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40A -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40A
KR20170001540A KR1020150153747A KR20150153747A KR20170001540A KR 20170001540 A KR20170001540 A KR 20170001540A KR 1020150153747 A KR1020150153747 A KR 1020150153747A KR 20150153747 A KR20150153747 A KR 20150153747A KR 20170001540 A KR20170001540 A KR 2017000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ignal
distance
area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시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시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시큐
Priority to KR102015015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540A/en
Publication of KR2017000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edestrian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pedestrian, which has an automatic pedestrian recognizing function, and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edestrian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to automatically recognize pedestrian, which automatically control operation of a traffic light by dividing a general pedestrian and a signal pedestrian in an area in which walking is permitt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f the traffic light such as a crosswalk so as to automatically detect the general pedestrian and the signal pedestrian. The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pedestrian includes: a distance sensor (33)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to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a control unit (C) proces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33) and determining a movement of the object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distance or the distance to the object; a counter (CT) measuring the change in a viewpoi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a comparator (CP)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signal waiting pedestrian based on a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 (CT). The predetermined area is divided and detected by multiple channels formed in the distance sensor (33).

Description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automatic detecting method and a pedestrian automatic recognizing signal,

본 발명은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자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횡단보도와 같이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보행이 허용되는 영역에서 일반 보행자와 신호 보행자를 구분하여 자동으로 탐지하여 신호등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automatic recognizing method and a pedestrian automatic recognizing pedestrian having a pedestrian automatic recogniz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automatic pedestrian recognizing pedal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s and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은 규칙적으로 작동하여 신호를 변경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이동을 조절한다. 그러나 설치 위치 혹은 작동 시간에 따른 신호등의 규칙적인 작동은 교통 흐름에 장애가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신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신호 변경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보행 신호가 필요한 경우 이와 같은 신호 변경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를 변경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허나 이와 같은 강제 스위치는 보행자에게 인지되기 어렵고,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The traffic light installed on the pedestrian crossing operates regularly to change the signal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However, the regular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operation time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change switch which can obstruct the traffic flow and forcibly change the signal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a walking signal is required, the pedestrian can walk by changing the signal through such a signal changing switch. However, such a forced switch is difficult to be recognized by pedestrians, and h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maintenance and repair are difficult. Various techniques for solving such disadvantages are known in the art.

특허등록번호 10-0995055는 제1 모드로 횡단대기 분석 모드를 수행하는 횡단대기선 분석 모듈; 제2 모드로 보행자 횡단 분석 모드를 수행하는 보행자 횡단 분석 모듈; 제3 모드로 탄력 횡단 시간 모드를 수행하는 탄력 횡단 시간 조정 모듈; 제4 모드로 고장 자체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고장 장체 진단 모듈; 및 제5 모드로 신호 주기 생성 모드를 수행하는 신호 주기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는 차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보행자 영상 감응식 교통 신호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보행자 또는 횡단 대기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Patent Registration No. 10-0995055 discloses a transit waiting line analysis module that performs a transverse waiting analysis mode in a first mode; A pedestrian crossing analysis module performing a pedestrian crossing analysis mode in a second mode; An elastic transit time adjustment module for performing an elastic transverse time mode in a third mode; A failure diagnosis module for performing a failure self-diagnosis mode in a fourth mode; And a signal period generation unit for performing a signal period generation mode in the fifth mode, wherein the first to fourth modes are performed in order or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the pedestrian image sensing type traffic signal device. The prior art uses a camera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pedestrian or a transit waiting line.

특허등록번호 10-1026683은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발산하여 그 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와 안테나에서 감지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안테나와 송수신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변조, 복조, 압축과 같이 신호를 처리하는 변복조부로 형성되어 횡단보도에 설치되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 크기, 체류 시간과 같은 정보를 연산하여 해당 물체의 여부와 보행 여부를 감지하고 파악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설치된 횡단보도마다 설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와 횡단보도의 주위를 감시 촬영하는 카메라,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의 감지 작동에 의해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표시부가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횡단보도에 감지되고 생성된 정보와 현재 상태를 일정 시간마다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신 및 수신하여 각각의 장치들에 대한 현재 상태와 작동 상태를 공유하도록 형성된 제어 장치; 및 각각의 횡단보도에 설치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와 제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Registration No. 10-1026683 disclos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 microwave signal and sensing the signal,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sensed by the antenna, and a receiving unit for modulating, demodulating, A microwave sensor which is formed as 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and is installed on a pedestrian crossing to calculate information such as the speed, size, and residence time of an object approaching the pedestrian crossing, A gatewa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wave sensor installed at each crosswalk provided with the microwave sensor, a camera for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crosswalk, and a warning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vehicle or a pedestrian by sensing operation of a microwave sensor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e detected and generated in the adjacent transverse sidewall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gatewa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o share the current state and the oper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devices;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remotely controls and manages a microwave sensor and a control device installed on each crosswalk, and discloses a pedestrian pedestrian safety system using a microwave sensor.

특허공개번호 10-2012-0111707은 횡단보도와 도로를 구분 짓는 경계석 내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에 접근한 보행자와 차량 또는 횡단보도 상에 위치한 보행자와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인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토대로 상기 횡단보도 위에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체 감지부로 전달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체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1707 discloses a pedestrian, which is installed inside a barriers for distinguishing a pedestrian crossing from a road, and which detects a pedestrian and a vehicle located on a pedestrian crossing approaching a pedestrian crossing, ; And a detect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n the pedestrian crossing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human body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to the human body sensing unit.

