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524A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524A
KR20160021524A KR1020140106884A KR20140106884A KR20160021524A KR 20160021524 A KR20160021524 A KR 20160021524A KR 1020140106884 A KR1020140106884 A KR 1020140106884A KR 20140106884 A KR20140106884 A KR 20140106884A KR 20160021524 A KR20160021524 A KR 2016002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xt
display unit
unit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구진모
이동규
박세원
이신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524A/ko
Priority to US14/539,290 priority patent/US20160048326A1/en
Priority to EP14003864.7A priority patent/EP2988201A1/en
Priority to CN201410758400.9A priority patent/CN105744051A/zh
Publication of KR201600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선택된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고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닛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입력에 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저장된다. 서로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실행되어 있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여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관련된 컨텐츠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선택된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고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닛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컨텐츠 유닛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와 함께 또는 상기 텍스트를 대신하여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받고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컨텐츠 유닛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방식 및 터치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영역에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를 원하는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텍스트와 함께 제공한다. 즉,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활성화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가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간편하게 검색하고 텍스트와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컨텐츠를 입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 내지 도 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c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텍스트 입력을 수신한다(S201).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터치패드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가상키보드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이나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경로에 따른 필기입력 또는 상기 마이크()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즉, 상기 텍스트가 입력되는 방법은 상기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S202).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 및 상기 텍스트의 출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는 상기 출력영역에 입력되는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가 출력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은 상기 입력된 텍스트 상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텍스트(210) 중 제1 텍스트(211) 상에 인가되는 드래깅(dragging)방식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텍스트(211)를 선택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210) 상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텍스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터치입력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시 상기 텍스트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선택을 해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210)의 일부(211)인 제1 텍스트(211)가 선택된 경우, 상기 텍스트(210)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한다(S203). 여기에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다른 텍스트, 연락처 정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실행정보, 검색엔진을 이용한 결과정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실행정보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지도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저장 파일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와 함께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상기 텍스트에 포함되는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텍스트와 관련성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의 일부인 제1 텍스트(211)가 주말여행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주말여행이라는 문구와 함께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170)에서 검색하거나, 주말에 저장된 이미지 중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를 검색어로 정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주말여행을 검색어로 검색엔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검색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관련된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가 포함된 음성 데이터,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활동로그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범위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 무선통신을 이용한 웹 검색이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서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범위를 설정하거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170)에서 우선적으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가 없거나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서버에서 상기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S204).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제1 컨텐츠 유닛(310)를 출력하도록 상익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은 복수의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은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에 포함된 추가적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 받는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 상에 일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따라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은 상기 텍스트 상에 인가되는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되는 일 영역과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은 상기 제1 텍스트(211)와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를 선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컨텐츠 유닛(3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제1 텍스트(211)와 인접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 중 하나의 컨텐츠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 및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이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301)는 기 설정된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는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텍스트와 함께 제공한다. 즉,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활성화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가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간편하게 검색하고 텍스트와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컨텐츠를 입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텍스트와 함께 입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텍스트(210)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210)의 일부가 선택된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일부 텍스트와 관련된 제1 컨텐츠 유닛(310)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은 제1 내지 제4 컨텐츠(311, 312, 313, 314)의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컨텐츠(311, 312, 313, 314)의 이미지은 상기 선택된 텍스트와 인접하게 출력되고,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 중 제3 컨텐츠(313)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상기 선택된 텍스트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된다. 상기 제3 컨텐츠(313)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과 중첩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의 상기 제3 컨텐츠(313)의 이미지 상에 상기 컨텐츠가 선택되었다는 표시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a의 (b)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의 상기 제2 컨텐츠(312)의 이미지에 추가적으로 인가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컨텐츠(312)를 상기 텍스트(210)와 인접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컨텐츠 및 상기 제3 컨텐츠(312. 313)은 서로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컨텐츠(212)의 이미지 상에 선택되었다는 표시부를 출력한다. 