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036A - Primed jet toilet - Google Patents

Primed jet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036A
KR20170070036A KR1020177009475A KR20177009475A KR20170070036A KR 20170070036 A KR20170070036 A KR 20170070036A KR 1020177009475 A KR1020177009475 A KR 1020177009475A KR 20177009475 A KR20177009475 A KR 20177009475A KR 20170070036 A KR20170070036 A KR 20170070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
valve
jet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이비드 그로버
다이고 이시야마
크리스토프 부셰
투안 르
제임스 맥헤일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7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0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E03D1/306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with articul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8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articul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포함하는 변기 보울 조립체, 및 림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를 갖는 보울을 갖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시스템 및 이를 마중물 급수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보울은 공기가 폐쇄형 제트 경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로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제트 채널을 유지하기 위한 폐쇄형 제트 경로를 갖는다. 플러시 밸브는 역류 방지기 기구 및/또는 특정 밸브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밸브 커버를 가질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피벗 로드에 연결된 플러시 작동 바아 및/또는 피벗 로드와 플러시 작동 바아 사이에 연결되거나 위치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플러시 작동 요소를 제공하는 키트가 포함된다. 키트 요소는 설명된 변기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 가능할 수도 있다.A siphon flush toilet system having a toilet bow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t least one rim valve, and a bowl having a rim and a jet forming at least one jet channel, and a method for priming water thereto do. The bowl has a closed jet path for maintaining the jet channel with primed water from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closed jet path. The flush valve may have an at least partially flexible valve cover including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and / or a specific valve cover structure.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may have a flush-operated bar connected to the pivot rod and / or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connected or positioned between the pivot rod and the flush-action bar. A kit is provided that provides one or more flushing actuating elements. The kit element may be usable with the described toilet system and method.

Description

마중물 급수식 제트 변기 {PRIMED JET TOILET}{PRIMED JET TOILE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of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마중물 급수식 제트 변기(Primed Jet Toilet)"인 2014년 9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49,736호의 35 U.S.C. §119(e) 하에서 이익을 청구하고, 발명의 명칭이 "마중물 급수식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Primed Siphonic Flush Toilet)인 2013년 4월 1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810,664호 및 발명의 명칭이 "마중물 급수식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Primed Siphonic Flush Toilet)"인 2012년 11월 13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25,832호의 35 U.S.C. §119(e) 하에서 이익을 청구하는, 35 U.S.C. §120 하에서 영어로 공개된, 2013년 11월 13일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2013/069961호의 계속 출원으로서 35 U.S.C. §120 하에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마중물 급수식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Primed Siphonic Flush Toilet)"인 35 U.S.C. §120 하에서 2015년 2월 1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619,989호의 일부 계속 출원으로서 우선권을 또한 청구한다. 상기에 인용된 출원들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 / 049,736, filed September 12, 2014, entitled " Primed Jet Toilet ".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1 / 810,664, filed on April 10, 2013, entitled "Primed Siphonic Flush Toilet," claiming benefit under §119 (e) US Patent Application No. 61 / 725,832, entitled " Primed Siphonic Flush Toilet ", filed November 13, 2012, which claims benefit under 35 USC § 119 (e) A continuation-in-part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o. PCT / US2013 / 069961, filed November 13, 2013, published in English under § 120, entitled "Priming Water Siphon Flush Toilet Seat Filed on February 11, 2015 under 35 USC §120, entitled " Primed Siphonic Flush Toilet ". The entire disclosure of the above-cited applications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s is the statement As a reference.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인분(human waste) 및 다른 배설물의 제거를 위한 중력식 변기(gravity-powered toilet)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중물 전달 시스템(primed water delivery system)에 의해 동작하는 변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gravity-powered toilets for the removal of human waste and other excre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field of toilet seats operated by a primed water delivery system to improve performance.

인분과 같은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변기가 잘 알려져 있다. 중력식 변기는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부분: 탱크 및 보울(bowl)을 갖는다. 탱크 및 보울은 함께 결합되어 변기 시스템(통상적으로 2-부품 변기라 칭함)을 형성하는 개별 부품일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일체형 유닛(통상적으로 단일편 변기라 칭함)으로 조합될 수 있다.A toilet is known for removing feces such as manure. Gravity type toilets generally have two main parts: a tank and a bowl. The tank and the bowl may be separate parts that are joined together to form a toilet system (commonly referred to as a two-part toilet) or may be combined into one integral unit (typically a single knob).

일반적으로 보울의 후방부 위에 위치되는 탱크는 보울로부터 하수 라인에 배설물의 플러싱(flushing)을 개시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보울을 신선한 물로 재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을 수납한다. 사용자가 변기를 플러싱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탱크의 내측에서 가동 체인 또는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탱크의 외측에 있는 플러시 레버를 아래로 누른다. 플러시 레버가 눌러질 때, 이는 플러시 밸브를 상승시켜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탱크의 내측의 체인 또는 레버를 이동시켜, 탱크로부터 보울 내로 물이 유동하게 하고, 따라서 변기 플러시를 개시한다.The tank, which is generally located on the back of the bowl, houses water used to start flushing excreta from the bowl to the sewer line, as well as to recharge the bowl with fresh water. When the user wishes to flush the toilet, the user pushes down the flush lever on the outside of the tank,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hain or lever, from the inside of the tank. When the flush lever is depressed, it lifts the flush valve to move the inner chain or lever of the tank to act to open, causing water to flow from the tank into the bowl, thus initiating flushing of the toilet.

플러시 사이클에서 서빙되어야 하는 3개의 일반적인 목적이 존재한다. 제1 목적은 배수 라인으로의 고체 및 다른 배설물의 제거이다. 제2 목적은 보울의 표면에 침전되거나 부착되어 있던 임의의 고체 또는 액체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울의 세정(cleansing)이고, 제3 목적은 비교적 청결한 물이 사용간에 보울 내에 유지되도록 보울 내의 프리-플러시(pre-flush) 물 체적을 교환하는 것이다. 제2 요구, 즉 보울의 세정은 일반적으로 변기 보울의 상부 주계(perimeter) 주위로 연장하는 중공 림(hollow rim)을 경유하여 성취된다. 플러시 물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이 림 채널을 통해 유도되고 그 내부에 위치된 개구를 통해 유동하여 보울의 전체 표면에 걸쳐 물을 분산시키고 요구된 세정을 성취한다. 제3 요구는 청결한 물로 보울을 재충전하여, 하수구 가스의 역류에 대해 밀봉 깊이를 복원하고, 이를 다음의 사용 및 플러시를 위해 준비가 되게 하는 것이다.There are three general purposes to be served in the flush cycle. The first objective is the removal of solids and other excrement into the drain line. The second objective is cleansing of the bowl to remove any solid or liquid excrement that has settled o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bowl and the third purpose is to provide a pre- (pre-flush) to exchange the volume of water. The second requirement, i.e. cleaning of the bowl, is generally achieved via a hollow rim extending around the perimeter of the toilet bowl. Some or all of the flush water is directed through the rim channel and flows through openings located therein to disperse water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wl and achieve the required cleaning. A third requirement is to recharge the bowl with clean water to restore the sealing depth to the backwash of the sewer gas and make it ready for subsequent use and flushing.

중력식 변기는 2개의 일반적인 카테고리: 워시다운식(wash down) 및 사이펀식(siphonic)으로 분류될 수 있다. 워시다운식 변기에서, 변기의 보울 내의 수위(water level)는 항상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플러시 사이클이 개시될 때, 물은 탱크로부터 유동하고 보울 내로 넘쳐흐른다. 이는 수위의 급속한 상승을 유발하고, 과잉의 물이 트랩웨이(trapway)의 댐(weir) 위로 넘쳐흘러, 그와 함께 액체 및 고체 배설물을 운반한다. 플러시 사이클의 종료시에, 보울 내의 수위는 댐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평형 레벨로 자연적으로 복귀한다.Gravity type toile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wash down and siphonic. In a washdown toilet, the water level in the bowl of the toilet is always kept relatively constant. When the flush cycle begins, water flows from the tank and overflows into the bowl. This causes a rapid rise in water level, and excess water flows over the weir of the trapway and conveys the liquid and solid excrement therewith. At the end of the flush cycle, the level in the bowl naturally returns to an equilibrium level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dam.

사이펀식 변기에서, 트랩웨이 및 다른 유압 채널은 사이펀이 보울로의 물의 첨가시에 트랩웨이 내에서 개시되도록 설계된다. 사이펀 튜브 자체는 변기 보울로부터 폐수 라인으로 물을 견인하는 역 U형 튜브이다. 플러시 사이클이 개시될 때, 물은 보울 내로 유동하고 하수구 라인으로 출구를 나올 수 있는 것보다 빠르게 트랩웨이 내의 댐 위로 넘쳐흐른다. 충분한 공기가 결국에는 트랩웨이의 하강 레그로부터 제거되어 사이펀을 개시하는데, 이는 이어서 보울로부터 남아 있는 물을 끌어당긴다. 사이펀이 차단할 때 보울 내의 수위는 따라서 댐의 레벨보다 충분히 낮고, 원래 수위 및 하수구 가스의 역류에 대해 보호성 "밀봉"을 재설정하기 위해 사이펀식 플러시 사이클의 종료시에 변기의 보울을 재충전하도록 개별의 기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In a siphon toilet, the trapway and other hydraulic channels are designed such that the siphon is initiated within the trapway when water is added to the bowl. The siphon tube itself is an inverted U-shaped tube that draws water from the toilet bowl to the wastewater line. When the flush cycle begins, water flows over the dam in the trapway faster than it can flow into the bowl and exit the outlet to the drain line. Sufficient air is eventually removed from the descending leg of the trapway to initiate the siphon, which in turn draws the remaining water from the bowl. The level in the bowl is therefore sufficiently lower than the level of the dam when the siphon is interrupted and the individual mechanism is used to recharge the bowl of the toilet at the end of the siphon type flush cycle to reset the protective & Needs to be provided.

사이펀식 및 워시다운식 변기는 고유의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사이펀식 변기는, 사이펀을 개시하기 위해 트랩웨이의 하향 레그로부터 공기의 대부분이 제거되어야 하는 요구에 기인하여, 막힘을 야기할 수 있는 더 소형의 트랩웨이를 갖는 경향이 있다. 워시다운식 변기는 대형 트랩웨이를 갖고 기능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배관 기준(plumbing code)에 의해 요구되는 100:1 희석 레벨을 성취하기 위해 보울 내에 더 소량의 프리-플러시 물을 요구한다(즉, 보울 내의 프리-플러시 물 체적의 99%가 보울로부터 제거되고 플러시 사이클 중에 신선한 물로 대체되어야 함). 이 작은 프리-플러시 체적은 소형 "워터 스팟(water spot)"으로서 명시된다. 보울 내의 프리-플러시 물의 워터 스팟 또는 표면적은 변기의 청결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형 워터 스팟은 변기의 세라믹 표면에 접촉하기 전에 배설물 물질이 물과 접촉할 것인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세라믹 표면에 배설물 물질의 부착을 감소시켜 변기가 플러시 사이클을 거쳐 자체로 세척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그 소형 워터 스팟을 갖는 워시다운식 변기는 사용 후에 보울의 수동 세척을 빈번히 요구한다.Siphon and wash-down toilet seats have uniqu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iphon toilets tend to have smaller trapping ways that can cause clogging due to the need to remove most of the air from the downward legs of the trapway to initiate the siphon. Washdown type toilets can function with large trapways, but generally require a smaller amount of pre-flushing water in the bowl to achieve the 100: 1 dilution level required by the plumbing code in most countries. (I.e., 99% of the pre-flush water volume in the bowl must be removed from the bowl and replaced with fresh water during the flush cycle). This small pre-flush volume is specified as a compact "water spot ". The water spot or surface area of the pre-flush water in the bowl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Large water spots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 fecal material will come in contact with the water before contacting the ceramic surface of the toilet. This reduces the adhesion of the excrement material to the ceramic surface, making it easier for the toilet to clean itself through the flush cycle. Thus, the wash-down toilet with its small water spot frequently requires manual washing of the bowl after use.

사이펀식 변기는 보울 내에 더 큰 프리-플러시 물 체적 및 더 큰 워터 스팟을 갖고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것은 사이펀식 작용이 플러시 사이클의 단부에서 보울로부터 프리-플러시 물 체적의 대부분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가능하다. 탱크가 재충전됨에 따라, 재충전 물의 부분은 보울 내로 유도되어 프리-플러시 물 체적을 그 원래 레벨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보울 내의 물의 시작 체적이 탱크로부터 나오는 플러시 물에 대해 상당히 더 크더라도, 다수의 배관 기준에 의해 요구되는 100:1 희석 레벨이 성취된다. 북미 시장에서, 사이펀식 변기는 광범위하게 용인되어, 현재 표준의 용인된 변기의 형태로서 간주되고 있다. 유럽 시장에서, 워시다운식 변기가 여전히 더 용인되고 인기가 있으면, 반면에 양 버전이 아시아 시장에서 통상적이다.Siphon toile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nction with a larger pre-flush water volume and a larger water spot within the bowl.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iphon action pulls most of the pre-flush water volume from the bowl at the end of the flush cycle. As the tank is refilled, portions of the refill can be directed into the bowl to return the pre-flush water volume to its original level. In this way, a 100: 1 dilution level required by a number of piping standards is achieved, even if the starting volume of water in the bowl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flushing water coming out of the tank. In the North American market, siphon toilets are widely accepted and are now regarded as the accepted form of standard toilet. In the European market, wash-down toilet is still more acceptable and popular, while both versions are common in Asian markets.

중력식 사이펀식 변기는 또한 플러싱 작용을 성취하는데 사용되는 유압 채널의 디자인에 따라 3개의 일반적인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카테고리는: 비제트형(non-jetted), 림 제트형(rim jetted), 및 직접 제트형이다.Gravity type siphon toilets can also be classified into three general categorie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hydraulic channel used to achieve the flushing action. These categories are: non-jetted, rim jetted, and direct jet.

비제트형 보울에서, 모든 플러시 물은 보울 입구 영역 내로 탱크를 나오고, 주 매니폴드를 통해 림 채널 내로 유동한다. 물은 림의 아래에 위치된 일련의 구멍을 거쳐 보울의 주계 주위로 분산된다. 구멍의 일부는 보울 내로의 물의 더 많은 유동을 허용하도록 크기가 더 크게 설계될 수도 있다. 비교적 높은 유량이 하향 레그 내에 충분한 공기를 변위하고 사이펀을 개시하기 위해 충분히 급속하게 트랩웨이의 댐 위로 물을 넘쳐흐르게 하는데 요구된다. 비제트형 보울은 통상적으로 보울의 세정 및 프리-플러시 물의 교환에 관하여 양호한 성능에 적절하지만, 벌크 제거의 견지에서 성능이 비교적 열악하다. 트랩웨이로의 물의 공급은 비효율적이고 난류성인데, 이는 트랩웨이의 하향 레그를 충분히 충전하여 강한 사이펀을 개시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따라서, 비제트형 변기의 트랩웨이는 통상적으로 직경이 더 작고, 물의 유동을 방해하도록 설계된 굴곡부 및 수축부를 포함한다. 더 소형 크기, 굴곡부 및 수축부 없이, 강한 사이펀이 성취되지 않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더 소형 크기, 굴곡부, 및 수축부는 벌크 배설물 제거의 견지에서 열악한 성능 및 최종 사용자에 극단적으로 불만족스러운 조건인 빈번한 막힘을 야기한다.In a non-jetted bowl, all the flush water exits the tank into the bowl inlet area and flows into the rim channel through the main manifold. The water is distribut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bowl through a series of holes located beneath the rim. Some of the holes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in size to allow more flow of water into the bowl. A relatively high flow rate is required to displace sufficient air in the downward leg and flood the water over the dam of the trapway sufficiently fast to initiate the siphon. Non-jet type bowls are usually suitable for good performance with respect to cleaning the bowl and replacing the pre-flush water, but the performance is relatively poor in terms of bulk removal. The supply of water to the trapway is inefficient and turbulent,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charge the downward legs of the trapway and start a strong siphon. Thus, the trapway of a non-jetted toilet is usually smaller in diameter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and a constricted portion designed to impede the flow of water. Without a smaller size, bend, and shrinkage, a strong siphon will not be achieved. Unfortunately, smaller sizes, curves, and constrictions cause poor performance in terms of bulk excrement removal and frequent clogging, which is an extremely unsatisfactory condition for end users.

변기의 설계자 및 엔지니어는 "사이펀 제트"를 합체함으로써 사이펀식 변기의 벌크 배설물 제거를 향상시켜왔다. 림 제트식 변기 보울에서, 플러시 물은 탱크를 나오고, 변기 입구 영역을 통해 그리고 주 매니폴드를 통해 림 채널 내로 유동한다. 물의 일부는 림의 아래에 위치된 일련의 구멍을 거쳐 보울의 주계 주위로 분산된다. 물의 나머지 부분은 림의 전방에 위치된 제트 채널을 통해 유동한다. 이 제트 채널은 보울의 섬프(sump) 내에 위치된 제트 개구에 림 채널을 연결한다. 제트 개구는 트랩웨이의 개구에서 직접 물의 강력한 스트림을 송출하도록 치수설정되고 위치된다. 물이 제트 개구를 통해 유동할 때, 이는 비제트형 보울에서 성취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급속하게 트랩웨이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더 활기차고 급속한 트랩웨이로의 물의 유동은 변기가 더 큰 트랩웨이 직경 및 더 적은 굴곡부 및 수축부를 갖고 설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이어서 비제트형 보울에 비해 벌크 배설물 제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 소체적의 물이 림 제트형 변기의 림 외부로 유동하지만, 림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탱크로부터의 물의 상류측 유동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보울 세정 기능은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물이 더 높은 에너지를 갖는 림 구멍을 나오게 하고, 보울의 세정의 더 효과적인 작업을 행하게 한다.Toilet designers and engineers have improved the removal of bulk fecal material from siphon toilets by incorporating "siphon jets". In a rim jet toilet bowl, the flush water exits the tank, flows through the toilet inlet area and into the rim channel through the main manifold. A portion of the water is dispers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bowl through a series of holes located beneath the rim. The remainder of the water flows through the jet channels located in front of the rim. This jet channel connects the rim channel to the jet opening located in the sump of the bowl. The jet opening is dimensioned and positioned to deliver a strong stream of water directly from the opening of the trapway. When the water flows through the jet opening, it serves to fill the trapway more efficiently and rapidly than can be achieved in a non-jetted bowl. The flow of water to this more energetic and rapid trapway allows the toilet to be designed with a larger trap-way diameter and fewer bends and constrictions, which in tur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bulk excrement removal compared to non-jetted bowls. Since a smaller volume of water flows out of the rim of the rim jetted toilet, bu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im channel is compressed by the upstream flow of water from the tank, the bowl cleaning function is generally acceptable. This allows the water to exit the rim hole with higher energy and to perform a more effective task of cleaning the bowl.

림 제트형 보울은 일반적으로 비제트형에 비해 우수하지만, 물이 림을 통해 제트 개구로 진행해야 하는 긴 경로는 많은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소산하고 낭비한다. 직접 제트형 보울은 이 개념에서 개량되었고, 배설물의 벌크 제거의 견지에서 더욱 더 높은 성능을 전달할 수 있다. 직접 제트형 보울에서, 플러시 물은 탱크를 나오고, 보울 입구를 통해 그리고 주 매니폴드를 통해 유동한다. 이 시점에, 물은 2개의 부분: 원하는 보울 세정을 성취하는 주 목적을 갖는 림 입구 포트를 통해 림 채널로 유동하는 부분, 및 변기 보울의 섬프 내의 제트 개구에 주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직접 제트 채널"로 제트 입구 포트를 통해 유동하는 부분으로 분할된다. 직접 제트 채널은 때때로 변기의 일 측면 주위에서 단방향성인, 또는 "이중 공급"인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대칭 채널이 제트 개구에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양측을 따라 진행한다. 림 제트형 보울에서와 같이, 제트 개구는 트랩웨이의 개구에서 직접 물의 강력한 스트림을 송출하도록 치수설정되고 위치된다. 물이 제트 개구를 통해 유동할 때, 이는 비제트형 또는 림 제트형 보울에서 성취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급속하게 트랩웨이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더 활기차고 급속한 트랩웨이로의 물의 유동은 변기가 더 큰 트랩웨이 직경 및 더 최소 굴곡부 및 수축부를 갖고 설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이어서 비제트형 및 림 제트형 보울에 비해 벌크 배설물 제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Rim jet type bowls are generally superior to non-jet types, but the long path through which water travels through the rim to the jet opening dissipates and wastes a lot of available energy. Direct jet bowls have been improved in this concept and can deliver even higher performance in terms of bulk elimination of fecal matter. In a direct jet bowl, the flush water exits the tank, flows through the bowl inlet and through the main manifold. At this point, the water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a portion that flows into the rim channel through the rim inlet port having the primary purpose of achieving the desired bowl cleaning, and a "direct jet " linking the main manifold to the jet opening in the sump of the toilet bowl. Quot; channel "through the jet inlet port. The direct jet channel may take a different form, sometimes unidirectional, or "dual feed" around one side of the toilet, wherein the symmetrical channel proceeds along both sides connecting the manifold to the jet opening. As with the rim jet bowl, the jet openings are dimensioned and positioned to deliver a strong stream of water directly from the opening in the trapway. When the water flows through the jet opening, it serves to fill the trap way more efficiently and rapidly than can be achieved in a non-jet or rim jet type bowl. The flow of water to this more energetic and rapid trapway allows the toilet to be designed with a larger trap-way diameter and more minimal bends and constrictions, which in turn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bulk excrement removal compared to non-jet and rim jet- .

직접 제트형 보울은 현재 배설물의 벌크 제거를 위한 관련 기술분야의 상당한 부분을 표현하고 있지만, 변기 성능의 향상을 위한 주요 영역이 여전히 존재한다. 정부 기관은 상수도 사용자가 이들의 사용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최근의 많은 초점은 변기 플러싱 동작에 의해 요구되는 물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이었다. 이 점을 예시하기 위해, 각각의 플러시에 대해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7 gallons/flush(1950년대 이전)로부터 5.5 gallons/flush(1960년대말까지)로, 3.5 gallons/flush(1980년대)로 정부 기관에 의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왔다. 1995년의 미국 에너지 정책법(National Energy Policy Act of 1995)은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변기가 단지 1.6 gallons/flush(6 liters/flush)의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물 사용량을 1.28 gallons/flush로 더욱 더 낮추도록 요구하는 규제안이 캘리포니아주에서 최근에 통과되었다. 특허 문헌에 현재 설명되고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1.6 gallons/flush 변기는 이들 저레벨의 물 소비로 압박될 때 일관적으로 사이펀하는 능력이 손실된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개량된 기술 및 변기 디자인의 개발 없이 트랩웨이 직경을 감소시키고 성능을 희생시키도록 강요받고 있고 계속 강요받을 것이다.While direct jet bowls presen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lated art for bulk removal of current feces, there is still a major area for improving toilet performance. Government agencies are constantly asking water users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they use. A great deal of recent focus has been on reducing the water demand required by the toilet flushing operation. To illustrate this point, the amount of water used in a toilet for each flush was reduced from 7 gallons / flush (before the 1950s) to 5.5 gallons / flush (by the end of the 1960s), 3.5 gallons / flush Has been gradually reduced by the organ. The 1995 National Energy Policy Act of 1995 requires that toilet seats currently sold in the United States use quantities of only 1.6 gallons / flush (6 liters / flush). Regulations have recently been passed in California requiring further lowering of water usage to 1.28 gallons / flush. The 1.6 gallons / flush toilet seat currently described in the patent literature and commercially available loses its ability to consistently siphon when pushed by these low levels of water consumption. Thus, the manufacturer will be forced and will continue to be forced to sacrifice performance and reduce the trapway diameter without the development of improved technology and toilet design.

다수의 발명이 직접 제트형 개념의 최적화를 통해 사이펀식 변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918,325호에서, 사이펀식 변기의 성능은 트랩웨이의 형상을 향상시킴으로써 향상된다. 미국 특허 제6,715,162호에서, 성능은 방사상 입구(radiused inlet)를 갖는 플러시 밸브 및 보울 내로의 물의 비대칭 유동의 사용에 의해 향상된다.Many inventions have been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iphon toilet through optimization of the jet-type concept directly. For example, in U.S. Patent No. 5,918,325, the performance of a siphon toilet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trapway. In U.S. Patent No. 6,715,162, performance is enhanced by the use of flush valves having a radial inlet and asymmetric flow of water into the bowl.

미국 특허 제8,316,475 B2호는 현재 환경적 물 사용 표준에 부합하는 저체적 물과 함께 사용을 위한 적절한 사이펀 및 향상된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압축된 림 및 직접 공급 제트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U.S. Patent No. 8,316,475 B2 describes compressed rim and direct feed jet configurations that allow for proper siphoning and improved cleaning for use with low volume water that meets current environmental use standards.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198610 A1호는 또한 탱크 입구로부터 변기 매니폴드에 진입하는 플러시 물의 유동을 림의 입구 포트 및 직접 공급 제트의 입구 포트 내로 분배하는 주 매니폴드 내의 제어 요소에 의해 성취된 고성능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2,122,834호는 사이펀식 작용을 종료하고 시스템 내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변기 플러시 사이클 내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압 매니폴드 및 공기 매니폴드를 갖는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발명들이 변기 탱크를 개별 섹션으로 분할함으로써 림과 제트 사이의 성능을 다루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1,939,118호를 참조하라.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0198610 Al also discloses a high performance, high-performance, high-performance, high-performance, high-performance, The toilet is starting. U.S. Patent No. 2,122,834 discloses a toilet having a hydraulic manifold and an air manifold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toilet flush cycle to terminate the siphon action and prevent backflow into the system. Other inventions are attempting to address the performance between rim and jet by dividing the toilet tank into individual sections. See U.S. Patent No. 1,939,118.

플러시 체적이 약 6.0 리터 미만으로 압박될 때, 변기의 내부 채널 내의 난류 및 유동 제한의 최소화가 가장 중요하다. 난류 및 유동 제한을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플러시 사이클의 개시 전에 림 및 제트 채널을 점유하는 공기의 관리이다. 공기가 플러시 물의 다가오는 분출(oncoming rush)에 앞서 시스템을 탈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면, 공기는 계속 채널 내의 공간을 점유하여 유동을 제한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918,325호는 공기 배출 수단, 제트 채널을 림에 연결하여 플러시 중에 공기가 제트 채널로부터 림 내로 탈출하게 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변기를 설명하고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198610 A1호는 마찬가지로 제트 채널과 림 채널 사이에 공기 및/또는 물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류측 연통 포트를 갖는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When the flush volume is compressed to less than about 6.0 liters, minimizing turbulence and flow restrictions within the internal channels of the toilet is of utmost importanc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inimizing turbulence and flow restrictions is the management of air occupying the rim and jet channels before the initiation of the flush cycle. If it is not possible for the air to escape the system prior to the oncoming rush of flush water, the air will continue to occupy the space within the channel and limit the flow. U.S. Patent No. 5,918,325 describes a toilet comprising an air discharge means, a jet channel connecting the jet channel to the rim and includ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escapes from the jet channel into the rim during flushing.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0198610 Al also discloses a toilet having a downstream communication port that allows air and / or water to pass between the jet channel and the rim channel.

사이펀식 변기 성능을 더 향상시키고, 특히 제트 채널(들)을 점유하는 프리-플러시 공기를 관리하기 위한 요구가 관련 기술분야에 남아 있다. 플러시 성능을 희생하지 않고 플러싱 중에 막힘을 저지하고 상당히 향상된 세정을 허용함으로써, 종래의 변기의 전술된 결점을 개량하는 변기에 대한 요구가 관련 기술분야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변기는 또한 다양한 트랩웨이 기하학 형상에 대한 낮은 물 소비를 위한 적절한 사이펀을 제공하면서 물 보존 표준 및 정부 가이드라인과 여전히 순응해야 한다.There remains a need in the art to further improve siphon toilet performance and to manage pre-flushing air, especially occupying the jet channel (s). There is also a need in the art for a toilet that improves the aforementioned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toilet, by preventing clogging during flushing without sacrificing flush performance and allowing significantly improved cleaning. These toilets must also still comply with water conservation standards and government guidelines, while providing adequate siphons for low water consumption for various trapway geometries.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서,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부터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와, 림 밸브 입구 및 림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로서, 림 밸브는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림 입구 포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림 밸브와, 내부 보울을 형성하고 (a) 보울의 상부 주계 영역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림 입구 포트, (b)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로서, 제트는 제트 플러시 밸브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보울의 하부 부분에 위치설정되고 보울의 섬프 영역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출구 포트를 갖는, 제트를 포함하고, 섬프 영역은 댐을 갖는 트랩웨이로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제트 채널을 포함하고, 제트 플러시 밸브는 트랩웨이의 댐 위에 위치설정되고,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제트 플러시 밸브의 출구로부터 제트의 출구로 연장하고, 일단 마중물 급수되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유체로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고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및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것이 가능한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보울 조립체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jet flush valve inlet and a jet flush valve outlet,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comprising a jet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from a jet flush valve outlet to a closed jet fluid path, At least one rim valve having a valve inlet and a rim valve outlet, the rim valve defining a rim valve and an inner bowl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from the outlet of the rim valve to the rim inlet port, (B) a jet forming at least one jet channel, wherein the jet is positioned at an in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wl, And a jet outlet port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to a sump region of the bowl, The station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o the trapway having the dam and the closed jet fluid path comprises the jet channel, the jet flush valve is positioned above the dam of the trapway, and the closed jet fluid path comprising the jet channel Once the jet stream extends from the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to the outlet of the jet and once primed, the closed jet fluid path is kept primed with the fluid and the air enters the closed jet fluid path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Siphon flush toilet bowl assembly that is capable of helping to prevent flush toilet bowl assembly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변기 보울 조립체는 일 실시예에서, 림 매니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림 매니폴드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 및 림 입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울은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림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림은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로 연장하고 보울의 내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림 채널을 형성하고, 림 입구 포트는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와 유체 연통한다.The toilet bowl assembly may, in one embodiment, further comprise a rim manifold having a rim manifold inlet opening for receiving fluid from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and a rim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Manifold outlet opening. In such an embodiment, the bowl may also include a rim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top periphery of the bowl, the rim extending from the rim inlet port aroun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Wherein the rim inlet port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manifold outlet opening.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울은 유체가 림 쉘프(shelf)를 따라 진행하고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보울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도록,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상부 주계 영역 내의 보울의 내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림 쉘프를 포함하는 림을 가질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y, the bowl is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bout the bowl from the rim inlet port so that the fluid advances along the rim shelf an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owl at least one position displaced from the rim inlet port. And a rim shelf extending transversely along the interior surface of the bowl within the upper main body region.

조립체는 유체의 소스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탱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를 포함한다. 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트 저장조는 제트 충전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림 저장조는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림 저장조는 림 충전 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림 밸브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이고,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오버플로우 튜브를 포함한다.The assembly may also include a tank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a source of fluid, wherein the tank includes at least one fill valve. The tank may include at least one jet reservoir and at least one rim reservoir, wherein the jet reservoir includes a jet fill valve and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the rim reservoir includes at least one rim valve. In such an embodiment, the rim reservoir may further comprise a rim fill valve, the rim valve is a rim flush valve assembly, and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n overflow tube.

섬프 영역 내의 변기 보울의 내부벽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제트 출구 포트로부터 트랩웨이의 입구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wall of the toilet bowl within the sump region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jet outlet port toward the inlet of the trapway.

변기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리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4.8 리터 이하, 몇몇 실시예에서 약 2.0 리터 이하의 플러시 체적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oilet assembly is preferably capable of operating in a flush volume of about 6.0 liters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4.8 liters or less, and in some embodiments about 2.0 liters or less.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은 또한 보울의 외부면의 하부 부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위치설정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t least one jet channel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일 실시예에서 보울의 섬프 영역은 보울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를 갖는 제트 트랩을 갖고, 제트 트랩의 입구 단부는 제트 출구 포트 및 보울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고, 제트 트랩의 출구 단부는 트랩웨이로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제트 트랩은 밀봉 깊이를 갖는다. 제트 출구 포트의 표면은 제트 트랩 내에 있고 섬프 영역을 통해 종방향으로 측정될 때 트랩웨이로의 입구의 상부면 아래의 밀봉 깊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트 트랩 밀봉 깊이는 약 1 cm 내지 약 15 cm, 바람직하게는 약 2 cm 내지 약 12 cm일 수도 있고, 또한 약 3 cm 내지 약 9 cm일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mp region of the bowl has a jet trap formed by an interior surface of the bowl and having an inlet end and an outlet end, the inlet end of the jet trap receiving fluid from the jet outlet port and an interior region of the bowl, The outlet end of the trap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o the trapway, and the jet trap has a sealing depth. The surface of the jet exit port may be located at a sealing depth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inlet to the trapway when it is within the jet trap and measur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sump area. The jet trap sealing depth may be from about 1 cm to about 15 cm, preferably from about 2 cm to about 12 cm, and also from about 3 cm to about 9 cm.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림 밸브는 림 플러시 밸브 입구로부터 림 플러시 밸브 출구로 연장하는 림 플러시 밸브체 및 플랩퍼 커버(flapper cover)와 같은 림 플러시 밸브 커버를 갖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The rim valve of one embodiment of the assembly may be a rim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rim flush valve body and a rim flush valve cover such as a flapper cover extending from the rim flush valve inlet to the rim flush valve outlet.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은 또한 보울 아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로부터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 연장하는 제트 플러시 밸브체 및 플러시 밸브 커버를 포함하고, 제트 플러시 밸브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또한 포함한다.The at least one jet channel may also be positioned to at least partially pass under the bowl. In one embodiment,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 jet flush valve body and a flush valve cover extending from the jet flush valve inlet to the jet flush valve outlet, and the jet flush valve also includes a backflow prevention device.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또는 선택적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 상의 본 명세서의 플러시 밸브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개방시에 상향으로 박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ush valve cover of the present disclosure on a jet flush valve assembly or an optional rim flush valve assembly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partially flexible and to be lifted upwardly upon opening.

역류 방지기 기구가 제공되면, 이는 유지 링크장치 기구, 후크 및 걸림 기구, 포핏(poppet) 기구, 및 체크 밸브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If a backflow prevention mechanism is provided, it may be at least one of a retention link mechanism, a hook and an engagement mechanism, a poppet mechanism, and a check valve.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로부터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 연장하는 제트 플러시 밸브체 및 플러시 밸브 커버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러시 밸브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개방시에 상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트 플러시 밸브 커버는 또한 힌지결합된 장착부 및/또는 그 위에 부유부(float)를 갖는 체인의 부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로밋(grommet)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커버를 갖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lso includes a jet flush valve body extending from the jet flush valve inlet to the jet flush valve outlet and a flush valve cover. In such an embodiment, the flush valve cover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partially flexible and openable upwardly upon opening. The jet flush valve cover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grommet for attachment of the hinged mounting portion and / or a chain having a float thereon. In this embodiment having at least a partially flexible cover, the assembly may also include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조립체를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이 또한 본 발명 내에 있고, 방법은 (a)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서,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부터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와, 림 밸브 입구 및 림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로서, 림 밸브는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림 입구 포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림 밸브와, 내부 보울을 형성하고 (i) 보울의 상부 주계 영역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림 입구 포트, (ii)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로서, 제트는 제트 플러시 밸브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보울의 하부 부분에 위치설정되고 보울의 섬프 영역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출구 포트를 갖는, 제트를 포함하고, 섬프 영역은 댐을 갖는 트랩웨이로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제트 채널을 포함하고, 제트 플러시 밸브는 트랩웨이의 댐 위에 위치설정되고,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부터 제트의 출구 포트로 연장하고, 일단 마중물 급수되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유체로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고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및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것이 가능한 변기 보울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하는 단계와, (c)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통해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d) 플러시 사이클의 완료 후에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동은 섬프 내의 레벨이 제트 출구 포트 위에 있을 때까지 지속된다.A method for maintaining a siphon flush toilet assembly in primed water supply is also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a)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jet flush valve inlet and a jet flush valve outlet, A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from a jet flush valve outlet to a closed jet fluid path, at least one rim valve having a rim valve inlet and a rim valve outlet, (I) at least one rim inlet port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upper confluent region of the bowl, (ii) at least one jet channel Wherein the jet is located at an in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an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wl The sump region being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let to a trapway having a dam and the closed jet fluid path including a jet channel; and a jet outlet port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to a sump region of the bowl, , The jet flush valve is positioned over the dam of the trapway and a closed jet fluid path comprising the jet channel extends from the jet flush valve outlet to the outlet port of the jet and once the priming water is supplied, (B) activating the flush cycle, and (c) activating the flushing cycl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 providing a fluid through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t least one rim valve And (d) maintaining a closed jet fluid path with priming water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ow continues until the level in the sump is above the jet exit port.

전술된 방법에서, 변기 보울 조립체는 림 매니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림 매니폴드는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 및 림 입구 포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를 갖고, 보울은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에 림을 포함하고, 림은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보울의 내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림 채널을 형성하고, 림 입구 포트는 림 채널과 그리고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방법은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림 매니폴드 입구, 림 매니폴드 출구, 림 입구 포트, 림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채널 출구 포트를 통해 변기 보울의 내부 영역 내로 유체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toilet bow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rim manifold, wherein the rim manifold comprises a rim manifold inlet opening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the outlet of the rim valve and a rim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At least one rim outlet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upper perimeter of the bowl from the rim inlet port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terior region of the bowl, the rim having a manifold outlet opening, the bowl comprising a rim about the upper perimeter of the bowl, Wherein the rim inlet port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channel and the rim manifold outlet opening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removing the rim manifold inlet, the rim manifold outlet, the rim inlet port, the rim channel port, And introducing fluid into the interior region of the toilet bowl through at least one rim channel outlet port.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림은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의 내부면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상부 주계 영역 내의 보울의 내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림 쉘프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방법은 유체가 림 쉘프를 따라 진행하고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보울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도록 림 쉘프 입구 포트로부터 유체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rim may also include a rim shelf extending transversely along the interior surface of the bowl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interior surface of the bowl from the rim inlet port in its upper con fi dential area, Introducing fluid from the rim shelf inlet port to advance along the rim shelf an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owl at at least one location displaced from the rim inlet port.

방법의 변기 보울 조립체는 유체의 소스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탱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를 갖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를 사용하여 탱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통해 탱크로부터 보울로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트 저장조는 제트 입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제트 충전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림 저장조는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통해 림 입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고, 방법은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로부터 유체로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는 림 충전 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방법은 림 충전 밸브로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toilet bowl assembly of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a tank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a source of fluid, the tank having at least one filling valv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illing the tank using at least one filling valve an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fluid from the tank to the bowl via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t least one rim valve. The tank may comprise at least one jet reservoir and at least one rim reservoir and the jet reservoir includes a jet fill valve and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transfer of fluid to the jet inlet port, Wherein the reservoir comprises at least one rim valve and is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through at least one rim valve, the method comprising: prior to activating the flush cycle, And filling the reservoir. The at least one rim reservoir may further include a rim fill valv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filling at least one rim reservoir with a rim fill valve.

방법은 또한 플러시 사이클의 완료 후에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로부터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입구 위로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 내의 유체의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intaining the level of fluid in the at least one jet reservoir from the at least one fill valve of the tank to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inlet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트 트랩 내에서, 제트 출구 포트의 상부면은 섬프 영역을 통해 종방향으로 측정될 때 트랩웨이로의 입구의 상부면 아래의 밀봉 깊이에서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방법은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완료 후에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로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가 마중물 급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밀봉 깊이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in the jet trap, the upper surface of the jet outlet port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a sealing depth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to the trapway when measur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sump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intaining the sealing depth to facilitate priming the closed jet fluid path from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to the fluid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본 발명은 직접 공급 제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림으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와, 림 매니폴드로서, 림 매니폴드는 림 밸브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 및 림 입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를 갖는, 림 매니폴드와, 내부 보울 영역을 형성하는 내부면 및 (a) 그의 상부 주계 주위에 제공되고 림 채널을 형성하는 림으로서, 림 채널은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보울의 내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림, (b)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로서, 제트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보울의 저부 부분의 섬프 영역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출구 포트를 갖고, 섬프 영역은 트랩웨이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트를 갖는 보울을 포함하고, (c) 보울의 저부 부분 내의 섬프 영역은 보울의 내부벽에 의해 형성되고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를 갖는 제트 트랩을 갖고, 제트 트랩의 입구 단부는 제트 출구 포트 및 보울의 내부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고, 제트 트랩의 출구 단부는 트랩웨이로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제트 트랩은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완료 후에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로 제트 채널 및 제트 매니폴드를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하는데 충분한 밀봉 깊이를 갖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보울 조립체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또한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low of fluid from a rim valve to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a direct feed jet and at least one rim valve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A rim manifold inlet opening for receiving the rim manifold inlet opening and a rim manifold outlet opening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an inner surface defining an inner bowl region and (a) The rim channel having an in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manifold outlet opening and at least one rim out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terior region of the bowl, (b) a rim having at least one As a jet forming a jet channel, the jet may include an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n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for receiving fluid from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 sump regio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let of the trapway, wherein the sump region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let of the trapway, and (c) the outlet of the bowl The sump region in the bottom portion having a jet trap formed by an interior wall of the bowl and having an inlet end and an outlet end, the inlet end of the jet trap receiving fluid from the interior of the jet outlet port and the bowl and the outlet end of the jet trap The jet traps being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o the trapway and the jet traps from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to assist in preventing air from entering the closed jet fluid path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Having a sealing depth sufficient to hold the jet channels and jet manifolds in fluid priming The peonsik the flush toilet bowl assembly is also included in the invention herein.

