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458A -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 Google Patents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458A
KR20170114458A KR1020160041343A KR20160041343A KR20170114458A KR 20170114458 A KR20170114458 A KR 20170114458A KR 1020160041343 A KR1020160041343 A KR 1020160041343A KR 20160041343 A KR20160041343 A KR 20160041343A KR 20170114458 A KR20170114458 A KR 2017011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image
image information
camera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건희
Original Assignee
조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건희 filed Critical 조건희
Priority to KR102016004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458A/en
Publication of KR2017011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4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0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H04N13/004
    • H04N13/0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카메라센서의 영상 혹은 두개 카메라센서의 영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무선망으로 연동되어 있는 사용자의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과 가상현실(VR) 헤드셋을 결합하면, 일례로 관광지에서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조종 비행시키면서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보내오는 3D 영상을 즐길 수 있어 관광 분야에서 새로운 콘텐츠 비지니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를 신축성 있는 폴딩(folding)식 구조(옛날 사진관 카메라)로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폴딩된 부분을 펼쳐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고정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하면 두께 20mm 이내로 제공되어 휴대가 편리한 가상현실 헤드셋으로 발전시켰다. 추가로, 시력장애인의 장애 특성에 맞추어 가상현실 헤드셋 전면에 두 개의 카메라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영상을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보정 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여 전맹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용한 시력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도록 발전시켰다. 이와 함께, 수직구조물과 전력공급 케이블로 연결하여 일정 위치 및 일정 고도 및 일정 방향에 드론(케이블로 전력 공급 및 추락 방지하는 유선 드론)을 항시 정지 비행시켜 해당 지역을 촬영토록 하여 전 국토에 대하여 실시간 영상정보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수단으로 발전시켰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camera is installed in the drones, and a side-by-side image is selectively synthesized with an image of each camera sensor or an image of two camera sensors, so that a virtual reality (VR) So that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This combination of a dron with a stereo camera and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lets you enjoy a 3D image from a stereo camera while flying a dron with a stereo camera in a place that is not accessible by humans The new content business becomes possible in the tourism field.
It is enlarged and it is folded (folding)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lens (old camera camera)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lens is fixed by extending the folded part only when necessary. And developed into a handy virtual reality headset. In addition, two camera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the corresponding image is displayed to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vertical structure with the power supply cable, the drones (cable drone that prevents power supply and fall prevention) at a certain position and at a certain altitude and a predetermined direction are always stopped to fly, And developed as a method and means for building a video information service.

Description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여 가상현실 3D 영상으로 주변을 탐색하는 드론 및 이와 연동하는 복합 기능의 VR 장치 {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R device having a stereo camera and a multi-function VR device,

드론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비행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헬리콥터나 드론처럼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 물체의 경우, 프로펠러 회전의 반작용에 의해 본체가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싱글로터 헬리콥터의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일 로터(tail rotor)가 필요하지만, 드론은 앞뒤 프로펠러의 회전을 반대로 하여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을 상쇄시키는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즉, 드론은 각각의 로터 프로페러 회전을 제어하여 상승비행모드(ascend), 하강비행모드(descend), 전진비행모드 (forward), 후진비행모드(backward), 우횡비행모드(roll right), 좌횡비행모드 (roll left), 좌회전비행모드(yaw left), 우회전비행모드(yaw right)가 가능하다. 드론은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양력을 얻고, 각각의 프로펠러로부터 발생하는 양력을 조절하여 전진 및 후진과 방향 전환을 한다. 이러한 드론에는 카메라 센서를 설치하여 주변의 영상 정보를 다양한 무선통신망(이동통신망 포함)을 통해 지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 포함) 혹은 디스플레이를 부착한 원격조종장치로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고성능 드론에는 카메라의 방향을 원격 제어하는 짐벌(Gimbal) 기구를 설치하여 비행에 따른 카메라 떨림 방지 및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시켜 영상 촬영을 하도록 발전하였다. 이와 함께, 드론을 원격조종할 때 시야 거리 내에서만 조종이 가능하다는 한계를 탈피하기 위하여,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센서 영상을 눈 앞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액정이 설치된 고글을 착용하는 FPV(First person View) 기술도 적용되어, 드론에 탑승하여 직접 비행하는 느낌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FPV 기술은 드론에 설치된 한 개의 카메라센서를 이용하므로 디스플레이를 렌즈로 눈앞에 확대하여 보여주는 와이드 스크린 기술(2D) 단계라는 한계가 있다. The dron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hat can fly and steer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nd have been used in various civilian and military applications before and after the 2010s. In the case of a flying object, such as a helicopter or a drone, which generates lift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 reaction of the propeller rotation causes the body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In the case of a single rotor helicopter, a tail rotor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drone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unteracting the reaction caused by propeller rotation by reversing the propeller rotation. That is, the drones control the rotation of each rotor propeller so that the ascending, descending, forward, backward, right, left, It is available in roll left, yaw left, and yaw right modes. The drones us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opellers to gain lift and adjust the lift from each propeller to advance and backward and redirect.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camera sensor to confirm the peripheral image information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or a display on the ground via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high performance drone, a gimbal mechanism that remotely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camera was installed to prevent camera shake in the flight and to rotate the camera in a desired direction to develop the image. In addition, FPV (First Person View) technology, which wears goggles equipped with a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drones, is also applied in order to avoid the limitation that the drone can be operated only within the visual range when remotely controlling the drones It also provides a feeling of flying directly on the drones. However, the FPV technology uses a single camera sensor installed in the drone, which limits the display to a widescreen technology (2D) step that expands the display with the lens.

액정(LCD) 시대에 들어서 소니의 '글래스트론'이나 올림푸스의 '아이트랙'과 같이 작은 화면을 앞에 두고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MD)가 만들어져 FPV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HMD는 디스플레이를 프리즘과 렌즈의 결합으로 영상 왜곡없이 확대하기 위하여 복잡한 고가의 얇은 렌즈를 사용하였지만 화질적 감동이 높지 않았다. 이러한 광학 기구 대신 큰 모바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1/2씩 나눠서 화면을 보여주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가상현실(VR) 개념이 도입되었다. 즉, 큰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영상 처리를 통한 어안 렌더링(110°내외, fish eye rendering)과 저렴한 볼록 렌즈를 결합하여, 두 눈이 보는 장면이 합쳐져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미국 오큘러스 회사의 리프트와 구글의 카드보드 VR 헤드셋의 원리는 헤드셋의 왼쪽과 오른쪽 눈을 위한 2개의 디스플레이를 장착, 디스플레이마다 다른 깊이의 영상을 출력해 입체감 있는 영상을 구현한다. 스마트폰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그동안 불가능했던 높은 해상도(2K급 1440x2560 픽셀) 구현이 가능해졌고,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진화로 한 기기에서 2개의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해짐으로써 VR 헤드셋이 보편화 되었다. 특히 구글 카드보드 VR 및 삼성 기어 VR은 디스플레이 대신 스마트폰을 헤드셋에 장착함으로써, 컴퓨터를 따로 연결해야 하는 단점과 디스플레이와 영상 보드를 헤드셋에 탑재한 오큘러스 리프트의 높은 가격 문제도 해결하였다.In the LCD era, a head-up display (HMD) has been created for use with FPVs, such as Sony's Glastron and Olympus' Eye Track, with a small screen in front and a lens. The HMD used a complex, expensive, thin lens to magnify the display without image distortion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prism and the lens, but the image quality was not high. Instead of this optical device, the concept of side by side virtual reality (VR), which displays the screen by dividing a large mobile high resolution display by half, has been introduced. In other words, Virtual Reality, which combines fisheye rendering (110 ° or less) and inexpensive convex lenses through image processing to match a large display, . The US Oculus lift and Google cardboard VR headset are equipped with two display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headset,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outputting different depth images for each display.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mobile display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realize high resolution (2K class 1440x2560 pixels) that could not be realized and with the evolution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VR headset became popular by enabling two high resolution output in one device. In particular, Google Cardboard VR and Samsung Gear VR also solve the problem of high cost of Oculus lift equipped with a display and video board in a headset by attaching a smartphone to a headset instead of a display.

