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916A - Dutch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Dutch Coffe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916A
KR20170110916A KR1020160035332A KR20160035332A KR20170110916A KR 20170110916 A KR20170110916 A KR 20170110916A KR 1020160035332 A KR1020160035332 A KR 1020160035332A KR 20160035332 A KR20160035332 A KR 20160035332A KR 20170110916 A KR20170110916 A KR 2017011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valve
coffe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송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이현송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송, 김상훈 filed Critical 이현송
Priority to KR102016003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916A/en
Publication of KR2017011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9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더치커피 추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급수부, 추출부, 저장부,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 밸브 장치 및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밸브 장치는 급수부의 급수관과 연결되어 급수부의 급수관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가능하여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고,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는, 추출부 내부의 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추출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밸브 제어부는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 응답하여 추출부의 수위가 소정 높이가 되면 밸브 장치를 잠그도록 제어한다.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an extracting unit, a storage unit, an extracting unit water level sensor, a valve unit, and a valve control unit. The valve unit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extracting unit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extracting unit to detect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extracting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valv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to be lock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extraction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in response to the extraction unit level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 장치{Dutch Coffee Maker}Dutch Coffee Make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드립량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고, 드립 도중에 커피나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drip from outsid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a user and preventing overflow of coffee or water during dripping.

일반적으로 원두가루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추출하는 에스프레소(Espresso)는 전용의 커피추출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약 9기압의 압력과 90℃ 전후의 온도에서 25초 내외에 30ml 의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Espresso, which extracts high-temperature water from bean paste through high pressure, uses a special coffee extracting device. This device has a pressure of about 9 atm and a temperature of about 30 ° C for about 25 seconds at about 30 ° C Of coffee.

그에 비해,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워터드립커피라고 하며, 뜨거운 물 추출법이 아니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추출한 커피를 일컫는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우려내기 때문에 일반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적고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Dutch coffee is called water drip coffee and refers to coffee that has been extracted for a long time by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instead of hot water extraction method. This Dutch coffee is concerned with cold water, so it has less caffeine content than regular coffee, and has a long time flavor and taste.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부(1), 커피 원드를 저장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2), 추출부(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수집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 및 급수부(1), 추출부(2)와 저장부(3)를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거치대(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 for storing water, an extracting unit 2 for storing a coffee ward and extracting coffee, A storage unit 3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liquid coffee, a water supply unit 1 for storing the liquid coffee, and a cradle 5 for supporting the extraction unit 2 and the storage unit 3 in a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상기 급수부(1)는 거치대(5)의 최상부에 거치되며, 개구된 상단에 뚜껑(7)이 구비되고 하단의 급수관(6)에 물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용 밸브(8)가 설치된다.The water supply part 1 is mounted on the uppermost part of the cradle 5 and has a lid 7 at an opened upper end and a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8 for regulating the water dripping amount at the lower water supply pipe 6 Respectively.

이 드립량 조절용 밸브(8)는 급수부(1)의 급수관(6)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6)의 유로와 밸브 구멍이 일치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추출부(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 및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절한다.The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8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pipe 6 of the water supply unit 1 and adjusts the area where the flow channel of the water supply pipe 6 and the valve hole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djusts the amount of dripping water and the speed at which the coffee falls.

추출부(2)는 급수부(1)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커피 추출액을 여과하는 드립필터(9)가 놓여진다. 저장부(3)는 추출부(2)의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부(2)와의 사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관(4)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The extraction unit 2 is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 and a drip filter 9 for filtering a coffee extrac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storage unit 3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unit 2 and the spiral tube 4 is often disposed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between the storage unit 3 and the extraction unit 2. [

이러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급수부(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추출부(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을 통과하여 떨어져 저장부(3)에 모이게 된다. In such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liquid water is extracted while the water slightly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 passes through the beans of the extracting section 2, and the extracted coffee passes through the spiral tube 4, (3).