본 발명은 직접 공급 제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보울의 상부 주연부 내의 림 입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포함하고, 보울은 보울의 내부 영역을 형성하는 내부면을 갖고, (a)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의 상부 주연부는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의 상부 주연부 주위로 그리고 섬프 영역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를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b)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로서, 제트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섬프 영역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보울의 하부 부분 내의 제트 출구 포트를 갖는, 제트를 포함하고, (c) 보울의 저부 부분 내의 섬프 영역은 보울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를 갖는 제트 트랩을 갖고, 제트 트랩의 입구 단부는 제트 출구 포트 및 보울의 내부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고, 제트 트랩의 출구 단부는 트랩웨이로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제트 트랩은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완료 후에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유체로 제트 채널 및 제트 매니폴드를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하는데 충분한 밀봉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보울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a direct feed jet and at least one rim valve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a rim inlet port within an upper periphery of the bowl, (A) an upper peripheral edge around the upper flume of the bowl is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direct fluid from the rim inlet port around the upper periphery of the bowl and into the sump area, (b) The jet comprising an in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outlet of a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 jet outlet port within a lower portion of a bowl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to a sump region, (c) the sump region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wl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and the inlet end and outlet end Wherein the inlet end of the jet trap receives fluid from the interior of the jet outlet port and the bowl and the outlet end of the jet trap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o the trap way, And a seal depth sufficient to hold the jet channels and jet manifolds fluidly from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to help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closed jet fluid path after completion And a siphon flush toilet bowl assembly configured to receive the siphon flush toilet bowl assembly.

본 발명은 또한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조립체를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고, 방법은 (a)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서,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부터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와, 밸브 입구 및 림 밸브 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로서, 림 밸브는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림 입구 포트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는, 림 밸브와, 내부 보울 영역을 형성하는 내부면을 갖는 보울을 포함하고 (i) 림 입구 포트는 (A)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에 제공되고 림 입구 포트로부터 보울의 상부 주계 주위로 연장하는 림 채널을 형성하고 보울의 내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림 또는 (B) 림 입구로부터 보울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상부 주계 영역에서 보울의 내부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림 쉘프 중 하나에 물을 도입하기 위해 구성되고, (ii)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로서, 제트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 및 보울의 하부 부분에 위치설정되고 보울의 섬프 영역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출구 포트를 갖고, 제트 플러시 밸브는 트랩웨이의 댐 위에 위치설정되고,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로부터 제트의 출구 포트로 연장하여, 일단 마중물 급수되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유체로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어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및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게 되는 변기 보울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하는 단계와, (c) 공기가 제트 출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랩웨이 내에 사이펀을 발생하는데 충분한 유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d) 사이펀이 차단될 때까지 약 1초 내지 약 5초 동안 제트 채널을 통한 유체의 유량을 저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encompasses a method of maintaining a siphon flush toilet assembly in a primed water supply, the method comprising: (a)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jet flush valve inlet and a jet flush valve outlet, The valve assembly includes a jet flush valve assemb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from a jet flush valve outlet to a closed jet fluid path, at least one rim valve having a valve inlet and a rim valve outlet, wherein the rim valve extends from the outlet of the rim valve (I) a rim inlet port (A) is provided around the upper main stream of the bowl, and the rim inlet port is provided with a rim valve, which is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Forming at least one rim channel extending from the port around the top periphery of the bowl and having at least one Or (B) a rim shelf extending transverse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bowl from the rim inlet to the upper rim area thereof, ii) a jet forming at least one jet channel, the jet comprising an inlet po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f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 jet outlet por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wl and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to the sump region of the bowl, The jet flush valve is positioned over the dam of the trapway, and the closed jet fluid path including the jet channel extends from the jet flush valve outlet to the outlet port of the jet, once it is primed, Is pre-primed with the fluid to maintain the air flow in the closed jet fluid path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B) activating the flush cycle; (c) venting the flush cycle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jet outlet and sufficient to generate a siphon within the trapway; (D) lower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jet channel for about 1 second to about 5 seconds until the siphon is shut off.

마중물 급수 방법은 또한 (c) 플러시 사이클 중에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통해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또한 섬프가 유체로 충전될 때까지 공기가 제트 출구 포트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유량을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출구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설치시에 보울의 초기 마중물 급수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iming watering method may also include the step of (c) providing fluid through the at least one rim valve during the flush cyc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 priming of the bowl during installation by providing a flow throug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outlet sufficient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jet exit port until the sump is filled with fluid.

본 발명은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보울에 사용을 위한 플러시 밸브를 또한 포함하고, 플러시 밸브는 플러시 밸브 입구로부터 플러시 밸브 출구로 연장하는 플러시 밸브체와, 플러시 밸브 입구 위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플랩퍼 커버를 갖고, 플러시 밸브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더 포함한다. 역류 방지기 기구는 유지 링크장치 기구, 후크 및 걸림 기구, 포핏 기구, 및 체크 밸브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플러시 밸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개방시에 상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한 플러시 밸브 커버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러시 밸브 커버는 또한 커버를 상승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힌지결합된 장착부 및/또는 부유부를 갖는 체인의 부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로밋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lush valve for use in a siphon flush toilet bowl, the flush valve having a flush valve body extending from the flush valve inlet to the flush valve outlet and a flapper cover configured to extend over the flush valve inlet, The flush valve further includes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The backflow prevention mechanism may be at least one of a retention link mechanism, a hook and an engagement mechanism, a poppet mechanism, and a check valve. The flush valve may also include a flush valve cover that is at least partially flexible and may be open upwardly upon opening. The flush valve cover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grommet for attachment of a chain having a hinged mounting portion and / or a floating portion to assist in lifting the cover.

플러시 밸브 입구로부터 플러시 밸브 출구로 연장하는 플러시 밸브체와, 플러시 밸브 입구 위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플랩퍼 커버를 포함하고, 플랩퍼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개방시에 상향으로 박리되는 것이 가능한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보울 조립체에 사용을 위한 플러시 밸브가 또한 본 발명 내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시 밸브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 그리고 다른 장소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역류 방지기 기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 flush valve body extending from the flush valve inlet to the flush valve outlet and configured to extend over the flush valve inlet and wherein the flapper cover is at least partially flexible and capable of being lifted upwardly upon opening, Flush valves for use in flush toilet bowl assemblies are also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lush valve may further include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as described hereinabove and elsewhe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과,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시 변기용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포함한다.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갖고,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플러시 변기, 및 바람직하게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for a flush toilet comprising a first section hav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ha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and is longitudinally movable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may be used with a flush toilet, and preferably a siphon flush toilet.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제2 섹션을 갖고, 제2 섹션의 표면의 일부 및 그를 통한 통로를 형성하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내부면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가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그리고 제2 섹션 둘레로 회전식으로 위치설정가능하게 하도록 각각 나사산 형성된다.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has a second section, an inner surfac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form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and a passageway therethroug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justable connector extends longitudinally along the second section and around the second section Respectively, so as to be rotationally positionable.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피벗 로드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는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the pivot rod.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the flush actuating bar. The flush actuating bar may include a firs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러시 변기에 사용을 위한 플러시 작동 조립체이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로서, 제1 부분은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은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바아와, 피벗 로드를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플러시 작동 바아는 커넥터를 사용하여 피벗 로드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시 작동 조립체의 커넥터는 피벗 로드와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이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피벗 로드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ush operated assembly for use in a flush toilet, the flush operated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 flush operating bar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and a flush operation assembly including a pivot rod. The flush-action bar is connected to the pivot rod using a connector.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or of the flush actuating assembly is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pivot rod and the flush actuating ba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e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having a longitudinal section along a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t is movable and positionable.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ivot rod us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positioned on a first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operable to flush using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of the adjust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bar.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의 표면의 일부 및 그를 통한 통로를 형성하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내부면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가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조정되게 하고 그리고 회전식으로 조정되게 하도록 각각 나사산 형성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1 부분은 또한 림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2 부분은 제트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forming part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the passage therethrough allows the adjustable connector to be longitudinally adjusted along the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Respectively. The first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im valve assembly. The second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jet valve assembly.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1 부분 및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밸브체와, 밀봉부 및 밸브를 점진적으로 개방하도록 밀봉부를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 커버를 갖는 밸브 조립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잠금면은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한다. 또한,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밀봉면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comprises a valve body and a valve cover having a valve cover including a rigid cover configured to bend the seal to gradually open the seal and valve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assembly. The seal may comprise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and the lock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openings in the rigid cover. Further, 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and at least the sealing surface may include silic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플러시 밸브를 갖는 플러시 밸브 조립체용 밸브 커버를 포함하고, 밸브 커버는 밸브체 위에 위치설정된다. 밸브 커버는 밀봉부와, 밸브 커버의 점진적인 개방을 위해 밀봉부와 함께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cover for a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flush valve including a valve body, wherein the valve cover is positioned over the valve body. The valve cover includes a seal and a rigid cover configured to be able to flex with the seal for gradual opening of the valve cover.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잠금면은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잠금 러그는 헤드 및 네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네크의 상부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는 헤드의 저부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보다 짧을 수도 있다. 복수의 잠금 러그는 제1 행, 제2 행, 및 제3 행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행은 밸브 커버를 통한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 상의 커버의 전방 에지 상의 점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15 mm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 행은 점으로부터 약 4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3 행은 점으로부터 약 60 mm 내지 약 80 mm에 위치될 수도 있다.The seal may comprise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and the locking su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openings in the rigid cover. Each of the locking lugs may include a head and a neck and the distanc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s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neck is less than the distance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 It is possible. The plurality of lock lugs may be arranged in a first row, a second row, and a third row. The first row may be located from about 5 mm to about 15 mm from the point on the front edge of the cover on the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through the valve cover and the second row may be located from about 40 mm to about 50 mm from the point And the third row may be located at about 60 mm to about 80 mm from the point.

잠금면 상의 잠금 러그의 제1 행, 제2 행 및 제3 행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잠금 러그는 헤드 및 네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네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헤드는 라운딩된 상부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추형일 수도 있다. 잠금 러그의 제1 행의 헤드 및 잠금 러그의 제2 행의 헤드는 밸브 커버의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에 대면하는 측면을 따라 일반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 커버의 적어도 밀봉면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irst row, second row and third row of the locking lugs on the locking surface may comprise at least one locking lug. Each locking lug may include a head and a neck, the neck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head may be generally conical with a rounded top surface. The head of the first row of lock lugs and the head of the second row of lock lugs may be generally flat along the side facing the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lve cover. In one embodiment, at least the sealing surface of the valve cover may comprise silicon.

밸브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서, 강성 커버는 박리 섹션 및 상승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와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 사이에 횡방향 간격이 존재할 수도 있고,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 및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앙 종방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고,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로부터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까지 측정된 횡방향 거리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일 수도 있다. 박리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결합된 장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힌지결합된 장착부는 상승 섹션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cover, the rigid cover may include a peel section and an up section. There may be a lateral gap between the rear edge of the peeling section and the front edge of the riser section and the rear edge of the peel section and the front edge of the riser section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The measured lateral distance from the rear edge of the peeling section to the forward edge of the riser section may be from about 10 mm to about 20 mm. The peeling s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hinged mounting portion, and the hinged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rising section.

밸브 커버의 밀봉부는 강성 커버의 박리 섹션 및 상승 섹션과 대면 결합하여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밀봉부는 또한 복수의 잠금 러그의 사용을 통해 그리고/또는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박리 섹션 및 상승 섹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박리 섹션은 플러시 작동 바아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부유부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aling portion of the valve cover may be positioned in face-to-face engagement with the peeling section and the rising section of the rigid cover. The seal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peeling section and the riser section through the use of a plurality of locking lugs and / or through the use of an adhesive. The peeling section may be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flush actuating bar and / or may include a floating section attach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러시 변기용 밸브 조립체이다. 밸브 조립체는 제2 밸브 조립체의 제2 밸브체와 밸브체를 연계하기 위한 링크, 및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ush toilet bowl valve assembly. The valve assembly includes a valve body including a valve cover and a link for coupling the valve body with the second valve body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상기에 포함되는 밸브 조립체에서, 밸브 커버는 플러시 밸브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밸브 커버는 밸브체 위에 위치설정되고, 밸브 커버는 밀봉부와, 밸브 커버의 점진적인 개방을 위해 밀봉부와 함께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한다.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잠금면은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valve assembly included in the above, the valve cover may include a flush valve body, and the valve cover is positioned o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cov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that is bent with the sealing portion for gradual opening of the valve cover And a stiffness cover whic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The seal may comprise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and the locking su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openings in the rigid cover.

제1 밸브체,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체,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조립체 및 제2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본 발명에 또한 포함된다.A first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body, a first link, and a first valve cover; and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a second link, and a second valve cover, The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multiple flush valve assemblies are configured to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by mutually lock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제1 링크는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링크는 상향 돌기를 가질 수도 있고, 상향 돌기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하향 후크 형상부와 상호잠금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link of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may have a downward hook feature and the second link may have an upward protrusion and the upward protrusion may have a downward hook shape to maintain alignment of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Respectively.

본 발명 내의 다른 실시예는 변기와,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로서, 제1 부분은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은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바아, 피벗 로드, 및 피벗 로드와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피벗 로드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되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이다.Another embodiment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ush operated bar comprising a toilet,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and a flush operation assembly,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includ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wherein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pivot rod with the pivot rod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e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and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A movable, rotatably positionabl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mounted on the first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a siphon flush toilet using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of the adjustable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flush operation bar using a positioned first rotatable connector.

사이펀식 변기 내에서, 제1 밸브 조립체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 변기 내에서 또한, 제2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Within the siphon type toilet, the first valve assembly may be a rim flush valve assembly. Also in the toilet, the second valve assembly may be a jet flush valve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변기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와, 제1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체, 및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조립체 및 제2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변기가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 toilet, a flush operation assembly, and a first valve assembly, wherein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valve body including a first link and a first valve cover, And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including a second valve cover and a second valve cover,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mutually lock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re is provided a flush toilet.

변기 조립체의 본 실시예의 제1 링크는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링크는 상향 돌기를 가질 수도 있고, 상향 돌기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하향 후크 형상부와 상호잠금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link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toilet assembly may have a downward hook feature and the second link may have an upward protrusion and the upward protrusion may have a downward hook shape to maintain alignment of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And mutual locking with th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플러시 변기에 사용을 위한 조립체 키트이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 피벗 로드, 및 피벗 로드와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피벗 로드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되는 조립체 키트를 포함한다. 제2 밸브 조립체는 부유부 부착부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부유부 부착부는 부유부 조립체, 체인, 스트링, 코드, 로프, 스테인레스강 케이블, 강성 로드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mbly kit for use in a flush toilet, comprising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and a flush operation assembly, wherein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es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flush operation bar, the pivot load, ,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moveable and rotatably position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comprises a first section of adjustable flush connector A first rotatable connector positioned on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pivot rod, The neck includes an assembly kit connected to the flush actuating bar using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of the adjustable connector. The second valve assembly may also have a floating attachment. The flotation attachm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flotation assemblies, chains, strings, cords, ropes, stainless steel cables, rigid rods or wir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기에 사용을 위한 조립체 키트의 실시예를 포함하며, 플러시 작동 조립체와,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서,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1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중 플러시 조립체와,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밸브 조립체 및 제2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n embodiment of an assembly kit for use in a toilet, comprising: a flush operation assembly; and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wherein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including a second link and a second valve cover,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assembly, Th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are interconnected through mutual locking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전술된 조립체 키트의 실시예에서, 키트는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도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및 제2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은 외부 에지를 포함하고,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도구는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의 외부 에지를 끼우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을 변기 보울에 부착하기 위한 렌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In embodiments of the aforementioned assembly kit, the kit may further comprise a tank-to-bowl gasket tool, wherein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tank-to-bowl gasket and a second tank-to-bowl gasket, The second tank-to-bowl gasket includes an outer edge, and the tank-to-bowl gasket tool may be configured to fit the outer edge of the tank-to-bowl gasket and may be used as a wrench to attach the tank-to- bowl gasket to the bowl.

상기 요약 설명,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숙독될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열 및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갖는 탱크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탱크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변기 보울 조립체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라인 3-3을 따라 취한 도 1 및 도 2의 변기 조립체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보울의 외부면의 저부 주위로 만곡하는 제트 채널 내의 림 제트 유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보울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림 쉘프 유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실시예의 보울의 사시도이다.
도 3c 내지 도 3g는 도 3a에서와 같은 이중 유로를 갖는 이중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로 내의 도 1의 실시예에서 마중물 급수된 내부 공간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평면 입면도이다.
도 4b는 제트 매니폴드 개구 및 림 매니폴드 개구를 도시하고 있는 변기 조립체의 보울부의 평면 입면도이다.
도 5는 플러시 밸브가 생략되어 있는 도 2의 라인 5-5를 따라 취한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트 출구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의 변기 조립체의 상당한 확대부이다.
도 7은 라인 7-7을 따라 취한 도 8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덮개가 탱크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제트 플러시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기 조립체의 제트 플러시 밸브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변기 조립체의 제트 플러시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12는 오버플로우 튜브를 갖는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림 플러시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림 플러시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림 플러시 밸브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변기 조립체의 림 및 제트 밸브를 위한 플러시 작동 바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림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림 채널 입구 포트 및 초기 림 및 제트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의 횡단면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상면 부분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트 저장조 및 림 저장조의 모두를 갖는, 도 1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대안 실시예의 상면 부분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제거되어 있는 제트로의 유체의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라인 21-21을 따라 취한, 도 19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섬프 영역의 상당히 확대된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23은 섬프 영역 내의 변기 보울의 벽의 적어도 일부가 제트 출구 포트로부터 트랩 입구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제거되어 있는 제트로의 유체의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도 21의 것에 대한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대안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섬프 영역의 상당히 확대된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트 유동이 보울 아래로 통과하고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제거되어 있는 림으로의 유체의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대안 실시예의 등각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제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도 25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섬프 영역의 상당히 확대된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28은 림 플러시 밸브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제거되어 있는 림의 상부 주계부로의 유체의 유동을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사이펀식 변기 보울 조립체의 대안 실시예의 등각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림 쉘프의 다양한 종단면도를 예시하기 위한 도 4b의 변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30은 림 입구 포트의 위치 부근의 림 쉘프의 위치에서 변기 보울의 상부 주연 영역에 형성된 영역의 높이 및 림 쉘프의 깊이를 도시하고 있는 도 29의 라인 30-30을 따라 취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보울의 후방 대 전방 사이의 대략 중간부의 위치에서의 림 쉘프의 위치에서 변기 보울의 상부 주연 영역에 형성된 영역의 높이 및 림 쉘프의 깊이를 도시하고 있는 도 29의 라인 31-31을 따라 취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보울의 전방의 위치에서의 림 쉘프의 위치에서 변기 보울의 상부 주연 영역에 형성된 영역의 높이 및 림 쉘프의 깊이를 도시하고 있는 도 29의 라인 32-32를 따라 취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도면에 대향하는 보울의 측면 상의 보울의 전방과 후방 사이의 대략 중간부의 위치에서의 림 쉘프의 위치에서 변기 보울의 상부 주연 영역에 형성된 영역의 높이 및 림 쉘프의 깊이를 도시하고 있는 도 29의 라인 33-33을 따라 취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보울의 후방의 위치에서의 림 쉘프의 위치에서 변기 보울의 상부 주연 영역에 형성된 영역의 높이 및 림 쉘프의 깊이를 도시하고 있는 도 29의 라인 34-34를 따라 취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5는 플랩퍼 및 유지 링크장치를 갖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갖는 제트 밸브의 실시예에서 개방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을 위한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37은 폐쇄 상태에서 도 35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39는 플랩퍼 및 하부 포핏 개구를 갖는 제트 밸브의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을 위한 다른 제트 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제트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제트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개방 상태에서 도 39의 제트 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별형상 내부 리브 구조체를 도시하고 있는 도 44의 제트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47은 도 44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48은 도 44의 제트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9는 박리형 플랩퍼 커버 및 리프팅 후크를 갖는 힌지결합 기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갖고, 폐쇄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을 위한 다른 제트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제트 밸브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49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52는 도 49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53은 후크의 위치에서 도 52의 밸브의 확대부이다.
도 54는 내부 별형상 리브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상태에서 도 49의 제트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55는 내부 별형상 리브를 도시하고 있는 도 49의 제트 밸브의 본체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의 라인 56-56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49의 것에 유사하지만 대안적인 내부 별형상을 갖는 리브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58은 내부 별형상 리브를 도시하고 있는 도 57의 제트 밸브의 본체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라인 59-59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60은 박리형 플랩퍼 커버 및 유지 링크장치를 갖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갖고, 폐쇄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을 위한 다른 제트 밸브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제트 밸브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62는 도 60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63은 도 60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64는 박리형 커버를 갖는 역류 방지기 기구를 갖지만, 체크 밸브와 같은 다른 역류 방지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튜브의 선택적 특징부를 포함하는, 폐쇄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을 위한 도 49의 제트 밸브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65는 도 64의 제트 밸브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66은 도 64의 제트 밸브의 평면 입면도이다.
도 67은 도 64의 제트 밸브의 우측면 입면도이다.
도 68은 리프팅 후크 기구를 도시하고 있는 도 67의 제트 밸브의 확대부이다.
도 69는 2개의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키트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70은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71은 도 69의 조립체 키트 내의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 및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72는 도 71의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 및 플러시 작동 바아의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69의 조립체 키트에 사용된 밸브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4는 도 73의 밸브 커버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75는 도 73의 밸브 커버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76은 도 73의 밸브 커버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밀봉부의 상면 평면도이다.
도 77은 도 76의 밀봉부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78은 링크결합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는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부분의 확대 정면 입면도이다.
도 79는 도 7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링크결합 디바이스의 확대 상면 평면도이다.
도 80은 연결편을 도시하고 있는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갖는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실시예의 부분의 확대 정면 입면도이다.
도 81은 도 8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연결편의 확대 상면 평면도이다.
도 8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분해도이다.
도 8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분해도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의 분해도이다.
도 85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 내의 커넥터의 대안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69의 조립체 키트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86은 도 85의 조립체 키트 내의 커넥터 및 플러시 작동 바아의 대안 실시예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87은 도 85의 조립체 키트 내의 커넥터 및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2 대안 실시예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88은 부유부 부착부의 대안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도 69에서와 같은 조립체 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89는 부유부 부착부를 도시하고 있는 도 88의 조립체 키트 내의 제2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0은 도 89의 제2 밸브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i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In the draw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phon bow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interior of a tank with a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 rim flush valve assembly;
Figure 2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toilet bowl assembly of Figure 1 showing the interior of the tank.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s 1 and 2 taken along line 3-3.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wl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showing a rim jet flow path in a jet channel curving about the botto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wl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showing the rim shelf flow path.
Figs. 3c-3g are schematic views of the primed water-filled internal space in the embodiment of Fig. 1 in a closed jet passage including a double jet channel with a double passage as in Fig. 3a.
4A is a top plan view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 1;
4B is a plan elevation view of the bowl portion of the toilet assembly showing the jet manifold opening and the rim manifold opening.
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1 taken along line 5-5 of Figure 2 with the flush valve omitted.
Figure 6 is a substantial enlargement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5 showing the jet outlet.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8 taken along line 7-7. Fig.
Figure 8 is a top plan view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1 with the lid removed from the tank.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et flush valve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1;
10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flush valve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
Figure 11 is a front elevation view of the jet flush valve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9;
Figure 12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rim flush valve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1 with an overflow tub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m flush valve of Fig.
14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rim flush valve of Fig.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m of the toilet assembly of Figure 1 and the flush-operated bar for the jet valve.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iphon bow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im channel and at least one rim outlet port.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top plan view of the siphon bowl of Figure 1 showing the rim channel inlet port and the initial rim and jet flow.
1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iphon bowl assembly of Fig.
19 is a top plan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phon bowl assembly of Fig.
20 is a top plan partial top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iphon bowl assembly of FIG. 1 with both a jet reservoir and a rim reservoir.
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phon bowl assembly of FIG. 19 taken along line 21-21 showing the flow of fluid into the jet path wit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removed.
Figure 22 is a partially enlarged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mp region of Figure 21;
Figure 23 is a side view of the siphon for Figure 21 showing the flow of fluid to the jet path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of the bowl of the toilet bowl in the sump area is deflected upwardly from the jet exit port towards the trap inlet, Lt; RTI ID = 0.0 > of an < / RTI >
24 is a partially enlarged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mp region of FIG. 23. FIG.
25 is an isometric vertical section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siphon bow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low of fluid to a rim through which the jet flow passes under the bowl and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is removed;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iphon bowl assembly of Fig. 25 showing fluid flow through the jets.
Figure 27 is a partially enlarged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mp region of Figure 26;
28 is an isometric vertical section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siphon bow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low of fluid to the upper main body portion of the rim from which the rim flush valve and jet flush valve assembly have been removed.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of FIG. 4B to illustrate various cross-sectional views of a rim shelf as shown in FIGS. 30-34.
FIG. 30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 view taken along line 30-30 of FIG. 29 showing the height of the region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region of the toilet bowl at the position of the rim shelf near the location of the rim inlet port and the depth of the rim shelf;
31 is a view showing the height of the region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region of the toilet bowl at the position of the rim shelf at the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bowl and along the line 31-31 of Fig. 29 showing the depth of the rim shelf. Fig.
3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2-32 of FIG. 29 showing the height of the region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region of the toilet bowl at the position of the rim shelf in the forward position of the bowl and the depth of the rim shelf;
Fig. 33 shows the height of the region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region of the bowl and the depth of the rim shelf at the position of the rim shelf at a position approximately at the middl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wl on the side of the bowl opposite to the view of Fig. 31 29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33 of Fig.
3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4-34 of Fig. 29 showing the height of the region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region of the bowl and the depth of the rim shelf at the position of the rim shelf in the rearward position of the bowl;
3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jet valve for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in an open state in an embodiment of a jet valve with a flapper and retaining link mechanism.
Fig. 36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5;
Fig. 37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5 in the closed state.
38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7. Fig.
3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other jet valve for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depicted in a closed state in an embodiment of a jet valve having a flapper and a lower poppet opening.
40 i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9;
41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9;
42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Fig. 4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9; Fig.
Fig. 4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39 in an open state.
Fig. 45 i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4 showing the star-shaped inner rib structure. Fig.
46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4;
Fig. 47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4;
FIG. 4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4; FIG.
Figure 49 i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another jet valve for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in a closed state with a flushing prevention mechanism including a hinged engagement mechanism with a flapper cover and a lifting hook .
50 is a top plan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9;
51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9;
52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9; FIG.
Figure 53 is an enlarged view of the valve of Figure 52 at the position of the hook.
Fig. 54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49 in an open state showing an internally shaped rib; Fig.
Fig. 55 is a top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jet valve of Fig. 49 showing the internally shaped ribs. Fig.
5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6-56 of Fig.
57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having a rib similar to that of FIG. 49 but with an alternate inner star shape.
FIG. 58 is a top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jet valve of FIG. 57 showing the internally shaped ribs. FIG.
FIG. 5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9-59 of FIG. 58; FIG.
Figure 60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nother jet valve for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having a flapper cover with a flapper cover and a retention link mechanism and shown in the closed position.
Fig. 61 is a top plan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0;
62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0;
Fig. 63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0; Fig.
Figure 6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here in a closed state, including an optional feature of an overflow tube for receiving a non-return flow prevention device, such as a check valve, Fig. 4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jet valve shown in Fig.
6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4;
66 is a plan elevation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4;
Fig. 67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4; Fig.
68 is an enlarged view of the jet valve of Fig. 67 showing the lifting hook mechanism.
69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n assembl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a flush operation assembly connected to two valve assemblies;
70 is a top plan view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71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flush actuating bar in the assembly kit of FIG. 69;
7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flush-operated bar of FIG. 71;
7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cover used in the assembly kit of FIG. 69;
74 is a top plan view of the valve cover of Fig. 73;
Fig. 7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valve cover of Fig. 73;
76 is a top plan view of the seal as used in the valve cover of FIG. 73;
77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sealing portion of Fig. 76;
78 is an enlarged front eleva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showing the linkage coupling device.
79 is an enlarged top plan view of the linking device as shown in Fig.
80 is an enlarged front eleva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with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showing a connecting piece.
81 is an enlarged top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iece as shown in Fig.
82 is an exploded view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4 is an exploded view of a tank-to-bowl gasket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assembly kit of FIG. 69, including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connector within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86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n alternat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nd flush actuating bar in the assembly kit of FIG. 85;
87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second alternat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nd flush actuating bar in the assembly kit of FIG. 85;
8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kit as in Fig. 69 modified to include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flotation attachment.
8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in the assembly kit of FIG. 88 showing the floating attachment.
90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of FIG. 89;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내부" 및 "외부", "상부" 및 "하부", "전방" 및 "후방", "앞" 및 "뒤", "좌측" 및 "우측", "상향" 및 "하향"과 같은 단어 및 유사한 취지의 단어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기 조립체의 배향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해를 보조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한정으로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10, 1010, 110, 210, 310, 410 등)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사한 특징을 참조하도록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각각 사용하여, 특정 특징부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것에 반대의 언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 및 그에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일 이러한 특징부의 설명이 유사한 특징부를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used herein, the terms "inner" and "outer", "upper" and "lower", "forward" and "rear", "front" Words such as "downward" and similar purposes are intend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o the orientation of the toilet assembly as show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Embodiments 10, 1010, 110, 210, 310, 410, etc.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us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to refer to simila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based on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should be applicable to the example.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개별 폐쇄형 제트 유로를 통해, 림 플러시 밸브와 같은 림 밸브 및 제트 플러시 밸브로부터 상이한 유체 체적을 전달하기 위해 보울 조립체 내로 유도된 유체 유동을 격리함으로써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마중물 급수식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를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는 공기 충전된 제트 채널과 함께 동작하고 난류 및 유동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를 방출해야 하는 표준형 중력 플러시 사이펀식 변기에 비교하여 더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jet channel by isolating the fluid flow introduced into the bowl assembly for transferring different fluid volumes from the rim valve, such as a rim flush valve, and the jet flush valve, A siphon flush toilet assembly is provided that is operable to maintain an intrinsically-pleated closed jet fluid path. This provides more robust performance compared to standard gravity flush siphon toilets that work with air-filled jet channels and must emit air to minimize turbulence and flow restrictions.

본 발명의 변기 보울 조립체는 보울의 외부의 변기 조립체 내에 제트 채널(들)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로를 갖는다. 제트 채널(들)은, 폐쇄형 제트 유로가 제트 밸브 출구로부터 제트 입구 포트 내로 그리고 제트 채널 내로 그리고 제트 채널을 통해 제트 출구 포트로 유체를 수용하는 한, 선택적 제트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보울 몰드 기하학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연장 영역, 부가의 포트 또는 측면 채널 등을 가질 수도 있다. 폐쇄형 제트 유로는 지속적으로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제트 채널을 유지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격리하여 이에 의해 제트 채널 내로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1) 분위기로 개방된 림 유동 또는 다른 경로로부터 제트 채널을 격리함으로써, (2) 탱크 내의 수위가 플러시 밸브의 개방의 레벨의 레벨로 저하하기 전에 제트 채널 플러시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3) 일 실시예에서 제트 채널 출구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섬프 영역 내의 제트 트랩 내에 밀봉 깊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제트 채널(들) 및 임의의 다른 제트 경로, 영역, 또는 사용되면 선택적 제트 매니폴드에 공기 유동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그리고/또는 (4) 제트 트랩 내의 수위가 공기가 재차 상향으로 그리고 제트 채널 내로 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레벨로 저하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조립체를 구성하고 동작함으로써 성취된다.The toilet bow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losed jet flow path including the jet channel (s) in the toilet bowl assembly outside the bowl. The jet channel (s) may include a bowl mold geometry including an optional jet manifold, as long as the closed jet flow path receives fluid from the jet valve outlet into the jet inlet port and into the jet channel and through the jet channel to the jet outlet port , It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nd extension areas, additional ports or side channels, and the like. The closed jet flow path maintains the jet channel in a continuously primed state and substantially isolates it, thereby helping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jet channel. (2) closing the jet channel flush valve before the level in the tank drops to a level of the level of opening of the flush valve, (3) by closing the jet channel flush valve, In one embodiment, the jet channel (s) and any other jet path, which may include setting the sealing depth in the jet trap within the sump region to assist in blocking air entry into the jet channel outlet, And / or (4) the level in the jet trap is lowered to a level that allows air to travel upward again into the jet channel, and / or (4) to help prevent airflow from entering the optional jet manifold when used, and / ≪ / RTI > and to assure that the assembly is not damaged.

일반적으로, 제트로의 유체의 체적에 대한 림으로의 유체의 체적의 비가 또한 변기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통상의 종래의 사이펀식 제트형 변기에서, 플러시 물의 약 70%가 제트에 동력을 가하고 사이펀을 개시하는데 요구되어, 단지 약 30%만이 림을 통해 보울을 세정하도록 남겨둔다. 본 명세서의 마중물 급수식 변기에서, 훨씬 더 적은 물이 사이펀을 개시하도록 요구되는데, 이는 더 많은 물이 보울을 세정하는데 사용되게 한다. 본 출원인은 약 50% 초과 또는 더 많은 플러시 물이 보울 세정의 상당한 향상을 위해 림에 유도될 수 있는 것을 결정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 60% 초과 및 약 70% 초과 정도의 물이 림에 유도될 수 있다.Generally, the ratio of the volume of the fluid to the rim relative to the volume of fluid in the jets also affects the toilet performance. In a typical conventional siphon jet type toilet, about 70% of the flush water is required to power the jet and initiate the siphon, leaving only about 30% to clean the bowl through the rim. In the priming water toilet of the present disclosure, much less water is required to initiate the siphon, which allows more water to be used to clean the bowl. Applicants have determined that more than about 50% or more flush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im for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wl cleaning. In a preferred embodiment, greater than about 60% and greater than about 70%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im.

전술된 인자에 추가하여, 섬프 영역 내의 물의 충분한 밀봉 깊이를 유지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섬프로부터 제트 채널 내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사이펀을 차단한 후에 제트 채널을 통해 그리고 제트 채널로부터 물의 더 저속의 유동을 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댐으로 충전된 보울로(즉, 사이펀에 기여하기 위해 존재하는 과잉의 물), 대략 약 54 mm 직경의 트랩웨이 내에 사이펀을 개시하여 유지하는 것은 약 950 ml/s 초과의 제트로부터 체적 유량을 요구한다. 이는 7.47 cm2의 제트 출구 포트 면적을 가로질러 127 cm/s의 선형 유량으로 변환된다. 더 대형의 트랩웨이 크기는 사이펀을 개시하고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유량을 요구할 것이고, 더 소형의 트랩웨이는 더 작은 값을 요구할 것이다. 제트로부터의 유량이 약 950 ml/s 미만으로 감소될 때, 사이펀을 차단될 것이다. 약 950 ml/s 미만이지만 약 175 ml/s 초과의 제트로부터의 체적 유량(즉, 제트 출구 포트의 7.47 cm2 면적을 통한 23.4 cm/s의 선형 유량)을 유지하는 것은 폐쇄형 제트 채널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보울이 트랩웨이 댐의 레벨로 완전히 충전될 때, 제트로부터의 유동은, 제트 채널의 상부가 트랩웨이의 댐 아래에 위치되는 한, 마중물을 손실하지 않고 정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factors, another method for maintaining a sufficient sealing depth of water in the sump region and / or preventing back flow of air from the sump into the jet channel is to remove water from the jet channel, To maintain a lower flow rate. For example, initiating and maintaining a siphon in a trapped way of approximately 54 mm in diameter with a dam-filled bowl (i.e., excess water present to contribute to the siphon) Volumetric flow rate is required. Which is converted to a linear flow rate of 127 cm / s across the jet outlet port area of 7.47 cm < 2 & gt ;. Larger trapway sizes will require higher flow rates to initiate and maintain the siphon, and smaller trapways will require smaller values. When the flow rate from the jet is reduced to less than about 950 ml / s, the siphon will be shut off. About 950 ml / s is less than, but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jet from about 175 ml / s exceeds keeping (that is, a linear flow rate of 23.4 cm / s through a 7.47 cm 2 area of a jet outlet port), the air in the jet channel closed Will not enter. When the bowl is fully charged to the level of the trapway dam, the flow from the jet can be stopped without losing the priming as long as the top of the jet channel is located below the dam of the trapway.

제트 플러시 밸브 및 림 플러시 밸브를 위한 이러한 플러시 밸브 작동을 제어하는 것은 다수의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일 방식은 본 명세서에 관련부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313750호 및 미국 특허 제6,823,5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밸브의 사용을 통한 것이다. 이 밸브 제어법은 또한, 예로서 본 명세서에 관련부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704,945호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이중 입구 플러시 밸브에 대한 변형예에 의해, 순수 기계적 방법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로 2개의 플러시 밸브의 최적의 성능을 위해 균형화된 플러시 작동 바아가 사용될 수도 있다.Controlling such flush valve operation for the jet flush valve and the rim flush valve can be done in a number of ways. One approach is through the use of electromagnetic valves, a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0313750 and U.S. Patent No. 6,823,535,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is valve control method may also be accomplished through a pure mechanical method, for example by a modification to a dual inlet flush valve, such as that disclosed in U.S. Patent No. 6,704,945,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lternatively, a balanced flush actuating bar may be used for optimal performance of the two flush valves in sequence, as described herein.

플러시 작동 바아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사용하여 피벗 로드 및 핸들, 또는 다른 플러시 작동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변기 내의 밸브 조립체에 관련하여 피벗 로드의 위치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연결을 제공한다. 보상은 대부분의 밸브 조립체, 플러시 작동 바아 및/또는 피벗 로드가 서로 호환될 수 있게 한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에 의해 제공된 조정은 그 길이를 따른 종방향 이동, 그 종축 둘레의 회전 및/또는 그 횡축 둘레의 회전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flush actuating bar may be connected to the pivot load and handle, or other flushing actuator, using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provides an adjustable connection to compensate for differences in the position of the pivot rod relative to the valve assembly within the toilet. Compensation allows most valve assemblies, flush operating bars, and / or pivot rods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adjustment provided by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may include longitudinal movement along its length, rotation about its longitudinal axis, and / or rotation about its transverse axis.

또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성능은 제트의 자체 마중물 급수(self-priming)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리형" 밸브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커버는 제트 플랩퍼를 개방하도록 요구되는 작동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트 채널(들)이 마중물 급수되는 경우에, 플랩퍼의 상하의 모두의 물의 중량 때문에 통상의 플랩퍼 밸브에서보다 2배 초과의 힘이 요구된다. 커버를 박리 개방함으로써, 밀봉이 파괴되고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몇몇 물이 통해 나오게 되어 커버가 더 용이하게 개방되게 된다. 게다가, 초기 마중물 급수 중에, 밸브가 폐쇄될 때, 제트는 공기로 가득차고, 플랩퍼가 갑자기 개방되면, 플러시 물은 너무 빨리 분출하고 제트 채널(들) 내의 공기는 포집되어 변기 및 그 제트 채널(들)의 기하학 형상에 따라 충분히 방출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마중물 급수식 폐쇄형 제트 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변기가 플런징(plunging)을 요구할 때,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적 역류 방지 디바이스가 제트 플러시 밸브에 제공될 수도 있다.Also, 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system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peelable" valve cover to facilitate self-priming of the jet itself. The cover acts to reduce the actuation force required to open the jet flapp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jet channel (s) is primed, a force of more than two times great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flapper valve is required due to the weight of water both above and below the flapper. By peeling off the cover, the seal is broken and some water is released while the air moves backward, so that the cover is opened more easily. In addition, during the initial priming water supply, when the valve is closed, the jet is filled with air, and when the flapper is suddenly opened, the flushing water is ejected too quickly and the air in the jet channel (s) It may not be sufficiently discharged according to the geometry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a primed water jet type closed jet path, so that when the toilet requires plunging, an optional non-return flow prevention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jet flush valve, as described further below. have.

