(12)에서, 제1 캔틸레버(51a)의 바로 위에는 기호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캔틸레버(51b)의 바로 위에는 기호 「-」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조작부(50)의 일부를 형성하는 조작면(54)을 형성하고 있다. 양 캔틸레버(51a, 51b)의 배열에 의해,「+」이 신장 방향(Y)의 상측이 됨과 아울러,「-」가 신장 방향(Y) 하측이 되며, 인간 공학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와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13)에는, 제어부(40)(도 6 참조)를 형성하는 제어 기판(41)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 기판(41)은 프린트 기판으로서, 제어 기판(41)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 패턴과 전자 부품(42) 등이 마련되어,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41)은, 제1 케이스(11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4개의 보스(116)와 나사(115)를 매개로 하여, 제1 케이스(111)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4의 (b)에서는 4개의 보스(116) 중 3개가 기재되어 있다. 또, 제어 기판(41)에는, 표면 실장형의 소형의 스피커(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자 부품(42) 및 스피커(43)의 구동 전압은, 모두 3.0V로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 기판(41)에는, 전지(21)의 출력 전압을 승압(昇壓)하는 승압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21)의 전력은 소정의 전압(예를 들면, 40V)으로 승압되어 전극부(30)에 공급된다.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3)에는, 조작부(50)를 형성하는 스위치 기구(52)도 수납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52)는 택트(tact) 스위치로서, 압하(壓下) 가능한 스위치부(53)를 구비한다. 스위치 기구(52)는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52)는 제1 케이스(111)에 형성된 제1 캔틸레버(51a) 및 제2 캔틸레버(51b)의 바로 아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케이스(111)를 덮는 외각 형성체(12)의 조작면(54)을 매개로 하여 외부로부터 제1 캔틸레버(51a)를 압압하면, 편지지 빔 상태의 제1 캔틸레버(51a)가 휘는 것에 의해, 스위치 기구(52)의 스위치부(53)가 압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면(54)에서의 압압을 해제하면, 편지지 빔 상태의 제1 캔틸레버(51a)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캔틸레버(51a)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제2 캔틸레버(51b)에서도 마찬가지로 압압 및 압압의 해제가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12)에는, 전원부(20)를 구성하는 전지(21)를 유지하는 전지 유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에 전원부(20)가 내장되게 되어 있다. 전지(21)는 교환 가능하고, 예를 들면, 코인 전지 또는 버튼 전지로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전지(21)로서, 소형이고 박형(薄型)의 코인 전지(리튬 이온 배터리 CR2032, 공칭 전압 3.0V)를 채용하고 있다. 또, 해당 전지(21)를 대신하여, 공칭 전압이 3.0~5.0V의 전지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전지(21)가 유지되는 전지 유지부(14)에는, 전지(21)의 탈락을 방지하는 뚜껑(1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뚜껑(15)은, 전지(21)보다도 약간 큰 원반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에는 뚜껑(15)과 제2 케이스(112)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O링(16)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전지(21)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lead)를 매개로 하여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12)에는, 뚜껑(15)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선 모양의 홈(113)이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12)에는, 리브(112a)의 외측으로 돌출된 차양부(112b)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112b)와 제1 케이스(111)의 외부 가장자리부(111a)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방수용 양면 씰을 매개로 하여, 시트 모양의 기재(33, 基材)가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기재(33)는 PET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는, 본체부(10)로부터 시트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면(54)이 노출되는 측의 면인 기재(33)의 표측면(33b)은, 외각 형성체(12)로부터 연장된 전극 지지부(121)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리고, 기재(33)에서의 표측면(33b)과 반대측의 이측면(33a)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외각 형성체(12)측의 면(표측면)과 반대측의 이면측의 전역(全域)에 퍼져 있다. 그리고, 기재(33)와 전극 지지부(121)는, 도시하지 않은 3M사제 점착 테이프 및 실리콘 접착 처리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30)는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을 구비한다. 제1 전극군(3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오른손(5a)측의 우측 방향(X1)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전극군(3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왼손(5b)측의 좌측 방향(X2)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전극군(31)에는, 제1 전극으로서의 제1 우측 전극(311), 제2 전극으로서의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전극으로서의 제3 우측 전극(313)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2 전극군(32)에는, 제1 전극으로서의 제1 좌측 전극(321), 제2 전극으로서의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전극으로서의 제3 좌측 전극(323)이 포함되어 있다.
각 전극(311~313, 321~323)은 모두, 모서리부가 라운드를 띤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311~313, 321~323)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제3 우측 전극(313)에서 부호 w로 나타내는 방향)이, 좌우 방향(X)에 대체로 따르고 있다. 본 예에서는, 각 전극(311~313, 321~323)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전극(311~313, 321~323)의 형상은, 예를 들면, 긴 길이 방향의 길이를 w,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를 h로 했을 때, h/w를 0.40~0.95, 바람직하게는 0.50~0.80으로 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h/w는 0.55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 321~323)의 내측에는 소정 크기의 육각형을 이루는 전극 비형성부(34)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우측 전극(311, 312, 313)에는, 제어부(40)에 접속하기 위한 리드부(311a, 312a, 323a)가 본체부(10)로부터 인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좌측 전극(321, 322, 323)에는, 제어부(40)에 접속하기 위한 리드부(311a, 312a, 323a)가 본체부(10)로부터 인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리드부(311a~313a, 321a~323a)에는, 실리콘 코팅이 실시되어 있어, 외부와 도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전극(311~313, 321~323)에서 리드부(311a~313a, 321a~323a)에 연결되는 부분과 그 근방 영역(도 2에서, 부호 C로 나타내는 사선 영역)에도, 실리콘 코팅이 실시되어 있어, 외부와 도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각 우측 전극(311~313)은 서로 병렬 접속되고, 각 좌측 전극(321~323)도 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30)는 기재(33)의 이측면(33a)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부(30)는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30)는, 은(銀)페이스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잉크를 기재(33)의 이측면(33a)에 인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에는 합하여 4개 이상의 전극이 포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각각 동수의 전극(311~313, 321~323)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수는 각각 3개이다. 즉, 제1 전극군(31)에는,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전극군(32)에는,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재(33)에서,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이 형성되는 부분을 각각, 제1 우측 전극 베이스부(331), 제2 우측 전극 베이스부(332) 및 제3 우측 전극 베이스부(333)로 하고,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이 형성되는 부분을 각각, 제1 좌측 전극 베이스부(341), 제2 좌측 전극 베이스부(342) 및 제3 좌측 전극 베이스부(343)로 한다.
그리고, 각 전극(311~313, 321~323)에는, 겔 패드(gel pad)(35)(세키스이 카세힝 공업 주식회사제「테크노 겔(등록상표)」, 형번(型番) SR-RA240/100)이 붙여져 있다. 겔 패드(35)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전극(311~313, 321~323)은 겔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복부(3)(도 5 참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겔 패드(35)는 높은 점착성을 가지고 있으며, 겔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복부(3)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겔 패드(3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 321~323) 보다도 약간 큰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 전극(311~313, 321~323)을 개별로 덮고 있다. 겔 패드(35)는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겔 패드(35)가, 사용에 따라서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거나, 오염물이 눈에 띄게 되거나 한 경우 등에는, 적절히 교환할 수 있다. 또, 소정 기간(예를 들면, 1개월, 2개월 등)마다 사용이 끝난 겔 패드(35)를 신품의 것과 교환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은 모두, 사람(2)(도 5 참조)의 신장 방향(Y)으로 평행이고 본체부(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오른손측(X1)(제1 영역(G1))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은, 신장 방향(Y)을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은, 중심선(10a)으로부터 사람(2)의 왼손(5b)측으로의 방향(X2)(제2 영역(G2))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도, 신장 방향(Y)을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복부(3)(도 5 참조)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우측 전극(311)과 제1 좌측 전극(321)이 선대칭으로 위치하고, 제2 우측 전극(312)과 제2 좌측 전극(322)이 선대칭으로 위치하며, 제3 우측 전극(313)과 제3 좌측 전극(323)이 선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복부(3)(도 5 참조)에 장착했을 때에, 신장 방향(Y)에서, 제1 전극군(31) 및 상기 제2 전극군(32)의 각각에서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우측 전극(311)과 제1 좌측 전극(321)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측 전극쌍(301)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3 우측 전극(313)과 제3 좌측 전극(323)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하측 전극쌍(303)과, 상측 전극쌍(301)과 하측 전극쌍(3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우측 전극(312)과 제2 좌측 전극(322)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전극쌍(30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 전극쌍(301), 중앙 전극쌍(302) 및 하측 전극쌍(303)은, 신장 방향(Y)을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전극쌍(302)은, 상측 전극쌍(301) 및 하측 전극쌍(303)보다도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좌우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앙 전극쌍(302)을 구성하는 제2 우측 전극(312)은, 상측 전극쌍(301)을 구성하는 제1 우측 전극(311) 및 하측 전극쌍(303)을 구성하는 제3 우측 전극(313)보다도 우측 방향(X1)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전극쌍(302)을 구성하는 제2 좌측 전극(322)은, 상측 전극쌍(301)을 구성하는 제1 좌측 전극(321) 및 하측 전극쌍(303)을 구성하는 제3 좌측 전극(323)보다도 좌측 방향(X2)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전극쌍(301)은 연장 방향을 향할수록 상측에 위치하도록 V자 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 321~323)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한편, 전극부(30)의 기재(33)에서의 각 우측 전극 베이스부(331~333)는 각 우측 전극(311~313)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각 좌측 전극 베이스부(341~343)는, 각 좌측 전극(321~323)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전극쌍(301)은, 하측 전극쌍(302)보다도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좌우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상측 전극쌍(301)을 구성하는 제1 우측 전극(311)은, 하측 전극쌍(303)을 구성하는 제3 우측 전극(313)보다도 우측 방향(X1)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측 전극쌍(301)을 구성하는 제1 좌측 전극(321)은, 하측 전극쌍(303)을 구성하는 제3 좌측 전극(323)보다도 좌측 방향(X2)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전극 베이스부(331)의 하방(下方) 외부 가장자리부(331a)는 우측 방향(X1)으로 팽출(膨出)되어 있고, 제1 좌측 전극 베이스부(341)의 하방 외부 가장자리부(341a)는 좌측 방향(X2)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 제2 우측 전극 베이스부(332)의 중앙 외부 가장자리부(332a)는 우측 방향(X1)으로 약간 팽출되어 있고, 제2 좌측 전극 베이스부(342)의 중앙 외부 가장자리부(342a)는 좌측 방향(X2)으로 약간 팽출되어 있다.
게다가, 제3 우측 전극 베이스부(333)의 상방(上方) 외부 가장자리부(333a)는 우측 방향(X1)으로 팽출되어 있고, 제3 우측 전극 베이스부(333)의 하방(下方) 외부 가장자리부(333b)는 아래 방향(Y방향에서의 하측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 제3 좌측 전극 베이스부(343)의 상방 외부 가장자리부(343a)는 좌측 방향(X2)으로 팽출되어 있고, 제3 좌측 전극 베이스부(343)의 하방 외부 가장자리부(343b)는 아래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기재(33)에서의 각 베이스부(331~333, 341~343)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측 전극쌍(301), 중앙 전극쌍(302) 및 하측 전극쌍(303)의 각각의 크기가 다르도록 시인(視認)됨과 아울러, 복부(3)에서의 복직근(4)의 구획(4a)(도 5 참조)의 형상을 모방한 형상으로 시인된다. 이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복직근(4)의 각 구획(4a)의 자극에 적절하고 있다는 인상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있어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으로의 모티베이션(motivation)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형상이라고 인식되는 것에 의해, 복부가 조여져 복근이 갈라진 이미지를 사용자에 상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복근이 갈라져 조여진 복부(3)로 하기 위한 이미지 트레이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미지 트레이닝에 의한 운동 효과의 향상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극(311~313, 321~323)의 사이에는, 본체부(10)를 향해 잘려 들어간 절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우측 전극(311)과 제2 우측 전극(312)과의 사이, 제2 우측 전극(312)과 제3 우측 전극(313)과의 사이, 제3 우측 전극(313)과 제3 좌측 전극(323)과의 사이, 제3 좌측 전극(323)과 제2 좌측 전극(322)과의 사이, 제2 좌측 전극(322)과 제1 좌측 전극(321)과의 사이, 및 제1 좌측 전극(321)과 제1 우측 전극(311)과의 사이의 합계 6개소에 절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본체부(10)의 주위에는, 관통공(18)이 4개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본체부(10)의 내부에, 전원부(20), 제어부(40), 조작부(50)를 가함과 아울러, 피부 검지부(402) 및 전지 전압 검출부(406)를 구비한다.
피부 검지부(402)는, 전극부(30)가 피부에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상세하게는, 피부 검지부(402)는, 전극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과의 사이의 저항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검출한 값이 임계치 보다도 작을 때에,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전지 전압 검출부(406)는, 전원부(20)에서의 전지(21)의 전압을 검지하고, 검지된 전원부(20)에서의 전지(21)의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은지 아닌지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전지(21)의 공칭(公稱) 전압(V0)은 3.0V이며, 임계치(Vm)는 2.1V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부(20)에는, 전지(21)가 구비된다. 또, 제어부(40)에는, 출력 조정부(401), 전원 오프 카운터(403), 타이머(404), 출력 모드 전환부(405) 및 출력 모드 기억부(405a)가 구비된다. 출력 조정부(401)는 전극부(30)에서의 출력 전압(출력 레벨)을 조정한다. 본 예에서는, 최대 출력 전압은 40V이며, 출력 레벨이 1 낮출 때마다, 100% 출력 전압이 2.0V 저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출력 레벨은 레벨 1로부터 레벨 15까지의 15단계로 되어 있다.
전원 오프 카운터(403)는, 카운트 개시 신호를 받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타이머(404)는, 출력 개시 신호를 받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출력 모드 전환부(405)는,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를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는,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는,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을 가지는 버스트파 패턴으로서의 기본 파형이 미리 기억되어 있고, 출력 모드 기억부(405a)가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405a)는, 프로그램 상의 버스트파의 파형의 정의(定義) 기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는, 도 7의 (a)~(e)에 나타내는 5개의 기본 파형(B1~B5)이 기억되어 있다. 각 기본 파형(B1~B5)은, 펄스폭 100㎲의 쌍극성파(雙極性波)로 이루어지는 전기 신호를 100㎲ 간격으로 5회 출력하는 합계 1ms의 자극 스텝(P)과, 해당 전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소정 시간의 자극 정지 스텝(R1~R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 파형(B1~B5)을 소정의 조합으로 소정 기간 반복 출력하는 것에 의해, 자극 스텝(P)이 소정의 주기로 출력되는 버스트파가 출력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자극 스텝(P)에서의 전기 신호의 전압치는 최대로 +40V 또는 -40V이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1(2Hz)는, 1ms의 자극 스텝(P)과, 499ms의 자극 정지 스텝 R1으로 이루어진다. 즉, 기본 파형 B1(2Hz)는, 자극 스텝(P)이 2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2(4Hz)는, 1ms의 자극 스텝(P)과, 249ms의 자극 정지 스텝 R2로 이루어진다. 즉, 기본 파형 B2(4Hz)는, 자극 스텝(P)이 4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3(8Hz)는, 1ms의 자극 스텝(P)과, 124ms의 자극 정지 스텝 R3으로 이루어진다. 즉, 기본 파형 B3(8Hz)는, 자극 스텝(P)이 8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4(16Hz)는, 1ms의 자극 스텝(P)과, 61.5ms의 자극 정지 스텝 R4로 이루어진다. 즉, 기본 파형 B4(16Hz)는, 자극 스텝(P)이 16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도 7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5(20Hz)는, 1ms의 자극 스텝(P)과, 49ms의 자극 정지 스텝 R4로 이루어진다. 즉, 기본 파형 B5(20Hz)는, 자극 스텝(P)이 20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즉, 각 기본 파형(B1~B5)은, 공통의 자극 스텝(P)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자극 정지 스텝(R1~R5)의 길이가 다르다. 이것에 의해, 각 기본 파형(B1~B5)에서의 자극 스텝(P)의 출현 빈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각각 설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기억된 제1~ 제3 출력 모드는, 상술의 기본 파형(B1~B5)을 소정의 형태로 조합시켜 형성되어 있다. 먼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모드는, 하기의 제1 스테이터스(status)~ 제4 스테이터스를 순서대로 행하도록 구성된 웜 업(warm up) 모드이다.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1(2Hz)로 2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스에서의 개시 5초 동안은 출력 전압을 0%로부터 서서히 크게 하여 100%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 스타트를 행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2(4Hz)로 2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3(8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4(16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그리고, 제1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즉,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의 계속 기간의 합계)은 1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1 출력 모드에서는, 기본 파형의 주파수가 2Hz로부터 16Hz로 단계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출력 모드를 웜 업 모드라고 부르고 있다.
[표 1]
Figure pat00002
이러한 웜 업 모드로서의 제1 출력 모드에서는, 버스트파의 주파수가 2Hz로부터 16Hz로 단계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근육의 운동 빈도가 높아지고, 해당 근육이나 몸이 점차 따뜻해진다. 이것에 의해, 급격한 혈압 상승, 해당 근육에서의 일시적인 산소 부족 등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 해당 근육이 서서히 따뜻해지는 것에 의해, 혈류량이 늘어나 해당 근육의 유연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후속의 트레이닝 모드에서, 근육의 자극에 의한 효과가 한층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 트레이닝 모드에 선행하여 해당 웜 업 모드를 행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자극에 적절히 익숙해질 수 있기 때문에, 체감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 모드는, 하기의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를 순서대로 행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모드이다.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5(20Hz)로 3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출력 없음을 2초 동안 유지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5(20Hz)로 3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기본 파형 B2(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5(20Hz)로 4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기본 파형 B2(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5(20Hz)로 5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기본 파형 B2(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에서의 각각의 개시 5초 동안은, 출력 전압을 0%로부터 서서히 크게 하여 100%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 스타트를 행한다.
그리고, 제2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은 20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주파수 20Hz의 기본 파형 B5를 소정 기간 유지한 후, 출력 없음 또는 주파수 4Hz의 기본 파형 B2를 소정 기간 유지하기 때문에,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데 뛰어나다. 그 때문에, 제2 출력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라고 부르고 있다.
[표 2]
Figure pat00003
다음으로,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출력 모드는, 하기의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를 순서대로 행하도록 구성된 쿨 다운(cool down) 모드이다.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4(16Hz)로 1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3(8Hz)로 1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2(4Hz)로 2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1(2Hz)로 2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또, 제3 출력 모드에서는, 각 스테이터스에서의 출력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스 개시시에는 100%로 하고, 제4 스테이터스 종료시에 50%가 되도록 서서히 감소시킨다.
그리고, 제3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은 1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3 출력 모드에서는, 기본 파형의 주파수가 16Hz로부터 2Hz로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출력 모드를 쿨 다운 모드라고 부르고 있다.
[표 3]
Figure pat00004
이러한 쿨 다운 모드로서의 제3 출력 모드에서는, 버스트파의 주파수가 16Hz로부터 2Hz로 단계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근육의 운동 빈도가 저하되는 것에 의해, 해당 따뜻해져 있었던 근육이나 몸이 서서히 식혀지게 된다. 그리고, 선행하는 트레이닝 모드에서 근육에 생긴 피로 물질을 해당 근육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출하여, 해당 근육에 피로 물질이 과잉으로 잔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를 연속하여 행한 경우의 합계 시간은 22분 동안이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모드와 제2 출력 모드와의 사이, 및 제2 출력 모드에서의 각 스테이터스의 사이의 합계 4개소에, 각각 2초 동안의 휴지(休止) 기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당 휴지 기간을 포함한 전행정(全行程)의 합계 시간은 22분 8초 동안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사용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술(詳述)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는, 먼저, 조작면(54)의「+」을 2초 동안 압하한다(S101). 이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온이 되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기동됨과 아울러, 기동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음(「피(P)」)이, 스피커(43)에 의해 발(發)하여진다(S102). 그 후,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출력 대기 상태가 되어 출력 레벨이 0으로 됨과 아울러, 조작부(50)의 입력이 무효화된다(S103)
다음으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104).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S104의 Yes)는, 조작부(50)를 유효화한다(S105). 그리고, 조작부(50)에 의해 출력 레벨을 입력한다(S106). 출력 레벨의 입력은, 조작부(50)의 조작면(54)으로부터 행한다. 조작부(50)의 조작면(54)의「+」을 누를 때마다 출력 레벨이 1레벨 커지고, 조작면(54)의「-」를 누를 때마다 출력 레벨이 1레벨 작아진다. 출력 레벨이 설정되면, 제어부(40)로부터 타이머(404)로 출력 개시 신호를 보내고, 타이머(404)에서 계측이 개시된다(S107). 또, 출력 레벨의 조작은 사용 시간 동안(조작부(50)의 유효화 후로부터 전원 오프까지)의 언제라도 가능하다.
