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379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379A
KR20170092379A KR1020160013637A KR20160013637A KR20170092379A KR 20170092379 A KR20170092379 A KR 20170092379A KR 1020160013637 A KR1020160013637 A KR 1020160013637A KR 20160013637 A KR20160013637 A KR 20160013637A KR 20170092379 A KR20170092379 A KR 2017009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578B1 (ko
Inventor
손민식
김동석
김선아
박세현
이가은
이예나
조은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78B1/ko
Priority to US16/074,378 priority patent/US11205339B2/en
Priority to PCT/KR2016/004247 priority patent/WO2017135511A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3
    • H04W4/00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에 있어,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기기 중에서,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화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및 주변 기기들의 상태를 판단하여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환경 내의 여러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각 기기의 개별 상태를 파악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인 조작을 기기별로 수행해야 한다. 또한, 각 기기가 제공하는 고유한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여러 기기들을 일괄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일괄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또는 기능이 무엇인지, 사용자에게 가장 유용한 조작방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상황의 반영이 어렵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검색, 연결, 앱 실행, 기능 찾기, 조작 등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기술에 대한 두려움이 많은 사용자들은 사용 자체를 포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제품 및 서비스 전체 상품의 가치 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에 최적화된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에 있어,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기기 중에서,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화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을 위한 UI를 자동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상기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기기 중 UI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상기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요청한 사용자 및 제어 권한을 가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UI를 전송함에 의해 UI의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가 피제어기기를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요청한 사용자와 제어 권한을 가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있어,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위한 UI와 함께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UI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전자기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준(Aiming)에 의해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시, 주변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 주변기기가 어떤 동작을 수행중인지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즉시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UI를 통해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 중 어느 하나로 UI를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상기 제2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 요청에 따른 상황 판단 데이터, 제어기능, UI 및 UI를 전송한 기기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두고, 저장된 정보를 이후의 상황 판단을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기기 중에서,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화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기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을 위한 UI를 자동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상기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기기 중 UI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상기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요청한 사용자 및 제어 권한을 가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UI를 전송함에 의해 UI의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가 피제어기기를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요청한 사용자와 제어 권한을 가진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있어,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위한 UI와 함께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UI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전자기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준(Aiming)에 의해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시, 주변기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 주변기기가 어떤 동작을 수행중인지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즉시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UI를 통해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 중 어느 하나로 UI를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상기 제2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단계와;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제어기기의 제어 요청에 따른 상황 판단 데이터, 제어기능, UI 및 UI를 전송한 기기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두고, 저장된 정보를 이후의 상황 판단을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화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 정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 정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기기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속성 및 인터페이스 간 적합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는 제어부(11), 통신부(12), 저장부(13) 및 사용자입력부(14)를 포함하고, 예컨대 스마트 TV, 스마트 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냉장고, 에어컨 등의 일반 가전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기기(10)는 일반 상용 서버인 웹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가정 내의 정보가전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서버 또는 홈 게이트웨이(gateway)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통신부(12)를 통해 제1전자기기(15), 제2전자기기(16), 제3전자기기(17), ..., 제N전자기기(18)와 연결된다. 제1전자기기(15), 제2전자기기(16), 제3전자기기(17), ..., 제N전자기기(18)는 예컨대 스마트 TV, 스마트 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냉장고, 에어컨, 무선오디오, 램프, 세탁기 등의 일반 가전기기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도어락 등의 디지털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전자기기(15), 제2전자기기(16), 제3전자기기(17), ..., 제N전자기기(18)는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통신한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중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16)를 결정한다. 전자장치(10)는 결정된 제2전자기기(16)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 있어,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화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2)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통신이 가능한다. 예로서, 통신부(12)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6LoWPAN(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2)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4)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14)는 전자장치(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입력패널 또는 버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4)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 클릭, 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중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16)를 결정한다. 