"박리형" 밸브 커버와 함께 사용을 위한 바람직한 밸브 커버 구조체가 밸브 성능을 최적화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요소는 밸브 커버로부터 밀봉부의 전위(dislocation)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일관적인 플러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링크결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연계되는 밸브 조립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밸브 조립체는 시간 경과에 따라 밸브체들 사이의 적절하고 일관적인 정렬을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A preferred valve cover structure for use with a "peelable" valve cover may optimize valve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locking element may be provided on the seal to prevent dislocation of the seal from the valve cover. Also, to maintain consistent flush performance, a valve assembly may be provided that is linked to each other using a linkage device. Such valve assemblies may be used to ensure proper and consistent alignment between valve bodies over time.

섬프 영역 내의 충분한 포스트-플러시(post-flush) 깊이 및/또는 물이 제트 출구 포트를 통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진입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은 또한 사이펀이 차단되는 동안 더 전통적인 변기 디자인에서 림 채널을 통해 또는 림리스(rimless) 변기 내의 림 쉘프로의 물의 유동을 유지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변기 시스템은 개별 채널과, 림 및 제트로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기구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사이펀 차단 중에 림 입구 포트를 통해 계속 유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림 입구 포트로의 물의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제트 출구 포트의 높이를 초과하는 섬프 영역 내의 수위를 유지하는데 충분하지만, 트랩웨이 내에 사이펀을 유지하는데 불충분하다. 이 방식으로, 공기가 없이 제트 채널을 유지하여, 섬프 영역 내의 밀봉 깊이의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보장이 제공될 수 있다. 제트 및 림을 통한 유동은 또한 섬프 영역 내에 충분한 포스트-플러시 깊이를 유지하도록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Stopping entry of sufficient post-flush depth and / or water into the sump region through the jet outlet port and into the closed jet fluid path within the sump region also prevents the siphon from flowing through the rim channel in a more traditional toilet design Or by maintaining the flow of water to the rim shelves within the rimless toilet. Since the toilet system described herein includes a separate channel and a valve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flow of rim and jets, the system can be designed to continue to flow through the rim inlet port during siphoning. The flow of water to the rim inlet port is preferably sufficient to maintain a water level in the sump region that exceeds the height of the jet outlet port, but is insufficient to maintain the siphon within the trapway. In this way, additional assurance can be provided to maintain the jet channel without air, thereby reducing the dependence of the sealing depth in the sump reg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w through the jet and rim may also be used together to maintain a sufficient post-flush depth in the sump region.

본 발명이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을 제공하는 관련 영역은 6.0 리터 미만, 및 바람직하게는 4.8 리터 미만의 플러시 체적을 갖는 고효율 사이펀식 변기에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변기 보울 조립체의 실시예는 감소된 물 사용량에서 우수한 보울 청결도를 여전히 전달하면서 단일 플러시 변기 및/또는 이중 플러시 변기 조립체에서 약 6.0 liters/flush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약 4.8 liters/flush 이하를 갖는 현재의 변기에 따른 막힘에 대한 저항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훨씬 더 적은 물이 사이펀을 개시하기 위해 제트 채널을 통해 요구됨에 따라, 본 명세서의 마중물 급수식 변기 조립체 실시예는 플러시당 약 4.8 리터 이하까지 기능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플러시당 약 3.0 리터 이하 및 플러시당 약 2.0 리터 정도 기능할 수 있는 초고효율 변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The relevant area w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ment over the prior art is in a high efficiency siphon toilet with a flush volume of less than 6.0 liters, and preferably less than 4.8 liters. Embodiments of the toilet bow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are capable of delivering about 6.0 liters / flush or less in a single flush toilet and / or double flush toilet assembly while still delivering excellent bowl cleanliness at reduced water usa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resistance to clogging with the current toilet with less than 4.8 liters / flush. As much less water is required through the jet channel to initiate the siphon, the priming water toilet assembly embodiments herein are capable of functioning up to about 4.8 liters per flush, preferably less than about 3.0 liters per flush And a very high efficiency toilet which can function at about 2.0 liters per flush.

더욱이, 본 발명이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을 제공하는 제2 관련된 영역은 더 대형 트랩웨이를 갖는 사이펀식 변기에 있다. 트랩웨이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물 소비 및 변기 성능은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기 보울 조립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중물 급수식 제트 매니폴드 및 마중물 급수식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를 통해 성취된 유동에 대한 제한 및 난류의 감소 때문에, 다양한 트랩웨이 크기 및 체적의 사이펀식 변기 내에 마중물 급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변기 보울 조립체가 우수한 플러싱 및 세정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Moreover, the second relevant area w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ment over the prior art is in a siphon toilet with a larger trap way. By changing the size of the trapway, water consumption and toilet performance are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bowl assembly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traps, because of limitations on the flow achieved through the closed jet fluid path including the priming feed manifold and the priming water jet channel in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reduction of turbule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iming water in the siphon toilet of the size and volume of the way, which allows the toilet bowl assembly to maintain good flushing and cleaning capabilities.

본 발명의 변기 시스템의 최대 잠재적인 성능을 성취하기 위해, 폐쇄형 유체 제트 경로는 "마중물 급수"되어야 하는데, 즉 물로 충전되고 공기를 거의 또는 전혀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폐쇄형 유체 제트 경로 및 제트 채널이 상당한 양의 공기를 포함할 때, 변기의 초기 설치 후에 또는 주요 수리 또는 유지보수 후에 해당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형 제트 채널은 시스템의 최대 잠재적인 성능이 성취될 수 있기 전에 마중물 급수되어야 한다. 마중물 급수가 발생하기 위해, 2개의 기본 요구: (1) 폐쇄형 제트 채널을 나올 수 있는 것보다 고속으로 폐쇄형 유체 제트 경로 내로 물이 유동하도록 허용되어야 하는 것, 및 (2) 제트 채널 및 폐쇄형 제트 유로 내에 포함된 공기가 폐쇄형 제트 채널 내로 물의 유동을 통한, 물의 유동을 갖는, 또는 물의 유동에 대한 탈출의 루트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부합되어야 한다.In order to achieve maximum potential performance of the toile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ed fluid jet path must be "primed watering ", i.e. filled with water and containing little or no air. When the closed fluid jet path and the jet channel comprise a significant amount of air, the closed jet channel can achieve the maximum potential performance of the system, as may be the case after initial installation of the toilet or after major repair or maintenance. It must be primed before it can become. In order for priming to occur, two basic requirements are: (1) water must be allowed to flow into the closed fluid jet path at a higher rate than it can exit the closed jet channel; and (2) It must be ensured that the air contained in the jet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flow of water through the flow of water into the closed jet channel, or a route of escape to the flow of water.

"수동 마중물 급수"라 칭할 수 있는 폐쇄형 제트 채널을 마중물 급수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림 밸브를 폐쇄 상태로 방치하고 제트 출구 포트(들)로부터 유동을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차단하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개방하는 것이다. 제트 플러시 밸브는 공기의 기포가 채널로부터 탱크 내로 탈출하는 것으로 더 이상 보여지지 않을 때까지 개방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 시점에 제트 플러시 밸브는 폐쇄될 수 있고 제트 출구 포트는 차단되지 않는다. 탱크의 재충전시에, 시스템은 이어서 완전히 마중물 급수되고 최대 성능 잠재력으로 사용 준비가 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다른 예측되지 않은 이유로(유지보수, 수리 등) 마중물의 손실 또는 설치 후에 처음의 다회의 플러시에 걸쳐 "자기 마중물 급수"하도록 설계된다. 자기 마중물 급수하기 위해, 동일한 2개의 요구가 부합되어야 하지만, 시스템에 고유하게 된다. 자기 마중물 급수 시스템을 보장하는 것은 대부분 제트 플러시 밸브의 기하학 형상 및 디자인, 제트 채널을 포함하는 폐쇄형 유체 제트 경로, 및 제트 출구 포트의 함수이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트 플러시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폐쇄형 제트 채널 내로 고 유량을 가능하게 하고, 유속을 증가시키는 방사상 플러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된 미국 특허 제8,266,723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대부분의 폐쇄형 제트 채널 디자인에서, 제트 채널 내에 포집된 공기의 마지막 부분은 제트 플러시 밸브의 플랩퍼(또는 다른 개방 기구) 바로 아래의 공간으로 상승하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밸브 디자인은 또한 이 나머지 공기의 탈출을 용이하게 해야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박리될 수 있는 플랩퍼와 같은 점진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는 밸브의 일 측으로 물의 유동을 구속하고 유동 주위의 공기의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러시 밸브의 스로트(throat) 내의 특정 패턴 또는 리브는 마찬가지로 공기의 이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simplest way of priming a closed jet channel, which can be termed "passive priming water ", is to remove the jet from the jet outlet port (s), leaving the rim valve in a closed state, To open the flush valve assembly. The jet flush valve must remain open until air bubbles are no longer visible as escaping from the channel into the tank, at which point the jet flush valve may be closed and the jet outlet port not blocked. Upon recharging the tank, the system should then be completely primed and ready for use with maximum performance potential.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ystem is designed to "self priming water" over multiple initial flushes after loss of priming or installation after other unforeseen reasons (maintenance, repair, etc.). To self priming water, the same two requirements must be met, but they are system specific. Guaranteeing a self priming water supply system is mostly a function of the geometry and design of the jet flush valve, the closed fluid jet path including the jet channel, and the jet exit port. 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the jet flush valve may preferably be a radial flush valve that allows a high flow rate into the closed jet channel and increases the flow rate (see, for example, 8,266,723). In most closed jet channel designs, the last part of the air trapped in the jet channel is likely to rise to a space beneath the flapper (or other opening mechanism) of the jet flush valve. Thus, the valve design should also facilitate the escape of this remaining air. As will be described below, progressively opening valves, such as the flapper that can be stripped, can restrict the flow of water to one side of the valve and facilitate escape of air around the flow. Certain patterns or ribs in the throat of the flush valve can likewise facilitate this escape of air.

도 1 내지 도 15,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29 내지 도 34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조립체(10)라 칭하는 변기 보울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10)는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71)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를 포함한다. 제트 플러시 밸브체(21)가 입구(71)와 출구(13) 사이에서 연장하여 내부 유로를 형성한다.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합한 플러시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이러한 밸브 및 부유부를 갖는 커버의 사용의 설명을 위해 뿐만 아니라 도 35 내지 도 68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제트 플러시 밸브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090158호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통한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보다 더 짧은 밸브 높이 프로파일을 갖는다[여기서 림 밸브는 조립체(80)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됨].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체인(119) 또는 다른 링크장치를 거쳐 그에 부착된 부유부(117)를 바람직하게 갖는 커버(115)를 갖는다.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09015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부는 특정 플러시 밸브 디자인에서 진보된 성능 및 부력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다른 플러시 밸브 조립체가 본 발명의 원리에 동작에 사용될 수 있고 향상된 플러싱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1 to 15, 17 to 19, and 29 to 34 illustrate a first embodiment of a toilet bowl assembly,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an assembly 10. The assembly 10 includes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having a jet flush valve inlet 71 and a jet flush valve outlet 13. The jet flush valve body 21 extends between the inlet 71 and the outlet 13 to form an internal flow pat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nd may be any suitable flush valve assembly known or to be developed in the relevant art. Preferably, this is not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use of such a valve and the cover with the flotation, but also in connection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jet flush valve shown in Figures 35-68 and described below, Lt; RTI ID = 0.0 > 2014/0090158, < / RTI >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Figures 7 to 11,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throug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to a shorter valve height < RTI ID = 0.0 > Profile where the rim valve i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assembly 80). Each of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and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preferably has a cover 115 that preferably has a floating portion 117 attached thereto via a chain 119 or other linkage. As described in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0090158, these features help to provide advanced performance and buoyancy control in certain flush valve design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other flush valve assemblies may be used i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provide improved flushing capability.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는 그 제트 플러시 밸브 출구(13)로부터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로 유체를 전달한다.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제트 경로[예를 들어, 조립체(10)의 이중 제트 경로의 단지 하나의 레그만을 강조하고 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 참조] 또는 다수의 채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입구로부터 발생하고 하나의 출구에서 결합하는 2개의 이러한 채널(38)이 제공되고, 반면에 각각의 채널은 도 3a에 도시된 유로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측면에서 보울 주위로 유동한다. 제트 매니폴드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delivers fluid from its jet flush valve outlet 13 to the closed jet fluid path 1. The closed jet fluid path 1 comprises at least one jet channel (s). As shown herein, a single jet path (e.g., see arrows in FIG. 3 highlighting only one leg of the dual jet path of the assembly 10) or multiple channels may be used have.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wo such channels 38 are provided that originate from one inlet and couple at one outlet, while each channel is shown by the flow path shown in FIG. 3A And flows around the bowl from its lower side as well. A jet manifold may optionally be provided.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가 사용된다. 림 플러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인라인 밸브, 전자 밸브를 포함하는 다양한 밸브일 수도 있고, 또는 물은 입구 튜브를 통해 전자식으로 제어된 밸브에 의해 간단히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가 도 1 및 도 2, 도 7 및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각각의 림 밸브 조립체는 림 플러시 밸브 입구(83) 및 림 플러시 밸브 출구(81), 및 입구(83)로부터 출구(81)로 연장하는 림 플러시 밸브체(31)를 갖는다. 림 플러시 밸브(8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림 밸브는, 림 밸브의 출구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림 입구 포트(28)로서 또한 공지된 림 입구로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되기만 하면,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플러시 밸브 조립체 또는 림 밸브일 수도 있다.At least one rim valve is used. The rim flush valve may be a variety of valves including solenoid valves, inline valves, solenoid valves, or water may simply be provided by valves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ugh the inlet tubes. As shown herein, a rim flush valve assembly 80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7 and 8, and 12-14. Each rim valve assembly has a rim flush valve inlet 83 and a rim flush valve outlet 81 and a rim flush valve body 31 extending from the inlet 83 to the outlet 81. The rim flush valve 80 or any other suitable rim valve may be any suitable rim valve as long as it is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from the outlet of the rim valve to the rim inlet port, Lt; RTI ID = 0.0 > flume valve assembly or rim valve.

도시된 실시예에서, 림(32)은 유체가 림 입구 포트(28)를 통해 보울(30) 내로 도입되고 보울(30)의 내부면(36) 내에 형성된 윤곽부 또는 기하학 특징부(들)를 따라 진행하는 점에서 "림리스" 디자인을 갖는다. 즉, 윤곽부는 보울(30)의 상부 주계부(33)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쉘프(들)(27) 또는 유사한 특징부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쉘프는 도 29 내지 도 34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의 도자기(chinaware) 내로 삽입된다. 본 명세서에서 또한 림 쉘프(27)라 칭하는 쉘프(들)는 림 입구 포트(28)로부터 보울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상부 주계부(33) 내에서 그리고, 도 30 내지 도 34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30)의 내부면(36)의 삽입 윤곽부 내에서 보울(30)의 내부면(39)을 따라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변기 보울(30)은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일 수도 있고, 다양한 변기 시트 덮개 및/또는 덮개 힌지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덮개는 선택적이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다수의 이러한 덮개 및 조립체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어, 공지되거나 개발될 임의의 적합한 덮개가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im 3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bowl 30 through the rim inlet port 28 and the contour or geometric feature (s) formed in the interior surface 36 of the bowl 30 It has a "limes" design in order to follow along. That is, the contour portion may be one or more shelves () 27 or similar features formed along the upper main stake 33 of the bowl 30. As shown, the shelf is inserted into the chinaware of the bowl, as best shown in Figs. 29-34. The shelf (s), also referred to herein as the rim shelf 27, are locat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upper main stake 33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bowl from the rim inlet port 28, Extends generally transversely along the inner surface 39 of the bowl 30 within the insertion contour of the inner surface 36 of the bowl 30 as shown. The toilet bowl 30 may be of various shapes and configurations, and may have a variety of toilet seat covers and / or cover hinge assemblies. Such a cover is optional and not shown in the figures, and a number of such covers and assemblies are known in the relevant art and any suitable cover to be known or to be developed may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쉘프(27)는 세척을 위해 와류 유동 효과를 유도하도록 종료 전에 거의 전체 내부면 주위로 연장할 수 있다. 림 쉘프 디자인은 림리스 특징부를 설명하는 견지에서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219605 A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8의 대안적인 "림리스" 실시예(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림 쉘프 및 다수의 림 입구를 또한 수용할 수 있다. 영국 특허 출원 GB 2 431 937 A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디자인 또는 이러한 디자인의 임의의 미래의 변형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보울은 전통적인 중공 림이 없이 형성되고, 유체가 보울 주위의 적어도 부분 경로 주위로 통과하여 림 입구로부터 횡방향으로 변위되는 위치(들)에서 보울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보울 표면의 윤곽부 내에서 쉘프 또는 유사한 기하학 특징부를 형성하는 상부 주계부 내의 보울의 윤곽형성된 내부면 주위로 물이 유도된다. 전통적인 상부 림에 의해 형성된 림 채널 내로 공급하는 림 입구 포트를 갖는, 그리고 보울의 내부 영역 내로 세척수를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림 출구 포트를 갖는 표준 림 채널이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도 16 및 실시예(110) 참조]. 이러한 림은 압축될 수도 있고 또는 압축되지 않을 수도 있고, 실시예(110)에 관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특징부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110)의 림 특징부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 1 내지 도 13 또는 도 28에 도시된 림리스 버전 내에 합체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shelf 27 can extend about the entire inner surface before termination to induce eddy flow effects for cleaning. The rim shelf design is described in co-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219605 A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n the light of the description of the rimless feature, and the alternative " A plurality of rim shelves and a plurality of rim entrances can also be accommodated, as shown in embodiment (410). A similar design as disclosed in British Patent Application GB 2 431 937 A or any future version of this design may be used as well, wherein the bowl is formed without a conventional hollow rim, To form a shelf or similar geometric feature within the contour of the bowl surface as shown, which allows it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bowl at the position (s) displaced laterally from the rim inlet. Water is induced around the contoured inner surface. A standard rim channel having a rim inlet port that feeds into a rim channel formed by a conventional top rim and one or more rim outlet ports for introducing wash water into the interior region of the bowl may also be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See Figure 16 and Example 110). Such a rim may or may not be compressed, and may have various features as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embodiment 110. The rim features of embodiment (110)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rimless version shown in Figures 1 to 13 or 28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립체(1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쉘프(17)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프(27)는 변기 보울의 내부면으로부터 윤곽부 내로 횡방향으로 측정될 때 비교적 일정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깊이(d) 및 쉘프(27)로부터 쉘프 위의 상부면(47)으로 종방향으로 측정된 높이(h)를 갖고 윤곽부 내에 있다. 쉘프 폭(s)은 림 출구 포트로부터 림 유로를 따라 변동한다. 윤곽부는 내향 연장부(43) 및 쉘프(27) 위의 상부면(47)을 갖는데, 이 상부면은 쉘프를 따라 연장하지만 윤곽부가 도 3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림 입구 포트로부터 강한 유체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깊이보다 다소 더 큰 높이(h1) 및 쉘프 폭(s1)을 갖는 영역에서 더 깊은 쉘프를 제공하도록 쉘프가 크기가 변화하고, 림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s2 및 s3 참조) 보울의 전방을 향해 쉘프를 따라 계속됨에 따라 보울의 후방과 전방 사이의 대략 중간부의 위치(도 31 참조)에서 적당하게 큰 쉘프 크기를 유지한다. 깊이(d)는 비교적 일정하지만, 높이(h)는 보울의 전방을 향해 신장하기 시작하고(h2 및 h3 참조), 반면에 쉘프 폭은 감소한다(s2 및 s3 참조).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깊이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로 유지된다. 높이는 유동의 착수시에 약 35 mm 내지 약 50 mm로부터 보울의 후방과 전방 사이의 중간점에서 약 35 mm 내지 약 50 mm로, 그리고 보울의 전방에서 약 40 mm 내지 약 55 mm로 변동한다. 쉘프 폭은 s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s는 쉘프의 삽입 에지에서 제1 곡률반경(r)으로부터 쉘프가 하향으로 가늘어지는 경우에 제2 곡률반경(R)으로 접선을 따라 취한 횡방향 측정치이다. 쉘프는 제1 반경으로부터 접선과 각도(α)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α)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0 내지 도 34의 경로를 따라 쉘프가 진행함에 따라 각각 7°, 5°, 7°, 22° 및 31°이다.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경이 확대되고 쉘프 폭(s)은 쉘프가 종료함에 따라 하향 기울기로 소멸한다.In the assembly 10, the shelf 17 may be inserted, as described above. 30 to 34, the shelf 27 has a relatively constant, preferably constant depth d, as measured transversely from the interior surface of the bowl to the contour, and a relatively constant depth d from the shelf 27, And has a height h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47 of the frame. The shelf width (s) fluctuates along the rim channel from the rim exit port. The contour has an inwardly extending portion 43 and an upper surface 47 on the shelf 27 that extends along the shelf but the contour does not allow a strong fluid flow from the rim inlet port the in having a slightly greater height than the depth (h 1) and the shelf width (s 1) for receiving areas so as to provide deeper shelves and shelf with a change in size, the rim illustrated in Figure 32 as (s 2 and s 3 ) maintains a suitably large shelf size at a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see FIG. 31) between the rear and front of the bowl as it continues along the shelf toward the front of the bowl. The height d is relatively constant, but the height h begins to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bowl (see h 2 and h 3 ), while the shelf width decreases (see s 2 and s 3 ). Preferably, the depth in one embodiment herein is maintained between about 10 mm and about 30 mm. The height varies from about 35 mm to about 50 mm at the start of the flow from about 35 mm to about 50 mm at the midpoint between the rear and front of the bowl and from about 40 mm to about 55 mm at the front of the bowl. The shelf width is shown by s, where s is the lateral measurement taken along the tangent with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 when the shelf is tapered down from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 at the insertion edge of the shelf . The shelf is at an angle (alpha) with the tangent from the first radius.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Is 7 °, 5 °, 7 °, 22 ° and 31 °, respectively, as the shelf progresses along the path of FIGS. 30-34 as shown. As the angle increases, the radius increases and the shelf width (s) disappears with a downward slope as the shelf terminates.

도 34에서 보울의 전방으로부터 보울의 후방을 향해 진행하는 중간점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의 대향 측면으로 유동이 계속함에 따라, 깊이(d)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높이는 도 33의 중간점에서 약 45 mm 내지 약 60 mm로 약 50 mm 내지 약 65 mm인 보울의 후방부로 더 신장한다. 높이가 신장함에 따라(h4 및 h5), 쉘프(27)는 곡선으로 감소하고 결국에는 종료한다.33, the depth d remains constant as the flow continues from the front of the bowl toward the back of the bowl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owl as shown in Fig. 33 at the midpoint, Lt; RTI ID = 0.0 > about < / RTI > 45 mm to about 60 mm. As the height increases (h4 and h5), the shelf 27 decreases to a curve and eventually ends.

보울 조립체는 제트 채널(38)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을 형성하는 제트(20)를 또한 포함한다. 제트(20)는 제트 플러시 밸브(70)의 출구(13)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18) 및 보울(30)의 하부 또는 저부 부분(39)에 위치된 제트 출구 포트(42)를 갖는다. 제트 출구 포트는 보울(30)의 섬프 영역(40)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다양한 단면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간이 마중물 급수되고 임의의 구멍 또는 출구가 제트 트랩 밀봉 깊이에 대한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섬프 내의 물 라인 아래에 있으면, 폐쇄형 제트 유로가 유지되기만 하면, 원한다면 다수의 제트 출구 또는 다수의 부가의 경로 또는 보울 내의 공간으로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가의 선택적 영역 또는 경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부가의 제트 출구가 바람직하게는 주 출구 아래에 있다. 도 3c 내지 도 3g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채널(38) 주위의 보울 기하학 형상에 의해 생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제트의 형상은 채널 자체보다 크고, 입구(18)와 출구(13) 사이로 연장한다. 제트 형상은 도 3c 내지 도 3g의 상면 평면도, 저면 사시도, 우측 입면도, 후면도 및 좌측 입면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형상 또는 공통 영역은 제트(20)의 내부 공간이 사용시에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면 다양할 수도 있다.The bowl assembly also includes a jet 20 that forms at least one jet channel, such as a jet channel 38. The jet 20 has an inlet port 18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3 of the jet flush valve 70 and a jet outlet port 42 located in the lower or bottom portion 39 of the bowl 30. The jet exit por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nd sizes to deliver fluid to the sump region (40) of the bowl (30). If the space is primed and any openings or exits are below the water line in the sump to avoid impact on the jet trap sealing depth, as long as the closed jet flow path is maintained, multiple jet outlets or multiple additional paths Or an additional optional area or path including an opening into the space within the bowl. The additional jet outlet is preferably below the main outlet. As best seen in Figures 3c-3g, the shape of the inner jet, including the space created by the bowl geometry around the channel 38, is larger than the channel itself, and the inlet 18 and outlet 13, . The jet shape is shown in a top plan view, a bottom perspective view, a right elevation view, a rear view, and a left elevation view of Figs. 3c to 3g, respectively. The shape or common area may vary as the interior space of the jet 20 is maintained and primed during use.

섬프 영역(40)은 댐(45)을 갖는 트랩웨이(44)로의 입구(49)와 유체 연통한다.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는 제트 채널(들)(38)을 포함한다. 제트 플러시 밸브(70)는 바람직하게는 트랩웨이의 댐(45) 위에 레벨(L)에 위치된다.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는 바람직하게는 제트 플러시 밸브(70)의 출구(13)로부터 제트(20)의 출구 포트(42)로 연장한다. 일단 조립체가 마중물 급수되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는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그리고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로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ump region 4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49 to the trapway 44 with the dam 45. Closed jet fluid path 1 includes jet channel (s) 38. The jet flush valve 70 is preferably located at level L above the dam 45 of the trapway. The closed jet fluid path 1 preferably extends from the outlet 13 of the jet flush valve 70 to the outlet port 42 of the jet 20. Once the assembly is primed, the closed jet fluid path 1 can be primed with fluid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closed jet fluid path befor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입구와 제트 경로 사이의 공간 또는 영역을 삽입하고 제트 매니폴드 입구 개구 및 출구(도시 생략)를 통한 유체 연통을 제공함으로써 제트 매니폴드(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기 보울 조립체는 림 매니폴드(도시 생략)를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이러한 림 매니폴드가 또한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의 출구(81) 단부와 연통하여 그리고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의 출구(81)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 및 림 입구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출구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림 및 제트 매니폴드는 도 16의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10)에서, 림(32)은 림리스 쉘프이다(림 채널을 갖는 전통적인 림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음). 쉘프는 보울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The closed jet fluid path may include a jet manifold (not shown) by inserting a space or reg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jet path and providing fluid communication through a jet manifold inlet opening and an outlet (not shown). The toilet bowl assembly may have a rim manifold (not shown). Any such rim manifold also includes a rim manifold inlet opening and rim for receiving fluid from the outlet 81 of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81 end of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It would have to have an outlet to deliver the fluid to the inlet. These rims and jet manifolds ar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In the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im 32 is a rimless shelf (a conventional rim having a rim channel may also be used). The shelf extends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bowl.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설치될 때, 조립체가 설치되고, 탱크(60)가 탱크를 통해 충전 밸브 내로의 유체의 유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수도, 탱크물, 우물물 등일 수도 있는 유체의 소스(SF)와 유체 연통하는 탱크(60)를 포함한다. 탱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66)를 갖는다. 충전 밸브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탱크 내의 원하는 체적을 유지하도록 물의 적절한 공급을 제공하기만 하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합한 충전 밸브일 수도 있다. 탱크(6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모두를 유지하는 하나의 대형 개방 컨테이너일 수도 있다. 탱크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를 갖도록 실시예(1010)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정될 수도 있다. 분할형 저장조가 제공되면, 제트 저장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와 함께 충전 밸브 또는 제트 충전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림 저장조는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탱크 또는 림 충전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원한다면, 이러한 림 저장조는 또한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 상에 오버플로우 튜브(91)를 수용할 수도 있다.The assembly is preferably installed when the assembly is installed and the source SF of the fluid, which may be water, tank water, well water, etc., so that the tank 60 can receive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tank into the filling valve And a tank 60 in fluid communication therewith. The tank preferably has at least one filling valve (66). The fill valve may be any suitable fill valve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or will be developed, so long as it provides an adequate supply of water to maintain the desired volume in the tank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The tank 60 may be one large open container that holds both the rim and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s shown in Figures 1-13. The tank may also be modified a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embodiment 1010 to have at least one jet reservoir and at least one rim reservoir. If a split reservoir is provided, the jet reservoir may include a fill valve or jet fill valve with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and the rim reservoir may include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and tank or rim fill valve . ≪ / RTI > If desired, such a rim reservoir may also receive the overflow tube 91 on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도 1 내지 도 13의 변기 보울 조립체는 약 6.0 리터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약 4.8 리터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리터 이하의 플러시 체적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s in other embodiments herein, the toilet bowl assembly of Figures 1 to 13 is capable of operating in a flush volume of about 6.0 liters or less, and preferably about 4.8 liter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about 2.0 liters or less .

보울의 섬프 영역(40)은 바람직하게는 보울의 하부 부분(39) 내의 보울(30)의 내부면(36)에 의해 형성된 제트 트랩(41)을 갖는다. 제트 트랩(41)은 입구 단부(46) 및 출구 단부(50)를 갖는다. 제트 트랩의 입구 단부(46)는 제트 출구 포트(42) 및 보울(30)의 하부 부분(39)의 내부 영역(37)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고, 제트 트랩(41)의 출구 단부(50)는 트랩웨이(44)로의 입구(49)를 포함하고 그 내로 유동한다. 제트 트랩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밀봉 깊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3 및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깊이, 제트 경로 및 깊이(x)의 측정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된 모든 변형은 또한 도 16의 실시예(110) 내에 즉시 합체되고 동작 가능하다.The sump region 40 of the bowl preferably has a jet trap 41 formed by the internal surface 36 of the bowl 30 in the lower portion 39 of the bowl. The jet trap 41 has an inlet end 46 and an outlet end 50. The inlet end 46 of the jet trap receives fluid from the jet outlet port 42 and the interior region 37 of the lower portion 39 of the bowl 30 and the outlet end 50 of the jet trap 41 Includes an inlet 49 to the trapway 44 and flows into it. The jet traps have a sealing depth as described further below. All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of the sealing depth, the jet path and the depth (x), as show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10 shown in Figures 1 to 13 and 29 to 34, Lt; RTI ID = 0.0 > 110 < / RTI >

조립체(10)와 같은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조립체를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초기 단계는 110, 1010, 210, 310 및 410 등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특징부를 갖는 변기 보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특히 그 내부에 제트 채널(38)을 갖는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1)가 제트 플러시 밸브(70)의 출구(13)로부터 제트(20)의 출구(42)로 연장하여, 일단 마중물 급수되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는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그리고 완료 후에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에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로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플러시 사이클은 플러시 핸들(H)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자기 외부 및 핸들(H)은 본 명세서의 재료로부터 형성되거나 구비하여 항균성 표면을 제공한다. 핸들과 같은 플러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플러시 사이클을 개시한 후에, 핸들은 플러시 작동 바아(75)에 동작식 연결하는 부분(탈착 가능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갖는다.In order to keep the siphon flush toilet assembly, such as assembly 10, in a primed water supply state, the initial steps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various other embodiments herein, including 110, 1010, 210, 310, Wherein a closed jet fluid path 1 having a jet channel 38 therein is provided from the outlet 13 of the jet flush valve 70 to the outlet of the jet 20, Once closed, the closed jet fluid path is able to be primed with fluids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closed jet fluid path befor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do. The flush cycle is operated by any suitable actuator, such as a flush handle H.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ottery exterior and handles H are formed or provided from the materials herein to provide an antimicrobial surface. After initiating the flush cycle by a flush actuator, such as a handle, the handle has a portion (which may or may not be removabl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flush actuating bar 75.

밸브는 모두 동시에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플러시 핸들의 표준 작동 바아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음)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균형화 접근법을 제공하는 도 15의 것과 같은 플러시 작동 핸들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플러시 밸브 커버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승을 위한 타이밍 변화 및/또는 조정을 가질 수 있다. 도 1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H)은 회전 가능한 이동 링크장치(RL)를 갖는 피벗 로드(P)와 동작식으로 연결하고 있다. 임의의 힌지, 핀 연결부, 와셔 또는 다른 회전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75)는 링크장치(RL)를 통해 피벗 로드(P)에 가동 연결을 위한 균형점(BP)을 갖는다. 유사한 가동 및 회전 가능한 링크장치(RL')[회전 가능한 링크장치(RL)와 동일할 수도 있음]가 균형점(BP)에서 플러시 작동 바아(75)에 피벗 로드 및 그 링크장치(RL)를 연결한다. 균형점은 핸들(H)이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하도록 눌러질 때 각각의 밸브의 개방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타이밍 조절하기 위해 플러시 밸브로 동작하도록 설계에 의해 선택된다. 핸들(H)이 눌러질 때, 피벗 로드(P) 및 링크장치(RL)는 링크장치(RL)를 갖는 단부에서 상향으로 압박된다. 이는 이어서 작동 바아(75) 상으로 상향으로 당겨진다. 단지 하나의 바아만이 제조될 필요가 있지만 다양한 밸브 커버 중량 및 플러시 타이밍 패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균형점을 위한 링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을 갖는 바아(75)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에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워시다운식 변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방식의 플러시 변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The valves may have actuators that may all be open simultaneously (which may be done by a standard operating bar of the flush handle), or by using a flush operation handle such as that of FIG. 15 to provide a balanced approach, the weight of each flush valve cover / RTI > and / or < / RTI > As best shown in FIG. 15, the handle H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 pivot rod P having a rotatable mobile linkage RL. Any hinges, pin connections, washers or other rotating connectors may be used. The flush operating bar 75 has a balance point BP for the movable connection to the pivot rod P via the link device RL. A similar movable and rotatable linkage RL '(which may be identical to the rotatable linkage RL) connects the pivot load and its linkage RL to the flushing bar 75 at the balance point BP . The balance point is selected by design to operate as a flush valve to specifically and mechanically timing the opening of each valve when the handle H is pressed to actuate the flush cycle. When the handle H is pushed, the pivot rod P and the link device RL are urged upward at the end with the link device RL. Which is then pulled upward onto the actuating bar 75.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r 75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provide a linkage for various balance points so that only one bar needs to be manufactured but can be used for various valve cover weights and flush timing patterns. While the flush actuation assembly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phon flush toilet, it is understood that the flush actuation assembly may be used with any type of flush toilet seat including a wash-down toilet.

조립체 키트(1100)는 도 69 내지 70 및 도 8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H)과 하나 이상의 밸브 사이의 작동 및 통신을 향상시키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조립체 키트(1100)는 피벗 로드(P),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및 커넥터(11260)를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를 가질 수도 있다. 피벗 로드(P)의 일 단부(11142)는 탱크의 외부 상에 위치된 핸들(H), 또는 임의의 다른 플러시 작동 기구에 연결될 수도 있고, 반면에 피벗 로드(P)의 대향 단부(11143)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사용하여 커넥터(1126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피벗 로드(P)는 임의의 표준 또는 통상의 피벗 로드일 수도 있고, 또는 탱크의 크기 및 구성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8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들)일 수도 있는, 피벗 로드(P) 상의 연결 요소(11145)의 위치는 피벗 로드, 또는 변기 탱크의 제조업자에 따라 밸브 개구에 관하여 피벗 로드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제조업자는 피벗 로드(P)의 길이를 따라 연결 요소(11145)를 위한 약간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피벗 로드(P) 자체의 형상은 다양할 수도 있다. 커넥터(11260)에 대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예는 연결 요소의 상이한 위치를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임의의 피벗 로드(P), 뿐만 아니라 다른 비통상적인 플러시 액추에이터가 본 실시예와 호환 가능하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커넥터의 실시예의 변형예는 또한 핸들 및 피벗 로드 구성의 편차 및/또는 탱크 크기의 편차에 기인하여 밸브체(1131, 1121)에 관하여 핸들(H) 및 피벗 로드(P)의 정확한 위치설정의 편차를 상쇄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는 적절한 양의 상승이 밸브에 제공되어 원하는 작동을 트리거링하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Assembly kit 1100 may be provided to improve 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handle H and one or more valves, as shown in Figs. 69-70 and Fig. Assembly kit 1100 may have a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that includes a pivot rod P, a flush actuating bar 1175 and a connector 11260. One end 11142 of the pivot rod P may be connected to a handle H located on the exterior of the tank or any other flush actuating mechanism while the opposite end 11143 of the pivot rod P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260 using a rotatable connection. The pivot load P may be any standard or conventional pivot load, or it may be adjusted to the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tank.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element 11145 on the pivot rod P, which may be one or more opening (s), as shown in Figure 85, may be determined by the pivot rod, or the pivot rod As shown in FIG. Each manufacturer may have slightly different positions for connecting element 11145 along the length of pivot rod P, or the shape of pivot rod P itself may vary.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for the connector 11260 may be used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connecting elements and thus a substantially arbitrary pivot rod P as well as other unconventional flush actuators It is contemplated that it is compatible with this embodiment.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the handle H and pivot rod P with respect to the valve bodies 1131 and 1121 due to variations in handle and pivot rod configurations and / It may be useful to offset the deviation of the exact positioning. As such, the connector may ensure that a suitable positive lift is provided to the valve to trigger the desired operation.

도 8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1260A)는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를 생성하는 제1 체인 단부(11264)에서 피벗 로드(P) 내의 연결 요소(11145) 및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생성하는 제2 체인 단부(11266)에서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상의 연결 요소(11261)에 후크결합되는 체인(C3)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의 각각의 변형예에서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및 피벗 로드(P)는 도 69 내지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사용에 관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 플러시 작동 바아 및 피벗 로드와 동일할 수도 있다. 사용된 커넥터(11260)의 유형에 따라, 피벗 로드 상의 연결 요소 및 커넥터는 이들 요소 사이에 회전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도록 변동될 수도 있다. 커넥터(11260)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가 피벗 로드(P)에 관련하여 축(LAc) 둘레로 회전할 수도 있지만 피벗 로드(P)는 축(LAc) 둘레로 회전하지 않도록 그 종축(LAc)(도 85)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인 회전 이동을 제공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피벗 로드(P)와 커넥터(11260) 사이의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는 피벗 로드(P)의 횡축(TAp) 둘레에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해야 한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와 커넥터(11260) 사이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횡축(TAb) 둘레에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11260)는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되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이다. 피벗 로드(P)에 관련하여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커넥터의 본 실시예의 부가의 변형예가 또한 허용 가능한 커넥터이고 도 86 및 도 87에 도시되어 있다.85, the connector 11260A includes a connecting element 11145 in the pivot rod P at the first chain end 11264 creating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and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45 in the pivot rod P, Is shown as a chain C3 hooked to a connecting element 11261 on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t a second chain end 11266 which creates a second chain end 11157. In each variation of the embodiment,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nd the pivot rod P a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lush actuating bar < RTI ID = 0.0 > And the pivot load. Depending on the type of connector 11260 used, the connecting elements and connectors on the pivot rods may be varied to form a rotatable connection between these elements. Connector (11 260) has its longitudinal axis so as not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flush operation bar 1175 is in relation to the pivot rod (P) axis (LA c) may be rotated at a circumferential, but the pivot rod (P) has the axis (LA c) ( LA c ) (Fig. 85). In addition,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between the pivot rod P and the connector 11260 should be rotatably positionable about the transverse axis TA p of the pivot rod P. [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between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nd the connector 11260 should be rotatably positionable about the transverse axis TA b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Preferably, the connector 11260 is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as shown in Figures 69 and 70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 further modification of this embodiment of the connector sufficient to provid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lush-actuated bar 1175 with respect to the pivot rod P is also an acceptable connector and is shown in Figs. 86 and 87. Fig.

도 86 및 도 87은 그 종축(LAc) 둘레에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 커넥터(11260B, 11260C)의 부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의 이들 변형예의 종축(LAc) 둘레의 회전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중심점(LC)에서 커넥터의 길이(lc)를 따라 위치된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에 의해 제공된다. 유사한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가 커넥터(11260)를 위한 대안 실시예로서 도 69에 도시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를 사용하여 실시예(1100)의 변형예에 관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7에 관련하여, 스페이서(11262)는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와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11262)는 종축 둘레로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더 용이한 회전을 제공하도록 포함될 수도 있지만, 이는 커넥터가 적절하게 기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지는 않다.86 and 87 illustrate additional variations of connectors 11260B and 11260C that provide rotational movement about its longitudinal axis LA c . The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axis LA c of these variations of the connector is preferably provided by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located along the length l c of the connector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LC. A similar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is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a variant of embodiment 1100 using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shown in FIG. 69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for connector 11260 will be. 87, the spacer 1126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and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s shown in Fig. Spacer 11262 may be included to provide easier rotation of flushing bar 1175 about its longitudinal axis, but this is not necessary for the connector to function properly.