가상현실(VR)의 큰 장점은 바로 사용자가 가상 공간으로 몰입하는 것이다. 비행하는 드론 전방의 영상을 2D 와이드 스크린 형태로 보여주는 FPV 단계를 벗어나, 드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종하면서 관광지 등 주변의 풍물을 입체감 있는 3D VR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면 새로운 관광과 생활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A big advantage of Virtual Reality (VR) is that users are immersed in virtual space. If you can get a 3D VR image of the surroundings such as sightseeing spots while you are navigating through the drones, you can get a new tourism and life innovation by going beyond the FPV step that shows the image of the flying drones in front of the 2D widescreen have.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는 미국 오큘러스 사에서 만든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컴퓨터와 연결하거나 자체 영상처리보드를 통해 비디오 게임이나 영화 등을 입체감 있는 화면으로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삼성의 기어 VR(이하 VR은 가상현실 헤드셋을 의미) 역시 오큘러스 VR에서 개발한 기술을 사용, 스마트폰을 통해 입체감 있는 영상을 즐길 수 있지만 단순한 구조로 경제적인 가격(중국산 유사제품 10$대)으로 제공되고 있다. LG전자에서 2016년 2월 발표한 VR은 헤드셋에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고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을 헤드셋에 삽입하는 불편 해소와 함께 헤드셋 무게를 기어 VR 비 1/3 수준인 118g까지 줄였으며, 불편한 고정 밴드 대신 안경처럼 착용하도록 하여 휴대성도 개선하였다. (960x720 해상도의 1.88인치 IPS 액정 디스플레이 사용) Oculus Rift is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made by Ocurus in the United States. It can connect to a computer or play video games or movies on a three-dimensional screen through its own video processing board. I can experience reality. Samsung's Gear VR (VR stands for Virtual Reality Headset) also uses the technology developed by Oculus VR to enjoy stereoscopic images through a smart phone, bu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economical price (similar to Chinese $ 10) . LG Electronics announced in February 2016 that it will install a small display panel in the headset and connect it to the smartphone and connect it to the wired line, so that the inconvenience of inserting the smartphone into the headset and the weight of the headset to 1 / It is reduced to 118g, which is level 3, and it is worn like glasses instead of an inconvenient fixed band to improve portability. (Using a 1.88-inch IPS LCD display with 960x720 resolution)

3차원(3D)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차원 카메라와 다른 구성의 3차원 카메라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3차원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렌즈를 두 개 장착하는 등 장비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가일 뿐만 아니라 촬영 기술도 일반 카메라보다는 더 복잡하다. 후면에 하나의 카메라센서를 지원하던 스마트폰에서도 최근 프로세서의 성능이 고성능화됨에 따라 듀얼 카메라(stereo camera)를 지원하고 있다. 원래 목적은 듀얼 카메라를 통하여 DSLR 카메라처럼 다양한 촬영 방식을 구현하면서, 1개의 높은 해상도 카메라 센서에 비해 해상도가 낮은(1/2) 2개의 카메라센서를 사용하여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면서 카메라센서의 높이를 감소시킨다. 하나의 렌즈만을 가지고 있는 단안식 카메라에 반사경을 부착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스테레오 영상을 간편하게 촬영하는 기술도 소개되었지만, 듀얼 (혹은, 스테레오) 카메라에 비하여 완벽한 3D 영상 구현에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3D) stereoscopic image, a two-dimensional camera and a three-dimensional camera and a program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are generally required. Three-dimensional (2D) cameras are generally expensive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equipment, such as two lenses, and the shooting technique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general camera. In the smartphone that supports one camera sensor on the back, a dual camera (stereo camera) has been supported a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or has recently been improved. The original aim was to provide a high-resolution camera sensor that uses two low-resolution (1/2) camera sensors compared to one high-resolution camera sensor while implementing a variety of shooting methods like DSLR cameras through dual cameras, .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easily capture side-by-side stereo images by attaching a reflector to a single-lens camera with only one lens, but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a complete 3D image as compared to a dual (or stereo) camera .

현행 드론은 단안식 카메라를 드론 본체(Body) 혹은 짐벌(Gimbal)에 고정하여 사용하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수단을 통해 지상의 원격조종장치에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는 FPV용 고글 대신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쓰고 드론을 조종하지만, 이 경우도 1개의 영상을 양쪽 눈에 디스플레이하므로 3D 영상이 아닌 와이드 스크린 영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드론에 2개의 카메라를 적용했더라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이 아닌 각각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current drone uses a monopod camera fixed to a drone body or a gimbal,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as image data to a remote control device on the ground through image processing means. Some use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nstead of the FPV goggles and manipulate the drones. However, in this case too, one image is displayed on both eyes, so it is provided as a widescreen image instead of a 3D image. Even if two cameras are applied to the drones, it is known to transmit each image information rather than a side-by-side image.

가상현실(VR)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첫째, 항시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조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종 형태에 따라 드론에서 필요한 영상 정보(1개 카메라 영상 혹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를 선택하여 원격조종장치(디스플레이 장치 포함)에 보내줘야 한다. 둘째로, 사용자의 동공 간의 거리(남성 65mm 내외)와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센서의 거리가 상이할 경우 사용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가상현실(VR) 영상 정보에 어지러움을 느끼고 적응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동공 간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을 착용했을 때 어지러움을 극복하는데 3시간 정도 소요된다. 셋째로, 일반적인 사용자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쓰면 2개의 조이스틱을 장착한 조종장치를 사용하는 데 볼 수 없어 조종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키보드 자판을 안보고 입력시키는 사람도 있지만 키보드를 보면서 입력하는 사람도 있는 경우와 유사하다. 넷째로, 가상현실(VR) 헤드셋도 휴대가 편리하도록 두께가 얇아져야 하는데, 현재 카드보드형 VR 기기는 헤드 고정용 벨트를 제외하더라도 두께가 12cm 내외로 휴대에 문제가 있다. 현재 가상현실(VR) 헤드셋은 오큘러스 리프트처럼 헤드셋에 디스플레이와 영상처리장치 및 렌즈를 설치하는 방식, 구글 카드보드 VR처럼 스마트폰을 착탈하는 기구와 렌즈를 헤드셋에 설치하는 방식, 최근 LG전자에서는 고전적인 방식대로 2인치 이내의 LCD를 설치하고 고가의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시키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following problem should be solved when a stereophonic camera is installed in a drones for shooting a virtual reality (VR) image. First, since there is a case in which a normal display device is always controlled without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t all times, it is necessary to select image information (one camera image or side-by-side image) Device (including display devices). Seco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upil of the user (about 65 mm in male) and the distance of the stereo camera sensor of the drones is different, the user feels dizzy to the side-by-side virtual reality (VR) image information and takes time to adjust . It usually takes about 3 hours to overcome dizziness when wearing glasses that do not match the distance between pupils. Third, a general user can not control a joystick equipped with two joysticks by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Some people do not see the keyboard keyboard, but others like to see the keyboard. Fourth, virtual reality (VR) headsets should be thinner for convenient portability. Currently cardboard type VR devices have a problem of carrying around 12cm in thickness except for the head fixing belt. Currently, virtual reality (VR) headsets are equipped with a display,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 lens in a headset like an oculus lift, a mechanism to attach and detach a smartphone like a Google Cardboard VR, In a classic way,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y installing an LCD of 2 inches or less and enlarging it by using an expensive lens.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1) 드론에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장착하고, 2)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한 개의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를 원격조종장치(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며, 3)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두 개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를 가지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드론에서 실시간으로 만들어 원격조종장치(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거나, 4) 혹은 두 개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를 원격조종장치(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면 원격조종장치(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으로 합성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렌즈를 통과한 영상의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두 개의 카메라센서를 일정 거리(사용자의 동안 거리) 만큼 이격시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카메라 센서로부터 영상신호를 읽어와서 소정의 처리를 하는 영상처리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첫 번째 카메라센서로 구성하는 제1 영상과 두 번째 카메라센서로 구성하는 제2 영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도록 구성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camera, 3) When using a VR (Virtual Reality) headset, side-by-side images are made in real time on the drones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camera sensors, (Or a display device), or 4) or transmits image information of two camera sensors to a remote control device (or a display device), thereby providing a means for synthesizing the side-by-side image in a remote control device (or a display device). That is, two camera sensors for converting the light of an image passed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 signal are fixedly install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signals are read from the two camera sensors and subjected to predetermined processing Side image is composed of a first image constituted by a first camera sensor and a second image constituted by a second camera sensor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할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은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좌측과 우측 영상이 사용자 두 눈 사이의 거리에 맞춰서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것이 주요한 원인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동공 간 거리에 따라 고정한 지상의 가상현실(VR) 헤드셋의 렌즈 사이의 거리만큼 드론의 두 개 카메라 센서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3D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안경의 렌즈를 교체한 후 어지럼증을 느끼는 것은 전에 사용하던 렌즈와 다르게 동공 간의 거리가 미세하게 변경된 것을 인체가 적응하기 때문으로 3시간 내외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hile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can be a cause of dizziness for many reason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not captured 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of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s of the dr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of the fixed virtual reality (VR) head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his / her pupils, thereby providing a 3D image suitable for the user .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the user feels dizzy after replacing the lens of the eyeglasses because the human body adapts the minute distance between the pupils to be different from the lens used before, which takes about 3 hours.

