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691A -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691A
KR20170088691A KR1020160008911A KR20160008911A KR20170088691A KR 20170088691 A KR20170088691 A KR 20170088691A KR 1020160008911 A KR1020160008911 A KR 1020160008911A KR 20160008911 A KR20160008911 A KR 20160008911A KR 20170088691 A KR20170088691 A KR 2017008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peration mode
hand operation
display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회
양은정
김규호
이상현
홍민우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691A/ko
Priority to PCT/KR2016/011903 priority patent/WO2017131319A1/en
Priority to US15/338,129 priority patent/US10572145B2/en
Publication of KR2017008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04M1/72566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는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FOR ONE-HAND OPERATION MODE OF CONTROLLING PAIRED DEVICE, NOTIFICATION AND APPLICATION}
본 발명은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크기 및 하드웨어 사양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크기의 적절한 활용 및 멀티 태스킹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어링된 장치, 알림(notification)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제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는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소정의 영역에 발생하고, 플리킹(flicking) 터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물리키(physical key)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한 손 조작 모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하는 사용자의 손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event)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상기 한 손 조작 모드의 실행으로 생성되는 소프트키(soft key)에 대한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이 표시되는 위치,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 및 상기 한 손 조작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알림을 삭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보다 앞으로 표시하여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과 일정 부분 중첩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상기 알림을 드래그하여 상기 한 손 조작 화면에 드랍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드래그 및 드랍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내부에서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과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동시에 앞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상기 한 손 조작 모드의 실행으로 생성되는 소프트키에 대한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미리보기(preview)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을 삭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이 수신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알림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또는 상기 소프트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따른 플리킹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의 표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식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에 해당하는 플리킹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되는 이미지 중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촬영 모드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이메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에 해당하는 플리킹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이메일 리스트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이메일 리스트를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구비되는 아이콘에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뱃지(badge)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롱터치 또는 상기 한 손 조작 화면의 밖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으로, 장소와 관련된 일정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장소에 이동하는 경로 정보 및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으로, 대화 중 날짜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일정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날짜에 새로운 일정을 추가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빠른 실행 메뉴(quick launch application)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구비된 아이콘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이전에 발생되었던 이벤트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소정의 방향에 해당하는 플리킹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림을 스크롤링(scrolling)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소정의 영역에 발생하고, 플리킹 터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물리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한 손 조작 모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하는 사용자의 손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하단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의 하단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이 표시되는 위치,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대상으로 상기 페어링된 기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알림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파일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캡쳐(capture)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및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한 손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이 발생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을 하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된 위치를 변경(switching)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소프트키(soft key)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미리보기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소프트키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의 미리보기를 삭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메시지인 경우, 소프트키를 통하여 회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알림의 미리보기를 표시하고, 미리보기 및 알림을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복수인 경우, 소프트키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한 번에 모두 삭제(clear all)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메시지인 경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회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복수이고, 이들을 모두 표시하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삭제하거나 또는 표시된 위치를 변경(switching)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아이콘에 뱃지(badge)가 표시되는 경우, 해당 뱃지에 대응하는 알림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로 실행하고,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해당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화면을 스크롤링(scrolling)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장소가 입력된 일정을 확인하는 경우,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대화 중 날짜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일정 정보를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며, 통화 어플리케이션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지하철 노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지하철 도착 정보 및 지도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브라우저 사용시 방문한 페이지의 기록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이메일 확인 중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확인하거나 또는 알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브라우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배터리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의 표시 및 표시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 및 도 3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a 내지 도 3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송신 대상을 검색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 및 도 3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a 내지 도 4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의 실행 중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통화 중 상대방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통화 중 상대방에게 캡쳐(capture) 화면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복수인 경우, 페어링된 기기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알림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도 1a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윈도우는 제1 케이스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에는 음향 출력부,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b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한 손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의 플리킹(110b, 110c, flicking) 입력 또는 키(soft key, physical key, 미도시)를 n번(예를 들어, 2번, 3번 등) 조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한 손 조작 모드(120b, 120c)에 진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손 조작 모드(120b, 120c)는 터치 스크린 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00b)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는 위치에 인접하도록 축소되어(120b) 이동하거나(도 1b) 또는 터치 스크린 전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00c)이 한 손으로 잡는 위치에 인접하도록 축소없이(120c) 이동하는(도 1c)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즉,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잡는 한 손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한 손 조작 모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축소 및 이동되는(120b) 화면을 중심으로 한 손 조작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이 발생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알림이 발생하는 경우, 한 손 조작 모드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외부 화면(남는 화면)에 발생된 알림(210a, 210b, 220a, 220b)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발생된 알림(210a, 210b, 220a, 220b)이 표시되는 위치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외부 화면의 상부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미도시)에 발생된 알림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한 손 조작 모드가 아닌 경우, 즉 터치 스크린 전체에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 알림이 발생되면, 해당 알림을 상징하는 미니(작은) 아이콘이 터치 스크린의 최상단부에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최상단부에 표시된 미니 아이콘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해당 알림을 확인(인식)하여야 하는데,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에 따르면, 한 손으로 최상단의 미니 아이콘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이 아닌 다른 손을 통하여 해당 터치 입력을 인가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그러나,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제외한 외부 화면에 알림을 상징하는 미니 아이콘이 아닌 발생된 알림(210a, 210b, 220a, 220b) 그 자체가 표시되기 때문에, 발생된 알림을 확인(인식)하기 위한 최상단의 터치 입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한편, 발생된 알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을 위해서는 해당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발생된 알림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잡는 한 손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발생된 알림의 확인(인식) 및 실행 모두가 한 손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알림을 실행하기 위한 알림이 표시되는 위치의 변경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을 하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된 위치를 변경(switching)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311a, 도 3a의 (b)), 상단에 표시된 알림(301, 302) 중 가장 상단의 알림(301)이 하단으로 내려올 수 있고(도 3a의 (c)), 계속해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더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311a, 도 3a의 (d)), 그 상태에서 가장 상단의 알림(302)이 하단으로 내려오고, 그 전에 하단에 위치한 알림(301)은 상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된 알림의 위치가 스위칭될 수 있다(도 3a의 (e)).
즉, 사용자는 한 손으로 잡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움직여 상단에 위치한 알림을 하단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303)이 발생하면, 터치 스크린 상에 소프트키(soft key, 310)를 생성하고,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도 3b의 (b)).