도 85에서, 체인(11260A)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와 피벗 로드(P) 사이의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는 핀(11146)이 커넥터(11260A) 상에 위치된 개구(11158)를 통해 삽입되는 힌지형 연결부일 수도 있다. 구멍 내로 삽입된 후크, 다른 요소 상의 개구 또는 만입부 내로 삽입된 일 요소 상의 돌기의 사용, 볼 및 소켓 스타일 조인트,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공지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피벗 로드의 횡축(TAp) 둘레의 회전을 허용하는 커넥터(11260)와 피벗 로드(P) 사이의 임의의 연결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피벗 로드(P)와 커넥터(11260) 사이의 유사한 연결부가 도 69 내지 도 72에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관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In Figure 85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between the connector and pivot rod P as shown as chain 11260A is pivoted through opening 11158 where pin 11146 is positioned on connector 11260A It may be a hinged connection portion to be inserted. The transverse axis TA p of the pivot rod, including the hooks inserted into the holes, the use of the protrusions on one element inserted into the opening on another element or the indentation, the ball and socket style joint, as well as any other known connection, It is understood that any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1260 and the pivot rod P that allows rotation of the pivot rod P may be used. Similar connections between the pivot rod P and the connector 112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n Figures 69-72.

마찬가지로, 플러시 작동 바아(1175)와 커넥터(11260) 사이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는 커넥터와 피벗 로드 사이의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를 위해 사용된 연결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도 86 및 도 8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기(11263)가 커넥터(11260B, 11260C)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형 연결부(11268)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돌기(11263)는 돌기의 스프링 및/또는 비틀림 압축을 통해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내의 개구(11165) 및/또는 플러시 작동 바아의 측면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는 플러시 작동 바아의 횡축(TAb)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도 있다. 양 요소 내의 개구를 통한 핀의 사용, 개구 내에 삽입된 후크, 볼 및 소켓형 조인트, 뿐만 아니라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다른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와 함께 사용을 위해 적합한 부가의 유형의 연결 디바이스가 또한 고려된다. 커넥터(11260)와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사이의 유사한 연결부가 도 69 내지 도 72에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관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Likewise,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between the flush actuation bar 1175 and the connector 1126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used for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pivot rod . As shown in Figs. 86 and 87, a hinge-shaped connecting portion 11268 in which the protrusion 1126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nnectors 11260B and 11260C may be used. These protrusions 11263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1165 in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nd / or the side of the flush actuating bar through spring and / or torsional compression of the protrusions. Flush actuation bar 1175 may also rotate freely about the transverse axis TA b of the flush actuating bar. Use with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including the use of a pin through an opening in both elements, a hook inserted into the opening, a ball and a socket-type joint, as well as any other rotatable connection known or to be developed Additional types of connecting devices suitable for use are also contemplated. Similar connections between the connector 11260 and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n Figures 69-72.

커넥터(11260A-11260C)의 다수의 예시적인 변형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종축(LAc) 둘레에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 임의의 커넥터(11260)가 플러시 작동 조립체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회전 이동은 밸브 조립체를 작동하기 위해 플러시 작동 바아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11260)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일 수도 있고,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a number of exemplary variations of connectors 11260A-11260C are described herein, it is understood that any connector 11260 that provides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axis LA c may be used in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This rotational movement may cause the flush actuating bar to be in the proper position to actuate the valve assembly. Preferably, the connector 11260 may be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and the flush actuation assembly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below.

도 71은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2는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평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가 다양한 상이한 피벗 로드(P) 및/또는 다양한 상이한 밸브 구성과 함께 작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서로에 관하여 조정 가능한 연결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구성의 조정 가능성은 그 종축 둘레의 회전, 횡축 둘레의 회전 및/또는 그 종축을 따른 이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목적으로 특정 바람직한 구조체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는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11151), 제2 섹션(11152)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갖는다.Fig. 71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Fig. 72 show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shown in Figs. 69 and 70. Fig. The preferred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s configured to work with a variety of different pivot rods (P) and / or various different valve configurat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have a connection element that is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adjustability of the configuration may include rotation about its longitudinal axis, rotation about its transverse axis, and / or movement along its longitudinal axis. Specific preferred structures for this purpose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preferably has a first section 11151, a second section 11152 and an adjustable connector 11156.

제1 섹션(11151)은 바람직하게는 피벗 로드(P)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를 갖는다. 피벗 로드(P)와 연결부의 구성은,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연결된 피벗 로드(P)의 단부(11143)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가 또한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연결된 피벗 로드(P)의 단부(11143)는 핸들(H)이 눌러질 때 상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종방향 중심선(CL)에 횡방향인 축 둘레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가 적어도 회전하게 하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핀, 또는 후크가 삽입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 구멍 내에 삽입될 후크, 볼 및 소켓 조인트, 스냅 체결구, 다른 힌지결합된 구조체,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section 11151 preferably has a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the pivot rod (P). The configuration of the pivot rod P and the connection is such that when the end 11143 of the pivot rod P connected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s moved upwards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also moves upward . The end 11143 of the pivot rod P connected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move upward when the handle H is pushed.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causes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to rotate at least about an axis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Pins, or hooks, ball and socket joints, snap fasteners, other hinged structures, or any other known conn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one or more openings through which the hooks may be inserted.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는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의 사용을 통해 피벗 로드(P)에 연결된다.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 내의 개구(11158)가 바람직하게는 피벗 로드(11143)의 단부 내의 개구와 정렬된다. 일단 개구가 정렬되면, 핀(11146)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핀이 원래 삽입되었던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핀은 바람직하게는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던 핀의 단부 내의 개구 내에 코터핀(cotter pin)(11139)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스프링 장전된 핀, 분할 핀, 또는 바람직하게는 핀(11146)이 개구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다른 핀을 포함하는, 핀을 고정하는 다른 방식이 가능하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를 피벗 로드(P)에 연결하기 위해 개구를 통해 핀(11146)을 삽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피벗 로드(P)에 관하여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회전을 허용하는 2개의 요소를 연결하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3)의 회전 양태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종방향 중심선(CL)이 피벗 로드(P)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탱크 저부에 수직으로 남아 있게 한다.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pivot rod P through the use of a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The opening 11158 in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is preferably aligned with the opening in the end of the pivot rod 11143. Once the openings are aligned, the pin 11146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secured to the opposite side from the side from which the pin was originally inserted. The pin is preferably secured by inserting a cotter pin 11139 into the opening in the end of the pin that wa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ther ways of securing the pin are possible, including spring loaded pins, split pins, or other pins which preferably do not allow the pin 11146 to be removed from the opening. The method of inserting the pin 11146 through the opening to connect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to the pivot rod P is preferred but allows rota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with respect to the pivot rod P It is understood that any method of linking two elements may be used.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11153 causes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to move vertically to the bottom of the tank as it is moved upwardly by the pivot rod P.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2 섹션(11152)은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의 사용을 통해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1 섹션(1115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는 제2 섹션(11152)이 제1 섹션(11151)에 관련하여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종방향 중심선(CL) 둘레로 회전하게 한다.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는 또한 제2 섹션(11152)이 종축을 교차하는 임의의 평면을 따라 진자와 같이 전후로 요동하게 하는데, 이 운동은 항상 탱크의 저부에 수직이 아니도록 제2 섹션(11152)의 종축이 자유롭게 한다.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는 제1 섹션(11151)에 관하여 제2 섹션(11152)이 종축 둘레로 회전하게 하고 제2 섹션의 종축을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전후로 요동하게 하는 섹션(11151, 11152) 사이에 사용될 수도 있는 커넥터의 일 가능한 유형이다. 그러나, 후크 및 루프 또는 하나 또는 양 섹션(11151, 11152)에서 개구와 함께 핀을 사용하는 힌지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들 방식 중 단지 하나로 각각에 관하여 섹션(11151, 11152)의 회전을 허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커넥터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는 제1 섹션(11151)과 제2 섹션(11152) 사이에 가능한 이동 또는 회전을 갖지 않는 단일의 유닛일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The second section 11152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11151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through use of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causes the second section 11152 to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L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relative to the first section 11151. [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also causes the second section 11152 to swing back and forth like a pendulum along any plane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axis which is alway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tank, ) Is freed.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includes sections 11151 and 11152 that cause the second section 11152 to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relative to the first section 11151 and cause it to pivot back and forth along a plane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ction, Lt; RTI ID = 0.0 > a < / RTI > However, only one of these ways, including hinged connection using a pin with an opening in the hook and loop or one or both sections 11151, 11152, allows for rotation of sections 11151, 11152, It is understood that any type of connector may also be used. It is further appreciated that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be a single unit that has no possible movement or rota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11151 and the second section 11152. [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폴리머 재료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정합부가 속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재료이다.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를 포함하여 제1 섹션(11151)이 폴리에스터 재료로부터 단일 유닛으로서 성형되면 바람직하다. 제2 섹션(11152)은 아세탈 재료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다른 폴리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다른 재료가 또한 제1 및/또는 제2 섹션을 형성하는데 사용을 위해 고려된다.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의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와 같은 열 성형을 통해 형성된다. 수지 주조, 압축 성형, 또는 3차원 인쇄를 포함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1 및 제2 섹션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각각의 섹션은 상이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그 종방향 중심선(CL)을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은 전체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길이(lFC)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mm 내지 약 130 mm이다. 제1 섹션(11151)의 길이(l1FC)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내지 약 50 mm이고, 제2 섹션(11152)의 길이(l2FC)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mm 내지 약 100 mm이다.Each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may be made independently of a polymeric material or metal, and preferably they are different materials to prevent the matching portion from being constrained. It is preferred if the first section 11151, including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is molded as a single unit from a polyester material. The second section 11152 is preferably formed of an acetal material. Other polymers, as well as other materials including various metals or alloys, are also contemplated for use in forming the first and / or second sections. Both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re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rmoforming, such as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It is understood that other methods, including resin casting, compression molding, or three-dimensional printing, may also be used to create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It is also understood that each section can be created using a different process. The length l FC of the entir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as measured along its longitudinal centerline CL is preferably from about 60 mm to about 130 mm. Length (l 1FC) of the first section (11 151) is preferably about 10 mm to about 50 mm,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11152) (l 2FC) is preferably about 50 mm to about 100 mm.

제1 섹션(11151)은 바람직하게는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의 소켓 요소(11166)를 포함하고, 제2 섹션(11152)은 바람직하게는 볼 및 소켓 커넥터(11154)의 볼 요소(11167)를 포함한다. 소켓(11166) 및 볼(11167)의 모두는 일반적으로 구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섹션(11152)의 볼 요소(11167)는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11151)의 소켓 요소(11166) 내에 끼워지고 제1 섹션(11151)에 관한 종축을 따른 이동이 최소가 되게 유지되도록 치수설정된다. 볼(11167)은 소켓(11166)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치수설정되어야 한다. 볼의 외부면은 소켓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도 있지만, 접촉이 발생하면, 요소 사이에 생성된 마찰은 소켓(11166) 내에서 회전하도록 볼(11167)의 자유도와 간섭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마찰에 기인하여 서로에 관하여 요소를 회전하기 위한 부가의 힘의 사용이 또한 허용 가능하다.The first section 11151 preferably includes a socket element 11166 of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and the second section 11152 preferably includes a ball element 11167 of the ball and socket connector 11154. [ . Both of socket 11166 and ball 11167 may have a generally spherical shape. The ball element 11167 of the second section 11152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element 11166 of the first section 11151 and is dimensioned such that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section 11151 is kept to a minimum, Respectively. Ball 11167 should be dimensioned to move freely within socket 11166. [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but if contact occurs, the friction created between the elements should be such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reedom of the ball 11167 to rotate within the socket 11166. [ However, the use of additional forces to rotate the element relative to each other due to friction is also acceptable.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2 섹션(11152)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기 위해 선택적 나사산(11159)을 가질 수도 있는 외부면(11155)을 갖는다. 제2 섹션(11152)의 나사산을 제외한 외부면(11155)의 바람직한 직경(D2AC)은 약 3 mm 내지 약 12 mm이다.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표면(11155) 상의 나사산(11159)은 볼(11167), 또는 다른 커넥터 요소를 제외한 제2 섹션(1115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표면(11155)의 단지 일부만이 나사산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표면(11155)의 단지 일부만이 나사산(11159)을 가지면,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이 표면(11155)과 결합하게 하는데 충분한 적어도 약 20 mm가 나사산 형성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표면(11155)은 임의의 나사산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second section 11152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has an outer surface 11155 that may have optional threads 11159 to be configured to threadably engage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 The preferred diameter D 2AC of the outer surface 11155, excluding the threads of the second section 11152, is from about 3 mm to about 12 mm. The thread 11159 on the surface 11155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exten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11152 except for the ball 11167 or other connector element.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only a portion of surface 11155 may be threaded. If only a portion of the surface 11155 has a thread 11159, at least about 20mm sufficient to allow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engage the surface 11155 must be threaded. Additionally,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surface 11155 need not include any threads.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의 종방향 길이(lAC)를 가질 수도 있다.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통해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내부면의 직경(DIAC)은 약 4 mm 내지 약 15 mm이다. 내부면의 직경(DIAC)은 제2 섹션(11152)이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 내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 섹션(11152)의 외부면(D2AC)의 직경과 호환 가능해야 한다.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다른 폴리머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된다. 그러나, 수지 주조, 압축 성형, 또는 3차원 인쇄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제조하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의 속박을 회피하기 위해,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및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와 정합하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는 이들 구성요소의 각각에 상이한 재료이어야 한다.Adjustable connector 11156 may have a longitudinal length (1 AC ) of about 10 mm to about 30 mm. The diameter D IAC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s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centerline through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is from about 4 mm to about 15 mm. The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D IAC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D 2AC of the second section 11152 to enable the second section 11152 to be inserted into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he adjustable connector is preferably injection molded from a polyester resin or other polymer material. However, 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justable connector including resin casting, compression molding, or three-dimensional printing may be used. In order to avoid binding of the components,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hat mates with the flush-actuated bar 1175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should be a different material for each of these components.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통한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면 상의 정합 나사산을 가질 수도 있어,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나사산(11159)을 갖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2 섹션(11152)의 표면(11155) 상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게 된다. 나사형 연결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제2 섹션(11152)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제2 섹션(11152)의 종축 둘레로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게 한다. 제2 섹션(11152)에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산의 사용은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제2 섹션(11152)에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연결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연결은 클램핑 부재를 갖는 슬라이딩 가능 커넥터, 뿐만 아니라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제2 섹션(11152)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제2 섹션(11152)의 종축 둘레로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연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섹션(11152)은 또한 개별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섹션(11152)은 플러시 작동 바아와 직접 연결하기 위해 제2 섹션의 길이를 따라 위치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위치는 제2 섹션(11152) 상의 개구 또는 돌출부와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상의 돌출부 또는 개구를 사용하여 직접 연결을 위한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제2 섹션(11152)의 길이를 따라 조정 가능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2 섹션(11152) 내의 개구 및/또는 돌기의 각도는 종방향 중심축 둘레로 변동될 수도 있어, 플러시 작동 바아가 또한 제2 섹션의 종축 둘레로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may have a mating thread on the inner surface that preferably forms the passageway through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such that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has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0.0 > 11155 < / RTI > Threaded connection allows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be longitudinally adjustable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11152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ction 11152. [ It is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use of a thread to connect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the second section 11152 is a preferred embodiment, other ways of connecting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the second section 11152 may be used do. This connection is also possible with the slidable connector having a clamping member, as well as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being longitudinally mov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11152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ction 11152 Or any other conne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ake a connection. The second section 11152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dividually adjustable connector 11156 is not required. This second section 11152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or one or more openings located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for direct connection with the flush actuating bar. The position of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position for direct connection using the opening or protrusion on the second section 11152 and the protrusion or opening on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by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11152 Will be adjustable accordingly. Additionally, the opening and / or angle of the projection in the second section 11152 may be varied about a longitudinal central axis such that the flush actuating bar may also be rotationally position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ction.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는 바람직하게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갖는다.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상의 균형점(BP)에서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에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의 구성은 플러시 작동 바아(1175)가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측면으로부터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횡방향 라인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특정 바람직한 구성이 이하에 포함된다. 균형점(BP)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핸들(H)의 눌림 또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연결된 피벗 로드(P)의 단부(11143)의 상승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것인 플러시 작동 바아(1175)가 상승될 때, 다른 것에 관한 각각의 밸브의 개방의 타이밍이 최적화되도록 위치된다. 밸브 커버의 개구 사이의 타이밍 최적화에 관한 실시예가 전술되었고,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preferably ha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to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t a balance point BP on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is such that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is rotatable about the transverse line extending transversely from the sid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Certain preferred configurations are included below. The point of equilibrium BP preferably occurs in response to the elevation of the end 11143 of the pivot rod P connected to the handle H o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1175 are elevated, the timing of the opening of each valve relative to the others is optimized. An embodiment regarding the timing optimization between the openings of the valve cover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s shown in Fig.

플러시 작동 바아(1175)는 바람직하게는 약 90 mm 내지 약 130 mm의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바람직한 길이(lFB)를 갖는 바아체(11169)를 갖는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바람직한 폭(wFB)은 약 2 mm 내지 약 5 mm이고,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바람직한 높이(hFB)는 약 5 mm 내지 약 15 mm이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그러나, 원형, 난형, 육각형, 삼각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의 단면이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는 폴리머 재료,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탈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된다. 그러나, 수지 주조, 압축 성형, 또는 3차원 인쇄를 포함하는 임의의 제조 방법이 플러시 작동 바아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Flush actuation bar 1175 preferably has bar body 11169 with a preferred length l FB of flush actuating bar 1175 from about 90 mm to about 130 mm. The preferred width w FB of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is from about 2 mm to about 5 mm and the preferred height h FB of the flushing bar 1175 is from about 5 mm to about 15 mm. The cross-section of flush-actuated bar 1175 may be substantially rectangular. However, cross-sections of any shape, including circular, oval, hexagonal, triangular, etc., can be used a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on this disclosure. Flush-actuated bar 1175 may be made from a polymeric material, metal or metal alloy, and is preferably injection molded using acetal. However, any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resin casting, compression molding, or three-dimensional printing, may be used to manufacture the flush-operated bar.

플러시 작동 바아(1175)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 아암(11177)을 갖는다. 2개의 측면 아암(11177)은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균형점(BP) 주위에 바람직하게 위치되는 바아체(11169) 내에 대형 개구(11164)를 형성하고 규정한다. 측면 아암(11177)에 의해 형성된 대형 개구(11164)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종축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대형 개구(11164)는 바람직하게는 난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대형 개구(11164)를 위한 임의의 형상이 고려된다. 측면 아암(11177)은 바람직하게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종축에 대해 대칭이지만, 이들 요소의 대칭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바람직한 형상에 대해, 측면 아암(11177)은 그 길이를 따라 하나의 위치에서 적어도 서로 평행해야 한다. 대형 개구(11164)를 위한 크기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포함하여, 전체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적어도 일부가 그를 통해 삽입될 수도 있도록 고려된다.Flush actuation bar 1175 preferably has two side arms 11177. The two side arms 11177 form and define the large opening 11164 in the bar body 11169 which is preferably positioned around the balance point BP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 The large opening 11164 formed by the side arms 11177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 The large opening 11164 preferably has an oval cross section. However, any shape for a large opening 11164, including a circle or a rectangle, is contemplated. The side arms 11177 are preferably symmetrical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but the symmetry of these elements is not essential.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shape of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the side arms 11177 should be at least parallel to each other at one location along their length. It is contemplated that the size for the large opening 11164 may include an adjustable connector 11156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entir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may be inserted therethrough.

2개의 측면 아암(11177)이 서로 평행한 위치에서, 2개의 소형 개구(11165)가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더 대형의 개구(11164)를 형성하는 측면 아암(11177)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소형 개구(11165)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지만, 연결 요소의 회전을 허용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소형 개구(11165)의 적어도 저부는 실질적으로 만곡되어야 한다. 소형 개구(11165)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돌기(11163)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들 돌기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Two small openings 11165 are formed as part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and through the side arms 11177 forming a larger opening 11164, in the position where the two side arms 11177 are parallel to each other, It may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mall aperture 11165 is preferably circular, but may have any shape that allows rotation of the connecting element, and at least the bottom of the small aperture 11165 should be substantially curved. The small aperture 11165 preferably corresponds to two projections 11163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or arranged to receive these projections.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에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부착하고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일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2개의 돌기(11163)를 포함한다. 2개의 돌기(11163)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상부를 향해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된다. 돌기(11163)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난형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이 고려된다.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저부 에지 상에서 라운딩되어, 돌기(11163)가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내의 소형 개구(11165)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includes two adjustable connectors 11156 each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attach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to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nd create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 And includes a number of protrusions 11163. The two protrusions 11163 are preferably positioned toward the top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nd are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same line extending laterally to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 The projection 11163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However, any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n egg shape is considere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preferably rounded at least on the bottom edge so that the protrusion 11163 is rotatable within the small aperture 11165 in the flush-action bar 1175. [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돌기(11163)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횡축 둘레인, 돌기(11163) 둘레로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생성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내의 소형 개구(11165) 내로 스냅결합될 수도 있다. 돌기(11163)는 바람직하게는 돌기(11163) 및/또는 측면 아암(11177)의 스프링 및/또는 비틀림 압축의 사용을 통해 평면 내로 스냅결합되어, 돌기(11163)가 소형 개구(11165) 내에 적소에 잠금되게 된다. 돌기(11163)는 또한 소형 개구(11165) 내로 연장하도록 스프링 동작될 수도 있고, 바람직한 돌기(11163)의 단부(11179)는 소형 개구(11165) 내로 돌기(11163)의 삽입을 보조하도록 각형성될 수도 있다. 제거가 요구되면, 각형성된 단부(11179)는 또한 소형 개구(11165)로부터 돌기(11163)의 제거를 보조할 수도 있다. 제거 가능한 연결부가 바람직하지만, 돌기(11163)는 제거를 어렵게 하거나 또는 매우 비실용적이게 하는 형상 및/또는 크기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As a method for forming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the two protrusions 11163 include a flush operation bar 1175 which creates a connection rotatable about the projection 11163, which is a transverse axis of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May be snap-engaged into the small aperture 11165 in the housing. The projection 11163 is preferably snap-engaged into the plane through the use of spring and / or torsional compression of the projection 11163 and / or the side arm 11177 so that the projection 11163 is in place in the small opening 11165 And is locked. The protrusion 11163 may also be spring loaded to extend into the small aperture 11165 and the end 11179 of the preferred protrusion 11163 may be angled to assist insertion of the protrusion 11163 into the small aperture 11165 have. If removal is desired, each formed end 11179 may also assist in the removal of the protrusion 11163 from the small aperture 11165. Although removable connections are preferred, the protrusions 11163 may also have shapes and / or sizes that make removal difficult or very impractical.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횡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연결부가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위한 허용 가능한 대안적인 구성이 되도록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핀이 삽입될 수도 있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2 섹션(11152)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를 통한 개구의 사용은 또한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에 연결하기 위한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11157)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개구가 제2 섹션(11152) 상에 요구될 것이다. 개구는 제2 섹션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섹션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점에 위치될 것이다. 개구의 2개 이상은 서로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상이한 각도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개구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게 할 것이다. 유사한 배열이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의 사용 없이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의 제2 섹션(11152)에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직접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가능한 연결부는 돌기(11163) 상의 나사산 형성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평활한 외부면을 갖는 정합식으로 나사산 형성된 암형편이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커넥터에 플러시 작동 바아를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또는 영구 연결부를 생성할 수 있는 리벳 연결부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on this disclosure that any type of connection rotatable about the transverse axis of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may be an acceptable alternative configuration for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11157 will be. The use of the opening through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nd the second section 11152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where the pin may be inserted also connects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Lt; RTI ID = 0.0 > 11157 < / RTI > In this embodiment, two or more apertures would be required on the second section 11152. [ The opening extends transversely across the second section and will be located at various points along the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Two or more of the openings may extend across the second section at one or more different angles relative to each other. Two or more openings will allow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to be longitudinally movable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 similar arrangement may also be used to directly connect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to the second section 11152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without the us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s described above. Other possible connections may include a threaded surface on the projection 11163. A conformably threaded arm surface having a smooth exterior surface may be used to removably secure the flush operation bar to the adjustable connector to create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A rivet connection may also be used that can create a removable or permanent connection.

도 69에는, 제1 밸브 조립체, 제2 밸브 조립체 및 피벗 로드(P) 및 핸들(H)에 연결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구가 없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 및 플러시 작동 바아를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갖는 조립체 키트(11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키트는 도 83 및 도 84에서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도구, 도 88 내지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유부 부착부, 또는 도 80 내지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 중 하나 이상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9는 밸브 개구를 갖는 핸들(H) 상에 작용을 연계하는 연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핸들(H)이 눌러질 때, 피벗 로드(P)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를 수직으로 상승시키고, 이는 이어서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균형점(BP)에서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는 바람직하게는 바아(1175)의 제1 부분(11161)에서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바아(1175)의 제2 부분(11162)에서 제2 밸브 조립체(1170)에 연결된다. 제1 밸브 조립체(1180)는 바람직하게는 림 밸브 조립체이고, 제2 밸브 조립체(1170)는 바람직하게는 제트 밸브 조립체이다. 림 밸브 조립체(1180) 및 제트 밸브 조립체(1170)는 마중물 급수식 변기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고, 밸브(80, 70)로서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각각의 밸브 조립체(1170, 1180)에 연결하는 체인(C, C1) 상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커넥터 스타일과 함께 플러시 작동 바아(1175)를 사용되게 하기 위해, 스냅, 또는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암형 피팅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커넥터편이 플러시 작동 바아(1175)의 제1 부분(11161) 및/또는 제2 부분(11162)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후크 또는 다른 수형 피팅이 또한 제1 부분(11161) 및 제2 부분(11162) 중 하나 또는 모두 상에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69 shows an assembly with a flush operation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and a pivot rod P and a toolless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a flush operation bar, An embodiment of the kit 1100 is shown. Alternative kits include a tank-to-bowl gasket tool as shown below in Figures 83 and 84, a flotation attachment as shown in Figures 88 to 90, or a multiple flush as shown in Figures 80 to 81, Valve assemblies < / RTI > Figure 69 shows the connection connecting action on handle H with valve opening. When the handle H is pushed, the pivot rod P vertically lifts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which then moves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vertically at the balance point BP. Flush actuated bar 1175 preferably extends from first portion 11161 of bar 1175 to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second portion 11162 of bar 1175 to second valve assembly 1170 .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is preferably a rim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is preferably a jet valve assembly. Rim valve assembly 1180 and jet valve assembly 1170 are described herein in various embodiments of a priming water toilet and may be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s valves 80, have. To enable the use of flush-actuated bar 1175 with a wide range of connector styles used on chains C and C1 that connect flush-actuated bar 1175 to respective valve assemblies 1170 and 1180,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connector pieces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portion 11161 and / or the second portion 11162 of the flush actuation bar 1175, including other female fittings as shown in Figs. Likewise, hooks or other male fittings may also be included on one or both of the first portion 11161 and the second portion 11162. [

조정 가능한 커넥터(11156)와 플러시 작동 바아(1175) 사이의 균형점(BP)의 위치는 각각의 밸브 커버(1182, 1173)가 개방할 때의 타이밍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밸브 커버(1182, 1173)는 동시에 개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제트 밸브 커버(1173)가 개방하기 시작하기 전에 림 밸브 커버(1182)를 완전히 개방하게 함으로써 도 15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펀식 마중물 급수식 제트 변기 내의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equilibrium point BP between the adjustable connector 11156 and the flushing action bar 1175 may affect the timing when each valve cover 1182 and 1173 is opened. The valve covers 1182 and 1173 may be set to open at the same time or by opening the rim valve cover 1182 completely before the jet valve cover 1173 begins to open, And may be set to optimize performance within a meal priming water jet toilet.

플러시 사이클이 활성화됨에 따라,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림 밸브를 통해, 여기서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1180)를 통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를 통해,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1170)를 통해 제공된다.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의 구성은 이와 같고, 플러시 사이클의 타이밍은 플러시 사이클의 완료 후에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플러시 기구 및 타이밍은 다양한 실시예(10, 110, 210, 310, 410 등) 및 본 명세서에 포함된 예에서 설명된 최적화된 성능과 동일할 수도 있다.As the flush cycle is activated, the fluid flows through at least one rim valve, here through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1180 and through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into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1170, Lt; / RTI >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ed jet fluid path is like this and the timing of the flush cycle is optimized to maintain the closed jet fluid path with priming water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The flush mechanism and timing may be the same as the optimized performance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10, 110, 210, 310, 410, etc.) and the examples included herein.

본 명세서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한 후에, 플러시 작동 바아는 공기가 제트 출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랩웨이 내에 사이펀을 발생하는데 충분한 유량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유체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유량은 이어서 사이펀이 차단될 때까지 약 1초 내지 약 5초 동안 제트 채널을 통해 저하되고, 유동은 적어도 제트 출구 포트가 커버될 때까지 유지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actuating the flush cycle, the flush actuating bar is moved through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at a flow rate sufficient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jet outlet and to create a siphon within the trap way To provide fluid. The flow rate then drops through the jet channel for about 1 second to about 5 seconds until the siphon is shut off and the flow is maintained at least until the jet exit port is covered.

유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러시 사이클 동안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제공된다. 최초 설치될 때, 변기는 섬프가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로 충전될 때까지 공기가 제트 출구 포트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유량을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 출구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초기 마중물 급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연계된 유량은 본 명세서에 다른 위치에 개략 설명되어 있다. 변기 조립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자기 마중물 급수가 가능하고, 변기가 제트 채널이 공기를 갖게 하는 상태에 있을 때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제트 채널로부터 방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10)와 같은 실시예에서 단지 최대 약 100 ml만을 포함하는, 몇몇 미량의 공기가 양호한 동작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폐쇄형 유체 제트 경로에 진입할 수도 있는 것이 일반적인 성능에 대해 수용 가능하지만, 수용 가능한 성능은 더 많은 양의 공기,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성능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 약 500 ml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은 보울 기하학 형상에 의해 변동할 수도 있다.The fluid is also preferably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during the flush cycle. When initially installed, the toilet may require an initial priming water supply by providing a sufficient flow rate throug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outlet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jet outlet port until the sump is filled with fluid as described above. The associated flow rates for carrying out these steps are outlined in different places herein. Preferably, the toilet assembly is capable of self priming water supply as described above and allows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air to be released from the jet channel when the toilet is in a state where the jet channel has air. It is preferred that some traces of air, which preferably includes only up to about 100 ml in an embodiment such as the embodiment 10 disclosed herein, may enter the closed fluid jet path while still providing good operation, But acceptable performance may include a greater amount of air, but preferably less than about 500 ml to avoid degradation in performance. The specific amount may vary depending on the bowl geometry.

변기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변기가 전술된 바와 같이 최초 설치될 때, 마중물 급수된 상태에 있지만, 배관 작업 또는 유지보수와 같은 다른 상황이 또한 이러한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론, 설치시에 변기 조립체를 마중물 급수하기 위해 수동으로 개입할 수도 있고, 또는 구성된 바와 같이, 변기는 사용자 수동 개입 없이 변기의 최초 다회 플러시 중 하나 이상에 걸쳐 자기 마중물 급수할 수 있다.The toilet is typically in the primed water state, for example when the toilet is initially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but other situations such as pipework or maintenance can also cause this situation. The user may, of course, manually intervene to priming the toilet assembly upon installation, or, as configured, the toilet can self priming water over one or more of the first multi-flush of the toilet without user intervention.

본 명세서에서 도 1 내지 도 13 및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기는 약 3회의 플러시 정도에 사실상 모든 공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더 많거나 적은 회수가 개별 변기 기하학 형상에 따라 요구될 수도 있다. 자기 마중물 급수가 완료되게 하기 위해, 2개의 조건: (1) 제트 플러시 밸브를 통한 유체의 유량이 공기를 변위시키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제트 출구 포트를 나오는 유체의 유량보다 더 큰 필요가 있는 것 및 (2) 공기가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상향으로 또는 출구로부터 탈출의 루트가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부합되어야 한다. 이는 제트 채널 및/또는 제트 출구 포트 기하학 형상 및/또는 단면적의 수정을 통해 그리고/또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러시 밸브의 수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제트 채널을 통해 폐쇄형 제트 유체 경로 내로 고에너지 및 강한 속도 유동에 기여할 수 있는 제트 플러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밸브는 미국 특허 제8,266,733호 및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090158호에 설명되어 있는데, 이들 문헌의 모두는 유선형 밸브체 구성을 갖고 방사상 입구 및/또는 가중된 커버를 갖는 밸브의 이들의 교시에 관하여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플러시 밸브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동일한 플러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는 이하에 설명되는 변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다른 위치에 설명된다(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박리 능력으로부터 더 양호한 공기 배출을 제공하는 본 명세서의 도 35 내지 도 68을 또한 참조하라).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커버에 추가하여, 별 패턴 내부 리브가 또한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기 배기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13 and 29 to 34 herein, the toilet is capable of releasing virtually all of the air to about three flushes, but more or less withdrawals can be made in the individual toilet geometry May be required. In order to allow the self priming water supply to complete, the two conditions: (1)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jet flush valve needs to be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the fluid exiting the jet outlet port to provide sufficient energy to displace the air And (2) the route of escape from the upward or outflow throug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should be provided. This can be accomplished by modifying the jet channel and / or jet outlet port geometry and / or cross-sectional area and / or by modifying the flush valve to improve performance.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use a jet flush valve that can contribute to high energy and strong velocity flow into the closed jet fluid path through the jet channel. Suitable valves are described in U.S. Pat. No. 8,266,733 and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0090158,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lve having a streamlined valve body configuration and having a radial inlet and /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Other suitable flush valv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described elsewhere herein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of the toilet assembly described below in which the same flush valve may be used (as described below, See also FIGS. 35-68 of this disclosure for providing air venting). In addition to the gradually rising cover, the star pattern inner rib may also affect the speed of the air exhaust, as will be discussed further below.

도 16 및 도 20, 도 21 및 도 2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변기 보울 조립체의 부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110으로서 나타내는 도 16의 변기 보울 조립체는 직접 공급된 제트와 같은 제트(120)로의 플러시 물과 같은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170), 및 림(132)으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180)를 갖는다. 도 21을 참조하면, 변기 보울 조립체(110)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170)의 출구(113)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매니폴드 입구 개구(114) 및 제트 입구 포트(118)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제트 매니폴드 출구 개구(116)를 갖는 제트 매니폴드(112)를 또한 갖는다. 변기 보울 조립체(110)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180)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124) 및 림 입구 포트(128)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126)를 포함하는 림 매니폴드(122)를 더 갖는다.Figures 16 and 20, Figures 21 and 22 illustrat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toilet bowl assembly described herein. The toilet bowl assembly of FIG. 16, generally designated 110 herein, includes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170 configured for delivery of a fluid such as a flush to a jet 120, such as a jet fed directly, 132 for the transfer of fluid to the fluid flow path. 21, the toilet bowl assembly 110 includes a jet manifold inlet opening 114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the outlet 113 of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170, And a jet manifold 112 having a jet manifold outlet opening 116 for delivery. The toilet bowl assembly 110 includes a rim manifold inlet opening 124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180 and a rim manifold outlet opening 126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128. [ (Not shown).

조립체(110)는 보울(130)의 상부 주계부(133) 주위에 제공된 림(132)을 갖는 보울(13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림(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림 채널(13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림 입구 포트(128)는 림 채널(134)과 유체 연통하여, 림 채널(134)이 또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126)와 림 입구 포트(128)를 통해 유체 연통하게 되고 림 채널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129)와 유체 연통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체 연통이라는 것은 조립체의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로부터 유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구조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림 출구 포트(들)는 보울(130)의 내부 영역(137)과 유체 연통하고 있고, 여기서 내부 영역(137)은 보울(130)의 내부면(136)에 의해 형성된다. 이 조립체의 나머지는 실시예(10)에서 부분과 유사하다.The assembly 110 further includes a bowl 130 having a rim 132 provided around the upper main stake 133 of the bowl 130. In one embodiment, rim 132 may form rim channel 134 as shown. The rim inlet port 128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channel 134 such that the rim channel 134 also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manifold outlet opening 126 and the rim inlet port 128, And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one rim outlet port 129. As used herein, fluid communication means that one element of the assembly is structurally positioned to open for flow from other elements. The rim exit port (s)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region 137 of the bowl 130, wherein the interior region 137 is defined by the interior surface 136 of the bowl 130. The remainder of this assembly is similar to that in embodiment (10).

실시예(10)에 관하여, 보울 조립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들)(38)의 구성을 갖고 형성하는 직접 공급된 제트(20)를 포함한다[이러한 제트 채널은 또한 실시예(110)에 제공될 수도 있음]. 채널(들)은 제트 입구 포트(18)와 제트 출구 포트(42) 사이에서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은 제트 플러시 밸브의 출구 개구(16)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18)를 갖는다. 제트는 제트 채널(38)로부터 섬프 영역(40)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도긴 제트 출구 포트(42)를 또한 갖는다. 섬프 영역은 변기 보울(30)을 배수하기 위해 트랩웨이(44) 또는 다른 변기 출구 도관과 유체 연통한다.With regard to embodiment (10), the bowl assembly includes a directly fed jet (20) having the configuration of at least one jet channel (s) (38) as described above (Which may be provided to the user 110). The channel (s) extend between the jet inlet port 18 and the jet outlet port 42. At least one jet channel (38) has an inlet port (18)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opening (16) of the jet flush valve. The jet also has an elongated jet outlet port 42 for draining fluid from the jet channel 38 to the sump region 40. The sump region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trap way 44 or other toilet outlet conduit to drain the toilet bowl 30.

보울이 다수의 산업용 또는 상업용 변기에서와 같이 벽 내의 배관수 입구에 직접 연결된 인라인 플러시마스터형 밸브로부터 오도록 설치될 때 유체 소스(플러시 물과 같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탱크(60)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를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의 출구(13)로부터의 유체가 폐쇄형 제트 유로(1) 및 제트 채널(들)(13)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62), 및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를 수용하고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30)의 출구(81)로부터의 유체가 림 출구 포트(28)로의 림 경로에 또는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를 통해 임의의 선택적 림 매니폴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구(64)를 제공한다.A fluid source (such as a flush water) may be used when the bowl is installed from an in-line flush-master type valv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port of the wall, such as in many industrial or commercial toilets. The assembly may optionally include a tank 60 as shown in Figs. 19 and 21. Fig. Preferably, the tank 60 receives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and the fluid from the outlet 13 of the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flows through the closed jet flow path 1 and the jet channels At least one opening 62 for receiving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and fluid from the outlet 81 of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30 to enter the rim exit port 28, At least one second opening 64 to allow entry into any optional rim manifold through the rim path to or from the rim manifold inlet opening.

탱크(6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브(66) 및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림 플러시 밸브와 연계되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오버플로우 튜브(91)와 같은 오버플로우 튜브를 또한 포함해야 한다. 탱크(6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역에서 제트 플러시 밸브 및 림 플러시 밸브의 모두를 수용하는 단일의 개방 저장조로서 형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도 20의 실시예(10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개별 저장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오버플로우 튜브는 공기가 폐쇄형 제트 유로(1)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기회를 제거하기 위해 제트 플러시 밸브를 통해 제트 플러시 유체(JF)의 유동으로부터가 아니라 림 플러시 밸브(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밸브체와 임의의 방식으로 연계된) 외부로 림 플러시 유체(RF)의 유동으로부터 동작되어야 한다. 림 경로는 본 발명의 성질이 림 경로 내의 오버플로우 튜브로의 연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에 개방 유지될 수도 있다.The tank 60 should also include at least one fill valve 66 and optionally an overflow tube such as the overflow tube 91 shown in the embodiment associated with the rim flush valve. The tank 60 may be formed as a single open reservoir that accommodates both the jet flush valve and the rim flush valve in one region as shown in Fig. 19,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1010 of Fig. 20 May also be configured as two separate reservoirs. The overflow tube is not a flow of jet flush fluid JF through a jet flush valve to remove any chance for air to enter the closed jet flow path 1 but a rim flush valve (In any manner associated with the valve body to be developed or to be developed) from the flow of rim flushing fluid (RF). The rim path may be kept open to the air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connection of the invention to the overflow tube in the rim path.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 및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는 예를 들어, 플루드마스터 502 플러시 밸브와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다양한 디자인을 포함하는, 임의의 표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플러시 밸브 및 플랩퍼 디자인을 구비할 수도 있다. 림 밸브는 마찬가지로, 전기, 기계 또는 컴퓨터 동작식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기 보울 조립체(10)는 제트(20)로의 플러시 물과 같은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 및 림 출구 포트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별도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을 위한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개별 유체 유동을 림에 그리고 제트에 전달하는 마스터 플러시 밸브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인 유체 유동을 전달하도록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 및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이고, 실시예(10) 및 플러시 밸브(70, 80)에 관하여 전술된 것들과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임의의 적합한 플러시 밸브일 수도 있다.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and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may include any standard commercially availab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ing any of a variety of designs known or to be developed in the pertinent art, Valve and flapper designs. The rim valve may likewise be an electrical, mechanical or computer operated type. Preferably, the toilet bowl assembly 10 includes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configured for delivery of a fluid, such as flush water to the jet 20, and separately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limb outlet port Has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The flush valve assembly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 master flush valve that delivers the individual fluid flow to the rim and to the jets and more preferably to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and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that are known or will be developed in the related art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10 and the flush valves 70, Valve.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 및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80)는 각각 또한 이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에 사용을 위해 바람직할 수도 있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예는 참조로서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8,266,733 B2호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2개의 밸브는 동시에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고, 또는 성능을 더 최적화하기 위해 플러시 사이클 중에 상이한 타이밍에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더 청결한 포스트-플러시 물을 갖는 더 청결한 보울을 성취하기 위해, 제트 플러시 밸브를 개방하기 전에 림 플러시 밸브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liters/flush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림 플러시 밸브는 플러시 사이클의 개시시에 즉시 개방되고 사이클 내로 약 0.1초 내지 약 5초에 폐쇄되고, 반면에 제트 플러시 밸브는 사이클 내로 약 1초 내지 약 5초에 개방되고 약 1.2초 내지 약 10초에 폐쇄된다.The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and the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80 may each also be a double flush valve assembly. Examples of flush valve assemblies known in the related art that may be preferred for use in the embodiments herein may be found in U. S. Patent No. 8,266, 733 B2,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two valves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or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at different timings during the flush cycle to further optimize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a cleaner bowl with cleaner post-flush water, it is desirable to open the rim flush valve before opening the jet flush valve. In a preferred embodiment for 6.0 liters / flush, the rim flush valve is immediately opened at the start of the flush cycle and closed in a cycle from about 0.1 second to about 5 seconds, while the jet flush valve is closed from about 1 second It is opened at 5 seconds and closed at about 1.2 seconds to about 10 seconds.