타이머(404)의 계측 개시시(경과 시간 0)로부터 경과 시간 1분까지의 사이는,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를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로 한다(S108). 경과 시간 1분에 이르면, 출력 모드 전환부(405)에 의해,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를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로 전환하고, 경과 시간 21분까지의 20분 동안 유지한다(S109). 경과 시간 21분에 이르면, 출력 모드 전환부(405)에 의해,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를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로 전환하고, 경과 시간 22분까지의 1분 동안 유지한다(S110). 경과 시간 22분에 이르면, 타이머(404)에서의 계측을 종료한다(S111).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정지한다(S112). 이와 같이, S108로부터 S111까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가 1 세트 행하여지고, 종료하게 된다. 또 상기 경과 시간은 각각 휴지 기간의 2초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104의 No)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음(「피, 피, 피」)이, 스피커(43)에 의해 발하여진다(S113). 그리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114).
다음으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115).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는, 상술의 스텝 S103로 되돌아가, 출력 대기 상태가 된다(S115의 Yes).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115의 No)는,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16).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116의 No)는, 재차 S115로 되돌아와,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한편, S116에서,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S116의 Yes)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오프가 된다(S117).
다음으로,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S105~S110의 사이에 들어가 우선 처리되는 인터럽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인터럽트 처리로서,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가 행하여진다.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는, 사용 도중에 전극이 인체로부터 이탈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로 하는 기능으로서 이용된다.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에서는, 먼저,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201).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S201의 Yes)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간다.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201의 No)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음(「피, 피, 피」)이, 스피커(43)에 의해 발하여진다(S202). 그리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가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203).
다음으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204).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의 스텝 S103로 되돌아간다(S204의 Yes).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204의 No)는,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05).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205의 No)는, 재차 S204로 되돌아와,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한편, S205에서,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S205의 Yes)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오프가 된다(S206).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S105~S110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우선 처리되는 제2 인터럽트 처리인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는, 전지(21)의 전지 전압이 저하된 경우에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로 하는 기능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지 교환의 대응이 필요한 경우 등에 이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먼저, 전지 전압 검출부(406)에 의해, 검지된 전원부(20)에서의 전지(21)의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은지 아닌지 판정한다(S301).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301의 No)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다고 판정된 경우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음(「피, 피, 피」)이, 스피커(43)에 의해 발하여진다(S302). 그리고, 제어부(40)로부터 전원 오프 카운터(403)로 카운트 개시 신호를 보내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303).
다음으로,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304).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304의 No)는, 재차 S304로 되돌아간다.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S304의 Yes)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오프가 된다(S305).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S105~S110의 사이로 인터럽트되어 우선 처리되는 제3 인터럽트 처리인 중단 처리(S40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에 의해, 조작부(50)에서의 조작면(54)의 「-」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인지 아닌지 판정한다(S401).「-」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S401의 No)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간다. 한편,「-」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401의 Yes)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을 오프로 하여 종료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음(「피」)이, 스피커(43)에 의해 발하여진다(S402). 그리고, 전원을 오프로 한다(S403).
이하,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전극부(30)의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합하여 4개 이상의 전극(311~313, 321~323)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제1 전극군(31)은 본체부(10)의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오른손측(X1)(제1 영역(S1))에 위치하고, 제2 전극군(32)은 본체부(10)의 중심선(10a) 보다도 사람(2)의 왼손측(X2)(제2 영역 S2)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각 전극(311~313, 321~323)을 4개 이상의 구획에 대응하도록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전극(311~313, 321~323)이 대응하는 구획에서, 전극(311~313, 321~323)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운동점(표피 상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이어지는 신경에 통전시키기 쉬운 개소)에 전기 자극을 부여시키기 쉽다. 그 결과, 각 구획(4a)의 근육에 전기 자극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의 근육 운동(수축 및 이완) 외에, 근육의 운동에 의한 혈류 촉진, 복직근의 비대 및 대사 촉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제1 전극군(31)이 오른손측(X1)(제1 영역(G1))에 배치되고, 제2 전극군(32)이 왼손측(X2)(제2 영역(G2))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이 본체부(10)를 사이에 두고, 사람(2)의 좌우 방향(X)으로 늘어서게 된다. 그 때문에, 본체부(10)의 좌우에 동일한 전기 자극이 부여되게 되어, 복근(복직근(4))을 밸런스 좋게 자극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전원부(20)가 본체부(10)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무선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감이 좋음과 아울러, 외부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본체부(10)를 기준으로 서로 특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복부(3)에 붙여지게 된다. 즉, 본 예에서는, 제1 우측 전극(311)은 본체부(10)의 우측 방향(X1)측에서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우측 전극(312)은 본체부(10)의 우측 방향(X1)측에서의 중앙측에 위치한다. 제3 우측 전극(313)은 본체부(10)의 우측 방향(X1)측에서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1 좌측 전극(321)은 본체부(10)의 좌측 방향(X2)측에서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좌측 전극(322)은 본체부(10)의 좌측 방향(X2)측에서의 중앙측에 위치한다. 제3 좌측 전극(323)은 본체부(10)의 좌측 방향(X2)측에서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가, 사람(2)의 배꼽(3a)의 약간 상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을 복근(복직근(4))에서의 4개 이상의 구획(4a)에 대응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감이 좋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과 제2 전극군(32)은, 각각 동수의 전극(311~313, 321~323)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부(30)로부터 인체를 매개로 하여 흐르는 전류에 편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직근(4)에서의 각 전극(311~313, 321~323)이 대응하는 구획(4a)의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에 포함되는 우측 전극(311~313)과 제2 전극군(32)에 포함되는 좌측 전극(321~323)은,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중심선(10a)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복부(3)에 장착할 때에,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제1 전극군(31)에 포함되는 우측 전극(311~313) 및 제2 전극군(32)에 포함되는 좌측 전극(321~323)을 좌우 한 쌍의 복직근(4)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직근(4)에서의 각 전극(311~313, 321~323)이 대응하는 구획(4a)의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2)은,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신장 방향(Y)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우측 전극(311~313)을 포함하고 있음과 아울러, 제2 전극군(32)은,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신장 방향(Y)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좌측 전극(321~323)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좌우 한 쌍의 복직근(4)의 각각에서 사람(2)의 신장 방향(Y)으로 구분된 구획(4a)의 근육의 각각에, 각 전극(311~313, 321~323)으로부터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각각 3개의 전극(311~313, 321~323)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복직근(4)이 6개 이상으로 구획된 복부(3)에서, 각 전극(311, 312, 313, 321, 322, 323)이 6개의 구획(4a)에 대응하여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해당 구획(4a)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복부(3)에 장착했을 때에, 사람(2)의 신장 방향(Y)에서,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의 각각에서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측 전극쌍(301)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측 전극쌍(303)과, 상기 상측 전극쌍(301)과 상기 하측 전극쌍(3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앙 전극쌍(30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전극쌍(302)은, 상측 전극쌍(301) 및 하측 전극쌍(303) 보다도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즉, 좌우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복직근(4)이 6개 이상으로 구획된 복부(3)에서, 각 전극(311, 312, 313, 321, 322, 323)을 보다 적확하게 6개의 구획(4a)에 대응하여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구획(4a)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상측 전극쌍(301)은, 하측 전극쌍(303)보다도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방향(즉, 좌우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4)이 6개 이상으로 구획된 복부(3)에서, 본체부(10)의 중심선(10a)이 사람(2)의 중심축(2a)에 평행이 되도록 사람(2)의 복부(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각 전극(311, 312, 313, 321, 322, 323)을 보다 더 적확하게 6개의 구획(4a)에 대응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해당 구획(4a)의 근육에 한층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극(311~313, 321~323)의 사이에는, 본체부(10)를 향해 잘려 들어간 절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 중에, 사람(2)의 복부(3)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전극부(30)가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사용 중에서 전극부(30)가 복부(3)로부터 박리하거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복부(3)로부터 탈락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절입부(17)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복부(3)와의 사이에 생기는 땀이나 땀이 차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 중에서의 전극부(30)의 복부(3)로부터의 박리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복부(3)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본 예에서는, 각 전극(311~313, 321~323)은 모두, 모서리부가 라운드를 띤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311~313, 321~323)의 긴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X)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전극(311~313, 321~323)은, 해당 각 전극(311~313, 321~323)이 연장 마련되는 방향으로 퍼지게 되기 때문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범위를 한층 넓게 할 수 있거. 비교적 광범위하게 넓어지는 복직근에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각 전극(311~313, 321~323)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전극(311~313, 321~323)을 매개로 하여 흐르는 전류의 편향이 방지되어, 복직근(4)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2 케이스(112)에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홈(113)은, 뚜껑(15)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10)와 복부(3)와의 사이에 생기는 땀을 본체부(10)의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와 복부(3)와의 사이에 땀이나 땀이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10)의 주위에는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홈(113)에 의해서 본체부(10)의 외측으로 안내된 땀을 관통공(18)을 매개로 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복부(3)와의 사이부터 배출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본체부(10)와, 전기 자극을 출력하는 복수의 전극부(30)와, 전극부(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와, 전원부(20)에서의 전력 급전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 조작부(50)로 이루어지며, 전원부(20)가 본체부(10)에 내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부(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외부에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원의 확보가 곤란한 옥외나, 외출처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코드 등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향상됨과 아울러, 휴대성에도 뛰어나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부(30)는,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된 시트 모양의 기재(33)에, 복수의 전극(311~313, 321~323)과, 전극(311~313, 321~323)과 전원부(30)를 제어부(4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부(311a~313a, 321a~32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된 시트 모양의 기재(30)에, 전극부(30)가 형성되어 있게 되고, 본체부(10)와 전극부(30)를 일체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10)와 전극부(30)를 접속하기 위한 코드 등이 불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원부가 본체부에 내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부와 전극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뛰어난 휴대성을 발휘하여 여러가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20), 본체부(10) 및 전극부(30)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인체(2)에의 장착, 떼어냄이 용이하고, 특히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한 직후의 해당 근육이 피로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여러 가지 환경에서, 상술의 전기 자극에 의해 근육을 효율 좋게 자극하는데 한층 적합하다.
또, 본 예에서는, 전원부(20)에는, 교환 가능한 전지(21)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지(21)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전력의 보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 용량 이상으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과도하게 대용량의 전원을 내장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전지(21)는 버튼 전지 또는 코인 전지로 할 수 있고, 본 예에서는, 코인 전지이다. 이것에 의해, 전지(21)가 소형이 되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소형화에 따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부(30)가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박리, 탈락하기 어려워져, 사용감이 향상됨과 아울러, 휴대성도 향상된다. 게다가, 전지(21)는 박형이기도 하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박형화에도 기여한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박형이 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장착한 채로, 그 위로부터 의복을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통근중이나 통학중, 가사나 일 등의 작업중, 그 외 여러가지 상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버튼 전지는, 다른 건전지 등에 비해, 높은 작동 전압으로 안정된 방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전지(21)로서 공칭 전압이 3.0~5.0V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본 예에서는, 3.0V의 전지(21)를 채용하고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42), 스피커(43) 등의 구동 전압을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전자 부품(42, 43)의 구동을 위해서 강압(降壓) 회로나 승압 회로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원부(20)에는, 상술의 교환 가능한 전지(21)를 대신하여 충전 가능한 전지가 내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러한 전지의 충전 수단으로서, 외부 전원과 접속 가능한 급전용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고, 전자 유도를 사용한 비접촉형 급전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해당 전지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충전형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소모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부(30)가 형성되는 기재(33)는,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됨과 아울러, 외각 형성체(12)로부터 연장 마련된 전극 지지체(121)가 접착되는 것에 의해, 전극부(30)와 본체부(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했다. 이것을 대신하여, 기재(33)와 본체(10)를 별체로 함과 아울러, 전극 지지체(121)와 외각 형성체(12)를 별체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전극부(30)가 비사용시에서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전극부(30)를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형태의 전극부와 교환할 수 있다. 또, 전극부(30)는 전자 부품을 갖지 않기 때문에,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전극부(30)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는, 상술의 표 2에 나타내는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에 근거하여 실행했다. 이것을 대신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변형예 1과 같이, 본 예와 동일한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에서, 제2 스테이터스와 제3 스테이터스의 사이에, 표 4에 나타내는 제2a 스테이터스를 실행하고, 제3 스테이터스와 제4 스테이터스와의 사이에, 표 4에 나타내는 제3a 스테이터스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표 4]
Figure pat00005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a 스테이터스 또한 제3a 스테이터스는 이하와 같이 행한다.
(2a) 제2a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2(4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기본 파형 B3(8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하고, 또 그 후, 기본 파형 B4(16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3a) 제3a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 B2(4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기본 파형 B3(8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하고, 또 그 후, 기본 파형 B4(16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또, 해당 변형예에서는, 본 예의 제2 출력 모드(표 2 참조)에 비해 제2a 스테이터스 및 제3a 스테이터스가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표 4에 나타내는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를 연속하여 행한 경우의 합계 시간은 23분 동안이 된다. 또 해당 합계 시간은 각각 휴지 기간의 2초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2a 스테이터스에서는, 기본 파형의 주파수가 4Hz로부터 16Hz로 단계적으로 높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a 스테이터스로부터 제3 스테이터스로 전환시의 주파수 변화가 매끄럽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3a 스테이터스로부터 제4 스테이터스로 전환시의 주파수 변화가 매끄럽게 된다. 그리고, 해당 변형예에서는, 본 예의 경우에 대해서, 제2a 스테이터스 및 제3a 스테이터스가 가해지는 것에 의해,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에서의 전기 자극의 패턴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서의 해당 전기 자극으로의 관성에 의한 체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복직근를 자극할 수 있다. 또,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를 이와 같이 설정한 해당 변형예 1에서, 본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도 나타낸다.
또, 본 예에서는, 리드부(311a~323a) 및 리드부(311a~323a)에 이어지는 각 전극(311~313, 321~323)의 일부(도 2에서, 부호 C로 나타내는 사선 영역)에 실리콘 코팅이 실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311a~323a, 311a~323a)의 좁은 영역에 전하가 집중되는 것에 의한 통전시의 통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각 전극(311~313, 321~323)에서, 상기 실리콘 코팅을 실시하는 영역을, 부호 C로 나타내는 사선 영역 보다도, 리드부(311a~313a, 321a~323a)로부터 각 전극(311~313, 321~323)의 중앙 부근까지 더 넓혀도 괜찮다. 이 경우에서도, 겔 패드(35)는 본 예와 동일한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전극(311~313, 321~323)에서의 실질적으로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이, 서로 이격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 자극이 부여되는 장소가, 좌우 방향(X)으로 퍼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전기 자극이 복부(3)의 보다 넓은 범위에 부여되었다고 인식하기 쉽고,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 이러한 변형예에서, 각 전극(311~313, 321~323)의 형상(실리콘 코팅이 실시된 영역을 포함하는 전극 전체의 형상)을 본 예와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각 전극(311~313, 321~323)의 형상의 외형을, 겔 패드(35)를 소정의 위치에 붙일 때의 가이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겔 패드(35)의 붙임이 용이해진다.
또, 본 예에서는, 6개의 전극(311~313, 321~323)의 하나 하나가 복직근(4)의 구획(4a)의 하나 하나에 대응하도록 하여, 6개의 구획(4a)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전극부(30)가 4개의 전극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전극이 복수의 구획(4a)에 걸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전극부(30)가 8개의 전극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전극의 하나 하나가 복직근(4)의 구획(4a)의 하나 하나에 대응하도록 하여, 8개의 구획(4a)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복근(복직근(4))에 효과적으로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근섬유에 전류를 흘리면 근수축(筋收縮)을 일으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의료·스포츠의 분야에서, 근육 증강을 목적으로 한 활용이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붙인 전극을 매개로 하여 통전하고,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근육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근육 자극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육을 수축시키는 전기 신호로서, 특히 저주파 신호가 유효로 되어 있다. 해당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의 수축이 행하여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전기 신호를 저주파로 한 경우에는, 사람의 피부 표면에서의 전기 저항 등의 영향에 의해 통증이 생기기 쉽다. 한편, 전기 신호를 고주파로 한 경우에는, 상기 전기 저항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통증이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펄스에 의해서 사용자가 피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용했을 때의 체감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편, 사용자의 통증을 경감하기 위해서, 전기 펄스의 전압을 작게 하거나, 단순히 주파수를 높이거나 하는 것만으로는, 근육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
실시예 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기 자극을 근육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전기 자극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과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로 이루어지는 버스트파(도 7에 나타내는 기본 파형(B1~B5))가 반복 출력되어 이루어진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에는,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두고 복수 출력된다.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은, 출력 정지 시간(N1~N5) 보다도 길고 펄스 신호의 출력이 정지된다.
다음으로, 실시예 2에서의 전극부(30)에서의 출력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계속 시간 기억부로서의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는, 도 7에 나타내는 5개의 버스트파 패턴(기본 파형(B1~B5))이 기억되어 있다. 각 기본 파형(B1~B5)은, 펄스군 출력 기간(P)과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 기본 파형(B1~B5)은, 공통의 펄스군 출력 기간(P)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길이가 다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은,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두고 복수 출력된다. 본 예에서는, 5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출력된다. 즉, 펄스군 출력 기간(P)은, 제1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 제1 출력 정지 시간(N1), 제2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2), 제2 출력 정지 시간(N2), 제3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3), 제3 출력 정지 시간(N3), 제4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4), 제4 출력 정지 시간(N4), 제5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5), 제5 출력 정지 시간(N5)의 순서대로 실행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는,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펄스폭, 펄스 전압은 일정하고, 출력 정지 시간(N1~N5)의 계속 시간도 일정하다. 본 예에서는,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펄스폭이 100㎲이고, 펄스 전압은 100% 출력시에 40V 또는 -40V이며, 출력 정지 시간(N1~N5)의 계속 시간은 100㎲이다. 그 때문에,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은 1ms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에서의 전압 극성은 출력 순서대로 교호로 변경되어 있다. 즉, 제1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 제3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3) 및 제5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5)가 정(正)의 극성을 가지며, 제2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2) 및 제4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4)가 부(負)의 극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펄스폭 및 각 출력 정지 시간(N1~N5)의 계속 시간은 각각 100㎲이다. 그 때문에,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펄스 주기는 200㎲로서, 충분히 짧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이들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하나의 전기 자극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또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각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주파수는 5,000Hz이다.
각 기본 파형(B1~B5)에서,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은 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은,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 보다도 길다. 본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은, 1ms이며,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은, 각각, 499ms, 249ms, 124ms, 61.5ms, 49ms이다. 이와 같이,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은,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출력 정지 시간에 비해, 매우 긴 계속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버스트파(2Hz)는, 1ms의 펄스군 출력 기간(P)과, 499ms의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버스트파(2Hz)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2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제2 버스트파(4Hz)는, 1ms의 펄스군 출력 기간(P)과, 249ms의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버스트파(4Hz)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4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제3 버스트파(8Hz)는, 1ms의 펄스군 출력 기간(P)과, 124ms의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3)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 버스트파(8Hz)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8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제4 버스트파(16Hz)는, 1ms의 펄스군 출력 기간(P)과 61.5 ms의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4)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4 버스트파(16Hz)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16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또, 제5 버스트파(20Hz)는, 1ms의 펄스군 출력 기간(P)과, 49ms의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5)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5 버스트파(20Hz)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20Hz의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 파형(B1~B5)(도 7 참조)를 소정의 조합으로 소정 기간 반복 출력하는 것에 의해, 도 13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버스트파가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하나의 전기 자극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파형 B1를 반복하는 제1 버스트파에서는, 주파수 2Hz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기본 파형 B2를 반복하는 제2 버스트파에서는, 주파수 4Hz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고, 기본 파형 B3를 반복하는 제3 버스트파에서는, 주파수 8Hz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고, 기본 파형 B4를 반복하는 제4 버스트파에서는, 주파수 16Hz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고, 기본 파형 B5를 반복하는 제5 버스트파에서는, 주파수 20Hz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계속 시간 기억부로서의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기억된 제1~ 제3 출력 모드는, 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기억된 기본 파형(B1~B5)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의 버스트파를 조합시켜 구성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가 실시된다.
즉,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모드에서의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제1 버스트파(2Hz)로 2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스에서의 개시 5초 동안은 출력 전압을 0%로부터 서서히 크게 하여 100%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 스타트를 행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제2 버스트파(4Hz)로 2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제3 버스트파(8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제4 버스트파(16Hz)로 10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그리고, 제1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즉,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의 계속 기간의 합계)은 1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1 출력 모드에서는, 버스트파의 주파수가 2Hz로부터 16Hz로 단계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 모드에서의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3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출력 없음을 2초 동안 유지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3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4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5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에서의 각각의 개시 5초 동안은, 출력 전압을 0%로부터 서서히 크게 하여 100%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 스타트를 행한다.
그리고, 제2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은 20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주파수 20Hz의 제5 버스트파를 소정 기간 유지한 후, 출력이 없거나 주파수 4Hz의 제2 버스트파를 소정 기간 유지하기 때문에,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데 뛰어나다.
다음으로, 상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출력 모드는, 하기의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를 순서대로 행하도록 구성된 쿨 다운 모드이다.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제4 버스트파(16Hz)로 1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제3 버스트파(8Hz)로 1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제2 버스트파(4Hz)로 2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제1 버스트파(2Hz)로 20초 동안, 출력을 행한다.
또, 제3 출력 모드에서는, 각 스테이터스에서의 출력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스 개시시에는 100%로 하고, 제4 스테이터스 종료시에 50%가 되도록 서서히 감소시킨다.