이와 함께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여 드론을 원격 조종할 경우 사용자가 조종장치를 보지 않고도 쉽게 조종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즉, 눈으로 드론을 보면서 조종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의 원격조종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 후, 좌, 우, 상, 하, 정지와 같은 6개의 키를 기본으로 드론을 제어한다. 카메라 방향 제어를 위한 상, 하, 좌, 우 키도 필요하다. 이를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형태로 구성한다.In addition, when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to remotely control the drones, the user should be able to configure the controls to be easy to navigate without looking at the controls. In other words, a different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is needed to control the drones from the eyes. To do this, the drones are controlled based on six keys such as front, back, left, right, up, down, and stop. Up, down, left, right keys for camera direction control are also required. This is configured as a remote control type that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넷째로, 가상현실(VR) 헤드셋도 휴대가 편리하도록 두께가 얇아져야 하는데, 현재 카드보드형 VR 기기는 고정용 벨트를 제외하더라도 두께가 12cm 내외로 휴대에 문제가 있다. 현행 스마트폰의 화면 혹은 5인치 내외의 디스플레이를 고정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를 신축성 있는 폴딩(folding)식 구조(옛날 사진관 카메라)로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폴딩된 부분을 펼쳐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고정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하면 두께 20mm 이내로 제공 가능하여 두께에 따른 휴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5인치 내외의 디스플레이를 헤드셋에 고정 설치할 경우 영상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에서 유선 혹은 무선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스트리밍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헤드셋과 스마트폰을 USB와 같은 형태의 유선 케이블로 연결할 경우 스마트폰으로 부터 500mA 이상의 전류를 USB 규격(USB3.0)에 따라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상현실(VR) 헤드셋에 모션 센서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에 전달하면 몰입감 높은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연동시킬 수 있다. Fourth, virtual reality (VR) headsets should be thinner for convenient portability. Currently cardboard type VR devices have a problem of carrying around 12cm in thickness except for fixing belts. The existing smartphone screen or a display of about 5 inches or more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folded structure (old camera camera) of the display and the lens is connected by a stretchable folding structure to open the folded portion only when necessary, If it is manufactured in a form that keeps the distance fixed, it can be provided within a thickness of 20 mm, so that the problem of portabil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can be solved. When a display of about 5 inches or more is fixed to a headset, side-by-side image information may be streamed from a smart phone by wire or wireless, including image processing means. When a headset and a smartphone are connected by a wired cable such as USB, the current of 500mA or more from a smart phone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USB specification (USB3.0). In this case, when a motion sensor is installed in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nd transmitted to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link the virtual reality (VR) contents with immersive feel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카메라센서의 영상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무선망으로 연동 되어 있는 사용자의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과 가상현실(VR) 헤드셋을 결합하면, 일례로 관광지에서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비행시키면서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보내오는 3D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어 관광 분야에서 새로운 콘텐츠 비즈니스가 가능하게 된다. 해당 사용자는 3D 콘텐츠를 생산하여 외부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를 발전시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camera is installed in the drones, and a side-by-side image is selectively synthesized with an image of each camera sensor or an image of two camera sensors, VR) headset for stereoscopic viewing. This combination of a dron with a stereo camera and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llows you to enjoy a 3D stereoscopic video from a stereo camera while flying a dron with a stereo camera, The new content business becomes possible in the field of tourism. The user can produce 3D content and provide it to the outside. If the user develops the 3D cont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첫째,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더라도 사용자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원격 조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한 개 카메라 영상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 영상 정보로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even if a stereo camera is installed in the drones, the user may use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or remote control while viewing a general display screen. Therefore, the user may select one camera image or two camera sensor image information A side-by-side image can be selected and utilized.

둘째,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여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 간의 거리와 드론의 스테레오 카메라 거리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촬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지러움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Second, when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s used to view a stereo camera image of a dr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pupil and the distance of the stereo camera of the dron are adjusted to be the same, thereby minimizing dizziness.

셋째, 360도 카메라를 장착하여 촬영한 영상 콘텐츠에서 사용자의 눈동자(동안) 거리에 맞춘 사이드 바이 사이 영상을 합성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상현실(VR)의 어지럼증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irdly, side-by-sid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of the user's eyes (in the middle) are synthesized and transmitted from the image contents captured by the 360-degree camera, thereby minimizing the dizziness sid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VR).

넷째,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원격조종장치를 볼 수 없으므로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형태로 제공하여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드론을 원격 조종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not be seen when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t is provided as a remote control type that can be operated by one hand, so that it is easy to remote control the drones even when wearing a virtual reality (VR) .

다섯째, 드론과 함께 운용하여 사용할 경우 가상현실(VR) 헤드셋의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폴딩 구조로 디스플레이 부분과 렌즈 부분을 연결하여 평상시에는 접은 상태로 얇게 하여 휴대하고, 사용시에는 펼쳐 디스플레이와 렌즈의 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휴대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Fifth, when used with a drone, to minimize the thickness and weight of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the display portion and the lens portion are connected by a folding structure so that they are normally folded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portability can be improved.

여섯째, 추가로 가상현실(VR) 헤드셋의 전면에 두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카메라 센서 영상을 재구성 및 변환하여 VR 화면으로 크게 보여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약한 시력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Sixth, in addition, two cameras ar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of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to reconstruct and convert the camera sensor im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hereby displaying a large VR image, thereby assisting the visually impaired .