그러나 이러한 상온(상온수) 또는 그 이하 온도의 커피추출수를 천천히 드립(Drip)시켜 대략 8~12시간, 경우에 따라서는 24시간 이상에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다른 커피 추출 방법에 비해 커피 추출 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원두가루에 물을 넣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2)에 쌓인 물이 아직 드립필터(9)를 통과하지 못하고 누적되어 추출부(2) 상부로 넘치게 될 수도 있다.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사람이 커피를 다 추출할 때까지 옆에서 마냥 기다릴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경우 커피 또는 물이 넘치더라도 이를 모르는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ffee extracting water having a room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or less is slowly dripped and extracted for about 8 to 12 hours and in some cases for 24 hours or more, the coffee extraction time is longer than other coffee extraction methods There is a problem. Therefore,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extracting section 2 for extracting coffee by putting water in the bean flour may not accumulate in the drip filter 9 yet accumulate, and may be overflowed to the upper part of the extracting section 2.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extract the Dutch coffee, it is often impossible to wait until the person extracts all of the coffee. In such a case, even if the coffee or the water is overflowed, the unknown state persists for a long time.

또한 드립되는 원두 콩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커피의 향과 맛이 깊어지는 시간이 달라지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커피의 드립 속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고 싶은 데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오랜 시간 동안 더치커피 추출 장치 옆을 지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dition of the drip beans, the time and time of the coffee's aroma and flavor may vary, and the user may want to adjust the drip speed of the coffee as desir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ecessary to keep the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a long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1890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51890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4674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4674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8513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78513 한국등록특허 10-1582722Korean Patent No. 10-1582722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9626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9626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0316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70316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5-0001650Korea public utility model 20-2015-0001650

본 발명은 원두가루로 떨어지는 물이 계속 쌓여 넘칠 우려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밸브를 차단시켜 사용자가 더치커피 추출 장치 옆을 지키고 있을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user from having to guard the 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by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valve when the water falling into the bean flour is piled up and overflow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오랜 시간 동안 사용자가 맘 편하게 외부에서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user to comfortably wait outside for a long time during which the Dutch coffee is extra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쉽게 더치커피 드립 속도를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easily adjust or control the instant coffee drip spe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치커피를 제어하는 데 스마트폰 등의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for controlling the Dutch coffe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추출을 위해 물이 투입되기 위해 상단부에 물 투입구를 포함하고 하단부에는 급수관이 형성된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도록 상단부 중앙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저부에 커피 추출을 위한 원두가 담기는 드립필터를 구비하며, 저면에 상부에서 투입되는 물이 원두에 떨어져 드립하기 위한 드립 구멍이 형성된 추출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 하단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부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장치, 상기 추출부 내부의 물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추출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추출부의 수위가 상기 소정 높이가 되면 상기 밸브 장치를 잠그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상기 밸브 장치에 인가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having a water inle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water supply pipe at a lower end thereof for supplying water for extracting coffee, And a drip filter for containing the coffee beans for extracting coffee at the bottom, an extracting part having a drip hole for dripping water to be poured from the upper part into the beverage at the bottom, A valve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adapted to adjust an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 input electrical signal, An extracting section water level sensor provid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water level in response to the extraction unit is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valve controller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alve to lock the device to the valve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밸브 장치가 상기 추출부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도달하여 잠기도록 제어한 후, 미리 지정된 제1 소정 시간 후 상기 밸브 장치를 풀리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valv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so that the valve unit is released after a predetermined first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water level of the extraction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lock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제어부는,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상기 추출부의 입수구로 떨어지는 시간당 물의 양을 가변적으로 정의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상기 밸브 장치의 밸브 각도를 조절하도록 기능한다.More preferably, the valve control unit automatically adjusts the valve angle of the valve device through a control program that variably defines the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inlet of the extraction unit over tim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More preferably,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상기 밸브 장치의 열림, 잠김 및 밸브 각도 조절을 통한 시간당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 조절을 위한 명령들을 상기 밸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commands to the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the period and the amount of water dropping per hour through valve angle adjustment, and the valv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급수부의 물이 다 떨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 및 상기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급수부에 물이 소정량 이하이면, 제2 소정 시간 후에 더치커피의 추출이 완료되었음을 알기 위한 알림장치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quantity water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water in the water supplying water has run out; If the amoun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i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that extraction of the Dutch coffee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제어부는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무선으로 연동하여 상기 밸브 장치의 열림, 잠김 및 밸브 각도 조절을 통한 시간당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 조절을 위한 명령들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는다.Preferably, the remot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wirelessly interfere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ersonal terminal and to input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evice, the period and amount of water dropping per hour through the valve angle adjustment, Receiv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원두 종류, 원두 분쇄도를 포함하는 커피 정보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상기 추출부의 입수구로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이 개별적으로 세팅된 프로그램이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program is a program in which a period and an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a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a water inlet of the extraction unit are individually set according to coffee information including coffee bean type and bean ground degree.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더치커피를 추출하려는 사용자가 추출 장치 곁에 장시간 없더라도 커피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ffee or water from overflowing even if the user who intends to extract the Dutch coffee is not near the extraction device for a long time.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가 오랜 시간 다른 장소에 있더라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더치커피 드립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peed of the coffee dripping can be easily adjust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user is in a different place for a long time.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외부 원격 제어부를 일 예를 나타낸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 shows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다.2 shows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기본적으로 급수부(1), 추출부(2), 저장부(3) 및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거치대(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basically has a water supply unit 1, an extracting unit 2, Part 3 and a cradle 5 for supporting the cradle 5 in a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도 2에서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20)의 급수부(1)도 거치대(5)의 최상부에 거치되며, 개구단 상단에는 커피 추출을 위해 물이 투입되는 물 투입구(7)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급수관(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급수관(6)의 중간 또는 끝단에는 물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장치(21)가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부(1)의 바닥 또는 급수관(6) 내부에는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portion 1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0 in FIG. 2 is also mounted o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radle 5, an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end thereof, a water inlet 7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for extracting coffee, A water supply pipe 6 is formed. A valve device 2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rip is installed at the middle o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6. And a water supply quantity sensing sensor 24 in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unit 1 or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6.