그리고, 제3 출력 모드의 계속 기간은 1분 동안이다. 이러한 제3 출력 모드에서는, 버스트파의 주파수가 16Hz로부터 2Hz로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를 연속하여 행한 경우의 합계 시간은 22분 동안이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모드와 제2 출력 모드와의 사이, 및 제2 출력 모드에서의 각 스테이터스의 사이의 합계 4개소에, 각각 2초 동안의 휴지 기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당 휴지 기간을 포함한 전행정(全行程)의 합계 시간은 22분 8초 동안으로 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전기 자극을 형성하는 제1~제5 버스트파는,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두고 복수 출력된다. 그 때문에,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는 복수로 분단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분단없이 연속하여 출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합계 출력 시간은 동일하게 하면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하나 하나의 펄스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로부터 출력되어 근육 또는 근육에 이어지는 신경에 흐르는 전기 자극은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통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에서의 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버스트파(기본 파형(B1~B5))에서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이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출력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이 펄스군 출력 기간(P)과 동일 기간, 연속 출력하는 펄스 출력 기간을 가지는 버스트파와 비교해도, 펄스의 출력되는 기간(P)으로서는 동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둔 펄스군 출력 기간(P)을 가지는 버스트파에서도, 출력 정지 시간을 사이에 두지 않는 펄스 출력 기간을 가지는 버스트파에 가까운 체감이 얻어지게 된다.
또,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는, 출력 정지 시간(N1~N5)을 사이에 두고 복수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은,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펄스폭과 모든 출력 정지 시간(N1~N5)을 맞춘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 중,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분단하지 않고 출력하는 경우에 비해,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은 동일하게 하면서, 출력 정지 시간(N1~N5)의 분(分)만큼 실제의 펄스 신호 출력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용량의 전원에 의해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 전기 자극을 형성하는 버스트파는, 펄스군 출력 기간(P)과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으로 이루어지며,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은,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출력 정지 시간(N1~N5) 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버스트파에 이러한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펄스군 출력 기간(P)을 변경하지 않고,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을 소정의 길이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버스트파의 주파수를 용이하게 소망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근육을 수축·이완시키는데 적합한 주파수를 가지는 버스트파로 이루어지는 전기 자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효율적으로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펄스군 출력 기간(P)에는, 서로 극성이 다른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나의 버스트파(기본 파형(B1~B5)) 내에서, 전하의 편향을 해소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자의 통증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에서의 체감과 사용 용이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예와 같이, 제1 버스트파에서의 제1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출력되는 5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정(正), 부(負), 정, 부, 정」의 순서대로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버스트파의 다음에 도래하는 제2 버스트파에서의 제2 펄스군 출력 기간에서 출력되는 5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를「부, 정, 부, 정, 부」의 순서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버스트파에서 생긴 전하의 편향을, 제2 버스트파에 의해서 확실히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통증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펄스군 출력 기간은, 상기 제1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극성을 역상(逆相)으로 하는(전위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각 펄스군 출력 기간에서의 개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의 극성을 개별로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동일한 펄스군 출력 기간(P)에 서로 극성이 다른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 S3, S5)와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2, S4)가 포함되도록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다음과 같이 해도 괜찮다. 제1 버스트파의 제1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모든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의 극성을 정으로 하고, 제1 버스트파의 다음에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을 사이에 두고 도래하는 제2 버스트파의 제2 펄스군 출력 기간에서의 모든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의 극성을 부로 하며, 제1 버스트파와 제2 버스트파를 반복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개개의 펄스군 출력 기간에 대해서는,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의 극성은 동일하지만, 반복 출력되는 버스트파 전체에서, 서로 극성이 다른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 경우에서도, 제1 버스트파에서 생긴 전하의 편향을, 제2 버스트파에 의해서 확실히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통증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은,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1ms) 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에 의해서, 버스트파에서 반복 출력되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하나의 전기 자극으로서 인식시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본 예에서는, 주파수 5,000 Hz)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로부터, 저주파(본 예에서는 2~20Hz)의 버스트파를 용이하게 출력시킬 수 있고, 근육을 자극하는데 적합한 전기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펄스군 출력 기간(P)의 계속 시간은 동일함과 아울러 펄스군 출력 중단 기간(R1~R5)의 계속 시간이 다른 것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버스트파 패턴(기본 파형(B1~B5))이 미리 기억된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출력 모드 기억부(405a))와,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기억된 복수의 버스트파 패턴(기본 파형(B1~B5))으로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기 자극에서의 버스트파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출력 모드 전환부(405))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미리 소정의 주파수의 버스트파 패턴(기본 파형(B1~B5))이 복수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트파의 주파수를 변경할 때에는, 주파수 설정부(출력 모드 전환부(405))가 버스트파 패턴 기억부(출력 모드 기억부(405a))에 기억된 버스트파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되어, 버스트파의 주파수의 변경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근육을 효율 좋게 자극하는데 적합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버스트파에서의 직사각형 펄스 신호(S1~S5)의 펄스폭 및 출력 정지 시간(N1~N5)이 일정하다. 이것에 의해, 버스트파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근육에 부여되는 전기 자극을 변경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스트파의 주파수에 의한 전기 자극의 조정이 용이해지고,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데 적합한 전기 자극을 출력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부(30)는, 3개 이상의 전극(311~313, 321~323)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군 출력 기간(P)에 출력 정지 시간(N1~N5)을 포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3개 이상의 전극(311~313, 321~323)을 구비한 본 구성에서도, 충분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넓은 범위의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사용했을 때의 체감이 향상됨과 아울러, 효율적으로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근육에 자극을 부여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일본특허공개 제2009-142624호 공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4~20Hz의 주파수역에 속하는 펄스 상태의 전기 신호를 소정 시간 출력하는 출력 기간과, 해당 전기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하지 않는 무출력 기간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자극을 출력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혈류 촉진, 근육의 비대(肥大) 또는 대사 촉진의 효과가 나타내어진다.
그렇지만, 상기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출력되는 전기 자극에서, 상기 출력 기간의 전기 신호에 의해, 근육이 수축하여 근육에 피로 물질이 모인 경우에서도, 상기 무출력 기간에서 아무런 전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무출력 기간에 피로 물질이 근육으로부터 충분히 배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근육에 피로 물질이 축적되기 쉽고, 사용자에 과도한 부담이 가기 쉬워, 사용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 출력되는 전기 자극은, 상기 출력 기간과 상기 무출력 기간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출력 기간에서의 전기 신호의 출력 패턴은 출력 모드마다 단일의 것이 준비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출력되는 전기 자극에 근거한 근육의 수축 형태가 단조롭게 되기 쉬워, 사용자에 적극적으로 계속하여 사용시키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기 자극을 근육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전기 자극은, 근육에 불완전 강축(强縮) 및 완전 강축 중 적어도 일방을 일으키게 하는 제1 전기 신호(도 13에 나타냄, 제5 버스트파)가 출력되는 제1 출력 기간(후술의 표 5에서의 2-1, 3-1, 4-1)과, 근육에 단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제2 전기 신호(제2 버스트파)가 출력되는 제2 출력 기간(후술의 표 5에서의 2-2, 3-2, 4-2)이 교호로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실시예 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출력 모드(웜 업 모드), 제2 출력 모드(트레이닝 모드), 제3 출력 모드(쿨 다운 모드)가 실시된다. 그리고, 본 예의 제2 출력 모드는, 실질적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의적으로, 제2 출력 모드에서의 제1~제4 스테이터스를 각각, 제1 출력 기간(1-1, 2-1, 3-1, 4-1)과 제2 출력 기간(1-2, 2-2, 3-2, 4-2)으로 나누어져 있다.
[표 5]
Figure pat00006
다음으로,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의 제2 출력 모드는, 하기의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를 순서대로 행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모드이다. 실질적으로는, 실시예 1및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하며, 각 스테이터스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제1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3초 동안(표 2에서의 1-1),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출력 없음을 2초 동안 유지한다(표 2에서의 1-2).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2)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3초 동안(표 2에서의 2-1),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표 2에서의 2-2),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3)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4초 동안(표 2에서의 3-1),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표 2에서의 3-2),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4)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제5 버스트파(20Hz)로 5초 동안(표 2에서의 4-1), 100%의 출력을 행한 후, 제2 버스트파(4Hz)로 2초 동안(표 2에서의 4-2), 100%의 출력을 행한다. 이것을 5분 동안 반복한다.
또,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제1 스테이터스~제4 스테이터스에서의 각각의 개시 5초 동안은, 출력 전압을 0%로부터 서서히 크게 하여 100%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 스타트를 행한다.
그리고, 표 5에 나타내는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제2~제4 스테이터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3의 (e)에 나타내는 제5 버스트파(20Hz)와,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제2 버스트파(4Hz)가 반복하여 출력된다(도 13 참조). 그리고, 15Hz 이상 30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5 버스트파(20Hz)는,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전기 신호이다. 한편, 15Hz 미만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버스트파(4Hz)는, 근육에 단수축(單收縮)을 일으키게 하는 전기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출력 모드에서의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를 출력하는 제1 출력 기간(표 2에서의 2-1)과, 근육에 단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를 출력하는 제2 출력 기간(표 2에서의 2-2)이 교호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자극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출력 모드에서의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제1 출력 기간(3-1)과 제2 출력 기간(3-2)이 교호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자극이 출력되고,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제1 출력 기간(4-1)과 제2 출력 기간(4-2)이 교호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자극이 출력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기 신호로서, 제5 버스트파(20Hz)를 채용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5Hz 이상 30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버스트파를 제1 전기 신호로서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출력 기간의 계속 시간은, 제2 스테이터스에서는 3초 동안이고, 제3 스테이터스에서는 4초 동안이며, 제4 스테이터스에서는 5초 동안이다. 또, 제2 출력 기간의 계속 시간은, 제2~제4 스테이터스 모두 2초 동안이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출력 기간의 계속 시간이 제2 출력 기간의 계속 시간 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 제1 출력 기간 및 제2 출력 기간의 계속 시간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자극 전체의 계속 시간, 해당 출력 모드의 계속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13의 (e)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에는, 정극성(正極性)의 신호와 부극성(負極性)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의 (b)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에도, 정극성의 신호와 부극성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출력되는 전기 자극은, 제1 출력 기간(2-1, 3-1, 4-1)과 제2 출력 기간(2-2, 3-2, 4-2)이 교호로 반복된 것이다. 해당 전기 자극을 받은 근육은, 먼저,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서,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에 근거하는 불완전 강축 또는 완전 강축(본 예에서는 불완전 강축)에 의해서, 근육의 계속적인 수축이 생겨, 근육의 효과적인 트레이닝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근육의 증강(增强)이 도모된다. 이것에 따라서, 해당 근육에 피로 물질이 발생한다. 그 후, 제2 출력 기간(2-2, 3-2, 4-2)에서,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에 근거하는 단수축에 의해서 근육 내의 혈행이 촉진되고,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 생긴 피로 물질이 적극적으로 해당 근육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피로 물질이 충분히 배출된 후, 재차 제1 출력 기간(2-1, 3-1, 4-1)이 도래하여, 불완전 강축 또는 완전 강축에 의한 근육의 증강과, 제2 출력 기간(2-2, 3-2, 4-2)에서의 단수축에 의한 혈행 촉진에 근거하는 피로 물질의 배출 촉진이 차례로 행하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연속하여 사용하여도, 피로 물질이 근육에 축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사용감이 좋고, 사용자에 적극적인 계속 사용을 재촉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는 15Hz 이상 30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며,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는 15Hz미만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서,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에 의해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생기게 할 수 있고, 제2 출력 기간(2-2, 3-2, 4-2)에서,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에 의해 근육에 단수축을 안정적으로 생기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서, 근육을 과도하게 수축시키지 않고, 적절히 수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근육에 급격하게 피로 물질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어, 한층 효율적으로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 있어 생긴 피로 물질은, 제2 출력 기간(2-2, 3-2, 4-2)에서 근육으로부터 배출되게 되고, 연속하여 사용하여도 피로 물질의 축적이 방지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기 신호로서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제5 버스트파(20Hz)를 채용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마찬가지로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제4 버스트파(16Hz)를 채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도 본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서, 제1 전기 신호로서 근육에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전기 신호를 채용하고 있지만, 제1 출력 기간(2-1, 3-1, 4-1)에서, 제1 전기 신호로서 근육에 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전기 신호를 채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제1 전기 신호가 불완전 강축을 일으키게 하는 전기 신호인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본 예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 및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에는 각각, 정극성의 신호와 부극성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기 자극에서의 전하의 편향을 해소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자의 통증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에서의 체감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출력 기간(2-1, 3-1, 4-1)의 계속 시간은, 제2 출력 기간(2-2, 3-2, 4-2)의 계속 시간 보다도 길다. 이것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 자극에서, 제1 출력 기간(2-1, 3-1, 4-1)이 충분히 확보되어, 근육의 증강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또, 본 예에서는, 제1 전기 신호로서의 제5 버스트파(20Hz) 및 제2 전기 신호로서의 제2 버스트파(4Hz) 중 적어도 일방(본 예에서는, 양쪽 모두)은, 버스트파(기본 파형(B1~B5))가 반복하여 출력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버스트파(기본 파형(B1~B5))는, 복수로 분단된 전기 신호로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를 가진다. 해당 버스트파(기본 파형(B1~B5))는, 근육에서는 하나의 전기 신호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분할된 개개의 전기 신호(P1~P5)의 계속 시간(펄스폭)은, 분할되어 있지 않은 연속한 전기 신호의 경우에 비해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에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펄스군 출력 기간(P)의 전기 신호가, 출력 정지 시간(N1~N5)에 의해, 복수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로 분할되어 있는 것에 의해,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연속 통전 시간(즉, 펄스폭)은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는 정극성과 부극성이 교호로 도래하도록 하여, 전하의 편향이 없어짐과 아울러, 해당 펄스군 출력 기간(P)에서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와는 역상의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가 다음에 도래하게 되어 있다. 이들 결과, 각 전극(311~323)에서, 전하가 정 또는 부의 일방으로 치우친 상태에서의 연속 통전 시간은, 매우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311~323)에서 전하가 편향된 상태에서는, 전극(311~323)의 형성 재료인 은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은이, 공기 중의 아황산 가스 등의 유황(硫黃) 성분에 의해서 황화하여 거무스름해지도록 변색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파 펄스 신호(S1~S5)는 정극성과 부극성이 교호로 도래하여 전하의 편향이 순차적으로 없어짐과 아울러, 전하가 정 또는 부 중 일방으로 편향된 상태에서의 연속 통전 시간은 매우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의 황화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311~323)이 거무스름해지도록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은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은의 산화나 염화에 의해도 거무스름해지도록 변색되지만, 이들에 대해서도와 마찬가지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3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더하여, 근육을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하여도 사용감이 좋고, 사용자에 적극적인 계속 사용을 재촉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예 1로서, 도 15, 도 16에, 전극을 2개 구비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900)를 나타낸다. 참고예 1에서는, 전극으로서, 실시예 1~실시예 3의 전극(311, 321)과 동일한 구성이지만, 약간 큰 전극(311, 321)을 2개 구비한다. 또 참고예 1에서 실시예 1~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예 1에서도, 전극을 2개보다 많이 구비하는 것에 의하는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고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900)에 의하면, 전극이 6개의 경우(도 2 참조)에 비해, 전극(311, 321)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전극당 소비 전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 전극(311, 321)을 약간 크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 1개에 의해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완부(腕部), 대퇴부 등의 큰 부위의 근육을 자극하기 쉽게 되어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부 및 한 쌍의 전극이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양자를 연결하는 코드 등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전극을 인체에 붙여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위로부터 착의(着衣)하기 쉽게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외출시 등에서도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인체에 붙인 상태로 착의한 경우,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비쳐 보이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외표면에 백색 등의 밝은색의 영역이 많은 경우에는,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한층 비쳐 보이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외출처 등의 남의 눈이 신경이 쓰이는 장소에서는,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외표면에 백색 등이 밝은 색 영역이 많은 경우에는, 흑색 등의 암색(暗色)의 영역이 많은 경우에 비해 광을 반사하여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광을 받아도 비교적 따뜻해지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근육에서의 노폐물의 배출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근육을 녹여 혈행 촉진을 도모하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1~도 4,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전원부(20), 전극부(30), 제어부(40), 조작부(50)를 구비한다. 전원부(20)는, 본체부(10)에 수납되어 있다.
전극부(30)는, 전원부(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부(40)는, 전극부(3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조작부(50)는, 제어부(40)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30)를 인체(2)에 맞닿게 하여 인체(2)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30)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극부(30)는,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부(30)를 인체(2)에 맞닿게 했을 때(도 5 참조)에, 인체(2)에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의 영역이, 암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 형성체(12)는, 후술의 기재(33)가 마련되는 측의 면(12b)과, 그 반대측의 외표면(12a)을 가지고 있다. 외각 형성체(12)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며, 본 예에서는 흑색의 실리콘제이다. 그리고, 기재(33)의 표측면(33b)을 덮도록, 외각 형성체(12)로부터 전극 지지부(121)가 연장되어 있다. 전극 지지부(121)의 외표면(12a, 121a)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 321~323)의 외부 가장자리를 대략 따른 선 모양을 이루는 착색 영역(1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착색 영역(122)은 귤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외표면(12a, 121a)에는 상품명, 브랜드명, 그 외의 문자나 기호 등이 착색된 표시된 영역(그 외 착색 영역)도 존재하고 있다. 외표면(12a, 121a)에서, 착색 영역(122) 및 그 외 착색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착색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의 형성 재료가 표출되어 있다. 그리고, 외표면(12a, 121a)에서의 착색 영역(122)과 그 외 착색 영역과의 합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30% 미만이다. 즉,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의 영역은,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의 형성 재료인 엘라스토머가 착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표출되어 있고, 암색(본 예에서는 흑색)을 나타내고 있다.
또, 착색 영역(122)은, 착색 영역(122) 이외의 영역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해당 영역에 소정의 색의 잉크 등을 도포, 인쇄 등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이것을 대신하여, 착색 영역(122)은, 착색 영역(122) 이외의 영역과 다른 색을 나타내는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포, 인쇄 등을 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예에서의, 암색이란, 일본공업규격으로 규정되는 먼셀 표색계(JIS Z8721:1993)에서, 명도가 5.0 이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상기 암색의 영역은, 먼셀 표색계에서의 명도가 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또,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상기 암색의 영역의 먼셀 표색계에서의 채도는, 예를 들면, 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상기 암색의 영역의 먼셀 표색계에서의 색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이라도 좋다. 상기 암색의 영역의 먼셀 표색계에서의 명도, 채도 및 색상은, 상술의 일본공업규격에 근거하여, 색채계에 의해 측색(測色)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표면(12a, 121a)에서, 먼셀 표색계에서의 착색 영역(122)의 명도는 6.5~7.0, 채도는 12~13.5(색상 5YR에서의 명도와 채도와 관계를 나타낸 도 17의 (b)를 참조)이었다. 한편, 착색 영역(122) 및 그 외 문자 영역 이외의 영역의 명도는 1.0~2.0이며, 채도는 0이었다. 또, 도 17의 (a) 및 도 17의 (b)은 실제로는 칼라이지만, 도면 작성의 관계로부터 칼라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레이 스케일에 의해서 나타냈다.
또 상기 암색의 영역의 측색은, 먼셀 표색계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CIE1976L*a*b(JIS Z8781-4:2013), L*C*h표색계, 헌터 Lab표색계, XYZ(Yxy) 표 색계 등의 다른 표색계(表色系)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표색계는 모두 서로 변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표색계에 의해 상기 암색의 영역을 측색한 경우라도, 먼셀 표색계로 변환하여 명도, 채도 및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전극부(30)가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를 연결하는 코드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전극부(30)와 본체부(10)가 일체적으로 인체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위로부터 착의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는 외표면(12a, 121a)의 70% 이상의 영역이 암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백색 등이 밝은 색의 경우에 비해 광을 반사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비쳐 보이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출처 등의 남의 눈이 신경이 쓰이는 장소에서도,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의 영역이 암색이기 때문에, 백색 등의 밝은 색의 경우에 비해 광을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광을 받아 비교적 따뜻해지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사용 중에 광을 직접 받거나, 의복을 투과한 광을 받거나 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빨리 따뜻해진다. 이것에 의해, 근육이 따뜻해지지 않은 상태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해서 해당 근육이 따뜻해져, 해당 근육의 혈행이 촉진된다. 그 결과, 해당 근육의 수축에 의해서 생기는 노폐물을 해당 근육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부(30)는,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된 시트 모양의 기재(33)에, 복수의 전극(311~323)과, 전극(311~323)과 전원부(20)를 제어부(4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부(311a~313a, 321a~32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표면(12a, 121a)은, 본체부(10)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각 형성체(12)와, 해당 외각 형성체(12)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기재(33)에서의 전극(311~323)이 마련되는 측과 반대측에 형성된 전극 지지부(1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된 시트 모양의 기재(33)에 전극부(3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전극부(30)를 간이한 구성으로 일체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박형으로 형성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위로부터 착의해도 해당 의복의 위에서는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남의 눈이 신경이 쓰이는 장소에서도 사용하기 쉬워진다. 또, 박형으로 형성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휴대성도 뛰어나다.