3 liters/flush를 갖는 초저 플러시 변기에서, 림 플러시 밸브는 플러시 사이클의 개시시에 즉시 개방되고 사이클 내로 약 1초 내지 약 3초에 폐쇄되고, 반면에 제트 플러시 밸브는 사이클 내로 약 0.1초 내지 약 3초에 개방되고 약 1.2초 내지 약 3초에 폐쇄된다. 54 mm 직경 트랩웨이를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완전히 마중물 급수된 폐쇄형 제트 채널로부터 유동하는 단지 약 1 리터의 체적만이 사이펀을 개시하는데 요구되어, 보울 세척의 원하는 효용성 및 그 기능으로 유도된 물의 양에 따라, 2 리터 이하의 체적에서 동작하는 플러시 변기로의 본 발명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In an ultra-low flush toilet with 3 liters / flush, the rim flush valve is immediately opened at the start of the flush cycle and closed in about 1 second to about 3 seconds into the cycle, while the jet flush valve is closed from about 0.1 second 3 seconds, and closed in about 1.2 seconds to about 3 second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ing a 54 mm diameter trapway, only about one liter of volume flowing from a fully primed closed jet channel is required to initiate the siphon, leading to the desired utility of the bowl wash and its function Enabling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flush toilet seat operating in a volume of less than or equal to 2 lite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ter dispensed.

이중 플러시 변기 조립체를 위한 다른 실시예는 플러시 사이클의 개시시에 즉시 림 플러시 밸브로서 이중 플러시 밸브를 개방하고, 이는 이어서 림 이중 플러시 밸브 후에 개방하도록 제트 플러시 밸브를 트리거링한다(단일 또는 이중 플러시). 프리-사이펀 세정하기 위해 림에 전달된 물의 양은 약 1 liter/flush 내지 약 5 liters/flush, 바람직하게는 약 2 리터 내지 약 4 liters/flush일 것이고, 사이펀을 설정하기 위해 제트 플러시 밸브를 통해 전달된 물의 양은 약 1 liter/flush 내지 약 5 liters/flush일 것이다.Another embodiment for the dual flush toilet assembly immediately opens the double flush valve as a rim flush valve at the start of the flush cycle, which then triggers the jet flush valve to open after the rim double flush valve (single or double flush). The amount of water delivered to the rim for pre-siphon cleaning will be from about 1 liter / flush to about 5 liters / flush, preferably about 2 liters to about 4 liters / flush, and is passed through the jet flush valve to set the siphon The amount of water will be from about 1 liter / flush to about 5 liters / flush.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부가의 실시예가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밸브 조립체는 주지된 차이를 갖고, 림 밸브 조립체(80, 1180 등)의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트 밸브 조립체(70, 570, 670, 77, 870, 970, 1170)의 실시예에 유사할 수도 있다. 전술된 이중 밸브 조립체에서, 각각의 밸브 조립체는 다른 밸브 조립체에 관련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밸브 조립체의 충분한 이동에 의해, 플러시 작동 바아와의 정렬이 변경될 수 있어, 밸브 개구의 타이밍의 가능한 변화 및 플러싱 기구의 성능의 가능한 감소를 야기한다. 밸브 조립체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밸브 조립체는 워시다운식 변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방식의 플러시 변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flush valve assembly are shown in Figs. 69 and 70. Fig. The valve assembly a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has a well known difference and includes embodiments of the rim valve assemblies 80, 1180, etc., and the jet valve assemblies 70, 570, 670, 77, 870, 970, < / RTI > 1170). In the double valve assembly described above, each valve assembly was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other valve assembly. Due to the sufficient movement of the valve assembly, alignment with the flush actuating bar can be altered, resulting in a possible change in the timing of the valve opening and a possible reduction in performance of the flushing mechanism. Although the valve assembly has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phon flush toilet, it will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on this disclosure that the valve assembly may be used with any type of flush toilet seat, including wash- will be.

본 실시예에서, 도 69 내지 도 70 및 도 78 내지 도 7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1180)가 제공되고 제2 밸브 조립체(117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조립체(1180)의 밸브체(1131)는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제2 밸브체(1121)와 밸브체(1131)를 연계하기 위한 제1 링크(11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밸브 조립체(1180)는 밸브 커버(1182)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도 78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1210)는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1180)와 제2 밸브 조립체(1170) 사이의 거리(dV)를 유지하기 위한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 또는 다른 구조체를 생성하기 위해 제2 밸브 조립체(1170) 상의 제2 링크(11220)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밸브 조립체(1180)는 바람직하게는 도 73 내지 도 77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러그(11173)를 사용하여,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강성 커버(11180)에 고정된 밀봉부(11170)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11170)는 밀봉면(11171) 및 잠금면(11172)을 포함해야 하는데, 잠금면(11172)은 복수의 잠금 러그(11173)를 갖는다. 잠금 러그(11173)는 강성 커버(11180) 내의 대응 개구(11188) 내에 삽입 가능하다. 강성 커버(11180)는 이어서 밸브 커버(1182)의 점진적인 개방을 제공하기 위해 박리 섹션(11182) 및 상승 섹션(11183)의 사용을 통해 밀봉부(11170)와 함께 굴곡 가능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valve assembly 1180 is provided and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as shown in Figures 69-70 and 78-79. The valve body 1131 of the valve assembly 1180 may include a first link 11210 for coupling the valve body 1131 with the second valve body 1121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 Valve assembly 1180 may also have valve cover 1182. As Fig. 78 best be depicted in the first link (11 210), as discussed further below, the valve assembly 118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for maintaining a distance (d V) of between 1170 It may be possible to couple with the second link 11220 on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o create a linkage coupling device 11200 or other structure. Valve assembly 1180 preferably includes a seal portion 1180 that is secured to rigid cover 11180,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 using lock lug 11173, as shown and described in Figures 73-77. 11170). Specifically, the seal portion 11170 should include a sealing surface 11171 and a locking surface 11172, wherein the locking surface 11172 has a plurality of locking lugs 11173. The locking lugs 11173 are insertable within the corresponding openings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Rigid cover 11180 may then be bendable with seal portion 11170 through use of peel section 11182 and riser section 11183 to provide gradual opening of valve cover 1182. [

밸브 조립체는 림 밸브 조립체와 연계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고, 제2 밸브 조립체는 제트 밸브 조립체에 대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밸브 조립체는 림 밸브 조립체(1180) 및/또는 제트 밸브 조립체(1170)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밸브 조립체는 림 밸브 조립체 및/또는 제트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The valve assembly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herein using the reference numerals associated with the rim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herein using reference numerals for the jet valve assembly , It is understood that the valve assembly may be a rim valve assembly 1180 and / or a jet valve assembly 1170. Likewise, the second valve assembly may be a rim valve assembly and / or a jet valve assembly.

밸브 조립체(1180) 및/또는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모두는 밸브 커버(1173 또는 1182)가 폐쇄될 때 액체가 밸브체(1121 또는 1131)에 진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플러싱 중에 공기가 상향으로 탈출하게 하는 오버플로우 튜브(119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밸브체(1121 및/또는 1131) 중 하나 이상 상의 오버플로우 튜브(1191)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 튜브(1191)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때를 위한 제거 가능한 캡(11201)을 갖는다.Both valve assembly 1180 and / or second valve assembly 1170 are capable of causing liquid to enter valve body 1121 or 1131 when valve cover 1173 or 1182 is closed and / And an overflow tube 1191 that allows air to escape upwardly. An overflow tube 1191 on at least one of the valve bodies 1121 and / or 1131 preferably has a removable cap 11201 for when no use of the overflow tube 1191 is desired.

다른 실시예는 도 78 및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를 포함한다.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10, 110, 210, 310, 410, 710, 1010 등)에 포함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는 제1 밸브체(1131) 상의 제1 링크(11210) 및 제2 밸브체(1121)로의 제2 링크(1122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밸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림 밸브 조립체(1180)이고, 제2 밸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제트 밸브 조립체(1170)이다.Other embodiments may optionally includ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ies 11205, as shown in FIGS. 78 and 79.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5 preferably includes a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1170.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second valve assembly 1170 may be as included in embodiments 10, 110, 210, 310, 410, 710, 1010, etc.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5 may also include a first link 11210 on the first valve body 1131 and a second link 11220 to the second valve body 1121. [ The first valve assembly is preferably a rim valve assembly 118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is preferably a jet valve assembly 1170.

도 78은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확대 정면도이다. 림 밸브체(1131)는 바람직하게는 제1 링크(11210)를 포함하고, 제트 밸브체(1121)는 바람직하게는 제2 링크(112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제1 링크(11210)가 제2 링크(11220)와 상호잠금하여 제1 밸브 조립체(1180)를 제2 밸브 조립체(1170)와 연계하도록 구성된다.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의 구성은 이들이 상호잠금 가능하도록 각각의 요소의 형상을 참조하고, 링크의 형상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선택적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 조립체(1180)와 제2 밸브 조립체(1170) 사이에 일정한 거리(dV)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에 의해 제공된 연결은 서로에 관하여 밸브 조립체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플러시 성능을 일관적으로 유지한다.78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linking device 11200; The rim valve element 1131 preferably includes a first link 11210 and the jet valve element 1121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link 11220. [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ink 11210 interlocks with the second link 11220 to couple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with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do.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refer to the shape of each element so that they are mutually lockable, and the shape of the lin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optional linkage engagement device 11200 is preferably us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d V ) between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he connection provided by the linkage coupling device 11200 minimizes movement of the valve assembly relative to each other to maintain flush performance consistently.

제1 링크(11210)는 바람직하게는 제트 밸브 조립체(117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림 밸브체(1131)의 에지(11211)로부터 연장한다. 제1 링크(11210)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직 섹션(11212, 11213) 및 수평 섹션(11214)으로부터 형성된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갖는다. 제1 수직 섹션(11212)은 림 밸브체(1131)의 에지(11211)와 연결되거나 또는 그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고, 밸브체(113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고 제1 수직 섹션(11212)의 상부(11215)에서 수평 섹션(112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수직 섹션(11212)의 높이(h1VS)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내지 약 30 mm이다.The first link 11210 preferably extends from the edge 11211 of the rim valve body 1131 located closest to the jet valve assembly 1170. The first link 11210 preferably has a downward hook feature formed from two vertical sections 11212, 11213 and a horizontal section 11214. The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may be connected to or integral with the edge 11211 of the rim valve body 1131 and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valve body 1131 and extend up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0.0 > 11215 < / RTI > The height ( h1VS ) of the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is preferably about 10 mm to about 30 mm.

수평 섹션(11214)은 림 밸브 조립체(1180)와 제트 밸브 조립체(1170) 사이의 거리(dV)보다 약간 더 큰 길이(lHS)만큼 제1 수직 섹션(11212) 및 림 밸브체(1131)의 에지(11211)로부터 이격하여 제트 밸브 조립체(1170)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림 밸브 조립체(1180)아 제트 밸브 조립체(1170) 사이의 거리(dV)는 가변적일 수도 있고, 변기 탱크의 제조업자에 의존할 수도 있다. 림 밸브 조립체(1180)와 제트 밸브 조립체(1170) 사이의 바람직한 거리(dV)는 약 2 mm 내지 약 10 mm이다. 이들 거리를 사용하여, 제1 링크(11210)의 수평 섹션(11214)을 위한 바람직한 길이(lHS)는 약 4 mm 내지 약 12 mm이다.Horizontal section 11214 includes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and rim valve body 1131 by a length l HS slightly greater than the distance d V between rim valve assembly 1180 and jet valve assembly 1170. [ May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ward the jet valve assembly 1170 away from the edge 11211 of the valve body 1170. [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valve assembly 1180 Ah jet valve assembly (1170) (d V) may be variable, and may depend on the manufacturer of the toilet tank. The preferred distance between the rim of the valve assembly 1180 and a jet valve assembly (1170) (V d) is from about 2 mm to about 10 mm. Using these distances, the preferred length l HS for the horizontal section 11214 of the first link 11210 is about 4 mm to about 12 mm.

바람직하게는, 제2 수직 섹션(11213)은 림 밸브체(1131)로부터 가장 먼 수평 섹션(11214)의 단부와 연결하고, 탱크의 저부를 향해 하향으로 연장하고, 제1 수직 섹션(112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2 수직 섹션(11213)의 높이(h2VS)는 제2 링크(11220)와 상호잠금하기에 충분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수직 섹션(11213)을 위한 바람직한 높이(h2VS)는 약 3 mm 내지 약 8 mm이다. 그러나, 이 높이(h2VS)는 제1 수직 섹션의 높이(h1VS), 뿐만 아니라 제2 링크(11220)의 상향 돌기(11222)의 높이(hUP)에 의존한다. 상향 돌기(11222)의 높이(hUP)가 클수록, 요구되는 제2 수직 섹션(11213)의 높이(h2VS)가 더 작다. 그러나, 서로 인접한 제2 수직 섹션(11213)과 상향 돌기(11222)의 접촉 면적의 양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접촉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제2 링크(11220)와 제1 링크(11210)의 링크를 유지하는데 충분하다.The second vertical section 11213 connects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section 11214 farthest from the rim valve body 1131 and extends downwardly toward the bottom of the tank and extends to the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It is substantially parallel. A second height (h 2VS) of the vertical section (11 213) is made to be sufficient to interlock with the second link (11 220). Second desired height for the vertical section (11213) (h 2VS) is from about 3 mm to about 8 mm. However, the height (h 2VS) depends on the height (h UP) of the upward projection (11 222) of a first height in the vertical section (1VS h), the second link (11 220) as well. The larger the height (h UP) of the upward projection (11 222), a smaller height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11 213) is required (h 2VS). However, the amount of the contact area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11213 and the upward protrusion 11222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may not be important. This contact area is preferably sufficient to maintain a link between the second link 11220 and the first link 11210.

제1 링크(11210)는 3개의 섹션(11212, 11213, 11214)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모든 3개의 섹션은 단일편으로서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밸브체(1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1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의 사용을 통해 밸브체의 일체형 편으로서 성형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압축 성형, 수지 주조 및 3차원 인쇄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성 방법이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섹션의 하나 이상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사용 전에 예를 들어 용접, 프레스 피팅 또는 다른 공지의 연결 프로세스를 통해 다른 섹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링크(11210)를 형성하는 설명된 방법 중 임의의 하나의 사용에 의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link 11210 is described as having three sections 11212, 11213, and 11214.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all three sections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as a single piece, and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lve element 1131. [ The first link is preferably molded as an integral piece of the valve body through the use of injection molding, but any forming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ompression molding, resin casting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is contemplated. Additionally, one or more of the sections may be formed individually and connected to other sections prior to use, for example, by welding, press fitting, or other known connection processes. By use of any one of the described methods of forming the first link 11210, a plastic or metal material may be used.

바람직하게는, 제2 링크(11220)는 림 밸브 조립체(118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된 제트 밸브체(1121)의 에지(11221)로부터 연장한다. 제2 링크(11220)는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전방부로부터 볼 때 상향 돌기(11222)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링크(11220)는 수평 요소(11223) 및 상향 돌기(11222)를 갖는다. 수평 요소(11223)는 제트 밸브체(1121)의 에지(11221)에 연결되거나 그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고 에지(11221)로부터 림 밸브체(1131)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수평 요소(11223)는 림 밸브 조립체(1180)와 제트 밸브 조립체(1170) 사이의 거의 전체 거리(dV)로 연장하도록 치수설정될 수도 있다. 수평 요소(11223)의 바람직한 길이(lHE)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이다. 그러나, 이 거리는 밸브 조립체(1180, 1170) 사이의 거리(dV)에 따라 다양할 수도 있다. 수평 요소(11223)의 높이(hHE)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요소(11223)의 상부(11224)가 제1 링크(11210)의 제2 수직 섹션(11213)의 저부(11217) 바로 아래에 있도록 치수설정된다. 수평 요소(11223)의 높이(hHE)는 약 2 mm 내지 약 27 mm로 다양할 수도 있는데, 상향 돌기(11222)의 높이(hUP)가 더 중요하다. 수평 요소(11223)의 바람직한 높이(hHE)는 제1 링크(11210)의 3개의 섹션(11212, 11213, 11214)의 바람직한 크기에 대응하여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가 밸브 조립체(1180, 1170) 사이의 거리(dV)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서로 연계하게 된다.Preferably, the second link 11220 extends from the edge 11221 of the jet valve body 1121 located closest to the rim valve assembly 1180. The second link 11220 preferably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upward projection 11222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tank.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ink 11220 has a horizontal element 11223 and an upward projection 11222. Horizontal element 11223 may be connected to or integral with edge 11221 of jet valve body 1121 and extend vertically from edge 11221 towards rim valve body 1131. [ The horizontal elements (11 223) may be set to the dimension extending into the rim valve assembly 1180 and a jet valve assembly 1170, substantially the entire distance (d V) in between. The preferred length l HE of horizontal element 11223 is from about 10 mm to about 20 mm.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distance (V d)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valve assembly (1180, 1170). The height h HE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3 is preferably dimension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11224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3 is directly below the bottom portion 11217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11213 of the first link 11210. [ Respectively. The height h HE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3 may vary from about 2 mm to about 27 mm, but the height h UP of the upward protrusion 11222 is more important. The preferred height h HE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3 corresponds to the desired size of the three sections 11212, 11213 and 11214 of the first link 11210 such that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is on each other, the distance (d V) between the valve assembly (1180, 1170) to maintain relatively constant.

바람직하게는, 제2 링크(11220)의 상향 돌기(11222)는 상향 돌기(11222)의 전방부가 바람직하게는 수평 요소(11223)의 전방부와 정렬하는 상태로 수평 요소(11224)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상향 돌기(11222)는 바람직하게는 제1 링크(11210)에 의해 형성된 후크 형상부 내에 끼워지도록 치수설정된다. 제2 링크(11220)의 상향 돌기(11222)의 높이(hUP)는, 림 밸브체(1131) 및 제트 밸브체(1121)가 서로 고정되고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도록 제1 링크(11210)의 제2 수직 섹션(11213)과 상호잠금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상향 돌기(11222)의 바람직한 높이(hUP)는 약 2 mm 내지 약 5 mm이지만, 수평 요소(11223)의 높이(hHE) 및 제1 링크(11210)의 제1 수직 섹션(11212) 및 제2 수직 섹션(11213)의 높이(h1VS, h2VS)에 의존한다. 상향 돌기(11222)의 바람직한 길이(lUP)는 약 1 mm 내지 약 5 mm이다. 이 바람직한 길이는 상향 돌기(11222)가 제1 링크(11210)의 후크 형상부 내에 단지 끼워져서,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이격하는 밸브 조립체(1180, 1170)의 이동이 최소화되게 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The upward protrusion 11222 of the second link 11220 preferably extends upward from the top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4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upward protrusion 11222 preferably aligns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horizontal element 11223, . Upward projection 11222 is dimensioned to fit within a hook feature formed by first link 11210 preferably. The height h UP of the upward protrusion 11222 of the second link 11220 is set such that the rim valve element 1131 and the jet valve element 1121 are fixed to each other and can move away from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May be sufficient to mutually lock with the second vertical section 11213 of the first link 11210. The preferred height of the upward projection (11222) (h UP) is about 2 mm to is about 5 mm, a first vertical section 11212 of the horizontal element height (11223) (h HE) and a first link (11 210) and the 2 depends on the height (h 1VS, 2VS h) of the vertical section (11 213). The preferred length l UP of the upward protrusion 11222 is from about 1 mm to about 5 mm. This preferred length may be selected such that the upward protrusion 11222 is only fit within the hooked portion of the first link 11210 so that movement of the valve assemblies 1180, 1170 towards and away from each other is minimized .

제2 링크(11220)는 2개의 섹션(11222, 11223)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바람직한 제2 링크(11220)는 재료의 단일편으로부터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11220)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폴리머 재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링크(11220)는 밸브체(1121)와 일체로 형성된다.Although the second link 1122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wo sections 11222 and 11223, the preferred second link 11220 is made from a single piece of material. Specifically, the second link 11220 may be made of a metal or polymer material, preferably a polymeric material that has been molded into the shape described above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Preferably, the second link 11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alve body 1121.

양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또한 밸브 조립체가 변기 내에 설치된 후에 각각의 밸브 조립체(1180, 117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는 개별 아이템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스트랩핑 기구, 클램핑 기구 등, 또는 제1 링크 밸브체(1131) 및 제2 링크 밸브체(1121)에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단지 하나의 편만을 가질 수도 있다. 단일편으로서의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조립체 주위에 루프형성될 스트랩, 및/또는 양 밸브 조립체의 측면에 연결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연결 요소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강성 물품이 양 밸브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은 2개의 밸브 조립체(1180, 1170) 사이의 거리(dV)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밸브체(1121, 1131)는 또한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어,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를 위한 요구를 제거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Both first link 11210 and second link 11220 may also be provided as separate items that may be installed on each valve assembly 1180, 1170 after the valv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toilet. For this purpose,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are connected to a first link 11210 (not shown) to a strapping mechanism, a clamping mechanism, or the like, or to the first link valve body 1131 and the second link valve body 1121 And other connection devices that are capable of securing the second link 11220. In addition,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linkage device 11200 may have only one side. The linkage coupling device 11200 as a single piece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element, including a strap to be looped around the assembly, and / or a clamping device for connection to the sides of both valve assemblies. For example, a single rigid article can be attached to both valve assemblies. Such articles should be possible to 2 remains substantially constant as the distance (d V) between the two valve assemblies (1180, 1170).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valve bodies 1121, 1131 may also be formed as a single unit,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linkage coupling device 11200.

바람직한 바와 같이, 양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강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그러나, 가요성 재료는 또한 링크의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향 돌기(11222)가 압축성인 재료로부터 제조되면, 그 길이(lUP)는 증가될 수도 있어 상향 돌기(11222)가 제1 링크(11210)의 후크 형상부 내에 끼워지도록 압축될 수 있게 된다. 가요성 재료가 바람직한 제1 링크(11210) 및 바람직한 제2 링크(11220)에 대해 설명된 요소의 일부 또는 모두를 위해 사용되면, 사용될 수도 있는 두께 및/또는 가요성의 양은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가 서로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게 해야 한다.As is preferred, both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are made from a rigid material. However, the flexible material may also be used for one or both of the links. The length l UP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upward protrusion 11222 can be compressed to fit within the hooked portion of the first link 11210. [ If a flexible material is used for some or all of the elements described for the preferred first link 11210 and the preferred second link 11220, the amount of thickness and / And second valve assembly 1170 do not substantially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79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를 볼 때, 탱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폭(WLD)이 가시화된다. 제1 링크(11210)의 폭 및 제2 링크(11220)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고, 탱크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하나 또는 양 밸브체(1121, 1131)의 약간의 이동이 상호잠금이 분리되게 하지 않도록 치수설정될 수도 있다.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바람직한 폭(WLD)은 약 20 mm 내지 약 40 mm이다. 제1 링크(11210)의 폭 및 제2 링크(11220)의 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링크(11210)의 폭 또는 제2 링크(11220)의 폭 중 어느 하나는 더 클 수도 있고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밸브 조립체(1180, 1170)의 dV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전방측(11231) 및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후방측(11232)의 모두는 개방될 수도 있는데, 이는 탱크로부터 밸브체(1121 및/또는 1131) 중 하나 또는 모두의 더 용이한 설치 및 제거를 허용할 수도 있다.When viewing link coupling device 11200 from the top as in FIG. 79, the width W LD of link coupling device 11200 extending transversely from the tank is visualized. The width of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link 11220 are preferably the same and a slight movement of one or both valve bodies 1121, 1131 in the direction transversely across the tank may cause mutual locking May be dimensio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The preferred width W LD of the linkage device 11200 is from about 20 mm to about 40 mm. The width of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link 11220 are preferably the same, but either the width of the first link 11210 or the width of the second link 11220 may be larger, device (11200) will be understood that it should be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d between the V of the valve assembly (1180, 1170). Both of the front side 11231 of the linkage device 11200 and the rear side 11232 of the linkage device 11200 may be open because it is possible to open one or both of the valve bodies 1121 and / And may allow for easier installation and removal.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밸브 조립체(11205)를 위한 일 가능한 설치 방법은 탱크 내에 밸브 조립체(1180 또는 1170) 중 하나를 설치하고 이어서 제2 밸브 조립체(1180 또는 1170)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각각의 밸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탱크 대 보울 설치법을 사용하여 탱크의 저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밸브체(1121, 1131)는 탱크의 저부 내의 개별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다.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설치시에,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바람직하게는 상호잠금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일 밸브 조립체는 다른 밸브 조립체를 조정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제거되고, 수리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다.A possible installation method for the multiple valve assembly 11205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o install one of the valve assemblies 1180 or 1170 in the tank and then install the second valve assembly 1180 or 1170 separately. Each valve assembly is preferably separately installed and secured to the bottom of the tank using conventional tank-to-bowl installation techniques. Additionally, a tank to bowl gasket kit as described below may be used. Each of the valve bodies 1121 and 1131 may be inserted through individual holes in the bottom of the tank. In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are preferably mutually locked. By using this method, one valve assembly may be removed, repaired, or replaced without adjusting or removing other valve assemblies.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를 포함하는 다중 밸브 조립체(11205)의 다른 실시예는 도 80 및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를 가질 수도 있다.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는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제공된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는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된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를 가질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밸브체는 단일형 구조체로서 성형될 수도 있다. 부착된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를 형성한다.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에 대해 전체 구조체는 영구적으로 연결되지만,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는 개별 요소일 수도 있고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를 생성하기 위해 변기 내의 설치에 앞서 개별의 제1 밸브체(1131) 및 제2 밸브체(1121)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Another embodiment of multiple valve assembly 11205 including link coupling device 11200 may have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as shown in Figs. 80 and 81. Fig. The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may include both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provided together as a single unit. The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may have a first link 11210 and a second link 11220 permanently attach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valve bodies may be molded as a unitary structure. The attached linkage engagement device 11200 is preferably permanently attach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o form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Although the entire structure is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single multi-flush valve assembly 11206, the linkage device 11200 may be a separate element and may be a separate element before the installation in the toilet to create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It may be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element 1131 and the second valve element 1121.

바람직하게는, 단일형 다중 밸브 조립체(11206)를 생성하기 위해, 2개의 밸브체(1121, 1131) 및 2개의 밸브체를 링크하는 연결편(11207)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2개의 밸브체(1121, 1131)는 10, 110, 210, 310, 410, 1010, 1110 등과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에 설명된 바와 같을 수도 있고,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밸브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의 연결편(11207)이 밸브체(1121, 1131)와 함께 성형될 수도 있어 전체 구조체가 단일편이 되게 된다. 연결편은 또한 형성 후에 밸브체(1121, 1131)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편(11207)은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재료에 의존하는 밸브체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임의의 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편(11207)은 ABS 수지와 같은 폴리머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약 2 mm 내지 약 10 mm의 높이(hCP), 약 10 mm 내지 약 30 mm의 폭(WCP), 및 약 2 mm 내지 약 12 mm의 길이(lCP)를 갖는다. 길이(lCP)는 탱크 내의 밸브 개구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연결편(11207)은 바람직하게는 탱크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취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단면을 위한 임의의 형상이 고려되고, 형상은 원형, 난형, 삼각형, 팔각형 등일 수도 있다.Preferably, to create a single multiple valve assembly 11206, the two valve bodies 1121, 1131 and the connecting piece 11207 linking the two valve bodi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two valve bodies 1121 and 1131 may be a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uch as 10, 110, 210, 310, 410, 1010, 1110, Of the valve body. Preferably, a connecting piece 11207 of the same material may be molded together with the valve bodies 1121, 1131, so that the entire structure becomes a single piece. The connecting piece may also be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valve bodies 1121, 1131 after formation. The connecting piece 11207 is preferably of any size sufficien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valve bod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Preferably, the connecting piece 11207 is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ABS resin and has a height (h CP ) of about 2 mm to about 10 mm, a width (W CP ) of about 10 mm to about 30 mm, mm to about 12 mm (1 CP ). The length lCP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alve openings in the tank. The connecting piece 11207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s taken transversely across the tank. Any shape for the cross section is contemplated, and the shape may be circular, oval, triangular, octagonal, or the like.

다른 실시예는 제1 밸브 조립체(1180) 및 제2 밸브 조립체(1170)가 서로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를 사용하는 설치 방법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이 설치 방법은 밸브가 탱크 내에 설치되기 전에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가 상호잠금될 때 2개의 개별 밸브 조립체(1170, 1180)를 설치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1 밸브체(1131) 및 상호잠금된 제2 밸브체(1121)의 모두는 동시에 탱크 내에 설치되고 통상의 탱크 대 보울 설치 방법을 사용하여 탱크의 저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밸브체(1121, 1131)는 탱크의 저부 내의 개별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도 있다.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개별 밸브 조립체(1170, 1180)는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만일 그러하면, 개별 밸브 조립체(1180, 1170)는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탱크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밸브 조립체(1170) 및 제2 밸브 조립체(1180)가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단일형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6)에서는 개별 제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것이다.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installation method using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in which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are permanently connected to one another. Additionally, this mounting method may be useful for installing two separate valve assemblies 1170, 1180 when the linkage device 11200 is mutually locked before the valve is installed in the tank. In an embodiment that includes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both the first valve body 1131 and the interlocked second valve body 1121 are both installed in the tank at the same time and use a conventional tank- And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tank. Additionally, a tank to bowl gasket kit as described below may be used. Each of the valve bodies 1121 and 1131 may be inserted through individual holes in the bottom of the tank. If not permanently connected, the individual valve assemblies 1170 and 1180 may be installed in a connected fashion. If so, the individual valve assemblies 1180, 117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removed individually from the tank. However, individual removal would be difficult or impossible in a singl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6 where the first valve assembly 1170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80 are permanently attached to each other.

변기 보울 조립체(110)와 같은 실시예에서, 유체 유동을 분리하기 위한 개별 매니폴드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부터 보울 조립체(110) 내로 도입되고 제트(120)에 그리고 림(132)에 상이한 유체 체적을 전달한다. 이는 유체가 일 변기 입구를 통해 보울에 진입하고, 개방 단일 매니폴드 내로 유동하고, 이어서 제트(120) 내로 그리고 림(132) 내로 하향으로 비제어된 또는 중력 제어된 방식으로 유동하는 전통적인 변기 디자인으로부터 구별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자인에서, 림 또는 직접 제트로의 유체 유동의 양 및 성질은 제어가 어렵고, 통상적으로 중력 및 유동 모멘텀에 기인하여 림 위에 제트를 장려한다. 그러나, 제트(120)로의 유체의 유동 및 림(132)으로의 유체의 유동을 격리함으로써, 유체 유동은 제어되고 제트 및 림은 원하는 유체 체적을 수용한다. 게다가, 이는 마중물 급수된 제트 채널(138) 및 바람직하게는 마중물 급수된 제트 매니폴드(112)를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로(101)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In an embodiment such as the toilet bowl assembly 110, a separate manifold for isolating fluid flow is introduced into the bowl assembly 110 from at least one flush valve assembly and is introduced into the jet 120 and into the rim 132, Deliver volume. This is because the fluid enters the bowl through the one-pot inlet, flows into the open single manifold, and then flows from the conventional toilet design, which flows into the jet 120 and downward into the rim 132 in an uncontrolled or gravity- Respectively. In this conventional design, the amount and nature of fluid flow to the rim or direct jet is difficult to control, and typically encourages jetting on the rim due to gravity and flow momentum. However, by isolating the fluid flow to the jets 120 and the fluid flow to the rim 132, the fluid flow is controlled and the jet and rim receive the desired fluid volume. In addition, it allows to maintain a closed jet flow path 101 including a primed water jet channel 138 and preferably a primed water jet manifold 112.

임의의 선택적 제트 매니폴드(112)가 바람직하게는 변기 보울의 도자기 또는 다른 제조 재료 내로 예비형성되고, 적층된 위치에 배열되고 그리고/또는 림 매니폴드에 병치된다. 매니폴드는 동일한 레벨로 그러나 완전하지는 않게 병치될 수도 있다. 제트 매니폴드(112)는 제트 입구 포트(118)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제트 매니폴드 출구 개구(116)를 가질 수도 있다. 림 매니폴드(122)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180)로부터, 예를 들어, 약 0.1 리터 내지 약 5.5 리터, 바람직하게는 약 0.5 리터 내지 약 4.5 리터의 다양한 양으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1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림 매니폴드(122)는 림 입구 포트(128)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한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126)를 또한 갖는다. 제트(120)를 통한 유체의 유동은 제트 채널(들)(138)을 따라 직접 아래로 그리고 제트 출구 포트(142) 외부로 진행하고 림 채널(134)을 통해 통과하는 물의 진입과는 상이한 시간에 섬프 영역(140)에 진입하고, 이들 유동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앞서 정지할 수도 있지만, 플러시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발생한다. 이들 유량은 섬프 영역(140)을 배기하기 전에 변기 보울(130)의 내부면(137)의 세척을 최대화하도록 선택된다.Any optional jet manifold 112 is preferably preformed into a pottery or other material of the toilet bowl, arranged in a stacked position, and / or juxtaposed to the rim manifold. The manifold may be juxtaposed to the same level but not completely. The jet manifold 112 may have a jet manifold outlet opening 116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jet inlet port 118. The rim manifold 122 includes a rim manifold 122 configured to receive fluid from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180 in variable amounts, for example, from about 0.1 liters to about 5.5 liters, preferably from about 0.5 liters to about 4.5 liters. Fold inlet opening 124. The folded- The rim manifold 122 also has a rim manifold outlet opening 126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rim inlet port 128.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jet 120 is directed downward along the jet channel (s) 138 and out of the jet exit port 142 and at a different time than the ingress of water through the rim channel 134 The sump region 140 and one of these flows may stop prior to the other, but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sh cycle, the flow preferably occurs at the same time. These flow rates are selected to maximize flushing of the interior surface 137 of the toilet bowl 130 prior to draining the sump area 140.

다른 실시예에서, 림 채널(134)은 전형적인 주거용 또는 상업용 배관 라인으로부터 라인 압력에 의해 직접 동력 공급될 수 있다. 림으로의 유동의 개방 및 폐쇄는 변기 충전 밸브로서 현재 사용되는 것들에 유사한 기계적 파일럿 밸브로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im channel 134 may be powered directly by line pressure from a typical residential or commercial pipelin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to the rim can be electronically controlled with a mechanical pilot valve similar to those currently used as a toilet fill valve or with a solenoid valve.

보울(30, 130)과 같은 본 명세서의 보울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보울은 보울의 상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볼 때 일반적으로 둥근형 또는 세장형 난형 또는 타원형 형상이 되도록 예비성형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울(30)은 일반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보울(130)은 그 상부 주계 주위에 제공되어 림 채널(134)을 형성하는 림(132)을 갖는다. 림 채널은 림 매니폴드 출구 개구(126)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포트(128)(림 채널 단면이 더 균일하게 되는 림 채널과 매니폴드 사이의 전이점에서) 및 보울 조립체(110)의 내부 영역(136)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129),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이러한 출구를 갖는다. 보울(130)은 제트 채널(들)이 바람직하게는 보울(130)의 외부면(135)을 따라 또는 보울의 벽 내에서 통과하여 제트 출구 포트(142)가 보울(130)의 하부 부분(139) 내에 위치되게 하도록 제공된 제트(120)를 더 갖는다.While the bowls of this disclosure, such as the bowls 30 and 130,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most bowls are preformed to be generally round or oval or oval in shape when viewed transversely from the top of the bowl.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the bowl 30 generally has an oval shape. The bowl 130 has a rim 132 which is provided around its upper circumference to form a rim channel 134. The rim channel includes an inlet port 128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im manifold outlet opening 126 (at a transition between the rim channel and manifold where the rim channel section becomes more uniform) and an interior region of the bowl assembly 110 136 and at least one rim exit port 129, preferably a plurality of such outlets. The bowl 1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jet channel (s) to pass along the outer surface 135 of the bowl 130 or preferably within the wall of the bowl such that the jet outlet port 142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139 of the bowl 130 (Not shown).

변기(10)와 같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트(20)는 섬프 영역(40)으로, 그리오 기어서 트랩웨이(44)로의 입구로 그리고 하수 출구에 연결할 수 있는 변기 출구(O)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제트 출구 포트(4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을 형성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uch as the toilet 10, the jets 20 are connected to the sump zone 40, to the entrance to the geographed trapway way 44 and to the toilet exit O, And at least one jet channel 38 having a jet outlet port 42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도 16의 실시예에서, 플러시 물의 일부는 림 채널(134)을 통해 유도되고, 플러시 사이클 중에 보울을 세정하는 역할을 하는 보울(30)의 전체 표면에 걸쳐 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채널(134)과 보울(130)의 내부 영역 사이에 액체 연통을 제공하는 림(132) 내에 위치된 개구(129)를 통해 유동한다. 림 채널(134)을 통해 유동하는 물은 또한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유체 소스로부터 또는 림 출구 포트(129)를 나올 때 압축될 수도 있다. 출구 포트의 크기, 변기 기하학 형상 및 유량에 따라, 압축은 보울을 세정할 뿐만 아니라 사이펀에 기여하기 위한 물의 강한 압축된 스트림을 유발할 수 있다. 개별 제트 밸브 조립체(170)로부터의 플러시 물의 나머지는 제트(120)로 유도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16, a portion of the flush water is directed through the rim channel 134 and passes through the channel 134 to disperse water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wl 30, which serves to clean the bowl during the flush cycle. Through the opening 129 located in the rim 132 that provides liq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regions of the bowl 130. [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im channel 134 may also be compress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xiting the external fluid source or exiting the rim exit port 129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utlet port, the geometry of the toilet bowl, and the flow rate, compression may not only clean the bowl but also cause a strong compressed stream of water to contribute to the siphon. The remainder of the flush water from the individual jet valve assembly 170 is directed to the jet 120.

본 명세서의 제트(20, 1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들)(38, 138)은 트랩웨이 입구(44, 144)로의 더 활기차고 급속한 플러시 물의 유동을 제공하여, 변기가 더욱 더 큰 트랩웨이 직경을 갖고 설계될 수 있게 하지만,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굴곡부 및 수축부를 최소화하고 비제트형 및/또는 림제트형 보울에 대한 벌크 배설물 제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의가 취해져야 한다.The jets 20 and 120 and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s) 38 and 138 herein provide for a more energetic and rapid flow of flush water to the trapway inlets 44 and 144, Care should be taken to minimize bends and constrictions that may affect operation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ulk excrement removal for non-jet and / or rim jet type bowls.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은 변기 보울(30)의 외부면 주위로 통과하도록 변기 보울 조립체(10)의 내부 내에서 연장하도록 설계되지만, 또한 일반적으로 보울(30)의 내부 영역벽(36) 아래의 또는 하부의 변기 보울 조립체 본체(10) 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도록 위치설정된다. 다양한 크기의 다중 제트 채널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보울(30)의 어느 하나의 측면 상의 2개의 대칭 채널이 제트(20)로의 유체의 "이중 공급" 유동을 전달한다.At least one jet channel 38 is designed to extend within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wl assembly 10 to pas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30 but is also generally designed to extend within the interior region wall 36 of the bowl 30, Is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within the space formed in the bottom or bottom bowl assembly body 10. Multiple jet channels of varying sizes may be used, for example two symmetrical channels on either side of the bowl 30 deliver a "dual feed" flow of fluid to the jet 20.