제 1 도는 한 개의 카메라센서를 설치하고 고글 및 가상현실 헤드셋으로 조종하는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한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한 드론의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원 핸드형 원격지 조종장치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를 접이형 폴딩 구조로 하여 휴대시 헤드셋 두께를 얇게 구성한 가상현실 헤드셋 이미지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전면에 설치한 시각장애인 시력 보정용 가상현실 헤드셋의 구조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일정한 위치에 세운 수직구조물과 케이블로 연결하여 일정한 위치 및 고도 및 방향에 드론을 정지 비행하도록 구성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수직구조물의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n image of a dron that installs a camera sensor and controls the goggles and virtual reality headset.
Figure 2 is an image of a dron with two camera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 equipped with two camera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controlled remote-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rtual reality headset image having a folded folding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lens and having a thin headset thickness during carrying.
FIG. 6 is a structural view of a virtual reality headset for visual correction, in which two camera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vertical structur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land area in real time by configuring the dron to f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titude and direction by connecting the vertical structure set up at a certain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ab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종 모드(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가상현실 헤드셋)에 따라 한개의 카메라 센서의 영상 혹은 드론에서 두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을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드론에 사용자의 눈동자(동안)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센서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드론에서 촬영하는 최적화된 입체 영상을 감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최근 드론 전용 무선 통신망 확보(5.030 ~ 5.092GHz)와 함께 드론에 탑재되는 비행제어컴퓨터장치도 스마트폰과 동일한 프로세서(일례로 갤럭시 S5에 적용된 퀄컴사 스냅드레곤 801 프로세서)를 적용하여 다양한 업무 수행 프로그램 적용하도록 고성능화되고 있다. 현재 드론에는 하단에 수평방향 드리프트(drift)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센서로 옵티컬 플로우 메터링(Optical Flow metering) 기능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및 정밀 촬영을 위한 한 개의 고해상도 카메라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방에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하면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로 촬영한 영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합성하여 지상에 전송하도록 하면 입체감 있는 가상현실(VR) 영상을 보면서 드론을 조종 및 활용할 수 있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은 사람이 두 눈으로 보는 것처럼 카메라 센서를 두 개 사용하여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나누어 표시하도록 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사람의 두 눈에 각각 초점을 맞춰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 가상현실(VR) 헤드셋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tereo camera on a dron by side by side (a side by side) in which an image of one camera sensor or an image of two camera sensors is combined in a dron according to a user's steering mode (a display device or a virtual reality headset) ) Images are selectively transmitted. In addition,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sensor that adjusts the distance to match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pupils and allows the user to view optimized stereoscopic images taken by the drones with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can do. Recently, the flight control computer unit installed in the drone along with the dedicate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5.030 ~ 5.092GHz) is applied to the same processor as the smartphone (for example, Qualcomm Snapdragon 801 processor applied to the Galaxy S5) . The current drone is equipped with an optical flow metering function as a camera sensor to detect horizontal drift movement at the bottom, and a high-resolution camera sensor for monitoring and precise shooting.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by installing two camera sensors in the front,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side by side images with images captured by two camera sensors and transmit them to the ground You can manipulate and utilize the drones while viewing virtual reality (VR) images with three-dimensional effects. The side-by-side image allows two images of a camera to be displayed on a single screen using two camera sensors, as shown by a human eye, and the side-by-side image is focused on two eyes of a person, (VR) headset for the most par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한 개의 카메라센서를 설치하고 고글 및 가상현실 헤드셋으로 조종하는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한 드론의 이미지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한 드론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촬영하기 위해,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하며, 드론(1)의 비행경로 및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관성센서 수단(2) 및 비행제어컴퓨터 수단(3); 두 개의 카메라 센서 수단(4); 두 개의 카메라 센서(4)의 영상 정보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처리 수단(5);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무선(이동통신망 포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원격지 조종장치(6)에 전달하는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7)으로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드론을 조종할 때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있는 원격조종장치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영상을 확인해야 한다. 즉, 드론(1)에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로 한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두 개의 카메라센서(4) 영상 정보를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는 영상 정보 선택 수단(8); 한 개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 혹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원격지 조종장치(6)에 전달하는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7)으로 구성할 수 있다.Figure 1 is an image of a dron that installs a camera sensor and controls the goggles and virtual reality headset. Figure 2 is an image of a dron with two camera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 equipped with two camera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ertial sensor means 2 and a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3 for mounting a stereo camera on the drones and controlling the flight path and attitude of the drones 1 for photographing such virtual reality contents; Two camera sensor means (4); Image processing means (5) for synthesizing side by side images with image information of two camera sensors (4); And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means (7) for transmitting the side by side video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6) wirelessly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providing a side-by-side image content service of a drones and drones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de-by-side image. However, when driving the drones, images must be viewed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camera images or a separate display means such as a mobile device. That is, in the mode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drone 1,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camera sensor is transmitted or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cameras 4 is selected to transmit the synthesized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selecting means (8); And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means 7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ne camera sensor or the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wirelessly to the display device or remote control device 6.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할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은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좌측과 우측 영상이 사용자 두 눈동자 사이의 거리에 맞춰서 영상이 촬영되지 않은 것도 문제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눈동자 거리에 따라 고정한 지상의 가상현실(VR) 헤드셋의 렌즈 사이의 거리만큼 드론의 두 개 카메라 센서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인 3D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한다. 즉,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따라, 드론(1)에 설치된 두 개의 카메라센서 수단(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조절 수단(9)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조절 수단(9)으로;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의 이격 거리를 물리적으로 조절하는 수단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맞추어 두 개 카메라 센서 수단(4)의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 변환 수단(10)으로 구성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고성능화에 따라 액세서리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360도 전체 영역을 촬영하여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는 360도 카메라도 발표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두 개의 카메라센서 수단(4) 대신 360도 혹은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는 수단;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를 입력하는 수단; 360도 혹은 광각 영상에서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두 개의 영상을 변환하는 수단; 두 개의 변환된 영상 정보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or dizziness when using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but the problem may be that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not captur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two eyes.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s of the dr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of the fixed virtual reality (VR) headset according to his / her pupil distance, thereby providing the optimal 3D image for the user. That is, the distance control unit 9 includes a distance adjusting unit 9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units 4 installed on the drone 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of the user. (9)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may be physically adjusted o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may be fix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may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10) for converting the image data. Recently, as the smart phone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accessories have also been diversified. A 360-degree camera has also been introduced, which selects the desired image by shooting the entire 360-degree area. Means for using a 360 degree or wide angle camera instead of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Means for inputting a distance between eyes of a user; Means for transforming two images determin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user's eyes in a 360-degree or wide-angle image; And composing the side by side image with the two converted image informa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원 핸드형 원격지 조종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와 함께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사용하여 드론을 원격 조종할 경우 사용자가 원격조종장치를 보지 않고 쉽게 조종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눈으로 드론을 보면서 조종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의 원격조종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 후, 좌, 우, 상, 하, 정지와 같은 6개의 키를 기본으로 드론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카메라 방향 제어를 위한 상 하 좌 우 키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형태로 구성함이 타당하다. 즉 원격지 조종장치(11)로는, 중앙에 드론 정지비행(hovering) 지시 키(12); 정지 비행을 지시하는 키 외부에 원형으로 드론의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13); 드론의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 외부 상단에 드론 상승 키(14) 및 하단에 드론 하강 키(15); 드론 상승 키(14)와 드론 하강키(15) 사이에 카메라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1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함께, 드론에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로 한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여 드론(1)에 전송하는 모드선택 키(17)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광지에서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활용하여 정해진 관광 코스에 따라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자율 비행시키고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관람하게 할 수 있다면, 드론 조종 체험이라는 흥미와 함께 관광 산업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는 비경 관람)이 될 수 있다. 정해진 관광 코스에 따라 드론을 자율 비행하도록 구성하고, 관광객이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격지 조종장치는 전진키 및 후진키 및 정지키(선택적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 및 하강키)를 사용하여 드론의 기본적인 비행을 제어하면서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관람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카메라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controlled remote-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using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to remotely control the drones, the user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without looking at it. A different type of remote control device is needed to look at and control the drones. To do this, the drones are controlled based on six keys such as front, back, left, right, up, down, and stop. An optional up and down left and right keys are also required for camera direction control. In order to do this, it is appropriate to configure the remote control type to be operated by one hand. Tha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11 includes a drones hovering indication key 12 at the center; A four-way key 13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ron as a circle outside the key for indicating stop flight; A drones rising key 14 at the outer upper end and a dron lowering key 15 at the lower end of the four-way ke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rones; And a four direction key 16 for controlling the camera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rones rising key 14 and the dron lowering keys 15. [ In addition, in the mode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drones,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camera sensor is transmitted, or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camera sensors is transmitted as synthesized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And a mode selection key 17 for transmitting the mode selection key 17. If a dron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at a tourist spot can be used to autonomously fly a dron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our course and to view it as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t can be a turning point (an unexplored sight without human touch). The remote control device, which can be configured to autonomously fly the dr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our course, and which can be used by the tourist with one hand, uses a forward key and a backward key and a stop key (optionally a range of up and down keys)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asic flight while watching with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n this case, a four direction key 16 for controlling the camera direction can be included.