또, 본 예에서는,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은, 암색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의 형성 재료인 엘라스토머를 외표면(12a, 121a)에 표출시키는 것에 의해, 외표면(12a, 121a)이 암색을 나타내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특별한 착색을 실시하지 않고, 외표면(12a, 121a)이 암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를 형성하는 암색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는, 암색을 나타내는 실리콘 수지이다. 비교적, 열전도율이 낮은 실리콘 수지에 의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각이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암색을 나타내는 외표면(12a, 121a)이 광을 받는 것에 의해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가 따뜻해지기 쉬워짐과 아울러,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가 열전도율이 비교적 낮은 실리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각 형성체(12) 및 전극 지지부(121)가 따뜻해진 상태로 유지되기 쉽다. 이것에 의해, 해당 근육에서의 혈행이 한층 촉진되어, 해당 근육에 생긴 노폐물을 한층 적극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외표면(12a, 121a)에서의 착색 영역(122) 및 그 외 착색 영역 이외의 영역)은, 먼셀 표색계에서의 명도가 5.0 이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에서의 광의 흡수성이 높게 되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따뜻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해당 근육에서의 혈행이 한층 촉진된다. 그 때문에, 상기 노폐물의 배출 작용을 한층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상기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은, 먼셀 표색계에서의 채도가 3.0 이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에서의 광의 반사가 억제되기 때문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인체(2)에 장착한 상태로 그 위로부터 착의했을 때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비쳐 보이는 것이 한층 저감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상기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은, 흑색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먼셀 표색계에서의 명도 및 채도의 양쪽 모두가 충분히 낮은 값이 되고, 상술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따뜻해지는 것에 의한 노폐물의 배출 작용의 한층 촉진과, 상술의 광의 반사 억제에 의한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비쳐 보이는 것의 한층 저감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4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의복 아래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복으로부터 비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근육에서의 혈행을 촉진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평가 시험)
본 발명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하여 의류를 착의한 상태에서의 비침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시험을 행했다.
해당 평가 시험에서는, 시험 대상으로서, 도 18의 (a)에 나타내는 테스트 패턴(1), 도 18의 (b)에 나타내는 테스트 패턴(2), 도 18의 (c)에 나타내는 테스트 패턴(3), 도 18의 (d)에 나타내는 테스트 패턴(4), 도 18의 (e)에 나타내는 테스트 패턴(5)을 이용했다. 테스트 패턴(1~5)은, 한 변이 3cm의 정방형 모양의 지편(紙片)으로서, 그 표면에는, 도 18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색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의 흑색에 가지는 흑색부(181)와 그 외 착색 영역으로서의 귤색으로 착색된 착색 영역(182)이 각각 소정의 패턴이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테스트 패턴(1~5)은 모두, 그 표면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각각 10개의 격자 모양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격자가 흑색 또는 귤색이 되는 것에 의해, 흑색부(181)와 착색 영역(182)이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시험예에서는, 도 18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테스트 패턴(1~5)에서도, 100%에서는, 흑색부(181)가 전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착색 영역(182)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각 테스트 패턴(1~5)의 90%에서는, 흑색부(181)가 90%를 차지하고, 착색 영역(182)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각 테스트 패턴(1~5)의 80%, 70%, 60%, 50%에서는, 흑색부(181)가 각각 80%, 70%, 60%, 50%를 차지하고, 착색 영역(182)이 각각 20%, 30%, 40%, 50%를 차지하고 있다. 테스트 패턴(1~5)에서의 흑색부(181) 및 착색 영역(182)은,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테스트 패턴(3~5)에서는, 테스트 패턴(1, 2)보다도 착색 영역(182)이 분산된 상태로 되어 있다.
평가 시험의 방법은, 실내에서의 형광등의 조명 아래에서, 손바닥에 얹은 테스트 패턴(1~5)을 셔츠로 덮고, 육안에 의해 테스트 패턴(1~5)이 비쳐 보이는지 어떤지를 평가했다. 시험의 실시자(황색 인종, 남녀)는 5명으로 했다. 셔츠는, 백색 무지(無地)의 신사용 와이셔츠로서, 재질은 면 및 폴리에스테르이었다. 평가 기준은, 셔츠를 통하여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경우를 ○, 비침이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경우를 △, 비침이 신경이 쓰이는 경우를 ×로 했다. 시험은 실시자가 각자 행하는 것으로 했다. 각 실시자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그리고, 각 실시자의 평가에서, 테스트 패턴(1~5)을 흑색부(181)의 비율마다 합산하여, ○ 및 △의 수와 그 모수(母數)(25개)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고, ×의 수와 그 모수(25개)에 대한 비율을 표 6에 나타냈다.
[표 6]
Figure pat00007
[표 7]
Figure pat00008
표 6,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全)실시자에서, 흑색부(181)의 비율이 10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에서 ○이고,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게다가 전실시자에서, 흑색부(181)의 비율이 9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에서 ○ 또는 △이고,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지,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흑색부(181)의 비율이 8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의 92%라고 하는 높은 비율로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거나,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 흑색부(181)의 비율이 7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의 56%라고 하는 절반 이상의 비교적 높은 비율로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거나,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한편, 흑색부(181)의 비율이 6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의 20%라고 하는 절반 미만의 낮은 비율로 밖에,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지,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마찬가지로, 흑색부(181)의 비율이 50%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 패턴(1~5)의 16%라고 하는 절반 미만의 낮은 비율로 밖에,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거나,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이상의 평가 결과로부터, 테스트 패턴(1~5)에서, 흑색부(181)의 비율이 70%이상인 경우에, 테스트 패턴(1~5)의 비침이 신경이 쓰이지 않거나,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표면(12a, 121a)에서의 70% 이상의 영역이 암색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착의한 의복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비쳐 보이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외출처 등의 남의 눈이 신경이 쓰이는 장소에서도, 사용하기 쉬워지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5)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근육에 자극을 부여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전원을 내장하고 조작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며, 한 쌍의 전극을 인체에 붙이는 것에 의해, 전기 펄스를 인체에 흘려 근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에는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겔상(狀)의 패드가 붙여져 있고, 해당 패드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전극 및 본체부를 인체에 붙여짐과 아울러, 해당 패드의 도전성을 이용하여 전극과 인체를 통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반복 사용하면, 패드의 점착력이 저하되어 전극이 인체로부터 벗겨지기 쉽게 되어, 양자 사이의 통전 상태가 악화되거나, 패드에 이물이 부착하여 오염물이 눈에 띄거나 한다. 그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패드를 새로운 것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환시에는, 낡은 패드를 각 전극으로부터 벗긴 후, 새로운 패드를 각 전극에 붙일 필요가 있다. 만일, 새로운 패드가 적정한 위치에 붙여져 있지 않아 전극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시에 전극과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과도하게 전류가 흘러 사용자가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새로운 패드를 각 전극에 붙일 때에는, 사용자는 각 전극이 노출하지 않도록 주위를 기울이면서, 패드를 적정한 위치에 붙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패드의 장착 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실시예 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1~도 4,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전원부(20), 전극부(30), 제어부(40), 조작부(50), 패드(35)를 구비한다. 전원부(20)는, 본체부(10)에 수납되어 있다. 전극부(30)는, 전원부(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부(40)는, 전극부(3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조작부(50)는, 제어부(40)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패드(35)는 겔상으로서,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가지며, 전극부(30)에 교환 가능하게 붙여져 있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전극부(30)로부터 인체(2)(도 5 참조)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극부(30)는, 시트 모양의 기재(33)에 전극(311~3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에는, 전극(312)을 덮도록 패드(35)가 붙여지는 패드 붙임 영역(36)과,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패드(35)의 두께 방향(Z)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서의 두께 방향(Z)의 길이(37a)는 패드(35)의 두께(35a) 보다도 짧다.
또, 도 19의 (a)에서는, 전극(312)에서의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른 전극(311, 313~323)에 대해서도와 마찬가지로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의 이측면(33a)에는, 패드 붙임 영역(36)과,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 붙임 영역(3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 321~323)마다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서, 각 전극(311~313, 321~323)보다도 약간 큰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형은 모두 대략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의 두께 방향(Z)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부(36a) 중, 전극(311~313, 321~323)과 리드부(311a~313a, 321a~323a)와의 접속부를 덮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36b)를 제외한 외부 가장자리 전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기재(33)의 가장자리부(33d)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 붙임 영역(36)은, 기재(33)의 이측면(33a)에서,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보다도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환언하면, 기재(33)의 일부가 두께 방향(Z)으로 함몰하여 오목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60)의 내저면(內底面)이 상기 패드 붙임 영역(36)을 구성하고, 기재(33)에서의 오목부(360)의 외측 영역이 오목부(360)의 내측 주위면(외부 가장자리(36a))과 함께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를 구성하고 있다.
도 19의 (b),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붙임 영역(36)에는, 패드(35)가 붙여져 있다. 패드(35)는,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가지며, 겔상을 이루고 있다. 본 예에서는, 패드(35)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세키스이 카세힝 공업 주식회사제「테크노 겔(등록상표)」, 형번 SR-RA240/100을 사용하고 있다. 패드(35)는 시트 모양임과 아울러, 패드 붙임 영역(36)의 대략 동일 형상으로서, 모서리부를 둥글게 형성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35)는, 그 가장자리부를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의 벽면을 따르게 하면서, 패드 붙임 영역(36)에 재치하는 것에 의해, 패드 붙임 영역(36)에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각 패드(35)는, 각 전극(311~313, 321~323)을 개별로 덮게 된다. 그리고, 패드(35)는 도전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각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각 전극(311~313, 321~323)과 복부(3)(도 5 참조)와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패드(35)는 높은 점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복부(3)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35)와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간극)가 존재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패드(35)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마련해도 좋다. 즉, 패드(35)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 보다도 약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패드(35)의 측면(35b)과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간극을 마련해도 좋다. 해당 클리어런스는, 패드(35)가 패드 붙임 영역(36)에 붙여졌을 때에, 각 전극(311~323)이 노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를 마련한 경우에는, 패드(35)를 교환할 때에, 패드 붙임 영역(36)에 붙여진 패드(35)의 단부와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의 사이에 손가락등을 넣기 쉬워, 해당 패드(35)를 벗기기 쉬워진다. 또, 사용시에서, 클리어런스에 의해서 피부 표면과 기재(33)의 이측면(33a)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환기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생한 땀을 배출하기 쉬워진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패드(35)의 두께 방향(Z)으로 돌출되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35)를 패드 붙임 영역(36)에 붙일 때에,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 패드(35)의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하면서 패드(35)를 패드 붙임 영역(36)에 재치하여 붙이는 것에 의해, 패드(35)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전극부(30)(전극(311~323))의 노출 방지를 위해서 특별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아도, 패드(35)는 적정한 위치에 붙여져, 전극부(30)(전극(311~323))의 노출이 방지된다. 그 결과, 패드(35)의 장착 작업의 수고가 경감되게 된다. 또, 만일, 사용중에 패드의 점착력이 약해진 경우에서도 패드의 위치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전극부(30)(전극(311~323))의 노출이 방지된다.
또, 만일, 패드(35)의 위치가 어긋나 있거나, 패드 붙임 영역(36) 보다도 작은 패드를 사용하거나 한 경우에는, 전극부(30)(전극(311~323))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시에서, 인체(2)(맨살갗)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돌출 형성된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 접촉하여, 패드 붙임 영역(36) 내에 노출한 전극부(30)(전극(311~323))에 맞닿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만일, 전극부(30)(전극(311~323))가 노출된 경우라도, 인체(2)(맨살갗)와 전극(311~323)이 직접 흐르게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패드 붙임 영역(36) 내에 붙인 패드(35)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 의해서 덮이게 되기 때문에, 패드(35)의 측면의 해당 적어도 일부에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기재(33)는,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재(33)에는, 복수의 전극(311~323)과 전원부(20)를 제어부(4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리드부(311a~3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전극부(30)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극부(30)와 전원부(20)를 접속하는 코드 등이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시트 모양의 기재(33)가 본체부(10)로부터 연장 마련된 구성이기 때문에, 박형으로 형성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휴대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한 상태에서 그 위로부터 착의해도 눈에 띄기 어렵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외출시에도 사용하기 쉽게 된다.
또, 본 예에서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 중, 전극부(30)와 리드부(311a~323a)와의 접속부를 덮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36b)를 제외한 외부 가장자리 전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35)를 패드 붙임 영역(36)에 붙일 때에, 패드(35)의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체를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를 따르게 하여 붙일 수 있기 때문에, 패드(35)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패드(35)의 위치 어긋남에 특별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아도, 전극(311~323)의 노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패드(35)를 붙일 때의 수고가 한층 경감된다.
또,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 중, 외부 가장자리(36b)를 제외한 외부 가장자리 전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부 가장자리(36b)에 인접하도록, 리드부(311a~313a, 321a~323a)를 덮는 피복 부재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 피복 부재는, 예를 들면, 기재(33)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피복 부재와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 의해서,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 전체에 인접하여 둘러싸도록 해도 괜찮다.
또, 본 예에서는, 기재(33)의 일부에는, 두께 방향(Z)에서 함몰한 오목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60)의 내저면이 패드 붙임 영역(36)을 구성하고, 기재(33)에서의 오목부(360)의 외측 영역이 오목부(360)의 내측주면(內側周面)(외부 가장자리(36a))과 함께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재(33)에 오목부(360)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패드 붙임 영역(36)과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의 양쪽 모두를 형성할 수 있고, 양자의 형성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제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 오목부(360)는 기재(33)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전극(311~323)과 대략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로 기재(33)의 이측면(33a)을 형성함과 아울러,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도록, 기재(33)의 이측면(33a)에, 기재(22)와는 별도의 부재인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5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패드(35)를 붙일 때의 수고가 경감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기재(33)의 가장자리부(33d)까지 형성되어 있고, 패드 붙임 영역(36)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보다도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다음의 변형예 2와 같이 할 수 있다. 변형예 2에서는,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실시예 5의 경우의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도 19의 (a) 참조)에 비해,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의 폭이 좁게 되어 있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에 인접하는 리브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시에서,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와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적게 되기 때문에, 피부면과 기재(33)의 이측면(33a)과의 사이의 통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땀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해당 땀을 피부면과 기재(33)의 이측면(33a)과의 사이부터 배출시키기 쉬워진다. 또 해당 변형예 2에서도, 실시예 5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변형예 2에서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는,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 중, 전극(311~313, 321~323)과 리드부(311a~313a, 321a~323a)와의 접속부를 덮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36b)를 제외한 외부 가장자리 전체에 인접하도록 마련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변형예 3과 같이, 전극(322)의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부 가장자리(36a) 중, 패드 붙임 영역(36)의 외측(좌측 방향(X2))의 양 모서리부의 외부 가장자리(36c)에 인접하도록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를 돌출 형성해도 좋다.
또, 변형예 3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극군(32)의 전극(322)에서의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전극군(32)에서의 다른 전극(321, 323)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극(3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전극군(31)의 전극(311~313)에서의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는, 도시하지 않지만, 중심선(10a)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2 전극군(32)의 패드 붙임 영역(36) 및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와 선대칭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가 형성되는 영역이 적게 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피부면과의 접촉 면적을 적게 할 수 있고, 환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가 피부에 닿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사용후에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가 피부에 맞닿는 흔적이 남기 어렵다. 또, 각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의 가장자리부는 얇게 되어 있지만,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패드 붙임부(36)의 가장자리부가 두껍게 되어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인체에 붙여진 상태로부터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떼어낼 때에, 패드 붙임부(36)의 가장자리부를 들어 올리기 쉬워,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떼어내기 쉬워진다. 그리고, 해당 변형예 3에서도, 실시예 5에서, 외부 가장자리 돌출부(37)가 접속부를 덮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36b)를 제외한 외부 가장자리 전체에 인접하도록 마련한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실시예 5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전원을 내장하고 조작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 마련된 기재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며, 전극으로부터 인체에 전기 펄스를 흘려 근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은, 본체부가 위치하는 시트 모양의 기재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기재에 형성된 전극에는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겔상의 패드가 붙여져 있고, 해당 패드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전극 및 본체부가 인체에 붙여짐과 아울러, 해당 패드의 도전성을 이용하여 전극과 인체를 통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반복 사용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패드의 점착력이 저하되면, 사용중에 전극이 피부면으로부터 점차 벗겨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전극이 점차 벗겨져 감에 따라, 해당 전극과 피부면과의 패드를 개입한 맞닿음 부분이 점차 작게 되고, 해당 맞닿음 부분의 단위면적당 전류량이 점차 커진다. 그 때문에, 전극이 벗겨짐이 크게 되어, 해당 맞닿음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면, 해당 맞닿음 부분의 단위면적당 전류량이 과도하게 크게 되어, 사용자가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실시예 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실시예 1에서 도 1, 도 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기재(33)에 형성된 전극(311~313, 321~323)과,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가지는 겔상의 패드(35)를 각각 복수 구비한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전극(311~313, 321~323)으로부터 인체(2)(도 5 참조)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재(33)에는, 패드(35)가 전극(311~313, 321~323)을 덮도록 붙여지는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전극(311~313, 321~323)에는, 전극(311~313, 321~323)을 덮는 패드(35)의 면적의 10~65%의 면적을 가지는 전극(311~313, 321~323)이 포함되어 있다.
또, 패드(35)는,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패드(35)의 점착력이 저하된 경우나 패드(35)의 오염물이 눈에 띈 경우에, 패드(35)를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로부터 떼어내어, 해당 패드(35)를 세정한 후에 재차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장착하거나, 패드(35)를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로부터 떼어내어, 새로운 패드(35)를 해당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유통 과정에서는, 그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패드(35)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 또는 사용 전에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패드(35)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한편, 패드(35)가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고착되어 있고, 해당 패드(35)를 떼어낼 수 없거나, 혹은, 교환하는 것이 상정(想定)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따라서, 해당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적어도 그 사용 상태에서, 패드(35)가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붙여져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각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는, 본체부(10)에 접합된 시트 모양의 기재(33)가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극 베이스부(331~333)는 각각, 중심선(1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우측 방향(X1)을 향하는 연장 방향(331x~333x)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연장 방향(331x, 332x)은 Y방향에서의 상부로 약간 향하고 있고, 연장 방향(333x)은 Y방향에서의 하부로 약간 향하고 있다. 또, 전극 베이스부(341~343)는 각각, 중심선(1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좌측 방향(X2)을 향하는 연장 방향(341x~343x)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연장 방향(341x, 342x)은 Y방향에서의 상부로 약간 향하고 있고, 연장 방향(343x)은 Y방향에서의 하부로 약간 향하고 있다. 각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의 연장 방향(331x~333x, 341x~343x)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311~323)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패드(35)의 외형은, 각 전극(311~313, 321~323)의 외형 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각 패드(35)의 면적은, 각 전극(311~313, 321~323)의 면적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패드(35)는,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붙여져 있다.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는, 패드(35)가 붙여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으로서, 본 예에서는,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의 외형을 패드(35)의 외형 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해당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의 이면(33a)의 전역을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로 하고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서, 전극(311~313, 321~323)은,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서, 일방의 단부(본 예에서는, 단부(361a~363a, 371a~373a))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단부(361a)는, 패드 붙임부(361)에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기재(33)의 중심(33c)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단부(362a, 363a, 371a~373a)도, 각각 패드 붙임부(362, 363, 371~373)에서, 기재(33)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기재(33)의 중심(33c)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로 되어 있다.