컨텐츠의 이미지 상에 표시된 표시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a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컨텐츠(313)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 외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이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다른 컨텐츠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의 출력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210)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텍스트 중 일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제1 컨텐츠 유닛(31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 이미지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상기 텍스트와 인접한 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컨텐츠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은 선택된 상기 텍스트의 하단에 밑줄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텍스트의 폰트를 변경하거나,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를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행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는 4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텍스트 중 선택된 제1 텍스트(221)와 관련된 제1 컨텐츠 유닛(31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4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의 이미지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를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텍스트의 하부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3 컨텐츠(313)는 상기 선택된 상기 제1 텍스트(221)와 이격된 위치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와 관련된 상기 제1 텍스트(221) 상에 제1 인디케이터(410)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선택된 텍스트와 컨텐츠가 이격되어 출력되는 경우에도,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c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행으로 구성되는 텍스트(220) 중 상기 선택된 제1 텍스트(221)와 인접하게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컨텐츠(313)는 상기 제1 텍스트(221)의 하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텍스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각 컨텐츠를 선택된 각 텍스트와 인접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의 이미지에 최초로 인가되어,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되는 위치에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210)의 사이에서 해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추가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유닛(3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3 컨텐츠(313)의 이미지 상에 상기 표시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제3 컨텐츠(313)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313)가 선택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출력하기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210) 상에 인가되는 추가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사이에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된 위치에 상기 제3 컨텐츠(313)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출력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여 복수의 행으로 구성되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행으로 구성되는 텍스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복수의 행으로 구성되는 텍스트가 나열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드래깅(dragging) 방식의 터치입력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터치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행 중 적어도 일부의 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행에 포함되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근거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컨텐츠 유닛(3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 중 일부 단어와 관련된 컨텐츠에 해당되거나, 상기 텍스트를 이루는 문장이나 단락과 관련된 컨텐츠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텍스트(221)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컨텐츠 유닛(320)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의 이미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컨텐츠 유닛(3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텍스트가 표시된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많은 양의 텍스트를 한번에 선택하고, 선택된 텍스트로부터 추출된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가상키보드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컨테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가상 키보드(201)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402)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중 일부인 제2 텍스트(222)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터치범위로 인가되는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커서(402)가 출력되는 행의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한다.
상기 제2 텍스트(222)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상기 터치범위에 대응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터치입력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대응되는 텍스트를 표시하지 아니하고 상기 커서(401)가 표시되는 행의 텍스트를 선택한다.
도 6b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제2 텍스트(222)와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3 컨텐츠 유닛(33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을 상기 텍스트(220)와 인접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이 출력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201)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6b의 (b)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을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이 출력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무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과 관련된 상기 제2 텍스트(222)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20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이 사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 상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텍스트 중 일부를 선택하고.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고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를 선택하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텍스트(220)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220)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장잘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이 표시되는 컨텐츠 영역(330')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컨텐츠 영역(330')은 상기 터치입력의 터치범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의 전체를 선택하고,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사익 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일부 컨텐츠 상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관련된 제3 컨텐츠 유닛(330)를 상기 컨텐츠 영역(330')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은 복수의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는 이미지(331), 텍스트에 의하여 검색된 지도 이미지(332) 및 미디어 파일(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텐츠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나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33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영역(330')을 삭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선택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컨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여, 선택된 텍스트를 해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복수의 텍스트 상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텍스트 유닛(3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6d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의 선택을 해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카레'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222)에 제1 인디케이터(410)를 출력하고, 상기 카레와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레'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222) 또는 상기 제2 텍스트(222)와 인접하게 출력되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인디케이터(410)를 삭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텍스트(222)의 선택이 해지되고, 상기 제2 텍스트(222)와 관련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선택되었던 텍스트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선택을 해지할 수 있으며, 선택의 해지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상기 컨텐츠의 출력도 제한되는 바,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컨텐츠에 포함되는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7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는 이미지와 함께 추가정보(314)를 태깅(tagg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정보(341)는 상기 카메라(121)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에 해당되는 경우, 사진이 촬영된 날짜, 장소 및 사진에 대한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정보(341)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7a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제2 컨텐츠 유닛(3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 유닛(32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32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미지(321)와 함께 저장된 상기 추가정보(341)을 출력한다. 