교통 신호의 제어를 위한 보행자 탐지 장치 또는 특정 지역의 감시를 위한 탐지 장치는 보행자, 신호 대기자, 건물 또는 차량의 식별이 가능해야 하고, 가능한 경우 보행자 또는 신호 대기자의 이동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영상 획득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이와 같은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지만 정보 획득 과정이 복잡하고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탐지 유닛의 경우 획득된 탐지 신호로부터 보행자와 신호 대기자의 구분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이 보행자, 신호대기자 및 건물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A pedestrian detection device for the control of traffic signals or a detection device for monitoring a specific area should be able to identify pedestrians, signal waiters, buildings or vehicles and, if possible, detect the movement of pedestrians or signaling waiters Do. When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s used, it is possible to acquire such information from the acquired image,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is complex and error is likely to occu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tection unit installed on a pedestrian crossing,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distinguish a pedestrian from a waiting signal from the obtained detection signal.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pedestrian, a signal signer, and a building like this.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10-0995055(딕스비전 주식회사, 2010년11월18일 공개) 보행자 영상 감응식 교통신호 장치 및 교통신호방법Prior art 1: Patent registration No. 10-0995055 (published by Dix Vision Co., Ltd., November 18, 2010) Pedestrian video-assisted traffic signal device and traffic signal method 선행기술2: 특허등록번호 10-1026683((주)금성보안, 2011년04월07일 공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 시스템 및 운영 방법Prior Art 2: Patents Registration No. 10-1026683 (Venus Security Co., Ltd., Published Apr. 07, 2011) Pedestrian Safet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Pedestrian Crosswave Using Microwave Sensors 선행기술3: 특허공개번호 10-2012-0111707(주식회사 케이티, 2012년10월10일 공개) 횡단보도 보행자 인체 감지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3: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1707 (Katy Co., Ltd., October 10, 2012) Pedestrian Pedestrian Huma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탐지 유닛으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에서 보행자와 신호 대기자의 식별을 통하여 교통 신호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automatic detecting method and pedestrian automatic recognizing signal which enable control of a traffic light through identification of a pedestrian and a signal waiting in a predetermined detection area from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은 다수 채널에 의하여 서로 다른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신호 대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신호 대기 영역 내의 위치하는 보행자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 영역에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의 증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의 증가 여부에 대한 판단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pedestrian detec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isposing at least one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n object detected in different areas by a plurality of channels; Setting a signal waiting area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by the distance sensor; Detecting a pedestrian located in a signal waiting area by the distance sensor; Setting a count area for the pedestrian;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 for the pedestrian increases in the count are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coun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신호 대기 영역은 거리 센서가 배치된 탐지 기준 위치에 대한 신호 대기 영역의 거리에 따라 다수 개의 검지 영역으로 나누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waiting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ignal waiting area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where the distance sensor is disp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카운트의 증가 여부는 상기 보행자에 대하여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획득된 거리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rease in the count in the count area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pedestria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행자를 탐지하는 단계에서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동안 방치된 보행자가 탐지되는 경우 검지 영역이 재설정되고, 검지 영역에서 상기 방치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탐지 대상으로부터 제외 여부가 결정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lef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channels, the detection area is reset and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pedestrian The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행자와 신호 대기자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는 미리 결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거리 센서; 거리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물체에 대한 거리 또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이동을 결정하는 제어 유닛; 상기 물체의 이동의 시각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는 카운터; 및 카운터로부터 전송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센서에 형성된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이 분할되어 탐지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recognizes a pedestrian and a signal waiting person includes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and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or distance to the object; A counter for measuring a change with time of movement of the object; And a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signal waiter based on a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 wherein the predetermined region is divided and detected by a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in the distance sensor.

본 발명은 종래에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보행자를 인식 또는 검지하여 보행자 또는 물체의 존재 유무만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신호 대기자와 단순 보행자의 구분에 따른 기술적인 한계로 인한 오작동의 문제가 극복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발생되는 잦은 보행 신호등이 켜지는 것에 의하여 교통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가 해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보행이 일정하지 않은 보행자, 유모차 또는 휠체어로 인하여 보행 속도가 현저히 느린 보행자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지되기 어려운 보행자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보안 카메라와 함께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보안 또는 방범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교통 신호등과 독립되어 설치되거나 일체로 설치되어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체의 종류 및 이동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 교통 신호등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ffic signal by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pedestrian or an object by recognizing or detecting a pedestrian by means of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Make sure the problem is overco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raffic flow is obstructed by turning on a frequent gait signal generated due to such technical limitation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pedestrians who are hard to recognize by a general method, such as pedestrian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pedestrians whose walking is not constant, baby strollers or wheelchai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least with a security camera so that security or crime prevention functions can be performed, and i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or integrally with a traffic light,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type and moving state of an objec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smart traffic signal and prevent a traffic accident occurring in various environ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용되는 탐지 유닛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가 신호등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에 따른 신호등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applied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shows an embodiment of a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raffic light.
FIG. 4 illustrates an exemplary operation of a traffic light according to a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탐지 방법은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보호하고, 보행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다른 신호등의 조작 수단이 설치되지 않고 횡단보도의 통행 상태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하는 목적을 가진다. 필요에 따라 안전 사각지대에 설치되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공원 또는 가로등의 자동 점등에 적용될 수 있고, 차량 통행의 탐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움직임의 탐지가 요구되는 임의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utomatic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a pedestrian in a pedestrian crossing, prevents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to a pedestrian while simultaneously installing a separate operation switch, It has the purpos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s according to the state. If necessary, it can be installed in safety blind spot and can be used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Or may be applied to automatic lighting of a park or streetlight, and may be applied to the detection of vehicle traffic.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field requiring motion detec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근처의 신호등과 일체형으로 또는 신호등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보행자를 탐지하여 신호등의 작동을 감시 또는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raffic light by detecting a pedestrian by being integrated with a traffic light in the vicinity of a pedestrian crossing or independently installed in a traffic light, but this is not limitative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은 다수 채널에 의하여 서로 다른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P11);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신호 대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P12);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신호 대기 영역 내의 위치하는 보행자를 탐지하는 단계(P13);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P14); 상기 카운트 영역에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의 증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15); 및 상기 카운트의 증가 여부의 판단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P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11) placing at least one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n object detected in different areas by a plurality of channels; A step (P12) of setting a signal waiting area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distance sensor; Detecting a pedestrian loca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by the distance sensor (P13); A step (P14) of setting a count area for the pedestrian;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 for the pedestrian increases in the count area (P15); And a step (P16)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count is increased.

거리 센서는 이동 또는 정지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센서가 될 수 있고, 거리 센서는 예를 들어 광 레이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3D 카메라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리 센서는 얻어진 정보 형태에 관계없이 얻어진 정보로부터 센서로부터 대상 사이의 거리 정보가 추출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리 센서에 의하여 신호 대기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횡단보도, 차도, 인도 또는 신호등에 기초하여 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P11). 거리 센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고, 각각의 거리 센서는 다수 개의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채널은 정보를 얻는 경로를 의미하고, 하나의 거리 센서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채널은 서로 다른 영역을 탐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거리 센서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채널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영역을 탐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 영역은 동일한 거리 센서에 의하여 동일 시각에 탐지되지 않지만 다른 거리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may b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 moving or stationary object, and the distance sensor may b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n optical radar,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or a 3D camera sensor. The distance sensor includes a sensor from whic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object can be extracted from the obtained information irrespective of the type of information obtained. Then, the distance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area set as the signal waiting area by the distance sensor can be measured. The distance sensor can be determined based on a crosswalk, a driveway, a delivery or a traffic light (P11). The distance sensors may be one or more, and each of the distance sensors may have a plurality of channels. A channel means a path for obtaining information, a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in one distance sensor can detect different regions, and a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in different distance sensors can detect the same or different regions have. Therefore, the same area is not detect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distance sensor but can be detected by another distance sensor.