각 패드(35)는, 패드 붙임부(361~363, 371~373)에 붙여져, 각 전극(311~313, 321~323)의 전역을 각각 덮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35)는, 전극(312)의 전역을 덮는 전극 피복부(350)와, 전극(312)을 덮고 있지 않은 전극 비(非)피복부(353)로 이루어진다. 전극 비피복부(353)는, 전극 피복부(350)의 외부 가장자리(351) 중,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과 반대측의 외부 가장자리(351a)로부터 넓게 연장된 패드 연장부(352)를 가진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비피복부(353)에서 패드 연장부(352)의 연장량(외부 가장자리(351a)와 패드 연장부(352)에서의 연장 방향(332x)과 반대측의 외부 가장자리(352a)와의 최단 거리)(W1)은, 패드(35)의 전극 비피복부(353)에서, 전극 피복부(350)의 외부 가장자리(351) 중,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측의 외부 가장자리(351b)로부터의 연장량(W2),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 및 두께 방향(Z)(도 25 참조)에 직교하는 방향(332y)의 외부 가장자리(351c, 351d)로부터의 연장량(W3, W4) 보다도 충분히 크다. 이것에 의해, 패드 연장부(352)는,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과 반대측으로 넓게 연장되어 있다. 또, 전극(311, 313, 321~323)을 덮는 패드(35)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된 전극 피복부(350)와 패드 연장부(352)를 포함하는 전극 비피복부(353)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각 패드(35)는, 각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외형 보다도 약간 큰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각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전역을 덮도록 붙여진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연장부(352)의 연장량(W1)은, 전극(312)의 연장 방향(332x)의 길이(W0)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패드 연장부(352)의 면적은, 전극(312)의 면적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다른 전극(311, 313, 321~32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25의 (a),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 사용중에 제2 우측 전극(312)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상태에서는, 패드(35)의 전역이 피부면(6)과 밀착하고 있으며, 제2 우측 전극(312)의 전역이 해당 패드(35)를 매개로 하여, 피부면(6)에 맞닿고 있다. 따라서, 제2 우측 전극(312)과 피부면(6)과의 패드(35)를 매개로 한 맞닿음 부분(G)은 전극 피복부(350)의 전역에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복부(3)의 피부면(6)은, 배꼽(3a)(도 5 참조)으로부터 옆구리(3b)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곡률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도 25의 (a),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꼽(3a)으로부터 옆구리(3b)를 향하는 방향은,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과 대략 일치하고 있고, 피부면(6)을 따라서 연장 방향(332x)으로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곡률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반복 사용하는 등에 의해, 패드(35)의 점착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우측 전극(312)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재(33)의 전극 베이스부(332)의 외부 가장자리(332b), 즉,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의 선단에서, 패드(35)가 피부면(6)으로부터 떨어져, 제2 우측 전극(312)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진다. 그리고, 제2 우측 전극(312)에서의 해당 박리는, 전극 베이스부(332)의 연장 방향(332x)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해당 박리의 진행에 따라서, 제2 우측 전극(312)과 피부면(6)과의 패드(35)를 매개로 한 맞닿음 부분(G)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도 25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맞닿음 부분(G)은 극히 작게 되어 있다. 그러나, 패드(35)에서는, 전극 피복부(350)는 극히 작은 맞닿음 부분(G)에서 피부면(6)에 전극 피복부(350)를 매개로 하여 접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지만, 패드 연장부(352)는 피부면(6)에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우측 전극(312)으로부터의 전류는, 극히 작은 맞닿음 부분(G)에서의 전극 피복부(350)와, 패드 연장부(352)를 매개로 하여 피부면(6)에 흐르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2 우측 전극(312)으로부터 피부면(6)에 흐르는 전류가 과도하게 집중하지 않고, 사용자는 통증을 느끼기 어렵다. 또, 다른 각 전극(311, 313, 321~32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 상술(詳述)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패드(35)의 면적의 10~65%의 면적을 가지는 전극(311~32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311~323)에서는, 패드(35)의 면적 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 붙임부(361~373)에 붙여진 패드(35)에는, 전극(311~323)을 덮고 있는 전극 피복부(350)와, 전극을 덮고 있지 않은 전극 비피복부(353)가 형성되게 된다. 전극 피복부(350)는, 전극(311~323)과 피부면(6)의 양쪽 모두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는 전극(311~323)으로부터 전극 피복부(350)에 접하는 피부면(6)에 적극적으로 흐른다. 한편, 전극 비피복부(353)는 기재(33)에서 전극(311~32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적극적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패드(35)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하여, 전극 피복부(350)가 떨어지기 시작한 경우에는, 전극 피복부(350)를 매개로 한 전극(311~323)과 피부면(6)과의 맞닿음 부분은 점차 작아지지만, 전극 비피복부(353)는 피부면(6)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맞닿음 부분이 작게 되어도 전극 비피복부(353)를 매개로 하여 피부면(6)에서의 통전 면적이 확보되기 때문에, 피부면(6)에서의 단위면적당 전류량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 전력의 집중이 완화되어,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패드(35)의 면적이 전극(311~323)의 면적 보다도 충분히 크게 되기 때문에, 패드(35)를 붙일 때에 약간 위치 어긋남이 생겨도, 해당 패드(35)에 의해 전극(311~323)을 확실히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전극(311~323)이 패드(35)로부터 노출하여 피부면에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극(311~323)이 패드(35)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 후 등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인체(2)로부터 떼어낼 때에 손이 전극(311~323)에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패드 붙임부(361~373)는, 패드(35)의 붙임 위치를 표시하는 붙임 위치 표시부로서의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패드(35)를 적정한 위치에 붙이는 것이 한층 용이하게 되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311~323)은, 패드 붙임부(361~373)에서, 일방의 단부(361a~373a)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35)가, 전극(311~323)이 위치하는 측의 단부(362a) 이외의 어느 곳부터 벗겨진 경우에도, 패드(35)에서 전극(311~323)을 덮는 전극 피복부(350)는 피부면(6)에 맞닿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전력의 집중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예에서는, 일방의 단부(361a~373a)는, 패드 붙임부(361~373)에서, 기재(33)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기재(33)의 중심(33c)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361a~373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전극(311~323)은, 각 패드 붙임부(361~373)에서의 기재(33)의 중심(33c)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361a~373a)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전극(311~323)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각 전극(311~323)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자극이, 인체(2)에서의 보다 내측의 근육, 즉, 피부면(6)으로부터 인체(2)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근육에 닿기 쉽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이러한 근육을 효율 좋게 자극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311~3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붙임부(361~373)에서, 단부(361a~373a)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패드 붙임부(361~373)에서, 기재(33)의 중심(33c)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서, 패드(35)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하여, 패드(35)가 벗겨지는 경우에는, 전극 피복부(350)가 떨어지기 전에 전극 비피복부(353)가 떨어지기 쉽다. 그리고, 전극 비피복부(353)가 떨어지기 시작한 경우에는, 전극 피복부(350)는 피부면(6)에 맞닿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의 집중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통증을 느끼기 전에, 패드(35)(전극 비피복부(353))의 벗겨짐에 눈치채기 쉬워진다. 그 결과, 통증을 느끼기 전에 패드(35)를 바로 붙이는 것이 촉구되게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의 전극(311~323)에는, 기재(33)의 중심(33c)을 통과하는 가상 중심선으로서의 중심선(10a)에 의해서 이분(二分)된 일방에 위치하는 것(전극(311~313))과, 타방에 위치하는 것(전극(321~323))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311~313)과 전극(321~323)이 가상 중심선(중심선(10a))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각 전극(311~323)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자극이, 피부면(6)으로부터 인체(2)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근육에 한층 닿기 쉬워진다. 그 결과, 이러한 근육을 한층 효율 좋게 자극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기재(33)는,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를 복수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전극 베이스부(331~333, 341~343)의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311~323)과 본체부(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 복수의 전극(311~323)을 일괄하여 붙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전극(311~323)을 붙일 때의 수고가 경감되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 패드(35)는 전극 베이스부(331~343)의 단부(332b)로부터, 전극 베이스부(331~343)의 연장 방향(331x~343x)과 반대 방향으로 벗겨지기 쉽다. 그 때문에, 패드(35)가 전극 베이스부(331~343)의 단부(332b)로부터 전극 베이스부(331~343)의 연장 방향(331x~343x)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피부면(6)으로부터 점차 벗겨지면, 패드(35) 중 전극(311~323)을 덮는 전극 피복부(350)를 매개로 하여 접하는 전극(311~323)과 피부면(6)과의 맞닿음 부분(G)은 점차 작아지지만, 패드(35) 중 전극 피복부(350)로부터 전극 베이스부(331~343)의 연장 방향(331x~343x)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패드 연장부(352)는, 피부면(6)에 맞닿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맞닿음 부분(G)이 작아져도 패드 연장부(352)를 매개로 하여 피부면(6)에서의 통전 면적이 확보되기 때문에, 피부면(6)에서의 단위면적당 전류량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재(33)에서, 전극 베이스부(361~373)가 연장되는 방향(연장 방향(331x~343x))은, 전극(311~323)의 배치 등에 근거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33)의 중심(33c)을 통과하여 기재(33)의 주면(主面)(33b)에 평행한 가상 중심선으로서의 중심선(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거나, 또한 기재(33)에서, 중심선(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계부를 마련하고, 해당 중계부로부터 임의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거나 해도 괜찮다.
또, 본 예에서는, 본체부(10)는 기재(33)의 중심(33c)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본체부(10)와 각 전극(311~323)과의 사이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 좋게 각 전극(311~323)에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일부에 실리콘 코팅을 실시하여, 전극(311~323)을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 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실리콘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전역을 해당 전극(311~323)으로 한 경우에 비해, 각 전극(311~323)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35)는 패드 연장부(35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패드의 크기가 확보되어 있다. 또, 각 전극(311~323)에 공급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예와 같이, 전지(21)로서 코인 전지를 채용하고 있어도, 6개의 전극(311~323)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에 있어서의 실리콘 코팅이 실시된 부분은 전극으로서는 작용하지 않지만, 패드(35)를 붙일 때의 가이드가 된다. 즉,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가, 패드(35)를 붙이는 위치를 표시하는 붙임 위치 표시부를 형성하고 있다. 붙임 위치 표시부로서의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전체를 덮도록 패드(35)를 붙이면, 패드(35)가 전극(311~323)의 전역을 덮는 것과 아울러, 패드 연장부(352)의 면적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6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 중에 패드(35)가 벗겨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일부에 실리콘 코팅을 실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변형예 4와 같이,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형상을 미리 각 전극(311~323)과 동일한 형상으로 해두고,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의 대략 전역을 각 전극(311~323)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에는, 실리콘 코팅이 실시되지 않지만, 리드부에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코팅이 실시되어, 외부와 도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실시예 6에서, 은페이스트 인쇄부(311b~323b)가 패드(35)를 붙일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실시예 6에서는, 6개의 전극(311~313, 321~323)을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8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예 5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으로서, 전극(311~313, 321~323)에 더하여, 제4 우측 전극(317) 및 제4 좌측 전극(328)을 가지며, 합계 8개의 전극을 가진다. 또 변형예 5에서, 실시예 1~6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5에서는, 제4 우측 전극(317)은, 제2 우측 전극(312)과 제3 우측 전극(313)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4 좌측 전극(328)은, 제2 좌측 전극(322)과 제3 좌측 전극(323)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4 우측 전극(317) 및 제4 좌측 전극(328)에서도, 다른 전극(311~323)과 마찬가지로, 패드(35)가 마련되어 있고, 패드 연장부(352)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5에서도 실시예 6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패드 연장부(35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패드(35)의 크기를 확보하면서, 각 전극(311~313, 317, 321~323, 318)에 공급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예 5와 같이 8개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예에서는, 6개의 전극(311~313, 321~323)이 모두 패드(35)의 면적의 10~65%의 범위 내의 면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의 전극이, 패드(35)의 면적의 65%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참고예 2와 같이 할 수 있다. 즉, 참고예 2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전극(314, 315, 324)을 구비한다. 참고예 2에서, 실시예 1~6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예 2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Y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기재(33)의 중심(33c)에 본체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재(33)의 Y방향 상측에 두갈래로 나누어져 연장된 한 쌍의 전극 베이스부(334, 335)에는, 각각 전극(314, 315)이 마련되어 있고, 기재(33)의 Y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전극 베이스부(344)에는, 전극(324)이 마련되어 있다.
전극(314, 315)은, 실시예 6에서의 전극(314, 315)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전극(314)의 리드부(314a)와, 전극(315)의 리드부(315a)는, 양자와 마찬가지로 은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함과 아울러 코팅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31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310)는, 제어부(40)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극(324)은, 기재(33)의 이면(33a)에 형성된 은페이스트 인쇄부(324b)로 이루어진다. 은페이스트 인쇄부(324b)에는, 코팅이 실시되어 있지 않고, 은페이스트 인쇄부(324b)의 대략 전역이 전극(324)으로 되어 있다. 은페이스트 인쇄부(324b)는, 전극(314, 315)을 형성하는 은페이스트 인쇄부(314b, 315b)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극(314, 315)과 전극(324)은, 대략 동일한 면적으로 되어 있다. 전극(324)은, 은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함과 아울러 코팅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리드부(324a)를 매개로 하여 제어부(40)의 출력 단자 중, 상기 연결부(310)가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반대의 극성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3)의 Y방향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극 베이스부(334, 335)가 패드 붙임부(364, 365)를 각각 형성하고, Y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전극 베이스부(344)가 패드 붙임부(37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극(314, 315, 324)을 덮도록 각각 각각 패드(35)가 붙임부(364, 365, 374)에 붙여진다. 전극(324)에 붙여지는 패드(35)는, 패드 붙임 위치 표시부로서의 은페이스트 인쇄부(324b)의 크기에 맞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극(314, 315)을 덮는 패드(35)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324)의 면적은, 전극(324)을 덮는 패드(35)의 면적의 85%로 되어 있다. 또 전극(314, 315)의 면적은, 실시예 6의 경우와 같이, 양자를 각각 덮는 패드(35)의 면적의 45%로 되어 있다.
본 참고예 2에서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314, 315, 324) 중, 일부의 전극(전극(324))이, 해당 전극(324)을 덮는 패드의 면적의 65%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극(314, 315)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당 전극(314, 315)을 덮는 패드의 면적의 10~65%의 범위 내의 면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참고예 2의 전극(314, 315)에서, 실시예 6에서의 전극이 4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실시예 6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7)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한 쌍의 전극이 구비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복수의 근육에 효율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전극의 수를 늘리는 것이 고려되지만, 단순히 전극의 수를 늘리면, 전극과 제어부와의 통전 거리에 편차가 생기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통전 거리의 편차에 기인하여, 전극과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부에서의 전기 저항이 전극마다 불균일하여, 각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자극이 쉽게 불균일해진다. 그 결과,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통전 거리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단순히 각 리드부를 동등한 길이로 하면, 전극의 배치의 자유도가 크게 저하해 버려, 전극을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배치하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 전원부(20)(도 4 참조), 전극부(30), 제어부(40), 리드부(38, 39)를 구비한다. 전원부(20) 및 제어부(40)는, 본체부(10)에 수납되어 있다. 전극부(30)는, 전원부(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3개 이상의 전극(311~323)을 가진다. 제어부(40)는, 전극부(3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리드부(38, 39)는 전극부(30)와 제어부(4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극부(30)로부터 인체(2)(도 5 참조)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동일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단자(451, 452(461, 462))를 가진다.
리드부(38(39))는, 복수의 단자(451, 452(461, 462))끼리를 접속하는 단자 접속부(383(393))와, 단자 접속부(383(393))와 전극(311~313(321~323))을 접속하는 전극 접속부(385~387(395~397))를 가진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단자(451, 452(461, 462))까지의 최단 경로(L1~L3(L4~L6))의 길이는 각각, 최단 경로(L1~L3(L4~L6))의 평균 길이와의 차이가, 평균 길이의 20% 미만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각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단자(451, 452(461, 462))까지의 최단 경로(L1~L3(L4~L6))」는,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먼저, 리드부(38(39))에서, 하나의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하나의 단자(451, 452(461, 4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경로의 각 위치에서의 리드부(38(39))의 폭방향의 중앙을 연결한 경로 가상선을 그리고, 그 경로 가상선의 길이를 해당 경로의 길이로 한다. 그리고, 하나의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복수의 단자(451, 452(461, 462))의 각각의 경로의 길이를 도출하여, 그 중 가장 짧은 것을 해당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단자(451, 452(461, 462))까지의 최단 경로로 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부로서의 제1 리드부(38)는, 제1 제어부측 접속부군(群)(380)과, 제1 단자 접속부(383)와, 제1 전극 접속부군(384)을 가진다. 제1 제어부측 접속부군(380)은, 제1 단자군(45)에 속하는 복수의 단자(제1 단자(451), 제2 단자(452))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로 이루어진다. 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는, 각각 본체부(1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 및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는, 각각 제1 케이스(111)의 내벽을 따라서 두께 방향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제어 기판(41)과 평행하게 절곡된다. 그리고, 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 및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의 선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116)와 제어 기판(41)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부로서의 제1 단자 접속부(383)는, 제1 제어부측 접속부군(380)에 속하는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가 서로 통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단자 접속부(383)는 본체부(10)의 외부 가장자리(10b)를 따라서 대략 반원호(半圓弧)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단자 접속부(383)의 일단에 제1 제어부측 접속부(381)가 마련되고, 타단에 제2 제어부측 접속부(38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전극 접속부군(384)은, 제1 단자 접속부(383)로부터 제1 전극군(31)에 속하는 복수의 전극(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제3 우측 전극(313))을 향해서 연장됨과 아울러 해당 복수의 전극(311~313)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극 접속부(제1 전극 접속부(385), 제2 전극 접속부(386), 제3 전극 접속부(387))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제1 전극 접속부(385), 제2 전극 접속부(386), 제3 전극 접속부(387)는 모두 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로서의 제2 리드부(39)는, 제1 리드부(38)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측 접속부군(390)과, 제2 단자 접속부(393)와, 제2 전극 접속부군(394)을 가진다. 제2 제어부측 접속부군(390)은, 제2 단자군(46)에 속하는 복수의 단자(제3 단자(461), 제4 단자(462))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제3 제어부측 접속부(391), 제4 제어부측 접속부(39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리드부(38)와 마찬가지로, 제3 제어부측 접속부(391) 및 제4 제어부측 접속부(392)의 선단이 보스(116)와 제어 기판(41)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 단자 접속부로서의 제2 단자 접속부(393)는, 제1 리드부(3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측 접속부군(390)에 속하는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제3 제어부측 접속부(391), 제4 제어부측 접속부(392))가 서로 통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리드부(3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단자 접속부(393)는 본체부(10)의 외부 가장자리(10b)를 따라서 대략 반원호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2 단자 접속부(393)의 일단에 제3 제어부측 접속부(391)가 마련되고, 타단에 제4 제어부측 접속부(39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전극 접속부군(394)은, 제1 리드부(3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단자 접속부(393)로부터 제2 전극군(32)에 속하는 복수의 전극(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제3 좌측 전극(323))을 향해서 연장됨과 아울러 해당 복수의 전극(321~323)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극 접속부(제4 전극 접속부(395), 제5 전극 접속부(396), 제6 전극 접속부(397))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제4 전극 접속부(395), 제5 전극 접속부(396), 제6 전극 접속부(397)은 모두 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1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드부(38)(도 30 참조)는, 제1 경로로서의 제1 우측 경로(L1), 제2 경로로서의 제2 우측 경로(L2), 제3 경로로서의 제3 우측 경로(L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제1 우측 경로(L1)는, 제1 단자(451)로부터 제1 우측 전극(311)을 향하여 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제1 우측 전극(31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우측 경로(L2)는, 제1 단자(451) 및 제2 단자(452)로부터 제1 단자 접속부(383)를 매개로 하여 제2 우측 전극(312)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우측 경로(L3)는, 제2 단자(452)로부터 제1 단자 접속부(383)를 매개로 하여 제3 우측 전극(313)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리드부(38)에서, 각 경로(L1~L3)는 각각의 전극(311~313)에 연결되는 최단 경로이다.
제1 리드부(38)에서의 각 경로(L1~L3)의 길이는, 이들을 평균한 평균 길이의 2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길이의 18%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길이의 15% 미만이다. 본 예에서는, 각 경로(L1~L3)의 길이는 각각, 40mm, 35mm, 31mm로서, 이들을 평균한 평균 길이는 35.33mm이다. 그리고, 각 경로(L1~L3)의 길이와 상기 평균 길이와의 차이는 각각, 4.67 mm, 0.33mm, 4.33mm로서, 상기 평균 길이의 13.21%, 0.93%, 12.26%로 되어 있다.
또, 도 31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드부(39)(도 30 참조)는, 제1 경로로서의 제1 좌측 경로(L4), 제2 경로로서의 제2 좌측 경로(L5), 제3 경로로서의 제3 좌측 경로(L6)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제1 좌측 경로(L4)는, 제3 단자(461)로부터 제1 좌측 전극(321)를 향하여 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제1 좌측 전극(32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좌측 경로(L5)는, 제3 단자(461) 및 제4 단자(462)로부터 제2 단자 접속부(393)를 매개로 하여 제2 좌측 전극(322)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좌측 경로(L6)는, 제4 단자(462)로부터 제2 단자 접속부(393)를 매개로 하여 제3 좌측 전극(323)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리드부(39)에서, 각 경로(L4~L6)는 각각의 전극(321~323)에 연결되는 최단 경로이다.