상기 추가정보(341)는 상기 이미지(321)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추가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상기 추가정보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추가정보를 삭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다양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7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텍스트(220)에 포함되는 텍스트(223)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223)은 사람의 이름(John)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223)가 사람의 이름에 해당되는 경우, 다양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4 컨텐츠 유닛(34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컨텐츠 유닛(340)은 상기 사람에 해당되는 연락처정보(341), 상기 사람의 이름을 검색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검색 아이콘(342), 상기 사람과 관련된 SNS정보(343) 및 상기 사람이 포함되는 이미지정보(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NS정보는 상기 사람이 태깅(tagging)되거나, 상기 사람의 계정에 의하여 기 설정된 서버에 업로드 된 게시물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도 7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정보(343)에 인가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SNS정보(343)을 제2 텍스트(220)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정보(343)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SNS정보(343)가 업로드 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SNS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의 성격에 근거하여 다양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23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220)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되어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에 제2 인디케이터(4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8a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42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확대된 컨텐츠 상에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복수의 텍스트에 복수의 컨텐츠가 관련되어 출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된 제3컨텐츠 유닛(23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텐츠 상에 상기 텍스트를 나타내는 제3 인디케이터(430)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인디케이터(430)는 상기 텍스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가 텍스트와 함께 출력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와 어떤 텍스트가 연관되는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와 함께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텍스트 대신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텍스트를 컨텐츠로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텍스와 관련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3 컨텐츠 유닛(230)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유닛(230)에 포함되는 제2 컨텐츠(232)의 이미지 상에 인가되는 기 설정된 특정 터치방식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컨텐츠(23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터치방식의 터치입력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인가되는 롱터치(long touch)방식의 터치입력 또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인가되는 복수번의 터치입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터치방식의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제2 컨텐츠(232)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9b를 참조하여 다른 방식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텍스트(222)를 선택하고, 상기 텍스트(222)와 연관되는 제3 컨텐츠 유닛(23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텐츠 유닛(230) 중 터치입력이 인가된 제2컨텐츠(232)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컨텐츠(232)에 최초로 인가되어 상기 텍스트(222)로 이동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222)를 상기 제2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터치입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2 컨텐츠(232)가 출력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232)가 상기 텍스트와 중첩되게 출력되면 상기 제2 컨텐츠(232)와 중첩되는 텍스트에 하이라이트 처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중 일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제2 컨텐츠(232)와 중첩된 텍스트를 상기 제2 컨텐츠(232)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9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컨텐츠(232)와 관련된 텍스트를 상기 제2 컨텐츠(232)로 변경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되는 때 상기 제2 컨텐츠(232)와 중첩되도록 출력되는 텍스트를 상기 제2 컨텐츠(232)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컨텐츠를 원하는 텍스트 대신 출력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여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텍스트(222)를 선택한다. 상기 텍스트(222)는 상기 명령어(222')와 함께 입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어(222')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222)를 사이에 두고 표시되는 기 설정된 기호(예를 들어, )에 해당되거나, 상기 텍스트(22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입력된 단어(예를 들어, 검색)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222)와 관련된 제3 컨텐츠 유닛(23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를 컨텐츠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텍스트 입력시 명령어를 함께 입력하여 텍스트를 컨텐츠로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 중 제2 텍스트(222)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창(44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창(440)은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로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이미지, 웹에서 검색된 정보, SNS 정보 및 연락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창(44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3 컨텐츠 유닛(23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들 중 원하는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커버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1.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텍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선택된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고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닛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닛은 상기 터치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해지되는 일 영역과 인접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텍스트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영역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터치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텍스트 상에 제1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가 기 설정된 출력방향에 따라 나열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행 중 적어도 일부 행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텍스트를 선택하고, 복수의 텍스트 각각과 연관된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제1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 및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텍스트의 선택을 해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이 해지된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컨텐츠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하는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키보드 상에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의 터치범위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유닛을 상기 가상 키보드의 일부와 중첩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향하는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전체를 선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텍스트에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상기 컨텐츠 유닛을 상기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컨텐츠 영역의 출력을 해지하고 상기 컨텐츠 유닛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선택된 텍스트와 관련되며, 이미지, 동영상, 연락처 정보,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동영상, 연락처 정보,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상기 이미지, 동영상, 연락처 정보, 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받기 위하여 기 설정된 서버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추가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태깅(tagging)된 추가정보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유닛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와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최초로 인가되어 이동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되는 일 영역에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상기 텍스트의 일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해지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유닛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의 그래픽 이미지 상에 표시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기 텍스트를 상기 컨텐츠 중 하나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고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닛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닛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텍스트와 함께 또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대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40106884A 2014-08-18 2014-08-18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2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884A KR20160021524A (ko) 2014-08-18 2014-08-18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4/539,290 US20160048326A1 (en) 2014-08-18 2014-11-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4003864.7A EP2988201A1 (en) 2014-08-18 2014-11-1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758400.9A CN105744051A (zh) 2014-08-18 2014-12-10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884A KR20160021524A (ko) 2014-08-18 2014-08-18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24A true KR20160021524A (ko) 2016-02-26