여기서, 터치 스크린 상에 생성되는 소프트키(310)의 위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b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프트키 대신 발생된 알림에 대응하는 플로팅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 상에 생성하고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활성화된 소프트키(310)에 터치 입력(311b)을 인가하면 (도 3b의 (c)), 상단에 표시된 알림(303)이 하단으로 내려올 수 있다(도 3b의 (d)).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활성화된 소프트키(310)를 조작하여, 상단에 위치한 알림을 하단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알림(304, 305)이 발생한 경우, 앞서 도 3b에서 설명한 소프트키(310)에 터치 입력(311c)을 인가하여, 상단에 표시된 알림(304, 305) 중 가장 상단의 알림(304)이 하단으로 내려오고(도 3c의 (b)), 표시된 알림의 위치가 스위칭(도 3c의 (c))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알림(306, 307)이 발생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307)가 하단으로 이동한 경우(도 3d의 (a)), 사용자가 하단에 위치한 알림(307)을 플리킹(311d)하는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도 3d의 (a), (b)), 표시된 알림(306, 307)의 위치가 스위칭(도 3d의 (c))되도록 한 손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3d의 경우, 본 발명은 플리킹 도중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하여 상단에 위치한 알림(306)이 하단으로 내려오고, 하단에 위치한 알림(307)이 상단으로 올라가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도 3d의 (b)).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하단에 위치하는 알림을 플리킹하여, 상단에 위치한 알림을 하단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소프트키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미리보기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소프트키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본 발명의 구성이 소프트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소프트키 또는 비주얼 키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401)이 발생하면, 터치 스크린 상에 소프트키(410)를 생성하고,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도 4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소프트키(410)를 롱터치(411)하면(도 4의 (c)),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된 알림(401)에 대응하는 미리보기(402)를 외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도 4의 (d)). 이후, 롱터치(411)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미리보기(402)는 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소프트키에 롱터치를 입력하여, 상단에 위치한 알림을 미리보기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4에서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프트키에 롱터치가 아닌 포스터치(force touch)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표시된 알림에 대응하는 미리보기를 외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터치는 터치 스크린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입력이 구분되어,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입력을 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소프트키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의 미리보기를 삭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 4의 (d)가 도 5의 (a)에 표시되어 있다. 즉, 소프트키에 대한 롱터치(511)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보기(501)가 외부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미리보기(501)가 수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롱터치(511)를 유지한 상태로 소프트키를 아래로 플리킹(512)하면, 미리보기(501)가 삭제(502)될 수 있다(도 5의 (b)).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소프트키에 롱터치를 유지한 플리킹을 입력하여, 발생된 알림의 미리보기를 편리하게 삭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메시지인 경우, 소프트키를 통하여 회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생된 알림이 메시지인 경우, 앞서 설명한 도 4의 (d)에 대응하는 미리보기가 도 6의 (a)에 표시되어 있다. 즉, 소프트키에 대한 롱터치(611)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미리보기(601)가 외부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미리보기(601)가 수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롱터치(611)를 유지한 상태로 소프트키를 왼쪽으로 플리킹(612)하면, 미리보기(601)로 표시된 메시지에 대하여 음성 입력으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602)이 생성될 수 있다(도 6의 (b)). 여기서, 사용자가 왼쪽으로 플리킹(612)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이 회신 메시지(603)로 표시될 수 있다(도 6의 (c)). 이후, 사용자가 음성 입력시 유지한 터치를 해제하면, 표시된 회신 메시지(603)가 즉시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소프트키에 롱터치를 유지한 플리킹을 입력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 회신 메시지를 음성 입력을 통하여 작성할 수 있고, 플리킹한 터치를 해제하여, 작성된 회신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알림의 미리보기를 표시하고, 미리보기 및 알림을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도 4에서 설명한 소프트키가 아닌 발생된 알림(701, 703) 중 하단에 위치한 알림(701)에 대한 롱터치(711) 입력으로, 하단에 위치한 알림(701)의 미리보기(702)를 표시할 수 있다(도 7의 (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도 5에서 설명한 소프트키가 아닌 하단에 위치한 알림(701)에 대한 롱터치(711)를 유지한 아래쪽(베젤아웃 방향) 플리킹(712) 입력으로, 하단에 위치한 알림(701)의 미리보기(702)를 삭제(704)할 수 있다(도 7의 (b)).
도 7의 (b)에서와 같이 미리보기(702)가 삭제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계속적인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을 위하여 도 7의 (a) 및 (b)에서 상단에 위치한 알림(703)을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7의 (c)).
이후, 사용자로부터 하단에 표시된 알림(703)에 아래쪽 플리킹(713)이 입력되면(도 7의 (c)), 하단에 표시된 알림(703) 역시 삭제될 수 있다(도 7의 (d)). 한편, 이와 같이 표시된 모든 알림이 삭제되어 알림이 없는 경우, 앞서 설명한 소프트키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하단에 위치한 알림에 롱터치를 입력하여 미리보기를 실행시킬 수 있고, 미리보기가 실행된 상태에서 하단에 위치한 알림에 플리킹을 입력하여, 표시된 미리보기를 편리하게 삭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복수인 경우, 소프트키를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한 번에 모두 삭제(clear all)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복수의 알림(801, 802)이 외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도 8의 (a)), 사용자로부터 활성화된 소프트키(810)를 아래쪽(베젤아웃 방향)으로 플리킹(812)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외부 화면에 표시된 모든 알림(801,802)을 한 번의 조작으로 모두 삭제할 수 있다(도 8의 (b)). 한편, 이와 같이 표시된 모든 알림이 삭제되어 알림이 없는 경우, 소프트키 역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하단에 위치한 소프트키에 한 번의 플리킹을 입력하여, 표시된 미리보기를 모두 한 번에 삭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메시지인 경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회신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표시된 알림(901, 902, 1001, 1002) 중 하단에 위치하는 알림(901, 1001)에 대한 롱터치(911, 1011) 입력에 대응하여(도 9의 (a), 도 10의 (a)), 하단 알림(901, 1001)의 미리보기(903, 1003)를 표시할 수 있다(도 9의 (b), 도 10의 (b)).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미리보기(903)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하단 알림(901)에 대하여 롱터치(911)가 유지된 왼쪽 플리킹(912)이 입력되면, 미리보기(903)로 표시된 메시지에 대하여 음성 입력으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904)이 생성될 수 있다(도 9의 (c)).
여기서, 사용자가 왼쪽으로 플리킹(912)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이 회신 메시지(905)로 표시될 수 있다(도 9의 (d)). 이후, 사용자가 음성 입력시 유지한 터치를 해제하면, 표시된 회신 메시지(905)가 즉시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롱터치(1011)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보기(1003)와 함께 회신 메시지의 작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1022, 1021)을 표시할 수 있다(도 10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아이콘(1021)에 터치(1021)가 입력되면, 미리보기(1003)로 표시된 메시지에 대하여 음성 입력으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1004)이 생성될 수 있다(도 10의 (c)). 여기서,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이 회신 메시지(1005)로 표시될 수 있고(도 10의 (d)), 표시된 회신 메시지(1005)는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표시된 알림(1101, 1102) 중 하단에 위치하는 알림(1101)에 대한 롱터치(1111) 입력에 대응하여(도 11의 (a)), 하단 알림(1101)의 미리보기(1103)를 표시할 수 있다(도 11의 (b)).
그리고, 미리보기(1103)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하단 알림(1101)에 대하여 롱터치(1111)가 유지되면서 한 손 조작 화면 내부로 향하는 플리킹(1112)이 입력되면, 미리보기(1103)로 표시된 메시지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1104)이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자판을 조작하여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도 11의 (c)).