밸브 장치(21)는 급수부(1)의 급수관(6)에 연결되거나 상기 급수관(6)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을 조절가능하며 급수관(6)을 통해 공급되는(드립되는) 물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에서 밸브 장치(21)는 급수부(1)의 급수관(6)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되는 명령에 응답하여 급수관(6)의 유로와 밸브 구멍이 일치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추출부(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 즉,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절한다. 이 밸브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밸브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밸브 장치(21)의 밸브 상단부는 실리콘 마개가 부착되어 물이 새지 않도록 하게 한다.The valve device 2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6 of the water supply unit 1 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6 and is capable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ing the water supply It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The valve device 21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pipe 6 of the water supply unit 1 and is connected to the valve hole of the water supply pipe 6 in response to an automatic or manu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amount of water dripping to the extraction unit 2, that is, the speed at which the coffee is droppe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rea to be matched. This valve arrangement may utilize solenoid valves and various other valves may be used. Further, the valve upper end portion of the valve device 21 is attached with a silicone stopper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그리고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는 급수부(1) 안에 담겨 있는 물이 다 떨어졌는지, 즉 급수부(1)의 안의 물이 추출부(2)로 다 내려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추출을 시작 한 뒤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5초 )이 경과할 때까지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에서 신호가 전혀 없다면 LED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센서 오작동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quantity sensor 24 senses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unit 1 has run out, that is, whether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1 has been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extraction unit 2.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signal from the water quantity sensor 24 until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elapses after the extraction is started, can do.