거리 센서는 신호 대기 영역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P11). 구체적으로 횡단보도를 통행하기 위하여 보행자가 거치거나 대기하는 영역이 신호 대기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P12). 이와 같이 신호 대기 영역의 설정(P12)과 거리 센서의 배치(P11)는 적절한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정해진 순서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호 대기 영역은 거리 센서에 의하여 탐지 가능하면서 횡단보도의 통행을 위하여 지나가야 할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P12). 신호 대기 영역은 횡단보도의 구조, 신호등의 배치 또는 차도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can be arranged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waiting area (P11). Specifically, an area where a pedestrian passes or waits for passage of a pedestrian crossing may be set as a signal waiting area (P12).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of the signal waiting area (P12) and the arrangement of the distance sensors (P11)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and not necessarily in a predetermined order.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and set as an area to pass for the passage of a pedestrian crossing (P12).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the arrangement of the traffic lights, or the arrangement of the roadway.

신호 대기 영역이 설정되면(P12), 신호 대기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가 거리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P13). 거리 센서는 스캔 방식으로 또는 미리 탐지 영역이 정해진 채널을 통하여 신호 대기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물체에 대한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에 대한 거리의 탐지를 통하여 보행자를 탐지할 수 있다(P13). 보행자는 신호 대기 영역에 있는 모든 물체 중 현재 이동 중이거나 또는 이동이 완료되어 정해진 위치에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물체를 의미한다. 보행자가 반드시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행자는 유모차, 휠체어,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와 같이 이동성 물체가 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통합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처리 장치를 가질 수 있고, 신호 대기 영역에서 항상 배치된 고정 물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 물체에 대한 정보는 거리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에 따라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When a signal waiting area is set (P12), an object loca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P13). The distance sensor can detect the distance to all objects loca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through the scanning method or through the channel in which the detection area is set in advance. And it can detect the pedestrian by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 (P13). A pedestrian refers to an object that is currently in motion or remains stationa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fter movement is completed among all objects in the signal waiting area. A pedestria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person. For example, a pedestrian can be a mobile object such as a stroller, a wheelchair, a bicycle, or a motorcycle. The distance sensor may have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n independent or integrated microprocessor, and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stationary object that is always plac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The information about the fixed object may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pedestrian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다수의 보행자가 탐지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보행자에 대하여 또는 그룹으로 이루어진 보행자에 대하여 카운트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P14). 카운트 영역은 신호 대기 영역 내에 탐지된 보행자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대기 영역의 A 영역에서 보행자가 탐지되면 카운트 영역은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카운트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카운트 영역은 다수 보행자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으로 보행자가 탐지되면, 하나의 그룹에 대하여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카운트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edestrians can be detected, and a count area can be set for a pedestrian made up of or for each pedestrian (P14). The count area may be set based on the detected pedestrian in the signal waiting area. For example, if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area A of the signal waiting area, the count area may be set to a direction approaching the pedestrian crossing. The count area can be set for multiple pedestrians. When a group of pedestrians is detected, a count area can be set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pedestrian crossing for one group.

이와 같이 카운트 영역은 보행자가 신호 대기 영역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예상되는 이동 영역이 될 수 있고,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가상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보행자가 카운트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 대기자 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us, the count area means a virtual are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which can be a moving area expected for the pedestrian to cross the crosswalk in the signal waiting area. And whether the pedestrian is moving to the count area or not can be determined.

거리 센서는 탐지된 보행자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거리 탐지에 의하여 보행자가 카운트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P15). 만약 하나의 보행자 또는 한 그룹의 보행자가 카운트 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탐지되면(NO),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지 않게 되고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신호 대기 영역을 벗어나게 될 것이다. 이에 비하여 하나 보행자 또는 한 그룹의 보행자가 카운트 영역으로 이동된다면(YES) 일단 횡단보도 보행자로 판단된다. 그리고 보행자가 이동된 위치에서 다시 이동 대기 영역이 설정되고(P14), 이후 이동 대기 영역으로 이동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P15). 거리 센서는 일정 주기로 계속적으로 보행자에 대한 거리를 탐지하게 되고 그리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하나의 보행자 또는 하나의 그룹의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The distance sensor can determine whether the pedestrian moves to the count area by detecting the distance with time of the detected pedestrian (P15). If it is detected that a pedestrian or a group of pedestrians mov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unt area (NO), it will not correspond to the signal waiting area, and will be out of the signal waiting area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n the other hand, if one pedestrian or a group of pedestrians is moved to the count area (YES), the pedestrian is judged to be a pedestrian. Then, the moving waiting area is set again at the position where the pedestrian is moved (P14), and then the moving to the waiting waiting area can be detected (P15). The distance sensor continuously detects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at regular intervals and sets the moving direction of one pedestrian or one group of pedestrians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이와 같이 연속적인 보행자의 탐지, 이동 대기 영역의 설정 및 이동 대기 영역에서 보행자의 탐지에 따라 보행자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이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P16).In this mann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edestrian corresponds to the signal wait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continuous pedestrian, the setting of the waiting waiting area, and the detection of the pedestrian in the waiting waiting area,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can be controlled (P16).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탐지 방법은 신호 대기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로부터 횡단보도 보행자 또는 일반 보행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신호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edestrian or pedestrian crossing from an object detec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corresponds to a pedestrian or a general pedestrian,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Can be controlled.

다른 한편으로 보행자 신호가 아닌 경우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하는 경우 보행자 또는 차량에 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별도로 신호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신호등의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통행이 거의 없는 한적한 도로 또는 통행이 드문 야간 시간에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하여 자동으로 신호등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edestrian is not going to cross the pedestrian crossing, it can generate a warning signal to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signal lamp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without having to manually operate the signal lamp separately. In addition, traffic lights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for pedestrian crosswalks on quiet roads where there is little traffic, or during unusual night times.