즉, 도 9 내지 도 11은 앞서 설명한 도 6의 소프트키가 아닌 하단에 위치하는 알림에 대한 롱터치 입력 또는 플리킹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회신 메시지를 음성 입력 또는 자판 조작을 통하여 작성할 수 있고, 이를 상대방에게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알림에 대한 롱터치 입력 또는 플리킹 입력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수단이므로 본 발명의 알림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이 롱터치 입력 또는 플리킹 입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서 설명된 기능의 구현에 대응할 수 있는 다른 입력의 종류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발생된 알림이 복수이고, 이들을 모두 표시하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발생된 알림을 삭제하거나 또는 표시된 위치를 변경(switching)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알림이 발생되고, 이들 모두를 알림으로 외부 공간에 표시하기에 외부 공간이 부족한 경우, 알림의 발생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알림(1201 내지 1205) 중 일부(1203 내지 1205)를 일정한 방향(1200)으로 스택(stack) 형태로 쌓아 외부 화면에 아이콘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된 순서가 가장 최근에 발생된 알림을 스택의 가장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2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 조작 모드의 하단에 위치한 알림(1201)을 아래쪽 방향(배젤아웃 방향)으로 플리킹(1211)하면(도 12의 (a)), 해당 알림(1201)은 삭제되고, 삭제된 알림(1201)의 다음에 발생된 알림(1202, 최상단에 위치한 알림)이 하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도 12의 (b)).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단에 위치한 알림(1202)을 다시 한 번 아래쪽 방향으로 플리킹(1211)하면(도 12의 (b)), 마찬가지로 해당 알림(1202)가 삭제되고, 그 다음에 발생된 알림(1203)이 하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도 12의 (c)).
여기서, 하단에 위치한 알림(1203)을 우측 방향으로 플리킹(1212)하면, 해당 알림(1203)은 삭제되지 않고, 외부 화면에 표시된 스택의 마지막 순서로 이동할 수 있다(도 12의 (d)).
즉, 해당 알림을 삭제하지 않고, 이후에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알림을 아래쪽으로 플리킹하지 않고, 우측으로 플리킹하여 스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삭제되지 않고 스택으로 이동한 알림(1203)의 다음에 발생된 알림(1204)이 한 손 조작 모드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고, 하단으로 이동한 알림(1204)의 다음에 발생된 알림(1205)은 외부 화면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아이콘에 뱃지(badge)가 표시되는 경우, 해당 뱃지에 대응하는 알림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1300)에 뱃지가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뱃지는 현재 알림으로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가 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뱃지에 해당하는 숫자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해당 아이콘(1300)을 클릭(1311) 후 외부 화면으로 드래그(1312)하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거나(도 13의 (b)) 또는 해당 아이콘을 롱터치(1313)하면(도 13의 (c)),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1300)에 표시된 뱃지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1401)을 외부 화면의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4의 (a)).
여기서, 외부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는 알림(1401)이 도 14와 같이 부재중 전화인 경우,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알림(1401)은 통화하기 및 문자 메시지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도 14의 (a)).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는 흔들기(1414)와 같은 제스처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인가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외부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 알림(1401) 중 통화하기 및 문자 메시지 버튼(1401_1)을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4의 (b)). 그리고, 사용자는 하단으로 이동된 통화하기 및 문자 메시지 버튼(1401_1)을 한 손으로 조작하여, 부재중 전화의 상대방에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앞서 도 3a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흔들기에 대응하여 상단에 표시된 알림 그 자체를 한 손 조작 모드의 화면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뱃지가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 해당 뱃지에 관련된 알림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되는 알림을 하단으로 이동시켜 관련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로 실행하고,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로 실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롱터치(1511)를 입력할 수 있고(도 15의 (a)), 이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1501) 형태로 실행하여, 이를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5의 (b)).
여기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미리보기(1501)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파일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미리보기(1501)가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에 입력한 롱터치(1511)를 유지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된 이미지 중 좌측 최상단에 위치한 이미지(1502)가 다른 이미지들보다 확대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도 15의 (c)).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1511)를 계속 유지하며, 오른쪽으로 플리킹(1512)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좌측 최상단에 위치하며, 다른 이미지들보다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이미지(1502)를 기준으로, 플리킹(1512)으로 입력된 방향의 다른 이미지(1503)를 확대된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확대되어 표시된 이미지(1502)는 다른 이미지들의 크기와 동일하게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15의 (d)).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여전히 롱터치(1511)를 유지한 상태에서 좌측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1513)하면, 다른 이미지들보다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이미지(1503)를 기준으로 플리킹(1513)으로 입력된 방향의 다른 이미지(1504)를 확대된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존에 확대된 이미지(1503)의 크기는 다른 이미지들의 크기와 동일하게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15의 (e)).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롱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로 실행할 수 있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실행되는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실행한 결과를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아이콘에 인가한 롱터치를 유지하며, 플리킹 터치를 입력하여, 실행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적으로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 15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롱터치(1611)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촬영 모드를 미리보기(1601)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6의 (a)).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1611)를 유지하면,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된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거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롱터치(1611)를 해제하면,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고, 미리보기(1601)로 표시된 촬영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도 16의 (b)).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롱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해당 아이콘에 미리보기로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있어서, 메시지를 확인하며,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을 미리보기(1701)로 표시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도 17의 (a)). 여기서, 도 16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롱터치(1711)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촬영 모드를 또 다른 미리보기(1702)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7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1711)를 유지하면,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된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롱터치(1711)를 해제하면,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를 회신 메시지 작성 화면(1703)에 저장하고, 미리보기(1601)로 표시된 회신 메시지 작성 화면(1703)에 첨부하고, 촬영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도 17의 (c)).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미리보기를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한 손 조작 모드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가 도시된다. 도 15 내지 도 17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롱터치(1811)를 입력하면(도 18의 (a)),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미리보기(1801)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18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1811)를 계속 유지하며, 위쪽으로 플리킹(1812)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플리킹(1812)에 대응하여 미리보기(1801)로 표시된 이메일 리스트를 위쪽으로 이동(1802)시킬 수 있다(도 18의 (b)).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여전히 롱터치(1811)를 유지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1813)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플리킹(1813)에 대응하여 미리보기(1801)로 표시된 이메일 리스트를 아래쪽으로 이동(1803)시킬 수 있다(도 18의 (c)).
한편, 미리보기(1801)로 표시되는 이메일 리스트가 최상단(1804)에 도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1811)를 유지하며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1814)하면(도 18의 (d)),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플리킹(1814)에 대응하여 미리보기(1801)로 표시된 이메일 리스트를 리프레쉬(refresh, 1805)시킬 수 있다(도 18의 (e)).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롱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미리보기로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인가한 롱터치를 유지하며, 플리킹 터치를 입력하여, 표시되는 이메일 리스트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리플레쉬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해당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 화면(1910) 밖의 외부 화면에 알림(1901, 1902)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단에 위치한 알림(1901)에 터치(1911) 입력을 인가하여(도 19의 (a)), 해당 알림(1901)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시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도 19의 (b)).