추출부(2)는 급수부(1)의 급수관(6)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상단부 중앙에 입수구(10)를 구비하며, 저부에는 커피 추출을 위한 원두가 담겨 커피 추출액을 여과하기 위한 드립필터(9)를 구비한다. 또한 추출부(2)는 급수부(1)에서 추출부(2)로 떨어지는 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추출부(1) 내부의 소정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를 포함한다. The extraction unit 2 includes an inlet 10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o as to receiv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6 of the water supply unit 1 and a coffee beverage for extracting coffee, And a filter (9). The extraction unit 2 further includes an extraction unit level sensor (not shown) provid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extraction unit 1 to sense the height of the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to the extraction unit 2, 23).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일반적으로 8시간 내지 12시간 더 길게는 24시간 정도 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시간 내내 곁에서 커피가 추출되는 모습을 지켜볼 수는 없다. 커피가 추출될 때 원두 커피의 성질, 갈아진 정도, 물의 드립 속도, 미분의 양 등에 따라 추출부(2)의 드립필터(9)를 통해 커피 추출액이 여과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또한 추출부(2)로 쌓이는 물의 높이에 따라 커피 추출액이 여과는 시간당 양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처음에 밸브 장치(21)를 세팅할 때는 커피 추출액이 만들어지는 속도보다 급수관(6)을 통해 급수되는 물의 속도를 더 작게 하더라도, 점차 추출부(2)에서 커피가 추출되는 속도가 떨어지게 되어 추출부(2) 내부에 물이 점차 높이 쌓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더치커피 추출 장치 옆에 없을 때 밸브 장치(21)를 통해 급수부(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추출부(2)에 쌓여 넘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20)에서는 추출부(2) 내부에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를 설치하고 급수부(1)에서 추출부(2)로 떨어지는 물의 높이가 미리 설정한 소정 높이가 되면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는 추출부(2) 내부에서 상기 소정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물 센서의 경우 물이 소량 묻어 있기만 해도 홍수(소정 높이까지 물이 찬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는 센서로부터 두 개의 전선 또는 전극을 연장하여 두 전선 또는 전극이 동시에 물에 닿아야 센서가 동작하여 홍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두 전선의 끝 부분은 마그네슘 코팅을 하여 내부 오염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tch coffee extractor generally has a very long time to extract coffee from about 8 hours to 12 hours longer than 24 hours, so the user can not watch the coffee being extracted by the time. When the coffee is extracted, the speed at which the coffee extract is filtered through the drip filter 9 of the extraction part 2 is not consta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ffee bean, the degree of grinding, the drip speed of the water,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coffee extract is not constant over tim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is case, when the valve device 21 is initially set, the speed at which the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part 2 gradually decreases even if the speed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6 is made small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coffee extract is ma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s gradually accumulated in the extraction part 2.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not next to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the water which gradually falls from the water feeding section 1 through the valve device 21 may be piled up in the extraction section 2. The extracting coffee water extrac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xtracting section water level sensor 23 inside the extracting section 2 a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feeding section 1 to the extracting section 2, It detects the height when it is detecte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unit level sensor 23 is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2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general water sensor, even if a small amount of water is pres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lood (a state in which water is kept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generated. Therefo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water level sensor 23 extends two electric wires or electrodes from a sensor so that two electric wires or electrodes simultaneously touch water, . And the ends of the two wires are preferably coated with magnesium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internal contamina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제어부(22)는 수위 감지 센서(23)가 추출부(2) 내부의 물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인 것으로 감지하면 수위 감지 센서(23)에 묻어 있는 물이 마를 수 있도록 수위 감지 센서(23)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sensor 23 senses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extraction unit 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the valve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water level sensor 23 The water level sensor 23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water level sensor 23.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는 두 개 이상을 구비하여 추출부(2) 내부에서 같은 높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둘 중 하나에서만 신호가 발생한다면 홍수 알림과 함께 센서 오작동 역시 울리도록 하고, 두 두 개의 센서 모두에서 신호가 발생한다면 홍수 알림만 울리도록 함으로써, 센서 오작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ortion water level sensor 23 may b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in the extraction portion 2 with two or more. In this case, if a signal occurs in only one of the two sensors,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is made to sound with the flood notification, and if the signal is generated by both of the two sensors, only the flood notification sound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20)는 밸브 제어부(22)를 포함하고, 이 밸브 제어부(22)는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로부터 추출부(2) 내의 물 수위가 소정의 높이까지 찼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밸브 장치(21)로 상기 밸브 장치(21)의 밸브를 잠그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하여 급수관(6)을 통해 더 이상 물이 추출부(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Meanwhile,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control unit 22,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racting unit level sensor 23,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ater level in the extraction unit 2 has reached a predetermined height is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23,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valve of the valve unit 21 to be transmitted to the valve unit 21 is transmitted And functions to block th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extraction unit 2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

그리고 밸브 장치(21)를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잠그게 되면 추출부(2) 내의 물이 드립필터(9)를 통과하여 커피로 추출되고 이에 따라 추출부(2) 내의 수위가 충분히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밸브 제어부(22)는 미리 지정된 소정 시간 후 상기 밸브 장치(21)로 다시 밸브를 풀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이 미리 지정된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시간일 수도 있으며, 커피 원두의 종류, 원두 분쇄도 및 물의 양이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크기에 따라 미리 계산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세팅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valve device 21 is lock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ater in the extraction part 2 is extracted through the drip filter 9 and is extracted as coffee,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extraction part 2 is sufficiently lowered. Then, the valve control unit 22 transmits a command to control the valve device 21 to release the valve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set predetermined time may be a time arbitrarily input by the user and may be set to a control program individually set using a database calcula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offee bean, the degree of bean crushing, the amount of water, And may be designated accordingly.