아래에서 이와 같이 보행자에 의한 거리 측정에 의하여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탐지하고 그에 따라 신호등 조절 또는 경고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리 센서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by the distance measurement by the pedestrian and adjusting the signal light or generating the warning signal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용되는 탐지 유닛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applied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탐지 유닛에 해당되는 거리 센서가 신호등 유닛과 별도로 또는 신호등 유닛과 함께 탐지 기준 위치(D)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의 수에 따라 탐지 기준 위치(D)는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도 2a 및 도 2b에서 하나의 탐지 유닛에 대하여 설명되고, 다른 탐지 유닛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A, a distanc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unit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signal light unit or at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together with the signal light unit.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stance sensors,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may be a plurality of, and is described for one detection unit in FIGS. 2A and 2B, and the other detection units may be operat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Do not.

탐지 기준 위치(D)에 배치된 거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 정보의 획득을 위한 채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대기 영역(SA)은 탐지 기준 위치(D)로부터 신호 대기 영역(SA)의 거리에 따라 다수 개의 검지 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disposed at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may have a channel for acquiring at least one detection information. The signal waiting area SA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interval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to the signal waiting area SA.

거리 센서에 형성된 다수 개의 채널에 대하여 분할 검지 영역이 할당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 채널은 탐지 기준 위치(D)에 설치된 거리 센서가 탐지 가능한 영역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1 검지 각(α)에 대항되는 1 검지 영역(CA1)을 탐지할 수 있고, 2 채널은 1 검지 각(α)으로부터 변이 각(θ)만큼 증가된 2 검지 영역(CA2)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k 채널은 k 검지 각(α+(k-1)*θ)에 해당하는 k 검지 영역을 탐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일정한 방향으로 분할된 검지 영역에 대하여 예를 들어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검지 최대 위치(Max_1 내지 Max_n)이 설정되고 그리고 검지 최소 위치(Min_1 내지 Min_n)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채널은 검지 최소 위치(Min_1 내지 Min_n) 사이에 위치하는 물체 또는 보행자를 탐지하여 각각의 물체 또는 신호 대기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 채널은 1 검지 영역(CA1)에서 1 검지 최소 위치(Min_1)과 1 검지 최대 위치(Max_1) 사이의 거리 또는 영역을 탐지한다. 그리고 n 채널은 n 검지 최소 위치(Min_1)과 n 최대 검지 위치(Max_n) 사이의 영역 또는 거리를 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 대기 영역은 탐지 기준 위치(D)를 기준으로 정해진 방향으로 다수 개의 검지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검지 영역(CA1, CA2)에 거리 센서의 각각의 채널이 할당되고,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검지 영역(CA1, CA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신호 대기 영역을 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 대기 영역의 모든 영역이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만약 신호 대기 영역에 물체 또는 보행자가 탐지되면 카운트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channel may be assigned to one detection angle (alpha) in a certai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detectable region of a distance sensor provided at a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It is possible to detect one detection area CA1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detection area CA1 and two channels can detect the two detection areas CA2 that are increased from the first detection angle alpha by the mutual angle?. And the k channel detects the k detect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k detection angle (? + (K-1) *?). For example, the detection maximum positions Max_1 to Max_n may be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tection minimum positions (Min_1 to Min_n) may be set with respect to the detection region divided in each constant direction. Each channel detects an object or a pedestrian located between the detection minimum positions (Min_1 to Min_n) and measures the distance of each object or signal atmosphere. Specifically, one channel detects a distance or an area between one detection minimum position (Min_1) and one detection maximum position (Max_1) in one detection area (CA1). And the n-channel detects an area or a distance between the n-detection minimum position (Min_1) and the n-maximum detection position (Max_n). In this way,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and each channel of the distance sensor is allocated to each of the detection areas CA1 and CA2 , Each channel can detect the signal waiting are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detection areas CA1 and CA2, for example. In this way, all areas of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detected by a plurality of channels. If an object or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the count area can be set.

보행자를 탐지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동안 방치된 보행자 또는 물체가 탐지되는 경우 검지 영역이 재설정되고, 검지 영역에서 상기 방치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탐지 대상으로부터 제외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When a pedestrian or an object lef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detected by a plurality of channels in the process of detecting a pedestrian, the detection area is reset, and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area is excluded from the detection obje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left in the detection area .

도2b를 참조하면, 만약 신호 대기 영역에서 일정시간 동안 물체(LO)가 세 개의 채널(i, j, k)에 의하여 탐지되면, 각각의 채널(i, j, k)에 대하여 검지 거리 또는 검지 영역이 다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일정시간 동안 방치된 물체(LO)가 탐지된 위치에 대한 각각의 채널(i, j, k)에서 거리가 dist_i, dist_j 및 dist_k라면 각각의 채널(i, j, k)의 검지 영역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if an object LO is detected by three channels i, j, k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ignal waiting area, The area can be reset. If the distance is dist_i, dist_j and dist_k in each channel (i, j, k) for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LO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tection region of each channel (i, j, k) As shown in FIG.

- 채널(i)의 검지 거리 = Min_i ~ Max_i2- Detection distance of channel (i) = Min_i to Max_i2

- 채널(j)의 검지 거리 = Min_j ~ Max_j2- Detection distance of channel (j) = Min_j ~ Max_j2