여기서, 사용자의 알림(1901)에 대한 터치(1911)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920)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1910)과 일정 부분이 중첩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1920)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1910)보다 앞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계속적인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19의 (b)).
그리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알림(1901)은 사라지고, 상단에 위치한 다른 알림(1902)이 터치 스크린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한 손 조작에 대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010) 밖의 외부 화면에 알림(2001, 2002)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단에 위치한 알림(2001)을 드래그 하여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010)에 드랍하는 터치(2011) 입력을 인가하여(도 20의 (a)), 해당 알림(2001)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시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도 20의 (b)).
여기서, 사용자가 알림(2001)을 드래그 앤 드랍(2011)하여 한 손 조작 화면(2010)에 위치시키는 터치(2011)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2020)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030)과 함께 동시에 표시되고, 두 화면(2020, 2030)의 크기의 합은 기존의 한 손 조작 화면(2010)의 크기에 해당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도 20의 (b)). 구체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2020)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030)과 동시에 앞으로 표시되어, 두 화면(2020, 2030) 모두 사용자의 계속적인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20의 (b)).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도 19를 통해서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두 화면(2110, 2120)이 일정 부분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이들(2110, 2120) 중 앞으로 표시된 화면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110)인데, 사용자가 뒤에 위치한 화면(2120)을 앞으로 표시하여, 터치 입력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2110, 2120)의 위치를 바꾸거나 두 화면(2110, 2120) 모두가 앞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2111, 도 21의 (a)), 뒤에 위치한 화면(2120)이 한 손 조작 모드 화면(2111) 밖의 외부 화면에 표시(2121)될 수 있다(도 21의 (b)).
한편, 도 21을 통하여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2111, 도 21의 (a)), 뒤에 위치한 화면(2120)과 앞에 위치한 화면(2110)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 스위칭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손으로 쥐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간단한 제스처를 인가하여, 자신이 원하는 화면이 앞으로 표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화면을 스크롤링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도 21을 통하여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두 화면(2210, 2220)이 중첩되는 부분 없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두 화면(2210, 2220)의 크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화면(2220)에 구비되는 모서리를 터치 앤 드래그(2211)하면, 해당 터치 앤 드래그(2211)에 대응하여, 해당 화면(2220)의 크기가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화면(2210)의 크기는 터치 앤 드래그(2211)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화면(2220)의 크기와 반대로 대응되어 작아지거나 또는 커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동시에 표시된 두 화면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서, 하나의 화면에 구비되는 모서리를 터치 앤 드래그하여, 표시된 두 화면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도 21을 통하여 나타낸 것과 유사하게 두 화면(2210, 2220)이 중첩되는 부분 없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화면(2211)에 표시되는 정보를 더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화면(2211)의 소정의 영역을 터치 앤 드래그(2213, 2214)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앤 드래그(2213, 2214)의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화면(2211)이 표시되는 정보가 이동할 수 있는 스크롤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동시에 표시된 두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만을 더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 앤 드래그의 입력을 인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장소가 입력된 일정을 확인하는 경우,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행된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일정 중 장소 정보가 입력된 일정을 터치 스크린 전체(2301, 2311)로 확인하는 상태에서(도 23a의 (a), 도 23b의 (a)),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면, 터치 스크린 전체로 표시되는 일정 관리 화면(2301, 2311)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고, 나머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일정과 관련되는 장소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 어플리케이션(2302, 2312)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도 23a의 (b), 도 23b의 (b)).
여기서, 실행된 지도 어플리케이션(2302, 2312)이 나타내는 장소 정보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일정에 입력된 장소의 직선거리가 약 2km 이내인 경우, 도로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경로, 거리 및 소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도 23a의 (b)). 한편,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일정에 입력된 장소의 직선거리가 약 2km 이상인 경우, 도로로 이동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므로, 입력된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별 최적 경로, 거리 및 소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도 23b의 (b)).
즉, 사용자는 장소 정보가 입력된 일정을 확인하는 중에,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면, 해당 장소 정보와 관련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장소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 정보 등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대화 중 날짜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일정 정보를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대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스크린 전체(2401)로 실행하는 상태에서(도 24의 (a)), 대화 중 날짜 정보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면, 터치 스크린 전체로 표시되는 대화 화면(2401)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고, 나머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해당 날짜의 일정을 확인하거나 일정을 추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해당 날짜에 일정이 자동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도 24의 (b)).
즉, 사용자는 대화 어플리케이션으로 대화 중, 날짜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여 간편하게 해당 날짜의 일정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며, 통화 어플리케이션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2501, 2521)을 실행시킨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25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면(도 25a의 (a), 도 25b의 (a)), 빠른 실행 메뉴(quick launch application, 2502, 2522)가 실행될 수 있다(도 25a의 (b), 도 25b의 (b)). 여기서, 빠른 실행 메뉴(2502, 2522)는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으며, 빠른 실행 메뉴(2502, 2522)가 표시되는 정도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2501, 2521)은 상단으로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실행되는 빠른 실행 메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데,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빠른 실행 메뉴는 전화 통화, 주소록, 인터넷 및 문자 메시지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빠른 실행 메뉴(2502, 2522)에 포함된 아이콘 중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터치(1512) 입력을 인가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2503, 2523)이 터치 스크린 하단에 실행될 수 있다(도 25a의 (c), 도 25b의 (c)). 여기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2503, 2523)이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2501, 2521)은 상단으로 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하단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터치(2513) 입력을 인가하여 통화를 실행하거나(도 25a의 (c)) 또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면(도 25b의 (c), 네비게이션 화면(2501, 2521)은 스크린 전체의 크기로 복귀될 수 있다(도 25a의 (d), 도 25b의 (d)).
한편, 본 발명은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통화에 필요한 메뉴(예를 들어, 볼륨 조절, 통화 끊기 등)들이 팝업(2504) 형태로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터치 스크린 상단에 실행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운행 정보(예를 들어, 도착 장소, 소요 기간 등)를 전달받아, 작성되는 메시지에 내용으로 자동 추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중에, 간편하게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여, 네비게이션을 계속적으로 확인하면서도 빠른 실행 메뉴(2502, 2522)를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지하철 노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지하철 도착 정보 및 지도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지하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지하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2601, 2621)로 지하철 노선도를 확인하는 상태에서(도 26a의 (a), 도 26b의 (a)), 터치(26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면, 터치 스크린 전체로 표시되는 지하철 노선도 화면(2601, 2621)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지하철 또는 현재 위치와 관련되는 정보(2602, 2622)를 표시할 수 있다(도 26a의 (b), 도 26b의 (b), (c)).