한편, 밸브 제어부(22)는 급수부(1)의 급수관(6)에서 추출부(1)의 입수구(10)로 떨어지는 시간당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부를 이용한 수동 입력이나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밸브 장치(21)의 밸브 각도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동 입력은 IR 리모컨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 등의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의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립 커피를 빨리 추출하고 싶다면 리모컨이나 애플리케이션의 (+) 버튼을 눌러 물의 드립 속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드립 커피를 천천히 추출하고 싶다면 리모컨이나 애플리케이션의 (-) 버튼을 눌러 물의 드립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리모컨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온/오프 버튼을 통해 밸브 장치(21)이 열리고 닫히는 것도 조절할 수가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아닌 위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valve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per hou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6 of the water supply unit 1 to the inlet 10 of the extraction unit 1, To adjust the valve angle of the valve device (21). Such a manual input may be used by an IR remote controller or may be input throug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such a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if you want to quickly extract drip coffee, press the (+)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or application to increase the water drip rate. If you want to slowly extract the drip coffee, press the (- You will be able to reduce the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evice 21 through the on / off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application. Of course, this function can be done through the above control program instead of the user's manual input.

위 제어 프로그램은 추출 장치의 크기나, 커피 원두의 종류나 분쇄도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원두의 종류, 원두의 분쇄도, 물의 양에 따라 홍수가 일어나는 시간이나 기간이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커피를 추출하는 계절별 조건, 원두의 분쇄도, 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3가지의 개략적인 프로그램 세팅을 예시한 것이다.(각 과정에서 홍수 관리 시간은 1시간, 이 시간 이후에는 초기 물방울 속도로 복귀하고, 새로 홍수가 일어나면 다시 같은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control program is data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traction device, the kind of the coffee bean, the degree of crushing,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ime or the period of the floo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bean, . Table 1 below shows three general program settings, taking into account the seasonal conditions for extracting coffee,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beans,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e flood management time in each process is 1 hour, this time After that,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water droplet speed and repeat the same process when new flood occurs.

프로그램 종류Program type 세부 항목Details 설정값Setting value 비고Remarks
알고리즘 A (여름)


Algorithm A (summer)

초기 물방울 속도Initial water velocity 1.5초에 한 방울One drop in 1.5 seconds
여름에는, 혹은 물의 온도가 높다면 오염이나 원두 콩의 산화 때문에 빠르게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


In the summer, or if the water temperature is high, the extraction is done quickly due to contamination or oxidation of the beans.

홍수 후 다시 물방울이 떨어지는 시간Dripping time after the flood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서 신호가 오지 않은 뒤 10초 후After 10 seconds after no signal from the extracting part level sensor 홍수가 일어난 뒤 물방울 속도Drip speed after flood 1.7초에 한 방울One drop in 1.7 seconds 다시 홍수가 일어날 경우의 속도 변화Speed change when flood occurs again 자동으로 0.2초씩 추가Automatically add 0.2 seconds
알고리즘 B (봄, 가을)


Algorithm B (Spring, Autumn)

초기 물방울 속도Initial water velocity 2초에 한 방울One drop per second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물방울 속도


The most commonly used water droplet speed

홍수 후 다시 물방울이 떨어지는 시간Dripping time after the flood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서 신호가 오지 않은 뒤 10초 후After 10 seconds after no signal from the extracting part level sensor 홍수가 일어난 뒤 물방울 속도Drip speed after flood 2.3초에 한 방울One drop in 2.3 seconds 다시 홍수가 일어날 경우의 속도 변화Speed change when flood occurs again 다시 홍수가 일어난다면 자동으로 0.3초씩 추가If flooding occurs again, add 0.3 seconds automatically
알고리즘 C (겨울)


Algorithm C (Winter)

초기 물방울 속도Initial water velocity 2.5초에 한 방울One drop in 2.5 seconds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 원두가 잘 젖지 않아 배수가 느림


The temperature is low in winter, so the beans do not get wet well and drain is slow

홍수 후 다시 물방울이 떨어지는 시간Dripping time after the flood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서 신호가 오지 않은 뒤 10초 후After 10 seconds after no signal from the extracting part level sensor 홍수가 일어난 뒤 물방울 속도Drip speed after flood 2.8초에 한 방울One drop in 2.8 seconds 다시 홍수가 일어날 경우의 속도 변화Speed change when flood occurs again 자동으로 0.3초씩 추가Adds 0.3 seconds automatically