제 5 도는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를 접이형 폴딩 구조로 하여 휴대시 헤드셋 두께를 얇게 구성한 가상현실 헤드셋 이미지도이다. 가상현실(VR)은 새로운 문화 및 콘텐츠 산업의 주역으로 부각되면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과 함께 다양한 가상현실 헤드셋이 판매되고 있다. 휴대 및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가상현실(VR) 헤드셋도 두께가 얇아져야 하는데, 현재 카드 보드형 가상현실(VR) 기기는 헤드 고정용 벨트를 제외하더라도 두께가 12cm 내외로 휴대에 문제가 있다. 현재 가상현실(VR) 헤드셋은 오큘러스 리프트처럼 가상현실(VR) 헤드셋에 디스플레이와 영상처리장치 및 렌즈를 설치하는 방식, 구글 카드 보드처럼 스마트폰 착탈 기구와 렌즈를 헤드셋에 설치하는 방식, 최근 LG전자에서는 스마트폰과 케이블로 연결(혹은 무선)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정보를 전송받는 수단과 2인치 이내의 디스플레이(LCD)를 설치하고 고가의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시키는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행 스마트폰의 화면 혹은 5인치 내외의 디스플레이를 고정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를 신축성 있는 접이식 폴딩(folding)식 구조(옛날 사진관 카메라 참조)로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폴딩 부분을 펼쳐 디스플레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고정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하면 두께 2cm 이내로 제공 가능하여 가상현실(VR) 헤드셋 휴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수단이 설치되는 화면 부분(18)과, 렌즈를 설치하는 렌즈 부분(19) 사이를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설치하여, 휴대시에는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접어 두께를 얇게 하고, 사용시에는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펼쳐 화면 부분(18)과 렌즈 부분(19)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켜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화면 부분과 렌즈 부분 사이를 접이식 폴딩 기구로 제작하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을 부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화면 부분(18)을 구성할 수 있다. 혹은, 화면 부분(18)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가상현실(VR) 헤드셋 자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직접 재생하는 영상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FIG. 5 is a virtual reality headset image having a folded folding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lens and having a thin headset thickness during carrying. Virtual reality (VR) is emerging as the mainstay of new culture and contents industry, and various virtual reality headsets are being sold along with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n order to use the VR headset for portable and convenient use, thickness of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should be reduced. However, card board type virtual reality (VR) devices have a problem of carrying around 12cm in thickness except for the head fixing belt. Currently, virtual reality (VR) headsets are equipped with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like a Oculus lift, a display,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 lens installed in the headset, a smartphone attach / detach mechanism like a Google card board, In the former, it is divided into a means to receive side-by-side image information by connecting (or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and a cable, and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to install a display within 2 inches (LCD) . The current smartphone screen or a display of about 5 inches or more is fixedly installed, and a foldable folding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lens is connected (see an old camera camera) to expand the folding portion only when necessary, Can be provided within a thickness of 2 cm, thereby solving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portability problem. That is, the foldable folding mechanism 20 is provided between the screen portion 18 on which the display means is installed and the lens portion 19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and when the portable foldable folding mechanism 20 is folded, Folding folding mechanism 20 is unfolded to enlarge and fix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portion 18 and the lens portion 19 in u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in which a folding fold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a screen portion and a lens portion. In this case, the smartphone can be attached to form the screen portion 18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Alternatively, the screen portion 18 may comprise means for receiving a side by side video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from a user's smartphone; And display means installed in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itself; And image processing means for directly reproducing the side by side image on the display means.

제 6 도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전면에 설치한 시각장애인 시력 보정용 가상현실 헤드셋의 구조도이다. 시각 장애인은 약시 혹은 난시 혹은 부족한 색상 식별 혹은 짧은 초점 거리 혹은 극히 좁은 시야 등과 같이 여러 형태로 정상적인 시력에 제한을 받고 있다. 가상현실(VR) 헤드셋은 눈앞에서 밝기 및 색상 및 이미지 크기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확대하여 보는 효과(100인치급)가 있으므로, 시력장애인의 장애 특성에 맞추어 가상현실 헤드셋 전면에 두 개의 카메라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영상을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보정 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면 전맹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용한 시력 보조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시각장애인용 가상현실(VR) 헤드셋에 있어서, 가상현실(VR) 헤드셋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수단; 및, 가상현실(VR) 헤드셋 전면에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설치하는 수단; 및, 각각의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를 시각장애인의 시력(일례로 약시, 난시, 색맹, 짧은 초점, 좁은 시야) 특성에 따라 보정하는 영상보정 수단; 및, 보정된 영상을 가상현실 헤드셋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각각의 카메라센서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으로는 강한 명암 대비 및 색상 변환 및 이미지 확대 및 좁은 시야 범위로 영상 순차 이동 기술 등이 시력 장애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즉, 시각장애인의 시력(일례로 약시, 난시, 색맹, 짧은 초점, 좁은 시야) 특성을 설정하는 프로그래밍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함께, 두 개의 카메라센서(23)로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 음성으로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알려주는 수단; 및, 선택적으로, 영상보정수단(23)에서 영상을 자동 인식하는 수단; 및 음성으로 전방 물체의 종류를 알려주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structural view of a virtual reality headset for visual correction, in which two camera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re restricted to normal vision in many forms, such as amblyopia or astigmatism, insufficient color identification, short focal lengths, or extremely narrow field of view. The virtual reality (VR) headset has a magnifying effect (100-inch class) as a display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lor and image size in front of the ey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as a useful visual assistant means except for the case of blindness.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display means provided in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nd means for installing two camera sensors in front of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nd image correction means for correc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each camera sensor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for example, amblyopia, astigmatism, color blindness, short focus, narrow field of view) characteristics; And means for displaying the corrected image on the display means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As a method of correcting each camera sensor image, strong contrast, color conversion, image enlargement, and image sequential movement technique with a narrow field of view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disturbance. That is, it includes a programming means for setting the visual acuity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for example, amblyopia, astigmatism, color blindness, short focus, narrow field of view). In addition, means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forward object with the two camera sensors 23; Means for informing the distance to the forward object by voice; And, optionally, mean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n image in the image correction means (23); And means for informing the type of the forward object by voice.