- 채널(k)의 검지 거리 = Min_k ~ Max_k2, 상기에서 Max_i2 = dist_i­a; Max_j2 = dist_j­a; 그리고 Max_k2 = dist_k­a가 되고, a는 탐지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거리로 예를 들어 20 내지 50 c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장시간 방치된 물체(LO)로부터 Min_i, Min_j 및 Min_k로 향하는 방향이 검지 영역 또는 카운트 영역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재설정된 검지 영역 또는 카운트 영역에서 다시 보행자 또는 물체가 탐지되면 신호 대기자로 결정될 수 있다.- Detection distance of channel (k) = Min_k to Max_k2, where Max_i2 = dist_ia; Max_j2 = dist_ja; Max_k2 = dist_ka, and a is a distance for compensating the detection error, for example, may be set to 20 to 50 cm. In such a case, the direction toward Min_i, Min_j and Min_k from the long-lived object (LO) can be reset to the detection area or the count area. If the pedestrian or the object is detected again in the reset detection area or the count area, it can be determined as a signal waiting are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탐지 방법은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 동안 방치된 물체 또는 보행자가 탐지되는 경우 이를 검지 영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탐지 영역 내에서 계속 방치된 물체 또는 보행자를 신호 대기자로 탐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연히 신호 대기 영역에 자전거 또는 화물과 같이 방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신호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 방치된 물체를 신호 대기자로부터 제외될 수 있도록 한다. 검지 영역의 재설정에 의한 물체 또는 보행자를 제외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lude an object or a pedestrian, which has been lef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the detection area. This can prevent detection of an object or a pedestrian that has been continuously left in the detection area as a signal waiting area. For example, be accidentally left in the signal waiting area, such as a bicycle or a cargo, and in such a case, be recognized as having a signal waiting.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neglected object to be excluded from the signal waiting list. Excluding an object or a pedestrian by resetting the detection area can be applied to various situ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미리 결정된 시간은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가 설치된 지역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검지 영역의 재설정 및 탐지 대상에서 제외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automatic walker recognizer is installed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setting of the detection area and the exclusion from the detection object by various method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만약 거리 센서가 신호등에 설치되고, 탐지 기준 위치(D)가 신호등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선 위의 특정 위치가 된다면,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한 신호 대기자는 점점 거리가 작아지는 탐지 정보를 나타내게 되고, 신호 대기자가 아닌 일반 보행자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는 탐지 정보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If a distance sensor is installed at the traffic light and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is a specific position on a straight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traffic light, the signal waiting for crossing the crosswalk will show detection information that is getting smaller and smaller, Non-waiting pedestrians will show increasingly distant detection information.

필요에 따라 신호 대기 영역에서 보행자의 탐지 위치에 따른 검지 카운터가 설정될 수 있다. A detection counter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pedestrian in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set as needed.

예를 들어 보행자가 1 시각에서 신호 대기 영역의 1 위치에서 탐지되면 검지 카운터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2 시각에서 신호 대기 영역의 2 위치에서 탐지되고, 2 위치가 1 위치에 비하여 탐지 기준 위치(D)에 가까운 위치가 된다면, 검지 카운터를 1 증가시켜 1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2 위치에 비하여 탐지 기준 위치(D)에 가까운 3 위치에서 3 시각에 보행자가 탐지되면 다시 카운터를 1 증가시켜 3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행자가 탐지 시각에 따른 탐지 기준 위치(D)에 대한 거리에 따라 카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만약 카운터가 미리 결정된 값으로 되면 보행자가 신호 대기자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edestrian is detected at 1 position in the signal waiting area at time 1, the detection counter may be set to zero. The detection counter is incremented by one and can be set to one if the two positions are detected at two positions in the signal waiting area at two times and the two positions are closer to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than the one position.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at three times at three positions near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the counter can be incremented by one and set to be 3 again. In this way, the pedestrian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 according to the detection time, and if the counte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pedestrian can be determined as a signal waiter.

카운터는 각각의 보행자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고,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한 보행자가 되는 카운터의 값은 보행자의 종류, 신호등의 설치 위치, 거리 센서의 종류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관련 데이터는 미리 적절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신호등 및 거리 센서의 작동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가 호출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The counter may be set for each pedestrian, and the value of the counter serving as a pedestrian for crossing the pedestrian cross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edestri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raffic light, the type of the distance sensor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data can be made in advance into a database stored in an appropriate storage medium. And the database can be called and appli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and the distance sensor. Various databases can be cre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kind of database.

신호 대기 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검지 영역 도는 검지 구간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신호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divided into various methods, and the detection area or the detection area can be divided in various ways as we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ffic light devices.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3A shows an embodiment of a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는 미리 결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거리 센서(33); 거리 센서(3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물체에 대한 거리 또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이동을 결정하는 제어 유닛(C); 상기 물체의 이동의 시각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는 카운터(CT); 및 카운터(CT)로부터 전송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기(CP)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센서(33)에 형성된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이 분할되어 탐지된다.3A, the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nce sensor 33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A control unit (C)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33) and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distance or distance to the object; A counter (CT) for measuring a change with time of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a comparator (C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signal waiter based on a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 (CT), wherein the predetermined area is defined by a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in the distance sensor Divided.

거리 센서(33)는 예를 들어 광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스캔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체에 대한 거리 측정이 가능한 임의의 거리 센서가 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33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 ra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can sensor, or a radar sensor, but may be any distance senso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with respect to an object.

거리 센서(33)는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거리 센서(33)에 분할된 탐지 영역에 해당되는 각각의 검지 영역의 탐지를 위한 다수 개의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센서(33)는 신호 대기 영역과 같이 미리 결정된 탐지 영역 내에서 보행자 또는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탐지된 거리 정보는 제어 유닛(C)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C)은 거리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임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거리 정보를 전처리가 되어 제어 유닛(C)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유닛(C)은 거리 정보로부터 탐지된 보행자 또는 물체에 대한 거리 또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C)과 일체로 또는 별도로 거리 탐지 유닛(DC) 및 물체 식별 유닛(DO)이 배치될 수 있다. 거리 탐지 유닛(DC) 및 물체 식별 유닛(DO)은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 형태가 될 수 있다. 거리 탐지 유닛(DC)은 각각의 채널에서 탐지된 물체 또는 보행자에 대한 거리 정보를 시각에 따라 저장하고, 물체 또는 보행자에 대한 거리의 변화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물체 식별 유닛(DO)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체 식별 유닛(DO)은 신호 대기 영역 또는 카운트 영역을 설정하고, 거리 탐지 유닛(DC)으로부터 전송된 거리 또는 거리 변화에 따라 보행자 또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 동안 방치된 물체 또는 보행자에 대한 검지 영역의 재설정 또한 물체 식별 유닛(DO)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distance sensors 33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hannels for detecting respective detectio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gions divided into the respective distance sensors 33 may be formed. And the distance sensor 33 can detect a pedestrian or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etection area, such as a signal waiting area. And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 The control unit C may include any processor capable of processing the distance signal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pre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and the control unit C may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object based on the distance or distance change to the detected pedestrian or object from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distance detection unit DC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DO can be disposed integrally or separately with the control unit C. [ The distance detection unit (DC)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DO) can be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 hardware. The distance detection unit (DC) can store the distanc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object or pedestrian in each channel in a visual manner, and can store a change in the distance to an object or a pedestrian. And send it to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DO). The object identifying unit DO can set a signal waiting area or a count area and can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a pedestrian or an object in accordance with a distance or a distance change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detecting unit DC. The resetting of the detection area for an object or pedestrian lef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scribed above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DO).