제트 출구 포트(42)는 제트 채널(38)로부터 트랩웨이(44)와 유체 연통하는 섬프 영역(40)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트 출구 포트(42)는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채널(38)의 내경을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측정될 때, 약 1.0 cm 내지 약 10 cm, 바람직하게는 약 1 cm 내지 약 6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cm 내지 약 4 cm의 높이(Hjop)를 갖는다. 높이(Hjop)에 무관하게, 제트 출구 포트의 단면적은 약 2 cm2 내지 약 20 cm2, 더 바람직하게는 약 4 cm2 내지 약 12 cm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cm2 및 8 cm2의 면적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면(54) 또는 최상부 점에서 제트 출구 포트(42)의 높이(Hjop)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웨이(44)로의 입구(49)의 상부면(56) 미만의 밀봉 깊이(x)에 위치되고 섬프 영역(40)을 통해 종방향으로 측정된다. 밀봉 깊이(x)는 출구 포트(42)를 통해 제트 채널(38) 내로의 공기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약 1 cm 내지 약 15 c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cm 내지 약 12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cm 내지 약 9 cm이다. 이 거리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섬프 영역(40) 내의 유체의 최소 레벨에 동일하거나 작아서 제트 채널(38) 내의 파괴를 회피하고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또는 완료 후에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 또는 다른 플러시 밸브로부터 유체로 변기 보울 조립체(10)의 제트 채널(38) 내의 마중물 급수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The jet outlet port 42 is configured to discharge fluid from the jet channel 38 into the sump region 4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trap way 44. The jet outlet port 42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about 1.0 cm to about 10 cm, as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inside diameter of the jet channel 38, as shown in FIG. 23, , Preferably from about 1 cm to about 6 cm,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 cm to about 4 cm (H jop ). Regardless of the height (H jop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jet exit port is about 2 cm 2 to about 20 cm 2 , more preferably about 4 cm 2 to about 12 cm 2 , most preferably about 5 cm 2 and 8 cm 2 2 < / RTI > area. The height H jop of the jet exit port 42 at the top surface 54 or at the top point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height H j of the top surface 54 of the inlet 49 to the trap way 44, (X) below the sump region (56) and measur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sump region (40). The sealing depth x is preferably from about 1 cm to about 15 cm, more preferably from about 2 cm to about 12 cm, to assist in preventing passage of air into the jet channel 38 through the outlet port 42, cm,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3 cm to about 9 cm. This distance is also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inimum level of fluid in the sump region 40 to avoid breakage in the jet channel 38 and to prevent breakage of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or other flush valve before or 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Fluid must remain in the primed water supply in the jet channel 38 of the toilet bowl assembly 10. [

전술된 바와 같이, 마중물 급수된 제트 채널(38), 즉 폐쇄형 제트 유로(1)를 유지하는 것은 난류 및 유동 저항을 매우 감소시키고, 변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더 작은 체적의 물이 사이펀을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제트 채널(38) 내의 공기는 플러시 물의 유동을 방해하고 제트(20)의 유동을 제한한다. 더욱이, 공기는 퍼지되지 않으면, 제트 출구 포트(42)를 통해 배출되고 트랩웨이(44) 내로 진입할 수 있는데, 이는 트랩 사이펀을 지체시키고 보울(30) 유체 및 배설물의 제거에 영향을 미친다.As described above, holding the primed water jet channel 38, i.e., the closed jet flow path 1, greatly reduces turbulence and flow resistance, improves toilet performance, and a smaller volume of water causes the siphon to start . The air in the jet channel 38 interferes with the flow of the flush water and restricts the flow of the jet 20. Moreover, if the air is not purged, it may exit through the jet exit port 42 and into the trapway way 44, which will retard the trap siphon and affect removal of the bowl 30 fluid and excreta.

110과 같은 림 채널 실시예에서 보울의 세척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림이 플러시 사이클 중에 압축되도록 변기 조립체를 설계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한 옵션이다. 림 채널(134)의 압축은 바람직하게는 관계 (I)에서와 같이 상대 단면적을 유지함으로써 성취된다:It is also a desirable option to design the toilet assembly so that the rim is compressed during the flush cycle, in order to improve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bowl in rim channel embodiments such as 110. The compression of the rim channel 134 is preferably accomplished by maintaining the relative cross-sectional area as in relation (I): < RTI ID = 0.0 >

Arm > Arip > Arop < 6 cm2 (I)A rm > A rip > A rop <6 cm 2 (I)

여기서 Arm은 림 매니폴드(122)의 종방향 단면적이고, Arip는 림 입구 포트(28)의 단면적이고, Arop는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29)의 총 단면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트 매니폴드(112)의 단면적(Ajm)은 약 20 cm2 내지 약 65 cm2이고, 림 매니폴드(122)의 단면적(Arm)은 약 12 cm2 내지 약 50 cm2이다. 제트 매니폴드(12)의 단면적(Ajm)은 제트 플러시 밸브 입구 개구(162)의 중심으로부터 약 7.5 cm 하류측의 거리에서 측정된다. 마찬가지로, 림 매니폴드(122)의 단면적(Arm)은 림 플러시 밸브 입구 개구(164)의 중심으로부터 약 7.5 cm 하류측의 거리에서 측정된다. 이들 파라미터 내에 물 채널의 바람직한 기하학 형상을 유지하고 다르게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수축부 또는 굴곡부를 회피하는 것은 유체 소스로부터 또는 탱크 내에서 이용 가능한 물의 중력 수두를 통해 이용 가능한 포텐셜 에너지를 최대화하는 변기 보울 조립체(110)를 허용하는데, 이는 감소된 물 체적이 플러시 사이클을 위해 사용될 때 극히 중요하게 된다. 게다가, 이들 파라미터 내에 물 채널의 기하학 형상을 유지하고 제트 또는 트랩 내의 수축부 및 과도하게 소형 통로를 회피하는 것은 직접 공급 제트형 변기 내의 림 및 제트 채널의 바람직한 압축을 가능하게 하여, 벌크 제거 및 보울 세척의 모두에서의 성능을 최대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일 수 있는 복수의 림 출구 포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림 출구 포트의 면적은 각각의 이러한 출구 포트의 개별 면적의 모두의 합이 되도록 의도된다. 유사하게, 다중 제트 유동 채널(118) 또는 다중 제트 출구/입구 포트가 사용되면, 제트 채널(118) 또는 임의의 다중 포트(142)는 제트 채널 또는 제트 포트의 면적 각각의 합일 것이다. 또한, 림 내의 압축의 이익을 성취하기 위해, 압축된 림 사이펀식 변기 디자인에서 림 및 제트 채널의 치수설정 및 변기 기하학 형상에 관하여 관련 부분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8,316,475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압축된 림과 함께 기능할 때 막힘 및 열악한 성능을 회피하도록 제트 채널이 과도하게 소형으로 제조되거나 수축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 A rm is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m manifold 122, A rip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m inlet port 28, and A rop is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one rim outlet port 29. Preferably the cross sectional area A jm of the jet manifold 112 is between about 20 cm 2 and about 65 cm 2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A rm of the rim manifold 122 is between about 12 cm 2 and about 50 cm 2 . The cross-sectional area A jm of the jet manifold 12 is measured at a distance of about 7.5 cm downstream from the center of the jet flush valve inlet opening 162. Similarly, the cross-sectional area A rm of the rim manifold 122 is measured at a distance of about 7.5 cm downstream from the center of the rim flush valve inlet opening 164. Maintaining the desired geometry of the water channel within these parameters and otherwise avoiding constrictions or bends that affect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toilet bowl that maximizes the potential energy available through the gravity head of water available from the fluid source, Assembly 110, which becomes critical when a reduced water volume is used for the flush cycle. In addition, maintaining the geometry of the water channels within these parameters and avoiding constrictions and excessively small passages in the jets or traps allows for desirable compression of the rim and jet channels in the direct feed jet type toilet, Thereby maximizing performance in all of the cleaning. Preferably, the area of the rim exit port is intended to be the sum of all of the individual areas of each such exit port,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rim exit ports, which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desired design. Similarly, if multiple jet flow channels 118 or multiple jet outlet / inlet ports are used, the jet channels 118 or any multiple ports 142 will be the sum of the respective areas of the jet channels or jet ports. In order to achieve the benefits of compression within the rim, the compression of the rim and jet channels in a compressed rim siphon toilet design and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ed channels as described in U.S. Patent No. 8,316,475, It is desirable that the jet channel should not be made excessively small or shrunk so as to avoid clogging and poor performance when functioning with the limes.

실시예(10)의 변기 보울(30)의 섬프 영역(40)은 림, 제트 채널(38)로부터 물, 플러시 물 및 배기를 위한 배설물을 수집한다. 섬프 영역(40)은 보울(30)의 저부 부분(39) 내에 위치되고, 트랩 입구 단부(46)로부터 트랩 출구 단부(50)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울(30)의 내부면(36)에 의해 제트(20)를 위한 트랩(41)을 형성하고, 입구 단부(46)는 제트 출구 포트(42)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48)를 갖는다. 트랩 출구 단부(50)는 트랩웨이(44)로의 입구로 보울을 나오는 유체를 위한 개구(52)를 갖는다. 제트 트랩(41)은 도 22,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웨이(44)로의 입구의 상부면(54) 상의 최상부 점과 제트 출구 포트(42)의 상부면(54) 상의 최상부 점 사이의 거리인 밀봉 깊이(x)를 갖는다.The sump region 40 of the toilet bowl 30 of the embodiment 10 collects water, flush water and excreta for exhaust from the rim, jet channel 38. The sump region 40 is located in the bottom portion 39 of the bowl 30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36 of the bowl 30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trap inlet end 46 to the trap outlet end 50 And the inlet end 46 has an opening 48 for receiving fluid from the jet exit port 42. The trap 41 is formed by a plurality of openings 48, The trap outlet end 50 has an opening 52 for fluid exiting the bowl to the inlet to the trap way 44. The jet trap 41 has a topmost point on the top surface 54 of the inlet to the trapway 44 and a topmost point on the top surface 54 of the jet outlet port 42 as shown in Figures 22, And a sealing depth (x)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oints.

제트 트랩 밀봉 깊이(x)는 바람직하게는 약 1 cm 내지 약 15 cm, 더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약 12 cm, 가장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약 9 cm의 거리를 유지하여 섬프 영역(40) 내에 사이펀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측정된다. 제트 트랩 밀봉 깊이(x)가 충분히 클 때, 이는 제트 트랩(41) 내의 수위가 제트 채널(38)의 밀봉부가 파괴될 것인 깊이 미만으로 당겨질 수 있기 전에 트랩웨이가 사이펀을 차단하여, 이에 의해 제트 채널(38) 내로의 공기의 통과를 방지하고 제트 채널(38)을 완전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보조하는 섬프 영역(40) 내의 유체의 버퍼 레벨을 설정한다. 역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제트 트랩 밀봉 깊이(x)는 0이거나 0 미만(트랩 위에 있을 때)일 수 있고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를 통한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제트 채널(38) 및 경로(1) 내에서 마중물 급수된 상태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The jet trap sealing depth x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 distance of from about 1 cm to about 15 cm, more preferably from about 2 cm to about 12 cm,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3 cm to about 9 cm, Lt; RTI ID = 0.0 &gt; siphon &lt; / RTI &gt; When the jet trap sealing depth x is sufficiently large this causes the trap way to block the siphon before the water level in the jet trap 41 can be pulled below the depth at which the seal portion of the jet channel 38 will break, Sets the buffer level of the fluid in the sump region 40 that helps to prevent the passage of air into the jet channel 38 and to keep the jet channel 38 in a full primed water supply. Conversely, in some embodiments, the jet trap sealing depth x may be zero or less than zero (when on the trap) and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rough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1) can still be maintained.

섬프 영역(40)에서, 내부면(36)의 적어도 일부는 제트 채널(38)의 밀봉 깊이(x)를 증가시키고 플러시 사이클 중 또는 후에 제트 채널(38)에 공기가 진입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트 출구 포트(42)로부터 트랩 입구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는 경사부(58)를 갖는다. 밀봉 깊이(x)는 또한 섬프 플로어에서 제트 출구 포트(42)로 상승하기 전에 섬프의 플로어 아래로 일시적으로 침지하는 제트 채널(38)을 형성함으로써 신장될 수 있다. 밀봉 깊이(x)는 또한 제트 출구 포트(42)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트 출구 포트(42)의 높이(Hjop)는 원형, 난형 또는 장방형 출구를 형성하도록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제트 채널(38)의 밀봉 깊이(x)를 증가시키면서 충분한 단면적 및 제트(20)를 통한 유동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36 of the sump region 4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sealing depth x of the jet channel 38 an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air entering the jet channel 38 during or after the flush cycle And an inclined portion 58 which may be inclined upward from the jet outlet port 42 toward the trap inlet. The sealing depth x can also be stretched by forming a jet channel 38 that temporarily dips down the floor of the sump prior to rising from the sump floor to the jet outlet port 42. The sealing depth x can also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jet exit port 42. [ Preferably, the height (H jop ) of the jet outlet port 42 can be reduced to form a circular, oval or rectangular outlet, which increases the sealing depth (x) of the jet channel 38, Lt; RTI ID = 0.0 &gt; 20 &lt; / RTI &gt;

도 20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조립체(1010)라 칭하는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모든 다른 관점에서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개별 저장조를 갖는 탱크(1060)의 특징부에 대해서는 동일하고 유사한 도면 부호가 본 명세서에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탱크(1060)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저장조(1068) 및 적어도 하나의 림 저장조(1072)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트 저장조(1068)는, 제트 매니폴드 입구 개구(1062)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바와 같은, 제트 충전 밸브(1090) 및 조립체(10)에서와 동일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림 저장조(1072)는 림 매니폴드 입구 개구(1064)로의 유체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림 충전 밸브(1092) 및 조립체(110)에서와 동일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충전 밸브의 사용을 허용하는 탱크(1060)의 부분 횡방향 분할부일 수도 있고, 또는 탱크 분할부는 다수의 저장조로의 탱크의 영구적인 예비성형된 주조부일 수도 있다. 오버플로우 튜브가 선택적으로 제트 저장조(1068) 및 림 저장조(1072)의 모두 내에 존재하면, 오버플로우 튜브는 제트 플러시 유체의 유동(JF')으로부터가 아니라 림 플러시 유체의 유동(RF')으로부터 동작되어야 한다.Although Figure 20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assembly 1010, in all other respects the features of tank 1060 with the individual reservoirs as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present similar elements herein. The tank 1060 may include at least one jet reservoir 1068 and at least one rim reservoir 1072 and the jet reservoir 1068 may be configured for delivery of fluid to the jet manifold inlet opening 1062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that may be identical to that of the jet fill valve 1090 and assembly 10 such as the rim reservoir 1072. The rim reservoir 1072 may include at least one May have at least one rim flush valve assembly that may be identical to the rim fill valve 1092 and assembly 110 configured for delivery. This may be a partial transverse section of the tank 1060 that allows the use of one filling valve, or the tank section may be a permanent preformed cast section of a tank into a plurality of reservoirs. If an overflow tube is optionally present in both the jet reservoir 1068 and the rim reservoir 1072, then the overflow tube will operate from the flow (RF ') of the rim flush fluid, not from the flow JF' .

도 23 및 도 24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조립체(210)라 칭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다른 관점에서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랩웨이(244)의 입구를 향해 상향 경사진 또는 테이퍼진 위치에 경사진 벽이 구성되는 섬프 영역의 특징에 대해서는 실시예(10)와 동일하다. 섬프 영역벽(258)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 영역(240) 주위로 연장하여 포위하도록 설계된다. 제트 출구 포트(242)는 제트 채널(238)로부터의 유체(JF")가 적어도 하나의 림 출구 포트(도시 생략)를 통해 림으로부터 변기 보울에 진입한 유체와 병합하기 위해 보울 섬프 영역(240) 내로 진입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제트 유체 유동(JF") 및 림 유체 유동(RF")은 그 지점에서 병합하고(그리고 존재하면 배설물 및 다른 유체와), 이어서 하수 배수구를 통한 방출을 위해 보울 내부면(236)을 따라 그리고 섬프벽 위에서 섬프 영역(240) 내로 트랩웨이 입구(244) 내로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함께 유동한다. 벽(258)의 적어도 일부는 플러시 사이클 중 또는 후에 공기가 제트 채널(238)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제트 채널(238)의 밀봉 깊이(x)를 증가시키도록 요구된 상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밀봉 깊이(x)가 충분히 클 때, 이는 제트 트랩(241) 내의 수위가 제트 채널(238)의 밀봉부가 파괴될 것인 깊이 미만으로 당겨질 수 있기 전에 트랩웨이(244)가 사이펀을 차단하여, 이에 의해 제트 채널(238) 내로의 공기의 통과를 방지하고 제트 매니폴드(212)를 완전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보조함으로써 섬프 영역(240) 내의 유체의 버퍼 레벨을 설정한다.23 and 24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assembly 210. [ However, in all other re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mp region in which the inclined wall is formed at the upward inclined or tapered position toward the entrance of the trapway 244 as described below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10). The sump region wall 258 is designed to extend around and surround the sump region 240,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jet outlet port 242 is configured to allow fluid JF "from the jet channel 238 to flow into the bowl sump area 240 for merging with fluid entering the toilet bowl from the rim through at least one rim outlet port (not shown) The jet fluid flow (JF ") and the rim fluid flow (RF") are merged at that point (and with feces and other fluid, if present) And generally downwardly into the sump region 240 along the sump region 240 and into the sump region 240.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258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jet channel 238 during or after the flush cycle, (X) of the jet channel 238 that helps prevent entry of the jet trap 241 into the jet trap 241. When the sealing depth x is sufficiently large, Jets The trapway way 244 blocks the siphon so that the passage of air into the jet channel 238 is prevented and the jet manifold 212 is pushed downwardly The buffer level of the fluid in the sump region 240 is set by assisting in ensuring that the fluid is maintained in the full priming water supply state.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조립체(310)라 칭하는 도 16 내지 도 24의 것들에 대해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다른 관점에서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울 섬프 영역(340) 아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38)의 특징에 대해서는 실시예(10)와 동일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38)은 보울(330)의 후방부에서 내부 영역벽(336) 및 섬프 영역벽 후방에 위치되도록 변기 보울 조립체(310)의 내부 내에 연장하도록 설계되지만, 또한 일반적으로 보울(330)의 내부 영역벽(336) 및 섬프 영역벽(358) 아래에서 변기 보울 조립체(310) 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38)은 섬프 영역(340) 아래로 또는 하부로 통과하고, 트랩웨이(344)로의 입구에 바로 대향하여 제트 출구 포트(342)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섬프 영역벽(358) 내에서 종료한다. 이 구성의 장점은, 그 디자인이 최대 제트 유체(JF"')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력식으로 가능하고 제트 채널 내의 유체의 레벨이 고유적으로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전 및 작동후의 모두에 보울 내의 유체 또는 플러시 물 아래에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38)이 더 용이하게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고 제트 채널(338) 내의 공기를 제거할 것이라는 것이다. 섬프의 플로어 아래의 제트 채널(338)의 루트설정은 또한 도 25 및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사진 섬프 플로어 실시예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것을 넘어 제트 채널(338)의 밀봉 깊이(x)를 증가시켜, 제트 트랩(341) 내의 수위가 제트 채널(338)의 밀봉부가 파괴될 것인 밀봉 깊이(x) 미만으로 당겨질 수 있기 전에 트랩웨이가 사이펀을 차단하여, 이에 의해 제트 채널(338) 내로의 공기의 통과를 방지하고 제트 매니폴드(312)를 완전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의 더 큰 보장을 제공한다.Figs. 25-27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for those of Figs. 16-24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an assembly 310. Fig. However, in all other respects, the features of at least one jet channel 338 below the bowl sump region 340, as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in embodiment (10). At least one jet channel 338 is designed to extend within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wl assembly 310 to be positioned behind the inner sphere wall 336 and the sump area wall at the rear of the bowl 330, 330 in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wl assembly 310 and below the sump area wall 358. At least one jet channel 338 passes below or below the sump region 340 and extends through the sump region wall 358 to position the jet exit port 342 directly opposite the inlet to the trapway 344. [ Lt; / RTI &gt; The advantage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design to gravity maintain the maximum jet fluid (JF "') capability, and that the level of fluid in the jet channel is inherently low,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338 will be more easily primed and maintained to be retained and to remove air within the jet channel 338. Because of the root setting of the jet channel 338 under the floor of the sump, Also increases the sealing depth x of the jet channel 338 beyond what can be achieved by the inclined sump floo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25 and 24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jet trap 341 The trap way intercepts the siphon before it can be pulled below the sealing depth x at which the sealing portion of the jet channel 338 will break and thereby allows the passage of air into the jet channel 338 And provides greater assurance of keeping the jet manifold 312 fully primed.

도 28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조립체(410)라 칭하는 도 16 내지 도 27의 것에 대해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다른 관점에서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울(430)의 상부 주계 주위의 상부 주연부(433)의 특징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림(432)은 림 매니폴드로부터의 유체(RF"")가 보울 내로 진입하여 섬프 영역(440) 내로 배설물을 워시다운하고 제트 채널(438)로부터 변기 보울에 진입하고 제트 출구 포트(442)를 통해 방출되었던 유체와 병합하도록 보울(430)의 상부 주계의 내부 주위에 위치된 상부 주연부(433)를 갖는다. 제트 유체 유동(JF"") 및 림 유체 유동(RF"")은 그 지점에서 병합하고(그리고 존재하면 배설물 및 다른 유체와), 이어서 하수 배수구를 통한 방출을 위해 보울 내부면(436)을 따라 그리고 섬프벽(458) 위에서 섬프 영역(440) 내로 트랩웨이 입구(444) 내로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함께 유동한다. 밀봉 깊이(x)가 충분히 클 때, 이는 제트 트랩(441) 내의 수위가 제트 채널(438)의 밀봉부가 파괴될 것인 깊이 미만으로 당겨질 수 있기 전에 트랩웨이가 사이펀을 차단하여, 이에 의해 제트 채널(438) 내로의 공기의 통과를 방지하고 제트 매니폴드를 완전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보조하는 섬프 영역(440) 내의 유체의 버퍼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돕는다.28 illustrates a different embodiment for those of Figs. 16-27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an assembly 410. Fig. However, in all other respects, the features of the upper periphery 433 around the upper main body of the bowl 430 are the same as described below. The rim 432 is configured to allow the fluid RF "" from the rim manifold to enter the bowl and wash down the excrement into the sump region 440 and enter the toilet bowl from the jet channel 438 and into the jet outlet port 442 And an upper peripheral portion 433 positioned around the interior of the upper main body of the bowl 430 to cooperate with the fluid that has been discharged through the bowl 430. The jet fluid flow JF "" and the rim fluid flow RF" " are merged at that point (and with feces and other fluids if present) and then along the bowl inner surface 436 for release through the sewage drain And generally downwardly into the trapway inlet 444 into the sump region 440 above the sump wall 458. When the sealing depth x is sufficiently large, the trap way intercepts the siphon before the water level in the jet trap 441 can be pulled below the depth at which the seal portion of the jet channel 438 will break, Which helps to prevent the passage of air into the sump region 440 and to keep the jet manifold in a full primed water supply state.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예의 림리스 버전이 도 28에 도시되어 있고, 유체의 유동은 분배기 후방의 림 입구 포트로부터 그리고 상부 주연부(433) 상의 2개의 대향 방향에서 림 쉘프 주위로 진입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울의 내부면 주위로 통과하여, 이에 의해 세척 작용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주연부(433)는 보울(430)의 주계 주위로 유동함에 따라 플러시 물을 하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3의 조립체에 유사하지만, 상이한 림 쉘프 디자인을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a rimless vers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in Fig. 28, wherein the flow of fluid enters the rim shelf from the rim inlet port at the rear of the distributor and in two opposite directions on the upper periphery 433, Passing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thereby forming a cleaning ac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periphery 433 may be formed to guide the flush water downward as it flows around the main body of the bowl 430. This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assemblies of Figs. 1-13, but has a different rim shelf desig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예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같은 변기 보울 조립체(10)를 제조에 의해 제공한 후에, 제트는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 및 작동 후에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로부터 유체(JF)로 마중물 급수된다. 본 명세서의 방법은 조립체(10, 1010, 110, 210, 310, 410 등)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실시예 상에서 실시될 수도 있지만, 편의를 위해,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3에 구체화된 조립체(10)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유사한 부분은 또한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면 사용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oviding the toilet bowl assembly 10 a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herein by way of manufacture, the jets are pre-actuated and after actuation of the flush cycle, (70) to the fluid (JF). Although the method herein may be practiced on any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ing assemblies 10, 1010, 110, 210, 310, 410, etc., for the sake of convenienc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ssembly 10 embodied in Figs. Similar portions of alternative embodiments may also be used when practicing the invention using other embodiments.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전에 제트 매니폴드(12), 제트 입구 포트(18)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의 마중물 급수는 제트 밸브 플러시 조립체(70)의 플랩퍼 또는 커버를 개방하고 설치면 상에 변기 보울 조립체(10)의 설치시에 제트 입구 포트(18)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 내로 유체(플러시 물과 같은)가 유동하게 함으로써 발생한다. 이 마중물 급수는 플러시 사이클의 제1 작동으로 자동으로 발생할 것이다. 림 플러시 밸브(80) 및 제트 플러시 밸브(70)가 폐쇄될 때, 물은 제트 채널(38) 및 제트 매니폴드(12) 내에 유지될 것이고, 보울(10) 내의 물의 표면에 분위기 압력이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적소에 유지될 것이다. 임의의 소형 공기 포켓이 제1 플러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 또는 제트 매니폴드(12) 내에 유지되면, 이들 공기 포켓은 완전히 마중물 급수된 시스템을 산출하기 위해 후속의 플러시시에 배출될 것이다.The priming water supply of the jet manifold 12, the jet inlet port 18 and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38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opens the flapper or cover of the jet valve flush assembly 70, (Such as flush water) into the jet inlet port 18 and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38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bowl assembly 10. This priming water supply will automatically occur with the first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When the rim flush valve 80 and the jet flush valve 70 are closed the water will be held in the jet channel 38 and the jet manifold 12 and the atmosphere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bowl 10 It will be held in place by force. If any small air pockets are retained in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38 or jet manifold 12 after the first flush, these air pockets will be vented at the next flush to yield a completely primed watered system .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변기 보울 조립체의 초기 마중물 급수 후에, 사용자는 플러시 사이클을 작동할 것이다. 표준 종래의 변기 보울 조립체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과 같은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오버플로우 튜브가 사용을 위해 제공된다. 플러시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플러시 밸브 커버 및 벌브(bulb)는 모두 피벗 아암에 연결된다. 피벗 아암은 플러시 밸브 커버의 상부에 부착되고, 플러시 핸들 및 레버 등과 같은 임의의 표준 밸브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밸브 커버를 하강하고 상승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체인으로의 부착을 위한 링크를 포함한다. 사용시에, 플러시 밸브 커버의 피벗 아암은 오버플로우 튜브로부터 돌출하고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입구 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표준 연결부를 사용하여 오버플로우 튜브에 부착된다.After the initial priming water supply of the toilet bowl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will actuate the flush cycle. In standard conventional toilet bowl assemblies, flush valve assemblies such as those described herein and overflow tubes are provided for use. Both the flush valve cover and the bulb connected to the flush valve assembly are connected to the pivot arm. The pivot arm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flush valve cover and includes a link for attachment to the chain that can be used to lower and raise the valve cover through operation of any standard valve actuator such as a flush handle and lever. In use, the pivot arm of the flush valve cover is attached to the overflow tube using a standard connection protruding from the overflow tub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pening of the flush valve assembly.

플러시 사이클이 본 발명에서 개시되거나 작동될 때, 플러시 밸브 커버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 및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의 모두 상에서 개방하고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70)를 통해 제트 및 림 내로 통과하게 한다. 이들은 예로서, 전술된 플러시 작동 바아(75, 1175)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변기 보울 조립체(10)를 통해 최적의 유량을 허용하도록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또는 개발될 바와 같은 시간 지연 시스템을 통해 또는 동시에 개방할 수도 있다.When the flush cycle is disclosed or op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 valve cover opens on both the rim flush valve assembly and the jet flush valve assembly and allows fluid to pass through the at least one jet flush valve assembly 70 into the jet and rim do. By way of example, by using the embodiment of the flush actuating bar 75, 1175 described above, a time delay system, as is known or developed in the pertinent art to allow optimal flow through the toilet bowl assembly 10, Or open at the same time.

플러시 사이클의 작동 후에 그리고 플러시 사이클의 완료 후에, 제트 입구 포트(18) 및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38)은, (1) 제트 플러시 밸브에 공급하는 저장조 내의 물의 깊이가 제트 플러시 밸브(70)가 폐쇄되기 전에 제트 플러시 밸브(70)로의 입구(71)의 레벨로 저하되도록 허용되지 않고 (2) 제트 채널(38)의 밀봉부가 플러시 사이클 중 또는 후에 파괴되지 않는 한,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들 조건의 모두가 부합되면, 제트 채널(38) 및 제트 매니폴드(12)를 포함하는 폐쇄형 제트 유로(1)는 완전히 마중물 급수되어 유지되고 다음의 플러시 사이클을 위한 준비가 될 것이다.After operation of the flush cycl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flush cycle, the jet inlet port 18 and the at least one jet channel 38 are configured such that (1) the depth of water in the reservoir feeding the jet flush valve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jet flush valve 70 Is not allowed to drop to the level of the inlet 71 to the jet flush valve 70 before being closed, and (2) the sealing portion of the jet channel 38 is not destroyed during or after the flush cycle . If all of these conditions are met, the closed jet flow path 1 including the jet channel 38 and the jet manifold 12 will be completely primed and maintained and ready for the next flush cycle.

본 발명은 이제 이하의 비한정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non-limiting examples.

Yes

표 1은 3개의 상이한 변기를 사용하여 완료된 20회의 플러시로부터 데이터를 요약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3 및 도 29 내지 도 34에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시험되었다. 종래의 변기는 사이펀의 원하는 유압 성능을 성취하기 위해 플러시 물의 79 내지 82%가 제트에 유도되는 것을 요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변기는 제트에 유도된 플러시 물의 30% 미만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동등한 유압 성능을 제공하였고, 이에 의해 물의 나머지가 보울 세척의 상당한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였다.Table 1 summarizes data from 20 flushes completed using three different toilet seat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test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in Figures 1 to 13 and 29 to 34. [ Conventional toilets required 79 to 82% of the flush water to be directed into the jet to achieve the desired hydraulic performance of the siphon. The toile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essentially equivalent hydraulic performance using less than 30% of the flush water induced in the jet, thereby allowing the remainder of the water to be used for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wl cleaning.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10, 110, 1010, 210, 310, 410 등)는 본 명세서의 제트 플러시 밸브의 변형예로부터 각각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선택적 및 고유의 특징부가 전술된 제트 플러시 밸브 디자인에 제공되어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사용시에, 변기가 언젠가 막히게 되면, 또는 몇몇 다른 이유로, 변기가 다양한 배관 이유로 플런징을 필요로 하는데, 막힘을 해제하지만 일정한 마중물 급수된 상태에 있는 제트 밸브를 통해 폐쇄형 제트 경로를 따라 상향으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류는 변기가 분위기로 개방됨에 따라 통상의 변기에서 문제가 아니다. 본 마중물 급수식 발명에 있어서, 물의 중량 및 제트 채널 내의 물의 존재하는 기둥에 기인하여 역류는 문제가 된다. 역류를 저지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제트 플러시 밸브를 수정하는 일 방식은 제트 플러시 밸브에 역류 방지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바이스가 이제 본 명세서의 제트 플러시 밸브(70)에 다른 방식으로 유사한 제트 플러시 밸브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10, 110, 1010, 210, 310, 410, etc.)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each benefit from variations of the jet flush valve herein. Optional and unique features may be provided in the jet flush valve design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ope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In use, when the toilet is clogged at all times, or for some other reason, the toilet needs plunging for a variety of plumbing reasons, such as back flushing upward through a closed jet path through a jet valve that releases clogging but is in a constant pre- . Backflow is not a problem in a normal toilet as the toilet is open to the atmosphere. In the present prime water feeding invention, backflow is a problem due to the weight of water and the existing columns of water in the jet channel. One way of modifying the jet flush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event backflow is to provide a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 the jet flush valve. Such a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jet flush valve similar to the jet flush valve 70 herein.

전술된 플러시 밸브 디자인은 플런징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물의 역류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지만, 추가의 보호 레벨이 몇몇 실시예에서 요구될 수도 있다. 의도적으로 마중물 급수를 차단하는 것, 즉 공기를 폐쇄형 제트 채널 내로 유입하고 이를 분위기로 개방하는 것은 역류의 잠재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Although the flush valve design described above is highly effective against the backwash of water that can occur during plunging, additional levels of protection may be required in some embodiments. Intentionally blocking the priming water, i.e., introducing air into the closed jet channel and opening it into the atmosphere, significantly reduces the potential for backflow.

도 35 내지 도 38은 플랩퍼 커버(573) 및 유지 링크장치 구성을 갖는 역류 방지기 기구(574)를 갖는 제트 플러시 밸브(570)로서 본 명세서에 칭하는 제트 플러시 밸브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573)는 조립체(10) 내의 밸브(70)의 커버(15)와 동일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73)는 유지 링크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제1 전방 링크장치 장착부(593)를 구비한다. 역류 방지기 기구(574) 내의 링크장치 조립체는 커버(573)의 상승을 허용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기구(도 15에서와 같은)에 연결하기 위한 체인(C)을 위한 부착점(P)을 갖는 제1 전방 링크장치 아암(575)을 포함한다. 이러한 체인은 전술된 바와 같은 부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35-38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jet flush valve referred to herein as a jet flush valve 570 having a flapper cover 573 and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574 having a retention link arrangement. The cover 573 may be the same as the cover 15 of the valve 70 in the assembly 10. As shown, the cover 573 has a first front linkage mount 593 for attaching the retention link device. The linkage assembly within the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574 has a first forward (not shown) position with an attachment point P for chain C to connect to an actuator mechanism (such as in FIG. 15) And a link device arm 575. Such a chain may include a floa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제1 링크장치 아암은 핀(578)과 같은 힌지핀에 의해 제2 링크장치 아암(576)에 연결되지만, 다른 힌지 커넥터, 핀, 리빙 힌지, 성형된 핀, 리벳 또는 유사한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링크장치 아암(576)은 후방 힌지 장착부(579)에 또한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제3 링크장치 아암(577)에 유사한 힌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사용시에, 플랩퍼가 상승되면, 역류 방지기 유지 링크장치는 완전히 개방될 때 제1 및 제2 링크장치 아암 사이에서 약 180°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자유롭게 굴곡된다.The first linkage arm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age arm 576 by a hinge pin such as pin 578, although other hinge connectors, pins, living hinges, molded pins, rivets or similar mechanisms may be used. Similarly, the linkage arm 576 is connected by a similar hinge connector to a third linkage arm 577 which is also pivotally mounted to the rear hinge mount 579. [ In use, when the flapper is raised, the countercurrent retaining link device rises freely, as shown, to form an angle of less than about 18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nk device arms when fully open.

폐쇄될 때, 역류 방지기는 제1 및 제2 링크장치 아암이 이들이 점(P)에서 체인(C) 상에 작용 없이 유지될 것인(폐쇄 위치에서 밸브를 도시하고 있는 도 37 및 도 38 참조) 더 강성 위치에서 이들의 조인트 영역(R)에서 더 정렬되도록 링크장치 아암의 위치설정에 의해 플랩퍼 커버(573) 상에 유동이 재차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closed, the backflow prot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linkage arms will remain inactive on the chain C at point P (see Figs. 37 and 38 showing the valve in the closed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flow from being re-pressed onto the flapper cover 573 by positioning the linkage arms so that they are more aligned in their joint region R at the more rigid position.

제트 플러시 밸브의 다른 실시예(670)는 역류 방지기 기구(674)가 가동 부력 포핏 해트(poppet hat)(694)인 것이다. 도 39 내지 도 43은 포핏 해트(694)가 밀봉 방식으로 밸브(670)의 출구(613)의 영역에 대해 가압되는 폐쇄 위치에서 밸브(670)를 도시하고 있다. 폐쇄형 밸브 상의 플러시 물의 상향 중량은 밸브의 내부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는 밸브가 포핏 해트 및 전술된 바와 같은 마중물 급수된 폐쇄형 제트 경로 내로부터의 압력에 기인하여 폐쇄될 때 제트 플러시 밸브의 저부에 진입할 수 없다. 중실 포핏 해트(부력으로서 아니라)가 사용되면, 동작을 위한 더 많은 힘이 필요할 것이고 스프링 또는 다른 인장 기구가 해트를 가이드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670 of the jet flush valve is that the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674 is an active buoyancy poppet hat 694. Figures 39-43 illustrate the valve 670 in the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poppet hat 694 is pressed against the area of the outlet 613 of the valve 670 in a sealing manner. The upward weight of the flushing water on the closed valve prevents water from entering the valve. Backflow can not enter the bottom of the jet flush valve when the valve is closed due to pressure from the poppet hat and the primed water-filled closed jet path as described above. If a solid poppet hat (not as buoyancy) is used, more force will be needed for operation and a spring or other tensioning mechanism can be used to connect the hat to the guide.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 플러시 밸브(670)는 개방될 때 커버(673)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를 통한 최대 유동을 허용한다[밸브(70)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체인 또는 다른 플러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와 같이]. 커버(673)가 상승될 때, 플러시 물은 이전에 마중물 급수된 밸브에 진입하고, 지속적인 하향 유동은 포핏 해트(694)를 압박한다. 포핏 해트(694)는 바람직하게는 출구(613)에서 밸브에 대해 밀봉식으로 결합하도록 부분적으로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머이다. 포핏 해트(694)는 포스트(695) 상에 있다[도 4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디자인에서 리브형성될 수도 있음(또는 간단히 라운드 포스트)].As shown in Figures 45-48, the jet flush valve 670 allows maximum flow through the valve body by the rise of the cover 673 when opened (as described above for valve 70) Or as with other flush actuators]. When the cover 673 is lifted, the flush water enters the previously primed valve, and the continuous downward flow pushes the poppet hat 694. The poppet hat 694 is preferably an elastomer or polymer, preferably partly sealable to the valve at the outlet 613. The poppet hat 694 is on the post 695 (which may be ribbed (or simply a round post) in the cross-sectional design, as best shown in FIG. 45).

포스트는 플랜지(6100)를 갖도록 구성된 포핏 해트(694)에 연결되는 위치에 대향하여 상단부(699)를 갖는다. 플랜지는 리브형성된 구조적으로 지지된 구성 아래의 밸브체 내의 중앙에 위치된 포핏 포스트 가이드 링(699)에 대해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도 4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허브(697)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696)의 "별"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개구(698)는 허브를 통해 연장하여,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43 참조) 포핏 포스트가 상향 방향으로 용이하게 통과하게 한다. 개방될 때, 포스트는 플랜지(6100)가 완전 신장된 위치에서 가이드 링(699)에 접촉할 때까지 유동 압력 하에서 하향으로 통과하여 포핏 해트(694)가 불필요하게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될 것이다.The post has a top portion 699 opposite the location connected to the poppet hat 694 configured to have flange 6100. The flange acts as a stop for the poppet post guide ring 699 positioned centrally within the valve body under the ribbed structurally supported configuration. As shown best in FIG. 45, a "star" shape of rib 696 extending outwardly from central hub 697 is shown. The opening 698 extends through the hub to allow the poppet post to pass easily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valve is in the closed position (see FIG. 43). When opened, the post will pass downward under flow pressure until the flange 6100 contacts the guide ring 699 at the fully extended position, so that the poppet hat 694 will not unnecessarily impede flow.

역류 방지 제트 플러시 밸브(770)의 다른 실시예가 도 49 내지 도 56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기구(774)는 후크(7101)이다. 후크(7101)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커버와는 상이한 제트 플러시 밸브(770)의 커버(7102)의 전방 단부 상에 끼워진다. 후크(7101)는 제트 밸브체의 외측에 위치된 걸림부(catch)(7104)에 만나는 연장 후크 아암(7103)을 갖는다. 후크 아암(7103)은 걸림부(7104)의 대면 표면(7105)과 그 사이에 소정의 간극(g)을 가져야 하지만, 간극은 역류에 대해 기밀한 폐쇄를 제공하도록 가능한 한 작아야 하지만, 밸브가 개방될 때 후크가 용이하게 제거되어, 걸림부(7104) 주위로 요동하도록 작지는 않고, 바람직하게는 간극은 약 1 mm 내지 약 5 mm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non-return jet flush valve 770 is shown in Figures 49-56. In this embodiment, the backflow prevention mechanism 774 is a hook 7101. [ The hook 7101 is fitted on the front end of the cover 7102 of the jet flush valve 770, which in a differ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cover as described below. The hook 7101 has an extension hook arm 7103 that meets a catch 7104 located outside the jet valve body. The hook arm 7103 must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g therebetween and a facing surface 7105 of the latching portion 7104 but the gap must be as small as possible to provide an airtight closure to the counter flow, The hook is easily removed so that it does not become too small to swing around the latching portion 7104, and preferably the gap is about 1 mm to about 5 mm.