제1 리드부(38)와 마찬가지로, 제2 리드부(39)에서의 각 경로(L4~L6)의 길이는, 이들을 평균한 평균 길이의 2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길이의 18%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길이의 15% 미만이다. 본 예에서는, 각 경로(L4~L6)의 길이는 각각, 40mm, 35mm, 31mm로서, 이들을 평균한 평균 길이는 35.33mm이다. 그리고, 각 경로(L4~L6)의 길이와 상기 평균 길이와의 차이는 각각, 4.67mm, 0.33mm, 4.33mm로서, 상기 평균 길이의 13.21%, 0.93%, 12.26%로 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은, 동일한 가상 직선(F1)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도, 동일한 가상 직선(F2)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가상 직선(F1, F2)은, 중심선(10a)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 상술한다.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복수의 전극(311~313(321~323))의 각각으로부터 단자(451, 452(461, 462))까지의 최단 경로(L1~L3(L4~L6))의 길이는 각각, 최단 경로(L1~L3(L4~L6))의 평균 길이와의 차이가, 해당 평균 길이의 20% 미만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극(311~313(321~323))과 제어부(40)와의 통전 거리에 편차가 생기기 어렵고, 전극(311~313(321~323))과 제어부(4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부(38(39))에서의 전기 저항의 전극마다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전극(311~313(321~3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자극이 불균일하게 되기 어려워, 근육에 밸런스 좋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어부(40)에는 동일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단자(451, 452(461, 46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부(38(39))에는, 해당 복수의 단자(451, 452(461, 462))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383(393))와, 단자 접속부(383(393))와 전극(311~313(321~323))을 접속하는 전극 접속부(385~387(395~397))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38(39))를 매개로 한 최단 경로(L1~L3(L4~L6))를 짧게 유지하면서, 전극(311~313(321~323))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전극(311~313(321~323))을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의 전극(311~313(321~323))은, 동일한 가상 직선(F1(F2))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4)과 같이, 직선 모양으로 배열한 복수의 구획(4a)의 각각에 전극(311~313(321~323))을 대응시키기 쉽게 되기 때문에, 복직근(4) 등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동일 극성의 단자(451, 452(461, 462))가, 2개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은 구성으로 각 전극(311~313(321~323))과의 최단 경로(L1~L3(L4~L6))를 짧게 하면서,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전극부(30)의 제1 전극군(31)은 3개의 전극(311~313)을 가지며, 제2 전극군(32)은 3개의 전극(321~323)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4)이 신장 방향(Y)으로 구획된 3개의 구획(4a)에, 전극(311~313)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직근(4)을 한층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의 단자(451, 452, 461, 462), 전극(311~312, 321~323) 및 리드부(38, 39)는 각각, 본체부(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10a)에 의해 2분된 일방의 영역(제1 영역(G1))과 타방의 영역(제2 영역(G2))의 양쪽 모두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영역(제1 영역(G1))에 배치되는 전극(311~312)과 타방의 영역(제2 영역(G2))에 배치되는 전극(321~323)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심선(10a)이 사람(2)의 신장 방향(Y)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복부(3)의 한가운데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각 전극(311~312, 321~323)이 좌우의 복직근(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복직근(4)을 자극하는데 적합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단자 접속부(제1 단자 접속부(383) 및 제2 단자 접속부(393))는, 본체부(10)의 외부 가장자리(10b)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제1 리드부(38) 및 제2 리드부(39))를 짧게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381, 382, 391, 392)와 제어부(40)는, 나사(115)를 매개로 하여 체결 고정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복수의 제어부측 접속부(381, 382, 391, 392)를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12) 사이에 두고 제어부(40)에 압접(壓接)하도록 접속되도록 고정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7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각 전극(311~3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자극의 편차가 저감됨과 아울러, 전극(311~323)의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에서는, 6개의 전극(311~313, 321~323)을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 6과 같이, 8개의 전극(311~314, 321~324)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변형예 6에서, 실시예 1~7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6에서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군(31)에는, 제3 우측 전극(313)보다도 본체부(10)에 가깝고, 제2 우측 전극(312)보다도 먼 위치로서, 제2 우측 전극(312)과 제3 우측 전극(313)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우측 전극(311), 제2 우측 전극(312) 및 제3 우측 전극(313)과 함께 원호 모양 또는 선 모양으로 늘어선 제4 우측 전극(314)이 포함되어 있다.
제2 전극군(32)에는, 제3 좌측 전극(323)보다도 본체부(10)에 가깝고, 제2 좌측 전극(322)보다도 본체부(10)로부터 먼 위치로서, 제2 좌측 전극(322)과 제3 좌측 전극(323)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좌측 전극(321), 제2 좌측 전극(322) 및 제3 좌측 전극(323)과 함께 원호 모양 또는 선 모양으로 늘어선 제4 좌측 전극(324)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리드부(38)는, 제1 단자(451) 및 제2 단자(452)로부터 제1 단자 접속부(383)를 매개로 하여 제4 우측 전극(314)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1 우측 경로(L1)와 대략 동일 길이를 가지는 우측 경로(L7)를 가진다. 따라서, 제4 우측 경로(L7)의 길이도, 최단 경로의 평균 길이와의 차이가, 해당 평균 길이의 20% 미만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리드부(39)는, 제3 단자(461) 및 제4 단자(462)로부터 제2 단자 접속부(393)를 매개로 하여 제4 좌측 전극(324)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1 좌측 경로(L4)와 대략 동일 길이를 가지는 제4 좌측 경로(L8)를 가진다. 따라서, 제4 좌측 경로(L8)의 길이도, 최단 경로의 평균 길이와의 차이가, 해당 평균 길이의 20% 미만으로 되어 있다.
변형예 6에서도, 실시예 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변형예 6에서는, 전극부(30)에서의 제1 전극군(31) 및 제2 전극군(32)은, 각각, 전극(311~314, 321~324)를 4개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4)이 긴 길이 방향(신장 방향(Y))으로 4개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구획(4a)마다 전극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직근(4)을 한층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 변형예 6에서는 제4 우측 전극(314) 및 제4 좌측 전극(324)은, 중심선(10a)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직근(4)을 자극하는데 한층 적합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된다.
(실시예 8)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는, 본체부와 전극이 일체화되어 있고, 의복 아래에 착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장치를 착용한 채로 일상의 활동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한 경우, 장치와 피부와의 사이에 체류한 땀이나 습기 등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착용한 채로 일상의 활동을 행한다고 하는 형태로 종래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고, 장치를 사용할 때에 한해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착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한편,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한 근육 증강의 효과는, 근자극을 받는 시간이 길수록 높아진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착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근육 증강의 효과를 높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근육 증강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하는 것이 용이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원해지고 있다.
실시예 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들 문제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2개 이상의 전극(311~313, 321~323)을 가지며(도 2 참조), 이들 전극(311~313, 321~323)을 매개로 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실시예 1에서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311~313, 321~3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시트 모양을 나타내는 연장부(120)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120)의 일방의 면에는 전극(311~313, 321~323)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의 도 3및 도 4의 (a)~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시에 인체측을 향하는 피부 대면부(101)를 가지고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대면부(101)는, 그 외표면에, 적어도 일단(113a)이 피부 대면부(101)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홈(113)을 가지고 있다. 연장부(12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18)을 본체부(10)의 주위에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피부 대면부(101)는, 도 4의 (a)~도 4의 (c) 및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에서의 제2 케이스(112) 및 뚜껑(15)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홈(113)은, 피부 대면부(101)에서의 뚜껑(15)보다도 외측, 즉, 제2 케이스(112)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홈(113)은, 저면에서 볼 때의 피부 대면부(101)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개개의 홈(113)은 직선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그 일단(113a)은 제2 케이스(112)에서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또, 홈(113)의 타단(113b)은, 제2 케이스(112)에서의 뚜껑(15)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주위에는, 4개소의 구멍(18)이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소의 구멍(18)은, 본체부(10)를 둘러싸는 리드부(311a~313a, 321a~323a)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소의 구멍(18) 중 2개소의 구멍(18a)은, 본체부(10)보다도 상측(Y1)에 배치되어 있다. 4개소의 구멍(18) 중 나머지 2개소의 구멍(18b)은, 본체부(10)보다도 하측(Y2)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구멍(18a) 및 한 쌍의 구멍(18b)은, 각각, 좌우 방향(X)으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Y1)에 배치된 한 쌍의 구멍(18a)은, 이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M1)이 본체부(10)의 상측(Y1)을 통과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제1 전극쌍(301)과 제2 전극쌍(302)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하측(Y2)에 배치된 한 쌍의 구멍(18b)은, 이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M2)이 본체부(10)의 하측(Y2)을 통과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제2 전극쌍(302)과 제3 전극쌍(303)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구멍(18a) 및 구멍(18b)은, 각각, 가상 직선(M1) 및 가상 직선(M2)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하,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피부 대면부(101)(제2 케이스(112))의 외표면에, 일단(113a)이 피부 대면부(101)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홈(113)을 가지고 있다. 또, 연장부(12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18)을 본체부(10)의 주위에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착용중에 인체와의 사이에 생기는 땀이나 습기 등을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장시간 착용했을 때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어, 용이하게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착용한 채로 일상의 활동을 행한다고 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연장부(120)는, 2쌍의 구멍(18a, 18b)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멍(18)은, 구멍(18a)끼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L1) 및 구멍(18b)끼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L2)이, 각각 본체부(10)로부터 빗나간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굴곡시킬 때에 본체부(10)가 굴곡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6개의 전극(311~313, 321~323)이 2열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18)은, 가상 직선(M1, M2)이 일방의 전극열(電極列)인 우측 전극군(31)과 타방의 전극열인 좌측 전극군(32)과의 배열 방향(좌우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상 직선(M1, M2)이 인체(2)의 좌우 방향(X)을 따르도록 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착용하는 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박리나 탈락 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가상 직선(L1)이 제1 전극쌍(301)과 제2 전극쌍(302)과의 사이를 통과하고, 가상 직선(L2)이 제2 전극쌍(302)과 제3 전극쌍(303)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극(311~313, 321~323)의 내구성 향상, 몸의 구부림에 대한 추종성의 향상 및 전극(311~313, 321~323)의 위치와 복직근(4)과의 적합성의 모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복부(3)에의 착용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했을 때의 체감이 향상됨과 아울러, 효율 좋게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홈(113)의 형상, 수 및 위치는, 실시예 8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내는 변형예 7과 같이, 홈(113)은 나선 모양으로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 도 36에 나타내는 변형예 8과 같이, 홈(113)은, 피부 대면부(101)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에 양단(113a, 113b)가 배치되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모양을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홈(113)의 형상, 굵기 및 갯수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구멍(18)의 형상, 수 및 위치도, 실시예 8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 8에서의 구멍(18)은 대략 타원 모양을 나타내고 있지만, 구멍(18)의 형상을 원 모양으로 해도 괜찮다.
또, 실시예 8에는, 배면에서 볼 때의 피부 대면부(101)의 형상이 원형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다음의 변형예 9와 같이 할 수도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e)는, 본체부(10e)와, 본체부(10e)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120e)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120e)의 일방의 면에는, 8개의 전극(311~314, 321~324)이 2열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311~314, 321~324)은, 신장 방향(Y)으로 늘어선 4쌍의 전극쌍(301~304)을 구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편의상, 4쌍의 전극쌍(301~304) 중 가장 상측(Y1)의 전극쌍을 제1 전극쌍(301)이라고 하고, 제1 전극쌍(301)으로부터 하측(Y2)으로 향해 순서대로 제2 전극쌍(302), 제3 전극쌍(303) 및 제4 전극쌍(304)이라고 한다.
본체부(10e)는, 배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을 나타내는 피부 대면부(101e)를 가지고 있다. 피부 대면부(101e)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2 케이스(112) 및 뚜껑(15)이다. 피부 대면부(101)에서의 뚜껑(15)보다도 외측에는, 복수의 홈(113)이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10e)의 주위에는, 2쌍의 구멍(18(18a, 18b))이 배치되어 있다. 구멍(18) 중 상측(Y1)에 배치된 한 쌍의 구멍(18a)은, 이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M1)이 본체부(10e) 보다도 상측(Y1)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구멍(18a)은, 가상 직선(M1)이, 제2 전극쌍(302)에서의 상측(Y1)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측(Y2)에 배치된 한 쌍의 구멍(18b)은, 이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직선(M2)이 본체부(10e) 보다도 하측(Y2)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구멍(18b)은, 가상 직선(M2)이, 제3 전극쌍(303)에서의 하측(Y2)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다. 또, 도 37에서 이용한 부호 중 실시예 1~8과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 1~8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변형예 9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구멍(18) 및 홈(11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했을 때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어, 용이하게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할 수 있다. 또, 변형예 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e)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복부에의 착용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9)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근육 자극 장치를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한 경우, 장치와 피부와의 사이에 땀이나 습기 등이 체류하기 쉽다. 땀이나 습기 등이 본체부에 침입하면 본체부 내의 전자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근육 자극 장치는 방적형(防滴型) 혹은 그것 이상의 방수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장치를 방수 구조로 하면, 본체부가 밀폐되기 때문에, 본체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장치는, 조작이 장치에 받아 들여진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렵고, 사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실시예 1에서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311~313, 321~323)을 가지며, 이들 전극(311~313, 321~323)을 매개로 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극(311~313, 321~3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시트 모양을 나타내는 연장부(120)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120)의 일방의 면에는 전극(311~313, 321~323)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a)~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동작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면(54)이 외표면에 배치된 외각 형성체(12)를 가지고 있다. 또, 본체부(10)는, 조작면(54)에 의해 동작 형태가 변경된 것을 계기로 하여 소리를 내는 발음체(43)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 형성체(12)는, 발음체(43)에 대면하는 위치에, 주위 보다도 두께가 얇은 박육부(薄肉部)(123)를 가지고 있다.
도 1, 도 3, 도 4의 (a)~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본체부(10)는, 외각 형성체(12)와, 발음체(43)가 내장된 케이스(11)를 가지고 있다. 도 4의 (a)~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 형성체(12)는 대략 컵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그 꼭대기부에서의 외표면에 조작면(54)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1)는 외각 형성체(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외각 형성체(12)의 개구면에, 케이스(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케이스(112)가 노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제2 케이스(112)가 인체(2)측을 향하고, 조작면(54)이 외표면을 향하도록 하여 착용된다.
도 4의 (a)~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에는, 발음체(43)로서의 스피커(430)가 내장되어 있다. 스피커(430)는 조작면(54)측, 즉,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착용된 상태에서 외표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111)에 면(面)하고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발음체(43)로서 스피커(430)를 채용했지만, 스피커(430)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버저 등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전자 부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8, 도 39,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에서의 스피커(430)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개구부(114(114a, 114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스피커(430)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14a)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부(114a)의 주위에, 그것 보다도 개구 지름이 작은 복수의 개구부(114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38,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 형성체(12)에서의 개구부(114)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주위 보다도 두께가 얇은 박육부(123)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123)는, 개구부(114a)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개구부(114a) 및 개구부(114b)의 양쪽 모두에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박육부(123)는, 외각 형성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각 형성체(12)의 외표면에 면일(面一)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박육부(123)는, 외각 형성체(12)에서의 제1 케이스(111)에 대면하는 측의 일부를 오목 모양으로 함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예 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하,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케이스(11)는, 발음체(43)로서의 스피커(430)를 수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스피커(430)에 대면하는 위치에 개구부(114(114a, 114b))를 가지고 있다. 또, 외각 형성체(12)는, 개구부(114)에 대면하는 위치에 박육부(123)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외각 형성체(12)는, 본체부(10)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박육부(123)를 매개로 하여 스피커(430)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본체부(10)의 외부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종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비해 조작을 실시할 때에 발생하는 소리를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박육부(123)는 외각 형성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박육부(123)를 외각 형성체(12)와 별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박육부(123)를 외각 형성체(12)에 접합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박육부(123)는 외각 형성체(12)에서의 외표면(조작면(54))에 면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박육부(123)가 외각 형성체(12)의 외표면 보다도 내측으로 함몰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박육부(123) 근방에 오염물 등이 모이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외각 형성체(12)의 외표면의 의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외각 형성체(12) 및 박육부(123)는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피커(43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본체부(10)의 방수 성능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박육부(123)의 파손 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조작이 받아 들여졌는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종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비해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발음체(43)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보다 효율 좋게 외부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의복안에 착용하는 형태에서도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 9에는, 박육부(123)를 외각 형성체(12)와 일체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다음의 변형예 10과 같이 할 수도 있다. 변형예 10에서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123b)를 외각 형성체(12)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 4의 외각 형성체(12)는, 스피커(430)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12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124)의 가장자리부에 박육부(123b)가 접합되어 있다. 또, 도 40에 나타낸 변형예 10에서는, 박육부(123b)는, 외각 형성체(12)의 두께 방향에서의 케이스(11)측의 가장자리부에 접합되어 있다. 또, 그 외의 부분은 실시예 9와 동일하다. 변형예 10에서 실시예 9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0에서는, 박육부(123b)로서 가스 투과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발음체(43)로부터 발생시키는 소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버저음이나 전자 음성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의 소리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식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인간이 불쾌감을 느껴 쉬운 2000~5000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의 실시예 9 및 변형예 10에서는, 조작면(54)의「+」을 압하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기동(起動)할 때(도 9, S101 및 S102) 및「-」을 압하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종료할 때(도 12, S401 및 S402)에 발음체(43)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 이외의 타이밍에서 소리를 발생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기동한 후, 출력 레벨을 입력할 때(도 9, S106)에, 조작면(54)의 압하를 계기로 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근육 자극 장치를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착용한 경우, 장치와 피부와의 사이에 땀이나 습기 등이 체류하기 쉽다. 땀이나 습기 등이 본체부에 침입하면 본체부 내의 전자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근육 자극 장치는 방적형 혹은 그 이상의 방수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장치를 방수 구조로 하면, 본체부가 밀폐되기 때문에, 본체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장치는, 조작이 장치에 받아 들여진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려워, 사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1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들 문제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실시예 1에서의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시트 모양을 나타내는 연장부(120)와, 연장부(120)의 일방의 면에 배치된 전극(311~313, 321~323)을 가지고 있으며, 전극(311~313, 321~323)을 매개로 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1,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스피커(43)를 대신하여, 진동체(431)가 접속되어 있다. 진동체(431)는 본체부(10)에 내장되어 있다. 또, 본체부(10)는, 제어부(40)에서의 전력의 공급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면(54)을 외표면에 가지고 있다.
제어부(40)는 전극에의 전력의 공급 형태가 변경된 것을 계기로 하여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외각 형성체(12)는 케이스(11)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또, 실시예 1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 이하에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메인 동작 플로우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내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는, 먼저, 조작면(54)의「+」을 2초 동안 압하한다(S101). 이것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온이 되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기동된다.
이 때, 제어부(4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 것을 계기로 하여, 진동체(431)를 전원 조작 패턴(V1)으로 진동시킨다(S102,「기동 통지」). 전원 조작 패턴(V1)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체(431)를 2초 동안 진동시키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그 후,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출력 대기 상태가 되어 출력 레벨이 0으로 됨과 아울러, 조작부(50)의 입력이 무효화된다(S103).
다음으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104).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S104의 Yes)는, 조작부(50)를 유효화한다(S105). 그리고, 조작부(50)에 의해 출력 레벨을 입력한다(S106). 출력 레벨의 입력은, 조작부(50)의 조작면(54)으로부터 행한다. 조작부(50)의 조작면(54)의「+」을 누를 때 마다 출력 레벨이 1레벨 커지고, 조작면(54)의「-」을 누를 때마다 출력 레벨이 1 레벨 작아진다.
이 때, 제어부(40)는, 출력 레벨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진동체(431)를 강도 변경 패턴으로 진동시킨다(S106,「레벨 변경 통지」). 본 예의 강도 변경 패턴은, 도 43의 (b)에 나타내는 강도 증대 패턴(V2), 도 43의 (c)에 나타내는 강도 저하 패턴(V3) 및 도 43의 (d)에 나타내는 한계 통지 패턴(V4)의 3종(種)의 진동 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강도 증대 패턴(V2)은, 조작면(54)의「+」을 압하하여 출력 레벨이 커졌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 패턴이다. 강도 증대 패턴(V2)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체(431)를 1초간 진동시키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강도 저하 패턴(V3)은,「-」를 압하하여 출력 레벨이 작아졌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 패턴이다. 강도 저하 패턴(V3)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체(431)를 0.5초 동안 진동시킨 후, 0.5초 동안 정지하는 기본 파형(V30)을 2회 반복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한계 통지 패턴(V4)은, 출력 레벨이 최대인 상태에서「+」을 눌렀을 때, 또는 출력 레벨이 최소인 상태에서「-」를 눌렀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 패턴이다. 한계 통지 패턴(V4)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체(431)를 0.25초 동안 진동시킨 후, 0.25초 동안 정지하는 기본 파형(V40)을 3회 반복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조작부(50)에 의해 출력 레벨이 입력되는 스텝 (S106)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정지하는 스텝 (S112)까지의 동작 플로우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104의 No), 제어부(40)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에러 패턴(V5)(도 43의 (e) 참조)을 발생시켜 진동체(431)를 진동시킨다(S113,「피부 미검지 통지」). 에러 패턴(V5)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체(431)를 0.25초 동안 진동시킨 후, 0.25초 동안 정지하는 기본 파형(V40)을,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다고 판정될 때까지 반복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40)는,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 카운트 개시 신호를 보내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114). 또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하는 스텝(S114)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정지하는 스텝(S117)까지의 동작 플로우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다음으로,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S105~S110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우선 처리되는 인터럽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제1 인터럽트 처리인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는, 사용 도중에 전극이 인체로부터 이탈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로 하는 기능으로서 이용된다. 피부 검출 인터럽트 처리(S200)에서는, 먼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S201).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S201의 Yes)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온다.
한편,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201의 No), 제어부(40)는, 상술한 S113와 마찬가지로 에러 패턴(V5)(도 43의 (e) 참조)을 발생시켜 진동체(431)를 진동시킨다(S202,「피부 미검지 통지」). 그리고, 제어부(40)로부터 전원 오프 카운터(403)로 카운트 개시 신호를 보내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가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203).
또, 다음으로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 전극부(30)에 피부가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스텝(S204)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오프가 되는 스텝(S206)까지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도 9 참조)에서의 S105~S110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우선 처리되는 제2 인터럽트 처리인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나타내는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전압 저하 처리(S300)에서는, 먼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지 전압 검출부(406)에 의해, 검지된 전원부(20)에서의 전지(21)의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은지 아닌지 판정한다(S301).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301의 No)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지 전압(V)이 소정의 임계치(Vm) 보다도 낮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에러 패턴(V5)(도 43의 (e) 참조)을 발생시켜 진동체(431)를 진동시킨다(S302,「전지 전압 저하 통지」). 그리고, 제어부(40)로부터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 카운트 개시 신호를 보내고,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스타트한다(S303).