여기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는 자하철 노선도 화면(2601, 2621) 밖의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2602, 2622)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되는 정보(2602)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지하철역 내부인 경우, 해당 지하철역에 해당하는 지하철 도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도 26a의 (b)). 한편,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지하철역 내부가 아닌 경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정보(2622, 2623)를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도 26b의 (b), (c)). 구체적으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정보(2622)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지하철 노선도 화면(2621)에서 특정 역을 터치(2612)하면(도 26b의 (b)), 선택된 역을 중심으로 선택된 역의 출구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2623)가 터치 스크린 상단에 표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역의 출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도 26b의 (c)).
즉, 사용자는 지하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중에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여, 현재 위치에 따른 지하철 정보 또는 현재 위치와 관련되는 지도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브라우저 사용시 방문한 페이지의 기록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브라우저 사용에 따른 방문 기록을 레벨(2710, 2720, 2730)에 따라 카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도 27의 (a)). 일 예로, 도 27의 (a)와 같이 방문 기록의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고, 레벨이 다른 경우 세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으로 터치 스크린 하단 즉, 가장 낮은 레벨(2710)에 해당하는 방문 기록에 플리킹(2701) 입력을 인가할 수 있고, 입력된 플리킹(2701)의 방향에 대응하여, 방문 기록을 나타내는 화면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도 27의 (b), (c)).
구체적으로, 도 27의 (b)와 같이 우측으로 플리킹(2701) 입력이 인가되면, 같은 레벨에 속하는 방문 기록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도 27의 (b)), 상측으로 플리킹(2702)이 인가되면, 레벨이 서로 다른 방문 기록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27의 (c)).
즉, 사용자는 브라우저 사용에 따른 방문 기록을 레벨에 따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손으로 터치 스크린 하단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방문기록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이메일 확인 중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이메일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회신 메일을 작성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2801)로 수신된 메일을 확인하는 상태에서(도 28의 (a)), 터치(28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면, 터치 스크린 전체로 표시되는 이메일 화면(2801)은 한 손 조작 모드에 따라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화면(예를 들어, 하단)에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화면(2802, 2803)이 표시될 수 있다(도 28의 (b), (c)). 구체적으로,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2802, 2803)은 키보드 자판을 통하여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2802) 및 음성으로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28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손 조작 모드의 진입에 따라 먼저 키보드 자판을 포함하는 화면(2802)이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고, 키보드 자판에 포함된 음성 작성 버튼에 터치(2812) 입력이 인가되면 음성으로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2803)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하나의 예로서 설명된 것이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한 손 조작 모드로 진입시 표시되는 화면은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메일 확인 중에 한 손 조작 모드로 진입하여,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며,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확인하거나 또는 알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알림이 표시되지 않은 한 손 조작 모드 상태에서(도 29의 (a)),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터치(2911)를 인가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이전에 발생되었던 알림들(2920)이 외부 화면(예들 들어, 상단)에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다(도 29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알림(2921)을 선택하기 위해서, 도 29의 (b)에서 아이콘에 인가한 터치(2911)를 유지하며,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플리킹(2912)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플리킹(2912)의 방향에 대응하여, 외부 화면에 표시된 알림들(2920)을 스크롤링(2922)시킬 수 있다 (도 29의 (c)).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알림(2921)이 다른 알림들보다 앞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중앙에 표시되도록 플리킹(2912)하여 해당 알림(2921)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을 모두 해제하면, 선택된 알림에 대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9의 (d)에서와 같이, 선택된 알림이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알림인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해제하면, 선택된 알림(2921)을 제외한 다른 알림은 외부 화면에서 사라지고, 선택된 알림(2921)만 외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해당 부재중 전화의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화면(2924)이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이전에 발생되었던 알림들을 한 손 모드 화면의 외부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간편한 플리킹 동작을 수행하여 원하는 알림을 선택한 후, 관련 동작을 한 손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3001)을 실행하는 상태에서(도 30의 (a)), 터치(30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화면(3001)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도 30의 (b)). 이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정보(3002)를 외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정보(300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진을 찍기에 적당한 추천 장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가 추천 장소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도 30의 (c)). 이 상태에서, 알림을 인식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3012) 추천 장소에 대한 정보(3003)가 외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도 30의 (d)). 여기서, 추천 장소에 대한 정보(3003)는 해당 장소에 관한 위치 정보, 리뷰 정보 및 별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한 손 조작 모드로 실행하는 경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추천 장소에 대한 지도 정보 및 추천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브라우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3101)을 실행하는 상태에서(도 31의 (a)), 터치(31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3101)은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축소되어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도 31의 (b)). 이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북마크 화면(3102)을 외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은 한 손 조작 모드 진입시, 표시되는 페이지가 자동으로 북마크 화면(3102)의 북마크로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북마크 화면(3102)에 나타나는 다른 북마크를 확인 및 선택하여 해당 페이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브라우저를 한 손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배터리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한 손 조작 모드의 진입시 축소되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3201)이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실행되는 특정 동작이 없는 경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201) 밖의 외부 화면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배터리 정보(3202)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배터리 정보(3202)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배터리 사용량,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 지속 가능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실행되는 특정 동작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배터리 정보를 외부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의 표시 및 표시된 위치를 변경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외부기기(예를 들어, 스마트와치)와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페어링되어 있고, 스크린 전체를 통하여 화면(예를 들어, 바탕화면, 3301, 3321)이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3311) 입력을 인가하여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면(도 33a의 (a), 도 33b의 (a)),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바탕화면(3301, 3321)을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301, 3321)으로 축소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에 인접한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도 33a) 또는 하단(도 33b)에 표시할 수 있고,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301, 3321) 밖의 외부 화면에 현재 페어링된 기기(3302, 3322)를 표시할 수 있다(도 33a의 (b), 도 33b의 (b)).