Family

ID=519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884A KR20160021524A (ko) 2014-08-18 2014-08-18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48326A1 (ko)
EP (1) EP2988201A1 (ko)
KR (1) KR20160021524A (ko)
CN (1) CN1057440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534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19203494A1 (ko) * 2018-04-20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131521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11241A (ko) * 2016-12-2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CN108052264B (zh) 2012-05-09 2021-04-27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CN104508618B (zh) 2012-05-09 2018-0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958582B1 (ko) 2012-12-29 2019-07-04 애플 인크. 터치 입력에서 디스플레이 출력으로의 관계들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70081744A (ko) 2012-12-29 2017-07-12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067653B2 (en) 2015-04-01 2018-09-0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KR20170017572A (ko) * 2015-08-07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140314B2 (en) * 2015-08-21 2018-11-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eviews for contextual searches
US10169374B2 (en) * 2015-08-21 2019-01-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Image searches using image frame context
US10831763B2 (en) 2016-06-10 2020-11-1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key list from multiple search domains
US10769182B2 (en) * 2016-06-10 2020-09-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highlighting terms
JP6945345B2 (ja) * 2017-05-22 2021-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485627A (zh) 2018-03-23 2021-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窗口的显示方法及终端
CN111176525B (zh) * 2019-12-25 2022-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操作区域提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3775A (en) * 1992-05-26 1996-06-04 Apple Computer, Inc. Method for selecting objects on a computer display
US7051019B1 (en) * 1999-08-17 2006-05-23 Corb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mages from a database having images that are relevant to indicated text
US7603349B1 (en) * 2004-07-29 2009-10-13 Yahoo! Inc. User interfaces for search systems using in-line contextual queries
US8725729B2 (en) * 2006-04-03 2014-05-13 Steven G. Lisa System,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embedded internet searching and result display
US9318108B2 (en) *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104738B2 (en) * 2008-06-19 2015-08-11 Tropare, Inc. Leveraging collaborative cloud services to build and share apps
US8943408B2 (en) * 2009-05-27 2015-01-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Text image review process
US8836648B2 (en) *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20110167350A1 (en) * 2010-01-06 2011-07-07 Apple Inc. Assist Features For Content Display Device
JP2011215909A (ja) * 2010-03-31 2011-10-27 Toshiba Corp 電子機器、検索制御方法、及び検索制御プログラム
JP5573457B2 (ja) * 2010-07-23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2027724A (ja) * 2010-07-23 2012-02-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756503B2 (en) * 2011-02-21 2014-06-17 Xerox Corporation Query generation from displayed text documents using virtual magnets
KR20120097944A (ko) * 2011-02-28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데이터 출력 방법
KR101838260B1 (ko) * 2011-06-03 2018-03-13 구글 엘엘씨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들
KR101294306B1 (ko) * 2011-06-09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290772B1 (en) * 2011-10-03 2012-10-16 Google Inc. Interactive text editing
KR101911804B1 (ko) * 2011-10-17 2018-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JP5816516B2 (ja) * 2011-10-24 2015-11-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処理実行方法
WO2013169845A1 (en) *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KR101899817B1 (ko) * 2012-08-01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2113B1 (ko) * 2012-10-17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50248408A1 (en) * 2012-10-19 2015-09-03 Christian Rossing Kraft Method and apparatus presenting filtered data in combination with a replacement data item
US20140188894A1 (en) * 2012-12-27 2014-07-03 Google Inc. Touch to search
KR102057558B1 (ko) * 2013-03-06 2019-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146672B2 (en) * 2013-04-10 2015-09-29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Multidirectional swipe key for virtual keyboard
US10481769B2 (en) * 2013-06-09 2019-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navigation and search functionalities
KR20150020383A (ko) * 2013-08-13 2015-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및 표시방법
US9329692B2 (en) * 2013-09-27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onable cont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US9436918B2 (en) * 2013-10-07 2016-09-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selection of text spans
WO2015061700A1 (en) * 2013-10-24 2015-04-30 Tapz Communications, LLC System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concepts
US20150178289A1 (en) * 2013-12-20 2015-06-25 Google Inc. Identifying Semantically-Meaningful Text Selections
US11068550B2 (en) * 2014-02-28 2021-07-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 and navigation via navigational queries across information sources
KR20150113698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이 통합된 노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US9311340B2 (en) * 2014-04-15 2016-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partial-image compositional searching
US9930167B2 (en) * 2014-07-07 2018-03-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ssaging application with in-application search functionalit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534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20111241A (ko) * 2016-12-2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783191B2 (en) 2016-12-21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xt-related image
WO2019203494A1 (ko) * 2018-04-20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01069B2 (en) 2018-04-20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WO2022131521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4051A (zh) 2016-07-06
US20160048326A1 (en) 2016-02-18
EP2988201A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15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789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062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97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4540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1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37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00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15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0726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13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61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13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25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358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10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86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68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9953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8080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11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79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