전자장치(10)는 결정된 제2전자기기(16)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제2전자기기(16)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장치(1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워치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제1전자기기(15)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대상 기기를 손으로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예로서 근접센서 또는 지문 인식 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조준 입력은 사용자가 대상기기를 손으로 가리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예로서, 블루투스, BLE(저전력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각각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와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기기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킨 시점에 사용자에 관한 시간정보(When), 장소정보(Where), 행동정보(What), 관계정보(Who), 및 원인정보(Why), 방법정보(Ho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관한 시간정보(When)는, 이벤트 발생 시점의 날짜, 요일, 시간과, 주중 또는 주말인지 여부, 기념일 또는 공휴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소정보(Where)는, GPS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Beacon을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실내 위치, Wi-fi 및 AP(Access Point) 등을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행동정보(What)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와 맵핑된 사용자의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직장인 경우, 사용자는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행동정보는, 전자장치(10) 및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의한 사용자의 액티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스케줄 상 10:00 Am에 회의 일정이 있는 경우, 현재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관한 관계정보(Who)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스케줄에 의해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람에 관한 정보, 특정 인물과의 근접도 및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사용자의 연락처 데이터(Contact List Data)를 통한 근접 인물과의 관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인정보(Why)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의한 사용자의 액티비티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정보(How)는 상기와 같이 파악된 사용자에 관한 시간정보(When), 장소정보(Where), 행동정보(What), 관계정보(Who), 및 원인정보(Why)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함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 및 사용자에게 즉시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기기와 인터랙션(interaction)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전자기기(15)의 제어기능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시, 무선 오디오(40)의 주변에 위치한 TV(41)가 영화를 재생 중이면, TV(41)의 사운드를 컨트롤할 수 있는 UI(46)를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45)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각각에 대해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복수의 전자기기 중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의 속성은 특정 선택값, 문자, 음성, 이미지. 심박수, 가속도 등이고, 이러한 속성 각각을 입력 받기에 적합한 지를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예컨대, 4방향키,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카메라, 가속도계, Biometric Sensor 등에 대해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점수가 높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기기를 선택하여 UI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저장부(13)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각각에 대해 사용 권한을 부여할 복수의 사용자들의 아이디(ID), 단말기 정보 및 우선순위를 저장하고, 저장된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각각의 기기를 컨트롤할 사용자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 중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저장부(13)에 저장된 제1전자기기(15)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사용자의 단말기 및 제2사용자의 단말기는 각각 제2전자기기(16), 제3전자기기(17), ..., 제N전자기기(18)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10)에 대한 제1사용자의 터치 시,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기(110)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참조하여 제1사용자의 스마트 워치(111) 뿐만 아니라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태블릿(112)로 세탁기(110)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는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전자기기(15)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조작과 관련하여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 간에 채팅 프로그램 또는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1)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15, 16, 17, ..., 18)에 관한 정보, 제1전자기기(15)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결정된 제어기능,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제2전자기기(16)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저장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예로서, 도 4에서, 무선 오디오(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같은 이벤트 정보, TV(41)가 영화를 재생중인 상태에 관한 정보, TV(41)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에 관한 정보,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46)에 관한 정보와, UI(46)를 전송한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45)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유사한 환경 조건에서 동일한 이벤트 발생시,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곧바로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45)로 저장되어 있는 UI(46)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1)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서버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제1전자기기(15)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장치(10)가 스마트 TV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프로그램은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 정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20에서,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예로서, 사용자 트리거는 피제어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조준(Aiming)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대상 기기를 손으로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예로서 근접센서 또는 지문 인식 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조준 입력은 사용자가 대상기기를 손으로 가리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예로서, 블루투스, BLE(저전력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21에서, 사용중인 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 때, 동작 S21은, 피제어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과 연결하여, 각각의 디바이스가 전원 온(On)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21의 확인 결과, 사용중인 타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동작 S23에서, 사용중인 타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순서 등을 파악한다. 즉, 전원 온 상태인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어떤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24에서, 사용자 정황 판단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즉, 동작 S23에 의해, 사용중인 타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순서 등이 파악되면, 사용자에게 현재 필요한 제어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동작 S24의 확인 결과, 사용자 정황 판단이 가능하면, 동작 S25에서, 사용자 정황에 맞는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에게 현재 필요한 제어기능이 결정되면, 그에 적합한 UI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24의 확인 결과, 사용자 정황 판단이 가능하지 않으면, 동작 S22에서, 피제어기기의 디폴트 인터페이스를 전송한다. 