역류 방지기 기구(774)는 제외하고, 제트 플러시 밸브(770)의 고유의 특징부는 커버(7102)이다. 커버는 간단한 리프트오프 플랩퍼 커버는 아니고, "박리형" 커버이다. 이 디자인은 커버로부터 에지를 따라 커버의 후방을 향한 제트 밸브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구조체는 가요성 또는 부분 가요성이 되도록 형성된다. 엘라스토머 또는 다른 가요성 폴리머(가요성 실리콘 또는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또는 배관 사용을 위해 허용되고 등급화된 유사한 재료가 가요성 부분을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박리에 의해 후방부(7107)를 향해 밸브 커버(7102)의 전방부(7106)의 에지(7105)를 따라 상향으로 밸브 커버를 더 저속으로 박리하는 능력은 커버 위 아래에 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작동력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인은 에지를 따른 박리를 허용하기 위한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커버의 사용은 제트 플러시 밸브 및 폐쇄형 제트 경로에 양호한 자기 마중물 급수 양태를 성취하는데 유리하다. 표준 디스크 밀봉부를 갖는 하드 커버와 같은 강성 플랩퍼 커버가 자기 마중물 급수에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박리 및 저속으로 개방함으로써, 밸브(770)는 임의의 포집된 공기가 탈출되게 한다. 커버(7102)의 적어도 약 50%는 커버의 후방부(7107)를 향해 후방으로 커버 반부의 전방부(7106) 내에서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의 후방 반부는 가요성일 필요는 없다.Except for the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774, the unique feature of the jet flush valve 770 is the cover 7102. The cover is not a simple lift-off flapper cover, but a "peel-off" cover. This design allows the opening of the jet valve towards the rear of the cover along the edge from the cover. The structure is formed to be flexible or partially flexible. Elastomers or other flexible polymers (such as flexible silicon or polyvinyl chloride) or similar materials that are permitted and graded for piping use may be applied for the flexible portion. The ability to peel the valve cover upwards along the edge 7105 of the front portion 7106 of the valve cover 7102 towards the rear portion 7107 by peeling allows the valve cover to be peeled off at a lower speed due to the presence of water below the cover, Lt; / RTI &gt; Applicants have found that the use of a flexible or semi-rigid cover to allow for delamination along the edge is advantageous in achieving good self priming watering conditions for the jet flush valve and the closed jet path. A rigid flapper cover, such as a hard cover with a standard disc seal, may provide more difficulty in self priming watering. By removing and releasing at low speed, valve 770 allows any trapped air to escape. It is preferred that at least about 50% of the cover 7102 is flexible within the front portion 7106 of the cover half to the rear toward the rear portion 7107 of the cover. The rear half of the cover need not be flexible.

박리 기구를 동작하고 후크 역류 방지기 기구를 상승시키기 위해, 제1 체인(C1)은 밸브가 개방될 때 후크(7101)를 상승시키기 위해 변기의 플러시 작동 기구와 함께 동작하고, 일단 상승되면, 커버의 전방부(7106)는 상향으로 박리하여 상승한다. 상승함에 따라, 힌지결합된 아암(7108)[실시예(570)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힌지/힌지 연결부 재료 및 구조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상향으로 굴곡된다. 힌지결합된 아암(7108)은 커버(7102)의 전방부(7106)를 상향으로 박리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힌지 장착부(7109)를 사용하여 선택적 커버 플레이트(7110)(금속, 폴리머,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도 있음)에 장착된다. 임의의 적합한 플러시 액추에이터가 체인(C1, C2)에 연결하도록 사용되고 그리고/또는 수정될 수도 있다. 일단 C1이 단부(7105)에서 커버의 전방부를 상향을 박리 이격하여 상승되면, 커버의 후방부가 상승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그 위에 부유부를 가질 수도 있는 제2 체인(C2)일 수도 있는 개별의 부유부 부착부가 제공된다. 도 88 내지 도 90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부유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커버의 후방부에 부유부를 연결하기 위한 부유부 부착부의 다른 변형예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트링, 코드, 로프, 스테인레스강 케이블, 강성 로드 또는 와이어가 또한 부유부 부착부의 대안 실시예로서 부유부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In order to operate the peeling mechanism and lift the hook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the first chain C1 operates with the flushing mechanism of the toilet to raise the hook 7101 when the valve is opened, The front portion 7106 peels upward to rise. As it ascends, the hinged arms 7108 (which may be formed using any suitable hinge / hinge connection material a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embodiment 570) are bent upwardly. The hinged arm 7108 may be hinged to the optional cover plate 7110 (metal, polymer, or elastomer) using a hinge mount 7109 to assist in peeling the front portion 7106 of the cover 7102 upward . Any suitable flush actuator may be used and / or modified to connect to chain C1, C2. Once the C1 is lifted away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cover at the end portion 7105 so as to peel upward, the rear portion of the cover is raised. A separate suspension attachment portion, which may be a second chain (C2), which may have a floating portion there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ther variations of the floating attachment portion for connecting the floating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f the cover, including the floating portion assembly shown in Figures 88-90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may also be used. Strings, cords, ropes, stainless steel cables, rigid rods or wires may also be used with the floating portion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floating attachment.

밸브(770)의 내부는 바람직하게는 개구(798)가 그를 통해 연장하는 중앙 허브(797)로 밸브의 몸체를 링크하는 리브(796)로 형성된 구조체를 사용하여 "별" 형상을 또한 갖는다. 유동은 리브 구조체를 통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지만, 구조체는 밸브의 몸체를 가로질러 반경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밸브 상에 플러시 유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플랩퍼는 개방을 위한 힘 요구의 2배를 가져, 따라서 지지부가 동작시에 보조되고,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배플 또는 리브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리브의 수는 너무 많은 리브가 존재하거나 리브가 너무 크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성형되면 유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valve 770 also has a "star" shape using a structure formed with a rib 796 that links the body of the valve to a central hub 797, preferably through which the opening 798 extends. The flow can easily pass through the rib structure, but the structure helps support the weight of the flush fluid on the valve by extending radially across the body of the valve. The flapper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escape of air by having twice the force requirement for opening, thus assisting the support in operation, and also using molded baffles or ribs as shown. The number of ribs can affect the flow if too many ribs are present or if the ribs are molded in too large or improper way.

도 64 내지 도 68은 그 위에 구비된 선택적 오버플로우 튜브(791)를 갖는 밸브(770)의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오버플로우 튜브(791)는 제트 밸브를 통한 역류에 대한 다른 체크로서 임의의 다양한 표준 밸브(V)를 그 내부에 합체하기 위한 그리고 공기가 진입하고 탈출하게 할 수 있는 상부 하우징(769)을 포함한다. 밸브는 개방 위치로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어 마중물 급수를 차단하고 역류 없이 플런징을 가능하게 한다. 마중물 급수의 차단은 유지보수 또는 수리 전과 같이, 다른 상황에서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볼 밸브, 디스크 밸브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밸브가 그 내부에 합체될 수도 있다. 밸브(V)는 도 67의 부분 단면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769)은 선택적이고, 다른 방향 연결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밸브는 이어서 작동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리셋되고, 변기는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정상 플러시 사이클 중에 경험되는 것을 초과하는 양의 압력이 폐쇄형 제트 채널 내에서 경험되어 공기가 채널에 진입하여 마중물 급수를 차단할 때 자동으로 개방하여 개방 유지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체크 밸브는 이어서 작동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리셋되고, 변기는 마중물 급수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체크 밸브는 사용자의 부분 상의 수동 개입을 요구하지 않고, 약 5초 내지 약 60초의 지연 후에 폐쇄 위치로 복귀한다. 이는 예를 들어 액체 완충식 힌지를 갖는 플랩퍼형 밸브에 의해 전기기계식으로 또는 기계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Figures 64-68 illustrate the same embodiment of a valve 770 having a selective overflow tube 791 disposed thereon. Overflow tube 791 includes an upper housing 769 for incorporating therein any of a variety of standard valves V as an alternative check for backflow through the jet valve and for allowing air to enter and exit . The valve can be manually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to block the priming water and allow plunging without backwash. Interception of priming water may also be desirable in other situations, such as before maintenance or repair. Any suitable valve, such as a ball valve, disc valve, or the like, may be incorporated therein. Valve V is schematically shown in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Housing 769 is optional, and other directional connection valves may be used. The valve is then manually reset by the user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toilet can be returned to the primed water supply. Preferably, the valve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held open when an amount of pressure experienced in the closed jet channel exceeds that experienced during a normal flush cycle such that air enters the channel and blocks the priming water . This check valve is then manually reset by the user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toilet can be returned to the primed water supply. Most preferably, the check valve does not require manual intervention on a portion of the user and returns to the closed position after a delay of about 5 seconds to about 60 seconds. This can be accomplished electromechanically or mechanically, for example, by a flapper type valve with a liquid-hinged hinge.

도 58 및 도 59는 플러시 밸브(870) 내에서, 지지 구조체의 별 형상이 밸브(770)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대신에 8개의 리브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내부의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제트 플러시 밸브(770)의 것에 동일한 실시예(87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리브의 수 및 변형예는 밸브를 통한 유동을 불필요하게 억제하지 않고 다양한 정도의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공기 방출을 최대화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58 and 59 show the same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flush valve 870, except that the star shape of the support structure has eight ribs instead of four as shown in the valve 770 The same embodiment 870 is shown for a jet flush valve 770 hav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such ribs and variations may be modified to provide varying degrees of structural support and to maximize and facilitate air release without unnecessarily restraining flow through the valve.

도 60 내지 도 63은 단일의 하향 제3 링크장치 아암 대신에, 실시예(970)가 하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폭이 더 큰 브리징 구조체(9111)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밸브(570)의 것과 유사한 유지 링크장치 구성인 역류 방지기 기구(974)를 갖는 플러시 밸브(97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브리징 구조체(9111)는 제3 링크장치 아암으로서 작용하지만, 힌지결합된 장착부(9108)를 향해 하향 저항을 분배한다. 이러한 힌지결합된 아암(9108)은 힌지 장착부(9109)에서 부착하고, 실시예(770, 870)와 같이 상향으로 "박리"하는 능력을 커버(9102)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역류 방지기 기구(974)의 전방부는 실시예(570)의 것들에 유사한 제1 및 제2 힌지결합된 링크장치 아암(975, 976)을 포함한다. 제2 링크장치 아암은 이후에 힌지 구조체(9112)를 통해 힌지결합된 아암(9108)의 후방부에 결합하는 브리징 구조체(9111)의 상부에 표준 힌지 연결부를 통해 링크된다. 제1 링크장치 아암은 힌지 장착부(993)를 통해 커버(9102)의 전방부(9106)에 연결된다. 체인(도시 생략)이 커버(9102)의 전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해 실시예(57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점(P)에서 부착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570)와는 달리, 커버(9102)는 실시예(710)에서 커버(7102)와 같이 가요성이고 따라서 상향으로 박리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의 체인이 실시예(710)에서 체인(C2)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9113) 또는 유사한 구조체의 위치에서 커버(9102)의 후방 반부를 상승시키기 위해 실시예(710)에서 부유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로밋(9113) 또는 유사한 구조체가 또한 도 88 내지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유부 부착부, 스트링, 코드, 로프, 스테인레스강 케이블, 강성 로드 또는 와이어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Figures 60-63 illustrate that the valve 570 is similar to the valve 570 except that instead of a single downward third linkage arm, the embodiment 970 includes a bridging structure 9111 having a larger width as it extends downwardly. A flush valve 970 with a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974, which is a similar retention link device arrangement. The bridging structure 9111 acts as a third linkage arm, but distributes the downward resistance towards the hinged mounting portion 9108. [ This hinged arm 9108 is attached at the hinge mount 9109 and operates to provide the cover 9102 with the ability to "peel" upward, as in embodiments 770 and 870. [ The forward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er mechanism 974 includes first and second hinged linkage arms 975, 976 similar to those of embodiment 570. The second linkage arm is then linked through a standard hinge connection to the top of the bridging structure 9111 which engages the rear portion of the hinged arm 9108 through the hinge structure 9112. [ The first linkage arm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9106 of the cover 9102 through a hinge mount 993. [ As opposed to embodiment 570, the cover 9102 may be mounted at a point P, although a chain (not shown) may be attached at point P as described in embodiment 570 to lift the front of cover 9102 It may be flexible as in the cover 7102 in the example 710 and thus peeled upwards. It is further contemplated that an additional chain may be used to lift the rear half of the cover 9102 in position 712 in the example 710 to raise the rear half of the cover 9102 at the location of the grommet 9113 or simila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to maintain wealth. Grommet 9113 or similar structures may also be used to secure floating attachments, strings, cords, ropes, stainless steel cables, rigid rods, or wires as shown in Figs. 88-90.

도 69 및 도 70은 제트 밸브 조립체 실시예(770, 870, 970)에 유사한 제트 밸브 조립체(1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역류 방지 기구 없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실시예(570, 670, 770, 870, 970 등)의 임의의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류 방지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77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마중물 급수된 제트 밸브를 개방하도록 요구된 부가의 힘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은 점진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서 밸브의 섹션은 "박리" 개방되어 제트로의 소정의 물 액세스를 허용하여,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기 전에 압력을 평형화한다. 하나 이상의 밸브 조립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트 밸브 조립체(1170)는 밸브 커버(1173) 및 밸브체(1121)를 갖고, "박리"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림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단일의 탱크 내의 다중 밸브 조립체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밸브 조립체는 사이펀식 변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밸브 조립체는 워시다운식 변기를 포함하여, 임의의 플러시 변기와 함께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Figures 69 and 70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jet valve assembly 1170 similar to the jet valve assembly embodiments 770, 870, 970. This embodiment may also be used without a backflow prevention mechanism, or it may include a backflow prevention mechanism as shown in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570, 670, 770, 870, 970, etc.). As shown in embodiment 770, the solution to overcome the additional force required to open the primed water jet valve is to provide a gradually opening valve wherein the section of the valve is "peeled" To allow predetermined water access to the valve, thereby balancing the pressure before the valve is fully opened. At least one valve assembly, preferably at least a jet valve assembly 1170, has a valve cover 1173 and valve body 1121 and is configured to "peel" open. It is also understood that multiple valve assemblies in a single tank comprising a rim valve assembly may have a similar configuration. It is also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valve assembly is described herein as being used with a siphon toilet, the valve assembly may also be used with any flush toilet, including a wash-down toilet.

도 73 내지 도 75는 실시예(770)의 커버(7102)와 유사하고 바람직하게는 밀봉부(11170) 및 강성 커버(11180)를 갖는 밸브 커버(1173)의 일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강성 커버(11180)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커버(1173)의 점진적인 개방을 위해 밀봉부(11170)와 함께 굴곡 가능하다. 강성 커버(11180)는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박리 섹션(11182) 및 상승 섹션(11183)을 가질 수도 있다. 박리 섹션(11182)은 바람직하게는 상승 섹션(11183)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8)를 갖는다.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8)와 상승 섹션(11183) 사이의 연결부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이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위한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도 73 및 도 74에 도시되어 있다.Figures 73-75 illustrate one such embodiment of a valve cover 1173 having a seal portion 11170 and a rigid cover 11180 similar to the cover 7102 of the embodiment 770. [ The rigid cover 11180 is preferably bendable with the seal 11170 for gradual opening of the valve cover 1173. The rigid cover 11180 may preferably have a peel section 11182 and a lift section 11183 that are late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eeling section 11182 preferably has at least one hinged mounting portion 11108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rising section 11183.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nge-coupled mounting portion 11108 and the riser section 11183 is preferably a rotatable connection. This configuration for the rotatable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nd is shown in Figs. 73 and 74.

강성 커버(11180)는 전술된 실시예(770)의 커버 플레이트(7110)에 유사하게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섹션(11182)의 후방 에지(11185) 및 상승 섹션(11183)의 전방 에지(11186)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밸브 커버(1173)의 VP 및 VP'에 의해 규정된 중앙 종방향 평면에 또한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에지(11185, 11186) 사이에 횡방향 간격(TS)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박리 섹션(11182)의 후방 에지(11185)로부터 상승 섹션(11183)의 전방 에지(11186)까지의 거리(dTS)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이지만, 이 거리는 밸브 커버(1173)의 크기에 의존할 수도 있다. 박리 섹션(11182)이 상승 섹션(11183)을 이동하지 않고 소정 거리에 대해 밸브체(1121)로부터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섹션이 그 프로세스와 간섭하지 않고 밀봉부(11170)를 굽히기 위해 충분한 유극이 존재하기만 하면, 임의의 분리 거리(dTS), 뿐만 아니라 미분리가 또한 고려된다.Rigid cover 11180 operates similarly to cover plate 7110 of embodiment 770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rear edge 11185 of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the front edge 11186 of the ascent section 11183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entral longitudinal direction defined by VP and VP ' And is also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re may be a transverse spacing TS between the edges 11185 and 11186. The distance d TS from the rear edge 11185 of the peeling section 11182 to the front edge 11186 of the rising section 11183 is preferably 10 mm to 20 mm, . &Lt; / RTI &gt; It is possible that the peeling section 11182 is able to ascend from the valve body 1121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moving the rising section 11183 and that each section has sufficient clearance to bend the sealing section 1117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cess (D TS ), as well as non-separation, is also considered.

체인(C1)이 플러시 작동 바아(1175)에 강성 커버(11180)의 박리 섹션(11182)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바아(1175)가 상승될 때, 밸브 커버(1173)의 박리 섹션(11182)은 밸브체(1121)로부터 상승이 가능하다. 박리 섹션(11182)은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을 통해 상승 섹션(11183)과 연계될 수도 있다.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은 바람직하게는 박리 섹션(11182)과의 이들의 연결부에서 이동 불가능하고, 회전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상승 섹션(11183)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은 성형 프로세스 중에 박리 섹션(1118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의 각각의 외부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페그(11115)를 갖는다. 페그(11115)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고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9) 상에 슬롯(11116) 내에 삽입되도록 치수설정된다. 2개의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이 바람직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11117)는 바람직한 2개의 힌지결합된 아암(11108)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이 자체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치수설정되고 성형될 수도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11117)는 필요하지 않다.The chain C1 may be used to connect the peeling section 11182 of the rigid cover 11180 to the flush operating bar 1175. [ The peeling section 11182 of the valve cover 1173 can rise from the valve element 1121 when the flush operation bar 1175 is lifted. The peeling section 11182 may be associated with the rising section 11183 via the hinged arm 11108. The hinged arms 11108 are preferably immovable at their connection with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are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raised section 11183 by a rotatable connection. The hinged arm 1110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eling section 11182 during the forming process and preferably has two pegs 11115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each of the hinged arms 11108. [ The peg 11115 is dimens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11116 on a preferably cylindrical and hinged mounting portion 11109. It is understood that although two hinged arms 11108 are preferred and shown in the figures, one or more hinged arms 11108 may be used. The resiliently deformable support member 1111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referred hinged arms 11108. The resiliently deformable support member 11117 is not required because the hinged arm 11108 may be dimensioned and molded to be resiliently deformable by itself.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은 바람직하게는 상승 섹션(11183)의 전방 에지(11186)에 평행한 라인 둘레로 회전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9)를 통해 상승 섹션(11183)에 연결한다.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9)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난형 형상을 바람직하게 갖는 종방향 연장 슬롯(11116)을 갖지만, 직사각형, 원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임의의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힌지결합된 아암(11108) 상의 페그(1111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 부재(11117)의 탄성 변형의 사용을 통해 슬롯(11116)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난형 형상은 페그(11115)가 이들의 각각의 슬롯(11116) 내에서 회전식으로,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이동은 박리 섹션(11182)이 상승 섹션(11183)과 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임의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가 상승 섹션(11183)으로의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종방향 이동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된다. 가능한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다른 요소 상의 개구 내로 스냅결합하는 하나의 요소 상의 돌출부와 같은 임의의 힌지결합형 조인트, 또는 각각의 요소 내에 위치된 개구 내로 삽입된 핀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볼 및 소켓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동일한 축 둘레의 회전이 가능한 다른 유형의 연결부가 또한 고려된다.The hinged arm 11108 preferably connects to the riser section 11183 via a hinge-coupled mounting portion 11109 by a connection rotatable about a line parallel to the front edge 11186 of the riser section 11183 . The hinged mounting portions 11109 each have a longitudinally extending slot 11116 preferably having an oval shape, but it is understood that any shape, such as a rectangle, circle, or hexagon, is possible. The peg 11115 on the hinged arm 11108 may be inserted into the slot 11116 through the use of resiliently deformable support members 11117. [ The oval shape causes peg 11115 to move rotationally, as well as longitudinally, within each of its slots 11116. This movement allows peeling section 11182 to optimally interact with riser section 11183. It is understood that any rotatable connection may be used for connection of hinged arm 11108 to riser section 11183 and longitudinal movement is not required. Possible rotatable connectors may include the use of any hinged joint, such as a protrusion on one element that snaps into an opening on the other element, or a pin inserted into an opening located within each element. Other types of connections are also contemplated that allow rotation about the same axis, including ball and socket joints.

박리 섹션(11182)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힌지결합된 아암(11108)은 바람직하게는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9)와 연결부 둘레로 회전하여, 단시간 기간 동안 상승 섹션(11183)을 이동하지 않고 박리 섹션(11182)이 밸브체(1121)로부터 상승하게 한다. 일단 박리 섹션(11182)이 체인(C1) 및 플러시 작동 바아(1175)에 의해 충분한 각도로 상승되어 있으면, 힌지결합된 장착부(11109)는 바람직하게는 상승 섹션(11183) 상에 작용하여, 강성 커버(11180)의 상승 섹션(11183)이 개방되게 하여, 전체 밸브 커버(1173)를 밸브체(1121)로부터 완전히 상승시킨다. 부유부(F)는 또한 체인(C2), 이하에 설명되는 부유부 조립체(11270), 또는 다른 연결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 밸브 커버(1173)에 부착될 수도 있다. 부유부는 밸브 커버(1173)를 개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플러시 중에 탱크 내의 수위의 강하를 통해 밸브의 폐쇄의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체인을 따른 부유부의 더 낮은 위치설정은 밸브의 더 늦은 폐쇄 및 플러시 체적의 증가를 야기할 수도 있다.As the peeling section 11182 continues to rise, the hinged arm 11108 preferably rotates about the connection with the hinged mounting portion 11109, thereby preventing the peeling section 11182 from mov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11182) is lifted from the valve body (1121). Once the peeling section 11182 has been raised by a sufficient angle by the chain C1 and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the hinged mounting portion 11109 preferably acts on the raised section 11183, The rising section 11183 of the valve body 11180 is opened to completely lift the entire valve cover 1173 from the valve body 1121. The floating portion F may also be attached to the valve cover 1173 through the use of a chain C2, a floating assembly 11270 described below, or other connecting device. The floating portion may provide buoyancy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valve cover 1173 and / or to control the time of closing the valve through a drop in water level in the tank during flushing. Lower positioning of the floating portion along the chain may result in a later closing of the valve and an increase in flush volume.

제1 밸브 조립체, 제2 밸브 조립체 및 임의의 부가의 도구를 갖지 않고 부유부 조립체(11270)의 형태의 부유부 부착부를 갖는 제2 밸브 조립체를 갖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갖는 조립체 키트(1100)가 도 88에 도시되어 있다. 부유부 조립체(11270)는 부유부(F) 및 부유부를 제2 밸브 조립체(117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부유부 커넥터(11280)를 포함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부유부 부착부는 제2 밸브 조립체에 부유부를 연결하기 위해 체인(C2)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9 내지 도 90은 부유부 조립체(11270)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9는 폐쇄 위치에서 밸브 커버(1173)를 도시하고 있고, 도 90은 개방 위치에서 밸브 커버(1173)를 도시하고 있다. 부유부 커넥터(11280)는 강성, 또는 폴리머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반강성 구조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부유부 커넥터는 밸브 커버(1173)에 부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부유부(F)의 동작과 간섭하지 않도록 적합한 밀도를 갖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부유부 커넥터의 길이(lFA)는 밸브 커버가 완전히 개방하는 속도를 조정하도록 변동될 수도 있다. 길이(lFA)는 약 4 cm 내지 약 14 cm의 범위일 수도 있다.An assembly kit 1100 having a flush operation assembly with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and a second valve assembly having a floating attachment portion in the form of a floating assembly 11270 without any additional tools, 88. The floating assembly 11270 includes a floating portion F and a floating portion connector 11280 configured to connect the floating portion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he floating attachment portion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may be used in place of the chain C2 to connect the floating portion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89-90 illustrate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valve assembly 1170 that includes a flotation assembly 11270. Flap assembly 1170 includes a flap assembly 11270, Fig. 89 shows the valve cover 1173 in the closed position, and Fig. 90 shows the valve cover 1173 in the open position. The floating connector 11280 may be a rigid, or semi-rigid structure preferably made of a polymeric material. It is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loating connector may be constructed of any material having a suitable densit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portion F in providing buoyancy to the valve cover 1173. [ The length l FA of the floating connector may be varied to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valve cover fully opens. The length l FA may range from about 4 cm to about 14 cm.

부유부 커넥터(11280)는 제1 단부(11271) 및 제2 단부(11272)를 갖는다. 부유부(F)가 부유부 커넥터(11280)의 제1 단부(11271) 상에 고정된다. 부유부 커넥터의 제2 단부(11272)는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상승 섹션(11183) 상에 위치된 상승된 바아(11274) 상에 스냅결합되는 클립(11273)의 사용을 통해 제2 밸브 조립체(1170)의 상승 섹션(11183)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클립(11273)은 부유부 조립체(11270)가 상승된 바아(11274)의 종축 둘레로 회전하게 한다. 바아의 종축은 밸브 힌지(11275)가 그 둘레로 회전하는 축에 평행해야 한다. 하나 또는 양 요소 내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 핀, 볼 및 소켓 조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의 회전식 또는 힌지결합된 연결부와 같은 임의의 회전식 연결부가 밸브 조립체의 상승 섹션에 부유부 조립체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어, 회전식 연결부가 그 둘레로 밸브 힌지(들)(11275)가 회전하는 축에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이해된다.The floating connector 11280 has a first end 11271 and a second end 11272. The floating portion F is fixed on the first end portion 11271 of the floating portion connector 11280. [ The second end 11272 of the flo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through the use of a clip 11273 snap-engaged onto the raised bar 11274 located on the elevated section 11183 of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 A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elevated section 11183 of the assembly 1170. The clip 11273 causes the suspension assembly 11270 to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aised bar 11274.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ar should be parallel to the axis through which the valve hinge 11275 rotates. Any pivotal connection, such as a pin, ball and socket joint inserted through a hole in one or both of the elements, or any other known rotational or hinged connection, may be used to connect the floating assembly to the raised section of the valve assembly , It is understood that the rotary connection is rotatabl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axis through which the valve hinge (s) 11275 rotate.

부유부 커넥터의 제1 단부(11271)는 부유부(F)를 유지하기 위한 걸쇠(11276)를 포함할 수도 있다. 걸쇠(11276)는 다소 탄성 변형 가능하여, 부유부가 개구 내에 삽입될 때, 걸쇠를 그 휴지 위치로 복귀하려고 시도하는 힘은 부유부(F)를 마찰에 의해 적소에 확실하게 유지하게 한다. 표준 부유부와 함께 사용을 위해, 그 최소 높이(hSC)에서 걸쇠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휴지시에 약 0 cm 내지 약 4 cm 높이이고 부유부가 그 내부에 삽입될 때 약 1 cm 내지 약 5 cm 높이(부유부의 높이)이다. 걸쇠의 개구의 최대 높이의 높이(hTC)는 휴지시에 그리고 부유부가 그 내부에 삽입될 때의 모두에 약 2 cm 내지 약 6 cm이다. 걸쇠의 저부는 부유부의 저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편평한 플랫폼(11277)을 가질 수도 있고 걸쇠의 상부(11278)는 만곡될 수도 있어, 전체 제1 단부(11271)가 코터핀에 유사하게 성형되게 된다. 걸쇠의 탄성 변형 가능한 성질은 다양한 상이한 부유부의 사용을 허용하여, 밸브 커버의 부력이 조정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필요하다면 부유부의 용이한 교체를 허용하게 된다.The first end 11271 of the floating connector may include a latch 11276 for holding the floating portion F. [ The latch 11276 is somewhat resiliently deformable such that the force that attempts to return the latch to its rest position when the suspe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ensures that the floating portion F is kept in place by friction. For use with a standard flush, the opening of the latch at its minimum height (h SC ) is preferably about 0 cm to about 4 cm high at rest and about 1 cm to about 5 cm cm (the height of the floating portion). The height of the maximum height of the opening of the latch (h TC ) is about 2 cm to about 6 cm for both when paused and when the floating portion is inserted therein. The bottom of the latch may have a flat platform 11277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bottom of the flotation and the top 11278 of the latch may be curved so that the entire first end 11271 is shaped similarly to the cotter pin. The resiliently deformable nature of the latch permits the use of a variety of different floating portions, so that the buoyancy of the valve cover is adjustable and, if necessary, permits easy replacement of the floating portion.

일단 박리 섹션이 상향력이 상승 섹션 상에서 증가되는 점으로 상승되면, 부유부는 적은 힘이 상승 섹션을 완전히 개방하게 요구되도록 하는 보조를 제공한다. 밸브가 개방할 때, 부유부 조립체(11270)의 제2 단부(11272)와 상승 섹션(11183) 사이의 연결은 부유부(F)가 밸브 커버의 개방을 통해 수직 위치에 유지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정지부(11279)는 클립(11273)의 어느 일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어, 수위가 부유부(F)의 레벨 미만으로 저하할 때, 부유부 조립체(11270)가 수위와 함께 완전히 저하하지 않게 될 것이다. 정지부는 부유부가 적절하게 기능하게 하는데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이들 정지부는 부유부 조립체가 밸브 조립체의 다른 부분의 동작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ce the peeling section is raised to the point where the upward force is increased on the rising section, the floating section provides aiding that a small force is required to open the rising section fully. When the valve is op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end 11272 of the float assembly 11270 and the riser section 11183 causes the floating section F to remain in a vertical position through the opening of the valve cover. One or more stops 11279 can be positioned on either side of the clip 11273 such that when the level drops below the level of the floating portion F the float assembly 11270 is fully lowered You will no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is disclosure that although the stop is not essential for proper functioning of the float, these stops may prevent the float assembly from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other parts of the valve assembly It will be possible.

제2 또는 제트 밸브 조립체가 부유부 부착부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제트 밸브 조립체 및/또는 림 밸브 조립체는 부유부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 또는 양 밸브 조립체가 유사한 방식으로 거동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Although the second or jet valve assembly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floating attachment portion,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jet valve assembly and / or the rim valve assembly may include a floating attachment portion and that either or both valve assemblies may behave in a similar manner I understand.

도 76 및 도 77은 요구되지 않을 때 액체가 제트 입구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밸브 커버(1173)를 점진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강성 커버(11180)와 함께 이동하도록 강성 커버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밀봉부(1117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밀봉부(11170)는 밀봉면(11171) 및 잠금면(11172)을 가질 수도 있다. 잠금면(11172)은 도 73 내지 도 7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강성 커버(11180)에 밀봉부(11170)를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복수의 잠금 러그(1117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밀봉부(11170)는 바람직하게는 박리 섹션(11182) 및 상승 섹션(11183)과 대면 결합으로 위치설정된다. 밀봉부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잠금 러그(11173)만의 사용을 통해 또는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방법과 함께 강성 커버(11180)에 부착된다. 잠금 러그(11173)는 액체 유동의 힘이 강성 커버(11180)로부터 밀봉부(11170)를 잡아당겨 빠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부가의 특징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잠금 러그(11173)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도 있지만,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방법만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Figures 76 and 77 illustrate a seal that may be used with a rigid cover to move with the rigid cover 11180 to prevent liquid from entering the jet inlet when not required and to gradually open the valve cover 1173. [ 0.0 &gt; 11170 &lt; / RTI &gt; Sealing portion 11170 may have sealing surface 11171 and locking surface 11172. [ The locking surface 1117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lugs 11173 that may help secure the sealing portion 11170 to the rigid cover 11180, as shown in Figures 73-75. Seal 11170 is preferably positioned in face-to-face relationship with peel-away section 11182 and riser section 11183. The seal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rigid cover 11180 either through the use of a plurality of locking lugs 11173 alone or with an adhesive or other fixing method. The locking lugs 11173 may serve as additional features to help prevent the force of the liquid flow from pulling the seal 11170 out of the rigid cover 11180. [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lthough use of the locking lug 11173 may be preferred, use of only an adhesive or other fastening method is also possible.

잠금 러그(11173)는 밸브 커버(1173)의 박리 양태를 보조할 수도 있다. 밀봉부(11170)를 가로지르는 잠금 러그(11173)의 배열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잠금 러그(11173)가 박리 섹션(11182) 내에 위치되는 것과, 하나 이상의 잠금 러그(11173)가 상승 섹션(11183) 내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박리 섹션(11182)이 상승됨에 따라, 힘이 이동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봉부(11170)에 인가될 수도 있는데, 이 힘은 밀봉부(11170)를 강성 커버(11180)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길 것이고 요구되는 것보다 길게 밸브를 폐쇄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지연은 림 밸브의 개방과 제트 밸브의 개방 사이의 타이밍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상승 섹션에 앞서 박리 섹션 개방의 이익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잠금 러그(11173)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부(11170) 상의 액체에 대항력을 공급하는데, 이는 밸브체(1121)로부터 이를 상승시키고 밸브의 개방의 적절한 타이밍을 유지하는데 충분해야 한다.The lock lug 11173 may assist the peeling of the valve cover 1173. The arrangement of the locking lugs 11173 across the seal 11170 may be such that one or more of the locking lugs 11173 are located within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one or more of the locking lugs 11173 May be located within riser section 11183. As the peeling section 11182 is raised, a force may be applied to the seal portion 1117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this force will pull the seal portion 11170 away from the rigid cover 11180, So as to keep the valve closed. The delay may affect the timing between the opening of the rim valve and the opening of the jet valve and / or may reduce the benefit of opening the peeling section prior to the riser section. The locking lug 11173 preferably provides a counter force against the liquid on the seal 11170, which must be sufficient to raise it from the valve body 1121 and to maintain the proper timing of opening of the valve.

복수의 잠금 러그(11173)는 잠금면(11172) 둘레에 배열될 수도 있고, 강성 커버(11180)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11188)와 결합하도록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배열은 예를 들어, 3개의 행의 잠금 러그(11173)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하나 이상의 잠금 러그(들)(11173)가 각각의 행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행(11174)은 박리 섹션(1118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들)(11173)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행(11175)은 상승 섹션(11183)의 전방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들)(11173)를 가질 수도 있고, 제3 행(11176)은 상승 섹션(11183)의 후방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들)(11173)를 가질 수도 있다. 러그(11173)의 연결부의 구성은 각각의 러그(11173)의 크기 및 형상이 개구를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고 개구로부터 제거가 더 어렵게 하도록 이루어진다. 잠금 러그와 각각의 박리 및 상승 섹션 사이의 연결부의 구성은 특정 잠금 러그의 위치 및 형상에 의존할 수도 있다. 구성의 바람직한 특정 특징부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A plurality of locking lugs 11173 may be arranged around the locking surface 11172 and may be positioned to engag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openings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The preferred arrangement may, for example, include three rows of lock lugs 11173, wherein one or more lock lugs (s) 11173 are located in each row. Preferably, the first row 11174 may have at least one locking lug (s) 11173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the second row 11175 may have at least one locking lug And the third row 11176 may have at least one locking lug (s) 11173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rear of the riser section 11183 .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lugs 11173 is such that the size and shape of each lug 11173 is relatively easi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more difficult to remove from the ope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k lug and each of the peel and lift sections may depend 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particular lock lug. Certain desirable features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각각의 잠금 러그의 특정 위치는 밸브 커버(1173)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의존한다. 행(11174 내지 11176)은 밸브 커버(1173)를 통해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VP, VP') 상의 밀봉부(11170)의 전방 에지 상에 위치된 점(CP)으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준 밸브 커버 크기에 대해, 제1 행(11174)은 점(CP)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15 mm의 거리(d1R)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 행(11175)은 점(CP)으로부터 약 40 mm 내지 약 60 mm의 거리(d2R)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3 행(11176)은 점(CP)으로부터 약 60 mm 내지 약 80 mm의 거리(d3R)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강성 커버(11180)로의 밀봉부(11170)의 충분한 고정을 허용하고, 또한 상이한 시간에 박리 섹션(11182) 및 상승 섹션(11183)이 개방되게 한다.The specific position of each locking lug is dependent on the size and / or shape of the valve cover 1173. The rows 11174 through 11176 may be located at various distances from the point CP located on the front edge of the seal portion 11170 on the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VP, VP 'through the valve cover 1173 . Preferably, for a standard valve cover size, the first row 11174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d IR from about 5 mm to about 15 mm from the point CP, (D 2R ) from about 40 mm to about 60 mm from the point CP and a third row 11176 is located at a distance d 3R from about 60 mm to about 80 mm from point CP . This configuration allows sufficient securing of the sealing portion 11170 to the rigid cover 11180 and also allows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the riser section 11183 to open at different times.

복수의 잠금 러그(11173)를 위한 다른 구성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잠금 러그의 단지 단일의 행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행은 바람직하게는 점(CP)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30 mm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는 박리 섹션이 상승됨에 따라 러그가 강성 커버에 밀봉부를 고정하게 한다. 단일의 행이 또한 점(CP)으로부터 약 30 mm 내지 약 90 mm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잠금 러그의 2개의 행의 사용이 이해되는데, 여기서 1개의 행은 점(CP)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30 mm에 위치되고, 제2 행은 점(CP)으로부터 약 35 mm 내지 약 90 mm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러그의 0개의 행의 사용을 포함하여, 임의의 조합으로 점(CP)으로부터 약 35 mm 내지 약 90 mm에 위치된 0개, 1개, 또는 그 초과의 행의 사용과 함께, 점(CP)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30 mm에 위치된 0개, 1개 또는 그 초과의 행의 사용이 이해된다. 러그의 위치는 또한 밸브 커버(1173)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의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행이 박리 섹션(11182) 내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행이 상승 섹션(11183) 내에 위치된다.Other configurations for a plurality of locking lugs 11173 are also contemplated. For example, only a single row of lock lugs may be used, where the rows are preferably located at about 5 mm to about 30 mm from point CP. This position allows the lug to secure the seal to the rigid cover as the peel section is raised. A single row may also be located at about 30 mm to about 90 mm from point CP. The use of two rows of lock lugs is understood wherein one row is located at about 5 mm to about 30 mm from point CP and the second row is located at about 35 mm to about 90 mm from point CP . Generally, with the use of zero, one, or more rows located at about 35 mm to about 90 mm from point CP in any combination, including the use of zero rows of lugs, One, or more rows located from about 5 mm to about 30 mm from the point of view CP. The position of the lug may also depend on the size and / or shape of the valve cover 1173. Preferably, at least one row is located within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at least one row is located within the riser section 11183.

각각의 잠금 러그(11173)를 위한 바람직한 형상은 헤드(11190) 및 네크(1119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11190)는 바람직하게는 네크(11191)보다 약간 더 커서, 헤드(11190)가 강성 커버(11180) 내의 대응 개구(11188) 내에 삽입될 때, 밀봉부(11170)가 강성 커버(11180)에 인접하여 잠금되게 된다. 헤드(11190)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라운딩된 상부면을 갖는 원추형이고, 네크(11191)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잠금 러그(11173)의 형상은 전술된 바람직한 형상에 기초하여 밀봉부에 평행하게 취한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헤드(11190) 및/또는 네크(11191)의 이 단면은 난형, 삼각형, 정사각형 등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구형 헤드와 같은 원형 단면을 갖는 다른 형상이 또한 이해된다.The preferred shape for each locking lug 11173 may include a head 11190 and a neck 11191. [ The head 11190 is preferably slightly larger than the neck 11191 so that when the head 11190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the sealing portion 11170 is attached to the rigid cover 11180 Thereby being locked adjacently. Head 11190 is preferably conical with generally rounded top surface, and neck 11191 preferably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lthough the shape of the locking lugs 11173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generally circular cross section taken parallel to the seal portion based on the preferred shape described above, this cross section of the head 11190 and / or the neck 11191 may be oval, Square, or the like. Other shape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uch as a spherical head are also understood.