또, 다음의, 전원 오프 카운터(403)에서의 경과 시간이 2분을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스텝(S304)으로부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이 오프가 되는 스텝(S305)까지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술의 메인 동작 플로우(S100)(도 9 참조)에서의 S105~S110의 사이에 인터럽트되어 우선 처리되는 제3 인터럽트 처리인 중단 처리(S4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중단 처리(S400)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내는 중단 처리(S400)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단 처리(S400)에서는, 먼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0)에 의해, 조작부(50)에서의 조작면(54)의「-」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1).「-」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S401의 No)는, 메인 동작 플로우(S100)에서의 원래의 플로우로 되돌아온다.
한편,「-」버튼을 압하하고 있는 시간이 2초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401의 Yes), 제어부(4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을 계기로 하여, 진동체(431)를 전원 조작 패턴(V1)으로 진동시킨다(S402,「종료 통지」). 전원 조작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3의 (a)에 나타내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을 오프로 한다(S403).
이하,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상술(詳述)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원부(20), 제어부(40) 및 진동체(431)가 내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조작면(54)을 외표면에 구비한 본체부(10)를 가지고 있다. 또, 제어부(40)는 전극(311~313, 321~323)으로의 전력의 공급 형태가 변경된 것을 계기로 하여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진동체(431)의 진동에 의해서, 조작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받아 들여진 것을 사용자에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도 9~도 12,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행하는 조작에 대응하여 다른 진동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40)에 받아 들여진 조작의 종류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에 인식시킬 수 있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시각이나 청각에 의하지 않고 제어부(40)에 받아 들여진 조작의 종류를 사용자에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복 아래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형태에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체부(1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착용시에 인체측을 향하는 피부 대면부(101)(제2 케이스(112))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 대면부(101)는 주위 보다도 팽출(膨出)하고 있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진동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원부(20)는, 본체부(10) 내에서의, 피부 대면부(10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착용 중에 전원부(20)의 온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원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변동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0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감이 좋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제공되게 된다.
또, 실시예 10에서는, 조작이 받아 들여진 것이나 에러가 발생한 것의 통지를 위해서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어떠한 통지 이외의 타이밍에서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의 제1 스테이터스와 제2 스테이터스와의 사이, 혹은 제2 스테이터스와 제3 스테이터스와의 사이 등에 진동체(431)를 진동시켜도 좋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한 전기 자극은 근육을 직접 움직이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사용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자극을 받은 근육에 피로감 등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제1 스테이터스와 제2 스테이터스와의 사이 등의 인터벌의 시간에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근육의 피로를 푸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진동체(431)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자극과는 다른 종류의 자극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사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 10에는, 진동체(431)의 진동 패턴을 조작의 종류마다 변경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외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40)는, 전원 조작 패턴(V1), 강도 증대 패턴(V2), 강도 저하 패턴(V3) 및 한계 통지 패턴(V4)를 모두 구비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진동 패턴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강도 증대 패턴을 강도 저하 패턴과 동일한 진동 패턴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도 43에 나타낸 진동 패턴은 일례이며, 진동의 계속 시간이나 간격, 반복 횟수 등을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전원 조작 패턴에서, 진동체(431)를 여러 차례 진동시키는 구성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1)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에는 미리 정해진 사이즈의 겔 패드는 붙여져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마다의 기호에 따라서, 겔 패드의 사이즈나 그 도전성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실시예 1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2에서, 겔 패드(35)가 전극(311~323)을 덮도록 붙여지는 것을 대신하여, 도전성 및 비교적 저점도의 점착성을 가지는 겔이, 전극(311~323)을 덮도록 사용자의 소망의 크기(범위) 및 두께로 펴발라져 있다. 이러한 겔로서, 예를 들면, 알긴산(algin酸)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겔로서, 전극(311~323)을 덮도록 바를 수 있음과 아울러, 발라졌을 때에 용이하게 흘러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전극(311~323)을 덮도록 발라지는 겔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해당 겔의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겔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해당 겔의 전기 저항을 크게 하여 도전성을 저하시켜, 전극(311~323)으로부터 부여되는 전기 자극을 마일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1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자마다의 기호에 따라서, 겔의 사이즈나 그 도전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근육 자극 전기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반복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극은 붙여진 겔 패드에 오염물이 부착하거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 새로운 겔 패드로 교환하는 것이 행하여져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에서 그때마다, 새로운 겔 패드로 교환하는 것으로 하면, 사용자의 수고가 증대하게 된다. 또, 통상, 겔 패드는 그 양면에 보호 시트가 붙여진 상태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겔 패드를 교환할 때에 해당 보호 시트를 겔 패드로부터 박리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보호 시트가 쓰레기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쓰레기는, 겔 패드의 교환 시에 매회 발생해 버린다. 게다가, 전극수가 많아져 사용하는 겔 패드의 매수가 많아질수록 교환시의 수고나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이 증대해 버린다.
실시예 1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2에서, 전극(311~324)을 덮도록 붙여진 겔 패드(35)를 대신하여,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겔 패드(35a~35d)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겔 패드(35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적층 겔 패드(354)는, 4매의 겔 패드(35a~35d)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층 겔 패드(354)는, 전극(311~323)에 붙여지는 측과 반대측의 겔 패드(35a)로부터 순서대로 박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층 겔 패드(354)에서의, 전극(311~323)에 붙여지는 측과 반대측의 겔 패드(35a)에 오염물이 부착되거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한 경우에는, 해당 겔 패드(35a)를 박리하는 것에 의해, 겔 패드(35a)의 하측(전극(311~323)측)에 적층되어 있던 겔 패드(35b)를 노출시킬 수 있다. 겔 패드(35b)는 박리한 겔 패드(35a)에 의해 덮여져 있었기 때문에, 오염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고, 점착력도 저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겔 패드(35a)를 박리하는 것에 의해, 적층 겔 패드(354)의 오염물을 없애, 점착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겔 패드(35)의 교환의 수고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새로운 겔 패드(35)로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 유통시의 보호 시트 등의 쓰레기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게다가, 전극수가 많게 된 경우에도, 각 전극(311~323)에 적층 겔 패드(35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겔 패드(35)의 교환시의 수고나 교환에 따라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도 실시예 1에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마다 겔 패드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반복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겔 패드에 오염물이 부착하거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한 경우에는, 겔 패드를 새로운 것과 교환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극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겔 패드를 교환할 때에 겔 패드를 한 개씩 붙이는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실시예 1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실시예 1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겔 패드(35)를 교환할 때에,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로운 교환용 겔 패드(35)가 복수 붙여진 대지(台紙)(6)를 이용한다. 대지(6)는, 시트 모양으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형 보다도 약간 큰 유사 사각형의 외형을 가진다. 대지(6)에서의 겔 패드(35)가 붙여지는 면인 붙임면(60)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형(61) 및 구멍(18)의 형상(618)이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붙임면(60)에는, 이러한 외형(61)에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겔 패드(35)가 붙여지는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겔 패드(35)가 각각 붙여져 있다. 본 예에서는, 6개의 겔 패드(35)가 붙임면(60)에 각각 붙여져 있다. 또 겔 패드(35)가 붙여진 대지(6)에는 유통시에서는, 복수의 겔 패드(35)를 일괄하여 덮는 보호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겔 패드(35)를 교환할 때에는, 먼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로부터 겔 패드(35)를 모두 떼어낸다. 그리고, 겔 패드(35)가 붙여진 대지(6)로부터 보호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떼어낸다. 그 후, 대지(6)의 붙임면(60)을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피부 대면부(101)(도 3 참조)측의 면에 대향시켜, 붙임면(60)의 외형(61)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외부 가장자리를 맞추면서 붙임면(60)을 피부 대면부(101)측의 면에 맞닿게 하여, 겔 패드(35)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피부 대면부(101)측의 면에 붙인다. 그리고, 겔 패드(35)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대지(6)를 천천히 벗긴다. 이것에 의해, 겔 패드(35)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겔 패드(35)가 붙여지는 위치에 각각 붙여지게 된다. 또 붙임면(60)에는, 겔 패드(35)의 박리가 용이하도록,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괜찮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겔 패드(35)가 붙여진 대지(6)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겔 패드(35)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소정의 위치에 일괄하여 붙일 수 있다. 그 때문에, 겔 패드(35)를 한 매씩 붙이는 경우에 비해, 겔 패드(35)의 교환의 수고가 큰 폭으로 경감되게 된다. 또, 겔 패드(35)의 교환시에 쓰레기가 되는 보호 시트를 한 매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3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패드(35)를 붙일 때의 수고가 큰 폭으로 경감되고, 겔 패드 교환시의 쓰레기의 수가 삭감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겔 패드(35)를 대신하여, 미용 성분을 가지는 겔 패드(35)가 구비되어 있다. 겔 패드(35)가 가지는 미용 성분은, 예를 들면, 대사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캡사이신(capsaicin), 피부의 생기, 광택, 피부결의 고움 등을 유지하는데 유효하게 되는 각종의 비타민, 피부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유효하게 되는 각종의 성분을 열거할 수 있다. 겔 패드(35)는, 복수의 미용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겔 패드(35)가 가지는 미용 성분은, 미리 겔 패드(35)에 함유시켜 두어도 좋고, 사용자가 사용시 또는 사용전에 겔 패드(35)에 침투시키거나, 도포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4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겔 패드(35)에 함유되는 미용 성분에 의해서, 피부의 미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인체에 붙여져 사용되는 것이지만, 붙이는 인체의 부위가 특단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부위를 자극하는데 특히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고, 복직근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폭(좌우 방향(X)의 길이)(TW)이, 175.00~237.5mm의 범위(제1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7.50~225.0mm의 범위(제2 범위) 내이며, 본 예에서는, 198.00mm로 하고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후생(厚生) 노동성 평성22년 국민 건강·영양 조사 제2부 신체 상황 조사의 결과」에 개시된 성인의 복위(腹圍, 복부 둘레)(배꼽 근처)의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해당 복위의 1/4의 길이를 복직근(4)의 폭으로서 산출하면, 성인의 61.4%에서 복직근(4)의 폭이 상기 제1 범위 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자료에서의 복직근(4)의 폭의 중앙치는, 상기 제2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폭(TW)은, 상기 제1 범위(175.00~237.5mm) 내이기 때문에,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성인의 복직근(4)에 적절한 크기이다. 게다가,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폭(TW)은, 상기 제2 범위(187.50~225.0mm) 내이기 때문에,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성인의 복직근(4)에 한층 적합한 크기이다. 그 때문에, 실시예 1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전극(311~323)을 복직근(4)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어, 복직근(4)에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5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복직근(4)을 자극하는데 적합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며, 복수의 개소에 동시에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있다. 그러나, 어느 전극이 몸의 어디에 전기 자극을 주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체감에 의해 확인하기 위한 구성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1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단자 접속부(383(393))(도 30 참조)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어부(40)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41)에서, 제1 단자군(45)에는, 제1 단자(451), 제2 단자(452)에 더하여, 제5 단자(453)가 구비되며, 제2 단자군(46)에는, 제3 단자(461), 제4 단자(462)에 더하여, 제6 단자(463)가 구비되어진다.
제1 단자(451)에는 제1 전극 접속부(385)가 직접 접속되어 있고, 제2 단자(452)에는 제3 전극 접속부(387)가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제5 단자(453)에는 제2 전극 접속부(386)가 직접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단자(461)에는 제4 전극 접속부(395)가 직접 접속되어 있고, 제4 단자(462)에는 제6 전극 접속부(397)가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제6 단자(463)에는 제5 전극 접속부(396)가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40)에는, 전극 전환부(407)가 구비된다. 전극 전환부(407)는, 전극(311~323)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전기 자극의 출력 상태를 전환한다. 전극 전환부(407)의 동작은, 조작면(54)에 마련되는 전극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1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전극 전환 스위치에 의해, 예를 들면, 상측 전극쌍(301), 중앙 전극쌍(302), 하측 전극쌍(303)의 각각의 전극쌍마다, 전극(311~323)으로부터 전기 자극이 출력되는 상태와, 출력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극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어느 전극(311~323)이 어느 부위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고 있는지 체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전극 전환 스위치에 의해, 예를 들면, 전극(311~323) 중 일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또는 흐르는 전류량을 줄이는 것에 의해, 다른 전극으로의 전류량을 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망의 전극(311~323)에 전력을 집중하여, 해당 전극(311~323)으로부터 다른 전극(311~323)보다도 강한 전기 자극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전극 전환 스위치에 의해, 예를 들면, 전극(311~3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자극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우측 제1 전극(311) 및 제3 좌측 전극(323)의 전극쌍과, 우측 제3 전극(313) 및 제1 좌측 전극(321)의 전극쌍에서, 출력되는 전기 자극의 주파수를 늦추는 것에 의해,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우측 제1 전극(311) 및 제3 좌측 전극(323)을 연결하는 가상선과 우측 제 3 전극(313) 및 제1 좌측 전극(321)의 전극쌍을 연결하는 가상선과의 교점 위치(즉, 기재(33)의 중심(33c))에, 간섭파에 의한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간섭파에 의한 자극의 주파수는 4~20Hz의 사이의 소정의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해당 간섭파에 의한 자극을, 실시예 1에서의 각 출력 모드와 동일한 출력 모드로 출력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6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어느 전극(311~323)이 몸의 어디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체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소정의 출력 형태로 전기 자극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 출력 형태가 장시간 유지되면, 사용자의 신체가 해당 전기 자극에 익숙해 버려, 체감이 저하됨과 아울러, 전기 자극에 의한 효과도 저감된다.
실시예 1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제어부(40)의 출력 조정부(401)에서, 동일 형태의 전기 자극이 소정 기간 출력된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전기 자극이 출력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제5 버스트파에 의한 전기 자극이 소정 시간 출력되면, 도 13에 나타내는 제2 버스트파에 의한 전기 자극이 소정 시간 출력되도록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7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가 해당 전기 자극에 익숙하는 것에 의한, 체감의 저하 및 전기 자극에 의한 효과의 저감을 방지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8)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사람의 피부면을 매개로 하여 근육에 전기 자극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사람의 피부에서의 수분량이나 체지방량에 의해서, 사람으로의 전류의 흐름 용이성이 변하기 때문에, 수분량이나 체지방량에 따라서는, 전기 자극이 근육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수분량이나 체지방량은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동일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이용해도, 그 효과에 개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1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전극(311~323) 사이의 전기 저항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피부의 수분량 및 체지방량을 검출하는 체조성(體組成) 검출부(408)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스텝 S104에서, 전극(311~323) 사이의 저항값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피부 검지부(402)에 의해서, 전극부(30)가 피부에 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함과 아울러, 체조성 검출부(408)에 의해, 피부의 수분량 및 체지방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의 출력 조정부(401)에 의해서, 수분량 및 체지방량에 따라서, 출력 레벨(출력 전압치)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분량 및 체지방량에 따라서, 기준 상태 보다도 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경우에는 출력 레벨이 기준 상태 보다도 높게 설정되고, 기준 상태 보다도 전류가 흐르기 쉬운 경우에는 출력 레벨이 기준 상태 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수분량이나 체지방량이 기준 상태와 다른 경우에서도, 기준 상태와 동일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분량이나 체지방량에서의 개인차에 의해서,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기 자극에 의한 효과가 다른 것이 저감된다.
체조성 검출부(408)는, 수분량, 체지방량 이외의 체조성을 검출 대상으로 함과 아울러, 해당 검출한 체조성의 값에 근거하여, 출력 레벨이 설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8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체조성에서의 개인차에 의해서 부여되는 전기 자극에 의한 효과가 다른 것이 저감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9)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서의 여러 가지의 사용 이력 정보, 사용중의 출력 모드, 출력중의 전기 자극의 주파수, 전지 잔량 등 여러가지 정보를 사용자가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본체부(10)(도 1 참조)에는, 휴대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수단을 가진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본체부(10)에는, 여러 가지의 사용 이력 정보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조작면(54)에는, 상기 통신 수단의 온 오프 및 통신 조작을 하기 위한 통신 수단 조작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수단 조작부에 의해,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상기 통신 수단을 매개로 하여, 정보 단말과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 단말에 송신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여러 가지의 사용 이력 정보 외에, 사용중의 출력 모드, 출력중의 전기 자극의 주파수, 전지 잔량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체조성 검출분(檢出分)(408)(도 49 참조)에 의해 검출된 수분량이나, 체지방량 등의 여러가지 체조성의 값이나, 조작면(54)의 조작 정보(스위치(53)의 압하의 유무, 전극(311~323)의 출력 상태의 제어 정보 등), 스피커(43)의 발음 정보 등을 송신되는 정보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출력 모드의 설정 정보, 전기 자극의 주파수의 설정 정보, 조작면(54)의 조작 정보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적외선, 전자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를 매개로 하여, 휴대형 정보 단말, 이른바 스마트 폰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폰 등의 정보 단말에는, 해당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의 소프트 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소프트 웨어를 매개로 하여, 용이하게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여러가지 정보를 정보 단말과 송수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해당 통신 수단을 매개로 하여 정보 단말로부터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출력 모드를 변경하거나, 전극(311~323)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초기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특정의 출력 모드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사용 횟수 등의 정보가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 특정의 출력 모드가 사용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실시예 1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동기 부여가 얻어지고, 즐기면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이른바 스마트 폰이나, PC(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단말을 매개로 하여, 출력 모드를 원하는 다른 출력 모드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9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자는 상기의 여러 가지의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0)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을 덮는 겔 패드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람에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반복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겔 패드에 오염물이 부착하는 등, 겔 패드의 점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겔 패드의 점착성이 저하되면, 사용중에 전극이 피부면으로부터 벗겨져, 전기 자극의 부여가 중단되거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벗겨져 떨어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실시예 2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5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312)에는, 겔 패드(35)는 붙여져 있지 않다. 그리고, 전극(312)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121)는 중앙부가 공기(椀) 모양으로 완만하게 만곡하는 오목부(305)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305)의 가장자리부(306)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오목부(305)의 내측면에 기재(33)를 매개로 하여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장착할 때에는, 도 5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312)을 피부면(6)에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오목부(305)와 가장자리부(306)에 의해서, 피부면(6)이 오목부(305)의 내측으로 빨아 올려져, 피부면(6)이 전극(312)에 맞닿게 된다.
또, 다른 전극(311, 313, 321~323)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전극 지지부(121)가 흡반(吸盤)과 같이 작용하여, 피부면(6)이 오목부(305)의 내측으로 빨아 올려지는 것에 의해, 각 전극(311~323)이 피부면(6)에 확실히 맞닿게 됨과 아울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가 사람(2)에 제대로 장착되게 된다. 그 때문에, 겔 패드(35)를 이용하지 않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사람(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전극 지지부(121)가 흡반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피부의 문지르기 효과도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0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겔 패드(35)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겔 패드(35)의 점착성의 저하에 의한 전극(311~323)이 떨어지거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탈락이 생기지 않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겔 패드(35)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 겔 패드(35)를 이용함과 아울러, 기재(33)에서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등에, 피부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예를 들면, 흡반)를 마련하고, 해당 겔 패드(35)의 점착성이 저하된 경우에서도, 해당 흡착부에 의해서, 전극(311~323)이 떨어지거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탈락이 생기지 않도록 해도 괜찮다.
(실시예 21)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겔 패드를 매개로 하여 전극이 사람에 붙여져 있지만, 사용자는 겔 패드가 차갑게 느껴져,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실시예 2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극 지지부(121)(도 2 참조)에 발열체가 구비되어 있다. 발열체는 전력의 공급에 의해 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발열체는, 제어부(40)에 구비된 발열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 발열 상태가 제어되고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발열체 제어부가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발열체가 발열한다. 이것에 의해, 전극 지지부(121)에 기재(33)를 매개로 하여 마련된 전극(311~323)에 붙여진 겔 패드(35)가 가온(加溫)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겔 패드가 차갑게 느껴지는 것이 억제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사용중에 발열체가 발열하는 것에 의해, 피부면도 가온되어 혈행이 촉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1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겔 패드가 차갑게 느껴지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부와 전극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에 고장이나 파손이 생기거나, 전극부에 파단이나 단선이 생기거나 한 경우에는, 개별로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수리가 고비용으로 되어 있다. 또, 본체부 내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근육 전기 자극 장치 전체를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
실시예 2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부(10)와 전극부(30)가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10)에 고장이나 파손이 생기거나, 전극부(30)에 파단이나 단선이 생기거나 한 경우에는, 개별로 교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본체부(10) 내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본체부(10)만 떼어내어 준비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2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는, 예를 들면, 전원부(20) 및 제어부(40)와 이들이 수납된 본체부(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본체 유닛과, 기재(33), 전극(311~323)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극 유닛과, 전극 지지부(121)가 유닛화된 지지 유닛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각 유닛이 서로 떼어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2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본체부(10)나 전극부(30) 등의 교환이 용이하고 수리시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부와 전극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부를 교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 부위 등에 맞춘 전극을 이용하려고 하면,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 부위 등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2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부(10)와 전극부(30)가 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에 내장된 전원부(20) 및 제어부(40)와 전극부(30)는, 착탈 가능한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부(10)와 전극부(30)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착탈 가능한 커넥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냅 커넥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3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본체부(10)와 전극부(30)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10)로부터 전극부(30)를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하는 부위에 적절한 형상의 전극을 가지는 전극부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3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하는 부위에 적절한 형상의 전극을 가지는 전극부로 교환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을 지지하는 상부 덮개 본체부는, 전극부에서 균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후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람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전극부를 벗기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2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312)에서, 전극 지지부(121)의 외부 가장자리부(본체부(10)와 반대측의 가장자리부)(121b)는, 전극 지지부(121)의 중앙부(121c)나, 전극 지지부(121)의 내측부(본체부(10)에 가까운 측의 영역)(121d)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전극(311, 313, 321~323)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4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외부 가장자리부(121b)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사용후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람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손가락을 외부 가장자리부(121b)에 걸고, 전극(311~323)(전극 지지부(121))을 벗기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외부 가장자리부(121b)에 비해, 중앙부(121c), 내측부(121d)는,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가장자리부(121b)에 비해, 몸의 만곡에 맞추어 만곡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외부 가장자리부(121b)가 두꺼운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전극(311~323)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4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후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사람으로부터 떼어내기 쉬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을 지지하는 상부 덮개 본체부는, 전극부에서 균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덮개 본체부가 몸의 만곡에 맞추어 만곡하기 어렵고, 사용중에 전극이 피부면으로부터 벗겨질 우려가 있다.