한편, 동작 S21의 확인 결과, 사용중인 타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작 S22에서, 피제어기기의 디폴트 인터페이스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무선 오디오(30)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35)와의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 오디오(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30)는 기 설정되어 있는 UI(36)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35)로 전송하여, UI(36)를 통해 사용자가 음악을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 오디오(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30)는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서버 또는 외부의 웹서버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홈 서버 또는 웹 서버는, 기 저장되어 있는 무선 오디오(30)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장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35)로 UI(36)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무선 오디오(40)가 위치한 방향을 가리키는 사용자의 조준 입력에 의해 무선 오디오(40)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은, 근접 센서 또는 지문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거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45)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무선 오디오(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40)는 통신이 가능한 주변 기기인 TV(41)와 연결하여, TV(41)가 전원 온(On) 상태이고, TV(41)의 상태가 영화를 재생 중인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오디오(40)는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이 TV(41)의 사운드를 컨트롤하는 기능인 것으로 판단하고, TV(41)의 사운드를 컨트롤하기 위한 UI(46)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45)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 오디오(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40)는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서버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 환경 상에 있는 모든 전자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환경 상의 모든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서, 홈 서버는 TV(41)가 영화를 재생중인 상태임을 확인하고,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은 TV(41)의 사운드를 컨트롤하는 기능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기능에 대응하는 UI(46)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45)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에 의해 무선 오디오(50)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조준 입력은, 근접 센서 또는 지문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되거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45)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무선 오디오(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50)는 통신이 가능한 주변 기기인 TV(51) 및 인터넷 전화(52)와 연결하여, TV(51) 및 인터넷 전화(52)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및 현재 어떤 동작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 오디오(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 시, TV(51)는 영화를 재생중인 상태이고 인터넷 전화(52)는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오디오(50)는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이 TV(51)의 사운드를 무음 처리하는 기능인 것으로 판단하고, TV(51)의 사운드를 무음 처리하기 위한 UI(56)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55)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오디오(50)는 인터넷 전화(52)로 수신된 통화 요청을 표시하는 UI(미도시)를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55)로 전송하여 스마트 워치(55)에서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오디오(50)에 대한 터치 동작만으로 주변기기의 사운드를 무음 처리하고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최적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자신의 기기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 오디오(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선 오디오(50)는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서버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 환경 상에 있는 모든 전자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고, 예로서, TV(51) 및 인터넷 전화(52)와 연결하여 TV(51)는 영화를 재생중인 상태이고 인터넷 전화(52)는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서버는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이 TV(51)의 사운드를 무음 처리하는 기능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UI(56)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55)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서, 램프(6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61)으로 출근 모드를 컨트롤하는 UI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스마트폰(61)에 표시되는 UI를 이용하여 출근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모든 조명(62)을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b)에서, 사용자가 현관 도어락(66)을 여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67)으로 재실모드를 컨트롤하는 UI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스마트폰(67)에 표시되는 UI를 이용하여 재실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집 내부의 조명 및 에어컨(68)이 자동으로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속한 환경 내의 여러 기기들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기기가 디스플레이가 없는 기기인 경우, 사용자의 트리거 발생시, 디스플레이가 없는 기기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가 있는 기기로 전송하여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냉장고(7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 냉장고(70)의 냉장 온도 및 냉동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UI의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75) 또는 스마트 워치(76)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가 있는 스마트폰(75) 또는 스마트 워치(76)에서 냉장고(70)를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냉장고(70)에 대한 자녀의 터치 입력시, 냉장고(70)의 냉장실 및 냉동실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리스트를 냉장고(70)의 매니저로 등록되어 있는 어머니의 스마트폰(75)으로 전송하고, 식품 리스트를 확인 후 재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인터넷몰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기기인 무선 오디오(71) 및 에어컨(72)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 디스플레이가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75) 또는 스마트 워치(76)로 UI를 전송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제어기기에 대한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없는 스마트 조명(8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시, 스마트 조명(80)의 색상과 조도를 컨트롤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의 태블릿(85) 또는 스마트폰(8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없는 김치냉장고(8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시, 김치냉장고(81)의 냉장 칸별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의 태블릿(85) 또는 스마트폰(8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에스프레소 머신(8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시, 에스프레소 머신(82)의 정수량, 온도, 압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UI를 사용자의 태블릿(85) 또는 스마트폰(8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없는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UI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시각적인 컨트롤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없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 정황에 맞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기기를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90에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현재 전원 온(On) 상태인 기기를 필터링한다. 다음으로, 동작 S91에서, 전원 온 상태인 기기 각각에 대해 현재 판단된 정황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정황 정보는, 각각의 기기가 어떤 동작 상태인지 및 기기의 작동 순서 등에 관한 정보이다.
다음으로, 동작 S92에서, 해당 정황에 대한 사용자의 지정 기기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의 지정 기기가 있는 경우, 동작 S97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지정 기기로 UI를 전송한다. 동작 S92의 확인 결과, 사용자의 지정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동작 S93에서, 해당 정황에 대해 이전에 사용한 기기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전에 사용한 기기가 있는 경우, 동작 S97에서, 이전에 사용한 기기를 선택하여 UI를 전송한다.