한편,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3302, 3322)를 나타내는 화면은 페어링된 기기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페어링된 기기가 스마트와치인 경우,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화면이 해당 스와트와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의 화면 역시 시각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알람이 실행되는 상태라면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의 화면 역시 알람이 실행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화면에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3302, 3322)는 축소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301, 3321)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좌측 또는 상단)에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앞서 도 3a을 통해서 설명한 알림을 터치 스크린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유사하게, 페어링된 기기(3302, 3322)와 축소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301, 332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표시되는 위치의 변경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에 인접한 대상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표시하고, 다른 대상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션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드는 경우(3312, 도 33a의 (c), 도 33b의 (c)), 페어링된 기기(3302, 3322)와 축소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301, 3321)의 위치를 좌우(도 33a) 또는 상하(도 33b)로 변경시킬 수 있다(도 33a의 (d), 도 33b의 (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하여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된 기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축소된 한 손 조작 모드 화면과 페어링된 기기가 표시되는 위치를 간단한 제스처를 통하여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손 조작 모드 화면과 페어링된 기기 모두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4a 및 도 3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를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 상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3401)이 터치 스크린 상단에 발생하고, 부재중 전화 상대방에게 통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메뉴가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도 34a의 (a), 도 34b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재중 전화 상대방에게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하단에 위치한 통화하기 버튼에 터치(3411)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3411)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3421) 및 페어링된 기기(3422) 모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더라도,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된 기기(도 34a의 3421, 도 34b의 3422)가 사용자의 터치(3411) 입력에 대응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도 34a의 3421_1, 도 34b의 3422_1)하게 된다(도 34a의 (b), 도 34b의 (b)).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는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가 사용자가 현재 한 손으로 조작하고 있는 기기로 인식되고, 별도의 설정에 관한 입력이 없다면 해당 기기를 통하여 통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5a 및 도 3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 및 도 35b는 앞서 설명한 도 34a 및 도 34b와 유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된 기기(도 34a의 3521, 도 34b의 3522)가 아닌 다른 기기를 통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5a 및 도 35b를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 상태에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림(3501)이 터치 스크린 상단에 발생하고, 부재중 전화 상대방에게 통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메뉴가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도 35a의 (a), 도 35b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재중 전화 상대방에게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하단에 위치한 통화하기 버튼에 터치(3511)를 입력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터치(3511)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3521) 및 페어링된 기기(3522) 모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화하기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3511)를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3512) 입력을 통하여 통화하기 버튼을 자신이 원하는 기기(도 35a의 3522, 도 35b의 3521)에 가져가면, 해당 기기(도 35a의 3522, 도 35b의 3521)를 통하여 통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34a 및 도 34b과 비교하면, 단순히 통화하기 버튼을 터치하면 사용자의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가 통화기능을 수행하고(도 34a 및 도 34b), 사용자가 통화하기 버튼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면, 선택된 기기를 통하여 통화 기능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표시되는 알림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를 드래그 동작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6a 및 도 3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a 및 도 36b를 참조하면, 한 손 조작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3601)이 터치 스크린 상단에 발생하고, 페어링된 기기(3622) 및 한 손 조작 모드 화면(3621)이 표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도 36a의 (a), 도 36b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신되는 전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3621) 및 페어링된 기기(3622) 모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36a의 (b), 도 36b의 (b)).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 하단에 적어도 2회 이상의 탭핑(tapping) 동작(3611)을 수행하여 해당 기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화에 응답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a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3621)가 아닌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페어링된 기기(3622)의 하단을 2회 탭하면(3611), 페어링된 기기(3622_1)를 통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6b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3621)의 하단을 2회 탭하면(3611), 이동 통신 단말기(3621_1)를 통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를 간단한 탭핑 동작으로 선택하면, 선택된 기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화의 통화 기능이 수행된다.
도 37a 내지 도 3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송신 대상을 검색한 경우, 통화를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36a 및 도 36b는 전화가 수신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 예이고, 도 37a 내지 도 38b는 사용자가 전화를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상태에 관한 예이다.
먼저, 도 37a 및 도 3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송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색(또는 입력)한 상태에서, 적어도 2회 이상의 탭핑 동작(3711)을 수행하여 자신이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고, 이후, 선택된 기기를 통하여 전화번호의 상대방에게 전화가 송신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7a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3721)가 아닌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페어링된 기기(3722)의 하단을 2회 탭하면(3711), 페어링된 기기(3722_1)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7b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3721)의 하단을 2회 탭하면(3711), 이동 통신 단말기(3721_1)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a 및 도 3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페어링된 기기에 송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색(또는 입력)한 상태에서, 터치(3811) 앤 드래그(3812) 입력을 통하여 통화하기 버튼을 자신이 원하는 기기(도 38a의 3822, 도 38b의 3821)에 가져가면, 해당 기기(도 38a의 3822, 도 38b의 3821)를 통하여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a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3821)에 송신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검색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3821)가 아닌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페어링된 기기(3822)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하고자 한다면, 통화하기 버튼에 대한 터치(3811) 앤 드래그(3812) 입력을 통하여, 통화하기 버튼을 페어링된 기기(3822)에 가져가면, 페어링된 기기(3822_1)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8b에서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페어링된 기기(3822)에 송신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검색된 상태에서, 페어링된 기기(3822)가 아닌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3821)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하고자 한다면, 통화하기 버튼에 대한 터치(3811) 앤 드래그(3812) 입력을 통하여, 통화하기 버튼을 이동 통신 단말기(3821)에 가져가면, 이동 통신 단말기(3821_1)를 통하여 전화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의 간단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송신 대상자의 전화번호가 검색(또는 입력)된 기기가 아닌 다른 기기를 통해서 송신 대상자에게 전화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9a 및 도 3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3921) 및 페어링된 기기(3922)가 터치 스크린에 함께 표시되고, 페어링된 기기(3922)에 대한 알림(3901, 예들 들어, 배터리 부족 알림)이 발생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된 기기에 대한 알림(3901)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조작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림이라면, 해당 알림(3901)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이 사용자의 한 손에 인접한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도 39a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화면에 터치(3911) 입력을 인가하여, 해당 알림(3901)에 응답하여 페어링된 기기(392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알림(3901)이 배터리 부족을 나타내는 알림인 경우,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화면은 전원끄기 및 절전모드를 실행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원끄기 메뉴에 대하여 터치(3911) 입력을 인가하면, 페어링된 기기(3922_1)의 전원이 off될 수 있다(도 39a의 (b)).
그리고, 도 39b를 참조하면, 페어링된 기기(3922)에 알람 이벤트에 관한 알림(3931)이 발생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도 39a와 유사하게 해당 알람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이 사용자의 한 손에 인접한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도 39b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화면에 터치(3911) 입력을 인가하여, 해당 알림(3931)에 응답하여 페어링된 기기(392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알림(3931)이 설정된 시각에 대한 알람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인 경우,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화면은 다시 알람을 수행하는 메뉴 및 알람을 중지시키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알람을 중지시키는 메뉴에 대하여 터치(3911) 입력을 인가하면, 페어링된 기기(3922_2)에서 수행되는 알람 이벤트가 off될 수 있다(도 39b의 (b)).
즉, 페어링된 기기에 알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페어링된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한 손 조작 모드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를 조작하여, 발생된 알림에 대응하여 페어링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의 실행 중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이 발생한 경우,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a 내지 도 4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 상태에서, 페어링된 기기(4022, 예를 들어, 스피커)가 기능(예를 들어, 재생되는 음악의 출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이 발생한 예를 확인할 수 있다(도 40a의 (a)).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40a의 (a)와 같이 한 손에 인접한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메뉴(4002)를 통하여 페어링된 기기인 스피커(4022)를 제어하는 상황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외부 화면(예를 들어,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011), 상단에 표시된 전화 수신 알림(4001)과 화면 하단에 표시된 페어링된 기기를 제어하는 메뉴(4002)의 위치를 변경(스위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한 손에 인접한 터치 스크린 하단으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이 이동하고, 페어링된 기기(4022)를 제어하는 메뉴(4002)는 터치 스크린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40a의 (b)).
한편,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되는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을 조작(4012, 4013)하여 전화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도 40b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을 터치 앤 드래그(4012)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021)에 가져가면, 이동 통신 단말기(4021_1)를 통하여 전화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이 출력되고, 페어링된 기기인 스피커(4022)는 계속해서 재생된 음악을 출력한다.