물체 식별 유닛(DO)에 의하여 결정된 물체 또는 보행자에 대한 이동 정보는 제어 유닛(C)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C)은 카운터(CT)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Movement information for an object or a pedestrian determined by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DO)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Then, the control unit C can control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counter CT.

카운터(CT)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카운트를 정해진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CT)의 값이 비교기(CP)로 전송될 수 있다. 비교기(CP)는 카운터(CT)로부터 전송된 카운트 값에 기초하여 물체 또는 보행자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기(CP)에 의하여 결정된 정보가 제어 유닛(C)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counter CT may have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count by a predetermined amoun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And the value of the counter C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arator CP. The comparator CP ma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or the pedestrian corresponds to a signal waiter based on the count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 CT. And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mparator (CP)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제어 유닛(C)는 비교기(CP)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물체 또는 보행자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통신 유닛(T)을 통하여 예를 들어 신호등의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통신 유닛(T)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커넥터 또는 칩이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 can finall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or the pedestrian corresponds to the signal waiting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arator CP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of the traffic ligh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 for example.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s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T may be various connectors or chips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신호등과 통합되어 또는 신호등과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may be integrated with a traffic light or independently installed with a traffic light.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가 신호등(30a, 30b)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B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the traffic lights 30a and 30b.

도 3b를 참조하면, 신호등(30a, 30b)은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에 의하여 신호등(30a, 30b)은 횡단보도의 통행을 위하여 보행자가 대기하는 대기 영역에 설정된 신호 대기 영역(SA)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 탐지가 가능하게 된다. 신호등(30a, 30b)은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작동되는 신호 표시등(LS)을 포함하고,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는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신호 대기 영역(SA) 내에 위치하는 물체를 거리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여 보행자와 신호 대기자를 구분하고,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에 의하여 결정된 이동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표시등(LS)에서 표시 상태가 결정된다.3B,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can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which can be wired or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have.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can detect the distance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SA set in the waiting area where the pedestrian waits for the passage of the crosswalk by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includ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And a signal indicator L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ers 31a and 31b. 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signalers 31a and 31b include a signal waiting area SA by a plurality of channels, And determines the moving state of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distance to distinguish the pedestrian and the signal waiting list. The information on the moving state determined by the walking automatic recognizing signals 31a and 31b The display state is determined in the signal display lamp LS.

신호등(30a, 30b)은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조절하기 위하여 차도 또는 인도에 설치된 신호등을 의미한다. 도심 도로, 산업 도로, 지방 도로 또는 통학로와 같이 임의의 도로에 설치된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신호등이 될 수 있고, 설치되는 도로의 종류 또는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The traffic lights 30a and 30b refer to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a traffic lane or a traffic lane to control traffic of a vehicle or a pedestrian. It may be a traffic light for traffic of a pedestrian or a vehicle installed on an arbitrary road such as an urban road, an industrial road, a local road or a school road, and is not limit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a road to be installed.

신호등(30a, 30b)은 횡단보도(CL)의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고, 신호등 지주(LP) 및 신호등 지주(LP)의 위쪽에 설치된 신호 표시등(L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신호등(30a, 30b)에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광판(37)이 설치될 수 있고, 보행자가 위치하는 신호 대기 영역(SA)을 조명하는 엘이디 조명(3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와 같은 경고 발생 장치(36)가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 상태, 신호 표시등(LS)의 작동 상태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CL)를 건너는 상태와 같은 것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다양한 부가 장치가 신호등(30a, 30b)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ignal lamps 30a and 30b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CL and may consist of a signal lamp LP and a signal indicator LS provided above the signal lamppost LP. An electric signboard 37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o the traffic lights 30a and 30b may be provided and an LED light 35 for illuminating the signal waiting area S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may be provided. Also, a warning device 36 such as a speaker can be provided to inform the outside such as the approach state of the vehicle, the operating state of the signal indicator LS, or the state where the pedestrian crosses the crosswalk CL. Various additional devices can be installed in the traffic lights 30a and 30b,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횡단보도(CL)를 건너는 보행자를 탐지하기 위한 자동 검지 유닛(31a, 31b)은 독립된 모듈로 제조되어 신호등(30a, 30b)에 부착되거나, 신호등(30a, 30b)의 제조 과정에서 신호등(30a, 30b)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 설치된 신호등(30a, 30b)에 독립적으로 제조된 자동 검지 유닛(31a, 31b)이 부착될 수 있다.The automatic detecting units 31a and 31b for detecting a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CL are manufactured as independent modules and attached to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or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30b. ≪ / RTI > Specifically, the automatic detection units 31a and 31b independently manufactured can be attached to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already installed.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는 위에서 설명된 거리 센서(33)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동 버튼(34)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인식 신호기(31a, 31b)는 신호등(30a, 30b)에 설치된 제어 프로그램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The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may include the distance sensor 33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manual buttons 34 as required. The automatic recognition signals 31a and 31b can be connected to a control program installed in the traffic lights 30a and 30b and can be made to exchange data.

거리 센서(33)는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광 레이더 센서(Light-Based Radar), 초음파 센서, 레이저 스캔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신호 대기 영역(SA) 내로 이동하는 물체의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탐지된 물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물체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여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거리 센서(33)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장치는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표시등(LS)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신호등(30a, 30b) 자체에 설치된 제어 유닛과 동일하거나 독립된 제어 유닛이 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33 may be a light-based ra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can sensor or a radar sensor as described above, and may detect the distance of an object moving into the signal waiting area SA can do. Then, the moving state of the objec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detected object,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oving object corresponds to the signal waiting stat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33 can be transmitted to a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and the control device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signal indicator LS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he control device may be the same or an independent control unit as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signal lamps 30a and 30b itself.