동작 S93에서, 이전에 사용한 기기가 없는 경우, 동작 S94에서, 요구되는 속성의 입력이 가능한 기기만 필터링한다. 이 때, 속성은 특정 선택값, 문자, 음성, 이미지, 심박수, 가속도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속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95에서, 인터페이스 부합성을 스코링한다. 즉, 요구되는 속성이 전자기기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툴(tool) 각각에 의해 입력 가능한 지에 대해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여된 점수를 이용하여, 점수가 높게 부여된 인터페이스 툴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96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기기를 탐색한다. 앞서, 동작 S95에서 인터페이스 부합성에 의해 선택된 기기들 중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97에서, 선택된 기기로 정황정보에 대응하는 UI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기기 중 UI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속성 및 인터페이스 간 적합도를 점수화한 표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의 속성은 특정 선택값, 문자, 음성, 이미지. 심박수, 가속도 등이고, 이러한 속성 각각을 입력 받기에 적합한 지를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예컨대, 4방향키,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카메라, 가속도계, Biometric Sensor 등에 대해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점수가 높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기기를 선택하여 UI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유저인터페이스가 영상 및 음성의 입력 기능을 포함해야 하는 경우, 영상 및 음성 각각에 대해 카메라 및 마이크의 점수가 100점으로 높게 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잇는 사용자의 장치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선택하여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저인터페이스가 많은 양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면에서 한번에 가능한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보다는 큰 화면을 가지는 사용자의 태블릿으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트리거 발생시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10)에 대한 제1사용자의 터치 시, 세탁기(110)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세탁기(110)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를 참조하여 제1사용자의 스마트 워치(111) 뿐만 아니라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태블릿(112)로 세탁기(110)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세탁기(110)에 대한 제1사용자의 터치 시, 제1사용자의 스마트 워치(111)로 세탁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113)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사용자가 예컨대 노인 또는 어린이인 경우, UI(113)를 통해 세탁기(110)를 조작하지 못하는 상태가 확인되면, 세탁기(11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우선순위 정보를 참조하여, 제1사용자보다 높은 순위의 매니저 권한으로 등록되어 있는 제2사용자의 태블릿(112)으로 UI(11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의 태블릿(112)으로 제공되는 UI(114)는 장치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1사용자의 스마트 워치(111)로 제공되는 UI(113)와는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사용자의 스마트 워치(111) 및 제2사용자의 태블릿(112)으로 각각 UI(113) 및 UI(114)가 제공된 상태에서,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세탁기(110)의 조작 등과 관련하여 대화를 나누거나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워치(111) 및 태블릿(112)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20에서,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121에서,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한다. 이벤트는, 상기 제1전자기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 S121은,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동작과, 복수의 전자기기 중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122에서,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전자장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결정된 제어기능,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제2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동작과,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30에서,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131에서,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전자기기의 제어기능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동작 S132에서,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하고, 동작 S133에서,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동작 S134에서,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동작 S135에서, 선택된 제2전자기기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제어기능을 위한 UI를 자동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UI를 제공함에 있어, 복수의 기기 중 UI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별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전자장치
11: 제어부
12: 통신부
13: 저장부
14: 사용자입력부
15: 제1전자기기
16: 제2전자기기
17: 제3전자기기
18: 제N전자기기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에서,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상기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하는 전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상기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전자기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상기 제2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복수의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에서,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제2전자기기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자기기의 제어기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와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상기 부여된 점수가 소정 크기 이상인 제2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1전자기기의 제어를 요청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벤트를 생성한 제1사용자 및 상기 제1사용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으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 있어,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전자기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조준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의 전원공급 여부 및 수행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는,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제1전자기기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결정된 제어기능,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의 정보, 상기 제2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단계와;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13637A 2016-02-03 2016-0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9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37A KR102479578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074,378 US11205339B2 (en) 2016-02-03 2016-04-22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04247 WO2017135511A1 (ko) 2016-02-03 2016-04-22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37A KR102479578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79A true KR20170092379A (ko) 2017-08-11
KR102479578B1 KR102479578B1 (ko) 2022-12-20

Family

ID=5949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637A KR102479578B1 (ko) 2016-02-03 2016-02-03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05339B2 (ko)
KR (1) KR102479578B1 (ko)
WO (1) WO2017135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718A (ko) * 2008-09-05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기기의 제어 기능을 갖는 dtv 및 그 방법