제 7 도는 본 발명의 일정한 위치에 세운 수직구조물과 케이블로 연결하여 일정한 위치 및 고도 및 방향에 드론을 정지 비행하도록 구성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수직구조물의 구성도이다. 정지궤도 및 저궤도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상의 상태를 스캔하고 있지만, 위성의 고도 및 위성 스캔 주기에 따라 실시간 영상(300km 저궤도 위성 15바퀴/일)을 확보하기 어렵고 위성과 지상 간의 거리(정지 궤도 36,000km)가 멀어 스캔하는 영상 해상도에 한계가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정해진 위치와, 정해진 고도(일례로 150m 내외 상공)에, 정해진 방향으로 드론을 고정 배치하여 지상의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해진 위치의 드론을 150m 상공에서 5km x 5km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면, 대한민국 영토(동서 300km, 남북 400km)에 총 60 x 80 = 4,800개 드론을 고정 비행시키면 실시간 영상 및 필요한 지역은 고해상도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세밀한 실시간 영상이 필요한 도심 지역은 드론 간 간격을 좁게 하거나 카메라 해상도를 높이고, 그 외의 지역(농촌, 산림, 해양)은 드론 간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드론에서 촬영하는 영상들을 중첩시켜 국토 전체의 실시간 영상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소방, 치안, 기상, 사고, 화재, 이동정보, 인명구조, 중국어선 영해 침범 등 다양한 실시간 영상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처럼 드론을 정해진 궤도에 따라 비행하면서 영상을 촬영할 경우 국토 영역에 대해서 실시간 영상 정보를 확보할 수 없으며, 드론의 배터리 용량 한계로 24시간 체공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드론 리튬배터리로 체공시간 30분 이내)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국토 영역에 걸쳐 정해진 위치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 드론에서 관측하고자 하는 방향들에 카메라센서들을 설치하는 수단;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카메라센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수신 서버수단;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정보를 연결하여 해당 국토 영역의 영상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국토 영역에 걸쳐 정해진 위치(혹은,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으로는, 해당 위치에 수직 구조물을 세우는 수단; 및, 수직 구조물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해당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 및, 선택적으로, 드론에 이상 발생시 케이블을 신속히 감아 해당 드론을 지상 추락 이전에 회수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악천후시 착륙할 도킹 수단이 수직구조물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구조물에 설치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악천후시(주로 태풍)를 제외하고는 항시 상공에서 촬영할 수 있다. 전력케이블에 통신 라인을 포함할 경우 수직구조물의 통신장치에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혹은, 드론의 무선통신망(와이파이 혹은 블루투쓰 혹은 드론 전용무선통신망)으로 수직구조물의 무선통신장치에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화케이블 4P의 경우 150m 케이블 무게는 4kg 내외인 만큼, 드론의 페이로드를 낮추기 위해 가벼우면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유연하면서 끊어지지 않도록 외피 재질을 선정하여야 한다. (UTP 랜케이블의 경우 도체저항 9Ω/100m, 정전용량 6nF/100m, propagation delay 500ns/100m 내외)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할 때 기준이 되는 인덱스 혹은 이미지 수단을 설정하여,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드론의 카메라센서에서 일정 위치(혹은, 간격), 일정 고도, 일정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므로 촬영 영상에서 잘라내는(일례로 4km x 4km 간격) 위치의 이미지(혹은 인덱스)를 미리 지정해둘 수 있다.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각각의 드론들의 카메라센서의 방향을(동서남북) 동일하게 맞춘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구성한다. 드론의 카메라센서는, 해당 드론에서 관리하는 전체 영역을 한 번에 스캔하는 모드와, 관리하는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씩 순차적으로 스캔하는 모드 및, 특정 부분만 상세하게 스캔하는 모드로 구성할 수 있다. 드론의 하단 카메라센서의 지상 관측과 함께, 드론 상단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상공을 관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론 상단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상공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기상 정보 혹은, 해당 상공의 비행물체(드론 포함) 출현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해상에 걸쳐(영해) 정해진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으로 해당 위치의 해상에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가 설치된 부표(해저와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음)를 세우고, 부표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해당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고, 드론에 이상 발생시 케이블을 감아 해당 드론을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해상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불법 조업 어선 출현 정보를 인식하여 알리도록 구성한다.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지상 및 산림 지역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화재 발생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국가 경계선 이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구조물을 세우고 수직구조물과 전력케이블로 연결된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국가 간의 경계선 주변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국가 경계선을 침투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체 국토를 일정 거리 간격(일례로 드론 높이 150m의 경우 5km 간격)으로 구성할 경우, 국토 전체 영역을 모니터링하도록(일례로 대한민국 영토 동서 300km 남북 400km로 하면 총 4,800개) 드론을 운용하여, 드론을 이용한 전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vertical structur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a land area in real time by configuring the dron to f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titude and direction by connecting the vertical structure set up at a certain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able. It is difficult to obtain real-time video (15 km / day 300km low-earth orbit satellite)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atellite and the scan period of the satellite.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round (36,000 km of geostationary orbit) There are many limitations on the image resolution to be scann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hotographing a ground image by fixedly arranging a dron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t a predetermined altitude (for example, about 150 m or more). If you shoot a 5km x 5km region from 150m above the appointed location, you can fly a total of 60x80 = 4,800 drones on Korean territory (300km east and 400km north-south) to get real-time video and high- . Of course, in urban areas where detailed real-time imaging is required, the interval between drones may be narrowed, the camera resolution may be increased, and other areas (rural, forest, and ocean) may be widened. In this way, real-time image information of the entire country can be created by superimposing the images taken by each of the drones, and real-time image information such as fire, security, weather, accident, fire, moving inform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acquire real-tim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when shooting the dron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it is not possible to cover the drones with the battery capacity limit for 24 hours. ). In order to solve this, means for positioning the dr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ltitude over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to be monitored; Means for installing camera sensors in directions to be observed in the drone; An image information reception server means for receiving camera sensor image information of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to imag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national territory area. Means for locating the drone at predetermined positions (or intervals) and altitudes over the land area include means for erecting a vertical structure at the location; And means for powering the drones through a cable in a vertical structure; And optionally means for rapidly draining the cable when the drones are faulty and recovering the drones prior to ground crash. Docking means for landing in bad weather is installed on a vertical structure, and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ower cable installed in a vertical structure, so that it can be photographed at all times except during bad weather (mainly typhoon). When the power cable includes a communication line,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vertical structure. Alternatively, vide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a vertical structur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or Bluetooth or a dedica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rones. Telephone cable 4P 150m Cable weight is about 4kg. In order to lower the payload of the drone, it should be light and able to supply enough power, and flexible material should be chosen so that it does not break. (Conductor resistance: 9Ω / 100m, Capacitance: 6nF / 100m, Propagation delay: 500ns / 100m for UTP LAN cable.) Index that is used when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taken at the relevant position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Or the image means is set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connected and converted in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n image (or an index) at a position (or an index) cut out from a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at intervals of 4 km x 4 km) in advance by photographing a dron camera sens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ensor of each of the drones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drones (east, west, north, north) in order to connec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The camera sensor of the drone can be configured to have a mode for scanning the entire area managed by the drone at one time, a mode for sequentially scanning some areas in the entire area to be managed, and a mode for scanning only a specific part in detail . In addition to the ground observation of the lower camera sensor of the drones, a camera sensor can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one to observe the sk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weather information or the emergence information of the flying object (including the drones) over the image by observing the sky by installing the camera sensor on the upper end of the drone. A means of locating the dron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ltitudes over the sea (in the territorial waters) is to set up buoys (not chained with the undersea) connected to wind power and photovoltaic units at the location,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drone, and to collect the corresponding drone by winding the cab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one. In this case, a camera sensor is installed in the drone so that the illegal fishing boats emergence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notified in the image observing the sea. A camera sensor is installed on the drones, and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is recognized in an image observing the ground and the forest area. Alternatively, a vertical structure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within a country boundary, and a camera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dron connected to a vertical structure and a power cable so as to recognize image information penetrating the national boundary line in a video image which is observed around the boundary line between countries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tire country is configured at a certain distance (eg, at a distance of 5 km in the case of a drone height of 150 m),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whole territory of the country (for example, Thu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al-time monitoring service of nationwide image information using a dron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드론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카메라센서의 영상 혹은 두개 카메라센서의 영상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무선망으로 연동되어 있는 사용자의 가상현실(VR) 헤드셋으로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과 가상현실(VR) 헤드셋을 결합하면, 일례로 관광지에서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조종 비행시키면서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보내오는 3D 영상을 즐길 수 있어 관광 분야에서 새로운 콘텐츠 비지니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확대하여 휴대가 편리한 가상현실 헤드셋, 시각 장애인의 시각 장애 극복을 보조하는 영상보정 기능의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전면에 설치한 가상현실 헤드셋, 일정 위치 및 일정 고도 및 일정 방향에 드론(케이블로 전력 공급 및 추락 방지하는 유선 드론)을 항시 정지 비행시켜 해당 지역을 촬영토록 하여 전 국토에 대하여 실시간 영상정보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수단으로 발전시켰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 camera is installed in the drones, and a side-by-side image is selectively synthesized with images of respective camera sensors or images of two camera sensors, ) Stereo image with a headset. This combination of a dron with a stereo camera and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lets you enjoy a 3D image from a stereo camera while flying a dron with a stereo camera in a place that is not accessible by humans The new content business becomes possible in the tourism field. It is equipped with a virtual reality headset that is easy to carry and an image correction function that assists visually impaired people to overcome the visual impairment, a virtual reality headset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 drones And to provide a real-time image information service for the whole country by shooting the area by stopping flight at all times.

1 : 드론 2 : 관성센서수단
3 : 비행제어컴퓨터 수단 4 : 두 개의 카메라센서 수단
5 : 영상처리 수단
6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지 조종장치
7 :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 8 : 영상정보 선택수단
9 : 이격거리 조절수단 10 : 영상변환수단
11 : 원격지 조종장치 12 : 정지비행 지시키
13 : 드론 4방향 키 14 : 드론상승 키
15 : 드론하강 키 16 : 카메라 4방향 키
17 : 모드선택 키 18 : 화면 부분
19 : 렌즈 부분 20 : 접이식 폴딩 기구
21 : 디스플레이 수단 22 : 두 개의 카메라센서
23 : 영상보정수단 24 : 렌즈
1: Dron 2: inertia sensor means
3: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4: two camera sensor means
5: Image processing means
6: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7: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means 8: video information selection means
9: Separation distance adjustment means 10: Image conversion means
11: Remote control unit 12: Stopping flight
13: Dron 4 direction key 14: Dron rise key
15: Drone descent key 16: Camera 4 direction key
17: Mode selection key 18: Screen portion
19: Lens part 20: Folding folding mechanism
21: display means 22: two camera sensors
23: image correcting means 24: lens