위와 같은 프로그램 설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program setting is only one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20)는 급수부(1)의 물이 다 떨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와 더치커피 추출 완료나 물 넘침 등을 알리는 알림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는 급수부(1)의 물이 다 떨어지면 이를 감지한 뒤 일정 시간 후(즉, 급수부(1) 물이 다 추출부(2)로 내려간 후 드립필터(9)를 통과하여 커피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난 후) 커피 추출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림 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이 알림 장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밸브 제어부(22) 내에 구현되거나 외부 원격 리모컨 또는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이 알림 장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됨과 동시에 원격 리모컨이나 개인 단말기에도 같이 구현되어 동시에 알림을 울릴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quantity sensor 24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in the water feeder 1 has run out, And a notification device (not shown) for indicating overflow. This water quantity sensor 24 senses the water in the water feeder 1 when the water in the water feeder 1 is completely exhausted ) To pass through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notific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may be installed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valve control unit 22 or installed in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or personal terminal, and inform the user.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may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in the remote control or the personal terminal so that the notification may be simultaneously sounded.

또한,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2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200에서도 저장부(3)가 추출부(2)의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부(2)와의 사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관(4)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부(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추출부(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을 통과하여 떨어져 저장부(3)에 모이게 된다. 2, the storage section 3 is disposed below the extraction section 2 and the spiral tube 4 (not shown) is provided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between the storage section 3 and the extraction section 2, The liquid coffee is extracted while the water slightly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art 1 passes through the beans of the extraction part 2 and the extracted coffee passes through the spiral tube 4 to be separated from the storage part 2. [ (3).

도 3은 외부 원격 제어부를 일 예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도 3 을 참조하면, IR 리모컨이나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된 원격 제어부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전원, 프로그램 세팅 버튼, 확인 버튼, 알림용 LED, 속도 증가, 속도 감소, 밸브 멈춤/동작 버튼, 그리고 기타 프로그램 제어나 밸브 조절을 미리 설정된 몇 개의 설정 값이나 수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a remote controller implemented in an IR remote control, a terminal application or the like includes a power source for a coffee extracting device, a program setting button, an OK button, a notification LED, a speed increase, a speed decrease, a valve stop / And a button for numerically controlling the control or valve control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preset value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사용하는 일 예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IR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의 외부 무선 원격 제어부를 통해 동작 시작 버튼을 누르면 밸브 장치(21)를 통해 급수부(1)에서 추출부(2)로 시간 당 정해진 양으로(예를 들어, 1 초당 한 방울씩) 물이 떨어진다. 다시 재생/멈춤 버튼을 누르면 밸브가 잠기고, 다시 이 버튼을 누르면 밸브가 열리게 된다. 또한, 원격 제어부의 속도 변경 버튼을 통해 급수부(1)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드립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줄이는 등의 속도 조절도 가능하다. 이 때 한 방울이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케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을 한 번 누를 때마다 한방물이 떨어지는 시간을 0.1초씩 조절할 수 있다. 이는 IR 리모컨의 숫자로도 조절이 가능하다.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서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만약 추출부(2) 내의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23)에서 물이 감지되면 알림장치 및 원격 제어부로 빨간색 LED가 켜지고 부져(Buzzer)를 통해 경고음을 재생시키거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경고메시지가 재생된다. 이와 동시에 밸브 제어부(22)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밸브 장치(21)를 잠그도록 하여 추출부(2)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게 한다. 상기 소정 시간 후에는 밸브 제어부(22)가 다시 밸브 장치(21)를 열도록 지시하고, 커피 추출을 계속 진행하게 한다. 이러한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추출 장치의 크기나, 커피 원두의 종류나 분쇄도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두의 종류, 원두의 분쇄도, 물의 양에 따라 홍수가 일어나는 시간이나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세팅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리모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간편하게 각각의 프로그램을 A, B, C로 나누고 각 프로그램에 따라 홍수가 일어난 뒤 물방울 속도와 홍수 관리 시간, 초기 물방울 속도 등을 달리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초기 예시 세팅은 추후 직접 실험하여 보편적인 방향으로 정해놓고 이후 사용자들 스스로 리모컨의 설정(세팅) 버튼을 통해 세팅을 바꿀 수 있다. 리모컨의 A, B, C 버튼을 통해 원터치로 더치커피 과정에서의 물방울 속도를 시간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물방울 속도 조절 과정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신경 쓰지 않고 간편하게 더치커피를 만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n example of using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presses an operation start button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such as an IR remote controller or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example, by one drop per secon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 to the extraction section 2 through the water supply section 1 (see FIG. Pressing the play / stop button again locks the valve, and pressing this button again opens the valve. Al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water droplet dripping speed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through the speed change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taken for a droplet to fal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case. Each time you press the button, you can adjust the time for one drop of water to be 0.1 second. This can be controlled by the number of IR remote control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from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f water is detected by the extracting unit level sensor 23 in the extracting unit 2, a red LED is turned on by the notification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unit, and a warning sound is reproduced through a buzzer A warning message is played back in a smart phone application or the like. At the same time, the valve control unit 22 locks the valve unit 21 for a predetermined time to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in the extracting unit 2 in advanc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he valve control unit 22 instructs the valve device 21 to open again, and continues the coffee extraction.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by a user in advance, or may be set through a program using data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traction device, the type of coffee bean, the degree of crushing, and the like. For example, since a time or a period of floo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bean,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bean, and the amount of water, the program can be set individually. In order to use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3, The program can be divided into A, B, and C, and the water velocity, the flood management time, and the initial water velocity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program. The initial example settings can be customized later by direct experimentation, and then users can change the settings themselves by using the setup (settings)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eed of water droplets in the Dutch coffee process with one touch through the A, B and C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and the speed of water droplet speed adjust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it is easy to make Dutch coffee without worrying.