KR20100136801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1025219A2 (ko) * 2009-08-28 2011-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3185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 간의 상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6107A (ko) * 2012-04-13 201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041623A1 (ja) * 2012-09-12 2014-03-20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施設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配信システム
KR20140081642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39917A1 (en) * 2014-05-21 2015-11-26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474B1 (en) * 1999-09-10 2011-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downloading of a control inte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mobile station
US20030025738A1 (en) * 2001-07-31 2003-02-06 Eastman Kodak Company User interface including portable display for use with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030071117A1 (en) * 2001-10-16 2003-04-17 Meade William K.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among multiple mobile computing devices to control an appliance
US6914551B2 (en) * 2002-04-12 2005-07-05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universal remote control
KR101108399B1 (ko) 2005-12-06 2012-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기기에 의한 호스트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기기
TWI411243B (zh) * 2007-11-23 2013-10-01 Compal Communications Inc 用以控制場所內電子設備之遙控系統及閘道器裝置
US8542323B2 (en) * 2007-12-21 2013-09-24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wireless navigation device for remote control
US9088663B2 (en) * 2008-04-18 201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JP5681713B2 (ja) * 2011-03-29 2015-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
US9449500B2 (en) * 2012-08-08 2016-09-2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KR20130048533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TW201328249A (zh) * 2011-12-27 2013-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遙控系統及遙控方法
US9374874B1 (en) * 2012-02-24 2016-06-21 Synapse Wireless, Inc. Light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20150005061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1548228B1 (ko) 2013-12-27 2015-08-2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기기 및 동기화 방법
KR102173110B1 (ko) * 2014-05-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9027B1 (ko) 2014-07-22 201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9886162B2 (en) * 2014-06-02 2018-02-0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provided tracking data for augmented reality
CN104155938B (zh) * 2014-07-21 2018-01-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家居设备管理方法及系统
KR20160021576A (ko) * 2014-08-18 2016-0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US9781275B2 (en) * 2014-09-29 2017-10-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70240B1 (ko) * 2014-09-29 201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9824579B2 (en) * 2014-10-07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HND)
US9685074B2 (en) * 2014-11-05 2017-06-2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interaction with electronic device
TWM499015U (zh) * 2014-11-14 2015-04-11 Netvox Technology Co Ltd 可同時監控多地的智能監控系統
KR20160097623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812003B2 (en) * 2015-05-02 2017-11-07 Edward Kahl Segregation of functionality in monitoring and controller devices
US9749420B2 (en) * 2015-06-24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n infrastructure device
TWI619387B (zh) * 2015-08-14 2018-03-21 凱銳光電股份有限公司 符合hdmi-cec規格的遙控方法與系統
US9697727B2 (en) * 2015-09-10 2017-07-04 Qblinks Incorporated Remote control apparatus
US10063640B2 (en) * 2015-10-30 2018-08-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KR102570068B1 (ko) * 2015-11-20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 방법, 동작 인식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US20170180149A1 (en) * 2015-12-21 2017-06-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Smart Objects to a Control Device
WO2017151045A1 (en) * 2016-03-01 2017-09-08 Husqvarna Ab Wearable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with outdoor power equipment
WO2017183817A1 (en) * 2016-04-22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KR102402457B1 (ko) * 2017-09-15 2022-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718A (ko) * 2008-09-05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기기의 제어 기능을 갖는 dtv 및 그 방법
KR20100136801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1025219A2 (ko) * 2009-08-28 2011-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3185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 간의 상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6107A (ko) * 2012-04-13 201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041623A1 (ja) * 2012-09-12 2014-03-20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施設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配信システム
KR20140081642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39917A1 (en) * 2014-05-21 2015-11-26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2933A1 (en) 2021-06-24
WO2017135511A1 (ko) 2017-08-10
US11205339B2 (en) 2021-12-21
KR102479578B1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177A1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CN108111948B (zh) 在语音接口设备处的服务器提供的视觉输出
KR102269035B1 (ko) 서버 및 서버의 그룹 액션 제어방법
JP6140214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767206B2 (ja) 応答システム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US6848104B1 (en) Clustering of task-associated objects for effecting tasks among a system and its environmental devices
WO2018010533A1 (zh) 设备控制系统、方法、装置及网关
US20200183543A1 (en) Control apparatu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141637A (zh) 用于在智能媒体显示环境中控制媒体显示的方法和系统
US20160179087A1 (en) Activity-centric contextual modes of oper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11748126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customized manual
KR102591902B1 (ko) 외부 장치 액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141638A (zh) 用于基于用户接近程度的自动媒体输出的方法和系统
CN105278336A (zh) 应用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WO2017008574A2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
JP2023073359A (ja) 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79578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56498A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CN111599148A (zh) 一种电子设备的连接方法及电子设备
KR102113185B1 (ko)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15046362A1 (ja) 出力可否判定装置、出力可否判定装置の制御方法、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出力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出力システム
WO2017119025A1 (ja) 情報端末、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