Claims (28)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에 있어서,
드론(1)의 비행경로 및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관성센서 수단(2) 및 비행제어컴퓨터 수단(3);
두 개의 카메라 센서 수단(4);
두 개의 카메라 센서(4)의 영상 정보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처리 수단(5);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원격지 조종장치(6)에 전달하는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
In a drones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Inertial sensor means (2) and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3) for controlling the flight path and attitude of the drones (1);
Two camera sensor means (4);
Image processing means (5) for synthesizing side by side images with image information of two camera sensors (4);
And a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means (7)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ide by side video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or remote control device (6).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drones BISIDE IMAGE CONTENT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드론(1)에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로
한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는 영상 정보 선택 수단(8);
한 개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 혹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원격지 조종장치(6)에 전달하는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ode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drone 1
Image information selecting means (8) for selecting to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camera sensor or to transmit the synthesized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camera sensors as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And a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means (7)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ne camera sensor or the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6) wirelessly. Side-by-Side Image Content Services for Drones and Drones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따라
드론(1)에 설치된 두 개의 카메라센서 수단(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 수단(9)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센서 간 거리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Side image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sensor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tance-adjusting means (9)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installed on the drone (1) Side-by-Side Image Content Services for Drones and Drones
제 3 항에 있어서,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 수단(9)으로;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의 이격 거리를 물리적으로 조절하는 수단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 수단(4)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맞추어 두 개 카메라 센서 수단(4)의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 변환 수단(1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센서 간 거리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
The method of claim 3,
(9)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Means for physicall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And an image converting means (10) for converting the images of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mera sensor means (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upils of the user. Side-by-side image content service of a dron and a dron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de-by-side image having a distance control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카메라센서 수단(4) 대신 360도 혹은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는 수단;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를 입력하는 수단;
360도 혹은 광각 영상에서 사용자의 눈동자 간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두 개의 영상을 변환하는 수단;
두 개의 변환된 영상 정보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합성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센서 간 거리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 및 드론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콘텐츠 서비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eans for using a 360 degree or wide angle camera instead of two camera sensor means 4;
Means for inputting a distance between eyes of a user;
Means for transforming two images determin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user's eyes in a 360-degree or wide-angle image;
And a side-by-side image combining unit that synthesizes the side-by-side image with the two converted image information. The side-by-side image content service of the drones and drones having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지 조종장치(11)로는
중앙에 드론을 정지비행을 지시하는 키(12);
정지 비행을 지시하는 키 외부에 원형으로 드론의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13);
드론의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 외부 상단에 드론 상승 키(14) 및 하단에 드론 하강 키(15);
드론 상승키(14)와 드론 하강키(15) 사이에 카메라 방향을 조종하는 4방향 키(16)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드론의 원 핸드형 원격지 조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11,
A key 12 for directing stopping the drone in the center;
A four-way key 13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ron as a circle outside the key for indicating stop flight;
A drones rising key 14 at the outer upper end and a dron lowering key 15 at the lower end of the four-way ke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rones;
A four-way key (16) for controlling the camera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rones rising key (14) and the dron lowering key (15). The remote control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모드로 한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두 개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합성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여 드론(1)에 전송하는 모드선택 키(17)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드론의 원 핸드형 원격지 조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camera sensor in the mode of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lternatively, a mode selection key 17 for selecting to transmit the combined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camera sensors as the synthesized side by sid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image information to the dron 1 is provided. One-handed remote control of the transferring drones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에 있어서,
관광지에서 정해진 관광 코스에 따라 자율 비행하는 드론(1)의 비행경로 및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위성좌표수신수단과 관성센서 수단(2) 및 비행제어컴퓨터 수단(3);
두 개의 카메라 센서 수단(4);
두 개의 카메라 센서(4)의 영상 정보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처리 수단(5);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원격지 조종장치(6)에 전달하는 무선 및 이동통신수단(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자율비행 드론 및 이를 이용한 관광지 드론 자율비행 관람 서비스
In a drones equipped with a stereo camera,
A satellite coordinate receiving means, an inertial sensor means 2 and a flight control computer means 3 for controlling the flight path and posture of the drones 1 autonomously flying according to the tour course set in the tourist spot;
Two camera sensor means (4);
Image processing means (5) for synthesizing side by side images with image information of two camera sensors (4);
Sid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7) for transmitting side-by-side image information wirelessly to a display device or a remote control device (6), and an autonomous flight drones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de- Useful tourist attractions
제 8 항에 있어서,
정해진 관광 코스에 따라 드론이 자율 비행하는 경우 원격지 조종장치(11)로는
비행 중 드론의 정지비행을 지시하는 키(12);
관광 코스에 따라 전진 및 후진을 지시하는 전진키 및 후진키;
선택적으로, 드론 상승 키(14) 및 드론 하강 키(1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전송하는 드론의 원 핸드형 원격지 조종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drones are self-propell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tour course, the remote control device 11
A key 12 for instructing stop flight of the drones during flight;
A forward key and a backward key for instruct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tour course;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ows-up key (14) and a drowner descending key (15)
가상현실(VR) 헤드셋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수단이 설치되는 화면 부분(18)과
렌즈를 설치하는 렌즈 부분(19) 사이를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설치하여
휴대시에는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접어 두께를 얇게 하고
사용시에는 접이식 폴딩 기구(20)를 펼쳐 화면 부분(18)과 렌즈 부분(19)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켜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부분과 렌즈 부분 사이를 접이식 폴딩 기구로 제작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In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A screen portion 18 on which the display means is installed
A foldable folding mechanism 20 is provided between the lens portions 19 for mounting the lenses
The folding folding mechanism 20 is folded to reduce the thickness thereof
Wherein the foldable folding mechanism (20) is extended to extend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portion (18) and the lens portion (19) to use the foldable folding mechanism (20) headset
제 10 항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부착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화면 부분(18)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부분과 렌즈 부분 사이를 접이식 폴딩 구조로 제작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creen portion (18) is formed as a display screen of a smart phone by attaching a smart phone. The virtual reality headset
제 10 항에 있어서,
화면 부분(18)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가상현실 헤드셋 자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재생하는 영상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부분과 렌즈 부분 사이를 접이식 폴딩 구조로 제작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creen portion 18
Means for receiving a side-by-side video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from a user's smartphone; And
Display means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itself; And
And a video process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side-by-side video on the display means. The virtual reality headset
시각장애인용 가상현실(VR) 헤드셋에 있어서,
가상현실 헤드셋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수단(21); 및
가상현실 헤드셋 전면에 두 개의 카메라 센서(22)를 설치하는 수단; 및
각각의 카메라 센서의 영상 정보를 시각장애인의 시력(약시 및 난시) 특성에 따라 보정하는 영상보정 수단(23); 및
보정된 영상을 가상현실 헤드셋의 디스플레이 수단(21)에 표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시력 특성에 따라 보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A virtual reality (VR) head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Display means (21)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headset; And
Means for installing two camera sensors (22) on the front face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And
An image correction means (23) for correcting image information of each camera sensor according to a visual acuity (amblyopic and astigmatism) characteristics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And displaying the corrected image on the display means (21) of the virtual reality headset. The virtual reality headset
제 13 항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의 시력(일례로 약시, 난시, 색맹, 짧은 초점, 좁은 시야) 특성을 설정하는 프로그래밍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시력 특성에 따라 보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14. The method of claim 13,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rogramming means for setting the visual acuity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e.g. amblyopia, astigmatism, color blindness, short focus, narrow field of view)
제 1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카메라센서(23)로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
음성으로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알려주는 수단; 및
선택적으로, 영상보정수단(23)에서 영상을 자동 인식하는 수단; 및
음성으로 전방 물체의 종류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시력 특성에 따라 보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현실 헤드셋
14. The method of claim 13,
Means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forward object with two camera sensors (23);
Means for informing the distance to the forward object by voice; And
Alternatively, the image correction means 23 may automatically recognize the image. And
And a means for informing the type of the forward object by voice. The virtual reality headset
드론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이용한 영상정보 서비스에 있어서,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국토 영역에 걸쳐 정해진 위치(혹은,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
드론에서 관측하고자 하는 방향들에 카메라센서들을 설치하는 수단;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카메라센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 서버 수단;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In a video information service using images photographed by a drone,
Means for locating the dron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r interval) and altitude over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to be monitored;
Means for installing camera sensors in directions to be observed in the drone;
An image information reception server means for receiving camera sensor image information of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s taken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to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by connec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제 16 항에 있어서,
국토 영역에 걸쳐 정해진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으로 해당 위치에 수직 구조물을 세우는 수단; 및
수직 구조물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해당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 및
드론에 이상 발생시 케이블을 감아 해당 드론을 회수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Means for locating the vertical structure at the location by means of locating the drone at a predetermined spacing and elevation over the land area; And
Means for powering the drones through a cable in a vertical structure; And
And a means for collecting the drone by winding a cab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ones.
제 16 항에 있어서,
국토 영역에 걸쳐 정해진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으로 해당 위치에 수직 구조물을 세우는 수단; 및
수직 구조물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해당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 및
통신을 위한 케이블을 포함시키는 수단; 혹은,
드론에 무선송신수단(일례로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을 설치하고 수직구조물에 무선수신수단(일례로 무선랜 혹은 블루투쓰)을 설치하여,
수직구조물에 드론의 카메라센서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처리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Means for locating the vertical structure at the location by means of locating the drone at a predetermined spacing and elevation over the land area; And
Means for powering the drones through a cable in a vertical structure; And
Means for including a cable for communication; or,
(For example, wireless LAN or Bluetooth) is installed in the drones and wireless receiving means (for example, wireless LAN or Bluetoot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structure,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means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sensor of the drone on the vertical structure and delivering the image information to a designated server.
제 16 항에 있어서,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할 때 기준이 되는 인덱스 혹은 이미지 수단을 설정하여,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connected and the reference index or image means is set when converting in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s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connected and converted in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제 16 항에 있어서,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론들의 영상 정보를 연결하여 국토 영역의 영상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각각의 드론들의 카메라센서의 방향을(동서남북) 동일하게 맞춘 상태에서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order to link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photograp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land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ensor of each of the drones is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east, west, north, north).
제 16 항에 있어서,
드론의 카메라센서는
해당 드론에서 관리하는 전체 영역을 한 번에 스캔하는 모드와
관리하는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씩 순차적으로 스캔하는 모드 및
특정 부분만 상세하게 스캔하는 모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rones' camera sensors
A mode in which the entire area managed by the drone is scanned at once
A mode for sequentially scanning some areas in the entire area to be managed, and
And a mode for scanning only a specific part in detail.
제 16 항에 있어서,
드론의 하단 카메라센서의 지상 관측과 함께,
드론 상단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상공을 관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상공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Along with ground observation of the lower camera sensor of the drones,
And a camera senso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one so as to observe the sky. The real-time monitoring service
제 22 항에 있어서,
드론 상단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상공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기상 정보 혹은,
해당 상공의 비행물체(드론 포함) 출현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상공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23. The method of claim 22,
A camera sens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on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a dr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recognized by using a dron,
제 16 항에 있어서,
해상에 걸쳐 정해진 간격 및 고도에 드론을 위치시키는 수단으로 해당 위치의 해상에 부표 및 드론이 도킹할 수 있는 형태의 수직구조물을 세우고,
부표 상의 수직구조물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해당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고,
드론에 이상 발생시 케이블을 감아 해당 드론을 수직구조물로 회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해상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A vertical structure in which a buoy and a drone can be dock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ltitude by means of a drill,
In the vertical structure on the buoy, power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drone through a cable,
And the cable is wound when the drones are abnormally generated to recover the corresponding drones to the vertical structure. The real-time monitoring service of the land marine image information using the dron
제 24 항에 있어서,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해상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불법 조업 어선 출현 정보를 인식하여 알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해상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25. The method of claim 24,
In a video observing the sea by installing a camera sensor on the drones
And real-time monitoring service of land marine image information using a dron,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d inform the illegal fishing vessel emergence information
제 16 항에 있어서,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지상 및 산림 지역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화재 발생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상공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image observing the ground and the forest area by installing the camera sensor on the drones
And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using the drones.
제 16 항에 있어서,
드론에 카메라센서를 설치하여 국가 간의 경계선 주변을 관측하는 영상에서
국가 경계선을 침투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국토 경계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A camera sensor installed on the drones to observe the boundary line between countries
And recognizing image information penetrating the national boundary line. The real-time monitoring service of the land boundary line image information using the dron
제 16 항에 있어서,
전체 국토를 일정 거리 간격(일례로 드론 높이 150m의 경우 5km 간격)으로 구성할 경우,
국토의 전체 영역을 모니터링하도록(일례로 대한민국 영토 동서 300km 남북 400km로 하면 총 4,800개) 드론을 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국토 영상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entire country is constructed at a certain distance (eg, 5 km intervals for a drone height of 150 m)
Real-time monitoring of nationwide land information using drones, which monitors the entire area of the country (for example, 4,800 in total at 400km east-west 300km north-south Korea)
KR1020160041343A 2016-04-05 2016-04-05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KR201701144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43A KR20170114458A (en) 2016-04-05 2016-04-05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43A KR20170114458A (en) 2016-04-05 2016-04-05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58A true KR20170114458A (en) 2017-10-16