그리고 급수부(1) 내의 물이 모두 떨어졌음을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24)를 통해 감지하면 일정 시간 뒤, 즉, 상단 급수부(1)의 물이 없더라도 중간 추출부(2)에서 커피가 만들어지는 시간을 고려한 시간, 예를 들어 약 15분 뒤에 커피 추출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림장치를 통해 알린다. 이는 밸브 제어부(22) 내에 설치된 알림장치나 IR 리모컨의 초록색 LED와 부져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기능을 통해 완료를 알릴 수 있다.If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1 is detected through the water supply water quantity sensor 24, it is possible to make coffee in the intermediate water extraction unit 2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lapse of the time, for example, about 15 minutes, the notification device notifies the comple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This can be notified through the notification function installed in the valve control unit 22, the green LED of the IR remote control, and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buzzer or smartphon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더치커피를 추출하려는 사용자가 추출 장치 곁에 장시간 없더라도 커피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ffee or water from overflowing even if the user who intends to extract the Dutch coffee is not near the extraction device for a long time.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가 오랜 시간 다른 장소에 있더라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더치커피 드립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peed of the coffee dripping can be easily adjust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user is in a different place for a long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급수부 2 : 추출부
3 : 저장부 4 : 나선관
5 : 거치대 6 : 급수관
7 : 물 투입구 8 : 드립량 조절용 밸브
9 : 드립필터 20 : 더치커피 추출 장치
21 : 밸브 장치 22 : 밸브 제어부
23 :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
24 : 급수부 수량 감지 센서
1: water supply part 2:
3: Storage part 4: Helical tube
5: Cradle 6: Water pipe
7: Water inlet 8: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drip
9: Drip filter 20: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21: valve device 22: valve control part
23: Extraction part level sensor
24: Water quantity sensor

Claims (10)