거리 센서(33)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하여 신호 대기자로 결정되면, 전광판(37) 또는 스피커와 같은 경고 발생 장치(36)를 통하여 차량(A)에 대하여 경보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야간과 같이 조명이 요구되는 상황인 경우 엘이디 조명(35)에 의하여 차로(DW), 신호 대기 영역(SA) 또는 횡단보도(CL)가 조명될 수 있다.An alarm signal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 through the warning device 36 such as the electric sign board 37 or a speaker, if the alarm signal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33 . In a situation where illumination is required such as nighttime, the light DW, the signal waiting area SA or the crosswalk CL can be illuminated by the LED illumination 35. [

수동 버튼(34)은 강제적인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신호 표시등(LS)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감시 카메라가 작동되어 관련 상황이 녹음되어 저장될 수 있고, 작동 구조에 따라 수동 버튼(34)은 관련 상황실과 통화 연결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는 예를 들어 야간 또는 통행이 드문 도로에서 신호 대기자가 횡단보도(CL)을 통행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는 차량(A)의 운행 상황 또는 보행자의 이동 상황을 녹화하여 저장하거나 스틸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The manual button 34 can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ignal indicator (LS) in a forced or urgent situation. In this case, the surveillance camera may be operated to record and store the related situation, and the manual button 34 may be set to be in a call connection with the related control room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ructure. The surveillance camera may be activated, for example, when a signaling waiter passes the crosswalk (CL) at night or on a road with little traffic. The surveillance camera can record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 or the moving state of the pedestrian, and store or record it as a still image.

아래에서 이와 같은 신호등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The operation of such a traffic ligh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에 따른 신호등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n exemplary operation of a traffic light according to a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보행 자동 인식 방법은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P41), 신호 대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P42), 보행자를 탐지하는 단계(P421), 보행자가 탐지되는 경우 탐지된 보행자를 기준으로 카운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P43), 카운트 영역이 설정된 보행자의 카운트의 증가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P431), 만약 카운트가 증가한다면 미리 결정된 값에 따라 감지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P44),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P441) 및 만약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했다면 신호를 작동시키는 단계(P4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utomatic gait recognition method includes a step P41 of initializing a counter, a step P42 of setting a signal waiting area, a step P421 of detecting a pedestrian, a step of detecting a pedestrian detected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A step P43 of detecting whether the count of the pedestrian in the count area is increased or not, a step P44 of increasing the detection cou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count is increased, (P441) judging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value has been reached (P441), and activating a signal (P45) if the count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카운터는 프로그램 형태가 될 수 있고 반드시 하드웨어 형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카운터는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계수기 또는 계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고, 자동 검지 유닛에 설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신호 대기 영역은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횡단보도, 인도 또는 차도를 기준으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P42), 신호 대기 영역의 설정 위치에 따라 거리 센서가 신호등에 배치되어 신호 대기 영역 내로 이동하거나 신호 대기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The counter can be in a program form and not necessarily in hardware form. The counter may be any number of counting or counting software known in the art, and may be installed or embedded in the automatic detection unit. The signal waiting area can be appropriately set on the basis of the crosswalk, guidance, or roadway as described above (P42), and the distance sensor is arranged in the traffic light according to the setting position of the signal waiting area to move into the signal waiting area,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moving from the area to the outside.

거리 센서에 의하여 신호 대기 영역이 보행자가 탐지될 수 있다(P421). 보행자는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반드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자전거, 휠체어, 오토바이, 경운기 또는 수레와 같이 이동성을 가진 다양한 물체가 될 수 있다.A pedestrian may be detected in the signal waiting area by the distance sensor (P421). A pedestria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person, as explained above. For example, bicycles, wheelchairs, motorcycles, cultivators, or wagons.

보행자가 탐지되지 않는다면(NO) 탐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P42). 반면 보행자가 탐지되면(YES), 보행자를 기준으로 카운트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P43). 카운트 영역은 보행자의 현재 위치와 횡단보도 사이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카운트 증감이 기초가 된다. 최초 보행자가 탐지된 이후 카운트 영역으로 이동된다면(YES) 카운트가 증가될 수 있다(P44). 이에 비하여 보행자가 카운트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면(NO), 카운트가 감소되거나 카운트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지 카운트가 증가되거나, 유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감지 카운트의 증가 방법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감지 카운트의 증감으로부터 보행자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한 카운트 값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미리 결정된 값이 임계값(C)이 될 수 있고, 보행자의 카운트 값이 임계값(C)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자의 카운트≥임계값(C)이 판단될 수 있고(P441), 만약 임계값(C)에 도달하지 않았다면(NO), 보행자에 대한 탐지 상태가 유지되거나 카운터의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보행자의 카운트가 임계값(C)에 도달하였다면(YES), 신호가 작동될 수 있다(P45). 그리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이동하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P451). 만약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이동하면(YES), 알림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P46). 만약 이동이 탐지되지 않는다면(NO) 보행자에 대한 탐지가 계속될 수 있다. 알림 신호가 발생된(P46)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이동이 계속 탐지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감시 카메라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이 완료되면 다시 카운트의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If the pedestrian is not detected (NO), the detection state can be maintained (P42). On the other hand, if a pedestrian is detected (YES), the count area can be set based on the pedestrian (P43). The count area can be set to the area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and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e count increase / decrease becomes the basis. If the first pedestrian is detected and then moved to the count area (YES), the count can be increased (P44). On the other hand, if the pedestria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unt area (NO), the count is not decreased or the count is not increased. In this way, the sense count can be increased, maintained or reduce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detection count can be set in advance, and the count value as to whether or not the pedestrian corresponds to the signal waiter from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detection count can be predetermin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value can be the threshold value C and the count value of the pedestrian has reached the threshold value C. [ Specifically, the count & cir & threshold value C of the pedestrian can be judged (P441), and if the threshold value C has not been reached (NO), the detection status for the pedestrian can be maintained or the counter can be initializ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unt of the pedestrian has reached the threshold value C (YES), the signal can be activated (P45). And whether the pedestrian is moving to the pedestrian crossing can be detected (P451). If the pedestrian moves to the pedestrian crossing (YES),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P46). If no movement is detected (NO), detection of the pedestrian may continue.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crossing the pedestrian crossing where the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P46)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and the surveillance camera can b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n, when the situation is completed, the initialization of the count can be performed again.