헤드(11190)의 저부면(11192)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dTH)는 네크(11191)의 상부면(11193)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dTN)보다 클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헤드(11190)의 저부면(11192)의 원주는 바람직하게는 헤드(11190)가 강성 커버(11180)에 관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강성 커버(11180) 내의 대응 개구(11188)의 원주보다 크다. 네크(11191)의 상부면(11193)의 원주는 바람직하게는 개구(11188) 내에 끼워지도록 강성 커버(11180) 내의 개구(11188)의 원주보다 작다. 네크(11191)는 또한 개구(11188) 내에 삽입될 때 변형하는 압축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네크(11191)의 상부면(11193)의 원주가 강성 커버(11180) 내의 개구(11188)의 원주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네크 또는 전체 잠금 러그를 위한 압축성 재료의 사용에 의해, 개구 내에 삽입될 때 네크 섹션의 변형이 충분한 잠금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헤드 및 네크는 단일 실린더, 또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다른 형상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The distance d TH along the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1192 of the head 11190 is measured along the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 section of the top surface 11193 of the neck 11191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d TN .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1192 of the head 11190 preferably has a circumference of the corresponding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so that the head 11190 preferably performs a lock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rigid cover 11180. [ Lt; / RTI &gt;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surface 11193 of the neck 11191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so as to fit within the opening 11188. [ Neck 11191 may also be made of a compressible material that deforms when inserted into opening 11188.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11193 of the neck 11191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 Moreover, by the use of compressible materials for the neck or the entire locking lug, the head and neck can be made of a single cylinder, or any other shape having a uniform cross-section, since deformation of the neck section when inserted into the opening may provide sufficient locking. As shown in FIG.

제1 행(11174) 및 제2 행(11175)의 잠금 러그(11173)를 위한 바람직한 형상은 밸브 커버(1173)의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VP-VP')에 대면하는 측면을 따라 일반적으로 편평면(11194)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편평면(11194)은 헤드(11190) 및 네크(11191)의 모두를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잠금 러그(11173) 상의 편평면(11194)은 선택적이고, 설치를 보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밀봉부(11170)의 필수 요소는 아니다.The preferred shape for the locking lugs 11173 in the first row 11174 and the second row 11175 is generally parallel along the side facing the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VP-VP 'of the valve cover 1173 Plane 11194. The flat plane 11194 may extend along both the head 11190 and the neck 11191. The flat surface 11194 on the locking lug 11173 is optional and may be used to assist in installation, but it is not an integral part of the seal 11170.

각각의 러그(11173)의 헤드(11190) 및 네크(11191)의 치수는 균일할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의 러그(11173)는 하나 이상의 고유의 치수(들)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6 및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11173)의 하나 이상은 다른 잠금 러그(11173)보다 더 대형의 헤드(11190) 및/또는 더 대형의 네크(11191)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행(11176) 내에 위치된 잠금 러그(11173)는 다른 잠금 러그(11173)보다 크고, 다른 잠금 러그(11173)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76 및 도 77에서, 이 잠금 러그는 다른 잠금 러그(11173)와 편평면(11194)을 공유하지 않는다. 제3 행의 잠금 러그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은 그 더 대형의 크기 및 개구의 상부와의 연속적인 접촉에 기인하여 밀봉부(11170)와 강성 커버(11180) 사이에 더 확실한 연결부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잠금 러그(11173)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모든 잠금 러그(11173)는 고유의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One or more lugs 11173 may have more than one inherent dimension (s), although the dimensions of the head 11190 and neck 11191 of each lug 11173 may be uniform. As shown in Figures 76 and 77, one or more of the lugs 11173 may have a larger head 11190 and / or a larger neck 11191 than the other locking lugs 11173. Preferably, the locking lugs 11173 located in the third row 11176 are larger than the other locking lugs 11173 and have a different shape than the other locking lugs 11173. For example, in Figures 76 and 77, this locking lug does not share a flat surface 11194 with another locking lug 11173. The different size and shape of the locking lugs in the third row may create a more reliable connection between the sealing portion 11170 and the rigid cover 11180 due to its larger size and subsequent contact with the top of the opening . One or more of the locking lugs 11173 may have a different shape, and all the locking lugs 11173 may have a unique dimension and / or shape.

강성 커버(11180) 상에 밀봉부(11170)를 잠금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커버(11180) 내의 그 대응 개구(11188)를 통해 그리고 그 내에 각각의 잠금 러그(11173)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헤드(11190)는 개구(11188)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해야 하여, 그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구(11188)를 통하면 팽창한다. 모든 잠금 러그(11173)는 동시에 이들의 각각의 개구(11188)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1회에 하나 이상이 그 각각의 개구(11188)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잠금 러그(11173)를 이들의 각각의 개구(11188) 내에 삽입하기 전에, 접착제가 밀봉부(11170)의 잠금면(11172) 및/또는 강성 커버(11180)의 인접한 표면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밀봉부(11170)가 강성 커버(11180)에 잠금될 때, 잠금 러그(11173)의 헤드(11190)는 잠금면(11172)으로부터 강성 커버(11180)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네크(11191)는 강성 커버(11180) 내의 개구(11188)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잠금면(11172)을 헤드(11191)에 정렬하고 연결할 수도 있다. 실시예(770)에 대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11190) 및 네크(11191)를 갖는 잠금 러그(11173)의 사용은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러그(11173)는 단지 정렬 목적으로 강성 커버(11180) 내의 대응 개구(11188) 내에 삽입을 위한 네크(11191)만을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잠금 러그 없이 단지 접착제를 통해 강성 커버(11180)에 부착된 밀봉부(11170)의 사용이 또한 고려된다.The method of locking the seal portion 11170 on the rigid cover 11180 preferably includes inserting respective lock lugs 11173 through and through its corresponding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do. The head 11190 has to be resiliently compressed as i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188 and expands through the opening 11188 to provide its locking function. All of the locking lugs 11173 may be inserted into their respective openings 11188 at the same time, or one or more at a time may be inserted into their respective openings 11188. An adhesive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locking surface 11172 and / or the rigid cover 11180 of the sealing portion 11170, before inserting the locking lugs 11173 into their respective openings 11188 . The head 11190 of the locking lug 11173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gid cover 11180 from the locking surface 11172 and the neck 11170 of the locking lug 11172, 11191 may be located in the opening 11188 in the rigid cover 11180 and may align and connect the locking surface 11172 to the head 11191. [ The use of a locking lug 11173 with a head 11190 and a neck 11191 is also not essential and the lug 11173 is only required to provide a rigid cover &lt; RTI ID = 0.0 &gt; May have only a neck 11191 for insertion in a corresponding opening 11188 in the housing 11180. The use of the sealing portion 11170 attached to the rigid cover 11180 via adhesive only without any locking lugs is also contemplated.

밀봉면(11171)은 바람직하게는 요구될 때까지 상승 섹션(11183)을 상승시키지 않고 박리 섹션(11182)과 상승 섹션(11183) 사이의 굴곡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가요성인 밀봉 밸브에 공지된 임의의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지만, 비닐, 고무, 및 다른 엘라스토머와 같은 충분한 밀봉 특성을 갖는 임의의 다른 공지의 폴리머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금면(11172) 및 잠금 러그(11173)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 재료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들 요소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재료는 또한 실리콘이다. 밀봉면(11171), 잠금면(11172) 및 잠금 러그(11173)를 포함하는 전체 밀봉부(11170)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또는 3차원 인쇄를 사용하여 동시에 생성된 모든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하나의 요소를 위해 사용된 재료는 다른 요소의 각각을 위해 사용된 재료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요소는 포함된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에 의해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이어서 서로 부착되어 밀봉부(11170)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sealing surface 11171 is preferably made of any material known to the sealing valve that is flexible enough to allow bending between the peeling section 11182 and the riser section 11183 without raising the riser section 11183 until required, . Such a material is preferably silicone, but may also include any other known polymer having sufficient sealing properties such as vinyl, rubber, and other elastomers. Locking surface 11172 and lock lug 11173 are also preferably made from these material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for these elements is also silicon. The entire sealing portion 11170 including the sealing surface 11171, the locking surface 11172 and the locking lugs 11173 can be manufactured from the same material as all the portions simultaneously produced using injection molding, compression molding, or three- do. The material used for one ele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material used for each of the other elements. Additionally, each element may be individually created by one or more of the included processes, and then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al portion 11170. [

본 명세서에 열거된 실시예의 설명된 요소의 각각은 개별적으로, 하나 이상의 키트(들)의 부분으로서 공급되거나, 또는 조립된 변기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립체 키트(1100)는 새로운 변기 내에 설치되거나 기존의 변기의 구성요소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데 사용되도록 공급될 수도 있다. 조립체 키트(1100)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포함된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 및 또한 상기에 포함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밸브 조립체(1170, 1180)를 포함한다.Each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listed herein may be supplied individually as part of one or more kit (s), or may be installed in an assembled toilet. The assembly kit 1100 may be installed in a new toilet or may be supplied for use in repairing or replacing components of an existing toilet. The assembly kit 1100 may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and preferably includes a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d above and one or more valve assemblies 1170 and 118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d hereinabove ).

도 6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키트(1100)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 키트(1100)는 바람직하게는 림 밸브 조립체(1180), 제트 밸브 조립체(1170),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 및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11241)(도 83 및 도 84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림 밸브 조립체(1180)는 림 밸브체(1131), 오버플로우 튜브(1191), 및 림 밸브 커버(118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림 밸브 커버(1182)는 림 밸브 커버(1182)를 플러시 작동 바아(1175)에 연결하기 위해 부유부(F)가 그에 부착되어 있는 체인(C)을 가질 수도 있다. 제트 밸브 조립체는 오버플로우 튜브를 갖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오버플로우 튜브는 영구적으로 밀봉 폐쇄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제트 밸브 조립체(1170)는 제트 밸브체(1121), 오버플로우 튜브(1191) 상의 선택적 제거 가능한 캡(11201), 및 제트 밸브 커버(1173)를 가질 수도 있다. 제트 밸브 커버(1173)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체인(C1) 및 제2 체인(C2)을 갖고, 제1 체인(C1)은 박리 섹션(11182)을 플러시 작동 바아(1175)에 연결하고, 제2 체인(C2)은 부유부(F)를 상승 섹션(11183)에 부착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 플러시 작동 바아(1175) 및 피벗 로드(P)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의 구성요소는 전술된 플러시 작동 조립체 실시예(11144)에 따라 서로 조립되고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조립체 키트(1100)는 도 82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조립체 키트(1100)는 피벗 로드(P) 없이 도시되어 있다. 도 8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림 밸브 조립체(1180) 및 제트 밸브 조립체(1170)의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내부로부터 밸브 주위로 액체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대 탱크 가스켓(11252)을 갖는다.Figure 69 shows an assembly kit 1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sembly kit 1100 preferably includes rim valve assembly 1180, jet valve assembly 1170,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and tank-to-bowl gasket kit 11241 (shown in Figures 83 and 84) do. The rim valve assembly 1180 may include a rim valve body 1131, an overflow tube 1191, and a rim valve cover 1182. The rim valve cover 1182 may have a chain C to which the floating portion F is attached to connect the rim valve cover 1182 to the flush actuating bar 1175. [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jet valve assembly may not have an overflow tube, or the overflow tube may be permanently sealed closed. The jet valve assembly 1170 may have a jet valve body 1121, an optional removable cap 11201 on the overflow tube 1191, and a jet valve cover 1173. The jet valve cover 1173 preferably has a first chain C1 and a second chain C2 and the first chain C1 connects the peeling section 11182 to the flush operating bar 1175, 2 The chain C2 may attach the floating portion F to the rising section 11183. Flush actuation assembly 11144 may include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flush actuation bar 1175 and pivot rod (P). The components of the flush actuation assembly 11144 may be assembled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flush actuation assembly embodiment 11144 described above. Assembly kit 1100 is shown in greater detail in FIG. In this figure, the assembly kit 1100 is shown without a pivot rod P. 82, both rim valve assembly 1180 and jet valve assembly 1170 preferably include a valve-to-tank gasket 11252 to prevent liquid from leaking from the interior of the tank around the valve .

도 83은 조립체 키트(1125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조립체 키트(11250)는 제공되는 밸브 조립체(1180, 1170) 내의 제1 조립체 키트(1100)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조립체 키트(11250)는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 또는 112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 조립체(1170) 및 제2 밸브 조립체(1180)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밸브 조립체는 제1 밸브 커버(1182) 및 제1 링크(11210)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밸브 조립체는 제2 밸브 커버(1173) 및 제2 링크(11220)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는 제2 밸브 조립체(1180)와 제1 밸브 조립체(1170)를 연계하도록 상호잠금될 수도 있다. 조립체 키트(11250)의 제2 실시예는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FIG. 8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kit 11250. FIG. The second assembly kit 11250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assembly kit 1100 in the valve assembly 1180, 1170 provided. The second assembly kit 11250 may includ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ies 11205 or 1120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5 may preferably have a first valve assembly 1170 and a second valve assembly 1180. The first valve assembly may have a first valve cover 1182 and a first link 11210. The second valve assembly may have a second valve cover 1173 and a second link 11220. The first link 11210 and the second link 11220 may be interlocked to couple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and the first valve assembly 1170 togeth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kit 11250 may also include a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as shown in FIG.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11241)는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키트일 수도 있고, 또는 더 대형의 조립체 키트(1100 또는 11250) 중 하나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립체 키트(11250)는 더 대형의 탱크 조립체 키트(11251)를 형성하는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11241)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11241)는 탱크 대 보울 가스켓(11242), 고정 너트(11243) 및 밀봉 와셔(112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특정 렌치 도구(11245)가 표준 또는 비표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탱크에 구성요소를 부착하는데 사용을 위해 포함될 수도 있다. 렌치 도구(11245)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너트(11243)를 둘러싸기 위한 개방 단부(11246) 및 밸브체(1121 또는 1131)의 저부에 위치될 수도 있는 나사산 형성면(11248) 상에 너트(11243)를 고정하도록 레버리지를 파지하고 제공하기 위한 연장 아암(11247)을 갖고 간단하다. 탱크 대 보울 가스켓(11242) 및 밸브 대 탱크 가스켓(11252)은 바람직하게는 양호한 밀봉 및 화학 안정성을 위한 SEBS 재료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성형된다. 고정 너트(11243) 및 밀봉 와셔(11244)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탈로부터 형성된다.The tank-to-bowl gasket kit 11241 may be an individual kit, as shown in FIG. 84, or may be provided in one of the larger assembly kits 1100 or 11250. As shown in Figure 83, the second assembly kit 11250 may also include a tank-to-bowl gasket kit 11241 that forms a larger tank assembly kit 11251. [ The tank-to-bowl gasket kit 11241 may also include a tank-to-bowl gasket 11242, a locking nut 11243, and a sealing washer 11244. Additionally, certain wrench tools 11245 may be included for use in attaching components to the tank as they may be formed in standard or non-standard sizes. The wrench tool 11245 preferably has an open end 11246 for surrounding the locking nut 11243 and a nut 11243 on the threaded surface 11248 which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alve body 1121 or 1131. [ And has an elongate arm 11247 for gripping and providing leverage to secure the lever. The tank-to-bowl gasket 11242 and the valve-to-tank gasket 11252 are preferably molded into a thermoplastic elastomer, such as SEBS material for good sealing and chemical stability. The locking nut 11243 and the sealing washer 11244 are preferably formed from acetal.

조립체 키트(1100)의 제1 실시예 및/또는 조립체 키트(11250)의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는 탱크 대 보울 가스켓 키트(11241)의 포함을 갖거나 갖지 않고 임의의 조합으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설명된 아이템의 2개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어느 하나의 조립체 키트(1100 또는 11250)는 핸들(H) 및 피벗 로드(P)를 포함할 수도 있는 플러시 액추에이터와 같은 부가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다른 조립체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개별 트립 레버 조립체 키트 내에 핸들을 구비할 수도 있기 때문에, 피벗 로드(P)는 조립체 키트(1100 및/또는 11250)로부터 또한 배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Any o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kit 1100 and / o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kit 11250 may be provided in any desired combination with or without the inclusion of the tank-to-bowl gasket kit 11241, It is contemplated that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of the items described in the examples. Additionally, any one of the assembly kits 1100 or 11250 may include additional elements, such as a flush actuator, which may include a handle H and a pivot rod P. [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pivot rod P may also be excluded from the assembly kits 1100 and / or 11250, as it may have a handle in an individual trip lever assembly kit, as is done in other assemblies in the related art .

전술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밸브 조립체(1170 또는 1180)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부가의 변기 실시예가 또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변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10, 110, 210, 310, 410, 1010 등)의 임의의 하나의 변기에 유사할 수도 있고, 변기는 도 1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변기의 일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 조립체(1180), 제2 밸브 조립체(1170) 및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를 갖는 변기를 갖는다. 플러시 작동 조립체(11144)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플러시 작동 바아(1175), 피벗 로드(P) 및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111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밸브 조립체(1180)는 림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고, 제2 밸브 조립체(1170)는 제트 밸브 조립체일 수도 있다. 더욱이, 변기를 포함하는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11205)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제1 밸브 조립체(1180)는 제1 링크(11210) 및 제2 링크(11220)를 각각 사용하여 제2 밸브 조립체(1170)와 상호잠금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1210)는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링크(11220)는 대응 상향 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밸브 조립체가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밸브체(1131, 1121)가 링크결합 디바이스(11200)의 사용을 통해 서로 정렬 유지되도록 하는 제1 밸브체(1131)와 제2 밸브체(1121) 사이의 임의의 연결이 고려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 toilet implement embodiments are also provided, including embodiments of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as described above,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valve assemblies 1170 or 1180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Specifically, the toilet may be similar to any one toilet in the embodiments 10, 110, 210, 310, 410, 1010, etc. described herein, and the toilet may be as shown in FIG. 1 or 16 It is possible. One embodiment of the toilet preferably has a toilet with a first valve assembly 1180, a second valve assembly 1170 and a flush operation assembly 11144. Flush actuation assembly 11144 may include flush actuating bar 1175, pivot rod P and adjustable flush connector 11150,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may be a rim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1170 may be a jet valve assembly. Further, the flush valve assembly including the toilet may be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11205,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1180 uses a first link 11210 and a second link 11220, respectively, Interlocked with the assembly 117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nk 11210 may have a downward hook feature and the second link 11220 may have a corresponding upward protrusion.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valve bodies 1131 and 1121, includ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valve assemblies are formed as a single unit,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use of the linkage device 11200. [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sed on this disclosure that any connection between the sieve 1131 and the second valve body 1121 is contemplated.

변경이 본 발명의 광범위한 발명적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실시예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의 수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road inventive concept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1)

플러시 변기용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이며,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과,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조정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상기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한,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for a flush toilet bowl,
A first section hav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A second section,
An adjustable connector having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ing an adjustable connector longitudinally movable and rotatably position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변기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인,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2.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flush toilet is a siphon flush toi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의 표면의 일부 및 그를 통한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내부면은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가 상기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조정되게 하도록 각각 나사산 형성되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2. Th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forming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and a passageway therethroug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and rotationally adjusted along the second section, Threaded, adjustable flush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피벗 로드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2.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ab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a pivot l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2.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a flush actua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는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2.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otatab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a flush actuating bar including a firs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a seco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플러시 변기에 사용을 위한 플러시 작동 조립체이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바아와,
피벗 로드와,
상기 피벗 로드 및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
A flush operation assembly for use in a flush toilet bowl,
A flush operating bar includ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portion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A pivot rod,
And a connector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pivot rod and the flush actuating b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이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벗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
8. The connector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or is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ing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and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movable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long a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ivot rod us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positioned on a first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connected to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Wherein said flush-actuated bar is connected to said flush-actuated bar using a sp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변기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인, 플러시 작동 조립체.9. The flush operated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flush toilet is a siphon flush toi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의 표면의 일부 및 그를 통한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내부면은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가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조정되게 하도록 각각 나사산 형성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9.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of claim 8,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adjustable connector forming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and a passage therethroug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justable connector extends along a second section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Respectively, to be adjusted longitudinally and rotational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1 부분은 림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9. The flush operated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flush operated b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im valve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2 부분은 제트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9. The flush operated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jet valve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1 부분 및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의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밸브체 및 밸브 커버를 갖는 밸브 조립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커버는 밀봉부, 및 밸브를 점진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밀봉부를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 커버를 갖는 밸브 조립체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lush actuating bar is configured to connect to a valve assembly having a valve body and a valve cover, To a valve assembly having a valve cover including a rigid cover configured to be able to bend the seal to gradually open the se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면은 상기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seal comprises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the lock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apertures in the rigid cover, Working assembl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밀봉면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조립체.14. The flush operated assembly of claim 13, wherein the seal comprises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at least the sealing surface comprises silicon. 밸브체를 포함하는 플러시 밸브를 갖는 플러시 밸브 조립체용 밸브 커버이며,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체 위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밸브 커버는
밀봉부와,
상기 밸브 커버의 점진적인 개방을 위해 상기 밀봉부와 함께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 커버.
A valve cover for a flush valve assembly having a flush valve comprising a valve body, the valve cover being positioned over the valve body,
A sealing portion,
And a rigid cover configured to be able to bend with the seal for gradual opening of the valve cov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면은 상기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하는, 밸브 커버.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seal comprises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the lock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apertures in the rigid cover, cover.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잠금 러그는 헤드 및 네크를 포함하고, 상기 네크의 상부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는 상기 헤드의 저부면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라인을 따라 측정된 거리보다 짧은, 밸브 커버.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each locking lug comprises a head and a neck, and a distance measured along a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s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neck defines a transverse line across the cross- The valve cover is shorter than the measured distan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잠금 러그는 제1 행, 제2 행, 및 제3 행으로 배열되는, 밸브 커버.18. The valve cover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locking lugs are arranged in a first row, a second row, and a third row.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밸브 커버를 통한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 상의 상기 커버의 전방 에지 상의 점으로부터 약 5 mm 내지 약 15 mm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행은 점으로부터 약 4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되고, 상기 제3 행은 점으로부터 약 60 mm 내지 약 80 mm에 위치되는, 밸브 커버.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row is located about 5 mm to about 15 mm from a point on the front edge of the cover on a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through the valve cover, mm to about 50 mm, and the third row is located at about 60 mm to about 80 mm from the poin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러그의 제1 행, 제2 행 및 제3 행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하는, 밸브 커버.20. The valve cover of claim 19, wherein each of the first row, second row and third row of the lock lug comprises at least one lock lug.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잠금 러그는 헤드 및 네크를 포함하고, 상기 네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헤드는 라운딩된 상부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추형인, 밸브 커버.20. The valve cover of claim 19, wherein each locking lug comprises a head and a neck, the neck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head is generally conical with a rounded top surfa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러그의 제1 행의 헤드 및 상기 잠금 러그의 제2 행의 헤드는 상기 밸브 커버의 중앙 수직 종방향 평면에 대면하는 측면을 따라 일반적으로 편평한, 밸브 커버.23. The valve cover of claim 22, wherein the head of the first row of the lock lug and the head of the second row of the lock lug are generally flat along the side facing the central vertical longitudinal plane of the valve cover.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밀봉면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밸브 커버.18. The valve cover of claim 17, wherein at least the sealing surface comprises silic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커버는 박리 섹션 및 상승 섹션을 포함하는, 밸브 커버.18. The valve cover of claim 17, wherein the rigid cover comprises a peel section and a lift section.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와 상기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 사이에 횡방향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 및 상기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앙 종방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박리 섹션의 후방 에지로부터 상기 상승 섹션의 전방 에지까지 측정된 횡방향 거리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인, 밸브 커버.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re is a lateral gap between the rear edge of the peeling section and the forward edge of the riser section, the rear edge of the peeling section and the front edge of the riser section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lateral distance measured from the rear edge of the peeling section to the front edge of the riser section is from about 10 mm to about 20 mm.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결합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된 장착부는 상기 상승 섹션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커버.26. The valve cover of claim 25, wherein the peeling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hinged mounting portion, and the hinged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raised section.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강성 커버의 박리 섹션 및 상승 섹션과 대면 결합하여 위치설정되는, 밸브 커버.26. The valve cover of claim 25, wherein the seal is positioned in face-to-face engagement with a peel section and a lift section of the rigid cove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복수의 잠금 러그의 사용을 통해 상기 박리 섹션 및 상기 상승 섹션에 연결되는, 밸브 커버.26. The valve cover of claim 25, wherein the seal is connected to the peeling section and the riser section through the use of a plurality of locking lug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상기 박리 섹션 및 상기 상승 섹션에 연결되는, 밸브 커버.26. The valve cover of claim 25, wherein the seal is connected to the peeling section and the riser section through the use of an adhesiv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섹션은 플러시 작동 바아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커버.26. The valve cover of claim 25, wherein the peeling section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flush actuating bar. 제31항에 있어서, 부유부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밸브 커버.32. The valve cover of claim 31, further comprising a floating attachment. 플러시 변기용 밸브 조립체이며,
밸브체로서, 상기 밸브체를 제2 밸브 조립체의 제2 밸브체와 연계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하는, 밸브체와,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A flush toilet bowl valve assembly,
A valve body including a link for coupling said valve body with a second valve body of a second valve assembly;
And a valve cover.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변기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인, 밸브 조립체.34. The valve assembly of claim 33, wherein the flush toilet is a siphon flush toilet.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커버가 폐쇄될 때 상기 밸브체에 액체가 진입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오버플로우 튜브를 더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34. The valve assembly of claim 33, further comprising an overflow tube connected to the valve body and configured to allow liquid to enter the valve body when the valve cover is close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커버는 플러시 밸브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체 위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밸브 커버는
밀봉부와,
상기 밸브 커버의 점진적인 개방을 위해 상기 밀봉부와 함께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성 커버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34. The device of claim 33, wherein the valve cover includes a flush valve body, the valve cover is positioned over the valve body,
A sealing portion,
And a rigid cover configured to be able to bend with the seal for gradual opening of the valve cover.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밀봉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면은 상기 강성 커버 내의 복수의 대응 개구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잠금면 상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잠금 러그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38. The apparatus of claim 36, wherein the seal comprises a sealing surface and a locking surface, the locking surface comprising a plurality of locking lugs positioned on the locking surface for engag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openings in the rigid cover, Assembly.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이며,
제1 밸브체,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체,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A first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body, a first link, and a first valve cover,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a second link, and a second valve cover,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are configured to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by mutually lock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갖고, 상기 제2 링크는 상향 돌기를 갖고, 상기 상향 돌기는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향 후크 형상부와 상호잠금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35. The valve assembly of claim 34, wherein the first link has a downwardly hooked portion, the second link has an upwardly projecting projection, And is configured to mutually lock with the hook feature.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이며,
변기와,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작동 바아,
피벗 로드, 및
상기 피벗 로드와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상기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벗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되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
It is a siphon type flush toilet,
The toilet,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Flush operation assembly, wherein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A flush operated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valve assembly,
Pivot load, and
And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pivot rod and the flushing ba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ing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moveable and rotatably position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ivot rod us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positioned on a first section of the adjustable connector, Siphon type flush toilet.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조립체는 림 플러시 밸브 조립체인,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41. The siphon flush toilet as claimed in claim 40,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is a rim flush valve assembly.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제트 플러시 밸브 조립체인,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41. The siphon flush toilet as claimed in claim 40, wherein the second valve assembly is a jet flush valve assembly. 플러시 변기이며,
변기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와,
제1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체, 및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변기.
Flush toilet,
The toilet,
A flush operation assembly,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assembly,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comprising:
A first valve body including a first link and a first valve cover,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including a first valve body, a second valve body, a second valve body, and a second valve bod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Wherein the flush toilet is configur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by locking.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변기는 사이펀식 변기인, 플러시 변기.44. The flush toilet as claimed in claim 43, wherein the flush toilet is a siphon toilet.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하향 후크 형상부를 갖고, 상기 제2 링크는 상향 돌기를 갖고, 상기 상향 돌기는 상기 제1 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2 밸브 조립체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향 후크 형상부와 상호잠금하도록 구성되는, 플러시 변기.46. The assembly of claim 43, wherein the first link has a downwardly hooked portion, the second link has an upwardly projecting projection, And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hook feature. 플러시 변기에 사용을 위한 조립체 키트이며,
제1 밸브 조립체와,
제2 밸브 조립체와,
플러시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시 작동 조립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러시 작동 바아, 및
상기 피벗 로드와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를 동작식으로 연결하도록 위치설정된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조정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는 상기 제2 섹션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식으로 위치설정 가능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의 제1 섹션 상에 위치된 제1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벗 로드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 가능한 플러시 커넥터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넥터의 제2 회전 가능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상기 플러시 작동 바아에 연결되는, 조립체 키트.
CLAIMS 1. An assembly kit for use in a flush toilet bowl,
A first valve assembly,
A second valve assembly,
Flush operation assembly, wherein the flush operation assembly
A flush-operated bar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and
And an adjustable flush connector positioned to operatively connect the pivot rod and the flushing bar,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ncluding a first section, a second section and an adjustable connector of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rotatable connector, the adjustable connector is longitudinally moveable and rotationally positionable along the second section, and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Wherein the adjustable flush connector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pivot rod using a first rotatable connector positioned on a first section of the adjustable connector, Lt; / RTI &gt;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변기는 사이펀식 플러시 변기인, 조립체 키트.47. The kit of claim 46, wherein the flush toilet is a siphon flush toilet.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부유부 부착부를 포함하는, 조립체 키트.47. The kit of claim 46, wherein the second valve assembly includes a floating attachment.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 부착부는 부유부 조립체, 체인, 스트링, 코드, 로프, 스테인레스강 케이블, 강성 로드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립체 키트.49. The kit of claim 48, wherein the flotation attachm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flotation assembly, a chain, a string, a cord, a rope, a stainless steel cable, a rigid rod or wire. 플러시 변기에 사용을 위한 조립체 키트이며,
플러시 작동 조립체와,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다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1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1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1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중 플러시 조립체와,
제2 링크, 및 제2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제2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제2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상호잠금하는 것을 통해 서로 연계되는, 조립체 키트.
CLAIMS 1. An assembly kit for use in a flush toilet bowl,
A flush operation assembly,
A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comprising:
The multip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assembly including a first valve body including a first link and a first valve cover,
A second valv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valve body including a first valve, a second link, and a second valve cover,
Wherein the first valve assembly and the second valve assembly are interconnected by mutual locking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제48항에 있어서,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도구를 더 포함하고, 이중 플러시 밸브 조립체는 제1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및 제2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은 외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대 보울 가스켓 도구는 상기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의 외부 에지를 끼우도록 구성되고 상기 탱크 대 보울 가스켓을 변기 보울에 부착하기 위한 렌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체 키트.49. The method of claim 48, further comprising a tank to bowl gasket tool, wherein the double flush valve assembly includes a first tank to bowl gasket and a second tank to bowl gaske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ank- Wherein the tank to bowl gasket tool is configured to fit the outer edge of the tank to bowl gasket and can be used as a wrench to attach the tank to bowl gasket to the toilet bowl.
KR1020177009475A 2014-09-12 2015-09-14 Primed jet toilet KR2017007003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9736P 2014-09-12 2014-09-12
US62/049,736 2014-09-12
PCT/US2015/050052 WO2016040957A1 (en) 2014-09-12 2015-09-14 Primed jet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036A true KR20170070036A (en) 2017-06-21

Family

ID=5545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75A KR20170070036A (en) 2014-09-12 2015-09-14 Primed jet toilet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2) EP3854950A1 (en)
JP (3) JP6794360B2 (en)
KR (1) KR20170070036A (en)
CN (3) CN110042894B (en)
AU (1) AU2015314737A1 (en)
CA (2) CA3185324A1 (en)
CL (1) CL2017000602A1 (en)
CO (1) CO2017003510A2 (en)
CR (1) CR20170137A (en)
EC (1) ECSP17022604A (en)
MX (2) MX2017003186A (en)
NI (1) NI201700030A (en)
PE (1) PE20170857A1 (en)
SV (1) SV2017005407A (en)
WO (1) WO20160409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05958A (en) * 2018-11-29 2021-07-06 As America Inc Flush valve and flush valve assembly.
US11974703B2 (en) 2020-01-04 2024-05-07 Kohler Co. Liner toilet
CN111395483A (en) * 2020-03-03 2020-07-10 谢泽锋 Flushing drain valve for a toilet, tank fitting, assembly and toilet and body thereof
WO2023192641A1 (en) * 2022-04-01 2023-10-05 As America, Inc. Plumbing fixture boos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118A (en) 1930-07-14 1933-12-12 Trenton Potteries Co Water closet
US2122834A (en) 1932-12-23 1938-07-05 Isabell B Kerr Siphon breaking water closet
GB686159A (en) * 1951-09-10 1953-01-21 Union Metal Works Proprietary Improvements in discharge valves for flushing cisterns
US2758314A (en) * 1952-08-08 1956-08-14 Ted N Granger Center guide for flush valve ball
US3046565A (en) * 1961-03-29 1962-07-31 Cecil H Taylor Toilet flush valve
US3702012A (en) * 1971-07-23 1972-11-07 Samuel M Bennett Toilet tank flush valves
US4080667A (en) * 1972-06-20 1978-03-28 Aqm Corporation Water saving device
US3908203A (en) * 1974-09-06 1975-09-30 Miles J Jackson Toilet flush system
US4003097A (en) * 1975-09-19 1977-01-18 Book Harold M Two level flush tank valve mechanism
US4135262A (en) * 1977-08-01 1979-01-23 Overbey Charles A Dual flush devices for toilets
US4172299A (en) * 1977-12-30 1979-10-30 Pozo Joaquin G Del Flush valve for water tank in a toilet system
US4499616A (en) * 1978-07-21 1985-02-19 Fillpro Products, Inc. Flush valve
JPS55145581U (en) * 1979-03-30 1980-10-18
JPS56159440A (en) * 1980-05-15 1981-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mple water flushing stool
JPS595103Y2 (en) * 1980-09-17 1984-02-15 リンフオ−ス工業株式会社 Drain valve for tank
JPS58156777U (en) * 1982-04-15 1983-10-19 東陶機器株式会社 Toilet cleaning tank spindle support
JPS6058452U (en) * 1983-09-30 1985-04-23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Mounting structure of exterior parts in automobiles
JPH0316947Y2 (en) * 1984-11-05 1991-04-10
CA1263501A (en) * 1985-01-08 1989-12-05 Ronald N. Grimstad Toilet tank gasket
JPH082211Y2 (en) * 1990-04-24 1996-01-24 リンフォース工業株式会社 Mounting structure of drain valve in toilet bowl water tank
US5073995A (en) * 1990-10-09 1991-12-24 Neubauer-Jennison Construction Universal toilet tank water saving device
US5157796A (en) * 1991-08-12 1992-10-27 Boyer Jacques F Double flush toilet valve
US5319809A (en) * 1993-05-25 1994-06-14 Testa Ernest J Dual mode flush mechanism for toilets
JPH07324362A (en) * 1994-05-31 1995-12-12 Toto Ltd Toilet flushing tank device
CN1191415C (en) 1994-12-28 2005-03-02 东陶机器株式会社 Flushing toilet
JPH08326968A (en) * 1995-05-31 1996-12-10 Takashige Sangyo Kk Insulated pipe connector
JPH0960079A (en) * 1995-08-23 1997-03-04 Shoeki Kigyo Kofun Yugenkoshi Water control or supply mechanism of two stage type stool water tank
US5855025A (en) * 1997-01-07 1999-01-05 Williams; Jesse E. Toilet flush water saver
JP3046186U (en) * 1997-08-11 1998-02-24 曉陽 楊 Wash-type toilet water saving device
US6032303A (en) * 1998-11-19 2000-03-07 Schmidt; Daniel R.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JP2001254420A (en) * 2000-03-09 2001-09-21 Inax Corp Low tank type siphon-jet toilet bowl
EP1293613A4 (en) 2000-06-23 2004-12-08 Inax Corp Method of feeding water to stop valve, stop valve for water closet, water feeding device for washing water closet, tank-less western water closet, and western water closet, flow path switching device, and water closet
US6704945B2 (en) 2001-04-13 2004-03-16 Danny J. Bellmore Dual inlet flush valve system for gravity operated toilets
CN2483449Y (en) * 2001-07-18 2002-03-27 日胜一企业股份有限公司 Water saving device for cistern of closet
US20030213054A1 (en) * 2002-05-20 2003-11-20 So-Mal Huang Water-stop plug for adjusting water-draining of stool
US6715162B2 (en) 2002-08-30 2004-04-06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US20050217013A1 (en) * 2002-11-05 2005-10-06 Julius Horvath Concentric tank flapper system
JP2004190770A (en) * 2002-12-10 2004-07-08 Tokyo Enpura Shoji Kk Float valve of degassing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961966B2 (en) * 2003-12-18 2005-11-08 Limit, Inc. Toilet overflow prevention device
JP5242054B2 (en) * 2004-08-27 2013-07-24 株式会社木村技研 Toilet bowl cleaning device
JP2006281970A (en) * 2005-03-31 2006-10-19 T S Tec Kk Sea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damper
GB0522615D0 (en) 2005-11-05 2005-12-14 Twyford Bathrooms Improved water closet pans
WO2007139371A1 (en) * 2006-05-26 2007-12-06 Ooi Loon Goh Valve apparatus
US8079095B2 (en) * 2006-08-31 2011-12-20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Limited volume high performance flush valve assembly
JP4110578B1 (en)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Flush toilet
US7591027B2 (en) * 2007-02-22 2009-09-22 Donald Ernest Scruggs Flushette partial and full toilet flush devices
KR101644948B1 (en) 2008-02-25 2016-08-02 에이에스 아이피 홀드코 엘엘씨 High performance toilet capable of operation at reduced flush volumes
US7757708B1 (en) * 2008-02-25 2010-07-20 nth Solutions Toilet bowl overflow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
US8266733B2 (en) 2008-04-04 2012-09-18 As Ip Holdco, Llc Toilet flush valve
CA2665464A1 (en) * 2008-05-06 2009-11-06 Mjsi, Inc. Toilet flapper and method
JP2010048009A (en) * 2008-08-22 2010-03-04 Victory:Kk Mounting structure of drain control valve for toilet water tank
AR068903A1 (en) * 2008-10-17 2009-12-16 Eichinger Ruben Dario VARIABLE VOLUME DISCHARGE PROVISION FOR TANK AND TOILET BACKPACK
JP2010121410A (en) * 2008-11-21 2010-06-03 Toto Ltd Toilet device
CN201363467Y (en) * 2009-01-21 2009-12-16 李飞宇 Valve body of water channel control valve
KR20100086111A (en) * 2009-01-22 2010-07-30 조동선 Drainage apparatus for water savable toilet
US8266723B2 (en) 2009-03-23 2012-09-18 Liliana Frands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nd covering of varying abdomen
WO2012106685A1 (en) 2011-02-04 2012-08-09 As Ip Holdco, L.L.C. High performance toilet with rim-jet control capable of enhanced operation at reduced flush volumes
JP5455163B2 (en) * 2011-06-07 2014-03-26 Toto株式会社 Drain valve device, washing water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CN102359620B (en) * 2011-10-28 2013-06-05 皇甫岳伟 Structure of reversing valve
CA2865233A1 (en) 2012-02-24 2013-08-29 As Ip Holdco, Llc Rimless toilet
US8534313B1 (en) * 2012-08-10 2013-09-17 Kermit L. Achterman Toilet fill valve auxiliary shutoff mechanism
US10221553B2 (en) 2012-10-02 2019-03-05 As Ip Holdco, Llc Toilet flush valve assemblies
EP2923001B1 (en) * 2012-11-13 2020-08-05 AS America, Inc. Primed siphonic flush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14737A1 (en) 2017-03-23
ECSP17022604A (en) 2017-06-30
EP3191652A1 (en) 2017-07-19
JP6987826B2 (en) 2022-01-05
CR20170137A (en) 2017-07-26
CA3185324A1 (en) 2016-03-17
PE20170857A1 (en) 2017-07-05
EP3854950A1 (en) 2021-07-28
JP2020041409A (en) 2020-03-19
JP2021073392A (en) 2021-05-13
CN107002399B (en) 2020-02-28
NI201700030A (en) 2018-10-22
JP6794360B2 (en) 2020-12-02
JP2017527725A (en) 2017-09-21
CA2960033C (en) 2023-03-14
EP3191652B1 (en) 2021-02-17
JP7130786B2 (en) 2022-09-05
CA2960033A1 (en) 2016-03-17
CL2017000602A1 (en) 2017-09-29
CN110042894A (en) 2019-07-23
CO2017003510A2 (en) 2017-08-31
MX2017003186A (en) 2017-10-16
WO2016040957A1 (en) 2016-03-17
CN110042894B (en) 2021-12-31
CN113756402A (en) 2021-12-07
EP3191652A4 (en) 2018-05-30
SV2017005407A (en) 2017-05-12
CN107002399A (en) 2017-08-01
MX2021004132A (en)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3265B2 (en) Primed jet toilet
JP6766119B2 (en) Siphon type flush toilet flush valve for use in toilet bowl
JP6987826B2 (en) Primed squirt toilet
US20140090158A1 (en) Toilet Flush Valve Assemb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