Family

ID=6029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343A KR20170114458A (en) 2016-04-05 2016-04-05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458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5464A (en) * 2017-12-06 2018-05-04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A kind of adaptive VR devices of video quality applied to unmanned plane
CN108289212A (en) * 2018-01-23 2018-07-17 北京易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unmanned plane binocular stereo imaging and the device and method with human eye real-time, interactive
KR20190078074A (en) *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imulation Sickness Detect and Steering obj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10234003A (en) * 2019-06-24 2019-09-13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ystem emulating unmanned plane during flying
KR20190123459A (en) 2018-04-24 2019-11-01 허창용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oggle Video Information by Drone
KR102115566B1 (en) 2018-11-28 2020-05-26 주식회사 한컴위드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ravel route based on drone forensics
KR102225115B1 (en) * 2020-07-17 2021-03-09 주식회사 에이앤디시스템 CCTV Monitoring System for Observing Weather Conditions
KR102267750B1 (en) 2020-01-30 2021-06-21 여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rol method of multipurpose drone using augmented reality
CN113542718A (en) * 2021-07-20 2021-10-22 翁均明 Unmanned aerial vehicle stereo photography method
US11989351B2 (en) 2019-05-07 2024-05-21 Adam Farley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with physical feedback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5464A (en) * 2017-12-06 2018-05-04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A kind of adaptive VR devices of video quality applied to unmanned plane
CN107995464B (en) * 2017-12-06 2024-04-0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Video quality self-adaptive VR device applied to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78074A (en) *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imulation Sickness Detect and Steering obj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8289212A (en) * 2018-01-23 2018-07-17 北京易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unmanned plane binocular stereo imaging and the device and method with human eye real-time, interactive
KR20190123459A (en) 2018-04-24 2019-11-01 허창용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oggle Video Information by Drone
KR102115566B1 (en) 2018-11-28 2020-05-26 주식회사 한컴위드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ravel route based on drone forensics
US11989351B2 (en) 2019-05-07 2024-05-21 Adam Farley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with physical feedback
CN110234003A (en) * 2019-06-24 2019-09-13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ystem emulating unmanned plane during flying
KR102267750B1 (en) 2020-01-30 2021-06-21 여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rol method of multipurpose dron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225115B1 (en) * 2020-07-17 2021-03-09 주식회사 에이앤디시스템 CCTV Monitoring System for Observing Weather Conditions
CN113542718A (en) * 2021-07-20 2021-10-22 翁均明 Unmanned aerial vehicle stereo photograph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4458A (en) The drone built in stereo camera sensors for 3D virtual reality video or connected multi function VR device
WO201407704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mobile bod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11039086B2 (en) Dual lens system having a light splitter
US9886033B2 (en) System for piloting a drone in immersion
CN108139799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based on a region of interest (ROI) of a user
JP6483492B2 (en) Aerial equipment
US10419690B2 (en) Imaging system
CN105334864A (en) Intelligent glasse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351574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mera parameter to be arranged
WO2000060870A1 (en) Remote controlled platform for camera
GB2527736A (en)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aerial observation system
JP2019014472A (en) Terminal device for unmanned rotary-wing airplane and unmanned rotary-wing airplane to be controlled by terminal device for unmanned rotary-wing airplane
JP2018165066A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42764A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209835B2 (en) Drone maneuvering system, maneuvering signal transmitter set, and drone maneuvering method
US20220368958A1 (en) Live video distribution method using unmanned moving device, video distribution device used in live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archive device for storing video data file generated by video distribution device
KR102062127B1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oggle Video Information by Drone
WO20202091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428362B2 (en) Two-axis gimbal system for supporting a camera
JP2018074420A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JP6329219B2 (en) Operation terminal and moving body
EP4325843A1 (en) Video display system, observ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0143029A1 (en) Two-axis gimbal system for supporting a camera
JP2021091276A (en) Operation support method for movable body and operation support system for movabl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