커피 추출을 위해 물이 투입되기 위해 상단부에 물 투입구를 포함하고 하단부에는 급수관이 형성된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도록 상단부 중앙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저부에 커피 추출을 위한 원두가 담기는 드립필터를 구비하며, 저면에 상부에서 투입되는 물이 원두에 떨어져 드립하기 위한 드립 구멍이 형성된 추출부;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 하단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추출부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장치;
상기 추출부 내부의 물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추출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추출부의 수위가 상기 소정 높이가 되면 상기 밸브 장치를 잠그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상기 밸브 장치에 인가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inlet at an upper end and a water supply pipe at a lower end to feed water for extracting coffee;
And a drip filter for containing coffee beans for extracting coffee at the bottom, and a drip hole for dripping water into the bean sprouts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of the drip filter, An extraction unit formed;
A valve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adjusting an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electrical signal;
An extracting unit level sensor install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extracting unit to sense a height of water in the extracting unit; And
And a valve control unit for apply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valve unit to lock the valve unit when the level of the extraction unit reaches the predetermined height in response to the extraction unit level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가 추출부 내부의 물의 높이가 상기 소정 높이 이상인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 묻어 있는 물이 마를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 수위 감지 센서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unit water level sensor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extracting unit water level sensor is dried when the extracting unit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extract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uts out the coff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부는 상기 밸브 장치가 상기 추출부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도달하여 잠기도록 제어한 후, 미리 지정된 제1 소정 시간 후 상기 밸브 장치를 풀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unit so that the valve unit is released after a predetermined first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water level of the extraction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lock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부는,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상기 추출부의 입수구로 떨어지는 시간당 물의 양을 가변적으로 정의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상기 밸브 장치의 밸브 각도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alve control unit automatically adjusts the valve angle of the valve unit through a control program that variably defines the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inlet of the extraction unit over time, Extrac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밸브 장치의 열림, 잠김 및 밸브 각도 조절을 통한 시간당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 조절을 위한 명령들을 상기 밸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commands to the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unit and adjusting the amount and the amount of water dropping per hour through the valve angle adjus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밸브 상단부는 실리콘 마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device is a solenoid valve and the upper end of the valve is attached with a silicone plu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 수량 감지 센서는
두 개 이상이 상기 추출부 내부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raction unit quantity sensor
Wherei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coffee beans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inside the extra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 수량 감지 센서는
추출부 내부에서 물이 닿지 않는 높이에 설치되고, 추출부 내부의 물을 감지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끝이 마그네슘으로 코팅된 전선이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raction unit quantity sens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disposed at a height not touching the inside of the extracting unit and includes at least two electrodes for sensing water in the extracting unit and the end coated with magnesium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Extraction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무선으로 연동하여 상기 밸브 장치의 열림, 잠김 및 밸브 각도 조절을 통한 시간당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 조절을 위한 명령들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remote control unit receives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evice and adjusting the amount and the amount of water falling through the valve by adjusting the valve angle in coopera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원두 종류, 원두 분쇄도를 포함하는 커피정보 및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급수관에서 상기 추출부의 입수구로 물이 떨어지는 주기 및 양을 개별적으로 세팅하는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program is a program for individually setting a period and an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inlet of the extrac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ffee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n type, bean crushing degree, and water temperature. Device.
KR1020160035332A 2016-03-24 2016-03-24 Dutch Coffee Maker KR201701109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32A KR20170110916A (en) 2016-03-24 2016-03-24 Dutch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32A KR20170110916A (en) 2016-03-24 2016-03-24 Dutch Coffe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16A true KR20170110916A (en) 2017-10-12

Family

ID=601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332A KR20170110916A (en) 2016-03-24 2016-03-24 Dutch Coffe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091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39B1 (en) * 2022-05-18 2023-01-13 홍정원 Precise emission control device for powder dispenser
KR102490282B1 (en)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Dutch coffee extractor
KR102600171B1 (en) * 2023-04-28 2023-11-09 차현석 Dutch coffee infuser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coffee extraction time based on A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2B1 (en)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Dutch coffee extractor
KR102488839B1 (en) * 2022-05-18 2023-01-13 홍정원 Precise emission control device for powder dispenser
KR102600171B1 (en) * 2023-04-28 2023-11-09 차현석 Dutch coffee infuser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coffee extraction time based on A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264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WO1997007722A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101382254B1 (en)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KR20170110916A (en) Dutch Coffee Maker
US20130129876A1 (en) Beverage Substance Cartridge, Identifying Apparatus, Beverage Producing Equipment, Beverage Producing System and Beverage Producing Method
JPWO2016132412A1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WO2020182058A1 (en) Automatic tea brewing and making device
KR101190168B1 (en) Apparatus for making tea
EP3206542A1 (en) Coffee-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31075A (en) Group head heating system of espresso coffee machine
KR100619157B1 (en) Green tea maker
KR200390090Y1 (en) Coffee machine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JP2011010937A (en) Electric water heater
CN209789586U (en) Automatic tea making device
KR101393742B1 (en) Coffee Machine Combined with Wireless Pot
KR101820018B1 (en) Coffee or tea extracting apparatus
TWI594717B (en) Siphon coffee machine
KR102638499B1 (en) coffee maker
JPH0339116A (en) Coffee maker
CN209003615U (en) Drinking equipment
KR100845591B1 (en) Tea mak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N212972711U (en) Beverage extraction equipment
CN210018994U (en) Automatic tea making device
JP2011234773A (en) Be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