이와 달리, 도 40c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하단에 표시된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4001)을 터치 앤 드래그(4013)를 통하여 페어링된 기기인 스피커(4022)에 가져가면, 스피커(4022_1)는 기존에 수행하던 음악의 출력을 중지하고, 전화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음성을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된 기기의 실행 중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이 발생하면,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통화 중 상대방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a 및 도 41b를 참조하면, 페어링된 기기(4122)를 통하여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 구비된 파일을 전송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페어링된 기기(4122)를 통하여 통화 중인 경우, 도 41a의 (a) 및 도 41b의 (a)와 같이 페어링된 기기(4122)가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111, 4131),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대상을 페어링된 기기(4122)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4121)로 변경(스위칭)할 수 있다(도 41a의 (b), 도 41b의 (b)).
도 41a및 41b를 참조하면, 이후 사용자는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21)를 조작(4112, 4132)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파일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파일을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적어도 3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도 41a와 도 41b를 통하여 각각 설명한다.
먼저, 도 41a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된 파일을 터치 앤 드래그(4113)하여 페어링된 기기(4122)에 가져가면, 해당 파일이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41a의 (d)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4121)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파일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이 수행되어 상대방에게 파일이 전송되면, 도 41a의 (e)와 같이, 파일 전송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알림(4102)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1b의 (b) 내지 (d)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된 파일에 대한 터치(4132) 입력 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133) 해당 파일을 플로팅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4121)에서 페어링된 기기(4122)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된 파일에 대한 터치(4132)를 해제하여, 선택된 파일을 페어링된 기기(4122) 위로 드랍하면, 해당 파일은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파일 전송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알림(4102)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방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파일을 한 손으로 조작하여 간편하게 송신할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통화 중 상대방에게 캡쳐(capture) 화면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a 및 도 42b를 참조하면, 페어링된 기기(4222)를 통하여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한 캡쳐 화면을 전송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페어링된 기기(4222)를 통하여 통화 중인 경우, 도 42a의 (a) 및 도 42b의 (a)와 같이 페어링된 기기(4222)가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211),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대상을 페어링된 기기(4222)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4221)로 변경(스위칭)할 수 있다(도 42a의 (b), 도 42b의 (b)).
이후 사용자는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4221)를 조작(4212)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캡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221)를 롱터치(4212)하여 표시되는 현재 화면에 대한 캡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캡쳐 화면은 외부 화면(예들 들어, 상단)에 미리보기(423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생성된 캡쳐 화면을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적어도 2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도 42a와 도 42b를 통하여 각각 설명한다.
먼저, 도 42a의 (c)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 대한 롱터치(4212)를 유지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213),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서 페어링된 기기(4222)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롱터치(4212)를 해제하면, 캡쳐 화면(4230)은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4231)될 수 있다(도 42a의 (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캡쳐 화면(4230)이 상대방에게 전송되면, 도 42a의 (e)와 같이, 캡처 화면의 전송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알림(4202)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2b의 (c) 내지 (e)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 대한 롱터치(4212)를 해제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한번 튕기거나 또는 흔들어(4213),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4221)에서 페어링된 기기(4222)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기기인 페어링된 기기(4222)에 터치(4213) 입력(예들 들어, 노크 등)을 인가하면, 캡쳐 화면(4230)은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전송(4231)될 수 있다(도 42b의 (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캡쳐 화면(4230)이 상대방에게 전송되면, 도 42b의 (e)와 같이, 캡처 화면의 전송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알림(4202)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을 통하여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상대방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캡쳐 화면을 간편하게 송신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 손 조작 모드에서,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복수인 경우, 페어링된 기기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알림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4322, 4323, 4324)가 여러 개인 경우, 한 손 조작 모드에 따라 한 손으로 순차적으로 각각의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기기에 관한 알림(4322a, 4323a, 4324a)이 표시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한 손 조작 모드의 진입에 따라 현재 페어링된 기기(432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의 (a)와 같이 스마트와치(4322)가 페어링된 상태인 경우, 터치 스크린에 페어링된 스마트와치(4322) 및 그에 대응하는 알림(4322a)가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 페어링된 상태는 아니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4321)와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또는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와치(4322)를 나타내는 화면의 상/하로 화살표(430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와치(4322)와 함께 표시된 화살표(4301)를 통하여, 스마트와치(4322) 외에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4323, 4324)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와치(4322)를 나타내는 화면에 터치(4311) 입력을 인가하고, 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또는 하부)로 플리킹(4312)하면, 스마트와치(4322)가 아닌 다른 기기인 스피커(4323)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고, 표시된 스피커(4323)와 이동 통신 단말기(4321)는 자동으로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도 43의 (b)). 또한, 새롭게 페어링된 스피커(4323)에 대응하는 알림인 음악 재생을 제어하는 메뉴(4323a)가 한 손 조작 모드의 외부 화면(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피커(4323)를 나타내는 화면의 상/하로 화살표(4301)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피커(4323)와 함께 표시된 화살표(4301)를 통하여, 스피커(4323) 외에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4322, 4324)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피커(4323)를 나타내는 화면에 터치(4311) 입력을 인가하고, 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플리킹(4312)하면, 스피커(4323)가 아닌 다른 기기인 스마트TV(4324)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고, 표시된 스마트TV(4324)와 이동 통신 단말기(4321)는 자동으로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도 43의 (c)). 이와 함께, 새롭게 페어링된 스마트TV(4324)에 대응하는 알림인 예약 알림(4324a)이 한 손 조작 모드의 외부 화면(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스마트TV(4324)를 나타내는 화면의 상/하로 화살표(4301)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TV(4324)와 함께 표시된 화살표(4301)를 통하여, 스마트TV(4324) 외에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4322, 4323)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TV(4324)를 나타내는 화면에 터치(4311) 입력을 인가하고, 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플리킹(4312)하면, 다시 도 43의 (a)에 해당하는 스마트와치(4322)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고, 표시된 스마트와치(4322)와 이동 통신 단말기(4321)는 자동으로 페어링이 수행되고, 스마트와치(4322)에 대응하는 알림인 통화 수신 알림(4322a)이 외부 화면(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도 43의 (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 조작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여러 개인 경우, 페어링된 기기와 함께 표시되는 화살표를 통하여, 사용자는 페어링이 가능한 다른 기기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고, 한 손으로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을 플리킹하여 다른 기기와의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7)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인가되는 제1 입력,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인가되는 제2 입력 및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는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한 손 조작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에 표시되는 전체 화면을 축소한 화면 또는 상기 전체 화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을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하는 사용자의 손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영역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관련되는 이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상기 제2 입력 및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 상기 대상의 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알림을 삭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과 일정 부분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이 상기 한 손 조작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알림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내부에서 표시하여, 상기 이벤트가 실행되어 표시되는 화면 및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의 일부분을 동시에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 또는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미리보기(preview)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을 삭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이 수신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알림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보기 화면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화면은,