실시예 2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312)에서, 전극 지지부(121)의 외부 가장자리부(본체부(10)와 반대측의 가장자리부)(121b)는, 전극 지지부(121)의 중앙부(121c)나, 전극 지지부(121)의 내측부(본체부(10)에 가까운 측의 영역)(121d)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전극(311, 313, 321~323)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5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외부 가장자리부(121b)가 얇기 때문에, 전극(311~323)을 피부면(6)의 만곡에 추종하도록,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중에 전극(311~323)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중앙이 평평하게 되어 있고, 외측이 만곡하고 있는 복직근(4) 등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5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사용중에 전극(311~323)이 피부면(6)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부에는 강성이 높은 코인 전지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중에 해당 본체부를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보다 확실히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피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2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코인 전지(21)를 대신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전지를 구비한다. 해당 가요성을 가지는 전지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알루미늄 전지나, 메탈 파이버 기술을 사용한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6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전지가 가요성을 가지는 전지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중에 해당 전지를 내장하는 본체부(10)를 사람(2)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보다 확실히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피부면(6)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6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피부면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7)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시에 등에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본체부에 스피커를 내장시키는 것이 고려되어진다. 통상, 스피커는 강성이 높은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강성이 높은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사용중에 해당 본체부를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은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보다 확실히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기면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2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피커(43)를 대신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해당 가요성을 가지는 스피커로서는, 예를 들면, 필름 스피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7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스피커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중에 해당 전지를 내장하는 본체부(10)를 사람(2)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보다 확실히 몸 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피부면(6)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피커(43)를 대신하여 필름 스피커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경량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7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피부면(6)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8)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본체부에는 강성의 제어 기판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중에 해당 본체부를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보다 확실히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피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려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실시예 2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 기판(41)을 대신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기판을 구비한다. 해당 가요성을 가지는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등하다.
실시예 28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제어부(40)에 플렉시블 기판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중에 해당 전지를 내장하는 본체부(10)를 사람(2)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보다 확실히 몸에 따르게 하여 만곡시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피부면(6)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8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피부면(6)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9)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2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부는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이 붙여지는 범위는 매우 한정된 영역이다. 그 때문에, 양 전극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2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2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극부(30)는 본체부(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극부(30)와 본체부(10)와의 접합부가 벨로우즈 구조(이른바, 주름 상자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부(10)에 수납된 제어부(40)와 전극부(30)는, 본체부(10) 내에 뻗어진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해당 와이어 하네스는, 상기 벨로우즈 구조가 완전히 늘어나 전극부(30)와 본체부(10)가 가장 떨어진 경우에도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 와이어 하네스를 대신하여, 벨로우즈 구조를 형성하는 전극 지지부(121)의 내측면에 인쇄한 도전성 잉크에 의해, 전극부(30)와 본체부(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괜찮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29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전극부(30)와 본체부(10)와의 접합부가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양 전극 사이의 거리(제1 전극군(31), 제2 전극군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극(311~323)을 근육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데 적합한 장소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또, 체격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상기 양 전극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개인차에도 대응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9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용이하게 양 전극 사이의 거리(제1 전극군(31), 제2 전극군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0)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 3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의 개시된 구성에서는, 전극을 지지하는 상부 덮개 본체부는, 본체부의 주위에서, 균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팔이나 다리 등, 복부 등에 비해 비교적 곡률이 큰 부분에 장착하려고 하면, 본체부의 주위에서, 상부 덮개 본체부가 충분히 만곡되지 않기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피부면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실시예 3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또,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 및 그 사용 형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이,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동일한 경우는, 선행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대용한다.
실시예 3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지지부(121)의 외표면(121a)에서의 본체부(10)의 주위에는, 홈 모양으로 형성된 박육부(薄肉部)(125a, 125b, 126a, 126b)가 마련되어 있다. 박육부(125a)는 가상 직선(M1)을 따라서, 상측(Y1)의 한 쌍의 구멍(18a)을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박육부(125b)는 가상 직선(M2)을 따라서, 하측(Y2)의 한 쌍의 구멍(18b)을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박육부(126a)는, 상하 방향(신장 방향(Y))으로 평행하게, 상측의 일방의 구멍(18a)과 하측의 일방의 구멍(18b)을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박육부(126b)는, 상하 방향(신장 방향(Y))으로 평행하게, 상측의 타방의 구멍(18a)과 하측의 타방의 구멍(18b)을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박육부(125a, 125b, 126a, 126b)는, 본체부(10)를 둘러쌈과 아울러, 본체부(10)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구멍(18)과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동일하다.
실시예 3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박육부(125a)에 의해, 가상 직선(M1)의 위치에서 구부러지기 쉬워지고, 박육부(125a)에 의해, 가상 직선(M2)의 위치에서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이들 위치에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팔이나 다리 등의 복부(3)보다도 곡률이 큰 부위에 감도록 장착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피부면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팔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좌우 방향(X)이 팔의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본체부(10)를 팔에 겹쳐, 중앙 전극쌍(302)을 팔에 붙임과 아울러, 상측 전극쌍(301) 및 하측 전극쌍(303)을 팔에 감도록, 가상 직선(M1, M2)을 따라서 구부린다. 이와 같이 하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의 통전 방향(좌우 방향(X))이 팔의 근육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해당 팔의 근육에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에서는, 박육부(126a, 126b)의 위치에서도 구부리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중앙 전극쌍(302)을 신장 방향(Y)에 평행하게 구부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피부면의 만곡에 추종하기 쉬워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와 피부면과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0에 의하면, 실시예 1에 의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피부면, 특히, 팔이나 다리 등의 비교적 곡률이 큰 부위의 피부면과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시트 모양의 기재(基材)를 구비하며, 사람의 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극부로부터 상기 복부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복근용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복부의 한가운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사람의 신장 방향에 평행이고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오른손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전극군(電極群)과, 상기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왼손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전극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과의 사이가 상기 사람을 통해서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은 각각, 상기 신장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3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의 각각에서의 가장 신장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전극쌍과, 가장 신장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하측 전극쌍과, 상기 상측 전극쌍과 상기 하측 전극쌍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전극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상기 상측 전극쌍과 상기 중앙 전극쌍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선측을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 절입부(
    Figure pat00009
    部)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하측 전극쌍과 상기 중앙 전극쌍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선측을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2 절입부를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재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절입부끼리를 잇는 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제2 절입부끼리를 잇는 위치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를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하부 절입부를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상부 절입부를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절입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절입부는, 상기 기재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한 쌍의 중앙 전극쌍을 형성하는 각 전극의 중심 위치 보다도 상기 중심선측의 위치까지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6.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시트 모양의 기재를 구비하며, 사람의 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극부로부터 상기 복부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복근용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복부의 한가운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사람의 신장 방향에 평행이고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오른손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 전극군과, 상기 중심선 보다도 상기 사람의 왼손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전극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과의 사이가 상기 사람을 통해서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은 각각, 상기 신장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4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군 및 상기 제2 전극군의 각각에서의 가장 신장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쌍과, 상기 제1 전극쌍 보다도 신장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쌍과, 상기 제2 전극쌍 보다도 신장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3 전극쌍과, 상기 제3 전극쌍 보다도 신장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4 전극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상기 제1 전극쌍과 상기 제2 전극쌍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선측을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 절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전극쌍과 상기 제 3 전극쌍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선측을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2 절입부를 가지며, 상기 제 3 전극쌍과 상기 제 4 전극쌍과의 사이에,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선측을 향해 잘려 들어가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3 절입부를 가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177027737A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201701189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9009 2015-02-27
JPJP-P-2015-039009 2015-02-27
PCT/JP2015/067929 WO2016135996A1 (ja) 2015-02-27 2015-06-22 筋肉電気刺激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44A Division KR102489476B1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944A true KR20170118944A (ko) 2017-10-25

Family

ID=554259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93A KR102612767B1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177027044A KR102489476B1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177027737A KR20170118944A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93A KR102612767B1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177027044A KR102489476B1 (ko) 2015-02-27 2015-06-22 근육 전기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06925B2 (ko)
EP (1) EP3263173A4 (ko)
JP (7) JPWO2016135996A1 (ko)
KR (3) KR102612767B1 (ko)
CN (3) CN107405482A (ko)
AU (1) AU2015384447A1 (ko)
CA (1) CA2977913A1 (ko)
RU (1) RU2691312C2 (ko)
SG (1) SG11201706459UA (ko)
TW (1) TWI714555B (ko)
WO (1) WO2016135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3534B3 (de) 2012-07-05 2013-09-19 Tobias Sokolowski Vorrichtung für repetitive Nervenstimulation zum Abbau von Fettgewebe mittels induktiver Magnetfelder
KR102612767B1 (ko) * 2015-02-27 2023-12-1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US11491342B2 (en) 2015-07-01 2022-11-08 Btl Medical Solutions A.S.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herapeutic treatments
US10695575B1 (en) 2016-05-10 2020-06-3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20180001107A1 (en) 2016-07-01 2018-01-04 Btl Holdings Limited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KR101628804B1 (ko) * 2016-04-25 2016-06-09 (주)비제이글로벌 근육 운동용 저주파 자극기
US11464993B2 (en) 2016-05-03 2022-10-11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247039B2 (en) 2016-05-03 2022-02-15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534619B2 (en) 2016-05-10 2022-12-27 Btl Medical Solutions A.S.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0583287B2 (en) 2016-05-23 2020-03-1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US10556122B1 (en) 2016-07-01 2020-02-11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KR101671216B1 (ko) * 2016-09-12 2016-11-01 배병호 저주파 전기 자극기
JP7116458B2 (ja) * 2016-09-27 2022-08-10 株式会社大木工藝 筋肉鍛錬装置および治療器
CN106540373A (zh) * 2016-12-07 2017-03-29 深圳市晶科辉电子有限公司 用于缓解疼痛和锻炼肌肉的导电垫片
USD847358S1 (en) * 2017-03-31 2019-04-30 Mtg Co., Ltd. Training apparatus
USD846133S1 (en) * 2017-03-31 2019-04-16 Mtg Co., Ltd. Training apparatus
JP7152845B2 (ja) * 2017-04-27 2022-10-13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8183480A (ja) *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7185108A (zh) * 2017-07-18 2017-09-22 莫海燕 促进肌肤修复再生长紧致瘦身方法及其修复再生长紧致瘦身仪器
WO2019151136A1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8392736A (zh) * 2018-04-13 2018-08-14 郑州雅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产后腹直肌分离的装置及方法
USD940341S1 (en) * 2018-04-25 2022-01-04 Wei Lin Muscle training gear
JP6713155B2 (ja) * 2018-07-10 2020-06-24 B−by−C株式会社 美顔器具、および美顔ユニット
EP3851158A4 (en) * 2018-09-11 2022-06-08 AI Silk Corporation ELECTRIC STIMULATOR
CN109498988A (zh) * 2018-11-26 2019-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体屏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721400B (zh) * 2019-01-04 2022-08-09 广州一康医疗设备实业有限公司 一种手臂用的肌肉刺激装置
USD909591S1 (en) * 2019-03-14 2021-02-02 Shenzhen Kizoku Life Technology Co., Ltd. Belly massager
JP2020156559A (ja) * 2019-03-25 2020-10-01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56558A (ja) * 2019-03-25 2020-10-01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0208590A1 (en) 2019-04-11 2020-10-15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KR102312311B1 (ko) * 2019-06-03 2021-10-12 김종민 안면 마스크
CN111558138B (zh) * 2019-09-30 2022-11-22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颈部按摩器及其电极组件
KR102098056B1 (ko) * 2019-10-24 2020-04-07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전기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RU200325U1 (ru) * 2020-01-28 2020-10-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К "Альмате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ъя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импульсов при транслингвальной нейростимуляции
KR20230000081U (ko) 2020-05-04 2023-01-10 비티엘 헬쓰케어 테크놀로지스 에이.에스. 환자의 무인 치료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11878167B2 (en) 2020-05-04 2024-01-2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2367866B1 (ko) * 2020-07-02 2022-02-25 주식회사 루트로닉 Ems 전극 패드
KR102247097B1 (ko) * 2020-09-16 2021-05-03 링크렙 주식회사 고주파를 이용한 온열 찜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22098235A (ja) * 2020-12-21 2022-07-01 B-by-C株式会社 美顔器具、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CN113209473B (zh) * 2021-04-30 2024-04-19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柔性按摩组件和具有其的电刺激按摩仪
US11896816B2 (en) 2021-11-03 2024-02-1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CN114733065A (zh) * 2022-03-24 2022-07-12 广东博特健康科技有限公司 电刺激肌肉训练设备
CN115837120B (zh) * 2022-12-26 2024-04-09 江苏海莱新创医疗科技有限公司 电极贴片、电极贴片的制造方法及肿瘤电场治疗仪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183Y2 (ko) * 1975-07-26 1979-09-18
US4387723A (en) * 1980-12-09 1983-06-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neuromuscular block in a patient
JP3158303B2 (ja) 1992-03-31 2001-04-23 信菱電機株式会社 布団等の乾燥機
GB9211085D0 (en) 1992-05-23 1992-07-08 Tippey Keith E Electrical stimulation
JPH07136286A (ja) * 1993-11-19 1995-05-30 Omron Corp 低周波治療器及びその導子
US5423874A (en) 1994-03-24 1995-06-13 D'alerta; Mario Patch for applying pain reducing electrical energy to the body
JPH09182805A (ja) * 1995-12-28 1997-07-15 Advance Co Ltd 筋肉増強用電気刺激装置
PT910434E (pt) 1996-06-13 2004-10-29 Univ Manchester Estimulacao de musculos
JPH1057506A (ja) * 1996-08-20 1998-03-03 Masami Matsumoto 痩身促進電気刺激方法
WO1999053996A1 (en) * 1998-04-17 1999-10-28 Stryker Instrument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CA2359903C (en) 1999-01-11 2013-03-12 Bm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n electrotherapy device and method
US6445955B1 (en) * 1999-07-08 2002-09-03 Stephen A. Michelson Miniature wireles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 or muscular-stimulation unit
JP4337012B2 (ja) * 1999-07-14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刺激装置及び電気刺激を用いた力触覚呈示装置
JP2001271203A (ja) 2000-03-24 2001-10-02 Ya Man Ltd パルス健康器
JP2001293097A (ja) 2000-04-17 2001-10-23 Seiji Nochida 低周波治療装置
AU2002307832A1 (en) * 2001-01-16 2002-09-12 B.M.R.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pparatus for stimulating a muscle of a subject
JP2002345979A (ja) * 2001-05-28 2002-12-03 Ya Man Ltd パルス健康器
JP2003019216A (ja) 2001-07-10 2003-01-21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腹筋・背筋強化訓練装置
DE20200685U1 (de) * 2001-08-17 2002-03-28 Hoeven Martin V D Vorrichtung zur Elektrostimulation von Muskeln
US7072721B1 (en) * 2002-11-01 2006-07-04 Cecilio Trent Electrode vest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abdomen and back
KR20050044092A (ko) * 2003-11-07 2005-05-12 안종기 저주파 전기자극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RU45629U1 (ru) * 2005-02-15 2005-05-27 Смурыгин 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мной комплексной электротерапии внутренних органов и тканей, в частности, нефроптоза и нефросклероза
GB0505940D0 (en) 2005-03-23 2005-04-27 Bmr Res & Dev Ltd Muscle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271689A (ja) 2005-03-29 2006-10-12 Terumo Corp 刺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536636A (ja) * 2005-04-19 2008-09-11 コンペ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背中及び腹部の筋肉に対して電極による刺激を実施する装置
CN101272829A (zh) * 2005-08-12 2008-09-24 沃皮耶斯意大利有限责任公司 腹肌自训练便携装置
JP4910652B2 (ja) * 2006-11-20 2012-04-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JP5128166B2 (ja) 2007-04-17 2013-01-23 ヤーマン株式会社 電極パッド
US8260439B2 (en) * 2007-11-16 2012-09-04 Ethicon, Inc. Nerve stimulation patch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selected nerves
JP2009142624A (ja) 2007-11-22 2009-07-02 Hoomaa Ion Kenkyusho:Kk 電気刺激装置
DE102007057808B4 (de) * 2007-11-30 2010-04-08 A.F. Textil Gmbh Bekleidungsstück zur Elektrostimulation
JP5041345B2 (ja) 2008-09-05 2012-10-03 株式会社テクノリンク 生体刺激装置
TW201031384A (en) * 2009-02-25 2010-09-01 Micro Star Int Co Ltd A portable phys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CN201640564U (zh) 2009-03-26 2010-11-24 富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腰带
WO2011003709A1 (en) 2009-07-10 2011-01-13 University College Dubli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Dubli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the lower back and abdominal muscles
JP3158303U (ja) 2010-01-12 2010-03-25 翰沃生電科技股▲分▼有限公司 電子低周波パルス粘着パッド
JP5497460B2 (ja) * 2010-01-14 2014-05-21 ミナト医科学株式会社 筋疲労をきたしにくい電気刺激装置
US8938303B1 (en) * 2010-06-01 2015-01-20 Brandie Matsen Restless leg therapeutic device
EP2683291B1 (en) * 2011-03-11 2019-07-31 Proteus Digital Health, Inc. Wearable personal body associated device with various physical configurations
CN202069771U (zh) * 2011-05-12 2011-12-14 高峰 医用腹带
KR101064327B1 (ko) * 2011-05-25 2011-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부 근육용 전기 자극 기능을 구비한 보장구
WO2013063200A1 (en) 2011-10-28 2013-05-02 Embrey David 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walking and other locomotion functions
AU2013207901B2 (en) 2012-01-13 2015-08-20 Modular Therapeutx, Llc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5918554B2 (ja) * 2012-01-31 2016-05-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生体刺激電極
CN202665969U (zh) * 2012-04-25 2013-01-16 丁诗林 一种腹背电针刺热疗保健器
GB2502133B (en) 2012-05-17 2018-06-27 Applied Microcurrent Tech Limited Treatment or therapeutic apparatus
US9468753B2 (en) * 2012-06-14 2016-10-18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stimulating motor units
CN202961520U (zh) * 2012-12-11 2013-06-05 橡果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运动带
WO2014134197A1 (en) * 2013-03-01 2014-09-04 Emp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ntrol of noninvasive electrotherapy
CN104287102A (zh) 2013-07-17 2015-01-21 刘介霖 机能性内裤
KR102612767B1 (ko) 2015-02-27 2023-12-13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JP2016163663A (ja)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1918A (zh) 2017-01-16
EP3263173A4 (en) 2019-02-20
KR102489476B1 (ko) 2023-01-18
JP6367510B1 (ja) 2018-08-01
JPWO2016135996A1 (ja) 2017-12-07
CA2977913A1 (en) 2016-09-01
JP7405816B2 (ja) 2023-12-26
US10806925B2 (en) 2020-10-20
RU2017132855A (ru) 2019-03-28
CN107551399B (zh) 2021-05-25
SG11201706459UA (en) 2017-09-28
CN107551399A (zh) 2018-01-09
TWI714555B (zh) 2021-01-01
JP6586138B2 (ja) 2019-10-02
JP2020116417A (ja) 2020-08-06
JP2018015638A (ja) 2018-02-01
KR20230014855A (ko) 2023-01-30
RU2691312C2 (ru) 2019-06-11
JP6987919B2 (ja) 2022-01-05
WO2016135996A1 (ja) 2016-09-01
JP6648910B2 (ja) 2020-02-14
JP2024019555A (ja) 2024-02-09
JP2022019887A (ja) 2022-01-27
JP2017213434A (ja) 2017-12-07
EP3263173A1 (en) 2018-01-03
CN205073521U (zh) 2016-03-09
CN107405482A (zh) 2017-11-28
KR102612767B1 (ko) 2023-12-13
RU2017132855A3 (ko) 2019-03-28
KR20170122226A (ko) 2017-11-03
AU2015384447A1 (en) 2017-08-24
US20180296831A1 (en) 2018-10-18
JP2018130576A (ja)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944A (ko) 근육 전기 자극 장치
TWI659761B (zh) 肌肉電刺激裝置
RU27491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ции мышц
WO2016171161A1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101713579B1 (ko) 피부의 리프팅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JP2017006644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20200013750A (ko)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JP6517079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6202796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6202409A (ja) 筋肉電気刺激気装置
JP2017006215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5976977B1 (ja) 筋肉電気刺激装置
CN205434693U (zh) 腹肌用电刺激装置
JP6476063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6209508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