보행 자동 인식 방법은 신호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gait automatic recognition method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in connection with a traffic ligh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은 종래에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보행자를 인식 또는 검지하여 보행자 또는 물체의 존재 유무만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여 신호 대기자와 단순 보행자의 구분에 따른 기술적인 한계로 인한 오작동의 문제가 극복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발생되는 잦은 보행 신호등이 켜지는 것에 의하여 교통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가 해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보행이 일정하지 않은 보행자, 유모차 또는 휠체어로 인하여 보행 속도가 현저히 느린 보행자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지되기 어려운 보행자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보안 카메라와 함께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보안 또는 방범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교통 신호등과 독립되어 설치되거나 일체로 설치되어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체의 종류 및 이동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 교통 신호등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ffic signal by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a pedestrian or an object by recognizing or detecting a pedestrian by means of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Make sure the problem is overco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raffic flow is obstructed by turning on a frequent gait signal generated due to such technical limitation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pedestrians who are hard to recognize by a general method, such as pedestrian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pedestrians whose walking is not constant, baby strollers or wheelchai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least with a security camera so that security or crime prevention functions can be performed, and i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or integrally with a traffic light,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type and moving state of an objec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smart traffic signal and prevent a traffic accident occurring in various environments.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30a, 30b: 신호등 31a, 31b: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33: 거리 센서 34: 수동 버튼
35: 엘이디 조명 36: 경고 발생 장치
37: 전광판 A: 차량
C: 제어 유닛 CA1: 1 검지 영역
CA2: 2 검지 영역 CL: 횡단보도
CP: 비교기 CT: 카운터
D: 탐지 기준 위치 DC: 거리 탐지 유닛
DO: 물체 식별 유닛 DW: 차로
i, j, k: 채널 LO: 물체
LP: 신호등 지주 LS: 신호 표시등
P: 보행자 SA: 신호 대기 영역
T: 통신 유닛
30a, 30b: Traffic light 31a, 31b: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33: Distance sensor 34: Manual button
35: LED light 36: warning device
37: display board A: vehicle
C: control unit CA1: 1 detection area
CA2: 2 Detection area CL: Pedestrian crossing
CP: comparator CT: counter
D: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DC: Distance detection unit
DO: Object identification unit DW:
i, j, k: channel LO: object
LP: Signal light LS: Signal light
P: Pedestrian SA: Signal waiting area
T: communication unit

Claims (3)

다수 채널에 의하여 서로 다른 영역에서 탐지된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신호 대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신호 대기 영역 내의 위치하는 보행자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 영역에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카운트의 증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의 증가 여부에 대한 판단에 따라 신호등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 영역 내의 카운트의 증가 여부는 상기 보행자에 대하여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획득된 거리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Disposing at least one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n object detected in different areas by a plurality of channels;
Setting a signal waiting area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by the distance sensor;
Detecting a pedestrian located in a signal waiting area by the distance sensor;
Setting a count area for the pedestrian;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 for the pedestrian increases in the count area; An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count is increased,
Wherein the increase in the count in the count area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channels with respect to the pedestri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대기 영역은 거리 센서(33)가 배치된 탐지 기준 위치에 대한 신호 대기 영역(SA)의 거리에 따라 다수 개의 검지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waiting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according to a distance of a signal waiting area (SA) with respect to a detection reference position where the distance sensor (33) is disposed. 보행자와 신호 대기자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거리 센서(33);
거리 센서(3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물체에 대한 거리 또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이동을 결정하는 제어 유닛(C);
상기 물체의 이동의 시각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는 카운터(CT); 및
카운터(CT)로부터 전송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신호 대기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기(CP)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센서(33)에 형성된 다수 개의 채널에 의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이 분할되어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1. A walking automatic recognition signal generat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pedestrian and a signal waiting list,
A distance sensor 33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A control unit (C)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33) and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distance or distance to the object;
A counter (CT) for measuring a change with time of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And a comparator (C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a signal waiter based on th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 (CT)
Wherein the predetermined area is divided and detected by a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in the distance sensor (33).
KR1020150153747A 2015-11-03 2015-11-03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KR201700015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47A KR20170001540A (en) 2015-11-03 2015-11-03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47A KR20170001540A (en) 2015-11-03 2015-11-03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14A Division KR101574126B1 (en) 2015-06-26 2015-06-26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40A true KR20170001540A (en) 2017-01-04

Family

ID=5783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47A KR20170001540A (en) 2015-11-03 2015-11-03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54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7760A (en) * 2017-04-17 2017-08-18 深圳市喜悦智慧数据有限公司 A kind of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pedestrian island
KR20210100285A (en)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signal in crosswalk
KR20230062216A (en)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티원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or a vehicle in a crosswalk and generating an alarm using a multi-detection rad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55B1 (en) 2010-06-25 2010-11-18 딕스비전 주식회사 Traffic signal apparatus and traffic signal method with pedestrian image actuation
KR101026683B1 (en) 2010-11-05 2011-04-07 (주)금성보안 Using microwave sensors pedestrian crosswalk safet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KR20120111707A (en)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rosswalk pedestri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55B1 (en) 2010-06-25 2010-11-18 딕스비전 주식회사 Traffic signal apparatus and traffic signal method with pedestrian image actuation
KR101026683B1 (en) 2010-11-05 2011-04-07 (주)금성보안 Using microwave sensors pedestrian crosswalk safet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KR20120111707A (en)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rosswalk pedestria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7760A (en) * 2017-04-17 2017-08-18 深圳市喜悦智慧数据有限公司 A kind of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pedestrian island
KR20210100285A (en)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signal in crosswalk
KR20230062216A (en)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티원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or a vehicle in a crosswalk and generating an alarm using a multi-detection rad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3049B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nomous vehicles via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enso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KR10172808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f road accident
KR101446048B1 (en) Intelligent Type of Apparatus for Guarding Crosswalk Pedestrian and Guard System with the Same
KR101884324B1 (en) Auxiliary device for voice guidance of crosswalk
WO2014156222A1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powere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101554971B1 (en) Safety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KR101661237B1 (en) Safety system on a crosswalk for traffic signal
KR20190046317A (en) Walking safety system
KR20160003715U (en) Traffic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right rotation
KR101276385B1 (en) 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35477B1 (en) Safety system on a crosswalk for traffic signal
KR101800007B1 (en) Cctv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KR200481229Y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lashing signal of road
KR102484348B1 (en) Smart pole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pedestrians in the pedestrian crossing area
CN108153315B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unmanned automobile
KR101886325B1 (en) Warning system for vehicle at intersection of parking lot
KR101567894B1 (en) Voice guidance system of crosswalk
KR101440478B1 (en) Intelligent controlloing method and the system of traffic signal and sensor array
KR100870782B1 (en) a reflector for a blind spot and a traffic safety system using above reflector
KR20170001540A (en)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and a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n Detecting a Pedestrian Automatically
KR102045837B1 (en)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KR20180088186A (en) Device for detecting pedestrian walking on a pedestrian crossing part using multi-channel distance sensor and the method
KR20190090221A (en) Intelligence safety device
KR20210064009A (en) Pedestrian detection system for safe crosswalk function
KR20190013363A (en)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