    입력되는 음성이 상기 회신 메시지의 내용으로 표시되는 화면 또는 상기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포함되는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되는 이미지 중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변경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촬영 모드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통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상기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이메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포함되는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이메일 리스트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이메일 리스트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구비되는 아이콘에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뱃지(badge)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한 손 조작 화면의 밖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이 장소와 관련된 일정이 표시되는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장소에 이동하는 경로 정보 및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이 대화 중 날짜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대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날짜에 해당하는 일정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날짜에 새로운 일정을 추가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빠른 실행 메뉴(quick launch application)를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에 포함되는 소정의 방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림을 스크롤링(scrolling)시키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이 표시되는 위치,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실행되는 대상으로, 상기 페어링된 기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실행시,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 및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 중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따라 상기 실행되는 대상이 선택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 및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 중 상기 이벤트의 실행에 대한 입력 수단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실행되는 대상이 선택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에 인접하여 인가되는 입력 또는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에 인접하여 인가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실행되는 대상이 선택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기기와 관련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알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및 상기 알림을 제어하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상기 한 손 조작 모드 화면 및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상기 알림에 대한 터치 입력, 상기 한 손 조작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통하여 통화 중인 상대방에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파일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캡쳐(capture) 화면을 전송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기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의 주변 영역에 방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수단을 표시하고,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이 가능한 기기가 상기 페어링된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에 표시되는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160008911A 2016-01-25 2016-01-25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70088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11A KR20170088691A (ko) 2016-01-25 2016-01-25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CT/KR2016/011903 WO2017131319A1 (en) 2016-01-25 2016-10-21 Mobile terminal for one-hand operation mode of controlling paired device, notification and application
US15/338,129 US10572145B2 (en) 2016-01-25 2016-10-28 Mobile terminal for one-hand operation mode of controlling paired device, notification and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11A KR20170088691A (ko) 2016-01-25 2016-01-25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91A true KR20170088691A (ko) 2017-08-02

Family

ID=5935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911A KR20170088691A (ko) 2016-01-25 2016-01-25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2145B2 (ko)
KR (1) KR20170088691A (ko)
WO (1) WO20171313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83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 손 조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25194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490B1 (ko) 2013-09-0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69998B1 (ko) * 2016-07-29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545480B1 (en) * 2017-03-09 2021-03-03 Google LLC Notification shade with animated reveal of notification indications
US20190026120A1 (en) * 2017-07-21 2019-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ing mobile device operation based on touch points
CN107506121A (zh) * 2017-08-17 2017-12-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控制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7613094A (zh) * 2017-08-17 2018-0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单手操作移动终端的方法和移动终端
EP3678008A4 (en) * 2017-09-08 2020-09-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MESSAGES AND TERMINAL DEVICE
CN107748647A (zh) * 2017-09-19 2018-03-02 刘剑涛 一种触控终端操作方法
DE102017216748A1 (de) * 2017-09-21 2019-03-21 Audi Ag Verfahren zum Koordinieren eines Aufladevorganges eines pilotierten Kraftfahrzeugs, Speichermedium, mobiles Endgerät, und Servervorrichtung
US11307760B2 (en) * 2017-09-25 2022-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7728900A (zh) * 2017-09-29 2018-0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虚拟按键的手势操作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212847B2 (en) * 2018-07-31 2021-12-28 Roku, Inc. More secure device pairing
USD918952S1 (en) * 2018-10-19 2021-05-1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0087218A1 (zh) * 2018-10-29 2020-05-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界面的控制方法及电子终端
CN109739669B (zh) * 2019-01-15 2020-09-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未读消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CN110958350B (zh) * 2019-11-12 2022-02-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知消息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427503B (zh) * 2020-03-30 2022-08-30 宜宾市天珑通讯有限公司 一种屏显内容交互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13604B2 (en) * 2020-06-17 2022-11-29 Motorola Mobility Llc Selectable response options displayed based-on device grip position
US11543860B2 (en) 2020-07-30 2023-01-03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tuning
US11595511B2 (en) 2020-07-30 2023-02-28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within curved display edges
US11508276B2 (en) 2020-09-18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user interface display size for curved display edges
CN112764606A (zh) * 2020-12-31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标识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TWI775474B (zh) * 2021-06-07 2022-08-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其單手觸控操作方法
US11726734B2 (en) 2022-01-13 2023-08-15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ing an external presentation device based on an impairment of a user
CN116346060B (zh) * 2023-03-20 2024-01-30 广州市迪士普音响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增益调节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6146B1 (en) * 1995-12-22 2002-01-0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cking, launching and running applications in a foreign environment
US6239798B1 (en) * 1998-05-28 2001-05-29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window access panel
US6621508B1 (en) * 2000-01-18 2003-09-16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375441B1 (ko) * 2000-04-11 2003-03-10 주식회사 리즈텍 컴퓨터를 이용한 강의 녹화/재생 방법
JP3985682B2 (ja) * 2003-01-17 2007-10-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スケジュール送信装置、表示情報送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KR20060081193A (ko) * 2005-01-07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쥴 기능과 연계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경로 안내 제공 방법
KR100764652B1 (ko) * 2006-10-25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JP4860438B2 (ja) * 2006-11-07 2012-01-25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表示装置、演算装置、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演算プログラム
JP4342578B2 (ja) * 2007-07-24 2009-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25936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일정 관리방법
JP5016553B2 (ja) * 2008-05-28 2012-09-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および端末操作方法
KR101054287B1 (ko) * 2008-07-03 2011-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38705B1 (ko) * 2009-01-29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555185B2 (en) * 2009-06-08 2013-10-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WO2011018869A1 (ja) * 2009-08-11 2011-02-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KR101334959B1 (ko) * 2009-09-08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88038A (ko) * 2010-10-20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기 검색 방법 및 장치
JP5664249B2 (ja) * 2011-01-06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722642B2 (ja) * 2011-01-24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397707B2 (ja) * 2011-03-29 2014-01-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3954A (ko) * 2011-08-30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편집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013271A1 (en) * 2012-07-05 2014-0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ioritization of multitasking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interface
KR101977075B1 (ko) * 2012-07-2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 화면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선택방법
US20140115456A1 (en) * 2012-09-28 2014-04-2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for accessing software functionality
CN103309604A (zh) * 2012-11-16 2013-09-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信息控制方法
KR20140070745A (ko) * 2012-11-26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68564B1 (ko) * 2013-03-15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510970B (zh) * 2013-11-06 2015-12-01 Acer Inc 電子裝置及其軟體鍵盤的顯示方法
US10444977B2 (en) * 2014-12-05 2019-10-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ellphone manager
US9766803B2 (en) * 2015-12-31 2017-09-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obile device camera viewfinder punch through effe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830A1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 손 조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34602B2 (en) 2021-12-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WO2024025194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2631A1 (en) 2017-07-27
US10572145B2 (en) 2020-02-25
WO2017131319A1 (en)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8691A (ko)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73371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26587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15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901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536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35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8453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64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30493B1 (ko)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원버튼을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701144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1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9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16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9460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79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4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58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64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59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190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